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1062A - 교체형 크래들용 보빈롤러 - Google Patents

교체형 크래들용 보빈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1062A
KR20210141062A KR1020200058180A KR20200058180A KR20210141062A KR 20210141062 A KR20210141062 A KR 20210141062A KR 1020200058180 A KR1020200058180 A KR 1020200058180A KR 20200058180 A KR20200058180 A KR 20200058180A KR 20210141062 A KR20210141062 A KR 20210141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cradle
contact
bear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철제
Original Assignee
조철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철제 filed Critical 조철제
Priority to KR1020200058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1062A/ko
Publication of KR20210141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10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65H54/54Arrangements for supporting cores or formers at winding stations; Securing cores or formers to driving members
    • B65H54/553Both-ends suppor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1/00Materials used for the handl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Properties thereof
    • B65H2401/10Materials
    • B65H2401/11Polymer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1/00Materials used for the handl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Properties thereof
    • B65H2401/10Materials
    • B65H2401/12Ceram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1/00Materials used for the handl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Properties thereof
    • B65H2401/10Materials
    • B65H2401/15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1Joints, e.g. riveted or magnetic joints
    • B65H2402/51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30Facilitating or easing
    • B65H2601/32Facilitating or easing entities relating to handling machine
    • B65H2601/324Removability or inter-changeability of machine parts, e.g. for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50Diminishing, minimizing or reducing
    • B65H2601/52Diminishing, minimizing or reducing entities relating to handling machine
    • B65H2601/522Wear of friction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50Diminishing, minimizing or reducing
    • B65H2601/52Diminishing, minimizing or reducing entities relating to handling machine
    • B65H2601/525Cost of application or use, e.g. energy, consum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사기의 크래들(1) 상에 설치하여 보빈(2)을 지지한 상태로 회전하는 보빈롤러(3)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상기 보빈(2) 상의 일측에 형성된 수용단홈(11)의 중앙에 수용돌부(12)를 구비하고, 타측에 수용단홈(11)과 대응되는 수용장홈(13)을 구비하는 동체(10); 상기 동체(10)의 수용장홈(13)에 삽설하여 회전 가능하게 베어링(21)을 구비하고, 베어링(21)과 크래들(1)을 서로 연결하면서 크래들(1)로부터 베어링(21)이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22)을 구비하는 회전수단(20); 상기 동체(10)의 수용단홈(11) 상에 삽설되어 보빈(2)의 양측에 접촉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접촉롤(30); 상기 동체(10)의 수용장홈(13) 상에 수용된 베어링(21)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내부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게 개폐되도록 고정볼트(41)에 의해 체결되고, 회전축(22)이 외부에 노출 가능하게 관통공(42)을 구비하는 커버부(40); 및 상기 동체(10)의 외면에 교환이 가능하게 씌워져 보빈(2)과 접촉하는 접촉패킹(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보빈을 지지한 상태로 회전하는 보빈롤러로부터 보빈의 회전운동에 의해 마모가 발생하는 접촉롤의 반대방향으로 재설치 또는 새제품으로 교체 가능한 구조를 채택함에 따라 교체에 따른 편의성은 물론 간편하게 작업이 가능하여 원가절감을 추구하고, 마모에 강한 재질을 통하여 장기적으로 사용 가능해 생산성을 증대하는 한편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하면서 개폐를 통한 청소 등이 용이하여 고장원인을 미리 차단하는 등 사용상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체형 크래들용 보빈롤러{Bobbin roller for replaceable cradle}
본 발명은 교체가 용이한 크래들용 보빈롤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빈을 지지한 상태로 회전하는 보빈롤러로부터 보빈의 회전운동에 의해 마모가 발생하는 접촉롤의 반대방향으로 재설치 또는 새제품으로 교체 가능한 구조를 채택함에 따라 교체에 따른 편의성은 물론 간편하게 작업이 가능하여 원가절감을 추구하고, 마모에 강한 재질을 통하여 장기적으로 사용 가능해 생산성을 증대하는 한편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하면서 개폐를 통한 청소 등이 용이하여 고장원인을 미리 차단하는 등 사용상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교체형 크래들용 보빈롤러에 관한 것이다.
