KR20210150563A - Spot weld joi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pot weld joint - Google Patents

Spot weld joi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pot weld joi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0563A
KR20210150563A KR1020217037230A KR20217037230A KR20210150563A KR 20210150563 A KR20210150563 A KR 20210150563A KR 1020217037230 A KR1020217037230 A KR 1020217037230A KR 20217037230 A KR20217037230 A KR 20217037230A KR 20210150563 A KR20210150563 A KR 20210150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spot weld
steel sheet
steel plate
vickers hard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72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56695B1 (en
Inventor
다스쿠 제니야
사토시 히로세
아츠오 고가
고이치 하마다
마사노리 야스야마
Original Assignee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50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5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6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6Auxiliary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18Sheet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이 스폿 용접 조인트는, 제1 강판과 상기 제1 강판에 겹쳐진 제2 강판과 상기 제1 강판과 상기 제2 강판을 접합하고 있는 2개의 스폿 용접 금속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스폿 용접 금속을 포함하는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1 강판이, 상기 2개의 스폿 용접 금속의 사이, 또한 상기 제2 강판측의 면으로부터 제1 강판의 판 두께 방향으로 0.1mm의 범위에 형성된 제1 영역과, 상기 2개의 스폿 용접 금속의 사이, 또한 상기 제2 강판측의 면과는 반대의 면으로부터 상기 판 두께 방향으로 0.1mm의 범위에 형성된 제2 영역을 갖고, 상기 제1 영역의 평균 비커스 경도 HV1과 상기 제1 강판의 평균 비커스 경도 HVbase가, HVbase×0.33+150≤HV1≤HVbase×0.33+230을 충족하고, 상기 제2 영역의 평균 비커스 경도 HV2와 상기 제1 강판의 평균 비커스 경도 HVbase가, HVbase-30≤HV2≤HVbase+30을 충족한다.This spot weld joint includes a first steel plate, a second steel plate superimposed on the first steel plate, and two spot weld metals joining the first steel plate and the second steel plate, and the two spot weld metals are included. a first region formed between the two spot weld metals and between the two spot weld metals an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rst steel sheet from the surface on the side of the second steel sheet in a range of 0.1 mm; a second region formed between two spot weld metals in a range of 0.1 mm from a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the second steel plate side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the average Vickers hardness HV1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1 The average Vickers hardness HVbase of the steel sheet satisfies HVbase×0.33+150≦HV1≦HVbase×0.33+230, and the average Vickers hardness HV2 of the second region and the average Vickers hardness HVbase of the first steel sheet are HVbase-30 ≤HV2≤HVbase+30 is satisfied.

Description

스폿 용접 조인트, 및 스폿 용접 조인트의 제조 방법Spot weld joi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pot weld joint

본 개시는, 스폿 용접 조인트, 및 스폿 용접 조인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spot weld join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pot weld joint.

본원은, 2019년 05월 24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9-097703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9-097703 for which it applied to Japan on May 24, 2019, The content is used here.

복수의 강판 부재를 겹쳐서 구성되는 구조물에서는, 강판 부재끼리를 중첩한 중첩부에 대하여, 저항 스폿 용접에 의한 접합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In a structure constitut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steel plate members, joining by resistance spot welding is widely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overlapping portions in which the steel plate members are stacked.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서는, 해트재와 클로징 플레이트가 스폿 용접에 의해 서로 접합되는 에너지 흡수 부재가 기재되어 있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escribes an energy absorbing member in which a hat material and a closing plate are joined to each other by spot welding.

현재, 자동차용의 고강도 강판으로서, 인장 강도가 980MPa 이상인 고강도 강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근년에는 인장 강도가 1100MPa 이상인 고강도 강판도 적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인장 강도가 1100MPa 이상인 고강도 강판은, 일반적으로 높은 강도를 얻기 위해 ??칭 조직을 포함한다. 저항 스폿 용접을 행하면, 강판을 용접하는 너깃(스폿 용접 금속)이 형성되어, 너깃의 주위에 열 영향부(heat affected zone)(이하, HAZ라고 함)가 생긴다. 일반적으로 HAZ는 ??칭 조직을 포함한다. 단, ??칭 조직을 갖는 고강도 강판에, 저항 스폿 용접을 행한 경우, ??칭 조직인 모재보다 경도가 낮은 영역(HAZ 연화부)이 형성된다. 모재의 ??칭 조직이 저항 스폿 용접의 열에 의해 템퍼링되기 때문이다.Currently, as a high-strength steel sheet for automobiles, a high-strength steel sheet having a tensile strength of 980 MPa or more is widely used. In recent years, high-strength steel sheets having a tensile strength of 1100 MPa or more are also beginning to be applied. A high-strength steel sheet having a tensile strength of 1100 MPa or more generally includes a quenching structure in order to obtain high strength. When resistance spot welding is performed, a nugget (spot weld metal) for welding a steel sheet is formed, and a heat affected zo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HAZ) is formed around the nugget. In general, HAZ includes a quenching organization. However, when resistance spot welding is performed on a high-strength steel sheet having a quenching structure, a region (HAZ softened portion) having a lower hardness than the base material having a quenching structure is formed. This is because the quenching structure of the base metal is tempered by the heat of resistance spot welding.

자동차가 충돌하였을 때에는, 캐빈 내의 승객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A 필러, B 필러, 루프 레일, 사이드 실과 같은 자동차 차체를 구성하는 구조 부재(겹침 용접 부재)는, 높은 강도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차체를 구성하는 구조 부재는, 복수의 강판 부재를 중첩하여 플랜지(중첩부)를 저항 스폿 용접에 의해 접합하여 통 형상의 폐단면을 형성하여 제조된다. 충돌 시의 변형 저항을 향상시켜, 적은 변형량으로 보다 많은 충돌 에너지를 흡수시키기 위해서는, 소재(모재)의 고강도화나 용접(스폿) 타점의 증가와 같은 방법이 취해진다.When a car collides, i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passengers in the cabin. For this reason, structural members (lap welding members) constituting an automobile body such as A pillar, B pillar, roof rail, and side sill need to have high strength. In general, a structural member constituting an automobile body is manufactured by overlapping a plurality of steel plate members and joining flanges (overlapping portions) by resistance spot welding to form a cylindrical closed cross-section. In order to improve the deformation resistance at the time of a collision and to absorb more collision energy with a small deformation amount, methods such as strengthening the material (base material) and increasing the welding (spot) points are taken.

저항 스폿 용접되는 상기 부재의 플랜지 일부에는, 자동차의 충돌 시에 면내 인장 응력이 부하되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HAZ 연화부와 같은 경도가 낮은 영역이 있으면 부재의 내충돌 성능이 저하된다. 이러한 HAZ 연화부는, 저항 스폿 용접의 조인트 평가에 사용되는 인장 전단 시험 및 십자 인장 시험(JIS Z3137)의 평가 결과에 대한 영향은 작다. 그러나, 면내 인장 응력이 부하된 경우에는, HAZ 연화부에 국소적으로 변형이 집중하여 HAZ 연화부에 파단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모재를 고강도화하고, 스폿 타점을 증가해도, 상술한 HAZ 연화부가 생기면, 모재의 강도와 부품의 형상으로부터 상정되는 내충돌 성능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An in-plane tensile stress may be applied to a portion of the flange of the member to be resistance spot welded at the time of an automobile collision. In general, if there is a region with low hardness, such as a HAZ softening zone, the impact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member is lowered. Such a HAZ softened portion has a small influence on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tensile shear test and cross tensile test (JIS Z3137) used for joint evaluation of resistance spot welding. However, when an in-plane tensile stress is applied, deformation may locally concentrate in the HAZ softened portion to cause fracture in the HAZ softened portion. Therefore, even if the base material is strengthened and the spot spot is increased, if the above-described HAZ softened area is generated, the collision resistance performance assumed from the strength of the base material and the shape of the part may not be obtained.

따라서, 고강도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강판 부재를 자동차 차체의 구조 부재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너깃의 주변 영역이 파단의 기점으로 되는 것을 억제할 것이 요구된다.Accordingly, when a steel plate member made of a high-strength steel plate is applied to a structural member of an automobile body, it is required to suppress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nugget from becoming a fracture origin.

종래, 저항 스폿 용접에 의해 형성된 용접 부재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검토가 이루어져 왔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2에는, 스폿 용접부의 특성을 개선한 용접 조인트로서, 스폿 용접부를 100 내지 400℃에서 열처리하고, L자 인장 조인트 강도를 향상시킨 용접 조인트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는, 스폿 용접부에 후 통전을 행하고, 십자 인장 조인트 강도를 개선시키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4에는, 스폿 용접 전극의 주위를 코일로 감은 것으로 용접 후 빠르게 고주파 유도 가열하여 스폿 용접부 및 용융부를 템퍼링함으로써 TSS와 재료 강도와의 비, 및 CTS와 재료 강도의 곱으로부터 평가되는 접합 강도를 개선하는 용접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BACKGROUND ART In the past, studie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properties of a weld member formed by resistance spot welding. For example, Patent Document 2 describes a weld joint in which the properties of the spot welded part are improved, and the spot welded part is heat treated at 100 to 400°C t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L-shaped tensile joint. In addition, Patent Document 3 describes a method of improving the strength of a cross-tensile joint by performing post-energization to the spot welded portion. In Patent Document 4, by winding the periphery of the spot welding electrode with a coil, high-frequency induction heating is rapidly performed after welding to temper the spot weld and the molten portion. An improved welding method is described.

그러나, 이들 특허 문헌 2 내지 4에 개시된 기술에 의하면, TSS나 CTS의 향상에는 일정한 효과가 얻어지기는 하지만, 이들 특허 문헌 2 내지 4에서는, 강판에 면내 인장 응력이 부하되었을 때의 HAZ 연화부에서의 파단에 대하여 고려되어 있지 않다.However, according to the techniques disclosed in these Patent Documents 2 to 4, although a certain effect is obtained for the improvement of TSS and CTS, in these Patent Documents 2 to 4, in the HAZ softening zone when an in-plane tensile stress is applied to the steel sheet, Fracture is not taken into account.

이러한 과제에 대하여, 특허 문헌 5에는, 스폿 용접에 제공되는 플랜지부의 일부 또는 전부에 소프트 존이라고 불리는 1100MPa 미만의 강도를 갖는 영역을 가짐으로써, 에너지흡수 능력을 높인 B 필러가 기재되어 있다.In response to such a subject, Patent Document 5 describes a B-pillar in which energy absorption capacity is increased by having a region having a strength of less than 1100 MPa, called a soft zone, in part or all of a flange portion provided for spot welding.

