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6655A -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6655A
KR20210146655A KR1020200063736A KR20200063736A KR20210146655A KR 20210146655 A KR20210146655 A KR 20210146655A KR 1020200063736 A KR1020200063736 A KR 1020200063736A KR 20200063736 A KR20200063736 A KR 20200063736A KR 20210146655 A KR20210146655 A KR 20210146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support
coupling member
midsole assembly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5003B1 (ko
Inventor
패트릭 오보일 브라이언
피터 하젠버그 클라스
래리 달튼 그레고리
방수일
Original Assignee
데상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상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데상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3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003B1/ko
Priority to CN202110571825.9A priority patent/CN113729348A/zh
Priority to US17/329,350 priority patent/US20210368917A1/en
Priority to JP2021087955A priority patent/JP2021186674A/ja
Publication of KR20210146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개시에 따른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는, 어퍼(upper)를 포함하는 신발에 완충기능을 제공하는 미드솔 조립체로서, 상기 어퍼에 결합되어 상기 어퍼를 지지하는 커플링 부재, 및 상기 커플링 부재의 아래에 빈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커플링 부재의 측면에 결합되고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도록 굽어지며 상기 어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MIDSOLE ASSEMBLY FOR FOOTWEAR AND FOOTWEAR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는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와 이러한 미드솔 조립체를 포함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사용자의 발을 수용하는 어퍼(upper)와, 상기 어퍼의 하부에 배치되어 쿠셔닝(cushioning)을 제공하는 미드솔(midsole) 및, 미드솔의 하부에 적층되어 지면과 직접 접촉하는 아웃솔(outsole)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미드솔은 사용자에게 개선된 쿠셔닝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발포 재료, 공기 챔버 등 다양한 구조적, 재료적 변형이 적용되며 발전되어 왔다. 종래 미드솔의 쿠셔닝 효과는 미드솔 전체 높이와, 상기 미드솔의 구조적 및/또는 재료적 특성에 의해 결정되는 압축변형율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미드솔은 어퍼와 아웃솔의 사이에 개재되는 별도의 구조물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미드솔 구조물은 어퍼와 아웃솔 사이의 공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어퍼의 상부로부터 하중이 가해지거나 제거될 때 압축되고 복원되는 정도가 제한되었다. 즉, 미드솔 구조물이 최대로 압축되는 경우에도 최소한의 두께를 유지할 수 밖에 없으므로 압축 및 복원의 범위에 한계가 있으며, 이에 따라 착용자에 쿠셔닝을 제공하는 성능도 약화될 수 밖에 없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신발의 어퍼 바닥면 아래에 제공되어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부재를 적용하여 향상된 완충 기능을 수행하는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은 다양한 각도 및 다양한 크기의 하중에 개별적이고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완충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미드솔 조립체를 포함하는 신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는, 어퍼(upper)를 포함하는 신발에 완충기능을 제공하는 미드솔 조립체로서, 상기 어퍼에 결합되어 상기 어퍼를 지지하는 커플링 부재, 및 상기 커플링 부재의 아래에 빈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커플링 부재의 측면에 결합되고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도록 굽어지며 상기 어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발은 상기 어퍼의 아래에 아웃솔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커플링 부재로부터 상기 아웃솔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부재는 적어도 상기 어퍼의 후족부 아래에 결합되어 상기 후족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부재는, 상기 어퍼의 바닥을 지지하는 베이스 판, 및 상기 어퍼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판은 상기 어퍼의 후족부 아래에 결합되어 상기 후족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측면 결합부는 상기 어퍼의 후족부 측면과 뒷꿈치면을 둘러싸도록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부재는 상기 어퍼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는 단일체로 이루어지거나 복수 개로 분할되어 상기 어퍼에 결합되고, 상기 완충 부재는 복수 개로 분할되어 상기 단일체 또는 분할된 복수의 커플링 부재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커플링 부재의 측면에 결합된 상단부, 상기 상단부에 연결되는 제1 단과 상기 제1 단의 반대쪽에 위치한 제2 단, 그리고 상기 제1 단으로부터 상기 제2 단까지 외측으로 볼록하게 굽어지며 연장되는 기둥부를 포함하는 지지 기둥, 및 상기 커플링 부재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지지 기둥의 제2 단이 연결되는 하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기둥은 상기 커플링 부재의 측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된 복수 개가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 기둥 중 적어도 하나의 지지 기둥은 서로 다른 곡률 중심을 갖는 복수의 수직 단면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직 단면 세그먼트는 상기 지지 기둥에 대해 서로 반대 쪽에 곡률 중심이 위치한 수직 단면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 기둥 중 적어도 하나의 지지 기둥은 상기 기둥부에서의 폭이 상기 제1 단 또는 상기 제2 단에서의 폭과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 기둥 각각은 상기 커플링 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측정되는 폭과 상기 폭과 크기가 다른 단면 두께를 갖는 길쭉한(oblong)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지지 기둥은 이웃한 것끼리 서로 다른 간격을 두고 이격되거나, 상기 복수의 지지 기둥은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신발은 상기 완충 부재의 아래에 아웃솔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 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아웃솔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부재는 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 부재의 상단부는 상기 커플링 부재의 결합 돌기를 수용하도록 오목한 결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 부재의 지지 기둥은 상기 기둥부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는, 상기 어퍼의 뒷꿈치면을 지지하는 제1 커플링 부재 및 상기 제1 커플링 부재의 아래에 형성되는 제1 완충 부재를 포함하는 제1 조립체부, 및 상기 어퍼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2 커플링 부재 및 상기 제2 커플링 부재의 아래에 형성되는 제2 완충 부재를 포함하는 제2 조립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에서, 상기 커플링 부재는 하방으로 개구된 포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포켓부에 수용되는 상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부재는 상기 어퍼의 바닥을 지지하는 베이스 