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1465A - 통합 다단 여과 시스템을 갖는 원형 톱 장치 - Google Patents

통합 다단 여과 시스템을 갖는 원형 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1465A
KR20210141465A KR1020217027554A KR20217027554A KR20210141465A KR 20210141465 A KR20210141465 A KR 20210141465A KR 1020217027554 A KR1020217027554 A KR 1020217027554A KR 20217027554 A KR20217027554 A KR 20217027554A KR 20210141465 A KR20210141465 A KR 20210141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filter
stage
negative pressure
sh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7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 더블유. 구스
Original Assignee
제이피엘 글로벌,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6/364,070 external-priority patent/US20190217404A1/en
Application filed by 제이피엘 글로벌, 엘엘씨 filed Critical 제이피엘 글로벌,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10141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14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6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5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iltering elements moving during filtering operation
    • B01D46/00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iltering elements moving during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tion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40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shape or structure of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6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rot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B01D50/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2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5/00 and B01D46/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 B28D1/047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with the work mounted on a carr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removing or lay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cooling work

Landscapes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met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Saw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Cyclones (AREA)

Abstract

다양한 집진 장치가 개시된다. 제1 예에서, 집진 장치는 부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진공 소스, 및 부압에 의해 드로잉되는 부유진을 수집하도록 구성되는 다단 필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의 경우, 집진 장치는 공유 먼지 격납 영역을 갖는 먼지 트레이를 포함하며 여기서 공유 먼지 격납 영역은 다단 필터의 복수의 스테이지들 각각으로부터 직접 다단 필터에 의해 수집되는 부유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단일 구획이다. 다른 예에서, 집진 장치는 필터, 필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필터 하우징, 및 필터 하우징에 결합되는 유입구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의 경우, 유입구는 부압에 의해 드로잉되는 부유진의 흐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필터 상의 부유진의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더 구성된다.

Description

통합 다단 여과 시스템을 갖는 원형 톱 장치
관련 출원들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CIRCULAR SAW APPARATUS WITH INTEGRATED MULTISTAGE FILTRATION SYSTEM"이고 2019년 3월 25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일련 번호 16/364,070에 대한 우선권 및 이익을 주장하며, 이는 발명의 명칭이 "CIRCULAR SAW APPARATUS WITH INTEGRATED MULTISTAGE FILTRATION SYSTEM"이고 2019년 2월 11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일련 번호 16/273,058의 일부 계속 출원이며, 이는 발명의 명칭이 "CIRCULAR SAW APPARATUS WITH INTEGRATED MULTISTAGE FILTRATION SYSTEM"이고 2016년 8월 31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일련 번호 15/253,865의 분할 출원이며, 이는 발명의 명칭이 "CIRCULAR SAW APPARATUS WITH INTEGRATED MULTISTAGE FILTRATION SYSTEM"이고 2015년 8월 3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일련 번호 62/212,372의 이익을 주장한다. 상기 출원들 각각의 전체 내용들은 참조로 본원에 통합된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집진(dust collection)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단 여과 시스템을 통해 원형 톱(circular saw) 장치 내에서 집진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종래의 전기 톱들(power saws)을 사용할 때, 공작물의 절단에서 기인하는 부유진(airborne dust) 및 미립자 물질의 방출은 문제가 있다. 그러한 먼지에서 호흡과 연관되는 건강 위험들은 특히 문제가 있다. 습식 절단 디바이스들의 개발은 먼지 저감에 대한 하나의 솔루션이며, 여기서 물은 먼지가 유체에 동반되고 유지 영역(holding area)으로 지향되는 블레이드 절단 에지에 공급된다. 대부분의 습식 절단 방법은 상대적으로 잘 작동하지만, 그들은 폐수 오염 및 환경 문제의 추가적인 문제를 생성한다. 종래의 석공 및 타일 톱들은, 예를 들어, 전형적으로 물을 절단 헤드에 공급하는 펌프를 갖는 물의 튜브 또는 팬(pan)을 갖는다. 톱이 절단하는 동안, 물은 톱 절단 영역 주위에 분무 및 분산된다. 따라서, 이러한 물이 떨어지고, 분무되고, 잠재적으로 쏟아질 수 있기 때문에, 전기 톱은 실제 석공 및/또는 타일 설치가 발생하고 있는 곳에 매우 근접하여 배치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기 톱과 설치 영역 사이에서 이리저리 왔다갔다 하는데 상당한 양의 시간을 소비한다.
따라서, 먼지가 환경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건식 동작 전기 톱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술한 결점들은 단지 종래 시스템들의 문제들 중 일부의 개요를 제공하도록 의도되고, 총망라한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본 기술 분야의 상태 및 다양한 비-제한 실시예 중 일부의 대응하는 이점들과 관련된 다른 문제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의 검토 시에 더욱 명백해질 수 있다.
단순화된 요약은 보다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을 따르는 예시적, 비-제한적 실시예들의 다양한 양태의 기본적인 또는 일반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돕기 위해 본원에 제공된다. 그러나, 이러한 요약은 광범위한 또는 총망라한 개요로서 의도되지 않는다. 대신에, 이러한 요약의 유일한 목적은 일부 예시적 비-제한 실시예와 관련된 일부 개념을 이어지는 다양한 실시예의 보다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곡(prelude)으로서 단순화된 형태로 제시하는 것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 및 대응하는 개시에 따라, 다양한 비-제한적 양태가 집진 시스템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하나의 그러한 양태에서, 집진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그러한 실시예 내에서, 장치는 진공 소스, 원형 톱 블레이드, 및 원형 톱 블레이드에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중앙 슬롯을 포함하는 작업대를 포함한다. 여기서, 중앙 슬롯은 원형 톱 블레이드와 공작물 사이의 예상 접촉 포인트에 근접한 공기 흐름 채널을 포함한다. 그 다음, 진공 소스는 공기 흐름 채널을 통해 작업대 아래에 집속된(focused) 부압(negative pressure)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추가 양태에서, 집진을 용이하게 하는 다른 장치가 개시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장치는 진공 소스 및 다단 필터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장치는 원형 톱 블레이드 및 원형 톱 블레이드에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중앙 슬롯을 포함하는 작업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진공 소스는 중앙 슬롯에서 작업대 아래에 부압(negative pressure)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다단 필터는 중앙 슬롯에 근접한 영역으로부터 부압에 의해 드로잉되는 부유진(airborne dust)을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더 다른 양태에서, 집진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가 개시되며, 이는 진공 소스, 원형 톱 블레이드, 및 작업대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를 위해, 작업대는 원형 톱 블레이드에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중앙 슬롯을 포함하고, 진공 소스는 중앙 슬롯에서 작업대 아래에 제1 부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 다음, 진공 소스는 보조 포트를 통해 제2 부압을 제공하도록 더 구성된다.