그러나, 특허 문헌 5에 개시된 B 필러에서는, 사이드 플랜지를 연화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부재의 내충돌 성능인 굽힘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5에서는 용접 전에 부품 내에서 연화 영역을 마련하므로, 부품의 형상 정밀도가 저하된다고 하는 과제도 있다. 부품의 형상 정밀도가 저하되면, 용접 시에 부품간에 간극이 생기게 되어, 용접이 난화된다.However, in the B-pillar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5, since it is necessary to soften the side flange, there is a fear that the bending performance, which is the collision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member, may decrease. Moreover, in patent document 5, since a softening area|region is provided in a component before welding, there also exists a subject that the shape precision of a component falls. When the shape precision of a part falls, a gap will arise between parts at the time of welding, and welding becomes difficult.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42905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6-142905 일본 특허 공개 제2010-059451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0-059451 일본 특허 공개 제2015-093282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5-093282 일본 특허 제5459750호 공보Japanese Patent No. 5459750 Publication 일본 특허 제5894081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5894081

본 개시는,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면내 인장 응력이 부하된 경우에도, 스폿 용접 금속의 사이에 끼워지는 영역으로부터의 파단을 억제할 수 있는 스폿 용접 조인트, 및 스폿 용접 조인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spot weld joint capable of suppressing fracture from a region sandwiched between spot weld metals even when an in-plane tensile stress is applied,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pot weld joint The task is to provide

본 발명자들은, HAZ 연화부가 형성된 부품에 면내 인장 응력이 생겼을 때의 변형 분포를 해석하였다. 그 결과, 중첩 용접을 행한 고강도 강판의, 용접 금속끼리의 사이의 표면(중첩면과는 반대측) 부근을 ??칭함과 동시에, 중첩면 부근을 템퍼링함으로써 부품 강도의 저하를 최저한으로 억제하면서, 면내 인장 응력이 부하된 경우라도, HAZ 연화부에 국소적으로 변형이 집중하여 HAZ 연화부에 파단을 생기게 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음을 알아 내었다.The present inventors analyzed the strain distribution when an in-plane tensile stress was generated in the part in which the HAZ softened part was formed. As a result, by quenching the vicinity of th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verlapping surface) between the weld metals of the high-strength steel sheet subjected to overlap welding, and at the same time, by tempering the overlapping surface vicinity, the decrease in component strength is minimized while in-plane It has been found that even when a tensile stress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avoid the occurrence of fractures in the HAZ softened portion by locally concentrating the deformation in the HAZ softened portion.

본 개시는, 상기 지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졌다. 본 개시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This indication was made based on the said knowledge. The gis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s follows.

[1] 본 개시의 일 양태에 관한 스폿 용접 조인트는, 평균 비커스 경도 HVbase가 350HV 이상인, 경질 마르텐사이트를 포함하는 제1 강판과, 상기 제1 강판에 겹쳐진 제2 강판과, 상기 제1 강판과 상기 제2 강판을 접합하고 있는 2개의 스폿 용접 금속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스폿 용접 금속을 포함하는 상기 제1 강판의 판 두께 방향의 모든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1 강판이, 상기 2개의 스폿 용접 금속의 사이, 또한 상기 제2 강판측의 면으로부터 상기 제1 강판의 판 두께 방향으로 0.1mm의 범위에 형성된 제1 영역과, 상기 2개의 스폿 용접 금속의 사이, 또한 상기 제2 강판측의 면과는 반대의 면으로부터 상기 판 두께 방향으로 0.1mm의 범위에 형성된 제2 영역을 갖고, 상기 제1 영역의 금속 조직이 템퍼링 마르텐사이트를 50면적% 이상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의 평균 비커스 경도 HV1과 상기 제1 강판의 평균 비커스 경도 HVbase가, 하기 식 (1)을 충족하고, 상기 제2 영역의 금속 조직이 경질 마르텐사이트를 50면적% 이상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의 평균 비커스 경도 HV2와 상기 제1 강판의 평균 비커스 경도 HVbase가, 하기 식 (2)를 충족한다.[1] A spot welded join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first steel sheet containing hard martensite having an average Vickers hardness HVbase of 350 HV or more, a second steel sheet superimposed on the first steel sheet, the first steel sheet, In all cross-sections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rst steel sheet including two spot weld metals joining the second steel plates, and including the two spot weld metals, the first steel plate has the two spots A first region formed in a range of 0.1 mm between the weld metal and the surface on the side of the second steel sheet in the sheet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rst steel sheet, between the two spot weld metals, and on the side of the second steel sheet It has a second region formed in a range of 0.1 mm in the thickness direction from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the metal structure of the first region contains 50 area% or more of tempered martensite, and the average Vickers of the first region The hardness HV1 and the average Vickers hardness HVbase of the first steel sheet satisfy the following formula (1), the metal structure of the second region contains 50 area% or more of hard martensite, and the average Vickers hardness of the second region The average Vickers hardness HVbase of HV2 and the said 1st steel plate satisfy|fills following formula (2).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2] [1]에 기재된 스폿 용접 조인트에서는, 상기 제1 영역에 있어서의 비커스 경도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가 80HV 이하여도 된다.[2] In the spot weld joint according to [1],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Vickers hardness in the first region may be 80 HV or less.

[3] [1] 또는 [2]에 기재된 스폿 용접 조인트에서는,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판 두께 방향의 두께가, 상기 제1 강판의 판 두께의 30 내지 70%여도 된다.[3] In the spot weld joint according to [1] or [2], the thickness of the first region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may be 30 to 70% of the plate thickness of the first steel plate.

[4] 본 개시의 다른 형태에 따른 스폿 용접 조인트의 제조 방법은, 평균 비커스 경도 HVbase가 350HV 이상인, 경질 마르텐사이트를 포함하는 제1 강판과, 제2 강판을 중첩하고, 중첩된 상기 제1 강판과 상기 제2 강판을 접합하는 2개의 스폿 용접 금속을 형성하고, 레이저 조사에 의해, 상기 제1 강판의, 상기 2개의 스폿 용접 금속끼리의 사이 또한 제2 강판측의 면으로부터 0.1mm의 범위에 템퍼링을 행함과 동시에, 상기 2개의 스폿 용접 금속의 사이 또한 상기 제2 강판측의 면과는 반대의 면으로부터 0.1mm의 범위에 ??칭을 행한다.[4]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spot welded join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average Vickers hardness HVbase of 350 HV or more, a first steel sheet containing hard martensite and a second steel sheet are overlapped, and the overlapped first steel sheet Two spot weld metals for joining and the second steel plate are formed, and by laser irradiation, between the two spot weld metals of the first steel plate and within a range of 0.1 mm from the surface on the second steel plate side Simultaneously with the tempering, quenching is performed within a range of 0.1 mm from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the side of the second steel sheet and between the two spot weld metals.

본 개시의 상기 양태에 의하면, 면내 인장 응력이 부하된 경우에도, 스폿 용접 금속의 사이에 끼워지는 영역으로부터의 파단을 억제할 수 있는 스폿 용접 조인트, 및 스폿 용접 조인트의 제조 방법이 얻어진다.According to the abov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even when an in-plane tensile stress is applied, a spot weld joint capable of suppressing fracture from a region sandwiched between spot weld metal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pot weld joint are obtained.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폿 용접 조인트의 판 두께 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폿 용접 조인트를 제1 강판측으로부터 상면으로 본 경우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폿 용접 조인트에 레이저 조사를 행한 경우의, 도달 온도와 비커스 경도의 측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서 사용한 시험편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of a spot weld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view when the spot welded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viewed from the first steel plate side in the upper surface.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ched temperature and the measurement of Vickers hardness at the time of laser-irradiating the spot weld joint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test piece used in the Example.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스폿 용접 조인트(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폿 용접 조인트) 및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폿 용접 조인트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 spot welded joint (spot welded join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pot welded join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폿 용접 조인트(1)는, 제1 강판(11)과, 제1 강판에 겹쳐진 제2 강판(12)과, 제1 강판(11)과 제2 강판(12)을 접합하는 2개의 스폿 용접 금속(2)을 구비한다. 도 1, 도 2에 있어서는, 스폿 용접 금속(2)은 저항 스폿 용접에 의해 형성된 너깃이다. 이러한 스폿 용접 조인트는, 제1 강판(11)과 제2 강판(12)을 중첩하여 저항 스폿 용접을 행함으로써 얻어진다.As shown in FIG. 1 , the spot welded joint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steel plate 11 , a second steel plate 12 superimposed on the first steel plate, a first steel plate 11 and a Two spot weld metals (2) for joining two steel plates (12) are provided. 1 and 2, the spot weld metal 2 is a nugget formed by resistance spot welding. Such a spot weld joint is obtained by overlapping the first steel plate 11 and the second steel plate 12 and performing resistance spot welding.

저항 스폿 용접에 제공되는 제1 강판(11)은, B 필러 등의 자동차 골격 부품에 대한 적용을 고려하여, 평균 비커스 경도(HVbase)가 350HV 이상인 강판이다. 또한, 제1 강판은, 경질 마르텐사이트와 같은 ??칭 조직을 포함하는 조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2 강판(12)에 대해서는, 한정되지 않는다.The first steel sheet 11 provided for resistance spot welding is a steel sheet having an average Vickers hardness (HVbase) of 350 HV or more in consideration of application to automobile skeleton parts such as B-pillars. Moreover, the 1st steel plate consists of a structure|tissue containing a quenching structure, such as hard martensite. In addition, about the 2nd steel plate 12, it is not limited.

