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4338A -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 및 항바이러스성 마스크 - Google Patents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 및 항바이러스성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4338A
KR20210144338A KR1020200061554A KR20200061554A KR20210144338A KR 20210144338 A KR20210144338 A KR 20210144338A KR 1020200061554 A KR1020200061554 A KR 1020200061554A KR 20200061554 A KR20200061554 A KR 20200061554A KR 20210144338 A KR20210144338 A KR 20210144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viral
tyr
support
fabric
l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식
장선호
서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200061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4338A/ko
Publication of KR20210144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3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15Protein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92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antimicrobial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8Threads in which fibres, filaments, or yarns are wound with other yarns or filaments, e.g. wrap yarns, i.e. strands of filaments or staple fibres are wrapped by a helically wound binder yarn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9Yarns or threads with antibacterial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는 다공성 기재 및 상기 다공성 기재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항바이러스 모티프가 접착단백질에 결합된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성분을 함유한 항바이러스 코팅층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이에 의하면,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 및 항바이러스성 마스크는 사용자의 타액에 의한 세균발생과 증식한 세균의 재흡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항균성능이 우수하며, 세탁내구성 및 신축성이 우수하고, 항균성능 및 세탁내구성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마스크는 구비되는 항바이러스 코팅층이, 표면에 부착된 후 오랜 기간 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부착 지속성을 보유하면서도 제조, 저장 및 사용 시 외부 조건에 따라서 항바이러스 활성을 상실하지 않고 오랜 기간 유지할 수 있는 활성 지속성을 가지는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 및 항바이러스성 마스크{Porous member for antiviral mask and antiviral mask}
본 발명은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 및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는 일반적으로 추위를 막아주거나 공기중의 분진(먼지) 및 비말 등의 흡입을 막기 위하여 코와 입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한 위생용 생활용품이다.
그러나, 공기 중에는 이러한 분진 이외에도 인체에 직접적으로 해를 주는 세균이나 진균류,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균들이 무수히 많으며, 호흡을 통하여 인체 내로 흡입될 경우 질병이 유발될 수 있고, 특히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나 어린이, 병중인 환자들은 이러한 병원균의 침투로 인하여 질병이 유발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더욱이 유행성 감기나 공기를 통하여 발병할 수 있는 병원균들은 통상의 일반 마스크로는 막을 수 없다.
이에 마스크 본체를 항균 처리하거나, 항균성 직물 등을 이용한 항균 마스크도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별도의 항균처리가 되어 있는 마스크에서는 좋지 않은 냄새가 나며 오랫동안 착용할 경우 피부에 부작용을 유발하거나, 세탁에 의한 항균지속성이 떨어지곤 한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마스크는 오래도록 착용하면, 자신의 입속의 균으로 마스크가 오염되고, 입속의 냄새 등이 탈취되지 않아 새로운 마스크로 자주 교체하여 착용해야 하는 문제점, 즉, 탈취기능이 없거나 미약하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한편, 2003년초에 유행하기 시작한 사스, 2012년부터 감염자가 발생하고, 2015년에는 한국에서도 186명의 환자를 발생시킨 메르스 및 2019년 말에 발병하여 현재까지 세계적으로 대유행한 코비드-19는 모두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된 것으로서 이러한 배경으로 위생적이고 안전한 생활 환경에 대한 요구는 매우 높아지고 있다. 특히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이 발발한 뒤, 백신의 개발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고려할 때, 안전한 생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각종 항바이러스 제품에 대한 수요는 더욱 커지고 있다.
상술한 질병은 모두 코로나 바이러스에 의한 것인데,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에탄올, 차아염소산 소다, 요오드 홀, 과아세트산, 포름알데히드, 글루타르알데히드 및 에틸렌옥시드 가스가 소독제로써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1-아다만탄아민염산염, 티오세미카르바지드, 아라비노실뉴클레오시드, 뉴클레오시드, 2,3-디데옥시뉴클레오시드, 피로인산 유도체 등이 항바이러스제로써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항바이러스성을 갖는 성분들은 활성이 일시적이거나 외부환경, 즉 온도, 습도 등 각종 외부인자에 의해 쉽게 활성이 소실될 수 있어서 항바이러스 제품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 및 이의 지속성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다.
KR 1999-0008251 A (공개일: 1999.01.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타액에 의한 세균발생과 증식한 세균의 재흡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항균성능, 세탁내구성 및 신축성이 우수하고, 항균성능 및 세탁내구성이 유지되는 효과를 발현하면서도, 제조, 저장 및 사용 시 외부 조건에 따라서 항바이러스 활성을 상실하지 않고 오랜 기간 유지할 수 있는 활성 지속성을 가지는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 및 항바이러스성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공성 기재 및 상기 다공성 기재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항바이러스 모티프가 접착단백질에 결합된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성분을 함유한 항바이러스 코팅층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항바이러스 성분은 항바이러스 모티프가 도파 잔기를 함유한 접착단백질에 결합된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을 포함하며, 상기 도파 잔기가 상기 다공성 기재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하여 상기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바이러스 코팅층은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로 형성된 알갱이들이 집합되어 항바이러스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갱이는 카보디이미드 커플링제 및 하이드록시 석신이미드계 반응제를 포함하는 응집 유도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바이러스 모티프는 숙주세포 수용체와 결합하는 단백질을 타겟하여 상기 단백질을 불능화, 또는 파괴시키거나 바이러스 막을 파괴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기재는 원단, 부직포 및 나노섬유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기재는, 은 선을 포함하는 제1섬유를 포함하여 형성된 원단형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은 선은 구리(Cu)를 포함하는 코어(core) 및 은(Ag)를 포함하는 시스(sheath)를 포함하는, 시스코어(sheath-core) 섬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섬유는, 심사, 상기 심사를 둘러싸도록 은 선을 포함하는 제1커버링사가 권취되어 구비되는 제1커버링부 및, 상기 제1커버링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2커버링사가 권취되어 구비되는 제2커버링부를 포함하는 합연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사 및 제2커버링사는 각각 독립적으로 천연섬유 및 합성섬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기재는, 다공성의 제1지지체 및 복수 개의 나노섬유로 형성된 나노섬유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멜트블로운 부직포일 수 있고, 상기 나노섬유웹은 발수/발유성 나노섬유웹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체는 적어도 일부가 정전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기재는, 다공성의 제2지지체, 다공성의 제1지지체, 나노섬유웹 및 다공성의 제3지지체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체는 스펀본드 부직포일 수 있고, 상기 제3지지체는 써멀본드 부직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체의 일면, 상기 제3지지체의 일면 및, 상기 제1지지체, 제2지지체, 나노섬유웹 및 제3지지체 중 인접하는 두 부재 사이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제4지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체는 은 선을 포함하는 제1섬유를 포함하여 형성된 원단형 기재일 수 있고, 상기 제2지지체는 멜트블로운 부직포일 수 있으며, 상기 나노섬유웹은 발수/발유성 나노섬유웹일 수 있고, 상기 제3지지체는 써멀본드 부직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항바이러스 코팅층은, 상기 제1지지체, 제2지지체, 제3지지체, 제4지지체, 나노섬유웹, 원단형 기재 및 제1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표면 적어도 일부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바이러스 코팅층은, 제1지지체, 제2지지체, 제3지지체, 제4지지체 및 나노섬유웹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방사를 통해 형성되는 경우, 방사용액에 항바이러스 코팅 조성물이 구비되어 방사됨으로써, 제1지지체, 제2지지체, 제3지지체, 제4지지체 및 나노섬유웹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노출면을 형성하는 제1원단, 상기 제1원단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되어 수용부를 형성하고, 착용자의 안면부에 밀착되는 제2원단,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제1항에 따른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 및 상기 제1원단의 양 측단에 구비되는 이어밴드를 구비하는 항바이러스성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원단 및 제2원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표면 적어도 일부에, 항바이러스 모티프가 접착단백질에 결합된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성분을 함유한 항바이러스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노출면을 형성하는 제1원단 및 상기 제1원단의 양 측단에 구비되는 이어밴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1원단의 적어도 일부에, 항바이러스 모티프가 접착단백질에 결합된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성분을 함유한 항바이러스 코팅층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성 마스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노출면을 형성하는 제1원단, 상기 제1원단의 일면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안면부에 밀착되는 제2원단 및 상기 제1원단의 양 측단에 구비되는 이어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원단 및 제2원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적어도 일부에, 항바이러스 모티프가 접착단백질에 결합된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성분을 함유한 항바이러스 코팅층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성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원단 및 제2원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은 선을 포함하는 제1섬유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원단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코패드 및 상기 제1원단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턱받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 및 항바이러스성 마스크는 사용자의 타액에 의한 세균발생과 증식한 세균의 재흡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항균성능이 우수하며, 세탁내구성 및 신축성이 우수하고, 항균성능 및 세탁내구성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의한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 및 항바이러스성 마스크는 구비되는 항바이러스 코팅층이, 표면에 부착된 후 오랜 기간 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부착 지속성을 보유하면서도 제조, 저장 및 사용 시 외부 조건에 따라서 항바이러스 활성을 상실하지 않고 오랜 기간 유지할 수 있는 활성 지속성을 가지는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도 1은 코로나 바이러스의 단면 모식도,
도 2는 항바이러스 모티프가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해 작용할 수 있는 타겟과 관련한 모식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에 구비되는 합연사를 나타낸 모식도, 그리고,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는, 다공성 기재 및 상기 다공성 기재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항바이러스 모티프가 접착단백질에 결합된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성분을 함유한 항바이러스 코팅층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먼저, 상기 항바이러스 코팅층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항바이러스 코팅층은 항바이러스 모티프가 접착단백질에 결합된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성분을 구비하는 항바이러스 코팅조성물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항바이러스 성분은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을 포함하며, 상기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은 접착단백질에 항바이러스 모티프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항바이러스 모티프는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거나 바이러스 자체를 소멸시키거나 숙주가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는 기작에 관여하여 감염을 차단시키는데 기능하는 모티프일 수 있다.
