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4178A - 낚시용 릴 전동장치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 전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4178A
KR20210144178A KR1020200061133A KR20200061133A KR20210144178A KR 20210144178 A KR20210144178 A KR 20210144178A KR 1020200061133 A KR1020200061133 A KR 1020200061133A KR 20200061133 A KR20200061133 A KR 20200061133A KR 20210144178 A KR20210144178 A KR 20210144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reel
adapter
insertion groov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3803B1 (ko
Inventor
심재훈
Original Assignee
심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재훈 filed Critical 심재훈
Priority to KR1020200061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803B1/ko
Publication of KR20210144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2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motor-drive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용 릴 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으로는 일정 길이에 걸쳐 일정 직경으로 축 삽입홈을 형성하고, 축 삽입홈의 외주면 일측은 릴의 핸들 암이 통과할 수 있는 폭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가이드 홀을 형성하도록 하며, 타측으로는 축 삽입홈과 동일 축선상에 일정 길이로 연결축을 형성하는 어뎁터; 외주면에는 조작 버튼을 구비하고, 내부에는 모터가 내장되며, 일측으로는 모터에 연결된 구동축이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하는 구동수단; 양단부에는 각각 상기 어뎁터의 연결축과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축이 맞춤 삽입되는 축홀이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축 홀더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릴의 핸들 축과 핸들 암이 연결되는 부위로 간단히 연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동식의 릴링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낚시용 릴 전동장치{Electric device of reel for fishing}
본 발명은 낚시용 릴 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릴 핸들축에 간단히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어뎁터에 의해 구동수단과 연결되면서 구동수단에 의해서 릴 핸들축이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자동으로 줄 감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낚시용 릴 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는 크게 릴을 사용하는 릴낚시와 릴을 사용하지 않고 낚시대만을 사용하는 대낚시로서 구분할 수가 있으며, 릴낚시에 사용하는 릴의 종류에도 스피닝 릴, 크러스트 레이스 릴, 플라이 릴, 베이트 캐스팅 릴로서 나누어진다.
또한, 릴의 성능면에서 구분하게 되면 스풀이 회전하면서 낚싯줄이 감기는 방식과 스풀이 회전하지 않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릴 중 스피닝 릴은 낚싯대에 설치하여 낚싯줄을 풀거나 감을 때 사용하게 되며,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어 회전하게 되는 핸들이 장착되며, 낚싯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릴 본체와, 릴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핸들과 접속하게 되는 로터축이 구비되어 핸들의 회전에 따라 로터축과 일체로 회전하게 되는 로터와, 릴 본체와 결합되어 로터의 전방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낚싯줄이 감기고 풀리게 되는 스풀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데, 로터의 회전시 로터와 결합되는 베일이 회전하면서 스풀의 외주면에 낚싯줄이 감기거나 풀리도록 한다.
이와 같은 스피닝 릴은 핸들, 릴 본체, 로터, 스풀, 베일과 같은 기본 구성요소 이외에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베이트 릴 중에는 내부에 전동장치를 내장시키도록 하는 전동 릴이 있기는 하나 이러한 전동 릴은 지나치게 고가이므로 개인적인 구입이 쉽지 않아 비교적 깊은 수심의 어종을 대상으로 하는 선상낚시에서만 한정적으로 사용하는 폐단이 있다.
등록특허 제1592532호(2019.08.30.)의 낚시용 전동 릴은 이러한 베이트 릴에 적용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릴 내부에 스풀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동수단이 일체로 구비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트 릴에만 적용되고 있고, 스피닝 릴에는 사용되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릴에 전동장치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게 되면 하나의 릴만 고가의 전동식으로 사용할 수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등록특허 제1592532호(2019.08.30.)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스피닝 릴의 핸들축에 간단히 연결할 수 있는 어뎁터를 이용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줄 감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낚시용 릴 전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릴에 대해서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가 있어 복수의 전동 릴을 사용하는 효과를 갖는 낚시용 릴 전동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 전동장치는, 일측으로는 일정 길이에 걸쳐 일정 직경으로 축 삽입홈을 형성하고, 축 삽입홈의 외주면 일측은 릴의 핸들 암이 통과할 수 있는 폭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가이드 홀을 형성하도록 하며, 타측으로는 축 삽입홈과 동일 축선상에 일정 길이로 연결축을 형성하는 어뎁터; 외주면에는 조작 버튼을 구비하고, 내부에는 모터가 내장되며, 일측으로는 모터에 연결된 구동축이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하는 구동수단; 양단부에는 각각 상기 어뎁터의 연결축과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축이 맞춤 삽입되는 축홀이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축 홀더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어뎁터는 축 삽입홈과 가이드 홀의 표면으로 일정 두께의 미끄럼 방지용 막이 피복되도록 한다.