제1 강판(11)의 평균 비커스 경도(단순히 경도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는, 용접에 제공되는 제1 강판(11)의 용접 전의 평균 비커스 경도를 의미한다. 스폿 용접 후에 측정하는 경우에는, 용접 열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에서 측정된 평균 비커스 경도를 의미한다.The average Vickers hardness of the first steel sheet 11 (it may simply be referred to as hardness) means the average Vickers hardness before welding of the first steel sheet 11 used for welding. When measured after spot welding, it means the average Vickers hardness measured at a position not affected by welding heat.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폿 용접 조인트(1)에서는, 2개의 스폿 용접 금속(2, 2)을 포함하는 제1 강판(11)의 판 두께 방향의 모든 단면에 있어서, 제1 강판(11)이 2개의 스폿 용접 금속(2, 2)의 사이, 또한 제2 강판(12)측의 면(즉 중첩면)으로부터 0.1mm의 범위에 형성된 제1 영역(51)과, 2개의 스폿 용접 금속(2, 2)의 사이, 또한 제2 강판(12)측의 면과는 반대의 면(즉 조인트의 표면)으로부터 0.1mm의 범위에 형성된 제2 영역(52)을 갖는다.In addition, in the spot weld joint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all cross sections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rst steel plate 11 including the two spot weld metals 2 and 2, the first steel plate 11 A first region 51 formed between the two spot weld metals 2 and 2 and in a range of 0.1 mm from the face (ie, overlapping face) on the side of the second steel plate 12, and the two spot weld metals ( Between 2 and 2), there is provided a second region 52 formed in a range of 0.1 mm from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the side of the second steel plate 12 (that is, the surface of the joint).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폿 용접 조인트(1)에서는, 제1 영역(51)의 금속 조직이, 템퍼링 마르텐사이트를 50면적% 이상 포함하고, 제1 영역(51)의 평균 비커스 경도 HV1과 제1 강판의 평균 비커스 경도 HVbase가, 하기 식 (1)을 충족한다.Moreover, in the spot weld joint 1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the metal structure of the 1st area|region 51 contains 50 area% or more of tempered martensite, and the average Vickers hardness of the 1st area|region 51 HV1 and The average Vickers hardness HVbase of 1 steel plate satisfy|fills following formula (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폿 용접 조인트(1)에서는, 상기 제2 영역(52)의 금속 조직이, 경질 마르텐사이트를 50면적% 이상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52)의 평균 비커스 경도 HV2와 상기 제1 강판의 평균 비커스 경도 HVbase가, 하기 식 (2)를 충족한다.Moreover, in the spot weld joint 1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the metal structure of the said 2nd area|region 52 contains 50 area% or more of hard martensite, and the average Vickers hardness of the said 2nd area|region 52 HV2. and the average Vickers hardness HVbase of the first steel sheet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제1 영역(51)의 외측에까지 제1 영역(51)과 마찬가지의 템퍼링 마르텐사이트의 면적% 및 평균 비커스 경도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금속 조직이 확대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2 영역(52)의 외측에까지 제2 영역(52)과 마찬가지의 경질 마르텐사이트의 면적% 및 평균 비커스 경도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금속 조직이 확대되어 있어도 된다.The metal structure which satisfy|fills the conditions of the area % of tempered martensite similar to the 1st area|region 51 and average Vickers hardness may be extended to the outer side of the 1st area|region 51. Moreover, the metal structure which satisfy|fills the conditions of the area % of hard martensite similar to the 2nd area|region 52 and average Vickers hardness may be extended to the outer side of the 2nd area|region 52.

이하, 각 구성의 한정 이유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eason for limitation of each structure is demonstrated.

상술한 바와 같이, 평균 비커스 경도가 350HV 이상(인장 강도로 환산하면 약 1100MPa 이상)인 고강도 강판은, 경질 마르텐사이트와 같은 ??칭 조직을 포함한(예를 들어 50면적% 이상인) 조직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조직은, ??칭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 high-strength steel sheet having an average Vickers hardness of 350 HV or more (converted to about 1100 MPa or more in terms of tensile strength) has a structure (for example, 50 area% or more) including a quenching structure such as hard martensite. Often times. Such a structure is obtained by a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a quenching process.

??칭 조직을 포함하는 강판에 용접을 행한 경우, 용접의 열에 의해 용접 금속의 주위에 형성되는 HAZ에 있어서, 경질 마르텐사이트가 템퍼링 마르텐사이트 등의 연질의 조직으로 변화된다. 즉, 모재보다 경도가 낮은 영역(HAZ 연화부)이 형성된다. 용접부를 갖는 판의 면내에 인장 응력이 생겼을 때, 이 HAZ 연화부가 파단의 기점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When welding is performed on a steel sheet having a quenching structure, hard martensite is changed into a soft structure such as tempered martensite in the HAZ formed around the weld metal by the heat of welding. That is, a region (HAZ softened portion) having a lower hardness than the base material is formed. When a tensile stress arises in the surface of the plate which has a welding part, this HAZ softened part may become a fracture|rupture origin.

본 발명자들의 검토 결과, (i) 면내 인장 응력이 걸리는 2개의 용접 금속의 사이에 있어서, 국소적인 강도 저하부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 (ii) 강도가 열위인 부위나 신장되기 쉬운 부위를 HAZ 연화부 외에 마련하는 형상으로 하는 것, (iii) HAZ 연화부를 포함하는 열 영향부가 있는 영역의, 파단까지의 신장량이 커지도록 당해 영역의 조직을 개질하는 것에 의해, HAZ 연화부였던 개소로의 변형의 집중을 완화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by the present inventors, (i) between two weld metals to which in-plane tensile stress is applied, a local strength reduction area does not occur, (ii) a site having inferior strength or a site prone to elongation other than the HAZ softened area By setting the shape to be provided, and (iii) modifying the structure of the heat affected zone including the HAZ softened zone to increase the elongation to breakage of the zone, the concentration of strain in the area that was the HAZ softened zone is alleviated. knew what could be done.

국소적인 강도 저하부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경우, 예를 들어 스폿 용접 금속(2)의 사이의 HAZ 연화부를 포함하는 영역을 템퍼링하고, HAZ 연화부의 주변의 경도를, HAZ 연화부의 경도와 동일 정도까지 저하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HAZ 연화부에서의 파단은 억제할 수 있지만, 부품 전체로서는 연화부가 커지는 점에서, 부품의 내충돌 성능(굽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 우려된다.In the case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local strength reduction zone, for example, by tempering the area including the HAZ softened zone between the spot weld metal 2, the hardness around the HAZ softened zone is reduced to the same degree as the hardness of the HAZ softened zone. can think of However, in this case, although the fracture|rupture in a HAZ softened part can be suppressed, since a softened part becomes large as a part as a whole, there is a concern that the collision-resistance performance (bending performance) of a part falls.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폿 용접 조인트(1)는, 조인트 강도의 저하를 최저한으로 억제하면서 HAZ 연화부에서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중첩 용접을 행한 제1 강판(11)의, 스폿 용접 금속(2, 2)끼리의 사이, 중첩면(3) 부근을 템퍼링함과 함께, 스폿 용접 금속(2, 2)끼리의 사이의 제1 강판의 표면(중첩면(3)과는 반대측)부근을 ??칭함으로써, 원하는 금속 조직과 평균 비커스 경도를 구비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형성한다.In the spot welded joint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order to prevent cracking in the HAZ softened zone while minimizing the decrease in joint strength, the spot welded metal 2 of the first steel sheet 11 subjected to overlap welding; 2) Tempering the vicinity of the overlapping surface 3 between each other, and quenching the vicinity of the surface (opposite side to the overlapping surface 3) of the first steel sheet between the spot weld metals 2 and 2 . Thereby, the 1st area|region and 2nd area|region provided with the desired metal structure and average Vickers hardness are formed.

<제1 영역><First Area>

[금속 조직이 템퍼링 마르텐사이트를 50면적% 이상 포함하고, 제1 영역의 평균 비커스 경도 HV1과 제1 강판의 평균 비커스 경도 HVbase가, HVbase×0.33+150≤HV1≤HVbase×0.33+230을 충족한다][Metal structure contains 50 area% or more of tempered martensite, and the average Vickers hardness HV1 of the first region and the average Vickers hardness HVbase of the first steel sheet satisfy HVbase×0.33+150≦HV1≦HVbase×0.33+230 ]

본 발명자들의 검토 결과, 평균 비커스 경도 HVbase가 350HV 이상인 경질 마르텐사이트를 포함하는 제1 강판(11)에 스폿을 행하였을 때, 용접의 열영향에 의해 생기는 HAZ 연화부의 경도(비커스 경도)는, (용접 전의 제1 강판(11)의 경도×0.33+150) ~ (용접 전의 제1 강판(11)의 경도×0.33+230) 정도가 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폿 용접 조인트에서는, HAZ 연화부를 포함하는 스폿 용접 금속(2, 2) 사이의 제1 영역을 템퍼링하여 템퍼링 마르텐사이트가 50면적% 이상의 조직으로 하고, 또한 그 비커스 경도가, 하기 식 (1)을 충족하도록 제어한다.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by the present inventors, when a spot is performed on the first steel sheet 11 containing hard martensite having an average Vickers hardness HVbase of 350 HV or more, the hardness (Vickers hardness) of the HAZ softened zone caused by the heat effect of welding is ( The hardness of the first steel sheet 11 before welding x 0.33 + 150) to (hardness of the first steel sheet 11 before welding x 0.33 + 230). Therefore, in the spot weld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region between the spot weld metals 2 and 2 including the HAZ softened portion is tempered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empered martensite is 50 area% or more, and the Vickers hardness is controlled so that the following formula (1) is satisfied.

제1 영역(51)의 평균 비커스 경도(HV1)가 식 (1)을 충족함으로써, HAZ 연화부와 그 주위와의 경도차가 80HV 이하가 된다. 이 경우, HAZ 연화부로의 변형의 집중을 완화할 수 있다.When the average Vickers hardness HV1 of the first region 51 satisfies Formula (1), the hardness difference between the HAZ softened portion and its surroundings becomes 80 HV or less.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lieve the concentration of strain on the HAZ softening part.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4

제1 영역(51)은, 평균 비커스 경도가 식 (1)을 충족하는 것 이외에도, 영역 내에 있어서의 비커스 경도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가 80HV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영역(51)에 있어서의 경도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를 작게 함으로써, 변형의 집중을 더욱 완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영역(51) 내의 경도 분포가 균질하면, 국소적인 변형의 집중을 피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커스 경도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가 50HV 이하이다.As for the 1st area|region 51, it is preferable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value and minimum value of Vickers hardness in an area|region other than that an average Vickers hardness satisfy|fills Formula (1) is 80 HV or less. By reduc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and minimum hardness values in the first region 51 , concentration of strain can be further alleviated. In other words, if the hardness distribution in the first region 51 is homogeneous, local concentration of deformation can be avoided. More preferab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value and minimum value of Vickers hardness is 50 HV or less.

