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4230A - 블루라이트에 대한 흡수력을 갖는 광 제어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상기 광 제어 필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블루라이트에 대한 흡수력을 갖는 광 제어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상기 광 제어 필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4230A
KR20210144230A KR1020200061270A KR20200061270A KR20210144230A KR 20210144230 A KR20210144230 A KR 20210144230A KR 1020200061270 A KR1020200061270 A KR 1020200061270A KR 20200061270 A KR20200061270 A KR 20200061270A KR 20210144230 A KR20210144230 A KR 20210144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ontrol
control layer
light
regio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원
Original Assignee
이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원 filed Critical 이승원
Priority to KR1020200061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4230A/ko
Publication of KR20210144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2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4Filters in which spectral selection is performed by means of a conductive grid or array, e.g. frequency selective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입력 표면(10); 기재층(20);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 대향하는 광 출력 표면(30); 상기 광 입력 표면(10)과 상기 기재층(20) 사이에 배치된 제1 광 제어층(100); 및 상기 기재층(20)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 사이에 배치된 제2 광 제어층(20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은 상기 광 입력 표면(10)과 상기 기재층(20) 사이에 배치된 교대로 있는 투과 영역(110) 및 흡수 영역(12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은 상기 기재층(20)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 사이에 배치된 교대로 있는 투과 영역(210) 및 흡수 영역(2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과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120)은 황색(yellow) 계열의 색을 나타내는 광 제어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상기 광 제어 필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시광선 중 자외선에 가장 가까운 파장 영역이면서 짧고 강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시력 손상, 피부 손상 및 노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블루라이트 영역인 380∼495 nm 영역에 대한 흡수력이 우수하고, 기재층을 기준으로 양면에 제1 광 제어층과 제2 광 제어층이 형성되므로 시야각을 제어하기가 용이하고, 제1 광 제어층의 흡수 영역의 폭 및 간격과, 제2 광 제어층의 흡수 영역의 폭 및 간격을 조절하기가 용이하고 이에 따라 광 투과율 및 시야각을 제어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루라이트에 대한 흡수력을 갖는 광 제어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상기 광 제어 필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Light control film having excellent absorptivity for bluelight,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 control film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light control film}
본 발명은 광 제어 필름, 그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시광선 중 자외선에 가장 가까운 파장 영역이면서 짧고 강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시력 손상, 피부 손상 및 노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블루라이트 영역인 380∼495 nm 영역에 대한 흡수력이 우수하고, 기재층을 기준으로 양면에 제1 광 제어층과 제2 광 제어층이 형성되므로 시야각을 제어하기가 용이하고, 제1 광 제어층의 흡수 영역의 폭 및 간격과, 제2 광 제어층의 흡수 영역의 폭 및 간격을 조절하기가 용이하고 이에 따라 광 투과율 및 시야각을 제어하기가 용이한 광 제어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상기 광 제어 필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 시준 필름이라고도 하는 광 제어 필름(LCF; light control film)은 투광성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광학 필름이다.
광 제어 필름(LCF)은 각각의 특성을 고려하여 컴퓨터, 휴대폰, 입출금 장치(ATM),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화상으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요구되는 특성은 각 제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입출금 장치 등에서나 개인 프라이버시 노출을 피하기 위하여 작은 시야각이 요구될 수 있으며,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콘트라스트를 향상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야각을 제한하거나 콘트라스트를 향상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시야각을 좁힐 수 있는 광 제어 필름을 부착할 수 있다.
관찰자가 필름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광 제어 필름(LCF)을 통해 이미지를 보는 직교 입사(즉, 0도 시야각)에서, 이미지가 보일 수 있다. 시야각이 증가함에 따라, 사실상 모든 광이 광 흡수 재료에 의해 차단되고 이미지가 더 이상 보이지 않는 시야 차단 각도(viewing cutoff angle)에 도달될 때까지 광 제어 필름(LCF)을 통해 투과되는 광의 양이 감소된다. 이는 전형적인 시야각의 범위 밖에 있는 다른 사람들에 의한 관찰을 차단함으로써 관찰자에게 프라이버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광 제어 필름(LCF)은 자동차 디스플레이 또는 항공전자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광원과 이미지 디스플레이 평면(예를 들어, LCD 패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주간 조건 동안의 고휘도가 가독성에는 바람직하지만, 광 표면, 예를 들어 전면 유리(front wind screen)에서 원하지 않는 반사를 야기할 수 있다. 원하지 않는 반사는 낮은 주변광 조건에서 더 분명하게 된다.
최근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 모니터, TV 등과 같이 광원을 이용한 여러 가지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 블루라이트가 발산되고 있으며, 특히 어두운 밤에도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늘어나 블루라이트에 많이 노출되고 있다. 블루라이트(blue light)는 380∼500 nm 파장대의 푸른빛을 말하는 것으로, 파장이 짧고 높은 에너지를 가지는 가시광선 영역에 해당한다.
이러한 블루라이트는 각막이나 수정체에 흡수되지 않은 채로 망막까지 도달하게 되어 백내장, 노인성황반변성과 같은 안구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고, 눈의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연구조사에 따르면 블루라이트를 인체 피부에 오랜 기간 조사하였을 때 표피 아래 피부가 상당 부분 손상을 입히며, 이러한 손상은 맨눈으로 볼 수 없으나 피부 조기 노화를 유발할 수 있으며, 겉피부에 자잘한 주근깨나 갈색 점들을 남길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3096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시광선 중 자외선에 가장 가까운 파장 영역이면서 짧고 강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시력 손상, 피부 손상 및 노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블루라이트 영역인 380∼495 nm 영역에 대한 흡수력이 우수하고, 기재층을 기준으로 양면에 제1 광 제어층과 제2 광 제어층이 형성되므로 시야각을 제어하기가 용이하고, 제1 광 제어층의 흡수 영역의 폭 및 간격과, 제2 광 제어층의 흡수 영역의 폭 및 간격을 조절하기가 용이하고 이에 따라 광 투과율 및 시야각을 제어하기가 용이한 광 제어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상기 광 제어 필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광 입력 표면(10); 기재층(20);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 대향하는 광 출력 표면(30); 상기 광 입력 표면(10)과 상기 기재층(20) 사이에 배치된 제1 광 제어층(100); 및 상기 기재층(20)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 사이에 배치된 제2 광 제어층(20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은 상기 광 입력 표면(10)과 상기 기재층(20) 사이에 배치된 교대로 있는 투과 영역(110) 및 흡수 영역(12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은 상기 기재층(20)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 사이에 배치된 교대로 있는 투과 영역(210) 및 흡수 영역(2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과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120)은 380nm~495nm의 파장을 차단할 수 있는 황색(yellow) 계열의 색을 나타내는 광 제어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서 상기 광 출력 표면(30)으로 수직으로 내린 경우에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과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이 서로 동일한 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서 상기 광 출력 표면(30)으로 수직으로 내린 경우에,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이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 위치에 대하여 쉬프트(shift)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이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에 비하여 'K' 만큼 이격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K'의 범위는 0<K≤(P1/2; P1의 1/2, 여기서 'P1'은 광 입력 표면(10)에서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의 폭)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서의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의 폭(P1)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에서의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의 폭(P2)은 서로 동일할 수 있고,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서의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폭(W1)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에서의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폭(W2)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 제어층(100) 상부에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을 덮는 접착층(30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광 제어층(200) 상부에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을 덮는 접착층(40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 입력 표면(10); 기재층(20);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 대향하는 광 출력 표면(30); 상기 광 입력 표면(10)과 상기 기재층(20) 사이에 배치된 제1 광 제어층(100); 및 상기 기재층(20)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 사이에 배치된 제2 광 제어층(200)을 포함하는 광 제어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에 대응하는 돌기부(510a)를 구비하는 몰드(500a)를 준비하는 단계와, (b)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에 대응하는 돌기부(510b)를 구비하는 몰드(500b)를 준비하는 단계와, (c) 기재층(20)을 포함하는 필름(20a)을 준비하는 단계와, (d) 상기 필름(20a) 상부에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을 도포하고,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이 경화되게 하면서 상기 몰드(500a)로 압착하여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을 형성하는 단계와, (e)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20a) 상부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을 도포하고,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이 경화되게 하면서 상기 몰드(500b)로 압착하여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을 형성하는 단계와, (f) 상기 홈(120a) 내부에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하는 단계 및 (g) 상기 홈(220a) 내부에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과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120)은 380nm~495nm의 파장을 차단할 수 있는 황색(yellow) 계열의 색을 나타내는 광 제어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d) 단계는, 필름(20a)을 롤러(600a)에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필름(20a) 상부에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을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이 도포된 필름(20a)이 상기 롤러(600a)와 상기 몰드(500a) 사이에 맞물리면서 삽입되는 단계와, 경화장치(70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이 경화되게 하고, 상기 몰드(500a)에 구비된 돌기부(510a)에 의해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되게 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이 몰드(500a)와 롤러(600b) 사이에 맞물리면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e) 단계는,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20a)을 롤러(600e)에 장착하는 단계와,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20a) 상부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을 도포하는 단계와,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이 도포된 필름(20a)이 상기 롤러(600e)와 상기 몰드(500b) 사이에 맞물리면서 삽입되는 단계와, 경화장치(700)를 이용하여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이 경화되게 하고, 상기 몰드(500b)에 구비된 돌기부(510b)에 의해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이 형성되게 하는 단계와,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이 형성되고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이 형성된 필름(20a)이 상기 몰드(500b)와 롤러(600f) 사이에 맞물리면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을 형성하려는 필름(20a)의 면이 상기 몰드(500a)를 향하도록 필름(20a)을 배치하고,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을 형성하려는 필름(20a)의 면이 상기 몰드(500b)를 향하도록 필름(20a)을 배치하며, 롤러(600a, 600b)와 상기 몰드(500a)는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되고, 롤러(600e, 600f)와 상기 몰드(500b)는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서 상기 광 출력 표면(30)으로 수직으로 내린 경우에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과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이 서로 동일한 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서의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의 폭(P1)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에서의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의 폭(P2)은 서로 동일할 수 있고,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서의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폭(W1)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에서의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폭(W2)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 제어층(100) 상부에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을 덮는 접착층(300)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광 제어층(200) 상부에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을 덮는 접착층(400)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 입력 표면(10); 기재층(20);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 대향하는 광 출력 표면(30); 상기 광 입력 표면(10)과 상기 기재층(20) 사이에 배치된 제1 광 제어층(100); 및 상기 기재층(20)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 사이에 배치된 제2 광 제어층(200)을 포함하는 광 제어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에 대응하는 돌기부(510a)를 구비하는 몰드(500a)를 준비하는 단계와, (b)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에 대응하는 돌기부(510c)를 구비하는 몰드(500c)를 준비하는 단계와, (c) 기재층(20)을 포함하는 필름(20b)을 준비하는 단계와, (d) 상기 필름(20b) 상부에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을 도포하고,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이 경화되게 하면서 상기 몰드(500a)로 압착하여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을 형성하는 단계와, (e)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20b) 상부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을 도포하고,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이 경화되게 하면서 상기 몰드(500c)로 압착하여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을 형성하는 단계와, (f) 상기 홈(120a) 내부에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하는 단계 및 (g) 상기 홈(220a) 내부에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몰드(500c)의 돌기부(510c)는 상기 몰드(500a)의 돌기부(510a)와 비교하여 그 위치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쉬프트 되어 있고,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과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120)은 380nm~495nm의 파장을 차단할 수 있는 황색(yellow) 계열의 색을 나타내는 광 제어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d) 단계는, 필름(20b)을 롤러(600a)에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필름(20b) 상부에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을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이 도포된 필름(20a)이 상기 롤러(600a)와 상기 몰드(500a) 사이에 맞물리면서 삽입되는 단계와, 경화장치(70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이 경화되게 하고, 상기 몰드(500a)에 구비된 돌기부(510a)에 의해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되게 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이 상기 몰드(500a)와 롤러(600b) 사이에 맞물리면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e) 단계는,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20b)을 롤러(600e)에 장착하는 단계와,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20b) 상부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을 도포하는 단계와,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이 도포된 필름(20b)이 상기 롤러(600e)와 상기 몰드(500c) 사이에 맞물리면서 삽입되는 단계와, 경화장치(700)를 이용하여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이 경화되게 하고, 상기 몰드(500c)에 구비된 돌기부(510b)에 의해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이 형성되게 하는 단계와,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이 형성되고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이 형성된 필름(20b)이 상기 몰드(500c)와 롤러(600f) 사이에 맞물리면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몰드(500c)의 돌기부(510c)는 상기 몰드(500a)의 돌기부(510a)와 비교하여 그 위치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쉬프트 되어 있고,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을 형성하려는 필름(20b)의 면이 상기 몰드(500a)를 향하도록 필름(20a)을 배치하고,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을 형성하려는 필름(20b)의 면이 상기 몰드(500c)를 향하도록 필름(20b)을 배치하며, 롤러(600a, 600b)와 상기 몰드(500a)는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되고, 롤러(600e, 600f)와 상기 몰드(500c)는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서 상기 광 출력 표면(30)으로 수직으로 내린 경우에,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이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 위치에 대하여 