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2270A - 헤어 드라이어 - Google Patents

헤어 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2270A
KR20210142270A KR1020200058884A KR20200058884A KR20210142270A KR 20210142270 A KR20210142270 A KR 20210142270A KR 1020200058884 A KR1020200058884 A KR 1020200058884A KR 20200058884 A KR20200058884 A KR 20200058884A KR 20210142270 A KR20210142270 A KR 20210142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path selection
gas
uni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0985B1 (ko
Inventor
오현주
안광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8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985B1/ko
Priority to US17/098,607 priority patent/US11937680B2/en
Priority to PCT/KR2021/000383 priority patent/WO2021235646A1/ko
Publication of KR20210142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45D20/122Diffusers, e.g. for variable air flo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콘센트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가 개시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레이터는 상기 콘센트레이터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기체토출부로부터 토출된 기체가 유동되는 제1 유로 및 제2 유로가 내부에 마련되는 외부케이스 및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에서 위치가 가변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외부케이스와의 사이에 상기 제1 유로가 마련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2 유로가 마련되는 유로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레이터는 상기 유로선택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기체토출부로부터 토출된 기체가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 하나의 콘센트레이터를 사용하면서 상기 제1 유로 또는 제2 유로를 선택할 수 있다.

Description

헤어 드라이어 {HAIR DRYER}
본 발명은 헤어 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기체유입부로 유입된 기체가 기체토출부를 통해 토출될 수 있는 헤어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모발을 젖은 상태에서 원하는 만큼 물기를 제거하거나, 현재 모양으로부터 원하는 모양으로 스타일링하는 경우, 기체토출부를 통해 기체를 토출하는 헤어 드라이어가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발이 젖은 상황에서 헤어 드라이어를 통해 모발을 건조시키는 경우, 헤어 드라이어는 사용자가 원하는 기체의 특성, 예컨대 기체 온도, 기체 속도, 기체의 유동면적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0108호는 기체가 토출되는 액세서리가 결합되는 헤어 드라이어를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세서리는 기체가 유동되는 유로를 달리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액세서리를 통과한 기체는 사용자가 원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0108호에 개시된 헤어 드라이어는 액세서리가 하나의 유동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원하는 특성의 기체를 제공받기 위해 유로의 형태가 달리 구비된 액세서리로 바꾸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특성을 가지는 기체를 제공하기 위한 두 가지 이상의 유로를 갖는 액세서리가 탈부착 가능한 헤어 드라이어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 수의 기체 유동타입을 가질 수 있는 액세서리가 탈부착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특성의 기체를 하나의 액세서리를 통해 선택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례는 내부에 서로 다른 특성의 기체가 토출될 수 있는 유로가 복 수개 구비될 수 있는 콘센트레이터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기체토출부가 전방측에 마련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본체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기체토출부로부터 토출된 기체를 전달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콘센트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센트레이터는, 상기 콘센트레이터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기체토출부로부터 토출된 기체가 유동되는 제1 유로 및 제2 유로가 내부에 마련되는 외부케이스 및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에서 위치가 가변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외부케이스와의 사이에 상기 제1 유로가 마련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2 유로가 마련되는 유로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센트레이터는 상기 유로선택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기체토출부로부터 토출된 기체가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본체부의 외벽과 결합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마련되며 상기 유로선택부가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는 상기 몸체부와의 사이에 상기 기체토출부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유로선택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기체토출부로부터 토출된 기체가 상기 유로선택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제1 유로 또는 상기 제2 유로로 유동되는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유로선택공간을 마주보는 몸체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유로선택부는 상기 몸체부 내부에서 위치가 가변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 유로와 연통되는 유로선택유입홀이 마련되며, 상기 유로선택유입홀이 상기 몸체유입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유로선택부가 위치되면, 상기 유로선택공간의 기체가 상기 몸체유입홀 및 상기 유로선택유입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2 유로로 유입되는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유로선택부는 상기 몸체부 내부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고 나머지를 차폐하도록 마련되는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헤드부의 중앙에서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헤드부는 내부에 상기 유로선택부가 이동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유로선택부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유로선택유입홀과 상기 몸체유입홀이 연통됨으로써 상기 제2 유로가 개방되고, 상기 제2 유로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의 내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1 유로가 차폐되도록 마련되는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유로선택부는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유로선택유입홀이 상기 몸체유입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됨으로써 상기 제2 유로가 차폐되고, 상기 제2 유로가 차폐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의 상기 내면과 이격되어 상기 제1 유로가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전단부에 상기 몸체유입홀이 마련되고, 상기 유로선택부는 후단부에 상기 유로선택유입홀이 마련되며,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후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전단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의 상기 내면과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헤드부로 연장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에서 후방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헤드부로 연장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유입홀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에서 상기 몸체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벽과 결합되는 제1 헤드부 및 상기 제1 헤드부에서 연장되어 직경이 감소되도록 마련되는 제2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헤드부는 직경이 일정하게 마련되어 내부에 상기 유로선택부가 이동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제2 헤드부에서 연장되어 직경이 감소되도록 마련되는 제3 헤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헤드부의 직경 감소비율이 상기 제2 헤드부의 직경 감소비율보다 작도록 마련되는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기체토출부로부터 토출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1 유로배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기체토출부로부터 토출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 유로배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배출홀의 단면적은 상기 제2 유로배출홀의 단면적과 상이하게 마련되는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제1 유로배출홀은 상기 제2 유로배출홀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유로배출홀의 단면적이 상기 제2 유로배출홀의 단면적보다 크게 마련되는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전방측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유로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유로배출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제1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에 유동되는 기체는 상기 제1 가이드부 사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유로선택부는, 상기 유로선택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유로선택프레임 및 상기 유로선택프레임 중앙에 마련되어 상기 유로선택프레임 내면과의 사이에 상기 제2 유로가 형성되는 유로형성부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중앙에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가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몸체부가 상기 수용부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헤드부의 외벽은 상기 본체부의 외벽과 밀착되도록 마련되는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하나의 콘센트레이터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특성을 가지는 기체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콘센트레이터는 헤어 드라이어와 강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특성을 가지는 기체가 토출되도록 유로를 선택 및 변경하는데 용이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레이터가 분리된 헤어 드라이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헤어드라이어의 내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레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유로로 기체가 유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유로로 기체가 유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유로로 기체가 유동되는 경우 유로선택부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유로로 기체가 유동되는 경우 유로선택부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레이터와 본체부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선택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유로배출홀 및 제2 유로배출홀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레이터가 분리된 헤어 드라이어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헤어드라이어의 내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 손잡이부(300) 및 기체토출부(11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기체가 유동하는 기체유로(400)가 형성될 수 있고, 내부의 기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기체토출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전방에서 바라볼 