일예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항바이러스 모티프는 바이러스의 보호막인 외막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파괴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는, 바이러스가 숙주세포를 감염시킬 때 숙주세포의 수용체에 결합되는 단백질(ex. 코로나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파괴하거나, 상기 단백질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불능화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직접 또는 간접적의 의미는 항바이러스 모티프가 해당 기능을 직접 수행하거나, 종국적으로 해당 기능이 수행되는데 있어서 시작 또는 중간 과정에 관여함을 의미한다.
상기 항바이러스 모티프는 상술한 바이러스의 소멸, 불능화 등의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는 것을 알려진 공지된 모티프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항바이러스 모티프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7 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펩타이드, 상기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이 연결된 펩타이드, 또는 상기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을 기본서열로 포함하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일예로 서열번호 1 및 2에 따른 모티프는 사스코로나 바이러스에 유용할 수 있고, 서열번호 3 내지 7에 따른 모티프는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에 유용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해 서열번호 7에 따른 모티프는 HSV에도 유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바이러스 모티프는 일예로 아미노산 개수가 3 ~ 10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20개인 펩타이드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항바이러스 모티프가 타겟하는 바이러스는 공지된 바이러스의 경우 제한이 없으며,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JV, HSV, HIV, IPNV, VHSV, SHRV, HCMV, IAV, 일본뇌염 바이러스, 에볼라 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 아데노 바이러스, 홍역바이러스, B형 간염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A 등 일 수 있다.
상술한 항바이러스 모티프는 그 자체로 코팅조성물에 포함되어 기재 표면에 처리될 수도 있으나, 항바이러스 모티프만을 기재 표면에 장시간 고정시키기 용이하지 않다. 이에 본 발명은 항바이러스 모티프를 접합단백질과 결합된 융합단백질 형태로 구현한다. 상기 접착단백질은 항바이러스 모티프와 기재 표면 간의 부착력을 제공하는 접착성분으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접착성분으로 단백질을 사용할 경우 폴리머 기반의 접착성분에 대비해 독성이 없음에 따라서 코팅조성물을 인체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용도까지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항바이러스 모티프와 접착단백질 간의 결합은 공유결합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홍합단백질의 카르복시 말단, 아미노 말단 또는 카르복시 말단과 아미노 말단 양단에 펩티드 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항바이러스 모티프와 홍합 접착단백질은 공지된 방법을 통해 결합시킬 수 있고, 일예로 대장균을 이용한 재조합 단백질 생산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한편, 홍합 접착단백질과 항바이러스 모티프 간에 직접 공유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3의 물질을 스페이서로 추가해 접착단백질과 항바이러스 모티프 간에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접착단백질은 공지된 접착기능을 갖는 단백질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일예로 홍합 유래의 접착단백질일 수 있으며, 홍합 유래의 접착단백질로 통칭되는 공지의 접착단백질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단백질은 서열번호 8 내지 서열번호 2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백질 또는 상기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이 연결된 단백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단백질은 후술하는 코팅조성물에 더 함유될 수 있는 카보디이미드 커플링제 및 하이드록시 석신이미드계 반응제를 포함하는 응집 유도성분과 반응하여 형성된 알갱이들이 집합체를 이룬 형태의 코팅층을 구현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보다 향상된 접착강도로 항바이러스 모티프를 기재 표면 상에 고정시킬 수 있고, 더불어 상온에서 장시간 항바이러스 모티프의 분해, 변성 등에 의한 불능화를 방지 또는 최소화 시켜서 항바이러스 성능을 장시간 지속시킬 수 있고, 저장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착단백질은 보다 향상된 기재 표면과의 부착특성을 발현하기 위하여 도파 잔기를 함유할 수 있다. 홍합 접착단백질은 접착특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자들이 연구한 결과 이들 접착단백질을 그대로 사용 시 접착(또는 점착) 특성이 없거나 미미한 수준을 보여서 항바이러스 모티프를 기재 표면 상에 고정시키기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접착단백질 내 도파 잔기를 함유하도록 개질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향상된 접착성능을 발현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개질은 접착단백질 내 함유된 타이로신 잔기 일부 또는 전부를 도파 잔기로 개질시키는 것으로써 이러한 개질은 공지된 방법을 적절히 이용해 수행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개질은 효소를 이용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효소는 일예로 타이로시나아제일 수 있다.
타이로시나아제를 이용한 타이로신 잔기를 도파 잔기로 개질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접착단백질을 구비한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을 25~100mM의 아스코빅산이 포함된 20~100mM 소듐아세테이트, 20 ~ 100mM 소듐보레이트 완충용액에 0.01 ~ 10㎎/㎖의 농도가 되게 용해시킨 뒤 10 ~ 1시간동안 산소를 주입해주면서 용액 내 산소를 포화시킨 뒤, 타이로시나아제를 최종 10 ~ 50㎍/㎖ 농도가 되게 첨가하고 산소 조건에서 30분 ~ 2시간 동안 혼합 교반한 뒤 아세트산의 농도가 최종 2 ~ 10%가 되도록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하고, 종료된 반응액을 1 ~ 10%의 아세트산 용액으로 탈염 농축 후 동결건조를 거쳐 파우더 형태의 도파 개질된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을 수득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통해 제조된 도파 잔기를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은 다른 접착성분 없이도 목적하는 기재 표면 상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다른 접착성분을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서 다른 성분과 항바이러스 모티프간 의도하지 않은 화학적 반응, 물리적 블로킹에 따른 활성의 저하나 불능이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항바이러스 성분은 상술한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 이외에 항바이러스 기능을 갖는 이종의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종의 물질은 공지된 유기물 또는 무기물일 수 있다. 일예로 이종 물질은 바이러스가 접촉하는 표면에 프로톤 공여성 또는 프로톤 수용성을 갖는 치환기가 배치된 무기물일 수 있으며, 구체예로서는, 인산지르코늄, 인산하프늄, 인산티타늄 등의 티타늄족 원소의 인산 화합물, 인산알루미늄, 히드록시아파타이트(인산염 광물) 등의 무기 인산 화합물; 규산마그네슘, 실리카겔, 알루미노규산염, 세피올라이트(함수 규산마그네슘), 몬모릴로나이트(규산염 광물), 제올라이트(알루미노규산염) 등의 무기 규산 화합물; 알루미나, 티타니아, 함수 산화티타늄 등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이종물질은 은 등의 금속 또는 이의 이온을 포함하는 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조성물은 상술한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을 용해시키는 용매나 안정화시키는 완충용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물 및/또는 유기용매일 수 있으며, pH8내지 8.5의 20 ~ 100mM Tris 혹은 탄산수소나트륨 완충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은 코팅 조성물에 0.001 ~ 1㎎/㎖, 다른 일예로 0.001 ~ 0.1㎎/㎖의 농도로 함유될 수 있으며, 만일 고농도로 함유될 경우 항바이러스 특성은 향상될 수 있으나, 코팅조성물이 적용되는 표면이 다공성 기재인 경우 생성된 코팅층이 표면의 기공을 폐색시킬 수 있는 우려가 있다.
한편, 상술한 개질을 통한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의 부착력 개선은 추가적인 비용, 시간 및 노력이 소요됨에 따라서 상기 코팅조성물은 카보디이미드 커플링제 및 하이드록시 석신이미드계 반응제를 포함하는 응집 유도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집성분반응촉매제는 항바이러스 융합 단백질을 기재 표면에 도입시키는 물질로서, 항바이러스 융합 단백질을 단독으로 통상의 방법을 이용해 기재 표면에 처리한 경우에 대비해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의 코팅층과 기재 표면 간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응집 유도성분은 항바이러스 융합 단백질을 알갱이 형상으로 응집시키는데, 이러한 알갱이들이 기재 표면에 흡착되어 집합체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항바이러스 코팅층을 구현할 수 있다. 응집 유도성분을 이용한 코팅조성물은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의 부착성을 증진시키는데 나아가 외부의 온도나 습도 등의 변화에도 안정적으로 형상과 활성을 유지할 수 있어서 저장 안정성이 우수하며, 항바이러스 효과를 장시간 지속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응집 유도성분으로 인한 항바이러스 융합 단백질이 응집된 알갱이 형태는 융합 단백질 간 어떤 특정의 화학결합, 예를 들어 종래 알려진 카보디이미드 커플링제에 의한 카르복시기와 아민기 간 아미노 결합에 의한 것으로 보기 어려운데, 이는 접착단백질, 일예로 홍합 유래 접착단백질 내 포함된 다수의 히드록시기 역시 카보디이미드 커플링제와 반응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수의 반응사이트를 가지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이 형성한 알갱이 형태는 어떤 특정 반응 및 이에 따른 화학결합에 의한 것으로 보기는 어렵고, 응집성분과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 간 조합에 따라서 발생하는 특유의 결과로 볼 수 있다.
