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2881A - 모듈형 소파 조립체 - Google Patents

모듈형 소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2881A
KR20210142881A KR1020200059615A KR20200059615A KR20210142881A KR 20210142881 A KR20210142881 A KR 20210142881A KR 1020200059615 A KR1020200059615 A KR 1020200059615A KR 20200059615 A KR20200059615 A KR 20200059615A KR 20210142881 A KR20210142881 A KR 20210142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quare
locking
protrusion
uni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2402B1 (ko
Inventor
김우석
김선주
유재혁
전희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피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피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피앤코
Priority to KR1020200059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402B1/ko
Publication of KR20210142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13Seating furniture having non-movable backrest changeable to beds by increasing the available seat part, e.g. by drawing seat cushion forward
    • A47C17/132Seating furniture having non-movable backrest changeable to beds by increasing the available seat part, e.g. by drawing seat cushion forward with multiple seat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045Seating furniture having loose or by fabric hinge connected cushions changeable to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37Changing sofas or the like into beds by means of furniture other than seats or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복수의 모듈이 서로 조립되면서 하나의 소파 조립체를 이루는 모듈형 소파 조립체를 제시하며, 바닥면의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둘레를 이루는 전후 좌우 각각의 측면에 또 다른 모듈의 연결을 허용하며, 안장만을 제공하거나 안장을 제공하면서 등받이 및 팔걸이 중 적어도 하나를 함께 제공하는 사각단위모듈; 및 상기 사각단위모듈의 각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또 다른 사각단위모듈의 측면과 밀착된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듈형 소파 조립체{MODULE TYPE SOFA ASSEMBLY}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모듈형 소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단위모듈이 서로 조립되면서 하나의 소파를 이루는 모듈형 소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가구 중 하나를 이루는 소파는 생활공간에 편의성을 더해줄 뿐만 아니라 장식적 효과를 더해 심미감을 주는 것으로, 우리 생활에 매우 밀접하고 중요한 도구이다.
이러한 소파는 과거에는 주로 거실에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아파트로 대변되는 소형 주거문화에서 공간의 활용성이 대두됨에 따라 단위체의 배치를 변형하여 침대 겸용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모듈형 소파가 출시되고 있다.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5015호에 개시된 길이 가변형 소파가 있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등받이체와 바닥판으로 구성되는 본체와 본체의 좌우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동프레임에 의한 길이 조절 후 다수 개의 소파 엘리먼트를 적절하게 배치하는 구성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본체의 길이만을 조절함으로써 소파 엘리먼트의 배치를 일자형으로만 배치할 수 있을 뿐, 다양한 방향으로 배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은 배치 변형을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단위체의 형상이 제각각으로 형성되므로 단위체가 다양하게 호환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소파 조립체를 이루는 단위모듈들을 여러 방향으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배치를 구현할 수 있는 모듈형 소파 조립체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단위모듈의 구성을 간소화함으로써 단위모듈의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듈형 소파 조립체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단위모듈을 정사각형의 단면을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단위모듈의 전후 좌우 측면에 모두 또 다른 모듈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단위모듈의 연결방향에 따라 등받이를 팔걸이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모듈형 소파 조립체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단위모듈들을 방향에 구애 없이 연결 배치한 상태로 견고하고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모듈형 소파 조립체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단위모듈들을 서로 체결하는 부재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소파 조립체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모듈형 소파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모듈이 서로 조립되면서 하나의 소파 조립체를 이루는 모듈형 소파 조립체에 있어서, 바닥면의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둘레를 이루는 전후 좌우 각각의 측면에 또 다른 모듈의 연결을 허용하며, 안장만을 제공하거나 안장을 제공하면서 등받이 및 팔걸이 중 적어도 하나를 함께 제공하는 사각단위모듈; 및 상기 사각단위모듈의 각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또 다른 사각단위모듈의 측면과 밀착된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각단위모듈은, 바닥면의 단면이 정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상면의 일부분을 통해 안장을 제공하고, 상기 상면을 이루는 4변 중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변을 따라 앵글형태를 이루는 앵글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앵글돌출부를 통해 등받이와 팔걸이를 제공하는 앵글정사각모듈; 및 상기 앵글정사각모듈의 바닥면과 서로 동일한 단면의 바닥면을 가지면서 상면의 일부분을 통해 안장을 