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7352A - 토목매트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토목매트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7352A
KR20210147352A KR1020200064443A KR20200064443A KR20210147352A KR 20210147352 A KR20210147352 A KR 20210147352A KR 1020200064443 A KR1020200064443 A KR 1020200064443A KR 20200064443 A KR20200064443 A KR 20200064443A KR 20210147352 A KR20210147352 A KR 20210147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civil engineering
civil
traveling devic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웅
Original Assignee
비즈토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즈토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즈토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4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7352A/ko
Publication of KR20210147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3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8Reclamation of land from water or marsh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매트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후진하면서 적재되어 있던 제1토목매트를 연약지반에 전개하는 주행장치와; 상기 주행장치와 연결되어 주행장치를 따라 후진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어 함께 후진하면서 상기 제1토목매트의 가장자리와 연약지반에 전개되어 있던 제2토목매트의 가장자리를 봉합하는 봉제기와; 상기 주행장치 또는 이동체에 설치되어 함께 후진하면서 상기 제2토목매트를 상기 제1토목매트 쪽으로 끌어당기는 매트 견인기;로 구성되어, 2개의 토목매트가 안정적으로 일체화될 뿐만 아니라 인력의 투입을 최소화하면서 연속적인 봉제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토목매트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Geotextile mat constru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토목매트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닷가의 갯벌이나 습지 등과 같은 연약지반을 개량하는 과정에서 토목매트를 연약지반 위에 전개하고 봉제하는 토목매트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약지반은 말 그대로 지반이 연약하여 지반처리에 필요한 장비의 진입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이에 연약지반 위에 토목매트를 전개하고 그 위에 흙이나 모래와 같은 골재를 포설하여 지반의 지지력을 확보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토목매트는 연약지반 전체를 커버할 수 없기 때문에, 현장에 맞게 다수의 토목매트를 연약지반 내에서 봉제기로 재봉하여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연약지반 내에서 봉합을 하는 경우 연약지반의 지지력이 취약하여 재봉을 위한 장비의 진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봉제기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많은 인력이 투입되어야 하며, 연속적인 재봉 작업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10-2019-0031389 (출원번호: 10-2017-0118598, 발명의 명칭: 토목섬유매트 포설공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력 투입을 최소화하면서 연속적인 봉제작업을 통해 2개의 토목매트를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봉합할 수 있는 토목매트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토목매트 시공장치는 후진하면서 적재되어 있던 제1토목매트를 연약지반에 전개하는 주행장치와; 상기 주행장치와 연결되어 주행장치를 따라 후진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어 함께 후진하면서 상기 제1토목매트의 가장자리와 연약지반에 전개되어 있던 제2토목매트의 가장자리를 봉합하는 봉제기와; 상기 주행장치 또는 이동체에 설치되어 함께 후진하면서 상기 제2토목매트를 상기 제1토목매트 쪽으로 끌어당기는 매트 견인기;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체의 상면에는 봉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레일이 설치되어, 상기 봉제기가 레일을 따라 전후진한다.
