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6954A - 자동화된 셀프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화된 셀프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6954A
KR20210146954A KR1020217033599A KR20217033599A KR20210146954A KR 20210146954 A KR20210146954 A KR 20210146954A KR 1020217033599 A KR1020217033599 A KR 1020217033599A KR 20217033599 A KR20217033599 A KR 20217033599A KR 20210146954 A KR20210146954 A KR 20210146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obile robot
mobile device
module
rob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3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청 온 라이
Original Assignee
에메리코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막투즈 로보틱스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메리코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막투즈 로보틱스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filed Critical 에메리코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Publication of KR20210146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9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165Delivery means using xyz-picker or multi-dimensional article pick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25J9/1666Avoiding collision or forbidden z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25J9/1684Tracking a line or surface by means of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05D1/0214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in accordance with safety or protection criteria, e.g. avoiding hazardous 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8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 G06Q20/1085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involving 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07C9/25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electronicall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60User-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11Software architecture within ATMs or in relation to the ATM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1/00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e.g. the occurrence of a condi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011/04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e.g. the occurrence of a condi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related to queu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로봇(110); 및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로봇(110) 및 복수의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80)와 통신하는 클라우드 서버(140)를 포함하는 셀프-서비스 시스템(100)을 제공하고, 클라우드 서버(140)는 요청을 수신할 시, 지정된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80)에 대한 디지털 대기열 번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대기열 관리 모듈(141); 및 생성된 디지털 대기열 번호의 시퀀스에 따라 모바일 로봇(110)의 활동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로봇 관리 시스템(1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시스템(100)은 모바일 로봇(110)을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80)의 지정된 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화된 셀프 서비스 시스템
본 발명은 셀프 서비스 시스템(self service system)에 관한 것이고, 더욱 구체적으로 자동화된 셀프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의 뱅킹(banking)은 단지 은행에 가서 줄을 서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이는 언제 어디서나 그의 고객이 선택하는 트랜잭팅(transacting)에 관련된다. 금융 서비스의 양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더욱 많은 고객이 은행에서 카운터의 사람이 그들을 보조하는 출납원(cashier) 또는 창구 직원(teller)의 카운터에서 그들의 차례를 기다리기 위해 줄을 서는 것 대신에, 현금 자동 입출금기(automated teller machine, ATM)와 같은 셀프 서비스 시스템 상에서 은행 트랜잭션(bank transactions)을 선택하고 있다.
이 ATM은 상기 ATM에서 금융 트랜잭션 및 조회(inquiries)가 개시될 수 있는 고객의 현금 인출, 잔액 조회 등을 허용한다. 이로 인해, 은행에서의 은행 트랜잭션에 대해 인간의 상호작용은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다. 이는 ATM 상의 빠르고 쉬운 트랜잭션일 수 있고, 은행에 대해, 이는 창구 직원의 시간을 확보하며 따라서, 그가 고-가치 활동에 더 많은 노력을 집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ATM은 고객이 스스로 더 많은 것을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은행이 그의 창구 직원 자원을 최적화하는 것을 허용한다.