때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 후, 좌, 우, 상 및 하의 정의는 상기 본체부(100)를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기체토출부(110)는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측에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손잡이부(300)는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대략 하방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를 유동하는 기체는 상기 기체유입부(330)를 통해 유입되며, 상기 기체유입부(330)는 상기 본체부(100) 또는 상기 손잡이부(30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체유입부(330)가 상기 손잡이부(300)에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기체유로(400)가 상기 손잡이부(300)로부터 상기 본체부(100)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체유로(400)는 상기 기체유입부(330)로부터 상기 기체토출부(110)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 또는 상기 손잡이부(300)에 마련되는 상기 기체유입부(330)를 통해 외부로부터 기체가 유입되고,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는 상기 기체유로(400)를 따라 유동되어 상기 본체부(100)에 마련되는 기체토출부(11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300)는 본체부(10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1 및 2에는 본체부(10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3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300)가 상기 본체부(100)와 별개로 제조되어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에 대한 길이방향이 고정되거나 가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손잡이부(300)는 힌지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300)의 길이방향이 변화 가능하도록, 즉 상기 본체부(100)에 대해 접힐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3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쥐는 부위가 될 수 있으며, 따라서 그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300)의 연장방향은 다양할 수 있으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본체부(100)에서 상기 손잡이부(300)가 연장되는 방향을 하방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할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기체를 유동시키고 상기 기체토출부(110)를 통해 토출되는 토출기체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팬유닛(310)을 포함한다. 상기 팬유닛(310)은 상기 기체유로(400)상에 배치되어 기체를 유동시키며,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또는 상기 손잡이부(3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기체유입부(330)가 상기 손잡이부(300)에 배치된 경우, 상기 기체유로(400)는 상기 손잡이부(300)의 상기 기체유입부(330)로부터 상기 본체부(100)의 상기 기체토출부(110)까지 연장될 수 있고, 상기 팬유닛(310)은 상기 손잡이부(300)에 위치되는 상기 기체유로(400)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토출기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조절유닛(12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온도조절유닛(120)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온도조절유닛(120)은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 코일 형태의 저항체에 전류를 제공하여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기체를 가열하는 방식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온도조절유닛(120)의 저항체가 반드시 코일 형태가 아닐 수 있고, 열전소자를 이용하는 등 기체를 가열하거나 기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작동방식을 기체 유동과 함께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는 상기 본체부(100) 또는 상기 손잡이부(300)에 배치되는 전원버튼을 조작한다. 전원버튼이 온 상태가 되면, 상기 팬유닛(310)이 작동되면서 기체가 기체유입부(330)를 통해 헤어 드라이어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기체유입부(330)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는 상기 팬유닛(310)에 의해 상기 기체유로(400)를 따라 유동되어 상기 기체토출부(110)를 향하고, 상기 기체토출부(110)에서는 토출기체가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기체유로(400)상의 기체는 상기 팬유닛(310)에 의해 유동속도가 조절될 수 있고, 상기 온도조절유닛(120)에 의해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팬유닛(310) 및 상기 온도조절유닛(120)의 운전상태 조절은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500)를 조작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제어부(700)에 미리 설정된 운전모드에 따라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레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상기 본체부(1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콘센트레이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기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기체토출부(110)가 전방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콘센트레이터(200)는 상기 기체토출부(110)를 마주보도록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되어 상기 기체토출부(110)로부터 토출된 기체를 전달받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콘센트레이터(200)는 상기 콘센트레이터(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스(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케이스(210)는 상기 기체토출부(110)로부터 토출된 기체가 유동되는 제1 유로(230) 및 제2 유로(240)가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센트레이터(200)는 상기 외부케이스(210) 내부에서 위치가 가변되도록 마련되는 유로선택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선택부(220)는 상기 외부케이스(210)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1 유로(230)가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유로선택부(220)는 내부에 상기 제2 유로(24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유로선택부(220)의 위치에 따라 상기 기체토출부(110)로부터 토출된 기체는 상기 제1 유로(230) 및 상기 제2 유로(240)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외부케이스(210)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벽과 결합되는 헤드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211)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몸체부(21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12)는 상기 유로선택부(220)가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선택부(220)는 상기 몸체부(212) 내부에서 위치가 가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12)는 상기 유로선택부(220)가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212)는 상기 헤드부(211)의 중앙에서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몸체부(212)는 상기 유로선택부(220)가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몸체부(212)는 전방면이 개방되어 상기 유로선택부(22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12)의 후방면은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몸체부(212)의 후방면이 폐세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212)의 후방면이 폐쇄된다면 상기 유로선택부(220)는 상기 유로선택부(220)의 후방면이 상기 몸체부(212)의 후방면과 접촉할 때까지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부(212)의 전방면부터 상기 몸체부(212)의 후방면까지 상기 유로선택부(220)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212)의 후방면이 폐쇄된다면 상기 유로선택부(220)는 별도의 구성없이 상기 몸체부(212)에서 최대한 이동될 수 있는 후방측 거리가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유로선택부(220)는 사용자의 사용시 상기 몸체부(212)의 후방면을 포함한 상기 몸체부(212)의 내부면에 접촉되어 흔들림 및 이탈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몸체부(212)의 후방면이 폐쇄된다면 상기 몸체부(212)와 상기 유로선택부(220)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유로선택부(220)는 후방으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로선택부(220)의 외면과 상기 몸체부(212)의 내면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212)의 후방면과 상기 유로선택부(220) 사이의 공기를 상기 몸체부(212)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별도의 공기배출홀(미도시)이 상기 유로선택부(220)에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몸체부(212)의 후방면이 개방된다면 상기 유로선택부(220)가 상기 몸체부(212)의 내부에서 후방으로 이동할 경우 별도의 스토퍼가 필요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유로선택부(220)가 상기 몸체부(212) 사이에 별도의 공기배출홀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몸체부(212)의 후방면의 개폐 여부는 상기 콘센트레이터(200)와 상기 본체부(100)의 결합 관계 및 사용 요건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유로로 기체가 유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상기 제2 유로(240)가 차폐되고, 상기 제1 유로(230)로 상기 기체토출부(110)로부터 토출된 기체가 유동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부(211)는 상기 몸체부(212)와의 사이에 유로선택공간(2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선택공간(213)은 상기 기체토출부(110)를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기체토출부(110)로부터 토출된 기체는 상기 유로선택공간(213)으로 유동된다. 상기 유로선택공간(213)으로 유동된 기체는 상기 제1 유로(230) 또는 상기 제2 유로(240)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선택부(220)는 상기 몸체부(212) 내부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유로선택부(220)는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유로(230) 및 상기 제2 유로(240)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고 나머지를 차폐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기체토출부(110)로부터 토출된 기체는 상기 유로선택공간(213)을 통과하여 상기 제1 유로(230) 또는 제2 유로(240)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헤드부(211)의 내면과 상기 유로선택부(220)의 외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체토출부(110)로부터 토출된 기체는 상기 유로선택공간(213)을 통과하여 상시 상기 제1 유로(23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12)는 상기 유로선택공간(213)을 마주보는 몸체유입홀(21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선택부(220)는 상기 제2 유로(240)와 연통되는 유로선택유입홀(221)이 마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유로선택부(220)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12)의 후방면이 폐쇄된다면, 상기 몸체부(212)의 후방면과 상기 유로선택부(220)의 후방면이 접촉될 때까지 후방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유로선택부(220)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유로선택유입홀(221)이 상기 몸체유입홀(2121)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몸체유입홀(2121)은 상기 유로선택부(220)의 외면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선택유입홀(221)은 상기 몸체부(212)의 내면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 유로(240)는 차폐 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240)가 차폐된 상태에서 상기 유로선택부(220)는 후방측으로 상기 헤드부(211)의 내면과 이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 유로(230)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기체토출부(110)로부터 토출된 기체는 상기 유로선택공간(213)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유로선택공간(213)으로 유입된 기체는 상기 몸체유입홀(2121)이 폐쇄되어 상기 제2 유로(240)에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선택공간(213)으로 유입된 기체는 상기 제1 유로(230)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몸체유입홀(2121)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유로선택부(220)가 상기 헤드부(211)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유로(230)는 개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유로선택공간(213)을 통과하여 상기 제1 유로(230)로 유입된 기체는 상기 제1 유로(230)를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제1 유로(230)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230)는 상기 제1 유로(230)를 통과하는 기체가 사용자에게 선호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유로(230)의 직경이 외부로 향할수록 일정하게 마련되거나 감소하거나 증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위치별로 상기 제1 유로(230)의 직경이 달리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유로(230)의 직경이 외부를 향할수록 일정하게 감소될 수 있다. 