그리고, 상기 주행장치는 상기 제1토목매트를 적재하는 매트 운송체와; 상기 매트 운송체를 후방으로 잡아당기는 운송체 견인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체는 상기 매트 운송체의 전방 끝부분에 수직이 되게 설치되되 상기 제2토목매트 쪽에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토목매트 시공방법은 주행장치에 제1토목매트를 적재하는 단계와; 연약지반 위에 제2토목매트를 전방에서 후방쪽으로 전개하는 단계와; 전개된 제2토목매트의 가장자리를 이동체 위에 올려놓는 단계와; 상기 주행장치가 후진을 하면서 제1토목매트를 제2토목매트 옆의 연약지반 위에 전개하되, 매트 견인기가 제2토목매트를 제1토목매트 쪽으로 잡아당겨 상기 이동체 위에서 제1토목매트의 가장자리와 제2토목매트의 가장자리가 서로 겹쳐지도록 전개하는 단계와; 서로 겹쳐진 제1토목매트의 가장자리와 제2토목매트의 가장자리를 봉제기가 후진하면서 연속적으로 봉합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토목매트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은 후진을 하면서 봉제기로 2개의 토목매트를 봉합할 때 매트 견인기로 어느 하나의 토목매트를 나머지 토목매트 쪽으로 잡아당겨 2개의 토목매트 가장자리가 겹쳐지도록 한 후 봉합을 하므로, 2개의 토목매트가 안정적으로 일체화될 뿐만 아니라 인력의 투입을 최소화하면서 연속적인 봉제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토목매트 시공장치를 보인 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토목매트 시공장치로 토목매트를 봉합하고 시공하는 모습을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토목매트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토목매트 시공장치를 보인 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토목매트 시공장치로 토목매트를 봉합하고 시공하는 모습을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토목매트 시공장치는 주행장치(10)와, 상기 주행장치(10)에 연결되는 이동체(20)와, 상기 이동체(20)에 설치되는 봉제기(30)와, 상기 주행장치(10) 또는 이동체(20)에 설치되는 매트 견인기(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행장치(10)는 연약지반 위를 전후방향으로 주행하는 것으로서, 제1토목매트(M1)를 적재하고 있다. 이러한 주행장치(10)는 후진하면서 적재되어 있던 제1토목매트(M1)를 연약지반 위에 전개한다.
부연하면, 주행장치(10)는 매트 운송체(11)와, 상기 매트 운송체(11)를 잡아당기는 운송체 견인기(12)로 구성된다.
상기 매트 운송체(11)는 전후방향은 그 길이가 짧고 좌우방향으로는 폭이 넓은 대형 배와 같은 것으로서, 여기에 연약지반 위에 전개할 제1토목매트(M1)가 적재된다.
상기 운송체 견인기(12)는 매트 운송체(11)를 후방으로 잡아당기는 것으로서, 대형 굴삭기와 같은 장비를 운송체 견인기(12)로 사용할 수 있다. 만약 매트 운송체(11) 자체에 무한궤도와 같은 별도의 이송수단이 구비된다면 운송체 견인기(12)는 따로 필요가 없을 것이다. 운송체 견인기(12)로 매트 운송체(11)를 끌어당기기 위해서는 운송체 견인기(12)의 양측단에 와이어(W)을 설치하고, 이 와이어(W)를 운송체 견인기(12)에 연결하여 매트 운송체(11)를 끌어당기면 된다.
상기 이동체(20)는 주행장치(10)와 연결되어 주행장치(10)를 따라 전후진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이동체(20)는 매트 운송체(11)의 전방 끝부분에 수직이 되게 설치되는데, 매트 운송체(11)의 좌우 끝부분 중에서 이동체(20)의 한쪽 옆(좌측)에 전개되어 있는 제2토목매트(M2) 쪽, 즉 매트 운송체(11)의 좌측 끝부분에 설치된다.
이러한 이동체(20)는 전후방향은 그 길이가 길고 좌우방향으로는 폭이 좁은 소형 배와 같은 것으로서, 매트 운송체(11) 보다는 연약지반에 접하는 저면의 면적이 좁지만 봉제기(30)보다는 훨씬 넓은 면적을 가짐으로써 연약지반 내에서 봉제기(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그리고 이동체(20)는 자체로 움직일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주행장치(10)에 연결되어 함께 움직인다.
상기 봉제기(30)는 이동체(20)의 상면에 설치되어 이동체(20)와 함께 전후진한다. 이러한 봉제기(30)는 주행장치(10)에서 전개된 제1토목매트(M1)의 가장자리와 이미 연약지반에 전개되어 있던 제2토목매트(M2)의 가장자리를 봉합하여 제1토목매트(M1)와 제2토목매트(M2)를 일체화한다.
