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6549A -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6549A
KR20210146549A KR1020200063454A KR20200063454A KR20210146549A KR 20210146549 A KR20210146549 A KR 20210146549A KR 1020200063454 A KR1020200063454 A KR 1020200063454A KR 20200063454 A KR20200063454 A KR 20200063454A KR 20210146549 A KR20210146549 A KR 20210146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folding
clothes
cloth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교순
김근주
안성훈
임충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3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6549A/ko
Priority to PCT/KR2021/006404 priority patent/WO2021241954A1/ko
Priority to US17/332,586 priority patent/US11739474B2/en
Publication of KR20210146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5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9/00Apparatus for folding textile articles with or without stap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9/00Apparatus for folding textile articles with or without stapling
    • D06F89/02Apparatus for folding textile articles with or without stapling of textile articles to be worn, e.g. shi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2Handling garment parts or blanks, e.g. feeding, piling, separating or reversing
    • A41H43/025Folding, unfolding or turning over
    • A41H43/0257Fo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의 이송 또는 폴딩 과정에서 의류의 뭉침 현상의 발생을 정확히 감지 및 판단하여 구동 모터의 과부하에 따른 구동 모터의 손상 및 전력 손실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해당 뭉침이 발생한 의류의 손상 및 관련 부품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해당 뭉침이 발생한 위치를 정확히 특정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하고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폴딩 머신의 작동 중단 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MACHINE FOR FOLDING CLOTHES}
본 발명은,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의류의 이송 및 폴딩 과정에서 의류의 뭉침 또는 걸림 현상의 발생을 정확히 감지 및 판단할 수 있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는 천연 또는 합성섬유 등의 부드러운 재질로 제조되며, 보관 및 이동을 위하여 적절한 크기와 모양으로 접힘(folding)이 수행되어야 한다.
일상적으로, 의류는 세탁 후 수납하기 위하여 또는 계절 변화에 따른 장기 보관을 위하여 의류 접기 행위가 상당히 자주 또는 다량으로 요구되었다. 그런데 인력에 의한 직접적인 의류 접기 행위는 시간과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고, 숙달되지 않은 인력으로 인해 접혀진 의류의 모양과 크기가 일치되지 않게 되면 전시 또는 보관을 위해 추가적인 노동이 투입되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의류 접기 행위를 신속하고 일률적으로 수행할 자동 폴딩 머신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였다.
종래의 의류 폴딩 머신과 관련하여 국제공개특허공보 제2018-122841호(이하 '선행문헌'이라 함)에는 의류가 상부로 인입되어 다단 적층되어 구성되는 복수의 폴딩 레이어를 통과하여 하부를 향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접힘 행정이 수행되어 배출되는 폴딩 머신에 관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폴딩 머신은 두께와 길이가 상이한 여러 종류의 의류가 다단 적층된 복수의 폴딩 레이어에서 이송되거나 폴딩되는 과정에서 의류의 뭉침 또는 걸림 현상(이하 의류 뭉침이라 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나, 상기 선행문헌에는 이와 같은 의류의 뭉침 발생에 대한 인지 또는 감지 수단/방법 및 이러한 의류이 뭉침이 발생시 대처 방안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의류의 뭉침이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의류의 이송 및 폴딩에 관여하는 구동 모터가 계속 작동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구동 모터에 과부하가 발생하고 구동 모터가 손상될 가능이 매우 높으며, 그에 따른 전력의 손실도 피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의류의 뭉침이 발생한 상태에서 구동 모터가 계속 작동되면 해당 뭉침이 발생한 의류에 계속적으로 구동 모터의 구동력이 작용하여 의류 자체의 손상이 발생하거나, 뭉침이 발생한 위치의 부품의 파손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국제공개특허공보 제2018-12284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송 또는 폴딩 과정에서 의류의 뭉침 현상의 발생을 정확히 감지 및 판단하여 해당 뭉침에 관련된 구동 모터를 지체없이 정지시켜 구동 모터의 과부하에 따른 구동 모터의 손상 및 전력 손실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 또는 폴딩 과정에서 의류의 뭉침 현상의 발생을 정확히 감지 및 판단하여 해당 뭉침이 발생한 의류의 손상 및 관련 부품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 또는 폴딩 과정에서 의류의 뭉침이 발생한 위치를 정확히 특정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폴딩 머신의 작동 중단 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제3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 제어방법은, 상기 의류의 폴딩 또는 이송을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베이어를 구동하는 컨베이어 모터를 작동시키고, 상기 컨베이어 모터의 작동 개시 이후에 상기 의류가 목표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목표위치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컨베이어 모터의 전류값을 측정하고 상기 컨베이어 모터의 작동 개시 이후의 지연시간을 연산하여, 상기 모터 전류값 또는 상기 지연시간을 기초로 하여 상기 의류의 뭉침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 뭉침 여부 판단 단계는, 상기 지연시간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임계 지연시간을 초과하는 여부 또는 상기 모터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임계 전류값을 초과하는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하였는지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에서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컨베이어 모터를 정지시키는 컨베이어 모터 정지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폴딩 레이어에서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하였다는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을 생성하는 에러 발생 알람 생성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시각적 정보 또는 음향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복수의 폴딩 레이어 중에서 최상층에 해당하는 제1 폴딩 레이어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1 폴딩 레이어에서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1 폴딩 레이어의 제1 컨베이어 상에 로딩이 완료된 상기 의류를 후방으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제1 컨베이어를 후진 구동하는 제1 컨베이어 모터 후진 작동 단계; 상기 제1 컨베이어 모터가 후진 작동된 후에 상기 목표위치가 되는 상기 제1 컨베이어의 후단에 상기 의류가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제1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 신호 수신단계; 및 수신된 상기 제1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의류가 상기 제1 컨베이어의 후단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컨베이어 후단 도달 여부 확인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1 컨베이어 후단 도달여부 확인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상기 제1 컨베이어의 후단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컨베이어 모터 후진 작동 단계에서 상기 제1 컨베이어 모터의 작동이 개시된 이후의 제1 지연시간을 연산하고, 전류감지부로부터 상기 제1 컨베이어 모터에 공급되는 제1 전류값을 수신하는 제1 지연시간 연산 및 제1 모터 전류값 수신 단계; 및 상기 제1 지연시간이 제1 임계 지연시간을 초과하는 여부 및 상기 제1 모터 전류값이 제1 임계 전류값을 초과하는 여부를 판단하는 제1 지연시간 및 제1 모터 전류값 판단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1 지연시간 및 제1 모터 전류값 판단단계에서, 상기 제1 지연시간이 상기 제1 임계 지연시간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1 모터 전류값이 상기 제1 임계 전류값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제1 폴딩 레이어에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제1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모터 정지단계는, 상기 제1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에서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1 컨베이어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1 컨베이어 모터 정지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러 발생 알람 생성단계는, 상기 제1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에서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1 폴딩 레이어에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하였다는 제1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을 생성하는 제1 에러 발생 알람 생성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1 폴딩 레이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폴딩 레이어를 구동하고, 상기 제2 폴딩 레이어에서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제2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1 폴딩 레이어의 후방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의류를 전방으로 이송하기 위해서 상기 제2 폴딩 레이어의 제2 컨베이어를 전진 구동하는 제2 컨베이어 모터 전진 작동 단계; 상기 제2 컨베이어 모터가 전진 작동된 이후에 상기 목표위치가 되는 상기 제2 컨베이어의 전단에 상기 의류가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제2 컨베이어 전단 의류감지센서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컨베이어 전단 의류감지센서 신호 수신단계; 및 수신된 상기 제2 컨베이어 전단 의류감지센서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의류가 상기 제2 컨베이어의 전단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컨베이어 전단 도달 여부 확인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제2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2 컨베이어 전단 도달여부 확인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상기 제2 컨베이어의 전단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컨베이어 모터 전진 작동 단계에서 상기 제2 컨베이어 모터의 작동이 개시된 이후의 제2 지연시간을 연산하고, 전류감지부로부터 상기 제2 컨베이어 모터에 공급되는 제2 전류값을 수신하는 제2 지연시간 연산 및 제2 모터 전류값 수신 단계; 및 상기 제2 지연시간이 제2 임계 지연시간을 초과하는 여부 및 상기 제2 모터 전류값이 제2 임계 전류값을 초과하는 여부를 판단하는 제2 지연시간 및 제2 모터 전류값 판단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2 지연시간 및 제2 모터 전류값 판단단계에서 상기 제2 지연시간이 상기 제2 임계 지연시간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2 모터 전류값이 상기 제2 임계 전류값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제2 폴딩 레이어에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제2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모터 정지단계는, 상기 제2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에서 상기 의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2 컨베이어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2 컨베이어 모터 정지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러 발생 알람 생성단계는, 상기 제2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에서 상기 의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2 폴딩 레이어에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하였다는 제2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을 생성하는 제2 에러 발생 알람 생성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2 폴딩 레이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3 폴딩 레이어를 구동하고, 상기 제3 폴딩 레이어에서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제3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2 컨베이어의 전방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의류를 후방으로 이송하기 위해서 상기 제3 폴딩 레이어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3 컨베이어를 후진 구동하는 제3 컨베이어 모터 후진 작동 단계; 상기 제3 컨베이어 모터가 후진 작동된 후에 상기 목표위치가 되는 상기 제3 컨베이어의 후단에 상기 의류가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제3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3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 신호 수신단계; 및 수신된 상기 제3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의류가 상기 제3 컨베이어의 후단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 컨베이어 후단 도달 여부 확인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제3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3 컨베이어 후단 도달여부 확인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상기 제3 컨베이어의 후단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3 컨베이어 모터 후진 작동 단계에서 상기 제3 컨베이어 모터의 작동이 개시된 이후의 제3 지연시간을 연산하고, 전류감지부로부터 상기 제3 컨베이어 모터에 공급되는 제3 전류값을 수신하는 제3 지연시간 연산 및 제3 모터 전류값 수신 단계; 및 상기 제3 지연시간이 제3 임계 지연시간을 초과하는 여부 및 상기 제3 모터 전류값이 제3 임계 전류값을 초과하는 여부를 판단하는 제3 지연시간 및 제3 모터 전류값 판단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3 지연시간 및 제3 모터 전류값 판단단계에서, 상기 제3 지연시간이 상기 제3 임계 지연시간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3 모터 전류값이 상기 제3 임계 전류값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제3 컨베이어에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제3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모터 정지단계는, 상기 제3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에서 상기 의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3 컨베이어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3 컨베이어 모터 정지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러 발생 알람 생성단계는, 상기 제3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에서 상기 의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3 폴딩 레이어의 상기 제3 컨베이어에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하였다는 제3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을 생성하는 제3 에러 발생 알람 생성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3 컨베이어 후단 도달 여부 확인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상기 제3 컨베이어의 후단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의류가 1/2 가로접기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1/2 가로접기 여부 확인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1/2 가로접기 여부 확인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1/2 가로접기 대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3 컨베이어보다 후방에 소정의 제1 폴딩 갭을 갖도록 상기 제3 컨베이어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4 컨베이어를 후진 구동하는 제4 컨베이어 모터 후진 작동 단계; 상기 제4 컨베이어 모터 후진 작동단계에서 상기 제4 컨베이어 모터가 후진 작동된 후에 상기 제3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의류가 상기 제3 컨베이어의 후단을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 컨베이어 후단 통과 여부 확인단계; 상기 제3 컨베이어 후단 통과 여부 확인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상기 제3 컨베이어의 후단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3 컨베이어 모터 및 상기 제4 컨베이어 모터를 정지시키고 상기 의류가 상기 제3 컨베이어의 후단에 도달한 시점으로부터 통과한 시점까지 경과된 통과 시간을 연산하는 의류 통과 시간 연산단계; 상기 의류 통과 시간 연산단계에서 연산된 의류 통과 시간의 절반 시간 동안 상기 제3 컨베이어 모터 및 상기 제4 컨베이어 모터를 후진 작동시킨 후에 상기 제3 컨베이어 모터 및 상기 제4 컨베이어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3 폴딩 레이어 1/2 가로접기 준비단계; 및 상기 제3 폴딩 레이어 1/2 가로접기 준비단계 이후에 상기 제1 폴딩 갭으로 상기 의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어넣고 상기 제3 컨베이어 모터를 후진 작동하고 상기 제4 컨베이어 모터를 전진 작동시키는 제3 폴딩 레이어 1/2 가로접기 수행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3 폴딩 레이어 1/2 가로접기 수행단계에서 상기 제3 컨베이어 모터가 후진 작동되고 상기 제4 컨베이어 모터가 전진 작동된 후에 상기 목표위치가 되는 상기 제4 컨베이어의 전단 하부에 상기 제1 폴딩 갭을 통하여 상기 의류가 통과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제3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4 컨베이어 전단 하부 의류감지센서 신호 수신단계; 및 수신된 상기 제4 컨베이어 전단 하부 의류감지센서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의류가 상기 제1 폴딩 갭을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폴딩 갭 통과 여부 확인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1 폴딩 갭 통과 여부 확인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상기 제1 폴딩 갭을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3 폴딩 레이어 1/2 가로접기 수행단계에서 상기 제3 컨베이어 모터 및 상기 제4 컨베이어 모터의 작동이 개시된 이후의 제4 지연시간을 연산하고, 전류감지부로부터 상기 제3 컨베이어 모터 및 상기 제4 컨베이어 모터에 공급되는 제4 전류값을 수신하는 제4 지연시간 연산 및 제4 모터 전류값 수신 단계; 및 상기 제4 지연시간이 제4 임계 지연시간을 초과하는 여부 및 상기 제4 모터 전류값이 제4 임계 전류값을 초과하는 여부를 판단하는 제4 지연시간 및 제4 모터 전류값 판단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4 지연시간 및 제4 모터 전류값 판단단계에서 상기 제4 지연시간이 상기 제4 임계 지연시간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4 모터 전류값이 상기 제4 임계 전류값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제3 폴딩 레이어의 상기 제1 폴딩 갭에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제4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모터 정지단계는, 상기 제4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에서 상기 제1 폴딩 갭에 상기 의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3 컨베이어 모터 및 제4 컨베이어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3 컨베이어 모터 및 제4 컨베이어 모터 정지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러 발생 알람 생성단계는, 상기 제4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에서 상기 제1 폴딩 갭에 상기 의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1 폴딩 갭에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하였다는 제4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을 생성하는 제4 에러 발생 알람 생성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4 임계 지연시간은 상기 제3 임계 지연시간보다 더 작고, 상기 제4 임계 전류값은 상기 제3 임계 전류값과 동일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4 임계 지연시간은 상기 제3 임계 지연시간의 절반이 된다.
또한, 상기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3 폴딩 레이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4 폴딩 레이어를 구동하고, 상기 제4 폴딩 레이어에서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4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2 폴딩 레이어의 제3 컨베이어 및 제4 컨베이어를 거쳐 상기 제4 컨베이어의 후방을 통해 전달된 상기 의류를 전방으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제4 폴딩 레이어에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5 컨베이어, 제6 컨베이어 및 제7 컨베이어를 전진 구동하는 제5, 6, 7 컨베이어 모터 전진 작동 단계;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가 전진 작동된 후에 상기 목표위치가 되는 상기 제7 컨베이어의 후단에 상기 의류가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제7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7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 신호 수신단계; 및 수신된 상기 제7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의류가 상기 제7 컨베이어의 후단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7 컨베이어 후단 도달 여부 확인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7 컨베이어 후단 도달여부 확인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상기 제7 컨베이어의 후단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 전진 작동 단계에서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의 작동이 개시된 이후의 제5 지연시간을 연산하고, 전류감지부로부터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에 공급되는 제5 전류값을 수신하는 제5 지연시간 연산 및 제5 모터 전류값 수신 단계; 및 상기 제5 지연시간이 제5 임계 지연시간을 초과하는 여부 및 상기 제5 모터 전류값이 제5 임계 전류값을 초과하는 여부를 판단하는 제5 지연시간 및 제5 모터 전류값 판단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5 지연시간 및 제5 모터 전류값 판단단계에서, 상기 제5 지연시간이 상기 제5 임계 지연시간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5 모터 전류값이 상기 제5 임계 전류값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제4 폴딩 레이어에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제5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모터 정지단계는, 상기 제5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에서 상기 의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5, 6, 7 컨베이어 모터 정지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러 발생 알람 생성단계는, 상기 제5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에서 상기 의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4 폴딩 레이어에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하였다는 제5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을 생성하는 제5 에러 발생 알람 생성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7 컨베이어 후단 도달 여부 확인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상기 제7 컨베이어의 후단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7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의류가 상기 제7 컨베이어의 후단을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7 컨베이어 후단 통과 여부 확인단계; 상기 제7 컨베이어 후단 통과 여부 확인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상기 제7 컨베이어의 후단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를 정지시키고 상기 의류가 상기 제7 컨베이어의 후단에 도달한 시점으로부터 통과한 시점까지 경과된 통과 시간을 연산하는 의류 통과 시간 연산단계; 및 상기 의류 통과 시간 연산단계에서 상기 통과 시간이 연산되면, 상기 의류가 1/2 가로접기 대상인지 1/3 가로접기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4 폴딩 레이어 가로접기 모드 확인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가로접기 모드 확인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1/2 가로접기 대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의류 통과 시간 연산단계에서 연산된 의류 통과 시간의 절반 시간 동안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를 후진 작동시킨 후에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4 폴딩 레이어 1/2 가로접기 준비단계; 및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1/2 가로접기 준비단계 이후에 상기 제6 컨베이어와 상기 제7 컨베이어 사이에 형성되는 제3 폴딩 갭으로 상기 의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어넣고 상기 제5, 6 컨베이어 모터를 전진 작동하고 상기 제7 컨베이어 모터를 후진 작동시키는 제4 폴딩 레이어 1/2 가로접기 수행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4 폴딩레이어 1/2 가로접기 수행단계에서 상기 제5, 6 컨베이어 모터가 전진 작동되고 상기 제7 컨베이어 모터가 후진 작동된 후에 상기 목표위치가 되는 상기 제6 컨베이어의 전방 하부에 상기 제3 폴딩 갭을 통하여 상기 의류가 통과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제6 컨베이어 전방하부 의류감지센서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6 컨베이어 전방하부 의류감지센서 신호 수신단계; 및 수신된 제6 컨베이어 전방하부 의류감지센서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의류가 상기 제3 폴딩 갭을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폴딩 갭 통과 여부 확인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2 폴딩 갭 통과 여부 확인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상기 제3 폴딩 갭을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1/2 가로접기 수행단계에서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의 작동이 개시된 이후의 제6 지연시간을 연산하고, 전류감지부로부터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에 공급되는 제6 전류값을 수신하는 제6 지연시간 연산 및 제6 모터 전류값 수신 단계; 및 상기 제6 지연시간이 제6 임계 지연시간을 초과하는 여부 및 상기 제6 모터 전류값이 제6 임계 전류값을 초과하는 여부를 판단하는 제6 지연시간 및 제6 모터 전류값 판단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6 지연시간 및 제6 모터 전류값 판단단계에서, 상기 제6 지연시간이 상기 제6 임계 지연시간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6 모터 전류값이 상기 제6 임계 전류값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제4 폴딩 레이어의 상기 제3 폴딩 갭에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제6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모터 정지단계는, 상기 제6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에서 상기 제3 폴딩 갭에 상기 의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5, 6, 7 컨베이어 모터 정지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러 발생 알람 생성단계는, 상기 제6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에서 상기 제3 폴딩 갭에 상기 의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3 폴딩 갭에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하였다는 제6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을 생성하는 제6 에러 발생 알람 생성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6 임계 지연시간은 상기 제5 임계 지연시간보다 더 작고, 상기 제6 임계 전류값은 상기 제5 임계 전류값과 동일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6 임계 지연시간은 상기 제5 임계 지연시간의 절반이 된다.