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판은 적어도 하나의 통공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포켓부는 상기 커플링 부재의 외측면에 돌출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포켓부는 상기 어퍼의 외피 내측에 삽입되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은 상기한 특징을 갖는 미드솔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는 적어도 상기 어퍼의 후족부의 아래에 결합되어 상기 후족부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는, 어퍼와 아웃솔을 포함하는 신발에 사용되는 미드솔 조립체로서, 상기 어퍼의 측면을 지지하며 상기 어퍼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볼록하게 벤딩되어 상기 어퍼와 아웃솔 사이의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아웃솔까지 연장되는 탄성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지지체는 상기 어퍼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로 분할되어 서로 이격된 각각이 상기 어퍼와 상기 아웃솔 사이에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탄성 지지체 각각은 상기 어퍼의 가장자리를 따라 측정되는 폭을 갖는 스트립(strip)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탄성 지지체는 서로 다른 곡률 중심을 갖는 복수의 수직 단면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직 단면 세그먼트는 상기 탄성 지지체에 대해 서로 반대 쪽에 곡률 중심이 위치한 수직 단면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는 현저한 충격 완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즉, 완충 부재의 압축 및 회복을 통하여 모든 신체 활동 시 충격 하중을 완화하므로 착용자에게 더욱 향상된 쿠셔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완충 부재의 구조적 특성, 즉 각 지지 기둥, 상단부 및 하단부 사이의 빈 공간으로 인하여 무게가 가벼운 신발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에서 완충 부재의 기둥부의 소재와 형상으로 인하여 러닝 및 보행 시 착용자에게 에너지 리턴 (energy return)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는 각 영역별 복수의 지지 기둥의 서로 다른 설계를 통하여 각 영역별로 요구되는 쿠셔닝 성능을 갖는 신발의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나아가 이러한 미드솔 조립체를 장착한 신발은 러닝 및 보행 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 조립체를 구비한 신발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 조립체를 구비한 신발을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신발을 이의 종축을 따라 잘라서 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 조립체에서 완충 부재의 수직 단면 프로파일을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 조립체의 지지 기둥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 조립체의 완충 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신발의 측면 방향에서 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 조립체의 완충 부재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신발의 측면 방향에서 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 조립체 구비한 신발을 도시한 미디얼 측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신발의 래터럴 측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 조립체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a)와 이를 결합하여 도시한 사시도(b)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 조립체를 구비한 신발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 조립체의 커플링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 조립체를 구비한 신발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 조립체를 구비한 신발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 조립체를 구비한 신발을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10)은 어퍼(12)와 그 아래에 결합되어 완충 기능을 제공하는 미드솔(14)과 미드솔 조립체(100), 그리고 아웃솔(16)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12)는 사용자의 발을 감싸는 구조를 가지며, 가죽, 직물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웃솔(16)은 어퍼(12)의 하부에 이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면서 지면과 맞닿는 부분이므로 지면과의 접촉에 대한 내구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웃솔(16)이 지면과 직접 맞닿는 부위에는 마찰 내구성이 있는 고무 등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어퍼(12)의 전족부(FF) 및 중족부(MF) 저면에는 미드솔(14)이 부착되어 쿠셔닝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미드솔(14)은 어퍼(12)와 아웃솔(16) 사이에서 완충 기능을 제공하는 폼(foam) 재질의 미드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미드솔 조립체(100)는 어퍼(12)에 결합되는 커플링 부재(110)와 이 커플링 부재(110)의 아래에 빈 공간(E)을 형성하며 연장되는 완충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플링 부재(110)는 어퍼(12)의 아래에 결합되어 이를 지지할 수 있으며, 완충 부재(120)는 커플링 부재(110)의 측면으로부터 어퍼(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완충 부재(120)는 빈 공간(E)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도록 굽어져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10)은 어퍼(12)의 아래에 아웃솔(16)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미드솔 조립체(100)는 어퍼(12)와 아웃솔(16)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미드솔 조립체(100)의 완충 부재(120)는 커플링 부재(110)로부터 아웃솔(16)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미드솔 조립체(100)는 어퍼(12)의 후족부(RF) 아래에 제공될 수 있는데, 이 때 커플링 부재(110)는 어퍼(12)의 후족부(RF) 아래에 결합되어 이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미드솔 조립체(100)는 어퍼(12)와 아웃솔(16) 사이의 어떤 부분에도 배치될 수 있다. 미드솔 조립체(100)는 어퍼(12)의 전족부(FF) 아래에 결합되거나, 전족부(FF)와 중족부(MF) 아래에 결합되거나, 전족부(FF), 중족부(MF) 및 후족부(RF) 아래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커플링 부재(110)는 어퍼(12)의 바닥을 지지하는 베이스 판(112)과 어퍼(12)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 결합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판(112)은 어퍼(12)의 후족부(RF)의 아래에 결합되어 후족부(RF)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측면 결합부(114)는 어퍼(12)의 측면과 뒷꿈치면을 둘러싸도록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완충 부재(120)의 지지 기둥(124)은 커플링 부재(110)의 측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된 복수 개가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 기둥(124) 각각은 어퍼(12)와 아웃솔(16)의 사이에서 신발 착용자의 하중에 따른 압력을 분산하여 지지하면서 착용자에게 쿠셔닝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 기둥(124)은, 일례로, 미디얼(medial) 측에 2개, 래터럴(lateral) 측에 2 개, 힐(heel) 측에 2개씩 구비되어 총 6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지지 기둥(124)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지지 기둥(124)이 하나의 단일체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6 개보다 많거나 적은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지지 기둥(124) 각각은 어퍼(12)의 측면 둘레에 결합된 커플링 부재(110)의 측면 결합부(114)에 고정되어 신체 활동 시 지면으로부터 전달받은 충격을 감쇠시킬 수 있다. 