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9658A - 3d 투어 내에서 실제 거리 측정 방법 및 그를 위한 3d 투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3d 투어 내에서 실제 거리 측정 방법 및 그를 위한 3d 투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9658A
KR20210149658A KR1020210165452A KR20210165452A KR20210149658A KR 20210149658 A KR20210149658 A KR 20210149658A KR 1020210165452 A KR1020210165452 A KR 1020210165452A KR 20210165452 A KR20210165452 A KR 20210165452A KR 20210149658 A KR20210149658 A KR 20210149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distance
tour
image data
poi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5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0488B1 (ko
Inventor
김켄
정지욱
나다나엘 케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0142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10061231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아이
Publication of KR20210149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9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06T7/55Depth or shape recovery from multiple images
    • G06T7/557Depth or shape recovery from multiple images from light fields, e.g. from plenoptic camer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wo or more coordin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28Range image; Depth image; 3D point clou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투어의 실제 거리 측정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 3D 투어의 실제 거리 측정 방법은, 실내의 복수의 지점에서 각각 360도로 촬영하여 저장된 복수의 360도 이미지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생성된 3D 투어(tour)를 제공하는 3D 투어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거리 측정 방법으로서, 사용자에게 어느 일 지점에서의 360도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측정 거리의 종류를 수평 거리 및 수직 거리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360도 이미지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선택된 제1 지점을 시작 지점으로서 설정하는 단계, 상기 360도 이미지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선택된 제2 지점을 종료 지점으로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거리의 종류에 따라 측정 방식을 다르게 설정하여, 상기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종료지점까지의 측정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3D 투어 내에서 실제 거리 측정 방법 및 그를 위한 3D 투어 시스템 {Method for measuring Real length in 3D tour and 3D tour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3D 투어 내에서 특정 물체에 대한 실제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3D 공간을 기록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공간을 전방위 360도 방면으로 촬영하여 360도 이미지 형태로 저장하고, 각각의 위치에 대한 360도 이미지를 연결하여 3D 투어의 형태로 만드는 방법이다.
이러한 3D 투어는 가상 현실 뷰어(Virtual Reality viewer; VR viewer)를 통해서 시각적으로 사용자가 감상할 수 있다. 다만, 3D 투어는 어디까지나 사용자의 위치에서 가상으로 이미지를 확인하는 방법이므로 실제의 길이가 사실적으로 반영되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가 3D 투어를 통해서 반영된 공간의 실제 길이 등을 고려하여 인테리어, 가구 배치 등을 구상하기 위해서는 3D 투어 내에서 즉, 360도 이미지 내에서 실제로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3D 투어에 포함된 360도 이미지에 대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2개의 지점 사이의 실제 길이를 용이하게 측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투어의 실제 거리 측정 방법은, 실내의 복수의 지점에서 각각 360도로 촬영하여 저장된 복수의 360도 이미지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생성된 3D 투어(tour)를 제공하는 3D 투어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거리 측정 방법으로서, 사용자에게 어느 일 지점에서의 360도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측정 거리의 종류를 수평 거리 및 수직 거리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360도 이미지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선택된 제1 지점을 시작 지점으로서 설정하는 단계, 상기 360도 이미지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선택된 제2 지점을 종료 지점으로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거리의 종류에 따라 측정 방식을 다르게 설정하여, 상기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종료지점까지의 측정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투어 시스템은, 실내의 복수의 지점에서 각각 360도로 촬영하여 저장된 복수의 360도 이미지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생성된 3D 투어(tour)를 제공하는 3D 투어 시스템으로서, 메모리, 상기 메모리와 작동적으로(operatively)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사용자에게 어느 일 지점에서의 360도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측정 거리의 종류를 수평 거리 및 수직 거리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상기 360도 이미지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선택된 제1 지점을 시작 지점으로서 설정하고, 상기 360도 이미지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선택된 제2 지점을 종료 지점으로서 설정하고, 상기 측정 거리의 종류에 따라 측정 방식을 다르게 설정하여, 상기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종료지점까지의 측정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D 투어의 실제 거리 측정 방법은, 3D 투어 내에서 각각의 지점에 대한 실제 거리를 측정하여 가상 현실에서 실제 공간에 대한 데이터를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효과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효과를 쉽게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투어의 실제 거리 측정 방법이 적용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투어의 실제 거리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투어의 실제 거리 측정 방법의 측정할 실제 거리의 종류를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수평 거리를 선택할 경우 실제 거리를 측정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투어의 실제 거리 측정 방법의 수평 거리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3에서 수직 거리를 선택할 경우 실제 거리를 측정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투어의 실제 거리 측정 방법의 수직 거리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투어의 실제 거리 측정 방법의 측정된 거리의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3D 투어'는 복수의 지점에서 각각 360도로 촬영하여 저장된 이미지(예컨데, 파노라마 이미지)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3D 투어'는 각각의 이미지가 촬영된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위치정보는 평면도 상에 매핑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투어 내에서 실제 거리 측정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투어의 실제 거리 측정 방법이 적용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투어의 실제 거리 측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3D 투어 시스템(100)이 구비된다.