은행 셀프 서비스 시스템을 개시하는 몇 가지 종래 기술이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참조를 위해 아래에 열거된다. 미국등록특허번호 US5915246A는 호스트 시스템에 연결 가능하고 셀프-서비스 고객이 셀프-서비스 트랜잭션을 수행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무인 셀프 서비스 단말기를 개시하며, 셀프 서비스 단말기는 셀프-서비스 고객으로부터 고객 식별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수단; 셀프-서비스 고객이 보도록 판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 셀프 서비스 고객이 볼 수 있는 복수의 판매 프레젠테이션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셀프-서비스 단말기에 인접한 잠재적인 셀프-서비스 고객의 대기열(queue)을 검출하고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대기열 감지 수단; 및 셀프-서비스 고객이 볼 판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 상에 선택된 판매 프레젠테이션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셀프 서비스 고객으로부터 수신된 고객 식별 정보 및 대기열 감지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복수의 판매 프레젠테이션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다른 인용된 종래 기술인 중국특허출원번호 CN101000702A는 은행, 백그라운드 서버 및 네트워크 뱅킹 셀프-서비스 시스템을 포함하는 셀프-서비스 단말기에 대한 은행 셀프-서비스 방법을 개시하며, 상기 은행 셀프-서비스 방법은: 단계 1 - 은행 키오스크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bank kiosk interface display)에 의해, 원하는 셀프-서비스 항목을 선택하는 것 -; 단계 2 - 카드가 IC 카드로 판독되고, 사용자의 개인 식별 정보가 은행 카드 판독기에서 셀프-서비스 단말기에 의해 제공되는 것 -; 단계 3 - 은행 키오스크 수집 장치 상에 배치된 본체(body)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의 실시간 생체 인식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 -; 단계 4 - 최종 사용자의 개인 식별 정보에 대한 백-오피스 서비스(back­office services)가 판단을 획득하고 생체 인식 정보를 식별하고, 합법적인 사용자에게 더 선택된 셀프-서비스 트랜잭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유효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트랜잭션 인터페이스를 거부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더 제공하는 것 -; 단계 5 - 은행-셀프 서비스 단말기가 백엔드 서버(backend server)에 트랜잭션 요청을 전송하고, 백그라운드 처리에 응답하여 서버가 인증된 사용자-셀프 서비스를 완료하기 위한 트랜잭션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언급한 셀프 서비스 시스템의 단점은 고객이 ATM 기계의 장소(location)를 찾아야 하고, 일반적으로 대기열에서 서서 오랜 시간 동안 기다리는 것을 더 요구한다. 나아가, 현재 ATM은 고객에게 제한된 은행 서비스만을 제공한다. 그리고, 고객은 추가적인 서비스를 위해 여전히 피곤하고 번거로운 기존의 창구 직원 카운터 서비스에 접근해야 한다.
위에서 인용된 종래 기술 중 어느 것도 서비스를 요청한 고객의 위치를 찾아낼 수 있고 고객의 요청에 응대하기(attend) 위해 지정된 고객에게 이동하는 모바일 로봇을 갖는 이러한 셀프 서비스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로봇(mobile robot); 및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로봇 및 복수의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셀프-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고, 클라우드 서버는 요청을 수신할 시, 지정된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디지털 대기열 번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대기열 관리 모듈; 및 생성된 디지털 대기열 번호의 시퀀스에 따라 모바일 로봇의 활동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로봇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시스템은 모바일 로봇을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의 지정된 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시스템은 셀프-뱅킹 서비스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모바일 로봇은: 메인 본체; 메인 본체 아래의 휠 구동 시스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메인 본체의 상부에 장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랫폼; 및 사용자 신원 세부사항을 등록하고 검증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랫폼은: 프로세서; 및 사용자 세부사항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는 현금 입출금 모듈, 카드 디스펜서(card dispenser), 카드 판독기, 생체 인식 판독기, 지불 단말기, 핀패드, 카메라, 프린터, 스캐너, 여권 스캐너, 코인 입출금 모듈, 바코드 판독기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랫폼은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의 형태이다.
바람직하게, 프로세서는 모바일 로봇이 상이한 타입의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것을 허용하는 맞춤형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이다.
바람직하게, 휠 구동 시스템은 배터리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모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시스템은 모바일 로봇이 배터리를 재충전할 수 있는 충전 스테이션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모바일 로봇은 장애물을 검출하고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센서 및 모터는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수 있는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스마트폰, 태블릿, 랩탑, 넷북, 패블릿(phablets), 포블릿(phoblets) 또는 임의의 적합한 수단이다.
