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395B1 - 위치 가변형 소파 - Google Patents

위치 가변형 소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395B1
KR102577395B1 KR1020230026519A KR20230026519A KR102577395B1 KR 102577395 B1 KR102577395 B1 KR 102577395B1 KR 1020230026519 A KR1020230026519 A KR 1020230026519A KR 20230026519 A KR20230026519 A KR 20230026519A KR 102577395 B1 KR102577395 B1 KR 102577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a
coupling unit
sofa body
inclined plate
clip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6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춘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이브러리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이브러리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이브러리엔
Priority to KR1020230026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3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47C31/023Upholstery attaching means connecting upholstery to frames, e.g. by hooks, clips, snap fasteners, clamping mean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가변형 소파에 관한 것으로, 착석자가 편하게 앉을 수 있도록 쿠션재로 이루어지는 제1 소파본체(111)와, 착석자가 편하게 앉을 수 있도록 쿠션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소파본체(111)와 서로 다른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소파본체(115)로 이루어지는 가변소파부재(110); 크기와 형상이 다른 상기 제1 소파본체(111)와 제2 소파본체(115)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소파본체(111)와 상기 제2 소파본체(115)의 저면에 결합되는 클립부재(130);를 마련하여 소파의 바닥면의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전후 좌우 각각의 측면에 또 다른 소파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사각형의 소파를 다양한 방향으로 연결하면서 다양한 배치를 구현할 수 있고, 사각형상의 소파 바닥면의 4변 각각에 클립부재로 연결 및 결합되므로, 소파의 방향에 구애 없이 연결 배치한 상태로 용이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클립부재에 의해 임의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고, 사각형상의 소파가 서로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어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위치 가변형 소파{Adjustable position sofa}
본 발명은 위치 가변형 소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소파를 원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배치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인접한 다수의 소파를 자유롭게 배치시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위치 가변형 소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파(Sofa)는 크게 등받이부와 시트부로 구성된다.
이때 등받이부는 사용자의 등을 받혀 주기 위한 구성으로 등받이 프레임과 등받이 쿠션으로 이루어지고, 시트부는 사용자의 둔부(하체)를 받혀 주기 위한 구성으로 시트 프레임과 시트 쿠션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와 별도로 소파는 종류에 따라 양측에 팔걸이부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이러한 소파는 길이나 형태에서 다양하게 분류되는데, 길이에 따라 1인용, 2인용 또는 3,4 인용 소파로 구분되고, 형태에 따라 일반 소파 또는 카우치 소파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
특히 카우치 소파는 소파와 베드의 기능이 복합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시트 소파와 베드 소파가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인데, 베드 소파를 분리형으로 형성하여 시트 소파의 좌측이나 우측에 선택적으로 조립 사용할 수 있는 형태 등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일반 소파 또는 카우치 소파는 서로 변형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초기 구매시에 소파 설치 공간이나 소비자 기호에 따라 일반 소파 또는 카우치 소파를 선택하여 구매해야 한다.
따라서 일반 소파 또는 카우치 소파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재 구매하여야 하므로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가변형 소파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등받이가 있는 1인용 소파와 2인용 소파, 그리고 등받이가 없는 1인용 사각 소파를 각각 분리 구성하여 상기 1, 2인용 소파 및 사각 소파를 일렬로 배열하는 것에 따라 3인용 또는 4인용 장 소파가 되고, 상기 1, 2인용 소파를 일렬로 배열한 후 사각 소파를 전방으로 배열하는 것에 따라 카우치 소파가 되는 가변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가변형 소파는 1인용 소파와 2인용 소파, 그리고 등받이가 없는 1인용 사각 소파가 각각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각 소파를 움직여 가지런히 정렬하지 않으면 전체적인 미관을 해치는 단점이 있다.
