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3180A - 기지국, 단말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 단말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3180A
KR20210143180A KR1020217028959A KR20217028959A KR20210143180A KR 20210143180 A KR20210143180 A KR 20210143180A KR 1020217028959 A KR1020217028959 A KR 1020217028959A KR 20217028959 A KR20217028959 A KR 20217028959A KR 20210143180 A KR20210143180 A KR 20210143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q
base station
ack
terminal
re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8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야 시바이케
히데토시 스즈키
도모야 누노메
아야코 호리우치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Publication of KR20210143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1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6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48Time-ou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8Transmission or re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copy of acknowledgement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2001/125Arrangements for preventing errors in the return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면허 불필요 대역에 있어서 재송을 적절히 제어하는 기지국. 기지국(100)에 있어서, 송신부(107)는, 하향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의 재송 요구에 관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수신부(108)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재송된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 정보는, 재송 요구되는 응답 신호의 수에 관한 복수의 후보값 중 어느것인가 1개를 식별하는 정보이고, 복수의 후보값은, 복수의 입도 중의 어느것인가 1개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Description

기지국, 단말 및 통신 방법
본 개시는, 기지국, 단말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5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5G)의 표준화에 있어서, LTE/LTE-Advanced와는 반드시 후방 호환성을 갖지 않는 새로운 무선 액세스 기술(NR:New Radio access technology)이 3GPP에서 논의되고 있다.
NR에서는, LTE-License-Assisted Access(면허 대역 지원 접속)(LTE-LAA)과 마찬가지로, 언 라이센스 대역(또는, 면허 불필요 대역라고도 부름)에서의 운용(NR-U 또는 NR-based Access to Unlicensed Spectrum라고도 부름)도 상정되어 있다. LTE-LAA에서는, 라이센스 대역에서의 운용에 부수하는 언 라이센스 대역에서의 운용이 서포트되고 있다. 한편, NR에서는, 라이센스 대역을 이용하지 않고 , 언 라이센스 대역에서의 운용(Stand-alone operation)을 실현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LTE에서는, 단말(UE(User Equipment) 라고 부르기도 함)은 기지국(eNB라고 부르기도 함)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신호(예를 들면,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을 수신하면, 데이터 신호의 복호 성공 여부(예를 들면, 복호성공 또는 복호실패)를 판정한다. 단말은, 그 판정 결과를 기지국에 피드백하고, 기지국은,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복호실패라고 통지된 데이터 신호에 대해 단말에 재차 송신(재송(再送))한다. 이 재송 제어의 운용은, HARQ (Hybrid Automatically Repeat reQuest)로 불리고, 피드백 정보(환언하면, 응답 신호)는, ACK/NACK, HARQ-ACK 또는 HARQ feedback(피드백) 등으로 불린다.
[비특허 문헌 1] 3GPP TS 38.214 V15.4.0, "NR; Physical layer procedures for data (Release 15)," December 2018 [비특허 문헌 2] ETSI EN 301 893 V2.1.1, "5 GHz RLAN; Harmonised Standard covering the essential requirements of article 3.2 of Directive 2014/53/EU," May 2017
그렇지만, 면허 불필요 대역에 있어서의 재송 제어 방법에 대해 충분히 검토되고 있지 않다.
본 개시의 비한정적인 실시예는, 면허 불필요 대역에 있어서 재송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는 기지국, 단말 및 통신 방법의 제공에 이바지한다.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하향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의 재송 요구에 관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기(送信機)와,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재송된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受信機)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정보는, 재송 요구되는 상기 응답 신호의 수에 관한 복수의 후보값 중 어느것인가 1개를 식별하는 정보이고, 상기 복수의 후보값은, 복수의 입도(粒度) 중의 어느것인가 1개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또한, 이러한 포괄적 또는 구체적인 양상은, 시스템, 장치, 방법, 집적회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기록 매체로 실현되어도 좋고, 시스템, 장치, 방법, 집적회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의 임의인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의하면, 면허 불필요 대역에 있어서 재송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더한층의 이점 및 효과는,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분명하게 밝혀진다. 그러한 이점 및/또는 효과는, 몇가지의 실시형태와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된 특징에 의해서 각각 제공되지만, 1개 또는 그 이상의 동일한 특징을 얻기 위하여 반드시 전부가 제공될 필요는 없다.
도 1은 기지국의 일부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단말의 일부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실시형태 1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단말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기지국 및 단말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실시형태 1에 따른 통지 비트와 재송 요구되는 HARQ-ACK 수와의 대응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실시형태 1에 따른 통지 비트와 재송 요구되는 HARQ-ACK 수와의 대응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실시형태 2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실시형태 2에 따른 단말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실시형태 2에 따른 통지 비트와 재송 요구되는 HARQ-ACK 수와의 대응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실시형태 2에 따른 통지 비트와 재송 요구되는 HARQ-ACK 수와의 대응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실시형태 3에 따른 DCI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실시형태 3에 따른 통지 비트와 재송 요구되는 HARQ-ACK 수와의 대응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실시형태 3에 따른 DCI의 송신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a)는 실시형태 4에 따른 DCI의 송신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b)는실시형태 4에 따른 DCI의 송신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c)는 실시형태 4에 따른 DCI의 송신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면, HARQ에 있어서,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Frequency Division Duplex: FDD)에서는, PDSCH에 대한 HARQ-ACK는, 해당 PDSCH가 송신된 슬롯으로부터 규정된 슬롯수만큼 후(後)에 스케줄링 된다. 또, 시간 분할 다중 방식(Time Division Duplex: TDD)에서는, 예를 들면, DL/UL 컨피규레이션(configuration)마다 정해진 설정을 따라, HARQ-ACK의 타이밍이 결정된다.
LTE-LAA에서도 HARQ에 의한 재송 제어의 운용이 서포트되고 있다. 단, LTE-LAA에 있어서의 HARQ에서는, 단말로부터 기지국으로의 HARQ-ACK의 송신이 캐리어 센스(예를 들면, Listen Before Talk:LBT)의 영향을 받는 것을 피하기 위해, HARQ-ACK는, 라이센스 대역의 상향 링크 제어 채널(예를 들면,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PUCCH), 또는, 라이센스 대역 또는 언 라이센스 대역의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의 일부 영역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또, NR의 라이센스 대역에서도 HARQ에 의한 재송 제어의 운용이 서포트되고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1을 참조). NR에서는, LTE와 달리, 기지국(gNB라고 부르기도 함)은, 각 PDSCH를 스케줄함과 동시에, PDSCH에 대한 HARQ-ACK의 타이밍 및 리소스 설정에 관한 정보를 단말에 다이내믹(dynamic)하게 통지할 수 있다.
또, NR에서는, 라이센스 대역에 더해, 언 라이센스 대역에 있어서, HARQ에 의한 재송 제어의 운용이 서포트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NR에서는, 언 라이센스 대역에서의 운용(Stand-Alone operation)의 실현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LTE-LAA와 달리, 언 라이센스 대역을 이용한 HARQ-ACK의 송신이 검토되고 있다.
그렇지만, 언 라이센스 대역에서는, 예를 들면, 단말은, 캐리어 센스(예를 들면, LBT)에 의한 대역 점유 상황의 확인결과에 따라 송신의 가부를 판단하므로, LBT의 판정 결과에 따라서는 HARQ-ACK를 송신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NR에서는, 언 라이센스 대역에 있어서, 단말이 PDSCH에 대한 HARQ-ACK를 송신할 수 없는 구간이 발생할 경우에, PDSCH의 스케줄링과 동시에 할당된 타이밍으로 송신되지 못했던 HARQ-ACK의 송신(환언하면, HARQ-ACK의 재송)을, 기지국이 어떻게 요구할까에 대해 검토할 여지가 있다.
NR에서는, 단말에 있어서의 데이터 신호(예를 들면, PDSCH)의 복호의 성공 여부(예를 들면, HARQ-ACK)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기 위한 상향 링크(uplink:UL) 리소스는, 예를 들면, PDSCH의 리소스 할당을 행하는 DCI에 의해, 「PUCCH resource indicator」로서 단말에 통지된다.
또, HARQ-ACK의 시간 방향의 리소스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adio Resource Control:RRC)에 의해서, 설정값의 복수의 후보가 단말에 설정되고, 복수 후보 중의 어느것인가를 선택하기 위한 통지가, 예를 들면, PDSCH의 리소스 할당을 행하는 DCI에 의해서, 「PDSCH-to-HARQ_feedback timing indicator」로서 포함될 수 있다. 또, 단말로부터 기지국으로의 HARQ-ACK의 송신에는, 예를 들면, PUCCH 또는 PUSCH를 이용하는 방법이 서포트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언 라이센스 대역에서는, 각 장치는, 통신을 행하는 대역에 있어서 다른 엔티티를 검출한 경우, 해당 대역에서의 통신이 금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2를 참조). 그 때문에, 예를 들면, LTE-LAA에서는, 각 장치가 통신하기 전에 캐리어 센스(예를 들면, LBT)를 실행하는 것이 서포트되고 있고, NR의 언 라이센스 대역의 운용(예를 들면, NR-U)에 있어서도 LBT의 실행이 검토되고 있다.
LBT에서는, 예를 들면, 각 장치는, 신호의 송신전에, 신호의 송신 타이밍보다 규정된 시간 전(前)의 타이밍에 있어서, 송신 대상이 되는 언 라이센스 대역을 서치하여, 다른 장치(예를 들면, 기지국, 단말, 또는, Wi-Fi(등록상표) 장치 등)가 해당 대역에 있어서 통신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각 장치는, LBT에 의해 다른 장치에 의한 통신이 행해지고 있지 않는 것이 확인된 대역을 통신에 사용가능으로 판단하고, 다른 장치에 의한 통신이 행해지고 있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없는 대역을 통신에 사용불가능으로 판단한다. 또, LBT에 의해서 한 번 사용가능으로 판단된 대역에 대해서도, 「Channel Occupancy Time: COT」로 불리는 송신가능 시간이 설정되어, 송신가능 시간 경과후의 통신에 관해서는, LBT가 재차 행해진다.
NR에서는, 상술한 것처럼, PDSCH의 리소스가 할당될 때에, 해당 PDSCH에 대한 HARQ-ACK 리소스도 할당된다. 한편, 언 라이센스 대역에 있어서의 통신에서는, 통신 직전의 LBT의 결과, 사용 대역의 비어있음을 확인할 수 없으면 HARQ-ACK는 송신되지 않는다. 또, 언 라이센스 대역에 있어서의 통신에서는, 사용 대역의 비어있음이 확인된 대역에 대해서도, 그 통신 시간은 설정된 COT길이 이내로 제한된다.
그 때문에, PDSCH의 할당과 함께 할당된 HARQ-ACK 리소스에 있어서, LBT에 의해서 사용 대역의 비어있음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또는, 설정된 COT의 범위 밖에 HARQ-ACK 리소스가 할당된 경우, HARQ-ACK은, 송신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면, NR와 동일한 HARQ의 운용에서는, 단말은 HARQ-ACK를 재송하지 않아, 기지국은, PDSCH에 대한 복호 성공 여부의 판정이 불분명하므로 PDSCH를 재송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단말이 PDSCH의 복호에 성공해 있는데도 불구하고, LBT에 기인한 HARQ-ACK의 송신 실패 때문에 해당 PDSCH가 기지국으로부터 재송되면, 리소스 이용 효율이 저감한다. 또, 언 라이센스 대역에서는, 상술한 것처럼, LBT 및 COT에 의한 송신 제한이 있기 때문에, 해당 PDSCH가 언제 재송되는지에 대해 보증되지 않는다.
NR에서는, 복수의 PDSCH에 대한 각 HARQ-ACK가 동일한 리소스에 설정되어, 단말이 복수의 HARQ-ACK를 단일 PUCCH를 이용해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PUCCH를 이용해 송신되는 HARQ-ACK의 수에 대해, 기지국과 단말이 동일한 값을 인식하게 된다. 그래서, NR에서는, 기지국은, 각 PDSCH에 대응하는 DCI에 의해, counter/total DAI(Downlink Assignment Index)를 단말에 통지하고 있다. counter DAI는, 예를 들면, 단말에 송신된 PDSCH의 누적수에 관한 값을 나타내고, total DAI는, 예를 들면, 단말에 송신되는 PDSCH의 총수(總數)에 관한 값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단말은, total DAI의 값에 기초하여,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는 HARQ-ACK 리소스(예를 들면, PUCCH 리소스)에 있어서 송신해야 할 HARQ-ACK의 수(환언하면, 수신해야 할 PDSCH의 수)를 인식할 수 있다.