또한,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가로접기 모드 확인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1/3 가로접기 대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의류 통과 시간 연산단계에서 연산된 의류 통과 시간의 2/3배가 되는 시간 동안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를 후진 작동시킨 후에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1 1/3 가로접기 준비단계; 상기 제1 1/3 가로접기 준비단계 이후에 상기 제5 컨베이어와 상기 제6 컨베이어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폴딩 갭으로 상기 의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어넣고 상기 제5 컨베이어 모터를 전진 작동하고 상기 제6, 7 컨베이어 모터를 후진 작동시키는 제1 1/3 가로접기 수행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1 1/3 가로접기 수행단계에서 상기 제5 컨베이어 모터가 전진 작동되고 상기 제6, 7 컨베이어 모터가 후진 작동된 후에 상기 목표위치가 되는 상기 제2 폴딩 갭의 하부에 상기 의류가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제6 컨베이어 후방하부 의류감지센서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6 컨베이어 후방하부 의류감지센서 신호 수신단계; 및 수신된 상기 제6 컨베이어 후방하부 의류감지센서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의류가 상기 제2 폴딩 갭의 하부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폴딩 갭 하부 도달 여부 확인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2 폴딩 갭 도달 여부 확인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상기 제2 폴딩 갭의 하부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1/3 가로접기 수행단계에서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의 작동이 개시된 이후의 제7 지연시간을 연산하고, 상기 전류감지부로부터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에 공급되는 제7 전류값을 수신하는 제7 지연시간 연산 및 제7 모터 전류값 수신 단계; 및 상기 제7 지연시간이 제7 임계 지연시간을 초과하는 여부 및 상기 제7 모터 전류값이 제7 임계 전류값을 초과하는 여부를 판단하는 제7 지연시간 및 제7 모터 전류값 판단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7 지연시간 및 제7 모터 전류값 판단단계에서 상기 제7 지연시간이 상기 제7 임계 지연시간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7 모터 전류값이 상기 제7 임계 전류값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제4 폴딩 레이어의 상기 제2 폴딩 갭에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제7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모터 정지단계는, 상기 제7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에서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5, 6, 7 컨베이어 모터 정지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러 발생 알람 생성단계는, 상기 제7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에서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4 폴딩 레이어의 상기 제2 폴딩 갭에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하였다는 제7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을 생성하는 제7 에러 발생 알람 생성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7 임계 지연시간은 상기 제5 임계 지연시간과 동일하고, 상기 제7 임계 전류값은 상기 제5 임계 전류값과 동일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2 폴딩 갭 하부 도달 여부 확인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상기 제2 폴딩 갭의 하부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의류 통과 시간 연산단계에서 연산된 의류 통과 시간의 1/3배가 되는 시간 동안 상기 제5 컨베이어 모터를 후진 작동시키고, 제 6, 7 컨베이어 모터를 전진 작동시킨 후에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2 1/3 가로접기 준비단계; 상기 제2 1/3 가로접기 준비단계 이후에 상기 제6 컨베이어와 상기 제7 컨베이어 사이에 형성되는 제3 폴딩 갭으로 상기 의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어넣고 상기 제5, 6 컨베이어 모터를 전진 작동하고 상기 제7 컨베이어 모터를 후진 작동시키는 제2 1/3 가로접기 수행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2 1/3 가로접기 수행단계에서 상기 제5, 6 컨베이어 모터가 전진 작동되고 상기 제7 컨베이어 모터가 후진 작동된 후에 상기 목표위치가 되는 상기 제3 폴딩 갭의 하부를 상기 의류가 통과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제6 컨베이어 전방하부 의류감지센서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6 컨베이어 전방하부 의류감지센서 신호 수신단계; 및 수신된 상기 제6 컨베이어 후방하부 의류감지센서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의류가 상기 제3 폴딩 갭을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 폴딩 갭 통과 여부 확인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3 폴딩 갭 통과 여부 확인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상기 제3 폴딩 갭을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1/3 가로접기 수행단계에서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의 작동이 개시된 이후의 제8 지연시간을 연산하고, 전류감지부로부터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에 공급되는 제8 전류값을 수신하는 제8 지연시간 연산 및 제8 모터 전류값 수신 단계; 및 상기 제8 지연시간이 제8 임계 지연시간을 초과하는 여부 및 상기 제8 모터 전류값이 제8 임계 전류값을 초과하는 여부를 판단하는 제8 지연시간 및 제8 모터 전류값 판단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8 지연시간 및 제8 모터 전류값 판단단계에서 상기 제8 지연시간이 상기 제8 임계 지연시간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8 모터 전류값이 상기 제8 임계 전류값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제4 폴딩 레이어의 상기 제3 폴딩 갭에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제8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모터 정지단계는, 상기 제8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에서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5, 6, 7 컨베이어 모터 정지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러 발생 알람 생성단계는, 상기 제8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에서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3 폴딩 갭에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하였다는 제8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을 생성하는 제8 에러 발생 알람 생성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8 임계 지연시간은 상기 제5 임계 지연시간보다 더 작고, 상기 제8 임계 전류값은 상기 제5 임계 전류값과 동일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8 임계 지연시간은 상기 제5 임계 지연시간의 1/3배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은, 이송 또는 폴딩 과정에서 의류의 뭉침 현상의 발생을 정확히 감지 및 판단하여 구동 모터의 과부하에 따른 구동 모터의 손상 및 전력 손실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해당 뭉침이 발생한 의류의 손상 및 관련 부품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해당 뭉침이 발생한 위치를 정확히 특정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하고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폴딩 머신의 작동 중단 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로서, 층상 구조로 배열되는 복수의 폴딩 레이어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성 중 개별 폴딩 레이어의 컨베이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중 로딩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중에서 제1 폴딩 레이어에 구비되는 의류감지센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로딩부에 의해서 로딩이 완료된 후 의류가 제1 폴딩 레이어로부터 제2 폴딩 레이어로 이송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제2 폴딩 레이어로부터 제3 폴딩 레이어로 의류가 이송되는 과정 및 제3 폴딩 레이어에서 가로접기가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제3 폴딩 레이어로부터 제4 폴딩 레이어로 의류가 이송되는 과정 및 제4 폴딩 레이어에서 가로접기가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럭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의류의 이송 및 폴딩 과정에서 의류의 뭉침 현상 발생을 판단하는 기본적인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라 로딩부를 구동하는 단계 및 제1 폴딩 레이어에서의 의류 뭉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라 제2 폴딩 레이어를 구동하는 단계 및 제2 폴딩 레이어에서의 의류 뭉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에 따라 제3 폴딩 레이어를 구동하는 단계 및 제3 폴딩 레이어에서의 의류 뭉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2 내지 도 25는 본 발명에 따라 제4 폴딩 레이어를 구동하는 단계 및 제4 폴딩 레이어에서의 의류 뭉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1)은 외부 골격으로서 기능하는 프레임부(11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10)는 의류 폴딩 머신(1)의 외부 모서리 측에 배치되어 의류 폴딩 머신(1)의 최소 작동 공간을 정의하고, 의류 폴딩 머신(1)를 구성하는 여러 부재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프레임부(110)는 상부 프레임(111), 하부 프레임(112), 복수의 수평 프레임(113, 114, 115, 116, 117) 및 복수의 수직 프레임 (121, 122, 123, 124)을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111)은 의류 폴딩 머신(1)의 상단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의류 폴딩 머신(1)의 상부 작동 공간은 상부 프레임(111)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12)은 의류 폴딩 머신(1)의 하단에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의류 폴딩 머신(1)을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면서 의류 폴딩 머신(1)의 하부 작동 공간이 하부 프레임(11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복수의 수평 프레임(113, 114, 115, 116, 117)은 상부 프레임(111) 및 하부 프레임(112)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수평 프레임(113, 114, 115, 116, 117)에는 각각 후술할 로딩부(100), 폴딩부(200) 및 언로딩부(300)가 장착 및 지지될 수 있다.
양 수평 프레임 사이의 공간은 후술할 개별 폴딩 레이어(folding layer)의 작동 공간으로 규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로접기를 수행하는 제2 폴딩 레이어(220)(도 2 및 3 참조)는 그 작동 공간이 제2 수평 프레임(114) 및 제3 수평 프레임(115)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한편, 양 수평 프레임 사이의 공간은 두 개의 폴딩 레이어의 작동 공간으로도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접기를 수행하는 제3 폴딩 레이어(230) 및 제4 폴딩 레이어(240)(도 2 및 3 참조)는 그 작동 공간이 제3 수평 프레임(115) 및 제4 수평 프레임(116)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111)에 인접한 제1 수평 프레임(113)은 인입부(101)로 투입되는 의류를 파지 및 이송시키기 위한 클립 어셈블리(130)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하부 프레임(112)에 인접한 제5 수평 프레임(117)은 후술할 언로딩 컨베이어(311)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기능하는 가이드레일을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수직 프레임(121, 122, 123, 124)은 의류가 투입되는 전방에 배치되는 제1 수직 프레임(121) 및 제3 수직 프레임(123)과, 이들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의류 폴딩 머신(1)의 후방 작동 공간을 정의하는 제2 수직 프레임(122) 및 제4 수식 프레임(124)을 포함한다.
프레임부(110)의 외곽면에는 마감 커버(미도시)가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고, 마감 커버는 의류 폴딩 머신(1)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배치되는 부재를 보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마감 커버의 전면부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미도시), 의류 폴딩 머신(1)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600, 도 16) 및 의류 폴딩 머신(1)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알람부(700, 도 16)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부(110)가 구비됨으로써, 후술할 폴딩부(200)의 각 폴딩 레이어(210, 220, 230, 240)에서 의류의 이송 및 폴딩 기능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세로접기 어셈블리(222) 및 가로접기 어셈블리(233, 244, 245)가 동시에 지지됨으로써 요구 공간이 절약되어 의류 폴딩 머신(1)의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의류 폴딩 머신(1)은 로딩부(loading unit)(100), 폴딩부(folding unit)(200) 및 언로딩부(unloading unit)(300)를 포함한다.
로딩부(100), 폴딩부(200) 및 언로딩부(300)는 각각 전술한 프레임부(110)에 지지될 수 있고, 로딩부(100), 폴딩부(200) 및 언로딩부(300)의 작동 공간은 프레임부(110)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딩부(100)는, 그 작동 공간이 상부 프레임(111) 및 제2 수평 프레임(114)에 의해 정의되고, 언로딩부(300)는 제4 수평 프레임(116) 및 하부 프레임(11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로딩부(100)는 의류를 인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로딩부(100)는 인입부(101)에 투입된 의류가 제1 폴딩 레이어(210)의 제1 컨베이어(211)의 상면의 소정의 위치에 로딩되도록 기능한다.
여기서 의류라 함은,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로 제작되어 인간이 착용 가능한 상의 또는 하의를 의미함은 물론, 수건이나 이불과 같이 의류 폴딩 머신(1)을 통해 원하는 크기와 두께로 접혀져 제공될 수 있는 물품이면 모두 포함된다.
예시적으로, 로딩부(100)는, 인입부(101)에 의해 투입된 의류를 파지하는 클립 어셈블리(130)(도 1, 도 2 참조)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는 2개소에서 의류가 파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클립 어셈블리(13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편의상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소에서 의류를 파지하지는 클립 어셈블리(130)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초기 위치에 해당하는 제1 위치(P1)에서 의류의 파지가 완료되면, 클립 어셈블리(130)는 의류를 파지한 상태로 소정의 거리만큼 후방을 향해 이동하면서 의류를 의류 폴딩 머신(1)의 내부로 끌어들여 제1 컨베이어(211)의 상면의 로딩 위치에 해당하는 제2 위치(P2)까지 이동시키며, 제2 위치(P2)까지 이동이 완료되면 파지가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의류의 파지가 해제된 후 클립 어셈블리(130)는 제2 위치(P2)보다 더 후방의 위치인 제3 위치(P3)까지 추가적으로 이동되며, 클립 어셈블리(130)가 제3 위치(P3)에 도달하게 되면, 제1 폴딩 레이어(210)의 제1 컨베이어(211)의 작동이 개시된다.
로딩부(100)는 클립 어셈블리(130)의 전후방향 이동을 위한 동력을 생성하는 로딩부 모터(ML)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로딩부 모터(ML)는 클립 어셈블리(130)에 고정된 상태로 로딩부 모터(ML)의 출력축에 연결된 피니언 기어가 로딩부(100)의 프레임(104)에 고정되는 직선형상의 기어에 치합하는 방식으로 로딩부 모터(ML)의 회전 동력이 전후방향 직선 운동력으로 변환될 수 있다.
한편, 로딩부(100)의 프레임(104)에는 전술한 제1 위치(P1) 내지 제3 위치(P3)를 특정하기 위한 클립 위치 감지센서(SL)가 마련된다. 보다 상세히는, 클립 위치 감지센서(SL)는 클립 어셈블리(130)가 제1 위치(P1)에 있음을 감지하는 초기위치 감지센서(SL1)와, 클립 어셈블리(130)가 제2 위치(P2)에 있음을 감지하는 클립오픈위치 감지센서(SL2)와, 클립 어셈블리(130)가 제3 위치(P3)에 있음을 감지하는 정지위치 감지센서(SL3)를 포함한다.
클립 어셈블리(130)의 이동과 연계되는 제1 컨베이어(211)의 작동에 관한 상세 구성은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폴딩부(200)는, 로딩부(100)를 통해 인입된 의류가 이송하고 접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히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부(200)는 인입된 의류가 이송하면서 일정한 크기와 모양으로 접히도록 적어도 4개의 폴딩 레이어(210, 220, 230, 240)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4개의 폴딩 레이어(210, 220, 230, 240)는 상하로 이격하여 배치된다.
인입된 의류는 상부의 폴딩 레이어로부터 하부의 폴딩 레이어로 이송되면서 적어도 1회 이상의 접힘이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배출부(301)에서는 일정한 크기와 모양으로 접힘이 완료된 의류들이 모아진다.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폴딩부(200)는, 4개의 폴딩 레이어(210, 220, 230, 240)를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폴딩 레이어(210, 220, 230, 240)는 상하로 이격하여 배치되며, 로딩된 의류가 최상부의 제1 폴딩 레이어(210)에서 최하부의 제4 폴딩 레이어(240)로 이송되면서 일정한 크기와 모양으로 접혀지도록 기능한다.
최하부의 제4 폴딩 레이어(240)에는 언로딩 레이어(310)가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제4 폴딩 레이어(240)의 하부에는 접힘이 완료된 의류가 낙하하게 되는 언로딩 레이어(31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언로딩 레이어(310)는 배출부(301)가 구비되어 접힘이 완료된 의류들이 가지런히 모아진다.
개별 폴딩 레이어(210, 220, 230, 240)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컨베이어(211, 221, 231, 241, 242, 243)를 포함한다. 이들 적어도 하나의 컨베이어(211, 221, 231, 241, 242, 243)는 인입된 의류의 이송 또는 가로 접기를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히는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제1 폴딩 레이어(210)는 제1 컨베이어(211) 및 이를 구동하는 제1 컨베이어 모터(M1)를 포함한다.
또한, 제2 폴딩 레이어(220)는 제2 컨베이어(221) 및 이를 구동하는 제2 컨베이어 모터(M21)를 포함한다.
한편, 제3 폴딩 레이어(230)는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제3 컨베이어(231) 및 제4 컨베이어(232)를 구비할 수 있고, 이들 제3 컨베이어(231) 및 제4 컨베이어(232)를 각각 구동하는 제3 컨베이어 모터(M31) 및 제4 컨베이어 모터(M32)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컨베이어(231)는 의류 폴딩 머신(1)의 전방 측에 배치되고 제4 컨베이어(232)는 후방 측에 배치되며, 이들 제3 컨베이어(231) 및 제4 컨베이어의 상측면은 대략 나란하게 배치된다.
한편, 제3 폴딩 레이어(230)의 제3 컨베이어(231) 및 제4 컨베이어(232) 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간격은 의류가 가로로 접히면서 통과하도록 기능하는 제1 폴딩 갭(G1)에 해당한다.
또한, 제4 폴딩 레이어(240)는 의류 폴딩 머신(1)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5 컨베이어(241), 제6 컨베이어(242) 및 제7 컨베이어(243), 그리고 이들을 각각 구동하는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를 포함한다.
제4 폴딩 레이어(240)에 구비된 제5 컨베이어(241), 제6 컨베이어(242) 및 제7 컨베이어(243) 사이에는 의류가 가로로 접히거나 또는 가로로 접히면서 통과할 수 있도록 2개의 폴딩 갭(G2, G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로접기라 함은, 의류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수직인 기준선에 의해 접혀지는 것을 의미한다. 의류의 진행방향과 수직이라 함은 의류의 진행방향선과 접힘선이 완전한 90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0도 내지 30도의 오차범위를 포함한다.
한편, 폴딩부(200)는, 인입된 의류를 세로접기되도록 기능하는 세로접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폴딩부(200)을 구성하는 4개의 폴딩 레이어 중 상부 2개의 폴딩 레이어에 해당하는 제1 폴딩 레이어(210)와 제2 폴딩 레이어(220)에서는 의류가 세로접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세로접기라 함은, 의류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평행한 기준선에 의해 접혀지는 것을 의미한다. 의류의 진행방향과 평행이라 함은 의류의 진행방향선과 접힘선이 완전한 0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0도 내지 30도의 오차범위를 포함한다.
먼저, 제1 폴딩 레이어(210)는 로딩부(100)로부터 인입된 의류를 후단으로 이송하면서 세로접기가 되도록 기능할 수 있다. 특히, 소매 부분에 대한 세로접기가 요구되는 상의에 대해서 세로접기가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딩부(100)의 인입부(101)에 구비되는 안착 플레이트(140, 도 1) 및 안착 플레이트(140)의 하측에 형성되는 1차 세로접기 가이드(141)에 의해서 상의의 소매 부분이 소정량이 접힌 상태로 의류가 전술한 클립 어셈블리(130)에 의해 당겨지면서 1차적으로 그리고 수동적으로 세로접기가 수행되면서 제1 컨베이어(211) 상에 로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딩부(100) 및 세로접기가 동일한 제1 폴딩 레이어(210)에서 동시에 일어나도록 구비됨으로써, 폴딩 공정의 단순화와 함께 장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1 폴딩 레이어(210)으로부터 이송된 의류(C)의 세로접기가 구현되도록 세로접기 어셈블리(222)가 제2 폴딩 레이어(220)에 구비될 수 있다.
세로접기 어셈블리(222)는 구동원인 세로접기 모터(M22, 도 2)의 힘을 받아 능동적으로 의류(C)를 세로접기하는 메커니즘을 갖는 능동형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세로접기 어셈블리(222)는 세로접기 모터(M22)의 힘으로 위치가 가변되도록 구성되는 세로접기 플레이트(2221, 도 6)를 포함할 수 있다.
세로접기 플레이트(2221)는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들 한 쌍의 세로접기 플레이트(2221) 사이에는 제2 컨베이어(221)가 배치된다.