쉬프트(shift)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몰드(500c)의 돌기부(510c)는 상기 몰드(500a)의 돌기부(510a)와 비교하여 'K' 만큼 쉬프트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K'의 범위는 0<K≤(P1/2; P1의 1/2, 여기서 'P1'은 광 입력 표면(10)에서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의 폭)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서의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의 폭(P1)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에서의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의 폭(P2)은 서로 동일할 수 있고,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서의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폭(W1)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에서의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폭(W2)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 제어층(100) 상부에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을 덮는 접착층(300)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광 제어층(200) 상부에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을 덮는 접착층(400)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 입력 표면(10), 기재층(20),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 대향하는 광 출력 표면(30), 상기 광 입력 표면(10)과 상기 기재층(20) 사이에 배치된 제1 광 제어층(100), 상기 기재층(20)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 사이에 배치된 제2 광 제어층(200)을 포함하는 광 제어 필름; 상기 광 입력 표면(10) 쪽으로 광을 방출하는 광원; 및 상기 광 출력 표면(30)으로부터 광을 수광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은 상기 광 입력 표면(10)과 상기 기재층(20) 사이에 배치된 교대로 있는 투과 영역(110) 및 흡수 영역(12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은 상기 기재층(20)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 사이에 배치된 교대로 있는 투과 영역(210) 및 흡수 영역(22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과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120)은 380nm~495nm의 파장을 차단할 수 있는 황색(yellow) 계열의 색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시광선 중 자외선에 가장 가까운 파장 영역이면서 짧고 강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시력 손상, 피부 손상 및 노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블루라이트 영역인 380∼495 nm 영역에 대한 흡수력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재층을 기준으로 양면에 제1 광 제어층과 제2 광 제어층이 형성되므로 시야각을 제어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광 제어층의 흡수 영역의 폭 및 간격과, 제2 광 제어층의 흡수 영역의 폭 및 간격을 조절하기가 용이하고 이에 따라 광 투과율및 시야각을 제어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이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 위치에 대하여 쉬프트(shift) 되어 있는 경우에는 좌우 비대칭의 광 투과율을 나타내며, 따라서 정면에서 마이너스 방향(도 9의 0 선을 기준으로 좌측)으로의 각도는 줄이고 정면에서 플라스 방향(도 9의 0 선을 기준으로 우측)의 각도는 시야각을 넓힘으로서 차량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 장착시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필름(LCF; light control film)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필름(LCF)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시야각 그래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광 제어 필름(LCF; light control film)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자동차에 적용된 경우에 운전자에게 보여지는 시야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제1 광 제어층의 흡수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몰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2 광 제어층의 흡수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일 예에 따른 몰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8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광 제어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9는 실시예 1에 따른 광 제어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20은 제2 광 제어층의 흡수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다른 예에 따른 몰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 내지 도 26은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광 제어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27은 실시예 2에 따른 광 제어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필름은, 광 입력 표면(10); 기재층(20);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 대향하는 광 출력 표면(30); 상기 광 입력 표면(10)과 상기 기재층(20) 사이에 배치된 제1 광 제어층(100); 및 상기 기재층(20)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 사이에 배치된 제2 광 제어층(20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은 상기 광 입력 표면(10)과 상기 기재층(20) 사이에 배치된 교대로 있는 투과 영역(110) 및 흡수 영역(12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은 상기 기재층(20)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 사이에 배치된 교대로 있는 투과 영역(210) 및 흡수 영역(2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과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120)은 380nm~495nm의 파장을 차단할 수 있는 황색(yellow) 계열의 색을 나타낸다.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서 상기 광 출력 표면(30)으로 수직으로 내린 경우에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과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이 서로 동일한 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서 상기 광 출력 표면(30)으로 수직으로 내린 경우에,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이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 위치에 대하여 쉬프트(shift)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이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에 비하여 'K' 만큼 이격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K'의 범위는 0<K≤(P1/2; P1의 1/2, 여기서 'P1'은 광 입력 표면(10)에서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의 폭)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서의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의 폭(P1)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에서의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의 폭(P2)은 서로 동일할 수 있고,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서의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폭(W1)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에서의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폭(W2)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 제어층(100) 상부에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을 덮는 접착층(30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광 제어층(200) 상부에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을 덮는 접착층(40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필름의 제조방법은, 광 입력 표면(10); 기재층(20);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 대향하는 광 출력 표면(30); 상기 광 입력 표면(10)과 상기 기재층(20) 사이에 배치된 제1 광 제어층(100); 및 상기 기재층(20)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 사이에 배치된 제2 광 제어층(200)을 포함하는 광 제어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에 대응하는 돌기부(510a)를 구비하는 몰드(500a)를 준비하는 단계와, (b)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에 대응하는 돌기부(510b)를 구비하는 몰드(500b)를 준비하는 단계와, (c) 기재층(20)을 포함하는 필름(20a)을 준비하는 단계와, (d) 상기 필름(20a) 상부에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을 도포하고,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이 경화되게 하면서 상기 몰드(500a)로 압착하여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을 형성하는 단계와, (e)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20a) 상부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을 도포하고,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이 경화되게 하면서 상기 몰드(500b)로 압착하여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을 형성하는 단계와, (f) 상기 홈(120a) 내부에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하는 단계 및 (g) 상기 홈(220a) 내부에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과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120)은 380nm~495nm의 파장을 차단할 수 있는 황색(yellow) 계열의 색을 나타낸다.
상기 (d) 단계는, 필름(20a)을 롤러(600a)에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필름(20a) 상부에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을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이 도포된 필름(20a)이 상기 롤러(600a)와 상기 몰드(500a) 사이에 맞물리면서 삽입되는 단계와, 경화장치(70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이 경화되게 하고, 상기 몰드(500a)에 구비된 돌기부(510a)에 의해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되게 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이 몰드(500a)와 롤러(600b) 사이에 맞물리면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e) 단계는,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20a)을 롤러(600e)에 장착하는 단계와,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20a) 상부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을 도포하는 단계와,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이 도포된 필름(20a)이 상기 롤러(600e)와 상기 몰드(500b) 사이에 맞물리면서 삽입되는 단계와, 경화장치(700)를 이용하여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이 경화되게 하고, 상기 몰드(500b)에 구비된 돌기부(510b)에 의해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이 형성되게 하는 단계와,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이 형성되고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이 형성된 필름(20a)이 상기 몰드(500b)와 롤러(600f) 사이에 맞물리면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을 형성하려는 필름(20a)의 면이 상기 몰드(500a)를 향하도록 필름(20a)을 배치하고,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을 형성하려는 필름(20a)의 면이 상기 몰드(500b)를 향하도록 필름(20a)을 배치하며, 롤러(600a, 600b)와 상기 몰드(500a)는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되고, 롤러(600e, 600f)와 상기 몰드(500b)는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서 상기 광 출력 표면(30)으로 수직으로 내린 경우에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과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이 서로 동일한 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서의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의 폭(P1)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에서의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의 폭(P2)은 서로 동일할 수 있고,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서의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폭(W1)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에서의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폭(W2)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 제어층(100) 상부에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을 덮는 접착층(300)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광 제어층(200) 상부에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을 덮는 접착층(400)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필름의 제조방법은, 광 입력 표면(10); 기재층(20);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 대향하는 광 출력 표면(30); 상기 광 입력 표면(10)과 상기 기재층(20) 사이에 배치된 제1 광 제어층(100); 및 상기 기재층(20)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 사이에 배치된 제2 광 제어층(200)을 포함하는 광 제어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에 대응하는 돌기부(510a)를 구비하는 몰드(500a)를 준비하는 단계와, (b)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에 대응하는 돌기부(510c)를 구비하는 몰드(500c)를 준비하는 단계와, (c) 기재층(20)을 포함하는 필름(20b)을 준비하는 단계와, (d) 상기 필름(20b) 상부에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을 도포하고,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이 경화되게 하면서 상기 몰드(500a)로 압착하여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을 형성하는 단계와, (e)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20b) 상부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을 도포하고,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이 경화되게 하면서 상기 몰드(500c)로 압착하여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을 형성하는 단계와, (f) 상기 홈(120a) 내부에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하는 단계 및 (g) 상기 홈(220a) 내부에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몰드(500c)의 돌기부(510c)는 상기 몰드(500a)의 돌기부(510a)와 비교하여 그 위치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쉬프트 되어 있고,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과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120)은 380nm~495nm의 파장을 차단할 수 있는 황색(yellow) 계열의 색을 나타낸다.
상기 (d) 단계는, 필름(20b)을 롤러(600a)에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필름(20b) 상부에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을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이 도포된 필름(20a)이 상기 롤러(600a)와 상기 몰드(500a) 사이에 맞물리면서 삽입되는 단계와, 경화장치(70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이 경화되게 하고, 상기 몰드(500a)에 구비된 돌기부(510a)에 의해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되게 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이 상기 몰드(500a)와 롤러(600b) 사이에 맞물리면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e) 단계는,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20b)을 롤러(600e)에 장착하는 단계와,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20b) 상부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을 도포하는 단계와,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이 도포된 필름(20b)이 상기 롤러(600e)와 상기 몰드(500c) 사이에 맞물리면서 삽입되는 단계와, 경화장치(700)를 이용하여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이 경화되게 하고, 상기 몰드(500c)에 구비된 돌기부(510b)에 의해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이 형성되게 하는 단계와,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이 형성되고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이 형성된 필름(20b)이 상기 몰드(500c)와 롤러(600f) 사이에 맞물리면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몰드(500c)의 돌기부(510c)는 상기 몰드(500a)의 돌기부(510a)와 비교하여 그 위치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쉬프트 되어 있고,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을 형성하려는 필름(20b)의 면이 상기 몰드(500a)를 향하도록 필름(20a)을 배치하고,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을 형성하려는 필름(20b)의 면이 상기 몰드(500c)를 향하도록 필름(20b)을 배치하며, 롤러(600a, 600b)와 상기 몰드(500a)는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되고, 롤러(600e, 600f)와 상기 몰드(500c)는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서 상기 광 출력 표면(30)으로 수직으로 내린 경우에,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이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 위치에 대하여 쉬프트(shift)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몰드(500c)의 돌기부(510c)는 상기 몰드(500a)의 돌기부(510a)와 비교하여 'K' 만큼 쉬프트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K'의 범위는 0<K≤(P1/2; P1의 1/2, 여기서 'P1'은 광 입력 표면(10)에서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의 폭)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서의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의 폭(P1)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에서의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의 폭(P2)은 서로 동일할 수 있고,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서의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폭(W1)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에서의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폭(W2)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 제어층(100) 상부에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을 덮는 접착층(300)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광 제어층(200) 상부에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을 덮는 접착층(400)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 입력 표면(10), 기재층(20),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 대향하는 광 출력 표면(30), 상기 광 입력 표면(10)과 상기 기재층(20) 사이에 배치된 제1 광 제어층(100), 상기 기재층(20)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 사이에 배치된 제2 광 제어층(200)을 포함하는 광 제어 필름; 상기 광 입력 표면(10) 쪽으로 광을 방출하는 광원; 및 상기 광 출력 표면(30)으로부터 광을 수광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은 상기 광 입력 표면(10)과 상기 기재층(20) 사이에 배치된 교대로 있는 투과 영역(110) 및 흡수 영역(12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은 상기 기재층(20)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 사이에 배치된 교대로 있는 투과 영역(210) 및 흡수 영역(2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과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120)은 380nm~495nm의 파장을 차단할 수 있는 황색(yellow) 계열의 색을 나타낸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상기 광 제어 필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광 시준 필름이라고도 하는 광 제어 필름(LCF; light control film)은 투광성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광학 필름이다.