3D 투어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120), 및 메모리(1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110)를 포함한다.
이때, 메모리(120)에는 복수의 시점에 촬영된 복수의 3D 투어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3D 투어는, 촬영시점(예를 들어, 촬영날짜), 촬영시점에 촬영된 복수의 360도 촬영 이미지, 각각의 촬영 이미지에 대한 촬영위치의 좌표, 및 해당 좌표가 매핑된 평면도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에는 3D 투어의 실제 거리 측정 방법의 알고리즘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해당 알고리즘의 수행주체가 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는 3D 투어의 실제 거리 측정 방법을 위한 다양한 중간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사용자가 지정한 2개의 지점의 위치, 측정되는 거리의 종류(수평거리, 수직거리) 및 이미 측정된 실제 거리의 값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3D 투어 시스템(100)은 복수의 360도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360도 이미지 데이터 내에서의 2개의 지점 사이의 실제 거리를 계산하고 표시할 수 있다. 또한, 3D 투어 시스템(100)은 측정한 실제 거리를 이용하여 실제 면적 또한 계산하고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부가적으로, 프로세서(110)는 3D 투어 시스템(100)의 구현 예에 따라, CPU, 모바일 프로세서 등 다양한 명칭으로 명명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위해 프로세서가 접근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저장장치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하드웨어적 구현 예에 따라 메모리(120)는 어느 하나의 저장장치가 아니라 복수의 저장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20)는 주기억장치 뿐만 아니라, 임시기억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2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구현되는 모든 형태의 정보저장 수단을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3D 투어 시스템(100)은 실시예에 따라 웹 서버, 컴퓨터, 모바일 폰, 태블릿, TV, 셋탑박스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도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3D 투어 시스템(100)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주변장치들(예를 들어, 주변장치-1(131) 내지 주변장치-N(13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3D 투어 시스템(100)은 키보드, 모니터, 그래픽 카드, 통신장치 등은 주변장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3D 투어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3D 투어의 실제 거리 측정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투어의 실제 거리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투어의 실제 거리 측정 방법은, 측정할 실제 거리의 종류를 수신한다(S10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투어의 실제 거리 측정 방법의 측정할 실제 거리의 종류를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3D 투어는 360도 이미지 데이터(I_360)를 화면에 표시함으로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360도 이미지 데이터(I_360) 내의 실제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측정창(MW)을 생성시킬 수 있다. 측정창(MW)은 사용자의 클릭에 의해서 또는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투어의 실제 거리 측정 방법은 측정창(MW)을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방향을 입력받을 수 있다. 측정창(MW)은 화면 상에 생성될 수 있다. 측정창(MW)에 의해서 화면에 표시되는 3D 투어의 360도 이미지 데이터(I_360)는 일부분이 가려질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측정창(MW)은 방향 버튼(DB)을 포함할 수 있다. 방향 버튼(DB)은 수평 버튼(HB) 및 수직 버튼(VB)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할 실제 거리 종류는 수평 거리 및 수직 거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3D 투어 내에서 수평 거리와 수직 거리 중 어느 것을 측정할 것인지를 먼저 사용자에게 입력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수평 버튼(HB) 및 수직 버튼(VB) 중 어느 하나를 누름으로서 측정할 실제 거리가 수평 거리인지 수직 거리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측정창(MW)은 삭제 버튼(Del)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추후에 360도 이미지 데이터(I_360)에 표시된 측정치를 삭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투어의 실제 거리 측정 방법은 얼마든지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측정할 실제 거리의 종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우선, 이하에서는 S100 단계에서 수평 거리를 선택한 경우를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1 지점을 수신한다(S200).
도 4는 도 3에서 수평 거리를 선택할 경우 실제 거리를 측정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투어의 실제 거리 측정 방법의 수평 거리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수평 거리를 측정할 두 지점 중 하나인 제1 지점(P1, A)을 먼저 수신한다.