직경이 감소될수록 상기 제1 유로(230)를 유동하는 기체는 가속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230)의 직경 감소 비율이 상기 제2 유로(240)보다 작다면 상기 제1 유로(230)를 따라 외부로 유출되는 기체는 상기 제2 유로(240)를 따라 외부로 유출되는 기체보다 기체의 집중이 적게 되어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기체 유동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제1 유로(230)를 따라 외부로 유출되는 기체로부터 상기 제2 유로(240)를 따라 외부로 유출되는 기체보다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촉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로(230) 내부에 별도의 필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제1 유로(230)를 통하여 외부로 기체가 배출되기 전 이물질을 제거하여 사용자에게 상쾌함을 줄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230) 내부에 별도의 온도조절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부재는 상기 온도조절유닛(120)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별도로 구비된 구성에 의해 사용자의 선호에 따른 특성을 갖는 기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1 유로(230) 또는 상기 제2 유로(240)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유로(230)와 상기 제2 유로(240)의 특성이 달리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유로로 기체가 유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상기 제1 유로(230)가 차폐되고, 상기 제2 유로(240)로 상기 기체토출부(110)로부터 토출된 기체가 유동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부(211)는 상기 몸체부(212)와의 사이에 상기 유로선택공간(2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선택공간(213)은 상기 기체토출부(110)를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기체토출부(110)로부터 토출된 기체는 상기 유로선택공간(213)으로 유동된다. 상기 유로선택공간(213)으로 유동된 기체는 상기 제1 유로(230) 또는 상기 제2 유로(240)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선택부(220)는 상기 몸체부(212) 내부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유로선택부(220)는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유로(230) 및 상기 제2 유로(240)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고 나머지를 차폐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체토출부(110)로부터 토출된 기체는 상기 유로선택공간(213)을 통과하여 상기 제1 유로(230) 또는 제2 유로(240)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230)는 상기 헤드부(211)의 내면과 상기 유로선택부(220)의 외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체토출부(110)로부터 토출된 기체는 상기 유로선택공간(213)을 통과하여 상시 제1 유로(23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12)는 상기 유로선택공간(213)을 마주보는 상기 몸체유입홀(21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선택부(220)는 상기 제2 유로(240)와 연통되는 상기 유로선택유입홀(221)이 마련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유로선택부(220)는 상기 몸체부(212)로부터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유로선택부(220)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몸체유입홀(2121)과 상기 유로선택유입홀(221)이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몸체유입홀(2121)과 상기 유로선택유입홀(221)이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유로선택부(220)는 상기 헤드부(211)의 내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 유로(240)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24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유로선택부(220)의 외면에 의해 상기 제1 유로(230)가 차폐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로선택부(220)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유로선택공간(213), 상기 몸체유입홀(2121), 상기 유로선택부(220) 및 상기 제2 유로(240)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유로(24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유로선택부(220)의 외면은 상기 헤드부(211)의 내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1 유로(230)를 차폐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유로선택공간(213)을 통과하여 상기 제1 유로(230)로 유입된 기체는 상기 유로선택부(220)의 외면에 의해 상기 제1 유로(230)를 따라 외부로 배출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유로선택공간(213)을 통과하여 상기 제2 유로(240)로 유입된 기체는 상기 제2 유로(240)를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체토출부(110)로부터 토출된 기체는 상기 제2 유로(240)를 따라서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제2 유로(240)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240)는 상기 제2 유로(240)를 통과하는 기체가 사용자에게 선호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유로(240)의 직경이 외부로 향할 수록 일정하게 마련되거나 감소하거나 증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위치별로 상기 제2 유로(240)의 직경이 달리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유로(240)의 직경이 외부를 향할 수록 일정하게 감소될 수 있다. 직경이 감소될수록 상기 제2 유로(240)를 유동하는 기체는 가속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240)의 직경 감소 비율이 상기 제1 유로(230)보다 크다면 상기 제2 유로(240)를 따라 외부로 유출되는 기체는 상기 제2 유로(240)를 따라 외부로 유출되는 기체보다 속도가 작을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제2 유로(240)를 따라 외부로 유출되는 기체로부터 상기 제1 유로(230)를 따라 외부로 유출되는 기체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촉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유로(240) 내부에 별도의 필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제2 유로(230)를 통하여 외부로 기체가 배출되기 전 이물질을 제거하여 사용자에게 상쾌함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유로(240) 내부에 별도의 온도조절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부재는 상기 온도조절유닛(120)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별도로 구비된 구성에 의해 사용자의 선호에 따른 특성을 갖는 기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1 유로(230) 또는 상기 제2 유로(240)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유로(230)와 상기 제2 유로(240)의 특성이 달리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로선택부(220)의 상기 몸체부(212) 내부에서의 이동방법에 대해서 서술한다.
사용자는 상기 유로선택부(220)를 상기 몸체부(212)의 내부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손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유로선택부(220)의 전방측 끝단에 구비된 홀에 손을 넣어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유로선택부(220)에 장력을 주어 상기 유로선택부(22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는 상기 유로선택부(220)의 전방측 단부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유로선택부(220)를 후방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손을 이용하여 상기 유로선택부(220)의 후방측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유로선택부(220)를 후방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선택부(220)와 상기 몸체부(212) 후방면 사이에 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스프링을 이용하여 상기 유로선택부(22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유로선택부(220)에 힘을 가하여 상기 스프링이 압축될 수 있다. 상기 유로선택부(220)는 상기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212) 또는 상기 헤드부(211)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1 유로(230)를 통하여 배출되는 기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스프링과 상기 몸체부(212) 또는 상기 헤드부(211)와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유로선택부(220) 후방면에 힘을 가하여 상기 유로선택부(22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유로선택부(220)를 상기 몸체부(212) 내부에서 이동시키는 방법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선택부(220)의 이동방법은 상기 유로선택부(220)와 상기 몸체부(212)의 결합력 정도, 상기 몸체부(212)의 내부공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유로로 기체가 유동되는 경우 유로선택부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6을 설명한다. 도 4에서 중복 설명한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상술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 모두를 생략하는 것은 아니고, 설명의 편의 및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해 일부분은 다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생략된 내용이 배제된다거나 독립적으로 해석되어는 아니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상술한바와 같이, 상기 유로선택부(220)가 후방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몸체부(212)의 후방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체토출부(110)로부터 토출된 기체는 상기 제1 유로(230)를 통해서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212)는 전단부에 상기 몸체유입홀(212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유로선택부(220)는 후단부에 상기 유로선택유입홀(22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유로선택부(220)의 특정 위치에서 상기 몸체유입홀(2121)은 상기 몸체부(212)의 다른 부분에 마련되는 경우보다 상기 유로선택유입홀(221)과 최대한 이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선택부(220)의 특정 위치에서 상기 유로선택유입홀(221)은 상기 유로선택부(220)의 다른 부분에 마련되는 경우보다 상기 몸체유입홀(2121)과 최대한 이격 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로선택부(220)가 상기 몸체부(212)의 후방면에 접촉될 때, 상기 몸체유입홀(2121)과 상기 유로선택유입홀(221)은 거리가 최대한 이격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로선택유입홀(221)의 전방측 단부에서 상기 몸체부(212)의 전방측 단부까지의 거리는 최대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선택부(220)는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 유로(240)를 차폐시키면서 상기 제1 유로(230)를 개방시키는 경우, 상기 기체토출부(110)로부터 토출된 기체가 상기 제1 유로(230)로 통과될 수 있는 단면적을 확보시키는 것이 용이 할 수 있다.