광 제어 필름(LCF)은 각각의 특성을 고려하여 컴퓨터, 휴대폰, 입출금 장치(ATM),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화상으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요구되는 특성은 각 제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입출금 장치 등에서나 개인 프라이버시 노출을 피하기 위하여 작은 시야각이 요구될 수 있으며,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콘트라스트를 향상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야각을 제한하거나 콘트라스트를 향상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시야각을 좁힐 수 있는 광 제어 필름을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광 제어 필름(LCF)은 자동차 디스플레이 또는 항공전자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광원과 이미지 디스플레이 평면(예를 들어, LCD 패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주간 조건 동안의 고휘도가 가독성에는 바람직하지만, 광 표면, 예를 들어 전면 유리(front wind screen)에서 원하지 않는 반사를 야기할 수 있다. 원하지 않는 반사는 낮은 주변광 조건에서 더 분명하게 된다.
최근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 모니터, TV 등과 같이 광원을 이용한 여러 가지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 블루라이트가 발산되고 있으며, 특히 어두운 밤에도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늘어나 블루라이트에 많이 노출되고 있다. 블루라이트(blue light)는 380∼500 nm 파장대의 푸른빛을 말하는 것으로, 파장이 짧고 높은 에너지를 가지는 가시광선 영역에 해당한다.
이러한 블루라이트는 각막이나 수정체에 흡수되지 않은 채로 망막까지 도달하게 되어 백내장, 노인성황반변성과 같은 안구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고, 눈의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연구조사에 따르면 블루라이트를 인체 피부에 오랜 기간 조사하였을 때 표피 아래 피부가 상당 부분 손상을 입히며, 이러한 손상은 맨눈으로 볼 수 없으나 피부 조기 노화를 유발할 수 있으며, 겉피부에 자잘한 주근깨나 갈색 점들을 남길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은 가시광선 중 자외선에 가장 가까운 파장 영역이면서 짧고 강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시력 손상, 피부 손상 및 노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블루라이트 영역인 380∼495 nm 영역에 대한 흡수력이 우수하고, 기재층을 기준으로 양면에 제1 광 제어층과 제2 광 제어층이 형성되므로 시야각을 제어하기가 용이하고, 제1 광 제어층의 흡수 영역의 폭 및 간격과, 제2 광 제어층의 흡수 영역의 폭 및 간격을 조절하기가 용이하고 이에 따라 광 투과율 및 시야각을 제어하기가 용이한 광 제어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상기 광 제어 필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시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필름(LCF; light control film)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광 제어 필름(LCF)은 광 입력 표면(10), 기재층(20), 광 입력 표면(10)에 대향하는 광 출력 표면(30), 광 입력 표면(10)과 기재층(20) 사이에 배치된 제1 광 제어층(100), 기재층(20)과 광 출력 표면(30) 사이에 배치된 제2 광 제어층(200)을 포함한다.
제1 광 제어층(100)은 광 입력 표면(10)과 기재층(20) 사이에 배치된 교대로 있는 투과 영역(110) 및 흡수 영역(120)을 포함한다. 제1 광 제어층(100)에서 투과 영역(110) 및 흡수 영역(120)은 교대로 형성된다. 투과 영역(110)은 흡수 영역(120)에 의해 서로 이격된다. 흡수 영역(120)은 광 입력 표면(10)으로부터 기재층(20)을 향하면서 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광 제어층(200)은 기재층(20)과 광 출력 표면(30) 사이에 배치된 교대로 있는 투과 영역(210) 및 흡수 영역(220)을 포함한다. 제2 광 제어층(200)에서 투과 영역(110) 및 흡수 영역(120)은 교대로 형성된다. 투과 영역(210)은 흡수 영역(220)에 의해 서로 이격된다. 흡수 영역(220)은 광 입력 표면(10)으로부터 기재층(20)을 향하면서 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기재층(20)은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자외선 경화 수지 등의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층(20)은 폴리이미드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예컨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등), 폴리에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폴리에스테르 수지(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아크릴 수지(예컨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외의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재층(20)은 광 제어층(100, 200)을 지지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기재층(20)의 두께는 기재층(20)의 물질, 제1 광 제어층(100)의 두께, 제2 광 제어층(200)의 두께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투과 영역(110, 210)은 광을 투과시키는 영역으로 광 투과율이 높은 투광 물질을 포함하고 380nm~495nm의 파장을 차단할 수 있는 황색(yellow) 계열의 색을 나타낸다. 투과 영역(110, 210)은 광 투과율이 높은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자외선 경화 수지 등의 수지 재질과 황색(yellow) 계열의 염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과 영역(110, 210)에 수지는 폴리이미드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예컨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등), 폴리에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폴리에스테르 수지(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아크릴 수지(예컨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외의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황색 계열의 염료는 천연 염료, 합성 염료 등일 수 있으며, 그 물질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황색 계열 염료의 예로는 Metanil yellow dye, Perkadox-16(Akzo company), Benzotriazole 등을 들 수 있다.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과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황색(yellow) 계열의 염료와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투과 영역(110, 210)은 황색(yellow) 계열의 색을 나타내고, 가시광선 중 자외선에 가장 가까운 파장 영역이면서 짧고 강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시력 손상, 피부 손상 및 노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블루라이트 영역인 380∼495 nm 영역에 대한 흡수력이 우수하다. 황색(yellow) 계열의 색을 나타내는 염료는 색의 보색원리에 의해 550nm 이하의 빛(특히, 380∼495 nm 영역의 파장을 갖는 블루라이트)을 흡수하는 능력이 우수하다.
투과 영역(110)은 광 입력 표면(10)에서 기본 폭 "P1"를 가지며 피치 "W1" 만큼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고, 흡수 영역(120)과 기재층(20) 사이의 랜드 영역(land region) "L1"을 포함한다. 투과 영역(110)의 깊이는 랜드 영역(L1)의 높이와 흡수 영역(120)의 높이(H1)을 합한 값을 가질 수 있다.
투과 영역(210)은 광 출력 표면(30)에서 기본 폭 "P2"를 가지며 피치 "W2" 만큼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고, 흡수 영역(220)과 기재층(20) 사이의 랜드 영역(land region) "L2"을 포함한다. 투과 영역(210)의 깊이는 랜드 영역(L2)의 높이와 흡수 영역(220)의 높이(H2)을 합한 값을 가질 수 있다. 광 입력 표면(10)에서 투과 영역(110)의 폭(P1)과 광 출력 표면(30)에서 투과 영역(210)의 폭(P2)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흡수 영역(120, 220)은 광을 흡수하거나 반사하는 영역으로 광을 흡수 또는 반사하기 위한 광 차폐 물질을 포함한다. 일례로, 흡수 영역(120, 220)은 수지에 광 차폐 물질을 혼합한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수지로는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투과 영역(110, 210)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광 차폐 물질로는, 흑색 안료, 회색 안료 등과 같은 어두운 색상의 안료, 흑색 염료, 회색 염료 등과 같은 어두운 색상의 염료, 알루미늄, 은 등과 같은 금속, 금속 산화물, 카본 블랙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과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흡수 영역(120)은 높이 "H1"를 가지며, 광 입력 표면(10)에서 피치 "P1" 만큼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흡수 영역(120)의 종횡비(흡수 영역(120)의 폭(W1)에 대한 깊이(H1)의 비율)은 4 이상(예컨대, 4∼2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 영역(120)은 광 입력 표면(10)에서 기본 폭 "W1"을 가지며, 흡수 영역(120)의 폭(W1)은 투과 영역(110)의 피치(W1)에 해당하는 값을 가진다.
흡수 영역(220)은 높이 "H2"를 가지며, 광 출력 표면(30)에서 피치 "P2" 만큼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흡수 영역(220)의 종횡비(흡수 영역(220)의 폭(W2)에 대한 깊이(H2)의 비율)은 4 이상(예컨대, 4∼2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 영역(220)은 광 출력 표면(30)에서 기본 폭 "W2"을 가지며, 흡수 영역(220)의 폭(W2)은 투과 영역(210)의 피치(W2)에 해당하는 값을 가진다. 광 입력 표면(10)에서 흡수 영역(120)의 폭(W1)과 광 출력 표면(30)에서 흡수 영역(220)의 폭(W2)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 제어층(100) 상에는 제1 광 제어층(100)을 덮는 접착층(3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층(300)은 제1 광 제어층(10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광 제어 필름을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접착할 때 사용하는 층이다. 접착층(300)은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일례로, 감압성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광 제어 필름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광 제어 필름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쉽게 접착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광 제어층(200) 상에도 제2 광 제어층(200)을 덮는 접착층(4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층(400)은 제2 광 제어층(20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광 제어 필름을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접착할 때 사용하는 층이다. 접착층(400)은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일례로, 감압성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광 제어 필름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광 제어 필름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쉽게 접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필름은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적용되어 투과 영역(110, 210)에서만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의하여 시야각을 제어하여 보안 기능을 향상할 수 있으며 콘트라스트를 향상할 수 있다.
투과 영역(110, 210)의 폭 및 간격, 흡수 영역(120, 220)의 폭 및 간격, 투과 영역(110, 210)의 종횡비(aspect ratio), 투과 영역(110, 210)의 측면(좀더 상세하게는 투과 영역(110)과 흡수 영역(120) 사이의 계면, 투과 영역(210)과 흡수 영역(220) 사이의 계면) 기울기에 따라 투과 영역(110, 210)을 통과하는 광의 특성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또한, 기재층(20)을 기준으로 양면에 제1 광 제어층(100)과 제2 광 제어층(200)이 형성되므로, 시야각을 제어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제1 광 제어층의 흡수 영역의 폭 및 간격과, 제2 광 제어층의 흡수 영역의 폭 및 간격을 조절하기가 용이하고 이에 따라 광 투과율 및 시야각을 제어하기가 용이하다.
<실시예 2>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필름(LCF; light control film)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광 제어 필름(LCF)은 광 입력 표면(10), 기재층(20), 광 입력 표면(10)에 대향하는 광 출력 표면(30), 광 입력 표면(10)과 기재층(20) 사이에 배치된 제1 광 제어층(100), 기재층(20)과 광 출력 표면(30) 사이에 배치된 제2 광 제어층(200)을 포함한다.