다른 양태에서, 집진 장치가 개시되며, 이는 부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진공 소스, 및 부압에 의해 드로잉되는 부유진을 수집하도록 구성되는 다단(multistage) 필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를 위해, 집진 장치는 공유 먼지 격납 영역(containment area)을 갖는 먼지 트레이를 포함하며 여기서 공유 먼지 격납 영역은 다단 필터의 복수의 스테이지 각각으로부터 직접 다단 필터에 의해 수집되는 부유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단일 구획(single compartment)이다.
추가 양태에 있어서, 집진 장치가 개시되며, 이는 필터, 필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필터 하우징, 및 필터 하우징에 결합되는 유입구(inlet)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를 위해, 유입구는 부압에 의해 드로잉되는 부유진의 흐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필터 상의 부유진의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더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들 및 다양한 비-제한적 예들, 시나리오들 및 구현예들은 아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다양한 비-제한적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설명되며 여기서: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다단 여과 시스템을 통해 부유진을 제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통합 다단 여과 시스템을 갖는 예시적 장치의 개략적인 제1 뷰이고;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통합 다단 여과 시스템을 갖는 예시적 장치의 개략적인 제2 뷰이고;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통합 다단 여과 시스템 및 블레이드 가드 진공 유입구를 갖는 예시적 장치의 개략적인 제1 뷰이고;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통합 다단 여과 시스템 및 블레이드 가드 진공 유입구를 갖는 예시적 장치의 개략적인 제2 뷰이고;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통합 다단 여과 시스템 및 블레이드 가드 진공 유입구를 갖는 예시적 장치의 개략적인 제3 뷰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통합 다단 여과 시스템을 갖는 장치의 예시적 사용의 시간 경과(time lapse)를 예시하고;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통합 다단 여과 시스템을 갖는 장치 내의 예시적 먼지 경로의 제1 뷰를 예시하고;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통합 다단 여과 시스템을 갖는 장치 내의 예시적 먼저 경로의 제2 뷰를 예시하고;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통합 연장부들(extensions)을 갖는 예시적 장치의 개략적인 제1 뷰이고;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통합 연장부들을 갖는 예시적 장치의 개략적인 제2 뷰이고;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예시적 절단 톱(chop saw) 구성의 개략적인 제1 뷰이고;
도 15는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예시적 절단 톱 구성의 개략적인 제2 뷰이고;
도 16은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예시적 테이블 톱 구성의 개략적인 제1 뷰이고;
도 17은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예시적 테이블 톱 구성의 개략적인 제2 뷰이고;
도 18은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블레이드 냉각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19는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블레이드 냉각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 장치의 상면도이고;
도 20은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블레이드 냉각을 용이하게 하는 루버들(louvers)을 갖는 예시적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1은 예시적 루버 인서트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예시적 루버 인서트(insert)의 다양한 양태를 예시하고;
도 22는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예시적 블레이드 스테빌라이저(stabilizer)의 개략도이고;
도 23은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예시적 먼지 트레이(dust tray)의 개략도이고;
도 24는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먼지 트레이 상의 예시적 비폐쇄 먼지 격납 백의 개략도이고;
도 25는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먼지 트레이 상의 예시적 비폐쇄 먼지 격납 백의 측면도이고;
도 26은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먼지 트레이 상의 예시적 폐쇄 먼지 격납 백의 개략도이고;
도 27은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장치에 삽입되는 비폐쇄 먼지 격납 백을 갖는 예시적 제거가능 먼지 트레이의 개략도이고;
도 28은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폐쇄 먼지 격납 백을 갖는 장치에 삽입되는 예시적 제거가능 먼지 트레이의 개략도이고;
도 29는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장치로부터 제거되는 예시적 제거가능 먼지 트레이의 개략도이고;
도 30은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블레이드 가드 먼지의 예시적 전환 경로(diverted path)의 개략도이고;
도 31은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공유 먼지 격납 영역에서 다단 여과 시스템에 의해 수집되는 부유진을 저장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2는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공유 먼지 격납 영역에 결합되는 예시적 다단 여과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33은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폐쇄된 이동가능 배리어들(barriers)을 갖는 예시적 다단 여과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34는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개방된 이동가능 배리어들을 갖는 예시적 다단 여과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35는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공유 먼지 구획을 갖는 예시적 먼지 트레이의 개략도이고;
도 36은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동작 동안 공유 먼지 구획을 갖는 제거가능 먼지 트레이와 결합되는 예시적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37은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동작 후에 공유 먼지 구획을 갖는 제거가능 먼지 트레이와 결합되는 예시적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38은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제1 예시적 필터 보호 설계의 개략도이고;
도 39는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제2 예시적 필터 보호 설계의 개략도이다.
본원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다단 여과 시스템을 통한 원형 톱 장치 내의 집진에 관한 것이다. 도 1에서,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통합 다단 여과 시스템을 갖는 예시적 장치의 블록도가 제공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장치(100)는 하우징(110), 작업대(120), 및 원형 톱 블레이드(130)를 포함하며, 여기서 하우징(110)은 진공 소스(112) 및 다단 필터(114)를 더 포함한다. 나머지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작업대(120)는 원형 톱 블레이드(130)에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중앙 슬롯을 포함할 것이라는 점이 고려된다. 사용 동안, 진공 소스(112)는 그 다음에 중앙 슬롯에서 작업대(120) 아래에 부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반면, 다단 필터(114)는 중앙 슬롯에 근접한 영역으로부터 부압에 의해 드로잉되는 부유진을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장치(100)의 다양한 구성들이 본원에 고려되고 개시된다. 예를 들어, 제1 고려된 구성에서, 작업대(120)는 하우징(110) 위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10 참조). 이러한 특정 실시예를 위해, 중앙 슬롯에서 작업대(120) 아래에 부합을 제공하는 것에 더하여, 진공 소스(112)는 또한 원형 톱 블레이드(130)의 블레이드 가드 내의 영역에 부압을 제공한다. 여기서, 예시된 바와 같이, 다단 필터(114)는 그 다음에 작업대(120)의 중앙 슬롯에 근접한 먼지에 더하여, 원형 톱 블레이드(130)의 블레이드 가드 내로부터 드로잉되는 부유진을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장치(100)의 절단 톱(chop saw) 구성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도 14 내지 도 15 참조). 이러한 실시예를 위해, 작업대(120)는 고정되고 원형 톱 블레이드(130)는 회전가능 아암에 결합된다. 사용 동안, 회전가능 아암은 공작물 상으로 하강되며, 여기서 작업대(120)의 중앙 슬롯에 근접한 먼지는 다시 진공 소스(112)에 의해 제공되는 부압에 의해 다단 필터(114)를 향해 드로잉된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서, 테이블 톱 구성이 또한 고려된다. (예를 들어, 도 16 내지 도 17 참조). 그러한 실시예 내에서, 원형 톱 블레이드(130)는 하우징(110)으로부터 그리고 작업대(120)의 중앙 슬롯을 통해 돌출한다. 사용 동안, 공작물은 원형 톱 블레이드(130)에 대해 푸시되며, 여기서 작업대(120)의 중앙 슬롯에 근접한 먼지는 다시 진공 소스(112)에 의해 제공되는 부압에 의해 다단 필터(114)를 향해 드로잉된다.
