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9990A - 지능형 배터리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배터리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9990A
KR20210149990A KR1020200066815A KR20200066815A KR20210149990A KR 20210149990 A KR20210149990 A KR 20210149990A KR 1020200066815 A KR1020200066815 A KR 1020200066815A KR 20200066815 A KR20200066815 A KR 20200066815A KR 20210149990 A KR20210149990 A KR 20210149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nt resistor
housing
circuit board
clamp member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5527B1 (ko
Inventor
최범석
장은지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6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527B1/ko
Publication of KR20210149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9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Battery terminal connectors with integrated measu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20Modifications of basic electric elements for use in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s; Structural combinations of such elements with such instruments
    • G01R1/203Resistors used for electric measuring, e.g. decade resistors standards, resistors for comparators, series resistors, shu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measuring instruments, e.g. of probe t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배터리 센서는, 배터리의 일극에 접속되는 클램프 부재와, 상기 클램프 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면접촉하면서 접합되는 션트 저항과, 상기 션트 저항 내의 복수의 접촉점 사이에서의 전압, 상기 복수의 접촉점 사이를 흐르는 전류 및 상기 복수의 접촉점에서의 온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회로기판과, 상기 클램프 부재, 상기 션트 저항 및 상기 회로기판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션트 저항 중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과 체결되는 터미널 부재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지능형 배터리 센서 및 그 제조 방법{Intelligent battery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능형 배터리 센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운전자의 안전과 편의성을 높여 주는 차량의 각종 기술은 그 발전 속도가 매우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발전은 부품과 기술의 전자화를 통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각종 전자 장치의 주 동력원 역할을 하는 배터리의 중요성도 점차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이 차량에서 배터리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소위 지능형 배터리 센서(IBS: Intelligent Battery Sensor)에 대한 연구·개발이 늘어나고 있다. IBS는 배터리 내부 상태를 모니터링해서 이 배터리와 연관된 다양한 장치들이 최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따라서 IBS는 차량에서 에너지의 발생, 분배 및 충전과 관련된 다양한 장치를 진단하고 작동시키는데 핵심 부품이라고 볼 수 있다.
통상적으로 배터리의 음극 단자에 장착되는 IBS는 배터리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한다. 주 기능은 차량용 배터리의 전류, 전압,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이렇게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배터리의 상태를 예측하는 것이다. IBS는 이러한 측정 결과를 전자제어장치(ECU)에 제공하며, 이를 통해 배터리와 연계된 각종 장치들이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조력한다.
이러한 IBS는 일반적으로 배터리의 클램프 부재, 션트 저항(shunt resistance), 터미널 부재 및 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이 때 회로기판이 상기 배터리의 음극에서 유출된 전류가 클램프 부재, 션트 저항 및 터미널 부재로 순차적으로 흘러갈 때 상기 션트 저항의 양단에서 전류, 전압 등을 측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클램프 부재로 배터리의 포스트를 클램핑하고 볼팅하여 고정할 때, 공구나 설비로 너트를 회전시킬 때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해 IBS가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즉, 상기 회전력에 의해 클램프 부재 자체가 변형될 수도 있고 상기 클램프 부재가 IBS의 하우징이나 상기 션트 저항으로부터 이탈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는 IBS 자체의 손상으로 그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없게 만들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한국특허공보 10-1890618호 (2018.8.16. 등록)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우징 성형시 클램프 부재와 션트 저항을 상호 접합한 상태로 인서트 사출함으로써, 배터리 포스트에 클램프 부재를 볼팅하여 고정할 때 체결력에 의해 클램프 부재가 변형되거나 클램프 부재가 하우징 또는 션트 저항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인서트 사출에 의해 복잡한 조립공정이나 연결공정을 생략하고, 클램프 부재 및 션트 저항의 접합체를 상기 하우징 내에 견고하게 안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션트 저항이 외부로 노출되어 공기와의 접촉으로 산화되어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배터리 센서는, 배터리의 일극에 접속되는 클램프 부재; 상기 클램프 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면접촉하면서 접합되는 션트 저항; 상기 션트 저항 내의 복수의 접촉점 사이에서의 전압, 상기 복수의 접촉점 사이를 흐르는 전류 및 상기 복수의 접촉점에서의 온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회로기판; 상기 클램프 부재, 상기 션트 저항 및 상기 회로기판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션트 저항 중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과 체결되는 터미널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 부재와 상기 션트 저항은 브레이징(brazing) 공법에 의해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 부재 및 상기 션트 저항은 함께 인서트 사출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다.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회로기판과 차량 컨트롤러 간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연결하는 접속핀을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 사출시에 상기 접속핀은 상기 클램프 부재 및 상기 션트 저항과 함께 인서트 사출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인서트 사출시에 상기 클램프 부재 및 상기 션트 저항을 외부에서 잡아줄 수 있도록 상기 클램프 부재 및 상기 션트 저항이 접합된 위치에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클램프 부재, 상기 션트 저항 및 상기 회로기판을 감싸서 보호하는 몸체부; 상기 접속핀을 수용하는 소켓부; 및 상기 몸체부를 외부로부터 폐쇄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몸체부와 레이저 융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하우징 커버로부터 상기 몸체부를 향하여 하방으로 돌출된 수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수밀 돌기에 대응하여 형성된 리세스를 포함한다.
