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6526A - 관찰각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금속 질감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관찰각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금속 질감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6526A
KR20210146526A KR1020200063402A KR20200063402A KR20210146526A KR 20210146526 A KR20210146526 A KR 20210146526A KR 1020200063402 A KR1020200063402 A KR 1020200063402A KR 20200063402 A KR20200063402 A KR 20200063402A KR 20210146526 A KR20210146526 A KR 20210146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arl pigment
pearl
hologram
pigment
flo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영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200063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6526A/ko
Publication of KR20210146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5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015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0Sympathetic, colour changing or similar 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층, 인쇄층, 펄인쇄층 및 표면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 인쇄층, 펄인쇄층 및 표면필름층은 바닥면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순차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펄인쇄층은 펄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펄안료는 메탈릭펄안료 및/또는 홀로그램펄안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질감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관찰각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금속 질감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METAL-LIKE FLOORING MATERIAL COLORCHANGABLE BY OBSERVATION ANGL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관찰각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금속 질감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관찰자의 시각에 따라 상이한 색상이 관찰되는 금속 질감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조색기술의 발달과 함께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색감과 미감에 대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미감이 구현된 디자인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 중, 디자인적 요소에 큰 영향을 받는 벽지, 바닥재, 천장마감재 등과 같은 같은 내장재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과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바닥재의 경우, 소비자의 니즈를 만족시키기 위해, 주로 색감과 패턴을 다양하게 구현한 바닥재가 개발되어 왔으나, 최근 동향에 맞추어, 색감을 뛰어넘는 특이하고 신비로운 질감의 바닥재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바닥재의 경우, 디자인적 요소만이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밟거나 물건을 거치하는 등의 실질적인 마찰과 사용이 동반되므로, 바닥재로서의 요구 기능을 만족하면서도, 미감을 향상시켜야 하는 제한이 있었다. 더욱이, 바닥재로서의 요구기능을 만족하면서도 자연스러운 질감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단가가 비싼 소재를 사용하여야 하는 등의 제한이 있었는 바, 소재를 크게 변경하지 않음으로써 바닥재의 기본기능을 만족시키면서도, 바닥재의 디자인을 보다 자연스럽고, 뛰어난 미감을 구현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에, 나무질감 바닥재, 금속질감 바닥재, 대리석질감 바닥재와 같이, 실제 소재는 수지를 이용한 바닥재층으로 구성하고 이의 표면에 자연스러운 디자인의 패턴과 색감을 부여하여 바닥재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패턴과 색감만으로 나무질감, 금속질감 등을 구현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는 바, 특히, 금속 질감 바닥재의 경우에는, 더욱 자연스러운 금속 질감을 구현하기 위해, 금속 파우더, 금속 펄과 같은 소재를 과량으로 사용해야 했으며, 해당 재료는 고가여서, 바닥재의 단가를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금속파우더, 금속펄의 경우, 바닥재의 인쇄층에 이를 인쇄할 때 일정량 이상으로 과다하게 사용되면, 층간 박리가 나타나는 문제가 있었는 바, 내구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2227호는 다양한 입체질감과 인쇄무늬가 어우러진 바닥장식재에 관한 것으로서, 금속질감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펄안료, 홀로그램, 금속 파우더를 조합한 처리제를 사용한 금속질감보조층과 금속질감처리층을 포함하는 바닥장식재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그라비아 인쇄기를 이용하여 일반컬러잉크를 도수 인쇄하고, 메탈릭펄안료와 홀로그램펄안료를 복합 2도 인쇄함으로써, 바닥재층의 박리를 방지하면서도, 심미감이 향상된 금속 질감 바닥재에 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8613호는 금속상감 효과를 가진 바닥장식재에 관한 것으로서, 금속잉크 또는 펄잉크를 이용하여 전사인쇄 방식으로 금속 패턴을 부여한 인쇄층을 포함하고, 그라비아 잉크에 홀로그램펄안료, 펄안료 등을 포함할 수 있는 바닥장식재를 개시하고 있으나, 그라비아 인쇄기를 이용하여 일반컬러잉크를 도수 인쇄하고, 메탈릭펄안료와 홀로그램펄안료를 복합 2도 인쇄함으로써, 바닥재층의 박리를 방지하면서도, 심미감이 향상된 금속 질감 바닥재에 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수많은 실험과 반복을 거듭한 끝에, 고가의 메탈릭펄을 과량으로 사용하지 않고도 자연스러운 금속 질감을 구현할 수 있어,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펄인쇄층의 박리가 일어나지 않으면서도, 심미감이 향상된 효과를 가지는 금속 질감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222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8613호
