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0785A - 차량번호 인식없는 노외주차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번호 인식없는 노외주차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0785A
KR20210140785A KR1020200057629A KR20200057629A KR20210140785A KR 20210140785 A KR20210140785 A KR 20210140785A KR 1020200057629 A KR1020200057629 A KR 1020200057629A KR 20200057629 A KR20200057629 A KR 20200057629A KR 20210140785 A KR20210140785 A KR 20210140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breaker
parking management
management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차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킹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킹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킹패스
Priority to KR1020200057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0785A/ko
Publication of KR20210140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0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K9/0062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40/00Transportation facility access, e.g. fares, tolls or p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8Detecting or categorising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노외주차장에서 차량번호 인식 없이 주차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번호 인식없는 노외주차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들에 대하여 진입하기 직전부터 이동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이동객체에 대해 주차관리코드를 부여한후, 이후부터 주차관리코드가 부여된 이동객체에 대해 이동차량 추적정보와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이동객체를 연속하여 추적함과 아울러 모니터에 표시하여 주차차량을 주차관리코드와 연계하여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번호를 전용의 정밀 카메라로 인식하지 않으면서도 주차 차량들에 대해 주차관리를 할 수 있어서 주차설비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차량번호 인식없는 노외주차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OFF-STREET PARKING MANAGEMNET SYSTEM WITHOUT VEHICLE NUMBER RECOGNITION AND ITS METHOD}
본 발명은 노외주차장에서 차량번호의 인식없이 주차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번호 인식없는 노외주차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외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에 대해 이동객체로 인식하고 해당 이동객체에 고유번호를 부여한 후, 해당 고유번호와 연계하여 차량의 이동, 입차, 주차, 출차까지 영상처리를 통하여 실시간 추적을 수행하여 주차관리를 하도록 함으로써 차량번호인식 없이 주차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여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주차관리설비의 시설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번호 인식없는 노외주차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외주차장이라 함은 도로 위에 주차구획선을 그어놓고 주차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노상주차장과는 달리, 도로의 노면 밖 지붕이 없는 공터에 있는 주차 공간 또는 주차 시설을 의미하는 것으로, 택지개발사업, 산업단지개발사업, 도시재개발사업, 도시철도건설사업, 그 밖에 단지 조성 등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을 시행할 때에는 일정 규모 이상의 노외주차장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고, 노외주차장은 그 노외주차장을 설치한 자가 관리하며, 관리자는 주차장에 자동차를 주차하는 사람으로부터 주차요금을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노외주차장은 도로의 노면 밖 공터에 설치하게 되므로 대부분 규모가 작고 영세하기 때문에 주차관리원이 차량주차시간을 관리하여 요금을 징수하는 유인 주차관리시스템이 대부분인데, 주차관리원의 식사나 화장실 등 개인 용무시 관리가 어렵고, 관리구역 크기에 대한 담당인력의 공간적 관리에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한편, 무인 주차관리시스템으로 운영하는 경우에는 주차면마다 통제관리를 위한 각각의 제어설비와 무인정산기를 구비하여야 함에 따라 설치 및 유지 관리에 많은 비용이 발생되므로, 주차대수가 많지 않은 노외주차장에서는 초기 투자비용이 높은 무인자동화시스템의 도입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주차장의 진입구에는 진입제어 주차차단기가 설치되는 한편 진출구에는 진출제어 주차차단기가 설치되고, 각 차단기의 입구측 바닥에는 주차장으로 진입하거나 주차장에서 진출하려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하여 해당 차단기를 개방해 주기 위한 진입감지용 루프센서가 매립설치되는 한편 각 차단기의 출구측 바닥에는 진입제어 주차차단기를 벗어나거나 진출제어 주차차단기를 벗어난 차량을 감지하여 해당 차단기를 다시 폐쇄위치로 구동하기 위한 진출감지용 루프센서가 매립설치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진입감지용 루프센서나 진출감지용 루프센서를 바닥에 매립하고 차단기나 콘트롤러 등과 연결하기 위한 설치작업이 복잡하였고, 차단기가 도로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경우 진입감지용 루프센서나 진출감지용 루프센서를 도로변측에 설치하기 곤란하였으며, 이에 따라 차단기를 도로변에서 들어온 주차장 내측에 설치하다보면 주차장 활용면적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등록특허공보 제10-1726986호에서는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에 대하여 진입하기 직전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차량번호는 이후부터 이동차량 추적정보와 연결되어 논리적으로 차량번호를 포함한 이동객체를 연속하여 추적함과 아울러 모니터에 표시하여 주차차량을 차량번호와 연계하여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된 이동차량 추적에 의한 노외주차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차량번호인식카메라를 이용하여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이후 차량번호와 연계하여 진입차량의 주차관리를 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므로 차량번호 인식을 위한 설비로서 정밀 카메라를 필요로 하여 주차설비 구현에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307234호(2013년09월11일 공고)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726986호(2017년04월13일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들에 대하여 진입하기 직전부터 이동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이동객체에 대해 주차관리코드를 부여한후, 이후부터 주차관리코드가 부여된 이동객체에 대해 이동차량 추적정보와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이동객체를 연속하여 추적함과 아울러 모니터에 표시하여 주차차량을 주차관리코드와 연계하여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번호를 전용의 정밀 카메라로 인식하지 않으면서도 주차 차량들에 대해 주차관리를 할 수 있어서 주차설비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도록 된 차량번호 인식없는 노외주차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해결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번호 인식없는 노외주차 관리시스템은, 주차장 출입로를 열거나 닫아 진입차량과 진출차량을 통제하는 주차차단기를 구비하고 있는 노외주차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주차장 입구를 포함하여 전 주차구역을 촬영하여 주차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전방위 추적카메라;
