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6681A - 물류용 소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류용 소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6681A
KR20210146681A KR1020200063801A KR20200063801A KR20210146681A KR 20210146681 A KR20210146681 A KR 20210146681A KR 1020200063801 A KR1020200063801 A KR 1020200063801A KR 20200063801 A KR20200063801 A KR 20200063801A KR 20210146681 A KR20210146681 A KR 20210146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outlet
distribution
sorters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한교
장일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Priority to KR1020200063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6681A/ko
Publication of KR20210146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6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8Roller-ways of curved form; with branch-offs
    • B65G13/10Switch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8Crossing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47Chan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rticles or bulk material
    • B65G2811/0657Def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류용 소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에 물품을 안착시켜 이송하는 이송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 상기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의 하부면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를 각각 회전 구동시키는 복수 개의 회전부, 상기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는 상판을 포함하는 소터 바디, 상기 상판에 배치되되, 상측에서 바라볼 때 상기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와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어 상측에 상기 물품이 존재 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복수 개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가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회전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류용 소터 시스템{LOGISTIC SORTER SYSTEM}
본 발명은 물류용 소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물류용 소터는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는 화물의 경로를 바꾸어 화물을 분류하는 기기로서, 대형이거나 고하중의 물품을 이송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물류용 소터는 주로 롤러나 벨트를 이용해 물품을 이송한다.
종래의 물류용 소터는 컨베이어 PLC통신으로 물류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물류용 소터 자체에는 물품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지 않아 물류용 소터 위에서 물품이 갖는 위치에 대한 정보 등을 파악할 수 없었다. 이 경우, 물류용 소터 위로 두 개 이상의 물품이 지나가게 되는 경우, 각 물품의 정보를 파악하지 못하므로, 물품끼리의 충돌이 발생하거나 두 개 이상의 물품의 배출구가 다른 경우 오분류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물류용 소터 위로 동시에 두 개 이상의 물품을 지나가게 하지 못하므로, 시간당 화물 처리량이 줄어 들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물류용 소터 위로 동시에 두 개 이상의 물품을 지나가게 할 수 있고, 두 개 이상의 물품의 목적지가 다른 경우에도 물품을 정확하게 목적지로 보낼 수 있는 물류용 소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예에서 물류용 소터 시스템은, 상면에 물품을 안착시켜 이송하는 이송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 상기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의 하부면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를 각각 회전 구동시키는 복수 개의 회전부, 상기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는 상판을 포함하는 소터 바디, 상기 상판에 배치되되, 상측에서 바라볼 때 상기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와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어 상측에 상기 물품이 존재 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복수 개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가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회전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상기 물류용 소터 시스템은, 상기 물품이 투입되는 투입구, 상기 물품이 배출되는 배출구 및 물품을 상기 투입구로 투입시키는 물품투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품은, 제1 물품 및 제2 물품을 포함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물품이 투입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하고, 상기 제1 방향 및 연직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제2 방향이라고 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부 중 상기 투입구 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2 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센서들로 구성되는 제1 센서부에 상기 제1 물품이 감지되다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물품을 상기 투입구로 투입시키도록 상기 물품투입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물품이 배출되게 하는 제1 배출구 및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물품이 배출되게 하는 제2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구로 상기 물품이 이동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가 배치되는 상태를 제1 상태라고 하고, 상기 제2 배출구로 상기 물품이 이동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가 배치되는 상태를 제2 상태라고 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배출구로 상기 물품을 배출해야 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상태에 해당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회전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배출구로 상기 물품을 배출해야 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상태에 해당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회전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물류용 소터 시스템은, 상기 투입구의 상기 제1 방향의 역방향 측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구로 상기 물품이 투입되기 전에 상기 물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게 마련되는 이송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 센서는, 상기 물품에 대한 정보 중 상기 제1 배출구 또는 상기 제2 배출구 중 어느 하나로 물품이 배출되도록 지시하는 정보인 목적지 정보를 상기 물품으로부터 획득하여 프로세서로 전달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송 센서가 전달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회전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송 센서가 상기 물품이 상기 제1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센서부에 상기 물품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상태에 해당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회전부를 제어하고, 상기 이송 센서가 상기 물품이 제2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상기 물품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2 상태에 해당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회전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부에 상기 제1 물품의 존재가 