특히 가변형 소파를 가변형 하기 위해 3개의 소파를 전체적으로 움직여 재배열하여야 하기 때문에 어린이나 노약자 등과 같이 힘이 없는 사용자의 경우에 전체적인 가변 사용이 쉽지 않은 단점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특히 소파로 변형해서 사용하지 않는 경우 공간상의 제약을 최소로 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개선책도 요구된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가변형 소파'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가변형 소파는 등판 지지면과 좌판 지지면이 직교하여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등판 지지면과 좌판 지지면에 배치되는 등판과 좌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소파에 있어서, 상기 등판 지지면과 등판 사이에는 회동 가이드와 회동 가이드와 선회구조를 이룬 레일을 포함하는 선회형 승강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좌판 지지면과 좌판 사이에는 복수의 이송 가이드와 각 이송 가이드에 진퇴구조로 설치하는 레일을 포함하는 진퇴형 이송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좌판의 후미와 등판의 하부는 경첩을 통해 힌지구조로 연결되어서, 좌판이 전진하면 힌지 연결된 등판은 하부로 이송되면서 정방향으로 선회하여 눕혀지고, 좌판이 후퇴하면 힌지 연결된 등판은 상부로 이송되면서 역방향으로 선회하여 기립되는 한편 상기 좌판은 진퇴형 이송구조를 의해 이송되며 상면에 착석면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방과 등판의 하부에 각각 경첩을 통해 힌지구조로 연결되는 연결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진퇴형 이송구조의 레일은 베이스의 좌판면에 고정되고, 좌판 본체의 하부에는 제 1 이송 가이드와 제 2 이송 가이드를 포함하는 한 쌍의 이송 가이드가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편, 레일의 선단에는 하향 요입된 위치 고정홈이 형성되어서, 좌판 본체의 전진에 의해 제 1 이송 가이드가 레일을 따라 이송하다가 레일의 선단에 형성된 위치 고정홈에 진입하면, 좌판 본체는 제 2 이송 가이드를 중심으로 정방향으로 선회하여 후방에서 전방으로 점차 하향 경사진 상태를 형성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가변형 소파'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가변형 소파는 시트부와 등받이부를 갖는 소파 본체의 시트부 상부에 장방형 시트를 안착 설치되고, 상기 소파 본체의 시트부 상부와 장방형 시트 하부에는 축핀과, 상기 축핀이 삽입되는 축공을 대향되게 구성되여 상기 장방형 시트를 전후 길이 방향 또는 좌우 길이 방향으로 회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카우치 소파 또는 장소파로 가변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축핀이 삽입되는 축공을 장방형 시트의 전후 길이 방향을 따라 소파의 등받이 부분으로 넣거나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장공로 구성하여 상기 장공을 따라 소파가 폭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하여 소파의 폭을 조정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가변형 소파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공의 단부에는 장공이 형성된 소파(A)를 회전시킬 때 소파(B)가 간섭되어 회전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원활한 회전을 할 수 있도록 직각으로 연결되는 연장공을 형성하여 상기 장방형 시트를 소파 본체의 시트부에서 장공와 연장공에 의해 시트를 좌우로 이동시켜 시트부를 간섭없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소파본체의 시트부와 장방형 시트 사이에는 마찰 방지판을 설치 삽입하고, 상기 장방형 시트는 장방형 길이를 가로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설치 사용시 소파 본체의 등받이부에 의해 지지된 위치에서 벗어난 배면 위치에 등받이부의 두께 사이즈로 펼쳐져 장방형 시트의 배면 공간부를 커버하는 보조 시트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2-0103017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20-0014392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21-014288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파 조립체를 이루는 단위모듈들을 여러 방향으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배치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가변형 소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배치에 따라 다수개의 소파를 서로 결합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소파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가변형 소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가변형 소파는 착석자가 편하게 앉을 수 있도록 쿠션재로 이루어지는 제1 소파본체(111)와, 착석자가 편하게 앉을 수 있도록 쿠션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소파본체(111)와 서로 다른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소파본체(115)로 이루어지는 가변소파부재(110); 크기와 형상이 다른 상기 제1 소파본체(111)와 제2 소파본체(115)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소파본체(111)와 상기 제2 소파본체(115)의 저면에 결합되는 클립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소파부재(110)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소파본체(111)와, 상기 제1 소파본체(111)와 크기 및 형상이 다른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제2 소파본체(11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소파본체(111)와 상기 제2 소파본체(115)의 저면에는 상기 클립부재(130)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소파본체(111, 115)의 저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부결합돌기(112)와, 상기 제1 소파본체(111)와 상기 제2 소파본체(115)가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결합돌기(112)의 저면에 설치되는 받침구(113)와, 상기 받침구(113)를 상기 하부결합돌기(112)에 고정볼트로 고정시킬 수 있게 상기 받침구(113)에 볼트구멍(1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립부재(130)는 상기 제1 소파본체(111)의 저면에 형성된 하부결합돌기(112)에 밀착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제1 결합유닛(131); 상기 제2 소파본체(115)의 저면에 형성된 하부결합돌기(112)에 밀착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제2 결합유닛(135); 상기 제1 결합유닛(131)과 상기 제2 결합유닛(135) 사이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바닥플레이트(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립부재(130)는 제1 소파본체(111)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결합돌기(112)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결합유닛(131)과, 상기 제2 