주차장 진출입구에 설치되는 주차차단기의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에 접근하는 차량의 위치를 비접촉식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스테레오로 촬영하여 주차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스테레오카메라;
상기 전방위 추적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이동객체를 추출하되, 상기 이동객체 중에서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에 대해 주차관리코드를 생성하여 신규 레코드로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주차관리코드 생성모듈,
상기 주차관리코드 생성모듈에 의해 주차관리코드가 생성된 차량에 해당하는 이동객체에 대해 주차관리코드를 연결하여 차량 출차시까지 이동을 추적하는 차량추적모듈;
상기 주차관리코드가 생성된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차량의 차량관리코드와 연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위치계산모듈,
상기 스테레오카메라가 스테레오로 촬영하여 전송한 주차장 입구영상으로부터 차량위치를 감지하여 주차차단기를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주차차단기 제어모듈,
주차구역내 주차차량의 주차시간을 산출하여 주차요금을 표시하고, 주차요금 납부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요금정산모듈을 구비하는 주차관리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신규 레코드 생성시 해당 차량이 주차차단기를 통과하여 진입한 시간을 함께 저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논리적으로 주차관리코드가 연결된 차량추적영상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차관리서버에는 주차구역내 주차차량의 주차시간을 상기 주차관리코드를 기준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주차요금을 산출하고 무인으로 결제받을 수 있도록 된 무인 주차요금정산기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인 주차요금정산기에는 전방위 추적카메라에서 전송되는 주차구역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가 구비되고, 상기 표시부 내 영상의 차량에는 주차관리코드 생성모듈에서 생성되어 논리적으로 연결되는 주차관리코드가 중첩 표시되며, 해당 주차관리코드가 중첩 표시된 차량을 터치하면 요금결제를 수행하는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번호 인식없는 노외주차 관리방법은, 전방위 추적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항시 주차장 외부에서 주차장 입구에 설치된 진입제어 주차차단기로 접근하는 차량을 이동객체로 추출하여 주차관리코드를 생성한 후 신규 레코드로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스테레오카메라로 주차장 입구를 촬영하여 주차장 입구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주차장 입구영상을 분석하여 차량이 진입제어 주차차단기 개방위치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베이스검색을 통해 주차관리코드가 생성된 차량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진입제어 주차차단기를 개방상태로 구동하는 단계;
상기 스테레오카메라의 주차장 입구영상을 분석하여 차량이 진입제어 주차차단기의 폐쇄위치에 도달하면 진입제어 주차차단기를 폐쇄상태로 구동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진입시간을 저장하는 단계;
전방위 추적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진입제어 주차차단기를 통과하여 주차장 내로 진입하는 차량에 대해 상기 주차관리코드를 연결하여 출차시까지 시간기준으로 계속 위치를 추적하고, 주차관리코드별로 해당 차량의 시간기준 위치를 주기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주차관리정보 저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주차관리정보 저장단계에서 무인 주차요금정산기를 통해 주차요금 정산요청이 이루어지면 요금정산모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분석하여 표시부를 통해 주차요금을 안내하고 주차요금을 결제하도록 안내한 후, 요금결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하도록 하는 일련의 주차요금 정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주차관리정보 저장단계에서 스테레오카메라로 주차장 출구를 스테레오영상으로 촬영하여 주차장 출구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주차장 출구영상을 분석하여 차량이 진출제어 주차차단기 개방위치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차량의 주차관리코드를 기준으로 데이터베이스검색을 통해 주차요금이 사전 정산된 차량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주차요금 정산이 확인되면 진출제어 주차차단기를 개방상태로 구동하는 한편 주차요금이 사전 정산된 차량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주차요금 정산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스테레오카메라의 스테레오영상을 분석하여 진출제어 주차차단기를 통과한 차량이 진출제어 주차차단기의 폐쇄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진출제어 주차차단기를 폐쇄상태로 구동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진출시간을 저장한 후 해당 주차관리코드를 갖는 차량의 차량추적동작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노외주차장에 주차하는 차량의 주차요금 징수를 위해 주차장의 진출입구를 통과하는 차량이나 주차구역에 주차하고 있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차량번호를 인식하기 위한 고정밀의 차량번호인식카메라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주차관리를 위한 설비비용을 줄일 수 있고 개인정보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차량 추적에 의한 노외주차 관리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노외주차장내 진입 및 진출하는 차량의 추적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입제어 주차차단기의 제어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출제어 주차차단기의 제어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번호 인식없는 노외주차 관리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번호 인식없는 노외주차 관리시스템은, 주차구역 내 현장 설비로서 이동차량 추적용 전방위 추적카메라(10), 스테레오카메라(20), 주차차단기(30) 및 무인 주차요금정산기(40)가 정보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구성하는 이더넷(50)을 통해 주차관리서버(60)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더넷(50)과 각 현장 설비 사이에는 허브(도시되지 않음) 등을 매개로 연결된다.