감지되다가 감지되지 않고, 센서부 중 상기 제1 센서부의 상기 제1 방향 측에 위치하되 상기 제2 방향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센서들로 구성된 제2 센서부에 상기 제1 물품의 존재가 감지되다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센서부에 상기 제2 물품의 존재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이송 센서가 획득한 상기 제2 물품의 상기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회전부 중 상기 제1 센서부와 상기 제2 센서부 사이에 배치된 제1 회전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송 센서가 파악한 상기 물품의 정보 중 물품의 크기 및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송부의 회전속도 및 상기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의 회전각도가 변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 개의 센서가 각각 획득한 상기 물품의 존재 여부를 종합하여, 상기 물품의 밑면의 크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물품의 밑면의 크기에 따라 상기 이송부의 회전속도 및 상기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의 회전각도가 변화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회전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물류용 소터 시스템은 상기 물품이 투입되는 투입구 및 상기 물품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물품이 투입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할 때,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물품이 배출되게 하는 제1 배출구 및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물품이 배출되게 하는 제2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구로 상기 물품이 이동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가 배치되는 상태를 제1 상태라고 하고, 상기 제2 배출구로 상기 물품이 이동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가 배치되는 상태를 제2 상태라고 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배출구로 상기 물품을 배출해야 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상태에 해당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회전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배출구로 상기 물품을 배출해야 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상태에 해당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회전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개의 센서를 통해 물류용 소터 위의 물품들의 위치 정보를 각각 파악할 수 있어, 동시에 두 개 이상의 물품이 물류용 소터를 지나가는 경우에도 물품끼리의 충돌이 발생하거나 오분류가 발생할 우려가 줄어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동시에 두 개 이상의 물품이 물류용 소터를 지나가는 경우에도 각각의 물품이 배출되어야 하는 배출구로 각각의 물품을 안내할 수 있도록 물류용 소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용 소터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용 소터 시스템의 물류용 소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용 소터 시스템의 소터 바디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용 소터 시스템의 배출구 중 제1 배출구로 물품이 배출되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용 소터 시스템의 배출구 중 제2 배출구로 물품이 배출되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용 소터 시스템의 제1 배출구로 제1 물품이 배출되고, 제2 배출구로 제2 물품이 배출되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선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물류용 소터 시스템의 구성요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용 소터 시스템은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10) 위로 동시에 두 개 이상의 물품(100)을 지나가게 할 수 있고, 두 개 이상의 물품(100)의 목적지가 다른 경우에도 물품(100)을 정확하게 목적지로 보낼 수 있는 물류용 소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용 소터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용 소터 시스템은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10), 복수 개의 회전부(20), 소터 바디(30), 센서부(40) 및 프로세서(P)를 포함한다.
물류용 소터(10)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물류용 소터(10)의 배열은 3X3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4X4, 5X5 등 필요에 따라 임의의 배열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10)는, 상면에 물품(100)을 안착시켜 이송하는 이송부(11)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용 소터 시스템의 물류용 소터(10)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단, 도 2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와 다른 형태의 물류용 소터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송부(11)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물류용 소터(10)의 상측에 배치되어 두 개의 롤러에 벨트를 결합한 형태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한 개의 롤러만을 사용한 형태일 수도 있고, 롤러 대신 볼을 사용하여 물품(100)을 이송할 수도 있다.
회전부(20)는,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10)의 하부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즉, 회전부(20)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20)는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10)를 각각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회전부(20)가 각각 회전함에 따라,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10)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10)의 위를 지나는 물품(100)의 경로가 변경될 수 있게 된다.
소터 바디(30)는, 상판(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판(32)에는 복수 개의 홀(31)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홀(31)에는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10)가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즉, 홀(31)은 물류용 소터(10)와 같은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용 소터 시스템의 소터 바디(30)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홀(31)은 물류용 소터(10)가 삽입되는 물류용 소터(10)의 상부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부(40)는, 상측에 물품(100)이 존재 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복수 개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센서들은 근접 센서일 수 있다. 센서부(40)는, 소터 바디(30)의 상판(32)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40)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10)와 중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센서부(40)는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10)의 사이에 배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P)는, 센서부(40)가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회전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P)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P)는 메모리와 연결 될 수 있다. 메모리는 물품(100)의 존재 여부 등을 판단하기 위한 명령 등을 프로세서(P)에서 생성함에 있어서 기초가 되는 제어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휘발성 매체, 비휘발성 매체 등의 데이터 스토어일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프로세서(P)가 센서부(40) 중 일부와 연결되게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서 생략된 것이고, 프로세서(P)는 센서부(40)의 모든 센서들과 연결된다고 보아야 한다.