예시적 슬라이딩 테이블 실시예
작업대가 슬라이딩 테이블인 개시된 톱 장치에 대한 예시적 실시예들이 이제 더 상세히 논의된다. 도 2 및 도 3에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른 그러한 장치의 제1 및 제2 개략도들이 각각 제공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톱 장치(200)는 작업대(220)에 결합되는 하우징(210) 및 원형 톱 블레이드(230)를 포함하며, 여기서 작업대(220)는 레일들(222)을 통해 하우징(210) 위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를 위해, 작업대(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톱 블레이드(230)와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중앙 슬롯(226) 내에서 서로 전략적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루버(louver)(224)에 의해 이등분된다. 더욱이, 원형 톱 블레이드(230)는 톱 모터(234)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고, 아암(236)을 통해 하우징(210)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안전을 위해, 블레이드 가드(232)가 또한 포함될 수 있다.
하우징(210)에 대해, 다단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그러한 다단 필터는 사이클론 필터(cyclonic filter)(216)에 결합되는 회전가능 필터(217)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가능 필터(217)에 부착되는 진공 소스(212)는 그 다음에 회전가능 필터(217) 및 사이클론 필터(216)를 통해 공기 흐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사용 동안, 작업대(220)가 하우징(210) 위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이러한 공기 흐름은 중앙 슬롯(226) 바로 아래에 부압을 제공하며, 여기서 중앙 슬롯(226)에 근접한 먼지는 필터들을 향하여 루버(224)를 통해 드로잉되고 그 후에 먼지 용기(213)로 수집된다.
본 개시의 양태에서, 중앙 슬롯(226) 아래의 흡입력은 루버들(224)이 막히는 경우 감소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실제로, 상당한 수의 루버(224)가 (예를 들어, 큰 공작물에 의해) 막히면, 그러한 가로막힘(obstruction)은 먼지를 수집하기에 부적절한 양의 흡입력을 야기할 수 있다. 그 결과, 먼지는 바람직하지 않게 중앙 슬롯(226) 아래로 드로잉되기 보다는, 작업대 위에 남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도 4 내지 도 6의 구성이 고려되며, 여기서 진공 소스(212)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 흐름은 블레이드 가드(232) 내의 영역으로 더 연장된다. 특히, 도관(conduit)(235)의 일 단부는 블레이드 가드(232) 상의 진공 유입구(233)로 삽입되는 반면, 도관(235)의 다른 단부는 하우징(210) 상의 진공 포트(218)에 연결된다. 그러한 실시예 내에서, 중앙 슬롯(226) 아래에 부적절한 양의 흡입력이 있는 경우, 먼지는 그 다음에 블레이드 가드(232) 내로부터 진공 유입구(233)를 향하여 위로 드로잉되며 여기서 그것은 그 다음에 도관(235)을 통해 그리고 그 후에 하우징(210) 내의 필터들을 통해 이동한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장치(200)의 예시적 사용을 예시하는 시간 경과(time lapse)가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라 제공된다. 특히, 도 7은 t = to에서 장치(200)의 단면을 도시하고, 도 8은 t = t1에서 장치(200)의 단면을 도시하고, 도 9는 t = t2에서 장치(200)의 단면을 도시하며, 여기서 t0 <t1<t2이다. 예시된 바와 같이, t = to에서, 블록(270)은 원형 톱 블레이드(230)로부터 멀리 작업대(220) 상에 배치된다. t = t1에서, 작업대(220)는 원형 톱 블레이드(230)를 향해 이동되며, 이는 블록(270)이 원형 톱 블레이드(230)와 접촉함에 따라 먼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원형 톱 블레이드(2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그리고 진공 소스(212)(미도시)가 작업대(220) 아래에 부압을 생성하므로, 먼지의 궤적(trajectory)은 실질적으로 하향이다. 작업대(220)가 원형 톱 블레이드(230)를 향하여 추가로 계속 슬라이딩함에 따라, 먼지는 그 다음에 그러한 시간에서 무거운 파편 슈트(heavy debris chute)(215) 위의 특정 세트의 루버(234)를 통해 수집된다. 예를 들어, 예시된 바와 같이, 먼지는 t = t1에서 제1 세트의 루버(234)를 통해 이동하는 반면, 먼지는 t = t2에서 제2 세트의 루버(234)를 통해 이동한다.
장치(200)의 특정 파라미터들은, 원하는 바와 같이, 상이한 성능 특성을 제공하고/하거나 상이한 유형의 공작물(예를 들어, 상이한 재료, 상이한 치수 등)을 절단하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예시된 바와 같이, 무거운 파편 슈트(215) 및 루버들(234) 각각은 먼지 입자들이 루버들(234)을 통해 위로 다시 "바운스(bounce)"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각을 이룬다. 그러나, 특정 실시예에서, 루버들(234)은 특정 범위 사이(예를 들어, 30도와 45도 사이)에서 각을 이루도록 루버들(234)을 균일하게 조정하는 레버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루버들(234) 각각 사이의 공간, 원형 톱 블레이드(230)의 분당 회전들(RPM), 및/또는 진공 소스(212)에 의해 제공되는 흡입력을 포함하는 다양한 다른 파라미터가 또한 조정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에 개시되는 양태들은 먼지가 복수의 필터 중 임의의 필터를 통해 수집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루버들(234)을 통해 드로잉되는 먼지에 의해 횡단되는 예시적 경로는 도 8 내지 도 11에 제공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루버들(234)을 통해 드로잉되는 무거운 파편(heavy debris)은 무거운 파편 슈트(215)를 통해 그리고 무거운 파편 구획(240)으로 떨어지는 반면, 더 가벼운 먼지 입자들은 사이클론 필터들(216)을 향하여 끌어 당겨진다. 이들 더 가벼운 먼지 입자들이 사이클론 필터들(216) 위로 이동함에 따라, 일부 먼지는 사이클론 입자 구획(250)으로 아래로 끌어 당겨지는 반면, 더 미세한 먼지 입자들은 계속 회전가능 필터(217)를 향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회전가능 필터(217)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표면에 대해 복수의 주름진(pleated) 세그먼트를 갖는 원통형 필터 매체이다. 회전가능 필터(217)는 회전가능 필터(217)의 내부에서 측면 파티셔닝 벽에 고정되는 필터 세정 플랩(flap)(218)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필터 세정 플랩(218)은 필터 세정 노브(knob)가 회전될 때 주름진 세그먼트들과 접촉한다. 더욱이, 회전가능 필터(217)가 회전함에 따라, 필터 세정 플랩(218)은 주름진 세그먼트들로부터 먼지를 제거하며, 이는 미세 입자 구획(260)으로 떨어진다.