세로접기 플레이트(2221)는 초기 위치에서 제2 컨베이어의 상측면과 동일 평면 상에 대기하고 있으며, 제1 컨베이어(211)로부터 전달되어 제2 컨베이어(221) 및 세로접기 플레이트(2221)에 전개된 의류에 대해서 세로접기를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 한 쌍의 세로접기 플레이트(2221)는 의류의 양 측면의 일부분을 들어올리고, 들어올려진 양 측면 부분을 내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세로접기를 수행할 수 있다.
세로접기 어셈블리(222)는 세로접기 플레이트(2221)의 초기 위치 및 세로접기 완료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플레이트 위치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시적으로 이하에서는 능동형 세로접기를 수행하기 위해서 한 쌍의 세로접기 플레이트(2221)를 포함하는 세로접기 어셈블리(222)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언로딩부(300)는, 접힌 의류가 모여서 배출되도록 구비된다.
언로딩부(300)는 접힘이 완료된 의류가 언로딩 레이어(310)(도 3 참조)에서 언로딩 컨베이어(311)에 의해 이송되어 배출부(301)에 모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언로딩부(300)은 수평 프레임(116) 및 하부 프레임(112) 사이에서 접힘이 완료된 의류가 언로딩 컨베이어(311)에 의해 이송되어 배출부(301)에 모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폴딩 어셈블리에 의해 낙하되는 의류가 언로딩 컨베이어(311)에 놓여진다. 이후 언로딩 컨베이어(31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언로딩판(미도시)이 상하 이동함으로써 배출부(301)의 내부 공간에 접힘이 완료된 의류들이 가지런히 모아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의류(C)의 이송 또는 폴딩 과정에서 의류(C)의 뭉침 현상의 발생을 정확히 감지 및 판단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로딩부(100) 및 폴딩부(200)의 각 폴딩 레이어에서의 의류(C)의 이송 또는 폴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의류(C)의 뭉침을 감지하고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중 로딩부(10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도이며, 도 6은 로딩부(100)에 의해서 로딩이 완료된 후 의류(C)가 제1 폴딩 레이어(210)의 제1 컨베이어(211)에 의해서 이송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먼저, 도 4A 내지 도 4C을 참조하면, 인입부(101)를 통해 의류(C)를 인입시키 위한 준비 절차로서, 제1 정지위치에서 대기 중인 클립 어셈블리(130)의 클립부(131)에 의해서 의류(C)가 파지된다.
클립부(131)의 파지력은 도시되지 않은 전자기적 구동부재를 통해서 발생할 있다. 전자기적 구동부재는 전동 모터 또는 솔레노이드와 같이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수단이 적용 가능하다.
클립부(131)에는 파지 대상이 되는 의류(C)가 클립부(131)의 내부의 파지 위치로 진입되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하는 클립부 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클립부 센서를 통해서 의류(C)가 파지 위치로 진입된 것이 확인되면 전술한 전자기적 구동부재가 작동되어 클립부(131)가 폐쇄되면서 자동적으로 의류(C)가 파지될 수 있다.
한편, 다른 방식으로 사용자가 클립부(131)의 내부의 파지 위치로 의류(C)를 진입시킨 후에 사용자가 작동 개시 버튼,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입력 수단을 통해서 전술한 전자기적 구동부재를 작동시키는 방식도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클립부(131)의 폐쇄를 통한 의류(C)의 파지가 완료되면, 로딩부 모터(ML)의 작동이 개시되고 클립 어셈블리(130)는 전술한 제1 정지위치보다 더 후방이 되는 제2 정지위치까지 이동된 후 정지된다.
도시된 실시예 상의 로딩부 모터(ML)는 클립 어셈블리(130)와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로딩부 모터(ML)는 클립 어셈블리(130)의 후퇴 부재(132)에 연결되어 있으며, 로딩부 모터(ML)의 출력축에는 피니언 기어(미도시)가 구비된다.
또한, 제1 수평 프레임(113)에 고정된 레일 프레임(152)에는 피니언 기어가 치합하는 랙 기어(미도시)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언로딩 모터에 전류가 공급되어 작동이 개시되면, 피니언 기어가 회전하면서 로딩부 모터(ML) 및 후퇴 부재(132)가 랙 기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동하게 된다.
다만, 이와 같은 피니언 기어 및 랙 기어를 통한 운동변환 방식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로딩부 모터(ML)의 회전을 후퇴 부재(132) 및 클립부(131)의 직선왕복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제한 없이 적용 가능하다고 볼 것이다. 이하에서는 예시적으로 피니언 기어와 랙 기어를 통한 운동변환 방식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도 4B는 클립 어셈블리(130)가 제2 정지위치에 도달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정지위치는 클립부(131)가 개방되면서 의류(C)의 파지가 해제되는 위치가 된다. 레일 프레임(152)에는 후퇴 부재(132) 및 클립부(131)가 제2 정지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클립오픈 위치 감지센서가 구비된다.
클립오픈위치 감지센서를 통해서 후퇴 부재(132) 및 클립부(131)가 제2 정지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되면, 로딩부 모터(ML)로의 전류 공급은 차단되고 클립부(131)는 개방되고, 클립부(131)를 통해 이동된 제1 컨베이어(211) 상의 로딩 위치에 안착된다.
후퇴 부재(132) 및 클립부(131)가 제2 정지위치에 도달하여 클립부(131)가 개방됨과 동시에 의류(C)를 로딩 위치에서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이송 롤러(151)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링크(153)를 통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클립부(131)가 제2 정지위치에 도달하여 클립부(131)가 개방되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의류(C)의 경우에는 인입부(101)를 통과하지 못한 부분이 발생하게 되고, 인입부(101)를 통과하지 못한 의류(C)의 자중에 의해서 의류(C)가 로딩 위치에서 이탈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클립부(131)의 개방과 동시에 이송 롤러(151)가 의류(C)를 제1 컨베이어(211)의 상측면에 대해서 압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의류(C)가 로딩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되는 의류(C)가 상의와 같이 1차 세로접기 대상인 경우에는 안착 플레이트(140)와 1차 세로접기 가이드부(141)의 작용으로 의류(C)가 클립부(131)를 통한 이동과 동시에 1차 세로접기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클립부(131)가 개방된 후에는 로딩부 모터(ML)에 전류가 공급되어 클립부(131) 및 후퇴 부재(132)는 제3 정지위치까지 추가적으로 후퇴하게 된다.
전술한 클립오픈위치 감지센서와 마찬가지로 레일 프레임(152)에는 후퇴 부재(132) 및 클립부(131)가 제3 정지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후단위치 감지센서(SL3)가 구비된다.
후단위치 감지센서(SL3)를 통해서 후퇴 부재(132) 및 클립부(131)가 제3 정지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되면, 로딩부 모터(ML)는 정지되고 그와 동시에 제1 컨베이어 모터(M1)에 전류가 공급되어 제1 컨베이어(211)의 구동이 개시된다.
한편, 후퇴 부재(132) 및 클립부(131)는, 제1 컨베이어(211)를 통한 의류(C)의 이송을 방해하지 않도록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의류(C)가 제1 컨베이어(211)로부터 제2 컨베이어(221)로 이송이 완료된 것이 확인된 이후에 전술한 제1 정지위치로 이동되도록 로딩부 모터(ML)가 제어된다.
레일 프레임(152)에는 후퇴 부재(132) 및 클립부(131)가 제1 정지위치로 복귀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초기위치 감지센서(SL1)가 구비된다.
이들 초기위치 감지센서(SL1), 클립오픈위치 감지센서 및 후단위치 감지센서(SL3)는 모두 동일한 형식의 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후퇴 부재(132) 및 클립부(131)의 이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홀 센서(Hall sensor)가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퇴 부재(132) 또는 클립부(131)의 위치 또는 도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당업계에 공지된 수단이 제한 없이 적용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후퇴 부재(132) 및 클립부(131)가 제3 정지위치에 도달되어 제1 컨베이어 모터(M1)가 후진 작동되면 제1 컨베이어(211)를 통한 의류(C)의 이송이 개시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컨베이어(211)의 후단에는 이송이 개시된 의류(C)의 도달 여부를 감지하는 제1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1)가 구비된다.
예시적으로 제1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1)는 제1 컨베이어(211)의 내부로서 다수개로 분할되도록 구성되는 제1 컨베이어 벨트들 사이의 틈을 통해서 의류(C)가 도달하였는지 또는 의류(C)가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제1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1)는 유효 감지범위에 의류(C)가 존재하는지 여부만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의류(C)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ON-신호를 출력하고 의류(C)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OFF-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센서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으로 비접촉식 IR(Infrared Ray) 센서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1)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의류감지센서들이 제2 컨베이어(221)의 전단, 제3 컨베이어(231)의 후단, 제4 컨베이어(232)의 하부, 제7 컨베이어(243)의 후단, 제6 컨베이어(242)의 후방하부 및 전방하부에 각각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이들 의류감지센서로서 IR 센서가 적용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는 제1 컨베이어 모터(M1)가 후진 작동되어 제1 컨베이어(211)를 통한 의류(C)의 이송이 진행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컨베이어(211)의 이동에 의해서 의류(C)가 이송되면, 제1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1)를 통해 의류(C)의 선단이 제1 컨베이어(211)의 후단에 도달하였는지 여부가 감지된다.
제1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1)를 통해 의류(C)의 선단이 도달한 것으로 확인되면, 의류(C)를 제2 폴딩 레이어(220)로 전달할 수 있도록 그와 동시에 제2 컨베이어 모터(M21)가 전진 작동된다.
이때, 제2 컨베이어(221)와 제1 컨베이어(211) 사이의 선속도 차이가 발생하여 전달되는 의류(C)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2 컨베이어(221)의 선속도와 제1 컨베이어(211)의 선속도는 거의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1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1)를 통해 의류(C)의 선단이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즉 제1 컨베이어 모터(M1)가 후진 작동이 개시된 이후 소정의 지연시간이 경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의류(C)의 선단이 제1 컨베이어(211)의 후단에 도달하지 못하거나 제1 컨베이어 모터(M1)에 공급되는 모터 전류값이 과다하게 큰 경우(과부하)에는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제1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1)의 출력 신호로부터 의류(C)의 선단이 목표위치가 되는 제1 컨베이어(211)의 후단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는 상태에서, 제1 컨베이어 모터(M1)의 후진 작동 개시 이후의 제1 지연시간(T1)이 소정의 제1 임계 지연시간(Tth1)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경우 또는 제1 컨베이어 모터(M1)에 공급되는 제1 모터 전류값(A1)이 소정의 제1 임계 모터 전류값(Ath1)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경우에 제1 폴딩 레이어(210)에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폴딩 레이어(210)에서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제1 컨베이어 모터(M1)의 과부하 방지, 의류(C)의 손상 및 부품의 파손 방지를 위해서 제1 컨베이어 모터(M1)에 대한 전력 공급은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임계 지연시간(Tth1)은 제1 컨베이어(211)의 사이즈, 컨베이어의 선속도 및 이송 대상 의류(C)의 사이즈에 따라 조정될 수 있는 수치가 되며,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1)에 적용 가능한 의류(C)의 최대 길이는 3m 내외가 되기 때문에 제1 컨베이어(211)의 선속도가 30cm/s인 경우에 제1 임계 지연시간(Tth1)은 10초 내외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임계 모터 전류값(Ath1)은 제1 컨베이어 모터(M1)의 출력에 따라 달리 결정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2A 내외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제1 폴딩 레이어(210)에서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제1 폴딩 레이어(210)에서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하였다는 제1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이 생성되어 전술한 디스플레이부 및 알람부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의류(C) 뭉침이 발생한 부분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의류 뭉침 해소를 위한 즉각적인 조치가 가능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에는 제1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1)를 통해 의류(C)의 선단이 도달한 것으로 확인되어 제1 컨베이어(211)의 후단으로부터 제2 컨베이어(221)의 후단으로 의류(C)가 전달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제2 폴딩 레이어(220)의 제2 컨베이어(221)에 대해서도 제1 폴딩 레이어(210)에서 적용되는 의류 뭉침 판단 기준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의류(C)가 제1 컨베이어(211)의 후단에 성공적으로 도달한 것이 제1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1)를 통해서 확인되면 이와 동시에 제2 컨베이어 모터(M21)의 전진 작동이 개시되어 의류(C)를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제2 컨베이어(221)가 구동된다.
이 때, 제1 컨베이어(211)로부터 제2 컨베이어(221)로 의류(C)가 성공적으로 이송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목표위치는 제2 컨베이어(221)의 전단이 된다. 이를 위해, 제2 컨베이어(221)에는 해당 목표위치에 의류(C)의 선단이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컨베이어 전단 의류감지센서(SC2)가 구비된다. 제2 컨베이어 전단 의류감지센서(SC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1)와 동일하게 IR 센서가 된다.
제2 폴딩 레이어(220)에서는 제2 컨베이어 전단 의류감지센서(SC2)를 통해 의류(C)의 선단이 도달하였는지 판단하게 되며, 제2 컨베이어 전단 의류감지센서(SC2)를 통한 의류(C)의 도달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제2 컨베이어 모터(M21)가 전진 작동이 개시된 이후 소정의 지연시간이 경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의류(C)의 선단이 제2 컨베이어(221)의 전단에 도달하지 못하거나, 제2 컨베이어 모터(M21)에 공급되는 모터 전류값이 과다하게 큰 경우에는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제2 컨베이어 전단 의류감지센서(SC2)의 출력 신호로부터 의류(C)의 선단이 목표위치가 되는 제2 컨베이어(221)의 전단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는 상태에서, 제2 컨베이어 모터(M21)의 전진 작동 개시 이후의 제2 지연시간(T2)이 소정의 제2 임계 지연시간(Tth2)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경우 또는 제2 컨베이어 모터(M21)에 공급되는 제2 모터 전류값(A2)이 소정의 제2 임계 모터 전류값(Ath2)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경우에 제2 폴딩 레이어(220)의 제2 컨베이어(221)에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컨베이어(221)에서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제1 컨베이어 모터(M1) 및 제2 컨베이어 모터(M21)의 과부하 방지, 의류(C)의 손상 및 부품의 파손 방지를 위해서 제1 컨베이어 모터(M1) 및 제2 컨베이어 모터(M21)에 대한 전력 공급은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2 임계 지연시간(Tth2)은, 의류(C)에 대한 가로접힘이 수행된 상태가 아니고 의류(C)의 길이는 동일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전술한 제1 임계 지연시간(Tth1)과 동일하게 10초 내외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임계 모터 전류값(Ath2)은 제2 컨베이어 모터(M21)가 제1 컨베이어 모터(M1)와 동일한 출력을 갖는 경우에는 제1 임계 모터 전류값(Ath1)과 동일하게 2A 내외로 결정될 수 있고, 제2 컨베이어 모터(M21)가 제1 컨베이어 모터(M1)의 출력과 다른 출력을 갖는 모터인 경우에는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제2 폴딩 레이어(220)에서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제2 폴딩 레이어(220)에서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하였다는 제2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이 생성되어 전술한 디스플레이부 및 알람부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한편, 의류(C)가 제2 컨베이어(221)의 전단에 성공적으로 도달한 것이 제2 컨베이어 전단 의류감지센서(SC2)를 통해서 확인되면 다음 과정은 의류(C)가 세로접기 대상인지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만약, 의류(C)가 상의와 같은 세로접기 대상인 것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면, 의류(C)의 선단이 제2 컨베이어(221)의 전단에 도착한 즉시 제2 컨베이어 모터(M21)가 정지되고, 의류(C)에 대한 세로접기를 수행하기 위해서 세로접기 어셈블리(222)가 가동된다.
보다 상세히는 먼저 세로접기 모터(M22)에 전류가 공급되어 세로접기 모터(M22)가 작동된다.
세로접기 모터(M22)의 작동에 의해서 한 쌍의 세로접기 플레이트(2221)가 전술한 대기위치로부터 세로접기 대상 의류(C)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세로접기 폭에 대응하는 이동량만큼 의류(C)의 중심을 향해 이동된다.
세로접기 플레이트(2221)의 이동에 의한 의류(C)의 세로접기가 완료되면 세로접기 모터(M22)를 역방향으로 작동시켜 세로접기 플레이트(2221)를 대기위치로 복귀시킨다.
다음으로 세로접기 플레이트(2221)가 대기위치로 복귀된 것이 확인되면 의류(C)를 제3 폴딩 레이어(230)로 이송하기 위해서 제2 컨베이어 모터(M21)가 전진 작동되고, 동시에 의류(C)를 이송받는 제3 폴딩 레이어(230)의 제3 컨베이어 모터(M31)가 후진 작동된다.
한편, 의류(C)가 상의와 같은 세로접기 대상이 아닌 것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면, 의류(C)에 대한 세로접기 과정이 생략되고, 제2 컨베이어 모터(M21)는 정지과정을 거치지 않고 계속 전진 작동되며, 의류(C)를 이송받는 제3 폴딩 레이어(230)의 제3 컨베이어 모터(M31)가 후진 작동된다.
도 9 내지 도 11에는 제2 컨베이어(221)의 전단으로부터 제3 폴딩 레이어(230)로 의류(C)가 전달되는 과정 및 전달된 의류(C)가 1/2 가로접기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제3 폴딩 레이어(230)로 의류(C)가 전달되는 과정 및 1/2 가로접기 과정에 대해서도 제1 폴딩 레이어(210) 및 제2 폴딩 레이어(220)에서 적용되는 의류 뭉침 판단 기준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2 폴딩 레이어(220)의 제2 컨베이어(221)로부터 제3 폴딩 레이어(230)로 의류(C)가 성공적으로 이송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목표위치는 제3 폴딩 레이어(23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3 컨베이어(231)의 전단이 된다.
이를 위해, 제3 컨베이어(231)에는 해당 목표위치에 의류(C)의 선단이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3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3)가 구비된다. 제3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3)는 전술한 의류감지센서들과 동일하게 IR 센서가 된다.
제3 폴딩 레이어(230)에서는 제3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3)를 통해 의류(C)의 선단이 도달하였는지 판단하게 되며, 제3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3)를 통한 의류(C)의 도달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제3 컨베이어 모터(M31)의 후진 작동이 개시된 이후 소정의 지연시간이 경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의류(C)의 선단이 제3 컨베이어(231)의 후단에 도달하지 못하거나, 제3 컨베이어 모터(M31)에 공급되는 모터 전류값이 과다하게 큰 경우에는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제3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3)의 출력 신호로부터 의류(C)의 선단이 목표위치가 되는 제3 컨베이어(231)의 후단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는 상태에서, 제3 컨베이어 모터(M31)의 후진 작동 개시 이후의 제3 지연시간(T3)이 소정의 제3 임계 지연시간(Tth3)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경우 또는 제3 컨베이어 모터(M31)에 공급되는 제3 모터 전류값(A3)이 소정의 제3 임계 모터 전류값(Ath3)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경우에 제3 폴딩 레이어(230)의 제3 컨베이어(231)에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컨베이어(231)에서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제3 컨베이어 모터(M31)의 과부하 방지, 의류(C)의 손상 및 부품의 파손 방지를 위해서 제3 컨베이어 모터(M31)에 대한 전력 공급은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3 임계 지연시간(Tth3)은, 의류(C)에 대한 가로접힘이 수행된 상태가 아니고 의류(C)의 길이는 동일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전술한 제1 임계 지연시간(Tth1) 및 제2 임계 지연시간(Tth2)과 동일하게 10초 내외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3 임계 모터 전류값(Ath3)은 제3 컨베이어 모터(M31)가 제1 컨베이어 모터(M1) 및 제2 컨베이어 모터(M21)와 동일한 출력을 갖는 경우에는 제1 임계 모터 전류값(Ath1) 및 제2 임계 모터 전류값(Ath2)과 동일하게 2A 내외로 결정될 수 있고, 제3 컨베이어 모터(M31)가 제1 컨베이어 모터(M1) 및 제2 컨베이어 모터(M21)의 출력과 다른 출력을 갖는 모터인 경우에는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제3 폴딩 레이어(230)의 제3 컨베이어(231)에서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제3 컨베이어(231)에서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하였다는 제3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이 생성되어 전술한 디스플레이부 및 알람부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한편, 의류(C)가 제3 컨베이어(231)의 후단에 성공적으로 도달한 것이 제3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3)를 통해서 확인되면 다음 과정은 의류(C)가 1/2 가로접기 대상인지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만약, 의류(C)가 1/2 가로접기 대상이 아닌 것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면, 제4 컨베이어 모터(M32)를 즉시 후진 작동시켜 의류(C)가 제4 컨베이어(232)의 후단을 통해 제4 폴딩 레이어(240)로 전달한다. 의류(C)가 1/2 가로접기 과정을 거치지 않고 제4 폴딩 레이어(240)로 전달된 이후의 과정은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만약, 의류(C)가 1/2 가로접기 대상인 것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면, 의류(C)의 선단이 제3 컨베이어(231)의 전단에 도착한 즉시 제4 컨베이어 모터(M32)가 후진 작동된다.