상기 이더넷(50)은 각 카메라(10)(20)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주차관리서버(60)로 전송하여 이동차량을 추적하도록 하거나, 주차관리서버(6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각 현장 설비에 전송하여 각 현장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허브는 각 현장 설비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먼저, 전방위 추적카메라(10)는 도 2에서 C로 표시한 바와 같이, 주차장내 전 주차구역(100)을 촬영한 주차구역 영상을 주차관리서버(60)의 주차관리코드 생성모듈(61)과 차량추적모듈(63)로 전송한다.
상기 주차관리코드 생성모듈(61)에서는 상기 전방위 추적카메라(10)로 촬영한 영상중 주차장 외부에서 주차장 입구에 설치된 진입제어 주차차단기(31)로 접근하는 차량을 신규 이동객체로 추출하여 주차관리코드를 생성한 후 신규 레코드로서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한다.
상기 주차관리코드는 년월일 정보와 일련번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일련번호는 매일매일 당일 진입순서에 따라 1번부터 차례로 부여될 수 있다. 예컨대, 년, 월, 일 정보는 각각 2자리 코드로 생성하도록 하고, 일련번호는 6자리로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2020년 1월 12일 16번째로 진입한 차량의 주차관리코드는 [200102000016]가 된다.
이후 상기 차량추적모듈(63)에서는 전방위 추적카메라(10)로부터 수신하는 주차구역 영상에서 이동객체인 차량을 추출할 때 상기 주차관리코드를 기준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이동객체인 차량의 이동, 주차, 진출에 따른 위치를 주차관리코드별로 시간을 기준으로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차량추적모듈(63)은 본 실시예에서 주차관리서버(60)내에 탑재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전방위 추적카메라(10)내에 탑재되거나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전방위 추적카메라(10)는 다수의 카메라가 내장되어 있어서 사방을 동시에 촬영하여 한 지점에서 360도 방향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예컨대 4개의 카메라가 90도 각도로 배치되어 사방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전방위 추적카메라(10)에서 촬영한 영상에는 전 주차구역 내에서 이동하거나 주차하고 있는 다수의 차량이 포함되어 있어서 차량추적모듈(63)에서는 동시에 여러 차량의 움직임을 실시간 추적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전방위 추적카메라(10)는 주차구역의 크기에 따라 한 대 이상 설치될 수 있으나, 대부분의 노외주차장이 소규모라는 점에서 한 대만 설치하여도 무방할 수 있다.
스테레오카메라(20)는 도 2에서 B로 표시한 바와 같이, 진입 또는 진출 측의 주차차단기(30) 직전에 설정된 차단기 개방위치에 접근하는 차량이나, 주차차단기(30) 직후에 설정된 차단기 폐쇄위치를 막 통과한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여 주차차단기(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주차차단기(30)는 주차장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출입차량을 통제하기 위한 것으로, 진입구에 설치되는 진입제어 주차차단기(31)와 진출구에 설치되는 진출제어 주차차단기(32)로 분리구성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주차차단기(30)로 진입과 진출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진입제어 주차차단기(31)는 평소 닫혀 있어서 노외주차장에 주차하고자 주차장 진입구로 접근하는 차량을 일단 정지하도록 막고 있다가, 차단기 개방위치를 통과하면서 주차관리코드의 생성이 확인되면 열어주어 차량이 통과하도록 하며, 해당 차량이 진입제어 주차차단기의 작동범위를 벗어난 위치 즉 진입제어 주차차단기가 폐쇄위치로 내려왔을 때 충돌하지 않는 위치에 설정된 주차차단기 폐쇄위치를 통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다시 닫아 다음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도록 작동된다.