예시된 바와 같이, 먼지는 또한 진공 유입구(233)를 통해 드로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관(235)의 제1 단부는 진공 유입구(233)로 삽입되는 반면, 도관(235)의 다른 단부는 하우징(210) 상의 진공 포트(218)에 연결된다. 여기서, 중앙 슬롯(226) 아래에 부적절한 양의 흡입력이 있는 경우, 먼지는 진공 유입구(233)를 향하여 위로 드로잉되며 여기서 그것은 그 다음에 도관(235)을 통해 그리고 그 후에 하우징(210) 내의 필터들을 통해 이동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서, 진공 흐름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양태들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도 12 내지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장치(200)는 공기 흐름 경로를 따라 연장부들(extensions)(219)을 포함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 내에서, 연장부들(219)은 그들이 루버(224)와 통신할 수 있는 집진 슬롯의 각각의 단부 상에 배치된다. 작업대(220)가 원형 톱 블레이드(230)를 향하여 슬라이딩함에 따라, 이들 연장부들(219)은 작업대(220) 아래의 진공 흐름 손실들을 최소화하기 위해 선행 세트의 루버들(224)을 플러그 오프한다.
예시적 절단 톱 실시예
다음으로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원에 개시되는 양태들에 따른 절단 톱(chop saw) 구성의 개략적인 예시들이 제공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절단 톱 장치(300)는 작업대(320)에 결합되는 하우징(310) 및 원형 톱 블레이드(330)를 포함하며, 여기서 작업대(320)는 하우징(310) 위에 고정 테이블로서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를 위해, 장치(200)의 작업대(220)와 유사하게, 작업대(3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톱 블레이드(330)와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중앙 슬롯(326)을 포함한다. 그러나, 여기서, 원형 톱 블레이드(330)는 회전가능 아암(336)에 부착되며, 여기서 블레이드 가드(332) 상의 핸들(331)은 사용 동안 원형 톱 블레이드(330)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장치(300)의 하우징(310)에 대해, 본원의 구성요소들은 장치(200)의 하우징(210)의 대응하는 구성요소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하우징(310)은 또한 다단 필터를 포함하며, 이는 사이클론 필터(316)에 결합되는 회전가능 필터(317)를 포함하며, 여기서 회전가능 필터(317)에 부착되는 진공 소스(312)는 회전가능 필터(317) 및 사이클론 필터(316)를 통해 공기 흐름을 생성하도록 다시 구성된다. 사용 동안, 이러한 공기 흐름은 먼지가 필터들을 향하여 중앙 슬롯(326)을 통해 드로잉되고 그 후에 먼지 용기(313)로 수집되도록 중앙 슬롯(326) 바로 아래에 부압을 제공한다. 특히, 중앙 슬롯(326)을 통해 드로잉되는 무거운 파편은 무거운 파편 슈트(315)를 통해 그리고 먼지 용기(313)로 떨어지는 반면, 더 가벼운 먼지 입자들은 사이클론 필터들(316)을 향하여 끌어 당겨진다. 이들 더 가벼운 먼지 입자들이 사이클론 필터들(316) 위로 이동함에 따라, 일부 먼지는 먼지 용기(313)로 아래로 끌어 당겨지는 반면, 더 미세한 먼지 입자들은 계속 회전가능 필터(317)를 향한다.
그러나, 중앙 슬롯(326)을 통해 아래로 먼지를 끌어 당기는 것에 더하여, 장치(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쿠프(scoop)(323)를 향하여 다시 먼지를 끌어 당기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실시예 내에서, 진공 소스(312)는 따라서 중앙 슬롯(326)을 통해 그리고 스쿠프(323)를 통해 흡입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스쿠프(323)를 통해 드로잉되는 먼지는 진공 포트(318)를 통해 그리고 필터들을 향하여 이동한다. 여기서, 스쿠프(323)는 브러시 또는 핑거형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펜스(321)가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 테이블 톱 실시예
다음으로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원에 개시되는 양태들에 따른 테이블 톱 구성의 개략적인 예시들이 제공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톱 장치(400)는 작업대(420)에 결합되는 하우징(410) 및 원형 톱 블레이드(430)를 포함하며, 여기서 작업대(420)는 하우징(410) 위의 고정 테이블로서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를 위해, 장치(200)의 작업대(220)와 유사하게, 작업대(4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톱 블레이드(430)와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중앙 슬롯(426)을 포함한다. 그러나, 여기서, 원형 톱 블레이드(430)는 작업대(420)의 중앙 슬롯(426)을 통해 돌출한다. 더욱이, 원형 톱 블레이드(430) 및 톱 모터(434)는 작업대(420) 아래의 블레이드 하우징(432) 내에 수용되며, 여기서 블레이드 하우징(4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하우징(410) 내에 있다.
하우징(410)의 나머지 구성요소들에 대해, 이들 구성요소들은 장치(200)의 하우징(210)의 대응하는 구성요소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하우징(410)은 또한 다단 필터를 포함하며, 이는 사이클론 필터(416)에 결합되는 회전가능 필터(417)를 포함하며, 여기서 회전가능 필터(417)에 부착되는 진공 소스(412)는 다시 회전가능 필터(417) 및 사이클론 필터(416)를 통해 공기 흐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사용 동안, 이러한 공기 흐름은 먼지가 필터들을 향하여 중앙 슬롯(426)을 통해 드로잉되고 그 후에 먼지 용기(413)에 수집되도록 중앙 슬롯(426) 바로 아래에 부압을 제공한다. 특히, 중앙 슬롯(426)을 통해 드로잉되는 무거운 파편은 무거운 파편 슈트(415)를 통해 그리고 먼지 용기(413)로 떨어지는 반면, 더 가벼운 먼지 입자들은 사이클론 필터들(416)을 향하여 끌어 당겨진다. 이들 더 가벼운 먼지 입자들이 사이클론 필터들(416) 위로 이동함에 따라, 일부 먼지는 먼지 용기(413)로 아래로 끌어 당겨지는 반면, 더 미세한 먼지 입자들은 계속 회전가능 필터(417)를 향한다.