바람직하게,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와 통신 링크를 확립하고, 디지털 대기열 번호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을 생성 및 송신하도록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모듈이 각각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통신 네트워크는 연결된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로봇의 장소를 검출하기 위한 실내 위치 지정 프로토콜(indoor positioning protocol)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수단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고, 디지털 대기열 번호의 시퀀스를 기초로 모바일 로봇을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의 지정된 위치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장소 추적기 및 내비게이션 모듈이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 양상 및 장점은 유사한 문자가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셀프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하드웨어 모듈 아키텍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서비스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작업 모델을 도시하고, 4a는 로봇의 등각투영도를 도시하고, 도 4b는 로봇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4c는 로봇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셀프 서비스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한 프로세스 단계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식품 및 음료 부문, 엔터테인먼트 부문, 소매 부문, 은행 부문, 여행 및 숙박 부문, 의료 부문, 보험 부문, 자동차 부문 및 임의의 다른 서비스 부문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서비스 부문에서 사용될 수 있는 셀프 서비스 시스템을 개시한다. 예시로서, 본 발명은 이제, 은행 부문에서 셀프 서비스 시스템의 사용으로 설명된다.
도 1은 모바일 로봇(110), 클라우드 서버(140) 및 복수의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80)를 포함하는 셀프 서비스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80)는 데이터 처리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수 있는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기(PDA), 스마트폰, 태블릿, 랩톱, 넷북, 패블릿, 포블릿 또는 임의의 적합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80)는 애플리케이션 모듈(181)이 설치된 스마트폰 디바이스이다.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80)는 디스플레이 수단, 통신 수단, 장소 추적기 수단 및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입력 수단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모듈(181)에 로그인하기 위한 세부사항을 등록하도록 요구된다. 애플리케이션 모듈(181)은 사용자가 요청에 관련된 세부사항을 제공하기 위한 가상 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모듈(181)은 사용자가 세부사항을 제출하고 요청을 생성하기 위한 가상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애플리케이션 모듈(181)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140)와 통신 링크를 확립하고, 클라우드 서버(140)로 요청을 세부사항과 함께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애플리케이션 모듈(181)은 대기열 티켓팅 모듈(182), 트랜잭션 모듈(183) 및 인증 모듈(184)을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대기열 티켓팅 모듈(182)은 클라우드 서버(140)와 통신하고 제출된 요청에 대해 클라우드 서버(140)로부터 디지털 대기열 번호를 획득하도록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대기열 티켓팅 모듈(182)은 진행 중인 대기열 번호에 대한 현재 상태에 대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턴(turn) 시 사용자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다. 트랜잭션 모듈(183)은 사용자가 그 자신의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80)로부터 트랜잭션을 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트랜잭션 모듈(183)은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80)를 통해 임의의 트랜잭션 동작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인증 모듈(184)은 요청의 제출 및 이루어질 트랜잭션 이전에 사용자의 신원을 인증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인증 모듈(184)은 사용자 신원 세부사항을 검증하기 위한 임의의 종류의 보안 검사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클라우드 서버(140)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실행되는 (물리적 서버 보다는) 가상 서버일 수 있다. 이는 인터넷을 통한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을 통해 구축, 호스팅 및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80)에 의해 원격으로 액세스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40)는 대기열 관리 모듈(141), 로봇 관리 시스템(142), 장소 추적 및 내비게이션 모듈(143) 및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144)로 구성된다.
대기열 관리 모듈(141)은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80)로부터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에 대한 디지털 대기열 번호를 순차적인 순서로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대기열 관리 모듈(141)은 선착순(first come first serve)에 기초하여 디지털 대기열 번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대기열 관리 모듈(141)은 생성된 디지털 대기열 번호를 사용자 참조를 위한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80)에 그리고 로봇 관리 시스템(142)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대기열 관리 모듈(141)은 요청의 타입을 분석하고 우선 순위(precedence)를 기초로 요청을 정렬하도록 구성된다. 정렬된 결과를 기초로, 대기열 관리 모듈(141)은 디지털 대기열 번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로봇 관리 시스템(142)은 생성된 대기열 번호의 시퀀스에 따라 모바일 로봇(110)의 활동을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로봇 관리 시스템(142)은 각 요청에 대해 모바일 로봇(110)과 통신하고, 이를 할당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로봇 관리 시스템(142)은 생성된 디지털 대기열 번호의 순차적인 순서에 따라 각 요청에 대해 모바일 로봇(110)을 할당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로봇 관리 시스템(142)은 요청에 응대하기 위해 할당된 모바일 로봇(110)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된다.