상기 카보디이미드 커플링제는 항바이러스 융합 단백질들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커플링제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예로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보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EDC) 또는 N,N'-디시클로헥실카보이미드(DCC)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제는 카보디이미드와 커플링된 상태의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이 수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항바이러스 융합 단백질들이 서로 응집되는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일예로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NHS) 및 N-하이드록시설포석신이미드(Sulfo-NHS) 중 1종, 또는 이들이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응집성분은 상기 카보디이미드 커플링제와 반응제를 1 :0.5 ~ 20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이들이 적절한 비율로 포함되지 못할 경우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어렵고, 구현된 항바이러스 코팅층의 내구성, 항바이러스 모티프의 활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응집 유도성분은 반응성 향상을 위하여 활성성분으로서 아세트산나트륨, 인산완충용액 혹은 MES 완충용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활성성분은 카보디이미드 커플링제 100 중량부에 대해서 1 ~ 10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팅조성물에 상술한 응집성분은 용매에 용해된 액상으로 부가될 수 있는데, 이때 용매로 물 또는 유기용매를 용매로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물 및/또는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고, 코팅조성물 내 용매의 휘발속도를 증가시키는 측면에서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코팅조성물의 처리 후 용매의 기화가 늦을 경우 코팅 조성물이 기재에서 흘러 원하는 함량, 두께로 항바이러스 코팅층을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한편, 코팅조성물에 응집 유도성분을 더 포함하는 경우 코팅조성물이 기재의 표면에 처리되기 전까지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과 응집성분 간의 반응이 유발될 수 있으며, 만일 반응이 목적한 수준을 초과해 과도하게 진행된 후 기재 표면에 처리될 경우 항바이러스 코팅층의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코팅조성물에는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과 응집 유도성분 간의 반응을 지연시킬 수 있는 지연성분을 더 포함하거나, 반응을 지연시킬 수 있는 조건, 일예로 저온 조건에서 코팅조성물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저장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코팅조성물은 상기 항바이러스 코팅조성물은 항바이러스 성분을 포함하는 제1액과 상기 응집성분을 포함하는 제2액을 포함하는 2액형 코팅조성물로 구성시킬 수 있다. 이때 제1액은 용매로 물을 포함할 수 있고, 제2액은 에탄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응집 유도성분이 함유된 코팅조성물의 제조공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카보디이미드 커플링제 및 반응제를 포함하는 응집 유도성분을 용매에 용해시킨 제2용액과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이 용해된 제1용액을 각각 준비한 뒤 이들을 소정의 함량으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제2용액을 제조하는 방법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일예로 아세트산 나트륨 용액을 카보디이미드 커플링제 용액과 반응제 용액에 각각 투입한 뒤 혼합하여 2 종의 용액으로 제조한 뒤, 2종의 용액을 적절한 비율로 다시 혼합한 하여 30 ~ 60분간 반응을 유도한 용액인 제2용액이 제조될 수 있다.
이후 준비된 제1용액과 제2용액을 혼합하여 항바이러스 코팅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제1용액과 제2용액은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 100 중량부에 대해서 카보디이미드 커플링제가 10 ~ 200 중량부, 다른 일예로 50 ~ 200 중량부 포함되도록 혼합될 수 있다. 만일 카보디이미드 커플링제가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알갱이 형상으로 구현되기 어려워서 기재 표면에 코팅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20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도한 반응으로 코팅층이 박리될 수 있다.
또한, 제1용액 내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과 제2용액 내 응집 유도성분 간 반응을 유도하는 에이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반응을 유도한다는 것은 항바이러스 코팅조성물 상에서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의 응집을 개시 또는 응집하여 소정의 크기를 갖는 알갱이를 구현한 상태로 대상 표면에 처리함을 의미하는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혼합 즉시 기재 표면에 처리하여 응집반응을 유도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에이징 단계는 융합단백질과 응집 유도성분의 함량, 항바이러스 코팅조성물을 대상에 처리하는 방법 등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으며, 일예로 0초과 300분 간, 다른 일예로 30 ~ 60분 간 수행될 수 있다. 에이징 시간은 에이징 시 온도조건에 의해서도 달라질 수 있으며, 저온으로 에이징 시 시간은 늘어날 수 있다. 일예로 상온, 일예로 20 ~ 25℃에서 항바이러스 코팅조성물을 함침법을 이용해 기재 표면에 코팅 시 상기 에이징 시간은 일예로 10분 이상, 다른 일예로, 20분, 30분, 40분 이상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항바이러스 코팅조성물이 전기분사될 경우 상기 에이징 시간은 상온, 일예로 20 ~ 25℃에서 10분 이내, 다른 일예로 8분, 6분, 4분, 2분 이내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혼합 한 이후 소정의 반응을 유도한다는 것은 코팅조성물 상에서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의 응집을 개시 또는 응집하여 소정의 크기를 갖는 알갱이를 구현한 후 표면에 처리함을 의미하는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혼합 즉시 기재 표면에 처리하여 응집반응을 유도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술한 코팅조성물에는 설명된 성분 이외에 통상적인 코팅조성물에 함유되는 분산제, 레벨링제, 점도조절제, 소포제 등의 성분을 더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의 구체적 종류 및 함량은 목적에 따라서 공지된 종류를 적절한 함량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코팅조성물은 목적하는 기재의 표면에 공지된 코팅방법을 통해 처리될 수 있으며, 일예로 함침, 스핀코팅, 콤마코터, 분사, 전기분사 등일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코팅방법에 따라서 코팅조성물은 적절한 점도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는 후술하는 다공성 기재일 수도 있고, 후술하는 다공성 기재를 형성하는 섬유일 수도 있다.
또한, 코팅조성물이 기재 표면에 처리된 후 항바이러스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소정의 시간동안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반응시간은 코팅조성물 내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의 농도, 응집성분의 농도, 목적하는 코팅층의 두께, 다공성 기재의 경우 코팅조성물이 내부까지 침투한 후 반응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온도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반응이 유도된 코팅조성물은 이후 1 ~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자연건조 또는 50 ~ 70℃ 열풍 건조를 통해 건조시켜 기재 표면 상에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이 알갱이를 형성하여 기재 표면에 결합된 항바이러스 코팅층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조성물은 물체의 표면에 처리되는 코팅 용도로 설명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목적하는 물체를 구현 시 함께 구비되어 항바이러스 모티프를 물체 자체가 내재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형태는 항바이러스 모티프 융합단백질 함유 입자, 항바이러스 모티프 융합단백질 함유 도료, 항바이러스 모티프 융합단백질 함유 섬유, 항바이러스 모티프 융합단백질 함유 종이, 항바이러스 모티프 융합단백질 함유 플라스틱, 항바이러스 모티프 융합단백질 함유 필름, 항바이러스 모티프 융합단백질 함유 에어로졸 등의 다양한 사용 형태로 할 수 있다. 일예로, 후술하는 다공성 기재가 방사를 통해 형성되는 경우, 방사용액에 항바이러스 코팅 조성물이 구비되어 방사됨으로써, 후술하는 다공성 기재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다음, 상기 다공성 기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다공성 기재는 원단, 부직포 및 나노섬유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다공성 기재는, 은 선을 포함하는 제1섬유를 포함하여 형성된 원단형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섬유(10)는, 심사(11), 상기 심사(11)를 둘러싸도록 은 선을 포함하는 제1커버링사(12a)가 권취되어 구비되는 제1커버링부(12) 및, 상기 제1커버링부(12)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2커버링사(13a)가 권취되어 구비되는 제2커버링부(13)를 포함하는 합연사일 수 있다.