제1 광 제어층(100)은 광 입력 표면(10)과 기재층(20) 사이에 배치된 교대로 있는 투과 영역(110) 및 흡수 영역(120)을 포함한다. 제1 광 제어층(100)에서 투과 영역(110) 및 흡수 영역(120)은 교대로 형성된다. 투과 영역(110)은 흡수 영역(120)에 의해 서로 이격된다. 흡수 영역(120)은 광 입력 표면(10)으로부터 기재층(20)을 향하면서 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광 제어층(200)은 기재층(20)과 광 출력 표면(30) 사이에 배치된 교대로 있는 투과 영역(210) 및 흡수 영역(220)을 포함한다. 제2 광 제어층(200)에서 투과 영역(110) 및 흡수 영역(120)은 교대로 형성된다. 투과 영역(210)은 흡수 영역(220)에 의해 서로 이격된다. 흡수 영역(220)은 광 입력 표면(10)으로부터 기재층(20)을 향하면서 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기재층(20)은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자외선 경화 수지 등의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층(20)은 폴리이미드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예컨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등), 폴리에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폴리에스테르 수지(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아크릴 수지(예컨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외의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재층(20)은 광 제어층(100, 200)을 지지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기재층(20)의 두께는 기재층(20)의 물질, 제1 광 제어층(100)의 두께, 제2 광 제어층(200)의 두께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투과 영역(110, 210)은 광을 투과시키는 영역으로 광 투과율이 높은 투광 물질을 포함하고 380nm~495nm의 파장을 차단할 수 있는 황색(yellow) 계열의 색을 나타낸다. 투과 영역(110, 210)은 광 투과율이 높은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자외선 경화 수지 등의 수지 재질과 황색(yellow) 계열의 염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과 영역(110, 210)은 폴리이미드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예컨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등), 폴리에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폴리에스테르 수지(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아크릴 수지(예컨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외의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황색 계열의 염료는 천연 염료, 합성 염료 등일 수 있으며, 그 물질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황색 계열 염료의 예로는 Metanil yellow dye, Perkadox-16(Akzo company), Benzotriazole 등을 들 수 있다.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과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황색(yellow) 계열의 염료와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투과 영역(110, 210)은 황색(yellow) 계열의 색을 나타내고, 가시광선 중 자외선에 가장 가까운 파장 영역이면서 짧고 강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시력 손상, 피부 손상 및 노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블루라이트 영역인 380∼495 nm 영역에 대한 흡수력이 우수하다. 황색(yellow) 계열의 색을 나타내는 염료는 색의 보색원리에 의해 550nm 이하의 빛(특히, 380∼495 nm 영역의 파장을 갖는 블루라이트)을 흡수하는 능력이 우수하다.
투과 영역(110)은 광 입력 표면(10)에서 기본 폭 "P1"를 가지며 피치 "W1" 만큼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고, 흡수 영역(120)과 기재층(20) 사이의 랜드 영역(land region) "L1"을 포함한다. 투과 영역(110)의 깊이는 랜드 영역(L1)의 높이와 흡수 영역(120)의 높이(H1)을 합한 값을 가질 수 있다.
투과 영역(210)은 광 출력 표면(30)에서 기본 폭 "P2"를 가지며 피치 "W2" 만큼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고, 흡수 영역(220)과 기재층(20) 사이의 랜드 영역(land region) "L2"을 포함한다. 투과 영역(210)의 깊이는 랜드 영역(L2)의 높이와 흡수 영역(220)의 높이(H2)을 합한 값을 가질 수 있다. 광 입력 표면(10)에서 투과 영역(110)의 폭(P1)과 광 출력 표면(30)에서 투과 영역(210)의 폭(P2)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흡수 영역(120, 220)은 광을 흡수하거나 반사하는 영역으로 광을 흡수 또는 반사하기 위한 광 차폐 물질을 포함한다. 일례로, 흡수 영역(120, 220)은 수지에 광 차폐 물질을 혼합한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수지로는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투과 영역(110, 210)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광 차폐 물질로는, 흑색 안료, 회색 안료 등과 같은 어두운 색상의 안료, 흑색 염료, 회색 염료 등과 같은 어두운 색상의 염료, 알루미늄, 은 등과 같은 금속, 금속 산화물, 카본 블랙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과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흡수 영역(120)은 높이 "H1"를 가지며, 광 입력 표면(10)에서 피치 "P1" 만큼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흡수 영역(120)의 종횡비(흡수 영역(120)의 폭(W1)에 대한 깊이(H1)의 비율)은 4 이상(예컨대, 4∼2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 영역(120)은 광 입력 표면(10)에서 기본 폭 "W1"을 가지며, 흡수 영역(120)의 폭(W1)은 투과 영역(110)의 피치(W1)에 해당하는 값을 가진다.
흡수 영역(220)은 높이 "H2"를 가지며, 광 출력 표면(30)에서 피치 "P2" 만큼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흡수 영역(220)의 종횡비(흡수 영역(220)의 폭(W2)에 대한 깊이(H2)의 비율)은 4 이상(예컨대, 4∼2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 영역(220)은 광 출력 표면(30)에서 기본 폭 "W2"을 가지며, 흡수 영역(220)의 폭(W2)은 투과 영역(210)의 피치(W2)에 해당하는 값을 가진다. 광 입력 표면(10)에서 흡수 영역(120)의 폭(W1)과 광 출력 표면(30)에서 흡수 영역(220)의 폭(W2)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 제어층(100) 상에는 제1 광 제어층(100)을 덮는 접착층(3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층(300)은 제1 광 제어층(10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광 제어 필름을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접착할 때 사용하는 층이다. 접착층(300)은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일례로, 감압성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광 제어 필름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광 제어 필름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쉽게 접착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광 제어층(200) 상에도 제2 광 제어층(200)을 덮는 접착층(4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층(400)은 제2 광 제어층(20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광 제어 필름을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접착할 때 사용하는 층이다. 접착층(400)은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일례로, 감압성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광 제어 필름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광 제어 필름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쉽게 접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필름은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적용되어 투과 영역(110, 210)에서만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의하여 시야각을 제어하여 보안 기능을 향상할 수 있으며 콘트라스트를 향상할 수 있다.
투과 영역(110, 210)의 폭 및 간격, 흡수 영역(120, 220)의 폭 및 간격, 투과 영역(110, 210)의 종횡비(aspect ratio), 투과 영역(110, 210)의 측면(좀더 상세하게는 투과 영역(110)과 흡수 영역(120) 사이의 계면, 투과 영역(210)과 흡수 영역(220) 사이의 계면) 기울기에 따라 투과 영역(110, 210)을 통과하는 광의 특성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기재층(20)을 기준으로 양면에 제1 광 제어층(100)과 제2 광 제어층(200)이 형성되므로, 시야각을 제어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제1 광 제어층의 흡수 영역의 폭 및 간격과, 제2 광 제어층의 흡수 영역의 폭 및 간격을 조절하기가 용이하고 이에 따라 광 투과율 및 시야각을 제어하기가 용이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과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은 광 입력 표면(10)에서 광 출력 표면(30)으로 수직으로 내린 경우에 서로 동일한 선 상에 위치하지 않는다.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이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 위치에 대하여 오프-센터(Off-center) 되어 있다. 즉, 광 입력 표면(10)에서 광 출력 표면(30)으로 수직으로 내린 경우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이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 위치에 대하여 쉬프트(shift)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입력 표면(10)에서 광 출력 표면(30)으로 수직으로 내린 경우에,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이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에 비하여 'K' 만큼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K'의 범위는 0<K≤(P1/2; P1의 1/2, 여기서 'P1'은 광 입력 표면(10)에서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의 폭)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W1/2; W1의 1/2, 여기서 'W1'은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폭)=K=(P1/2; P1의 1/2, 여기서 'P1'은 광 입력 표면(10)에서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의 폭)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이라 함은 흡수 영역(120)의 폭(W1)의 반(1/2) 지점에서 하부(광 입력 표면(10)으로부터 광 출력 표면(30) 방향)로 수직하게 내린 선을 의미한다.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이라 함은 흡수 영역(220)의 폭(W2)의 반(1/2) 지점에서 상부(광 출력 표면(30)으로부터 광 입력 표면(10) 방향)로 수직하게 올린 선을 의미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입력 표면(10)에서 광 출력 표면(30)으로 수직으로 내린 경우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과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이 서로 동일한 선 상에 위치할 경우에는 도 9의 (a) 나타낸 바와 같은 투과율을 나타내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입력 표면(10)에서 광 출력 표면(30)으로 수직으로 내린 경우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과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이 서로 동일한 선 상에 위치하지 않고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이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 위치에 대하여 쉬프트(shift) 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투과율을 나타낸다. 도 9의 (a)는 O 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의 광 투과율을 나타내며, 도 9의 (b)는 0 선을 기준으로 좌우 비대칭의 광 투과율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이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 위치에 대하여 쉬프트(shift) 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투과율을 나타내게 되며, 따라서, 정면에서 마이너스 방향(도 9의 0 선을 기준으로 좌측)으로의 각도는 줄이고 정면에서 플라스 방향(도 9의 0 선을 기준으로 우측)의 각도는 시야각을 넓힘으로서 차량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 장착시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9의 (a)는 나타낸 바와 같은 투과율을 나타내는 경우에, 도 10에서 'A'를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라 할 때, 정면에서 나오는 디스플레이 광의 정방향은 빨간 선(60)을 기준으로 퍼져 일부 디스플레이 광은 차량의 앞유리에 반사(50) 되게 되어 반사된 광이 운전자의 시야에 들어와 운전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광제어 필름을 적용하여 광의 퍼짐을 광의 정방향(60)에서 각각 좌우로 약 30도씩 가리게 하여 차량 유리에 반사되지 않토록 하였고, 이때 시야각은 α의 시야각을 갖게 된다. 이때, 광축의 중앙은 도 10의 '60'이 되게 되며, 운전자는 디스플레이광의 일부만을 통하여 정보를 얻게 된다.
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필름(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광 제어 필름)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A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나 오는 광의 정방향(70)은 약 5도~20도 정도 틀어지게 되어 β의 시야각을 갖게 된다. 이러한 특성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나오는 영상을 운전자의 시야에 정확하게 전달 할 수 있게 할 수 있어 운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 입력 표면(10), 기재층(20),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 대향하는 광 출력 표면(30), 상기 광 입력 표면(10)과 상기 기재층(20) 사이에 배치된 제1 광 제어층(100), 상기 기재층(20)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 사이에 배치된 제2 광 제어층(200)을 포함하는 광 제어 필름(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광 제어 필름 또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광 제어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광 입력 표면(10) 쪽으로 광을 방출하는 광원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으로부터 광을 수광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은 상기 광 입력 표면(10)과 상기 기재층(20) 사이에 배치된 교대로 있는 투과 영역(110) 및 흡수 영역(120)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은 상기 기재층(20)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 사이에 배치된 교대로 있는 투과 영역(210) 및 흡수 영역(2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과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120)은 380nm~495nm의 파장을 차단할 수 있는 황색(yellow) 계열의 색을 나타낸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필름의 제조 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3>
도 11은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형성하기 위한 몰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형성하기 위한 몰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 내지 도 18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광 제어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1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에 대응하는 복수의 돌기부(510a)를 구비하는 몰드(500a)(도 11 참조)를 준비한다. 이러한 몰드(500a)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기부(510a)는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돌기부(510a)는 일정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20)을 포함하는 필름(20a)을 준비한다. 기재층(20)을 포함하는 필름(20a)은 기재층(20)으로 이루어진 필름일 수 있다.