예시적 블레이드 냉각 양태들
다음으로 도 18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본원에 개시되는 다양한 블레이드 냉각 양태를 도시하는 예시들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건식 절단(dry cut)" 사용 동안 원형 톱 블레이드를 냉각시키는 것은 최적의 성능을 달성하고 블레이드에 대한 손상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특히 바람직하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블레이드 냉각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 장치의 측면도 및 상면도는 도 18 및 도 19에 각각 제공된다. 여기서, 장치(500)는 전술한 장치들(100, 200, 300, 및 400)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고, 여기서 장치(500)의 개별 구성요소들은 또한 장치들(100, 200, 300, 및 400)의 개별 구성요소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장치(500)는 진공 소스(512), 원형 톱 블레이드(530), 및 원형 톱 블레이드(530)에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중앙 슬롯(526)을 포함하는 작업대(5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중앙 슬롯(526)은 원형 톱 블레이드(530)와 공작물(570) 사이의 예상 접촉 포인트(532)에 근접한 공기 흐름 채널(527)을 포함한다. 그 다음, 진공 소스(512)는 공기 흐름 채널(527)을 통해 작업대(520) 아래에 집속된 부압(528)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공기 흐름 채널(527)을 원형 톱 블레이드(530)와 공작물(570) 사이의 예상 접촉 포인트(532)와 적절하게 정렬함으로써, 원형 톱 블레이드(530)의 상당한 냉각이 달성된다는 점이 발견되어 왔다. 즉, 원형 톱 블레이드(530)가 사용 동안 예상 접촉 포인트(532)에서 매우 뜨거워질 수 있기 때문에, 예상 접촉 포인트(532)에서 원형 톱 블레이드(530)를 냉각시키기 위해 집속된 부압(528)을 이용하는 것은 특히 바람직하다.
슬라이딩 작업대가 사용되는 실시예들에 대해, 다른 구성들이 고려된다. 도 20에서, 예를 들어, 블레이드 냉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루버들을 이용하는 슬라이딩 작업대를 갖는 예시적 장치의 측면도가 제공된다. 여기서, 장치(600)는 전술한 장치(2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며, 여기서 장치(600)의 개별 구성요소들은 또한 장치(200)의 개별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장치(600)는 진공 소스(612), 원형 톱 블레이드(630), 및 원형 톱 블레이드(630)에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중앙 슬롯(626)을 포함하는 작업대(6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중앙 슬롯(626)은 원형 톱 블레이드(630)와 공작물(670) 사이의 예상 접촉 포인트(632)에 근접한 공기 흐름 채널(627)을 포함한다. 그 다음, 진공 소스(612)는 공기 흐름 채널(627)을 통해 작업대(620) 아래에 집속된 부압(628)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특정 실시예의 경우, 작업대(620)는 원형 톱 블레이드(630)를 향하여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중앙 슬롯(626)은 공기 흐름 채널(627)을 개별적으로 형성하는 복수의 루버(624)를 포함한다. 더욱이, 공기 흐름 채널(627)은 작업대(620)가 원형 톱 블레이드(630)를 향하여 슬라이딩함에 따라 복수의 루버(624) 중 어느 것이 예상 접촉 포인트(632)에 근접하여 있는지에 따라 순차적으로 가변된다.
본 개시의 양태에서, 집속된 부압(628)의 크기는 공기 흐름 채널(627)의 개구부(aperture)의 크기에 반비례하다는 점이 발견되어 왔다. 따라서, 개별 루버들(624) 사이의 갭들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집속된 부압(628)의 크기는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크기를 토글링하기 위해, 다양한 크기의 제거가능 루버 인서트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된다. 도 21은,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예시적 루버 인서트의 양태들을 예시한다. 예시(7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680)를 루버들(624)의 상단에 배치함으로써, 루버들(624) 사이의 갭들(625)은 감소된다. 즉, 인서트 갭 폭은 도시된 바와 같이, 루버 갭 폭 미만이다.
예시들(710 및 720)은 갭 크기에서 이러한 감소를 더 입증하며, 여기서 예시(710)는 인서트(680)가 없는 작업대(620)를 도시하는 반면, 예시(720)는 인서트(680)를 갖는 작업대(620)를 도시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갭들(625)의 크기에서의 감소에 더하여, 공기 채널(627)에 대응하는 특정 갭은 또한 인서트(680)를 사용함으로써 크기에서 감소되었다. 따라서, 예시(720)의 공기 채널(627)에서의 집속된 부압(628)은 예시(710)의 공기 채널(627)에서의 집속된 부압(628)보다 더 크다.
본 개시의 추가 양태에서, 원형 톱 블레이드들은 그들이 안정화되지 않을 때 과열될 가능성이 더 크다는 점이 발견되어 왔다. 따라서, 사용 동안 워블링(wobbling)을 감소시키기 위해 원형 톱 블레이드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양태가 고려된다. 특히 고려된 양태에서, 블레이드 안정화 롤러들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톱 블레이드에 결합된다. 그러한 실시에 내에서, 원형 톱 블레이드(8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 가드(832) 내에 수용되고, 아버 샤프트(arbor shaft)(830) 및 블레이드 안정화 롤러들(835)에 결합된다. 사용 동안, 아버 샤프트(830)는 회전하기 시작하며, 이는 원형 톱 블레이드(830)가 회전하게 한다. 원형 톱 블레이드(830)가 공작물과 접촉하면, 블레이드 안정화 롤러들(835)은 여전히 회전을 허용하면서 원형 톱 블레이드(830)가 정렬되도록 확고하게 유지시킨다. 따라서, 원형 톱 블레이드(830)가 더 양호하게 안정화되고 워블링에 덜 민감하기 때문에, 원형 톱 블레이드(830)는 과열될 가능성이 더 적다.
예시적 다단 필터 양태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전술한 장치(200)와 같은, 다단 필터를 이용하는 것에 관한 다양한 양태가 고려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장치가 개시되며 이는 진공 소스 및 다단 필터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장치는 원형 톱 블레이드 및 원형 톱 블레이드에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중앙 슬롯을 포함하는 작업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진공 소스는 중앙 슬롯에서 작업대 아래에 부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다단 필터는 중앙 슬롯에 근접한 영역으로부터 부압에 의해 드로잉되는 부유진(airborne dust)을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국가의 경우, 본원에 개시되는 장치로부터 먼지의 실제 제거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도 23 내지 도 26에 예시된 바와 같은, 그리고 도 27 내지 도 29의 장치(200) 내에 더 예시된 바와 같은, 특화된 제거가능 먼지 트레이에 대한 다양한 양태가 고려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가능 먼지 트레이(900)는 다단 필터 아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거가능 먼지 트레이(900)는 복수의 개별 구획(910, 920, 및 930)을 포함하고, 여기서 다단 필터의 각각의 스테이지(stage)는 제거가능 먼지 트레이(900) 내에 (예를 들어, 미세 입자 구획(260), 사이클론 입자 구획(250), 및 무거운 파편 구획(260) 아래에) 대응하는 구획을 갖는다. 제거가능 먼지 트레이(900)는 적어도 하나의 먼지 격납 백(1000)을 수용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스트링(drawstring)(1010) 및 와셔(1020)를 포함한다. 제거가능 먼지 트레이(900)가 장치(200)에 삽입되는 동안 드로스트링(1010)을 잡아당김으로써, 사용자는 제거가능 먼지 트레이(900)를 장치(200)로부터 제거하기 전에 모든 수집된 먼지를 밀봉할 수 있다.