[2개의 스폿 용접 금속의 사이, 또한 제2 강판측의 면으로부터 0.1mm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It is formed between the two spot weld metals and in a range of 0.1 mm from the surface on the side of the second steel plate]

제1 영역(51)은, 제1 강판(11)의 판 두께 단면의, 2개의 스폿 용접 금속(2, 2)의 사이, 또한 제2 강판(12)측의 면으로부터 0.1mm의 범위(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도를 갖는 영역의 판 두께 방향의 두께가 0.1mm 미만이면, 국소적인 강도 저하부인 HAZ 연화부가 잔존하여 충분한 효과를 얻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상기 제1 영역(51)의 경도 및 조직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영역이 제1 영역(51)의 외측에까지 확대되어 있어도 된다. 그 경우, 상기 제1 영역(51)의 경도와 조직을 충족시키는 영역은, 제2 강판측의 면으로부터 제1 강판의 판 두께의 30% 이상의 범위로 확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상기 제1 영역(51)의 경도와 조직을 충족시키는 영역이, 제2 강판측의 면으로부터 제1 강판의 판 두께 90% 초과의 범위에까지 확대되어 있으면, 조인트부 전체의 평균 경도가 저하되고, 굽힘 내력이 저하되는 것이 우려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The first region 51 is in the range (thickness) of the plate thickness cross section of the first steel plate 11 between the two spot weld metals 2 and 2 and 0.1 mm from the surface on the second steel plate 12 side. ) is formed. If the thickness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of the region having the hardness is less than 0.1 mm,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HAZ softened portion, which is a local strength lowering portion, remains, and a sufficient effect may not be obtained. A region satisfying the conditions of hardness and texture of the first region 51 may be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region 51 . In that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gion satisfying the hardness and the structure of the first region 51 extends from the surface on the second steel plate side to 30% or more of the plate thickness of the first steel plate. However, if the region satisfying the hardness and structure of the first region 51 extends from the surface on the second steel plate side to a range exceeding 90% of the plate thickness of the first steel plate, the average hardness of the entire joint portion decreases. This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re is a concern that the bending strength may decrease.

<제2 영역><Second area>

[금속 조직이 경질 마르텐사이트를 50면적% 이상 포함하고, 제2 영역의 평균 비커스 경도 HV2와 제1 강판의 평균 비커스 경도 HVbase가, HVbase-30≤HV2≤HVbase+30을 충족한다][The metal structure contains 50 area% or more of hard martensite, and the average Vickers hardness HV2 of the second region and the average Vickers hardness HVbase of the first steel sheet satisfy HVbase-30≤HV2≤HVbase+30]

제1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폿 용접 조인트(1)에 대하여 면내 인장 응력이 부여된 경우, 2개의 스폿 용접 금속(2, 2) 사이에 HAZ 연화부와 같은 국소적인 강도 저하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변형이 집중되지만, 본 발명자들의 검토의 결과, 특히 제1 강판(11)의 표면(중첩면과는 반대의 면) 부근에 강도 저하부가 존재하면, 변형이 집중되기 쉬운 것을 알 수 있다.When in-plane tensile stress is applied to the spot welded joint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f a local strength-reduced portion such as a HAZ softened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two spot weld metals 2 and 2, the deformation is concentrated However, as a result of studies by the present inventors, it can be seen that, in particular, when the strength-reduced portion exists near the surface (surface opposite to the overlapping surface) of the first steel sheet 11, the strain tends to be concentrated.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폿 용접 조인트(1)에서는, HAZ 연화부를 포함하는 2개의 스폿 용접 금속(2, 2) 사이의 제1 강판(11)의 표면 부근에 대하여, ??칭을 행하고, ??칭한 영역의 경도를, 용접 열영향을 받지 않는 제1 강판(11)의 평균 비커스 경도와 동등하게 한다.Therefore, in the spot weld joint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quenching is per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surface of the first steel sheet 11 between the two spot weld metals 2 and 2 including the HAZ softening part, , The hardness of the quenched region is made equal to the average Vickers hardness of the first steel sheet 11 not affected by welding heat.

구체적으로는, 제2 영역(52)의 평균 비커스 경도 HV2와 제1 강판(11)의 평균 비커스 경도 HVbase가, 하기 식 (2)를 충족하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average Vickers hardness HV2 of the second region 52 and the average Vickers hardness HVbase of the first steel sheet 11 satisfy the following formula (2).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5

제2 영역(52)의 평균 비커스 경도와, 제1 강판(11)의 평균 비커스 경도와의 차가 30 초과이면, 면내 인장 응력 부하 시의 변형의 집중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다.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Vickers hardness of the second region 52 and the average Vickers hardness of the first steel sheet 11 is more than 30, the concentration of strain during in-plane tensile stress load cannot be sufficiently suppressed.

제1 영역(51)이 템퍼링 마르텐사이트를 50면적% 이상 포함하는 템퍼링 조직이며, 제2 영역이 경질 마르텐사이트를 50면적% 이상 포함하는 ??칭 조직인 점에서, 제1 영역(51)의 평균 비커스 경도(HV1)보다 제2 영역(52)의 평균 비커스 경도(HV2)는 크다.Since the first region 51 is a tempered structure containing 50 area% or more of tempered martensite, and the second area is a quenched structure containing 50 area% or more of hard martensite, the average of the first area 51 The average Vickers hardness HV2 of the second region 52 is greater than the Vickers hardness HV1.

[2개의 스폿 용접 금속의 사이, 또한 제2 강판측의 면과는 반대의 면으로부터 0.1mm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It is formed between the two spot weld metals and in a range of 0.1 mm from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the second steel plate side]

제2 영역(52)은, 제1 강판(11)의 판 두께 단면의, 2개의 스폿 용접 금속(2, 2)의 사이, 또한 제2 강판측의 면과는 반대의 면으로부터 0.1mm의 범위(두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도를 갖는 영역의 판 두께 방향의 두께가 0.1mm 미만이면, 국소적인 강도 저하부인 HAZ 연화부가 잔존하여, 충분한 효과를 얻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상기 제2 영역(52)의 경도와 조직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영역이 제2 영역(52)의 외측에까지 확대되어 있어도 된다. 그 경우, 상기 제2 영역(52)의 경도와 조직을 충족시키는 영역은, 제2 강판(12)측의 면과는 반대의 면으로부터 제1 강판의 판 두께 10% 이상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상기 제2 영역(52)의 경도와 조직을 충족시키는 영역이, 제2 강판(12)측의 면으로부터 제1 강판(11)의 70% 초과의 범위에까지 확대되고 있으면, 제2 영역측이 굽힘 외가 되는 인장 굽힘 하중이 부하되었을 때, 파단 신율이 저하되는 것이 우려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The second region 52 is in the range of 0.1 mm from the surface of the plate thickness cross section of the first steel plate 11 between the two spot weld metals 2 and 2 and opposite to the surface on the second steel plate side. (thickness) is formed. If the thickness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of the region having the above hardness is less than 0.1 mm, the HAZ softened portion, which is a local strength lowering portion, remains,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sufficient effect may not be obtained. A region satisfying the conditions of hardness and texture of the second region 52 may be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region 52 . In that case, the region satisfying the hardness and texture of the second region 52 is formed in a range of 10% or more of the thickness of the first steel plate from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the second steel plate 12 side. desirable. However, if the region satisfying the hardness and structure of the second region 52 extends from the surface on the second steel plate 12 side to more than 70% of the first steel plate 11, the second region side When a tensile-bending load other than bending is applied, since there is a concern that the elongation at break will fall, it is not preferable.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폿 용접 조인트(1)에서는, 상기 제1 영역(51) 및 제2 영역(52)은, 2개의 스폿 용접 금속을 포함하는 제1 강판의 판 두께 방향의 모든 단면에 있어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강판에 대하여, 2개의 용접 금속이 포함되도록 판 두께 방향 단면을 관찰한 경우, 모든 단면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영역(51) 및 제2 영역(52)이 관찰된다.In the spot welded joint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region 51 and the second region 52 are all cross sections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rst steel sheet including two spot weld metals, is formed That is, when a cross section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is observ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teel sheet so that two weld metals are included, the first region 51 and the second region 52 are observed in all cross sections.

바꾸어 말하면, 스폿 용접 금속(2)의 중첩면(3)에 있어서의 직경을 D로 하였을 때, 제1 영역(51) 및 제2 영역(52)의 제1 강판(11)의 판 두께 방향 단면에 수직인 방향(도 1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 도 2의 지면 상의 상하 방향)의 폭은, 1.0×D이다. 제1 영역(51)의 폭 방향 외측에까지 제1 영역(51)과 마찬가지의 템퍼링 마르텐사이트의 면적% 및 평균 비커스 경도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금속 조직이 확대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영역(52)의 폭 방향 외측에까지 제2 영역(52)과 마찬가지의 경질 마르텐사이트의 면적% 및 평균 비커스 경도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금속 조직이 확대되어 있어도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diameter of the overlapping surface 3 of the spot weld metal 2 is D, the first region 51 and the second region 52 are cross-sections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rst steel sheet 11 . A wid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in FIG. 1 , an up-down direction on the paper surface in FIG. 2 ) is 1.0×D. The metal structure which satisfies the conditions of the area % of tempered martensite similar to the 1st area|region 51 and average Vickers hardness may be extended to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of the 1st area|region 51. The metal structure which satisfies the conditions of the area % of hard martensite similar to the 2nd area|region 52 and average Vickers hardness may be extended to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of the 2nd area|region 52.

자동차의 충돌이 생긴 경우, 면내 인장 응력의 방향은, 스폿 용접 금속(2, 2)사이를 연결하는 방향(스폿 용접 금속(2, 2)의 중심끼리를 연결하는 방향)에 대하여 반드시 평행하지는 않다. 즉, 일정한 각도를 갖는(경사 방향으로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다. 제1 영역(51) 및 제2 영역(52)의 폭이 1.0×D 있으면, 면내 인장 응력의 부가 방향이 스폿 용접 금속(2, 2) 사이를 연결하는 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가 된 경우(경사 방향으로 응력이 가해진 경우)라도, 변형이 집중될 수 있는 HAZ 연화부로의 변형 집중이 억제된다. 그 결과, HAZ 연화부에서의 파단이 더 억제된다.In the case of an automobile collision, the direction of the in-plane tensile stress is not necessarily parallel to the direction connecting the spot weld metals 2 and 2 (the direction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spot weld metals 2 and 2). . That is, there are cases where it has a constant angle (stress is applied in the oblique direction). If the width of the first region 51 and the second region 52 is 1.0 × D, when the direction of application of the in-plane tensile stress becomes a constant angle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direction between the spot weld metals 2 and 2 (inclination) direction), strain concentration to the HAZ softened portion where strain can be concentrated is suppressed. As a result, fracture in the HAZ softened portion is further suppressed.

