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8896A -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8896A
KR20210138896A KR1020200056913A KR20200056913A KR20210138896A KR 20210138896 A KR20210138896 A KR 20210138896A KR 1020200056913 A KR1020200056913 A KR 1020200056913A KR 20200056913 A KR20200056913 A KR 20200056913A KR 20210138896 A KR20210138896 A KR 20210138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tatic electricity
substrate
wound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0469B1 (ko
Inventor
김상우
최병옥
김형택
강민기
김영준
염한엽
강우석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56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469B1/ko
Priority to US17/110,673 priority patent/US11517748B2/en
Publication of KR20210138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8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1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the fluid retention member being a layer of hydrocolloid, gel form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0Applying static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2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characterized by parametric properties of the fluid retention layer, e.g. absorbency, wicking capacity, liquid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68Specially adapted for promoting wound hea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61N1/0496Patch electrodes characterised by using specific chemical compositions, e.g. hydrogel compositions,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12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39/123Making multilayered art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93Flexible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9Use of materials for the conductive, e.g. metallic patter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11Working of insulating substrates or insulating layers
    • H05K3/0014Shaping of the substrate, e.g. by 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19Plasters containing means for physical therapy, e.g. cold or 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83/00Use of polymers hav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in the main chain,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58Liquid or visquous
    • B29K2105/0061Gel or s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03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29K2995/0005Condu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53Medical equipment;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3Conductive materials
    • H05K2201/032Materials
    • H05K2201/0329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 [ICP]; Semiconductive polym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118Moulded substr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에 관한 것이고, 또한 이러한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체에 상시 발생 및 축적되는 인체 정전기를 전력원으로 사용하여 전도성 하이드로젤에 전하를 유도하여 환부에 AC 타입의 전기장을 인가하여 상처치료를 가속화 시키는 발명으로 외부 전력원이 필요없고 환경에 제약받지 않고 상시구동이 가능해 환자의 편의성을 기존의 전기장을 이용한 치료용 패드에 비해 비약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WOUND TREATMENT BANDS USING ELECTROSTATIC FOR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본 발명은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에 관한 것이고, 또한 이러한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처 치료용 밴드는 일반 밴드와 습윤 밴드가 존재하며, 일반 밴드는 상처 부위에 거즈가 부착돼 진물을 흡수하며 주로 간단한 보호가 필요한 상처에 사용한다. 습윤 밴드의 경우 피부가 상처를 입은 후 발생하는 삼출물(진물)을 흡수하고 출혈 또는 체액 손실 및 오염방지, 습윤 환경 조성이 필요할 때 사용한다.
최근 흉터가 남지 않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습윤 밴드는 주로 가벼운 찰과상(마찰 등으로 피부가 손상되거나 떨어져 나간 상태)일 때 사용하며, 화상이나 물집이 생겼을 때, 깊은 상처 및 감염된 상처는 습윤 밴드 사용이 불가능하다.
상기 언급된 한계 및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전기자극을 이용한 상처 치료용 패드가 개발되고 연구되고 있으나 외부 배터리 혹은 전원을 통해 전도성 패드에 전기를 인가하여 환부 주위에 DC 타입의 전기장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전력원과 전선으로 연결이 되어야 구동이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환자가 일상생활을 하는데에 불편함이 있으며 상시구동을 할 시 전력 소모가 크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상처 치료용 밴드는 상처 부위에 부착하여 자상 등의 상처를 치료하는 밴드로 일반적으로는 외부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막고 상처의 악화를 방지하여 상처 치료를 돕는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약물을 첨가한 상처 치료용 밴드 개발로 상처 치료 효율을 높은 치료용 밴드가 있으나, 상기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전기자극을 이용한 상처 치료용 전기자극 패드 등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 또한 상기 언급된 한계점에 의해 지속적인 치료를 요구하는 상처 치료용 밴드로서 역할 하기에 제한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 정전기를 기반으로 상처 부위 및 종류에 무관하며 전력원의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한 상처 치료용 밴드를 제작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는 주변 전자기기 및 인체와 주변환경과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인체정전기를 전력원으로 상시 구동가능한 인체정전기 기반 상처치료 밴드를 개발하여 환부의 치료속도 개선 및 환자의 편의성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는, 점착성 있는 폴리머로 이루어진 기판; 상기 기판의 일면의 일부 영역에 노출되어 배치된 제 1 전극; 및 상기 기판의 일면의 상기 제 1 전극이 배치된 영역의 나머지 영역에서 상기 제 1 전극과 이격된 채로 상기 기판 내에 인캡슐레이션 되어 배치된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하이드로겔 또는 전기 전도성을 갖는 연성 폴리머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밴드를 상처 부위에 부착할 경우 환부에서 상기 제 1 전극은 레지스터(resistor) 연결을 이루고 상기 제 2 전극은 커패시터(capacitor) 연결을 이룸으로써 두 전극 사이의 신호 딜레이가 발생되어 두 전극 사이에 전기장이 발생되어 상처 부위에 전기적 자극을 인가한다.