상기 리세스와 대향하는 상기 수밀 돌기의 내면에는 상기 수밀 돌기가 돌출된 방향을 따라 연장된 벤트 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액체나 먼지가 유입되는 것은 방지하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및 외부 간에 공기가 연통되는 것은 허용한다.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회로기판이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서 이격될 수 있도록 내측을 향하여 융기된 적어도 하나의 안착 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션트 저항의 복수의 접촉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핀의 일단은 상기 션트 저항의 복수의 접촉점에 접촉되고 상기 복수의 연결핀의 타단은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된다.
상기 복수의 접촉점은 3개 이상의 지점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결핀의 일단은 상기 션트 저항의 복수의 접촉점에 용접되거나 프레스 핏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연결핀의 타단은 상기 회로기판에 프레스 핏 결합된다.
상기 션트 저항의 노출된 부분과 상기 터미널 부재는 볼트-너트 결합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볼트-너트 결합시에 사용되는 볼트는, 볼트 헤드와, 너트에 결합되는 스크류를 포함하되, 상기 볼트-너트 결합시에 상기 볼트가 상기 션트 저항을 압입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와 연결되는 상기 볼트 헤드의 내면측에 반경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션트 저항은 상기 볼트가 체결되는 볼트 체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션트 저항 중에서 상기 볼트 체결공 주변으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안착홈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 부재는, 상기 차량의 샤시까지 연장되어 접지선 역할을 하는 케이블과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의 연장된 단부에는 상기 케이블을 차량의 샤시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 부재는 상기 션트 저항의 노출된 부분과 맞물림으로써 상기 볼트-너트 결합시에 상기 션트 저항과 상기 터미널 부재 간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터미널 부재로부터 돌출 또는 절곡된 스토퍼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차량의 샤시와 체결구에 의해 결합할 때 상기 고정 부재가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돌출 또는 절곡된 스토퍼를 포함한다.
상기 션트 저항은, 상기 션트 저항의 일 에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 사출 후에 상기 션트 저항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배터리 센서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클램프 부재를 상기 션트 저항에 면접촉하면서 접합하는 단계; 상기 접합된 클램프 부재와 상기 션트 저항을 인서트 사출하여 상기 하우징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션트 저항 내의 복수의 접촉점과 상기 회로 기판 간을 복수의 연결핀에 의해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션트 저항 중에서 상기 노출된 부분과 상기 터미널 부재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접합하는 단계는, 상기 클램프 부재와 상기 션트 저항을 브레이징(brazing) 공법에 의해 서로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회로기판과 차량 컨트롤러 간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연결하는 접속핀을, 상기 인서트 사출시에 상기 클램프 부재 및 상기 션트 저항과 함께 인서트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연결핀에 의해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연결핀의 일단을 상기 션트 저항의 복수의 접촉점에 용접하거나 프레스 핏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연결핀의 타단을 상기 회로기판에 프레스 핏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클램프 부재, 상기 션트 저항 및 상기 회로기판을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하우징 커버를 레이저 융착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폐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체결하는 단계는, 상기 션트 저항 중에서 상기 노출된 부분과 상기 터미널 부재를 볼트-너트 결합에 의해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배터리 센서에 의하면, 클램프 부재의 체결력에 의한 클램프 부재의 변형 내는 션트 저항으로부터 클램프 부재의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고, 따라서 지능형 배터리 센서의 내구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배터리 센서에 의하면, 클램프 부재와 션트 저항의 일부가 접합된 상태에서 인서트 사출이 이루어지므로 양자 간의 이격된 부분에 별도의 절연재를 삽입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배터리 센서에 의하면, 클램프 부재 및 션트 저항뿐만 아니라 회로기판의 접속핀도 함께 인서트 사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접속핀을 하우징 내에 견고하게 안착함과 동시에 지능형 배터리 센서의 제조 공정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배터리 센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케이블 및 고정 부재를 제외한 부분을 중심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c는 내부의 구조를 도시하기 위해 도 2b에서 하우징을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터미널 부재와 연결된 케이블 및 고정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c는 케이블과 연결된 고정 부재를 차량의 샤시에 고정하는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는 도 1c와 같이 지능형 배터리 센서에서 하우징을 제거하고 다른 각도에서 내부를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b는 회로기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c는 연결핀들과 션트 저항을 