이후 제3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3)를 통해서 의류(C)의 후단이 제3 컨베이어(231)의 후단을 통과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3 컨베이어 모터(M31)와 제4 컨베이어 모터(M32)는 정지되고, 의류(C)의 선단이 제3 컨베이어(231)의 후단에 도달한 시점부터 의류(C)의 후단이 제3 컨베이어(231)의 후단을 통과한 시점까지의 의류 통과 시간(Tc)이 후술하는 타이머(440)를 통해 연산된다.
다음으로 1/2 가로접기의 준비를 위해, 연산된 의류 통과 시간(Tc)의 절반 시간(Tc/2) 동안 제3 컨베이어 모터(M31) 및 제4 컨베이어 모터(M32)를 전진 작동시켜, 제3 컨베이어(231)와 제4 컨베이어(232)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폴딩 갭(G1)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의류(C)의 1/2 부분을 배치한다.
의류(C)의 1/2 가로접기를 위한 준비가 완료되면, 제3 컨베이어(231) 및 제4 컨베이어(232)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가로접기 어셈블리(233)를 구동시킨다.
예시적으로 제1 가로접기 어셈블리(233)는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제1 폴딩바(2331)를 이용하여, 의류(C)의 1/2 부분을 제1 폴딩 갭(G1)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어넣는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제1 가로접기 어셈블리(233)는 제1 폴딩바(2331)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1 폴딩바 구동모터(M33)와, 제1 폴딩바 구동모터(M33)의 회전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부재(미도시)와, 제2 폴딩바(2441)의 위치를 직간접적으로 감지하는 제1 폴딩바 위치센서(SFB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시적으로 제1 가로접기 어셈블리(233)가 제1 폴딩바(2331), 제1 폴딩바 구동모터(M33) 및 크랭크부재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후술하는 제2 가로접기 어셈블리(244) 및 제3 가로접기 어셈블리(245)는 제1 가로접기 어셈블리(233)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폴딩바 구동모터(M33)가 작동되면, 초기위치로부터 제1 폴딩바(2331)가 제1 폴딩 갭(G1)을 향해 하측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되고, 의류(C)의 1/2 부분을 제1 폴딩 갭(G1)의 내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어넣은 후 크랭크부재의 작용으로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제1 폴딩바(2331)가 초기위치부터 이동이 개시되고 다시 초기위치로 복귀되었지의 여부는 제1 폴딩바 위치센서(SFB1)를 통해 감지된다. 도 11에는 제1 폴딩바 위치센서(SFB1)가 마이크로 스위치 형태로 구비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폴딩바(2331)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당업계에 공지된 수단이 제한없이 적용가능하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마이크로 스위치 형태를 갖는 제1 폴딩바 위치센서(SFB1)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후술하는 제2 폴딩바 위치센서(SFB2) 및 제3 폴딩바 위치센서(SFB3)도 모두 동일하게 마이크로 스위치가 적용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1 폴딩바 위치센서(SFB1)를 통해서 제1 폴딩바(2331)의 구동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의류(C)가 1/2 가로접기가 되면서 제1 폴딩 갭(G1)을 통과할 수 있도록 제3 컨베이어 모터(M31)는 후진 작동되고, 제4 컨베이어 모터(M32)는 전진 작동된다.
한편, 의류(C)가 제1 폴딩 갭(G1)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의류 뭉침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전술한 의류 뭉침 판단 기준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제1 폴딩 갭(G1)을 성공적으로 통과하여 제4 폴딩 레이어(240)로 이송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목표위치는 제3 폴딩 갭(G3)의 하부가 된다. 이를 위해, 제4 컨베이어(232)의 하부측으로서 제1 폴딩 갭(G1)에 인접한 위치에 제4 컨베이어 하부 의류감지센서(SC4)가 구비된다.
제4 컨베이어 하부 의류감지센서(SC4)는 전술한 의류감지센서들과 동일하게 IR 센서가 된다. 다만, 제4 컨베이어 하부 의류감지센서(SC4)는 의류(C)가 제1 폴딩 갭(G1)을 통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전술한 의류감지센서들과는 달리 제4 컨베이어(232)로부터 노출된 위치에 배치된다.
제4 컨베이어 하부 의류감지센서(SC4)를 통해 의류(C)의 선단이 도달한 이후에 의류(C)의 후단이 제1 폴딩 갭(G1)으로부터 통과되었는지 여부 판단하게 되며, 의류(C)의 통과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제3 컨베이어 모터(M31)가 후진 작동 및 제4 컨베이어 모터(M32)의 전진 작동이 개시된 이후 소정의 지연시간이 경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의류(C)의 후단이 제1 폴딩 갭(G1)을 통과하지 못하거나, 제3 컨베이어 모터(M31) 또는 제4 컨베이어(232)에 공급되는 모터 전류값이 과다하게 큰 경우에는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제4 컨베이어 하부 의류감지센서(SC4)의 출력 신호로부터 의류(C)의 후단이 목표위치가 되는 제1 폴딩 갭(G1)의 하부 및 제4 컨베이어(232)의 하부를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는 상태에서, 제3 컨베이어 모터(M31)의 후진 작동 개시 및 제4 컨베이어 모터(M32)의 전진 작동 개시 이후의 제4 지연시간(T4)이 소정의 제4 임계 지연시간(Tth4)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경우 또는 제3 컨베이어 모터(M31)와 제4 컨베이어 모터(M32)에 공급되는 제4 모터 전류값(A4)이 소정의 제4 임계 모터 전류값(Ath4)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경우에 제3 폴딩 레이어(230)의 제1 폴딩 갭(G1)에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폴딩 갭(G1)에서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제3 컨베이어 모터(M31)와 제4 컨베이어 모터(M32)의 과부하 방지, 의류(C)의 손상 및 부품의 파손 방지를 위해서 제3 컨베이어 모터(M31)와 제4 컨베이어 모터(M32)에 대한 전력 공급은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4 임계 지연시간(Tth4)은, 의류(C)에 대한 1/2 가로접힘이 수행된 상태이기 때문에 전술한 제3 임계 지연시간(Tth3)보다 더 작게, 바람직하게는 절반이 되는 5초 내외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4 임계 모터 전류값(Ath4)은 제3 컨베이어 모터(M31) 및 제4 컨베이어 모터(M32)가 제1 컨베이어 모터(M1) 및 제2 컨베이어 모터(M21)와 동일한 출력을 갖는 경우에는 제1 임계 모터 전류값(Ath1) 및 제2 임계 모터 전류값(Ath2)과 동일하게 2A 내외로 결정될 수 있고, 제3 컨베이어 모터(M31) 및 제4 컨베이어 모터(M32)가 제1 컨베이어 모터(M1) 및 제2 컨베이어 모터(M21)의 출력과 다른 출력을 갖는 모터인 경우에는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제1 폴딩 갭(G1)에서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제1 폴딩 갭(G1)에서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하였다는 제4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이 생성되어 전술한 디스플레이부 및 알람부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한편, 제4 컨베이어 하부 의류감지센서(SC4)를 통해 의류(C)의 선단이 도달한 이후에 의류(C)의 후단이 제1 폴딩 갭(G1)으로부터 통과가 성공한 것으로 감지되면, 제3 컨베이어 모터(M31)와 제4 컨베이어 모터(M32)는 정지되고, 제3 폴딩 레이어(230)에서의 이송 및 폴딩 과정은 종료된다.
도 12 내지 도 15에는 제3 폴딩 레이어(230)에서 1/2 가로접기 과정을 거치지 않고 제4 폴딩 레이어(240)로 전달되는 과정 및 제4 폴딩 레이어(240)에서 1/3 가로접기가 수행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제4 폴딩 레이어(240)로 전달된 의류(C)는, 제3 폴딩 레이어(230)에서 1/2 가로접기가 수행된 경우 및 제3 폴딩 레이어(230)에서 1/2 가로접기가 수행되지 않은 경우 모두에 대해서 제3 폴딩 레이어(230)와 동일/유사한 방식으로 1/2 가로접기가 수행되거나, 1/3 가로접기가 2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제3 폴딩 레이어(230)에서 1/2 가로접기가 수행되지 않은 의류(C)에 대해서 1/2 가로접기가 수행되는 과정 및 1/3 가로접기가 2회 수행되는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하며, 다른 중복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제3 폴딩 레이어(230)로부터 제4 폴딩 레이어(240)로 의류(C)가 전달되는 과정 및 1/3 가로접기 과정에 대해서도 제1 폴딩 레이어(210) 내지 제3 폴딩 레이어(230)에서 적용되는 의류 뭉침 판단 기준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3 폴딩 레이어(230)의 제4 컨베이어(232)의 후단으로부터 이송되는 의류(C)는 제4 폴딩 레이어(240)의 복수의 컨베이어 중에서 가장 후방에 배치되는 제5 컨베이어(241)로 먼저 전달되며, 제5 컨베이어(241)와 제2 폴딩 갭(G2)을 형성하면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6 컨베이어(242)를 거쳐, 제6 컨베이어(242)와 제3 폴딩 갭(G3)을 형성하면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7 컨베이어(243)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4 폴딩 레이어(240)로 의류(C)가 성공적으로 이송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목표위치는 제4 폴딩 레이어(24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7 컨베이어(243)의 후단이 된다.
이를 위해, 제7 컨베이어(243)에는 해당 목표위치에 의류(C)의 선단이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7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7)가 구비된다. 제7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7)는 전술한 의류감지센서들과 동일하게 IR 센서가 된다.
제4 폴딩 레이어(240)에서는 제7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7)를 통해 의류(C)의 선단이 도달하였는지 판단하게 되며, 제7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7)를 통한 의류(C)의 도달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의류(C)의 이송을 위해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가 전진 작동이 개시된 이후 소정의 지연시간이 경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의류(C)의 선단이 제7 컨베이어(243)의 후단에 도달하지 못하거나,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에 공급되는 모터 전류값이 과다하게 큰 경우에는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제7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7)의 출력 신호로부터 의류(C)의 선단이 목표위치가 되는 제7 컨베이어(243)의 후단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는 상태에서,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의 전진 작동 개시 이후의 제5 지연시간(T5)이 소정의 제5 임계 지연시간(Tth5)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경우 또는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에 공급되는 제5 모터 전류값(A5)이 소정의 제5 임계 모터 전류값(Ath5)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경우에 제4 폴딩 레이어(240)에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4 폴딩 레이어(240)에서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의 과부하 방지, 의류(C)의 손상 및 부품의 파손 방지를 위해서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에 대한 전력 공급은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5 임계 지연시간(Tth5)은, 의류(C)에 대한 가로접힘이 수행된 상태가 아니고 의류(C)의 길이는 동일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전술한 제1 임계 지연시간(Tth1) 및 제2 임계 지연시간(Tth2)과 동일하게 10초 내외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5 임계 모터 전류값(Ath5)은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가 제1 내지 제4 컨베이어 모터(M1, M21, M31, M41)와 동일한 출력을 갖는 경우에는 제1 임계 모터 전류값(Ath1) 내지 제4 임계 모터 전류값(Ath4)과 동일하게 2A 내외로 결정될 수 있고,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가 제1 내지 제4 컨베이어 모터(M1, M21, M31, M41)의 출력과 다른 출력을 갖는 모터인 경우에는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제4 폴딩 레이어(240)에서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제4 폴딩 레이어(240)에서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하였다는 제5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이 생성되어 전술한 디스플레이부 및 알람부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한편, 제7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7)의 출력 신호로부터 의류(C)의 선단이 목표위치가 되는 제7 컨베이어(243)의 후단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의류(C)의 후단이 제7 컨베이어(243)의 후단에 도달할 때까지 추가적으로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를 작동시킨다.
이후 제7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7)를 통해서 의류(C)의 후단이 제7 컨베이어(243)의 후단을 통과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는 정지되고, 의류(C)의 선단이 제7 컨베이어(243)의 후단에 도달한 시점부터 의류(C)의 후단이 제7 컨베이어(243)의 후단을 통과한 시점까지의 의류 통과 시간(Tc)이 타이머(440)를 통해 연산된다.
통과 시간(Tc)이 연산되면, 이후 과정은 의류(C)가 1/2 가로접기 대상인지 1/3 가로접기 대상인지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먼저 의류(C)가 1/2 가로접기 대상인 경우에는, 제6 컨베이어(242)와 제7 컨베이어(243) 사이에 구비되는 제3 폴딩 갭(G3)을 이용하여 1/2 가로접기 과정이 수행된다.
보다 상세히는, 1/2 가로접기의 준비를 위해, 연산된 의류 통과 시간(Tc)의 절반 시간(Tc/2) 동안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를 후진 작동시켜, 제6 컨베이어(242)와 제7 컨베이어(243) 사이에 형성되는 제3 폴딩 갭(G3)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의류(C)의 1/2 부분을 배치하고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를 정지시킨다.
의류(C)의 1/2 가로접기를 위한 준비가 완료되면, 제6 컨베이어(242) 및 제7 컨베이어(243)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3 가로접기 어셈블리(245)를 구동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가로접기 어셈블리(245)는 제1 가로접기 어셈블리(233)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된다.
보다 상세히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폴딩바 구동모터(M45)가 작동되면, 초기위치로부터 제3 폴딩바(2451)가 제3 폴딩 갭(G3)을 향해 하측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되고, 의류(C)의 1/2 부분을 제3 폴딩 갭(G3)의 내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어넣은 후 크랭크부재의 작용으로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제3 폴딩바(2451)가 초기위치부터 이동이 개시되고 다시 초기위치로 복귀되었지의 여부는 마이크로 스위치인 제3 폴딩바 위치센서(SFB3)를 통해 감지된다.
제3 폴딩바 위치센서(SFB3)를 통해서 제3 폴딩바(2451)의 구동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의류(C)가 1/2 가로접기가 되면서 제3 폴딩 갭(G3)을 통과할 수 있도록 제7 컨베이어 모터(M43)는 후진 작동되고, 제5 컨베이어 모터(M41)와 제6 컨베이어 모터(M42)는 전진 작동되고, 1/2 가로접기가 완료된 의류(C)는 제3 폴딩 갭(G3)의 하부의 언로딩 레이어(310)로 전달된다.
한편, 의류(C)가 제3 폴딩 갭(G3)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의류 뭉침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전술한 의류 뭉침 판단 기준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제3 폴딩 갭(G3)을 성공적으로 통과하여 언로딩 레이어(310)로 이송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목표위치는 제3 폴딩 갭(G3)의 하부가 된다. 이를 위해, 제6 컨베이어(242)의 전방 하부측으로서 제3 폴딩 갭(G3)에 인접한 위치에 제6 컨베이어 전방하부 의류감지센서(SC62)가 구비된다.
제6 컨베이어 전방하부 의류감지센서(SC62)는 전술한 의류감지센서들과 동일하게 IR 센서가 된다. 다만, 제6 컨베이어 전방하부 의류감지센서(SC62)는 의류(C)가 제3 폴딩 갭(G3)을 통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전술한 제4 컨베이어 하부 의류감지센서(SC4)와 동일하게 제6 컨베이어(242)로부터 노출된 위치에 배치된다.
제6 컨베이어 전방하부 의류감지센서(SC62)를 통해 의류(C)의 선단이 도달한 이후에 의류(C)의 후단이 제3 폴딩 갭(G3)으로부터 통과되었는지 여부 판단하게 되며, 의류(C)의 통과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제7 컨베이어 모터(M43)가 후진 작동되고, 제5 컨베이어 모터(M41)와 제6 컨베이어 모터(M42)가 전진 작동된 이후 소정의 지연시간이 경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의류(C)의 후단이 제3 폴딩 갭(G3)을 통과하지 못하거나, 제5 내지 제7 컨베이어 모터(M41, M42, M43)에 공급되는 모터 전류값이 과다하게 큰 경우에는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제6 컨베이어 전방하부 의류감지센서(SC62)의 출력 신호로부터 의류(C)의 후단이 목표위치가 되는 제3 폴딩 갭(G3)의 하부 및 제6 컨베이어(242)의 하부를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는 상태에서, 제7 컨베이어 모터(M43)의 후진 작동, 제5 컨베이어 모터(M41)와 제6 컨베이어 모터(M42)의 전진 작동 개시 이후의 제6 지연시간(T6)이 소정의 제6 임계 지연시간(Tth6)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경우 또는 제5 내지 제7 컨베이어 모터(M41, M42, M43)에 공급되는 제6 모터 전류값(A6)이 소정의 제6 임계 모터 전류값(Ath6)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경우에 제4 폴딩 레이어(240)의 제3 폴딩 갭(G3)에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폴딩 갭(G3)에서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제5 내지 제7 컨베이어 모터(M41, M42, M43)의 과부하 방지, 의류(C)의 손상 및 부품의 파손 방지를 위해서 제5 내지 제7 컨베이어 모터(M41, M42, M43)에 대한 전력 공급은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6 임계 지연시간(Tth6)은, 의류(C)에 대한 1/2 가로접힘이 수행된 상태이기 때문에 전술한 제5 임계 지연시간(Tth5)보다 더 작게, 바람직하게는 절반이 되는 5초 내외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6 임계 모터 전류값(Ath6)은 제5 내지 제7 컨베이어 모터(M41, M42, M43)가 다른 컨베이어 모터와 동일한 출력을 갖는 경우에는 전술한 임계 모터 전류값과 동일하게 2A 내외로 결정될 수 있고, 다른 컨베이어 모터의 출력과 다른 출력을 갖는 모터인 경우에는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제3 폴딩 갭(G3)에서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제1 폴딩 레이어(210)에서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하였다는 제6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이 생성되어 전술한 디스플레이부 및 알람부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한편, 제6 컨베이어 전방하부 의류감지센서(SC62)를 통해 의류(C)의 선단이 도달한 이후에 의류(C)의 후단이 제3 폴딩 갭(G3)으로부터 통과가 성공한 것으로 감지되면, 제5 내지 제7 컨베이어 모터(M41, M42, M43)는 정지되고, 제4 폴딩 레이어(240)에서의 이송 및 폴딩 과정은 종료된다.