소파본체(115)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결합돌기(112)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결합유닛(13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결합유닛(131)과 상기 제2 결합유닛(135) 사이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바닥플레이트(13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립부재(130)는 상기 제1 소파본체(111)의 하부결합돌기(112) 일면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제1 결합유닛(131)과, 상기 제2 소파본체(115)의 하부결합돌기(112) 일면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제2 결합유닛(135)과, 상기 제1 결합유닛(131)과 제2 결합유닛(135)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플레이트(134)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결합유닛(131)은 상기 바닥플레이트(134)의 내측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플레이트(132)와, 상기 제1 경사플레이트(132)의 상단에 외측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플레이트(13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결합유닛(135)은 상기 제1 경사플레이트(132)와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3 경사플레이트(136)와, 상기 제3 경사플레이트(136)의 상단에 상기 제2 경사플레이트(133)와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4 경사돌기(13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립부재(130)는 상기 제1 결합유닛(131)과 상기 제2 결합유닛(135)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제1 결합유닛(131)과 상기 제2 결합유닛(13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보강유닛(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유닛(140)은 상기 제1 결합유닛(131)과 상기 제2 결합유닛(135)의 길이 방향 중간에 형성되는 제1 보강리브(141)와, 상기 제1 보강리브(141)의 일측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 보강리브(142)와, 상기 제1 보강리브(141)의 타측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3 보강리브(1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가변형 소파에 의하면, 소파의 바닥면의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전후 좌우 각각의 측면에 또 다른 소파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사각형의 소파를 다양한 방향으로 연결하면서 다양한 배치를 구현할 수 있고, 사각형상의 소파 바닥면의 4변 각각에 클립부재로 연결 및 결합되므로, 소파의 방향에 구애 없이 연결 배치한 상태로 용이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클립부재에 의해 임의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고, 사각형상의 소파가 서로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어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가변형 소파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가변형 소파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가변형 소파의 클립부재를 도시한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가변형 소파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가변형 소파를 도시한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가변형 소파의 클립부재를 도시한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가변형 소파를 도시한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가변형 소파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가변형 소파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가변형 소파는 착석자가 편하게 앉을 수 있도록 쿠션재로 이루어지는 제1 소파본체(111)와, 착석자가 편하게 앉을 수 있도록 쿠션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소파본체(111)와 서로 다른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소파본체(115)로 이루어지는 가변소파부재(110)와, 크기와 형상이 다른 상기 제1 소파본체(111)와 제2 소파본체(115)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소파본체(111)와 상기 제2 소파본체(115)의 저면에 결합되는 클립부재(13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가변형 소파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가변형 소파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가변형 소파의 클립부재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가변형 소파는 제1 소파본체(111)와 제2 소파본체(115)로 이루어지는 가변소파부재(110)와, 상기 제1 소파본체(111)와 제2 소파본체(115)를 결합시키는 클립부재(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변소파부재(110)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소파본체(111)와, 상기 제1 소파본체(111)와 크기 및 형상이 다른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제2 소파본체(11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소파본체(111)와 상기 제2 소파본체(115)의 저면에는 상기 클립부재(130)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소파본체(111, 115)의 저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부결합돌기(112)와, 상기 제1 소파본체(111)와 상기 제2 소파본체(115)가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결합돌기(112)의 저면에 설치되는 받침구(113)와, 상기 받침구(113)를 상기 하부결합돌기(112)에 고정볼트로 고정시킬 수 있게 상기 받침구(113)에 볼트구멍(114)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소파본체(111)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소파본체(115)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소파본체(111)와 제2 소파본체(115)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분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소파본체(111)와 제2 소파본체(115)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1 소파본체(111)와 제2 소파본체(115)의 저면에는 클립부재(130)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부결합돌기(11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하부결합돌기(112)는 소파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가변소파부재(110)가 바닥면에 직접 닿지 않도록 받침구(113)가 설치된다.