한편, 제1 영역(51), 제2 영역(52)의 폭이 1.0×D 미만이면, 면내 인장 응력의 방향이, 스폿 용접 금속(2, 2) 사이를 연결하는 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갖는(경사 방향으로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충분한 효과를 얻지 못하는 것이 우려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width of the first region 51 and the second region 52 is less than 1.0×D, the direction of the in-plane tensile stress has a constant angl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connecting between the spot weld metals 2 and 2 . In the case (stress is applied in the oblique direction), there is a concern that a sufficient effect cannot be obtained.

제1 강판(11)의 평균 경도는, 하중을 1.0kgf로 한 비커스 경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The average hardness of the first steel sheet 11 is measured using a Vickers hardness tester with a load of 1.0 kgf.

경질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포함하는 강판으로는, 용접 열영향을 받은 부분의 경도는, 용접 전의 경도보다 낮아진다. 이 때문에, 제1 강판(11)의 경도는, 제1 강판(11)의 용접에 의한 열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의 경도를 측정하고, 그의 평균값을 사용한다. 용접에 의한 열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로서, 예를 들어 스폿 용접 금속(2)으로부터, 다른 용접 금속이 없는 방향으로 15mm 이상 이격된 위치의 경도를 측정하면 된다.In the steel sheet containing the hard martensitic structure, the hardness of the portion affected by the welding heat becomes lower than the hardness before welding. For this reason, the hardness of the 1st steel plate 11 measures the hardness of the position which is not affected by the heat by welding of the 1st steel plate 11, and the average value is used.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measure the hardness of the position spaced apart by 15 mm or more from the spot weld metal 2 in the direction where there is no other weld metal as a position which is not affected by the heat by welding, for example.

구체적으로는, 비커스 경도계를 사용하여, 하중을 1.0kgf로 하여, 용접에 의한 열영향을 받지 않는 10개소의, 제1 강판(11)의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8의 위치, 3/8의 위치, 5/8의 위치, 7/8의 위치 경도를 측정하고, 그의 평균값을 사용한다.Specifically, using a Vickers hardness tester, the load was set to 1.0 kgf, and the position of 1/8 of the sheet thickness from the surface of the first steel sheet 11 at 10 locations not affected by heat by welding, 3/8 Measure the position of , position of 5/8, position of 7/8, and use its average value.

제1 영역(51) 및 제2 영역(52)의 제1 강판(11)의 표면으로부터의 두께 및 그것들의 평균 비커스 경도에 대해서는, 하중 100gf로 한 비커스 경도계를 사용하여, 제1 강판의 판 두께 방향 단면에 대하여, 연마와 비커스 경도의 측정을 반복하고, 스폿 용접 금속(2, 2)에 끼워지는 범위의 비커스 경도 분포를 얻는다. 이 분포에 기초하여, 제1 영역(51) 및 제2 영역(52)의 두께 및 그것들의 평균 비커스 경도를 산출한다.About the thickness from the surface of the 1st steel plate 11 of the 1st area|region 51 and the 2nd area|region 52, and their average Vickers hardness, using the Vickers hardness tester set to the load of 100 gf, the plate|board thickness of the 1st steel plat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al cross section, grinding and measurement of Vickers hardness are repeated to obtain a distribution of Vickers hardness in a range sandwiched between spot weld metals 2 and 2 . Based on this distribution, the thickness of the 1st area|region 51 and the 2nd area|region 52 and their average Vickers hardness are computed.

비커스 경도의 분포는,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한다.Distribution of Vickers hardness is specifically measured with the following method.

먼저, 2개의 스폿 용접 금속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1 강판(11)의 판 두께 방향 단면(도 2에 도시하는 A-A 단면)이 측정면으로 되도록 샘플을 채취한다.First, a sample is taken so that the cross sec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rst steel sheet 11 passing through the centers of the two spot weld metals (the cross section A-A shown in Fig. 2) becomes the measurement surface.

이 측정면에 대하여, 제1 강판(11)의 판 두께 방향에는, 제1 강판(11)의 표면 및 중첩면으로부터 각각 0.1mm의 위치 및 그 사이를 5등분한 위치에 대하여 비커스 경도의 측정을 행한다. 이 측정을, 폭 방향(스폿 용접 금속(2)과 다른 한쪽의 스폿 용접 금속(2)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0.5mm 간격으로 반복하여 행한다.With respect to this measurement surface,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rst steel plate 11, the Vickers hardness was measured at a position of 0.1 mm from the surface and the overlapping surface of the first steel plate 11, respectively, and a position divided into 5 parts therebetween. do This measurement is repeatedly performed at 0.5 mm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the direction connecting the spot weld metal 2 and the other spot weld metal 2).

그 후, 샘플을 0.5mm 연마하고, 현출된 단면(도 2에 도시하는 B-B 단면)에 대하여, 상기와 마찬가지의 비커스 경도 측정을 행한다.Then, the sample is grind|polished by 0.5 mm, and Vickers hardness measurement similar to the above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protruding cross section (B-B cross section shown in FIG. 2).

또한, 단면에 스폿 용접 금속(2)이 포함되지 않게 될 때까지 연마 및 비커스 경도의 측정을 행하고, 스폿 용접 금속(2, 2)사이에 있어서의 제1 강판(11)의 비커스 경도 분포를 얻는다. 경도는 반대측의 단면도 동등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절반의 단면에 대하여 측정을 행하면 된다.Further, grinding and measuring the Vickers hardness are performed until the spot weld metal 2 is not included in the cross section, and the Vickers hardness distribution of the first steel sheet 11 between the spot weld metals 2 and 2 is obtained. . Since it is considered that the hardness is equivalent to the cross section on the opposite side, it is sufficient to measure the half cross section as described above.

용접에 제공되는 제1 강판(11)이 경질 마르텐사이트를 포함하는지 여부는, 제1 강판(11)의 용접에 의한 열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의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8의 위치, 3/8의 위치, 5/8의 위치, 7/8의 위치의 각 5개소로부터 채취한 샘플에 대하여, 레페라 부식액을 사용하여 에칭 처리하고, 광학 현미경에 의해 1000배의 배율로 100㎛ 사방의 시야를 관찰하여 판단하면 된다. 관찰 시야 내에서, 백색 내지 적갈색으로 보이는 것이 마르텐사이트이며, 마르텐사이트 중, 탄화물이 포함되어 있는 마르텐사이트를 경질 마르텐사이트, 탄화물이 포함되지 않은 마르텐사이트를 템퍼링 마르텐사이트라고 판단한다.Whether the first steel sheet 11 provided for welding contains hard martensite is determined by a position of 1/8 of the plate thickness from the surface of a position not affected by heat by welding of the first steel sheet 11, 3/ With respect to the samples taken from each of the 5 locations at the position of 8, 5/8, and 7/8, etching treatment was performed using Repera etchant, and an optical microscope at a magnification of 1000 times and a field of view of 100 µm in all directions can be observed and judged. In the observation field, what appears white to reddish-brown is martensite, and among martensite, martensite containing carbide is judged to be hard martensite, and martensite not containing carbide is judged to be tempered martensite.

또한, 제1 영역(51)의 템퍼링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률 및 제2 영역(52)의 경질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률은, 상술한 비커스 경도의 측정면과 동일한 면에 있어서, 대상으로 되는 영역(제1 영역이면 식 (1)을 충족시키는 영역, 제2 영역이면 식 (2)를 충족시키는 영역)에 대하여, 5개소로부터 채취한 샘플에 대하여, 레페라 부식액을 사용하여 에칭 처리하고, 광학 현미경에 의해 1000배의 배율로 100㎛ 사방의 시야를 관찰하고, 관찰 시야 내에서, 백색 내지 적갈색으로 보이는 것이 마르텐사이트인 것으로 하여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률을 측정한다. 관찰한 시야의 마르텐사이트 면적률을 평균함으로써, 제1 영역(51) 및 제2 영역(52)의 마르텐사이트 면적률이 얻어진다. 그 후, 동일한 샘플을 이용하여, 피크럴을 이용하여 에칭 처리하고, 광학 현미경에 의해 1000배의 배율로 100㎛ 사방의 시야를 관찰하고, 관찰 시야 내에서, 탄화물이 포함되어 있는 마르텐사이트를 경질 마르텐사이트, 탄화물이 포함되지 않은 마르텐사이트를 템퍼링 마르텐사이트로 하여, 마르텐사이트 중 템퍼링 마르텐사이트 및 경질 마르텐사이트의 각각의 비율을 구한다.In addition, the area ratio of tempered martensite in the first region 51 and the area ratio of hard martensite in the second region 52 are the same as the above-mentioned Vickers hardness measurement surface. Samples taken from 5 locations were etched using Repera etchant for 1 area, an area that satisfies Equation (1), and if it was a 2nd area, an area that satisfies Equation (2)) A field of view of 100 µm square is observed at a magnification of 1000 times, and the area ratio of martensite is measured assuming that it is martensite that appears white to reddish-brown in the observation field. By averaging the martensite area ratios of the observed visual fields, the martensite area ratios of the first region 51 and the second region 52 are obtained. After that, using the same sample, etching treatment using a picral is performed, a 100 µm square field of view is observed with an optical microscope at a magnification of 1000 times, and martensite containing carbide is hardened within the observation field. Martensite and martensite containing no carbide are used as tempered martensite, and the respective ratios of tempered martensite and hard martensite among martensite are obtained.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폿 용접에 의해 용접 금속이 형성된 스폿 용접 조인트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스폿 용접은, 점용접이라고도 불리며, 중첩된 2매의 강판을 점으로 연결하는 용접이다. 스폿 용접의 수단으로서는, 아크 스폿 용접, 저항 스폿 용접, 레이저 스폿 용접을 들 수 있다. 이에 대해, 선상으로 행해지는 용접을 연속 용접이라고 한다. 연속 용접의 수단으로서는, 아크 용접, 레이저 용접, 심 용접 등을 들 수 있다. 점용접은, 연속 용접에 비하여, 용접 면적이 적기 때문에, 시공 시간이 단시간이며, 또한 전력 절약이다. 즉, 점용접은 생산성이 우수하다.In this embodiment, the spot welded joint in which the weld metal was formed by spot welding is made into object. Spot welding, also called spot welding, is welding that connects two overlapping steel sheets by a point. As a means of spot welding, arc spot welding, resistance spot welding, and laser spot welding are mentioned. On the other hand, welding performed linearly is called continuous welding. Arc welding, laser welding, seam welding, etc. are mentioned as a means of continuous welding. Compared with continuous welding, spot welding has a smaller welding area, so construction time is short and power is saved. That is, spot welding is excellent in productivity.