통상, 크래들은 섬유기계인 연사기 또는 와인더에 장착되어 실린더 또는 보빈을 잡아주면서 실린더 또는 보빈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연사된 실 또는 다양한 종류의 실을 권취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크래들은 보빈을 지지한 상태로 회전하는 보빈롤러를 사용하게 되는데 접촉된 상태로 회전이 발생함에 따라 마모가 쉽게 발생하고, 보빈롤러의 교체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면서 교체비용까지 발생함에 따라 작업성 하락과 함께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된다.
이를 해결한 방법으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12088호는 보빈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베어링을 개재한 롤러축에 보빈롤러를 결합한 고정암과 가동암을 양측에 가지는 크래들바디와, 상기 크래들바디의 중앙부 후미에 섬유기계에 장착할 수 있게 구비하는 장착구 및 장착브라켓으로 구성하고, 상기 보빈롤러는 롤러축의 베어링과 결합할 수 있도록 베어링홈을 외측면에 형성하고, 내측면에는 보빈의 양측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를 돌출시켜 구성하는 크래들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종류와 규격에 관계없이 보빈을 안정되게 잡아주면서 롤러축의 베어링과 분해 및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보빈과 롤러축의 축중심이 어긋나더라도 보빈이 회전하는 데 지장이 없도록, 보빈롤러의 베어링홈과 결합돌기에 요입된 보상홈을 더 형성하고; 상기 보상홈에는 마찰력이 우수하고 탄성을 가지는 보상링을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용 보빈롤러를 제시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을 살펴보면, 보빈롤러의 마모와 손상을 방지하여 수명을 길게 하면서 유지보수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에는 아직 부족함이 있다. 즉, 마모손상 부위만을 교체할 수 있는 구성이면 유지 보수면에서 훨씬 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나 선행문헌의 발명은 보빈롤러 전체를 교체하기에 정상적인 부분까지 모두 사용할 수 없는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은 해결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베어링홈으로 수용하는 베어링이 외부와의 노출정도가 심하여 장치 사용중 베어링으로 먼지나 다른 이물질이 유입되어 보빈의 권취작업시 원활한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것이 어렵고 베어링까지 마모 및 손상을 주어 동일축 방향으로 지속적인 회전력을 제공하지 못하고 축회전 방향이 뒤틀리면서 보빈으로의 정렬된 권취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12088호 "크래들용 보빈롤러"(공개일자: 2015. 02. 03.)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빈을 지지한 상태로 회전하는 보빈롤러로부터 보빈의 회전운동에 의해 마모가 발생하는 접촉롤의 반대방향으로 재설치 또는 새제품으로 교체 가능한 구조를 채택함에 따라 교체에 따른 편의성은 물론 간편하게 작업이 가능하여 원가절감을 추구하고, 마모에 강한 재질을 통하여 장기적으로 사용 가능해 생산성을 증대하는 한편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하면서 개폐를 통한 청소 등이 용이하여 고장원인을 미리 차단하는 등 사용상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교체형 크래들용 보빈롤러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사기의 크래들 상에 설치하여 보빈을 지지한 상태로 회전하는 보빈롤러에 있어서: 상기 보빈 상의 일측에 형성된 수용단홈의 중앙에 수용돌부를 구비하고, 타측에 수용단홈과 대응되는 수용장홈을 구비하는 동체; 상기 동체의 수용장홈에 삽설하여 회전 가능하게 베어링을 구비하고, 베어링과 크래들을 서로 연결하면서 크래들로부터 베어링이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을 구비하는 회전수단; 상기 동체의 수용단홈 상에 삽설되어 보빈의 양측에 접촉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접촉롤; 상기 동체의 수용장홈 상에 수용된 베어링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내부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게 개폐되도록 고정볼트에 의해 체결되고, 회전축이 외부에 노출 가능하게 관통공을 구비하는 커버부; 및 상기 동체의 외면에 교환이 가능하게 씌워져 보빈과 접촉하는 접촉패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촉롤은 보빈의 회전에 따른 마모 발생 시 수용돌부 상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여 반대로 끼워 재사용하거나 새제품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고정나사와 