예시적 보조 포트 양태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전술한 장치(200)와 같은, 보조 포트를 이용하는 것에 관한 다양한 양태가 고려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장치가 개시되며, 이는 진공 소스, 원형 톱 블레이드, 및 작업대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작업대는 원형 톱 블레이드에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중앙 슬롯을 포함하고, 진공 소스는 중앙 슬롯에서 작업대 아래에 제1 부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 다음, 진공 소스는 보조 포트를 통해 제2 부압을 제공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부 구성의 경우, 상이한 먼지 경로를 통해 먼지를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0은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블레이드 가드 먼지의 예시적 전환 경로(diverted path)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여기서, 3개의 사이클론 필터(1116)는 중앙 슬롯(1126)에서 수집된 먼지를 수용하는 것에 전용되는 반면, 제4 사이클론 필터(1117)는 지지 아암(1136)을 통해 상단(top) 위에서 블레이드 가드(1132)로부터 먼지를 수집하는 것에 전용된다. 이것은 필요한 경우, 우리가 블레이드의 이러한 후면에서 일정한 진공의 공급을 갖는 것을 허용한다.
예시적 공유 먼지 트레이 실시예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양태는 (예를 들어, 30초 내에 50 lb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중하중용(heavy duty) 먼지 추출을 위해 구성되는 휴대용 전자 먼지 추출기에 관한 것이다. 제1 양태에서, 휴대용 전자 먼지 추출기는 다단(multi-stage) 필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필터 챔버 각각은 공유 먼지 격납 영역에 결합된다는 점이 고려된다. 따라서, 개별 먼지 격납 영역이 각각의 필터 챔버에 대해 제공되는 종래의 다단 필터들과 달리, 본원에 개시되는 먼지 추출기는 단일 먼지 격납 영역의 모니터링 및 세정을 허용한다.
다른 양태에서, 이동가능 배리어(barrier)는 적어도 하나의 다단 필터 챔버와 공유 먼지 격납 영역 사이에 배치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이동가능 배리어는 공유 먼지 격납 영역과 원통형 필터에 대응하는 필터 챔버 사이에 배치되는 점이 고려된다. 먼지 추출기의 동작 동안, 이동가능 배리어는 공기 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폐쇄되며, 여기서 폐쇄된 이동가능 배리어는 원통형 필터를 공유가능 먼지 격납 영역으로부터 격리시킨다. 그러나, 동작이 정지되었을 때, 이동가능 배리어는 원통형 필터에 의해 수집되는 먼지에 대한 덤프 도어(dump door)로서 기능할 것이라는 점이 고려된다. 이를 위해, 덤프 도어는 그것이 먼지 추출기가 동작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개방 및 폐쇄되도록 자동화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된다.
도 31에서,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공유 먼지 격납 영역에서 다단 여과 시스템에 의해 수집되는 부유진을 저장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 장치의 블록도가 제공된다. 여기서, 장치(1200)는 도 1에 예시되는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장치(1200)는 하우징(1210) 및 작업 영역(12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하우징(1210)은 진공 소스(1220), 다단 필터(1230), 및 공유 먼지 트레이(1240)를 더 포함한다. 장치(1200)의 예시적 사용 동안, 진공 소스(1220)는 다단 필터(1230)를 향하여 작업 영역(1250)으로부터 부유진을 끌어 당기는 부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공유 먼지 트레이(1240)는 공유 먼지 격납 영역이 다단 필터(1230)의 복수의 스테이지 각각으로부터 직접 다단 필터(1230)에 의해 수집되는 부유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단일 구획인 공유 먼지 격납 영역을 포함한다는 점이 고려된다.
다음으로 도 3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공유 먼지 격납 영역에 결합되는 예시적 다단 여과 시스템의 개념도가 제공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시나리오(1300)가 고려되며 여기서 다단 필터(1230)는 복수의 스테이지(1232, 1234, 1236, 및 1238)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의 경우, 먼지 입자들은 복수의 스테이지(1232, 1234, 1236, 및 1238) 각각을 향하여 드로잉되며, 여기서 공유 먼지 격납 영역(124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테이지(1232, 1234, 1236, 및 1238) 각각으로부터 직접 다단 필터(1230)에 의해 수집되는 부유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구획화된 먼지 트레이(예를 들어, 먼지 구획(910, 920, 및 930)을 포함하는, 먼지 트레이(900))보다는 공유 먼지 격납 영역(1242)을 이용함으로써, 더 많은 전력이 동일한 공기 흐름을 생성하기 위해 요구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따라서, 다단 필터(1230)의 구획화된 동작을 에뮬레이트하기 위해, 복수의 스테이지(1232, 1234, 1236, 및 1238) 각각은 도 33 내지 도 3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배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된다.
도 33에서,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폐쇄된 이동가능 배리어들을 갖는 예시적 다단 여과 시스템의 개념도가 제공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테이지(1232, 1234, 1236, 및 1238) 각각은 대응하는 이동가능 배리어(1233, 1235, 1237, 및 1239)를 갖는다는 점이 고려된다. 이러한 시나리오(1400)에서, 진공 소스(1220)가 "동작(operating)" 모드에 있는 동안, 이동가능 배리어들(1233, 1235, 1237, 및 1239) 각각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된다는 점이 고려된다. 이동가능 배리어들(1233, 1235, 1237, 및 1239) 각각이 폐쇄되기 때문에, 공기 흐름 레벨은 진공 소스(1220)로부터의 전력에서 실질적인 증가를 요구하는 것 없이 유지될 수 있다.
동작 동안, 먼지 입자들은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가능 배리어들(1233, 1235, 1237, 및 1239) 각각에서 수집되기 시작할 것이다. 동작이 중단되면(즉, 진공 소스(1220)가 "유휴(idle)" 모드에 있을 때), 이동가능 배리어들(1233, 1235, 1237, 및 1239) 각각은 축적된 먼지가 아래의 공유 먼지 격납 구역(1242)으로 비워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개방될 것이라는 점이 고려된다. 그러한 시나리오(1500)의 예시는 도 34에 제공된다.