프레스 핏으로 결합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는 하우징을 접속핀이 보여지는 방향으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b는 하우징에서 하우징 커버를 제거하고 몸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c는 도 4b에서 연결핀과 접속핀을 추가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d는 도 4c에서 회로기판을 추가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e는 도 4d에서 몸체부의 일부를 절개하고 내부를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f는 도 4d에서 몸체부를 하우징 커버로 폐쇄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a는 하우징 커버가 몸체부를 폐쇄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b는 하우징 커버를 내면 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c는 하우징 커버 중에서 수밀 돌기의 형상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6a는 하우징의 몸체부의 외부에서 션트 저항의 접합단부에 접근할 수 있는 관통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하우징의 몸체부의 외부에서 클램프 부재의 단차부에 접근할 수 있는 관통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a는 션트 저항의 노출된 부분과 터미널 부재를 볼트-너트 결합에 의해 체결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에서 볼트만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c는 볼트 체결공의 주변에 안착홈이 구비된 션트 저항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션트 저항 및 하우징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배터리 센서(1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케이블(55) 및 고정 부재(54)를 제외한 부분을 중심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c는 내부의 구조를 도시하기 위해 도 1b에서 하우징(40)을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지능형 배터리 센서(100)는 클램프 부재(10)와, 션트 저항(20)과, 회로기판(30)과, 상기 구성요소(10, 20, 30)들을 수용하는 하우징(40)과, 상기 션트 저항(20)과 체결 부재, 예를 들어 볼트(60)에 의해 체결되는 터미널 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부재(50)는 케이블(55) 및 고정 부재(54)를 통해 차량의 샤시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클램프 부재(10)는 일단이 차량용 배터리(미도시 됨)의 일극에 접속된다. 예를 들어, 클램프 부재(10)는 배터리의 음극에 연결되며, 지능형 배터리 센서(10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클램프 부재(10)는 클램프 부재(10)로부터 연장된 플랜지(flange, 13)를 구비할 수 있으며, 플랜지(13)의 말단에는 션트 저항(20)과의 접합을 위한 단차부(15)가 형성된다. 따라서, 플랜지(13)와 단차부(15)는 대략 평행하지만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지는 않는다. 이에 따라, 단차부(15)가 션트 저항(20)과 접합될 때, 플랜지(13)는 션트 저항(20)과 접촉하지 않고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션트 저항(20), 특히 션트 저항(20)의 접합단부(25)는 상기 클램프 부재(10), 특히 단차부(15)와 면접촉하면서 상호간에 접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램프 부재(10)와 상기 션트 저항(20)은 브레이징(brazing) 공법에 의해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이러한 브레이징은 접합하려는 모재 즉, 클램프 부재(10)와 션트 저항(20)보다 녹는점이 낮은 용가재를 사용하여 클램프 부재(10)와 션트 저항(20)을 접합시키는 공법을 의미한다.
회로기판(30)은 상기 션트 저항(20)의 전류, 전압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로기판(3)은 션트 저항(20) 내의 복수의 접촉점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압, 상기 복수의 접촉점 사이를 흐르는 전류, 또는 상기 복수의 접촉점에서의 온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로기판(30)에는 집적회로(IC)가 표면 실장(SMT:Surface Mount Technology)될 수 있다.
하우징(40)은 상기 클램프 부재(10), 상기 션트 저항(20) 및 상기 회로기판(30)을 수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램프 부재(10) 및 상기 션트 저항(20)은 함께 인서트 사출됨으로써 상기 하우징(40)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40)은 일정한 금형의 내부로 합성수지재질의 용융액을 사출하여 성형될 수 있는데, 이 때 그 내부에 클램프 부재(10) 및 이와 접합된 션트 저항(20)을 함께 인서트하여 사출 성형할 수 있으며 이를 인서트 사출이라고 부른다. 하우징(40)은 추후 회로기판(30)의 솔더링 작업을 위해 임의의 온도 이상으로 가열될 수 있으므로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일 예로 유동성이 양호하고, 열에 강한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고, 이외에 사출 성형이 가능하되 리플로우 작업이 가능한 어떠한 합성수지재라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클램프 부재(10)에서 션트 저항(20)으로 흐르는 전류 흐름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클램프 부재(10)와 션트 저항(20)은 일부분에서만 접촉하고 나머지 영역에서는 절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하면 션트 저항(20)와 클램프 부재(10)의 접촉 면적을 적게 함으로써 접합 공정에서 사용되는 브레이징 용접양이 적어지고, 재료비와 공정 소요시간 줄일 수 있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 부재(10)의 단차부(15)만이 션트 저항(20)과 접촉하고 플랜지(13)는 션트 저항(20)으로부터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 사출을 수행하면, 상기 이격된 갭(gap)에는 절연성이 있는 하우징(40)의 재질이 채워지므로, 클램프 부재(10)와 션트 저항(20)과 터미널부재(30) 사이에 별도의 절연재를 삽입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30)은 상기 회로기판(30)과 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같은 차량 컨트롤러(미도시 됨)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접속핀(31)을 갖는다. 