즉, 지지 기둥(124)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적 형상에 의해 착용자의 발바닥을 향한 수직 방향의 충격 전달이 감쇠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신발을 이의 종축을 따라 잘라서 본 종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완충 부재(120)는 커플링 부재(110)에 결합되는 상단부(121)와 커플링 부재(110)로부터 이격된 하단부(12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단부(121)와 하단부(126) 사이에는 지지 기둥(124)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지지 기둥(124)은 어퍼(12)에 인접한 제1 단(124a)과 그 반대쪽에 위치한 제2 단(124b)을 가지며, 완충 부재(120)의 지지 기둥(124)은 제1 단(124a)과 제2 단(124b) 사이에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구부러진 기둥부(124c)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에도 기둥부(124c)는 부분적으로 내측으로 볼록하게 구부러질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3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제1 단(124a)은 상단부(121)로 이어지고 제2 단(124b)은 하단부(126)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기둥부(124c)는 제1 단(124a)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부(A), 이 전환부(A)의 하방 외측으로 굴곡지게 연장되는 만곡부(B), 및 수평하게 내측으로 제2 단(124b)으로 연장되고 완충 부재(120)의 하단부(126)와 연결되는 하단 연결부(C)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120)의 상단부(121)는 커플링 부재(110)의 측면 결합부(114)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플링 부재(110)는 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 돌기(115)를 포함하고, 이러한 결합 돌기(115)를 수용하도록 완충 부재(120)는 상단부(121)에 오목한 결합 홈(122)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돌기(115)는 제1 수평부와 제1 수직부를 가지고, 결합 홈(122)은 제2 수평부 및 제2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120)의 상단부(121)가 커플링 부재(110)의 측면 결합부(114)에 결합할 때, 결합 돌기(115)의 제1 수평부는 결합 홈(122)의 제2 수평부와 접촉하고, 결합 돌기(115)의 제1 수직부는 결합 홈(122)의 제2 수직부와 접촉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은, 일례로, 접착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다른 예로, 스냅 결합, 리벳 결합, 힌지 핀을 통한 결합과 이들의 선택적인 조합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신발(10)이 완충 부재(120)의 아래에 아웃솔(16)을 포함하는 경우에, 완충 부재(120)의 하단부(126)는 아웃솔(16)에 대면하여 부착될 수 있다. 즉, 아웃솔(16)은 완충 부재(120)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아웃솔(16)은 완충 부재(120)의 하단부(126) 및 미드솔(14)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렇게 부착되는 아웃솔(16)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제작되어 부착될 수 있다. 아웃솔(16)이 분리형으로 제작되는 경우에, 완충 부재(120)의 하단부(126)에 부착되는 아웃솔(16) 부분과 신발(10)의 미드솔(14)에 부착되는 아웃솔(16) 부분이 분리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하나의 일체로 된 아웃솔이 완충 부재(120)의 하단부(126)와 미드솔(14)에 동시에 부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 조립체(100)에서 지지 기둥(124)은 커플링 부재(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측정되는 폭과 상기 폭과 크기가 다른 단면 두께를 갖는 길쭉한(oblong)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일례로 스트립(strip)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완충 부재(120)의 지지 기둥(124)은 지지되는 영역별로 상이한 크기의 폭 및 상이한 크기의 두께를 갖도록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지지 기둥(124)의 '폭'은 지지 기둥(124)의 횡단면을 취할 때 신발의 둘레를 따라 횡방향으로 측정되는 길이이고, 지지 기둥(124)의 '두께'는 지지 기둥(124)의 횡단면을 취할 때 신발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측정된 길이로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미디얼(medial) 측(M)의 지지 기둥(124)의 폭 및 두께는 힐(heel) 측(H)의 지지 기둥(124)의 폭 및 두께와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래터럴(lateral) 측(L)의 지지 기둥(124)의 폭 및 두께는 힐 측(H) 및 미디얼 측(M)과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 기둥(124)의 폭 및 두께의 배치 영역에 따른 서로 상이한 설정은 신발의 각 영역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각 영역별 지지 기둥의 형상, 단면 두께, 단면 폭, 높이 방향에 따른 단면 형상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러한 요소들 또는 요소들의 조합의 변경은 미드솔 조립체에 의해 제공되는 쿠셔닝을 또한 변경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 조립체(100)를 구성하는 완충 부재(120)의 각 지지 기둥(124)의 단면 두께는 1 내지 15mm의 범위에 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완충 부재(120)의 각 지지 기둥(124)의 폭은 2 내지 250mm의 범위에 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수치 범위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기둥부의 폭(W1)은 25mm, 제2 기둥부의 폭(W2)은 35mm, 제3 기둥부의 폭(W3)은 50mm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각 지지 기둥의 폭을 2mm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지지 기둥의 개수를 더욱 늘릴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지지 기둥의 폭을 250mm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지지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완충 부재의 지지 기둥은 1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미디얼 측 또는 래터럴 측에 지지 기둥의 개수 및 각 지지 기둥의 두께 및 폭을 서로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다양한 정적 하중 및 동적 하중에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 조립체(100)를 구성하는 완충 부재(120)의 각 지지 기둥(124)은 서로 인접한 지지 기둥(124)과의 사이 거리, 즉, 간격이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제1 기둥부의 중심선(L1)과 인접한 제2 기둥부의 중심선(L2)까지의 거리(D1), 제2 기둥부의 중심선(L2)과 인접한 제3 기둥부의 중심선(L3)까지의 거리(D2)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1은 40mm, D2는 80mm로 설정될 수 있다. 이렇게 인접한 지지 기둥 사이의 거리는 지지 기둥의 개수, 이격 거리 등에 의하여 변동될 수 있으며, 10 내지 200mm의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힐 측에 배치되는 지지 기둥(124)에서 제1 단(124a)의 폭과 제2 단(124b)의 폭은 서로 동일할 수 있으며, 그 사이의 기둥부(124c)의 폭은 높이에 따라 변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미디얼 측 및 래터럴 측에서도 마찬가지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각 영역에서의 지지 기둥(124)의 기둥부(124c)는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데, 이 때 기둥부(124c)의 폭은 제1 단(124a) 및 제2 단(124b)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즉, 기둥부(124c)의 수평 단면을 취할 때, 각각의 단면에서 외측의 표면 길이는 기둥부(124c)의 높이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도 2 및 도 3 참조).
