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9449A - 텐트 및 타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텐트 및 타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9449A
KR20210149449A KR1020200066503A KR20200066503A KR20210149449A KR 20210149449 A KR20210149449 A KR 20210149449A KR 1020200066503 A KR1020200066503 A KR 1020200066503A KR 20200066503 A KR20200066503 A KR 20200066503A KR 20210149449 A KR20210149449 A KR 20210149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tarp
tent
po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0344B1 (ko
Inventor
오완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니캠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니캠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유니캠프
Priority to KR1020200066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344B1/ko
Publication of KR20210149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9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2Pegs, stak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텐트 및 타프가 날아가지 않도록 바닥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텐트 및 타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금속재질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상측으로 확장가능한 폴대를 구비하는 폴대고정추; 및 금속재질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폴대고정추의 상면에 연속해서 적층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중량추;를 포함하며, 중량추는 폴대에 고정되는 폴대고정홀과, 상하방향으로 적층결합되도록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텐트 및 타프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tent or tarp}
본 발명은 텐트 및 타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텐트 또는 타프를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텐트 또는 타프가 날아가지 않고 안정적으로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텐트 및 타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캠핑을 갔을 때, 텐트를 설치해야 할 곳이 흙인 경우에, 개시된 한국등록특허 제10-1472048호를 이용하여 흙에 팩을 박은 후에 텐트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하지만, 바닥면이 흙인 아닌 돌인 경우에는 이러한 팩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팩을 바닥면에 박을 곳이 마땅하지 않을 때에 무게나 나가는 돌이나 철재류에 노끈을 묶어 텐트가 날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주변에서 이러한 중량이 나가는 물건을 찾는 것이 쉬운일이 아닐 뿐만 아니라, 끈을 쉽게 고정시킬 수 있는 형상이 아닌 경우에 텐트나 타프(그날막)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없어 텐트나 타프가 바람에 의해서 날아가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어 텐트나 타프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72048호, 2014년 12월 15일)
본 발명의 목적은 텐트 또는 타프를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텐트 또는 타프가 날아가지 않고 안정적으로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텐트 및 타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텐트 및 타프가 날아가지 않도록 바닥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텐트 및 타프 고정장치는 금속재질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측으로 돌출되는 중량추고정구를 구비하는 폴대고정추; 및 금속재질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폴대고정추의 상면에 연속해서 적층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중량추;를 포함하며, 중량추는 중량추고정구에 고정되는 폴대고정홀과, 상하방향으로 적층결합되도록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중량추는 중량추의 둘레방향을 따라 끈을 고정시킬 수 있는 끈고리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판상의 폴대고정추 및 중량추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텐트 또는 타프를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텐트 또는 타프가 날아가지 않고 안정적으로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텐트 및 타프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폴대 고정추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중량추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폴대 고정추와 중량추의 결합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폴대 고정추가 확장된 상태에서 중량추가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중량추의 다양한 형상을 예시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텐트 및 타프 고정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텐트 및 타프 고정장치로 타프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폴대 고정추의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중량추의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폴대 고정추와 중량추의 결합상태의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폴대 고정추가 확장된 상태에서 중량추가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중량추의 다양한 형상을 예시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텐트 및 타프 고정장치(10)는 폴대고정추(110) 및 중량추(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폴대고정추(110)는 금속재질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측으로 돌출되어 중량추(12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중량추고정구(111)를 구비한다. 폴대고정추(110)는 전체적으로 부식성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아연도금 또는 코팅처리될 수 있다. 중량추고정구(111)에는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확장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폴대(112)가 결합될 수 있으며, 폴대(112)가 중량추고정구(11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폴대(112)의 상단에는 끈을 고정할 수 있는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폴대고정추(110)의 바닥면에 탈부착되는 바닥고정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바닥고정구는 나사 결합방식 등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바닥면이 흙과 같이 연약한 경우에 바닥고정구를 통해 바닥면에 고정시킨 후에 폴대고정추(110)의 위치가 움직이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폴대고정추(110)는 전체적인 평면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중량추(12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폴대고정추(110)의 상면에 연속해서 적층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서, 폴대고정홀(121), 고정구(122) 및 끈고리부(12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중량추(120)의 형상은 후술하는 끈고리부(123)가 형성되는 위치에서 내측방향을 따라 오목한 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그 홈의 내측으로 끈고리부(123)가 배치되도록 하여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사람들이 지나가다가 걸려 넘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폴대고정홀(121)은 중량추(120)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원형홀로 형성되거나, 중량추(120)의 일측면까지 연결되는 슬릿홀로 형성될 수 있다. 폴대고정홀(121)은 전체적으로 부식성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아연도금 또는 코팅처리될 수 있다.
슬릿홀로 형성되는 경우 폴대(111)의 일측면에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원형홀로 형성되는 경우 보다 간편한 적층을 유도할 수 있다.
고정구(122)는 중량추(120)의 상측면에 돌출형성되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대칭으로 돌출형성되어 안정적인 중량추(120)의 적층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중량추(120)가 적층될 때에, 고정구(122)와 맞닿는 위치에는 고정홈이 형성된다.
끈고리부(123)는 중량추(120)의 둘레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결합형성된다. 끈고리부(123)는 손잡이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끈을 끼워 고정할 수 있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형상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끈고리부(123)는 텐트 또는 타프(그늘막) 등에 연장되는 끈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여, 텐트 또는 타프(그늘막)의 전체적인 형상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중량추(120)는 그 형상이 폴대고정추(110)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텐트 및 타프 고정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텐트 및 타프 고정장치는 차량에 연결되어 타프(그늘막)을 형성할 수 있다.
폴대고정추(110)의 상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량추(120)가 적층되어 형성되게 되며, 폴대고정추(110)의 폴대는 상측으로 연장되어 차량에서 연장된 타프와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폴대고정추(110)를 중심으로 복수의 중량추(120)가 배열될 수 있다. 중량추(120)는 폴대고정추(110)의 상측면에 적층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적층될 수도 있다. 이때, 중량추(120)에는 끈고리부(123)가 형성되기 때문에 끈고리부(123)에 끈을 고정시킴으로써 강풍에도 안정적인 타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텐트 및 타프 고정장치로 타프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텐트 및 타프 고정장치는 텐트에 적용될 수 있다. 도 7에서 텐트는 생략도시하였다.
폴대고정추(110)의 상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량추(120)가 적층되어 형성되게 되며, 폴대고정추(110)의 폴대는 상측으로 연장되어 타프와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폴대고정추(110)를 중심으로 복수의 중량추(120)가 배열될 수 있다. 중량추(120)는 폴대고정추(110)의 상측면에 적층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적층될 수도 있다. 이때, 중량추(120)에는 끈고리부(123)가 형성되기 때문에 끈을 끈고리부(123)에 고정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안정적인 타프 형상을 유지시켜 강풍에도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 폴대고정추 111 : 중량추고정구
112 : 폴대 120 : 중량추
121 : 폴대고정홀 122 : 고정구
123 : 끈고리부