장소 추적기 및 내비게이션 모듈(143)은 디지털 대기열 번호의 순차적인 순서에 따라 각 요청에 대한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80)의 위치 또는 장소 세부사항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장소 추적기 및 내비게이션 모듈(143)은 결정된 장소 세부사항을 할당된 모바일 로봇(110)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장소 추적기 및 내비게이션 모듈(143)은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80)의 지정된 장소를 향해 이동하기 위한 모바일 로봇(110)에 대한 최단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애플리케이션 관리 모듈(144)은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8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모듈(181)의 사용을 제어 및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애플리케이션 관리 모듈(144)은 애플리케이션 모듈(181)의 사용을 기초로 사용자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 관리자를 보조할 수 있는 상세한 로그, 애플리케이션 통계 및 완전한 분석 보고서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관리 모듈(144)은 애플리케이션 모듈(181)이 오용되는 것이 발견되는 경우, 사용자 행동을 기초로 애플리케이션 모듈(181)의 사용으로부터 사용자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모바일 로봇의 하드웨어 모듈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모바일 로봇(110)은 은행 구내에 바람직하게 위치되며, 메인 본체, 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랫폼(111),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114), 전자 제어기(115), 복수의 센서(116), 휠 구동 시스템, 광 모듈(121), 충전 회로(119) 및 배터리(120)로 구성된다. 모바일 로봇(110)은 클라우드 서버(140)로부터 장소 세부사항과 함께 명령어를 수신하고, 지정된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80)를 향해 이동하며, 사용자의 요청에 응대하도록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메인 본체는 임의의 종류의 형태 구성이 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랫폼(111)을 그 안에 수용하기 위한 마운트가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랫폼(111)은 전자 제어기(115)를 통해 충전 회로(119) 및 배터리(120)에 연결된다. 충전 회로(119)는 전원으로부터 배터리(120)를 충전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랫폼(111)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휠 구동 시스템은 복수의 휠(118) 및 모터(117)를 바람직하게 포함할 수 있다. 휠(118)은 메인 본체 아래에 배치되고 모터(117)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모터(117)는 배터리(120)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시스템(100)은 충전 스테이션을 더 포함하고, 모바일 로봇(110)은 배터리 부족 검출 시 배터리(120)를 재충전하기 위해 충전 스테이션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모바일 로봇(110)은 배터리(120)에 연결되고, 배터리(120)에서의 충전 수준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전력 수준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광 모듈(121)은 배터리 부족이 검출될 시 광 신호를 블링크(blink)하거나, 또는 플래시(flash)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랫폼(111)은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랫폼(111)은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의 형태이거나,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는 프로세서(112), 디스플레이 유닛(113) 및 입력 수단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12)는 디스플레이 유닛(113) 및 외부 디바이스(114)와 연결되며, 양자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12)는 모바일 로봇(110)에 배열된 다양한 타입의 외부 디바이스(114)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는 입력 수단 및 디스플레이 유닛(113)을 통해 모바일 로봇(110)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2)는 전자 제어기(115)를 통해 위에서 언급된 다양한 하드웨어 모듈을 제어하도록 또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프로세서(112)는 전자 제어기(115)를 통해 광 모듈(121)에 연결되고, 광 모듈(121)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전자 제어기(115)에 명령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12)는 또한, 전자 제어기(115)를 통해 모터(117)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프로세서(112)는 모터(117)를 동작시키기 위해 전자 제어기(115)에 필요한 명령어를 제공함으로써 경로를 따라 휠(118)을 구동시키기 위해 모터(117)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프로세서(112)는 전자 제어기(115)에 명령어를 제공함으로써 충전 회로(119)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또한 구성된다.