한편, 이동체(20)의 상면에는 전후방향, 즉 봉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레일(21)이 설치된다. 이 레일(21)을 따라 봉제기(30)가 전후진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주행장치(10)와 이동체(20)가 움직이지 않더라도 봉제기(30)가 레일(21)을 따라 후진함으로써 레일(21)의 길이에 해당하는 구간만큼의 제1토목매트(M1)와 제2토목매트(M2)의 가장자리를 봉합할 수 있다.
상기 매트 견인기(40)는 주행장치(10)에 설치되거나 또는 이동체(20)에 설치되어 주행장치(10) 또는 이동체(20)와 함께 후진하면서 제2토목매트(M2)를 제1토목매트(M1) 쪽으로 끌어당기는 것으로서, 소형 굴삭기와 같은 장비가 매트 견인기(40)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1토목매트(M1)와 제2토목매트(M2)의 가장자리를 견고하게 봉합하기 위해서는 제1토목매트(M1)의 가장자리와 제2토목매트(M2)의 가장자리를 서로 겹친 후 이 겹쳐진 부분을 봉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주행장치(10)가 후진을 하면서 제1토목매트(M1)를 전개할 때 제1토목매트(M1)의 가장자리 부분을 이동체(20)의 상면에 걸쳐놓고, 이 상태에서 매트 견인기(40)로 제2토목매트(M2)를 잡아 당겨 제2토목매트(M2)의 가장자리와 제1토목매트(M1)의 가장자리가 겹쳐지도록 한다. 이로써 봉제기(30)로 제1토목매트(M1)와 제2토목매트(M2)의 겹쳐진 가장자리 부분을 봉제하면 제1토목매트(M1)와 제2토목매트(M2)가 더욱 안정적으로 일체화된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토목매트 시공장치에 대해 설명을 하였고, 지금부터는 본 발명에 의한 토목매트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을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토목매트 시공방법은 주행장치(10)의 매트 운송체(11)에 제1토목매트(M1)를 적재하는 과정과 연약지반 위에 제2토목매트(M2)를 전방에서 후방쪽으로 전개하는 과정에서부터 시작된다.
그런 다음, 연약지반 위에 전개되어 있는 제2토목매트(M2)의 가장자리를 이동체(20) 위에 올려놓는다.
이후, 주행장치(10)가 후진을 하면서 제1토목매트(M1)를 제2토목매트(M2) 옆의 연약지반 위에 전개한다. 이 과정에서 매트 견인기(40)가 제2토목매트(M2)를 제1토목매트(M1) 쪽으로 잡아당겨 이동체(20) 위에서 제1토목매트(M1)의 가장자리와 제2토목매트(M2)의 가장자리가 서로 겹쳐지도록 전개한다.
이렇게 제1토목매트(M1)의 가장자리와 제2토목매트(M2)의 가장자리가 겹쳐진 상태에서 이동체(20)를 따라 봉제기(30)가 후진하면서 서로 겹쳐진 제1토목매트(M1)의 가장자리와 제2토목매트(M2)의 가장자리를 연속적으로 봉합한다.
10: 주행장치 11: 매트 운송체
12: 운송체 견인기 20: 이동체
21: 레일 30: 봉제기
40: 매트 견인기 M1: 제1토목매트
M2: 제2토목매트 W: 와이어

Claims (5)

  1. 후진하면서 적재되어 있던 제1토목매트(M1)를 연약지반에 전개하는 주행장치(10)와;
    상기 주행장치(10)와 연결되어 주행장치(10)를 따라 후진하는 이동체(20)와;
    상기 이동체(20)에 설치되어 함께 후진하면서 상기 제1토목매트(M1)의 가장자리와 연약지반에 전개되어 있던 제2토목매트(M2)의 가장자리를 봉합하는 봉제기(30)와;
    상기 주행장치(10) 또는 이동체(20)에 설치되어 함께 후진하면서 상기 제2토목매트(M2)를 상기 제1토목매트(M1) 쪽으로 끌어당기는 매트 견인기(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매트 시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20)의 상면에는 봉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레일(21)이 설치되어, 상기 봉제기(30)가 레일(21)을 따라 전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매트 시공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행장치(10)는 상기 제1토목매트(M1)를 적재하는 매트 운송체(11)와;
    상기 매트 운송체(11)를 후방으로 잡아당기는 운송체 견인기(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매트 시공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20)는 상기 매트 운송체(11)의 전방 끝부분에 수직이 되게 설치되되 상기 제2토목매트(M2) 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매트 시공장치.
