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0193A - 창호 - Google Patents
창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50193A KR20210150193A KR1020200067241A KR20200067241A KR20210150193A KR 20210150193 A KR20210150193 A KR 20210150193A KR 1020200067241 A KR1020200067241 A KR 1020200067241A KR 20200067241 A KR20200067241 A KR 20200067241A KR 20210150193 A KR20210150193 A KR 202101501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ow
- gasket
- window frame
- opening
- soun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9000012784 inorganic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9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358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76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ECAHXYUAAWDEL-UHFFFAOYSA-N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C.C=CC#N.C=CC1=CC=CC=C1 XECAHXYUAAWDE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49 discoloration preven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57 fla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93 sla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2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06B2003/704—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of mineral material which is not further specif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실외와 실내를 연통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창틀 및 상기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창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창짝을 포함하고, 상기 창짝은, 무기 섬유부를 포함하는 차음 판넬 및 상기 차음 판넬이 삽입되는 창짝 바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란 건물 벽면에 설치된 창틀과 상기 창틀에 설치된 창짝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창호는 실내와 실외 간의 열 전달을 차단하는 기능, 실외의 소음을 차단하는 기능 등 여러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열 손실을 막을 수 있고 차음력이 증대된 창호를 개발하기 위해, 창짝에 유리를 대신하여 단열 차음 판넬을 삽입한 창호들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단열 차음 판넬을 삽입한 창호들은, EPS 재질의 단열재와 고무 재질의 차음 시트를 적용한 구조로, 유리를 삽입한 창호보다 단열성 및 차음성이 강화되기는 하였으나 35dB 이상의 고차음 성능은 달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고차음 성능을 달성할 수 있는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예에서 창호는, 실외와 실내를 연통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창틀 및 상기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창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창짝을 포함하고, 상기 창짝은, 무기 섬유부를 포함하는 차음 판넬 및 상기 차음 판넬이 삽입되는 창짝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차음 판넬은, 상기 무기 섬유부의 실외측 면에 결합되는 제1 차음재, 상기 무기 섬유부의 실내측 면에 결합되는 제2 차음재, 상기 제1 차음재의 실외측 면에 결합되는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차음재의 실내측 면에 결합되는 제2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창호는, 상기 창짝에 결합되되, 상기 창짝에 의한 개구의 폐쇄 시 창틀에 접촉하게 마련되는 제1 가스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스켓은, 상기 창짝에 형성되되 상기 창틀을 향해 개구된 제1 가스켓 홈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 및 상기 창짝에 의한 개구의 폐쇄 시 창틀의 실외측 면에 접촉하는 제1 챔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창틀에 결합되되, 상기 창짝에 의한 개구의 폐쇄 시 창짝에 접촉하게 마련되는 창틀 가스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창틀 가스켓은, 창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가스켓 홈이 개구된 방향에 직교하게 그리고 창짝을 향해 개구되고, 상기 제1 가스켓 홈에 비해 실내 측에 형성되는 제2 가스켓 홈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 및 상기 창짝에 의한 개구의 폐쇄 시 창짝의 하면에 접촉하는 제2 챔버부를 포함하는 제2 가스켓, 창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가스켓 홈이 개구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제2 가스켓 홈에 비해 실내 측에 형성되는 제3 가스켓 홈에 삽입되는 제3 삽입부 및 상기 창짝에 의한 개구의 폐쇄 시 창짝의 실내측 면에 접촉하는 제3 챔버부를 포함하는 제3 가스켓, 창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가스켓 홈이 개구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제3 가스켓의 상기 제2 가스켓 홈이 개구된 방향 측에 형성되는 제4 가스켓 홈에 삽입되는 제4 삽입부 및 상기 창짝에 의한 개구의 폐쇄시 창짝의 실내측 면에 접촉하고, 상기 제3 챔버부에 접촉할 수 있게 마련되는 제4 챔버부를 포함하는 제4 가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챔버부는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 및 외표면에 형성되는 주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3 챔버부 및 상기 제4 챔버부는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 및 외표면에 형성되는 주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창호는, 상기 차음 판넬의 실외측 면 및 실내측 면을 제외한 면을 커버하게 배치되는 측면 차음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창호는, 상기 창짝 바디에 형성되되, 상기 차음 판넬이 삽입되는 