외부 디바이스(114)는 바람직하게, 은행 관련 서비스에 사용되는 현금 입출금 모듈, 카드 디스펜서, 카드 판독기, 생체 인식 판독기, 지불 단말기, 핀패드, 카메라, 프린터, 스캐너, 여권 스캐너, 코인 입출금 모듈, 바코드 판독기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114)는 사용자에 대한 은행 계좌의 개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모바일 로봇(110)의 메인 본체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카메라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114)는 모바일 로봇(110)과 상호작용하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기록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카메라는 사용자의 신원 세부사항을 저장하고 검증하기 위해 이미지 검출 모듈에 연결된다. 스캐너는 검증 목적으로 은행에 사용자 세부사항을 등록하기 위해 신분증을 스캔하도록 구성된다. 신분증 스캐너와 별개로, 바람직하게는 여권 스캐너가 또한 사용자 신원 검증을 위해 제공된다. 여권 스캐너는 여권으로부터 사용자 신원 세부사항을 캡처하고, 사용자 신원 세부사항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생체 인식 판독기는 사용자로부터 생체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생체 인식 판독기는 이 기술분야에 알려진 지문 스캐너, 안면 스캐너, 홍채 스캐너 및 임의의 다른 생체 인식 디바이스일 수 있다. 등록에 성공할 시, 카드 디스펜서는 은행 계좌에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은행 카드를 발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114)는 사용자가 다양한 트랜잭션을 수행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또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카드 판독기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114)는 카드를 슬롯에 삽입하기 위한 슬롯이 제공되고, 카드를 판독하도록 구성된다. 카드의 세부사항은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다. 핀패드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은행 계좌에 액세스하기 위해 핀 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영숫자 키패드이다. 지불 단말기는 사용자에 대한 보안 지불 링크를 확립하고 지불을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현금 입출금 모듈은 사용자가 은행 계좌에 현금을 입금하고 은행 계좌로부터 현금을 인출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코인 입출금 모듈은 사용자가 모바일 로봇(110)에 코인을 투입하고, 모바일 로봇(110)으로부터 지불 목적으로 코인을 인출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바코드 판독기는 바코드를 스캔하고 바코드로부터 사용자 세부사항을 검색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바코드 판독기는 2D 또는 QR 코드 포맷일 수 있다. 성공적인 트랜잭션 시, 프린터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트랜잭션 시, 트랜잭션 세부사항 또는 잔액 명세서를 인쇄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센서(116)는 사용자를 향해 이동하도록 지정된 모바일 로봇(110)에 대한 경로를 따라 장애물을 검출하고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센서(116)는 전자 제어기(115)를 통해 프로세서(112)에 의해 제어된다. 센서(116)로부터의 데이터를 기초로, 프로세서는 그에 따라 모터(117)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전자 제어기(115)에 명령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네트워크는 연결된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80) 및 모바일 로봇(110)의 장소를 검출하기 위한 실내 위치 지정 프로토콜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모바일 로봇(110)은 실내 위치 지정 모듈(122)을 더 포함하고, 이는 광, 무선파, 자기장, 음향 신호 또는 다른 감각 정보를 사용하여 은행 구내 내부에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80)를 위치시키도록 구성된 시스템이다. 바람직하게, 실내 위치 지정 모듈(122)은 근처의 앵커 노드(알려진 고정 위치를 갖는 노드, 예를 들어 WiFi/LiFi 액세스 포인트 또는 블루투스 비콘) 사이의 거리 측정, 자기 위치 지정(magnetic positioning) 및 추측 항법(dead reckoning)의 기술을 사용한다. 바람직하게, 실내 위치 지정 모듈(122)은 전자 제어기(115)를 통해 프로세서(112)에 연결된다.
도 3은 셀프 서비스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랫폼(111)은 운영체제(123) 및 커스텀 애플리케이션(124)을 더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랫폼(111)은 모바일 로봇(110)에서 하드웨어 모듈 및 소프트웨어 모듈을 관리하는 운영체제(123)로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운영체제(123)는 이 기술분야에 알려진 iOS, 안드로이드(android), 맥(Mac), 우분투(Ubuntu), 리눅스(Linux), 심비안(symbian), 윈도우즈(windows), OS X, 웹 OS(Web OS), 크롬 OS(Chrome OS), 파이어폭스 OS(Firefox OS), 및 임의의 다른 운영체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2)는 바람직하게, 맞춤형 애플리케이션(124)으로 설치된 맞춤형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이다.