본 발명은 금속 질감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그라비아 인쇄기를 이용하여 메탈릭펄안료와 홀로그램펄안료를 복합 2도 인쇄함으로써, 자연스러운 금속 질감이 구현된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바닥재의 심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관찰자가 바닥재를 관찰하는 각도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관찰되는 효과를 가지는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메탈릭펄안료를 과량으로 사용하지 않고도 자연스러운 금속 질감을 구현할 수 있어, 펄인쇄층의 박리현상이 방지되는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질감 바닥재는, 기재층, 인쇄층, 펄인쇄층 및 표면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 인쇄층, 펄인쇄층 및 표면필름층은 바닥면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순차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펄인쇄층은 펄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펄안료는 메탈릭펄안료 및/또는 홀로그램펄안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펄안료는 상기 펄인쇄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6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펄안료는 메탈릭펄안료 및 홀로그램펄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메탈릭펄안료와 상기 홀로그램펄안료는 1:0.1 내지 2의 중량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탈릭펄안료는 골드펄안료(Gold pearl pigment), 실버펄안료(Silver pearl pigment), 코퍼펄안료(Copper pearl pigment)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상기 홀로그램펄안료는 레드홀로그램펄안료, 오렌지홀로그램펄안료, 옐로우홀로그램펄안료, 그린홀로그램펄안료, 블루홀로그램펄안료, 퍼플홀로그램펄안료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홀로그램펄안료는 레드홀로그램펄안료, 오렌지홀로그램펄안료, 옐로우홀로그램펄안료, 그린홀로그램펄안료, 블루홀로그램펄안료, 퍼플홀로그램펄안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홀로그램펄안료는 제1홀로그램펄안료 및 제2홀로그램펄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홀로그램펄안료 및 상기 제2홀로그램펄안료는 각각 독립적으로 레드홀로그램펄안료, 오렌지홀로그램펄안료, 옐로우홀로그램펄안료, 그린홀로그램펄안료, 블루홀로그램펄안료, 퍼플홀로그램펄안료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고, 제1홀로그램펄안료 및 제2홀로그램펄안료는 1:0.1 내지 2의 중량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질감 바닥재는, 상기 금속 질감 바닥재의 면에 포함되는 임의의 점으로부터 관찰자의 위치, 관찰자의 시점을 연결한 가상의 삼각형을 기준으로 임의의 점과 관찰자의 시점이 이루는 각도가 10 내지 90°만큼 변화하면 상기 금속 질감 바닥재의 색상이 제1홀로그램펄안료 또는 제2홀로그램펄안료의 색상으로 관찰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펄인쇄층은 펄안료와 수지를 혼합한 펄잉크를 인쇄하여 형성된 것이고, 상기 수지는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질감 바닥재의 제조방법으로서, a) 기재층의 표면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형성된 인쇄층의 표면에 펄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형성된 펄인쇄층의 표면에 표면필름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은 컬러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펄인쇄층은 펄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펄안료는 메탈릭펄안료 및/또는 홀로그램펄안료를 포함하는 금속 질감 바닥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펄안료는 메탈릭펄안료 및 홀로그램펄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메탈릭펄안료와 상기 홀로그램펄안료는 1:0.1 내지 2의 중량비율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탈릭펄안료는 골드펄안료, 실버펄안료, 코퍼펄안료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상기 홀로그램펄안료는 레드홀로그램펄안료, 오렌지홀로그램펄안료, 옐로우홀로그램펄안료, 그린홀로그램펄안료, 블루홀로그램펄안료, 퍼플홀로그램펄안료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홀로그램펄안료는 제1홀로그램펄안료 및 제2홀로그램펄안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홀로그램펄안료 및 상기 제2홀로그램펄안료는 각각 독립적으로 레드홀로그램펄안료, 오렌지홀로그램펄안료, 옐로우홀로그램펄안료, 그린홀로그램펄안료, 블루홀로그램펄안료, 퍼플홀로그램펄안료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고, 제1홀로그램펄안료 및 제2홀로그램펄안료는 1:0.1 내지 2의 중량비율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와 상기 b) 단계는 그라비아 인쇄기로 컬러안료와 펄안료를 순차 인쇄하는 것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펄안료는 메탈릭펄안료 및 홀로그램펄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메탈릭펄안료 및 홀로그램펄안료는 그라비아 인쇄기로 순차 인쇄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 질감 바닥재는,