상기 미끄럼 방지용 막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어뎁터는 축 삽입홈과 가이드 홀에 핸들 축과 핸들 암의 연결 부위를 동시에 감싸도록 하며, 핸들 축측의 단부는 직경이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어뎁터의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이 축결합되는 상기 축 홀더의 축홀은 다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축 홀더에는 상기 연결축과 상기 구동축이 고정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수단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낚시용 릴 전동장치에 의해 간단히 릴 핸들축과 핸들 암에 걸쳐 어뎁터를 연결하기만 하면 스피닝 릴을 전동 릴처럼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복수의 릴에 대해서 공용할 수가 있으므로 특정한 릴에만 한정하지 않으면서 복수의 전동 릴을 사용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비교적 고중량의 원투용 릴에 적용하게 되면 낚싯줄을 감는 릴링을 위한 수고를 대폭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 전동장치의 실시예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 전동장치의 어뎁터를 예시한 반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 전동장치에서 구동 수단을 예시한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 전동장치에서 축 홀더의 구성을 예시한 반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 전동장치에서 고정 수단을 예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 전동장치를 스피닝 릴에 적용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 전동장치의 실시예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 전동장치는 크게 어뎁터(10)와 구동수단(20) 및 축 홀더(3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어뎁터(10)는 도 3에서와 같이 일측으로는 일정 길이에 걸쳐 일정 직경으로 축 삽입홈(11)을 형성하고, 이 축 삽입홈(11)의 일측의 외주면에는 릴의 핸들 암이 통과할 수 있는 폭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가이드 홀(12)이 형성되도록 한다.
어뎁터(10)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축 삽입홈(11)은 내경이 릴의 핸들 축이나 핸들 축을 감싸는 축 테두리 부재를 외측에서 감쌀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고, 축 삽입홈(11)을 따라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한 가이드 홀(12)은 개방 폭이 핸들 암의 직경보다는 큰 사이즈로서 형성되도록 한다.
즉, 어뎁터(10)의 축 삽입홈(11)과 가이드 홀(12)은 릴의 핸들 축과 핸들 암의 연결 부위를 동시에 감싸도록 하면서 특히 핸들 축측 단부는 직경이 보다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어뎁터(10)의 축 삽입홈(11)은 릴의 핸들 암 하단부를 포함하여 수평의 핸들 축을 동시에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핸들 축의 외측을 축 테두리 부재에 의해 커버되도록 하는 구조에서는 축 삽입홈(11)의 내부로 축 테두리 부재가 삽입되도록 한다.
한편, 릴의 핸들 축이나 축 테두리 부재의 릴 본체측 단부가 보다 직경이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기도 하므로 어뎁터(10)의 축 삽입홈(11) 단부가 그와 대응되는 직경이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어뎁터(10)의 축 삽입홈(11)을 형성하는 일측과 대응되는 타측으로는 축 삽입홈(11)과는 동일 축선상에 일정 길이로서 연결축(13)이 형성되도록 한다.
어뎁터(10)의 연결축(13)은 축 삽입홈(11)을 형성하는 어뎁터(10)의 외경보다는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특히 연결축(13)은 단면이 원형인 봉형상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으나 다각형의 봉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후술하는 구동수단(20)과의 체결 시 슬립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어뎁터(10)는 연결축(13)과 같이 외형이 원형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고, 각형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어뎁터(10)는 축 삽입홈(11)과 함께 가이드 홀(12)의 표면으로 실리콘 등과 같은 미끄럼 방지용 막이 일정 두께로서 피복되도록 하여 회전 시 릴의 핸들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핸들이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동시에 핸들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는 수동 조작에 의해 구동이 단속되는 구동수단(20)이 구비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구동수단(20)은 도 4에서와 같이 외주면으로는 조작 버튼(21)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모터(22)가 내장되며, 일측으로는 모터(22)로부터 인출되는 구동축(23)이 일정 길이로서 돌출되도록 한다.