상기 전기장은 두 전극 사이의 신호 딜레이에 의한 위상차에 의해 AC 전기장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의 부착 방법은,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를 상처 부위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처 부위가 상기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의 두 전극 사이에 위치하도록 부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의 제조 방법은, 1) 점착성 있는 폴리머 물질 용액을 몰드에 넣고 굳혀서 기판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기판은 몰딩 이후 일면에 깊이가 상이한 두 개의 홈을 포함하도록 몰딩을 하는, 기판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몰드에서 기판을 떼어내는 단계; 3) 상기 기판의 두 개의 홈에 전기 전도성을 갖는 하이드로겔 용액 또는 전기 전도성을 갖는 연성 폴리머 용액을 넣은 후 굳히는 단계로서, 어느 하나의 홈은 가득 채우지 않도록 용액을 넣은 후 굳히는 단계; 및 4) 상기 용액이 가득 채워지지 않은 홈을 점착성 있는 폴리머 물질 용액으로 채운 후 굳혀서 인캡슐레이션 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2) 단계에서, 떼어낸 기판을 벤조페논(Benzophenone)으로 처리하여 전기 전도성을 갖는 하이드로겔 또는 전기 전도성을 갖는 연성 폴리머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킨다.
상기 3) 단계에서, UV 처리를 통해 기판 물질과 전기 전도성을 갖는 하이드로겔 또는 전기 전도성을 갖는 연성 폴리머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인체에 상시 발생 및 축적되는 인체 정전기를 전력원으로 사용하여 전도성 하이드로젤에 전하를 유도하여 환부에 AC 타입의 전기장을 인가하여 상처치료를 가속화 시키는 발명으로 외부 전력원이 필요없고 환경에 제약받지 않고 상시구동이 가능해 환자의 편의성을 기존의 전기장을 이용한 치료용 패드에 비해 비약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의 제조 방법의 모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인체 정전기 기반 상처 치료용 밴드의 구동 원리에 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의 부착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를 상처 부위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를 상처 부위에 부착하였을 때 오실로스코프를 통한 출력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전체 도면에서 걸쳐 유사한 도면번호는 유사한 엘리먼트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설명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발명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특정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 및 장치들은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블록 다이아그램 형태로 제시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인체 정전기는 일반적으로 주변의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에 의한 유도 전하 및 인체(주로 발)와 환경(주로 바닥)과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유도전하가 체내에 지속적으로 쌓인 것을 의미한다. 전기장을 이용한 상처 치료는 환부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70mV/mm 수준의 전기장에 외부 전기장을 인가하여 증폭함으로써 환부의 세포재생을 증폭시키고 상처의 치료속도를 증폭시키는 방식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는 밴드의 전극 구조를 특별하게 형성하고, 이러한 전극 구조에 의해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인체 정전기를 증폭시킴으로써 상처에 자극 효과를 증폭하여 치료를 상처 치료를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의 제조 방법의 모식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의 제조 방법은, 1) 점착성 있는 폴리머 물질 용액을 몰드에 넣고 굳혀서 기판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기판은 몰딩 이후 일면에 깊이가 상이한 두 개의 홈을 포함하도록 몰딩을 하는, 기판을 제조하는 단계(S 110); 2) 상기 몰드에서 기판을 떼어내는 단계 (S 120); 3) 상기 기판의 두 개의 홈에 전기 전도성을 갖는 하이드로겔 용액 또는 전기 전도성을 갖는 연성 폴리머 용액을 넣은 후 굳히는 단계로서, 어느 하나의 홈은 가득 채우지 않도록 용액을 넣은 후 굳히는 단계(S 130); 및 4) 상기 용액이 가득 채워지지 않은 홈을 점착성 있는 폴리머 물질 용액으로 채운 후 굳혀서 인캡슐레이션 시키는 단계(S 140)를 포함한다.