단, counter/total DAI(이하, 간단하게 DAI라고 부르기도 함)는, 실제 PDSCH의 수(예를 들면, 누적수 또는 총수)를 4로 나눗셈한 모듈러 연산 결과의 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예를 들면, 단말에 있어서 DCI 수신에 4회 이상 연속해서 실패했을 경우, 단말은, 그 후에 수신되는 DAI로부터는, 실제로 송신되고 있는 PDSCH의 수를 올바르게 인식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 동일한 PUCCH에 대해서 HARQ-ACK 리소스가 할당되는 복수의 PDSCH 중, 최후의 슬롯에 할당된 1개 또는 복수의 PDSCH의 할당을 나타내는 DCI의 수신에 단말이 실패했을 경우, 단말은, 수신 끝난 DAI로부터는, 실제로 송신되어 있는 PDSCH의 수를 올바르게 인식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PUCCH의 리소스는, 예를 들면, HARQ-ACK를 포함한 송신 정보의 페이로드량(量)에 의존해서 결정된다. 이 때문에,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있어서, 동일한 PUCCH에 할당되는 HARQ-ACK의 수에 대해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경우, HARQ-ACK에 이용되는 PUCCH의 송신 리소스의 인식에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PUCCH를 올바르게 수신할 수 없어, HARQ-ACK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지국에 있어서 HARQ-ACK를 수신할 수 없는 원인의 하나인, 단말에 있어서의 연속적인 DCI의 수신 실패, 또는, 최후의 슬롯에 할당된 DCI의 수신 실패는, 라이센스 대역과 비교하여, Wi-Fi등의 다른 시스템 등의 간섭에 기인하여 언 라이센스 대역에 있어서 빈번하게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NR에 있어서 서포트되고 있는 HARQ-ACK의 리소스 할당 방법에서는, 1개의 PDSCH에 대해서 1개의 HARQ-ACK 리소스가 할당되기 때문에, 언 라이센스 대역에 있어서의 LBT 및 COT에 의한 송신 제한에 의해, HARQ-ACK의 송신기회가 충분히 보증되지 않는다. 또, 라이센스 대역과 비교하여, 언 라이센스 대역에 있어서 높은 빈도로 발생이 상정되는, 단말에 있어서의 연속적인 DCI의 수신 실패로 인해,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있어서의 HARQ-ACK수의 인식에 오차가 발생하여, 기지국에 있어서의 PUCCH의 수신 실패가 일어날 수 있다.
그래서,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언 라이센스 대역에 있어서, LBT 및 COT에 의한 송신 제한의 영향에 의해, 라이센스 대역과 비교해, HARQ-ACK의 송신 실패가 일어나기 쉬운 것을 고려하여, 한 번 리소스가 할당된 HARQ-ACK가 기지국에 있어서 수신되지 않은 경우, 기지국은, 단말에 대해서, 해당 HARQ-ACK의 재송을 요구(환언하면, 리퀘스트(request) 또는 트리거(trigger)) 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또,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서는, 언 라이센스 대역의 운용에 있어서의 HARQ-ACK의 재송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 1)
[통신 시스템의 개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100), 및, 단말(200)을 구비한다.
도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100)의 일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에 나타내는 기지국(100)에 있어서, 송신부(107)(예를 들면, 송신기에 상당)는, 하향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HARQ-ACK)의 재송 요구에 관한 제어 정보(예를 들면, 후술하는 HARQ-ACK 재송 요구의 DCI에 포함되는 통지 비트)를 송신한다. 수신부(108)(예를 들면, 수신기에 상당)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재송된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도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200)의 일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에 나타내는 단말(200)에 있어서, 수신부(201)(예를 들면, 수신기에 상당)는, 하향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의 재송 요구에 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송신부(212)(예를 들면, 송신기에 상당)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기지국(100)이 송신하고, 단말(200)이 수신하는 제어 정보는, 재송 요구되는 응답 신호의 수에 관한 복수의 후보값 중 어느것인가 1개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또, 재송 요구되는 응답 신호의 수에 관한 복수의 후보값은, 복수의 입도(이하에서는, 양자화 계수라고도 부름) 중의 어느것인가 1개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기지국의 구성]
도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1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6에 있어서, 기지국(100)은, DCI 생성부(101)와, PDSCH수 기억부(102)와, 통지수 결정부(103)와, 오류정정 부호화부(104)와, 변조부(105)와, 신호 할당부(106)와, 송신부(107)와, 수신부(108)와, 신호 분리부(109)와, 복조부(110)와, 오류정정 복호부(111)와, 캐리어 센스부(112)와, HARQ-ACK 수신부(113)를 가진다.
DCI 생성부(101)는, 예를 들면, DL제어에 관한 DCI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DCI 생성부(101)는, 상위 레이어로부터의 정보(도시하지 않음) 또는 DL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DL데이터(예를 들면, PDSCH)의 할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DCI를 생성한다. 또, DCI 생성부(101)는, 리소스가 할당되는 DL데이터에 대응하는 DAI(예를 들면, counter DAI 및 total DAI)를 DCI에 포함시켜도 좋다. 또, DCI 생성부(101)는, 리소스가 할당되는 DL데이터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송신되는 PDSCH의 수에 관한 정보)를 PDSCH수 기억부(102)에 출력한다.
또, DCI 생성부(101)는, 예를 들면, UL제어에 관한 DCI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DCI 생성부(101)는, 상위 레이어로부터의 정보(도시하지 않음)에 기초하여, UL신호(예를 들면, PUSCH, 또는, HARQ-ACK)의 할당에 관한 정보, 또는, LBT에 있어서의 COT 구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DCI를 생성한다.
또, DCI 생성부(101)는, 오류정정 복호부(111) 또는 HARQ-ACK 수신부(113)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기초로, HARQ-ACK의 재송의 필요여부를 판정하여, HARQ-ACK의 재송을 요구하는 경우, HARQ-ACK의 재송 요구에 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 DCI(예를 들면, Triggering DCI라고도 부름)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DCI 생성부(101)는, 통지수 결정부(103)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200)로 재송 요구하는 HARQ-ACK의 수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한 정보를 포함한 DCI를 생성한다.
DCI 생성부(101)는, 생성한 DCI를 포함한 송신 데이터를 신호 할당부(106)에 출력한다. 또, DCI 생성부(101)는, DL데이터의 할당 정보를 포함한 제어 신호를 신호 할당부(106)에 출력한다. 또, DCI 생성부(101)는, UL신호의 할당 정보를 포함한 제어 신호를 신호 분리부(109)에 출력한다.
PDSCH수 기억(記憶)부(102)는, DCI 생성부(101)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100)으로부터 단말(200)에 송신된 PDSCH(환언하면 리소스가 할당된 PDSCH)의 수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PDSCH수 기억부(102)는, 기억된 PDSCH수에 관한 정보를, 통지수 결정부(103)에 출력한다. PDSCH수 기억부(102)가 기억하는 PDSCH수는, 예를 들면, 동일 리소스에 있어서 한 번에 송신되는 HARQ-ACK에 대응하는 PDSCH의 수이다. 또, PDSCH수 기억부(102)는, 예를 들면, 정상적으로 수신한 HARQ-ACK에 대응하는 PDSCH의 수를 기억 PDSCH수로부터 제외해도 좋다. 또는, PDSCH수 기억부(102)는, 예를 들면, 정상적으로 수신하고 있지는 않지만, 재송이 불필요하게 된 HARQ-ACK에 대응하는 PDSCH의 수를 기억 PDSCH수로부터 제외해도 좋다.
통지수 결정부(103)는, PDSCH수 기억부(102)로부터 입력되는 PDSCH수에 관한 정보, 및, 상위 레이어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도시하지 않음)를 기초로, 단말(200)에 대해서 통지하는 HARQ-ACK의 수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고, DCI 생성부(101)에 출력한다. 또한, 단말(200)에 대해서 통지하는 HARQ-ACK의 수의 결정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오류정정 부호화부(104)는, 송신 데이터 신호(DL데이터 신호) 및 상향 레이어 신호를 오류정정 부호화하고, 부호화 후의 신호를 변조부(105)에 출력한다.
변조부(105)는, 오류정정 부호화부(10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해서 변조 처리를 실시하고, 변조 후의 데이터 신호를 신호 할당부(106)에 출력한다.
신호 할당부(106)는, 예를 들면, DCI 생성부(101)로부터 입력되는 할당 정보, 및, 캐리어 센스부(112)로부터 입력되는 판정 결과를 기초로, 변조부(105)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예를 들면, DL데이터 신호 또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및, DCI 생성부(101)로부터 입력되는 DCI의 적어도 1개를 포함한 DL신호(환언하면, 송신 신호)를 리소스에 할당한다. 형성된 송신 신호는, 송신부(107)에 출력된다.
송신부(107)는, 신호 할당부(106)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해서 업 컨버트 등의 무선 송신 처리를 실시하고, 안테나를 경유하여 단말(200)에 송신한다.
수신부(108)는, 단말(20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안테나를 경유하여 수신하여, 다운 컨버트 등의 무선 수신 처리를 실시하고, 신호 분리부(109) 및 캐리어 센스부(112)에 출력한다.
신호 분리부(109)는, 예를 들면, DCI 생성부(101)로부터 입력되는 할당 정보를 기초로, 수신부(108)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분리한다. 신호 분리부(109)는, 분리된 데이터 신호(예를 들면, UL데이터 신호) 및 UL제어 신호를 복조부(110)에 출력하고, HARQ-ACK를 포함한 UL제어 신호를 HARQ-ACK 수신부(113)에 출력한다.
복조부(110)는, 신호 분리부(109)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해서 복조 처리를 실시하고, 얻어진 신호를 오류정정 복호부(111)에 출력한다.
오류정정 복호부(111)는, 복조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복호하고, 단말(200)로부터의 수신 데이터 신호(UL데이터 신호)를 얻는다. 또, 오류정정 복호부(111)는, HARQ-ACK를 포함한 UL제어 신호의 복호 결과에 관한 정보를 DCI 생성부(101)에 출력한다.
캐리어 센스부(112)는, LBT에 의한 대역의 사용 상황을 확인(환언하면, 조사 또는 서치(search))하는 경우, 수신부(108)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해, LBT에 의한 대역의 사용 상황을 조사하여, 기지국(100)이 통신에 사용하는 대역을 판정한다. 캐리어 센스부(112)는, 판정 결과를 신호 할당부(106)에 출력한다.
HARQ-ACK 수신부(113)는, 신호 분리부(109)로부터 입력되는 UL제어 신호(예를 들면, PUCCH)를 기초로, 할당한 리소스에 있어서 단말(200)로부터 송신된 HARQ-ACK를 검출(환언하면 수신)한다. HARQ-ACK 수신부(113)는, 검출 결과를 기초로, 단말(200)로부터의 PUCCH 송신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해당 PUCCH에 포함되는 HARQ-ACK의 재송 요구의 지시를 DCI 생성부(101)에 출력한다.
[단말의 구성]
도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2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4에 있어서, 단말(200)은, 수신부(201)와, 신호 분리부(202)와, DCI 수신부(203)와, 복조부(204)와, 오류정정 복호부(205)와, 통지수 결정부(206)와, HARQ-ACK 버퍼(buffer)부(207)와, 오류정정 부호화부(208)와, 변조부(209)와, 캐리어 센스부(210)와, 신호 할당부(211)와, 송신부(212)를 가진다.
수신부(201)는, 수신 신호를 안테나를 경유해 수신하여, 다운 컨버트 등의 수신 처리를 실시한 후에 신호 분리부(202) 및 캐리어 센스부(210)에 출력한다.
신호 분리부(202)는, 수신부(20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중, 하향 제어 채널(예를 들면,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후보의 위치(환언하면, 서치 스페이스)에 대응하는 신호 성분을 분리하여, DCI 수신부(203)에 출력한다. 또, 신호 분리부(202)는, DCI 수신부(203)로부터 입력되는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부(20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DL신호(예를 들면, DL데이터 신호 또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를 분리하여, 복조부(204)에 출력한다.
DCI 수신부(203)는, 신호 분리부(20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성분을 모니터(환언하면, 블라인드 복호)하여, 단말(200)앞으로의 DCI를 검출(환언하면, 수신)한다. DCI 수신부(203)는, 모니터에 의해 검출된 DCI를 복호하여 수신한다. DCI 수신부(203)는, 복호된 DCI 중, DL의 할당 정보를 신호 분리부(202)에 출력하고, UL의 할당 정보를 신호 할당부(211)에 출력하고, HARQ-ACK 재송 요구에 관한 정보를 통지수 결정부(206)에 출력한다.