상기에서는, 스폿 용접 금속(2)이 저항 스폿 용접의 너깃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폿 용접 조인트(1)는 스폿 용접 금속(2)이 저항 스폿 용접의 너깃인 저항 스폿 용접 조인트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폿 용접 금속(2)이 레이저 스폿 용접에 의해 형성되어도 되고, 스폿 용접 금속(2)이 아크 스폿 용접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In the above, the case where the spot weld metal 2 is a nugget for resistance spot welding has been described. However, in the spot weld joint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pot weld metal 2 is a nugget for resistance spot welding. It is not limited to joints. For example, the spot weld metal 2 may be formed by laser spot welding, and the spot weld metal 2 may be formed by arc spot welding.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폿 용접 조인트(1)에서는, 예를 들어 제1 강판(11)이 해트 부재이며, 제2 강판(12)이 클로징 플레이트이며, 2개의 스폿 용접 금속(2)은, 해트 부재의 플랜지부와 클로징 플레이트와의 중첩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이면, 구조 부재로서의 강도 및 내충돌 성능의 향상에 특히 유효하게 작용한다.In the spot welded joint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or example, the first steel plate 11 is a hat member, the second steel plate 12 is a closing plate, and the two spot weld metals 2 are, for example, a hat member. It is preferably formed in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and the closing plate of the. With such a structure, it acts especially effectively for the improvement of the intensity|strength as a structural member, and anti-collision performance.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폿 용접 조인트(1)는, 2개의 스폿 용접 금속(2)을 갖고, 2개의 스폿 용접 금속(2, 2)끼리의 사이의 영역이 상기 관계를 충족하고 있으면, 그 효과는 얻어진다. 자동차 골격 부품 등에 적용되는 경우, 복수의 (2 또는 그 이상의) 스폿 용접 금속이 형성된다. 2를 초과하는 스폿 용접 금속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대상으로 하는 2개의 스폿 용접 금속의 사이의 영역이 상기 관계를 갖고 있으면, 그 영역에 대해서는 효과가 얻어진다. 2를 초과하는 스폿 용접 금속을 갖는 경우에는, 특히 면내 인장 응력이 걸리는 것이 상정되는 부위에 있어서, 2개의 스폿 용접 금속(2) 끼리의 사이가 상기 관계를 충족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든 스폿 용접 금속(2) 사이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경도의 관계를 충족하면, 고강도 강판의 면내의 어느 방향과 장소에 인장 응력이 부하되어도 HAZ 연화부에서의 파단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더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pot weld joint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wo spot weld metals 2, and if the region between the two spot weld metals 2 and 2 satisfies the above relationship, the The effect is obtained. When applied to automobile frame parts and the like, a plurality of (two or more) spot weld metals are formed. Even when more than 2 spot weld metals are formed, if the area between the target two spot weld metals has the above relationship, an effect is obtained for that area. In the case of having more than 2 spot weld metals, it is preferable to control so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pot weld metals 2 is satisfied, particularly in a region where in-plane tensile stress is expected to be applied. Among all the spot weld metals 2, if the relationship of hardness as described above is satisfied, even if a tensile stress is applied in any direction and place in the plane of the high-strength steel sheet, fracture in the HAZ softening zone can be suppressed, so it is more preferable.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폿 용접 조인트(1)는, A 필러나 사이드 실 또는 B 필러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 필러에서는, 해트 부재의 플랜지부에 있어서, 클로징 플레이트와, 스폿 용접 금속에 의해 접합된다. B 필러의 스폿 용접 금속간에 있어서, 상기 관계를 충족하면, 자동차의 충돌 시에 플랜지부에 면내 인장 응력이 부하된 경우라도, HAZ 연화부였던 부위에서의 파단을 억제할 수 있다.The spot welded joint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an A pillar, a side seal, a B pillar, or the like. For example, in the B-pillar, in the flange portion of the hat member, it is joined to the closing plate by a spot weld metal. B-pillar spot weld metal WHEREIN: If the above relationship is satisfied, even when an in-plane tensile stress is applied to the flange part at the time of a collision of a motor vehicle, fracture|rupture at the site|part which used to be a HAZ softened part can be suppressed.

제1 강판(11) 및/또는 제2 강판(12)은, 도금 강판이어도 된다. 이 경우 내식성이 향상된다. 도금 강판으로서는, 예를 들어 용융 아연 도금 강판,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 전기 아연 도금 강판, 알루미늄 도금 강판 등이 예시된다.A plated steel plate may be sufficient as the 1st steel plate 11 and/or the 2nd steel plate 12. In this case, corrosion resistance is improved. Examples of the coated steel sheet include a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an alloyed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an electrogalvanized steel sheet, and an aluminum-coated steel sheet.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폿 용접 조인트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pot welded joint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폿 용접 조인트는,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폿 용접 조인트의 제조 방법은,The spot welded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manufactured by a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the following steps. That i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pot welded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 평균 비커스 경도 HVbase가 350HV 이상인, 경질 마르텐사이트를 포함하는 제1 강판과, 제2 강판을 중첩하고,(I) the average Vickers hardness HVbase is 350HV or more, the first steel sheet containing hard martensite and the second steel sheet are overlapped,

(II) 중첩된 상기 제1 강판과 상기 제2 강판을 접합하는 복수의 스폿 용접 금속을 형성하고,(II) forming a plurality of spot weld metals for joining the overlapping first and second steel plates;

(III) 상기 제1 강판의, 상기 2개의 스폿 용접 금속끼리의 사이 또한 제2 강판측의 면으로부터 0.1mm의 범위에 템퍼링을 행함과 동시에, 상기 2개의 스폿 용접 금속의 사이 또한 상기 제2 강판측의 면과는 반대의 면으로부터 0.1mm의 범위에 ??칭을 행하는(III) Tempering is performed in a range of 0.1 mm between the two spot weld metals and the surface on the second steel sheet side of the first steel sheet, and between the two spot weld metals and the second steel sheet Quenching is performed in a range of 0.1 mm from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ide surface.

공정을 갖는다.have a process

평균 비커스 경도 HVbase가 350HV 이상인, 경질 마르텐사이트를 포함하는 제1 강판(11)과, 제2 강판(12)은, 각각 공지된 강판을 사용할 수 있다.A well-known steel plate can be used for the 1st steel plate 11 and the 2nd steel plate 12 containing hard martensite which average Vickers hardness HVbase is 350 HV or more, respectively.

이들의 강판을 중첩하여 스폿 용접을 행하고, 스폿 용접 금속을 형성하여 용접 조인트로 한다. 스폿 용접 조건은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조건으로 하면 된다.These steel plates are overlapped and spot welded, a spot weld metal is formed, and it is set as a weld joint. Spot welding conditions are not limited,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set it as normal conditions.

스폿 용접 후, 레이저 조사에 의해 제1 강판의 일부에 ??칭을 행함과 함께 일부에 템퍼링을 행하고,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형성한다.After spot welding, a part of the first steel sheet is quenched and tempered by laser irradiation to form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칭을 행하는 경우에는, 대상으로 하는 영역의 온도를 Ac1℃ 초과로 높일 필요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Ac1+30℃ 이상이다. 단, ??칭 영역의 온도를 너무 높게 하면, 열전도에 의해, 템퍼링을 행할 필요가 있는 영역도 또한 ??칭 영역이 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판 두께에 따른 입열 컨트롤이 필요하다.In the case of quenching,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target region to more than Ac1°C. Preferably it is Ac1+30 degreeC or more. However, if the temperature of the quenching region is too high, the region that needs to be tempered due to heat conduction also becomes a quenching region. Therefore, heat input control according to plate|board thickness is required.

한편, 템퍼링을 행하는 경우에는, 대상으로 하는 영역의 온도를 Ac1℃ 미만의 온도로 가열할 필요가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열된 영역은, 템퍼링 마르텐사이트로 되고, Ac1℃까지는 온도 상승에 따라 경도가 감소한다. 한편, 가열 온도가 Ac1℃를 초과하면, 조직이 오스테나이트로 변태한다. 이 오스테나이트는, 냉각 시에 다시 경질 마르텐사이트로 변태하므로, Ac1℃ 초과로 가열된 부위에서는, 높은 경도를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when performing tempering, it is necessary to heat the temperature of the area|region made into object to the temperature of less than Ac1 degreeC. As shown in Fig. 3, the heated region becomes tempered martensite, and the hardness decreases as the temperature rises up to Ac1°C. On the other hand, when the heating temperature exceeds Ac1°C, the structure transforms into austenite. Since this austenite transforms back into hard martensite upon cooling, it shows high hardness in the site|part heated to more than Ac1 degreeC.

이것을 이용하여, 제1 강판의 표면(제2 강판과는 반대인 면)측으로부터 레이저 조사를 행하고, 제1 강판의 표면 부근의 온도를 Ac1℃ 초과가 되도록 가열하고, 그 반대의 면 부근의 온도를 Ac1℃ 이하로 되도록 가열하면, 소정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Using this, laser irradiation is performed from the surface (surface opposite to the second steel sheet) side of the first steel sheet, and the temperature near the surface of the first steel sheet is heated so as to exceed Ac1°C, and the temperature near the opposite side of the steel sheet By heating to Ac1°C or lower, a predetermined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can be formed.

상기와 같은 가열을 행하는 경우, 판 두께 방향으로 경도 분포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극 표층에만 입열시키고, 깊이 방향에는 열전도에 의해 열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또한, 목적의 영역 외까지 가열하면 목적의 영역에서의 방열이 불충분해져 템퍼링 조직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When heating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provide hardness distribution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it is necessary to input heat only to the pole surface layer and to provide heat by heat conduction in the depth direction. Moreover, when heating to the outside of the target area|region, heat radiation in the target area|region becomes inadequate, and a tempering structure|tissue may not be obtained.