상기 유로선택부(220)는 상기 제2 유로(240)를 차폐시키면서 상기 제1 유로(230)를 최대한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선택부(220)는 상기 제1 유로(230)를 최대한 개방시키면서 상기 몸체부(212) 내부로 최대한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212)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 유로(230)는 상기 제1 유로(230)로만 기체가 유동되어 외부로 배출될 때 기체가 유동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230)는 내부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 필터와 같은 별도의 구성품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유로(230)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선택부(220)는 상기 몸체부(212)와 결합력이 증대되어 사용자의 사용시 유로선택부(220)가 상기 몸체부(212)에서 이탈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유로로 기체가 유동되는 경우 유로선택부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7을 설명한다. 도 5에서 중복 설명한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상술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 모두를 생략하는 것은 아니고, 설명의 편의 및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해 일부분은 다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생략된 내용이 배제된다거나 독립적으로 해석되어는 아니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상술한바와 같이, 상기 유로선택부(220)는 전방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헤드부(211)의 내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체토출부(110)로부터 토출된 기체는 상기 제2 유로(240)를 통해서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12)는 전단부에 상기 몸체유입홀(212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유로선택부(220)는 후단부에 상기 유로선택유입홀(22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몸체유입홀(2121)은 상기 유로선택부(220)가 상기 몸체부(212)의 후방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전방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유로선택부(220)의 외면에 의해 차폐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유입홀(2121)은 상기 유로선택부(220)가 상기 몸체부(212) 내부에서 전방측으로 최대한 이동될 경우, 상기 유로선택유입홀(221)과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몸체유입홀(2121) 및 상기 유로선택유입홀(221)이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유입홀(2121)은 상기 유로선택부(220)가 상기 몸체부(212) 내부에서 전방측으로 최대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유로선택부(220)의 외면이 상기 헤드부(211)의 내면과 접촉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유로선택공간(213)으로 유입된 기체 중 일부는 상기 몸체유입홀(2121), 상기 유로선택유입홀(221)을 차례대로 통과하여 상기 제2 유로(240)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로(230)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 기체는 상기 몸체유입홀(2121), 상기 유로선택유입홀(221)을 차례대로 통과하여 상기 제2 유로(240)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로선택공간(213)으로 유입된 기체는 상기 제2 유로(240)를 따라서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몸체유입홀(2121)의 전방측으로 길이는 상기 유로선택유입홀(221)의 전방측 길이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로선택부(220)가 상기 헤드부(211)의 내면에 접촉되었을때, 상기 유로선택유입홀(221)이 마련된 상기 유로선택부(220)의 내면 및 상기 몸체유입홀(2121)이 마련된 상기 몸체부(212)의 내면이 연속된 일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유로선택유입홀(221)이 마련된 상기 유로선택부(220)의 내면 및 상기 몸체유입홀(2121)이 마련된 상기 몸체부(212)의 내면이 이루는 연속된 일면은 상기 유로선택공간(213)에 위치하는 기체가 상기 제2 유로(240)로 유입될 때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 유로(24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의 속도가 조절되는데 있어 상기 팬유닛(310)을 기동시키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외부케이스(210)는 상기 헤드부(211) 및 상기 몸체부(212)를 연결하는 연결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14)는 상기 몸체부(212)에서 상기 헤드부(211)로 연결되는 제1 연결부(21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214)는 상기 제1 연결부(2141)에서 후방측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 연결부(2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2142)는 상기 몸체부(212)에서 상기 헤드부(211)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연결부(2141) 및 상기 제2 연결부(2142)는 상기 몸체부(212)와 상기 헤드부(211)를 연결할 수 있다. 구조적 안전성을 위하여 상기 제1 연결부(2141) 및 상기 제 2 연결부(214)는 평평한 형상의 바(bar)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12)는 상기 제1 연결부(2141)와 상기 제2 연결부(2142) 사이에 상기 몸체부(212)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몸체유입홀(212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연결부(2141) 및 상기 제2 연결부(2142)가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212)는 상기 몸체부(212)의 둘레를 따라 상기 몸체부(212) 전체가 관통되어 마련되는 상기 몸체유입홀(21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몸체유입홀(2121)은 상기 제2 유로(240)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유로선택공간(213)에서 상기 제2 유로(240)로 유입되는 기체의 유입면적을 확보하기 용이하다.
상기 제1 연결부(2141)는 상기 몸체부(212)의 단부에서 상기 헤드부(211)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몸체유입홀(2121)은 상기 제1 연결부(2141)가 단부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몸체부(212)의 전방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몸체유입홀(2121)이 상기 몸체부(212)의 전방측에 마련된 효과는 상술한 바와 같고, 나아가 상기 몸체유입홀(2121)은 상기 제2 유로(240)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유로선택공간(213)에서 상기 제2 유로(240)로 유입되는 기체의 유입면적을 확보하기 용이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유로선택부(220)가 상기 몸체부(212)의 후방면에 접촉되었을 때 상기 유로선택유입홀(221)의 전방측 단부에서 상기 몸체부(212)의 전방측 단부까지의 길이는 이하 제1 길이(l)로 설명될 수 있다.
상기 제1 길이(l)는 상기 유로선택부(220)가 상기 헤드부(211)의 내면에 접촉되었을 때 상기 유로선택유입홀(221)의 전방측 단부에서 상기 유로선택부(220)와 상기 헤드부(211)의 접촉지점까지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선택부(220)가 상기 헤드부(211)의 내면에 접촉되었을 때, 상기 몸체부(212)의 전방측 단부에서 상기 유로선택부(220)가 상기 헤드부(211)의 내면에 접촉되는 지점까지의 길이는 이하 제2 길이로(d) 설명될 수 있다. 상기 제1 길이(l)는 상기 제2 길이(d)보다 짧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선택부(220)가 상기 헤드부(211)의 내면에 접촉되었을 때 상기 몸체유입홀(2121)의 후방측 단부에서 상기 유로선택부(220)가 상기 헤드부(211)의 내면에 접촉되는 지점까지의 길이는 이하 제3 길이(e)로 설명될 수 있다. 상기 제3 길이(e)는 상기 제1 길이(l)보다 짧게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제3 길이(e)는 상기 제1 길이(l) 및 상기 제2 길이(d) 보다 길게 마련되고, 상기 제1 길이(l)는 상기 제2 길이(d)보다 길게 마련되어 상기 유로선택부(220)는 상기 몸체부(212)의 내부에서 이동되어 상기 제1 유로(230) 또는 상기 제2 유로(240)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상기 기체토출부(110)에서 토출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술한 제1 길이(l), 제2 길이(d), 제3 길이(e)는 순서를 나타낸 것이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상기 헤드부(211)는 상기 본체부의 외벽과 결합되는 제1 헤드부(2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헤드부(2111)는 직경이 일정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 헤드부(2111) 내부는 상기 유로선택부(220)가 이동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헤드부(2111)는 전방측으로 직경이 감소될 경우보다 직경이 일정할 경우에 상기 유로선택부(220)가 이동되는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로(230)는 상기 유로선택부(220)의 외면과 상기 헤드부(211)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므로, 상기 제1 유로(230)는 상기 제1 헤드부(2111)가 직경이 일정하게 마련되어, 내부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헤드부(211)는 상기 유로선택부(220)의 이동공간이 충분히 확보되면서, 상기 제1 유로(230)의 내부 공간 활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도면에는 상기 제1 헤드부(2111)의 직경이 일정한 것으로 도시 되어 있으나, 상기 제1 유로(230) 내부 공간, 상기 유로선택부(220)의 형상 및 상기 제1 유로(230)를 통과하여 설정하고자하는 기체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제1 헤드부(2111)의 직경은 전방측으로 증가하거나 감소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헤드부(2111)의 직경이 일정한 것으로 제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상기 헤드부(211)는 상기 제1 헤드부(2111)에서 연장되는 제2 헤드부(2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헤드부(2112)는 전방측으로 직경이 감소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헤드부(2111)의 직경이 일정하게 마련될 경우 상기 유로선택부(220)가 전방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 헤드부(2112)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헤드부(2112)는 직경이 감소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체토출부(110)로부터 토출된 기체는 제2 헤드부(2112) 내부에 마련된 상기 제1 유로(230)를 통과할 때 상기 제1 유로(230)의 중심으로 유동이 집중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제1 유로(230)를 통과한 기체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모발을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헤드부(211)는 상기 제2 헤드부(2122)에서 연장되는 제3 헤드부(2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헤드부(2113)는 직경 감소비율이 상기 제2 헤드부(2112)의 직경감소비율보다 작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헤드부(2113)는 상기 제2 헤드부(2112)를 통과한 기체가 상기 제1 유로(230)의 중심으로 유동이 집중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헤드부(2113)는 상기 제2 유로(240)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보다 부드러운 특성을 가지는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제3 헤드부(2113)의 직경감소비율이 상기 제2 헤드부(2112)의 직경감소비율보다 작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3 헤드부(2113)의 직경감소비율이 상기 제2 헤드부(2112)의 직경감소비율보다 크게 마련된 경우보다 상기 헤드부(211)는 길이가 더 길게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유로(230)의 길이가 더 길게 마련되어 상기 제1 유로(230)의 내부공간은 사용자가 원하는 특성을 갖는 기체가 마련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선택부(220)는 상기 몸체부(212)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3 헤드부(2113)의 내면과 