필름(20a) 상부에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을 도포하고,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이 경화되게 하면서 몰드(500a)를 이용하여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을 형성한다.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은 제1 광 제어층(100)을 형성하려는 면(필름의 면) 상부에 도포된다. 자외선 램프(UV Lamp) 등의 경화장치를 이용하여 필름(20a) 상부에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을 경화시키면서 몰드(500a)를 이용하여 필름(20a)을 압착한다.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이 도포된 면이 몰드(500a)를 향하도록 필름(20a)을 압착한다.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이 경화되면서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동시에 몰드(500a)에 구비된 돌기부(510a)에 의해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도 형성되게 된다.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은 광 입력 표면(10)으로부터 기재층(20)을 향하면서 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에 대응하는 복수의 돌기부(510b)를 구비하는 몰드(500b)(도 12 참조)를 준비한다. 이러한 몰드(500b)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기부(510b)는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돌기부(510b)는 일정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20a) 상부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을 도포하고,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이 경화되게 하면서 몰드(500b)를 이용하여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을 형성한다.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은 제2 광 제어층(200)을 형성하려는 면(필름의 면) 상부에 도포된다. 자외선 램프(UV Lamp) 등의 경화장치를 이용하여 필름(20a) 상부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을 경화시키면서 몰드(500b)를 이용하여 필름(20a)을 압착한다.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이 도포된 면이 몰드(500b)를 향하도록 필름(20a)을 압착한다.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이 경화되면서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이 형성되고, 동시에 몰드(500b)에 구비된 돌기부(510b)에 의해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도 형성되게 된다.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은 광 출력 표면(30)으로부터 기재층(20)을 향하면서 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홈(120a) 내부에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한다. 일례로, 기재층(20) 상부에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20a)을 준비하고, 상기 필름(20a)에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전체적으로 도포한 후에 홈(120a)을 제외한 부분에 도포된 물질을 제거하여 홈(120a) 내에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할 수 있다. 홈(120a) 내에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하고 자외선 램프, 열처리 등에 의하여 경화시키면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이 형성된다.
홈(220a) 내부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한다. 일례로, 기재층(20) 상부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이 형성되고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이 형성된 필름(20a)을 준비하고, 상기 필름(20a)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전체적으로 도포한 후에 홈(220a)을 제외한 부분에 도포된 물질을 제거하여 홈(220a) 내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할 수 있다. 홈(220a) 내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하고 자외선 램프, 열처리 등에 의하여 경화시키면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과 흡수 영역(120) 위에 접착층(3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과 흡수 영역(220) 위에 접착층(4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광 제어 필름의 제조 방법을 일 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후술하는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9는 실시예 1에 따른 광 제어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19에서 몰드(500a)의 돌기부(510a)와 몰드(500b)의 돌기부(510b)는 도면 작성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하지는 않았으며, 자세한 도면은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된다.
도 11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기재층(도 1의 '20' 참조)을 포함하는 필름(20a)을 준비한다. 기재층을 포함하는 필름(20a)은 기재층(20)으로 이루어진 필름일 수 있다. 기재층은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자외선 경화 수지 등의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층은 폴리이미드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예컨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등), 폴리에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폴리에스테르 수지(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아크릴 수지(예컨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외의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재층은 광 제어층(100, 200)을 지지할 수 있는 두께를 갖는다. 기재층의 두께는 기재층의 물질, 제1 광 제어층(100)의 두께, 제2 광 제어층(200)의 두께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에 대응하는 돌기부(510a)를 구비하는 몰드(500a)를 준비한다. 이러한 몰드(500a)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기부(510a)는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필름(20a)을 이송시키기 위한 롤러(roller)(600a, 600b)를 준비한다.
롤러(600a, 600b)와 몰드(500a)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롤러(600a, 600b)와 몰드(500a)은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된다. 예컨대, 롤러(600a, 600b)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몰드(500a)는 역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구비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몰드(500a)에는 복수 개의 롤러(600a, 600b)가 맞물리면서 배치될 수 있다.
필름(20a)을 롤러(roller)(600a)에 장착한다.
롤러(600a)와 몰드(500a) 사이에 필름(20a)이 맞물리면서 삽입되게 롤러(600a)를 이용하여 필름(20a)을 이동시킨다. 이때, 제1 광 제어층(100)을 형성하려는 면(필름의 면)이 몰드(500a)를 향하도록 필름(20a)을 배치한다.
롤러(600a)와 몰드(500a) 사이에 필름(20a)이 맞물리면서 삽입되기 전에, 필름(20a) 상부에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을 도포한다.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은 제1 광 제어층(100)을 형성하려는 면(필름의 면) 상부에 도포된다. 투과 영역(110)은 광 투과율이 높은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자외선 경화 수지 등의 수지 재질과 황색(yellow) 계열의 염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은 폴리이미드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예컨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등), 폴리에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폴리에스테르 수지(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아크릴 수지(예컨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등의 수지와, 황색(yellow) 계열의 염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외의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황색 계열의 염료는 천연 염료, 합성 염료 등일 수 있으며, 그 물질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황색 계열 염료의 예로는 Metanil yellow dye, Perkadox-16(Akzo company), Benzotriazole 등을 들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500a)에는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에 대응하는 돌기부(510a)가 구비되어 있다. 필름(20a) 상부에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이 도포되고,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이 도포된 필름(20a)이 롤러(600a)와 몰드(500a) 사이에 삽입된다.
자외선 램프 등의 경화장치(700)를 이용하여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을 경화시킨다.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이 도포된 필름(20a) 면의 반대쪽을 향하도록 경화장치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500a) 일측(예컨대, 하부)에 경화장치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이 경화되면서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게 되고, 또한 몰드(500a)에 구비된 돌기부(510a)에 의해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되게 된다. 홈(120a)과 기재층(20) 사이에는 투과 영역으로 이루어진 랜드 영역(land region)(L1)이 존재한다. 투과 영역(110)의 깊이는 랜드 영역(L1)의 높이와 홈(120a)의 높이(H1)을 합한 값을 가질 수 있다. 황색(yellow) 계열의 염료와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투과 영역(110)은 황색(yellow) 계열의 색을 나타내고, 가시광선 중 자외선에 가장 가까운 파장 영역이면서 짧고 강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시력 손상, 피부 손상 및 노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블루라이트 영역인 380∼495 nm 영역에 대한 흡수력이 우수하다. 황색(yellow) 계열의 색을 나타내는 염료는 색의 보색원리에 의해 550nm 이하의 빛(특히, 380∼495 nm 영역의 파장을 갖는 블루라이트)을 흡수하는 능력이 우수하다.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과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은 몰드(500a)와 롤러(600b) 사이에 맞물리면서 배출되고, 롤러(600c, 600d) 등의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되며,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과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로 유입된다.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에 대응하는 돌기부(510b)를 구비하는 몰드(500b)를 준비한다. 이러한 몰드(500b)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기부(510b)는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20a)을 이송시키기 위한 롤러(roller)(600e, 600f)를 준비한다.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20a)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 형태를 갖게 된다.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20a)을 롤러(600e)에 장착한다.
롤러(600e, 600f)와 몰드(500b)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롤러(600e, 600f)와 몰드(500b)은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된다. 예컨대, 롤러(600e, 600f)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몰드(500b)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구비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몰드(500b)에는 복수 개의 롤러(600e, 600f)가 맞물리면서 배치될 수 있다.
롤러(600e)와 몰드(500b) 사이에 필름(20a)이 맞물리면서 삽입되게 롤러(600e)를 이용하여 필름(20a)을 이동시킨다. 이때, 제2 광 제어층(200)을 형성하려는 면(필름의 면)이 몰드(500b)를 향하도록 필름(20a)을 배치한다.
롤러(600e)와 몰드(500b) 사이에 필름(20a)이 맞물리면서 삽입되기 전에, 필름(20a) 상부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을 도포한다.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은 제2 광 제어층(200)을 형성하려는 면(필름의 면) 상부에 도포된다.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은 광 투과율이 높은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자외선 경화 수지 등의 수지 재질과 황색(yellow) 계열의 염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과 영역(210)은 폴리이미드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예컨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등), 폴리에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폴리에스테르 수지(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아크릴 수지(예컨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등의 수지와, 황색(yellow) 계열의 염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외의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황색 계열의 염료는 천연 염료, 합성 염료 등일 수 있으며, 그 물질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황색 계열 염료의 예로는 Metanil yellow dye, Perkadox-16(Akzo company), Benzotriazole 등을 들 수 있다.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과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몰드(500b)에는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에 대응하는 돌기부(510b)가 구비되어 있다. 필름(20a) 상부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이 도포되고,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이 도포된 필름(20a)이 롤러(600e)와 몰드(500b) 사이에 삽입된다.
자외선 램프 등의 경화장치(700)를 이용하여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을 경화시킨다.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이 도포된 필름(20a) 면의 반대쪽을 향하도록 경화장치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500b) 일측(예컨대, 측면)에 경화장치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이 경화되면서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이 형성되게 되고, 또한 몰드(500b)에 구비된 돌기부(510b)에 의해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이 형성되게 된다. 홈(220a)과 기재층(20) 사이에는 투과 영역(110)인 랜드 영역(land region)(L2)이 존재한다. 투과 영역(210)의 깊이는 랜드 영역(L2)의 높이와 홈(220a)의 높이(H2)을 합한 값을 가질 수 있다. 황색(yellow) 계열의 염료와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투과 영역(210)은 황색(yellow) 계열의 색을 나타내고, 가시광선 중 자외선에 가장 가까운 파장 영역이면서 짧고 강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시력 손상, 피부 손상 및 노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블루라이트 영역인 380∼495 nm 영역에 대한 흡수력이 우수하다. 황색(yellow) 계열의 색을 나타내는 염료는 색의 보색원리에 의해 550nm 이하의 빛(특히, 380∼495 nm 영역의 파장을 갖는 블루라이트)을 흡수하는 능력이 우수하다.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이 형성되고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이 형성된 필름(20a)은 몰드(500b)와 롤러(600f) 사이에 맞물리면서 배출되고, 롤러(600g) 등의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된다.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이 형성되고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이 형성된 필름(20a)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 형태를 갖게 된다.
홈(120a) 내부에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한다. 일례로, 기재층(20) 상부에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20a)을 준비하고, 상기 필름(20a)에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전체적으로 도포한 후에 홈(120a)을 제외한 부분에 도포된 물질을 제거하여 홈(120a) 내에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할 수 있다.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은 광을 흡수하거나 반사하는 영역으로 광을 흡수 또는 반사하기 위한 광 차폐 물질을 포함한다. 일례로,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은 수지에 광 차폐 물질을 혼합한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수지로는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투과 영역(110, 210)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광 차폐 물질로는, 흑색 안료, 회색 안료 등과 같은 어두운 색상의 안료, 흑색 염료, 회색 염료 등과 같은 어두운 색상의 염료, 알루미늄, 은 등과 같은 금속, 금속 산화물, 카본 블랙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홈(120a) 내에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하고 자외선 램프, 열처리 등에 의하여 경화시키면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이 형성된다.
홈(220a) 내부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한다. 일례로, 기재층(20) 상부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이 형성되고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이 형성된 필름(20a)을 준비하고, 상기 필름(20a)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전체적으로 도포한 후에 홈(220a)을 제외한 부분에 도포된 물질을 제거하여 홈(220a) 내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할 수 있다.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은 광을 흡수하거나 반사하는 영역으로 광을 흡수 또는 반사하기 위한 광 차폐 물질을 포함한다. 일례로,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은 수지에 광 차폐 물질을 혼합한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수지로는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투과 영역(110, 210)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광 차폐 물질로는, 흑색 안료, 회색 안료 등과 같은 어두운 색상의 안료, 흑색 염료, 회색 염료 등과 같은 어두운 색상의 염료, 알루미늄, 은 등과 같은 금속, 금속 산화물, 카본 블랙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홈(220a) 내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하고 자외선 램프, 열처리 등에 의하여 경화시키면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과 흡수 영역(120) 위에 접착층(3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접착층(300)은 접착제에 의해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과 흡수 영역(120)의 표면에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UV-경화성 아크릴레이트 접착제, 전사 접착제(transfer adhesive) 등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일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과 흡수 영역(220) 위에 접착층(4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접착층(400)은 접착제에 의해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과 흡수 영역(220)의 표면에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UV-경화성 아크릴레이트 접착제, 전사 접착제(transfer adhesive) 등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일 수 있다.