Claims (3)

  1. 텐트 및 타프가 날아가지 않도록 바닥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텐트 및 타프 고정장치에 있어서,
    금속재질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측으로 돌출되는 중량추고정구를 구비하는 폴대고정추; 및
    금속재질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폴대고정추의 상면에 연속해서 적층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중량추;를 포함하며,
    상기 중량추는,
    상기 중량추고정구에 고정되는 폴대고정홀과, 상하방향으로 적층결합되도록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및 타프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추는,
    상기 중량추의 둘레방향을 따라 끈을 고정시킬 수 있는 끈고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및 타프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의 폴대고정추 및 중량추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및 타프 고정장치.
KR1020200066503A 2020-06-02 2020-06-02 텐트 및 타프 고정장치 KR102360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503A KR102360344B1 (ko) 2020-06-02 2020-06-02 텐트 및 타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503A KR102360344B1 (ko) 2020-06-02 2020-06-02 텐트 및 타프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449A true KR20210149449A (ko) 2021-12-09
KR102360344B1 KR102360344B1 (ko) 2022-02-09

Family

ID=78866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503A KR102360344B1 (ko) 2020-06-02 2020-06-02 텐트 및 타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34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80U (ja) * 1992-06-19 1994-01-21 孝正 宮間 テントの固定具
US8573609B1 (en) * 2011-01-21 2013-11-05 Cindy S. Gordon Tent leg weight assembly
KR101472048B1 (ko) 2013-11-07 2014-12-15 조응래 텐트 고정용 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80U (ja) * 1992-06-19 1994-01-21 孝正 宮間 テントの固定具
US8573609B1 (en) * 2011-01-21 2013-11-05 Cindy S. Gordon Tent leg weight assembly
KR101472048B1 (ko) 2013-11-07 2014-12-15 조응래 텐트 고정용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344B1 (ko) 202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7926B2 (en) Device leveling elements
US9366025B2 (en) Noise barrier and a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8851095B2 (en) Pole mounted cooler
US9863161B2 (en) Foundationless tower assembly
US6299124B1 (en) Stackable post holder
US20150330613A1 (en) Portable upright stand
US20060180729A1 (en) Leg support
US20120000498A1 (en) Overhead combined tent structure
US20200208430A1 (en) Pin Anchored Umbrella Base
US201302333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portable wind break device
US20160106187A1 (en) Multi-purpose floating umbrella
KR102360344B1 (ko) 텐트 및 타프 고정장치
US9057475B1 (en) Beach umbrella with telescoping pole and base plate
KR20170003590U (ko) 텐트 조립체
US20210062577A1 (en) Screen enclosure frame component assembly
JP2007077676A (ja) 日除け兼ガードカバー
KR20180063467A (ko) 조립식 스탠딩 해먹장치
KR101427159B1 (ko) 야외용 스피커 리프트
US20150308666A1 (en) Outdoor Light with Dual Installation Options
JP7278530B2 (ja) 仮設物支持ウエイト
US20220354227A1 (en) Parasol
KR20180001645U (ko) 낚시 및 캠핑 휴대용 바람막이
KR20180011922A (ko) 텐트
US20150330097A1 (en) Tent system and methods
KR101440910B1 (ko) 멀티형 폴대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