다음으로 도 3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양태에 따른 공유 먼지 구획을 갖는 예시적 먼지 트레이의 개략도가 제공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먼지 트레이(900)의 구획화된 구조와 달리, 도 35에 예시되는 공유 먼지 트레이(1300)는 공유 먼지 구획(1310)을 포함한다. 더욱이, 공유 먼지 트레이(1300)는 본원에 개시되는 다양한 다단 필터 실시예와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공유 먼지 트레이(1300)는 도 36 내지 도 37에 예시되는 다단 필터 장치와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6에서, 예시적 다단 필터 장치의 개략도가 제공되며, 이는 도 2 내지 도 13에 예시되는 톱 장치(2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이러한 시나리오(1600)의 경우, 다단 필터 장치의 다수의 스테이지는 무거운 파편(1340)을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무거운 파편 슈트(1315); 사이클론 입자들(1350)을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 필터(1316); 및 미세 입자들(1360)을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회전가능 필터(1317)를 포함한다는 점이 고려된다. 동작 동안, 무거운 파편(1340) 및 사이클론 입자들(1350) 각각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 먼지 트레이(1300)의 공유 먼지 구획(1310)에 축적될 것이라는 점이 고려된다. 이러한 특정 실시예의 경우, 공기 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회전가능 필터(1317)와 공유 먼지 트레이(1300) 사이에 구성되는 이동가능 배리어(1370)는 폐쇄된 위치에 있다. 동작이 중단되면, 이동가능 배리어(1370)는, 도 37에 예시되는 시나리오(1700)에 의해 예시되는 바와 같이, 개방되며,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 입자들(1360)이 아래의 공유 먼지 구획(1310)으로 비워지는 것을 허용한다. 회전가능 필터(1317) 내의 미세 입자들(1360)은 또한 플랩(1318)(필터 세정 플랩(218)과 실질적으로 유사함)이 회전가능 필터(1317)의 주름진 세그먼트들과 순차적으로 접촉하게 하기 위해 회전가능 필터(1317)을 회전시킴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더욱이, 회전가능 필터(1317)가 회전함에 따라, 플랩(1318)은 주름진 세그먼트들로부터 미세 입자들(1360)을 제거하며, 이는 공유 먼지 구획(1310)으로 떨어진다.
예시적 필터 보호 실시예
추가 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중하중용(heavy duty) 먼지 추출을 위해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필터 보호 메커니즘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전술한 원통형 필터(예를 들어, 회전가능 필터(1317))에 대해, 그러한 필터들과 먼지의 고속 충격은 상당한 마모(wear) 및 인열(tear)을 야기할 것이라는 점이 예상된다.
제1 예시적 실시예에서, 원통형 필터에서 직접 공기 흐름을 채널링하는 대신에, 공기 흐름은 도 38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필터를 보호하기 위해 필터의 외부 하우징 주위에서 루프화된다. 이러한 특정 실시예(1800)의 경우, 집진 장치는 회전가능 필터(1417), 필터(1417)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필터 하우징(1415), 및 필터 하우징(1415)에 결합되는 유입구(1420)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420)는 (예를 들어, 진공 소스를 통해) 부압에 의해 드로잉되는 미세 입자들(1460)의 흐름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유입구(1420)는 회전가능 필터(1417) 상의 미세 입자들(1460)의 고속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더 구성된다. 더욱이, 유입구(14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하우징(1415)의 내부 부분을 향하여 미세 입자들(1460)의 흐름을 지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이에 더하여, 메시(예를 들어, 알루미늄 메시)는 회전가능 필터(1417)에 접근하는 먼지를 감속시키기 위해 회전가능 필터(1417)로부터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9에서, 그러한 메시를 포함하는 예시적 필터 보호 설계의 개략도가 제공된다. 이러한 특정 실시예(1900)의 경우, 예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420)는 회전가능 필터(1417)와 미세 입자들(1460)의 흐름 사이에 위치되는 메시(14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메시(1430)는 미세 입자들(1460)의 적어도 일부의 먼지 속도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는 점이 고려된다.
단어 "예시적"은 예(example), 경우(instance), 또는 예시(illustration)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본원에 사용된다. 의심의 회피를 위해, 본원에 개시되는 발명 대상은 그러한 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게다가, "예시적"으로서 본원에 설명되는 임의의 양태 또는 설계는 반드시 다른 양태들 또는 설계들에 비해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될 필요가 없으며, 그것은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등가의 예시적 구조들 및 기술들을 배제하도록 의미되지 않는다. 더욱이, 용어 "포함하다", "가지다", "함유하다", 및 다른 유사한 단어들이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경우, 의심의 회피를 위해, 그러한 용어들은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요소들을 배제하는 것 없이 개방형 전환어(open transition word)로서 용어 "포함하는"과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전술한 시스템들은 수개의 구성요소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해 설명되었다. 그러한 시스템들 및 구성요소들은 그들 구성요소들 또는 특정 서브-구성요소들, 특정 구성요소들 또는 서브-구성요소들 중 일부, 및/또는 추가적인 구성요소들, 및 전술한 것의 다양한 치환들 및 조합들에 따른 것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서브-구성요소들은 또한 부모(parent) 구성요소들(계층) 내에 포함되는 것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결합되는 구성요소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집합 기능(aggregate functionality)을 제공하거나 수개의 개별 서브-구성요소들로 분할되는 단일 구성요소에 결합될 수 있고, 임의의 하나 이상의 중간 계층들은 통합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그러한 서브-구성요소들에 결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본원에 설명되는 임의의 구성요소는 또한 본원에 특별히 설명되지 않지만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공지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앞에 설명되는 예시적 시스템들의 관점에서, 개시된 발명 대상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방법론들은 다양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설명의 단순화를 위해, 방법론들은 일련의 단계로서 설명되지만, 개시된 발명 대상은 일부 단계들이 본원에 설명되는 것으로부터 상이한 순서들로 및/또는 다른 단계들과 동시에 발생할 수 있음에 따라, 단계들의 순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고 인식될 수 있다. 더욱이, 모든 개시된 단계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방법론들을 구현하도록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가 다양한 도면의 예시적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다른 유사한 실시예들이 사용될 수 있거나 수정들 및 추가들이 그것으로부터 이탈하는 것 없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설명된 실시예에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임의의 단일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16)

  1. 집진 장치에 있어서,
    부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진공 소스;
    상기 부압에 의해 드로잉되는 부유진을 수집하도록 구성되는 다단 필터; 및
    공유 먼지 격납 영역을 갖는 먼지 트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공유 먼지 격납 영역은 상기 다단 필터의 복수의 스테이지들 각각으로부터 직접 상기 다단 필터에 의해 수집되는 상기 부유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단일 구획인, 집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 필터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 필터를 포함하는, 집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 필터는 회전가능 필터를 포함하는, 집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 필터는 상기 부압에 의해 드로잉되는 비필터링된 부유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집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먼지 격납 영역은 회전가능 필터를 포함하는 상기 다단 필터의 제1 스테이지로부터 직접 상기 부유진의 제1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유 먼지 격납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 필터를 포함하는 상기 다단 필터의 제2 스테이지로부터 직접 상기 부유진의 제2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집진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먼지 격납 영역은 필터를 포함하는 상기 다단 필터의 제1 스테이지로부터 직접 상기 부유진의 제1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유 먼지 격납 영역은 상기 부압에 의해 드로잉되는 비필터링된 부유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다단 필터의 제2 스테이지로부터 직접 상기 부유진의 제2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집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 필터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지는 상기 다단 필터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지와 상기 공유 먼지 격납 영역 사이에 위치되는 이동가능 배리어를 포함하는, 집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 배리어는 상기 진공이 유휴 모드(idle mode)에 있는 동안 개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동가능 배리어는 상기 진공이 동작 모드(operating mode)에 있는 동안 폐쇄되도록 구성되는, 집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의 존재는 상기 이동가능 배리어가 상기 동작 모드 동안 폐쇄되게 하고, 상기 부압의 부재는 상기 이동가능 배리어가 상기 유휴 모드 동안 개방되게 하는, 집진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 배리어의 2개의 반부 사이의 자기 인력의 존재는 상기 이동가능 배리어가 상기 동작 모드 동안 폐쇄되게 하고, 상기 이동가능 배리어의 2개의 반부 사이의 상기 자기 인력의 부재는 상기 이동가능 배리어가 상기 유휴 모드 동안 개방되게 하는, 집진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 배리어에 결합되는 전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은 상기 동작 모드 동안 상기 이동가능 배리어의 상기 2개의 반부 사이에 상기 자기 인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집진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 필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지는 회전가능 필터를 포함하는, 집진 장치.
