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3352A - 용량을 변경할 수 있는 여과통과 해당 여과통이 첨부된 음료 용기 - Google Patents

용량을 변경할 수 있는 여과통과 해당 여과통이 첨부된 음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3352A
KR20210143352A KR1020200059512A KR20200059512A KR20210143352A KR 20210143352 A KR20210143352 A KR 20210143352A KR 1020200059512 A KR1020200059512 A KR 1020200059512A KR 20200059512 A KR20200059512 A KR 20200059512A KR 20210143352 A KR20210143352 A KR 20210143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nd wall
opening
barrel
filt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1234B1 (ko
Inventor
쯔-유안 쉔
Original Assignee
쯔-유안 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쯔-유안 쉔 filed Critical 쯔-유안 쉔
Priority to KR1020200059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234B1/ko
Publication of KR20210143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8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 A47J31/20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having immersible, e.g. rotatabl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 A47J31/467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for the infus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83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량을 변경할 수 있는 여과통과 상기 여과통이 첨부된 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용기본체를 포함하고, 그 개구단에는 결합부가 설치되고, 여과통은 결합부에 결합되어 들어갈 수 있는 링부품을 포함하고 있으며, 복수 개의 브리지부를 통해 연결부품의 꼭대기단까지 연결되고, 그 중 브리지부와 링부품 사이에는 복수 개의 출구가 설치되고, 연결부품의 바닥단에는 탈착이 가능한 제1통부품이 연결 설치되고, 제1통부품에는 제1저지부가 설치되고, 제2통부품은 활동 가능한 형태로 제1통부품을 덮어 씌우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하로 위치 이동을 하고, 제2통부품에는 제1저지부에 의해 저지를 받으며 제2통부품이 제1통부품을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제2저지부가 설치된다.

Description

용량을 변경할 수 있는 여과통과 해당 여과통이 첨부된 음료 용기{Filter device capable of changing filtration capacity and beverage contai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료 용기와 관련이 있으며, 특히 여과통이 첨부된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시중에는 차를 우려내는 데 사용되는 수많은 컵과 병 제품들이 존재하며, 타이완 실용신안 공고 M495808호의 경우, 병 입구에 여과통을 걸어서 설치하는 구조에 대해서 기술하였으며, 여과통 내에 찻잎을 넣어 차를 우려 낼 때 찻잎과 찻물을 서로 분리해 주어 편리하게 차를 따라 음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전의 이러한 구조의 제품들은 여과통을 병 내부의 고정 위치에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만약 병 본체의 깊이가 깊거나 혹은 병 내부에 담긴 물이 적을경우, 여과통이 물에 잠기지 않아 차를 우려 낼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타이완 실용신안 공고 M465867호에 게시된 병은 그 덮개 상에 천공이 설치되어 걸림줄이 해당 천공을 통과하여 병 내부로 들어가 있으며 해당 걸림줄 상에는 찻잎을 담을 수 있는 여과통이 매달려 설치되고, 해당 걸림줄을 끌어당겨 병 내부에서 여과통의 높이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타이완 실용신안 공고 M465868호에 게시된 여과통은 서로 다른 높이의 위치에 병 본체에 걸어 설치할 수 있는 걸림귀를 설치하고, 해당 여과통이 선택한 걸림귀의 위치에 따라 병 내부에서 높이가 변화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두 개의 구조는 비록 병 내부에서 여과통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긴하지만 여과통 내부의 용적이 고정되어 있어 일정량의 찻잎만을 담을 수 있기 때문에 조금 진하게 우려 내려고 할 경우에는 이를 만족시킬 방법이 없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여과통과 상기 여과통이 첨부된 음료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그중 여과통의 용량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용기 내에서의 높이 위치를 조정하여 찻잎 등과 같이 우려내야 할 재료 용량 및 우려 내는 상태를 조정하기에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용량을 변경할 수 있는 여과통을 제공하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한다.