*3D 투어는 여러 360도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360도 이미지 데이터는 구형 도메인(sphere domai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형 도메인은 x축(x), y축(y) 및 z축(z)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x축(x), y축(y) 및 z축(z)은 서로 수직한 즉, 서로 오소고날(orthogonal)한 방향의 축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구형의 원점은 촬영 카메라(C)의 위치일 수 있다. 상기 360도 이미지 데이터는 바닥 평면(F)(floor plane)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 평면(F)은 상기 360도 이미지 데이터에서 실제 바닥면에 대응하는 부분일 수 있다. 바닥 평면(F)은 촬영 카메라(C) 위치가 평면에 수직하게 정사영된 평면 원점(O)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 원점(O)은 촬영 카메라(C)에서 카메라 높이(CamHeight)만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수평 거리는 바닥 평면(F) 상의 두 지점 즉, 제1 지점(P1, A) 및 제2 지점(P2, B) 사이의 수평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두 지점 중 먼저 제1 지점(P1, A)을 지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투어의 실제 거리 측정 방법에서 사용자는 360도 이미지 데이터의 바닥면의 한 지점을 먼저 클릭 등의 방법으로 제1 지점(P1, A)으로 지정하여 입력할 수 있다.이를 통해서, 제1 지점(P1, A)이 선택될 수 있다.
이 때, 제1 지점(P1, A)은 도 1의 3D 투어 시스템(100)에 의해서 3차원 좌표 즉, x좌표, y좌표 및 z좌표가 계산될 수 있다. 제1 지점(P1, A)은 바닥 평면(F)의 한 지점이므로 y좌표는 바닥 평면(F)의 y좌표와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2 지점을 수신한다(S300).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수평 거리를 측정할 두 지점 중 나머지 지점인 제2 지점(P2, B)을 이어서 수신한다.
사용자는 제1 지점(P1, A)과 다른 제2 지점(P2, B)을 지정할 수 있다. 물론, 제1 지점(P1, A)과 같은 지점으로 제2 지점(P2, B)을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 거리가 0이 되므로 의미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지점(P1, A)과 다른 제2 지점(P2, B)을 지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투어의 실제 거리 측정 방법에서 사용자는 360도 이미지 데이터(I_360)의 바닥면의 다른 한 지점을 클릭 등의 방법으로 지정하여 제2 지점(P2, B)을 입력할 수 있다.이를 통해서, 제2 지점(P2, B)이 선택될 수 있다.
이 때, 제2 지점(P2, B)은 도 1의 3D 투어 시스템(100)에 의해서 3차원 좌표 즉, x좌표, y좌표 및 z좌표가 계산될 수 있다. 제2 지점(P2, B)은 바닥 평면(F)의 한 지점이므로 y좌표는 바닥 평면(F)의 y좌표와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의 실제 거리를 계산한다(S400).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제1 지점(P1, A)과 제2 지점(P2, B)의 y좌표는 서로 동일하므로, 각각 x좌표와 z좌표의 차이를 이용하여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즉, 하기의 수학식1에 따라 실제 거리가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1]
실제 거리 =√[(제1 지점(P1, A)의 x좌표 - 제2 지점(P2, B)의 x좌표)2 + (제1 지점(P1, A)의 z좌표 - 제2 지점(P2, B)의 z좌표)2]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측정한 실제 거리를 표시한다(S500).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실제 거리(Dt)가 360도 이미지 데이터(I_360) 내에서 표시될 수 있다. 실제 거리(Dt)는 삭제 버튼(Del)에 의해서 삭제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S100 단계에서 수직 거리를 선택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1 지점을 수신한다(S200).
도 6은 도 3에서 수직 거리를 선택할 경우 실제 거리를 측정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투어의 실제 거리 측정 방법의 수직 거리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수직 거리를 측정할 두 지점 중 하나인 제1 지점(P1, A)을 먼저 수신한다.
*상기 수직 거리는 바닥 평면(F) 상의 제1 지점(P1, A)과 바닥 평면(F) 상이 아닌 제2 지점(P2, B) 사이의 수직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두 지점 중 먼저 바닥 평면(F) 상의 제1 지점(P1, A)을 지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투어의 실제 거리 측정 방법에서 사용자는 360도 이미지 데이터의 바닥면의 한 지점을 먼저 클릭 등의 방법으로 제1 지점(P1, A)으로 지정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지점(P1, A)이 선택될 수 있다.