복조부(204)는, 신호 분리부(20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해서, 복조 처리를 실시하고, 얻어진 복조 신호를 오류정정 복호부(205)에 출력한다.
오류정정 복호부(205)는, 복조부(20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복호하고, 얻어진 수신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 또, 오류정정 복호부(205)는, 수신 데이터 신호에 대해서 오류 검출을 행하여, 오류 검출 결과(환언하면, 복호 결과)를 나타내는 HARQ-ACK를 HARQ-ACK 버퍼부(207) 및 오류정정 부호화부(208)에 출력한다.
통지수 결정부(206)는, DCI 수신부(203)로부터 입력되는, HARQ-ACK 재송 요구에 관한 정보, 및, 상위 레이어로부터 입력되는 HARQ-ACK수 결정을 위한 정보(도시하지 않음)를 기초로, 기지국(100)으로부터 재송이 요구되고 있는 HARQ-ACK의 수를 결정한다. 통지수 결정부(206)는, 결정한 HARQ-ACK수에 관한 정보를 HARQ-ACK 버퍼부(207)에 출력한다.
HARQ-ACK 버퍼부(207)는, 오류정정 복호부(205)로부터 입력되는, DL데이터 신호의 복호 결과(환언하면, HARQ-ACK)를 기억한다. 또, HARQ-ACK 버퍼부(207)는, 통지수 결정부(206)로부터 입력되는, HARQ-ACK수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기억하고 있는 HARQ-ACK(환언하면, 재송 요구된 HARQ-ACK)를 오류정정 부호화부(208)에 출력한다.
오류정정 부호화부(208)는, 송신 데이터 신호(UL데이터 신호) 및, 오류정정 복호부(205) 또는 HARQ-ACK 버퍼부(207)로부터 입력되는 HARQ-ACK를 오류정정 부호화하고, 부호화 후의 신호를 변조부(209)에 출력한다.
변조부(209)는, 오류정정 부호화부(208)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변조하고, 변조 신호를 신호 할당부(211)에 출력한다.
캐리어 센스부(210)는, LBT에 의한 대역의 사용 상황을 확인(환언하면, 조사 또는 서치)하는 경우, 수신부(20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해, LBT에 의한 대역의 사용 상황을 조사하고, 단말(200)이 통신에 사용하는 대역을 판정한다. 캐리어 센스부(210)는, 판정 결과를 신호 할당부(211)에 출력한다.
신호 할당부(211)는, DCI 수신부(203)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예를 들면, UL할당 정보 또는 COT 구성), 및, 캐리어 센스부(210)로부터 입력되는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변조부(209)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예를 들면, UL데이터 신호 또는 HARQ-ACK)를 무선 리소스에 할당하여, 송신부(212)에 출력한다.
송신부(212)는, 신호 할당부(21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해서 업 컨버트 등의 무선 송신 처리를 실시하고, 안테나를 경유하여 송신한다.
[기지국(100) 및 단말(200)의 동작]
다음에, 기지국(100)(도3을 참조) 및 단말(200)(도4를 참조)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100) 및 단말(200)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5에 있어서, 기지국(100)은, 단말(200)에 대해서 DL데이터(PDSCH)를 할당하고, DL할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DCI를 생성한다(ST101). 이 때, 기지국(100)은, DL데이터에 대한 HARQ-ACK 송신을 위한 UL리소스를 할당해도 좋다. 이 때, 기지국(100)은, 이 UL리소스에 있어서 HARQ-ACK 송신이 할당된 DL데이터의 총수 등을 단말(200)에 통지해도 좋다. 이 때, 기지국(100)은, DL데이터의 총수에 대해서 어떤 수(예를 들면, 4)로 나눗셈된 모듈러 연산 결과를 이용하여 DL데이터의 총수를 단말(200)에 통지해도 좋다.
기지국(100)은, DCI 및 DL데이터를 단말(200)에 송신한다(ST102). 또한, 도5에 있어서, 기지국(100)은, ST101 및 ST102의 처리를 복수 차례 행해도 좋다. 이 때, 기지국(100)은, 할당한 DL데이터(환언하면, 송신하는 PDSCH)의 수를 기억한다.
단말(200)은, 기지국(100)으로부터 송신된 DCI를 기초로, DL데이터를 수신하여, 복호한다(ST103). 단말(200)은, DL데이터의 복호 결과에 기초한 HARQ-ACK를 기지국(100)에 송신(환언하면 피드백)한다(ST104).
또한, 예를 들면, 단말(200)에 있어서, DCI(예를 들면, PDCCH)의 검출에 실패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단말(200)에서는 기지국(100)으로부터의 DL데이터의 송신을 인식할 수 없어, HARQ-ACK는 송신되지 않는다. 또, 예를 들면, 단말(200)에 있어서, LBT의 판정 결과, 또는, 설정되는 COT에 의해서 UL신호의 송신기회를 얻지 못하는 경우, HARQ-ACK는 송신되지 않는다.
기지국(100)은, DL데이터의 할당과 함께 할당한 HARQ-ACK 송신을 위한 UL리소스에 있어서, HARQ-ACK가 수신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T105).
기지국(100)은, HARQ-ACK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예를 들면, HARQ-ACK의 복호에 실패한 경우), HARQ-ACK의 재송 요구에 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 DCI(예를 들면, HARQ-ACK 재송 요구의 DCI라고 부름)를 생성한다(ST106). HARQ-ACK 재송 요구의 DCI에는, 예를 들면,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면, HARQ-ACK수(환언하면, 단말200에 송신된 PDSCH의 수)를 나타내도 좋고, HARQ-ACK수를 양자화한 값을 나타내도 좋다. 또한,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의 통지 방법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기지국(100)과 단말(200)의 사이에서 공유되고 있다. 기지국(100)은, HARQ-ACK 재송 요구의 DCI를 단말(200)에 송신한다(ST107).
단말(200)은, 기지국(100)으로부터 송신된 HARQ-ACK 재송 요구의 DCI에 기초하여, 재송할 HARQ-ACK(또는, 재송할 HARQ-ACK수)를 결정한다(ST108). 예를 들면, 단말(200)은, HARQ-ACK 재송 요구의 DCI에 포함된 HARQ-ACK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버퍼되어 있는 HARQ-ACK중에서, 재송할 HARQ-ACK를 선택한다. 단말(200)은, 선택한 HARQ-ACK를 재송하고(ST109), 기지국(100)은, 재송된 HARQ-ACK를 수신한다(ST110).
다음에, 기지국(100)으로부터 단말(200)에 통지되는,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의 통지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방법 1>
방법 1에서는,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는, 예를 들면, 기지국(100)으로부터 단말(200)에 송신된 PDSCH의 총수(환언하면, PDSCH에 대한 HARQ-ACK의 총수)에 대응하는 값이 통지된다.
또,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또는 HARQ codebook size라고도 부름)는, 양자화된 값이라도 좋다(일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기지국(100) 및 단말(200)은, 예를 들면,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와,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를 식별(환언하면 통지)하는 통지 비트의 값(예를 들면, 비트값)과의 관련화(관련짓기)를 공유해도 좋다.
이 경우, 기지국(100)은, 예를 들면, 재송 요구하는 HARQ-ACK수를 결정하고, 결정한 HARQ-ACK수와 관련화된 통지 비트값을 포함한 HARQ-ACK 재송 요구의 DCI를 단말(200)에 송신한다. 또, 단말(200)은, 기지국(100)으로부터 통지된 DCI에 포함되는 통지 비트값과 관련화된 HARQ-ACK수를 결정한다.
도6은, 방법 1에 따른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와 통지 비트(비트값)과의 관련화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6에서는, 일례로서,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의 후보값은, 3비트(000~111의 어느것인가)로 표시된다. 또한, 비트수는 3비트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비트수로 표시되어도 좋다.
또, 도6에서는, 일례로서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의 후보값은, 3개 단위로 양자화되어 있다(이하, 양자화 계수=3으로 나타냄). 또한, 양자화 계수는, 예를 들면, 간격, 스텝폭, 입도 등으로 불리어도 좋다. 따라서, 도6에 있어서, 각 비트값(000~111)에는, 양자화 계수=3에 기초하여 설정된,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의 후보값(3, 6, 9, 12, 15, 18. 21. 24)이 각각 관련화되어 있다. 즉, 통지 비트값(000~111의 어느것인가)은,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에 관한 복수의 후보값 중 어느것인가 1개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예를 들면,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가 0개, 또는, 1~3개일 경우(환언하면, 3개 이하일 경우), HARQ-ACK 재송 요구의 DCI에는, 통지 비트=000이 포함된다. 또,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가 4~6개일 경우(환언하면, 6개 이하일 경우), HARQ-ACK 재송 요구의 DCI에는, 통지 비트=001이 포함된다. 도6에 있어서, 다른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일례로서, 기지국(100)이, HARQ-ACK를 수신하지 않은(또는 HARQ-ACK의 복호에 실패한) PDSCH의 수가 6개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기지국(100)(예를 들면, 통지수 결정부103)은, 재송 요구하는 HARQ-ACK수를 6개로 결정한다. 그리고, 기지국(100)은, 예를 들면, 도6의 관련화를 참조하여, 재송 요구하는 HARQ-ACK수=6에 대응하는 통지 비트 ‘001'을 포함한 DCI(HARQ-ACK 재송 요구의 DCI)를 단말(200)에 송신한다.
단말(200)(예를 들면, 통지수 결정부206)은, HARQ-ACK 재송 요구의 DCI에 나타나는 통지 비트가 ‘001'인 경우, 예를 들면, 도6의 관련화에 기초하여, 재송 요구된 HARQ-ACK수를 6개로 결정한다. 그리고, 단말(200)은, HARQ-ACK 버퍼부(207)에 버퍼된 HARQ-ACK중에서, 6개의 HARQ-ACK를 선택하여, 기지국(100)에 송신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기지국(100)은, 단말(200)로부터 재송되는 6개의 HARQ-ACK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에, 다른 예로서 기지국(100)이, HARQ-ACK를 수신하지 않은(또는 HARQ-ACK의 복호에 실패한) PDSCH의 수가 5개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기지국(100)(예를 들면, 통지수 결정부103)은, 재송 요구하는 HARQ-ACK수를 5개로 결정한다. 그리고, 기지국(100)은, 예를 들면, 도6의 관련화를 참조하여, 재송 요구하는 HARQ-ACK수=5(환언하면, 6개 이하)에 대응하는 통지 비트 ‘001'을 포함한 DCI(HARQ-ACK 재송 요구의 DCI)를 단말(200)에 송신한다.
단말(200)(예를 들면, 통지수 결정부206)은, HARQ-ACK 재송 요구의 DCI에 나타나는 통지 비트가 ‘001'인 경우, 예를 들면, 도6의 관련화에 기초하여, 재송 요구된 HARQ-ACK수를 6개로 결정한다. 그리고, 단말(200)은, HARQ-ACK 버퍼부(207)에 버퍼된 HARQ-ACK중에서, 6개의 HARQ-ACK를 선택하여, 기지국(100)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도6에 있어서 통지 비트가 ‘001'인 경우, 기지국(100)이 재송을 요구하는 HARQ-ACK의 수는, 4~6개의 어느것인가이다. 이것에 대해서, 단말(200)은, 예를 들면, 통지 비트 중, 최대수(통지 비트 ‘001'의 경우, 6개)의 HARQ-ACK를 송신해도 좋다. 이 때, 단말(200)은, 실제로 버퍼하고 있는 HARQ-ACK의 수(예를 들면, 상기 예에서는 5개)보다 많은 수(예를 들면, 상기 예에서는 6개)의 HARQ-ACK를 재송하는 경우, 예를 들면, 실제로 버퍼하고 있는 HARQ-ACK(상기 예에서는 5개)에 더하여, 단말(200)이 PDSCH를 수신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HARQ-ACK(상기 예에서는 1개)를 재송하면 좋다. 또, 기지국(100)은, 단말(200)에 송신한 PDSCH수(환언하면, 단말200이 재송해야 할 HARQ-ACK수)를 인식하고 있으므로, 재송 요구하는 HARQ-ACK수(상기 예에서는 5개)보다 많은 HARQ-ACK가 재송된 경우, 남는 HARQ-ACK를 파기하면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기지국(100)은, 단말(200)로부터 재송되는 5개의 HARQ-ACK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가, 상술한 5개 및 6개와 다른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하다.
또, 도6에서는, 일례로서 양자화 계수=3의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양자화 계수는 3인 경우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양자화 계수는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한하지 않고, 가변(可變)하게 설정되어도 좋다. 환언하면,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의 후보값은, 복수의 양자화 계수(예를 들면, 입도) 중의 어느것인가 1개에 기초하여 설정되어도 좋다.