상기 금속 질감 바닥재의 면에 포함되는 임의의 점으로부터 관찰자의 위치, 관찰자의 시점을 연결한 가상의 삼각형을 기준으로 임의의 점과 관찰자의 시점이 이루는 각도가 10 내지 90°만큼 변화하면 상기 금속 질감 바닥재의 색상이 제1홀로그램펄안료 또는 제2홀로그램펄안료의 색상으로 관찰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고가의 메탈릭펄안료를 과량으로 사용하지 않고도 자연스러운 금속 질감을 구현할 수 있어, 금속 질감 바닥재의 제조단가가 절감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또한, 관찰자의 관찰각도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관찰되는 효과를 가져 금속 질감 바닥재의 심미감이 향상된 효과를 가진다.
종래 금속 질감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 메탈릭펄안료를 다량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펄인쇄층을 박리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자연스러운 금속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질감 바닥재의 관찰각도 변화에 따른 관찰색상이 변화하는 효과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다음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질감 바닥재는 기재층, 인쇄층, 펄인쇄층 및 표면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 인쇄층, 펄인쇄층 및 표면필름층은 바닥면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순차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펄인쇄층은 펄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펄안료는 메탈릭펄안료 및/또는 홀로그램펄안료를 포함한다.
상기 기재층은 바닥재로 기능하기 위한 것이며, 이의 상단에 심미감을 부여하기 위한 인쇄층 등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재층은 인쇄층을 지지하고, 바닥재로 기능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고, 바닥재의 형태와 특성에 따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바닥재는 시트형, 소위 장판이라고 불리우는 형태의 바닥재가 있으며, 타일형 바닥재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바닥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기재층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구체적으로, PET 수지, PVC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바닥재로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특성을 만족하는 것이면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는 인쇄층이 적층된다. 상기 인쇄층은 바닥재에 컬러감을 주어 심미감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컬러잉크를 일정한 패턴으로 또는 전면에 인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컬러잉크는 그라비아 인쇄방식을 이용하여 도수 인쇄할 수 있다. 상기 컬러잉크는, CMYK 잉크를 이용하여, 다양한 색감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바닥재의 표면에 자연스러운 금속 질감을 구현하기 위해, 인쇄층의 표면에 펄안료를 포함하는 펄인쇄층을 적층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펄인쇄층은 펄안료를 포함하며, 컬러잉크를 인쇄한 인쇄층의 표면에 인쇄하되, 그라비아 인쇄기를 이용하여 컬러잉크와 펄안료를 도수인쇄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펄안료는 메탈릭펄안료 및/또는 홀로그램펄안료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메탈릭펄안료 및 홀로그램펄안료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금속 질감 바닥재의 자연스러운 금속 질감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메탈릭펄안료를 사용하는데, 자연스러운 금속 질감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메탈릭펄안료를 많은 양을 사용해야 하며, 메탈릭펄안료는 그 단가가 높아 자연스러운 금속 질감이 구현된 금속 질감 바닥재는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메탈릭펄안료는 많이 사용하는 경우, 바닥재의 층간 박리가 나타나는 문제가 있어 메탈릭펄안료의 사용량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금속 질감 바닥재에 메탈릭펄안료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신비로운 미감을 형성하는 효과를 가지는 금속 질감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펄인쇄층을 형성할 때, 메탈릭펄안료와 함께 홀로그램펄안료를 함께 사용하여 펄인쇄층을 형성함으로써, 자연스러운 금속 질감을 구현하면서도, 관찰자의 관찰각도에 따라 다른 색감으로 관찰되는 신비한 미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펄인쇄층을 형성하는 메탈릭펄안료와 홀로그램펄안료는 혼합하여 사용하지 않고, 그라비아 인쇄방법을 이용하여, 도수인쇄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메탈릭펄안료와 홀로그램펄안료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메탈릭 안료와 홀로그램펄안료 같의 상호 간섭으로 인하여 각 안료가 가진 고유 색감과 빛의 난반사 효과가 감소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메탈릭펄안료와 홀로그램펄안료는 별도의 도수로 인쇄된다.