바람직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랫폼(111)은 하드웨어 통신 모듈(125) 및 클라우드 통신 모듈(126)이 더 설치된다. 하드웨어 통신 모듈(125)은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동안 외부 디바이스(114)와 전자 제어기(115) 사이의 통신 링크를 확립하도록 구성된다. 클라우드 통신 모듈(126)은 클라우드 서버(140)와 링크를 확립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며 클라우드 서버(14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전자 제어기(115)는 펌웨어(127), 광 제어기(128), 모터 제어기(129), 센서 제어기(130), 위치 제어기(131) 및 전력 관리 모듈(132)을 포함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로 설치된다. 펌웨어(127)는 모바일 로봇(110)의 특정 하드웨어 디바이스에 대한 저수준 제어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이며, 바람직하게, 광 모듈(121)은 광 제어기(128)를 통해 제어된다. 모터(117)는 모터 제어기(129)를 통해 제어된다. 센서(116)는 센서 제어기(130)를 통해 제어된다. 그리고 실내 위치 지정 모듈(122)은 위치 제어기(131)를 통해 제어된다. 전원 관리 모듈(132)은 충전 유닛(133)을 제어하고 배터리(120)에 전원(134)을 제공하기 위한 충전 제어기(133)를 포함한다.
도 4a, 4b 및 4c는 모바일 로봇(110)의 등각투영도, 측면도 및 정면도를 도시한다. 모바일 로봇(110)의 메인 본체는 바람직하게 휠 구동 시스템 상에 배열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구성이다. 바람직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랫폼(111)은 임의의 손상으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랫폼(111)을 보호하고 그 위치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랫폼(111)을 고정하기 위해 케이싱 종류의 구성으로 배열된다. 이 케이싱 종류의 구성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랫폼(111)이 메인 본체에서 임의의 방향 및 각도로 회전 가능하고 기울어지도록 제공하는 연결 수단을 통해 메인 본체의 상부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 목 자세 각도 센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랫폼(111)과 상호작용하면서 사용자의 목 자세 및 얼굴 각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케이싱 상에 제공된다. 목 자세 각도 센서로부터의 데이터를 기초로 하는 프로세서(112)는 사용자에게 더 나은 상호작용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케이싱을 자동으로 회전하거나 기울이도록 연결 수단에 대한 명령어를 트리거한다. 케이싱 상에는, 도 2에 대해 위에서 언급된 외부 디바이스(114)의 세트가 바람직하게 그 위에 배치되고, 함께 작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랫폼(111)과 연결된다. 한편, 외부 디바이스(114)의 다른 세트는 메인 본체에 배열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랫폼(111)에 연결된다. 센서(116)는 바람직하게 메인 본체의 하부에, 바람직하게는 휠 구동 시스템 근처에 배치되고, 모바일 로봇(110)이 이동하도록 예정된 경로를 따라 발견된 임의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감지된 데이터를 프로세서(112)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모바일 로봇(110)은 도난으로부터의 보안 특징을 갖도록 구성된 보안 모듈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보안 모듈은 모바일 로봇(110)을 도둑질하거나 손상시키는 임의의 시도 시, 알람 소리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로봇(110)은 사용자가 작성하는 자동화된 통화 서비스 또는 질의응답 형태에 의해 바람직하게 사용자에게 임의의 종류의 고객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고객 관리 서비스 모듈이 제공된다.
도 5는 셀프 서비스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한 프로세스 단계(210 내지 250)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프로세스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80)에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후, (단계 210) 요청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세부사항을 입력한다. 그 후, 생성된 요청을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80)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모듈(181)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140)로 송신한다. 그 다음, (단계 220) 대기열 관리 모듈(141)에 의해 요청에 대한 디지털 대기열 번호를 생성하고, 대기열 관리 시스템(141)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대기열 번호를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80) 및 로봇 관리 시스템(142)에 송신한다. 그 다음, (단계 230) 생성된 디지털 대기열 번호의 시퀀스에 따라 로봇 관리 시스템(142)에 의해 각 요청에 대한 모바일 로봇(110)을 할당한다. 그 후, (단계 240) 장소 추적기 및 내비게이션 모듈(143)에 의해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80)의 위치 세부사항을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 세부사항을 로봇 관리 시스템(142)에 송신한다. 그 다음, (단계 250) 모바일 로봇(110)에 위치 세부사항을 송신하고, 디지털 대기열 번호의 시퀀스 순서를 기초로 모바일 로봇(110)이 사용자의 요청에 응대하기 위해 지정된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80)를 이동시키도록 지시한다.