이하, 양자화 계수(환언하면, 통지 비트에 의해서 통지 가능한 HARQ-ACK수의 최대치(最大値))의 설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기지국(100)(예를 들면, 통지수 결정부103)은, 「CA(Carrier Aggregation) 수에 기초한 수」, 및, 「HARQ 프로세스 수」의 적어도 1개에 기초하여, 양자화 계수를 결정해도 좋다. CA에 기초한 수 및 HARQ 프로세스 수는, 예를 들면, 상위 레이어에 의해서 기지국(100) 및 단말(200)에 부여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기지국(100)(예를 들면, 통지수 결정부103)은, CA수에 기초한 수(예를 들면, NCA라고 나타냄), HARQ 프로세스 수(예를 들면, NHARQ process라고 나타냄), 및, 통지 비트수(예를 들면, Bitwidth라고 나타냄) 에 기초하여, 양자화 계수(예를 들면, quantize coefficient라고 나타냄)를 결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통지 비트수(Bitwidth)와, CA수에 기초하는 수(NCA)와, HARQ 프로세스 수(NHARQ process)와, 양자화 계수(quantize coefficient)는, 다음 수학식에 나타내는 관계를 가져도 좋다.
Figure pct00001
수학식(1)에 있어서, 통지 비트수가 일정한 경우, 예를 들면, CA수가 많을수록, 양자화 계수에는 보다 큰 값이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수학식(1)에 있어서, 통지 비트수가 일정한 경우, 예를 들면, HARQ 프로세스 수가 많을수록, 양자화 계수에는 보다 큰 값이 설정된다.
예를 들면, 도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통지 비트수(Bitwidth)가 3비트이고, CA수(NCA)가 3개이며, HARQ 프로세스수(NHARQ process)가 8프로세스인 경우, 수학식(1)에 기초하여, 양자화 계수(quantize coefficient)는 3으로 설정된다.
단말(200)은, HARQ-ACK수의 산출에 사용하는 정보(예를 들면, 양자화 계수, CA수에 기초하는 수, HARQ 프로세스 수 등) 를 기지국(100)으로부터 통지되어, 예를 들면 기지국(100)과 동일한 수학식(1)에 기초하여 HARQ-ACK수를 결정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통지 비트수(Bitwidth), CA수에 기초하는 수(NCA), HARQ 프로세스수(NHARQ process), 및, 양자화 계수(quantize coefficient)의 적어도 1개의 패턴(환언하면, 조합)의 후보가 상위 레이어 또는 DCI에 의해 기지국(100)으로부터 단말(200)에 통지되어도 좋고, 기지국(100) 및 단말(200)에 미리 규정되어도 좋다. 이 경우, 복수의 패턴 후보 중의 어느것인가 1개의 패턴이 기지국(100)으로부터 단말(200)에 통지됨으로써, 통지 비트와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와의 관련화는, 기지국(100)과 단말(200)의 사이에서 공유된다.
일례로서 예를 들면, 양자화 계수의 복수의 후보가 단말(200)에 설정되어도 좋다. 양자화 계수의 복수의 후보는, 예를 들면,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해서 단말(200)에 통지되어도 좋고, 규정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기지국(100)은, 양자화 계수의 복수 후보 중의 실제로 설정하는 어느것인가 1개를 단말(200)에 통지해도 좋다.
예를 들면, 통지 비트수(비트 폭)가 3비트(고정값)인 경우에, 기지국(100)으로부터 단말(200)에 통지되는 양자화 계수가 3일 경우, 도6에 나타내는 것처럼, 통지 비트(000~111의 어느것인가)에 의해,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에 0~24개의 범위가 설정가능하게 된다. 또, 예를 들면, 기지국(100)으로부터 단말(200)에 통지되는 양자화 계수가 2일 경우, 통지 비트(000~111의 어느것인가)에 의해서,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에 0~16개의 범위가 설정 가능하게 된다. 또는, 예를 들면, 기지국(100)으로부터 단말(200)에 통지되는 양자화 계수가 4일 경우, 통지 비트(000~111의 어느것인가)에 의해서,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에 0~32개의 범위가 설정 가능하게 된다. 양자화 계수가 다른 값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양자화 계수를 가변하게 함으로써, 동일한 통지 비트수에 의해서, 재송 요구하는 HARQ-ACK수의 범위를 가변하게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100)은, 예를 들면, 단말(200)에 설정되는 파라미터(예를 들면, CA수 또는 HARQ 프로세스 수)에 맞추어, 재송 요구하는 HARQ-ACK수의 최대치를 추정하고, 추정값에 기초하여 양자화 계수를 설정해도 좋다.
또, 기지국(100) 및 단말(200)은, 예를 들면, 도6에 나타내는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의 최대치(예를 들면, 24)로 나눗셈한 모듈러 연산 결과를 이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기지국(100)에 있어서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가, 도6에 나타내는 HARQ-ACK수의 후보값의 최대치인 24개보다 많은 경우, 통지 비트(예를 들면, 000~111의 어느것인가)는, 실제의 재송 요구되는 응답 신호의 수(예를 들면, 24개보다 많은 수)를, HARQ-ACK수의 후보값의 최대치로 나눗셈한 나머지에 기초한 값(예를 들면, 1을 더한 값)을 나타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기지국(100)은, HARQ-ACK 재송 요구의 DCI에 의해서 통지할 수 있는 통지 비트에 의해서 나타나는 HARQ-ACK수의 최대치(도6에서는 24)보다 많은 HARQ-ACK수를 단말(200)에 통지할 수 있다.
또, 여기서는, 양자화 계수(quantize coefficient)가 가변 값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통지 비트수(Bitwidth)가 가변이어도 좋다.
<방법 2>
방법 2에서는, 예를 들면, CA수에 기초한 수(NCA) 및 HARQ 프로세스 수(NHARQ process)에 기초하여, 요구되는 HARQ-ACK수의 최대치가, 통지 비트의 최대 비트열로 설정된다.
도7은, 방법 2에 따른 재송 요구하는 HARQ-ACK수와 통지 비트(비트값)과의 관련화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7에서는, 일례로서 CA수에 기초하는 수(NCA)가 3이고, HARQ 프로세스 수(NHARQ process)가 8이며, 통지 비트수(비트폭)가 3비트인 경우를 나타낸다. 따라서, 도7에서는, 요구되는 HARQ-ACK수의 최대치는, NCA×NHARQ process=24로 추정된다.
도7에서는, 통지 비트의 최대 비트열 ‘111'에 대해서,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 24가 관련화되어 있다. 또, 도7에서는, 통지 비트의 최대 비트열 ‘111'과 다른 비트열 ‘000'~‘110'에는, 예를 들면,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 0~6이 각각 오름차순으로 관련화되어 있다. 환언하면, 도7에서는, 비트열 ‘000'~‘110'에 대해서 양자화 계수 1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방법 2에 있어서, 양자화 계수는 1인 경우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값이어도 좋다.
이상, 방법 1 및 방법 2에 대해 각각 설명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를 나타내는 통지 비트가 기지국(100)으로부터 단말(200)에 통지된다. 예를 들면, 도6 및 도7에 나타내는 것처럼, 통지 비트에 의해서 통지되는,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는, 예를 들면, 기지국(100)이 단말(200)에 송신한 PDSCH의 총수를 나타내는 값이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counter/total DAI(예를 들면, 모듈러 연산 연산결과의 값)를 포함한 DCI의 수신에 여러 차례 실패하여, 기지국(100)이 실제로 송신한 PDSCH수를 특정할 수 없는 경우에서도, 단말(200)은, HARQ-ACK 재송 요구의 DCI 에 기초하여, 기지국(100)이 재송을 요구하는 HARQ-ACK수를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면, 라이센스 대역과 비교해, DCI(환언하면, PDCCH)의 수신을 실패하기 쉬운 언 라이센스 대역에서도, 단말(200)은, HARQ-ACK를 적절하게 재송할 수 있다. 또, HARQ-ACK 재송 요구의 DCI에 의해서, 기지국(100)과 단말(200) 사이에 있어서의 HARQ-ACK수의 인식을 맞출 수 있으므로, 기지국(100)에 있어서의 PUCCH의 수신 실패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면,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의 양자화 계수를 가변하게 함으로써, 기지국(100)은, HARQ-ACK 재송 요구의 DCI에 의해서 통지할 수 있는 HARQ-ACK수의 범위를 가변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단말(200)에 설정되는 파라미터(예를 들면, CA수 및 HARQ 프로세스 수)에 따라,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단말(200)은, 기지국(100)이 재송을 요구하는 HARQ-ACK수를 올바르게 인식하기 쉽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기지국(100)은,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를 양자화한 값을 단말(200)에 통지한다. 이것에 의해,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의 통지에 요하는 정보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양자화 계수의 결정의 기준이 되는 파라미터는, CA수 및 HARQ 프로세스 수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HARQ-ACK수의 증감에 영향을 주는 파라미터이면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가 양자화된 값이 통지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환언하면, 양자화되지 않은 값)에 관련화된 값(비트 값)이 통지되어도 좋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1에서는, 재송 요구되는 HARQ-ACK의 수(또는, 양자화된 값)가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통지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이것에 비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의 통지에, total DAI의 값(또는, 양자화된 값)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3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8에 있어서, 실시형태 1(예를 들면, 도3을 참조)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8에 나타내는 기지국(300)은, 도3에 나타내는 PDSCH수 기억부(102) 및 통지 수 결정부(103) 대신에, Total DAI값 버퍼부(301)를 구비한다.
Total DAI값 버퍼부(301)는, DCI 생성부(302)로부터 입력되는 Total DAI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기지국(300)이 DL데이터 신호(예를 들면, PDSCH)를 송신한 슬롯내의 PDSCH에 할당된 total DAI의 값을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Total DAI값 버퍼부(301)는, 기억된 Total DAI값을, DCI 생성부(302)에 출력한다. Total DAI값 버퍼부(301)는, 예를 들면, 정상적으로 수신한 HARQ-ACK에 대응하는 PDSCH에 설정된 Total DAI를, 기억하는 Total DAI로부터 제외해도 좋다. 또는, Total DAI값 버퍼부(301)는, 예를 들면, 정상적으로 수신하지는 않았지만, 재송이 불필요하게 된 HARQ-ACK에 대응하는 PDSCH에 설정된 Total DAI를, 기억하는 Total DAI로부터 제외해도 좋다.
DCI 생성부(302)는, DL 할당(예를 들면, PDSCH 할당) 때에 설정되는 Total DAI값(예를 들면, 송신된 PDSCH의 총수를 규정치(예를 들면, 4)로 나눗셈한 나머지에 기초하는 값(예를 들면, 1을 더한 값)을 Total DAI값 버퍼부(301)에 출력한다. 또, DCI 생성부(302)는, 오류정정 복호부(111) 또는 HARQ-ACK 수신부(113)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HARQ-ACK의 재송의 필요 여부를 판정하고, HARQ-ACK의 재송을 요구하는 경우, HARQ-ACK의 재송 요구에 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 DCI(예를 들면, Triggering DCI라고도 부름)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DCI 생성부(302)는, Total DAI값 버퍼부(301)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400)에 요구하는 Total DAI값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한 정보를 포함한 DCI를 생성한다.
도9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4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9에 있어서, 실시형태 1(예를 들면, 도4를 참조)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HARQ-ACK 버퍼부(401)에는, DCI 수신부(203)로부터 Total DAI값이 입력된다. HARQ-ACK 버퍼부(401)는, 입력되는 Total DAI값에 기초하여, 기억하고 있는 HARQ-ACK(환언하면, 재송 요구된 HARQ-ACK)를 오류정정 부호화부(208)에 출력한다.
다음에, 기지국(300)(도8을 참조) 및 단말(400)(도9를 참조)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기지국(300)으로부터 단말(400)에 통지되는,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의 통지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방법 1>
기지국(300)은, 예를 들면, 재송 요구되는 HARQ-ACK에 대응하는 PDSCH 중, 최후에 할당된 PDSCH에 설정된 Total DAI값을, HARQ-ACK 재송 요구의 DCI에 있어서 단말(400)에 통지하는 HARQ-ACK수에 관한 정보로 설정한다.
도10은, 방법 1에 따른 재송 요구하는 HARQ-ACK수(Total DAI값을 나타내는 VDAI)와 통지 비트(비트 값)와의 관련화의 일례를 나타낸다.