상기 펄안료는 상기 펄인쇄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60 중량%로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각 도수 별 인쇄면적 40% 이내를 기준으로, 10 내지 6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함량보다 과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정밀한 인쇄 무늬 구현이 어려운 문제가 있고, 상기 함량보다 소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인쇄효과가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펄안료가 메탈릭펄안료 및 홀로그램펄안료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는, 메탈릭펄안료와 상기 홀로그램펄안료는 1:0.1 내지 2의 중량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율보다 홀로그램펄안료를 과량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인쇄 무늬표현 시 불량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상기 비율보다 소량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색상변화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다.
상기 메탈릭펄안료는 골드펄안료(Gold pearl pigment), 실버펄안료(Silver pearl pigment), 코퍼펄안료(Copper pearl pigment)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홀로그램펄안료는 레드홀로그램펄안료, 오렌지홀로그램펄안료, 옐로우홀로그램펄안료, 그린홀로그램펄안료, 블루홀로그램펄안료, 퍼플홀로그램펄안료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메탈릭펄안료의 경우, 금속의 쉬머링(Shimmering)한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목적하는 효과에 따라, 각 메탈릭펄안료를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홀로그램펄안료의 경우, 금속의 반짝이는 효과와 컬러감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컬러잉크와는 달리, 금속 질감을 가지는 컬러감을 부여하기 위해 홀로그램펄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홀로그램펄안료의 경우에는, 반짝이는 효과뿐만 아니라, 컬러감을 부여하는 효과를 가지므로, 레드홀로그램펄안료, 오렌지홀로그램펄안료, 옐로우홀로그램펄안료, 그린홀로그램펄안료, 블루홀로그램펄안료, 퍼플홀로그램펄안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홀로그램펄안료를 2 종 이상 사용하는 경우에는, 관찰자의 관찰각도에 따라, 관찰자가 인식하는 색상이 다르게 관찰되는 특성을 가진다.
상기 홀로그램펄안료는 제1홀로그램펄안료 및 제2홀로그램펄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홀로그램펄안료 및 상기 제2홀로그램펄안료는 각각 독립적으로 레드홀로그램펄안료, 오렌지홀로그램펄안료, 옐로우홀로그램펄안료, 그린홀로그램펄안료, 블루홀로그램펄안료, 퍼플홀로그램펄안료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고, 제1홀로그램펄안료 및 제2홀로그램펄안료는 1:0.1 내지 2의 중량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 질감 바닥재의 면에 포함되는 임의의 점으로부터 관찰자의 위치, 관찰자의 시점을 연결한 가상의 삼각형을 기준으로 임의의 점과 관찰자의 시점이 이루는 각도가 10 내지 90°만큼 변화하면 상기 금속 질감 바닥재의 색상이 제1홀로그램펄안료 또는 제2홀로그램펄안료의 색상으로 관찰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각도가 20 내지 90°만큼 변화하는 경우에 상기 금속 질감 바닥재의 색상이 제1홀로그램펄안료 또는 제2홀로그램펄안료의 색상으로 관찰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홀로그램펄안료와 퍼플홀로그램펄안료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바닥재의 면과 관찰자의 시각이 이루는 각도가 수직인 경우에는 파란색으로 관찰되고, 각도가 30 내지 60° 범위로 변하는 경우에는 보라색으로 관찰되는 등과 같이 관찰각도를 달리하면 그 색상이 상이하게 관찰되는 신비한 미감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홀로그램펄안료와 제2홀로그램펄안료는 1: 0.5 내지 2의 중량비율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함량보다 제2홀로그램펄안료를 과량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장식재로서의 심미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고, 상기 함량보다 소량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홀로그램 효과가 극히 미미한 문제가 있다.