구동수단(20)은 실질적으로 릴을 회전시켜 릴링할 수 있는 구동력이 출력되도록 하는 구성이므로 여기에 적용되는 모터(22)는 최소한 기존에 전동 릴에서 사용되는 모터의 파워 이상은 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수단(20)은 릴의 핸들이 좌우로 구분되게 설치되므로 구동수단(20) 또한 좌우 구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구동수단(20)은 한 손으로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면서 파지 시 모터(22)의 구동축(23)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외주면의 조작 버튼(21)은 파지 시 자연스럽게 조작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되도록 하며, 모터(22)는 휴대용 배터리를 사용할 수도 있고, 외부로부터 충전되도록 하는 충전기가 내장되도록 하여 충전기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선상에서는 선상에 구비된 전원과의 접속에 의해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어텝터(10)와 구동수단(20)간은 축 홀더(30)에 의해 연결되도록 한다.
축 홀더(30)는 도 5에서와 같이 양측으로 일측에는 어뎁터(10)의 연결축(13)이 맞춤 삽입되는 제1 축홀(3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구동수단(20)의 구동축(23)이 맞춤 삽입되는 제2 축홀(32)이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축 홀더(30)의 제1 축홀(31)은 어뎁터(10)의 연결축(13)에 대응하는 형상이고, 제2 축홀(32)은 구동수단(20)의 구동축(23)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축 홀더(30)에서 특히 어뎁터(10)의 연결축(13)은 다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도록 하면서 제1 축홀(31) 또한 그와 동일한 다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어뎁터(10)와 구동수단(20)을 연결하는 축 홀더(30)에는 연결축(13)과 구동축(23)이 단순히 축 삽입에 의해 맞춤 결합되게 할 수도 있으나, 고정 수단(33)을 이용하여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연결축(13)과 구동축(23)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 5에서와 같이 축 홀더(30)의 외주면으로 제1 축홀(31)과 제2 축홀(32)에 관통하도록 하는 볼트 홀(330)이 형성되게 하여 이 볼트 홀(330)을 통해 외부로부터 고정 볼트(331)를 체결하여 제1 축홀(31)과 제2 축홀(32)에 삽입된 연결축(13)과 구동축(23)이 고정되게 할 수도 있고, 도 6에서와 같이 연결축(13)과 구동축(23)의 외주면에는 스프링 탄성에 의해 출몰 가능하게 탄성 볼(332)이 동일 수직선상에 하나 이상 형성되도록 하고, 그와 대응되는 축 홀더(30)의 각 축홀(31)(32)에는 각 탄성 볼(332)과 동일 수직선상에 하나 이상의 고정 홀(333)이 형성되게 할 수도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낚시용 릴 전동장치에 의한 작용 효과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낚시용 릴 전동장치는 릴 본체로부터 회전용 핸들이 일측으로 돌출되면서 핸들 축의 단부가 일정 각도로 절곡되면서 핸들 암을 형성하는 릴에 적용되도록 하는 구성이며, 이러한 구성의 릴로서 스피닝 릴이 대표적이다.
이때, 스피닝 릴은 사이즈면에서도 매우 다양하게 형성되지만 핸들의 형성 위치와 핸들의 형상에 따라서도 매우 다양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 전동장치를 스피닝 릴에 적용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예시한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낚시용 릴 전동장치는 릴(40)의 핸들 축(41)과 핸들 암(42)의 연결 부위에 연결되도록 하는다.
본 발명에서 구동수단(20)에는 구동축(23)에 축 홀더(30)가 미리 고정 연결되도록 하고, 축 홀더(30)에는 구동축(23)과 대응되는 방향에 어뎁터(10)가 고정 연결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축 홀더(30)에 의해서 일측에는 어뎁터(10)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구동수단(20)이 연결되어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호 결합된 릴 전동장치는 릴과는 별도로 준비하고 있다가 낚시를 위하여 캐스팅이 이루어진 직후 어뎁터(10)의 축 삽입홈(11)과 가이드 홀(12)이 통해 릴의 핸들 축(41)과 핸들 암(42)이 연결되는 절곡된 부위를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한다.