또한, 도10에서는, 일례로서 Total DAI값을 나타내는 VDAI는, Total DAI값을 4로 나눗셈한 나머지를 나타내는 모듈러 연산값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10에 있어서, VDAI=(Y-1) mod 4 + 1이 된다. 예를 들면, 도10에서는,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가 1, 5, 9,…일 경우, VDAI=1과 통지 비트=00이 관련화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10에서는,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가 2, 6, 10,…일 경우, VDAI=2와 통지 비트=01이 관련화되어 있다. 도10에 있어서, 다른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10에서는, Total DAI값을 나타내는 VDAI가 모듈러 연산 값(예를 들면, PDSCH 총수를 규정치로 나눗셈한 나머지에 기초한 값)을 나타내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VDAI는, Total DAI값(예를 들면, PDSCH 총수)을 나타내도 좋다.
단말(400)은, 예를 들면, HARQ-ACK 재송 요구의 DCI를 이용해 통지된 통지 비트(비트 값)과 관련화된 HARQ_ACK수 중, 단말(400)이 버퍼하고 있는 HARQ-ACK수 이상의 Total DAI 중에서 최소값을 결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단말(400)은, 버퍼하고 있는 HARQ-ACK수가 5개이고, HARQ-ACK 재송 요구의 DCI를 이용해 통지 비트 ‘01'이 통지되었을 경우, 기지국(300)에 의해서 재송 요구된 HARQ-ACK의 수를, 통지 비트 ‘01'과 관련화된 2, 6, 10,… 중, 5이상의 최소값인 6개로 결정해도 좋다.
이와 같이, 단말(400)은, 단말(400)이 수신한 최후의 PDSCH(환언하면, 단말400이 인식하고 있는 Total DAI)가 아니라, 단말(400)이 수신하지 않은(예를 들면, PDCCH의 복호에 실패한 PDSCH)를 포함한 Total DAI 에 기초하여, 기지국(300)이 요구하고 있는 HARQ-ACK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기지국(300)이 재송을 요구하는 HARQ-ACK수와, 단말(400)이 재송하는 HARQ-ACK수와의 인식을 맞출 수 있다.
또한, 통지 비트 수는, 2비트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비트 수 라도 좋다.
<방법 2>
방법 2에서는, 예를 들면, 방법 1에 있어서 통지되는 Total DAI값(예를 들면, 도10에 나타내는 VDAI)을 양자화한 값이 통지된다.
도11은, 방법 2에 따른 재송 요구하는 HARQ-ACK수(Total DAI값을 나타내는 VDAI)와 통지 비트(비트값)와의 관련화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11에 나타내는 것처럼, 도10에 나타내는 VDAI=0 및 1에 대응하는 HARQ_ACK수(1,2,5,6,9,10,…)가 통지 비트 ‘01'과 관련화되고, 도10에 나타내는 VDAI=2 및 3에 대응하는 HARQ_ACK수(3,4,7,8,11,12,…)가 통지 비트 ‘10'과 관련화되어 있다.
도11에서는, 단말(400)은, 예를 들면, HARQ-ACK 재송 요구의 DCI에 의해서 통지된 통지 비트가 ‘01' 또는 ‘10'일 경우, 방법 1과 동일하게 하여 재송을 요구하는 HARQ-ACK수를 결정한다. 또, 도11에서는, 예를 들면, HARQ-ACK 재송 요구의 DCI를 이용해 통지된 통지 비트가 ‘00' 또는 ‘11'일 경우, HARQ-ACK의 재송이 요구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또한, 통지 비트 수는, 2비트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비트 수 라도 좋다.
이상, 방법 1 및 방법 2에 대해 각각 설명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에 대응하는 Total DAI값과 관련화된 통지 비트가 기지국(300)으로부터 단말(400)에 통지된다. 이것에 의해, 단말(400)은, 기지국(300)이 재송을 요구하는 HARQ-ACK수를 정상적으로 인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면, 라이센스 대역과 비교하여, DCI(환언하면, PDCCH)의 수신을 실패하기 쉬운 언 라이센스 대역에서도, 단말(400)은, HARQ-ACK를 적절하게 재송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기지국(300)은, PDSCH의 할당시에 통지하는 Total DAI값을,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의 통지에 재이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1 및 실시형태 2에 있어서, 기지국(예를 들면, 기지국100 또는 기지국300)이 단말(예를 들면, 단말200 또는 단말400)에 재송을 요구하는 HARQ-ACK수를 통지할 때에 이용하는 DCI(예를 들면, HARQ-ACK 재송 요구의 DCI)는, 예를 들면, PDSCH를 할당하지 않는 DCI이어도 좋다. 또, PDSCH를 할당하지 않는 DCI에서는, 복수의 단말에 대한 재송 요구하는 HARQ-ACK수가 한꺼번에 통지되어도 좋다.
도1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HARQ-ACK 재송 요구의 DCI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또, 도13은, 도12에 나타내는 DCI에 있어서 통지되는 통지 비트(비트 값)와,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와의 관련화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13에서는, 통지 비트수를 2비트로 하고,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설명한 양자화 계수를 2로 한다.
도12에 나타내는 것처럼, DCI에는, 단말(UE)#1~#N의 각각에 대해서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의 통지 영역이 설정된다. 예를 들면, 도12에 나타내는 DCI의 UE#1 용의 통지 영역에는, 재송을 요구하는 통지 비트 ‘01'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UE#1은, 예를 들면, 도13을 참조하여, 통지 비트 ‘01'과 관련화된 2개의 HARQ-ACK의 재송이 요구되고 있다고 판단한다. 도12에서는, DCI의 다른 단말(UE#2, #3, #4,…, UE#N)에 대해서도, 각각 4, 0, 4, 6개의 HARQ-ACK의 재송이 요구되고 있다.
각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된 DCI내의 통지 영역 중, 해당 단말용의 통지 영역에 있어서 통지된 통지 비트에 기초하여, 재송 요구된 HARQ-ACK수를 결정한다. 또한, DCI내의 단말 마다의 통지 영역은, 상위 레이어의 시그널링에 의해서, 각 단말에 대해서 미리 통지되어도 좋고, PDSCH의 할당 영역 등을 기초로 각 단말에 의해 판단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지국은,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에 관한 제어 정보(예를 들면, 통지 비트)를 포함하고, PDSCH의 리소스 할당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DCI를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HARQ-ACK 재송 요구의 DCI는, 예를 들면, 다른 DCI와 동일한 페이로드에 합함으로써, 단말에서는, 다른 DCI와 동일한 모니터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또, 도12에 나타내는 것처럼, 기지국은, HARQ-ACK 재송 요구의 DCI에 의해서, 복수의 단말에 대해서, 재송하는 HARQ-ACK수를 모아서 요구할 수 있다.
또한, 도12에 나타내는 DCI를 모니터하는 단말이 설정되어도 좋다. 도12에 나타내는 DCI를 모니터하는 단말에는, 예를 들면, 상위 레이어의 시그널링을 이용해, 모니터하도록 통지되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도12에 나타내는 DCI가 송신되는 영역은, 커먼 서치 스페이스(common search space)로 불리는 영역, 또는, 그룹 커먼 서치 스페이스(group common search space)로 불리는 영역이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HARQ-ACK 재송 요구의 DCI는, 복수의 단말에 의해서 동시에 모니터되기 쉬워진다.
또, 도12에 나타내는 DCI에 사용되는 포맷은, 다른 DCI 포맷과 동일한 사이즈로서 무선 네트워크 템포러리 아이덴티파이어(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RNTI)에 의해서 다른 DCI와 구별되어도 좋다.
또, 기지국이 단말에 요구하는 HARQ-ACK수를 통지할 때에 이용하는 DCI에는, PDSCH를 할당하지 않는 DCI가 사용되어, 예를 들면, 1개의 단말에 통지되어도 좋다. 이 경우, 해당 DCI(예를 들면, dedicated DCI라고도 부름)가 송신되는 영역은, 커먼 서치 스페이스(common search space) 및 그룹 커먼 서치 스페이스(group common search space) 로 불리는 영역이어도 좋고, UE 스페시픽 서치 스페이스(specific search space) 등으로 불리는 영역이어도 좋다. UE 스페시픽 서치 스페이스(specific search space)로 송신된 신호는 동시에 1개의 단말로부터 모니터되므로, 기지국은, 예를 들면, 대상 단말을 향해 형성된 송신 빔을 이용해 DCI를 송신할 수 있다.
또, 동일 단말에 대해서 다른 PDSCH를 할당하는 DCI에, 재송을 요구하는 HARQ-ACK수의 통지를 포함해도 좋다. 이 경우, 기지국은, 예를 들면, 단말에 대해서, 한 번 할당한 PDSCH에 대한 HARQ-ACK의 재송 요구에 관한 제어 정보, 및, 새로운 PDSCH 및 새로운 PDSCH에 대한 HARQ-ACK의 리소스 할당을 포함한 DCI를 통지해도 좋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는 DCI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한 번 할당한 PDSCH에 대한 HARQ-ACK 및 새로운 PDSCH에 대한 HARQ-ACK를, 새로운 PDSCH에 대한 HARQ-ACK에 할당된 리소스에 있어서 송신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기지국은, HARQ-ACK의 재송 요구 시에, 재송 요구되는 HARQ-ACK의 송신 리소스를 별도 할당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리소스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4는, 동일 단말에 다른 PDSCH를 할당하는 DCI에, 재송을 요구하는 HARQ-ACK수의 통지를 포함시키는 경우의 동작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14에 있어서 HARQ-ACK 재송 요구에 대해 통지되는 통지 비트(예를 들면, Trigger:2비트)와 재송 요구되는 HARQ-ACK수와의 관련화는, 예를 들면, 도13에 나타내는 관련화이다.
도14에 나타내는 것처럼, slot n 및 slot n+1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PDSCH에 대한 HARQ-ACK는, slot n+2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송신되고, slot m, slot m+1 및 slot m+2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PDSCH에 대한 HARQ-ACK는, slot m+4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송신되도록, 각 PDSCH의 할당을 나타내는 PDCCH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 통지되고 있다.
도14의 위의 도면에서는, slot n+2에 있어서 HARQ-ACK 송신이 성공해 있다. 이 때문에, slot m, slot m+1 및 slot m+2에서는 재송 요구되는 HARQ-ACK는 없다. 따라서, slot m, slot m+1 및 slot m+2에 있어서의 PDCCH의 DCI에서는, HARQ-ACK 재송 요구의 통지 비트 ‘00'(환언 하면, HARQ-ACK의 재송 요구 없음)이 통지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도14의 위의 도면에서는, slot n+2에 있어서, slot n 및 slot n+1의 PDSCH에 대한 HARQ-ACK이 할당되어, 결과, slot n+2에서는 합계 2비트의 HARQ-ACK가 송신된다.
한편, 도14의 아래 도면에서는, slot n+2에 있어서의 HARQ-ACK를 포함한 PUCCH 송신이 실패해 있다. slot n+2에 있어서 송신 실패한 HARQ-ACK의 재송을 요구하기 위하여, 기지국은, slot m, slot m+1 및 slot m+2에 있어서의 PDCCH의 DCI에서는, HARQ-ACK 재송 요구의 통지 비트 ‘01'(환언하면, 2개의 HARQ-ACK의 재송 요구)을 통지한다.
따라서, 도14의 아래 도면에서는, 기지국은, 단말에 대해서, slot m, slot m+1 및 slot m+2에 있어서 할당한 PDSCH에 대한 HARQ-ACK를 slot m+4의 리소스에 할당하고, 재송 요구하고 있는 HARQ-ACK(예를 들면, slot n 및 slot n+1에 할당된 PDSCH에 대한 HARQ-ACK)를 slot m+4의 리소스에 할당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도14의 아래 도면에서는, slot m+4에 있어서, slot m, slot m+1 및 slot m+2의 PDSCH에 대한 HARQ-ACK와, slot n 및 slot n+1의 PDSCH에 대한 HARQ-ACK가 할당되어, 결과, slot m+4에서는 합계 5비트의 HARQ-ACK가 송신된다.
또한, 도14에서는, 일례로서 slot m+4에 있어서, slot m, slot m+1 및 slot m+2의 PDSCH에 대한 HARQ-ACK에 합하여, slot n 및 slot n+1의 PDSCH에 대한 HARQ-ACK도 할당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slot n 및 slot n+1의 PDSCH에 대한 HARQ-ACK(환언하면, 재송이 요구되고 있는 HARQ-ACK)는, slot m+4와는 다른 슬롯의 리소스에 할당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재송 요구되는 HARQ-ACK에 할당되는 리소스는, 새로운 PDSCH(도14에서는, slot m ~ slot m+3의 PDSCH)에 대한 HARQ-ACK 송신에 할당되는 리소스(도14에서는, slot m+4)를 기준으로 설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재송 요구되는 HARQ-ACK에 할당되는 리소스는, 새로운 PDSCH에 대한 HARQ-ACK 송신에 할당되는 리소스의 1개 전(前)의 슬롯(도14에서는 slot m+3)에 할당되어도 좋다. 기지국과 단말은, 재송 요구되는 HARQ-ACK이 할당되는 리소스에 관한 룰을 공통되게 하여, 룰에 따라서 리소스를 결정하면 된다.