이 때, 제1 지점(P1, A)은 도 1의 3D 투어 시스템(100)에 의해서 3차원 좌표 즉, x좌표, y좌표 및 z좌표가 계산될 수 있다. 제1 지점(P1, A)은 바닥 평면(F)의 한 지점이므로 y좌표는 바닥 평면(F)의 y좌표와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2 지점을 수신한다(S300).
구체적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수직 거리를 측정할 두 지점 중 나머지 지점인 제2 지점(P2, B)을 이어서 수신한다.
사용자는 제1 지점(P1, A)과 다른 제2 지점(P2, B)을 지정할 수 있다. 물론, 제1 지점(P1, A)과 같은 지점으로 제2 지점(P2, B)을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 거리가 0이 되므로 큰 의미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지점(P1, A)과 다른 제2 지점(P2, B)을 지정할 수 있다.
제1 지점(P1, A)과 제2 지점(P2, B)을 잇는 직선은 바닥 평면(F)과 수직할 수 있다. 즉, 바닥 평면(F)의 법선 벡터와 제1 지점(P1, A)과 제2 지점(P2, B)을 잇는 직선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 지점(P1, A)과 제2 지점(P2, B)을 잇는 직선이 바닥 평면(F)과 수직하도록 제2 지점(P2, B)을 지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투어의 실제 거리 측정 방법에서 사용자는 360도 이미지 데이터(I_360)의 바닥면의 다른 한 지점을 클릭 등의 방법으로 지정하여 제2 지점(P2, B)을 입력할 수 있다.이를 통해서, 제2 지점(P2, B)이 선택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투어의 실제 거리 측정 방법은 제2 지점(P2, B)으로 지정이 가능한 지점을 사용자가 제한적으로 선택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즉, 제1 지점(P1, A)과 제2 지점(P2, B)을 잇는 직선이 바닥 평면(F)과 수직하지 않는 제2 지점(P2, B)은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이 제한될 수 있다.
이 때, 제2 지점(P2, B)은 도 1의 3D 투어 시스템(100)에 의해서 3차원 좌표 즉, x좌표, y좌표 및 z좌표가 계산될 수 있다. 제2 지점(P2, B)은 제1 지점(P1, A)과 제2 지점(P2, B)을 잇는 직선은 바닥 평면(F)과 수직하므로 제2 지점(P2, B)의 x좌표 및 z좌표는 제1 지점(P1, A)의 x좌표 및 z좌표와 각각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의 실제 거리를 계산한다(S400).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제2 지점(P2, B)의 x좌표 및 z좌표는 제1 지점(P1, A)의 x좌표 및 z좌표는 서로 동일하므로, 각각 y좌표의 차이를 이용하여 실제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즉, 하기의 수학식2에 따라 실제 거리가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2]
실제 거리 = 절대값[(제1 지점(P1, A)의 y좌표 - 제2 지점(P2, B)의 y좌표)]
이 때, 중간점(D)은 제1 지점(P1, A) 및 제2 지점(P2, B)을 잇는 직선 상에 위치한 지점일 수 있다. 중간점(D)은 바닥 평면(F)에서 카메라 높이(CamHeight)만큼 이격된 지점일 수 있다.
이 때, 평면 원점(O)과 제1 지점(P1, A) 사이의 거리는 제1 지점(P1, A)의 좌표에 의해서 계산될 수 있고, 촬영 카메라(C)와 중간점(D) 사이의 거리는 평면 원점(O)과 제1 지점(P1, A) 사이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이 때, 선분 CB와 CD 사이의 각도(θ)는 도 1의 3D 투어 시스템(100)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 도 1의 3D 투어 시스템(100)은 구형 도메인의 각도 정보를 저장하여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서, 중간점(D) 및 제2 지점(P2, B) 사이의 거리는 촬영 카메라(C)와 중간점(D) 사이의 거리(DC)에 tan(θ)을 곱하여 구할 수 있다. 즉, 하기의 수학식3으로 중간점(D) 및 제2 지점(P2, B) 사이의 거리(DB)를 구할 수 있다.