S 110 단계는 1) 단계로서, 점착성 있는 폴리머 물질 용액을 몰드에 넣고 굳혀서 기판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S 110 단계에서 몰드에 액상의 기판 물질을 붓고 굳힘으로써 기판을 형성하게 된다.
기판으로 이용되는 점착성 있는 폴리머 물질은 1) 단계에서 용액 상태로 준비되어서 몰드(mold)에 넣어서 굳혀짐으로써 기판을 이루게 된다. 점착성 있는 폴리머 물질로는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Silbione, 접착성 테이프 등이 코팅된 연성 부전도체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몰드(mold)는 미리 형태를 가진 채로 준비되며, 도 2에서 처럼 몰드는 몰딩 이후 기판의 일면에 깊이가 상이한 두 개의 홈을 포함하도록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 준비된다. 이러한 몰드는 PTFE 등의 물질로 이루어지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두 개의 홈은 추후 두 개의 전극이 배치되는 위치에 해당하며, 이는 이하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S 120 단계는 2) 단계로서, 몰드에서 기판을 떼어내게 된다. 몰드에서 액상의 기판 물질을 붓고 굳힌 이후, 몰드에서 굳은 기판을 떼어낸다.
2) 단계에서 떼어낸 기판을 벤조페논(Benzophenone)으로 처리하여 전기 전도성을 갖는 하이드로겔 또는 전기 전도성을 갖는 연성 폴리머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10% 벤조페논을 약 5분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부전도성 폴리머(기판 물질)와 전도성 폴리머(전도성 하이드로겔 또는 전도성 연성 폴리머)의 접착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S 130 단계는 3) 단계로서, 기판의 두 개의 홈에 전기 전도성을 갖는 하이드로겔 용액 또는 전기 전도성을 갖는 연성 폴리머 용액을 넣은 후 굳히는 단계이다. 몰드에 의해 형성된 기판의 두 개의 홈에 각각 전기 전도성을 갖는 하이드로겔 용액 또는 전기 전도성을 갖는 연성 폴리머 용액을 부은 후 굳히게 된다. 이 경우 어느 하나의 홈은 가득 채우지 않도록 용액을 넣은 후 굳힌다. 왜냐하면 후술하는 것처럼, 본 발명의 상처 치료용 밴드는 두 개의 전극을 가지며, 어느 하나의 전극은 피부와 직접 맞닿아 레지스터(resistor) 연결을 이루게 되고 나머지 하나의 전극은 피부와 직접 맞닿지 않고 커패시터(capacitor) 연결을 이루기 때문이다. 따라서, 두 개의 전극 홈 중 어느 하나의 전극 홈은 용액을 가득 채우지 않아야 피부와 직접 맞닿지 않는 전극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홈의 깊이가 깊은 쪽을 가득 채우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으로 이용되는 물질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하이드로겔 또는 전기 전도성을 갖는 연성 폴리머가 이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PAAm(polyacrylamide), PDA(polydopamine), PDA-copolymer 또는 NaCl, LiCl, AgNW 등이 첨가된 전도성을 갖는 하이드로젤 및 연성 폴리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3) 단계에서는 UV 처리를 통해 기판 물질과 전기 전도성을 갖는 하이드로겔 또는 전기 전도성을 갖는 연성 폴리머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S 140 단계는 4) 단계로 용액이 가득 채워지지 않은 홈을 점착성 있는 폴리머 물질 용액으로 채운 후 굳혀서 인캡슐레이션 시키는 단계이다. S 130에서 용액이 가득 채워지지 아니한 홈을 점착성 있는 폴리머 물질 용액(기판 물질 용액)으로 채운 후 굳혀서 해당 홈의 전극이 인캡슐레이션 되도록 하는 과정이며 도 2에서 최종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S 110 내지 S 140 단계에 의해 제조된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의 최종적인 형태는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는, 점착성 있는 폴리머로 이루어진 기판(substrate); 상기 기판의 일면의 일부 영역에 노출되어 배치된 제 1 전극(electrode 1); 및 상기 기판의 일면의 상기 제 1 전극이 배치된 영역의 나머지 영역에서 상기 제 1 전극과 이격된 채로 상기 기판 내에 인캡슐레이션 되어 배치된 제 2 전극(electrode 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두 전극이 어느 하나(electrode 1)는 피부와 맞닿고 어느 하나(electrode 2)는 맞닿지 않도록 배치된다. 