다음으로, 의류(C)가 1/3 가로접기 대상인 경우에는, 제5 컨베이어(241)와 제6 컨베이어(242) 사이에 구비되는 제2 폴딩 갭(G2)을 이용하여 1차 1/3 가로접기를 수행하고, 제6 컨베이어(242)와 제7 컨베이어(243) 사이에 구비되는 제3 폴딩 갭(G3)을 이용하여 2차 1/3 가로접기 과정이 수행된다.
보다 상세히는, 1차 1/3 가로접기의 준비를 위해, 전술한 의류 통과 시간(Tc)의 2/3 시간(Tc*2/3) 동안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를 후진 작동시켜, 제5 컨베이어(241)와 제6 컨베이어(242)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폴딩 갭(G2)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의류(C)의 2/3 부분을 배치하고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를 정지시킨다.
의류(C)의 1차 1/3 가로접기를 위한 준비가 완료되면, 제5 컨베이어(241) 및 제6 컨베이어(242)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가로접기 어셈블리(244)를 구동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가로접기 어셈블리(244)는 제1 가로접기 어셈블리(233)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된다.
보다 상세히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폴딩바 구동모터(M44)가 작동되면, 초기위치로부터 제2 폴딩바(2441)가 제2 폴딩 갭(G2)을 향해 하측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되고, 의류(C)의 2/3 부분을 제2 폴딩 갭(G2)의 내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어넣은 후 크랭크부재의 작용으로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제2 폴딩바(2441)가 초기위치부터 이동이 개시되고 다시 초기위치로 복귀되었지의 여부는 마이크로 스위치인 제2 폴딩바 위치센서(SFB2)를 통해 감지된다.
제2 폴딩바 위치센서(SFB2)를 통해서 제2 폴딩바(2441)의 구동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의류(C)가 1차 1/3 가로접기가 되도록 제5 컨베이어 모터(M41)는 전진 작동되고, 제6 컨베이어 모터(M42)와 제7 컨베이어 모터(M43)는 후진 작동된다.
이 때, 1차 1/3 가로접기 과정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는지 여부는 제2 폴딩 갭(G2)을 통해 1/3 가로접기가 된 의류(C)의 선단이 제6 컨베이어(242)의 후방하부에 도달하였는지 여부가 된다.
이를 확인해기 위해, 제6 컨베이어(242)의 후방하부에는 제6 컨베이어 후방하부 의류감지센서(SC61)가 구비된다.
제6 컨베이어 후방하부 의류감지센서(SC61)는 전술한 의류감지센서들과 동일하게 IR 센서가 된다. 다만, 제6 컨베이어 후방하부 의류감지센서(SC61)는 의류(C)가 제2 폴딩 갭(G2)의 하부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전술한 제6 컨베이어 전방하부 의류감지센서(SC62)와 동일하게 제6 컨베이어(242)로부터 노출된 위치에 배치된다.
제6 컨베이어 후방하부 의류감지센서(SC61)를 통해 의류(C)의 선단이 도달하였는지 여부 판단하게 되며, 의류(C)의 도달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제5 컨베이어 모터(M41)가 전진 작동되고, 제6 컨베이어 모터(M42)와 제7 컨베이어 모터(M43)가 후진 작동된 이후 소정의 지연시간이 경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의류(C)의 선단이 제2 폴딩 갭(G2)의 하부에 도달하지 못하거나, 제5 내지 제7 컨베이어 모터(M41, M42, M43)에 공급되는 모터 전류값이 과다하게 큰 경우에는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제6 컨베이어 후방하부 의류감지센서(SC61)의 출력 신호로부터 의류(C)의 선단이 목표위치가 되는 제2 폴딩 갭(G2)의 하부 및 제6 컨베이어(242)의 하부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는 상태에서, 제5 컨베이어 모터(M41)의 전진 작동, 제6 컨베이어 모터(M42)와 제7 컨베이어 모터(M43)의 후진 작동 개시 이후의 제7 지연시간(T7)이 소정의 제7 임계 지연시간(Tth7)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경우 또는 제5 내지 제7 컨베이어 모터(M41, M42, M43)에 공급되는 제7 모터 전류값(A7)이 소정의 제7 임계 모터 전류값(Ath7)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경우에 제4 폴딩 레이어(240)의 제2 폴딩 갭(G2)에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폴딩 갭(G2)에서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제5 내지 제7 컨베이어 모터(M41, M42, M43)의 과부하 방지, 의류(C)의 손상 및 부품의 파손 방지를 위해서 제5 내지 제7 컨베이어 모터(M41, M42, M43)에 대한 전력 공급은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7 임계 지연시간(Tth7)은, 의류(C)에 대한 1차 1/3 가로접힘이 수행된 상태이기 때문에 전술한 제5 임계 지연시간(Tth5)보다 더 작게, 바람직하게는 2/3이 되는 7초 내외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7 임계 모터 전류값(Ath7)은 제5 내지 제7 컨베이어 모터(M41, M42, M43)가 다른 컨베이어 모터와 동일한 출력을 갖는 경우에는 전술한 임계 모터 전류값과 동일하게 2A 내외로 결정될 수 있고, 다른 컨베이어 모터의 출력과 다른 출력을 갖는 모터인 경우에는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제2 폴딩 갭(G2)에서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제2 폴딩 갭(G2)에서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하였다는 제7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이 생성되어 전술한 디스플레이부 및 알람부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한편, 제7 컨베이어 후방하부 의류감지센서를 통해 의류(C)의 선단이 도달한 것으로 감지되면, 2차 1/3 가로접기 과정 준비를 위해서 전술한 의류 통과 시간(Tc)의 1/3 시간(Tc*2/3) 동안 제5 컨베이어 모터(M41)를 후진 작동시키고,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를 전진 작동시켜, 제6 컨베이어(242)와 제7 컨베이어(243) 사이에 형성되는 제3 폴딩 갭(G3)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1차 가로접기 과정 이전의 의류(C)의 1/3 부분을 배치하고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를 정지시킨다.
의류(C)의 2차 1/3 가로접기를 위한 준비가 완료되면, 제6 컨베이어(242) 및 제7 컨베이어(243)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3 가로접기 어셈블리(245)를 구동시킨다.
제3 가로접기 어셈블리(245) 및 제3 폴딩 갭(G3)을 이용한 2차 가로접기 과정은, 전술한 제3 가로접기 어셈블리(245) 및 제3 폴딩 갭(G3)을 이용한 1/2 가로접기 과정과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 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2차 1/3 가로접기 과정에서 제3 폴딩 갭(G3)에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 과정도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제6 컨베이어 후방하부 의류감지센서(SC61)의 출력 신호로부터 2차 1/3 가로접기가 완료된 의류(C)의 후단이 목표위치가 되는 제3 폴딩 갭(G3)의 하부 및 제6 컨베이어(242)의 하부를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는 상태에서, 제7 컨베이어 모터(M43)의 후진 작동, 제5 컨베이어 모터(M41)와 제6 컨베이어 모터(M42)의 전진 작동 개시 이후의 제8 지연시간(T8)이 소정의 제8 임계 지연시간(Tth8)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경우 또는 제5 내지 제7 컨베이어 모터(M41, M42, M43)에 공급되는 제8 모터 전류값(A8)이 소정의 제8 임계 모터 전류값(Ath8)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경우에 제4 폴딩 레이어(240)의 제3 폴딩 갭(G3)에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폴딩 갭(G3)에서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제5 내지 제7 컨베이어 모터(M41, M42, M43)의 과부하 방지, 의류(C)의 손상 및 부품의 파손 방지를 위해서 제5 내지 제7 컨베이어 모터(M41, M42, M43)에 대한 전력 공급은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8 임계 지연시간(Tth8)은, 의류(C)에 대한 2차 1/3 가로접힘이 수행된 상태이기 때문에 전술한 제5 임계 지연시간(Tth5)보다 더 작게, 바람직하게는 1/3이 되는 3초 내지 4초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8 임계 모터 전류값(Ath8)은 제5 내지 제7 컨베이어 모터(M41, M42, M43)가 다른 컨베이어 모터와 동일한 출력을 갖는 경우에는 전술한 임계 모터 전류값과 동일하게 2A 내외로 결정될 수 있고, 다른 컨베이어 모터의 출력과 다른 출력을 갖는 모터인 경우에는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제3 폴딩 갭(G3)에서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제3 폴딩 갭(G3)에서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하였다는 제8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이 생성되어 전술한 디스플레이부 및 알람부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1)의 제어부(400)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며, 도 17 내지 도 25는 본 발명에 따라 의류(C)의 이송 및 폴딩 과정에서 의류(C)의 뭉침 현상 발생을 판단하는 기본적인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이하, 도 16 이하를 참조하여 제어부(400)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1)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0)는 로딩부(100), 제1 폴딩 레이어(210), 제2 폴딩 레이어(220), 제3 폴딩 레이어(230), 제4 폴딩 레이어(2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400)는 언로딩 레이어(310)에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세로접기 또는 가로접기가 완료된 의류(C)가 배출부에 자동적으로 수납되도록 언로딩 레이어(310)를 제어할 수 있다. 언로딩 레이어(310)에 대한 제어단계에 관한 당업계에 공지된 일반적인 구성이 적용 가능한바 구체적은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400)는 입력부(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600) 및 알람부(7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의류 폴딩 머신(1)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600) 및 알람부(700)에 송신하여 해당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외부전원(500)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을 변환하여 로딩부(200), 제1 폴딩 레이어(210) 내지 제4 폴딩 레이어(240) 및 언로딩 레이어(310)에 공급하는 전력변환부(410), 및 전력공급부(410)으로부터 로딩부(200), 제1 폴딩 레이어(210) 내지 제4 폴딩 레이어(240) 및 언로딩 레이어(310)에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420)을 제어한다.
도 16에 도시된 구성에는 제어부(400)가 전력변환부(410)와 전류감지부(420)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력변환부(410)와 전류감지부(420)가 제어부(400)와 별개로 구비되는 구성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제어부(400)가 전력변환부(410)와 전류감지부(420)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의류(C)의 이송 또는 폴딩 과정에서 의류(C)의 뭉침 현상의 발생을 정확히 감지 및 판단할 수 있는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러한 의류(C)의 뭉침 현상의 발생을 감지 및 판단하는 기본적인 구성은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어부(400)는 의류(C)의 이송 또는 폴딩을 위해서 제1 폴딩 레이어(210) 내지 제4 폴딩 레이어(24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폴딩 레이어에 속하는 컨베이어 모터에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전류를 공급하여 컨베이어 모터를 작동시킨다. (S10)
이 때, 제어부(400)는 의류(C)의 도달이 예정된 목표위치로 의류(C)가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목표위치 의류감지센서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한다. (S20)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수신된 목표위치 의류감지센서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의류(C)가 목표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30)
만약, S30 단계에서 의류(C)가 목표위치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400)는 타이머(440)를 통해 S10 단계에서 컨베이어 모터의 작동이 개시된 이후의 지연시간(T)을 연산하고, 전류감지부(420)로부터 현재 컨베이어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값(A)을 수신한다, (S40)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연산된 지연시간(T)과 수신된 전류값(A)을 메모리(430)에 저장된 임계 지연시간(Tth)과 임계 전류값(Ath)과 비교하고, 연산된 지연시간(T)이 임계 지연시간(Tth)을 초과하는지 여부 및 수신된 전류값(A)이 임계 전류값(Ath)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50)
만약 S50 단계에서 연산된 지연시간(T)이 임계 지연시간(Tth)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수신된 전류값(A)이 임계 전류값(Ath)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어부(400)는 해당 컨베이어에서 의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한다. (S60)
S60 단계에서 의류 뭉침이 발생된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400)는 컨베이어 모터의 과부하 방지, 의류(C)의 손상 및 기타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의류 뭉침이 발생한 컨베이어를 구동하는 컨베이어 모터로의 전류 공급을 차단하여 컨베이어 모터를 정지시킨다. (S70)
이후, 제어부(400)는 해당 컨베이어에서 의류 뭉침이 발생하였다는 에러 정보를 디스플레이부(600) 및 알람부(700)에 전달하여 시각적 그리고 음향적 알람을 생성하도록 디스플레이부(600) 및 알람부(70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S80)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명료하고 간략화된 판단 기준을 통해서 의류(C)의 뭉침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음으로써 뭉침이 발생한 의류(C)의 손상 및 관련 부품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뭉침이 발생한 위치를 정확히 특정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하고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도록 유도하여 의류 폴딩 머신(1)의 작동 중단 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각 개별 폴딩 레이어의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8을 참조하여 제어부(400)가 로딩부(100)를 구동하는 로딩부 구동 단계(S100)와, 제1 폴딩 레이어(210)를 작동시키고, 제1 폴딩 레이어(210)에서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S200)를 설명한다
먼저, 도시된 바와 같이 S100 단계는 다음과 같은 세부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400)는 사용자에 의해서 안착 플레이트(140)에 전개된 의류(C)를 클립 어셈블리(130)가 파지할 수 있도록 클립부(131)를 폐쇄시킨다. (S101)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400)는 클립부(131)에 구비되는 전자기적 구동부재(미도시)에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여 클립부(131)를 폐쇄시킨다.
클립부(131)의 폐쇄가 완료되면, 제어부(400)는 의류(C)를 파지한 상태에서 클립 어셈블리(130)를 후진 구동하기 위해서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로딩부 모터(ML)에 전류를 공급하여 로딩부 모터(ML)를 후진 작동시킨다. (S102)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클립개방위치 감지센서(SL2)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클립 어셈블리(130)가 클립개방 위치가 되는 제2 정지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103)
S103 단계에서 클립개방위치의 출력 신호를 통해 클립 어셈블리(130)가 제2 정지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400)는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로딩부 모터(ML)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클립 어셈블리(130)를 정지시키고 클립부(131)의 전자기적 구동부재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클립부(131)를 개방시킨다. (S104)
S104 단계에서, 클립부(131)가 개방되어 의류(C)가 로딩 위치에 로딩이 완료된 후 제어부(400)는 클립 어셈블리(130)를 제3 정지위치까지 후진 구동하기 위해서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로딩부 모터(ML)에 전류를 공급하여 로딩부 모터(ML)를 후진 작동시킨다. (S105)
이후 제어부(400)는 후단위치 감지센서(SL3)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클립 어셈블리(130)가 최후단 위치가 되는 제3 정지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105)
S105 단계에서, 클립 어셈블리(130)가 제3 정지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되면, 전술한 제1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S200)가 개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S200 단계는 다음과 같은 세부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제어부(400)는 제1 폴딩 레이어(210)의 제1 컨베이어(211) 상에 로딩이 완료된 의류(C)를 후방으로 이송하기 위해서 제1 컨베이어(211)를 후진 구동하도록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제1 컨베이어 모터(M1)에 전류를 공급하여 제1 컨베이어 모터(M1)를 후진 작동시킨다. (S201)
S201 단계에서 제1 컨베이어 모터(M1)의 작동이 개시되면, 제어부(400)는 제1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1)로부터 의류(C)의 선단부가 제1 컨베이어(211)의 후단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출력 신호를 수신한다. (S202)
S202 단계에서 제1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1)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제어부(400)는 의류(C)의 선단부가 제1 컨베이어(211)의 후단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203) 제어부(400)는 IR 센서인 제1 후단 의류감지센서의 출력 신호가 OFF-신호인 경우에는 의류(C)가 아직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1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1)의 출력 신호가 ON-신호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의류(C)가 도달한 것으로 판단한다.
S203 단계에서 OFF-신호를 수신하여 의류(C)가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400)는 S201 단계에서 제1 컨베이어 모터(M1)의 작동이 개시된 이후의 제1 지연시간(T1)을 타이머(440)를 통해 연산하고, 전류감지부(420)로부터 제1 컨베이어 모터(M1)에 공급되고 있는 제1 모터 전류값(A1)을 수신한다. (S204)
S204 단계에서 연산된 제1 지연시간(T1) 및 수신된 제1 모터 전류값(A1)을 제1 임계 지연시간(Tth1) 및 제1 임계 전류값(Ath1)과 비교하기 위해서, 제어부(400)는 메모리(430)에 저장된 제1 임계 지연시간(Tth1)과 제1 임계 전류값(Ath1)을 호출하고, 제1 지연시간(T1)이 제1 임계 지연시간(Tth1)을 초과하는지 여부 및 제1 모터 전류값(A1)이 제1 임계 전류값(Ath1)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205)
S205 단계의 판단 결과, 제1 지연시간(T1)이 제1 임계 지연시간(Tth1)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제1 모터 전류값(A1)이 제1 임계 전류값(Ath1)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제어부(400)는 제1 폴딩 레이어(210)에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한다. (S206)
S206 단계에서 제1 폴딩 레이어(210)에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400)는 전술한 S70 단계 이하를 진행한다.
보다 상세히는, 제어부(400)는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제1 컨베이어 모터(M1)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제1 컨베이어 모터(M1)를 정지시키고, 제1 폴딩 레이어(210)에서 의류 뭉침이 발생하였다는 제1 에러 정보를 디스플레이부(600) 및 알람부(700)에 전달하여 제1 에러 정보에 관한 시각적 그리고 음향적 알람을 생성하도록 디스플레이부(600) 및 알람부(70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S203 단계에서 ON-신호를 수신하여 의류(C)가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400)는 즉시 제2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를 개시한다. (S300)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S300 단계는 다음과 같은 세부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제어부(400)는 제1 폴딩 레이어(210)의 후방으로부터 전달되는 의류(C)를 전방으로 이송하기 위해서 제2 컨베이어(221)를 전진 구동하도록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제2 컨베이어 모터(M21)에 전류를 공급하여 제2 컨베이어 모터(M21)를 전진 작동시킨다. (S301)
S301 단계에서 제2 컨베이어 모터(M21)의 작동이 개시되면, 제어부(400)는 제2 컨베이어 전단 의류감지센서(SC2)로부터 의류(C)의 선단부가 제2 컨베이어(221)의 전단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출력 신호를 수신한다. (S302)
S302 단계에서 수신된 제2 컨베이어 전단 의류감지센서(SC2)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제어부(400)는 의류(C)의 선단부가 제2 컨베이어(221)의 전단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303) 제어부(400)는 IR 센서인 제2 컨베이어 전단 의류감지센서(SC2)의 출력 신호가 OFF-신호인 경우에는 의류(C)가 아직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2 컨베이어 전단 의류감지센서(SC2)의 출력 신호가 ON-신호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의류(C)가 도달한 것으로 판단한다.
S303 단계에서 OFF-신호를 수신하여 의류(C)가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400)는 S301 단계에서 제2 컨베이어 모터(M21)의 작동이 개시된 이후의 제2 지연시간(T2)을 타이머(440)를 통해 연산하고, 전류감지부(420)로부터 제2 컨베이어 모터(M21)에 공급되고 있는 제2 모터 전류값(A2)을 수신한다. (S304)
S304 단계에서 연산된 제2 지연시간(T2) 및 수신된 제2 모터 전류값(A2)을 제2 임계 지연시간(Tth2) 및 제2 임계 전류값(Ath2)과 비교하기 위해서, 제어부(400)는 메모리(430)에 저장된 제2 임계 지연시간(Tth2)과 제2 임계 전류값(Ath2)을 호출하고, 제2 지연시간(T2)이 제2 임계 지연시간(Tth2)을 초과하는지 여부 및 제2 모터 전류값(A2)이 제2 임계 전류값(Ath2)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305)
S305 단계의 판단 결과, 제2 지연시간(T2)이 제2 임계 지연시간(Tth2)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제2 모터 전류값(A2)이 제2 임계 전류값(Ath2)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제어부(400)는 제2 폴딩 레이어(220)에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한다. (S306)
S306 단계에서 제2 폴딩 레이어(220)에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400)는 전술한 S70 단계 이하를 진행한다.