(실시형태 4)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말(예를 들면, 단말200 또는 단말400)이, 재송이 요구된 HARQ-ACK를 송신할 때에 이용하는 PUCCH의 리소스 할당 및 송신 타이밍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3개의 동작예 4-1~동작예 4-3에 대해 각각 설명한다.
<동작예 4-1>
동작예 4-1에서는, 기지국(예를 들면, 기지국100 또는 기지국300)은, 재송 요구된 HARQ-ACK의 송신용 리소스 및 타이밍에 관한 룰을 공유하고, 룰에 따라서 재송 요구되는 HARQ-ACK의 송신 리소스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재송 요구된 HARQ-ACK는, 규정된 리소스 및 타이밍에 있어서 재송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재송 요구되는 HARQ-ACK의 리소스(예를 들면, PUCCH 리소스)의 타이밍은, HARQ-ACK 재송 요구의 DCI(환언하면, DL제어 신호)가 송신되는 슬롯의 직후의 슬롯이어도 좋고, HARQ-ACK 재송 요구의 DCI가 송신된 슬롯 이후에 할당되는 UL신호를 위한 리소스의 선두 슬롯이어도 좋다. 또는, 재송 요구되는 HARQ-ACK의 리소스의 타이밍은, 상위 레이어에 의해서 설정된 PDSCH-to-HARQ-timing indicator 중의 1개의 상태이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기지국 및 단말은, 재송 요구되는 HARQ-ACK의 송수신에 사용되는 PUCCH 리소스에 관한 통지 없이, 해당 PUCCH 리소스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예 4-2>
동작예 4-2에서는, 기지국은, HARQ-ACK를 재송 요구할 때에, 재송 요구되는 HARQ-ACK의 PUCCH 리소스(예를 들면, 리소스 및 타이밍)에 관한 정보를 단말에 통지한다. 단말은, 통지된 PUCCH 리소스에 있어서 HARQ-ACK를 재송한다.
예를 들면, 단말은, Rel.15의 NR에 있어서 서포트되고 있는 RRC에 의해 이미 보지(保持)하고 있는 설정으로부터,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는, 재송 요구되는 HARQ-ACK의 PUCCH 리소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DCI에 기초하여, 재송 요구된 HARQ-ACK의 실제의 리소스 할당을 결정해도 좋다.
이 경우, 기지국은, 예를 들면, PDSCH의 리소스를 할당하는 DCI에 포함되는, HARQ-ACK 리소스의 할당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PDSCH-to-HARQ_feedback timing indicator)를 재이용해도 좋다. 단말은, HARQ-ACK 리소스 할당에 관한 정보의 수신 처리에 있어서, PDSCH 리소스를 할당하는 DCI를 수신할 때의 방법을 재이용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기지국 및 단말에 있어서의 HARQ-ACK의 재송 처리를 간이화 할 수 있다.
<동작예 4-3>
동작예 4-3에서는, 기지국 및 단말은, HARQ-ACK의 재송을 요구하는 DCI와, 다른 PDSCH의 리소스 할당을 행하는 DCI와의 송신 타이밍의 관계성(환언하면, 공통의 룰)에 기초하여, 재송 요구된 HARQ-ACK의 할당 리소스 및 송신 타이밍을 결정한다.
도15(a), 도15(b) 및 도15(c)는, HARQ-ACK 재송을 요구하는 DCI(Triggering DCI) 및, 다른 PDSCH의 리소스를 할당하는 DCI의 송신예를 나타낸다.
도15(a), 도15(b) 및 도15(c)는, slot m 및 slot m+1의 PDSCH에 대한 HARQ-ACK는, 슬롯 p에 할당되어 있지만, HARQ-ACK의 송신은 실패해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15(a)는, 슬롯 p에 있어서 송신 실패한 HARQ-ACK의 재송을 요구하는 DCI(예를 들면, Triggering DCI)가, slot n보다 앞(환언하면, 새로이 PDSCH가 할당되어 있는 slot n, slot n+1 및 slot n+2보다 앞) 에서 송신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15(a)의 경우, 기지국은, HARQ-ACK의 재송을 요구하는 시점에서는, slot n~slot n+2에 할당하는 PDSCH에 대한 HARQ-ACK를 아직도 할당하지 않았다. 그래서, 기지국은, 예를 들면, 재송을 요구하는 HARQ-ACK(예를 들면, slot n 및 slot n+1의 PDSCH에 대한 HARQ-ACK) 의 리소스를, slot n~slot n+2의 PDSCH에 대한 HARQ-ACK의 리소스 할당과는 무관계하게 할당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15(a)에서는, 재송을 요구하는 HARQ-ACK는, slot n~slot n+2의 PDSCH에 대한 HARQ-ACK의 리소스(도시하지 않음)와는 다른 slot q에 할당되어 있다.
이 때, HARQ-ACK의 리소스 할당 방법은, 예를 들면, NR에서 서포트되고 있는 방법을 재이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slot n~slot n+2에 할당되는 PDSCH에 대한 HARQ-ACK가, 재송이 요구된 HARQ-ACK와 동일하게 slot q에 할당된 경우, 단말은, 어느 HARQ-ACK도 동일한 리소스(예를 들면, slot q)로 송신해도 좋다.
다음에, 도15(b)는, slot p에 있어서 송신 실패한 HARQ-ACK의 재송을 요구하는 DCI가, slot n~slot n+2의 사이(환언하면, 새로이 PDSCH가 할당되고 있는 slot n, slot n+1 및 slot n+2의 사이)에 송신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15(b)의 경우, 기지국은, HARQ-ACK의 재송을 요구하는 시점에서는, slot n~slot n+2에 할당하는 PDSCH에 대한 HARQ-ACK를 할당하기 시작하고 있다. 그래서, 기지국은, 예를 들면, 재송을 요구하는 HARQ-ACK(예를 들면, slot n 및 slot n+1의 PDSCH에 대한 HARQ-ACK) 의 리소스를, slot n~slot n+2의 PDSCH에 대한 HARQ-ACK와 동일한 리소스에 할당해도 좋다.
이 경우, 기지국은, 재송을 요구하는 HARQ-ACK를 위한 리소스 할당을 단말에 통지하지 않아도 좋고, 통지해도 좋다. 재송을 요구하고 있는 HARQ-ACK를 위한 리소스 할당을 통지하는 경우, 예를 들면, HARQ-ACK의 리소스 할당 방법은, NR에서 서포트되고 있는 방법을 재이용해도 좋다. 또, 재송을 요구하고 있는 HARQ-ACK를 위한 리소스와 slot n~n+2의 PDSCH에 대한 HARQ-ACK를 위한 리소스는 달라도 좋다.
다음에, 도15(c)는, 슬롯 p에 있어서 송신 실패한 HARQ-ACK의 재송을 요구하는 DCI가, slot n~slot n+2보다 뒤(後) (환언하면, 새로이 PDSCH가 할당되고 있는 slot n, slot n+1 및 slot n+2의 뒤) 의 슬롯으로 송신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15(c)의 경우, 기지국은, HARQ-ACK의 재송을 요구하는 시점에서는, slot n~slot n+2의 PDSCH에 대한 HARQ-ACK를 할당하기 시작하고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예를 들면, 재송을 요구하는 HARQ-ACK(예를 들면, slot n 및 slot n+1의 PDSCH에 대한 HARQ-ACK) 의 리소스를, slot n~slot n+2의 PDSCH에 대한 HARQ-ACK와 동일한 리소스에 할당해도 좋다(도시하지 않음). 기지국은, 재송을 요구하고 있는 HARQ-ACK를 위한 리소스 할당을 통지하지 않아도 좋고, 통지해도 좋다. 재송을 요구하고 있는 HARQ-ACK를 위한 리소스 할당을 통지하는 경우, 예를 들면, HARQ-ACK의 리소스 할당 방법은, NR에서 서포트되고 있는 방법을 재이용해도 좋다.
또는, 도15(c)에 나타내는 것처럼, 기지국은, 재송을 요구하는 HARQ-ACK를 위한 리소스와, slot n~n+2의 PDSCH에 대한 HARQ-ACK를 위한 리소스를 다르게 해도 좋다.
이와 같이, 동작예 4-3에 의하면, 기지국 및 단말은, HARQ-ACK 재송 요구의 DCI의 송신 타이밍과, 다른 PDSCH의 리소스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DCI의 송신 타이밍과의 관계(환언하면, 스케줄링 상황)에 맞추어, 재송 요구되는 HARQ-ACK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유연하게 결정할 수 있다.
이상, 동작예 4-1~동작예 4-3에 대해 설명했다.
(실시형태 5)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지국(예를 들면, 기지국100 또는 기지국300) 이 재송을 요구하는 HARQ-ACK의 범위에 대해 설명한다. 환언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말(예를 들면, 단말200 또는 단말400)이 버퍼하는 HARQ-ACK의 범위에 대해 설명한다.
<방법 1>
방법 1에서는, 재송 요구되는 HAQR-ACK은, 기지국이 송신한 복수의 PDSCH에 대한 HARQ-ACK 중, 기지국이 수신하지 않은 HARQ-ACK(환언하면, 수신 성공하지 않은 HARQ-ACK)이다.
단말은, 기지국에 의해서 한 번 리소스가 할당되었지만 송신에 실패한 HARQ-ACK에 대해서, 기지국에 있어서의 HARQ-ACK 수신이 성공할 때까지, 보지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기지국은, HARQ-ACK의 수신에 성공하지 않은 PDSCH를 재송하는 일 없이, HARQ-ACK 수신이 성공할 때까지, HARQ-ACK의 재송을 단말에 요구할 수 있다.
<방법 2>
방법 2에서는, 재송 요구되는 HARQ-ACK는, 기지국이 송신한 복수의 PDSCH 중, 일부의 PDSCH에 대한 HARQ-ACK이다. 방법 2에서는, 예를 들면, 일부의 PDSCH는, 복수의 COT(환언하면, 송신 가능 기간) 중, 현재 시각에 설정된 COT로부터 1개 전의 COT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기지국이 송신한 PDSCH이다.
단말은, 기지국에 의해서 한 번 리소스가 할당되었지만 송신에 실패한 HARQ-ACK에 대해서, 그 시점에 설정되어 있는 COT, 및, 해당 COT의 1개 전의 COT에 있어서 송신된 PDSCH에 대한 HARQ-ACK를 보지하고, 현 시점의 COT의 2이상 전의 COT에 송신된 PDSCH에 대한 HARQ-ACK를 파기해도 좋다.
이 경우, 기지국은, 예를 들면, 현시점의 COT의 2이상 전의 COT내에 있어서 송신한 PDSCH에 대해서, 대응하는 HARQ-ACK의 재송을 요구하지 않고, 단말에 있어서의 수신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PDSCH를 재송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단말에 있어서의 HARQ-ACK를 버퍼하기 위한 메모리를 저감할 수 있다.
<방법 3>
방법 3에서는, 재송 요구되는 HARQ-ACK는, 기지국이 송신한 복수의 PDSCH 중, 일부의 PDSCH에 대한 HARQ-ACK이다. 방법 3에서는, 예를 들면, 일부의 PDSCH는, 복수의 COT(환언하면, 송신 가능 기간) 중, 현시각에 설정된 COT로부터 규정 수(예를 들면, X개) 전의 COT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기지국이 송신한 PDSCH이다.
단말은, 기지국에 의해서 한 번 리소스가 할당되었지만 송신에 실패한 HARQ-ACK에 대해서, 그 시점에 설정되어 있는 COT로부터, X개 전의 COT에 있어서 송신된 PDSCH에 대한 HARQ-ACK를 보지하고, 현 시점의 COT로부터 (X+1)이상 전의 COT에 있어서 송신된 PDSCH에 대한 HARQ-ACK를 파기해도 좋다.
이 경우, 기지국은, 예를 들면, (X+1)이상 전의 COT내에 있어서 송신한 PDSCH에 대해서, 대응하는 HARQ-ACK의 재송을 요구하지 않고, 단말에 있어서의 수신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PDSCH를 재송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단말에 있어서의 HARQ-ACK를 버퍼하기 위한 메모리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X의 값은, 사전에 설정되어도 좋고, 상위 레이어 또는 DCI에 의해서 가변하게 설정되어도 좋다. X의 값을 상위 레이어에 의한 가변의 설정값으로 했을 경우, 설정값은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통지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X=1의 경우는, 방법 2와 동일한 것이 된다.