상기 인서트 사출시에 상기 접속핀(31)은 상기 클램프 부재(10) 및 상기 션트 저항(20)과 함께 인서트 사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접속핀(31)이 별도의 공정 없이도 하우징(40)에 대해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컨트롤러는 상기 회로기판(30)과 접속핀(31)을 통해서 접속됨으로써, 회로기판(30)에서 측정되어 출력되는 신호, 즉 차량용 배터리의 전류, 전압, 온도 측정치에 대한 신호에 기초하여 발전기 등의 기타 장치(미도시)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차량 컨트롤러는 본 발명의 차량용 배터리 센서에서 측정된 차량용 배터리의 전류, 전압, 온도에 따라 차량용 배터리의 용량이 부족한 경우 발전기를 작동시켜 차량용 배터리 전원을 충전하고, 충전 용량이 채워졌을 경우 발전기를 정지시켜 차량용 배터리의 방전 및 과충전을 방지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미널 부재(50)는 상기 션트 저항(20) 중에서 상기 하우징(40)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22)과 체결 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션트 저항(20)의 노출된 부분(22)과 상기 터미널 부재(50)는 볼트-너트 결합에 의해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터미널 부재(50)는 상기 볼트-너트 결합시에 상기 션트 저항(20)과 상기 터미널 부재(50) 간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터미널 부재(50)로부터 돌출 또는 절곡되어 상기 션트 저항(20)의 노출된 부분(22)과 맞물리는 스토퍼(51)를 포함한다.
도 2a는 터미널 부재(50)와 연결된 케이블(55) 및 고정 부재(54)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케이블(55)은 동선 및 피복(절연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기 신호 전달하는 전도체이고, 고정 부재(54)는 케이블(55)과 연결되며 차량의 샤시(도 2c의 5)와 조립된다. 케이블(55)은 그 양단이 각각 터미널 부재(50)의 결착부(501) 및 고정 부재(54)의 결착부(541)와 각각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터미널 부재(50)부터 고정 부재(54)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터미널 부재(50), 케이블(55) 및 고정 부재(54)는 접지선의 역할을 하면서 차량의 샤시(5)까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보면, 배터리의 음극 포스트에서 유출되는 전류는 클램프 부재(10), 션트 저항(20), 터미널 부재(50), 케이블(55) 및 고정 부재(54)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차량의 샤시(5), 즉 그라운드(ground)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도 2c는 케이블(55)과 연결된 고정 부재(54)를 차량의 샤시(5)에 고정하는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고정 부재(54)의 볼트 체결공(56)은 상기 차량의 샤시(5)에 형성된 나사공(6)과 체결구(미도시 됨)에 의해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 과정에서, 상기 고정 부재(54)가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고정 부재(54)에는 스토퍼(52)가 돌출 또는 절곡 형성된다. 이를 위해, 스토퍼(52)는 차량의 샤시(5) 일측에 형성된 홈(8)에 끼워질 수 있다.
도 3a는 도 1c와 같이 지능형 배터리 센서(100)에서 하우징(40)을 제거하고 다른 각도에서 내부를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클램프 부재(10)의 단차부(15)와 접합된 션트 저항(20)은 복수의 접촉점에서 회로기판(30)과 복수의 연결핀(32a, 32b, 32c)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연결핀(32a, 32b, 32c)의 일단은 상기 션트 저항(20)의 복수의 접촉점에 접촉되고 상기 복수의 연결핀(32a, 32b, 32c)의 타단은 상기 회로기판(30)에 고정된다. 상기 복수의 접촉점과 연결핀의 개수는 서로 동일하며 그 개수는 2개 이상이다. 예를 들어, 2개의 점촉점은 그 양단에 흐르는 전류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나머지 1개의 접촉점은 접지(ground)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촉점의 개수가 3개인 것으로 예시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하지는 않으며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그 개수는 2개, 3개 또는 그 이상으로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연결핀(32a, 32b, 32c)의 일단은 상기 션트 저항(20)의 복수의 접촉점에서 솔더에 의해 용접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연결핀(32a, 32b, 32c)의 타단은 상기 회로기판(30)에 프레스 핏(press-fit) 결합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회로기판(30)은 차량 컨트롤러(미도시 됨)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접속핀(31)과, 상기 션트 저항(20)의 복수의 접촉점과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연결핀(32a, 32b, 32c)을 구비한다. 이 때, 접속핀(3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인서트 사출에 의해 하우징(4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나머지 단부는 회로기판(30)과는 프레스 핏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연결핀(32a, 32b, 32c)의 일단, 즉 절곡된 단부는 션트 저항(20)과 용접에 의해 연결되는 반면에, 반대쪽 단부는 회로기판(30)과 프레스 핏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프레스 핏 이외에도 스냅 핏(snap-fit)이나 기타의 결합 방식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술한 도 3a 및 도 3b에서는 연결핀(32a, 32b, 32c)의 절곡된 단부는 션트 저항(20)과 용접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회로기판(30)과의 결합과 마찬가지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션트 저항(20)에 프레스 핏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용접 공정이 생략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프레스 핏 결합을 위해 션트 저항(20)에 결합홈을 가공하는 공정이 더 필요할 것이다.