핸들 축(41)과 핸들 암(42)의 절곡되는 연결 부위로 어뎁터(10)를 연결하게 되면 어뎁터(10)를 회전시키더라도 핸들 암(42)이 회전하게 되므로 릴이 자동으로 회전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어뎁터(10)와 축 홀더(30)에 의해 연결된 구동 수단(20)을 간단히 조작 버튼(21)의 조작에 의해 모터(22)가 구동되도록 하면 구동축(23)의 회전에 의해 축 홀더(30)와 어뎁터(10)가 동시에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어뎁터(10)에 연결된 핸드 축(41)이 동시에 회전하게 되므로 자동으로 줄감기가 이루어지게 할 수가 있다.
즉, 낚시를 캐스팅한 직후 릴의 핸들에 본 발명의 전동장치가 연결되도록 한 상태에서 입질이 오게 되면 낚싯대를 들어올리면서 동시에 릴에 연결된 전동장치를 들어올려 챔질이 이루어지게 한 후 전동장치의 조작 버튼(21)을 조작하게 되면 자동으로 릴 핸들이 회전하면서 스풀을 회전시켜 줄이 감아지도록 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전동장치를 캐스팅한 릴에 연결하게 되면 릴링 시 좀더 쉽고 일정한 속도로 감을 수가 있게 된다.
다만, 캐스팅 시에는 본 발명의 전동장치는 무게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캐스팅 시 불편이 따르므로 그때에는 핸들로부터 어뎁터(10)를 간단히 잡아당겨 전동장치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캐스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통상 원투낚시에서는 하나의 낚시대만을 사용하는 것이 2 이상의 낚시대를 사용하게 되므로 하나의 전동장치만을 구비하더라도 입질에 의해 챔질하게 되는 낚시대의 릴에 간단히 전동장치를 연결하여 릴링을 할 수가 있어 비록 복수로 구비되는 수동의 릴이지만 모두를 전동 릴을 사용하듯이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특히, 릴링은 일정한 속도로 해야만 후킹한 물고기를 안전하게 포획할 수가 있으므로 좀더 안정된 포획이 가능하며, 취급이 용이하고, 분리해서 이동 및 보관할 수가 있으므로 매우 안전한 유지 관리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캐스팅 낚시에서 뿐만 아니라 선상에서도 베이트 릴을 대체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대단히 경제적이면서도 폭 넓은 사용을 제공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어뎁터
11 : 축 삽입홈 12 : 가이드 홀
13 : 연결축
20 : 구동 수단
21 : 조작 버튼 22 : 모터
23 : 구동축
30 : 축 홀더
31 : 제1 축홀 32 : 제2 축홀
33 : 고정 수단
330 : 볼트 홀 331 : 고정 볼트
332 : 탄성 볼 333 : 고정홀
40 : 릴
41 : 핸들 축 42 : 핸들 암

Claims (6)

  1. 일측으로는 일정 길이에 걸쳐 일정 직경으로 축 삽입홈을 형성하고, 축 삽입홈의 외주면 일측은 릴의 핸들 암이 통과할 수 있는 폭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가이드 홀을 형성하도록 하며, 타측으로는 축 삽입홈과 동일 축선상에 일정 길이로 연결축을 형성하는 어뎁터;
    외주면에는 조작 버튼을 구비하고, 내부에는 모터가 내장되며, 일측으로는 모터에 연결된 구동축이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하는 구동수단;
    양단부에는 각각 상기 어뎁터의 연결축과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축이 맞춤 삽입되는 축홀이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축 홀더;
    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낚시용 릴 전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뎁터는 축 삽입홈과 가이드 홀의 표면으로 일정 두께의 미끄럼 방지용 막이 피복되도록 하는 낚시용 릴 전동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용 막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낚시용 릴 전동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뎁터는 축 삽입홈과 가이드 홀에 의해 릴의 핸들 축과 핸들 암의 연결 부위를 동시에 감싸도록 하며, 핸들 축측의 단부는 직경이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낚시용 릴 전동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뎁터의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이 축결합되는 상기 축 홀더의 축홀은 다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낚시용 릴 전동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 홀더에는 상기 연결축과 상기 구동축이 고정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수단이 형성되도록 하는 낚시용 릴 전동장치.