예를 들어, 고주파 유도 가열에서는, 일정한 깊이까지 입열되어 버리므로, 바람직한 경도 분포가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가스 가열이나 아크 가열에서는, 특정한 영역만을 겨냥하여 가열하는 것이 곤란하다.For example, in high-frequency induction heating, since heat is input to a certain depth, a preferable hardness distribution cannot be obtained. Moreover, in gas heating or arc heating, it is difficult to aim and heat only a specific area|region.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폿 용접 조인트의 제조 방법에서는, 레이저 빔의 조사에 의해 가열을 행한다. 용접 금속간 전체를 가열하기 위해, 용접 금속 직경 이상의 빔 폭을 갖는 레이저 빔을 일정한 속도로 이동시키면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pot welded joint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heating is performed by irradiation of a laser beam. In order to heat the entire intermetallic weld, it is preferable to heat while moving a laser beam having a beam width equal to or larger than the weld metal diameter at a constant speed.

레이저의 조사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제1 강판의 판 두께, 얻고자 하는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의 두께 등에 의해 결정하면 되지만, 예를 들어 이하의 조건이 예시된다.The laser irradiation condition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steel sheet, the thickness of the first region or the second region to be obtained, etc., for example,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exemplified.

예시되는 조건Illustrative conditions

ㆍ발진기의 종류: 반도체 레이저ㆍType of oscillator: semiconductor laser

ㆍ출력: 500 내지 3000WㆍOutput: 500 to 3000W

ㆍ빔 형상: 조사면에 있어서, 폭 방향: 4 내지 10mm, 진행 방향: 0.5 내지 3mm의 직사각형ㆍBeam shape: in the irradiation surface, the width direction: 4 to 10 mm, the traveling direction: a rectangle of 0.5 to 3 mm

ㆍ레이저 이동 속도: 50 내지 500㎝/minㆍLaser movement speed: 50 to 500 cm/min

이러한 레이저 조사에 의해, 제1 강판의, 2개의 스폿 용접 금속끼리의 사이 또한 제2 강판측의 면으로부터 0.1mm의 범위에 템퍼링을 행함과 동시에, 상기 2개의 스폿 용접 금속의 사이 또한 상기 제2 강판측의 면과는 반대의 면으로부터 0.1mm의 범위에 ??칭을 행할 수 있다.By such laser irradiation, tempering is performed within a range of 0.1 mm between the two spot weld metals of the first steel sheet and from the surface on the second steel sheet side, and between the two spot weld metals and the second Quenching can be performed in a range of 0.1 mm from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the steel plate side.

실시예Example

이하에, 본 개시를 도면 및 표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일례이며, 본 개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by way of examples with reference to drawings and tables. These Examples are examples for confirming the eff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do not limit the present disclosure.

먼저, 판 두께 2.0mm의 강판을 950℃의 노((爐)에 5분 유지한 후, 수랭 금형에 의해 핫 스탬프함으로써 ??칭 처리를 하였다. ??칭 후에는, 쇼트 블라스트를 사용하여 강판 표면의 산화 스케일을 제거하였다. 사용한 강판의 ??칭 후의 비커스 경도는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또한, 이 강판은, 경질 마르텐사이트를 포함하는 조직을 갖고 있었다.First, a steel sheet having a thickness of 2.0 mm was held in a furnace at 950° C. for 5 minutes, and then quenched by hot stamping with a water-cooled die. After quenching, the steel sheet using shot blasting The oxide scale on the surface was removed.The Vickers hardness after quenching of the used steel plate was as shown in Table 1. In addition, this steel plate had the structure|tissue containing hard martensite.

다음에, 상기 강판으로부터,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표점간 거리가 50mm, 평행부 폭 25mm인 인장 시험편을 채취하였다. 또한, 동 강판으로부터 한 변이 25mm인 정사각형의 탭판을 채취하였다.Next, from the steel sheet, a tensile test piece having a distance between gages of 50 mm and a width of 25 mm in parallel portions as shown in FIG. 4 was taken. Further, a square tab plate having a side of 25 mm was taken from the copper steel plate.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채취한 인장 시험편의 평행부에 탭판을 얹고, 각 탭판 중앙부에 대하여, 단상 교류 스포트 용접기를 사용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에서 저항 스폿 용접을 행하였다.As shown in Fig. 4, a tab plate was placed on a parallel portion of the taken tensile test piece, and resistance spot welding was performed on the central portion of each tab plate using a single-phase AC spot welding machine under the conditions shown below.

전극: DR형 전극(선단φ6mm R40)Electrode: DR-type electrode (tip φ6mm R40)

가압력: 400kgfPressing force: 400kgf

통전 시간: 24cycenergization time: 24cyc

저항 스폿 용접에 의해, 인장 시험편과 탭판의 사이에는, 너깃 직경이 4×√t(t: 인장 시험편의 판 두께(mm))인 용접 금속이 2개소 형성되었다.By resistance spot welding, between the tensile test piece and the tab plate, two weld metals having a nugget diameter of 4x√t (t: plate thickness (mm) of the tensile test piece) were formed.

스폿 용접 후의 시험체(조인트 No.1 내지 5, 11, 12)에 대하여, 인장 시험 편측으로부터 레이저를 조사하고, 평행부의 폭 방향 중앙부가 빔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긴 변 방향에 대해서는 평행부 전체에 걸쳐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조인트 No.6 내지 10에 대해서는 레이저 조사를 행하지 않았다.A laser is irradiated from one side of the tensile test to the specimen (joint Nos. 1 to 5, 11, and 12) after spot welding, and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parallel portion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the beam over the entire parallel portion in the long side direction.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Laser irradiation was not performed on joints Nos. 6 to 10.

조인트 No.1 내지 5로의 레이저 조사 조건은 이하와 같이 하였다.The laser irradiation conditions to joint Nos. 1 to 5 were as follows.

ㆍ발진기의 종류: 반도체 레이저ㆍType of oscillator: semiconductor laser

ㆍ출력: 1200WㆍOutput: 1200W

ㆍ빔 형상: 조사면에 있어서, 폭 방향: 8mm, 진행 방향: 1mm의 직사각형ㆍBeam shape: In the irradiation surface, the width direction: 8 mm, the traveling direction: a rectangle of 1 mm

ㆍ레이저 이동 속도: 250㎝/minㆍLaser movement speed: 250cm/min

또한, 조인트 No.11에 대한 레이저 조사 조건은 이하와 같이 하였다.In addition, the laser irradiation conditions with respect to joint No. 11 were carried out as follows.

ㆍ발진기의 종류: 반도체 레이저ㆍType of oscillator: semiconductor laser

ㆍ출력: 700WㆍOutput: 700W

ㆍ빔 형상: 조사면에 있어서, 폭 방향: 8mm, 진행 방향: 1mm의 직사각형ㆍBeam shape: In the irradiation surface, the width direction: 8 mm, the traveling direction: a rectangle of 1 mm

ㆍ레이저 이동 속도: 130㎝/minㆍLaser movement speed: 130cm/min

또한, 조인트 No.12에 대한 레이저 조사 조건은 이하와 같이 하였다.In addition, the laser irradiation conditions with respect to joint No. 12 were carried out as follows.

ㆍ발진기의 종류: 반도체 레이저ㆍType of oscillator: semiconductor laser

ㆍ출력: 750WㆍOutput: 750W

ㆍ빔 형상: 조사면에 있어서, 폭 방향: 8mm, 진행 방향: 1mm의 직사각형ㆍBeam shape: In the irradiation surface, the width direction: 8 mm, the traveling direction: a rectangle of 1 mm

ㆍ레이저 이동 속도: 80㎝/minㆍLaser movement speed: 80cm/min

그 후, 소정의 크기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형성되어 있었는지 여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평균 비커스 경도, 및 템퍼링 마르텐사이트 또는 경질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률을 상술한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측정면은, 시험체의 폭 방향 중앙의 두께 방향 단면으로 하였다.Then, whether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of a predetermined size have been formed, if they are formed, the average Vickers hardness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nd the area ratio of tempered martensite or hard martensite It was investigated by the method described above. The measurement surface was made into the thickness direction cross section at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test body.

또한, 각 시험체에 대하여 인장 시험을 실시해(면내 인장 응력을 부하해), 파단 위치를 조사하였다. 인장 시험 시의 인장 속도는 10mm/min으로 하였다.Moreover, a tensile test was performed about each test piece (in-plane tensile stress was applied), and the fracture|rupture position was investigated. The tensile speed at the time of the tensile test was 10 mm/min.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A result is shown in Table 1.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6

조인트 No.1 내지 5(본 발명예)에서는, 중첩면으로부터 0.1mm의 범위(제1 영역)가 템퍼링되고, 식 (1)을 충족하고 있으며, 또한 표면으로부터 0.1mm의 범위(제2 영역)는 ??칭되어, 식 (2)를 충족하고 있었다. 그 결과, HAZ 연화부에서의 균열이 보이지 않았다.In joints Nos. 1 to 5 (invention example), a range of 0.1 mm from the overlapping surface (first area) is tempered, the formula (1) is satisfied, and a range of 0.1 mm from the surface (second area) was named, and Equation (2) was satisfied. As a result, no cracks were observed in the HAZ softened portion.

한편, 조인트 No.6 내지 10(비교예)은 레이저 조사를 행하지 않은 것으로, 조인트 No.1 내지 5의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에 대응하는 범위에 있어서, 식 (1), 식 (2)를 충족하지 않았다. 그 결과, 인장 시험에 있어서, HAZ 연화부에서의 균열이 되었다.On the other hand, joints Nos. 6 to 10 (comparative examples) were not irradiated with laser, and in a ran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or second areas of joints Nos. 1 to 5, formulas (1) and (2) did not meet As a result, in the tensile test, it became a crack in the HAZ softened part.