  13. 집진 장치에 있어서,
    필터;
    상기 필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필터 하우징; 및
    상기 필터 하우징에 결합되는 유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구는 부압에 의해 드로잉되는 부유진의 흐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필터 상의 상기 부유진의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더 구성되는, 집진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부 부분을 향하여 상기 부유진의 흐름을 지향시키도록 구성되는, 집진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및 상기 필터 하우징 각각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상기 필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유입구의 포지셔닝(positioning)은 상기 부유진의 흐름이 상기 필터 주위로 이동하게 하는, 집진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필터와 상기 부유진의 흐름 사이에 위치되는 메시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는 상기 부유진의 적어도 일 부분의 먼지 속도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집진 장치.
KR1020217027554A 2019-03-25 2020-03-24 통합 다단 여과 시스템을 갖는 원형 톱 장치 KR202101414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364,070 US20190217404A1 (en) 2015-08-31 2019-03-25 Circular saw apparatus with integrated multistage filtration system
US16/364,070 2019-03-25
PCT/US2020/024437 WO2020168360A1 (en) 2019-02-11 2020-03-24 Circular saw apparatus with integrated multistage filtr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465A true KR20210141465A (ko) 2021-11-23

Family

ID=72044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7554A KR20210141465A (ko) 2019-03-25 2020-03-24 통합 다단 여과 시스템을 갖는 원형 톱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924148A4 (ko)
JP (1) JP2022521479A (ko)
KR (1) KR20210141465A (ko)
CN (1) CN113613838A (ko)
AU (1) AU2020221424A1 (ko)
CA (1) CA3130110A1 (ko)
WO (1) WO20201683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60514B (zh) * 2023-03-03 2023-08-11 永康市嘉正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集尘功能的电圆锯
CN117428075B (zh) * 2023-12-20 2024-03-19 山东中汇管业有限公司 一种带有收集功能的金属生产用金属屑清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37457A (en) * 1952-01-28 1955-09-28 Pneumatic Conveyors Huddersfi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eparating dust from air
DE2802369A1 (de) * 1978-01-20 1979-07-26 Ltg Lufttechnische Gmbh Filtervorrichtung zum filtern von durch staub und faserabfaelle verunreinigter luft
SU889100A1 (ru) * 1980-06-10 1981-12-15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Комплексных Проблем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Для Животноводства И Кормопроизводства Магнитный сепаратор
RU2056907C1 (ru) * 1993-07-01 1996-03-27 Товари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 Фирма "ФАГОС"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от пыли
RU2181616C1 (ru) * 2001-03-22 2002-04-27 Ку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KR100776402B1 (ko) * 2007-02-05 2007-11-1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필터조립체를 구비한 멀티 사이클론 분리장치
RU64556U1 (ru) * 2007-03-01 2007-07-1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Ураль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лесо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Пылеулавл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US8393939B2 (en) * 2009-03-31 2013-03-12 Saint-Gobain Abrasives, Inc. Dust collection for an abrasive tool
CN201432334Y (zh) * 2009-07-03 2010-03-31 深圳市名雕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环保型木工开料锯台
CN101966665B (zh) * 2010-09-21 2014-01-29 台州美能环保设备有限公司 除尘砂轮机
CN105333452A (zh) * 2014-08-14 2016-02-17 中山市健泰实业有限公司 磁性防回流装置
EP3344423A4 (en) * 2015-08-31 2019-06-19 JPL Global, LLC CIRCULAR SAW APPARATUS WITH INTEGRATED MULTI-FREQUENCY FILTRATION SYSTEM
CN208677275U (zh) * 2016-12-22 2019-04-02 碧洁家庭护理有限公司 真空吸尘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24148A4 (en) 2022-11-23
WO2020168360A1 (en) 2020-08-20
CA3130110A1 (en) 2020-08-20
JP2022521479A (ja) 2022-04-08
AU2020221424A1 (en) 2021-09-23
CN113613838A (zh) 2021-11-05
WO2020168360A8 (en) 2020-11-12
EP3924148A1 (en) 202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9136B2 (en) Circular saw apparatus with integrated multistage filtration system
KR102428710B1 (ko) 통합 다단 여과 시스템을 갖는 원형 쏘우 장치
US20190217404A1 (en) Circular saw apparatus with integrated multistage filtration system
CA2904426C (en) A cutting apparatus
KR20210141465A (ko) 통합 다단 여과 시스템을 갖는 원형 톱 장치
EP3715032B1 (en) Reciprocating saw
JP6251700B2 (ja) 舗装材切断装置における切断ダスト回収方法並びに装置並びにこの装置を具えた舗装材切断装置
KR101604923B1 (ko) 공기노즐을 이용한 동시 흡배기 방식의 절삭유 흡입청소기와 공작기계의 연결기구
CN105392595B (zh) 分离器装置、切割机以及用于分离碎屑和冷却剂的方法
JP2001244218A (ja) ダイシングソー用付属装置
KR101289556B1 (ko) 원심력을 이용한 오일미스트 집진기
TWM576911U (zh) Oil mist recovery machine
KR20160034107A (ko) 집진장치용 스마트 필터 구조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