삽입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창짝 내부 중공에 삽입되는 제1 EPS 흡음폼 및 상기 창틀에 형성되되, 상기 창짝에 의한 상기 개구의 폐쇄시 상기 창짝 내부 중공의 하측에 위치하는 창틀 내부 중공에 삽입되는 제2 EPS 흡음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기 섬유부를 포함하는 차음 판넬을 통해 고차음 성능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름 구조를 갖는 4중 가스켓 구조를 통해 고차음 성능이 확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폐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차음 판넬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판 진동형 흡음재의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를 적용할 때의 차음 성능을 나타낸 실험예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종래의 창호를 적용할 때의 차음 성능을 나타낸 비교예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차음 판넬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판 진동형 흡음재의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를 적용할 때의 차음 성능을 나타낸 실험예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종래의 창호를 적용할 때의 차음 성능을 나타낸 비교예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선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창호의 구성요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는 고차음 성능이 확보되는 창호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는 창틀(10) 및 창짝(2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창틀(10)은 실외와 실내를 연통하는 개구(1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외라 함은 창틀(10)이 설치되는 대상이 정의하는 공간의 바깥쪽을 말하고, 실내라 함은 창틀(10)이 설치되는 대상이 정의하는 공간의 안쪽을 말한다. 예를 들어,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창틀(10)의 경우, 건물의 바깥쪽이 실외가 되고, 건물의 안쪽이 실내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건물 내부의 방의 벽에 설치되는 창틀(10)의 경우, 건물의 외부가 아니더라도, 방의 바깥쪽이라면 실외가 되고, 방의 안쪽이 실내가 될 수 있다.
창짝(20)은 개구(11)를 개폐할 수 있도록 창틀(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개구(11)는 창짝(20)에 의해 폐쇄된 상태인 폐쇄 상태와, 창짝(20)이 개구(11)를 가로막지 않아 개구(11)가 개방된 개방 상태에 선택적으로 놓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폐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창짝(20)은 차음 판넬(30) 및 차음 판넬(30)이 삽입되는 창짝 바디(21)를 포함할 수 있다. 차음 판넬(30)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무기 섬유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차음 판넬(30)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무기 섬유부(31)는 보온재, 절연재 및 단열재 등으로 사용되는 유리 섬유, 암석 섬유, 슬래그 섬유, 세라믹 섬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에는, EPS 재질의 단열재와 고무 재질의 차음 시트를 적용한 차음 판넬(30)을 사용하여, 유리를 삽입한 창호보다 단열성 및 차음성이 강화되기는 하였으나 고차음 성능은 달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기 섬유부(31)를 포함하는 차음 판넬(30)을 통해 종래보다 고차음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차음 판넬(30)의 구성>
차음 판넬(30)은 제1 차음재(32), 제2 차음재(33), 제1 시트(34) 및 제2 시트(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음재(32)는 무기 섬유부(31)의 실외측 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차음재(33)는 무기 섬유부(31)의 실내측 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시트(34)는, 제1 차음재(32)의 실외측 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시트(35)는, 제2 차음재(33)의 실내측 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차음 판넬(30)은 실외에서 실내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시트(34), 제1 차음재(32), 무기 섬유부(31), 제2 차음재(33), 제2 시트(35)의 순서대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차음재(32) 및 제2 차음재(33)는 고무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음재로써 기능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차음재(32) 및 제2 차음재(33)는 2mm 이상 6m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시트(34) 및 제2 시트(35)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ABS 시트는 1.45mm 이상 1.5m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시트(34) 및 제2 시트(35)는 데코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코 필름은 미관 향상 및 변색 방지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가스켓(40)>
창호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 가스켓(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스켓(40)은 창짝(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가스켓(40)은 창짝(20)에 의한 개구(11)의 폐쇄 시 창틀(10)에 접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가스켓(40)은 폐쇄 상태에서 창틀(10)에 접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가스켓(40)은 제1 삽입부(41) 및 제1 챔버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삽입부(41)는 제1 가스켓 홈(22)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가스켓 홈(22)은 창짝(20)에 형성되되 창틀(10)을 향해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챔버부(42)는 개구의 폐쇄 시 창틀(10)의 실외측 면에 접촉할 수 있다.