조인트 No.11 내지 12(비교예)은 레이저 조사를 행하였지만, 레이저 조사 조건이 바람직하지 않았다. 그 결과, 비교예 11은 입열 부족에 의해 제1 영역에서 HAZ 연화부가 명료하게 잔존하고 있고, HAZ 연화부에서의 파단이 되었다. 비교예 12도 또한 입열 부족이며, 제2 영역은 식 (2)를 충족하도록 ??칭되었지만, 제1 영역에서는 템퍼링 부족이 되고, 제1 영역에 있어서 식 (1)을 충족하지 않고, 또한 상기 제1 영역에 있어서의 비커스 경도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가 80 이상이 되었다. 그 결과, 인장 시험에 있어서, HAZ 연화부에서의 균열이 되었다.The joints Nos. 11 to 12 (comparative examples) were irradiated with laser, but laser irradiation conditions were unfavorable. As a result, in Comparative Example 11, the HAZ softened portion clearly remained in the first region due to insufficient heat input, and the HAZ softened portion was fractured. Comparative Example 12 also lacks heat input, and the second region is quenched to satisfy the formula (2), but in the first region, the tempering is insufficient, and the first region does not satisfy the formula (1), and the abov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of Vickers hardness in a 1st area|region became 80 or more. As a result, in the tensile test, it became a crack in the HAZ softened part.

1: 스폿 용접 조인트
2: 스폿 용접 금속
3: 중첩면
11: 제1 강판
12: 제2 강판
51: 제1 영역
52: 제2 영역
1: spot weld joint
2: spot weld metal
3: Overlapping face
11: first steel plate
12: second steel plate
51: first area
52: second area

Claims (4)

평균 비커스 경도 HVbase가 350HV 이상인, 경질 마르텐사이트를 포함하는 제1 강판과,
상기 제1 강판에 겹쳐진 제2 강판과,
상기 제1 강판과 상기 제2 강판을 접합하고 있는 2개의 스폿 용접 금속
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스폿 용접 금속을 포함하는 상기 제1 강판의 판 두께 방향의 모든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1 강판이,
상기 2개의 스폿 용접 금속의 사이, 또한 상기 제2 강판측의 면으로부터 상기 제1 강판의 판 두께 방향으로 0.1mm의 범위에 형성된 제1 영역과,
상기 2개의 스폿 용접 금속의 사이, 또한 상기 제2 강판측의 면과는 반대의 면으로부터 상기 판 두께 방향으로 0.1mm의 범위에 형성된 제2 영역을 갖고,
상기 제1 영역의 금속 조직이 템퍼링 마르텐사이트를 50면적% 이상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의 평균 비커스 경도 HV1과 상기 제1 강판의 평균 비커스 경도 HVbase가, 하기 식 (1)을 충족하고,
상기 제2 영역의 금속 조직이 경질 마르텐사이트를 50면적% 이상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의 평균 비커스 경도 HV2와 상기 제1 강판의 평균 비커스 경도 HVbase가, 하기 식 (2)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 조인트.
Figure pct00007
An average Vickers hardness HVbase of 350HV or more, a first steel sheet containing hard martensite,
a second steel plate superimposed on the first steel plate;
Two spot weld metals joining the first steel plate and the second steel plate
including,
In all cross-sections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rst steel sheet including the two spot weld metals,
The first steel plate,
a first region formed between the two spot weld metals and in a range of 0.1 mm from the surface on the side of the second steel plate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rst steel plate;
a second region formed between the two spot weld metals and in a range of 0.1 mm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from a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the second steel plate side;
The metal structure of the first region contains 50 area% or more of tempered martensite, and the average Vickers hardness HV1 of the first region and the average Vickers hardness HVbase of the first steel sheet satisfy the following formula (1),
The metal structure of the second region contains 50 area% or more of hard martensite, and the average Vickers hardness HV2 of the second region and the average Vickers hardness HVbase of the first steel sheet satisfy the following formula (2),
Spot weld joint, characterized in that.
Figure pct0000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있어서의 비커스 경도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가 80HV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 조인트.The spot welded joi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of Vickers hardness in the first region is 80 HV or les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판 두께 방향의 두께가, 상기 제1 강판의 판 두께의 30 내지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 조인트.
The thickness of the first region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is 30 to 70% of the plate thickness of the first steel plate according to claim 1 or 2,
Spot weld joint, characterized in that.
평균 비커스 경도 HVbase가 350HV 이상인, 경질 마르텐사이트를 포함하는 제1 강판과, 제2 강판을 중첩하고,
중첩된 상기 제1 강판과 상기 제2 강판을 접합하는 2개의 스폿 용접 금속을 형성하고,
레이저 조사에 의해, 상기 제1 강판의, 상기 2개의 스폿 용접 금속끼리의 사이 또한 제2 강판측의 면으로부터 0.1mm의 범위에 템퍼링을 행함과 동시에, 상기 2개의 스폿 용접 금속의 사이 또한 상기 제2 강판측의 면과는 반대의 면으로부터 0.1mm의 범위에 ??칭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 조인트의 제조 방법.
The average Vickers hardness HVbase is 350HV or more, the first steel sheet containing hard martensite and the second steel sheet are overlapped,
Forming two spot weld metals for joining the overlapping first and second steel plates,
By laser irradiation, tempering is performed within a range of 0.1 mm between the two spot weld metals and the surface on the second steel plate side of the first steel sheet, and between the two spot weld metals and the second steel sheet. 2 Quenching is performed in a range of 0.1 mm from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the steel plate s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pot welded joint, characterized in that.
KR1020217037230A 2019-05-24 2020-05-22 Spot welded joi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pot welded joint KR10255669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97703 2019-05-24
JP2019097703 2019-05-24
PCT/JP2020/020309 WO2020241500A1 (en) 2019-05-24 2020-05-22 Spot welded joi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pot welded joi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563A true KR20210150563A (en) 2021-12-10
KR102556695B1 KR102556695B1 (en) 2023-07-18

Family

ID=73552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7230A KR102556695B1 (en) 2019-05-24 2020-05-22 Spot welded joi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pot welded joint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85523B2 (en)
KR (1) KR102556695B1 (en)
CN (1) CN114007796B (en)
WO (1) WO202024150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3097A1 (en) * 2021-10-12 2023-04-2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Resistance spot welding joint and resistance spot welding method for sam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2905A (en) 2004-11-17 2006-06-08 Nissan Motor Co Ltd Energy absorbing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0059451A (en) 2008-09-02 2010-03-18 Sumitomo Metal Ind Ltd Welded joi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5459750B2 (en) 2007-11-28 2014-04-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Welding method
JP2015003552A (en) * 2013-06-19 2015-01-08 新日鐵住金株式会社 Lap weld member of high strength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5033706A (en) * 2013-08-08 2015-02-1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Spot laser composite weld joint
JP2015093282A (en) 2013-11-08 2015-05-18 新日鐵住金株式会社 Method for spot welding high-strength steel plate
JP5894081B2 (en) 2009-12-13 2016-03-23 イェスタムプ・ハードテック・アクチエボラーグ B pillar for vehicles
WO2019087310A1 (en) * 2017-10-31 2019-05-09 日本製鉄株式会社 Structural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4920B2 (en) * 2003-08-29 2012-01-18 豊田鉄工株式会社 Spot welding method and spot-welded steel plate member
JP4519508B2 (en) * 2004-04-21 2010-08-0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Dissimilar joints of steel and aluminum
JP4977879B2 (en) * 2010-02-26 2012-07-1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Super high 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bendability
JP5713147B2 (en) * 2012-08-10 2015-05-07 新日鐵住金株式会社 Overlap welding member, automotive part, overlapping portion welding method, and overlap welding member manufacturing method
JP6379819B2 (en) * 2014-07-31 2018-08-29 新日鐵住金株式会社 Lap welding member, lap resistance seam welding method of lap welding member, and lap welding member for automobile having lap welding part
EP3147065B1 (en) * 2015-09-23 2019-07-24 Neturen Co., Ltd. Welding method
BR112019016977A2 (en) * 2017-02-20 2020-04-07 Nippon Steel Corp steel sheet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2905A (en) 2004-11-17 2006-06-08 Nissan Motor Co Ltd Energy absorbing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459750B2 (en) 2007-11-28 2014-04-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Welding method
JP2010059451A (en) 2008-09-02 2010-03-18 Sumitomo Metal Ind Ltd Welded joi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5894081B2 (en) 2009-12-13 2016-03-23 イェスタムプ・ハードテック・アクチエボラーグ B pillar for vehicles
JP2015003552A (en) * 2013-06-19 2015-01-08 新日鐵住金株式会社 Lap weld member of high strength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5033706A (en) * 2013-08-08 2015-02-1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Spot laser composite weld joint
JP2015093282A (en) 2013-11-08 2015-05-18 新日鐵住金株式会社 Method for spot welding high-strength steel plate
WO2019087310A1 (en) * 2017-10-31 2019-05-09 日本製鉄株式会社 Structural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007796A (en) 2022-02-01
WO2020241500A1 (en) 2020-12-03
JPWO2020241500A1 (en) 2021-09-13
JP6885523B2 (en) 2021-06-16
CN114007796B (en) 2023-03-31
KR102556695B1 (en) 202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9995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teel plate for press harden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aser welded blank for press hardening
CA3065037C (en) Steel sheet for manufacturing press hardened parts, press hardened part having a combination of high strength and crash duct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EP3243595B1 (en) Method of welding overlapped portion, method of manufacturing overlap-welded member, overlap-welded member, and automotive part
CN108025401B (en) Arc fillet wel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20210053154A1 (en) Method for producing a press-hardened laser welded steel part and press-hardened laser welded steel part
KR20160104048A (en) Lap-welding method, lap joint, production method for lap joint, and automotive part
JP2022512191A (en) High-strength steel product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JP6379819B2 (en) Lap welding member, lap resistance seam welding method of lap welding member, and lap welding member for automobile having lap welding part
CN112203793B (en) Spot-welded joint, vehicle frame member provided with spot-welded joi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pot-welded joint
KR102556695B1 (en) Spot welded joi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pot welded joint
JP7151762B2 (en) SPOT WELD JOINTS, MOTOR VEHICLE STRUCTURE COMPONENTS WITH SPOT WELD JOINT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POT WELD JOINTS
Hirt et al. Influence of intercritical annealing temperature on form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medium-manganese-steel in press hardening
KR20240026245A (en) Resistance spot welded joint and its resistance spot welding method
KR20240063932A (en) High-strength press-hardened steel part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Cicholska The influence of welding on the hardness and weldability of thermally hardened S620Q steel sheets
TILLY et al. Influence of intercritical annealing temperature on form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medium-manganese-st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