보다 상세히는, 제어부(400)는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제2 컨베이어 모터(M21)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제2 컨베이어 모터(M21)를 정지시키고, 제2 폴딩 레이어(220)에서 의류 뭉침이 발생하였다는 제2 에러 정보를 디스플레이부(600) 및 알람부(700)에 전달하여 제2 에러 정보에 관한 시각적 그리고 음향적 알람을 생성하도록 디스플레이부(600) 및 알람부(70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S303 단계에서 ON-신호를 수신하여 의류(C)가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400)는 전술한 입력부를 통해서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명령 중에 이송된 의류(C)에 대한 세로접기 수행 명령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307)
S307 단계에서 이송된 의류(C)에 대한 세로접기 수행 명령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400)는 S303 단계에서 의류(C)가 도달한 것으로 확인되는 즉시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제2 컨베이어 모터(M21)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제2 컨베이어 모터(M21)를 정지시킨다. (S308)
S308 단계에서 제2 컨베이어 모터(M21)가 정지되면, 제어부(400)는 세로접기 플레이트(2221)를 구동하기 위해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세로접기 모터(M22)에 전류를 공급하여 세로접기 모터(M22)를 작동시킨다. (S309)
S309 단계에서 세로접기 플레이트(2221)가 구동된 후에 제어부(400)는 세로접기 플레이트(2221)가 대기위치로부터 의류(C)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세로접기 폭으로 세로접기가 수행이 완료되었는지, 그리고 세로접기 수행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플레이트 위치센서로부터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출력신호로부터 세로접기 플레이트(2221)가 대기위치로 복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310)
S310 단계에서 세로접기 플레이트(2221)가 대기위치로 복귀된 것이 확인되면, 제어부(400)는 세로접기가 수행된 의류(C)를 제3 폴딩 레이어(230)로 이송하기 위해서 전력변환부(410)를 통해서 제2 컨베이어 모터(M21)에 전류를 공급하여 제2 컨베이어 모터(M21)를 전진 작동시킨다. (S311)
이 경우에 제2 컨베이어(221)로부터 이송되는 의류(C)의 전달 과정에서 지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부(400)는 제2 컨베이어 모터(M21)의 작동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제3 컨베이어 모터(M31)에 각각 전류를 공급하여 제3 컨베이어 모터(M31)를 후진 작동시킬 수 있다.
S311 단계 이후에 제어부(400)는 제2 컨베이어 전단 의류감지센서(SC2)의 신호가 ON-신호로부터 OFF-신호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312)
S312 단계에서 제2 컨베이어 전단 의류감지센서(SC2)의 신호가 ON-신호로부터 OFF-신호로 전환되어 의류(C)의 후단이 제2 컨베이어(221)의 전단을 통과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400)는 전력변환부(410)를 통해서 제2 컨베이어 모터(M21)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제2 컨베이어 모터(M21)를 정지시키고, 제2 폴딩 레이어(220)의 구동을 완료시킨다. (S313)
한편, S307 단계에서 이송된 의류(C)에 대한 세로접기 수행 명령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400)는 의류(C)에 대한 세로접기 과정을 생략하고, 전술한 S313 단계 이하를 진행한다.
다만, 이 경우에 제2 컨베이어 모터(M21)는 전술한 S313 단계의 정지과정을 거치지 않고 계속 전진 작동되며, 의류(C)를 이송받는 제3 폴딩 레이어(230)의 제3 컨베이어 모터(M31)가 후진 작동된다.
이하,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제3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S400)를 설명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S400 단계는 다음과 같은 세부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제어부(400)는 제2 폴딩 레이어(220)의 전방으로부터 전달되는 의류(C)를 후방으로 이송하기 위해서 제3 컨베이어(231)를 후진 구동하도록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제3 컨베이어 모터(M31)에 전류를 공급하여 제3 컨베이어 모터(M31)를 전진 작동시킨다. (S401)
S401 단계에서 제3 컨베이어 모터(M31)의 작동이 개시되면, 제어부(400)는 제3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3)로부터 의류(C)의 선단부가 제3 컨베이어(231)의 후단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출력 신호를 수신한다. (S402)
S402 단계에서 수신된 제3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3)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제어부(400)는 의류(C)의 선단부가 제3 컨베이어(231)의 후단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403) 제어부(400)는 IR 센서인 제3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3)의 출력 신호가 OFF-신호인 경우에는 의류(C)가 아직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3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3)의 출력 신호가 ON-신호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의류(C)가 도달한 것으로 판단한다.
S403 단계에서 OFF-신호를 수신하여 의류(C)가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400)는 S401 단계에서 제3 컨베이어 모터(M31)의 작동이 개시된 이후의 제3 지연시간(T3)을 타이머(440)를 통해 연산하고, 전류감지부(420)로부터 제3 컨베이어 모터(M31)에 공급되고 있는 제3 모터 전류값(A3)을 수신한다. (S404)
S404 단계에서 연산된 제3 지연시간(T3) 및 수신된 제3 모터 전류값(A3)을 제3 임계 지연시간(Tth3) 및 제3 임계 전류값(Ath3)과 비교하기 위해서, 제어부(400)는 메모리(430)에 저장된 제3 임계 지연시간(Tth3)과 제3 임계 전류값(Ath3)을 호출하고, 제3 지연시간(T3)이 제3 임계 지연시간(Tth3)을 초과하는지 여부 및 제3 모터 전류값(A3)이 제3 임계 전류값(Ath3)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405)
S405 단계의 판단 결과, 제3 지연시간(T3)이 제3 임계 지연시간(Tth3)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제3 모터 전류값(A3)이 제3 임계 전류값(Ath3)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제어부(400)는 제3 폴딩 레이어(230)에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한다. (S406)
S406 단계에서 제3 폴딩 레이어(230)에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400)는 전술한 S70 단계 이하를 진행한다.
보다 상세히는, 제어부(400)는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제3 컨베이어 모터(M31)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제3 컨베이어 모터(M31)를 정지시키고, 제3 폴딩 레이어(230)에서 의류 뭉침이 발생하였다는 제3 에러 정보를 디스플레이부(600) 및 알람부(700)에 전달하여 제3 에러 정보에 관한 시각적 그리고 음향적 알람을 생성하도록 디스플레이부(600) 및 알람부(70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S403 단계에서 ON-신호를 수신하여 의류(C)가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400)는 전술한 입력부를 통해서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명령 중에 이송된 의류(C)에 대한 1/2 가로접기 수행 명령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407)
S407 단계에서 1/2 가로접기 수행 명령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400)는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제4 컨베이어(232)를 후진 구동하기 위해 제4 컨베이어 모터(M32)에 전류를 공급하여 제4 컨베이어 모터(M32)를 후진 작동시킨다. (S408)
의류(C)가 제3 폴딩레이어(230)에서 1/2 가로접기 과정을 거치지 않고 제4 폴딩 레이어(240)로 전달된 이후의 단계는 도 22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S407 단계에서 1/2 가로접기 수행 명령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400)는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제4 컨베이어 모터(M32)에 전류를 공급하여 제4 컨베이어 모터(M32)를 후진 작동시킨다. (S408)
S408 단계에서 제4 컨베이어 모터(M32)를 후진 작동시킨 이후에 제어부(400)는 제3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3)의 출력 신호가 ON-신호로부터 OFF-신호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409)
S409 단계에서 출력 신호가 OFF-신호로 전환된 것이 확인되면, 제어부(400)는 제3 컨베이어 모터(M31)와 제4 컨베이어 모터(M32)를 정지시키고, 의류(C)의 선단이 제3 컨베이어(231)의 후단에 도달한 시점(ON-신호 전환시점)부터 의류(C)의 후단이 제3 컨베이어(231)의 후단을 통과한 시점(OFF-신호 전환시점)까지의 의류 통과 시간(Tc)을 타이머(440)를 통해 연산한다. (S410)
S410 단계에서 의류 통과 시간(Tc)이 연산되면, 제어부(400)는 1/2 가로접기의 준비 단계를 진행한다. (S411)
보다 상세히는, 제어부(400)는 연산된 의류 통과 시간(Tc)의 절반 시간(Tc/2) 동안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제3 컨베이어 모터(M31) 및 제4 컨베이어 모터(M32)에 전류를 공급하여 제3 컨베이어 모터(M31) 및 제4 컨베이어 모터(M32)를 전진 작동시킨다. (S4111, S4112)
S4112 단계에서 절반 시간(Tc/2) 동안 제3 컨베이어 모터(M31) 및 제4 컨베이어 모터(M32)가 전진 작동된 후에 제어부(400)는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제3 컨베이어 모터(M31) 및 제4 컨베이어 모터(M32)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제3 컨베이어 모터(M31) 및 제4 컨베이어 모터(M32)를 정지시킨다. (S4113)
이와 같은 단계를 통해 1/2 가로접기의 준비의 준비가 완료되면, 제어부(400)는 의류(C)의 1/2 가로접기 단계(S412)를 수행한다.
보다 상세히는 제어부(400)는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제3 컨베이어(231) 및 제4 컨베이어(232)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가로접기 어셈블리(233)의 제1 폴딩바 구동모터(M33)에 전류를 공급하여 제1 폴딩바(2331)를 구동시킨다. (S4121)
S4121 단계에서 제1 폴딩바(2331)가 구동된 후에 제어부(400)는 제1 폴딩바 위치센서(SFB1)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제1 폴딩바(2331)의 구동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4122)
여기서 제어부(400)는 마이크로 스위치로 구비되는 제1 폴딩바 위치센서(SFB1)의 출력 신호가 OFF-신호로 변환되면 제1 폴딩바(2331)의 구동이 개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출력 신호가 다시 ON-신호로 전환되면 제1 폴딩바(2331)의 구동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S4122 단계에서 제1 폴딩바 위치센서(SFB1)의 출력 신호가 ON-신호로 전환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400)는 제1 폴딩바 구동모터(M33)를 정지시키고, 의류(C)가 1/2 가로접기가 되면서 제1 폴딩 갭(G1)을 통과할 수 있도록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제3 컨베이어 모터(M31) 및 제4 컨베이어 모터(M32)에 전류를 공급하여 제3 컨베이어 모터(M31)를 후진 작동시키고, 제4 컨베이어 모터(M32)를 전진 작동시킨다. (S4122)
S4122 단계 이후에 제어부(400)는 제4 컨베이어 하부 의류감지센서(SC4)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한다. (S413)
S413 단계에서 수신된 제4 컨베이어 하부 의류감지센서(SC4)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제어부(400)는 의류(C)의 후단부가 제4 컨베이어(232)의 후단을 통해 제1 폴딩 갭(G1)을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414) 제어부(400)는 IR 센서인 제4 컨베이어 하부 의류감지센서(SC4)의 출력 신호가 ON-신호인 경우에는 의류(C)가 아직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4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의 출력 신호가 OFF-신호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의류(C)가 통과한 것으로 판단한다.
S414 단계에서 ON-신호를 수신하여 의류(C)가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400)는 S4123 단계에서 제3 컨베이어 모터(M31) 및 제4 컨베이어 모터(M32)의 작동이 개시된 이후의 제4 지연시간(T4)을 타이머(440)를 통해 연산하고, 전류감지부(420)로부터 제3 컨베이어 모터(M31) 및 제4 컨베이어 모터(M32)에 공급되고 있는 제4 모터 전류값(A4)을 수신한다. (S415)
S415 단계에서 연산된 제4 지연시간(T4) 및 수신된 제4 모터 전류값(A4)을 제4 임계 지연시간(Tth4) 및 제4 임계 전류값(Ath4)과 비교하기 위해서, 제어부(400)는 메모리(430)에 저장된 제4 임계 지연시간(Tth4)과 제4 임계 전류값(Ath4)을 호출하고, 제4 지연시간(T4)이 제4 임계 지연시간(Tth4)을 초과하는지 여부 및 제4 모터 전류값(A4)이 제4 임계 전류값(Ath4)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416)
S416 단계에서 판단 결과, 제4 지연시간(T4)이 제4 임계 지연시간(Tth4)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제4 모터 전류값(A4)이 제4 임계 전류값(Ath4)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제어부(400)는 제1 폴딩 갭(G1)에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한다. (S417)
S417 단계에서 제1 폴딩 갭(G1)에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400)는 전술한 S70 단계 이하를 진행한다.
보다 상세히는, 제어부(400)는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제3 컨베이어 모터(M31) 및 제4 컨베이어 모터(M32)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제3 컨베이어 모터(M31) 및 제4 컨베이어 모터(M32)를 정지시키고, 제1 폴딩 갭(G1)에서 의류 뭉침이 발생하였다는 제4 에러 정보를 디스플레이부(600) 및 알람부(700)에 전달하여 제4 에러 정보에 관한 시각적 그리고 음향적 알람을 생성하도록 디스플레이부(600) 및 알람부(70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S414 단계에서 OFF-신호를 수신하여 의류(C)가 제1 폴딩 갭(G1)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400)는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제3 컨베이어 모터(M31) 및 제4 컨베이어 모터(M32)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제3 컨베이어 모터(M31) 및 제4 컨베이어 모터(M32)를 정지시키고, 제3 폴딩 레이어(230)의 구동을 완료시킨다. (S418)
이하,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제4 폴딩 레이어(240)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S500)를 설명한다.
도 22 내지 도 25에 도시된 순서도들은, 제3 폴딩 레이어(230)에서 1/2 가로접기가 수행되지 않은 의류(C)에 대해서 제4 폴딩 레이어(240)에서 1/2 가로접기가 수행되는 단계 및 1/3 가로접기가 2회 수행되는 단계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폴딩 레이어(230)에서 1/2 가로접기가 수행된 의류(C)에 대해서 제4 폴딩 레이어(240)에서 1/2 가로접기가 수행되는 단계 또는 1/3 가로접기가 2회 수행되는 단계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계들은 후술하는 단계들과 유사한 의류 뭉침 판단 기준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500 단계는 다음과 같은 세부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제어부(400)는 제3 폴딩 레이어(230)로부터 이송되는 의류(C)를 전달받고 제4 폴딩 레이어(240)의 전방으로 이송하기 위해서 전력변환부(410)를 통제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에 전류를 공급하여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를 전진 작동시킨다. (S501)
S501 단계에서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의 작동이 개시되면, 제어부(400)는 제7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7)로부터 의류(C)의 선단부가 제7 컨베이어(243)의 후단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출력 신호를 수신한다. (S502)
S502 단계에서 수신된 제7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7)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제어부(400)는 의류(C)의 선단부가 제7 컨베이어(243)의 후단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503) 제어부(400)는 IR 센서인 제7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7)의 출력 신호가 OFF-신호인 경우에는 의류(C)가 아직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7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7)의 출력 신호가 ON-신호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의류(C)가 도달한 것으로 판단한다.
S503 단계에서 OFF-신호를 수신하여 의류(C)가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400)는 S501 단계에서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의 작동이 개시된 이후의 제5 지연시간(T5)을 타이머(440)를 통해 연산하고, 전류감지부(420)로부터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에 공급되고 있는 제5 모터 전류값(A5)을 수신한다. (S504)
S504 단계에서 연산된 제5 지연시간(T5) 및 수신된 제5 모터 전류값(A5)을 제5 임계 지연시간(Tth5) 및 제5 임계 전류값(Ath5)과 비교하기 위해서, 제어부(400)는 메모리(430)에 저장된 제5 임계 지연시간(Tth5)과 제5 임계 전류값(Ath5)을 호출하고, 제5 지연시간(T5)이 제5 임계 지연시간(Tth5)을 초과하는지 여부 및 제5 모터 전류값(A5)이 제5 임계 전류값(Ath5)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505)
S505 단계의 판단 결과, 제5 지연시간(T5)이 제5 임계 지연시간(Tth5)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제5 모터 전류값(A5)이 제5 임계 전류값(Ath5)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제어부(400)는 제4 폴딩 레이어(240)에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한다. (S506)
S506 단계에서 제4 폴딩 레이어(240)에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400)는 전술한 S70 단계 이하를 진행한다.
보다 상세히는, 제어부(400)는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를 정지시키고, 제4 폴딩 레이어(240)에서 의류 뭉침이 발생하였다는 제5 에러 정보를 디스플레이부(600) 및 알람부(700)에 전달하여 제5 에러 정보에 관한 시각적 그리고 음향적 알람을 생성하도록 디스플레이부(600) 및 알람부(70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S503 단계에서 ON-신호를 수신하여 의류(C)가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400)는 제7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SC7)의 출력 신호가 OFF-신호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507)
S507 단계에서 출력 신호가 OFF-신호로 전환된 것이 확인되면, 제어부(400)는 의류(C)의 선단이 제7 컨베이어(243)의 후단에 도달한 시점(ON-신호 전환시점)부터 의류(C)의 후단이 제7 컨베이어(243)의 후단을 통과한 시점(OFF-신호 전환시점)까지의 의류 통과 시간(Tc)을 타이머(440)를 통해 연산한다. (S508)
S410 단계에서 의류 통과 시간(Tc)이 연산되면, 제어부(400)는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를 정지시킨다. (S509)
이후 제어부(400)는 전술한 입력부를 통해서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명령 중에 이송된 의류(C)에 대한 1/2 가로접기 수행 명령이 포함되어 있는지 또는 1/3 가로접기 수행 명령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510)
S510 단계에서 이송된 의류(C)에 대한 1/2 세로접기 수행 명령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400)는 1/2 가로접기의 준비 단계를 진행한다. (S511)
보다 상세히는, 제어부(400)는 연산된 의류 통과 시간(Tc)의 절반 시간(Tc/2) 동안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에 전류를 공급하여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를 후진 작동시킨다. (S5111, S5112)
S5112 단계에서 절반 시간(Tc/2) 동안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가 후진 작동된 후에 제어부(400)는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를 정지시킨다. (S5113)
이와 같은 단계를 통해 1/2 가로접기의 준비의 준비가 완료되면, 제어부(400)는 의류(C)의 1/2 가로접기 단계(S512)를 수행한다.
보다 상세히는 제어부(400)는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제5 컨베이어(241) 및 제6 컨베이어(242)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3 가로접기 어셈블리(245)의 제3 폴딩바 구동모터(M45)에 전류를 공급하여 제3 폴딩바(2451)를 구동시킨다. (S5121)
S5121 단계에서 제3 폴딩바(2451)가 구동된 후에 제어부(400)는 제3 폴딩바 위치센서(SFB3)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제3 폴딩바(2451)의 구동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5122)
여기서 제어부(400)는 마이크로 스위치로 구비되는 제3 폴딩바 위치센서(SFB3)의 출력 신호가 OFF-신호로 변환되면 제3 폴딩바(2451)의 구동이 개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출력 신호가 다시 ON-신호로 전환되면 제3 폴딩바(2451)의 구동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S5122 단계에서 제3 폴딩바 위치센서(SFB3)의 출력 신호가 ON-신호로 전환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400)는 제3 폴딩바 구동모터(M45)를 정지시키고, 의류(C)가 1/2 가로접기가 되면서 제3 폴딩 갭(G3)을 통과할 수 있도록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에 전류를 공급하여 제5 컨베이어 모터(M41) 및 제6 컨베이어 모터(M42)를 전진 작동시키고, 제7 컨베이어 모터(M43)를 후진 작동시킨다. (S5123)
S5123 단계 이후에 제어부(400)는 제6 컨베이어 전방하부 의류감지센서(SC62)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한다. (S513)
S513 단계에서 수신된 제6 컨베이어 전방하부 의류감지센서(SC62)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제어부(400)는 의류(C)의 후단부가 제3 폴딩 갭(G3)을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514) 제어부(400)는 IR 센서인 제6 컨베이어 전방하부 의류감지센서(SC62)의 출력 신호가 ON-신호인 경우에는 의류(C)가 아직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6 컨베이어 전방하부 의류감지센서(SC62)의 출력 신호가 OFF-신호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의류(C)가 통과한 것으로 판단한다.