상기 받침구(113)에는 하부결합돌기(112)에 고정될 수 있도록 볼트구멍(114)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구(113)는 볼트(미도시)에 의해 하부결합돌기(112)에 고정된다.
상기 클립부재(130)는 상기 제1 소파본체(111)의 저면에 형성된 하부결합돌기(112)에 밀착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제1 결합유닛(131)과, 상기 제2 소파본체(115)의 저면에 형성된 하부결합돌기(112)에 밀착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제2 결합유닛(135)과, 상기 제1 결합유닛(131)과 상기 제2 결합유닛(135) 사이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바닥플레이트(134)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클립부재(130)는 제1 소파본체(111)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결합돌기(112)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결합유닛(131)과, 상기 제2 소파본체(115)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결합돌기(112)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결합유닛(13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결합유닛(131)과 상기 제2 결합유닛(135) 사이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바닥플레이트(134)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클립부재(130)는 소파본체(111, 115)의 하부결합돌기(112)에 끼워져 인접한 2개의 소파본체를 결합시킨다.
상기 클립부재(130)는 하부결합돌기(112)에 밀착되는 제1 결합유닛(131)과, 상기 제1 결합유닛(131)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하부결합돌기(112)에 밀착되는 제2 결합유닛(13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결합유닛(131)과 제2 결합유닛(135)은 바닥플레이트(134)에 의해 일체로 연결 형성된다.
상기 클립부재(130)는 상기 제1 소파본체(111)의 하부결합돌기(112) 일면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제1 결합유닛(131)과, 상기 제2 소파본체(115)의 하부결합돌기(112) 일면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제2 결합유닛(135)과, 상기 제1 결합유닛(131)과 제2 결합유닛(135)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플레이트(13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결합유닛(131)은 상기 바닥플레이트(134)의 내측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플레이트(132)와, 상기 제1 경사플레이트(132)의 상단에 외측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플레이트(13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결합유닛(135)은 상기 제1 경사플레이트(132)와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3 경사플레이트(136)와, 상기 제3 경사플레이트(136)의 상단에 상기 제2 경사플레이트(133)와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4 경사돌기(137)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결합유닛(131)의 제1 경사플레이트(132)는 바닥플레이트(134)의 일측에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플레이트(132)의 상단에는 제1 경사플레이트(132)와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2 경사플레이트(133)가 형성된다.
또 상기 제2 결합유닛(135)은 바닥플레이트(134)의 타측에 제1 결합유닛(131)과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플레이트(134)의 타측에는 제1 경사플레이트(132)와 대칭되는 제3 경사플레이트(136)가 형성되고, 상기 제3 경사플레이트(136)의 상단에는 제2 경사플레이트(133)와 대칭되게 제4 경사플레이트(137)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가변형 소파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가변형 소파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4는 가변소파부재(110)에 클립부재(13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클립부재(130)에 의해 가변소파부재(110)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배치하고자 하는 제1 소파본체(111)와 제1 소파본체(111)를 서로 맞댄 상태에서 상기 하부결합돌기(112)에 클립부재(130)를 끼워 결합시킨다.
상기 제1 결합유닛(131)의 제2 경사플레이트(133)와 제2 결합유닛(135)의 제4 경사플레이트(137)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2개의 소파본체(111)의 하부결합돌기(112)에 제2 경사플레이트(133)와 제2 경사플레이트(137)를 밀어 넣게 된다.
이에 상기 제1 결합유닛(131)과 제2 결합유닛(135)은 하부결합돌기(112)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하부결합돌기(112)에는 클립부재(130)가 결합된다.