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로선택부(220)는 상기 몸체부(212)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 헤드부(2112) 또는 제3 헤드부(2113) 내면과 접촉되어 상기 제1 유로(230)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유로선택부(220)의 상기 헤드부(211)와의 접촉지점은 상기 헤드부(211)의 형상 및 크기, 상기 몸체부(212)의 형상 및 크기, 상기 유로선택부(220)의 형상 및 크기 등을 고려하여 상기 유로선택부(2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유로(230) 또는 상기 제2 유로(240)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기능이 발휘되도록 선택 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레이터와 본체부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8(a)는 상기 본체부(100) 내면을 바라보는 방향에서 상기 콘센트레이터(200)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며, 도 8(b)는 상기 콘센트레이터(200)의 외면을 바라보는 방향에서 콘센트레이터(200)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어이는 상기 콘센트레이터(200)가 상기 본체부(100)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00)는 기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상기 기체토출부(110)가 전방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콘센트레이터(200)는 상기 본체부(1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콘센트레이터(200)는 상기 기체토출부(110)로부터 토출된 기체를 전달받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센트레이터(200)는 상기 기체토출부(110)로부터 토출된 기체가 유동 가능한 유로가 내부에 마련되는 상기 헤드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211)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콘센트레이터(200)는 상기 헤드부(21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상기 몸체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12)는 상기 본체부(10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체토출부(110)는 상기 기체토출부(110)의 중앙에 마련되는 수용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12)는 상기 몸체부(212)가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말하자면,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중앙에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212)가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수용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12)는 상기 수용부(112)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211)의 외벽은 상기 본체부(100)의 외벽과 밀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몸체부(212)와 상기 수용부(112)는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콘센트레이터(200)의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다.
사용자의 사용시 상기 콘센트레이터(200)는 상기 본체부(100)에서 이탈되거나 흔들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12)의 전방측 단부는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측 단부와 동일한 위치에 마련되거나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측 단부보다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콘센트레이터(200)가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112)는 외부와의 접촉이 방지되어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콘센트레이터(200)는 상기 몸체부(212)가 상기 수용부(112)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부(112)는 상기 몸체부(212)가 수용되도록 전방면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112)는 후방면이 폐쇄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12)는 후방면이 상기 수용부(112)의 후방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수용부(112)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12)의 내면 전체에 상기 몸체부(212)의 외면이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몸체부(212)는 상기 수용부(112)와 접촉 면적이 최대한으로 확보되어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시 상기 헤어 드라이어(10)를 이동시키거나 흔드는 경우에도 상기 콘센트레이터(200)는 흔들림이 최대한 방지 될 수 있고 상기 본체부(100)에서의 이탈이 최대한 방지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헤어 드라이어(10) 사용시 상기 본체부(100)에서 상기 콘센트레이터(200)의 이탈이 방지되어 기온이 높은 기체에 의해 가열된 상기 콘센트레이터(200)에 의한 부상이 방지 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12)는 상기 본체부(100)와 대응되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의 내면은 상기 수용부(112)의 외면 사이에 기체가 토출되는 기체토출홀(111)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체토출홀(111)은 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 및 상기 수용부(112)는 대응되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기체토출홀(111)을 유동하는 기체의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몸체부(212)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수용부(11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12) 및 상기 수용부(112)는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212)의 외면이 상기 수용부(112)의 내면과 접촉되는 면적을 향상시켜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212)가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는 상기 몸체부(212)가 다각형으로 구비되는 경우보다 사용자가 상기 콘센트레이터(200)를 상기 본체부(100)에 부착시킬 때 사용자와 상기 몸체부(212)의 접촉에 의한 부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유로선택부(220)는 상기 몸체부(212)에 수용되는 부분이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유로선택부(220)는 상기 몸체부(212)에 수용되는 부분의 상기 몸체부(212)와의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선택부(220)는 상기 몸체부(212) 내부에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로선택부(220)는 상기 몸체부(212)와 강한 결합력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몸체부(212) 내부에서 이동이 용이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12)는 후방면이 폐쇄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12)는 후방면이 상기 수용부(112)의 후방면에 접촉되도록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용부(112)의 후방면과 상기 몸체부(212) 후방면 사이에 위치되는 기체에 의하여 상기 몸체부(212)는 상기 수용부(112)로의 삽입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112) 및 상기 몸체부(2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수용부(112)의 후방면과 상기 몸체부(212) 사이의 공간을 상기 수용부(112)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수용토출부(1121)가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몸체부(212)가 상기 수용부(112)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몸체부(212)와 상기 수용부(112)는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부(212)의 외면은 상기 수용부(112)의 내면과 접촉되면서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12)와 상기 몸체부(212)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는 상기 수용부(112) 외부로 배출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12)와 상기 몸체부(212)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는 상기 몸체부(212)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압축된 공기는 상기 몸체부(212)의 상기 수용부(112)로의 삽입을 제한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토출부(1121)는 상기 몸체부(212)가 상기 수용부(112)에 수용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부(112)를 관통하여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12)가 상기 수용부(112)에 삽입 결합될 때에는 상기 수용부(112)의 후방면과 상기 몸체부(212)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는 상기 수용토출부(1121)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12)와 상기 수용부(112)의 삽입 결합이 완료된 때에는 상기 수용토출부(1121)는 상기 몸체부(212)의 외면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헤어 드라이어(10)를 사용하더라도 상기 몸체부(212)의 외면은 상기 수용토출부(1121)를 통하여 상기 수용부(112) 내부로 기체의 유입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체토출홀(111)을 향하는 기체의 유동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난류 형성 등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수용부(112)는 상기 수용부(112)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길이가 길게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112)의 내면에 접촉되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면의 접촉면적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몸체부(212)의 후방면은 상기 수용부(112)의 후방면과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12)와 상기 몸체부(212)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는 상기 몸체부(212)의 삽입 부분이 적어 상기 몸체부(212)에 의한 압축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부(112) 또는 상기 몸체부(212)는 상기 수용토출부(1121)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수용부(112)와 상기 몸체부(212)의 결합 방식은 상기 수용부(112)의 직경 및 두께, 상기 몸체부(212)의 직경 및 두께 상기 기체토출부(110)에서 토출되는 기체의 유속 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수용부(112)의 후방면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12)는 후방면이 개방되면 상기 몸체부(212)가 상기 수용부(112)의 내부에서 후방으로 삽입 결합될 경우 별도의 스토퍼가 필요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211)의 외벽이 상기 본체부(100)의 외벽과 결합되어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12)의 후방면이 개방되면 상기 유로선택부(220)가 상기 몸체부(212) 사이에 별도의 공기배출홀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수용부(112) 후방면의 개폐 여부는 상기 몸체부(212)와 상기 수용부(112)의 결합 관계 및 사용 요건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기체토출부(110)는 상기 본체부(100) 내면과 상기 수용부(112) 사이에 마련되어 기체가 토출되는 기체토출홀(1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체토출홀(111)은 상기 수용부(112)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체토출홀(111)의 단면적은 상기 본체부(100)의 내면의 단면적과 상기 수용부(112)의 외경의 단면적 차이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기체토출부(110)의 길이는 상기 수용부(112)의 길이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부(112)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기체토출홀(111)로 토출되는 기체를 토출되기 전에 가속시킬 수 있다.