상기 펄인쇄층은 일반적인 컬러잉크와는 달리, 용매 내에서 큰 입자로 분산된 펄잉크를 인쇄하는 것이므로, 물이나 유기용매와 같이 점도가 낮은 용매를 사용하여 펄잉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인쇄가 어렵거나 인쇄 후 펄인쇄층이 건조되기 전에 펄안료가 바닥으로 가라 앉거나, 표면에 떠버리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점도가 높고, 펄안료의 분산성을 오랜시간 유지할 수 있도록 수지에 펄안료를 혼합한 펄잉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는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는 펄잉크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함량보다 과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펄인쇄층이 건조되는데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제조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함량보다 소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인쇄장치를 이용하여 인쇄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펄인쇄층의 표면에는 표면필름층이 적층되는데, 상기 표면필름층은 바닥재의 인쇄층과 펄인쇄층이 손상되지 않고, 미감을 유지하면서도, 바닥재의 인쇄층과 펄인쇄층을 투명하게 그대로 관찰할 수 있도록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표면필름층은 내찰상성을 가지면서도 투명성을 가지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의 적층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표면필름층을 구성하는 혼합물을 블레이드 코팅, 브러쉬 코팅, 스프레이코팅 등과 같은 다양항 방식에 의해 코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금속 질감 바닥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질감 바닥재의 제조방법은, a) 기재층의 표면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형성된 인쇄층의 표면에 펄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형성된 펄인쇄층의 표면에 표면필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은 컬러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펄인쇄층은 펄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펄안료는 메탈릭펄안료 및/또는 홀로그램펄안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질감 바닥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각 구성성분에 관한 내용은 상술한 금속 질감 바닥재의 구성성분을 참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a) 단계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재층의 표면에 프라이머 코팅을 수행한 후에 인쇄층을 형성함으로써, 인쇄층이 변형없이 기재층의 표면에 안착되어 건조되도록 할 수 있다.
인쇄층을 형성한 표면에는 펄인쇄층을 형성하는데, 상기 a) 단계와 상기 b) 단계는 그라비아 인쇄기를 이용하여 컬러안료와 펄안료를 순차 인쇄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펄안료는 및 홀로그램펄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메탈릭펄안료 및 홀로그램펄안료는 그라비아 인쇄기로 순차 인쇄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탈릭펄안료와 홀로그램펄안료는 그라비아 인쇄방식으로 각 안료를 별도의 도수로서 인쇄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금속 질감 바닥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금속 질감 바닥재의 면에 포함되는 임의의 점으로부터 관찰자의 위치, 관찰자의 시점을 연결한 가상의 삼각형을 기준으로 임의의 점과 관찰자의 시점이 이루는 각도가 10 내지 90°만큼 변화하면 상기 금속 질감 바닥재의 색상이 제1홀로그램펄안료 또는 제2홀로그램펄안료의 색상으로 관찰되는 효과를 가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각도가 20 내지 90°만큼 변화하는 경우에 상기 금속 질감 바닥재의 색상이 제1홀로그램펄안료 또는 제2홀로그램펄안료의 색상으로 관찰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다음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실험예 1: 바닥재 내구성 평가 시험]
1. 바닥재 시편 제작
- 인쇄도수: 5도 기준 인쇄
- 수지: 아크릴계 수지
- 안료: CMYK(4종 혼합)
- 첨가제: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MEK), 대전방지제
- 인쇄공정: Gravure 인쇄기(5도)를 이용하여, 그라비아안료로 인쇄한 후, 150 메쉬 인쇄롤을 이용하여, 메탈릭펄 안료와 홀로그램펄안료를 동시 전면인쇄함.