제공하고, 상기 상면을 이루는 4변 중 하나의 변을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또 다른 모듈과의 연결방향에 따라 상기 돌출부를 통해 등받이 또는 팔걸이를 제공하는 돌출정사각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각단위모듈은, 상기 앵글정사각모듈의 바닥면의 단면과 서로 동일한 정사각형으로 바닥면의 단면이 형성되거나, 상기 앵글정사각모듈의 바닥면의 단면과 서로 동일한 폭을 가지면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으로 바닥면의 단면이 형성되며, 상면을 통해 안장을 제공하는 안장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사각단위모듈의 바닥면을 이루는 4변 각각의 중심부에 제각기 형성되되, 상기 4변 각각의 중심부와 제각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고, 걸림부위를 제공하는 걸림홀이 마련되어 상기 또 다른 사각단위모듈의 걸림홀과 동축상에 배치되는 걸림홀더; 및 상기 사각단위모듈의 걸림홀더 및 상기 또 다른 사각단위모듈의 걸림홀더의 걸림홀에 제각기 끼워지는 한 쌍의 걸림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걸림돌기를 동일체로 연결하는 연결판이 구비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걸림돌기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돌기의 외주면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돌기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걸림홀더를 구성하는 상기 걸림홀과 동심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되면서 상기 걸림홀의 외곽에 형성되어 걸림부위를 제공하는 회전방지홀; 및 상기 체결부재를 구성하는 상기 연결판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회전방지홀에 끼워지면서 상기 연결판이 상기 걸림홀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단위모듈의 바닥면의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전후 좌우 각각의 측면에 또 다른 모듈을 연결할 수 있으므로 사각단위모듈을 다양한 방향으로 연결하면서 다양한 배치를 구현할 수 있는 모듈형 소파 조립체를 제시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각단위모듈이 정사각형 단면을 이루는 앵글정사각모듈과 돌출정사각모듈로 구성되므로 사각단위모듈의 배치방향을 자유롭게 전환시키면서 사각단위모듈의 각 측면에 또 다른 모듈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앵글정사각모듈과 돌출정사각모듈에 돌출된 돌출부를 모듈의 배치방향에 따라 등받이와 팔걸이를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호환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각단위모듈의 바닥면의 4변 각각에 걸림홀더가 마련되어 체결부재를 구성하는 체결돌기를 통해 체결되므로, 사각단위모듈들을 방향에 구애 없이 연결배치한 상태로 용이하고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체결부를 구성하는 회전방지홀 및 회전방지돌기에 의해 연결판의 임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사각단위모듈들이 연결된 상태로 유동이 방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소파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소파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소파 조립체의 체결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소파 조립체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소파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소파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며, 도 3 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소파 조립체의 체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소파 조립체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소파 조립체(10)는 복수의 모듈의 조립을 통해 하나의 소파 조립체를 이루는 것으로, 구체적인 구성으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단위모듈(100) 및 체결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각단위모듈(100)은 또 다른 사각단위모듈(100)과 조립되면서 소파 조립체를 이루는 단위체이다.
이러한 사각단위모듈(100)은 쿠션재질의 내장재와, 이 내장재를 감싸는 외장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는 안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안장과 함께 등받이나 팔걸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사각단위모듈(100)을 이루는 내장재 및 외장재는 통상의 소파에 사용되는 모든 소재 및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사각단위모듈(100)은 바닥면의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면서 대략 육면체의 블록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둘레를 이루는 전후 좌우 각각의 측면에 또 다른 모듈의 측면이 밀착되면서 연결될 수 있다.
즉, 사각단위모듈(100)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전후 좌우 방향의 모든 측면에 또 다른 모듈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각단위모듈(100)은 전후 방향의 측면에 또 다른 모듈이 연결되거나 좌우 방향의 측면에 또 다른 모듈이 연결되면서 일직선형의 소파 조립체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사각단위모듈(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의 측면 중 하나의 측면과, 좌우 방향의 측면 중 하나의 측면에 또 다른 모듈이 연결되면서 굴절형의 소파 조립체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각단위모듈(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정사각모듈(110), 돌출정사각모듈(120) 및 안장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앵글정사각모듈(110)은 등받이와 팔걸이를 동시에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앵글정사각모듈(110)은 바닥면의 단면이 정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상면을 이루는 4변 중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변을 따라 앵글형태를 이루는 앵글돌출부(111)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앵글정사각모듈(110)은 상면에 돌출된 앵글돌출부(111)를 통해 등받이와 팔걸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면의 나머지 부분을 통해 안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앵글정사각모듈(110)은 바닥면의 단면이 정사각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각 측면에 또 다른 모듈이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방향을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다.