상기 심사(11) 및 제2커버링사(13a)는 섬유의 유연성과 신축성을 향상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는 섬유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천연섬유 및 합성섬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사(11) 및 제2커버링사(13a)는 모노사 또는 복수개의 필라멘트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필라멘트로 형성된 섬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사(11) 및 제2커버링사(13a)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섬도의 섬유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각각 독립적으로 섬도가 20 ~ 100De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섬도가 30 ~ 75De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심사 및 제2커버링사의 섬도가 각각 독립적으로 20De 미만이면 세탁내구성과, 은 선의 단사에 따른 항균성능과 세탁내구성의 유지력이 저하될 수 있고, 섬도가 100De를 초과하면 신축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커버링사(13a)는 꼬임수 350 ~ 1100 TPM으로 연사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50 ~ 1000 TPM으로 연사되어 제2커버링부(13)를 형성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제2커버링가의 꼬임수가 350 TPM 미만이면 세탁내구성과, 은 선의 단사에 따른 항균성능과 세탁내구성의 유지력이 저하될 수 있고, 꼬임수가 1100 TPM을 초과하면 원단형 기재의 신축성 및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표면에 노출되는 은 선의 면적이 저하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항균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커버링사(12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은 선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은 선은 은을 단독으로 포함할 수도 있고, 우수한 유연성 발현을 위해 구리(Cu)를 포함하는 코어(core) 및 은(Ag)을 포함하는 시스(sheath)를 포함하는, 시스코어(Sheath-core) 섬유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은 선은 코어로 사용될 구리재료를 소정의 직경으로 인발하는 단계, 시스를 은 플레이트를 준비하는 단계, 클래딩 공법(cladding process)에 의해 구리재료와 은 플레이트를 일체화하여 상기 구리재료에 대하여 은 플레이트가 시스를 이루는 이중구조의 와이어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이중구조의 와이어를 신선가공에 의해 시스코어 섬유인 은 선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은 선은 코어로 사용될 구리재료를 소정의 직경으로 인발하는 단계, 액체형 Ag 파우더 용액이 담긴 욕조에서 디핑공정을 통하여 상기 구리재료의 표면에 균일한 두께의 Ag를 코팅하여 이중 구조의 와이어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이중구조의 와이어를 신선가공에 의해 시스코어 섬유인 은 선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은나노선은 코어로 사용될 구리재료를 소정의 직경으로 인발하는 단계, 상기 구리재료의 표면에 도금의 방법으로 은을 도금하여 시스층을 형성하여 이중 구조의 와이어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이중구조의 와이어를 신선가공에 의해 시스코어 섬유인 은 선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시스(sheath)는 평균 두께가 3 ~ 320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평균 두께가 5 ~ 3000㎚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시스의 평균 두께가 3 ㎚ 미만이면 중심금속인 구리가 외부로 용이하게 노출됨에 따라 은 고유의 기능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은 선에서 은이 탈리되어 사용자의 호흡기로 흡입될 수 있으며, 평균 두께가 3200㎚를 초과하면 은 선의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은 선은 0.1 ~ 15 중량%의 구리, 바람직하게는 0.1 ~ 10 중량%의 구리와 잔량의 은을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구리가 0.1 중량% 미만이면 은 선의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고, 15 중량%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항균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은 선은 섬유평균직경이 10 ~ 6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섬유평균직경이 15 ~ 5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은나노선은 섬도가 40 ~ 150De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0 ~ 120De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은 선의 섬유평균직경이 범위 미만이거나 섬도가 범위 미만이면 목적하는 수준의 항균효과를 발현하지 못할 수 있고, 범위를 초과하면 은 선의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링사(12a)는 꼬임수 550 ~ 1400 TPM으로 연사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50 ~ 1300 TPM으로 연사되어 제1커버링부(12)를 형성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제1커버링사의 꼬임수가 550 TPM 미만이면 목적하는 수준의 항균성능을 발현할 수 없고, 꼬임수가 1400 TPM을 초과하면 원단형 기재의 신축성 및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섬유는, 은 선을 포함하는 심사 및, 상기 심사를 둘러싸도록 제1커버링사가 권취되어 구비되는 제1커버링부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심사 및 제1커버링사에 대한 설명은 각각 상술한 제1커버링사(12a) 및 제2커버링사(13a)에 대한 설명과 동일함에 따라,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섬유는, 제1심사와 은 선을 포함하는 제2심사가 합사된 심사 및, 상기 심사를 둘러싸도록 제1커버링사가 권취되어 구비되는 제1커버링부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심사, 제2심사 및 제1커버링사에 대한 설명은 각각 상술한 심사(11), 제1커버링사(12a) 및 제2커버링사(13a)에 대한 설명과 동일함에 따라,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커버링사(12a)는 상기 제2커버링사(13a)와 반대방향으로 연사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1커버링사(12a)가 좌연(Z꼬임)인 경우, 상기 제2커버링사(13a)는 우연(S꼬임)일 수 있고, 제1커버링사(12a)가 우연(S꼬임)인 겅우, 상기 제2커버링사(13a)는 좌연(Z꼬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섬유(10)의 유연성이 우수하면서도 제1커버링사(12a)와 제2커버링사(13a)가 더욱 견고하게 구비되는 효과가 있다.
만일 상기 제1커버링사(12a) 및 제2커버링사(13a)가 동일한 방향으로 연사되면, 제1커버링사(12a)와 제2커버링사(13a)가 상대적으로 견고하지 않음에 따라, 원단 제직 후, 제1커버링부(12) 또는 제2커버링부(13) 중 어느 하나라도 손상이 되면 원사가 한쪽 방향으로 풀려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섬유(10)는 총 섬도가 100 ~ 400De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30 ~ 370De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제1섬유의 총 섬도가 100 De 미만이면 항균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세탁내구성 및 신축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총 섬도가 400 De를 초과하면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단형 기재는 제직(weaving) 또는 편성(knitting)하여 제조된 직물 또는 편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단형 기재는 경사 및 위사를 포함하는 직물일 수 있고, 상기 경사는 제1섬유(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위사는 제2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위사가 제1섬유(1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경사가 제2섬유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섬유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섬유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천연섬유 및 합성섬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원단형 기재에 구비되는 제1섬유(10)는 원단 내 배치폭이 0.01 ~ 12㎜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배치폭이 1 ~ 7㎜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배치폭이 3 ~ 6㎜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제1섬유의 원단형 기재 내 배치폭이 0.01㎜ 미만이면 원단의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고, 배치폭이 12㎜를 초과하면 목적하는 수준의 항균성능을 발현하지 못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단형 기재는 상술한 제1섬유(10)로 형성된 메쉬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원단형 기재의 메쉬 수는 40 ~ 450 메쉬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 ~ 400 메쉬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원단형 기재가 40 메쉬 미만이면 항균성능 및 원단형 기재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400 메쉬를 초과하면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다공성 기재는, 다공성의 제1지지체 및 복수 개의 나노섬유로 형성된 나노섬유웹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공성 부재(200)의 다공성 기재는 다공성의 제2지지체(210), 다공성의 제1지지체(220), 나노섬유웹(230) 및 다공성의 제3지지체(24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지지체(220)는 다공성 기재의 여과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적어도 일부가 정전 처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지지체(220)는 바람직하게는 부직포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케미컬본드 부직포, 써멀본드 부직포, 에어레이 부직포 등의 건식부직포나 습식부직포, 스판레스 부직포, 니들펀칭 부직포 또는 멜트블로운 부직포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멜트블로운 부직포일 수 있다. 상기 멜트블로운 부직포는 공지된 멜트블로운 부직포일 수 있음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이를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제1지지체(220)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올레핀계 및 폴리아미드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합성고분자 성분; 또는 셀룰로오스계를 포함하는 천연 고분자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체(220)는 소정의 섬유 평균직경을 가지는 섬유로 형성될 수 있고, 섬유의 평균직경이 과도하게 작을 경우 통기도가 저하되고, 압력손실이 증가할 수 있으며, 섬유의 평균직경이 과도하게 클 경우 여과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체(220)는 소정의 평균공경을 가질 수 있다. 만일 상기 제1지지체의 평균 공경이 과도하게 작을 경우 통기도가 저하되고, 압력손실이 증가할 수 있으며, 평균 공경이 과도하게 클 경우 여과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체(220)는 소정의 평량을 나타낼 수 있다. 만일 상기 제1지지체의 평량이 과도하게 낮으면 편차가 커짐에 따라 여과효율이 저하되거나, 균일한 여과효율을 발현하지 못할 수 있으며, 과도하게 크면 통기도가 저하되고, 압력손실이 증가할 수 있다.
다음, 상기 나노섬유웹(230)은 피처리유체, 바람직하게는 피처리되는 공기의 물리적 여과를 담당하며, 복수 개의 나노섬유가 랜덤하게 3차원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3차원 네트워크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섬유웹(230)은 발수/발유성 나노섬유웹이며, 상기 발수/발유성 나노섬유웹은 나노섬유웹의 표면에 발수/발유제를 코팅하여 형성되거나, 고분자수지와 발수/발유제를 포함하는 방사용액을 방사시켜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고분자수지와 발수/발유제를 포함하는 방사용액을 방사시켜서 형성시키는 것이 옥외 환경에 적용하는데 더욱 유리할 수 있고, 발수/발유성과 더불어 통기도 및 여과효율까지 우수한 측면에서 더욱 유리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수지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나노섬유를 형성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고분자수지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불소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 비닐 에테르 공중합체(PFA)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퍼플루오로알킬 비닐 에테르 공중합체(EPE)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ETFE)계,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계,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ECTFE)계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분자수지가 PVD를 포함할 경우 상기 PVDF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 ~ 1,000,00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0,000 ~ 600,00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발수/발유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발수/발유제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용제형 발수/발유제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불소계 용제형 발수/발유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섬유웹(230)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나노섬유는 소정의 섬유 평균직경을 가질 수 있다. 만일 상기 나노섬유의 섬유 평균직경이 과도하게 낮으면 통기도가 감소할 수 있고 압력손실이 증가할 수 있으며, 섬유 평균직경이 과도하게 높으면 여과효율이 저하될 수 있고, 발수/발유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섬유웹(230)은 소정을 평균 공경을 가질 수 있다. 만일 상기 나노섬유웹의 평균 공경이 과도하게 낮으면 통기도가 저하되고, 압력손실이 증가할 수 있으며, 평균 공경이 과도하게 크면 여과효율 및 발수/발유성이 저하되고, 여과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없다.