다른 예에 따르면, 커플링 부재(110)의 측면 결합부(114)는 복수의 결합부로 분리되고 각각의 결합부가 어퍼(12)의 측면에 배열되어 부착될 수 있다. 각각의 결합부는 이에 대응하는 각각의 완충 부재(120)의 상단부(121)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커플링 부재(110)의 베이스 판(112)은 후족부(RF)에서 중족부(MF)까지 연장되거나, 후족부(RF)에서 중족부(MF)를 거쳐 전족부(FF)까지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 판(112)이 쿠셔닝 성능을 가지도록 하여 전족부(FF), 중족부(MF) 및/또는 후족부(RF)의 베이스 판(112)에 하중이 인가되면 변형되고 하중이 제거되면 원래의 형태로 복귀하여 보행 및 런닝을 포함하는 신체 활동 시 착용자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완충부재 지지기둥의 기둥부가 외측으로 볼록하게 구부러진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기둥부는 부분적으로 내측으로 볼록하게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는 하기에서 도 4를 참조하여 더 설명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 조립체에서 완충 부재의 수직 단면 프로파일을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완충 부재(120)의 복수의 지지 기둥(124)은 후족부(RF)의 각 영역별로 서로 다른 곡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 기둥(124) 중 하나의 지지 기둥(124)의 곡면 프로파일은 14개의 세그먼트로 분할되어 각각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갖는 곡선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세그먼트는 곡률반경(r)이 크다면 평면에 가까운 곡면을 가지며, 곡률반경(r)이 작은 세그먼트는 급격히 굽어지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수직 단면 세그먼트는 지지 기둥(124)에 대해 서로 반대 쪽에 곡률 중심이 위치한 수직 단면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일부 수직 단면 세그먼트의 곡률 중심은 지지 기둥(124)의 외측에 위치하고, 다른 일부 수직 단면 세그먼트의 곡률 중심은 지지 기둥(124)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단부(121)에 인접한 3개의 세그먼트 S1~S3의 곡률 중심 C1~C3은 외측에 형성되고 나머지 세그먼트 S4~S11의 곡률 중심 C4~C11은 내측에 형성된 것을 나타내었다. 세그먼트 S1~S3은 지지 기둥(124)의 외측으로 오목한, 즉 내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형성하고 있고, 세그먼트 S4~S11은 지지 기둥(124)의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이는 하나의 예시적인 도시일 뿐 본 발명은 곡률반경의 중심점의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은 과장된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지지 기둥(124)의 곡면을 형성하는 세그먼트 S1~S14가 지지 기둥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것이다. 세그먼트 S8이 직선에 가깝다면, 곡률 중심 C8은 도 4 도시된 것보다 더 멀리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지지 기둥(124)의 일부는 직선 세그먼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지지 기둥(124)의 양단에 위치한 세그먼트(S1, S14)는 각각 상단부(121)와 하단부(126)에 연결되고, 상단부(121) 및 하단부(126)는 직선 세그먼트에 해당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 조립체(100)는 신발(10)의 후족부(RF)에 중공의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어퍼(12; 도 3 참조)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커플링 부재(110)의 베이스 판(112)과 완충 부재(120)의 하단부(126)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빈 공간(E)에는 다른 구성이 구비되지 않고 비어 있는 공간일 수 있다. 이러한 빈 공간은 복수의 지지 기둥(124)에 의해 이격된, 어퍼(12)와 완충 부재(120)의 하단부(126) 간의 거리만큼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인접하게 배치된 지지 기둥(124)들은 완충 부재(120)의 상단부(121)와 하단부(126)를 통해 상호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복수의 지지 기둥(124)들이 상단부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각각이 직접 커플링 부재(110)의 측면 결합부(114)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완충 부재(120)의 하단부(126)는 아웃솔(16)과 접촉하는 전체 면적을 커버하도록 솔리드(solid)형 평면을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완충 부재(120)의 하단부(126)는 지지 기둥(124)의 제2 단(124b)을 연결하도록 아웃솔(16)의 가장자리를 따라 가운데가 비어 있는 말굽형의 평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플링 부재(110)는 탄성 중합체 재질로 이루어져 완충 부재(120)의 상단부(121)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완충 부재(120)도 탄성 중합체 재질로 성형될 수 있는 바, 완충 부재(120)를 구성하는 지지 기둥(124), 상단부(121), 및 하단부(126)가 단일체로 성형되거나, 각 구성요소들이 분리되어 개별로 성형되어 서로 부착될 수도 있다. 이 때 커플링 부재(110)와 완충 부재(120)의 상단부(121)는 서로 융착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바느질(stitch) 또는 리벳(rivet)으로 결합될 수 있다. 커플링 부재 및 완충 부재의 재료는 탄성 중합체 재료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탄성 중합체 재료 또는 탄소 섬유 강화 재료 및 기타 재료를 포함한다.