즉, 앵글정사각모듈(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파 조립체(10)의 도면상 좌측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을 전환하면서 소파 조립체(10)의 우측단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앵글돌출부(111)는 앵글정사각모듈(110)의 방향 전환에 의해 등받이 및 팔걸이의 기능이 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돌출정사각모듈(120)은 배치방향에 따라 등받이 또는 팔걸이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돌출정사각모듈(120)은 바닥면의 단면이 정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상면을 이루는 4변 중 하나의 변을 따라 돌출부(121)가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121)를 통해 등받이 또는 팔걸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정사각모듈(110)은 상면에 돌출된 돌출부(111)를 통해 등받이 또는 팔걸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면의 나머지 부분을 통해 안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정사각모듈(120)은 바닥면의 단면이 정사각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각 측면에 또 다른 모듈이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방향을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정사각모듈(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면서 상면에 돌출된 돌출부(121)를 통해 등받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면서 돌출부(121)를 통해 팔걸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안장모듈(130)은 상면을 통해 안장만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안장모듈(130)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된 부분이 없이 상면의 전체부분을 통해 안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장모듈(130)은 앵글정사각모듈(110) 및 돌출정사각모듈(120)의 바닥면과 동일한 정사각형으로 바닥면의 단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정사각모듈(110) 및 돌출정사각모듈(120)의 바닥면과 서로 동일한 폭을 가지면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으로 바닥면의 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안장모듈(1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정사각모듈(110)과 동일한 폭을 갖는 측면을 통해 앵글정사각모듈(110)의 측면에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돌출정사각모듈(120)과 서로 다른 폭을 갖는 측면을 통해 돌출정사각모듈(120)의 측면에 연결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체결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단위모듈(100)을 구성하는 앵글정사각모듈(110)이나 돌출정사각모듈(120) 또는 안장모듈(130)의 각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또 다른 사각단위모듈(100)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체결부(200)는 도 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홀더(210) 및 체결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홀더(210)는 사각단위모듈(100)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또 다른 모듈과의 체결을 위한 걸림부위를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걸림홀더(210)는 걸림부위를 제공하기 위한 걸림홀(211)이 형성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단위모듈(100)의 바닥면을 이루는 4변 각각의 중심부위에 제각기 설치될 수 있으며, 바닥면의 4변 각각의 중심부와 제각기 동일한 이격거리를 이루는 위치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걸림홀더(210)는 사각단위모듈(100)들의 측면이 밀착될 경우 걸림홀(211)이 다른 단위모듈(100)의 걸림홀더(210)를 이루는 걸림홀(211)과 서로 동축상에 배치될 수 있다.
걸림홀더(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홀(211)의 원주방향에 형성되는 설치공(210a)을 통해 고정볼트 등의 고정부재가 결합되면서 사각단위모듈(100)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220)는 서로 동축상에 배치된 사각단위모듈(100)들의 걸림홀더(210)를 체결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체결부재(220)는 사각단위모듈(100)들의 밀착에 의해 한 쌍을 이루는 걸림홀더(210)들의 걸림홀(211)에 각각 끼워져 걸리는 한 쌍의 걸림돌기(221)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한 쌍의 걸림돌기(221)가 연결판(222)에 의해 동일체로 연결됨으로써 한 쌍의 걸림홀더(210)를 체결시킬 수 있다.
즉, 사각단위모듈(100)은 또 다른 사각단위모듈(100)의 측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220)의 걸림돌기(221)가 모듈 각각의 걸림홀더(210)의 걸림홀(211)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또 다른 사각단위모듈(100)과 밀착된 상태로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재(220)는 연결판(222)이 판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연결판(222)을 지면이 배치한 상태로 사각단위모듈(100)을 뒤집지 않고도 걸림홀더(210)를 걸림돌기(221)에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재(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221)의 외주면에 돌기패킹(221a)이 결합됨으로써 마찰력이 제공될 수 있으며, 걸림홀(211)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좀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체결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방지홀(215) 및 회전방지돌기(22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홀(215) 및 회전방지돌기(225)는 체결부재(220)를 이루는 연결판(222)이 걸림홀더(210)의 걸림홀(211)을 중심으로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사각단위모듈(100)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회전방지홀(2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홀더(210)에 구멍형태로 형성되어 걸림부위를 제공할 수 있으며, 걸림홀(211)과 동심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되면서 걸림홀(211)의 외곽에 형성되어 후술되는 회전방지돌기(225)의 걸림부위를 이룰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돌기(225)는 체결부재(220)를 구성하는 연결판(222)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방지홀(215)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되어 회전방지홀(215)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재(220)는 체결홀더(210)와 결합되는 과정에서 걸림돌기(221) 및 회전방지돌기(225)를 통해 체결홀더(210)의 걸림홀(211) 및 회전방지홀(215)에 끼워져 걸림으로써 걸림홀(211)을 중심으로 한 회전이 억제될 수 있다.