링부품, 그 주위면에 용기병 입구에 위치 고정을 할 수 있는 위치고정부가 설치되며;
연결부품, 그 꼭대기단에는 상기 링부품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브리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브리지부와 상기 링부품 사이에는 복수 개의 출구가 설치되며;
제1통부품, 상기 제1통부품은 제1환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환벽의 꼭대기단은 해체 가능하는 형태로 상기 연결부품의 바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환벽의 바닥단에는 제1개구 및 제1저지부가 설치되며;
제2통부품, 상기 제2통부품은 바닥벽에 연결된 제2환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환벽과 상기 제1환벽은 활동 가능한 형태로 서로 씌움 연결되어 상기 제2통부품이 상기 제1통부품에 대응하여 상하로 위치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제2환벽에는 복수 개의 측부 체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제2환벽의 꼭대기단에는 제1개구와 서로 연결되어 통해있는 제2개구 및 제2저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저지부는 상기 제1저지부에 의해 저지되어 상기 제2통부품이 상기 제1통부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 중, 상기 제2환벽은 상기 제1환벽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저지부는 상기 제1개구의 내부 돌출 테두리에 설치되고,상기 제2저지부는 상기 제2개구의 외부 돌출 테두리에 설치된다.
비교적 바람직한 경우는 상기 제2환벽에 상기 제1환벽에 저항할 수 있는 미끄럼방지부를 설치하는 것이다.
비교적 바람직한 경우는 상기 제2통부품의 바닥벽에 복수 개의 하부 체구멍을 설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 중, 상기 제1통부품의 내측과 외측은 상기 제1환벽을 직접 관통해 서로 연결되어 통하지 못하며, 상기 제1환벽의 바닥단에는 상기 제2환벽과 서로 활동 가능한 형태로 밀접하게 연결되는 물멈춤 와셔가 설치된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 상술한 여과통을 첨부한 음료 용기를 제공하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한다.
용기본체, 그 한 끝단에는 제1개구단이 설치되고, 상기 개구단에는 결합부가 설치되며;
여과통, 상기 여과통은 링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링부품은그 주위면에 용기병 입구에 위치 고정을 할 수 있는 위치고정부가 설치되며; 상기 링부품은 복수 개의 브리지부를 통해 연결부품의 꼭대기단에 연결되며, 상기 브리지부와 링부품 사이에는 복수 개의 출구가 설치되고;상기 연결부품의 바닥단에는 해체가 가능한 제1통부품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1통부품은 제1환벽을 포함하고, 그 바닥단에는 제1개구 및 제1저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통부품과 제2통부품은 활동 가능한 형태로 서로 씌움 연결되어 상기 제2통부품이 상기 제1통부품에 대응하여 상하로 위치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제2통부품은 복수 개의 측부 체구멍을 갖춘 제2환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환벽의 꼭대기단에는 상기 제1개구와 연결되어 통하는 제2개구 및 제2저지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2저지부는 제1저지부에 의해 저지되어 상기 제2통부품이 상기 제1통부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 중, 상기 용기본체에는 상기 제1개구단과 대응되도록 제2개구단이 설치되고, 상기 제2개구단에는 해체가 가능한 덮개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상술된 내용을 종합해 보면, 본 발명을 통해 음료 용기에서 찻잎 등과 같은 재료를 우려 낼 때, 여과통의 높이를 조절하여 물의 깊이나 용기의 깊이에 관계없이 찻잎을 우려 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과통에 담는 재료의 양을 조절하여 우려내는 농도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여과통의 제1실시예의 입체 분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여과통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음료 용기의 제1실시예의 입체 분해도이다.
도4, 도5는 본 발명인 음료 용기에 음료를 우려낼 때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음료 용기에서 물을 따를 때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여과통의 제2실시예의 입체 분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여과통의 제2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음료 용기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효과 및 구조적 특징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와 도면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도2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본 도면들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100)의 제1실시예이고, 그 내용은 링부품(1), 연결부품(2A), 제1통부품(3A), 제2통부품(4A)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연결부품(2A)은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꼭대기단에는 바깥을 향해 3개의 브리지부가(11) 뻗어 나와 있으며, 링부품(1) 내측에 연결된다. 그중 상기 브리지부(11)와 상기 링부품(1)은 에워싸는 형태로 3개의 누공된 출구(12)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링부품(1)의 외주면에는 용기 병 입구에 위치 고정을 하는데 사용되는 4개의 위치고정부(13)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 중, 상기 위치고정부(13)은 휘어진 형태로 밖을 향해 돌출된 판조각이다. 상기 연결부품(2A)의 바닥단(231A)은 확장된 형상으로 나사산을 통해 제1통부품(3A)에 연결된다.