종래의 물류용 소터는 컨베이어 PLC통신으로 물류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물류용 소터 자체에는 물품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지 않아 물류용 소터 위에서 물품이 갖는 위치에 대한 정보 등을 파악할 수 없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개의 센서를 통해 물류용 소터 위에 위치한 물품의 위치 정보 및 크기에 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파악된 정보에 따라 물류용 소터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투입구(50), 배출구(60) 및 물품투입부(70)에 관한 설명>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용 소터 시스템은, 투입구(50), 배출구(60) 및 물품투입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투입구(50)는,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10) 위로 물품(100)이 투입되게 하는 입구를 말한다. 배출구(60)는,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10)를 지나서 물품(100)이 배출되게 되는 출구를 말한다. 물품투입부(70)는, 물품(100)을 투입구(50)를 향해 투입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도 4 내지 도 5 및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용 소터 시스템의 배출구로 물품이 배출되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 및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물품투입부(70)에서 투입구(50)를 향해 투입된 물품(100)은 투입구(50)를 통해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10) 위로 안내되고, 물류용 소터(10)의 이송부(11)에 의해 배출구(60)로 안내되게 된다.
<물품이 두 개 이상인 경우의 제어>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물품이 두 개 이상인 경우에서 프로세서의 제어를 상술한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용 소터 시스템에서 물품이 두 개 이상인 경우에서 물품이 배출되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프로세서(P)는, 제1 센서부(41)에 제1 물품(101)이 감지되다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2 물품(102)을 투입구(50)로 투입시키도록 물품투입부(7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센서부(41)는, 센서부(40) 중 투입구(50) 측에 배치되되 제2 방향(D2)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센서들로 구성되는 그룹을 말한다. 제2 방향(D2)은, 투입구(50)를 통해 물품(100)이 투입되는 방향을 제1 방향(D1)이라 할 때, 제1 방향(D1) 및 연직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말한다. 제1 물품(101)은, 제2 물품(102)에 비해 물품투입부(70)에 의해 투입구(50)로 먼저 투입되는 물품(100)을 말하며, 제2 물품(102)은, 제1 물품(101)이 투입구(50)로 투입된 이후에 물품투입부(70)에 의해 투입구(50)로 투입되는 물품(100)을 말한다. 본 설명에서는 제1 및 제2물품(101, 102)으로 기술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물품(100)의 개수가 두 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세 개 이상의 경우도 가능하다.
종래의 경우, 물류용 소터 위로 두 개 이상의 물품이 지나가게 되는 경우, 각 물품의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므로, 물품끼리의 충돌이 발생하거나 오분류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물류용 소터 위로 동시에 두 개 이상의 물품을 지나가게 하지 못하므로, 시간당 화물 처리량이 줄어 들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센서를 통해 물류용 소터 위의 물품들의 위치 정보를 각각 파악할 수 있어, 동시에 두 개 이상의 물품이 물류용 소터를 지나가는 경우에도 물품끼리의 충돌이 발생하거나 오분류가 발생할 우려가 줄어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배출구(60)가 두 개 이상인 경우의 제어>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배출구가 두 개 이상인 경우의 제어를 상술한다. 배출구(60)는, 제1 배출구(61) 및 제2 배출구(6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 배출구(61)는 제1 방향(D1)으로 물품(100)이 배출되게 형성되는 통로일 수 있다. 제2 배출구(62)는, 제1 방향(D1)과 다른 방향으로 물품(100)이 배출되게 하는 통로일 수 있다.
프로세서(P)는, 제1 배출구(61)로 물품(100)을 배출해야 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1 상태에 해당하도록 복수 개의 회전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상태라 함은, 제1 배출구(61)로 물품(100)이 이동되도록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10)가 배치되는 상태를 말한다. 도 4 내지 도 5에는 제1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의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10)가 도시되어 있다. 단, 제1 상태에서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10)가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배치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배출구(61)로 물품(100)이 이동될 수 있는 방식이라면 다른 배치도 가능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물품(100)은 투입구(50)를 통해 투입된 후 제1 방향(D1)을 향해 이동하여, 제1 배출구(61)로 이동할 수 있다.