S514 단계에서 ON-신호를 수신하여 의류(C)가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400)는 S5123 단계에서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의 작동이 개시된 이후의 제6 지연시간(T6)을 타이머(440)를 통해 연산하고, 전류감지부(420)로부터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에 공급되고 있는 제6 모터 전류값(A6)을 수신한다. (S515)
S515 단계에서 연산된 제6 지연시간(T6) 및 수신된 제6 모터 전류값(A6)을 제6 임계 지연시간(Tth6) 및 제6 임계 전류값(Ath6)과 비교하기 위해서, 제어부(400)는 메모리(430)에 저장된 제6 임계 지연시간과 제6 임계 전류값(Ath6)을 호출하고, 제6 지연시간(T6)이 제6 임계 지연시간(Tth6)을 초과하는지 여부 및 제6 모터 전류값(A6)이 제6 임계 전류값(Ath6)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516)
S516 단계에서 판단 결과, 제6 지연시간(T6)이 제6 임계 지연시간(Tth6)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제6 모터 전류값(A6)이 제6 임계 전류값(Ath6)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제어부(400)는 제3 폴딩 갭(G3)에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한다. (S517)
S517 단계에서 제1 폴딩 갭(G1)에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400)는 전술한 S70 단계 이하를 진행한다.
보다 상세히는, 제어부(400)는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를 정지시키고, 제3 폴딩 갭(G3)에서 의류 뭉침이 발생하였다는 제6 에러 정보를 디스플레이부(600) 및 알람부(700)에 전달하여 제6 에러 정보에 관한 시각적 그리고 음향적 알람을 생성하도록 디스플레이부(600) 및 알람부(70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S514 단계에서 OFF-신호를 수신하여 의류(C)가 제3 폴딩 갭(G3)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400)는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를 정지시키고, 제4 폴딩 레이어(240)의 구동을 완료시킨다. (S518)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510 단계에서 이송된 의류(C)에 대한 1/3 세로접기 수행 명령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400)는 1차 1/3 가로접기의 준비 단계를 진행한다. (S519)
보다 상세히는, 제어부(400)는 연산된 의류 통과 시간(Tc)의 2/3 시간(Tc/3*2) 동안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에 전류를 공급하여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를 후진 작동시킨다. (S5191, S5192)
S5192 단계에서 2/3 시간(Tc/3*2) 동안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가 후진 작동된 후에 제어부(400)는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를 정지시킨다. (S5193)
이와 같은 단계를 통해 1차 1/3 가로접기의 준비의 준비가 완료되면, 제어부(400)는 의류(C)의 1차 1/3 가로접기 단계(S520)를 수행한다.
보다 상세히는 제어부(400)는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제5 컨베이어(241) 및 제6 컨베이어(242)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가로접기 어셈블리(244)의 제2 폴딩바 구동모터(M44)에 전류를 공급하여 제2 폴딩바(2441)를 구동시킨다. (S5201)
S5201 단계에서 제2 폴딩바(2441)가 구동된 후에 제어부(400)는 제2 폴딩바 위치센서(SFB2)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제2 폴딩바(2441)의 구동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5202)
여기서 제어부(400)는 마이크로 스위치로 구비되는 제2 폴딩바 위치센서(SFB2)의 출력 신호가 OFF-신호로 변환되면 제2 폴딩바(2441)의 구동이 개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출력 신호가 다시 ON-신호로 전환되면 제2 폴딩바(2441)의 구동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S5202 단계에서 제3 폴딩바 위치센서(SFB3)의 출력 신호가 ON-신호로 전환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400)는 제2 폴딩바 구동모터(M44)를 정지시키고, 의류(C)가 1차 1/3 가로접기가 되면서 제2 폴딩 갭(G2)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에 전류를 공급하여 제5 컨베이어 모터(M41)를 전진 작동시키고,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를 후진 작동시킨다. (S5203)
S5203 단계 이후에 제어부(400)는 제6 컨베이어 후방하부 의류감지센서(SC61)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한다. (S521)
S521 단계에서 수신된 제6 컨베이어 후방하부 의류감지센서(SC61)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제어부(400)는 의류(C)의 선단부가 제2 폴딩 갭(G2)의 하부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522) 제어부(400)는 IR 센서인 제6 컨베이어 후방하부 의류감지센서(SC61)의 출력 신호가 OFF-신호인 경우에는 의류(C)가 아직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6 컨베이어 후방하부 의류감지센서(SC61)의 출력 신호가 ON-신호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의류(C)가 도달한 것으로 판단한다.
S522 단계에서 OFF-신호를 수신하여 의류(C)의 선단부가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400)는 S5203 단계에서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의 작동이 개시된 이후의 제7 지연시간(T7)을 타이머(440)를 통해 연산하고, 전류감지부(420)로부터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에 공급되고 있는 제7 모터 전류값(A7)을 수신한다. (S523)
S523 단계에서 연산된 제7 지연시간(T7) 및 수신된 제7 모터 전류값(A7)을 제7 임계 지연시간(Tth7) 및 제7 임계 전류값(Ath7)과 비교하기 위해서, 제어부(400)는 메모리(430)에 저장된 제7 임계 지연시간(Tth7)과 제7 임계 전류값(Ath7)을 호출하고, 제7 지연시간(T7)이 제7 임계 지연시간(Tth7)을 초과하는지 여부 및 제7 모터 전류값(A7)이 제7 임계 전류값(Ath7)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524)
S523 단계에서 판단 결과, 제7 지연시간(T7)이 제7 임계 지연시간(Tth7)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제7 모터 전류값(A7)이 제7 임계 전류값(Ath7)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제어부(400)는 제2 폴딩 갭(G2)에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한다. (S525)
S525 단계에서 제2 폴딩 갭(G2)에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400)는 전술한 S70 단계 이하를 진행한다.
보다 상세히는, 제어부(400)는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를 정지시키고, 제2 폴딩 갭(G2)에서 의류 뭉침이 발생하였다는 제7 에러 정보를 디스플레이부(600) 및 알람부(700)에 전달하여 제7 에러 정보에 관한 시각적 그리고 음향적 알람을 생성하도록 디스플레이부(600) 및 알람부(70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S522 단계에서 ON-신호를 수신하여 의류(C)의 선단부가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400)는 2차 1/3 가로접기의 준비 단계를 진행한다. (S526)
보다 상세히는, 제어부(400)는 연산된 의류 통과 시간(Tc)의 1/3 시간(Tc/3) 동안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에 전류를 공급하여 제5 컨베이어 모터(M41)를 후진 작동시키고,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를 전진 작동시킨다. (S5261, S5262)
S5262 단계에서 1/3 시간(Tc/3) 동안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가 작동된 후에 제어부(400)는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를 정지시킨다. (S5263)
이와 같은 단계를 통해 2차 1/3 가로접기의 준비의 준비가 완료되면, 제어부(400)는 의류(C)의 2차 1/3 가로접기 단계(S527)를 수행한다.
보다 상세히는 제어부(400)는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제6 컨베이어(242) 및 제7 컨베이어(243)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3 가로접기 어셈블리(245)의 제3 폴딩바 구동모터(M45)에 전류를 공급하여 제3 폴딩바(2451)를 구동시킨다. (S5271)
S5271 단계에서 제3 폴딩바(2451)가 구동된 후에 제어부(400)는 제3 폴딩바 위치센서(SFB3)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제3 폴딩바(2451)의 구동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5272)
여기서 제어부(400)는 마이크로 스위치로 구비되는 제3 폴딩바 위치센서(SFB3)의 출력 신호가 OFF-신호로 변환되면 제3 폴딩바(2451)의 구동이 개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출력 신호가 다시 ON-신호로 전환되면 제3 폴딩바(2451)의 구동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S5272 단계에서 제3 폴딩바 위치센서(SFB3)의 출력 신호가 ON-신호로 전환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400)는 제3 폴딩바 구동모터(M45)를 정지시키고, 의류(C)가 2차 1/3 가로접기가 되면서 제2 폴딩 갭(G2)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에 전류를 공급하여 제5 컨베이어 모터(M41) 및 제6 컨베이어 모터(M42)를 전진 작동시키고, 제7 컨베이어 모터(M43)를 후진 작동시킨다. (S5273)
S5273 단계 이후에 제어부(400)는 제6 컨베이어 전방하부 의류감지센서(SC62)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한다. (S528)
S528 단계에서 수신된 제6 컨베이어 전방하부 의류감지센서(SC62)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제어부(400)는 의류(C)의 후단부가 제3 폴딩 갭(G3)을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529) 제어부(400)는 IR 센서인 제6 컨베이어 전방하부 의류감지센서(SC62)의 출력 신호가 ON-신호인 경우에는 의류(C)가 아직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6 컨베이어 전방하부 의류감지센서(SC62)의 출력 신호가 OFF-신호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의류(C)가 통과한 것으로 판단한다.
S529 단계에서 ON-신호를 수신하여 의류(C)의 후단부가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400)는 S5273 단계에서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의 작동이 개시된 이후의 제8 지연시간(T8)을 타이머(440)를 통해 연산하고, 전류감지부(420)로부터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에 공급되고 있는 제8 모터 전류값(A8)을 수신한다. (S530)
S530 단계에서 연산된 제8 지연시간(T8) 및 수신된 제8 모터 전류값(A8)을 제8 임계 지연시간(Tth8) 및 제8 임계 전류값(Ath8)과 비교하기 위해서, 제어부(400)는 메모리(430)에 저장된 제8 임계 지연시간(Tth8)과 제8 임계 전류값(Ath8)을 호출하고, 제8 지연시간(T8)이 제8 임계 지연시간(Tth8)을 초과하는지 여부 및 제8 모터 전류값(A8)이 제8 임계 전류값(Ath8)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531)
S531 단계에서 판단 결과, 제8 지연시간(T8)이 제8 임계 지연시간(Tth8)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제8 모터 전류값(A8)이 제8 임계 전류값(Ath8)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제어부(400)는 제3 폴딩 갭(G3)에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한다. (S532)
S532 단계에서 제3 폴딩 갭(G3)에 의류(C)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400)는 전술한 S70 단계 이하를 진행한다.
보다 상세히는, 제어부(400)는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를 정지시키고, 제3 폴딩 갭(G3)에서 의류 뭉침이 발생하였다는 제8 에러 정보를 디스플레이부(600) 및 알람부(700)에 전달하여 제8 에러 정보에 관한 시각적 그리고 음향적 알람을 생성하도록 디스플레이부(600) 및 알람부(70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S529 단계에서 OFF-신호를 수신하여 의류(C)가 제3 폴딩 갭(G3)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400)는 전력변환부(410)를 통해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제5 컨베이어 모터(M41), 제6 컨베이어 모터(M42) 및 제7 컨베이어 모터(M43)를 정지시키고, 제4 폴딩 레이어(240)의 구동을 완료시킨다. (S518)
이후 언로딩 레이어(310)에 대한 구동이 개시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의류 폴딩 머신 100: 로딩부
200: 폴딩부 210: 제1 폴딩 레이어
211: 제1 컨베이어 M1: 제1 컨베이어 모터
SC1: 제1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 220: 제2 폴딩 레이어
221: 제2 컨베이어 M21: 제2 컨베이어 모터
222: 세로접기 어셈블리 230: 제3 폴딩 레이어
231: 제3 컨베이어 M31: 제3 컨베이어 모터
SC3: 제3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 232: 제4 컨베이어
M32: 제4 컨베이어 모터 SC4: 제4 컨베이어 하부 의류감지센서
233: 제1 가로접기 어셈블리 240: 제4 폴딩 레이어
241: 제5 컨베이어 M41: 제5 컨베이어 모터
242: 제6 컨베이어 M42: 제6 컨베이어 모터
SC61: 제6 컨베이어 후방하부 의류감지센서
SC62: 제6 컨베이어 전방하부 의류감지센서
243: 제7 컨베이어 M43: 제7 컨베이어 모터
SC7: 제7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 244: 제2 가로접기 어셈블리
245: 제3 가로접기 어셈블리 300: 언로딩부
310: 언로딩 레이어 311: 언로딩 컨베이어
MU: 언로딩 컨베이어 모터

Claims (51)

  1. 적어도 하나의 컨베이어를 통해 의류의 폴딩 기능 또는 상기 의류의 이송 기능을 각각 수행하는 복수의 폴딩 레이어를 구비한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의류의 폴딩 또는 이송을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베이어를 구동하는 컨베이어 모터를 작동시키고, 상기 컨베이어 모터의 작동 개시 이후에 상기 의류가 목표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목표위치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컨베이어 모터의 전류값을 측정하고 상기 컨베이어 모터의 작동 개시 이후의 지연시간을 연산하여, 상기 모터 전류값 또는 상기 지연시간을 기초로 하여 상기 의류의 뭉침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 뭉침 여부 판단 단계는, 상기 지연시간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임계 지연시간을 초과하는 여부 또는 상기 모터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임계 전류값을 초과하는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하였는지를 결정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2. 제1 항에서,
    상기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에서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컨베이어 모터를 정지시키는 컨베이어 모터 정지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폴딩 레이어에서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하였다는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을 생성하는 에러 발생 알람 생성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시각적 정보 또는 음향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3. 제2 항에서,
    상기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복수의 폴딩 레이어 중에서 최상층에 해당하는 제1 폴딩 레이어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1 폴딩 레이어에서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
    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4. 제3 항에서,
    상기 제1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1 폴딩 레이어의 제1 컨베이어 상에 로딩이 완료된 상기 의류를 후방으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제1 컨베이어를 후진 구동하는 제1 컨베이어 모터 후진 작동 단계;
    상기 제1 컨베이어 모터가 후진 작동된 후에 상기 목표위치가 되는 상기 제1 컨베이어의 후단에 상기 의류가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제1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 신호 수신단계; 및
    수신된 상기 제1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의류가 상기 제1 컨베이어의 후단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컨베이어 후단 도달 여부 확인단계;
    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5. 제4 항에서,
    상기 제1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1 컨베이어 후단 도달여부 확인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상기 제1 컨베이어의 후단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컨베이어 모터 후진 작동 단계에서 상기 제1 컨베이어 모터의 작동이 개시된 이후의 제1 지연시간을 연산하고, 전류감지부로부터 상기 제1 컨베이어 모터에 공급되는 제1 전류값을 수신하는 제1 지연시간 연산 및 제1 모터 전류값 수신 단계; 및
    상기 제1 지연시간이 제1 임계 지연시간을 초과하는 여부 및 상기 제1 모터 전류값이 제1 임계 전류값을 초과하는 여부를 판단하는 제1 지연시간 및 제1 모터 전류값 판단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6. 제5 항에서,
    상기 제1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1 지연시간 및 제1 모터 전류값 판단단계에서, 상기 제1 지연시간이 상기 제1 임계 지연시간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1 모터 전류값이 상기 제1 임계 전류값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제1 폴딩 레이어에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제1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7. 제6 항에서,
    상기 컨베이어 모터 정지단계는, 상기 제1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에서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1 컨베이어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1 컨베이어 모터 정지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러 발생 알람 생성단계는, 상기 제1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에서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1 폴딩 레이어에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하였다는 제1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을 생성하는 제1 에러 발생 알람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8. 제3 항에서,
    상기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1 폴딩 레이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폴딩 레이어를 구동하고, 상기 제2 폴딩 레이어에서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
    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9. 제8 항에서,
    제2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1 폴딩 레이어의 후방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의류를 전방으로 이송하기 위해서 상기 제2 폴딩 레이어의 제2 컨베이어를 전진 구동하는 제2 컨베이어 모터 전진 작동 단계;
    상기 제2 컨베이어 모터가 전진 작동된 이후에 상기 목표위치가 되는 상기 제2 컨베이어의 전단에 상기 의류가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제2 컨베이어 전단 의류감지센서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컨베이어 전단 의류감지센서 신호 수신단계; 및
    수신된 상기 제2 컨베이어 전단 의류감지센서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의류가 상기 제2 컨베이어의 전단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컨베이어 전단 도달 여부 확인단계;
    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10. 제9 항에서,
    제2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2 컨베이어 전단 도달여부 확인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상기 제2 컨베이어의 전단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컨베이어 모터 전진 작동 단계에서 상기 제2 컨베이어 모터의 작동이 개시된 이후의 제2 지연시간을 연산하고, 전류감지부로부터 상기 제2 컨베이어 모터에 공급되는 제2 전류값을 수신하는 제2 지연시간 연산 및 제2 모터 전류값 수신 단계; 및
    상기 제2 지연시간이 제2 임계 지연시간을 초과하는 여부 및 상기 제2 모터 전류값이 제2 임계 전류값을 초과하는 여부를 판단하는 제2 지연시간 및 제2 모터 전류값 판단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11. 제10 항에서,
    상기 제2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2 지연시간 및 제2 모터 전류값 판단단계에서 상기 제2 지연시간이 상기 제2 임계 지연시간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2 모터 전류값이 상기 제2 임계 전류값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제2 폴딩 레이어에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제2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12. 제11 항에서,
    상기 컨베이어 모터 정지단계는, 상기 제2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에서 상기 의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2 컨베이어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2 컨베이어 모터 정지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러 발생 알람 생성단계는, 상기 제2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에서 상기 의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2 폴딩 레이어에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하였다는 제2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을 생성하는 제2 에러 발생 알람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13. 제3 항에서,
    상기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2 폴딩 레이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3 폴딩 레이어를 구동하고, 상기 제3 폴딩 레이어에서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
    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14. 제13 항에서,
    제3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2 컨베이어의 전방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의류를 후방으로 이송하기 위해서 상기 제3 폴딩 레이어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3 컨베이어를 후진 구동하는 제3 컨베이어 모터 후진 작동 단계;
    상기 제3 컨베이어 모터가 후진 작동된 후에 상기 목표위치가 되는 상기 제3 컨베이어의 후단에 상기 의류가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제3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3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 신호 수신단계; 및
    수신된 상기 제3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의류가 상기 제3 컨베이어의 후단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 컨베이어 후단 도달 여부 확인단계;
    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15. 제14 항에서,
    제3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3 컨베이어 후단 도달여부 확인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상기 제3 컨베이어의 후단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3 컨베이어 모터 후진 작동 단계에서 상기 제3 컨베이어 모터의 작동이 개시된 이후의 제3 지연시간을 연산하고, 전류감지부로부터 상기 제3 컨베이어 모터에 공급되는 제3 전류값을 수신하는 제3 지연시간 연산 및 제3 모터 전류값 수신 단계; 및
    상기 제3 지연시간이 제3 임계 지연시간을 초과하는 여부 및 상기 제3 모터 전류값이 제3 임계 전류값을 초과하는 여부를 판단하는 제3 지연시간 및 제3 모터 전류값 판단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16. 제15 항에서,
    상기 제3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3 지연시간 및 제3 모터 전류값 판단단계에서, 상기 제3 지연시간이 상기 제3 임계 지연시간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3 모터 전류값이 상기 제3 임계 전류값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제3 컨베이어에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제3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17. 제16 항에서,
    상기 컨베이어 모터 정지단계는, 상기 제3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에서 상기 의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3 컨베이어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3 컨베이어 모터 정지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러 발생 알람 생성단계는, 상기 제3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에서 상기 의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3 폴딩 레이어의 상기 제3 컨베이어에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하였다는 제3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을 생성하는 제3 에러 발생 알람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18. 제14 항에서,
    상기 제3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3 컨베이어 후단 도달 여부 확인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상기 제3 컨베이어의 후단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의류가 1/2 가로접기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1/2 가로접기 여부 확인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19. 제18 항에서,
    상기 제3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1/2 가로접기 여부 확인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1/2 가로접기 대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3 컨베이어보다 후방에 소정의 제1 폴딩 갭을 갖도록 상기 제3 컨베이어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4 컨베이어를 후진 구동하는 제4 컨베이어 모터 후진 작동 단계;
    상기 제4 컨베이어 모터 후진 작동단계에서 상기 제4 컨베이어 모터가 후진 작동된 후에 상기 제3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의류가 상기 제3 컨베이어의 후단을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 컨베이어 후단 통과 여부 확인단계;