<창틀 가스켓(50)>
창호는 창틀 가스켓(50)을 포함할 수 있다. 창틀 가스켓(50)은 창짝(20)에 의한 개구(11)의 폐쇄 시 창짝(20)에 접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창틀 가스켓(50)은 폐쇄 상태에서 창짝(20)에 접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창틀 가스켓(50)은 제2 가스켓(60), 제3 가스켓(70) 및 제4 가스켓(8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스켓(60)은 제2 삽입부(61) 및 제2 챔버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삽입부(61)는 창틀(10)에 형성되되, 제2 가스켓 홈(12)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가스켓 홈(12)은 제1 가스켓 홈(22)이 개구된 방향에 직교하게 그리고 창짝(20)을 향해 개구되고, 제1 가스켓 홈(22)에 비해 실내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스켓(60)은 창짝(20)에 의한 개구(11)의 폐쇄 시 창짝(20)의 하면에 접촉할 수 있다. 제2 가스켓(60)을 통해, 창짝(20)과 창틀(10)의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의 대류를 한번 더 차단할 수 있으므로, 방음뿐만 아니라 기밀,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가스켓(70)은 제3 삽입부(71) 및 제3 챔버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삽입부(71)는 창틀(10)에 형성되되, 제3 가스켓 홈(13)에 삽입될 수 있다. 제3 가스켓 홈(13)은 제1 가스켓 홈(22)이 개구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개구되고, 제2 가스켓 홈(12)에 비해 실내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챔버부(72)는 창짝(20)에 의한 개구(11)의 폐쇄 시 창짝(20)의 실내측 면에 접촉할 수 있다.
제4 가스켓(80)은 제4 삽입부(81) 및 제4 챔버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삽입부(81)는 창틀(10)에 형성되되, 제4 가스켓 홈(14)에 삽입될 수 있다. 제4 가스켓 홈(14)은 제1 가스켓 홈(22)이 개구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개구되고, 제3 가스켓(70)의 제2 가스켓 홈(12)이 개구된 방향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4 챔버부(82)는 창짝(20)에 의한 개구(11)의 폐쇄시 창짝(20)의 실내측 면에 접촉하고, 제3 챔버부(72)에 접촉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챔버부(42), 제3 챔버부(72) 및 제4 챔버부(82)는 중공부(40a, 70a, 80a)와 주름부(40b, 70b, 80b)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중공부(40a, 70a, 80a)는 제1 챔버부(42), 제3 챔버부(72) 및 제4 챔버부(82)의 내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주름부(40b, 70b, 80b)는 제1 챔버부(42), 제3 챔버부(72) 및 제4 챔버부(82)의 외표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주름부(40b, 70b, 80b)를 통해 창짝(20)에 음파가 부딪혔을 때 미세하게 음파진동에 따라 유동하여 일부 음파를 흡수할 수 있게 되므로, 1차적으로 흡음을 할 수 있다.
제1 가스켓(40) 및 창틀 가스켓(50)은 판 진동형 흡음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판 진동형 흡음재의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1번 위치에서 출발한 음파는 2번 위치에서 판이 같이 진동해주게 되기 때문에, 음파의 세기가 일부 감소될 수 있다.
종래의 창호에는 주름 구조를 갖는 4중 가스켓 구조가 존재 하지 않아 고차음 성능이 확보되지 못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름 구조를 갖는 4중 가스켓 구조를 통해 35dB이상의 고차음 성능이 확보될 수 있다.
<측면 차음재(36)>
창호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측면 차음재(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면 차음재(36)는 차음 판넬(30)의 실외측 면 및 실내측 면을 제외한 면인 측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측면을 커버하는 측면 차음재(36)를 통해 무기 섬유부(31) 안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음파가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제1 EPS 흡음폼(91) 및 제2 EPS 흡음폼(92)>
창호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 EPS 흡음폼(91) 및 제2 EPS 흡음폼(92)을 포함할 수 있다. EPS란, Expanded PolySterene의 약자이다. 제1 EPS 흡음폼(91)은 창짝 내부 중공(24)에 삽입될 수 있다. 창짝 내부 중공(24)은 창짝 바디(21)에 형성되되, 차음 판넬(30)이 삽입되는 삽입부(23)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EPS 흡음폼(92)은 창틀 내부 중공(15)에 삽입될 수 있다. 창틀 내부 중공(15)은 창틀(10)에 형성되되, 창짝(20)에 의한 개구(11)의 폐쇄시 창짝 내부 중공(24)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EPS 흡음폼(91) 및 제2 EPS 흡음폼(92)을 통해 창틀(10) 및 창짝(20)의 빈 공간 내에서 발생되는 음파 이동을 흡음할 수 있다.