제1 광 제어층(100)과 제2 광 제어층(200)이 형성된 필름은 적절한 크기로 재단되어 광 제어 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1은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형성하기 위한 몰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은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형성하기 위한 몰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1 내지 도 26은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광 제어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1, 도 20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에 대응하는 복수의 돌기부(510a)를 구비하는 몰드(500a)(도 11 참조)를 준비한다. 이러한 몰드(500a)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기부(510a)는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돌기부(510a)는 일정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20)을 포함하는 필름(20b)을 준비한다. 기재층(20)을 포함하는 필름(20b)은 기재층(20)으로 이루어진 필름일 수 있다.
필름(20b) 상부에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을 도포하고,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이 경화되게 하면서 몰드(500a)를 이용하여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을 형성한다.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은 제1 광 제어층(100)을 형성하려는 면(필름의 면) 상부에 도포된다. 자외선 램프(UV Lamp) 등의 경화장치를 이용하여 필름(20b) 상부에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을 경화시키면서 몰드(500a)를 이용하여 필름(20b)을 압착한다.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이 도포된 면이 몰드(500a)를 향하도록 필름(20b)을 압착한다.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이 경화되면서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동시에 몰드(500a)에 구비된 돌기부(510a)에 의해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도 형성되게 된다.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은 광 입력 표면(10)으로부터 기재층(20)을 향하면서 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에 대응하는 복수의 돌기부(510c)를 구비하는 몰드(500c)(도 20 참조)를 준비한다. 이러한 몰드(500c)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기부(510c)는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돌기부(510c)는 일정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0에 도시된 몰드(500c)의 돌기부(510c)는 도 11에 도시된 몰드(500a)의 돌기부(510a)와 비교하여 그 위치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쉬프트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몰드(500c)의 돌기부(510c)는 도 11에 도시된 몰드(500a)의 돌기부(510a)와 비교하여 'K' 만큼 쉬프트되어 있고, 상기 'K'의 범위는 0<K≤(P1/2; P1의 1/2, 여기서 'P1'은 광 입력 표면(10)에서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의 폭)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W1/2; W1의 1/2, 여기서 'W1'은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폭)=K=(P1/2; P1의 1/2, 여기서 'P1'은 광 입력 표면(10)에서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의 폭)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20b) 상부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을 도포하고,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이 경화되게 하면서 몰드(500c)를 이용하여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을 형성한다.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은 제2 광 제어층(200)을 형성하려는 면(필름의 면) 상부에 도포된다. 자외선 램프(UV Lamp) 등의 경화장치를 이용하여 필름(20b) 상부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을 경화시키면서 몰드(500c)를 이용하여 필름(20b)을 압착한다.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이 도포된 면이 몰드(500c)를 향하도록 필름(20b)을 압착한다.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이 경화되면서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이 형성되고, 동시에 몰드(500c)에 구비된 돌기부(510c)에 의해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도 형성되게 된다.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은 광 출력 표면(30)으로부터 기재층(20)을 향하면서 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120a)의 중심선(122)과 홈(220a)의 중심선(222)은 광 입력 표면(10)에서 광 출력 표면(30)으로 수직으로 내린 경우에 서로 동일한 선 상에 위치하지 않는다. 홈(220a)의 중심선(222)이 홈(120a)의 중심선(122) 위치에 대하여 오프-센터(Off-center) 되어 있다. 즉, 광 입력 표면(10)에서 광 출력 표면(30)으로 수직으로 내린 경우에, 홈(220a)의 중심선(222)이 홈(120a)의 중심선(122) 위치에 대하여 쉬프트(shift) 되어 있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입력 표면(10)에서 광 출력 표면(30)으로 수직으로 내린 경우에, 홈(220a)의 중심선(222)이 홈(120a)의 중심선(122)에 비하여 'K' 만큼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K'의 범위는 0<K≤(P1/2; P1의 1/2, 여기서 'P1'은 광 입력 표면(10)에서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의 폭)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W1/2; W1의 1/2, 여기서 'W1'은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폭)=K=(P1/2; P1의 1/2, 여기서 'P1'은 광 입력 표면(10)에서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의 폭)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홈(120a) 내부에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한다. 일례로, 기재층(20) 상부에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20b)을 준비하고, 상기 필름(20b)에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전체적으로 도포한 후에 홈(120a)을 제외한 부분에 도포된 물질을 제거하여 홈(120a) 내에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할 수 있다. 홈(120a) 내에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하고 자외선 램프, 열처리 등에 의하여 경화시키면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이 형성된다.
홈(220a) 내부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한다. 일례로, 기재층(20) 상부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이 형성되고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이 형성된 필름(20b)을 준비하고, 상기 필름(20b)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전체적으로 도포한 후에 홈(220a)을 제외한 부분에 도포된 물질을 제거하여 홈(220a) 내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할 수 있다. 홈(220a) 내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하고 자외선 램프, 열처리 등에 의하여 경화시키면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이 형성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과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은 광 입력 표면(10)에서 광 출력 표면(30)으로 수직으로 내린 경우에 서로 동일한 선 상에 위치하지 않는다.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이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 위치에 대하여 오프-센터(Off-center) 되어 있다. 즉, 광 입력 표면(10)에서 광 출력 표면(30)으로 수직으로 내린 경우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이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 위치에 대하여 쉬프트(shift) 되어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입력 표면(10)에서 광 출력 표면(30)으로 수직으로 내린 경우에,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이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에 비하여 'K' 만큼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K'의 범위는 0<K≤(P1/2; P1의 1/2, 여기서 'P1'은 광 입력 표면(10)에서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의 폭)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W1/2; W1의 1/2, 여기서 'W1'은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폭)=K=(P1/2; P1의 1/2, 여기서 'P1'은 광 입력 표면(10)에서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의 폭)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이라 함은 흡수 영역(120)의 폭(W1)의 반(1/2) 지점에서 하부(광 입력 표면(10)으로부터 광 출력 표면(30) 방향)로 수직하게 내린 선을 의미한다.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이라 함은 흡수 영역(220)의 폭(W2)의 반(1/2) 지점에서 상부(광 출력 표면(30)으로부터 광 입력 표면(10) 방향)로 수직하게 올린 선을 의미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입력 표면(10)에서 광 출력 표면(30)으로 수직으로 내린 경우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과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이 서로 동일한 선 상에 위치할 경우에는 도 9의 (a) 나타낸 바와 같은 투과율을 나타내나,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입력 표면(10)에서 광 출력 표면(30)으로 수직으로 내린 경우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과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이 서로 동일한 선 상에 위치하지 않고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이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 위치에 대하여 쉬프트(shift) 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투과율을 나타낸다. 도 9의 (a)는 O 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의 광 투과율을 나타내며, 도 9의 (b)는 0 선을 기준으로 좌우 비대칭의 광 투과율을 나타낸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이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 위치에 대하여 쉬프트(shift) 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투과율을 나타내게 되며, 따라서, 정면에서 마이너스 방향(도 9의 0 선을 기준으로 좌측)으로의 각도는 줄이고 정면에서 플라스 방향(도 9의 0 선을 기준으로 우측)의 각도는 시야각을 넓힘으로서 차량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 장착시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9의 (a)는 나타낸 바와 같은 투과율을 나타내는 경우에, 도 10에서 'A'를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라 할 때, 정면에서 나오는 디스플레이 광의 정방향은 빨간 선(60)을 기준으로 퍼져 일부 디스플레이 광은 차량의 앞유리에 반사(50) 되게 되어 반사된 광이 운전자의 시야에 들어와 운전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광제어 필름을 적용하여 광의 퍼짐을 광의 정방향(60)에서 각각 좌우로 약 30도씩 가리게 하여 차량 유리에 반사되지 않토록 하였고, 이때 시야각은 α의 시야각을 갖게 된다. 이때, 광축의 중앙은 도 10의 '60'이 되게 되며, 운전자는 디스플레이광의 일부만을 통하여 정보를 얻게 된다.
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필름(도 26에 나타낸 광 제어 필름)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A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나 오는 광의 정방향(70)은 약 5도~20도 정도 틀어지게 되어 β의 시야각을 갖게 된다. 이러한 특성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나오는 영상을 운전자의 시야에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할 수 있어 운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과 흡수 영역(120) 위에 접착층(3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과 흡수 영역(220) 위에 접착층(4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광 제어 필름의 제조 방법을 일 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후술하는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7은 실시예 2에 따른 광 제어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27에서 몰드(500a)의 돌기부(510a)와 몰드(500c)의 돌기부(510c)는 도면 작성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하지는 않았으며, 자세한 도면은 도 11 및 도 20을 참조하면 된다.
도 11, 도 20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기재층(도 5의 '20' 참조)을 포함하는 필름(20b)을 준비한다. 기재층을 포함하는 필름(20b)은 기재층으로 이루어진 필름일 수 있다. 기재층은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자외선 경화 수지 등의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층은 폴리이미드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예컨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등), 폴리에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폴리에스테르 수지(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아크릴 수지(예컨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등의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외의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재층은 광 제어층(100, 200)을 지지할 수 있는 두께를 갖는다. 기재층의 두께는 기재층의 물질, 제1 광 제어층(100)의 두께, 제2 광 제어층(200)의 두께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에 대응하는 돌기부(510a)를 구비하는 몰드(500a)를 준비한다. 이러한 몰드(500a)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기부(510a)는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필름(20b)을 이송시키기 위한 롤러(roller)(600a, 600b)를 준비한다.
롤러(600a, 600b)와 몰드(500a)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롤러(600a, 600b)와 몰드(500a)은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된다. 예컨대, 롤러(600a, 600b)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몰드(500a)는 역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구비된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몰드(500a)에는 복수 개의 롤러(600a, 600b)가 맞물리면서 배치될 수 있다.
필름(20b)을 롤러(roller)(600a)에 장착한다.
롤러(600a)와 몰드(500a) 사이에 필름(20b)이 맞물리면서 삽입되게 롤러(600a)를 이용하여 필름(20b)을 이동시킨다. 이때, 제1 광 제어층(100)을 형성하려는 면(필름의 면)이 몰드(500a)를 향하도록 필름(20b)을 배치한다.
롤러(600a)와 몰드(500a) 사이에 필름(20b)이 맞물리면서 삽입되기 전에, 필름(20b) 상부에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을 도포한다.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은 제1 광 제어층(100)을 형성하려는 면(필름의 면) 상부에 도포된다. 투과 영역(110)은 광 투과율이 높은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자외선 경화 수지 등의 수지 재질과 황색 계열의 염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은 폴리이미드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예컨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등), 폴리에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폴리에스테르 수지(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아크릴 수지(예컨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등의 수지와, 황색(yellow) 계열의 염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외의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황색 계열의 염료는 천연 염료, 합성 염료 등일 수 있으며, 그 물질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황색 계열 염료의 예로는 Metanil yellow dye, Perkadox-16(Akzo company), Benzotriazole 등을 들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500a)에는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에 대응하는 돌기부(510a)가 구비되어 있다. 필름(20b) 상부에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이 도포되고,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이 도포된 필름(20b)이 롤러(600a)와 몰드(500a) 사이에 삽입된다.