- 최종제품
A. 타일형 바닥재 (3.0mm, 표면필름 0.3mm, UV코팅)
B. 시트형 바닥재 박리평가 (2.0mm, 표면필름 0.5mm, UV코팅)
2. 평가방법
1) 시편 뒷면 가장자리에서 20mm안쪽을 절단
2) 자른 부위를 30mm정도 강제로 박리 후 인장시험기의 상하클립에 고정
3) 속도를 200±2mm/min로 작동시켜 박리하중 측정
※ 시편박리 최대하중 2kg 초과시 상품성 인정
박리하중(Kg/5cm)=시편박리 최대하중(Kg)
타일형 바닥재
(3.0mm, 표면필름 0.3mm UV코팅)
비교예A1 실시예A1 실시예A2 참고예A
그라비아 전용 안료 3도 인쇄 CMYK-잉크 4종) 3도 인쇄 (CMYK-잉크타입 4종) 3도 인쇄 (CMYK-잉크 4종) 3도 인쇄 (CMYK-잉크 4종)
펄안료 1
(전면인쇄)
1도 인쇄
(메탈릭펄 25%-Silver)
1도 인쇄
(메탈릭펄 15%-Silver)
1도 인쇄
(메탈릭펄 10%-Silver)
-
펄안료 2
(전면인쇄)
1도 인쇄
(홀로그램펄 25% - Blue/Purple)
1도 인쇄
(홀로그램펄15%-Blue/Purple)
1도 인쇄 (홀로그램펄 10% - Blue/Purple) -
시편박리
최대하중
1.52Kg 2.24Kg 3.28Kg 3.45Kg
부적합 적합 적합 적합
시트형 바닥재
(3.0mm, 표면필름 0.3mm UV코팅)
비교예B1 실시예B1 실시예B2 참고예B
그라비아 전용 안료 3도 인쇄
(CMYK-잉크 4종)
3도 인쇄 (CMYK-잉크타입 4종) 3도 인쇄 (CMYK-잉크 4종) 3도3도 인쇄 (CMYK-잉크 4종)
펄안료 1(전면인쇄) 1도 인쇄
(메탈릭펄 25%-Silver)
1도 인쇄
(메탈릭펄 15%-Silver)
1도 인쇄
(메탈릭펄 10%-Silver)
-
펄안료 2(전면인쇄) 1도 인쇄
(홀로그램펄 25% - Blue/Purple)
1도 인쇄
(홀로그램펄 15%-Blue/Purple)
1도 인쇄
(홀로그램펄 10% - Blue/Purple)
-
시편박리
최대하중
1.85Kg 2.67Kg 3.78Kg 4.20Kg
부적합 적합 적합 적합
[실험예 2: 변색효과 확인 실험]
1. 바닥재 시편 제작
- 인쇄도수: 5도 기준 인쇄
- 수지: 아크릴계 수지
- 안료: CMYK(4종 혼합)
- 첨가제: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MEK), 대전방지제
- 인쇄공정: Gravure 인쇄기(5도)를 이용하여, 그라비아 안료를 인쇄한 후, 메탈릭펄안료와 홀로그램펄안료를 교차인쇄함.
- 최종제품: 3.5mm PVC 타일바닥재 제조
2. 실험방법
- 실험조건: 실내조도(1000 LUX), 색온도(5500K 기준), 제품광택(4~8)
- 패널선정: 연령(20~60세), 시력(1.0 이상, 안경착용가능),
신장(150~180cm)
- 패널테스트
1) 5가지 바닥재 시편을 평평한 면에 위치시킨 후, 패널 전원이 관찰각도가 30°와 90°인 조건에서 바닥재 시편을 관찰하게 한 후, 1:1 인터뷰를 진행함.