이와 유사하게, 진출제어 주차차단기(32)는 주차장에서 출차하고자 주차장 진출구로 접근하는 차량을 일단 정지하도록 막고 있다가 주차차단기 개방위치를 통과할 때 주차요금이 정산된 차량인 것으로 확인되면 열어주어 차량이 통과하도록 하며, 해당 차량이 진출제어 주차차단기(32)의 작동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설정된 주차차단기 폐쇄위치를 통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다시 닫아 다음 차량의 진출을 통제하도록 작동된다.
이를 위해 차량이 주차차단기(30)를 중심으로 진입측 소정 위치에 설정되는 주차차단기 개방위치까지 접근하였는지, 그리고 주차차단기를 지나 진출측 소정 위치에 설정되는 주차차단기 폐쇄위치를 통과하였는지를 감지할 필요성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차량이 상기 주차차단기 개방위치와 주차차단기 폐쇄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스테레오카메라(20)에서 스테레오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감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 채용되는 스테레오카메라(20)는 2개의 카메라가 평행하게 배치된 스테레오 카메라로 이루어져, 상기 2개의 카메라에서 동시에 촬영된 영상신호에서 이동객체인 차량을 추출하고, 추출된 이동객체에 대해 양안시차에 따라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스테레오카메라(20)는 주차차단기(30)의 주차차단기 개방위치와 주차차단기 폐쇄위치에 접근하는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이저 거리측정기를 비롯하여 거리측정을 할 수 있는 다른 수단의 거리측정기로 대체할 수도 있다.
한편, 현장 설비로서 무인 주차요금정산기(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무인 주차요금정산기(40)는 주차관리코드를 입력하면 해당 주차관리코드가 주차관리서버(60)의 요금정산모듈(64)로 전송되고, 요금정산모듈(64)에서는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차량의 주차시간을 분석하고 주차시간에 대응된 주차요금을 무인 주차요금정산기(40)로 전송하여 표시부(41)에 표시하며, 상기 무인 주차요금정산기(40)를 통해 현금 또는 카드로 주차요금을 결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주차요금 결제정보는 주차관리코드와 연계되어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된다.
또한, 주차요금을 정산하는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무인 주차요금정산기(40)에는 주차구역을 촬영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41)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표시부(41)는 터치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운전자가 키패드를 통해 자신의 주차관리코드를 입력하는 대신에 표시부(41)의 영상 속에서 자신의 차량을 터치하면 위와 마찬가지로 해당 주차관리코드가 주차관리서버(60)의 요금정산모듈(64)로 전송되어 요금결제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위치계산모듈(62)은 전방위 추적카메라(10)로부터 수신된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을 이동객체로서 추출하고 해당 차량의 실시간 위치를 계산한 후, 상기 주차관리코드 생성모듈(61)에서 인식한 주차관리코드와 연결하여 차량의 위치를 시간기준으로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한다.
상기 위치계산모듈(62)에서는 예컨대 상대좌표계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결정한다. 즉, 주차구역의 특정지점을 좌표원점으로 정하고, 좌표원점을 중심으로 만나는 도로면을 X축 평면, 좌표원점을 지나는 도로면에 수직하면서 차량주행방향과 평행한 평면을 Z축 평면, 좌표원점을 지나는 도로면에 수직하면서 차량주행방향과 직교한 평면을 Y축 평면으로 하는 미터 단위의 3차원 좌표계를 사용할 수 있다.
실제 좌표계 설정방법은 주차구역 도면에서 카메라 시스템을 설치하는 지점을 기준점으로 결정하여 기준점과 도로면이 만나는 점을 3차원 좌표계의 좌표원점(X=0, Y=0, Z=0)으로 정하고, 도로면에 해당하는 가상 평면을 3차원 좌표계의 X축 평면, X축 평면과 직교하며 도로 주행방향과 평행한 가상평면을 Z축 평면, 그리고 X축 평면과 직교하고 Z축 평면에 직교하는 평면을 Y축 평면으로 정하여 3차원 좌표계를 결정한다.
상기 3차원 좌표계의 단위는 미터를 사용할 수 있고, 설치된 카메라의 위치를 도면에 표시하게 되면 각 카메라 좌표가 결정 된다. 카메라가 설치되어 향하고 있는 방향이 카메라의 뷰벡터(x,y,z)가 되며, 영상에 나타난 차량위치는 카메라에서 차량 사이의 거리만 구하면 카메라의 상대적 위치값으로 차량의 상대위치를 전체에 대한 절대좌표계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든 카메라(10,20)는 초기 설치시 카메라의 위치가 결정되며, 전방위 추적카메라(10)의 뷰벡터와 도로면의 교차점을 구하면 주차관리코드가 생성된 차량의 위치가 결정된다.