고무패킹으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촉롤은 세라믹, 철, 백철,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촉롤은 보빈의 회전에 따른 마모를 최소화하도록 외면부에 외부캡을 더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교체형 크래들용 보빈롤러는 보빈을 지지한 상태로 회전하는 보빈롤러로부터 보빈의 회전운동에 의해 마모가 발생하는 접촉롤의 반대방향으로 재설치 또는 새제품으로 교체 가능한 구조를 채택함에 따라 교체에 따른 편의성은 물론 간편하게 작업이 가능하여 원가절감을 추구하고, 마모에 강한 재질을 통하여 장기적으로 사용 가능해 생산성을 증대하는 한편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하면서 개폐를 통한 청소 등이 용이하여 고장원인을 미리 차단하는 등 사용상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체형 크래들용 보빈롤러 및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체형 크래들용 보빈롤러를 다양한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4a와 4b는 본 발명에 따른 교체형 크래들용 보빈롤러를 다양한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a와 5b는 본 발명에 따른 교체형 크래들용 보빈롤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크래들용 보빈롤러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연사기의 크래들(1) 상에 설치하여 보빈(2)을 지지한 상태로 회전하는 보빈롤러(3)에 관하여 제안한다. 특히 보빈의 회전운동에 의해 마모가 발생하는 접촉롤을 반대방향으로 재설치 또는 새제품으로 교체 가능한 구조를 채택하여 교체에 따른 편의성은 물론 장기적으로 사용 가능해 생산성을 증대 및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하여 고장원인을 미리 차단하는 등 사용상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교체형 크래들용 보빈롤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빈(2) 상의 일측에 형성된 수용단홈(11)의 중앙에 수용돌부(12)를 구비하는 동체(10)는 타측에 수용단홈(11)과 대응되는 수용장홈(13)을 구비한다. 이러한, 동체(10)는 보빈(2)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형성하여야 함으로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그리고, 일측에 수용단홈(11)이 형성되고, 타측에 수용장홈(13)이 형성되는 것으로 크래들(1)에 장착되는 부분인 수용장홈(13)과 보빈(2)이 장착되는 부분인 수용단홈(11)이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수용단홈(11)은 중앙에 수용돌부(12)가 형성됨에 따라 후술하는 접촉롤(30)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후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동체(10)의 수용장홈(13)에 삽설하여 회전 가능하게 베어링(21)을 구비하는 회전수단(20)은 베어링(21)과 크래들(1)을 서로 연결하면서 크래들(1)로부터 베어링(21)이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22)을 구비한다. 회전수단(20)은 동체(10)의 수용장홈(13)에 삽설되는 베어링(21)을 구비하고, 베어링(21)의 중앙에 장착되는 회전축(22)을 구비하는데 이러한 회전축(22)은 크래들(1) 상에 면밀하게 고정하도록 설치됨으로 베어링(21)은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로 써, 보빈(2)의 회전이 크래들(1)로부터 원활하게 작동하게 된다. 다시 말해, 베어링(21)은 회전축(22)은 크래들(1) 상에 타단이 결합 고정하여 축회전하도록 구비하는 것으로 회전축(20)은 베어링(20)의 내륜과 크래들(1)의 좌우 또는 상하에 위치하는 거치암에 상호 결합하여 베어링(21)을 포함하는 동체(10)가 축을 기준하여 일정한 방향과 힘으로 회전하는데 사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동체(10)의 수용단홈(11) 상에 삽설되어 보빈(2)의 양측에 접촉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접촉롤(30)을 구비한다. 접촉롤(30)은 상술한 동체(10)의 수용단홈(11)에 삽설되는 바, 상술한 회전수단(20)의 베어링(21)과 대응되게 반대 방향에 삽설하게 된다. 