그리고, 상기 나노섬유웹(230)은 소정의 평량을 나타낼 수 있다. 만일 상기 나노섬유웹 평량이 과도하게 낮으면 목적하는 수준의 발수/발유성을 발현할 수 없고, 편차가 커짐에 따라 여과효율이 저하되거나, 균일한 여과효율을 발현하지 못할 수 있으며, 평량이 과도하게 크면 통기도가 저하되고, 압력손실이 증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부재(200)의 다공성 기재는 상술한 제1지지체(220) 및 나노섬유웹(230)을 포함함에 따라, 정전처리된 제1지지체(220)의 효율이 저하되더라도, 나노섬유웹(230)을 포함하기 때문에 여과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2지지체(210)는 다공성 기재를 지지하고, 선택적으로 발수/발유성을 부여 및/또는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2지지체(210)는 바람직하게는 부직포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케미컬본드 부직포, 써멀본드 부직포, 에어레이 부직포 등의 건식부직포나 습식부직포, 스판레스 부직포, 니들펀칭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또는 멜트블로운 부직포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펀본드 부직포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지지체(210)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올레핀계 및 폴리아미드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합성고분자 성분; 또는 셀룰로오스계를 포함하는 천연 고분자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2지지체(210)는 발수/발유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발수/발유제를 상술한 고분자와 함께 방사용액에 포함시켜서 방사하거나 소정의 발수/발유 처리를 통해 구현한 발수/발유성 스펀본드 부직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체(210)는 소정의 섬유 평균직경을 가지는 복수개의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제2지지체를 형성하는 섬유의 섬유평균직경이 과도하게 낮으면 통기도가 저하되고, 압력손실이 증가할 수 있으며, 과도하게 높으면 발수/발유성이 저하되거나 여과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체(210)는 소정의 평량을 나타낼 수 있다. 만일 상기 제2지지체의 평량이 과도하게 낮으면 편차가 커짐에 따라 여과효율이 저하되거나, 균일한 여과효율을 발현하지 못할 수 있으며, 발수/발유성이 저하될 수 있고, 평량이 과도하게 높으면 통기도가 저하되며, 압력손실이 증가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3지지체(240)는 나노섬유웹(230)에 접착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제4지지체(250)를 제3지지체(240')의 일면에 더 포함할 경우, 나노섬유웹과 제4지지체를 접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부직포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케미컬본드 부직포, 써멀본드 부직포, 에어레이 부직포 등의 건식부직포나 습식부직포, 스판레스 부직포, 니들펀칭 부직포 또는 멜트블로운 부직포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써멀본드 부직포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지지체(240)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올레핀계 및 폴리아미드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합성고분자 성분; 또는 셀룰로오스계를 포함하는 천연 고분자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예로, 상기 제3지지체(240)는 저융점 성분을 포함하는 복합섬유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복합섬유는 지지성분 및 저융점 성분을 포함하여 상기 저융점 성분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일예로, 지지성분이 코어부를 형성하고, 저융점 성분이 상기 코어부를 둘러싸는 시스부를 형성한 시스-코어형 복합섬유나, 지지성분의 일측에 저융점 성분이 배치되는 사이드-바이-사이드 복합섬유일 수 있다. 상기 저융점 성분 및 지지 성분은 상술한 것과 같이 지지체의 유연성 및 신율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계일 수 있고, 일예로 지지성분은 폴리프로필렌, 저융점 성분은 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3지지체(240)는 소정의 섬유 평균직경을 가지는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제3지지체를 형성하는 섬유의 섬유 평균직경이 과도하게 작으면 통기도가 저하되고, 압력손실 및 층간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섬유 평균직경이 과도하게 크면 여과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지지체(240)는 소정의 평균 공경을 가질 수 있다. 만일 상기 제3지지체의 평균 공경이 과도하게 낮으면 통기도가 저하되고, 압력손실이 증가할 수 있으며, 평균 공경이 과도하게 크면 여과효율 및 층간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지지체(240)는 소정의 평량을 나타낼 수 있다. 만일 상기 제3지지체의 평량이 과도하게 낮으면 층간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평량이 과도하게 크면 통기도가 저하되고, 압력손실이 증가할 수 있다.
제3지지체(240)는 상술한 나노섬유웹(230)과 열합지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층간 접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부재(200')의 다공성 기재는 제4지지체(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지지체(250)는 다공성 기재의 강도를 보강하거나, 투습을 더욱 방지하는 등 다공성 기재를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4지지체(250)는 제2지지체(210')의 일면, 제3지지체(240')의 일면, 및 제1지지체(220'), 제2지지체(210'), 나노섬유웹(230') 및 제3지지체(240') 중 인접하는 두 부재 사이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일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지지체(250)는 상기 제3지지체(240')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4지지체(250)는 바람직하게는 부직포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케미컬본드 부직포, 써멀본드 부직포, 에어레이 부직포 등의 건식부직포나 습식부직포, 스판레스 부직포, 니들펀칭 부직포 또는 멜트블로운 부직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4지지체(250)는 상기 제1지지체(220'), 제2지지체(210'), 나노섬유웹(230') 및 제3지지체(24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평균공경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공성 부재(200)의 다공성 기재는 다공성의 제2지지체(210), 다공성의 제1지지체(220), 나노섬유웹(230) 및 다공성의 제3지지체(24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지지체(220)는 은 선을 포함하는 제1섬유를 포함하여 형성된 원단형 기재일 수 있고, 상기 제2지지체(210)는 적어도 일부가 정전처리된 멜트블로운 부직포일 수 있으며, 상기 나노섬유웹(230)은 발수/발유성 나노섬유웹일 수 있고, 상기 제3지지체(240)는 써멀본드 부직포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체(220)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원단형 기재에 대한 설명과 동일함에 따라,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지지체(210)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적어도 일부가 정전처리된 멜트블로운 부직포(제1지지체)에 대한 설명과 동이함에 따라,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나노섬유웹(230) 및 제3지지체(240)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나노섬유웹 및 제3지지체에 대한 설명과 동이함에 따라,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항바이러스 코팅층은, 상술한 제1지지체, 제2지지체, 제3지지체, 제4지지체, 나노섬유웹, 원단형 기재, 상기 원단형 기재를 구성하는 제2섬유 및 제1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표면 적어도 일부에 포함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항바이러스 코팅층은 상술한 제1지지체, 제2지지체, 제3지지체, 제4지지체, 나노섬유웹, 원단형 기재, 상기 원단형 기재를 구성하는 제2섬유 및 제1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표면에 상술한 항바이러스 조성물이 처리되어 다공성 기재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지지체, 제2지지체, 제3지지체, 제4지지체 및 나노섬유웹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방사를 통해 형성되는 경우, 방사용액에 항바이러스 코팅 조성물이 구비되어 방사됨으로써, 제1지지체, 제2지지체, 제3지지체, 제4지지체 및 나노섬유웹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항바이러스성 마스크(10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노출면을 형성하는 제1원단(100), 상기 제1원단(100)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되어 수용부를 형성하고, 착용자의 안면부에 밀착되는 제2원단(300),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다공성 부재(200) 및 상기 제1원단(100)의 양 측단에 구비되는 이어밴드(400)를 구비하여 구현된다.
먼저, 상기 제1원단(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원단(100)은 마스크(1000)의 외측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입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원단(100)은 외부의 물이나 습기 또는, 사용자의 타액에 의한 세균발생과 증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수성, 속건성 및 발수성 등을 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원단(100)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마스크 외피의 재질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천연섬유 및 합성섬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소수성, 속건성 및 발수성을 발현하는 측면에서 더욱 유리하다.
상기 천연섬유는 예를 들어, 한지, PLA(poly lactic acid; 생분해성 섬유), 면, 마, 모, 견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합성섬유는 예를 들어, 나일론,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우레탄계, 폴리플로오르에틸렌계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합성섬유는 다음과 같은 중합체를 사용하여 얻어진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 폴리에틸렌계 수지,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DPE),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EVA), 이의 공중합체 등
- 폴리스티렌계 수지, 예를 들면, HIPS, GPPS, SAN 등
-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예를 들면, HOMO PP, RANDOM PP, 이의 공중합체
- 투명 또는 일반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삼원공중합체)
- 경질 PVC
-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예를 들면, 나일론, PRT, PET, POM(아세탈), PC, 우레탄, 분체수지, PMMA, PES, 등
또한, 천연섬유나 합성섬유는 상기한 섬유 재료 이외에도 주지된 다른 섬유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원단(100)은 제직(weaving) 또는 편성(knitting)하여 제조된 직물 또는 편물일 수 있다.