자외선 램프 등의 경화장치(700)를 이용하여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을 경화시킨다.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이 도포된 필름(20b) 면의 반대쪽을 향하도록 경화장치(700)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500a) 일측(예컨대, 하부)에 경화장치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이 경화되면서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게 되고, 또한 몰드(500a)에 구비된 돌기부(510a)에 의해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되게 된다. 홈(120a)과 기재층(20) 사이에는 투과 영역으로 이루어진 랜드 영역(land region)(L1)이 존재한다. 투과 영역(110)의 깊이는 랜드 영역(L1)의 높이와 홈(120a)의 높이(H1)을 합한 값을 가질 수 있다. 황색(yellow) 계열의 염료와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투과 영역(110)은 황색(yellow) 계열의 색을 나타내고, 가시광선 중 자외선에 가장 가까운 파장 영역이면서 짧고 강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시력 손상, 피부 손상 및 노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블루라이트 영역인 380∼495 nm 영역에 대한 흡수력이 우수하다. 황색(yellow) 계열의 색을 나타내는 염료는 색의 보색원리에 의해 550nm 이하의 빛(특히, 380∼495 nm 영역의 파장을 갖는 블루라이트)을 흡수하는 능력이 우수하다.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과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은 몰드(500a)와 롤러(600b) 사이에 맞물리면서 배출되고, 롤러(600c, 600d) 등의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되며,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과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로 유입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에 대응하는 돌기부(510c)를 구비하는 몰드(500c)를 준비한다. 이러한 몰드(500c)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기부(510c)는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도 20에 도시된 몰드(500c)의 돌기부(510c)는 도 11에 도시된 몰드(500a)의 돌기부(510a)와 비교하여 그 위치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쉬프트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몰드(500c)의 돌기부(510c)는 도 11에 도시된 몰드(500a)의 돌기부(510a)와 비교하여 'K' 만큼 쉬프트되어 있고, 상기 'K'의 범위는 0<K≤(P1/2; P1의 1/2, 여기서 'P1'은 광 입력 표면(10)에서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의 폭)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W1/2; W1의 1/2, 여기서 'W1'은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폭)=K=(P1/2; P1의 1/2, 여기서 'P1'은 광 입력 표면(10)에서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의 폭)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20b)을 이송시키기 위한 롤러(roller)(600e, 600f)를 준비한다.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20b)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 형태를 갖게 된다.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20b)을 롤러(600e)에 장착한다.
롤러(600e, 600f)와 몰드(500c)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롤러(600e, 600f)와 몰드(500c)은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된다. 예컨대, 롤러(600e, 600f)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몰드(500c)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구비된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몰드(500c)에는 복수 개의 롤러(600e, 600f)가 맞물리면서 배치될 수 있다.
롤러(600e)와 몰드(500c) 사이에 필름(20b)이 맞물리면서 삽입되게 롤러(600e)를 이용하여 필름(20b)을 이동시킨다. 이때, 제2 광 제어층(200)을 형성하려는 면(필름의 면)이 몰드(500c)를 향하도록 필름(20b)을 배치한다.
롤러(600e)와 몰드(500c) 사이에 필름(20b)이 맞물리면서 삽입되기 전에, 필름(20b) 상부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을 도포한다.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은 제2 광 제어층(200)을 형성하려는 면(필름의 면) 상부에 도포된다.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은 광 투과율이 높은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자외선 경화 수지 등의 수지 재질과 황색 계열의 염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과 영역(210)은 폴리이미드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예컨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등), 폴리에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폴리에스테르 수지(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아크릴 수지(예컨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등의 수지와, 황색(yellow) 계열의 염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외의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황색 계열의 염료는 천연 염료, 합성 염료 등일 수 있으며, 그 물질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황색 계열 염료의 예로는 Metanil yellow dye, Perkadox-16(Akzo company), Benzotriazole 등을 들 수 있다.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과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몰드(500c)에는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에 대응하는 돌기부(510c)가 구비되어 있다. 필름(20b) 상부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이 도포되고,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이 도포된 필름(20b)이 롤러(600e)와 몰드(500c) 사이에 삽입된다.
자외선 램프 등의 경화장치(700)를 이용하여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을 경화시킨다.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이 도포된 필름(20b) 면의 반대쪽을 향하도록 경화장치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500c) 일측(예컨대, 측면)에 경화장치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이 경화되면서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이 형성되게 되고, 또한 몰드(500c)에 구비된 돌기부(510c)에 의해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이 형성되게 된다. 홈(220a)과 기재층(20) 사이에는 투과 영역(110)인 랜드 영역(land region)(L2)이 존재한다. 투과 영역(210)의 깊이는 랜드 영역(L2)의 높이와 홈(220a)의 높이(H2)을 합한 값을 가질 수 있다. 황색(yellow) 계열의 염료와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투과 영역(210)은 황색(yellow) 계열의 색을 나타내고, 가시광선 중 자외선에 가장 가까운 파장 영역이면서 짧고 강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시력 손상, 피부 손상 및 노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블루라이트 영역인 380∼495 nm 영역에 대한 흡수력이 우수하다. 황색(yellow) 계열의 색을 나타내는 염료는 색의 보색원리에 의해 550nm 이하의 빛(특히, 380∼495 nm 영역의 파장을 갖는 블루라이트)을 흡수하는 능력이 우수하다.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이 형성되고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이 형성된 필름(20b)은 몰드(500c)와 롤러(600f) 사이에 맞물리면서 배출되고, 롤러(600g) 등의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된다.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이 형성되고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이 형성된 필름(20b)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 형태를 갖게 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120a)의 중심선(122)과 홈(220a)의 중심선(222)은 광 입력 표면(10)에서 광 출력 표면(30)으로 수직으로 내린 경우에 서로 동일한 선 상에 위치하지 않는다. 홈(220a)의 중심선(222)이 홈(120a)의 중심선(122) 위치에 대하여 오프-센터(Off-center) 되어 있다. 즉, 광 입력 표면(10)에서 광 출력 표면(30)으로 수직으로 내린 경우에, 홈(220a)의 중심선(222)이 홈(120a)의 중심선(122) 위치에 대하여 쉬프트(shift) 되어 있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입력 표면(10)에서 광 출력 표면(30)으로 수직으로 내린 경우에, 홈(220a)의 중심선(222)이 홈(120a)의 중심선(122)에 비하여 'K' 만큼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K'의 범위는 0<K≤(P1/2; P1의 1/2, 여기서 'P1'은 광 입력 표면(10)에서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의 폭)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W1/2; W1의 1/2, 여기서 'W1'은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폭)=K=(P1/2; P1의 1/2, 여기서 'P1'은 광 입력 표면(10)에서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의 폭)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홈(120a) 내부에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한다. 일례로, 기재층(20) 상부에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20b)을 준비하고, 상기 필름(20b)에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전체적으로 도포한 후에 홈(120a)을 제외한 부분에 도포된 물질을 제거하여 홈(120a) 내에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할 수 있다.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은 광을 흡수하거나 반사하는 영역으로 광을 흡수 또는 반사하기 위한 광 차폐 물질을 포함한다. 일례로,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은 수지에 광 차폐 물질을 혼합한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수지로는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투과 영역(110, 210)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광 차폐 물질로는, 흑색 안료, 회색 안료 등과 같은 어두운 색상의 안료, 흑색 염료, 회색 염료 등과 같은 어두운 색상의 염료, 알루미늄, 은 등과 같은 금속, 금속 산화물, 카본 블랙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홈(120a) 내에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하고 자외선 램프, 열처리 등에 의하여 경화시키면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이 형성된다.
홈(220a) 내부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한다. 일례로, 기재층(20) 상부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이 형성되고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이 형성된 필름(20b)을 준비하고, 상기 필름(20b)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전체적으로 도포한 후에 홈(220a)을 제외한 부분에 도포된 물질을 제거하여 홈(220a) 내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할 수 있다.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은 광을 흡수하거나 반사하는 영역으로 광을 흡수 또는 반사하기 위한 광 차폐 물질을 포함한다. 일례로,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은 수지에 광 차폐 물질을 혼합한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수지로는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투과 영역(110, 210)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광 차폐 물질로는, 흑색 안료, 회색 안료 등과 같은 어두운 색상의 안료, 흑색 염료, 회색 염료 등과 같은 어두운 색상의 염료, 알루미늄, 은 등과 같은 금속, 금속 산화물, 카본 블랙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홈(220a) 내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하고 자외선 램프, 열처리 등에 의하여 경화시키면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이 형성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과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은 광 입력 표면(10)에서 광 출력 표면(30)으로 수직으로 내린 경우에 서로 동일한 선 상에 위치하지 않는다.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이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 위치에 대하여 오프-센터(Off-center) 되어 있다. 즉, 광 입력 표면(10)에서 광 출력 표면(30)으로 수직으로 내린 경우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이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 위치에 대하여 쉬프트(shift) 되어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입력 표면(10)에서 광 출력 표면(30)으로 수직으로 내린 경우에,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이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에 비하여 'K' 만큼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K'의 범위는 0<K≤(P1/2; P1의 1/2, 여기서 'P1'은 광 입력 표면(10)에서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의 폭)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W1/2; W1의 1/2, 여기서 'W1'은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폭)=K=(P1/2; P1의 1/2, 여기서 'P1'은 광 입력 표면(10)에서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의 폭)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이라 함은 흡수 영역(120)의 폭(W1)의 반(1/2) 지점에서 하부(광 입력 표면(10)으로부터 광 출력 표면(30) 방향)로 수직하게 내린 선을 의미한다.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이라 함은 흡수 영역(220)의 폭(W2)의 반(1/2) 지점에서 상부(광 출력 표면(30)으로부터 광 입력 표면(10) 방향)로 수직하게 올린 선을 의미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입력 표면(10)에서 광 출력 표면(30)으로 수직으로 내린 경우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과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이 서로 동일한 선 상에 위치할 경우에는 도 9의 (a) 나타낸 바와 같은 투과율을 나타내나,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입력 표면(10)에서 광 출력 표면(30)으로 수직으로 내린 경우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과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이 서로 동일한 선 상에 위치하지 않고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이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 위치에 대하여 쉬프트(shift) 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투과율을 나타낸다. 도 9의 (a)는 O 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의 광 투과율을 나타내며, 도 9의 (b)는 0 선을 기준으로 좌우 비대칭의 광 투과율을 나타낸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이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 위치에 대하여 쉬프트(shift) 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투과율을 나타내게 되며, 따라서, 정면에서 마이너스 방향(도 9의 0 선을 기준으로 좌측)으로의 각도는 줄이고 정면에서 플라스 방향(도 9의 0 선을 기준으로 우측)의 각도는 시야각을 넓힘으로서 차량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 장착시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9의 (a)는 나타낸 바와 같은 투과율을 나타내는 경우에, 도 10에서 'A'를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라 할 때, 정면에서 나오는 디스플레이 광의 정방향은 빨간 선(60)을 기준으로 퍼져 일부 디스플레이 광은 차량의 앞유리에 반사(50) 되게 되어 반사된 광이 운전자의 시야에 들어와 운전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과 흡수 영역(120) 위에 접착층(3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접착층(300)은 접착제에 의해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과 흡수 영역(120)의 표면에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UV-경화성 아크릴레이트 접착제, 전사 접착제(transfer adhesive) 등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일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과 흡수 영역(220) 위에 접착층(4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접착층(400)은 접착제에 의해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과 흡수 영역(220)의 표면에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UV-경화성 아크릴레이트 접착제, 전사 접착제(transfer adhesive) 등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일 수 있다.