2) 평가방법: 각 문항당 5점 척도 기준으로 작성(0~2점: 매우 약함, ~3점: 약함, ~4점: 보통, ~4.5점: 우수, ~5점: 매우 우수)
실시예C1(홀로그램+메탈펄 적용) 실시예C2(홀로그램+메탈펄 적용2) 비교예C1(홀로그램펄 적용) 참고예C1
(기존제품:
일반펄 적용)
참고예C2
(기존제품:
메탈펄 적용)
그라비아 전용 안료 3도 인쇄
(CMYK-잉크타입 4종)
3도 인쇄
(CMYK-잉크타입 4종)
3도 인쇄
(CMYK-잉크타입 4종)
3도 인쇄
(CMYK-잉크타입 4종)
3도 인쇄
(CMYK-잉크타입 4종)
펄안료 1
(연조인쇄
메탈효과)
1도 인쇄
(메탈릭펄 10%-Silver)
1도 인쇄
(메탈릭펄 5%-Silver)
- 1도 인쇄
(화이트펄 10%)
1도 인쇄
(메탈릭펄 10%-Silver)
펄안료 2
(연조인쇄 변색효과)
1도 인쇄
(홀로그램펄 10% - Blue/Purple)
1도 인쇄
(홀로그램펄5%-Blue/Purple)
1도 인쇄
(홀로그램펄 10%-Blue/Purple)
- -
메탈릭효과 매우 우수 보통 약함 약함 우수
관찰각에 의한 색상변화
(Blue-Purple)
매우 우수 우수 매우 약함 없음 없음
종합평가 ①금속외관효과: 4.2점
② 관찰각에 의한 색변화 인지효과: 4.5점
③고급감: 4.5점④외관 차별성: 4.0
①금속외관효과: 3.5점
②관찰각에 의한 색변화 인지효과: 3.2점
③고급감: 3.5점
④외관 차별성: 3.5
①금속외관효과: 1.5점
②관찰각에 의한 색변화 인지효과: 2.8점
③고급감: 2.5점
④외관 차별성: 2.5
①금속외관효과: 1.8점
②관찰각에 의한 색변화 인지효과: 1점
③고급감: 2.0점
④외관 차별성: 1.0
①금속외관효과: 3.2점
②관찰각에 의한 색변화 인지효과: 1점
③고급감: 3.0점
④외관 차별성: 2.8
최종 효과 가장 우수 우수 보통 통과 통과

Claims (9)

  1. 기재층, 인쇄층, 펄인쇄층 및 표면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 인쇄층, 펄인쇄층 및 표면필름층은 바닥면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순차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펄인쇄층은 펄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펄안료는 메탈릭펄안료 및/또는 홀로그램펄안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질감 바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안료는 상기 펄인쇄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6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질감 바닥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안료는 메탈릭펄안료 및 홀로그램펄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메탈릭펄안료와 상기 홀로그램펄안료는 1:0.1 내지 2의 중량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질감 바닥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릭펄안료는 골드펄안료(Gold pearl pigment), 실버펄안료(Silver pearl pigment), 코퍼펄안료(Copper pearl pigment)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상기 홀로그램펄안료는 레드홀로그램펄안료, 오렌지홀로그램펄안료, 옐로우홀로그램펄안료, 그린홀로그램펄안료, 블루홀로그램펄안료, 퍼플홀로그램펄안료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질감 바닥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펄안료는 레드홀로그램펄안료, 오렌지홀로그램펄안료, 옐로우홀로그램펄안료, 그린홀로그램펄안료, 블루홀로그램펄안료, 퍼플홀로그램펄안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 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질감 바닥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펄안료는 제1홀로그램펄안료 및 제2홀로그램펄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홀로그램펄안료 및 상기 제2홀로그램펄안료는 각각 독립적으로 레드홀로그램펄안료, 오렌지홀로그램펄안료, 옐로우홀로그램펄안료, 그린홀로그램펄안료, 블루홀로그램펄안료, 퍼플홀로그램펄안료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고,
    제1홀로그램펄안료 및 제2홀로그램펄안료는 1:0.1 내지 2의 중량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질감 바닥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인쇄층은 펄안료와 수지를 혼합한 펄잉크를 인쇄하여 형성된 것이고,
    상기 수지는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질감 바닥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질감 바닥재는,
    상기 금속 질감 바닥재의 면에 포함되는 임의의 점으로부터 관찰자의 위치, 관찰자의 시점을 연결한 가상의 삼각형을 기준으로 임의의 점과 관찰자의 시점이 이루는 각도가 10 내지 90°만큼 변화하면 상기 금속 질감 바닥재의 색상이 제1홀로그램펄안료 또는 제2홀로그램펄안료의 색상으로 관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질감 바닥재.