<차음 성능 비교>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를 적용할 때의 차음 성능에 관하여 상술한다. 창호의 차음 성능은 벽, 바닥, 문, 창 등의 공기 전달음 차단 성능에 관한 기준인 KS F ISO10140-2에 따라 계산된 음향 감쇠 계수로 평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를 적용할 때의 차음 성능을 나타낸 실험예를 표로 나타내고,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종래의 창호를 적용할 때의 차음 성능을 나타낸 비교예를 표로 나타내고,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그래프에서 x 축은 1/3 옥타브 중심주파수(Hz)를 나타내고, y 축은 음향 감쇠 계수(dB)를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그래프는 KS F ISO10140-2의 기준이 적용되어 있다. 굵은 선은 실제로 얻어진 음향 감쇠 계수를 나타낸 것이고, 얇은 선은 각 창호에 따른 이상적인 음향 감쇠 계수를 나타낸 것이다.
무기 섬유부(31)를 적용한 창호의 경우, 음향 감쇠 계수가 40dB로 계산되지만, 종래의 창호의 경우, 음향 감쇠 계수가 34dB로 측정된다.즉, 종래의 창호의 경우 35dB 이상의 차음 성능을 달성하지 못한다.
종래의 단열 차음 판넬을 삽입한 창호들은, EPS 재질의 단열재와 고무 재질의 차음 시트를 적용한 구조로, 유리를 삽입한 창호보다 단열성 및 차음성이 강화되기는 하였으나, 35dB 이상의 고차음 성능은 달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무기 섬유부(31)를 포함하는 차음 판넬(30)을 통해 35dB이상의 고차음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창틀
11: 개구
12: 제2 가스켓 홈
13: 제3 가스켓 홈
14: 제4 가스켓 홈
15: 창틀 내부 중공
20: 창짝
21: 창짝 바디
22: 제1 가스켓 홈
23: 삽입부
24: 창짝 내부 중공
30: 차음 판넬
31: 무기 섬유부
32: 제1 차음재
33: 제2 차음재
34: 제1 시트
35: 제2 시트
36: 측면 차음재
40: 제1 가스켓
41: 제1 삽입부
42: 제1 챔버부
50: 창틀 가스켓
60: 제2 가스켓
61: 제2 삽입부
62: 제2 챔버부
70: 제3 가스켓
71: 제3 삽입부
72: 제3 챔버부
80: 제4 가스켓
81: 제4 삽입부
82: 제4 챔버부
91: 제1 EPS 흡음폼
92: 제2 EPS 흡음폼
40a, 70a, 80a: 중공부
40b, 70b, 80b: 주름부
11: 개구
12: 제2 가스켓 홈
13: 제3 가스켓 홈
14: 제4 가스켓 홈
15: 창틀 내부 중공
20: 창짝
21: 창짝 바디
22: 제1 가스켓 홈
23: 삽입부
24: 창짝 내부 중공
30: 차음 판넬
31: 무기 섬유부
32: 제1 차음재
33: 제2 차음재
34: 제1 시트
35: 제2 시트
36: 측면 차음재
40: 제1 가스켓
41: 제1 삽입부
42: 제1 챔버부
50: 창틀 가스켓
60: 제2 가스켓
61: 제2 삽입부
62: 제2 챔버부
70: 제3 가스켓
71: 제3 삽입부
72: 제3 챔버부
80: 제4 가스켓
81: 제4 삽입부
82: 제4 챔버부
91: 제1 EPS 흡음폼
92: 제2 EPS 흡음폼
40a, 70a, 80a: 중공부
40b, 70b, 80b: 주름부
Claims (10)
- 실외와 실내를 연통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창틀; 및
상기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창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창짝을 포함하고,
상기 창짝은,
무기 섬유부를 포함하는 차음 판넬; 및
상기 차음 판넬이 삽입되는 창짝 바디를 포함하는, 창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음 판넬은,
상기 무기 섬유부의 실외측 면에 결합되는 제1 차음재;
상기 무기 섬유부의 실내측 면에 결합되는 제2 차음재;
상기 제1 차음재의 실외측 면에 결합되는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차음재의 실내측 면에 결합되는 제2 시트를 포함하는, 창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창짝에 결합되되, 상기 창짝에 의한 개구의 폐쇄 시 창틀에 접촉하게 마련되는 제1 가스켓을 더 포함하는, 창호.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스켓은,
상기 창짝에 형성되되 상기 창틀을 향해 개구된 제1 가스켓 홈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 및 상기 창짝에 의한 개구의 폐쇄 시 창틀의 실외측 면에 접촉하는 제1 챔버부를 포함하는, 창호.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창틀에 결합되되, 상기 창짝에 의한 개구의 폐쇄 시 창짝에 접촉하게 마련되는 창틀 가스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창틀 가스켓은,
창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가스켓 홈이 개구된 방향에 직교하게 그리고 창짝을 향해 개구되고, 상기 제1 가스켓 홈에 비해 실내 측에 형성되는 제2 가스켓 홈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 및 상기 창짝에 의한 개구의 폐쇄 시 창짝의 하면에 접촉하는 제2 챔버부를 포함하는 제2 가스켓;