다음에는 차량추적모듈(63)이 주차구역에 진입, 이동, 주정차 또는 통과, 진출하는 차량의 추적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노외주차장내 진입 및 진출하는 차량의 추적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전방위 추적카메라(10)는 주차구역(100)을 전체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고, 스테레오카메라(20)가 주차장 출입구를 정면으로 촬영할 수 있는 소정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전방위 추적카메라(10)는 객체추적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어서 대략 편도 120미터씩 양쪽 240미터까지 감지가 가능한 것으로, 도시된 예에서 1개만 설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주차구역이 넓거나 굴곡되어 1개로 전 주차구역을 촬영할 수 없는 경우에는 복수 개 설치되어 전 주차구역을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먼저, 차량이 주차구역(100)에 주차하기 위하여 주차구역(100) 외부에서 주차차단기(30)로 접근하게 되면, 전방위 추적카메라(10)에서 촬영되는 영상에 포함되어지게 되는데, 상기 전방위 추적카메라(10)에서 촬영되는 영상은 주차관리코드 생성모듈(61)로 전송하고, 주차관리코드 생성모듈(61)에서는 상기 영상 중에서 주차장 입구의 영상을 분석하여 신규 이동객체를 추출한 후 주차관리코드를 생성하여 부여한다.
이와 더불어, 위치계산모듈(62)에서는 스테로오 카메라(20)에서 촬영된 차량의 영상을 분석하여 해당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차량에 대해 상기 주차관리코드 생성모듈(61)에서 생성된 주차관리코드를 위치정보와 연계하여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함과 아울러, 주차구역(100)을 모니터(80)에 도시하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차량에 주차관리코드를 중첩시켜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주차차단기(30)를 통과한 차량이 주차장내로 진입하게 되면 전방위 추적카메라(10)에 의해 지속적으로 촬영되는 해당 차량 영상이 차량추적모듈(63)로 전송되어 차량이 이동객체로서 추적된다. 이때 차량이 여러 대인 경우에는 각각 서로 다른 이동객체로 추적된다.
상기 차량추적모듈(63)에서 추적되는 이동객체 정보는 위치계산모듈(62)로 전송되어 각 이동객체마다 해당 이동객체의 위치가 분석되어 식별자(시퀀스코드)와 함께 데이터베이스(70)에 신규 레코드로서 저장된다.
또한, 주차구역(100)에 진입하는 차량은 주차차단기(30)를 통과하기 직전에 전방위 추적카메라(10)에 의해 촬영되어 주차관리코드 생성모듈(61)로 전송되고, 상기 주차관리코드 생성모듈(61)에서는 상기 전방위 추적카메라(1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으로부터 이동객체를 추출하여 주차관리코드를 신규 생성한 후, 신규 생성된 주차관리코드를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하게 되며, 또한 위치계산모듈(62)에서는 상기 전방위 추적카메라(10)의 영상으로부터 차량 위치를 분석하여 주차관리코드를 포함하여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하면서, 모니터(80)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는 차량의 이동에 따라 해당 차량의 주차관리번호도 함께 이동되면서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상기 차량추적모듈(63)에서 추출한 이동객체에 대한 위치정보는 상기 스테레오카메라(20)에서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추출되는 이동객체에 해당하는 차량에 대한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일치되는 위치정보를 갖는 주차관리코드와 이동객체를 논리적으로 연결하고, 이후부터는 전방위 추적카메라(10)에서 촬영된 영상 중에서 상기와 같이 주차관리코드가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이동객체로 추출된 차량이 이동하게 되면 생성된 주차관리코드와 연결하여 이동을 추적하면서 모니터(8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더불어, 위와 같이 주차구역(100)에 진입하는 차량이 감지되면 주차차단기(30)에 진입하기 시작하는 시점부터 주차차단기(30)를 진출하는 시점까지 전방위 추적카메라(10)에서 촬영되는 동영상을 추출하여 동영상으로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이 주차구역에 진입하기 시작하여 진출할 때까지 주차관리코드와 연결된 이동객체로서 차량의 이동을 추적함으로써 차량번호를 인식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설혹 차량이 주차구역 내에서 차량번호가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에 주차하거나, 앞뒤 차량에 의해 차량번호가 보이지 않거나, 차량번호를 가리더라도 정확하게 주차관리 대상 차량들의 주차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동영상은 주차시간이나 주차여부에 대하여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 증거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주차관리서버(60)에는 전방위 추적카메라(10)에서 전송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차량의 진입, 이동, 주정차, 진출 등의 상황을 관리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8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모니터(80)에 디스플레이되는 차량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관리코드 생성모듈(61)에서 생성되어 부여된 주차관리코드를 연결하여 해당 주차관리코드가 중첩되게 표시되어 차량의 주차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주차차단기 제어모듈(65)은 진출제어 주차차단기(32)의 차단기 개방위치에 차량이 접근하면 데이터베이스(70)를 검색하여 해당 차량이 주차요금을 결체한 차량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주차요금 결제가 확인된 차량이면 진출제어 주차차단기(32)를 열어주어 출차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주차요금을 결제하지 않은 차량이면 진출제어 주차차단기(32)를 열어주지 않고 주차요금을 결제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주차요금을 결제한 차량이라고 하더라도 해당 차량이 주차요금 결제 후 소정 시간을 경과한 차량으로 판단되면 주차요금을 추가 납부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70)에는 차량이 진입제어측 주차차단기(31)에 접근하면서부터 시작하여 진출제어측 주차차단기(32)로 출차할 때까지 주차관리코드와 연계하여 주차정보를 저장한다. 예컨대 상기 주차정보로는 주차관리코드, 주차차단기 진입시간, 주차차단기 출차시간, 주차요금, 주차요금정산 여부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추가로 전방위 추적카메라(10)에서 촬영되는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입제어 주차차단기의 제어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전방위 추적카메라(10)는 항시 주차차단기(30)의 외측 입구를 포함하여 전 주차구역(100)을 촬영한 영상을 주차관리서버(60)로 전송한다.