    상기 제3 컨베이어 후단 통과 여부 확인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상기 제3 컨베이어의 후단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3 컨베이어 모터 및 상기 제4 컨베이어 모터를 정지시키고 상기 의류가 상기 제3 컨베이어의 후단에 도달한 시점으로부터 통과한 시점까지 경과된 통과 시간을 연산하는 의류 통과 시간 연산단계;
    상기 의류 통과 시간 연산단계에서 연산된 의류 통과 시간의 절반 시간 동안 상기 제3 컨베이어 모터 및 상기 제4 컨베이어 모터를 후진 작동시킨 후에 상기 제3 컨베이어 모터 및 상기 제4 컨베이어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3 폴딩 레이어 1/2 가로접기 준비단계; 및
    상기 제3 폴딩 레이어 1/2 가로접기 준비단계 이후에 상기 제1 폴딩 갭으로 상기 의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어넣고 상기 제3 컨베이어 모터를 후진 작동하고 상기 제4 컨베이어 모터를 전진 작동시키는 제3 폴딩 레이어 1/2 가로접기 수행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20. 제19 항에서,
    상기 제3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3 폴딩 레이어 1/2 가로접기 수행단계에서 상기 제3 컨베이어 모터가 후진 작동되고 상기 제4 컨베이어 모터가 전진 작동된 후에 상기 목표위치가 되는 상기 제4 컨베이어의 전단 하부에 상기 제1 폴딩 갭을 통하여 상기 의류가 통과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제3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4 컨베이어 전단 하부 의류감지센서 신호 수신단계; 및
    수신된 상기 제4 컨베이어 전단 하부 의류감지센서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의류가 상기 제1 폴딩 갭을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폴딩 갭 통과 여부 확인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21. 제20 항에서,
    상기 제3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1 폴딩 갭 통과 여부 확인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상기 제1 폴딩 갭을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3 폴딩 레이어 1/2 가로접기 수행단계에서 상기 제3 컨베이어 모터 및 상기 제4 컨베이어 모터의 작동이 개시된 이후의 제4 지연시간을 연산하고, 전류감지부로부터 상기 제3 컨베이어 모터 및 상기 제4 컨베이어 모터에 공급되는 제4 전류값을 수신하는 제4 지연시간 연산 및 제4 모터 전류값 수신 단계; 및
    상기 제4 지연시간이 제4 임계 지연시간을 초과하는 여부 및 상기 제4 모터 전류값이 제4 임계 전류값을 초과하는 여부를 판단하는 제4 지연시간 및 제4 모터 전류값 판단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22. 제21 항에서,
    상기 제3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4 지연시간 및 제4 모터 전류값 판단단계에서 상기 제4 지연시간이 상기 제4 임계 지연시간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4 모터 전류값이 상기 제4 임계 전류값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제3 폴딩 레이어의 상기 제1 폴딩 갭에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제4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23. 제22 항에서,
    상기 컨베이어 모터 정지단계는, 상기 제4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에서 상기 제1 폴딩 갭에 상기 의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3 컨베이어 모터 및 제4 컨베이어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3 컨베이어 모터 및 제4 컨베이어 모터 정지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러 발생 알람 생성단계는, 상기 제4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에서 상기 제1 폴딩 갭에 상기 의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1 폴딩 갭에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하였다는 제4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을 생성하는 제4 에러 발생 알람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24. 제23 항에서,
    상기 제4 임계 지연시간은 상기 제3 임계 지연시간보다 더 작고, 상기 제4 임계 전류값은 상기 제3 임계 전류값과 동일하게 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25. 제24 항에서,
    상기 제4 임계 지연시간은 상기 제3 임계 지연시간의 절반이 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26. 제3 항에서,
    상기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3 폴딩 레이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4 폴딩 레이어를 구동하고, 상기 제4 폴딩 레이어에서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4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
    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27. 제26 항에서,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2 폴딩 레이어의 제3 컨베이어 및 제4 컨베이어를 거쳐 상기 제4 컨베이어의 후방을 통해 전달된 상기 의류를 전방으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제4 폴딩 레이어에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5 컨베이어, 제6 컨베이어 및 제7 컨베이어를 전진 구동하는 제5, 6, 7 컨베이어 모터 전진 작동 단계;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가 전진 작동된 후에 상기 목표위치가 되는 상기 제7 컨베이어의 후단에 상기 의류가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제7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7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 신호 수신단계; 및
    수신된 상기 제7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의류가 상기 제7 컨베이어의 후단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7 컨베이어 후단 도달 여부 확인단계;
    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28. 제27 항에서,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7 컨베이어 후단 도달여부 확인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상기 제7 컨베이어의 후단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 전진 작동 단계에서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의 작동이 개시된 이후의 제5 지연시간을 연산하고, 전류감지부로부터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에 공급되는 제5 전류값을 수신하는 제5 지연시간 연산 및 제5 모터 전류값 수신 단계; 및
    상기 제5 지연시간이 제5 임계 지연시간을 초과하는 여부 및 상기 제5 모터 전류값이 제5 임계 전류값을 초과하는 여부를 판단하는 제5 지연시간 및 제5 모터 전류값 판단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29. 제28 항에서,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5 지연시간 및 제5 모터 전류값 판단단계에서, 상기 제5 지연시간이 상기 제5 임계 지연시간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5 모터 전류값이 상기 제5 임계 전류값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제4 폴딩 레이어에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제5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30. 제29 항에서,
    상기 컨베이어 모터 정지단계는, 상기 제5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에서 상기 의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5, 6, 7 컨베이어 모터 정지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러 발생 알람 생성단계는, 상기 제5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에서 상기 의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4 폴딩 레이어에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하였다는 제5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을 생성하는 제5 에러 발생 알람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31. 제27 항에서,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7 컨베이어 후단 도달 여부 확인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상기 제7 컨베이어의 후단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7 컨베이어 후단 의류감지센서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의류가 상기 제7 컨베이어의 후단을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7 컨베이어 후단 통과 여부 확인단계;
    상기 제7 컨베이어 후단 통과 여부 확인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상기 제7 컨베이어의 후단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를 정지시키고 상기 의류가 상기 제7 컨베이어의 후단에 도달한 시점으로부터 통과한 시점까지 경과된 통과 시간을 연산하는 의류 통과 시간 연산단계; 및
    상기 의류 통과 시간 연산단계에서 상기 통과 시간이 연산되면, 상기 의류가 1/2 가로접기 대상인지 1/3 가로접기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4 폴딩 레이어 가로접기 모드 확인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32. 제31 항에서,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가로접기 모드 확인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1/2 가로접기 대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의류 통과 시간 연산단계에서 연산된 의류 통과 시간의 절반 시간 동안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를 후진 작동시킨 후에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4 폴딩 레이어 1/2 가로접기 준비단계; 및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1/2 가로접기 준비단계 이후에 상기 제6 컨베이어와 상기 제7 컨베이어 사이에 형성되는 제3 폴딩 갭으로 상기 의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어넣고 상기 제5, 6 컨베이어 모터를 전진 작동하고 상기 제7 컨베이어 모터를 후진 작동시키는 제4 폴딩 레이어 1/2 가로접기 수행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33. 제32 항에서,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4 폴딩레이어 1/2 가로접기 수행단계에서 상기 제5, 6 컨베이어 모터가 전진 작동되고 상기 제7 컨베이어 모터가 후진 작동된 후에 상기 목표위치가 되는 상기 제6 컨베이어의 전방 하부에 상기 제3 폴딩 갭을 통하여 상기 의류가 통과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제6 컨베이어 전방하부 의류감지센서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6 컨베이어 전방하부 의류감지센서 신호 수신단계; 및
    수신된 제6 컨베이어 전방하부 의류감지센서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의류가 상기 제3 폴딩 갭을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폴딩 갭 통과 여부 확인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34. 제33 항에서,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2 폴딩 갭 통과 여부 확인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상기 제3 폴딩 갭을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1/2 가로접기 수행단계에서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의 작동이 개시된 이후의 제6 지연시간을 연산하고, 전류감지부로부터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에 공급되는 제6 전류값을 수신하는 제6 지연시간 연산 및 제6 모터 전류값 수신 단계; 및
    상기 제6 지연시간이 제6 임계 지연시간을 초과하는 여부 및 상기 제6 모터 전류값이 제6 임계 전류값을 초과하는 여부를 판단하는 제6 지연시간 및 제6 모터 전류값 판단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35. 제34 항에서,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6 지연시간 및 제6 모터 전류값 판단단계에서, 상기 제6 지연시간이 상기 제6 임계 지연시간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6 모터 전류값이 상기 제6 임계 전류값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제4 폴딩 레이어의 상기 제3 폴딩 갭에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제6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36. 제35 항에서,
    상기 컨베이어 모터 정지단계는, 상기 제6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에서 상기 제3 폴딩 갭에 상기 의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5, 6, 7 컨베이어 모터 정지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러 발생 알람 생성단계는, 상기 제6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에서 상기 제3 폴딩 갭에 상기 의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3 폴딩 갭에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하였다는 제6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을 생성하는 제6 에러 발생 알람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37. 제36 항에서,
    상기 제6 임계 지연시간은 상기 제5 임계 지연시간보다 더 작고, 상기 제6 임계 전류값은 상기 제5 임계 전류값과 동일하게 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38. 제37 항에서,
    상기 제6 임계 지연시간은 상기 제5 임계 지연시간의 절반이 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39. 제31 항에서,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가로접기 모드 확인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1/3 가로접기 대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의류 통과 시간 연산단계에서 연산된 의류 통과 시간의 2/3배가 되는 시간 동안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를 후진 작동시킨 후에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1 1/3 가로접기 준비단계;
    상기 제1 1/3 가로접기 준비단계 이후에 상기 제5 컨베이어와 상기 제6 컨베이어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폴딩 갭으로 상기 의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어넣고 상기 제5 컨베이어 모터를 전진 작동하고 상기 제6, 7 컨베이어 모터를 후진 작동시키는 제1 1/3 가로접기 수행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40. 제39 항에서,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1 1/3 가로접기 수행단계에서 상기 제5 컨베이어 모터가 전진 작동되고 상기 제6, 7 컨베이어 모터가 후진 작동된 후에 상기 목표위치가 되는 상기 제2 폴딩 갭의 하부에 상기 의류가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제6 컨베이어 후방하부 의류감지센서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6 컨베이어 후방하부 의류감지센서 신호 수신단계; 및
    수신된 상기 제6 컨베이어 후방하부 의류감지센서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의류가 상기 제2 폴딩 갭의 하부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폴딩 갭 하부 도달 여부 확인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41. 제40 항에서,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2 폴딩 갭 도달 여부 확인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상기 제2 폴딩 갭의 하부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1/3 가로접기 수행단계에서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의 작동이 개시된 이후의 제7 지연시간을 연산하고, 전류감지부로부터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에 공급되는 제7 전류값을 수신하는 제7 지연시간 연산 및 제7 모터 전류값 수신 단계; 및
    상기 제7 지연시간이 제7 임계 지연시간을 초과하는 여부 및 상기 제7 모터 전류값이 제7 임계 전류값을 초과하는 여부를 판단하는 제7 지연시간 및 제7 모터 전류값 판단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42. 제41 항에서,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7 지연시간 및 제7 모터 전류값 판단단계에서 상기 제7 지연시간이 상기 제7 임계 지연시간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7 모터 전류값이 상기 제7 임계 전류값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제4 폴딩 레이어의 상기 제2 폴딩 갭에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제7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43. 제42 항에서,
    상기 컨베이어 모터 정지단계는, 상기 제7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에서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5, 6, 7 컨베이어 모터 정지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러 발생 알람 생성단계는, 상기 제7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에서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4 폴딩 레이어의 상기 제2 폴딩 갭에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하였다는 제7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을 생성하는 제7 에러 발생 알람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44. 제43 항에서,
    상기 제7 임계 지연시간은 상기 제5 임계 지연시간과 동일하고, 상기 제7 임계 전류값은 상기 제5 임계 전류값과 동일하게 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45. 제40 항에서,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2 폴딩 갭 하부 도달 여부 확인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상기 제2 폴딩 갭의 하부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의류 통과 시간 연산단계에서 연산된 의류 통과 시간의 1/3배가 되는 시간 동안 상기 제5 컨베이어 모터를 후진 작동시키고, 제 6, 7 컨베이어 모터를 전진 작동시킨 후에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2 1/3 가로접기 준비단계;
    상기 제2 1/3 가로접기 준비단계 이후에 상기 제6 컨베이어와 상기 제7 컨베이어 사이에 형성되는 제3 폴딩 갭으로 상기 의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어넣고 상기 제5, 6 컨베이어 모터를 전진 작동하고 상기 제7 컨베이어 모터를 후진 작동시키는 제2 1/3 가로접기 수행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46. 제45 항에서,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2 1/3 가로접기 수행단계에서 상기 제5, 6 컨베이어 모터가 전진 작동되고 상기 제7 컨베이어 모터가 후진 작동된 후에 상기 목표위치가 되는 상기 제3 폴딩 갭의 하부를 상기 의류가 통과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제6 컨베이어 전방하부 의류감지센서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6 컨베이어 전방하부 의류감지센서 신호 수신단계; 및
    수신된 상기 제6 컨베이어 후방하부 의류감지센서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의류가 상기 제3 폴딩 갭을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 폴딩 갭 통과 여부 확인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47. 제46 항에서,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3 폴딩 갭 통과 여부 확인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상기 제3 폴딩 갭을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1/3 가로접기 수행단계에서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의 작동이 개시된 이후의 제8 지연시간을 연산하고, 전류감지부로부터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에 공급되는 제8 전류값을 수신하는 제8 지연시간 연산 및 제8 모터 전류값 수신 단계; 및
    상기 제8 지연시간이 제8 임계 지연시간을 초과하는 여부 및 상기 제8 모터 전류값이 제8 임계 전류값을 초과하는 여부를 판단하는 제8 지연시간 및 제8 모터 전류값 판단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48. 제47 항에서,
    상기 제4 폴딩 레이어 구동 및 의류 뭉침 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8 지연시간 및 제8 모터 전류값 판단단계에서 상기 제8 지연시간이 상기 제8 임계 지연시간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8 모터 전류값이 상기 제8 임계 전류값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제4 폴딩 레이어의 상기 제3 폴딩 갭에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제8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49. 제48 항에서,
    상기 컨베이어 모터 정지단계는, 상기 제8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에서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5, 6, 7 컨베이어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5, 6, 7 컨베이어 모터 정지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러 발생 알람 생성단계는, 상기 제8 의류 뭉침 발생 결정단계에서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3 폴딩 갭에 상기 의류의 뭉침이 발생하였다는 제8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을 생성하는 제8 에러 발생 알람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50. 제49 항에서,
    상기 제8 임계 지연시간은 상기 제5 임계 지연시간보다 더 작고, 상기 제8 임계 전류값은 상기 제5 임계 전류값과 동일하게 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51. 제50 항에서,
    상기 제8 임계 지연시간은 상기 제5 임계 지연시간의 1/3배가 되는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KR1020200063454A 2020-05-27 2020-05-27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KR2021014654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454A KR20210146549A (ko) 2020-05-27 2020-05-27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PCT/KR2021/006404 WO2021241954A1 (ko) 2020-05-27 2021-05-24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US17/332,586 US11739474B2 (en) 2020-05-27 2021-05-27 Method of controlling garment fold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454A KR20210146549A (ko) 2020-05-27 2020-05-27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549A true KR20210146549A (ko) 2021-12-06

Family

ID=78705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454A KR20210146549A (ko) 2020-05-27 2020-05-27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39474B2 (ko)
KR (1) KR20210146549A (ko)
WO (1) WO202124195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2841A (ko) 2017-05-04 2018-11-14 조동환 지열관 연결구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05769C (en) * 1991-03-27 1995-03-21 Kasimir Kober Folder construction
JPH10128000A (ja) * 1996-10-31 1998-05-19 Tokai:Kk 布類の折畳み装置
JP6416009B2 (ja) * 2015-02-16 2018-10-31 株式会社プレックス 布片折畳み装置、およびランドリー設備
ES2939409T3 (es) * 2017-08-25 2023-04-21 Miele & Cie Máquina plegadora compacta doméstica de artículos con transportadores de sujeción
KR20200013983A (ko) * 2018-07-31 2020-02-10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복수 구간들에서 측정된 모터전류 크기들에 기초한 화성형성 장치의 잼 감지
KR20200028826A (ko) * 2018-09-07 2020-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077452B1 (ko) * 2018-11-09 2020-02-14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자동 의류 접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2841A (ko) 2017-05-04 2018-11-14 조동환 지열관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41954A1 (ko) 2021-12-02
US20210372035A1 (en) 2021-12-02
US11739474B2 (en) 202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sta et al. How to solve quality problems by advanced fully-automated manufacturing systems
US10138074B2 (en) Grouping of goods
CN107265130B (zh) 灌装机的料箱自动输送堆垛装置
CN205733236U (zh) 板材剪切装置
EP3636824B1 (en) Cloth spreading apparatus
CN106541483B (zh) 一种木托盘生产线及木托盘的生产工艺
CN205418230U (zh) 一种无芯纸卷压扁装袋自动化装置
ITTO960736A1 (it) Dispositivo e procedimento per la cucitura di maniche su corpi camicia
KR20210146549A (ko)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CN104553056B (zh) 二合一塑料编织袋塞缝机
KR20220032171A (ko) 의류 폴딩 머신 및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KR20210145469A (ko) 의류 폴딩 머신 및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CN108983566A (zh) 图像形成装置
CN109969441A (zh) 雷管自动装盒机
US11285450B2 (en) Method for charging an extruder
CN102633151B (zh) 图像形成装置
JP2012006704A (ja) 錠剤緩衝シュート
KR20210145537A (ko) 의류 폴딩 머신 및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KR20210145468A (ko)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JP4184643B2 (ja) 用紙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CN104903074B (zh) 接合设备、用于通过接合设备来制造产品的方法以及由此制造的产品
JP7064963B2 (ja) 布類展開装置
CN109180404A (zh) 雷管加强帽全自动上模设备
IT201800000639A1 (it) Sistema di trasporto per un impianto di produzione di oggetti imbottiti, ed impianto comprendente detto sistema di trasporto.
CN202362154U (zh) 轮胎检测机自动识别双向进料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