프로세서(P)는, 제2 배출구(62)로 물품(100)을 배출해야 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2 상태에 해당하도록 복수 개의 회전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상태라 함은, 제2 배출구(62)로 물품(100)이 이동되도록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10)가 배치되는 상태를 말한다. 도 6 내지 도 8에는 제2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의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10)가 도시되어 있다. 단, 제2 상태에서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10)가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배치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배출구(62)로 물품(100)이 이동될 수 있는 방식이라면 다른 배치도 가능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2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물품(100)은 투입구(50)를 통해 투입된 후, 제2 배출구(62)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설명에서는 배출구(60)를 제1 및 제2 배출구(62)로 기술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배출구(60)의 개수가 두 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세 개 이상의 배출구를 가지는 경우에도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10)가 배치되는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종래에는 물류용 소터 위로 두 개 이상의 물품이 지나가게 되는 경우, 각 물품의 정보를 파악하지 못하므로, 두 개 이상의 물품의 배출구가 다른 경우 오분류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물류용 소터 위로 동시에 두 개 이상의 물품을 지나가게 하지 못하므로, 시간당 화물 처리량이 줄어 들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시에 두 개 이상의 목적지가 다른 물품이 물류용 소터를 지나가는 경우에도 각각의 물품이 배출되어야 하는 배출구로 각각의 물품을 안내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송 센서(80)에 대한 설명>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용 소터 시스템은 이송 센서(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송 센서(80)는, 투입구(50)의 제1 방향(D1)의 역방향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송 센서(80)는, 투입구(50)로 물품(100)이 투입되기 전에 물품(10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100)에 부착된 바코드나 QR 코드 등의 정보를 인식 및 해독하여, 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송 센서(80)는, 목적지 정보를 물품(100)으로부터 획득하여 프로세서(P)로 전달할 수 있다. 목적지 정보는, 이송 센서(80)가 획득한 물품(100)에 대한 정보 중 제1 배출구(61) 또는 제2 배출구(62) 중 어느 하나로 물품(100)이 배출되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말한다. 즉 물품(100)이 제1 배출구(61)로 배출되어야 하는 물건인 경우에, 목적지 정보는 물품(100)이 제1 배출구(61)로 배출되도록 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이고, 물품(100)이 제2 배출구(62)로 배출되어야 하는 물건인 경우에, 목적지 정보는 물품(100)이 제2 배출구(62)로 배출되도록 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이다.
프로세서(P)는, 이송 센서(80)가 전달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회전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이송 센서(80)가 물품(100)이 제1 배출구(61)로 배출되도록 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센서부(40)에 물품(100)이 감지되는 경우, 프로세서(P)는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복수 개의 회전부(20)를 제1 상태에 해당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송 센서(80)가 물품(100)이 제2 배출구(62)로 배출되도록 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센서부(40)에 물품(100)이 감지되는 경우, 프로세서(P)는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복수 개의 회전부(20)를 제2 상태에 해당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두 개의 물품의 목적지가 각각 다른 경우에 대한 제어>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제1 물품(101)과 제2 물품(102)의 목적지가 다른 경우의 제어에 대하여 상술한다.
프로세서(P)는, 제1 센서부(41)에 제1 물품(101)의 존재가 감지되다가 감지되지 않고, 제2 센서부(42)에 제1 물품(101)의 존재가 감지되다가 감지되지 않으며, 제1 센서부(41)에 제2 물품(102)의 존재가 감지되는 경우, 이송 센서(80)가 획득한 제2 물품(102)의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회전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센서부(42)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듯이, 센서부(40) 중 제1 센서부(41)의 제1 방향(D1) 측에 위치하되 제2 방향(D2)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센서들로 구성된 그룹을 말한다. 또한, 제1 회전부는, 복수 개의 회전부(20) 중 제1 센서부(41)와 제2 센서부(42)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센서부(41)와 제2 센서부(42) 사이에 배치된 물류용 소터(10)들을 회전 시킬 수 있는 회전부의 그룹을 말한다.