미드솔 조립체(100)를 구성하는 완충 부재(120)의 지지 기둥(124)은 미디얼 측에 두 개, 래터럴 측에 두 개, 힐 측에 두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들 각각의 지지 기둥(124)은 그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하중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미드솔 조립체(100)를 구성하는 커플링 부재(110)와 완충 부재(120)는 각각 몰드물로 성형 제작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미드솔 조립체(100)는 다시 어퍼(12; 도 3 참조)에 부착될 수 있으며, 그 하부에는 아웃솔(16)이 더 부착될 수 있다. 이 때 완충 부재(120)의 상단부(121)와 하단부(126)는 어퍼(12) 및 아웃솔(16)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완충 부재(120)의 지지 기둥(124)은 완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완충 부재(120)의 지지 기둥(124)은, 일례로, 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PEBA (Polyether Block Amide,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또는 TPE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계열의 열가소성 탄성체 (Thermoplastic Elastom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열가소성 탄성체는 사출 성형에 유리하며, 하중을 받으면 압축되고 하중이 제거되면 원 위치로 복원되는 능력을 통하여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완충 부재(120)의 지지 기둥(124)은 탄소섬유(Carbon Fiber) 및/또는 나노튜브(Nanotube)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완충 부재(120)의 지지 기둥(124)은 TPU, PEBA, TPEE 등의 소재에 탄소섬유(Carbon Fiber)를 강화한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재료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원하는 목적의 완충 부재로서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완충 부재(120)의 상단부(121) 및 하단부(126)는 지지 기둥(124)과 동일한 재료로 성형되거나 다른 재료를 이용하여 성형될 수 있다. 상단부(121) 및 하단부(126)와 지지 기둥(124)이 서로 다른 재료로 성형되는 경우, 상단부(121) 및 하단부(126)를 형성하는 재료는 지지 기둥(124)을 형성하는 재료보다 상대적으로 변형 및 복원의 정도가 덜한 재료일 수 있다.
커플링 부재(110) 또한 지지 기둥(124)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재료로 성형되거나 다른 재료를 이용하여 성형될 수 있으며, 지지 기둥(124)의 재료에 비하여 적절한 변형 능력을 갖는 재료를 선택하여 성형될 수 있다.
완충 부재(120)의 복수의 지지 기둥(124)은 지지 기둥(124) 각각의 상단부(121)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으나, 상단부(121)가 각각의 지지 기둥(124)별로 분리되어 커플링 부재(110)의 측면 결합부(114)에 부착될 수도 있다. 완충 부재(120)를 커플링 부재(110)의 측면 결합부(114)에 부착하는 방법은 접착제, 인서트, 돌기 및 구멍을 사용하여 서로 결합할 수 있으며, 또한 레이저 본딩, HF (High Frequency) 펄스 본딩 등의 본딩 방법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커플링 부재(110)를 구성하는 베이스 판(112)과 측면 결합부(114)는 하나의 몰드물로 제조될 수 있다. 몰드물은 인젝션 몰딩, 3D 프린팅, 기타 다양한 몰드 기법으로 성형하여 제조한 물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 조립체의 지지 기둥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 따른 지지 기둥(124')에서 제1 단(124a')의 폭과 제2 단(124b')의 폭은 서로 동일하고 기둥부(124c')의 폭은 제1 단(124a') 및 제2 단(124b')의 폭보다 더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기둥부(124c')는 중간 부분에서의 폭이 하측 부분에서의 폭보다 더 좁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하측 부분은 중간 부분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 조립체의 완충 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신발의 측면에서 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 따른 완충 부재(120”)에서 지지 기둥은 그 위치에 따라 폭과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면에서 좌측에 중족부가 위치하고 우측에 힐측에 위치하는 것을 가정하면, 중족부에 가까운 지지 기둥(1241)은 힐측에 가까운 지지 기둥(1242)보다 더 넓은 폭 및 더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선택적으로, 힐측에 가까운 지지기둥이 중족부에 가까운 지지기둥보다 더 넓은 폭 및 더 얇은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 조립체의 완충 부재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신발의 측면에서 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 따른 완충 부재(120''')에서 지지 기둥은 그 위치에 따라 형상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면에서 좌측에 중족부가 위치하고 우측에 힐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중족부에 가까운 지지 기둥(1244)은 신발의 측면에서 볼 때 한 쪽으로 굽어진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힐측에 가까운 지지 기둥(1245)은 가운데에 통공(129)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도면에서 한 쪽으로 굽어진 지지 기둥(1244)는 힐측을 향해 볼록하게 굽어진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선택적으로 중족부를 향해 볼록하게 굽어진 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 조립체를 구비한 신발을 도시한 미디얼 측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신발의 래터럴 측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20)의 미드솔 조립체(200)의 완충 부재(220)는 5개로 구분된 지지 기둥(22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각각의 지지 기둥(224)의 폭 및 두께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지지 기둥(224)에는 개구부(229)가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229)는 지지 기둥(224)의 기둥부에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 기둥(224)의 제2 단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각 지지 기둥(224)에 형성된 개구부(229)는 서로 다른 모양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개구부(229)의 형상, 폭, 높이 및 개수 등의 변경을 통하여 각각의 지지 기둥(224)은 압축 하중 및 인장 하중을 포함한 서로 다른 굽힘 모멘트(bending moment)를 견디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때, 개구부(229)의 폭과 높이는 각 지지 기둥(224)의 폭과 높이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지지 기둥(224)은 서로 구분된 복수의 기둥부가 제2 단(하단)에서 모여 일체로 성형된 바닥판 형상으로 완충 부재(220)의 하단부(226)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 기둥(224)의 제1 단(상단)에 인접한 완충 부재(220)의 상단부(221)는 서로 분리되어 커플링 부재(2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 조립체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a)와 이를 결합하여 도시한 사시도(b)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 조립체(300)는 어퍼(12)를 지지하는 커플링 부재(310)와 쿠셔닝을 제공하는 완충 부재(320)가 일체로 성형된 복수의 부분들을 어퍼(12)의 종축 방향으로 서로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후족부(RF)를 제1 영역(RF1), 제2 영역(RF2), 및 제3 영역(RF3)으로 분할하여 각각에 대응하는 부분들을 각각 제1 조립체부(301), 제2 조립체부(302) 및 제3 조립체부(303)로 구분할 수 있다.