계속해서 상기 제1통부품(3A)은 제1환벽(31A)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제2통부품(4A)은 제2환벽(41A)을 갖추고 있다. 이 두 곳에는 각각 복수 개의 측부 체구멍(311, 411)이 설치된다. 상기 제1환벽(31A)의 꼭대기단은 상기 연결부품(2A)의 바닥단(231A)에 연결되며, 상기 바닥단은 제1개구(33)를 갖추고 있고, 상기 제1개구(33)에는 안쪽를 향해 뻗어 나온 내부 돌출 테두리(331)가 설치된다.
상기 제2통부품(4A)은 상기 제2환벽(41A)에 연결되는 바닥벽(42A)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바닥벽(42A)에는 복수 개의 하부 체구멍(421)이 설치된다. 상기 제2환벽(41A)의 꼭대기단은 제2개구(43)를 갖추고 있고, 상기 제2개구(43)에는 바깥을 향해 뻗어 나온 외부 돌출 테두리(431)가 설치된다. 상기 제1환벽(31A)과 상기 제2환벽(41A)은 활동 가능한 형태로 씌움 연결되며, 그중 상기 제2환벽(41A)은 상기 제1환벽(31A)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개구(33)와 상기 제2개구(43)은 서로 연결되어 통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통부품(4A)이 상기 제1통부품(3A)에 대응하여 상하로 위치 이동을 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전체 여과통(100)의 용적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통부품(4A)의 외부 돌출 테두리(431)는 상기 제1통부품(3A)의 내부 돌출 테두리(331)에 의해 저지를 받으며 상기 제2통부품(4A)이 상기 제1통부품(3A)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 중, 상기 제2환벽(41A)에는 바깥으로 뻗어나와 탄력을 갖춘 상태에서 상기 제1환벽(31A) 상에 지탱되는 복수 개의 미끄럼방지부(45)가 설치되어 상기 제2통부품(4A)이 상기 제1통부품(3A)에 대해 위치 고정을 하는 것을 보조해 주게 된다. 전술한 상기 미끄럼방지부(45)는 휘어진 형태로 밖을 향해 돌출된 판조각이다.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료 용기는 컵, 병 혹은 통으로 된 용기본체(5A)를 포함하고, 그 한 끝단은 제1개구단(51)을 갖추고 있으며 내측에는 상술한 여과통(100)이 위치 고정을 할 수 있게 제공하는 결합부가 설치된다. 상기 결합부는 가로로 뻗어 나와 서로 평행을 유지하는 두 개의 링돌기부(52)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링돌기부(52) 사이에는 위치고정홈(53)이 형성된다. 상술한 여과통(100)은 상기 링부품(1)의 위치고정부(13)를 통해 상기 위치고정홈(53)에 끼움 설치되어 상기 용기본체(5A) 중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상술된 구조를 통해 상기 여과통(100) 내에는 찻잎 등과 같이 우려낼 재료를 넣을 수 있고, 우려 낼 때 찻잎과 찻물을 서로 분리시킬 수 있게 되며, 찻물 농도 역시 여과통(100) 내에 채워 넣은 찻잎의 양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만약 조금 진한 찻물을 우려 내고 싶을 경우, 도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2통부품(4A)을 상기 제1통부품(3A)에 대응하여 아래로 끌어내리게 되면 여과통(100)의 용적이 변하면서 더욱 많은 찻잎을 넣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5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통부품(4A)은 상기 제1통부품(3A)에 대응하여 아래로 이동하고, 더 나아가 상기 용기본체(5A)의 바닥단에 근접하게 되며, 이로 인해 용기본체(5A) 내에 비교적 적은 물을 채워 수위가 낮은 상황 하에서도 상기 제2통부품(4A)을 아래로 당겨 내려 찻잎이 물에 잠길 수 있게 되어 찻물 우리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용기본체(5A)를 깊이가 비교적 깊은 형상으로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찻잎을 우려내는 작업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찻물을 다 우려 낸 후, 도6에 표시된 바와 같이 여과통(100)을 먼저 해체시킬 필요가 없이 바로 용기본체(5A)를 기울이면 찻물이 브리지부(11)와 링부품(1) 사이의 출구(12)를 통해 따라져 나오기 때문에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7은 본 발명의 여과통(200)의 두 번째 실시예이고 그 내용은 링부품(1), 연결부품(2B), 제1통부품(3B), 제2통부품(4B)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연결부품(2B)은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꼭대기단에는 바깥을 향해 3개의 브리지부(11)가 뻗어 나와 있으며, 링부품(1) 내측에 연결된다. 