먼저, 상기 직물의 조직은 평직, 능직, 수자직 및 이중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평직, 능직 및 수자직을 삼원조직이라 할 때 삼원조직 각각의 구체적인 제직방법은 통상적인 제직방법에 의하며, 삼원조직을 기본으로 하여 그 조직을 변형시키거나 몇 가지 조직을 배합하여 변화 있는 직물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변화평직으로 두둑직, 바스켓직 등이 있고, 변화능직으로 신능직, 파능직, 비능직, 산형능직 등이 있으며, 변화수자직으로 변칙수자직, 중수자직, 확수자직, 화강수자직 등이 있다.
상기 이중직은 경사 또는 위사의 어느 한쪽이 2중으로 되어있거나 양쪽이 모두 2중으로 된 직물의 제직방법으로 구체적인 방법은 통상적인 이중직의 제직방법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직물조직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직에서의 경사 및 위사 밀도의 경우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편성은 위편성 또는 경편성의 방법에 의할 수 있으며, 상기 위편성과 경편성의 구체적인 방법은 통상적인 위편성 또는 경편성의 편성방법에 의할 수 있다.
상기 위편성을 통해 구체적으로 평편, 고무편, 펄편 등의 위편성물이 제조될 수 있고, 상기 경편성을 통해 구체적으로 트리코, 밀러니즈, 라셸 등의 경편성물이 제조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2원단(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원단(3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원단(100)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되어 수용부를 형성하고, 착용자의 안면부에 밀착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원단(300)은 제1원단(100)에 상단 및 하단이 고정되어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원단(300)은 외부의 물이나 습기 또는, 사용자의 타액에 의한 세균발생과 증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수성, 속건성 및 발수성 등을 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원단(300)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마스크 내피의 재질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천연섬유 및 합성섬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소수성, 속건성 및 발수성을 발현하는 측면에서 더욱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 제2원단(300)은 제직(weaving) 또는 편성(knitting)하여 제조된 직물 또는 편물일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1000,1001)는 제1원단(100,101)에 비하여 제2원단(300,301)을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으로 구비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원단(300,301)은 착용자의 코와 입에 밀착되어 덮을 수 있는 소정의 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1000,1001)는 제1원단(100,101)에 비하여 상술한 다공성 부재(200,201)를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부재(200,201)는 상기 제2원단(300,301)에 비하여 작은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1001)는, 제1원단(101)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코패드(500) 및 제1원단(101)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턱받침(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패드(500)는 사용자의 호흡 시 제1원단(101)과 제2원단(301)외에 다른 영역에서의 외기 유입과 내기의 배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공지된 코패드와 동일한 재질 및 형상을 가질 수 있음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턱받침(600)은 공지된 턱받침과 동일한 재질 및 형상을 가질 수 있음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항바이러스성 마스크(10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노출면을 형성하는 제1원단(100'), 상기 제1원단(100')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안면부에 밀착되는 제2원단(300') 및 상기 제1원단(100')의 양 측단에 구비되는 이어밴드(400')를 구비하여 구현된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항바이러스성 마스크(1001')는, 제1원단(101')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코패드(500') 및 제1원단(101')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턱받침(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패드(500') 및 턱받침(600')에 대한 설명은 상기 코패드(500) 및 턱받침(600)에 대한 설명과 동일함에 따라,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항바이러스성 마스크는, 외부 노출면을 형성하는 제1원단 및 상기 제1원단의 양 측단에 구비되는 이어밴드를 구비하여 구현된다.
이때, 상기 항바이러스성 마스크는 제1원단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코패드 및 제1원단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턱받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패드 및 턱받침에 대한 설명은 상기 코패드(500) 및 턱받침(600)에 대한 설명과 동일함에 따라,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구현예들에서, 상기 제1원단 및 제2원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적어도 일부에 상술한 항바이러스 코팅층이 포함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항바이러스 코팅층은 제1원단, 제2원단, 상기 제1원단과 제2원단을 구성하는 제1섬유 및/또는 제2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표면에 상술한 항바이러스 조성물이 처리되어 다공성 기재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구현예들에서, 상기 제1원단 및 제2원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은 선을 포함하는 제1섬유(1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원단 및 제2원단 각각과, 은 선을 포함하는 제1섬유의 재질 및 상세한 스펙 등은 상술한 원단형 기재와 상기 원단형 기재에 포함되는 은 선을 포함하는 제1섬유의 재질 및 상세한 스펙 등과 동일함에 따라,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하기 표 1은 상술한 항바이러스 모티프와 접착단백질에 대한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아미노산 서열
1 Lys Lys Lys Lys Tyr Arg Asn Ile Arg Arg Pro Gly
2 Thr Leu Lys Pro Ile Phe Lys Leu Pro Leu Gly Ile Asn Ile Thr Asn Phe Arg
3 Phe His Arg Lys Lys Gly Arg Gly Lys His Lys
4 Ser Leu Ile Gly Arg Leu
5 Trp Leu Val Phe Phe Val Ile Phe Tyr Phe Phe Arg Arg Arg Lys Lys
6 Arg Arg Lys Lys Trp Leu Val Phe Phe Val Ile Phe Tyr Phe Phe Arg
7 Arg Arg Lys Lys Ala Ala Val Ala Leu Leu Pro Ala Val Leu Leu Ala Leu Leu Ala Pro
8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9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10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11 Glu Val His Ala Cys Lys Pro Asn Pro Cys Lys Asn Asn Gly Arg Cys Tyr Pro Asp Gly Lys Thr Gly Tyr Lys Cys Lys Cys Val Gly Gly Tyr Ser Gly Pro Thr Cys Ala Cys
12 Ala Asp Tyr Tyr Gly Pro Lys Tyr Gly Pro Pro Arg Arg Tyr Gly Gly Gly Asn Tyr Asn Arg Tyr Gly Gly Ser Arg Arg Tyr Gly Gly Tyr Lys Gly Trp Asn Asn Gly Trp Lys Arg Gly Arg Trp Gly Arg Lys Tyr Tyr Glu Phe Glu Phe
13 Ala Asp Tyr Tyr Gly Pro Lys Tyr Gly Pro Pro Arg Arg Tyr Gly Gly Gly Asn Tyr Asn Arg Tyr Gly Arg Arg Tyr Gly Gly Tyr Lys Gly Trp Asn Asn Gly Trp Lys Arg Gly Arg Trp Gly Arg Lys Tyr Tyr
14 Gly His Val His Arg His Arg Val Leu His Lys His Val His Asn His Arg Val Leu His Lys His Leu His Lys His Gln Val Leu His Gly His Val His Arg His Gln Val Leu His Lys His Val His Asn His Arg Val Leu His Lys His Leu His Lys His Gln Val Leu His
15 Ser Ser Glu Glu Tyr Lys Gly Gly Tyr Tyr Pro Gly Asn Ala Tyr His Tyr His Ser Gly Gly Ser Tyr His Gly Ser Gly Tyr His Gly Gly Tyr Lys Gly Lys Tyr Tyr Gly Lys Ala Lys Lys Tyr Tyr Tyr Lys Tyr Lys Asn Ser Gly Lys Tyr Lys Tyr Leu Lys Lys Ala Arg Lys Tyr His Arg Lys Gly Tyr Lys Lys Tyr Tyr Gly Gly Ser Ser
16 Ser Ser Glu Glu Tyr Lys Gly Gly Tyr Tyr Pro Gly Asn Thr Tyr His Tyr His Ser Gly Gly Ser Tyr His Gly Ser Gly Tyr His Gly Gly Tyr Lys Gly Lys Tyr Tyr Gly Lys Ala Lys Lys Tyr Tyr Tyr Lys Tyr Lys Asn Ser Gly Lys Tyr Lys Tyr Leu Lys Lys Ala Arg Lys Tyr His Arg Lys Gly Tyr Lys Lys Tyr Tyr Gly Gly Gly Ser Ser
17 Tyr Asp Asp Tyr Ser Asp Gly Tyr Tyr Pro Gly Ser Ala Tyr Asn Tyr Pro Ser Gly Ser His Trp His Gly His Gly Tyr Lys Gly Lys Tyr Tyr Gly Lys Gly Lys Lys Tyr Tyr Tyr Lys Phe Lys Arg Thr Gly Lys Tyr Lys Tyr Leu Lys Lys Ala Arg Lys Tyr His Arg Lys Gly Tyr Lys Lys His Tyr Gly Gly Ser Ser Ser
18 Ser Ser Glu Glu Tyr Lys Gly Gly Tyr Tyr Pro Gly Asn Thr Tyr His Tyr His Ser Gly Gly Ser Tyr His Gly Ser Gly Tyr His Gly Gly Tyr Lys Gly Lys Tyr Tyr Gly Lys Ala Lys Lys Tyr Tyr Tyr Lys Tyr Lys Asn Ser Gly Lys Tyr Lys Tyr Leu Lys Lys Ala Arg Lys Tyr His Arg Lys Gly Tyr Lys Lys Tyr Tyr Gly Gly Gly Ser Ser
19 Gly Gly Gly Asn Tyr Arg Gly Tyr Cys Ser Asn Lys Gly Cys Arg Ser Gly Tyr Ile Phe Tyr Asp Asn Arg Gly Phe Cys Lys Tyr Gly Ser Ser Ser Tyr Lys Tyr Asp Cys Gly Asn Tyr Ala Gly Cys Cys Leu Pro Arg Asn Pro Tyr Gly Arg Val Lys Tyr Tyr Cys Thr Lys Lys Tyr Ser Cys Pro Asp Asp Phe Tyr Tyr Tyr Asn Asn Lys Gly Tyr Tyr Tyr Tyr Asn Asp Lys Asp Tyr Phe Asn Cys Gly Ser Tyr Asn Gly Cys Cys Leu Arg Ser Gly Tyr