이러한 요청은 은행에서 창구 직원에 의해 수행되는 은행 계좌 개설, 현금 예금, 현금 인출, 이체, 송금 수표(money orders), 계좌 잔액 검사, 은행 트랜잭션 명세서 발행, 대출 지불, 모기지, 이체, 전신 송금(wire transfer), 수표 예금, 수표 현금화 및 임의의 다른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셀프 서비스 시스템(100)은 요청을 큐잉(queuing)하기 위해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되거나 이와 페어링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트랜시버(transceiver)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트랜시버 디바이스는 대기열 번호를 사용함으로써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되고, 이 대기열 번호는 클라우드 서버(140)에 업데이트된다. 트랜시버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구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휴대된다. 트랜시버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 적어도 하나의 버튼, 장소 모듈, 통신 모듈 및 진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현재 대기열 번호에 대한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버튼은 사용자가 요청을 트리거하고 클라우드 서버(140)로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모듈은 클라우드 서버(140)와 통신 링크를 확립하도록 구성된다. 장소 모듈은 트랜시버 디바이스의 실시간 장소 세부사항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클라우드 서버(140)로 송신된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140)는 모바일 로봇(110)이 지정된 사용자를 향해 이동하도록 장소 세부사항을 모바일 로봇(110)으로 송신한다. 진동 수단은 사용자의 차례 시, 사용자에게 모바일 로봇(110)이 사용자를 향해 접근하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된다. 트랜시버 디바이스는 또한, 트랜시버 디바이스의 장소를 추적하기 위해 모바일 로봇(110)에 의해 검출될 신호를 방출하도록 구성된 신호 방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로봇(110)은 사용자의 요청이 응대되기 전에, 사용자로부터 트랜시버 디바이스를 수집하도록 구성된 수집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포함된 것뿐만 아니라, 전술한 설명의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이 특정 정도 바람직한 형태로 설명되었지만, 바람직한 형태의 본 개시는 단지 예시로서 이루어졌으며, 구성의 세부사항 및 부분의 조합 및 배열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시 분류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Claims (15)

  1. 셀프-서비스 시스템(self-service system, 100)으로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로봇(110); 및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로봇(110) 및 복수의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80)와 통신하는 클라우드 서버(140)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140)는:
    요청을 수신할 시, 지정된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80)에 대한 디지털 대기열(queue) 번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대기열 관리 모듈(141); 및
    상기 생성된 디지털 대기열 번호의 시퀀스에 따라 상기 모바일 로봇(110)의 활동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로봇 관리 시스템(14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시스템(100)은 상기 모바일 로봇(110)을 상기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80)의 상기 지정된 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100).
  2. 제1항에 있어서,
    셀프-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로봇(110)은:
    메인 본체;
    상기 메인 본체 아래의 휠 구동 시스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메인 본체의 상부에 장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랫폼(111); 및
    사용자 신원 세부사항을 등록하고 검증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114)를 포함하는, 시스템(1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랫폼(111)은:
    프로세서(112); 및
    상기 사용자 세부사항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유닛(113)을 포함하는, 시스템(100).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114)는 현금 입출금 모듈, 카드 디스펜서(card dispenser), 카드 판독기, 생체 인식 판독기, 지불 단말기, 핀패드, 카메라, 프린터, 스캐너, 여권 스캐너, 코인 입출금 모듈, 바코드 판독기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스템(100).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랫폼(111)은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의 형태인, 시스템(100).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112)는 상기 모바일 로봇(110)이 상이한 타입의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것을 허용하는 맞춤형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인, 시스템(100).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휠 구동 시스템은 배터리(120)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모터(117)를 포함하는, 시스템(10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로봇(110)이 상기 배터리(120)를 재충전할 수 있는 충전 스테이션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100).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로봇(110)은 장애물을 검출하고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센서(116)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100).