이러한 클립부재(130)는 소파본체(111)의 하부결합돌기(112)에 필요한 갯수만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소파본체(111)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클립부재(130)는 2개의 제1 소파본체(111)의 하부결합돌기(112)에 결합될 뿐만 아니라 2개의 제2 소파본체(115)의 하부결합돌기(112) 및 제1 소파본체(111)와 제2 소파본체(115)의 하부결합돌기(112)에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사용자는 제1 소파본체(111)와 제2 소파본체(115)를 다수개 결합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는 클립부재(130)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소파본체(111, 115)를 원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 예>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가변형 소파의 클립부재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가변형 소파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가변형 소파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클립부재(130)는 상기 제1 결합유닛(131)과 상기 제2 결합유닛(135)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제1 결합유닛(131)과 상기 제2 결합유닛(13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보강유닛(140)을 포함한다.
즉, 상기 클립부재(130)는 제1 결합유닛(131)과 바닥플레이트(134) 및 제2 결합유닛(135)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결합유닛(131)과 상기 제2 결합유닛(135)의 외면에는 강성을 갖도록 보강유닛(140)이 형성된다. 상기 보강유닛(140)은 제1 결합유닛(131)과 제2 결합유닛(135)의 외면에 형성된다.
상기 보강유닛(140)은 상기 제1 결합유닛(131)과 상기 제2 결합유닛(135)의 길이 방향 중간에 형성되는 제1 보강리브(141)와, 상기 제1 보강리브(141)의 일측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 보강리브(142)와, 상기 제1 보강리브(141)의 타측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3 보강리브(143)를 구비한다.
상기 보강유닛(140)의 제1 보강리브(141)는 제1 결합유닛(131)과 제2 결합유닛(135)의 중간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보강리브(142)는 제1 보강리브(141)의 일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3 보강리브(143)는 제1 보강리브(141)의 타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보강리브(140)는 하부결합돌기(112)에 결합된 클립부재(130)의 강성을 유지하여 줌으로써, 소파의 장기간 사용에도 클립부재(130)가 소파본체(111, 115)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0: 가변소파부재 111: 제1 소파본체
112: 하부결합돌기 113: 받침구
114: 볼트구멍 115: 제2 소파본체
130: 클립부재 131: 제1 결합유닛
132: 제1 경사플레이트 133: 제2 경사플레이트
134: 바닥플레이트 135: 제2 결합유닛
136: 제3 경사플레이트 137: 제4 경사플레이트
140: 보강유닛 141: 제1 보강리브
142: 제2 보강리브 143: 제3 보강리브

Claims (7)

  1. 착석자가 편하게 앉을 수 있도록 쿠션재로 이루어지는 제1 소파본체(111)와, 착석자가 편하게 앉을 수 있도록 쿠션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소파본체(111)와 서로 다른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소파본체(115)로 이루어지는 가변소파부재(110); 및
    크기와 형상이 다른 상기 제1 소파본체(111)와 제2 소파본체(115)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소파본체(111)와 상기 제2 소파본체(115)의 저면에 결합되는 클립부재(130)를 포함하되,
    상기 가변소파부재(110)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소파본체(111)와, 상기 제1 소파본체(111)와 크기 및 형상이 다른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제2 소파본체(11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소파본체(111)와 상기 제2 소파본체(115)의 저면에는 상기 클립부재(130)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소파본체(111, 115)의 저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부결합돌기(112)와, 상기 제1 소파본체(111)와 상기 제2 소파본체(115)가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결합돌기(112)의 저면에 설치되는 받침구(113)와, 상기 받침구(113)를 상기 하부결합돌기(112)에 고정볼트로 고정시킬 수 있게 상기 받침구(113)에 볼트구멍(114)이 형성되고,
    상기 클립부재(130)는 상기 제1 소파본체(111)의 하부결합돌기(112) 일면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제1 결합유닛(131)과, 상기 제2 소파본체(115)의 하부결합돌기(112) 일면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제2 결합유닛(135)과, 상기 제1 결합유닛(131)과 제2 결합유닛(135)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플레이트(134)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결합유닛(131)은 상기 바닥플레이트(134)의 내측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플레이트(132)와, 상기 제1 경사플레이트(132)의 상단에 외측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플레이트(13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결합유닛(135)은 상기 제1 경사플레이트(132)와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3 경사플레이트(136)와, 상기 제3 경사플레이트(136)의 상단에 상기 제2 경사플레이트(133)와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4 경사돌기(13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가변형 소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재(130)는 상기 제1 결합유닛(131)과 상기 제2 결합유닛(135)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제1 결합유닛(131)과 상기 제2 결합유닛(13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보강유닛(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가변형 소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유닛(140)은 상기 제1 결합유닛(131)과 상기 제2 결합유닛(135)의 길이 방향 중간에 형성되는 제1 보강리브(141)와, 상기 제1 보강리브(141)의 일측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 보강리브(142)와, 상기 제1 보강리브(141)의 타측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3 보강리브(1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가변형 소파.