이때 주차관리서버(60)에서는 주차관리코드 생성모듈(61)이 전방위 추적카메라(10)로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항시 주차장 외부에서 주차장 입구에 설치된 진입제어 주차차단기(31)로 접근하는 차량을 신규 이동객체로 추출하여 주차관리코드를 생성하여 부여한 후 신규 레코드로서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함과 아울러 모니터(8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스테레오카메라(20)로 주차장 입구를 촬영하여 주차장 입구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주차장 입구영상을 위치계산모듈(62)로 전송하며, 상기 위치계산모듈(62)에서는 스테레오카메라(20)로부터 수신된 주차장 입구영상을 분석하여 신규로 추출되는 이동객체의 위치정보를 산출한 후 상기 전방위 추적카메라(10)에서 촬영하여 추출한 이동객체의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전방위 추적카메라(10)에서 추출한 이동객체와 상기 스테레오카메라(20)에서 촬영하여 추출한 이동객체를 동일한 주차관리코드로 대응시켜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하고, 이후부터 전방위 추적카메라(10)에서 해당 이동객체가 이동할 때마다 주차관리코드를 연결하여 추적한다.
이후, 상기 스테레오카메라(20)로부터 수신된 주차장 입구영상의 분석결과 차량이 진입제어 주차차단기(31) 개방위치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베이스검색(70)을 통해 주차관리코드가 생성된 차량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주차관리코드가 생성된 차량인 것으로 판단되면 진입제어 주차차단기(70)를 개방상태로 구동한다.
나아가 전방위 추적카메라(10)에 촬영된 영상은 모니터(80)로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되는데, 특히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주차관리코드가 연결된 차량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상에서도 주차관리코드가 해당 차량에 중첩되어 표시됨으로써 주차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주차관리코드의 중첩표시는 차량이 진입, 이동, 주차 및 출차하는 과정내내 계속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주차관리코드를 부여한한 차량이 외부에서 주차차단기(30)로 접근하면 스테레오카메라(20)에서 전송되는 스테레오영상을 분석하여 진입제어 주차차단기 개방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진입제어 주차차단기(31) 개방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주차차단기 제어모듈(65)에서는 진입제어 주차차단기(31)가 개방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스테레오카메라(20)에서 전송되는 스테레오영상을 분석하여 진입제어 주차차단기(31)를 통과한 차량이 진입제어 주차차단기(31) 폐쇄위치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진입제어 주차차단기(31) 폐쇄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주차차단기 제어모듈(65)에서는 진입제어 주차차단기(31)가 폐쇄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이어, 주차구역(100)내로 진입한 차량이 임의의 주차면으로 이동하여 주차할 때까지 추적하며, 임의의 주차면에 주차하고 있으면 데이터베이스(70)에는 해당 주차면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70)에는 차량이 진입제어 주차차단기(31)를 통과한 시간정보도 함께 저장한다.