왜냐하면 피부와 맞닿는 전극(electrode 1)의 경우 피부가 저항체 역할을 하게 되어 레지스터 연결을 하게 되고, 피부와 맞닿지 않는 전극(electrode 2)은 커패시터 연결을 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하나의 전극은 레지스터 연결을 하고 나머지 전극은 커패시터 연결을 하게 됨으로써 도 4에서와 같이 전기 회로적인 차이에 의해 두 전극 사이의 신호의 딜레이가 발생되고, 이에 의해 두 전극 사이에 전기장이 발생되게 된다. 즉, 밴드를 상처 부위에 부착할 경우 환부에서 상기 제 1 전극은 레지스터(resistor) 연결을 이루고 상기 제 2 전극은 커패시터(capacitor) 연결을 이룸으로써 두 전극 사이의 신호 딜레이가 발생되어 두 전극 사이에 전기장이 발생되어 상처 부위에 전기적 자극을 인가하게 된다.
도 4는 인체 정전기 기반 상처 치료용 밴드의 구동 원리에 관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도시된 것처럼, 두 전극에 의한 전기 회로적인 차이에 의해 두 전극 사이의 신호의 딜레이가 발생되어 전기장이 발생되는데, 이는 결국 위상 차이에 의한 AC 전기장의 발생을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의 부착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5에서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를 준비하는 단계(S 510); 및 상기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를 상처 부위에 부착하는 단계(S 52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처 부위가 상기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의 두 전극 사이에 위치하도록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처부는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가장 효율 적이지만 전극 하부에 상처가 배치되어도 된다. 즉, 전기장이 영향을 주는 부분에만 상처가 존재하면 관계는 없지만, 전기장 증폭의 효과는 두 전극 사이에서 가장 높기 때문에 두 전극 사이가 가장 효율적이다. 이러한 모습은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를 상처 부위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를 상처 부위에 부착하였을 때 오실로스코프를 통한 출력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내용을 추가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기판 물질로서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을 이용하고, 전극 물질로서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 PAAm) 하이드로젤을 이용하여 소자를 제작하였다. 실제 구동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소자에서 발생하는 전위차를 측정하였으며, 전위차 측정을 위해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인 제작 과정은 도 2에서 도시되어 있으며, 최종 완성된 모습은 도 3에서 도시되어 있다.
1단계 : PTFE mold에 액상의 Substrate 물질(PDMS 폴리머 물질)을 붓고 굳힌다. 이때 몰드는 반드시 깊이가 상이한 두개의 홈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2단계 : Mold에서 굳은 폴리머를 떼어내어 전도성 하이드로젤을 접착시킬 부분에 10% Benzophenone으로 5분간 처리한다.(이 공정은 PDMS와 같은 Si based 부전도성 폴리머와 전도성 폴리머를 접착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3단계 : Benzophenone 처리가 완료된 Substrate에 전도성 하이드로젤 용액(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 PAAm) 하이드로젤)을 부은 뒤 굳힌다. (이때 두홈 중 하나의 홈은 가득채우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이 경우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 PAAm) 하이드로젤을 UV 처리를 함으로써 Benzophenone 처리된 실리콘 계열의 부전도성 폴리머와 전도성 폴리머 사이의 접착을 향상시킨다.