상기 수용부(112)는 기체가 토출되기 전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서 유동되는 단면적을 작게하여 기체의 유동이 상기 본체부(100)의 중심을 향해 굴곡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체의 유동이 분산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12)는 기체의 유동을 안정적으로 하여 상기 기체토출홀(111)로부터 토출된 기체가 상기 콘센트레이터(200)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콘센트레이터(200)는 상기 헤드부(211)와 상기 몸체부(212) 사이에 마련되는 기체유입홀(21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체유입홀(2131)은 상기 기체토출홀(111)로부터 토출된 기체가 상기 콘센트레이터(200) 내부로 유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체유입홀(2131)은 상기 몸체부(212)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체유입홀(2131)은 상기 기체토출홀(111)을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체유입홀(2131)은 상기 기체토출홀(111)로부터 유입되는 기체의 안정적인 유동 흐름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기체의 유동은 외부로 배출되기 직전까지 상기 본체부(110) 또는 상기 외부케이스(210)의 중심 방향으로 굴곡되는 것이 최대한 방지되어 기체의 유동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기체의 유동은 외부로 배출되기 직전까지 상기 본체부(100) 또는 상기 외부케이스(210)의 중심 방향으로 분산되는 것이 최대한 방지되어 기체의 유동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211)의 외벽은 상기 본체부(100)의 외벽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211)의 외면 및 상기 본체부(100)의 외면은 함께 연속된 일면을 이룰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헤드부(211)의 내면 및 상기 본체부(100)의 내면은 함께 연속된 일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헤드부(211)의 외벽은 상기 본체부(100)의 외벽과 결합되어 상기 헤드부(211)와 상기 본체부(100)가 결합되는 부분을 통하여 상기 기체토출홀(111)로부터 토출된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시킬 수 있다.
상기 헤드부(211)의 외면 및 상기 본체부(100)의 외면은 함께 연속된 일면을 이루어 상기 헤드부(211)의 외면 및 상기 본체부(100)의 외면은 상기 본체부(100)의 중심 반대방향 및 상기 상기 헤드부(211)의 중심 반대방향으로 돌출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시 상기 헤드부(211)의 외면 및 상기 본체부(100)의 외면은 파손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211)의 내면 및 상기 본체부(100)의 내면은 함께 연속된 일면을 이루어 상기 기체토출홀(111)에서 토출된 기체는 상기 기체유입홀(2131)로 유입될 시 유동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콘센트레이터(200)는 상기 헤드부(211) 및 상기 몸체부(212)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14)는 상기 수용부(112)의 외벽에 의해 전방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14)는 상기 수용부(112)의 외벽과 연결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14)는 평평한 형상의 바(bar)로 구비되어 상기 헤드부(211)에서 상기 몸체부(212)를 연결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연결부(214)는 상기 수용부(112)에 지지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사용시 상기 콘센트레이터(200)가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이탈되거나 흔들리는 것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214)는 상기 제1 연결부(2141) 및 상기 제2 연결부(2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 연결부(2141) 및 상기 제2 연결부(2142)는 동일한 형태의 평평한 형상의 바(bar)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12)의 외벽은 상기 제2 연결부(2142)에 접촉되어 지지 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케이스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9(a)는 콘센트레이터의 사시도이며, 도 9(b)는 외부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는 복 수개의 상기 연결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14)는 상기 몸체부(212)의 둘레를 따라 복 수개 구비되어 상기 헤드부(21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14)는 상기 몸체부(212) 및 상기 헤드부(211)를 연결하면서 상기 몸체부(212) 및 상기 헤드부(211)에 결합력과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14)가 복 수개 구비된다면, 상기 몸체부(212) 및 상기 헤드부(211)는 단 수의 상기 연결부(214)가 구비된 경우보다 결합력과 지지력이 증가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연결부(214)가 복 수개 구비된다면, 상기 연결부(214)가 단 수로 구비된 경우보다 상기 기체토출부(110)의 기체가 토출되는 단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14)의 개수는 상기 몸체부(212) 및 상기 헤드부(211)에 제공되는 결합력 및 지지력과 상기 기체토출부(110)의 기체가 토출되는 단면적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9(b)는 상기 연결부(214)가 상기 몸체부(212)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4개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일 실시례에 불과하며 제한해석 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상기 연결부(214)의 개수는 상기 몸체부(212)의 형상, 재질, 무게 및 크기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214)의 개수는 헤드부(211)의 형상, 재질, 무게 및 크기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체토출부(110)의 기체가 토출되는 단면적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선택부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0(a)는 유로선택부의 사시도이며, 도 10(b)는 유로선택부의 단면도이고 도 10(c)는 다른 측면에서 유로선택부의 단면도이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는 상기 유로선택부(220) 내부에 상기 제2 유로(240)를 형성하는 유로형성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선택부(220)는 상기 유로선택부(220)의 외관을 형성하는 유로선택프레임(2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선택부(220)는 상기 유로선택프레임(223) 중앙에 마련되는 상기 유로형성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형성부(222)는 상기 유로선택프레임(223) 내면과의 사이에 상기 제2 유로(24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240)는 상기 유로형성부(222) 외면과 상기 유로선택프레임(223) 내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240)의 기체 유동단면적은 상기 유로선택프레임(223)의 내경과 상기 유로형성부(222)의 외경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유로선택공간(213)에 유입되어 상기 제2 유로(240)로 유입되는 기체는 상기 유로형성부(222)에 의해 기체 유동면적이 급격히 증가되는 것이 방지되어 기체의 유동이 불안정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기체의 난류 형성 및 역류 형성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유로선택프레임(223)은 일정한 직경을 가지며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제1 유로선택프레임(22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선택프레임(2231)의 전방측 길이는 상기 제1 유로선택프레임(2231)의 상기 몸체부(212)의 내면과의 접촉지점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유로선택프레임(223)은 상기 제1 유로선택프레임(2231)으로부터 돌출되어 전방측으로 직경이 감소되도록 마련되는 제2 유로선택프레임(22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선택프레임(2232)은 기체의 유동 단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유로선택프레임(223)은 상기 제2 유로선택프레임(2232)으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직경이 일정하게 마련되는 제3 유로선택프레임(22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유로선택프레임(2233)은 상기 제2 유로선택프레임(2232)을 통과하여 집중된 기체가 일정한 유동단면적을 갖는 유로에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24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는 단면적이 좁은 유로를 통과하며 상기 제2 유로(240)의 중심으로 유동이 집중될 수 있어 세기가 강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세기가 강한 바람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유로(230)에서 기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단면적은 상기 제2 유로(240)에서 기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단면적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 유로(240)를 통해 배출되는 기체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제1 유로(230)를 통해 배출되는 기체보다 세기가 강한 기체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세기가 강한 기체를 이용할 수 있어 모발이 젖은 상태에서 건조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유로선택프레임(2233)은 상기 제1 유로선택프레임(2231)보다 전방측 길이가 길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유로선택프레임(2233)은 상기 제2 유로선택프레임(2232)보다 전방측 길이가 길게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 유로선택프레임(2231) 및 상기 제2 유로선택프레임(2232)을 통과하며 상기 제2 유로(240)의 중심방향으로 집중된 기체는 상기 제3 유로선택프레임(2233)에서 더 집중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세기가 강한 기체를 이용할 수 있어 모발이 젖은 상태에서 건조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유로형성부(222)는 상기 유로선택프레임(22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로형성부(222)는 상기 제1 유로선택프레임(2231)의 내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직경이 동일하게 마련되는 제1 유로형성부(22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형성부(222)는 상기 제2 유로선택프레임(2232)의 내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직경이 감소되도록 마련되는 제2 유로형성부(2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선택프레임(2231)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1 유로형성부(2221)가 이격된 거리는 상기 제2 유로선택프레임(2232)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2 유로형성부(2222)가 이격된 거리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3 유로선택프레임(2233)으로 기체가 유입되기 전까지 상기 제2 유로(240)로 유입된 기체는 동일한 유동단면적을 가지는 유로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240)의 일정구간은 기체의 유동단면적이 일정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2 유로(240)의 일정구간을 통과하는 기체의 유동을 안정되도록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유로선택부(220)가 상기 몸체부(212)의 후방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몸체부(212)의 내부에서 후방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제3 유로선택프레임(2233)의 전방측 단부는 상기 헤드부(211)의 전방측 단부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헤드부(21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상기 제1 유로(23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유로선택부(220)는 외부로 돌출이 방지되어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선택부(220)가 상기 몸체부(212)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제3 유로선택프레임(2233)의 전방측 단부는 상기 헤드부(211)의 전방측 단부보다 외부로 돌출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제3 유로선택프레임(2233)을 손으로 누르거나 압력을 가하여 상기 유로선택부(220)를 상기 몸체부(212) 내부에서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용이하게 상기 유로선택부(220)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는 복 수개의 상기 유로선택연결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선택연결부(224)는 상기 유로형성부(222)의 둘레를 따라 복 수개 구비되어 상기 헤드부(21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로선택연결부(224)는 상기 유로선택프레임(223) 및 상기 유로형성부(222)를 연결하면서 상기 유로선택프레임(223) 및 상기 유로형성부(222)에 결합력과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로선택연결부(224)가 복 수개 구비된다면, 상기 유로선택프레임(223) 및 상기 유로형성부(222)는 단 수의 상기 유로선택연결부(224)가 구비된 경우보다 결합력과 지지력이 증가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유로선택연결부(224)가 복 수개 구비된다면, 상기 유로선택연결부(224)가 단 수로 구비된 경우보다 상기 제2 유로(240)를 따라 유동되는 기체의 단면적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유로선택연결부(224)의 개수는 상기 유로선택프레임(223) 및 상기 유로형성부(222)에 제공되는 결합력 및 상기 제2 유로(240)를 따라 유동되는 기체의 단면적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10(b)는 상기 유로선택연결부(224)가 상기 유로형성부(222)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4개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일 실시례에 불과하며 제한해석 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상기 유로선택연결부(224)의 개수는 상기 유로형성부(222)의 형상, 재질, 무게 및 크기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선택연결부(224)의 