즉, 체결부재(220)는 지면에 놓인 상태로 사각단위모듈(100)들을 결합할 경우, 하나의 걸림돌기(221)에 하나의 사각단위모듈(100)의 걸림홀더(210)가 먼저 결합된 상태에서도 임의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또 다른 걸림돌기(221)의 정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또 다른 사각단위모듈(100)을 뒤집지 않고도 또 다른 걸림돌기(221)에 또 다른 걸림홀더(210)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체결부재(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판(222)의 저면에 논슬립패드(227)가 고정되어 마찰력이 제공됨으로써 지면에 놓인 상태로 견고하게 정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소파 조립체(10)의 설치방법을 설명한다.
사각단위모듈(100)을 구성하는 앵글정사각모듈(110)이나 돌출정사각모듈(120) 또는 안장모듈(13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방향 및 형태를 이루면서 조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각 사각단위모듈(100)의 측면을 서로 밀착시킨 상태로 체결부(200)를 통해 체결함으로써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이때, 체결부재(220)를 구성하는 연결판(222)은 한 쌍의 걸림돌기(221) 중 하나의 걸림돌기(221)를 통해 하나의 사각단위모듈(100)의 걸림홀더(210)에 결합된 상태로 지면에 놓일 수 있으며, 지면에 놓인 상태에서 나머지 하나의 걸림돌기(221)에 또 다른 사각단위모듈(100)의 걸림홀더(210)가 결합됨으로써 사각단위모듈(100)들을 밀착된 상태로 체결할 수 있다.
사각단위모듈(100)들을 연결한 후에는 필요에 따라 또 다른 사각단위모듈을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또 다른 측면에 체결함으로써 소정의 형태로 소파 조립체(10)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소파 조립체(10)에 의하면, 사각단위모듈(100)을 다양한 방향으로 연결하면서 다양한 배치를 구현할 수 있으며, 특히, 사각단위모듈(100)이 정사각형 단면을 이루는 앵글정사각모듈(110)과 돌출정사각모듈(120)로 구성되므로 사각단위모듈(100)의 배치방향을 자유롭게 전환시키면서 사각단위모듈(100)의 각 측면에 또 다른 모듈을 연결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모듈형 소파 조립체
100 : 사각단위모듈
110 : 앵글정사각모듈
111 : 앵글돌출부
120 : 돌출정사각모듈
121 : 돌출부
130 : 안장모듈
200 : 체결부
210 : 걸림홀더
211 : 걸림홀
215 : 회전방지홀
220 : 체결부재
221 : 걸림돌기
221a : 돌기패킹
222 : 연결판
225 : 회전방지돌기
227 : 논슬립패드

Claims (6)

  1. 복수의 모듈이 서로 조립되면서 하나의 소파 조립체를 이루는 모듈형 소파 조립체에 있어서,
    바닥면의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둘레를 이루는 전후 좌우 각각의 측면에 또 다른 모듈의 연결을 허용하며, 안장만을 제공하거나 안장을 제공하면서 등받이 및 팔걸이 중 적어도 하나를 함께 제공하는 사각단위모듈; 및
    상기 사각단위모듈의 각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또 다른 사각단위모듈의 측면과 밀착된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소파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단위모듈은,
    바닥면의 단면이 정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상면의 일부분을 통해 안장을 제공하고, 상기 상면을 이루는 4변 중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변을 따라 앵글형태를 이루는 앵글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앵글돌출부를 통해 등받이와 팔걸이를 제공하는 앵글정사각모듈; 및
    상기 앵글정사각모듈의 바닥면과 서로 동일한 단면의 바닥면을 가지면서 상면의 일부분을 통해 안장을 제공하고, 상기 상면을 이루는 4변 중 하나의 변을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또 다른 모듈과의 연결방향에 따라 상기 돌출부를 통해 등받이 또는 팔걸이를 제공하는 돌출정사각모듈을 포함하는 모듈형 소파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단위모듈은,
    상기 앵글정사각모듈의 바닥면의 단면과 서로 동일한 정사각형으로 바닥면의 단면이 형성되거나, 상기 앵글정사각모듈의 바닥면의 단면과 서로 동일한 폭을 가지면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으로 바닥면의 단면이 형성되며, 상면을 통해 안장을 제공하는 안장모듈을 더 포함하는 모듈형 소파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사각단위모듈의 바닥면을 이루는 4변 각각의 중심부에 제각기 형성되되, 상기 4변 각각의 중심부와 제각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고, 걸림부위를 제공하는 걸림홀이 마련되어 상기 또 다른 사각단위모듈의 걸림홀과 동축상에 배치되는 걸림홀더; 및
    상기 사각단위모듈의 걸림홀더 및 상기 또 다른 사각단위모듈의 걸림홀더의 걸림홀에 제각기 끼워지는 한 쌍의 걸림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걸림돌기를 동일체로 연결하는 연결판이 구비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모듈형 소파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걸림돌기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돌기의 외주면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돌기패킹을 더 포함하는 모듈형 소파 조립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걸림홀더를 구성하는 상기 걸림홀과 동심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되면서 상기 걸림홀의 외곽에 형성되어 걸림부위를 제공하는 회전방지홀; 및
    상기 체결부재를 구성하는 상기 연결판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회전방지홀에 끼워지면서 상기 연결판이 상기 걸림홀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모듈형 소파 조립체.