20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Ser Ser Glu Glu Tyr Lys Gly Gly Tyr Tyr Pro Gly Asn Ala Tyr His Tyr His Ser Gly Gly Ser Tyr His Gly Ser Gly Tyr His Gly Gly Tyr Lys Gly Lys Tyr Tyr Gly Lys Ala Lys Lys Tyr Tyr Tyr Lys Tyr Lys Asn Ser Gly Lys Tyr Lys Tyr Leu Lys Lys Ala Arg Lys Tyr His Arg Lys Gly Tyr Lys Tyr Tyr Gly Gly Ser Ser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21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Ser Ser Glu Glu Tyr Lys Gly Gly Tyr Tyr Pro Gly Asn Thr Tyr His Tyr His Ser Gly Gly Ser Tyr His Gly Ser Gly Tyr His Gly Gly Tyr Lys Gly Lys Tyr Tyr Gly Lys Ala Lys Lys Tyr Tyr Tyr Lys Tyr Lys Asn Ser Gly Lys Tyr Lys Tyr Leu Lys Lys Ala Arg Lys Tyr His Arg Lys Gly Tyr Lys Lys Tyr Tyr Gly Gly Gly Ser Ser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0, 1000', 1001, 1001': 마스크
100, 100', 101, 101': 제1원단
200, 201: 다공성 부재 210,210': 제2지지체
220,220': 제1지지체 230,230': 나노섬유웹
240,240': 제3지지체 250: 제4지지체
300, 300', 301, 301': 제2원단
400, 400', 401, 401': 이어밴드
500, 500': 코패드 600, 600': 턱받침
10: 제1섬유 11: 심사
12a: 제1커버링사 12: 제1커버링부
13a: 제2커버링사 13: 제2커버링사
<110> amolifescience <120> Porous member for antiviral mask and antiviral mask <130> 1067511 <160> 2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viral peptide <400> 1 Lys Lys Lys Lys Tyr Arg Asn Ile Arg Arg Pro Gly 1 5 10 <210> 2 <211> 1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viral peptide <400> 2 Thr Leu Lys Pro Ile Phe Lys Leu Pro Leu Gly Ile Asn Ile Thr Asn 1 5 10 15 Phe Arg <210> 3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viral peptide <400> 3 Phe His Arg Lys Lys Gly Arg Gly Lys His Lys 1 5 10 <210> 4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viral peptide <400> 4 Ser Leu Ile Gly Arg Leu 1 5 <210> 5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viral peptide <400> 5 Trp Leu Val Phe Phe Val Ile Phe Tyr Phe Phe Arg Arg Arg Lys Lys 1 5 10 15 <210> 6 <211> 4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viral peptide <400> 6 Ala Arg Gly Ala Arg Gly Leu Tyr Ser Leu Tyr Ser Thr Arg Pro Leu 1 5 10 15 Glu Ala Val Ala Leu Pro His Glu Pro His Glu Val Ala Leu Ile Leu 20 25 30 Glu Pro His Glu Thr Tyr Arg Pro His Glu Pro His Glu Ala Arg Gly 35 40 45 <210> 7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viral peptide <400> 7 Arg Arg Lys Lys Ala Ala Val Ala Leu Leu Pro Ala Val Leu Leu Ala 1 5 10 15 Leu Leu Ala Pro 20 <210> 8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dhesive protein <400> 8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1 5 10 <210> 9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dhesive protein <400> 9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1 5 10 15 Pro Thr Tyr Lys 20 <210> 10 <211> 6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dhesive protein <400> 10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1 5 10 15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20 25 30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35 40 45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50 55 60 <210> 11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dhesive protein <400> 11 Glu Val His Ala Cys Lys Pro Asn Pro Cys Lys Asn Asn Gly Arg Cys 1 5 10 15 Tyr Pro Asp Gly Lys Thr Gly Tyr Lys Cys Lys Cys Val Gly Gly Tyr 20 25 30 Ser Gly Pro Thr Cys Ala Cys 35 <210> 12 <211> 5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dhesive protein <400> 12 Ala Asp Tyr Tyr Gly Pro Lys Tyr Gly Pro Pro Arg Arg Tyr Gly Gly 1 5 10 15 Gly Asn Tyr Asn Arg Tyr Gly Gly Ser Arg Arg Tyr Gly Gly Tyr Lys 20 25 30 Gly Trp Asn Asn Gly Trp Lys Arg Gly Arg Trp Gly Arg Lys Tyr Tyr 35 40 45 Glu Phe Glu Phe 50 <210> 13 <211> 4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dhesive protein <400> 13 Ala Asp Tyr Tyr Gly Pro Lys Tyr Gly Pro Pro Arg Arg Tyr Gly Gly 1 5 10 15 Gly Asn Tyr Asn Arg Tyr Gly Arg Arg Tyr Gly Gly Tyr Lys Gly Trp 20 25 30 Asn Asn Gly Trp Lys Arg Gly Arg Trp Gly Arg Lys Tyr Tyr 35 40 45 <210> 14 <211> 6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dhesive protein <400> 14 Gly His Val His Arg His Arg Val Leu His Lys His Val His Asn His 1 5 10 15 Arg Val Leu His Lys His Leu His Lys His Gln Val Leu His Gly His 20 25 30 Val His Arg His Gln Val Leu His Lys His Val His Asn His Arg Val 35 40 45 Leu His Lys His Leu His Lys His Gln Val Leu His 50 55 60 <210> 15 <211> 7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dhesive protein <400> 15 Ser Ser Glu Glu Tyr Lys Gly Gly Tyr Tyr Pro Gly Asn Ala Tyr His 1 5 10 15 Tyr His Ser Gly Gly Ser Tyr His Gly Ser Gly Tyr His Gly Gly Tyr 20 25 30 Lys Gly Lys Tyr Tyr Gly Lys Ala Lys Lys Tyr Tyr Tyr Lys Tyr Lys 35 40 45 Asn Ser Gly Lys Tyr Lys Tyr Leu Lys Lys Ala Arg Lys Tyr His Arg 50 55 60 Lys Gly Tyr Lys Lys Tyr Tyr Gly Gly Ser Ser 65 70 75 <210> 16 <211> 7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dhesive protein <400> 16 Ser Ser Glu Glu Tyr Lys Gly Gly Tyr Tyr Pro Gly Asn Thr Tyr His 1 5 10 15 Tyr His Ser Gly Gly Ser Tyr His Gly Ser Gly Tyr His Gly Gly Tyr 20 25 30 Lys Gly Lys Tyr Tyr Gly Lys Ala Lys Lys Tyr Tyr Tyr Lys Tyr Lys 35 40 45 Asn Ser Gly Lys Tyr Lys Tyr Leu Lys Lys Ala Arg Lys Tyr His Arg 50 55 60 Lys Gly Tyr Lys Lys Tyr Tyr Gly Gly Gly Ser Ser 65 70 75 <210> 17 <211> 7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dhesive protein <400> 17 Tyr Asp Asp Tyr Ser Asp Gly Tyr Tyr Pro Gly Ser Ala Tyr Asn Tyr 1 5 10 15 Pro Ser Gly Ser His Trp His Gly His Gly Tyr Lys Gly Lys Tyr Tyr 20 25 30 Gly Lys Gly Lys Lys Tyr Tyr Tyr Lys Phe Lys Arg Thr Gly Lys Tyr 35 40 45 Lys Tyr Leu Lys Lys Ala Arg Lys Tyr His Arg Lys Gly Tyr Lys Lys 50 55 60 His Tyr Gly Gly Ser Ser Ser 65 70 <210> 18 <211> 7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dhesive protein <400> 18 Ser Ser Glu Glu Tyr Lys Gly Gly Tyr Tyr Pro Gly Asn Thr Tyr His 1 5 10 15 Tyr His Ser Gly Gly Ser Tyr His Gly Ser Gly Tyr His Gly Gly Tyr 20 25 30 Lys Gly Lys Tyr Tyr Gly Lys Ala Lys Lys Tyr Tyr Tyr Lys Tyr Lys 35 40 45 Asn Ser Gly Lys Tyr Lys Tyr Leu Lys Lys Ala Arg Lys Tyr His Arg 50 55 60 Lys Gly Tyr Lys Lys Tyr Tyr Gly Gly Gly Ser Ser 65 70 75 <210> 19 <211> 9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dhesive protein <400> 19 Gly Gly Gly Asn Tyr Arg Gly Tyr Cys Ser Asn Lys Gly Cys Arg Ser 1 5 10 15 Gly Tyr Ile Phe Tyr Asp Asn Arg Gly Phe Cys Lys Tyr Gly Ser Ser 20 25 30 Ser Tyr Lys Tyr Asp Cys Gly Asn Tyr Ala Gly Cys Cys Leu Pro Arg 35 40 45 Asn Pro Tyr Gly Arg Val Lys Tyr Tyr Cys Thr Lys Lys Tyr Ser Cys 50 55 60 Pro Asp Asp Phe Tyr Tyr Tyr Asn Asn Lys Gly Tyr Tyr Tyr Tyr Asn 65 70 75 80 Asp Lys Asp Tyr Phe Asn Cys Gly Ser Tyr Asn Gly Cys Cys Leu Arg 85 90 95 Ser Gly Tyr <210> 20 <211> 19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dhesive protein <400> 20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1 5 10 15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20 25 30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35 40 45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Ser Ser Glu Glu 50 55 60 Tyr Lys Gly Gly Tyr Tyr Pro Gly Asn Ala Tyr His Tyr His Ser Gly 65 70 75 80 Gly Ser Tyr His Gly Ser Gly Tyr His Gly Gly Tyr Lys Gly Lys Tyr 85 90 95 Tyr Gly Lys Ala Lys Lys Tyr Tyr Tyr Lys Tyr Lys Asn Ser Gly Lys 100 105 110 Tyr Lys Tyr Leu Lys Lys Ala Arg Lys Tyr His Arg Lys Gly Tyr Lys 115 120 125 Tyr Tyr Gly Gly Ser Ser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130 135 140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145 150 155 160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165 170 175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180 185 190 Tyr Lys <210> 21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dhesive protein <400> 21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1 5 10 15 Pro Thr Tyr Lys 20