제1 광 제어층(100)과 제2 광 제어층(200)이 형성된 필름은 적절한 크기로 재단되어 광 제어 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광 입력 표면
20: 기재층
30: 광 출력 표면
100: 제1 광 제어층
110: 제1 광 제어층의 투과 영역
120: 제1 광 제어층의 흡수 영역
122: 제1 광 제어층의 흡수 영역의 중심선
200: 제2 광 제어층
210: 제2 광 제어층의 투과 영역
220: 제2 광 제어층의 흡수 영역
222: 제2 광 제어층의 흡수 영역의 중심선
300: 제1 광 제어층을 덮는 접착층
400: 제2 광 제어층을 덮는 접착층
500a, 500b, 500c: 몰드
510a, 510b, 510c: 돌기부
600a, 600b, 600c, 600d, 600e, 600f, 600g: 롤러
700: 경화장치

Claims (18)

  1. 광 입력 표면(10);
    기재층(20);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 대향하는 광 출력 표면(30);
    상기 광 입력 표면(10)과 상기 기재층(20) 사이에 배치된 제1 광 제어층(100); 및
    상기 기재층(20)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 사이에 배치된 제2 광 제어층(20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은 상기 광 입력 표면(10)과 상기 기재층(20) 사이에 배치된 교대로 있는 투과 영역(110) 및 흡수 영역(12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은 상기 기재층(20)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 사이에 배치된 교대로 있는 투과 영역(210) 및 흡수 영역(2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과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120)은 380nm~495nm의 파장을 차단할 수 있는 황색(yellow) 계열의 색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제어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서 상기 광 출력 표면(30)으로 수직으로 내린 경우에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과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이 서로 동일한 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제어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서 상기 광 출력 표면(30)으로 수직으로 내린 경우에,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이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 위치에 대하여 쉬프트(shift)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제어 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이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에 비하여 'K' 만큼 이격되어 있고,
    상기 'K'의 범위는 0<K≤(P1/2; P1의 1/2, 여기서 'P1'은 광 입력 표면(10)에서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의 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제어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서의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의 폭(P1)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에서의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의 폭(P2)은 서로 동일하고,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서의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폭(W1)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에서의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폭(W2)은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제어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제어층(100) 상부에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을 덮는 접착층(30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제어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 제어층(200) 상부에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을 덮는 접착층(40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제어 필름.
  8. 광 입력 표면(10); 기재층(20);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 대향하는 광 출력 표면(30); 상기 광 입력 표면(10)과 상기 기재층(20) 사이에 배치된 제1 광 제어층(100); 및 상기 기재층(20)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 사이에 배치된 제2 광 제어층(200)을 포함하는 광 제어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에 대응하는 돌기부(510a)를 구비하는 몰드(500a)를 준비하는 단계;
    (b)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에 대응하는 돌기부(510b)를 구비하는 몰드(500b)를 준비하는 단계;
    (c) 기재층(20)을 포함하는 필름(20a)을 준비하는 단계;
    (d) 상기 필름(20a) 상부에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을 도포하고,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이 경화되게 하면서 상기 몰드(500a)로 압착하여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을 형성하는 단계;
    (e)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20a) 상부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을 도포하고,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이 경화되게 하면서 상기 몰드(500b)로 압착하여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을 형성하는 단계;
    (f) 상기 홈(120a) 내부에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하는 단계; 및
    (g) 상기 홈(220a) 내부에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과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120)은 380nm~495nm의 파장을 차단할 수 있는 황색(yellow) 계열의 색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제어 필름의 제조방법.
  9. 광 입력 표면(10); 기재층(20);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 대향하는 광 출력 표면(30); 상기 광 입력 표면(10)과 상기 기재층(20) 사이에 배치된 제1 광 제어층(100); 및 상기 기재층(20)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 사이에 배치된 제2 광 제어층(200)을 포함하는 광 제어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에 대응하는 돌기부(510a)를 구비하는 몰드(500a)를 준비하는 단계;
    (b)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에 대응하는 돌기부(510c)를 구비하는 몰드(500c)를 준비하는 단계;
    (c) 기재층(20)을 포함하는 필름(20b)을 준비하는 단계;
    (d) 상기 필름(20b) 상부에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을 도포하고,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이 경화되게 하면서 상기 몰드(500a)로 압착하여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을 형성하는 단계;
    (e)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20b) 상부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을 도포하고,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이 경화되게 하면서 상기 몰드(500c)로 압착하여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을 형성하는 단계;
    (f) 상기 홈(120a) 내부에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하는 단계; 및
    (g) 상기 홈(220a) 내부에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을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몰드(500c)의 돌기부(510c)는 상기 몰드(500a)의 돌기부(510a)와 비교하여 그 위치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쉬프트 되어 있고,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과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120)은 380nm~495nm의 파장을 차단할 수 있는 황색(yellow) 계열의 색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제어 필름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필름(20a)을 롤러(600a)에 장착하는 단계;
    상기 필름(20a) 상부에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이 도포된 필름(20a)이 상기 롤러(600a)와 상기 몰드(500a) 사이에 맞물리면서 삽입되는 단계;
    경화장치(70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이 경화되게 하고, 상기 몰드(500a)에 구비된 돌기부(510a)에 의해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되게 하는 단계;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이 몰드(500a)와 롤러(600b) 사이에 맞물리면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e) 단계는,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20a)을 롤러(600e)에 장착하는 단계;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20a) 상부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을 도포하는 단계;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이 도포된 필름(20a)이 상기 롤러(600e)와 상기 몰드(500b) 사이에 맞물리면서 삽입되는 단계;
    경화장치(700)를 이용하여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이 경화되게 하고, 상기 몰드(500b)에 구비된 돌기부(510b)에 의해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이 형성되게 하는 단계;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이 형성되고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이 형성된 필름(20a)이 상기 몰드(500b)와 롤러(600f) 사이에 맞물리면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을 형성하려는 필름(20a)의 면이 상기 몰드(500a)를 향하도록 필름(20a)을 배치하고,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을 형성하려는 필름(20a)의 면이 상기 몰드(500b)를 향하도록 필름(20a)을 배치하며,
    롤러(600a, 600b)와 상기 몰드(500a)는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되고,
    롤러(600e, 600f)와 상기 몰드(500b)는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제어 필름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필름(20b)을 롤러(600a)에 장착하는 단계;
    상기 필름(20b) 상부에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이 도포된 필름(20a)이 상기 롤러(600a)와 상기 몰드(500a) 사이에 맞물리면서 삽입되는 단계;
    경화장치(70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110a)이 경화되게 하고, 상기 몰드(500a)에 구비된 돌기부(510a)에 의해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되게 하는 단계;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이 상기 몰드(500a)와 롤러(600b) 사이에 맞물리면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e) 단계는,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20b)을 롤러(600e)에 장착하는 단계;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이 형성되고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을 정의하는 홈(120a)이 형성된 필름(20b) 상부에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을 도포하는 단계;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이 도포된 필름(20b)이 상기 롤러(600e)와 상기 몰드(500c) 사이에 맞물리면서 삽입되는 단계;
    경화장치(700)를 이용하여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의 물질(210a)이 경화되게 하고, 상기 몰드(500c)에 구비된 돌기부(510b)에 의해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이 형성되게 하는 단계;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이 형성되고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을 정의하는 홈(220a)이 형성된 필름(20b)이 상기 몰드(500c)와 롤러(600f) 사이에 맞물리면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몰드(500c)의 돌기부(510c)는 상기 몰드(500a)의 돌기부(510a)와 비교하여 그 위치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쉬프트 되어 있고,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을 형성하려는 필름(20b)의 면이 상기 몰드(500a)를 향하도록 필름(20a)을 배치하고,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을 형성하려는 필름(20b)의 면이 상기 몰드(500c)를 향하도록 필름(20b)을 배치하며,
    롤러(600a, 600b)와 상기 몰드(500a)는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되고,
    롤러(600e, 600f)와 상기 몰드(500c)는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제어 필름의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서 상기 광 출력 표면(30)으로 수직으로 내린 경우에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과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이 서로 동일한 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제어 필름의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서 상기 광 출력 표면(30)으로 수직으로 내린 경우에,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중심선(222)이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중심선(122) 위치에 대하여 쉬프트(shift)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제어 필름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500c)의 돌기부(510c)는 상기 몰드(500a)의 돌기부(510a)와 비교하여 'K' 만큼 쉬프트되어 있고, 상기 'K'의 범위는 0<K≤(P1/2; P1의 1/2, 여기서 'P1'은 광 입력 표면(10)에서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의 폭)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제어 필름의 제조방법.
  15.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서의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의 폭(P1)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에서의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210)의 폭(P2)은 서로 동일하고,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서의 제1 광 제어층(100)의 흡수 영역(120)의 폭(W1)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에서의 제2 광 제어층(200)의 흡수 영역(220)의 폭(W2)은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제어 필름의 제조방법.
  16.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제어층(100) 상부에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을 덮는 접착층(300)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제어 필름의 제조방법.
  17.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 제어층(200) 상부에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을 덮는 접착층(400)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제어 필름의 제조방법.
  18. 광 입력 표면(10), 기재층(20), 상기 광 입력 표면(10)에 대향하는 광 출력 표면(30), 상기 광 입력 표면(10)과 상기 기재층(20) 사이에 배치된 제1 광 제어층(100), 상기 기재층(20)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 사이에 배치된 제2 광 제어층(200)을 포함하는 광 제어 필름;
    상기 광 입력 표면(10) 쪽으로 광을 방출하는 광원; 및
    상기 광 출력 표면(30)으로부터 광을 수광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은 상기 광 입력 표면(10)과 상기 기재층(20) 사이에 배치된 교대로 있는 투과 영역(110) 및 흡수 영역(12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은 상기 기재층(20)과 상기 광 출력 표면(30) 사이에 배치된 교대로 있는 투과 영역(210) 및 흡수 영역(2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광 제어층(100)의 투과 영역(110)과 상기 제2 광 제어층(200)의 투과 영역(120)은 380nm~495nm의 파장을 차단할 수 있는 황색(yellow) 계열의 색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0061270A 2020-05-22 2020-05-22 블루라이트에 대한 흡수력을 갖는 광 제어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상기 광 제어 필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442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270A KR20210144230A (ko) 2020-05-22 2020-05-22 블루라이트에 대한 흡수력을 갖는 광 제어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상기 광 제어 필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270A KR20210144230A (ko) 2020-05-22 2020-05-22 블루라이트에 대한 흡수력을 갖는 광 제어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상기 광 제어 필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230A true KR20210144230A (ko) 2021-11-30

Family

ID=78722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270A KR20210144230A (ko) 2020-05-22 2020-05-22 블루라이트에 대한 흡수력을 갖는 광 제어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상기 광 제어 필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423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969B1 (ko) 2007-10-16 2018-02-2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고투과 광 제어 필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969B1 (ko) 2007-10-16 2018-02-2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고투과 광 제어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06673B1 (en) Direct view display device with array of tapered waveguide
KR101712689B1 (ko) 액정 표시 장치
JP4788314B2 (ja) 光拡散シート、透過型スクリーン、背面投射型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10365489B2 (en) Semi-transmissive reflection sheet, light guide plate and display device
JP2008510183A (ja) 光コリメート装置
US20100201242A1 (en) Light control film and multi-layer optical film stack
KR20070090654A (ko) 광 제어 필름을 포함하는 lcd 장치에서의 모아레 현상의감소
JP2002096395A (ja) 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積層フィルム、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WO2012073929A1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EP2477049A2 (en) Optical filter for reducing color shift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US9104072B2 (en) Liquid crystal device
JPH08297202A (ja) 光拡散板、積層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WO2019202554A1 (en) Headset and head-mounted display
CN101542198A (zh) 光学封装体及其制造方法、照明器和显示单元
US9454071B2 (en) Projection screen and projection system thereof
JPH08335043A (ja) ドットマトリクス画像表示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13753B1 (ko) 액정표시장치
KR20210144230A (ko) 블루라이트에 대한 흡수력을 갖는 광 제어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상기 광 제어 필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86664B1 (ko) 회절 도광판 모듈
US20120224108A1 (en) Optical laminated bod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unit
JPH08240802A (ja) 光学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10144228A (ko) 광 제어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상기 광 제어 필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09856835B (zh) 一种防止液晶显示器漏光的玻璃盖板及其制作方法
KR102070577B1 (ko) 광고립 소자
JPH0921903A (ja)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