개수는 유로선택프레임(223)의 형상, 재질, 무게 및 크기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유로(240)를 따라 유동되는 기체의 단면적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유로배출홀 및 제2 유로배출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는 제1 유로배출홀(231) 및 제2 유로배출홀(241)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유로(230)는 상기 기체토출부(110)로부터 토출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1 유로배출홀(2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240)는 상기 기체토출부(110)로부터 토출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 유로배출홀(2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배출홀(231)의 단면적은 상기 제2 유로배출홀(241)의 단면적과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유로(23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는 상기 제1 유로배출홀(231)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특성이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유로(24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는 상기 제2 유로배출홀(241)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특성이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배출홀(231)의 형상 및 크기는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의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 인자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배출홀(241)의 형상 및 크기는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의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 인자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배출홀(231)의 단면적은 상기 제2 유로배출홀(241)의 단면적이 상이 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유로(2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와 상기 제2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는 특성이 달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배출홀(231)은 상기 제2 유로배출홀(241)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배출홀(231)의 단면적은 상기 제2 유로배출홀(241)의 단면적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배출홀(231)은 상기 제2 유로배출홀(241)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므로 상기 제1 유로배출홀(231)의 단면적을 상기 제2 유로배출홀(241)의 단면적보다 크게 마련되는 것이 제작에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배출홀(231)의 단면적은 상기 제2 유로배출홀(241)의 단면적보다 크게 구비되어 상기 제1 유로배출홀(23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는 상기 제2 유로배출홀(24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보다 유속이 느리게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1 유로배출홀(23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를 사용할 경우에는 부드러운 촉감을 느낄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2 유로배출홀(24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를 사용할 경우에는 강한 촉감을 느낄 수 있다.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유로선택부(220)를 이동시켜 상기 기체토출부(110)로부터 토출된 기체가 유동되는 유로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1 유로배출홀(23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를 사용할 경우 상기 제2 유로배출홀(24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를 사용할 경우보다 모발이 젖은 상태에서 서서히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모발을 사용자가 원하는 모양으로 스타일링 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2 유로배출홀(24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를 사용할 경우 상기 제1 유로배출홀(23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를 사용할 경우보다 모발이 젖은 상태에서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외부케이스(210)는 상기 외부케이스(210)의 전방측 단부에 제1 가이드부(215)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215)는 복 수가 상기 제1 유로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215)는 상기 제1 유로배출홀(2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의 유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230)에 유동되는 기체는 상기 제1 가이드부(215) 사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215)는 상기 제1 유로배출홀(2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유동의 상기 제1 유로배출홀(231)의 중심을 향하는 유동의 굴곡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배출홀(2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유동의 분산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제1 가이드부(215)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보다 상기 제1 가이드부(215)가 구비되어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특성을 갖는 기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부(215)는 나선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나선형으로 구비되어 상술한 상기 제1 가이드부(215)를 구비하여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본체부 110: 기체토출부
111: 기체토출홀 112: 수용부
1121: 수용토출부 120: 온도조절유닛
200: 콘센트레이터 210: 외부케이스
211: 헤드부
212: 몸체부 2121: 몸체유입홀
213: 유로선택공간
2131: 기체유입홀
214: 연결부 2141: 제1 연결부
2142: 제2 연결부
215: 제1 가이드부
220: 유로선택부 221: 유로선택유입홀
222: 유로형성부
230: 제1 유로 231: 제1 유로배출홀
240: 제2 유로 241: 제2 유로배출홀
310: 팬유닛 330: 기체유입부
300: 손잡이부

Claims (16)

  1. 기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기체토출부가 전방측에 마련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본체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기체토출부로부터 토출된 기체를 전달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콘센트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레이터는,
    상기 콘센트레이터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기체토출부로부터 토출된 기체가 유동되는 제1 유로 및 제2 유로가 내부에 마련되는 외부케이스; 및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에서 위치가 가변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외부케이스와의 사이에 상기 제1 유로가 마련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2 유로가 마련되는 유로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레이터는 상기 유로선택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기체토출부로부터 토출된 기체가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헤어 드라이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본체부의 외벽과 결합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마련되며 상기 유로선택부가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몸체부와의 사이에 상기 기체토출부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유로선택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기체토출부로부터 토출된 기체가 상기 유로선택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제1 유로 또는 상기 제2 유로로 유동되는 헤어드라이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유로선택공간을 마주보는 몸체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유로선택부는 상기 몸체부 내부에서 위치가 가변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 유로와 연통되는 유로선택유입홀이 마련되며,
    상기 유로선택유입홀이 상기 몸체유입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유로선택부가 위치되면, 상기 유로선택공간의 기체가 상기 몸체유입홀 및 상기 유로선택유입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2 유로로 유입되는 헤어 드라이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선택부는 상기 몸체부 내부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고 나머지를 차폐하도록 마련되는 헤어 드라이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헤드부의 중앙에서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헤드부는 내부에 상기 유로선택부가 이동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헤어 드라이어.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선택부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유로선택유입홀과 상기 몸체유입홀이 연통됨으로써 상기 제2 유로가 개방되고, 상기 제2 유로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의 내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1 유로가 차폐되도록 마련되는 헤어 드라이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선택부는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유로선택유입홀이 상기 몸체유입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됨으로써 상기 제2 유로가 차폐되고, 상기 제2 유로가 차폐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의 상기 내면과 이격되어 상기 제1 유로가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헤어 드라이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전단부에 상기 몸체유입홀이 마련되고,
    상기 유로선택부는 후단부에 상기 유로선택유입홀이 마련되며,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후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전단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의 상기 내면과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헤어 드라이어.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헤드부로 연장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에서 후방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헤드부로 연장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유입홀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에서 상기 몸체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헤어 드라이어.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벽과 결합되는 제1 헤드부; 및
    상기 제1 헤드부에서 연장되어 직경이 감소되도록 마련되는 제2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헤드부는 직경이 일정하게 마련되어 내부에 상기 유로선택부가 이동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헤어 드라이어.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제2 헤드부에서 연장되어 직경이 감소되도록 마련되는 제3 헤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헤드부의 직경 감소비율이 상기 제2 헤드부의 직경 감소비율보다 작도록 마련되는 헤어 드라이어.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기체토출부로부터 토출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1 유로배출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기체토출부로부터 토출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 유로배출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로배출홀의 단면적은 상기 제2 유로배출홀의 단면적과 상이하게 마련되는 헤어 드라이어.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배출홀은 상기 제2 유로배출홀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유로배출홀의 단면적이 상기 제2 유로배출홀의 단면적보다 크게 마련되는 헤어 드라이어.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전방측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유로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유로배출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제1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로에 유동되는 기체는 상기 제1 가이드부 사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헤어 드라이어.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선택부는,
    상기 유로선택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유로선택프레임; 및
    상기 유로선택프레임 중앙에 마련되어 상기 유로선택프레임 내면과의 사이에 상기 제2 유로가 형성되는 유로형성부;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1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중앙에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가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몸체부가 상기 수용부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헤드부의 외벽은 상기 본체부의 외벽과 밀착되도록 마련되는 헤어 드라이어.