도 9 내지 도 12는 제1 배출구(61)로 제1 물품(101)을, 제2 배출구(62)로 제2 물품(102)을 보내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프로세서(P)는, 제1 센서부(41)에 제1 물품(101)의 존재가 감지되다가 감지되지 않고, 제2 센서부(42)에 제1 물품(101)의 존재가 감지되다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1 물품(101)이 제2 센서부(42)의 위치까지 지나간 것으로 판단하고, 제2 물품(102)을 투입구(50)로 투입시킬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제2 물품(102)이 제1 센서부(41)에 감지 되는 경우, 제2 물품(102)을 제1 배출구(61) 또는 제2 배출구(62)로 보내기 위해, 도 10에 도시되어 있듯이, 복수 개의 회전부(20) 중, 제1 물품(101)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제1 회전부(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송 센서(80)가 파악한 물품(100)의 크기 및 무게에 따른 제어>
프로세서(P)는, 이송 센서(80)가 파악한 물품(100)의 정보 중 물품(100)의 크기 및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이송부(11)의 회전속도 및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10)의 회전각도가 변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 센서(80)가 물품(100)의 무게가 소정의 무게 이상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이송부(11)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켜, 물품(100)의 속도가 느려지지 않게 이송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이송 센서(80)가 물품(100)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 프로세서(P)는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10)를 더 많이 회전 시켜 물품(100)의 목적지로 물품(100)을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를 통해 물품(100)의 크기나 무게에 따라 이송 속도가 변화할 수 있으므로, 뒤따라오는 물품과의 충돌이 발생하거나, 목적지로 향하지 못하는 상황을 예방할 수 있다.
<센서부(40)가 파악한 물품(100)의 밑면 크기에 따른 제어>
프로세서(P)는, 센서부(40)의 복수 개의 센서가 각각 획득한 물품(100)의 존재 여부를 종합하여, 물품(100)의 밑면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센서 중 일부는 상부에 물품(100)이 존재한다는 정보를 획득하고, 나머지는 상부에 물품(100)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획득한다면, 프로세서(P)는 물품(100)이 존재한다는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가 배치되는 영역의 크기가 물품(100)의 대략적인 밑면의 크기라고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P)는, 결정된 물품(100)의 밑면의 크기에 따라 이송부(11)의 회전속도 및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10)의 회전각도가 변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센서들이 보낸 정보를 종합하여, 프로세서(P)가 물품(100)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 프로세서(P)는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10)를 더 많이 혹은 더 적게 회전시켜 물품(100)의 목적지로 물품(100)을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물류용 소터
11: 이송부
20: 회전부
30: 소터 바디
31: 홀
32: 상판
40: 센서부
41: 제1 센서부
42: 제2 센서부
50: 투입구
60: 배출구
61: 제1 배출구
62: 제2 배출구
70: 물품투입부
80: 이송 센서
100: 물품
101: 제1 물품
102: 제2 물품
D1: 제1 방향
D2: 제2 방향
P: 프로세서

Claims (9)

  1. 상면에 물품을 안착시켜 이송하는 이송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
    상기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의 하부면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를 각각 회전 구동시키는 복수 개의 회전부;
    상기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는 상판을 포함하는 소터 바디;
    상기 상판에 배치되되, 상측에서 바라볼 때 상기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와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어 상측에 상기 물품이 존재 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복수 개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가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회전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물류용 소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품이 투입되는 투입구, 상기 물품이 배출되는 배출구 및 물품을 상기 투입구로 투입시키는 물품투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품은, 제1 물품 및 제2 물품을 포함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물품이 투입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하고, 상기 제1 방향 및 연직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제2 방향이라고 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부 중 상기 투입구 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2 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센서들로 구성되는 제1 센서부에 상기 제1 물품이 감지되다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물품을 상기 투입구로 투입시키도록 상기 물품투입부를 제어하는, 물류용 소터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물품이 배출되게 하는 제1 배출구; 및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물품이 배출되게 하는 제2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구로 상기 물품이 이동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가 배치되는 상태를 제1 상태라고 하고, 상기 제2 배출구로 상기 물품이 이동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가 배치되는 상태를 제2 상태라고 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배출구로 상기 물품을 배출해야 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상태에 해당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회전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배출구로 상기 물품을 배출해야 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상태에 해당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회전부를 제어하는, 물류용 소터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의 상기 제1 방향의 역방향 측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구로 상기 물품이 투입되기 전에 상기 물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게 마련되는 이송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 센서는, 상기 물품에 대한 정보 중 상기 제1 배출구 또는 상기 제2 배출구 중 어느 하나로 물품이 배출되도록 지시하는 정보인 목적지 정보를 상기 물품으로부터 획득하여 프로세서로 전달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송 센서가 전달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회전부를 제어하는, 물류용 소터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송 센서가 상기 물품이 상기 제1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센서부에 상기 물품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상태에 해당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회전부를 제어하고,