제1 조립체부(301)는 어퍼(12)의 뒷꿈치면을 지지하며 완충 기능을 제공하는 제1 커플링 부재(310a)와 제1 완충 부재(320a)가 일체로 성형된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조립체부(302)는 제1 조립체부(301)와 인접하며 어퍼(12)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2 커플링 부재(310b)와 제2 완충 부재(320b)가 일체로 성형된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3 조립체부(303)는 제2 조립체부(302)와 인접하며 어퍼(12)의 중족부(MF) 측면을 지지하는 제3 커플링 부재(310c)와 제3 완충 부재(320c)가 일체로 성형된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조립체부(301), 제2 조립체부(302) 및 제3 조립체부(303)는 각각이 개별 몰드 내에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하나의 몰드 내에서 또는 다중 몰드 내에서 한꺼번에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들 제1 조립체부(301), 제2 조립체부(302), 및 제3 조립체부(303)는 서로 결합하여 미드솔 조립체(300)를 형성하며, 어퍼(12)의 후족부(RF)에 결합되어 이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족부(RF)를 세 영역으로 구분하고 이에 각각 대응하는 세 개의 조립체부(301, 302, 303)로 분할된 예를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일체로 성형된 부분들 또는 둘 이상의 복수로 분할된 조립체부 부분이 결합되어 미드솔 조립체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미드솔 조립체는 상기 예와 같은 미디얼 측-래터럴 측을 가로지르는 방향(어퍼의 횡측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조립체부(301), 제2 조립체부(302), 및 제3 조립체부(303)의 각 몰드물은 인젝션 몰딩, 3D 프린팅, 기타 다양한 몰딩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 일체형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이 때 제1 조립체부(301), 제2 조립체부(302), 및 제3 조립체부(303)는, 일례로, 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PEBA (Polyether Block Amide,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또는 TPE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계열의 열가소성 탄성체 (Thermoplastic Elastom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 조립체를 구비한 신발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 조립체의 커플링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40)의 미드솔 조립체(400)에서 커플링 부재(410)는 복수 개로 분할되어 어퍼(12)에 각각 결합되고, 완충 부재(420)는 복수 개로 분할되어 복수의 커플링 부재(41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커플링 부재(410)는 베이스 판(412)과 측면 결합부(414)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플링 부재(410)의 베이스 판(412)은 어퍼(12)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커플링 부재(410)의 바닥면을 구성할 수 있는 바, 베이스 판(412)에 대응하는 어퍼(12)의 바닥면과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 판(412)은, 일례로, 하나 이상의 통공을 갖는 격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어퍼(12)의 바닥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바닥에 격자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베이스 판은 미디얼(medial)측과 래터럴(lateral)측에 절개부(cut-out)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 판(412)의 재료 특성 및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커플링 부재는 일정 수준의 구성(configuration)에 따른 변형을 초래할 수 있다. 베이스 판(412)의 재질은 섬유(fabric), 가죽, 또는 열가소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어퍼(12)와 결합되는 베이스 판(412)은 격자 형상이 아닌 하나 이상의 관통공을 갖도록 구성되거나 복수의 재료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격자 형상을 갖는 베이스 판은 본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격자 형상 판은 도 1을 포함한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커플링 부재(410)의 측면 결합부(414)는 베이스 판(412)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며 어퍼(12)의 둘레에 결합될 수 있다. 측면 결합부(414)는 하방으로 개구된 포켓부(414a)를 포함할 수 있는데, 포켓부(414a)는 서로 분리된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베이스 판(41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포켓부(414a)는 커플링 부재(410)의 외측면에 돌출되어 제공될 수 있다. 측면 결합부(414)는 섬유, 가죽 등의 소프트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일정 수준의 강도를 갖는 나일론계 탄성 중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커플링 부재(410)의 측면 결합부(414)는 어퍼(12)의 측면에 결합할 때 보강부재를 매개로 부착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완충 부재(420)는 커플링 부재(410)의 포켓부(414a)에 수용되는 상단부(421)와 커플링 부재(410)로부터 이격되고 평면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단부(426), 그리고 이로부터 연장되어 상단부(421)에 연결되는 지지 기둥(424)을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420)의 상단부(421)는, 일례로, 지지 기둥(424)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커플링 부재(410)의 포켓부(414a)에 끼워지며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 기둥(424)으로부터 연장된 상단부(421)는 각각 대응하는 포켓부(414a)에 개별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 조립체를 구비한 신발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500)에서 포켓부(514a)는 어퍼(52)의 측면 내측에 삽입되어 제공될 수 있다. 어퍼(52)는 내피(52a), 외피(52c), 그리고 중간피(52b)를 포함하고, 중간피(52b)는 복수의 포켓부(514a)가 서로 연결한 형태로 이루어져 내피(52a)와 외피(52c)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중간피(52b)의 하단은 외피(52c)와 연결되어 있으며, 외피(52c)에는 포켓부(514a)로 연통될 수 있는 슬릿(52d)이 절개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4에 함께 도시한 A-A'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을 참조하면, 완충 부재(520)의 상단부(521)는 어퍼(52)의 외피(52c)에 형성된 슬릿(52d)을 통과하여 중간피(52b)의 포켓부(514a)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중간피(52b)는 커플링 부재(510)의 측면 결합부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중간피(52b)에 위치하는 포켓부(514a)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지지 기둥(524)으로부터 연장된 상단부(521)를 개별로 수용할 수 있다. 커플링 부재(510)와 완충 부재(520)의 결합은 접착제 본딩, 레이저 본딩, HF 펄스 본딩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본딩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중간피 (52b)의 재료는 고무, 탄성 중합체, 수지, 섬유, 직물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들 재료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어퍼(52)의 중간피(52b)는 완충 부재(520)가 연결된 커플링 부재(510)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와 유사하게 베이스 판은 어퍼의 아래에 개별적으로 또는 어퍼(52)의 중간피(52b) 또는 외피(52c)와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완충 부재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어퍼의 측면 부분에 연결된다. 