KR1020200059615A 2020-05-19 2020-05-19 모듈형 소파 조립체 KR102362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615A KR102362402B1 (ko) 2020-05-19 2020-05-19 모듈형 소파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615A KR102362402B1 (ko) 2020-05-19 2020-05-19 모듈형 소파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881A true KR20210142881A (ko) 2021-11-26
KR102362402B1 KR102362402B1 (ko) 2022-02-14

Family

ID=78700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615A KR102362402B1 (ko) 2020-05-19 2020-05-19 모듈형 소파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4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395B1 (ko) 2023-02-28 2023-09-13 주식회사 라이브러리엔 위치 가변형 소파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292Y1 (ko) * 2001-10-22 2002-03-18 김운한 위생통풍매트
KR20050082824A (ko) * 2004-02-20 2005-08-24 김주웅 쇼파 조합 시스템
KR20100002047A (ko) * 2008-06-25 2010-01-06 민광진 진공 유골함
KR20110002814U (ko) * 2009-09-14 2011-03-22 이규섭 분리 조합형 침대 겸용 소파세트
KR20140022248A (ko) * 2012-08-13 2014-02-24 이헌 조리 용기용 기체 배출 장치
KR101875139B1 (ko) * 2017-11-23 2018-07-06 황효득 다기능 소파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292Y1 (ko) * 2001-10-22 2002-03-18 김운한 위생통풍매트
KR20050082824A (ko) * 2004-02-20 2005-08-24 김주웅 쇼파 조합 시스템
KR20100002047A (ko) * 2008-06-25 2010-01-06 민광진 진공 유골함
KR20110002814U (ko) * 2009-09-14 2011-03-22 이규섭 분리 조합형 침대 겸용 소파세트
KR20140022248A (ko) * 2012-08-13 2014-02-24 이헌 조리 용기용 기체 배출 장치
KR101875139B1 (ko) * 2017-11-23 2018-07-06 황효득 다기능 소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395B1 (ko) 2023-02-28 2023-09-13 주식회사 라이브러리엔 위치 가변형 소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402B1 (ko) 202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47076S1 (en) Collapsible rocking chair
US20220000266A1 (en) Reconfigurable modular furniture assembly with overlapping geometry
KR102362402B1 (ko) 모듈형 소파 조립체
US10827842B1 (en) Seat module
USD462862S1 (en) Stadium seat cushion
KR102261368B1 (ko) 자유로운 조합 구성이 가능한 조립식 소파
JP2008229315A (ja) 荷重分散可能な回転椅子の脚部構造
KR101616507B1 (ko)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의자
JP6997936B2 (ja) 椅子
JP2019063177A (ja) 椅子
JP6529154B2 (ja) 椅子用荷重支持部材および椅子
KR100725428B1 (ko) 의자 다리용 결착구
KR102615333B1 (ko) 의자 좌판의 메쉬망 결합구조
JP7071811B2 (ja) 椅子
GB2448083A (en) Modular seating
USD985285S1 (en) Sofa
USD1012568S1 (en) Seat for a chair
JP7029044B2 (ja) 椅子
JP7355135B2 (ja) 椅子
KR200472322Y1 (ko) 분리 가능한 소파침대
KR20220001740U (ko) 연결의자
JP6529155B2 (ja) 椅子用荷重支持部材および椅子
KR200356992Y1 (ko) 의자 조립체
JP2017047115A (ja) ソファ
KR20230131538A (ko) 조립식 의자의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