KR1020230026519A 2023-02-28 2023-02-28 위치 가변형 소파 KR102577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6519A KR102577395B1 (ko) 2023-02-28 2023-02-28 위치 가변형 소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6519A KR102577395B1 (ko) 2023-02-28 2023-02-28 위치 가변형 소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7395B1 true KR102577395B1 (ko) 2023-09-13

Family

ID=88020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6519A KR102577395B1 (ko) 2023-02-28 2023-02-28 위치 가변형 소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39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3017A (ko) 2011-03-09 2012-09-19 이연선 가변형 소파
KR101265739B1 (ko) * 2012-10-31 2013-05-21 일진씨앤에이(주) 연결식 의자의 좌판 구조
KR101829607B1 (ko) * 2017-11-23 2018-02-19 황효득 다기능 소파
KR20200014392A (ko) 2020-01-22 2020-02-10 김양선 가변형 소파
KR20210142881A (ko) 2020-05-19 2021-11-26 주식회사 에프피앤코 모듈형 소파 조립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3017A (ko) 2011-03-09 2012-09-19 이연선 가변형 소파
KR101265739B1 (ko) * 2012-10-31 2013-05-21 일진씨앤에이(주) 연결식 의자의 좌판 구조
KR101829607B1 (ko) * 2017-11-23 2018-02-19 황효득 다기능 소파
KR20200014392A (ko) 2020-01-22 2020-02-10 김양선 가변형 소파
KR20210142881A (ko) 2020-05-19 2021-11-26 주식회사 에프피앤코 모듈형 소파 조립체
KR102362402B1 (ko) * 2020-05-19 2022-02-14 주식회사 에프피앤코 모듈형 소파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4705B1 (en) Armrest arrangement for foldable chair
US9700148B2 (en) Seating system with multi-position backrest
US5868468A (en) Chair with adjustable inclination
CA2613452A1 (en) Transport seating
CN101410037A (zh) 人体工学椅
US6715827B1 (en) Backrest adjusting mechanism used in high chair for infants, toddlers, and small children
EP0827704A3 (de) Sitzmöbelelement o. dgl. mit einer gekoppelten Rückenlehnen- und Sitzverstellung
US20090224577A1 (en) Foldable chair with a utility table
US7445230B2 (en) Baby carriage
US6520586B2 (en) Seating structure equipped with retractable armrest
KR102577395B1 (ko) 위치 가변형 소파
US8197003B2 (en) Convertible seating device
KR20090004692A (ko) 의자용 회동 수납식 테이블
JP6503315B2 (ja) ソファーベッド装置
US7134712B2 (en) Chaise-longue
US8973996B2 (en) Congregational prayer chair
JP2004057572A (ja) 連結可能な椅子
GB2303058A (en) Folding chair
US5771508A (en) Variable-position headboard for beds, easy chairs and the like
KR200438402Y1 (ko) 의자
KR20120003573U (ko) 다기능 낚시의자
US3471195A (en) Adjustable seat
EP4062800B1 (en) Device for moving the backrest of a seating furniture
US20150042141A1 (en) Recline boat seat hinge
CN220045342U (zh) 一种户外折叠靠背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