도 4a는 하우징(40)을 접속핀(31)이 보이는 방향으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상기 하우징(40)은 몇 개의 섹션, 예를 들어 몸체부(42), 소켓부(43) 및 하우징 커버(44)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몸체부(42)는 클램프 부재(10), 션트 저항(20) 및 상기 회로기판(30)을 감싸서 보호하는 수용 공간이다. 이러한 몸체부(42)는 일면이 개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수용한 후에 하우징 커버(44)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우징 커버(44)는 몸체부(42)와 레이저 융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켓부(43)는 회로기판(30)의 입출력 단자인 접속핀(31)을 수용하며 외부의 커넥터를 삽입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 4b는 하우징(40)에서 하우징 커버(44)를 제거하고 몸체부(42)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몸체부(42)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형성된 부분과 나머지 회로기판(3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 사출에 의해 형성된 부분과 상기 수용 공간 사이에는 격벽(4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회로기판(30)과 션트 저항(20)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격벽(423)에는 하나 이상의 윈도우(window)(424, 42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윈도우(424, 425)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과 션트 저항(20) 간에 연통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몸체부(42)의 격벽(423)에는 회로기판(30)이 상기 몸체부(42)의 하면에서 이격될 수 있도록 내측을 향하여 융기된 복수의 안착 리브(422)가 형성되어 있다.
도 4c는 도 4b에서 연결핀(32a, 32b, 32c)과 접속핀(31)을 추가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접속핀(31)은 하우징(40)의 몸체부(42)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연결핀(32a, 32b, 32c)은 션트 저항(20)과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도 4d는 도 4c에서 회로기판(30)을 추가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e는 도 4d에서 몸체부(42)의 일부를 절개하고 내부를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d 및 도 4e를 참조하면, 도 4c에서 도시된 연결핀(32a, 32b, 32c) 및 접속핀(31)의 단부는 회로기판(30)과 프레스 핏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 때, 회로기판(30)은 복수의 안착 리브(422)에 접촉하면서 안착되기 때문에, 몸체부(42)의 격벽(423)과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이격된다. 따라서, 회로기판(30)의 표면에 실장된 전자부품, 와이어 등과 격벽(423)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회로기판(30)을 몸체부(42)에 안착시킬 때 연결핀(32a, 32b, 32c) 및 접속핀(31)의 단부가 적절한 위치에서 회로기판(30)과 프레스 핏 결합될 수 있으므로 전기적인 연결을 확실히 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30)을 몸체부(42)에 안착시키는 동안 연결핀(32a, 32b, 32c)이나 접속핀(31)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f는 도 4d에서 몸체부(42)를 하우징 커버(44)로 폐쇄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d에서 회로기판(30)의 설치 이후에는 하우징 커버(44)를 몸체부(42)에 결합함으로써 몸체부(42)는 폐쇄 상태가 된다. 이러한 결합은 예를 들어 레이저 융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a는 하우징 커버(44)가 몸체부(42)를 폐쇄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하우징 커버(44)를 내면 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5c는 하우징 커버(44) 중에서 수밀 돌기(441)의 형상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하우징 커버(44)는 상기 하우징 커버(44)로부터 상기 몸체부(42)를 향하여 하방으로 돌출된 수밀 돌기(441)를 포함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부(42)에는 상기 수밀 돌기(441)에 대응하여 형성된 리세스(4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세스(421)와 대향하는 상기 수밀 돌기(441)의 내면에는 상기 수밀 돌기(441)가 돌출된 방향을 따라 연장된 벤트 홈(vent grove, 442)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하우징 커버(44)가 몸체부(42)에 레이저 융착에 의해 결합될 때, 외부로부터 하우징(40)의 내부로 액체나 먼지가 유입되는 것은 방지하면서 상기 하우징(40)의 내부 및 외부 간에 공기가 연통되는 것은 허용한다. 이는 하우징(40) 내에서 가열 팽창된 공기가 하우징(4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채널을 형성함으로써 하우징(40)의 열팽창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6a는 하우징(40)의 몸체부(42)의 외부에서 션트 저항(20)의 접합단부(25)에 접근할 수 있는 관통홀(41a)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하우징(40)의 몸체부(42)의 외부에서 클램프 부재(10)의 단차부(15)에 접근할 수 있는 관통홀(41b)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와 같이 하우징(40)의 몸체부(42)의 양측면에, 상기 클램프 부재(10) 및 상기 션트 저항(20)이 접합된 위치에 관통홀(41a, 41b)을 형성하는 것은 인서트 사출시, 상호 접합되어 있는 클램프 부재(10) 및 션트 저항(20)을 외부에서 견고히 그립(grip)할 수 있도록 공간을 허용한다. 상기 인서트 사출시에 클램프 부재(10) 및 상기 션트 저항(20)의 조립체가 움직이게 되면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조립체를 제 위치에 정확히 잡아주기 위함이다.