  5. 주행장치(10)에 제1토목매트(M1)를 적재하는 단계와;
    연약지반 위에 제2토목매트(M2)를 전방에서 후방쪽으로 전개하는 단계와;
    전개된 제2토목매트(M2)의 가장자리를 이동체(20) 위에 올려놓는 단계와;
    상기 주행장치(10)가 후진을 하면서 제1토목매트(M1)를 제2토목매트(M2) 옆의 연약지반 위에 전개하되, 매트 견인기(40)가 제2토목매트(M2)를 제1토목매트(M1) 쪽으로 잡아당겨 상기 이동체(20) 위에서 제1토목매트(M1)의 가장자리와 제2토목매트(M2)의 가장자리가 서로 겹쳐지도록 전개하는 단계와;
    서로 겹쳐진 제1토목매트(M1)의 가장자리와 제2토목매트(M2)의 가장자리를 봉제기(30)가 후진하면서 연속적으로 봉합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매트 시공방법.
KR1020200064443A 2020-05-28 2020-05-28 토목매트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KR202101473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443A KR20210147352A (ko) 2020-05-28 2020-05-28 토목매트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443A KR20210147352A (ko) 2020-05-28 2020-05-28 토목매트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352A true KR20210147352A (ko) 2021-12-07

Family

ID=78868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443A KR20210147352A (ko) 2020-05-28 2020-05-28 토목매트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735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1389A (ko) 2017-09-15 2019-03-26 주식회사 준건설 토목섬유매트 포설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1389A (ko) 2017-09-15 2019-03-26 주식회사 준건설 토목섬유매트 포설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82984B2 (ja) 鋼製連続壁の施工方法および鋼製連続壁
KR20190031389A (ko) 토목섬유매트 포설공법
KR20210147352A (ko) 토목매트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KR20220091977A (ko) 2개의 토목매트를 봉제하는 시공장치
KR20220091983A (ko) S자형으로 박음질되는 토목매트 시공장치
KR20220091971A (ko) 토목 섬유매트 재봉 시공장치
KR20220108649A (ko) 토목섬유매트용 이동식 봉합기
KR20220108655A (ko) 고강도 토목섬유매트를 봉제하기 위한 봉제 장치
JP2000213288A (ja) 連続ベルトコンベヤ
KR102573626B1 (ko) 토목섬유매트 포설방법
JP2009013679A (ja) シート埋設装置、及び、シート埋設方法
KR102002116B1 (ko) 연약지반용 매트의 재봉장치
JP3886646B2 (ja) 地面掘削埋め戻し装置
JPH1144182A (ja) 移動架台およびベルトコンベア
JP2516552B2 (ja) 遮水膜の建込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建込方法
JPH10280396A (ja) 遮水性シートを埋設した連続地中遮水壁の造成工法及び遮水性シートが内部に張設された連続地中遮水壁構造
JPH0782731A (ja) 水底における水平排水部材の敷設工法及び装置
JPH06241350A (ja) パイプ繰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管路埋設工法
JPH08199623A (ja) パイプラインの敷設方法及び装置
US597312A (en) The hor
JPH06108403A (ja) シールドトンネルのレール布設方法及び装置
JPH045306A (ja) 軟弱地盤への被覆材敷設方法
JP2021038593A (ja) 路盤補強工法およびカバー部材
JPS6058330B2 (ja) 遮水シ−トの敷設工法
JP4383900B2 (ja) 軟弱地盤上へのシートの敷設方法および敷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