그중 상기 브리지부(11)와 상기 링부품(1)은 에워싸는 형태로 3개의 누공된 출구(12)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링부품(1)의 외주면에는 용기 병 입구에 위치 고정을 하는데 사용되는 4개의 위치고정부(13)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 중, 상기 위치고정부(13)은 휘어진 형태로 밖을 향해 돌출된 판조각이다. 상기 연결부품(2B)의 바닥단(231B)은 확장된 형상으로 나사산을 통해 제1통부품(3B)에 연결된다.
상기 제1통부품(3B)은 제1환벽(31B)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제2통부품(4B)은 제2환벽(41B) 및 상기 제2환벽(41B)에 연결된 바닥벽(42B)을 갖추고 있다. 그중 상기 제1환벽(31B) 상에는 체구멍이 없기 때문에 상기 제1통부품(3B)의 내측과 외측은 상기 제1환벽(31B)을 직접 관통해 서로 연결되어 통하지 못하며; 상기 제2환벽(41B)에는 복수 개의 측부 체구멍(411)이 설치되고; 상기 바닥벽(42B) 상에는 체구멍이 없기 때문에 상기 제2통부품(4B)의 내측과 외측은 상기 바닥벽(42B)을 직접 관통해 서로 연결되어 통하지 못한다.
상기 제1환벽(31B)의 꼭대기단은 연결부품(2B)의 바닥단(231B)에 연결되고, 상기 바닥단은 제1개구(33)를 갖추고 있고, 상기 제1개구(33)에는 안쪽을 향해 뻗어 나온 내부 돌출 테두리(331)가 설치된다. 상기 제2환벽(41B)의 꼭대기단은 제2개구(43)를 갖추고 있고, 상기 제2개구(43)에는 바깥쪽을 향해 뻗어 나온 외부 돌출 테두리(431)가 설치된다. 상기 제2환벽(41B)은 상기 제1환벽(31B)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환벽(31B)과 서로 씌움 연결되고, 상기 제1개구(33)와 상기 제2개구(43)은 서로 연결되어 통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통부품(4B)이 상기 제1통부품(3B)에 대응하여 상하로 위치 이동을 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전체 여과통(200)의 용적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통부품(4B)의 외부 돌출 테두리(431)는 상기 제1통부품(3B)의 내부 돌출 테두리(331)에 의해 저지를 받으며 상기 제2통부품(4B)이 상기 제1통부품(3B)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환벽(31B)의 바닥단에는 상기 제2환벽(41B)과 서로 활동 가능한 형태로 밀접하게 연결되는 물멈춤 와셔(34)가 설치되며, 상기 제1통부품(3B)과 상기 제2통부품(4B)이 서로 대응하여 이동할 때, 상기 물 멈춤 와셔(34)는 상기 제2환벽(41B)의 측부 체구멍(411)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술된 구조를 통해, 도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2통부품(4B)을 상기 제1통부품(3B)과 대응시켜 위를 향해 밀어 넣게 되면 상기 물 멈춤 와셔(34)가 상기 제2환벽(41B)의 측부 체구멍(411) 하측에 놓이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1환벽(31B)과 상기 제2환벽(41B) 사이의 틈을 봉인하게 되고, 다시 체구멍이 없는 바닥벽(42B)을 이용해 전체 여과통(200)을 밀봉 상태로 만들게 되며, 그 결과 물이 여과통(200) 내부로 들어가지 않아서 찻물의 농도가 점차적으로 계속 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9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또 다른 하나의 음료 용기 구조로서, 용기본체(5B)를 포함하고, 그 바닥단에는 제1개구단(51)이 설치되며, 상기 제1개구단(51)는 가로로 뻗어 나와 서로 평행을 유지하는 두 개의 링돌기부(52)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링돌기부(52) 사이에는 위치고정홈(53)이 형성되어 전술한 여과통(100)이 이곳을 통해 위치고정부(13)에 끼움 고정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용기본체(5B)의 꼭대기단에는 제2개구단(54)이 설치되고 해체가 가능한 덮개(55)가 설치되며, 이를 통해 찻물을 상기 제1개구단(51) 혹은 제2개구단(54)을 통해 따라 낼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결코 이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신청범위 중에서 가한 어떠한 첨가나 수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여과통: 100, 200, 300 링부품: 1 브리지부: 11