도 7a는 션트 저항(20)의 노출된 부분(22)과 터미널 부재(도 7a에서는 미도시 됨)를 볼트(60)-너트(65) 결합에 의해 체결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에서 볼트(60)만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볼트-너트 결합시에 사용되는 볼트(60)는 볼트 헤드(61)와, 너트(65)에 결합되는 스크류(62)를 포함한다.
또한, 볼트(60)는 상기 볼트-너트 결합시에 상기 볼트(60)가 상기 션트 저항(20)을 압입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62)와 연결되는 상기 볼트 헤드(61)의 내면측에 반경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부(63)는 소정의 각도마다 반경방향으로 즉,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부(63)는 볼트(60)를 너트(65)와 체결할 때 체결력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연성 재질로 된 션트 저항(20)을 압입하면서 소성 변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볼트(60)와 너트(65) 체결 후에 의도하지 않는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도 7c와 같이, 션트 저항(20)에 형성된 볼트 체결공(23)의 주변에 적어도 하나의 안착홈(24)을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안착홈(24)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63)에 대응하는 형상 및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 장비를 통해 볼트(60)로 션트 저항(20)과 터미널 부재(50)를 체결한다고 할 때, 볼트(60)의 돌기부(63)가 션트 저항(20)을 압입하게 된다. 이 때, 볼트(60)와 션트 저항(20)가 정확한 위치에서의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고 그 위치가 조금 어긋나거나 압입이 제대로 되지 않아서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볼트(60)의 돌기부(63) 및 션트 저항(20)의 안착홈(24)의 조합에 따르면 이러한 불량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제공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션트 저항(20) 및 하우징(40)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인서트 사출에 의해 션트 저항(20)이 하우징(40) 내에 견고하게 장착된 후에는 션트 저항(20)이 하우징(40)으로부터 이탈되는 일이 없어야 한다. 그러나, 터미널 부재(50)와의 체결을 위해 션트 저항(26)의 일부가 하우징(40)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인하여, 인서트 사출에 일부 결함이 있는 경우에는 인서트 사출 후에도 션트 저항(26)이 하우징(40)으로부터 빠져나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션트 저항(20)은, 일 에지(27)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 사출 후에 상기 션트 저항(20)이 상기 하우징(4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장부(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26)는 인서트 사출 후에는 하우징(40) 내부로 돌출 안착되어 있기 때문에 만약 션트 저항(20)을 도 8의 우측으로 당기더라도 상기 연장부(26)로 인하여 션트 저항(20)이 하우징(4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배터리 센서(100)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지능형 배터리 센서(100)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배터리 센서(100)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은 크게, 접합 단계, 하우징 생성 단계, 핀 연결 단계 및 터미널 체결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합 단계에서, 상기 클램프 부재(10)는 상기 션트 저항(20)에 면접촉하면서 접합된다. 이 때, 이러한 클램프 부재(10)와 션트 저항(20) 간의 접합은 브레이징(brazing) 공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생성 단계에서, 상기 접합된 클램프 부재(10)와 상기 션트 저항(20)은 인서트 사출을 통해 상기 하우징(40)이 생성된다. 이러한 하우징 생성 단계에서, 상기 회로기판(30)과 차량 컨트롤러 간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연결하는 접속핀(31)을, 상기 클램프 부재(10) 및 상기 션트 저항(20)과 함께 인서트 사출할 수도 있다.