<방법 4>
방법 4에서는, 재송 요구되는 HARQ-ACK는, 기지국이 송신한 복수의 PDSCH 중, 일부 PDSCH에 대한 HARQ-ACK이다. 방법 4에서는, 예를 들면, 일부 PDSCH는, 현 시각의 슬롯으로부터 규정수(예를 들면, X개) 전의 슬롯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기지국이 송신한 PDSCH이다.
단말은, 기지국에 의해서 한 번 리소스가 할당되었지만 송신에 실패한 HARQ-ACK에 대해서, 그 시점으로부터 X슬롯 내에 송신된 PDSCH에 대한 HARQ-ACK를 보지하고, (X+1) 이상 전의 슬롯에 있어서 송신된 PDSCH에 대한 HARQ-ACK를 파기해도 좋다.
이 경우, 기지국은, 예를 들면, (X+1) 이상 전의 슬롯내에 있어서 송신된 PDSCH에 대해서, 대응하는 HARQ-ACK의 재송을 요구하지 않고, 단말에 있어서의 수신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PDSCH를 재송해도 좋다.
또한, X의 값은, 사전에 설정되어도 좋고, 상위 레이어 또는 DCI에 의해서 가변하게 설정되어도 좋다. X의 값을 상위 레이어에 의한 가변의 설정값으로 했을 경우, 설정값은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통지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단말에 있어서의 HARQ-ACK를 버퍼하기 위한 메모리를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COT길이는, 예를 들면, 절대 시간에 대해서 설정되는 것에 비해, 슬롯 길이는, 예를 들면, 서브 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 SCS)에 따라 변경된다. 따라서, 방법 4에 의하면, SCS가 변경될 경우에는, 슬롯 길이가 변경하지만, 단말에 있어서 HARQ-ACK의 버퍼에 요하는 메모리를, X의 값에 기초하는 슬롯수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6)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PDSCH를 그룹화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기지국은, 예를 들면, HARQ-ACK의 재송을 요구할 때, 재송 요구하는 HARQ-ACK에 대응하는 PDSCH가 포함되는 그룹을 식별하는 정보(예를 들면, 그룹 ID)를 단말에 통지해도 좋다.
예를 들면, 기지국은, 재송을 요구하는 HARQ-ACK의 수와, 재송을 요구하는 HARQ-ACK에 대응하는 그룹 ID를 단말에 통지해도 좋다. 단말은, 재송을 요구하는 HARQ-ACK에 대응하는 그룹 번호에 대응하는 그룹에 있어서, 재송을 요구하는 HARQ-ACK수의 HARQ-ACK를 선택하여, 재송해도 좋다.
예를 들면, PDSCH의 그룹 형성의 기준으로서, HARQ-ACK를 요구하는 시점에 설정되어 있는 COT내에 할당된 PDSCH인지 아닌지에 기초하여 구별되어도 좋다. 기지국은, 예를 들면, HARQ-ACK의 재송을 요구하는 시점에 설정되어 있는 COT와 다른 COT에 포함되는 PDSCH의 그룹에 대응하는 HARQ-ACK의 재송을 요구해도 좋다. 한편, 기지국은, HARQ-ACK 요구 시점에 설정되어 있는 COT에 포함되어 있는 PDSCH의 그룹에 대응하는 HARQ-ACK에 대해서는, 해당 COT가 종료한 후, 다른 COT가 설정된 후에 재송을 요구해도 좋다.
상술한 재송 요구되는 HARQ-ACK에 대응하는 PDSCH의 그룹에 관한 룰은, 기지국과 단말에서 공유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의 그룹에 관한 정보의 통지 없이, 예를 들면, 현시각에 설정되어 있는 COT와 다른 COT에 포함되는 PDSCH의 그룹에 대응하는 HARQ-ACK의 재송을 결정하면 된다.
또, 예를 들면, PDSCH의 그룹 형성의 기준으로서, 설정되는 COT마다 PDSCH를 그룹화해도 좋다. 이 경우, 기지국은, 예를 들면, HARQ-ACK의 재송 요구와 함께, 요구하는 HARQ-ACK에 대응하고 있는 PDSCH를 포함한 COT(환언하면, 그룹)가, 요구 시점에 설정되어 있는 COT의 몇개 전의 COT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또는 그룹 ID)를 통지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단말은, 통지되는 그룹 ID에 기초하여, 기지국이 재송 요구하는 HARQ-ACK를 결정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기지국은, PDSCH의 리소스 할당을 나타내는 DCI안에, 할당하는 PDSCH에 대응하는 그룹 ID등의 식별 비트를 부여해도 좋다. 이 경우, 기지국은, HARQ-ACK의 재송을 요구할 때, 재송을 요구하는 HARQ-ACK에 대응하는 PDSCH의 그룹 식별 비트를 단말에 통지해도 좋다. 또, 단말은, HARQ-ACK의 재송 요구와 함께 통지되는 그룹 식별 비트에 기초하여, 재송이 요구되고 있는 HARQ-ACK를 선택하여, 기지국에 재송해도 좋다.
(다른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 3~6의 각각은, 실시형태 1 및 실시형태 2의 어느 것인가와 조합해도 좋다. 또, 실시형태 3~6 중의 복수의 실시형태와, 실시형태 1 및 실시형태 2의 어느것인가를 조합해도 좋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단말이, LBT에 의해서 송신 기회(또는, 송신권)를 확보하지 못해, HARQ-ACK를 송신할 수 없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기지국이 HARQ-ACK의 재송을 요구하는 케이스로는, 예를 들면, 단말이 HARQ-ACK를 송신했는데도 불구하고, 기지국에서의 수신 품질이 나쁜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단말은, 한 번 송신한 HARQ-ACK에 대해서도, 기지국의 지시를 따라 재송하면 된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언 라이센스 대역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쉐어 밴드(shared band)」라고 불리는 등의, 복수의 사업자에서 공유되는 밴드에 대해서 본 개시의 한 실시예를 적용해도 좋다. 또는, 본 개시의 한 실시예는, 언 라이센스 대역과 다른 밴드라 하더라도, 회선 품질이 나빠, HARQ-ACK의 재송이 필요한 상황에 대해서 적용되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언 라이센스 대역과 라이센스 대역이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되어 운용되는 경우, 기지국은, HARQ-ACK의 재송 요구를 라이센스 밴드로부터 통지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하향 제어 채널에 PDCCH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하향 제어 채널은, 다른 명칭의 제어 채널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하향 제어 채널은, 인핸스드(Enhanced) PDCCH(EPDCCH), 릴레이(Relay) PDCCH(R-PDCCH), 머신 타입 커뮤니케이션(Machine Type Communication) PDCCH(MPDCCH) 등이어도 좋다. 또, DL데이터를 송신하는 하향 데이터 채널은 PDSCH에 한하지 않고, 다른 명칭의 데이터 채널이어도 좋다. 또, UL신호(예를 들면, UL데이터 또는 HARQ-ACK 등)를 송신하는 상향 데이터 채널 또는 상향 제어 채널은, PUSCH 및 PUCCH에 한하지 않고, 다른 명칭의 채널이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위 레이어의 시그널링에는, RRC 시그널링을 상정하고 있지만, 미디움 액세스 컨트롤(Medium Access Control)(MAC)의 시그널링, 및, 물리 레이어의 시그널링인 DCI에서의 통지로 대체해도 좋다. MAC의 시그널링 및 물리 레이어의 시그널링의 경우, RRC의 시그널링과 비교하여, 변경 빈도를 올릴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HARQ-ACK의 송신 타이밍이 슬롯 단위로 설정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HARQ-ACK의 송신 타이밍은, 슬롯과 다른 시간 리소스의 단위(예를 들면, 서브 프레임, 프레임, 미니 슬롯 등) 이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한 번 리소스가 할당되었지만 송신에 실패한 HARQ-ACK에 대해서, 기지국이 HARQ-ACK의 재송(환언하면, 2번째 이후의 HARQ-ACK 송신)을 단말에 요구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개시의 한 실시예는, 2번째 이후의 HARQ-ACK의 송신 할당에 적용하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한 실시예의 HARQ-ACK의 재송을 요구할 때의 동작은, 예를 들면, X번째 이후의 재송 요구에 적용되어도 좋다. 또, X의 값은, 단말에 대해서 가변하게 설정되어도 좋다. 또한, 본 개시의 한 실시예를 X번째 이후의 재송 요구에 적용하는 룰은, 기지국과 단말 간에서 공유된다. 이 때, X의 값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상위 레이어에 의해서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통지되어도 좋고, DCI에 의해서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통지되어도 좋다.
본 개시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제휴한 소프트웨어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각 기능 블록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집적회로인 LSI로서 실현되고,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각 프로세스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1개의 LSI 또는 LSI의 조합에 의해 제어되어도 좋다. LSI는 개개의 칩(chip)으로 구성되어도 좋고,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도록 1개의 칩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LSI는 데이터의 입력과 출력을 구비해도 좋다. LSI는, 집적도의 차이에 의해, IC,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라고 호칭되기도 한다. 집적회로화의 수법은 LSI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전용 회로, 범용 프로세서 또는 전용 프로세서로 실현해도 좋다. 또,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하는 것이 가능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 가능한 리컨피규러블 프로세서를 이용해도 좋다. 본 개시는, 디지털 처리 또는 아날로그 처리로서 실현되어도 좋다. 또,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별개의 기술에 의해 LSI에 대체되는 집적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해 기능 블록의 집적화를 행해도 좋다. 바이오 기술의 적용 등이 가능성으로서 있을 수 있다.
본 개시는, 통신 기능을 가지는 온갖 종류의 장치, 디바이스, 시스템(통신장치로 총칭)에 있어서 실시 가능하다. 통신 장치는 무선 송수신기(트랜스시버)와 처리/제어 회로를 포함해도 좋다. 무선 송수신기는 수신부와 송신부, 또는 그것들을 기능으로서 포함해도 좋다. 무선 송수신기(송신부, 수신부)는, RF(Radio Frequency) 모듈과 1 또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해도 좋다. RF모듈은, 증폭기, RF변조기/복조기, 또는 그것들과 유사한 것을 포함해도 좋다. 통신 장치의, 비한정적인 예로서는, 전화기(휴대전화, 스마트폰 등),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PC) (랩탑, 데스크탑, 노트북 등), 카메라(디지털 스틸/비디오 카메라 등), 디지털 플레이어(디지털 오디오/비디오 플레이어 등), 착용 가능한 디바이스(웨어러블 카메라, 스마트 워치, 트랙킹 디바이스 등), 게임 콘솔, 디지털 북 리더, 텔레헬스 텔레메디신(원격 헬스케어 약품 처방) 디바이스, 통신기능이 탑재된 탈 것 또는 이동 수송기관(자동차, 비행기, 선박 등), 및 상술한 각종 장치의 조합을 들 수 있다.
통신 장치는, 운반 가능 또는 이동 가능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운반할 수 없는 또는 고정되어 있는, 온갖 종류의 장치, 디바이스, 시스템, 예를 들면, 스마트 홈 디바이스(가전 기기, 조명 기기, 스마트미터 또는 계측 기기, 컨트롤 패널 등), 자동 판매기, 기타 IoT(Internet of Things) 네트워크상에 존재 할 수 있는 온갖 「물건(Things)」들도 포함한다.
통신에는, 셀룰러 시스템, 무선 LAN 시스템, 통신위성 시스템 등에 의한 데이터 통신에 더해, 이러한 조합에 의한 데이터 통신도 포함된다.
또, 통신 장치에는, 본 개시에 기재된 통신 기능을 실행하는 통신 디바이스에 접속 또는 연결되는, 컨트롤러나 센서 등의 디바이스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통신장치의 통신 기능을 실행하는 통신 디바이스가 사용하는 제어 신호나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나 센서가 포함된다.