이러한, 접촉롤(30)은 보빈(2)의 양측 바닥홈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하는데 이로 인하여 보빈(2)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마찰에 따른 마모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접촉롤(30)은 보빈(2)의 회전에 따른 마모 발생 시 수용돌부(12) 상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여 반대로 끼워 재사용하거나 새제품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고정나사(31)와 고무패킹(32)으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접촉롤(30)은 접촉롤(30)은 보빈(2)의 양측 바닥홈에 직접적으로 접촉함에 따라 발생하는 마모현상으로 회전 시 접촉롤(30)의 원활한 회전의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어 접촉롤(30)을 교체하거나 마모가 되지 않은 방향으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고정나사(31)와 고무패킹(32)으로 부착하게 된다. 이는, 고무패킹(33)이 끼워진 고정나사(31)를 체결하여 조여줌으로 인해 고무패킹(33)의 일측이 압착하는 동시에 타측으로의 팽창됨에 따라 원활한 고정 결합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접촉롤(30)은 세라믹, 철, 백철,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접촉롤(30)은 보빈(2) 상에 직접적으로 맞닿아 회전하는 구성임으로 마찰에 의한 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그럼으로 세라믹, 철, 백철, 플라스틱과 같은 마모에 강한 재질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접촉롤(30)을 생성하게 됨으로 마모율을 줄여준다.
또한,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접촉롤(30)은 보빈(2)의 회전에 따른 마모를 최소화하도록 외면부에 외부캡(33)을 더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접촉롤(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접촉롤(30)의 재질을 마모에 유리한 재질로 형성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지만, 접촉롤(30)의 외부에 억지끼움을 통해 보빈(2)의 회전에 따른 마모를 최소화하도록 외면부에 외부캡(33)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외부캡(33)에 경우 고무 재질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고, 마모가 많이 발생될 경우 손쉽게 교체가 가능함으로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동체(10)의 수용장홈(13) 상에 수용된 베어링(21)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내부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게 개폐되도록 고정볼트(41)에 의해 체결되는 커버부(40)는 회전축(22)이 외부에 노출 가능하게 관통공(42)을 구비한다. 커버부(40)는 동체(10)의 수용장홈(13) 방향으로 고정되어 수용장홈(13)에 삽설된 베어링(21)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유입된 이물질을 제거 할 수 있도록 고정볼트(41)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그리고, 커버부(40)의 중앙은 관통된 상태로 형성된 관통공(42)을 구비하여 회전축(22)이 외부에 노출됨에 따라 크래들(1) 상에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동체(10)의 외면에 교환이 가능하게 씌워져 보빈(2)과 접촉하는 접촉패킹(50)이 구비된다. 이러한, 접촉패킹(50)은 동체(10)의 외면에 씌워지는 바,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고무재질이 포함된 탄력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이는 보빈(2)의 좌우 또는 상하의 양측 바닥면이 접촉패킹(50)과 접하면서 고무재의 미끄럼방지 효과가 더해져 보빈롤러(3)가 회전하는 중에 보빈(2)이 동시에 회전하는 과정에서 보빈(2)의 회전력을 동체(1)와 결합된 상기 구성에 따라 동일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보빈을 지지한 상태로 회전하는 보빈롤러로부터 보빈의 회전운동에 의해 마모가 발생하는 접촉롤의 반대방향으로 재설치 또는 새제품으로 교체 가능한 구조를 채택함에 따라 교체에 따른 편의성은 물론 간편하게 작업이 가능하여 원가절감을 추구하고, 마모에 강한 재질을 통하여 장기적으로 사용 가능해 생산성을 증대하는 한편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하면서 개폐를 통한 청소 등이 용이하여 고장원인을 미리 차단하는 등 사용상의 편의성이 극대화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크래들 2: 보빈
3: 보빈롤러 10: 동체
11: 수용단홈 12: 수용돌부
13: 수용장홈 20: 회전수단
21: 베어링 22: 회전축
30: 접촉롤 31: 고정나사
32: 고무패킹 33: 외부캡
40: 커버부 41: 고정볼트
42: 관통공 50: 접촉패킹

Claims (4)

  1. 연사기의 크래들(1) 상에 설치하여 보빈(2)을 지지한 상태로 회전하는 보빈롤러(3)에 있어서:
    상기 보빈(2) 상의 일측에 형성된 수용단홈(11)의 중앙에 수용돌부(12)를 구비하고, 타측에 수용단홈(11)과 대응되는 수용장홈(13)을 구비하는 동체(10);