상기 핀 연결 단계에서, 상기 션트 저항(20) 내의 복수의 접촉점과 상기 회로 기판 간은 복수의 연결핀(32a, 32b, 32c)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핀 연결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연결핀(32a, 32b, 32c)의 일단을 상기 션트 저항(20)의 복수의 접촉점에 용접하거나 프레스 핏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연결핀(32a, 32b, 32c)의 타단을 상기 회로기판(30)에 프레스 핏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 체결 단계에서, 션트 저항(20) 중에서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부분(22)과 상기 터미널 부재(50)는 체결구에 의해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 방식은 볼트-너트 결합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클램프 부재(10), 상기 션트 저항(20) 및 상기 회로기판(30)을 상기 하우징(40) 내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40)의 하우징 커버(44)를 레이저 융착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폐쇄함으로써, 지능형 배터리 센서(100)의 제조 공정이 마무리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0: 클램프 부재 13: 플랜지
15: 단차부 20: 션트 저항
21a, 21b, 21c: 복수의 접촉점 22: 노출된 부분
23, 53, 56: 볼트 체결공 24: 안착홈
25: 접합단부 26: 연장부
30: 회로기판 31: 접속핀
32a, 32b, 32c: 연결핀 40: 하우징
41: 관통홀 42: 몸체부
421: 리세스 422: 안착 리브
423: 격벽 424, 425: 윈도우
43: 소켓부 44: 하우징 커버
441: 수밀 돌기 442: 벤트 홈
50: 터미널 부재 51, 52: 스토퍼
54: 고정 부재 55: 케이블
60: 볼트 61: 볼트 헤드
62: 스크류 63: 돌기부
65: 너트 100: 지능형 배터리 센서

Claims (25)

  1. 배터리의 일극에 접속되는 클램프 부재;
    상기 클램프 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면접촉하면서 접합되는 션트 저항;
    상기 션트 저항 내의 복수의 접촉점 사이에서의 전압, 상기 복수의 접촉점 사이를 흐르는 전류 및 상기 복수의 접촉점에서의 온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회로기판;
    상기 클램프 부재, 상기 션트 저항 및 상기 회로기판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션트 저항 중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과 체결되는 터미널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클램프 부재 및 상기 션트 저항은 함께 인서트 사출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배터리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부재와 상기 션트 저항은 브레이징(brazing) 공법에 의해 서로 접합되는, 지능형 배터리 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회로기판과 차량 컨트롤러 간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연결하는 접속핀을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 사출시에 상기 접속핀은 상기 클램프 부재 및 상기 션트 저항과 함께 사출되는, 지능형 배터리 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인서트 사출시에 상기 클램프 부재 및 상기 션트 저항을 외부에서 잡아줄 수 있도록 상기 클램프 부재 및 상기 션트 저항이 접합된 위치에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하는, 지능형 배터리 센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클램프 부재, 상기 션트 저항 및 상기 회로기판을 감싸서 보호하는 몸체부;
    상기 접속핀을 수용하는 소켓부; 및
    상기 몸체부를 외부로부터 폐쇄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하는, 지능형 배터리 센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몸체부와 융착에 의해 결합 또는 접합되는, 지능형 배터리 센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하우징 커버로부터 상기 몸체부를 향하여 하방으로 돌출된 수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수밀 돌기에 대응하여 형성된 리세스를 포함하는, 지능형 배터리 센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와 대향하는 상기 수밀 돌기의 내면에는 상기 수밀 돌기가 돌출된 방향을 따라 연장된 벤트 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액체나 먼지가 유입되는 것은 방지하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및 외부 간에 공기가 연통되는 것은 허용하는, 지능형 배터리 센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회로기판이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서 이격될 수 있도록 내측을 향하여 융기된 적어도 하나의 안착 리브가 형성되는, 지능형 배터리 센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션트 저항의 복수의 접촉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핀의 일단은 상기 션트 저항의 복수의 접촉점에 접촉되고 상기 복수의 연결핀의 타단은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지능형 배터리 센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촉점은 3개 이상의 지점인, 지능형 배터리 센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핀의 일단은 상기 션트 저항의 복수의 접촉점에 용접되고, 상기 복수의 연결핀의 타단은 상기 회로기판에 프레스 핏 결합되는, 지능형 배터리 센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션트 저항의 노출된 부분과 상기 터미널 부재는 볼트-너트 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지능형 배터리 센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너트 결합시에 사용되는 볼트는 볼트 헤드와, 너트에 결합되는 스크류를 포함하되,
    상기 볼트-너트 결합시에 상기 볼트가 상기 션트 저항을 압입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와 연결되는 상기 볼트 헤드의 내면측에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지능형 배터리 센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션트 저항은 상기 볼트가 체결되는 볼트 체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션트 저항 중에서 상기 볼트 체결공 주변으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안착홈이 형성되는, 지능형 배터리 센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부재는 상기 볼트-너트 결합시에 상기 션트 저항과 상기 터미널 부재 간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터미널 부재로부터 돌출 또는 절곡되어 상기 션트 저항의 노출된 부분과 맞물리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지능형 배터리 센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부재는, 차량의 일측까지 연장되어 접지선 역할을 하는 케이블과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의 연장된 단부에는 상기 케이블을 차량의 일측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형성되는, 지능형 배터리 센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차량의 일측과 체결구에 의해 결합할 때 상기 고정 부재가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돌출 또는 절곡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지능형 배터리 센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션트 저항은
    상기 션트 저항의 일 에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 사출 후에 상기 션트 저항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지능형 배터리 센서.