[수학식3]
DB = DC tan(θ)
이어서, 제1 지점(P1, A)과 제2 지점(P2, B) 사이의 거리(AB)는 DB와 카메라 높이(CamHeight)의 합이므로 제1 지점(P1, A)과 제2 지점(P2, B) 사이의 거리가 최종적으로 계산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측정한 실제 거리를 표시한다(S500).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실제 거리(Dt)가 360도 이미지 데이터(I_360) 내에서 표시될 수 있다. 실제 거리(Dt)는 삭제 버튼(Del)에 의해서 삭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투어의 실제 거리 측정 방법의 측정된 거리의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술한 수직 거리(Dtv) 및 수평 거리(Dth)가 동시에 360도 이미지 데이터 내에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3D 투어의 실제 거리 측정 방법은, 3D 투어 내에서 각각의 지점에 대한 실제 거리를 측정하여 가상 현실에서 실제 공간에 대한 데이터를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3D 투어 시스템

Claims (10)

  1. 실내의 복수의 지점에서 각각 360도로 촬영하여 저장된 복수의 360도 이미지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생성된 3D 투어(tour)를 제공하는 3D 투어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거리 측정 방법으로서,
    사용자에게 어느 일 지점에서의 360도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측정 거리의 종류를 수평 거리 및 수직 거리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360도 이미지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선택된 제1 지점을 시작 지점으로서 설정하는 단계;
    상기 360도 이미지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선택된 제2 지점을 종료 지점으로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거리의 종류에 따라 측정 방식을 다르게 설정하여, 상기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종료지점까지의 측정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3D 투어에서의 거리 측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60도 이미지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선택된 제2 지점을 종료 지점으로서 설정하는 단계는,
    설정된 상기 측정 거리의 종류에 따라, 종료 지점으로 설정 가능한 복수의 지점들을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복수의 제2 지점으로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360도 이미지 데이터 중에서 상기 복수의 제2 지점 중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선택된 어느 한 제2 지점을 상기 종료 지점으로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3D 투어에서의 거리 측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360도 이미지 데이터는
    촬영 카메라를 원점으로 하는 구형 도메인을 포함하고, 상기 구형 도메인은 상기 촬영 카메라의 카메라 높이 만큼 수직하게 아래에 위치하는 바닥 평면을 포함하는,
    3D 투어에서의 거리 측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은 상기 바닥 평면 상의 한 지점인,
    3D 투어에서의 거리 측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거리의 종류가 상기 수직 거리이면,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제1 지점을 포함하는 상기 바닥 평면에 수직하는 직선 상의 한 점인,
    3D 투어에서의 거리 측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종료지점까지의 측정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 거리의 종류가 상기 수직 거리로 설정되면, 상기 바닥 평면 상의 원점으로부터 상기 제1 지점까지의 제1 직선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의 직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바닥 평면으로부터 카메라 높이만큼 이격된 중간 지점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구형 도메인의 각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원점으로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의 각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각도와 상기 제1 직선 거리를 기초로, 상기 중간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의 제2 직선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높이와 상기 제2 직선 거리를 가산한 값을, 상기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종료지점까지의 측정 거리로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3D 투어에서의 거리 측정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거리의 종류가 상기 수평 거리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2 지점도 상기 바닥 평면 상의 한 지점이고,
    상기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종료지점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바닥 평면 상에 존재하는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의 직선 거리를 상기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종료지점까지의 거리로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3D 투어에서의 거리 측정 방법.
  8. 실내의 복수의 지점에서 각각 360도로 촬영하여 저장된 복수의 360도 이미지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생성된 3D 투어(tour)를 제공하는 3D 투어 시스템으로서,
    메모리;
    상기 메모리와 작동적으로(operatively)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사용자에게 어느 일 지점에서의 360도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측정 거리의 종류를 수평 거리 및 수직 거리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상기 360도 이미지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선택된 제1 지점을 시작 지점으로서 설정하고,
    상기 360도 이미지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선택된 제2 지점을 종료 지점으로서 설정하고,
    상기 측정 거리의 종류에 따라 측정 방식을 다르게 설정하여, 상기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종료지점까지의 측정 거리를 계산하는,
    3D 투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설정된 상기 측정 거리의 종류에 따라, 종료 지점으로 설정 가능한 복수의 지점들을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복수의 제2 지점으로서 설정하고,
    상기 360도 이미지 데이터 중에서 상기 복수의 제2 지점 중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선택된 어느 한 제2 지점을 상기 종료 지점으로서 설정하는,
    3D 투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은 바닥 평면 상의 한 지점이고,
    상기 측정 거리의 종류가 상기 수직 거리이면,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제1 지점을 포함하는 상기 바닥 평면에 수직하는 직선 상의 한 점인,
    3D 투어 시스템.