출구: 12 위치고정부: 13 연결부품: 2A, 2B
바닥단: 231A, 231B 제1통부품: 3A, 3B 제1환벽: 31A, 31B
측부 체구멍: 311 제1개구: 33 내부 돌출 테두리: 331
물 멈춤 와셔 : 34 제2통부품: 4A, 4B 제2환벽: 41A, 41B
측부 체구멍: 411 바닥벽: 42A, 42B 하부 체구멍: 421
제2개구: 43 외부 돌출 테두리: 431 미끄럼방지부: 45
용기본체: 5A, 5B 제1개구단: 51 링돌기부: 52
위치고정홈: 53 제2개구단: 54 덮개: 55

Claims (8)

  1. 용량을 변경할 수 있는 여과통에 관한 것으로서,
    링부품과, 연결부품, 제1통부품, 제2통부품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링부품은 그 주위면에 용기병 입구에 위치 고정을 할 수 있는 위치고정부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품은 그 꼭대기단에는 상기 링부품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브리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브리지부와 상기 링부품 사이에는 복수 개의 출구가 설치되며;
    상기 제1통부품은 제1환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환벽의 꼭대기단은 해체 가능하는 형태로 상기 연결부품의 바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환벽의 바닥단에는 제1개구 및 제1저지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2통부품은 바닥벽에 연결된 제2환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환벽과 상기 제1환벽은 활동 가능한 형태로 서로 씌움 연결되어 상기 제2통부품이 상기 제1통부품에 대응하여 상하로 위치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제2환벽에는 복수 개의 측부 체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제2환벽의 꼭대기단에는 제1개구와 서로 연결되어 통해있는 제2개구 및 제2저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저지부는 상기 제1저지부에 의해 저지되어 상기 제2통부품이 상기 제1통부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을 변경할 수 있는 여과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환벽은 상기 제1환벽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저지부는 상기 제1개구의 내부 돌출 테두리에 설치되고,상기 제2저지부는 상기 제2개구의 외부 돌출 테두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을 변경할 수 있는 여과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환벽의 꼭대기부는 나사산을 통해 해체 가능한 형태로 상기 연결부품의 바닥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을 변경할 수 있는 여과통.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환벽에는 상기 제1환벽에 저항할 수 있는 미끄럼방지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을 변경할 수 있는 여과통.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부품의 바닥벽에 복수 개의 하부 체구멍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을 변경할 수 있는 여과통.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부품의 내측과 외측은 상기 제1환벽을 직접 관통해 서로 연결되어 통하지 못하며, 상기 제1환벽의 바닥단에는 상기 제2환벽과 서로 활동 가능한 형태로 밀접하게 연결되는 물멈춤 와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을 변경할 수 있는 여과통.
