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2344A - 공작 기계용 공구 매거진의 공구 포트 구조 - Google Patents

공작 기계용 공구 매거진의 공구 포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2344A
KR20210142344A KR1020200059055A KR20200059055A KR20210142344A KR 20210142344 A KR20210142344 A KR 20210142344A KR 1020200059055 A KR1020200059055 A KR 1020200059055A KR 20200059055 A KR20200059055 A KR 20200059055A KR 20210142344 A KR20210142344 A KR 20210142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movable ring
hole
r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5413B1 (ko
Inventor
징-산 장
Original Assignee
산제트 인터내셔널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제트 인터내셔널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산제트 인터내셔널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00059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413B1/ko
Publication of KR20210142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parts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or removing tools
    • B23Q3/15526Storage devices; Drive mechanis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6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controll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parts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or removing tools
    • B23Q3/15526Storage devices; Drive mechanisms therefor
    • B23Q2003/15527Storage devices; Drive mechanisms therefor the storage device including means to latch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parts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or removing tools
    • B23Q3/15526Storage devices; Drive mechanisms therefor
    • B23Q2003/15532Storage devices; Drive mechanisms therefor the storage device including tool pots, adaptors or the like

Abstract

공작 기계용 공구 매거진의 공구 포트 구조는 공구 포트 및 공구잠금유닛을 포함하며, 그 중 공구 포트는 공구 홀더를 수납하기 위한 것이고, 공구 잠금유닛은 공구 포트 내부에 결합되어, 공구 포트에 삽입되는 공구 홀더의 단부에 반지름 방향의 힘과 축방향 힘을 발생시켜, 공구 홀더를 공구 포트에 더욱 안정적으로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적시에 추력을 제공하여 축방향 힘을 상쇄시킴으로써 공구 잠금유닛의 공구 홀더에 대한 제한을 해제하여 공구 홀더가 공구 포트로부터 쉽게 퇴출되도록 할 수 있는 잠금해제유닛이 구비된다.

Description

공작 기계용 공구 매거진의 공구 포트 구조{SOCKET STRUCTURE FOR TOOL MAGAZINE OF MACHINE TOOL}
본 발명은 공작 기계의 공구 보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작 기계용 공구 매거진의 공구 포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공작 기계의 공구 매거진 시스템은 디스크형 공구 매거진 또는 체인형 공구 매거진이 있으며, 상기 공구 매거진에는 모두 상이한 규격의 공구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의 공구 포트(tool pot)가 배치되어 있다. 기지의 공구 포트 구조는 공구 홀더를 안정시키고, 공구 홀더가 공구 포트에서 헐거워져 탈락되며 공구 홀더 또는 공구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구 포트의 내부에 공구 홀더의 일단이 삽입되어 부적절하게 헐거워져 탈락되지 않도록 끼움 작용을 발생시키기 위한 끼움 구조가 설치되며, 상기 끼움 구조는 대만 특허 제I426978호 「공구 매거진 체인 캐리어의 공구 포트 가압장치」발명 특허, 대만 특허 제M477934호 「공구 포트 장치」실용신안 특허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특허는 공구 포트의 중후반 구간에 복수의 반지름 구멍이 설치되고, 각각의 반지름 구멍에 볼 및 스프링이 설치되며, 스프링이 장착되는 방식이 볼에 반지름 방향의 힘을 제공함으로써, 볼을 공구 홀더에 강제로 밀착시켜 공구 포트의 일단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구조는 공구 홀더의 위치를 제한할 수는 있으나, 단 공구 홀더가 스프링이 제공하는 반지름 방향의 탄성력에 의해서만 안정성을 유지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끼움 구조는 통상적으로 재료의 강성이 비교적 큰 스프링을 선택하여 볼이 공구 홀더에 밀착되는 힘을 증가시킴으로써 공구 홀더가 공구 포트에 안정적으로 삽입되도록 보장하나, 이렇게 되면, 공구 홀더를 공구 포트로부터 인출 시, 당기는 힘을 비교적 세게 인가해야만 비로소 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할 수 있어, 공구 인출의 어려움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공구를 인출하는 힘이 적절하지 못할 경우 작업자가 다칠 문제가 잠재적으로 존재한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공구 홀더를 삽입 후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공구 홀더를 쉽게 퇴출시킬 수 있는 효과를 구비한 공작 기계용 공구 매거진의 공구 포트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작 기계용 공구 매거진의 공구 포트 구조를 제공하며, 이는 공구 포트 및 공구잠금 유닛을 포함한다. 