또한, 완충 부재는 힐 측에서 기존 보강을 통해 어퍼의 측면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미드솔 조립체에서 완충 부재는 신발의 후족부에 설치된 것을 기본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완충 부재는 신발의 중족부 또는 전족부까지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미드솔 조립체가 후족부, 전족부, 중족부를 포함하는 신발의 전체 영역 아래쪽 측면 바운더리에 설치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지지 기둥의 폭, 거리, 지지 기둥의 개수 등은 전술한 바와 달리 설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신발의 종류에 따라 아웃솔을 생략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 조립체의 완충 부재 하단부가 직접 지면에 닿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완충 부재 하단부는 완충 부재의 지지 기둥이 모여 연결되는 솔리드 플레이트(solid plate) 또는 말굽형 플레이트 (horseshoe plate)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커플링 부재와 관련하여, 어퍼에 결합되어 어퍼를 지지하며 완충 부재가 이에 연결될 수 있는 구조라면 기존의 신발 구조에서 사용되던 명칭이나 그 고유의 기능에 관계 없이 본 발명의 커플링 부재로 해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미드솔 조립체, 어퍼 및 아웃솔 등의 모든 구성요소를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하거나,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신발 전체를 3D 프린터로 성형하여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러닝과 같은 신체활동을 위한 스포츠화에 중점을 두고 설명하였으나, 다른 종류의 신발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20, 40, 50, 60: 신발 12, 52: 어퍼
14: 미드솔 16: 아웃솔
52a, 52b, 52c, 52d: 내피, 중간피, 외피, 슬릿
100, 200, 300, 400, 500, 600: 미드솔 조립체
110, 210, 310, 410, 510, 610: 커플링 부재
112, 412, 612: 베이스 판
114, 414: 측면 결합부 115: 결합 돌기
120, 220, 320, 420, 520, 620: 완충 부재
121, 221, 421, 521, 621: 상단부
122: 결합홈 124, 224, 424, 524: 지지 기둥
124a, 124b, 124c: 제1, 제2 단, 기둥부
126, 226, 426: 하단부 229: 개구부
301, 302, 303: 제1, 제2, 제3 조립체부
310a, 310b, 310c: 제1, 제2, 제3 커플링 부재
320a, 320b, 320c: 제1, 제2, 제3 완충 부재
414a, 514a, 614a: 포켓부
624a, 624b: 제1, 제2 지지 기둥
A, B, C: 전환부, 만곡부, 연결부
C1~C14: 곡률중심 S1~S14: 세그먼트
E: 빈 공간
FF, MF, RF: 전족부, 중족부, 후족부
RF1, RF2, RF3: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

Claims (25)

  1. 어퍼(upper)를 포함하는 신발에 완충기능을 제공하는 미드솔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어퍼에 결합되어 상기 어퍼를 지지하는 커플링 부재; 및
    상기 커플링 부재의 아래에 빈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커플링 부재의 측면에 결합되고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도록 굽어지며 상기 어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완충 부재
    를 포함하는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은 상기 어퍼의 아래에 아웃솔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커플링 부재로부터 상기 아웃솔을 향해 연장되는,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는 적어도 상기 어퍼의 후족부 아래에 결합되어 상기 후족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는,
    상기 어퍼의 바닥을 지지하는 베이스 판; 및
    상기 어퍼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 결합부
    를 포함하는,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판은 상기 어퍼의 후족부 아래에 결합되어 상기 후족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측면 결합부는 상기 어퍼의 후족부 측면과 뒷꿈치면을 둘러싸도록 만곡되게 형성된,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는 상기 어퍼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는 단일체로 이루어지거나 복수 개로 분할되어 상기 어퍼에 결합되고,
    상기 완충 부재는 복수 개로 분할되어 상기 단일체 또는 분할된 복수의 커플링 부재에 각각 결합되는,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커플링 부재의 측면에 결합된 상단부;
    상기 상단부에 연결되는 제1 단과 상기 제1 단의 반대쪽에 위치한 제2 단, 그리고 상기 제1 단으로부터 상기 제2 단까지 외측으로 볼록하게 굽어지며 연장되는 기둥부를 포함하는 지지 기둥; 및
    상기 커플링 부재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지지 기둥의 제2 단이 연결되는 하단부
    를 포함하는,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둥은 상기 커플링 부재의 측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된 복수 개가 배열된,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기둥 중 적어도 하나의 지지 기둥은 서로 다른 곡률 중심을 갖는 복수의 수직 단면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직 단면 세그먼트는 상기 지지 기둥에 대해 서로 반대 쪽에 곡률 중심이 위치한 수직 단면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기둥 중 적어도 하나의 지지 기둥은 상기 기둥부에서의 폭이 상기 제1 단 또는 상기 제2 단에서의 폭과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기둥 각각은 상기 커플링 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측정되는 폭과 상기 폭과 크기가 다른 단면 두께를 갖는 길쭉한(oblong)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지지 기둥은 이웃한 것끼리 서로 다른 간격을 두고 이격되거나,
    상기 복수의 지지 기둥은 서로 다른 폭을 갖는,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은 상기 완충 부재의 아래에 아웃솔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 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아웃솔에 부착되는,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는 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 부재의 상단부는 상기 커플링 부재의 결합 돌기를 수용하도록 오목한 결합 홈을 포함하는,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의 지지 기둥은 상기 기둥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의 뒷꿈치면을 지지하는 제1 커플링 부재 및 상기 제1 커플링 부재의 아래에 형성되는 제1 완충 부재를 포함하는 제1 조립체부; 및
    상기 어퍼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2 커플링 부재 및 상기 제2 커플링 부재의 아래에 형성되는 제2 완충 부재를 포함하는 제2 조립체부
    를 포함하는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는 하방으로 개구된 포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포켓부에 수용되는 상단부를 포함하는,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는 상기 어퍼의 바닥을 지지하는 베이스 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판은 적어도 하나의 통공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는 상기 커플링 부재의 외측면에 돌출되어 제공되는,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는 상기 어퍼의 외피 내측에 삽입되어 제공되는,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 따른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를 포함하는 신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는 적어도 상기 어퍼의 후족부의 아래에 결합되어 상기 후족부를 지지하는 신발.