주차되어 있던 차량이 출차하고자 하는 경우 주차요금정산은 차량이 주차면 내에 주차되어 있거나 진출제어 주차차단기(32) 폐쇄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무인 주차요금정산기(40) 또는 주차관리원에게 직접 납부하는 등의 기타 방법으로 정산할 수 있으며, 정산내역은 해당 주차관리코드와 연결하여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출제어 주차차단기의 제어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주차구역 내에 주차되어 있던 차량이 진출제어 주차차단기(30)로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스테레오카메라(20)에서 전송되는 스테레오영상을 분석하여 진출제어 주차차단기 개방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주차차단기 제어모듈(65)에서는 데이터베이스(70)를 검색하여 무인 주차요금정산기(40) 또는 주차관리원에게 직접 납부하는 등의 기타 방법으로 주차요금을 정산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주차차단기 제어모듈(65)에서 주차요금을 납부한 차량이 진출제어 주차차단기 개방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되면 주차차단기(30)가 개방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스테레오카메라(20)에서 전송되는 스테레오영상을 분석하여 주차차단기를 통과한 차량이 진출제어 주차차단기 폐쇄위치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진출제어 주차차단기 폐쇄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주차차단기 제어모듈(65)에서는 주차차단기(30)가 폐쇄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진출제어 주차차단기 개방위치에 도달한 차량이 주차요금을 정산하지 않은 차량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주차차단기(30)를 개방하지 않고 별도의 음성 또는 영상 안내수단을 이용하여 주차요금을 정산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어, 출차한 차량의 출차시간을 해당 차량에 부여된 주차관리코드에 연결하여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되는 정보는 소정 기간 경과 후 삭제될 수 있다.
만일 주차요금을 정산하지 않은 차량이 출차한 경우에는 해당 차량이 주차구역(100)에 진입하여 주차한 후 출차할 때까지 주차관리코드와 연결하여 촬영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근거로 차량번호를 확인한 후 주차요금을 납부하도록 통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전방위 추적카메라, 30 -- 스테레오카메라,
30 -- 주차차단기, 40 -- 무인주차요금정산기,
50 -- 이더넷, 60 -- 주차관리서버,
61 -- 주차관리코드 생성모듈 62 -- 위치계산모듈,
63 -- 차량추적모듈, 64 -- 요금정산모듈,
65 -- 주차차단기 제어모듈, 70 -- 데이터베이스,
80 -- 모니터, 100 -- 주차구역.

Claims (9)

  1. 주차장 출입로를 열거나 닫아 진입차량과 진출차량을 통제하는 주차차단기를 구비하고 있는 노외주차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주차장 입구를 포함하여 전 주차구역을 촬영하여 주차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전방위 추적카메라;
    주차장 진출입구에 설치되는 주차차단기의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에 접근하는 차량의 위치를 비접촉식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스테레오로 촬영하여 주차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스테레오카메라;
    상기 전방위 추적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이동객체를 추출하되, 상기 이동객체 중에서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에 대해 주차관리코드를 생성하여 신규 레코드로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주차관리코드 생성모듈,
    상기 주차관리코드 생성모듈에 의해 주차관리코드가 생성된 차량에 해당하는 이동객체에 대해 주차관리코드를 연결하여 차량 출차시까지 이동을 추적하는 차량추적모듈;
    상기 주차관리코드가 생성된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차량의 차량관리코드와 연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위치계산모듈,
    상기 스테레오카메라가 스테레오로 촬영하여 전송한 주차장 입구영상으로부터 차량위치를 감지하여 주차차단기를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주차차단기 제어모듈,
    주차구역내 주차차량의 주차시간을 산출하여 주차요금을 표시하고, 주차요금 납부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요금정산모듈을 구비하는 주차관리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번호 인식없는 노외주차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신규 레코드 생성시 해당 차량이 주차차단기를 통과하여 진입한 시간을 함께 저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 인식없는 노외주차 관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논리적으로 주차관리코드가 연결된 차량추적영상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 인식없는 노외주차 관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관리서버에는 주차구역내 주차차량의 주차시간을 상기 주차관리코드를 기준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주차요금을 산출하고 무인으로 결제받을 수 있도록 된 무인 주차요금정산기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 인식없는 노외주차 관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주차요금정산기에는 전방위 추적카메라에서 전송되는 주차구역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가 구비되고, 상기 표시부 내 영상의 차량에는 주차관리코드 생성모듈에서 생성되어 논리적으로 연결되는 주차관리코드가 중첩 표시되며, 해당 주차관리코드가 중첩 표시된 차량을 터치하면 요금결제를 수행하는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 인식없는 노외주차 관리시스템.