4단계 : 3단계에서 다 채워지지 않은 전도성 하이드로젤 윗부분을 PDMS 혹은 Silbione용액을 부어 굳힌다.
도 7은 실제 소자 제작 후 오실로스코프를 통한 출력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두 개의 이온겔(전극) 사이에서 약 3V의 전위차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측정 환경은 인체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기타 전력원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소자의 두 전극에서 발생하는 전압 출력을 동시에 측정한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로서,
    점착성 있는 폴리머로 이루어진 기판;
    상기 기판의 일면의 일부 영역에 노출되어 배치된 제 1 전극; 및
    상기 기판의 일면의 상기 제 1 전극이 배치된 영역의 나머지 영역에서 상기 제 1 전극과 이격된 채로 상기 기판 내에 인캡슐레이션 되어 배치된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하이드로겔 또는 전기 전도성을 갖는 연성 폴리머로 이루어져 있는,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를 상처 부위에 부착할 경우 환부에서 상기 제 1 전극은 레지스터(resistor) 연결을 이루고 상기 제 2 전극은 커패시터(capacitor) 연결을 이룸으로써 두 전극 사이의 신호 딜레이가 발생되어 두 전극 사이에 전기장이 발생되어 상처 부위에 전기적 자극을 인가하는,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장은 두 전극 사이의 신호 딜레이에 의한 위상차에 의해 AC 전기장이 발생되는,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를 상처 부위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처 부위가 상기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의 두 전극 사이에 위치하도록 부착하는,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의 부착 방법.
  5. 1) 점착성 있는 폴리머 물질 용액을 몰드에 넣고 굳혀서 기판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기판은 몰딩 이후 일면에 깊이가 상이한 두 개의 홈을 포함하도록 몰딩을 하는, 기판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몰드에서 기판을 떼어내는 단계;
    3) 상기 기판의 두 개의 홈에 전기 전도성을 갖는 하이드로겔 용액 또는 전기 전도성을 갖는 연성 폴리머 용액을 넣은 후 굳히는 단계로서, 어느 하나의 홈은 가득 채우지 않도록 용액을 넣은 후 굳히는 단계; 및
    4) 상기 용액이 가득 채워지지 않은 홈을 점착성 있는 폴리머 물질 용액으로 채운 후 굳혀서 인캡슐레이션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에서,
    떼어낸 기판을 벤조페논(Benzophenone)으로 처리하여 전기 전도성을 갖는 하이드로겔 또는 전기 전도성을 갖는 연성 폴리머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의 제조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에서,
    UV 처리를 통해 기판 물질과 전기 전도성을 갖는 하이드로겔 또는 전기 전도성을 갖는 연성 폴리머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의 제조 방법.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
KR1020200056913A 2020-05-13 2020-05-13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50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913A KR102450469B1 (ko) 2020-05-13 2020-05-13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US17/110,673 US11517748B2 (en) 2020-05-13 2020-12-03 Wound treatment patch using static electricit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pa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913A KR102450469B1 (ko) 2020-05-13 2020-05-13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896A true KR20210138896A (ko) 2021-11-22
KR102450469B1 KR102450469B1 (ko) 2022-10-05

Family

ID=78717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913A KR102450469B1 (ko) 2020-05-13 2020-05-13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517748B2 (ko)
KR (1) KR10245046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994A (ko) * 2002-01-15 2003-07-23 세인전자 주식회사 미소전류를 이용한 통증치료용 반창고
KR20110009169A (ko) * 2008-04-23 2011-01-27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마이크로전류-발생 국소 또는 미용 시스템, 및 제조 방법 및 그것의 용도
KR101423241B1 (ko) * 2013-09-25 2014-07-24 김춘기 미세전류 생성 패치
KR20160137200A (ko) * 2015-05-22 2016-11-30 주식회사 퓨처바이오웍스 전기 자극 습윤 드레싱 밴드
KR20190051679A (ko) * 2017-11-07 2019-05-15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상처 치유 가속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228375D0 (en) * 2002-12-05 2003-01-08 Innovation And Entpr Off Of Wound mapping