그 중, 공구 포트는 공구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공구 수용 공간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선이 정의되어, 상기 공구 홀더가 상기 축선을 따라 상기 공구 수용 공간을 진출입하며; 공구잠금 유닛은 축관, 가압부재, 가동 링 및 푸시부재를 포함하여; 그 중 축관은 공구 포트에 고정 결합되고, 축관은 축공을 구비하며 또한 관벽에 상기 축공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축선은 상기 축공의 중심을 통과하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축관의 관통공에 수용 설치되고; 상기 가동 링은 상기 축관에 끼워져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푸시부재는 상기 가동 링에 작용력을 제공하여 상기 가동 링이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도록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가동 링이 제1 위치에 위치 시,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공구 홀더의 상기 단부를 차단하여 상기 공구 홀더가 상기 공구 수용 공간으로부터 퇴출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가동 링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 시,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공구 홀더의 상기 단부를 차단하지 못하므로, 상기 공구 홀더가 상기 공구 수용 공간으로부터 퇴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공작 기계용 공구 매거진의 공구 포트 구조 및 공구 홀더의 입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공구 포트 구조 중의 공구잠금 유닛의 분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공구잠금 유닛의 가동 링을 다른 시각에서 바라본 입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공구 포트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5-5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6-6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 중 A로 표시된 부위의 국부 확대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공구 홀더가 공구 포트에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그 중 도 8은 공구잠금 유닛의 가동 링이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이고, 도 9는 공구잠금 유닛의 가동 링이 제2 위치에 위치한 상태이다.
도 11은 공구 홀더가 공구 포트에 삽입되고, 잠금해제 유닛의 이젝터핀이 공구 포트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입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12-12 방향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첨부도면과 결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공작 기계용 공구 매거진의 공구 포트 구조(100)로서, 이는 디스크형 공구 매거진에 적용되나, 단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공구 포트 구조(100)는 안정화 공구 홀더(200)를 구비하여, 공구 홀더(200)가 공구 포트(100)로부터 쉽게 탈락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전술한 공구 홀더(200)는 순차적으로 홀더 몸체(201), 네크부(202) 및 단부(203)가 연결되어 구성되며, 그 중, 홀더 몸체(201)의 일단에 공구(미도시)가 고정 결합될 수 있고, 단부(203)의 외경은 네크부(202)의 외경보다 크며,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203)는 전방 푸시면(203a), 외부 고리면(203b) 및 후방 경사면(203c)을 구비하고, 그 중 전방 푸시면(203a)과 후방 경사면(203c)은 외부 고리면(203b)의 양측에 위치하며 경사지게 설치된다.
공구 포트 구조(100)는 공구 포트(10) 및 공구잠금 유닛(20)을 포함한다. 그 중, 공구 포트(10)는 양단에 각각 개구를 지니며 내부에 원추형 홀이 구비되어 공구 수용 공간(12)을 구성하는 중공의 원통체로서, 여기서는 상기 공구 수용 공간(12)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선(L)을 정의하였으며, 상기 공구 홀더(200)는 상기 축선(L)을 따라 상기 공구 수용 공간(12)을 진출입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 포트(10)는 공구 수용 공간(12)의 주위에 복수의 나사공(14)이 더 설치된다.
공구잠금 유닛(20)은 공구 포트(10)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구 홀더(200)가 공구 포트(10)로부터 퇴출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를 결합해보면, 전술한 공구잠금 유닛(20)은 축관(21), 가동 링(22), 볼트(23), 가압부재, 푸시부재 등의 구성부재를 포함하며, 아래와 같이 각각 설명한다.
상기 축관(21)은 축공(21a)을 구비하고, 축관(21)의 관벽에 상기 축공(21a)과 연통되는 복수의 관통공(21b)이 구비된다. 상기 축관(21)의 일단은 외경이 수렴되어 지지면(21c)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면(21c)의 전방에 감입홈(21d)이 구비되며, 축관(21)의 타단은 외경이 축관(21)의 외경보다 큰 차단벽(24)이 연결되고, 상기 차단벽(24)에 복수의 관통공(24a)이 설치된다.