  11. 제2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116) 및 상기 모터(117)는 상기 프로세서(112)에 의해 제어되는, 시스템(100).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80)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수 있는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스마트폰, 태블릿, 랩탑, 넷북, 패블릿(phablets), 포블릿(phoblets) 또는 임의의 적합한 수단인, 시스템(100).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80)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140)와 통신 링크를 확립하고, 상기 디지털 대기열 번호를 획득하기 위한 상기 요청을 생성 및 송신하도록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모듈(181)이 각각 설치되는, 시스템(100).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연결된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80) 및 상기 모바일 로봇(110)의 장소를 검출하기 위한 실내 위치 지정 프로토콜(indoor positioning protocol)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형성되는, 시스템(100).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80)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디지털 대기열 번호의 시퀀스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로봇(110)을 상기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80)의 지정된 위치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장소 추적기 및 내비게이션 모듈인, 시스템(100).
KR1020217033599A 2019-03-25 2020-03-13 자동화된 셀프 서비스 시스템 KR202101469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MYPI2019001657 2019-03-25
MYPI2019001657 2019-03-25
PCT/MY2020/000004 WO2020197377A1 (en) 2019-03-25 2020-03-13 An automated self servic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954A true KR20210146954A (ko) 2021-12-06

Family

ID=70334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3599A KR20210146954A (ko) 2019-03-25 2020-03-13 자동화된 셀프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157133A1 (ko)
EP (1) EP3948754A1 (ko)
JP (1) JP2022528156A (ko)
KR (1) KR20210146954A (ko)
CN (1) CN113632129A (ko)
SG (1) SG11202109063UA (ko)
WO (1) WO20201973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38268B2 (ja) * 2018-04-27 2023-03-14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664027A (zh) * 2022-03-30 2022-06-24 中国银行股份有限公司 智能atm及其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N114821886B (zh) * 2022-06-23 2022-11-29 深圳市普渡科技有限公司 调度服务器、调度机器人和提醒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618110D0 (en) 1996-08-30 1996-10-09 Ncr Int Inc Improved self-service system
CN101000702A (zh) 2006-01-09 2007-07-18 北京东方兴华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自助服务系统及方法
KR20090064809A (ko) * 2007-12-17 2009-06-22 주식회사 신한은행 은행지점 업무 지원용 뱅크로봇과 은행지점 업무 지원 방법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US10055726B2 (en) * 2014-07-14 2018-08-21 Jpmorgan Chase Bank, N.A.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ement of mobile banking resources
CN107009343B (zh) * 2017-05-03 2024-04-23 山东大学 一种基于多生物识别信息的银行业务助理机器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2109063UA (en) 2021-09-29
US20220157133A1 (en) 2022-05-19
EP3948754A1 (en) 2022-02-09
WO2020197377A1 (en) 2020-10-01
JP2022528156A (ja) 2022-06-08
CN113632129A (zh) 202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5048B2 (en) Automated financial transactions
US20210365979A1 (en) Providing Hands-Free Data for Interactions
KR20210146954A (ko) 자동화된 셀프 서비스 시스템
US10963851B2 (en) Cash access with automatic transaction machine with mobile phone
KR20160105352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495058B2 (en) Motion based account recognition
TW201337821A (zh) 使用行動裝置在金融交易終端進行交易的系統及方法
US20210144514A1 (en) Synced audio signals between a device and atm
WO2019001363A1 (zh) 实体店铺应用系统、用户信息处理方法及装置
JP2019106018A (ja) 端末装置、サービス申込み受付方法、プログラム
CN105447696A (zh) 由银行卡向客户装置自动通知交易
US10796536B2 (en) Automated teller machine with an adjustable display
JP2014074972A (ja) 顔画像による本人認証支援システム
JP7133107B1 (ja) 不正検知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10189489A (zh) 电子签名平板
JP682850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240112166A1 (en) Offloading a signing operation on a user device
US9224274B1 (en) System and method for financial services device usage
WO2023091931A1 (en) Alerting users of a physical pickup point
CN113435892A (zh) 输入系统、输入程序和输入方法
KR20110134996A (ko) 금융자동화기기에 대한 원격 관리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