AU2019325411A1 (en) * 2018-08-24 2021-04-08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 monitoring and treating wounds or wound infections
US11872389B2 (en) * 2018-12-13 2024-01-16 Barun Gonghak Co., Ltd. Stimulation apparatus and stimulation method using same
US11344719B2 (en) * 2019-04-05 2022-05-31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Electric bandage for accelerated wound recover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994A (ko) * 2002-01-15 2003-07-23 세인전자 주식회사 미소전류를 이용한 통증치료용 반창고
KR20110009169A (ko) * 2008-04-23 2011-01-27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마이크로전류-발생 국소 또는 미용 시스템, 및 제조 방법 및 그것의 용도
KR101423241B1 (ko) * 2013-09-25 2014-07-24 김춘기 미세전류 생성 패치
KR20160137200A (ko) * 2015-05-22 2016-11-30 주식회사 퓨처바이오웍스 전기 자극 습윤 드레싱 밴드
KR20190051679A (ko) * 2017-11-07 2019-05-15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상처 치유 가속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469B1 (ko) 2022-10-05
US11517748B2 (en) 2022-12-06
US20220176112A1 (en) 2022-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03362A1 (en) Wound care dressing
ATE519520T1 (de) Implantierbare elektrische kabelvorrichtung und deren herstellungsverfahren
DE60335581D1 (de) Implantierbare medizinische Leitung zur Elektrostimulation und Herstellungsverfahren
FR2772516B1 (fr) Circuit electronique, notamment pour un dispositif medical implantable actif tel qu'un stimulateur ou defibrillateur cardiaque, et son procede de realisation
ATE406599T1 (de) Erweiterungselektrodenkonfiguration für elektrisch gesteuerte lichtmodulatoren
ATE160510T1 (de) Abgabevorrichtung zur elektrischen übertragung von arzneimitteln
ATE461719T1 (de) Dialysevorrichtung
DE60221244D1 (de) Wundheilungsfördernde vorrichtung
DE60236007D1 (de) Halbleiterstruktur mit einem oder mehreren durchgangslöchern
DE69931797D1 (de) Kontrolle von drängender inkontinenz
NZ333791A (en) Electronic apparatus, for treating pain by application of an electrical stimulus, comprising an electrode complex and a magnetic flux generator
DE60230796D1 (de) Vorrichtung für die kontrollierte abgabe eines wirkstoffes in die haut
CN109069849B (zh) 处理组件以及用于制造处理组件的方法
ATE12897T1 (de) Metallisierte elektrode mit isoliertem rand fuer die medizinische behandlung.
KR102450469B1 (ko) 정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BR8305833A (pt) Processo para controlar a composicao de uma solucao de tratamento quimico e dispositivo e processo para medir eletroquimicamente as carcteristicas de uma superficie eletricamente condutora
DE69831075D1 (de) Herstellungsverfahren von integrierten Vorrichtungen, die Mikrostrukturen mit elektrischen schwebenden Zwischenverbindungen enthalten
KR102370774B1 (ko) 초음파 기반 마찰전기 에너지 발전 소자를 이용한 종양 세포의 증식 억제 방법
YU50703A (sh) Uređaj za lipolizu za estetski tretman
ES2099144T3 (es) Elemento conductor electrico y su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US20190321629A1 (en) An Apparatus Configured to Enable a Flow of Current Through a User's Skin
NL7408581A (nl) Werkwijze voor het indiceren en/of registreren van elektrische grootheden en indikatie- res- pektievelijk registratie-apparaat onder toe- passing van deze werkwijze.
KR101649821B1 (ko)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
FI882325A (fi) Laite imunesteiden salpautumien ja vastaavien hoitamiseksi
SU98642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физиотерапевтического воздействи на организ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