상기 가동 링(22)은 상기 축관(21)에 끼워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위치(P1) 및 도 9에 도시된 제2 위치(P2)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도 3a, 도 3b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가동 링(22)의 전측면(22A)의 바깥둘레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가이드 푸시면(22a)이 구비되고, 전측면(22A)의 중간부위에 내부 고리면(22b) 및 푸시면(22c)으로 구성되는 요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내부 고리면(22b)은 수평으로 연장되고, 상기 푸시면(22c)은 상기 내부 고리면(22b)에 연결되면서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가동 링(22)의 후측면(22B)에는 즉 복수의 블라인드홀(22d)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동 링(22)의 둘레에 수량이 상기 차단벽(24)의 관통공(24a) 수량과 동일한 노치(22e)가 구비되어, 조립용 볼트(23)가 통과하기에 용이하며, 볼트(23)는 차단벽(24) 상의 관통공(24a)을 더 관통한 후 공구 포트(10)의 나사공(14)에 삽입되어 잠금 고정되고, 볼트(23)의 헤드부는 차단벽(24)에 밀착되어 축관(21)을 공구 포트(10)에 고정 결합시키며, 또한 축선(L)은 상기 축공(21a)의 중심을 통과한다.
상기 가동 링(22)은 상기 축관(21)에 대해 회전할 수 없는 방식으로 상기 축관(21)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실시예에서는 가이드핀(25)이 가동 링(22)을 통과하여 상기 차단벽(24)에 고정 결합되는 방식을 이용하여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목적을 구현하는 방식은 즉 차단벽(24)에 위치결정공(24b)을 설치하고, 가동 링(22)에 관통공(22f)을 설치하며, 가이드핀(25)은 외경이 위치결정공(24b)의 공경과는 동일하되 단 관통공(22f)의 공경보다는 작은 스프링핀을 채택하였다.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스프링핀은 관통공(22f)을 관통한 후 그 일단이 위치결정공(24b)에 삽입되어, 자신이 구비한 반지름 방향의 지탱 장력을 이용하여 위치결정공(24b)에 체결되나, 단 관통공(22f)의 공벽과는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가동 링(22)이 축관(21)에 대해서는 회전할 수 없지만 축관(21) 상에서 전후로는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축관(21)에 끼워질 수 있다.
가압부재는 원형 볼(26)이며, 그 수량은 상기 축관(21)의 관벽 상의 관통공(21b)의 수량과 동일하다. 상기 볼(26)의 직경은 상기 축관(21)의 외벽으로부터 상기 가동 링(22)의 내부 고리면(22b) 사이의 거리(D)보다 크며, 따라서 볼(26)이 각각 대응되는 관통공(21b)에 수용될 때, 볼(26)이 가동 링(22)의 내부 고리면(22b)에 의해 제한되어 관통공(21b)으로부터 이탈할 우려가 없다.
푸시부재는 스프링(27)이며, 그 수량은 상기 가동 링(22)의 블라인드홀(22d)의 수량과 동일하다. 상기 스프링(27)은 각각 대응되는 블라인드홀(22d)에 설치되며, 스프링(27)의 일단은 블라인드홀(22d)의 저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차단벽(24)의 표면에 지지된다. 스프링(27)은 상기 차단벽(24)을 고정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가동 링(22)에 밀어내는 작용력을 제공하며, 가동 링(22)의 푸시면(22c)이 볼을 밀어내어 볼(26)의 일부가 상기 축공(21a)에 노출되도록 압박한다. 이때의 볼(26)은 가동 링(22)이 바깥으로 미끄러져 나오는 것도 제한하며, 여기서는 이 상태의 가동 링(22)을 제1 위치(P1)에 위치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스프링(27)의 밀어내는 작용력이란 즉 가동 링(22)이 상기 제1 위치(P1)로의 이동을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공구 홀더(200)의 설치 동작 설명도를 더 참조하면, 그 중 도 8은 가동 링(22)이 스프링(27)의 밀어내는 작용에 의해 제1 위치(P1)에 유지되고, 공구 홀더(200)는 축선(L)을 따라 공구 포트(10)의 공구 수용 공간(12)에 삽입되며, 공구 홀더(200) 단부(203)의 전방 푸시면(203a)은 상기 볼(26)과 접촉되어 축공(21a)의 일부분에 노출된다. 