Claims (25)

  1. 다공성 기재; 및
    상기 다공성 기재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항바이러스 모티프가 접착단백질에 결합된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성분을 함유한 항바이러스 코팅층;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바이러스 성분은 항바이러스 모티프가 도파 잔기를 함유한 접착단백질에 결합된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을 포함하며, 상기 도파 잔기가 상기 다공성 기재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하여 상기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이 고정된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바이러스 코팅층은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로 형성된 알갱이들이 집합되어 항바이러스 코팅층을 형성한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알갱이는 카보디이미드 커플링제 및 하이드록시 석신이미드계 반응제를 포함하는 응집 유도성분을 더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바이러스 모티프는 숙주세포 수용체와 결합하는 단백질을 타겟하여 상기 단백질을 불능화, 또는 파괴시키거나 바이러스 막을 파괴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기재는 원단, 부직포 및 나노섬유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기재는,
    은 선을 포함하는 제1섬유를 포함하여 형성된 원단형 기재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은 선은 구리(Cu)를 포함하는 코어(core) 및 은(Ag)를 포함하는 시스(sheath)를 포함하는, 시스코어(sheath-core) 섬유인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섬유는,
    심사, 상기 심사를 둘러싸도록 은 선을 포함하는 제1커버링사가 권취되어 구비되는 제1커버링부 및, 상기 제1커버링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2커버링사가 권취되어 구비되는 제2커버링부를 포함하는 합연사인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심사 및 제2커버링사는 각각 독립적으로 천연섬유 및 합성섬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기재는,
    다공성의 제1지지체 및 복수 개의 나노섬유로 형성된 나노섬유웹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는 멜트블로운 부직포이고,
    상기 나노섬유웹은 발수/발유성 나노섬유웹인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는 적어도 일부가 정전 처리된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기재는,
    다공성의 제2지지체, 다공성의 제1지지체, 나노섬유웹 및 다공성의 제3지지체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비되는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체는 스펀본드 부직포이고,
    상기 제3지지체는 써멀본드 부직포인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체의 일면, 상기 제3지지체의 일면 및, 상기 제1지지체, 제2지지체, 나노섬유웹 및 제3지지체 중 인접하는 두 부재 사이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제4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는 은 선을 포함하는 제1섬유를 포함하여 형성된 원단형 기재이고,
    상기 제2지지체는 멜트블로운 부직포이며,
    상기 나노섬유웹은 발수/발유성 나노섬유웹이며,
    상기 제3지지체는 써멀본드 부직포인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
  18. 제7항, 제11항, 제14항, 제16항 및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바이러스 코팅층은,
    상기 제1지지체, 제2지지체, 제3지지체, 제4지지체, 나노섬유웹, 원단형 기재 및 제1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표면 적어도 일부에 포함되는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
  19. 제11항, 제14항, 제16항 및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바이러스 코팅층은,
    제1지지체, 제2지지체, 제3지지체, 제4지지체 및 나노섬유웹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방사를 통해 형성되는 경우,
    방사용액에 항바이러스 코팅 조성물이 구비되어 방사됨으로써, 제1지지체, 제2지지체, 제3지지체, 제4지지체 및 나노섬유웹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일부로서 포함되는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
  20. 외부 노출면을 형성하는 제1원단;
    상기 제1원단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되어 수용부를 형성하고, 착용자의 안면부에 밀착되는 제2원단;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제1항에 따른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 및
    상기 제1원단의 양 측단에 구비되는 이어밴드;를 구비하는 항바이러스성 마스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단 및 제2원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표면 적어도 일부에,
    항바이러스 모티프가 접착단백질에 결합된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성분을 함유한 항바이러스 코팅층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성 마스크.
  22. 외부 노출면을 형성하는 제1원단; 및
    상기 제1원단의 양 측단에 구비되는 이어밴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1원단의 적어도 일부에, 항바이러스 모티프가 접착단백질에 결합된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성분을 함유한 항바이러스 코팅층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성 마스크.
  23. 외부 노출면을 형성하는 제1원단;
    상기 제1원단의 일면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안면부에 밀착되는 제2원단; 및
    상기 제1원단의 양 측단에 구비되는 이어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원단 및 제2원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적어도 일부에, 항바이러스 모티프가 접착단백질에 결합된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성분을 함유한 항바이러스 코팅층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성 마스크.
  24.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단 및 제2원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은 선을 포함하는 제1섬유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항바이러스성 마스크.
  25.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단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코패드; 및 상기 제1원단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턱받침;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성 마스크.
KR1020200061554A 2020-05-22 2020-05-22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 및 항바이러스성 마스크 KR202101443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554A KR20210144338A (ko) 2020-05-22 2020-05-22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 및 항바이러스성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554A KR20210144338A (ko) 2020-05-22 2020-05-22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 및 항바이러스성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338A true KR20210144338A (ko) 2021-11-30

Family

ID=78722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554A KR20210144338A (ko) 2020-05-22 2020-05-22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 및 항바이러스성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433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251A (ko) 1995-05-03 1999-01-25 데이빗 알. 클리브랜드 호흡 마스크용 보안 차폐 부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251A (ko) 1995-05-03 1999-01-25 데이빗 알. 클리브랜드 호흡 마스크용 보안 차폐 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8761B2 (en) Method for producing a silver-containing wound care device
EP1654114B1 (en) Silver-containing wound care device, composition therefor, and method of producing
US8563447B2 (en) Silver-containing wound care device
US20210169698A1 (en) Antimicrobial dressing
WO2012087812A2 (en) Antimicrobial apparel and fabric and coverings
US20050035327A1 (en) Topical silver-based antimicrobial composition for wound care devices
CN111513404A (zh) 一种高吸湿智能散热医用防护服复合面料及其制备方法
WO2021232870A1 (zh) 一种含铜抗菌、抗病毒无纺布及其制备方法
CN109454937A (zh) 一种功能面料
CN108621481A (zh) 含有银离子的抗菌面料及抗菌纺织品
KR20210144338A (ko) 항바이러스성 마스크용 다공성 부재 및 항바이러스성 마스크
KR20210120264A (ko) 항균마스크
CN110846886A (zh) 复合层无纺布制备方法
KR102531174B1 (ko) 항바이러스 원단
US20230227694A1 (en) Anti-viral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fixing anti-viral fusion protein to surfaces
KR102606143B1 (ko) 항바이러스 필터여재, 이를 포함하는 에어필터 유닛 및 공조장치
BR112021003882A2 (pt) sistema de curativo de ferimentos
CN211138415U (zh) 一种抗静电pvc涂层面料
KR20210120555A (ko) 마스크
TWI289443B (en) Nano-silver medical dressing
KR101936879B1 (ko) 키토산을 포함하는 의료용 섬유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40900A (ko) 항미생물 장갑
KR20210149446A (ko) 모바일 기기용 항바이러스 플립커버
US20230113123A1 (en) Mask
KR20220001706A (ko) 항바이러스 커버부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