    상기 동체(10)의 수용장홈(13)에 삽설하여 회전 가능하게 베어링(21)을 구비하고, 베어링(21)과 크래들(1)을 서로 연결하면서 크래들(1)로부터 베어링(21)이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22)을 구비하는 회전수단(20);
    상기 동체(10)의 수용단홈(11) 상에 삽설되어 보빈(2)의 양측에 접촉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접촉롤(30);
    상기 동체(10)의 수용장홈(13) 상에 수용된 베어링(21)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내부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게 개폐되도록 고정볼트(41)에 의해 체결되고, 회전축(22)이 외부에 노출 가능하게 관통공(42)을 구비하는 커버부(40); 및
    상기 동체(10)의 외면에 교환이 가능하게 씌워져 보빈(2)과 접촉하는 접촉패킹(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크래들용 보빈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롤(30)은 보빈(2)의 회전에 따른 마모 발생 시 수용돌부(12) 상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여 반대로 끼워 재사용하거나 새제품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고정나사(31)와 고무패킹(32)으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크래들용 보빈롤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롤(30)은 세라믹, 철, 백철,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크래들용 보빈롤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롤(30)은 보빈(2)의 회전에 따른 마모를 최소화하도록 외면부에 외부캡(33)을 더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크래들용 보빈롤러.
KR1020200058180A 2020-05-15 2020-05-15 교체형 크래들용 보빈롤러 KR202101410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180A KR20210141062A (ko) 2020-05-15 2020-05-15 교체형 크래들용 보빈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180A KR20210141062A (ko) 2020-05-15 2020-05-15 교체형 크래들용 보빈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062A true KR20210141062A (ko) 2021-11-23

Family

ID=78695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180A KR20210141062A (ko) 2020-05-15 2020-05-15 교체형 크래들용 보빈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106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2088A (ko) 2013-07-24 2015-02-03 김창식 크래들용 보빈롤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2088A (ko) 2013-07-24 2015-02-03 김창식 크래들용 보빈롤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41062A (ko) 교체형 크래들용 보빈롤러
JP2008544100A (ja) 撚り止め装置
JP2018048025A (ja) パッケージフレーム用のフレーム開放装置
JP6316854B2 (ja) ボールねじ研磨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0052931A (ko) 낚시용 스피닝 릴
KR20190143685A (ko) 크래들용 보빈롤러
KR0154892B1 (ko) 실 브레이크
JP2007276029A (ja) ワイヤガイド装置
JP2005104730A (ja) 糸制動装置およびかかる糸制動装置を装備した編み機と糸供給デバイス
KR20150012088A (ko) 크래들용 보빈롤러
JP3626836B2 (ja) 油圧式エレベーターのプランジャー研磨装置
KR20190099885A (ko) 크래들용 보빈롤러
KR20010014018A (ko) 섬유 기계, 특히 직물 기계용 롤링 베어링에 장착되는 압압 롤러
KR101989747B1 (ko) 커버링머신의 가이드롤러
KR101628313B1 (ko) 복사기 카세트 급지역전롤러의 개선된 동작구조
JP2004337153A (ja) たばこから異物を除去する装置
KR100907186B1 (ko)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JP5931765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CN108660588A (zh) 一种圆织机摆杆装置
SU1416416A1 (ru) Мотальный вал
CN212223254U (zh) 一种耐磨损分纱筒装置
KR20050097702A (ko) 재봉틀용 교체식 북
JP2003189768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CN209195959U (zh) 一种免维护胶辊轴套
KR100562062B1 (ko) 염색기계의 염료 누유 방지 롤러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