이어서, 전진하는 공구 홀더(200)는 그 단부(203)의 전방 푸시면(203a)으로 볼(26)을 바깥으로 이동하도록 밀어내며, 즉 가동 링(22)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볼(26)은 바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관통공(21b)에 의해 제한되어 반지름 방향에서만 이동 가능하다. 또한, 가동 링(22)의 푸시면(22c)이 경사면이기 때문에, 바깥으로 이동하는 볼(26)은 반대로 가동 링(22)을 차단벽(24) 방향으로 후퇴하도록 밀어냄과 동시에, 스프링(27)을 압축시킨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26)이 상기 단부(203)의 외측 고리면(203b)과 접촉 시 즉 가동 링(22)이 제2 위치(P2)로 이동하였음을 나타낸다. 공구 홀더(200)가 전진하도록 계속 밀어 볼(26)이 대략 상기 네크부(202)에 대응 시, 네크부(202)의 외주면에서 축관(21)의 축공(21a)까지의 공벽에 공극이 존재하기 때문에, 스프링(27)이 압축 에너지를 석방하였을 때 가동 링(22)을 바깥으로 밀어낼 수 있으며, 또한 가동 링(22)의 푸시면(22c)은 다시 볼(26)을 침강하도록 밀어, 볼(26)이 상기 가동 링(22)의 푸시면(22c)과 상기 단부(203)의 후측 경사면(203c)에 동시에 맞닿았을 때(도 10 참조), 가동 링(22)이 다시 상기 제1 위치(P1)에 정지하고, 볼(26)은 상기 공구 홀더(200)의 단부(203)를 가로막아 공구 홀더(200)가 상기 공구 수용 공간(12)으로부터 퇴출되는 것을 제한한다. 상기 스프링(27)이 가동 링(22)을 밀면, 가동 링(22)은 다시 경사면을 띠는 푸시면(22c)으로 볼(26)을 밀어내며, 볼(26)을 통해 공구 홀더(200)의 단부(203)에 반지름 방향의 힘(수직 분력) 및 축방향 힘(수평 분력)을 발생시켜, 공구 홀더(200)가 공구 포트(10)에 삽입되는 안정성이 향상되며 공구 수용 공간(12)에서 제멋대로 헐거워지며 퇴출되지 않도록 하는 목적을 구현한다.
이상은 본 발명으로 공구 홀더가 공구 포트로부터 퇴출되는 것을 제한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구조 설명이었으며, 공구 포트(10) 및 공구잠금 유닛(20)이 구비된 것을 토대로, 본 발명의 공구 포트 구조는 가동 링(22)에 대해 추력을 발생시켜 가동 링(22)을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로 이동시키는 잠금해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써 공구잠금 유닛(20)의 공구 홀더(200)에 대한 제한을 해제함으로써 공구 홀더(200)가 공구 포트(10)로부터 쉽게 퇴출될 수 있다.
도 5 및 도 11을 결합해보면, 잠금해제 유닛(30)은 2개의 이젝터핀(32)을 포함하며, 상기 공구 포트(10)는 상기 2개의 이젝터핀(32)과 협동하도록 상기 공구 수용 공간(12)과 연통되는 2개의 삽입공(16)이 설치되며, 상기 삽입공(16)의 투영 범위 내에 제1 위치(P1)에 위치한 가동 링(22)의 일부 구조가 포함된다. 도 12을 더 결합해보면, 상기 2개의 이젝터핀(32)은 동기적으로 이동하도록 제어되며, 약간 원추 형상을 띠는 일단이 삽입공(16)을 통과한 후, 이젝터핀(32)이 하향 이동함에 따라, 이젝터핀(32)이 상기 가이드 푸시면(22a)을 밀어 상기 가동 링(22)을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로 이동하도록 밀어내며, 즉 가동 링(22)은 차단벽(24)을 향해 이동하며 스프링(27)을 압축한다. 이때의 볼(26)은 더 이상 가동 링(22)의 가이드 푸시면(22a)의 압박을 받지 않게 되고, 축관(21)의 외벽으로부터 가동 링(22)의 내부 고리면(22b) 사이에는 여전히 거리(D)가 있기 때문에, 볼(26)이 관통공(21b)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해 공구잠금 유닛(20)이 공구 홀더(200)의 단부(203)를 제한하는 상태가 해제된다. 여기까지 하면, 공구 홀더(200)를 공구 포트(10)로부터 쉽게 인출할 수 있다. 공구 홀더(200)가 공구 포트(10)에서 이탈되고, 이젝터핀(32)이 다시 공구 포트(10)로부터 퇴출된 후, 상기 공구잠금 유닛(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회복된다. 전술한 이젝터핀(32)의 이동은 공압 또는 유압의 변화를 제어함으로써 이젝터핀(32)을 승강 이동시키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젝터핀(32)의 수량은 2개이나, 기타 실시예에서는 단일한 이젝터핀(32)을 사용하여 공구잠금 유닛(20)의 공구 홀더(200) 제한을 해제하는 동작을 완수할 수도 있다.