창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가스켓 홈이 개구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제2 가스켓 홈에 비해 실내 측에 형성되는 제3 가스켓 홈에 삽입되는 제3 삽입부 및 상기 창짝에 의한 개구의 폐쇄 시 창짝의 실내측 면에 접촉하는 제3 챔버부를 포함하는 제3 가스켓;
창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가스켓 홈이 개구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제3 가스켓의 상기 제2 가스켓 홈이 개구된 방향 측에 형성되는 제4 가스켓 홈에 삽입되는 제4 삽입부 및 상기 창짝에 의한 개구의 폐쇄시 창짝의 실내측 면에 접촉하고, 상기 제3 챔버부에 접촉할 수 있게 마련되는 제4 챔버부를 포함하는 제4 가스켓을 포함하는, 창호.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부는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 및 외표면에 형성되는 주름부를 포함하는, 창호.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3 챔버부 및 상기 제4 챔버부는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 및 외표면에 형성되는 주름부를 포함하는, 창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음 판넬의 실외측 면 및 실내측 면을 제외한 면을 커버하게 배치되는 측면 차음재를 더 포함하는, 창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창짝 바디에 형성되되, 상기 차음 판넬이 삽입되는 삽입부의 하측에위치하는 창짝 내부 중공에 삽입되는 제1 EPS 흡음폼; 및
상기 창틀에 형성되되, 상기 창짝에 의한 상기 개구의 폐쇄시 상기 창짝 내부 중공의 하측에 위치하는 창틀 내부 중공에 삽입되는 제2 EPS 흡음폼을 더 포함하는, 창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창호는 KS F ISO10140-2에 따라 계산된 음향 감쇠 계수가 35 dB 이상인, 창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7241A KR20210150193A (ko) | 2020-06-03 | 2020-06-03 | 창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7241A KR20210150193A (ko) | 2020-06-03 | 2020-06-03 | 창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50193A true KR20210150193A (ko) | 2021-12-10 |
Family
ID=78865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7241A KR20210150193A (ko) | 2020-06-03 | 2020-06-03 | 창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50193A (ko) |
-
2020
- 2020-06-03 KR KR1020200067241A patent/KR2021015019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371987A (en) | Acoustical door | |
US7562743B2 (en) | Acoustical window and door covering | |
KR102115829B1 (ko) | 방화문의 결로 방지 구조 | |
KR20210150193A (ko) | 창호 | |
KR100650205B1 (ko) | 방음벽 및 그를 사용한 방음 부스 | |
CN109209167A (zh) | 一种平移隔音门 | |
JP5129986B2 (ja) | 樹脂製内窓を用いた二重窓 | |
KR200478484Y1 (ko) | 차음 및 단열성이 향상된 차음판넬을 포함하는 차음 도어 | |
CN213016080U (zh) | 吸隔声一体门 | |
JP2578064Y2 (ja) | 防音ドア | |
CN211342605U (zh) | 一种防火隔声门 | |
KR100684546B1 (ko) | 건축용 안전 방음도어 | |
AU2020230239B2 (en) | Sealing assembly for acoustic doors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 |
KR200304188Y1 (ko) | 슬림형 고성능 경량 방음문 | |
CN212898222U (zh) | 一种家用隔音门 | |
KR100579473B1 (ko) | 건축용 도어 방음구조 | |
KR200246626Y1 (ko) | 실내출입구의 방음구조 | |
JP3023272B2 (ja) | 防音ドア | |
JPH0629435Y2 (ja) | 防音サツシ | |
CN210178234U (zh) | 静音室内门 | |
CN219672513U (zh) | 一种隔音防火门 | |
KR200246123Y1 (ko) | 방음도어의 소음 차단 장치 | |
KR200372645Y1 (ko) | 방화문 | |
JP4483755B2 (ja) | 二重サッシ | |
JPH11270246A (ja) | 遮音扉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