  7. 제1항에서 기재한 여과통을 첨부한 음료 용기로서,
    용기본체, 여과통, 연결부품, 제1통부품, 제2통부품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용기본체의 그 한 끝단에는 제1개구단이 설치되고, 상기 개구단에는 결합부가 설치되며;
    상기 여과통은 링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링부품은 그 주위면에 용기병 입구에 위치 고정을 할 수 있는 위치고정부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품은 그 꼭대기단에는 상기 링부품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브리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브리지부와 상기 링부품 사이에는 복수 개의 출구가 설치되며;
    상기 제1통부품은 제1환벽을 포함하고, 상기 환벽의 꼭대기단은 해체 가능하는 형태로 상기 연결부품의 바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환벽의 바닥단에는 제1개구 및 제1저지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2통부품은 바닥벽에 연결된 제2환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환벽과 상기 제1환벽은 활동 가능한 형태로 서로 씌움 연결되어 상기 제2통부품이 상기 제1통부품에 대응하여 상하로 위치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제2환벽에는 복수 개의 측부 체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제2환벽의 꼭대기단에는 제1개구와 서로 연결되어 통해있는 제2개구 및 제2저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저지부는 상기 제1저지부에 의해 저지되어 상기 제2통부품이 상기 제1통부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통을 첨부한 음료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에는 상기 제1개구단과 대응되도록 제2개구단이 설치되고, 상기 제2개구단에는 해체가 가능한 덮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통을 첨부한 음료 용기.
KR1020200059512A 2020-05-19 2020-05-19 용량을 변경할 수 있는 여과통과 해당 여과통이 첨부된 음료 용기 KR102341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512A KR102341234B1 (ko) 2020-05-19 2020-05-19 용량을 변경할 수 있는 여과통과 해당 여과통이 첨부된 음료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512A KR102341234B1 (ko) 2020-05-19 2020-05-19 용량을 변경할 수 있는 여과통과 해당 여과통이 첨부된 음료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352A true KR20210143352A (ko) 2021-11-29
KR102341234B1 KR102341234B1 (ko) 2021-12-20

Family

ID=78698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512A KR102341234B1 (ko) 2020-05-19 2020-05-19 용량을 변경할 수 있는 여과통과 해당 여과통이 첨부된 음료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2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913U (ko) * 2007-11-19 2009-05-22 김송학 걸름부재가 구비된 휴대용 물병
KR101606524B1 (ko) * 2014-09-19 2016-04-01 최윤순 콜드브류 커피 또는 차 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913U (ko) * 2007-11-19 2009-05-22 김송학 걸름부재가 구비된 휴대용 물병
KR101606524B1 (ko) * 2014-09-19 2016-04-01 최윤순 콜드브류 커피 또는 차 추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1234B1 (ko) 202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7238B2 (en) Method for brewing and chilling a beverage
EP2294949B1 (en) Pitcher with infuser
US6279460B1 (en) Tea brewing funnel
JP2018033960A (ja) フィルタ容器
US20130256307A1 (en) Loose tea brewing lid
KR200475129Y1 (ko) 찻잎을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차 물병
US20210361109A1 (en) Strainer with changeable volume and beverage container having the strainer
KR102341234B1 (ko) 용량을 변경할 수 있는 여과통과 해당 여과통이 첨부된 음료 용기
KR20200008310A (ko) 음료용기용 빨대
CN209806786U (zh) 一种电动宠物喂水装置
KR20070114940A (ko) 찻잎 우림용 다기 구조체
TWM599136U (zh) 可改變容量的濾筒及附有此濾筒的飲料容器
JP3233477U (ja) 容量を変えることができる濾筒及び濾筒を有する飲料容器
CN208550917U (zh) 泡饮杯
JP2001008809A (ja) ドリッパー付カップ
CN113616077A (zh) 可改变容量的滤筒及附有此滤筒的饮料容器
TWI723865B (zh) 可改變容量的濾筒及附有此濾筒的飲料容器
CN214711900U (zh) 一种具有茶水分离功能的水杯
JP6033355B2 (ja) スクイズ容器用キャップ
CN208355234U (zh) 一种茶杯过滤组件
CN209950939U (zh) 内塞、容器盖及容器
CN209950940U (zh) 内塞、容器盖及容器
CN206390709U (zh) 一种茶具
JPH08280543A (ja) ティーポット
KR200373606Y1 (ko) 여과수단을 구비한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