상기 잠금해제 유닛(30)은 리테이너 링(34) 및 C형 버클(36)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링(34)은 차단벽(34)이 연결된 상기 축관(21)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면(21c)에 지지되고, C형 버클(36)은 상기 감입홈(21d)에 결합되어 리테이너링(34)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가동 링(22)을 상기 차단벽(24)과 상기 리테이너링(34) 사이에 위치시킨다. 상기 리테이너링(34)의 위치는 고정되며, 또한 그 설치 위치는 이젝터핀(32)이 공구 포트(10)에 하향 삽입 시 이젝터핀(32)에 배면 지지력을 제공한다. 즉 이젝터핀(32)이 가동 링(22)을 밀어낼 때, 리테이너링(34)이 이젝터핀(32)에 반작용력을 제공함으로써, 스프링(27)의 밀어내는 힘에 의해 이젝터핀(32)이 휘는 부적절한 상황을 방지한다.
상기 내용 중, 스프링(27)은 가동 링(22)의 블라인드홀(22d)에 설치되며, 또한 스프링(27)의 일단은 블라인드홀(22d)의 저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차단벽(24)의 표면에 지지되나, 기타 실시예에서, 블라인드홀은 차단벽(24)에 설치되거나, 또는 차단벽(24)과 가동 링(22)에 모두 블라인드홀이 설치될 수도 있으며, 목적은 모두 스프링(27)을 안정화시켜 헐거워지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이상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특허출원범위를 응용하여 실시되는 등가의 변화는 본 발명의 특허범위 내에 포함됨이 마땅하다.
10: 공구 포트 12: 공구 수용 공간
14: 나사공 16: 삽입공
20: 공구잠금 유닛 21: 축관
21a: 축공 21b: 관통공
21c: 지지면 21d: 감입홈
22: 가동 링 22A: 전측면
22B: 후측면 22a: 가이드 푸시면
22b: 내부 고리면 22c: 푸시면
22d: 블라인드홀 22e: 노치
22f: 관통공 23: 볼트
24: 차단벽 24a: 관통공
24b: 위치결정공 25: 가이드핀
26: 볼 27: 스프링
30: 잠금해제 유닛 32: 이젝터핀
34: 리테이너링 36: C형 버클
100: 공구 포트 구조 200: 공구 홀더
201: 홀더 몸체 202: 네크부
203: 단부 203a: 전방 푸시면
203b: 외부 고리면 203c: 후방 경사면
D: 축관 외벽으로부터 가동 링의 내부 고리면 사이의 거리
L: 축선 P1: 제1 위치
P2: 제2 위치

Claims (9)

  1. 일단부를 구비한 공구 홀더를 수납하기 위한 공작 기계용 공구 매거진의 공구 포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공구 포트 구조는,
    공구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공구 수용 공간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선이 정의되어, 상기 공구 홀더가 상기 축선을 따라 상기 공구 수용 공간을 진출입하는 공구 포트; 및
    축관,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재, 가동 링과 적어도 하나의 푸시부재를 포함하여; 그 중 상기 축관은 상기 공구 포트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축관은 축공을 구비하며 관벽에 상기 축공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축선이 상기 축공의 중심을 통과하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축관의 관통공에 수납 설치되며; 상기 가동 링은 상기 축관에 끼워져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푸시부재는 상기 가동 링에 작용력을 제공하여, 상기 가동 링이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도록 유지시키는 공구잠금 유닛
    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상기 가동 링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 시,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공구 홀더의 상기 단부를 차단하여 상기 공구 홀더가 상기 공구 수용 공간으로부터 퇴출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가동 링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 시,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공구 홀더의 상기 단부를 차단하지 못하여, 상기 공구 홀더가 상기 공구 수용 공간으로부터 퇴출될 수 있는,
    공작 기계용 공구 매거진의 공구 포트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관의 일단에 차단벽이 연결되고, 상기 푸시부재는 스프링이며,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차단벽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가동 링에 지지되는, 공작 기계용 공구 매거진의 공구 포트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과 상기 가동 링의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블라인드홀이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블라인드홀의 저면에 지지되는, 공작 기계용 공구 매거진의 공구 포트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링이 상기 축관에 대해 회전할 수 없는 방식으로 상기 축관에 끼움 설치되는, 공작 기계용 공구 매거진의 공구 포트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잠금 유닛은 가이드핀을 포함하며, 상기 축관의 일단에 차단벽이 연결되고, 상기 가동 링에 관통공이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차단벽에 연결되는, 공작 기계용 