  20. 제1항에 기재된 지능형 배터리 센서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클램프 부재를 상기 션트 저항에 면접촉하면서 접합하는 단계;
    상기 접합된 클램프 부재와 상기 션트 저항을 인서트 사출하여 상기 하우징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션트 저항 내의 복수의 접촉점과 상기 회로 기판 간을 복수의 연결핀에 의해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션트 저항 중에서 상기 노출된 부분과 상기 터미널 부재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하는 단계는
    상기 클램프 부재와 상기 션트 저항을 브레이징(brazing) 공법에 의해 서로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회로기판과 차량 컨트롤러 간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연결하는 접속핀을, 상기 인서트 사출시에 상기 클램프 부재 및 상기 션트 저항과 함께 인서트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핀에 의해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연결핀의 일단을 상기 션트 저항의 복수의 접촉점에 용접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연결핀의 타단을 상기 회로기판에 프레스 핏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부재, 상기 션트 저항 및 상기 회로기판을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한 상태에서, 하우징 커버를 레이저 융착에 의해 상기 하우징과 결합 또는 접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하는 단계는
    상기 션트 저항 중에서 상기 노출된 부분과 상기 터미널 부재를 볼트-너트 결합에 의해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KR1020200066815A 2020-06-03 2020-06-03 지능형 배터리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2415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815A KR102415527B1 (ko) 2020-06-03 2020-06-03 지능형 배터리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815A KR102415527B1 (ko) 2020-06-03 2020-06-03 지능형 배터리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990A true KR20210149990A (ko) 2021-12-10
KR102415527B1 KR102415527B1 (ko) 2022-07-01

Family

ID=78865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815A KR102415527B1 (ko) 2020-06-03 2020-06-03 지능형 배터리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52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0610A (ja) * 2010-03-30 2011-10-2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バッテリー状態検知センサ
KR20150014218A (ko) * 2013-07-29 2015-02-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센서 모듈의 결합구조
KR20170014799A (ko) * 2015-07-31 2017-02-08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배터리 센서 어셈블리용 센싱 모듈의 결합 구조
KR20180000922U (ko) * 2016-09-26 2018-04-04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엘 일렉트로닉스 배터리 센서 어셈블리
KR101890618B1 (ko) 2012-07-09 2018-08-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클램프 터미널 및 클램프 터미널을 구비한 배터리 센서 모듈
KR20180100217A (ko) * 2016-03-24 2018-09-07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하우징용 커버, 배터리 센서 및 배터리 센서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0610A (ja) * 2010-03-30 2011-10-2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バッテリー状態検知センサ
KR101890618B1 (ko) 2012-07-09 2018-08-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클램프 터미널 및 클램프 터미널을 구비한 배터리 센서 모듈
KR20150014218A (ko) * 2013-07-29 2015-02-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센서 모듈의 결합구조
KR20170014799A (ko) * 2015-07-31 2017-02-08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배터리 센서 어셈블리용 센싱 모듈의 결합 구조
KR20180100217A (ko) * 2016-03-24 2018-09-07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하우징용 커버, 배터리 센서 및 배터리 센서의 제조 방법
KR20180000922U (ko) * 2016-09-26 2018-04-04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엘 일렉트로닉스 배터리 센서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5527B1 (ko) 202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8710B2 (en) Electrical device
CN110034254B (zh) 电池模块印刷电路板组装系统和方法
US5057650A (en) Molded circuit component unit for connecting lead wires
EP2916394B1 (en) Connector
US8305034B2 (en) Battery monitoring system
JP5068544B2 (ja) 保護回路基板を含む一体化タイプのキャップ組立品及びこれを含む二次電池
US7789696B2 (en) Waterproof case for electrical apparatus
US20180261810A1 (en) Cover element of a battery module housing, battery module having such a cover elemen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battery
JPS62287542A (ja) 電気ヒユ−ズ
EP1692734A1 (en) Pcm mold and battery having the same
KR100910883B1 (ko) 차량용 배터리 센서의 제조 방법
KR102327471B1 (ko) 접속 장치 및 전기 모터
KR20120017001A (ko) 테스트 접점을 구비한 정션 박스
US8064191B2 (en) Capacitor uni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374381B1 (ko) 차량용 전류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20190369143A1 (en) Current sensor
US20210359368A1 (en) Battery assembly
EP0709910A1 (en) Connection arrangement for battery monitoring circuits
KR20150046145A (ko) 인버터
KR102415527B1 (ko) 지능형 배터리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CN210008070U (zh) 一种传感器
US4389471A (en) Electric storage batteries
CN217768829U (zh) 汽车及其电线连接器
US20240213857A1 (en) Inverter arrangement for an electric machine,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verter arrangement
JP2000348836A (ja) 三分岐型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