  22. 어퍼와 아웃솔을 포함하는 신발에 사용되는 미드솔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어퍼의 측면을 지지하며 상기 어퍼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볼록하게 벤딩되어 상기 어퍼와 아웃솔 사이의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아웃솔까지 연장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어퍼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로 분할되어 서로 이격된 각각이 상기 어퍼와 상기 아웃솔 사이에서 지지되는,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체 각각은 상기 어퍼의 가장자리를 따라 측정되는 폭을 갖는 스트립(strip) 형상을 갖는,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서로 다른 곡률 중심을 갖는 복수의 수직 단면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직 단면 세그먼트는 상기 탄성 지지체에 대해 서로 반대 쪽에 곡률 중심이 위치한 수직 단면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
KR1020200063736A 2020-05-27 2020-05-27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102345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736A KR102345003B1 (ko) 2020-05-27 2020-05-27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CN202110571825.9A CN113729348A (zh) 2020-05-27 2021-05-25 鞋的中底组件和包括该中底组件的鞋
US17/329,350 US20210368917A1 (en) 2020-05-27 2021-05-25 Midsole assembly of footwear and footwear including the same
JP2021087955A JP2021186674A (ja) 2020-05-27 2021-05-25 靴のミッドソール組立体およびこれを含む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736A KR102345003B1 (ko) 2020-05-27 2020-05-27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655A true KR20210146655A (ko) 2021-12-06
KR102345003B1 KR102345003B1 (ko) 2021-12-29

Family

ID=78707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736A KR102345003B1 (ko) 2020-05-27 2020-05-27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368917A1 (ko)
JP (1) JP2021186674A (ko)
KR (1) KR102345003B1 (ko)
CN (1) CN113729348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42850A (ja) * 1999-05-03 2002-12-17 プーマ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ルードルフ ダスレル シュポルト 靴用のクッションインサート及びこのようなクッションインサートを備えた靴
US20030051373A1 (en) * 2001-09-17 2003-03-20 David Goodwin Protective cage for footwear bladder
US20070240331A1 (en) * 2006-04-14 2007-10-18 Salomon S.A. Shock-absorb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JP2010505538A (ja) * 2006-10-03 2010-02-25 ナイキ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スプリングアームを有するサポートアセンブリを備えた履物
US8181360B2 (en) 2008-03-31 2012-05-22 Mizuno Corporation Sole structure for a shoe
KR101265080B1 (ko) * 2011-11-22 2013-05-16 (주)지원에프알에스 기능성 신발물품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4119B2 (en) * 2001-06-08 2005-11-15 Weaver Iii Robert B Footwear with impact absorbing system
CN101237787B (zh) * 2005-10-13 2010-05-19 绿安全株式会社 鞋底及鞋
US7395616B2 (en) * 2005-10-14 2008-07-0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pivoting sole element
US20080313928A1 (en) * 2006-09-08 2008-12-25 Adams Roger R Wheeled footwear with spring suspension system
DE102006059658B3 (de) * 2006-12-18 2008-03-27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Schuh
JP4317893B1 (ja) * 2008-03-28 2009-08-19 美津濃株式会社 シューズのソール構造体
KR101319821B1 (ko) * 2011-09-01 2013-10-18 (주)지원에프알에스 신발창
FR2982745B1 (fr) * 2011-11-22 2014-01-03 Decathlon Sa Semelle de chaussure et chaussure equipee d'une telle semelle
US9629414B2 (en) * 2013-07-11 2017-04-25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9480303B2 (en) * 2013-08-09 2016-11-01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EP3061363B1 (en) * 2013-10-21 2018-12-05 ASICS Corporation Shock-absorbing structure for sole side surface and shoes implementing same
JP6611372B2 (ja) * 2017-12-19 2019-11-27 美津濃株式会社 衝撃緩衝部材の製造方法
CN207912176U (zh) * 2018-01-31 2018-09-28 安踏(中国)有限公司 一种弹性鞋底及运动鞋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42850A (ja) * 1999-05-03 2002-12-17 プーマ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ルードルフ ダスレル シュポルト 靴用のクッションインサート及びこのようなクッションインサートを備えた靴
US20030051373A1 (en) * 2001-09-17 2003-03-20 David Goodwin Protective cage for footwear bladder
US20070240331A1 (en) * 2006-04-14 2007-10-18 Salomon S.A. Shock-absorb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JP2010505538A (ja) * 2006-10-03 2010-02-25 ナイキ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スプリングアームを有するサポートアセンブリを備えた履物
US8181360B2 (en) 2008-03-31 2012-05-22 Mizuno Corporation Sole structure for a shoe
KR101265080B1 (ko) * 2011-11-22 2013-05-16 (주)지원에프알에스 기능성 신발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86674A (ja) 2021-12-13
US20210368917A1 (en) 2021-12-02
KR102345003B1 (ko) 2021-12-29
CN113729348A (zh) 2021-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7051B2 (en) Stacked cushioning arrangement for sole structure
US20220304417A1 (en) Airbag for article of footwear
EP2319343B1 (en)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sole structure with compressible inserts
US7748141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support assemblies having elastomeric support columns
US9125453B2 (en) Shoe outsole having tubes
CN100413430C (zh) 具有一种悬置鞋垫的鞋类物品
US20040123494A1 (en) Protective cage for footwear bladder
EP2023760B1 (en) Impact-attenuation members with lateral and shear force stability and products containing such members
US5279051A (en) Footwear cushioning spring
US7331124B2 (en) Plate support for athletic shoe
AU2004264905B2 (en) Footwear sole structure incorporating a cushioning component
EP2023759B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multi-layered support assembly
WO2007030932A1 (en) Dynamic adaptable shoe with ventilation
KR102345003B1 (ko)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EP4140344B1 (en) Sole and sho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