공구 매거진의 공구 포트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은 위치결정공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핀은 스프링핀이고 또한 그 외경이 상기 가동 링의 관통공의 공경(孔俓) 보다 작으며, 상기 스프링핀의 일단이 상기 위치결정공에 삽입되는, 공작 기계용 공구 매거진의 공구 포트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링은 내부 고리면 및 푸시면을 구비하며, 상기 푸시면은 상기 내부 고리면에 연결되면서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가압부재는 볼이고, 상기 축관의 외벽으로부터 상기 가동 링의 내부 고리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볼의 직경보다 작은, 공작 기계용 공구 매거진의 공구 포트 구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해제 유닛을 포함하며;
    그 중 상기 공구 포트는 상기 공구 수용 공간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가동 링은 경사지게 설치되는 가이드 푸시면을 구비하며, 상기 잠금해제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이젝터핀을 포함하여, 상기 이젝터핀이 조작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면서 상기 가이드 푸시면을 밀어 상기 가동 링을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밀어내는, 공작 기계용 공구 매거진의 공구 포트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 유닛은 리테이너링을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링은 상기 축관의 타단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 링은 상기 차단벽과 상기 리테이너링 사이에 위치하며; 그 중, 상기 이젝터핀이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리테이너링과 접촉 시, 상기 리테이너링이 상기 이젝터핀에 반작용력을 제공하는, 공작 기계용 공구 매거진의 공구 포트 구조.
KR1020200059055A 2020-05-18 2020-05-18 공작 기계용 공구 매거진의 공구 포트 구조 KR102345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055A KR102345413B1 (ko) 2020-05-18 2020-05-18 공작 기계용 공구 매거진의 공구 포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055A KR102345413B1 (ko) 2020-05-18 2020-05-18 공작 기계용 공구 매거진의 공구 포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344A true KR20210142344A (ko) 2021-11-25
KR102345413B1 KR102345413B1 (ko) 2021-12-29

Family

ID=78745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055A KR102345413B1 (ko) 2020-05-18 2020-05-18 공작 기계용 공구 매거진의 공구 포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4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0505A (ko) * 2007-12-10 2009-06-15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볼리테이너가 구비된 클램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0505A (ko) * 2007-12-10 2009-06-15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볼리테이너가 구비된 클램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5413B1 (ko) 202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9872B1 (en) Quick-release mechanism for screwdriver bits and the like
US7896357B2 (en) Universal tool bit shank
US8308168B2 (en) Quick change tool bit holder
US20030230862A1 (en) Bit holder
US20150202751A1 (en) Tool bit adapter
JP2011235362A (ja) 締結部品の整列供給装置
JPH07186067A (ja) 固定素子の打ち込み装置
US8607673B2 (en) Tool modification to prevent inadvertent release of tool attachments
AU634352B2 (en) Quick change clamping mechanism
US7610834B2 (en) Tool holder assembly with interference fit key arrangement
JP4583321B2 (ja) 工具ポット
KR102345413B1 (ko) 공작 기계용 공구 매거진의 공구 포트 구조
KR102211811B1 (ko) 공작기계의 칼자루 잠금 및 잠금 해제 구조
CN209793221U (zh) 一种刀具自动退刀装置
JP6032694B2 (ja) 加圧工具およびロッキングボルト
TWM586190U (zh) 工具機之刀桿鎖定暨解鎖結構
US11524377B2 (en) Lockable tool clamp
CN212705641U (zh) 用于工具机的刀库的刀套结构
CN210732300U (zh) 一种后退式单手快换夹头
US8075001B2 (en) Chuck and rotary orienting device
CN113523868A (zh) 用于工具机的刀库的刀套结构
TWM601159U (zh) 用於工具機之刀庫的刀套結構
TWI737263B (zh) 用於工具機之刀庫的刀套結構
TWM530222U (zh) 接桿工具之快脫結構
CN109403752B (zh) 拖车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