  9. 제1항에 따른 금속 질감 바닥재의 제조방법으로서,
    a) 기재층의 표면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형성된 인쇄층의 표면에 펄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형성된 펄인쇄층의 표면에 표면필름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은 컬러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펄인쇄층은 펄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펄안료는 메탈릭펄안료 및/또는 홀로그램펄안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질감 바닥재의 제조방법.
KR1020200063402A 2020-05-27 2020-05-27 관찰각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금속 질감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465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402A KR20210146526A (ko) 2020-05-27 2020-05-27 관찰각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금속 질감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402A KR20210146526A (ko) 2020-05-27 2020-05-27 관찰각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금속 질감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526A true KR20210146526A (ko) 2021-12-06

Family

ID=78901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402A KR20210146526A (ko) 2020-05-27 2020-05-27 관찰각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금속 질감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65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7761A (ko) * 2021-12-24 2023-07-03 (주)엘엑스하우시스 바닥재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227Y1 (ko) 2003-12-03 2004-0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양한 입체질감과 인쇄무늬가 어우러진 바닥장식재
KR101368613B1 (ko) 2007-10-15 2014-02-27 (주)엘지하우시스 금속상감 효과를 가진 바닥장식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227Y1 (ko) 2003-12-03 2004-0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양한 입체질감과 인쇄무늬가 어우러진 바닥장식재
KR101368613B1 (ko) 2007-10-15 2014-02-27 (주)엘지하우시스 금속상감 효과를 가진 바닥장식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7761A (ko) * 2021-12-24 2023-07-03 (주)엘엑스하우시스 바닥재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5526B2 (en) Decorating material with cubic effect
US20100173132A1 (en) Decorative sheet
JP4694944B2 (ja) 化粧シート
JP2022118012A (ja) 化粧材、化粧材の製造方法、化粧材を用いた積層体
KR20210146526A (ko) 관찰각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금속 질감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7040656B2 (ja) 化粧材、積層体及び化粧材の製造方法
KR100481627B1 (ko) 금속질감을갖는합성수지재시트의제조방법
TW524743B (en) Printing resin film for high sharpness decoration sheet lamination excellent in processability and high sharpness decoration sheet laminated with the said resin film
CN209305218U (zh) 一种复合材料
WO2022209543A1 (ja) 化粧材
KR20220071009A (ko) 금속 질감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7126164B2 (ja) 加飾フィルム
CN101004125A (zh) 门板
CN219824023U (zh) 一种艺术玻璃平板
JPH07266527A (ja) 化粧板とその製造方法
JPH10305509A (ja) 光輝性印刷物
KR100326657B1 (ko) 데코레이션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40102542A (ko) 동조인쇄층을 함유하는 장식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3183829A (ja) 高耐久性転写箔及び転写層被着体
CN206352925U (zh) 一种家电外壳所采用的钛合金面板
JPH09136393A (ja) 化粧シート
KR101809435B1 (ko) 투명 pet 필름을 이용한 3차원 음영 패턴 패널
JP4060946B2 (ja) 着色シート
KR20000050780A (ko) 천연한지의 질감을 갖는 바닥재의 제조방법
KR20190027683A (ko) 장식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