    상기 이송 센서가 상기 물품이 제2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상기 물품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2 상태에 해당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회전부를 제어하는, 물류용 소터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부에 상기 제1 물품의 존재가 감지되다가 감지되지 않고, 센서부 중 상기 제1 센서부의 상기 제1 방향 측에 위치하되 상기 제2 방향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센서들로 구성된 제2 센서부에 상기 제1 물품의 존재가 감지되다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센서부에 상기 제2 물품의 존재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이송 센서가 획득한 상기 제2 물품의 상기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회전부 중 상기 제1 센서부와 상기 제2 센서부 사이에 배치된 제1 회전부를 제어하는, 물류용 소터 시스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송 센서가 파악한 상기 물품의 정보 중 물품의 크기 및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송부의 회전속도 및 상기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의 회전각도가 변화하도록 제어하는, 물류용 소터 시스템.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 개의 센서가 각각 획득한 상기 물품의 존재 여부를 종합하여, 상기 물품의 밑면의 크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물품의 밑면의 크기에 따라 상기 이송부의 회전속도 및 상기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의 회전각도가 변화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회전부를 제어하는, 물류용 소터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품이 투입되는 투입구 및 상기 물품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물품이 투입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할 때,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물품이 배출되게 하는 제1 배출구; 및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물품이 배출되게 하는 제2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구로 상기 물품이 이동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가 배치되는 상태를 제1 상태라고 하고, 상기 제2 배출구로 상기 물품이 이동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물류용 소터가 배치되는 상태를 제2 상태라고 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배출구로 상기 물품을 배출해야 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상태에 해당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회전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배출구로 상기 물품을 배출해야 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상태에 해당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회전부를 제어하는, 물류용 소터 시스템.
KR1020200063801A 2020-05-27 2020-05-27 물류용 소터 시스템 KR202101466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801A KR20210146681A (ko) 2020-05-27 2020-05-27 물류용 소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801A KR20210146681A (ko) 2020-05-27 2020-05-27 물류용 소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681A true KR20210146681A (ko) 2021-12-06

Family

ID=78936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801A KR20210146681A (ko) 2020-05-27 2020-05-27 물류용 소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66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719848A1 (de) * 2022-06-29 2024-01-15 Ferag Ag Förderanlage mit einer Vorrichtung zum Lenken von liegend geförderten Fördergüter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719848A1 (de) * 2022-06-29 2024-01-15 Ferag Ag Förderanlage mit einer Vorrichtung zum Lenken von liegend geförderten Fördergüter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3897B2 (en) Off-loading, typing and item separation system
US20170312789A1 (en) Vision based item typing and separation system
KR101986342B1 (ko) 픽킹로봇을 이용한 물품 분류 시스템
US113016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imiting induction of objects to one or more object processing systems
US20190193945A1 (en) Vision based article typing and sorting system
US10106330B2 (en) Very high speed linear sortation conveyor with dynamic recirculation capacity
US1148156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objects using a vacuum roller with one or more object processing systems
WO2018204901A2 (en) Vision based article typing and sorting system
US20160221766A1 (en) Slide sorter pop-up diverting conveyor with transfer rate based on article characteristics
US201502173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orting parcel
US202200439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objects using drop conveyors with one or more object processing systems
KR102010342B1 (ko) 물품의 배출 위치 조절 기능을 갖는 물품 분류 시스템
US11396430B2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operating a material handling system
CA3126138C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objects using vacuum diverts with one or more object processing systems
JP7225702B2 (ja) 仕分け装置
KR102443188B1 (ko) 화물 분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RU2739726C1 (ru) Устройство организации изделий, система организации изделий и компьютерно-читаемый носитель хранения
KR20210146681A (ko) 물류용 소터 시스템
KR102390557B1 (ko) 화물 분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1420233B2 (en) Sorting apparatus, logistic system, and control device
KR102080445B1 (ko) 양방향 피봇휠이 구비된 구분기 제어방법
WO2017180810A1 (en) Conveyors for sorting products
KR102664878B1 (ko) 화물 형상 인식을 이용한 화물 정렬 장치
KR102006744B1 (ko) 그룹으로 방향 전환이 가능한 물품 운반장치
JP6885561B2 (ja) 搬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