또, 통신 장치에는, 상기의 비한정적인 각종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또는 이들 각종 장치를 제어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설비, 예를 들면,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기타 온갖 장치, 디바이스, 시스템이 포함된다.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하향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의 재송 요구에 관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재송된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정보는, 재송 요구되는 상기 응답 신호 수에 관한 복수의 후보값 중의 어느것인가 1개를 식별하는 정보이며, 상기 복수의 후보값은, 복수의 입도 중의 어느것인가 1개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도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수, 및, 재송 제어의 프로세스 수의 적어도 1개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도에 관한 정보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해서 단말에 통지된다.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송 요구되는 응답 신호의 수가, 상기 후보값의 최대치보다 많을 경우,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재송 요구되는 응답 신호의 수를 상기 최대치로 나눗셈한 나머지에 기초한 값을 나타낸다.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후보값은, 단말에 송신된 상기 하향 데이터의 총 수를 나타내는 값이다.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후보값은, 단말에 송신된 상기 하향 데이터의 총수를 규정치로 나눗셈한 나머지에 기초한 값이다.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하향 데이터의 리소스 할당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하향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단말 개별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하향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어 정보, 및, 하향 데이터의 리소스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규정된 리소스에 있어서 재송된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재송 요구되는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한 상향 리소스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상향 리소스에 있어서 재송되는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어 정보의 송신 타이밍과, 다른 하향 데이터의 리소스 할당 정보를 포함한 신호의 송신 타이밍과의 관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향 리소스에 있어서, 재송되는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재송 요구되는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기지국이 송신한 복수의 하향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 중, 상기 기지국이 수신하지 않은 응답 신호이다.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재송 요구되는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기지국이 송신한 복수의 하향 데이터 중, 일부의 하향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이다.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일부 하향 데이터는, 복수의 송신 가능 기간 중, 현시각에 설정된 송신 가능 기간으로부터 규정수만큼 전(前)의 송신 가능 기간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한 하향 데이터이다.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일부의 하향 데이터는, 현시각의 시간 리소스로부터 규정수만큼 전(前)의 시간 리소스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한 하향 데이터이다.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복수의 하향 데이터는, 각 하향 데이터가 송신된 송신 가능 기간마다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화되고, 재송 요구되는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복수 그룹의 어느것인가에 포함되는 상기 하향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이다.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재송 요구되는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복수의 그룹 중, 현시각에 설정된 송신 가능 기간과 다른 송신 가능 기간에 대응하는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하향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이다.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재송 요구하는 상기 응답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하향 데이터를 포함하는 그룹을 식별하는 정보를 송신한다.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하향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의 재송 요구에 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정보는, 재송 요구되는 상기 응답 신호의 수에 관한 복수의 후보값 중 어느것인가 1개를 식별하는 정보이고, 상기 복수의 후보값은, 복수의 입도 중의 어느것인가 1개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은, 기지국이, 하향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의 재송 요구에 관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재송된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정보는, 재송 요구되는 상기 응답 신호의 수에 관한 복수의 후보값 중 어느것인가 1개를 식별하는 정보이고, 상기 복수의 후보값은, 복수의 입도 중의 어느것인가 1개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은, 단말이, 하향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의 재송 요구에 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 정보는, 재송 요구되는 상기 응답 신호의 수에 관한 복수의 후보값 중 어느것인가 1개를 식별하는 정보이고, 상기 복수의 후보값은, 복수의 입도 중의 어느것인가 1개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2019년 3월 26일에 출원한 특허출원 2019-059206의 일본 출원에 포함되는 명세서, 도면 및 요약서의 개시 내용은, 전부 본원에 원용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개시의 한 실시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유용하다.
100, 300 기지국
101, 302 DCI 생성부
102 PDSCH수 기억부
103, 206 통지수 결정부
104, 208 오류정정 부호화부
105, 209 변조부
106, 211 신호 할당부
107, 212 송신부
108, 201 수신부
109, 202 신호 분리부
110, 204 복조부
111, 205 오류정정 복호부
112, 210 캐리어 센스부
113 HARQ-ACK 수신부
200, 400 단말
203 DCI 수신부
207, 401 HARQ-ACK 버퍼부
301 Total DAI값 버퍼부

Claims (22)

  1. 하향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의 재송 요구에 관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재송된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정보는, 재송 요구되는 상기 응답 신호의 수에 관한 복수의 후보값 중 어느것인가 1개를 식별하는 정보이며, 상기 복수의 후보값은, 복수의 입도 중의 어느것인가 1개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기지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도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수, 및, 재송 제어의 프로세스 수의 적어도 1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기지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도에 관한 정보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해서 단말에 통지되는,
    기지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송 요구되는 응답 신호의 수가, 상기 후보값의 최대치보다 많은 경우,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재송 요구되는 응답 신호의 수를 상기 최대치로 나눗셈한 나머지에 기초하는 값을 나타내는,
    기지국.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값은, 단말에 송신된 상기 하향 데이터의 총수를 나타내는 값인,
    기지국.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값은, 단말에 송신된 상기 하향 데이터의 총수를 규정치로 나눗셈한 나머지에 기초하는 값인,
    기지국.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하향 데이터의 리소스 할당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하향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기지국.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단말 개별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하향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기지국.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어 정보, 및, 하향 데이터의 리소스 할당 정보를 포함한 하향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기지국.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규정된 리소스에 있어서 재송된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기지국.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재송 요구되는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한 상향 리소스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상향 리소스에 있어서 재송되는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기지국.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어 정보의 송신 타이밍과, 다른 하향 데이터의 리소스 할당 정보를 포함한 신호의 송신 타이밍과의 관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향 리소스에 있어서, 재송되는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기지국.
  13. 제 1 항에 있어서,
    재송 요구되는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기지국이 송신한 복수의 하향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 중, 상기 기지국이 수신하지 않은 응답 신호인,
    기지국.
  14. 제 1 항에 있어서,
    재송 요구되는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기지국이 송신한 복수의 하향 데이터 중, 일부 하향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인,
    기지국.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하향 데이터는, 복수의 송신가능 기간 중, 현시각에 설정된 송신가능 기간으로부터 규정수만큼 전(前)의 송신가능 기간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한 하향 데이터인,
    기지국.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하향 데이터는, 현시각의 시간 리소스로부터 규정수만큼 전의 시간 리소스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한 하향 데이터인,
    기지국.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복수의 하향 데이터는, 각 하향 데이터가 송신된 송신가능 기간마다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화 되어,
    재송 요구되는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복수의 그룹의 어느것인가에 포함되는 상기 하향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인,
    기지국.
  18. 제 17 항에 있어서,
    재송 요구되는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복수의 그룹 중, 현시각에 설정된 송신가능 기간과 다른 송신가능 기간에 대응하는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하향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인,
    기지국.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재송 요구하는 상기 응답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하향 데이터를 포함한 그룹을 식별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기지국.
  20. 하향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의 재송 요구에 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정보는, 재송 요구되는 상기 응답 신호의 수에 관한 복수의 후보값 중의 어느것인가 1개를 식별하는 정보이며, 상기 복수의 후보값은, 복수의 입도 중의 어느것인가 1개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단말.
  21. 기지국이,
    하향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의 재송 요구에 관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재송된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정보는, 재송 요구되는 상기 응답 신호의 수에 관한 복수의 후보값 중 어느것인가 1개를 식별하는 정보이고, 상기 복수의 후보값은, 복수의 입도 중의 어느것인가 1개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통신 방법.
  22. 단말이,
    하향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의 재송 요구에 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 정보는, 재송 요구되는 상기 응답 신호의 수에 관한 복수의 후보값 중 어느것인가 1개를 식별하는 정보이고, 상기 복수의 후보값은, 복수의 입도 중의 어느것인가 1개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통신 방법.
KR1020217028959A 2019-03-26 2019-12-18 기지국, 단말 및 통신 방법 KR202101431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59206 2019-03-26
JPJP-P-2019-059206 2019-03-26
PCT/JP2019/049539 WO2020194923A1 (ja) 2019-03-26 2019-12-18 基地局、端末及び通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180A true KR20210143180A (ko) 2021-11-26

Family

ID=72610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8959A KR20210143180A (ko) 2019-03-26 2019-12-18 기지국, 단말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20174705A1 (ko)
EP (2) EP4236141A3 (ko)
JP (1) JP7458372B2 (ko)
KR (1) KR20210143180A (ko)
CN (1) CN113615110A (ko)
BR (1) BR112021018380A2 (ko)
CA (1) CA3134506A1 (ko)
CO (1) CO2021012331A2 (ko)
MX (1) MX2021011520A (ko)
WO (1) WO2020194923A1 (ko)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35170B2 (en) * 2014-08-06 2020-08-04 Lg Electronics Inc. ACK/NACK feedback method and user equipment
KR102413069B1 (ko) * 2015-01-09 2022-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을 위한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
US9888465B2 (en) * 2015-04-06 2018-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deword determination for acknowledgement information
US10117235B2 (en) * 2015-04-10 2018-10-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HARQ in unlicensed band
CN113676307A (zh) * 2015-07-07 2021-11-19 索尼公司 通信设备和通信方法
EP3320637B1 (en) * 2015-08-14 2023-11-08 Lenovo Innovations Limited (Hong Kong) Determining a harq-ack response codeboo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092347B1 (ja) * 2015-11-05 2017-03-08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KR20180089403A (ko) * 2015-11-30 2018-08-08 소니 주식회사 정보 처리 장치, 통신 시스템,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WO2018021881A1 (ko) * 2016-07-29 2018-0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상태 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JP6835984B2 (ja) * 2017-05-03 2021-02-24 アイディーエーシ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低遅延トラフィックによって影響されるときの高速大容量モバイルブロードバンド(eMBB)のハイブリッド自動再送要求(HARQ)フィードバック性能を改善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10708899B2 (en) * 2017-05-12 2020-07-07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a code block group-based transmission
CN115765922A (zh) * 2017-08-04 2023-03-07 韦勒斯标准与技术协会公司 发送或接收数据信道和控制信道的方法、装置和系统
KR20190014901A (ko) * 2017-08-04 2019-02-13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harq-ack 다중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7297682B2 (ja) * 2017-08-18 2023-06-26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端末及び通信方法
CN109474403B (zh) * 2017-09-08 2020-12-08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传输方法、装置、终端、基站及存储介质
JP2019059206A (ja) 2017-09-28 2019-04-18 日本電産株式会社 射出成形用金型
DE112019004714T5 (de) * 2018-09-21 2021-06-10 Lg Electronics In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übertragen und empfangen von einem drahtlossignal in einem drahtloskommunikationssystem
CN116707717A (zh) * 2018-09-27 2023-09-05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上行信号发送方法及装置
US11349609B2 (en) * 2018-11-05 2022-05-31 Qualcomm Incorporated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owledgement feedback enhancement for new radio-unlicensed
CN111385067B (zh) * 2018-12-29 2021-08-17 北京紫光展锐通信技术有限公司 下行数据调度harq-ack码本反馈、生成方法及装置、介质
US11563545B2 (en) * 2019-01-10 2023-01-24 Intel Corporation HARQ-ACK transmission and re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BR112021015959A2 (pt) * 2019-02-13 2021-10-05 Idac Holdings, Inc. Dispositivo, e, método
EP3926868A4 (en) * 2019-02-14 2022-09-21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 문헌 1] 3GPP TS 38.214 V15.4.0, "NR; Physical layer procedures for data (Release 15)," December 2018
[비특허 문헌 2] ETSI EN 301 893 V2.1.1, "5 GHz RLAN; Harmonised Standard covering the essential requirements of article 3.2 of Directive 2014/53/EU," May 201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O2021012331A2 (es) 2021-09-30
EP4236141A2 (en) 2023-08-30
JPWO2020194923A1 (ko) 2020-10-01
BR112021018380A2 (pt) 2021-11-23
EP3952164A4 (en) 2022-05-11
EP3952164B1 (en) 2023-07-05
JP7458372B2 (ja) 2024-03-29
CA3134506A1 (en) 2020-10-01
CN113615110A (zh) 2021-11-05
MX2021011520A (es) 2021-10-22
WO2020194923A1 (ja) 2020-10-01
US20220174705A1 (en) 2022-06-02
EP4236141A3 (en) 2024-01-03
EP3952164A1 (en) 202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2817B2 (en) Base st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US11743868B2 (en) Short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arrangement
KR20190099081A (ko) 스케일 조정 가능 피드백 리포팅
CN111788787B (zh) 用于半静态harq-ack码本确定的回落操作的方法及设备
JP6096760B2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リソース割当方法及び応答信号送信方法
US20210298008A1 (e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EP3911000B1 (en) Base st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US11792852B2 (en) Terminal, base station, transmitting method, and receiving method
JPWO2017077677A1 (ja) 基地局、端末及び通信方法
CN113472489A (zh) 信息传输方法、装置及系统
US202000773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power control in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WO2021029124A1 (ja) 送信装置、受信装置、送信方法及び受信方法
CN111435847A (zh) 传输信息的方法和装置
JP7458372B2 (ja) 端末、通信方法及び集積回路
RU2801591C2 (ru)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терминал и способ связи
WO2021029219A1 (ja) 端末及び送信方法
CN108712239B (zh) 控制信息的传输方法、用户设备和基站
US20220368466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harq-ack codebook and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harq-ack codebook
US20200052823A1 (en)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