KR1020200058884A 2020-05-18 2020-05-18 헤어 드라이어 KR102370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884A KR102370985B1 (ko) 2020-05-18 2020-05-18 헤어 드라이어
US17/098,607 US11937680B2 (en) 2020-05-18 2020-11-16 Concentrator and hair dryer including concentrator
PCT/KR2021/000383 WO2021235646A1 (ko) 2020-05-18 2021-01-12 헤어 드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884A KR102370985B1 (ko) 2020-05-18 2020-05-18 헤어 드라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270A true KR20210142270A (ko) 2021-11-25
KR102370985B1 KR102370985B1 (ko) 2022-03-07

Family

ID=78513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884A KR102370985B1 (ko) 2020-05-18 2020-05-18 헤어 드라이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37680B2 (ko)
KR (1) KR102370985B1 (ko)
WO (1) WO20212356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985B1 (ko) 2020-05-18 2022-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어 드라이어
KR102370984B1 (ko) * 2020-05-18 2022-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어 드라이어
USD1021238S1 (en) 2022-06-02 2024-04-02 Sharkninja Operating Llc Hair care applian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12781B2 (en) * 2002-07-10 2008-08-19 Wella Ag Device for a hot air shower
JP2012019865A (ja) * 2010-07-13 2012-02-02 Sanyo Electric Co Ltd ヘアードライヤー
KR20160021862A (ko) * 2013-07-24 2016-02-26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휴대용 기구를 위한 어태치먼트
KR101934536B1 (ko) * 2018-06-19 2019-01-02 박지용 원적외선과 근적외선의 방사 및 온도 조절이 가능한 헤어 드라이어
KR20190004889A (ko) * 2017-07-05 2019-01-15 유닉스전자주식회사 풍속 변환 장치 및 헤어 드라이어
KR20190017075A (ko) * 2012-07-04 2019-02-19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휴대용 가전 제품을 위한 부착물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74789A (en) 1964-09-18 1968-03-26 Weber Dental Mfg Company Dental syringe with novel nozzle tip
JP2531800Y2 (ja) 1991-05-23 1997-04-09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ヘアードライヤ
WO1994023611A1 (en) * 1993-04-16 1994-10-27 Beautronix (Hong Kong) Limited Hairdryers
FR2817450B1 (fr) * 2000-12-06 2003-02-14 Seb Sa Seche-cheveux a dispositif de variation de la section de sortie du flux d'air
US6739071B2 (en) * 2002-03-01 2004-05-25 Andis Company Combined diffuser and concentrator for a hair dryer
USD638579S1 (en) 2010-12-10 2011-05-24 Damian Alarcon Hair dryer assembly
GB201211253D0 (en) 2012-06-25 2012-08-08 Jemella Ltd Hair dryer
GB2503687B (en) 2012-07-04 2018-02-21 Dyson Technology Ltd An attachment for a hand held appliance
ITRM20130166A1 (it) 2013-03-18 2014-09-19 Claudio Soresina Bocchetta per asciugacapelli.
GB2515815B (en) 2013-07-05 2015-12-02 Dyson Technology Ltd A hand held appliance
GB2534378B (en) 2015-01-21 2018-07-25 Dyson Technology Ltd An attachment for a hand held appliance
KR102370985B1 (ko) 2020-05-18 2022-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어 드라이어
KR102370984B1 (ko) 2020-05-18 2022-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어 드라이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12781B2 (en) * 2002-07-10 2008-08-19 Wella Ag Device for a hot air shower
JP2012019865A (ja) * 2010-07-13 2012-02-02 Sanyo Electric Co Ltd ヘアードライヤー
KR20190017075A (ko) * 2012-07-04 2019-02-19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휴대용 가전 제품을 위한 부착물
KR20160021862A (ko) * 2013-07-24 2016-02-26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휴대용 기구를 위한 어태치먼트
KR20190004889A (ko) * 2017-07-05 2019-01-15 유닉스전자주식회사 풍속 변환 장치 및 헤어 드라이어
KR101934536B1 (ko) * 2018-06-19 2019-01-02 박지용 원적외선과 근적외선의 방사 및 온도 조절이 가능한 헤어 드라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0985B1 (ko) 2022-03-07
US11937680B2 (en) 2024-03-26
WO2021235646A1 (ko) 2021-11-25
US20210353031A1 (en)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0985B1 (ko) 헤어 드라이어
KR102370984B1 (ko) 헤어 드라이어
KR102364692B1 (ko) 헤어드라이어
KR101932158B1 (ko) 헤어 드라이기
JP6335171B2 (ja) コンセントレータ
US7093376B2 (en) Hair drying and shaping system
JP4091913B2 (ja) 選択的に連結されたヘアドライヤー装置
US20240065411A1 (en) Hair styling appliance
US5842286A (en) Multi-functional hand-held hair dryer
US20240099441A1 (en) Haircare appliance
WO2011113193A1 (en) Accessory for hair treatment device
US6408533B2 (en) Hair dryer
WO2022162340A1 (en) A haircare appliance
US11510471B2 (en) Hair dryer assembly having hair receiving channel
US20240081505A1 (en) Haircare appliance
US20240115027A1 (en) Haircare appliance
KR20160145333A (ko) 참빗 헤어드라이기
GB2603174A (en) A haircare appliance
US5983517A (en) Hair drying and styling appliance
GB2603177A (en) A haircare appliance
WO2016051235A1 (en) Hair drying device with integrated spray mechanism
KR102537196B1 (ko) 헤어 드라이어
US20240057738A1 (en) Hair styling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