KR1020200061133A 2020-05-21 2020-05-21 낚시용 릴 전동장치 KR102433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133A KR102433803B1 (ko) 2020-05-21 2020-05-21 낚시용 릴 전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133A KR102433803B1 (ko) 2020-05-21 2020-05-21 낚시용 릴 전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178A true KR20210144178A (ko) 2021-11-30
KR102433803B1 KR102433803B1 (ko) 2022-08-17

Family

ID=78722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133A KR102433803B1 (ko) 2020-05-21 2020-05-21 낚시용 릴 전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380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7977A (ja) * 1999-02-19 2000-09-05 Yukio Oka 携帯巻き替え補助具
KR200235415Y1 (ko) * 2001-01-31 2001-10-25 서태권 낚싯줄 자동회수장치가 장착된 릴 낚싯대
US7086622B1 (en) * 2005-01-18 2006-08-08 Whaley William R Fishing reel winding arm adapter for winding a fishing line
US7309039B1 (en) * 2006-07-18 2007-12-18 Stone James W Fishing reel power device
JP3159594U (ja) * 2010-03-05 2010-05-27 哲次 金山 リール電動化用連結具及びそれを備えた魚釣用リール
US7748657B1 (en) * 2007-08-07 2010-07-06 Goodman Michael N Tool for rapid loading of line onto a fishing reel
US9066504B2 (en) * 2011-05-17 2015-06-30 Reel Widgets, LLC Fishing reel conversion attachment
KR101592532B1 (ko) 2014-06-16 2016-02-05 주식회사 은성사 낚시용 전동 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9594B2 (ja) 1994-03-01 2001-04-23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7977A (ja) * 1999-02-19 2000-09-05 Yukio Oka 携帯巻き替え補助具
KR200235415Y1 (ko) * 2001-01-31 2001-10-25 서태권 낚싯줄 자동회수장치가 장착된 릴 낚싯대
US7086622B1 (en) * 2005-01-18 2006-08-08 Whaley William R Fishing reel winding arm adapter for winding a fishing line
US7309039B1 (en) * 2006-07-18 2007-12-18 Stone James W Fishing reel power device
US7748657B1 (en) * 2007-08-07 2010-07-06 Goodman Michael N Tool for rapid loading of line onto a fishing reel
JP3159594U (ja) * 2010-03-05 2010-05-27 哲次 金山 リール電動化用連結具及びそれを備えた魚釣用リール
US9066504B2 (en) * 2011-05-17 2015-06-30 Reel Widgets, LLC Fishing reel conversion attachment
KR101592532B1 (ko) 2014-06-16 2016-02-05 주식회사 은성사 낚시용 전동 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3803B1 (ko)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8147B1 (en) Reel winder
US7086622B1 (en) Fishing reel winding arm adapter for winding a fishing line
US8496229B1 (en) Powered fish tape
US20070194163A1 (en) Reel with housing having triangular aperture for entry of linear material
US5588613A (en) Fish tape reel attachment apparatus used in combination with a fish tape reel
CN106417074B (zh) 伸缩式宠物牵引绳
KR102433803B1 (ko) 낚시용 릴 전동장치
CN214801804U (zh) 双重驱动单方向旋转装置及包括其的卷轴
US3799471A (en) Fishing line transfer device
US20080023580A1 (en) Fishing device
US6318653B1 (en) Electric fishing set
US5577678A (en) Handle of a fishing reel
US11395481B1 (en) Hand-held device for powering the rewinding of a fishing reel
US11350617B2 (en) Left handed fishing reel
GB2352953A (en) Angling pole bung
JPH03187330A (ja) 魚釣り用リールの駆動装置
KR102474110B1 (ko) 비돌출식 메커니컬 브레이크를 구비한 베이트 캐스팅 릴
KR200174179Y1 (ko) 줄낚시 자동 권선장치
JP2005035771A (ja) ガイド付きホースリール
KR100376936B1 (ko) 릴 낚시대용 낚시줄 자동권취 장치
JPH0819353A (ja) 電動式の手網竿
KR200244801Y1 (ko) 개량형 롤러가 장착된 어망 인양기
JP2566275Y2 (ja) リールドラム
JPH0246298Y2 (ko)
KR20230119275A (ko) 모터를 이용한 와이어 권취 방식 밭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