  6. 전방위 추적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항시 주차장 외부에서 주차장 입구에 설치된 진입제어 주차차단기로 접근하는 차량을 이동객체로 추출하여 주차관리코드를 생성한 후 신규 레코드로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스테레오카메라로 주차장 입구를 촬영하여 주차장 입구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주차장 입구영상을 분석하여 차량이 진입제어 주차차단기 개방위치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베이스검색을 통해 주차관리코드가 생성된 차량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진입제어 주차차단기를 개방상태로 구동하는 단계;
    상기 스테레오카메라의 주차장 입구영상을 분석하여 차량이 진입제어 주차차단기의 폐쇄위치에 도달하면 진입제어 주차차단기를 폐쇄상태로 구동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진입시간을 저장하는 단계;
    전방위 추적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진입제어 주차차단기를 통과하여 주차장 내로 진입하는 차량에 대해 상기 주차관리코드를 연결하여 출차시까지 시간기준으로 계속 위치를 추적하고, 주차관리코드별로 해당 차량의 시간기준 위치를 주기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주차관리정보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 인식없는 노외주차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관리정보 저장단계에서 무인 주차요금정산기를 통해 주차요금 정산요청이 이루어지면 요금정산모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분석하여 표시부를 통해 주차요금을 안내하고 주차요금을 결제하도록 안내한 후, 요금결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하도록 하는 일련의 주차요금 정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 인식없는 노외주차 관리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관리정보 저장단계에서 스테레오카메라로 주차장 출구를 스테레오영상으로 촬영하여 주차장 출구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주차장 출구영상을 분석하여 차량이 진출제어 주차차단기 개방위치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차량의 주차관리코드를 기준으로 데이터베이스검색을 통해 주차요금이 사전 정산된 차량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주차요금 정산이 확인되면 진출제어 주차차단기를 개방상태로 구동하는 한편 주차요금이 사전 정산된 차량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주차요금 정산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 인식없는 노외주차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카메라의 스테레오영상을 분석하여 진출제어 주차차단기를 통과한 차량이 진출제어 주차차단기의 폐쇄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진출제어 주차차단기를 폐쇄상태로 구동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진출시간을 저장한 후 해당 주차관리코드를 갖는 차량의 차량추적동작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 인식없는 노외주차 관리 방법.
KR1020200057629A 2020-05-14 2020-05-14 차량번호 인식없는 노외주차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40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629A KR20210140785A (ko) 2020-05-14 2020-05-14 차량번호 인식없는 노외주차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629A KR20210140785A (ko) 2020-05-14 2020-05-14 차량번호 인식없는 노외주차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0785A true KR20210140785A (ko) 2021-11-23

Family

ID=78694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629A KR20210140785A (ko) 2020-05-14 2020-05-14 차량번호 인식없는 노외주차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078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30056A (zh) * 2022-02-15 2022-05-24 超级视线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定位信息和图像信息的停车管理方法及系统
CN115083053A (zh) * 2022-06-15 2022-09-20 深圳市银河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社区门禁系统及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234B1 (ko) 2012-07-10 2013-09-11 (주)에스디시스템 객체인식 기반의 주차관리 시스템
KR101726986B1 (ko) 2016-07-06 2017-04-13 주식회사 파킹패스 이동차량 추적에 의한 노외주차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234B1 (ko) 2012-07-10 2013-09-11 (주)에스디시스템 객체인식 기반의 주차관리 시스템
KR101726986B1 (ko) 2016-07-06 2017-04-13 주식회사 파킹패스 이동차량 추적에 의한 노외주차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30056A (zh) * 2022-02-15 2022-05-24 超级视线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定位信息和图像信息的停车管理方法及系统
CN115083053A (zh) * 2022-06-15 2022-09-20 深圳市银河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社区门禁系统及控制方法
CN115083053B (zh) * 2022-06-15 2023-11-21 深圳市银河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社区门禁系统及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6986B1 (ko) 이동차량 추적에 의한 노외주차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40757B1 (ko) 이동차량 추적에 의한 주차 관리장치
KR102012799B1 (ko) 차량인식기 및 이 차량인식기를 이용한 무인주차시스템 및 이 무인주차시스템의 무인주차방법
KR100796266B1 (ko) 주차 관제 시스템
JP5368105B2 (ja) 駐車管理システム
KR101343102B1 (ko) 지능형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08917B1 (ko) 이동차량 추적에 의한 주차관제시스템
KR101857421B1 (ko) 스마트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정보 처리장치
KR20190046616A (ko)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101127876B1 (ko) 차량번호 이중인식 주차관리시스템 및 주차관리방법
KR20210140785A (ko) 차량번호 인식없는 노외주차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18850B1 (ko) 다차로요금징수장치
KR101625383B1 (ko) 주차관리 시스템
KR101003333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00990A (ko) 다차로 기반의 차량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8092975U (zh) 基于长短焦距相机实现半封闭车场管理的系统
TWM495593U (zh) 停車場管理系統
KR20220158189A (ko)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의 주차장을 도착시간에 맞춰 빈자리를 예측하는 주차장 검출 시스템 및 방법
CN109448141A (zh) 一种停车费自助缴费方法及自助缴费机
JP7308551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KR101325108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한 무인 주차 장치
KR101249450B1 (ko) 주차요금 징수 시스템
KR20200072291A (ko) 주차장 차단기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2266617B1 (ko) 주차장 통합 관리시스템
JP7220530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駐車場管理装置、駐車場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