KR1020210165452A 2019-11-19 2021-11-26 3d 투어 내에서 실제 거리 측정 방법 및 그를 위한 3d 투어 시스템 KR1025004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48227 2019-11-19
KR1020190148227 2019-11-19
KR1020200001428A KR20210061231A (ko) 2019-11-19 2020-01-06 3d 투어 내에서 실제 거리 측정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428A Division KR20210061231A (ko) 2019-11-19 2020-01-06 3d 투어 내에서 실제 거리 측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658A true KR20210149658A (ko) 2021-12-09
KR102500488B1 KR102500488B1 (ko) 2023-02-17

Family

ID=75980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5452A KR102500488B1 (ko) 2019-11-19 2021-11-26 3d 투어 내에서 실제 거리 측정 방법 및 그를 위한 3d 투어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00488B1 (ko)
WO (1) WO20211012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5545A (ko) * 2022-05-27 2023-12-05 주식회사 쓰리아이 이미지 내의 좌표들 간의 실제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5730A (ja) * 2007-07-06 2009-01-22 Location View:Kk 立体メジャー表示機能付き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立体メジャー表示機能付き画像表示のプログラム
JP2009229182A (ja) * 2008-03-21 2009-10-08 Acreeg Corp 画像上地物計測方法および表示法並びに計測装置
JP2013509665A (ja) * 2009-11-02 2013-03-14 アーカイオ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3次元および2次元デジタル画像を使用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3207745A (ja) * 2012-03-29 2013-10-07 Sharp Corp 画像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494B1 (ko) * 2011-11-25 2018-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특징점의 삼차원 위치 계산 장치 및 방법
KR101665399B1 (ko) * 2014-12-16 2016-10-13 이주성 실측을 통한 증강현실기반의 객체 생성장치 및 그 방법
JP2018105754A (ja) * 2016-12-27 2018-07-05 富士通株式会社 距離算出プログラム、流量測定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5730A (ja) * 2007-07-06 2009-01-22 Location View:Kk 立体メジャー表示機能付き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立体メジャー表示機能付き画像表示のプログラム
JP2009229182A (ja) * 2008-03-21 2009-10-08 Acreeg Corp 画像上地物計測方法および表示法並びに計測装置
JP2013509665A (ja) * 2009-11-02 2013-03-14 アーカイオ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3次元および2次元デジタル画像を使用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3207745A (ja) * 2012-03-29 2013-10-07 Sharp Corp 画像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eadCivil의 블로그, Measuring Height using Vertical Angle in Surveying.(2019.07.19.)* *
Zhongding Jiang 등, DISTANCE MEASUREMENT IN PANORAMA, ICIP2007.(2007.09.16.)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5545A (ko) * 2022-05-27 2023-12-05 주식회사 쓰리아이 이미지 내의 좌표들 간의 실제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0488B1 (ko) 2023-02-17
WO2021101213A1 (ko)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103844C (en) Method for reconstructing three-dimensional space scene based on photographing
US20200342660A1 (en) Virtual object placement for augmented reality
CN113240769B (zh) 空间链接关系识别方法及装置、存储介质
US7965304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CN111815755A (zh) 虚拟物体被遮挡的区域确定方法、装置及终端设备
US20150116691A1 (en) Indoor surveying apparatus and method
JP718297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osco et al. Augmented touch without visual obtrusion
WO2023029969A1 (zh) 图像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20085142A (ko) 확장현실 기반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2500488B1 (ko) 3d 투어 내에서 실제 거리 측정 방법 및 그를 위한 3d 투어 시스템
CN112669392B (zh) 一种应用于室内视频监控系统的地图定位方法及系统
CN116310062A (zh) 三维场景构建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7241812B2 (ja) 情報可視化システム、情報可視化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129362B (zh) 一种三维坐标数据的获取方法及装置
CN111161350B (zh) 位置信息及位置关系确定方法、位置信息获取装置
KR20220085150A (ko) 확장현실 기반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 및 방법
Liu et al. On the precision of third person perspective augmented reality for target designation tasks
US20220343661A1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presence of three-dimensional objects using images
KR20210061231A (ko) 3d 투어 내에서 실제 거리 측정 방법
Medien Implementation of a low cost marker based infrared optical tracking system
CN116128744A (zh) 消除图像畸变的方法、电子设备、存储介质及车辆
CN114596407A (zh) 资源对象三维模型生成交互方法和装置,显示方法和装置
CN113836337A (zh) Bim的展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2120135A1 (en) Collaborative augmented reality measurement system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