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821B1 -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 - Google Patents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821B1
KR101649821B1 KR1020150059624A KR20150059624A KR101649821B1 KR 101649821 B1 KR101649821 B1 KR 101649821B1 KR 1020150059624 A KR1020150059624 A KR 1020150059624A KR 20150059624 A KR20150059624 A KR 20150059624A KR 101649821 B1 KR101649821 B1 KR 101649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s
film
conductive
conductive film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9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호
Original Assignee
조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호 filed Critical 조정호
Priority to KR1020150059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8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전도성 필름 사이에 절연필름을 형성하여 전기의 단락을 방지하고 피부 부착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여 피부 미용, 마사지 등의 효과를 얻기 위한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는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에 있어서, 절연성 베이스 필름과, 절연성 베이스 필름 상부에 안착되는 제 1 전도성 필름과, 제 1 전도성 필름 상부에 안착되며 소정 패턴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 1 개구부가 형성된 제 1 절연 필름과, 제 1 절연 필름 상부에 안착되며 복수개의 제 1 개구부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제 2 개구부가 형성된 제 2 전도성 필름과, 제 2 전도성 필름 상부에 안착되며 소정 패턴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 3 개구부가 형성된 제 2 절연 필름을 구비한다.
또한, 복수개의 제 2 개구부 사이즈는 복수개의 제 1 개구부보다 크고, 복수개의 제 1 개구부 사이즈는 상기 복수개의 제 3 개구부보다 크게 형성한다.
또한, 복수개의 제 3 개구부의 일부는 제 2 개구부의 중심 위치에 중첩하여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나머지는 비중첩되게 형성한다.

Description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Conductive pad attaching to skin}
본 발명은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전도성 필름 사이에 절연필름을 형성하여 전기의 단락을 방지하고 피부 부착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여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 효과를 얻기 위한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는, 피부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하를 가진 약물이나 유효성분이 전기 반발력에 의해 피부로 침투되게 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피부에서의 물질 흡수를 증대시키는 방법으로 흡수 촉진제나 프로드럭(prodrug)화를 이용하여 약물이나 피부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바꾸어 약물의 침투를 촉진시키는 방법도 있으나, 이온토포레시스는 피부의 전기적인 환경을 강제로 바꾸어 기존의 방법보다 훨씬 더 능동적으로 약물 침투를 증대시키는 방법이면서도 인젝션(injection) 보다는 훨씬 덜 침습적인 약물 투여방법이다.
특히, 이온토포레시스를 이용하여 피부 미백 효능 물질인 비타민C를 피부에 흡수시켜 기미를 개선하는 방법은 현재 피부과 병원에서도 사용되고 있으며 기미 치료에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온토포레시스를 이용하는 장치인 이온토포레시스 장치(iontophoresis device)가 소개된 바 있다. 미국특허 4,474,570호는, 전류 공급장치와 전극 등이 일체로 형성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특허 4,474,570호에 개시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는 전지를 포함하고 있어 사용 후 장치를 버려야 하므로 비용이 비싸고 환경오염의 문제를 야기하며 나아가 이온토포레시스 중에 홍반 등의 피부자극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는, 전류의 세기의 조절이 불가하여 전류의 세기가 너무 강해 부작용이 발생하거나 전류의 세기가 낮아 효능을 전혀 얻을 수 없는 경우도 있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은 패드(C)에 인가되는 전류의 A(+극)이나 B(-극) 중 하나의 극성을 가지게 되므로, 적어도 2개 이상의 패드(C)가 인접하게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적어도 2개 이상의 패드(C)가 있어야 하므로 서로 인접하게 피부에 부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좁은 부위 등에 적용하기에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일자 제10-2012-0139347호, 발명의 명칭 "생체신호 측정용 다채널 전극 어셈블리"(공개일자 2012년12월27일) 미국특허 제4,475,570호, 발명의 명칭 "Iontophoresis device"(등록일자 1984년10월02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복수 개의 전도성 필름 사이에 절연필름을 형성하여 전기의 단락을 방지하고 피부 부착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여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의 효과를 얻기 위한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는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에 있어서,
절연성 베이스 필름과, 절연성 베이스 필름 상부에 안착되는 제 1 전도성 필름과, 제 1 전도성 필름 상부에 안착되며 소정 패턴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 1 개구부가 형성된 제 1 절연 필름과, 제 1 절연 필름 상부에 안착되며 복수개의 제 1 개구부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제 2 개구부가 형성된 제 2 전도성 필름과, 제 2 전도성 필름 상부에 안착되며 소정 패턴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 3 개구부가 형성된 제 2 절연 필름을 구비한다.
또한, 복수개의 제 2 개구부 사이즈는 복수개의 제 1 개구부보다 크고, 복수개의 제 1 개구부 사이즈는 상기 복수개의 제 3 개구부보다 크게 형성한다.
또한, 복수개의 제 3 개구부의 일부는 제 2 개구부의 중심 위치에 중첩하여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나머지는 비중첩되게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용 패드를 각각 붙이지 않고,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하나의 전도성 패드(+,- 전극이 상하 적층)로 경제적 및 실용적으로 활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전류를 이용한 근육치료용 텐스(TENS) 또는 마사지 용도로 (+)(-)의 두개 패드를 붙일 수 없는 좁은 부위 등에 활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제 2 절연 필름 상부면에 형성되는 도포층은 약물, 화장액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등 성분을 다양화하여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패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실물 사진들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의 구체적인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한편, 제 1, 제2, A, B, a, b 등과 같은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하나의 실물 사진들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100)는 절연성 베이스 필름(110)과, 절연성 베이스 필름(110) 상부에 안착되는 제 1 전도성 필름(120)과, 제 1 전도성 필름(120) 상부에 안착되며 소정 패턴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 1 개구부(130h)가 형성된 제 1 절연 필름(130)과, 제 1 절연 필름(130) 상부에 안착되며 복수개의 제 1 개구부(130h)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제 2 개구부(140h)가 형성된 제 2 전도성 필름(140)과, 제 2 전도성 필름(140) 상부에 안착되며 소정 패턴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 3 개구부(150h)가 형성된 제 2 절연 필름(15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 2 개구부(140h) 사이즈는 복수개의 제 1 개구부(130h)보다 크고, 복수개의 제 1 개구부(130h) 사이즈는 복수개의 제 3 개구부(150h)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 3 개구부(150h)의 일부는 제 2 개구부(140h)의 중심 위치에 중첩하여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나머지는 비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100)는 제 2 절연 필름 상부에 분리가 용이한 이형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100)는 제 2 절연 필름(150) 및 이형지(미도시) 사이에는 약물 또는 화장액을 포함하는 도포층(16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100)의 제 1 내지 제 3 개구부(130h, 140h, 150h)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100)의 제 1 및 제2 전도성 필름(120, 140)에는 전기가 인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100)는 베이스필름(110), 제 1 전도성 필름(120), 제 1 절연 필름(130), 제 2 전도성 필름(140), 제 2 절연 필름(150), 도포층(160), 이형지(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하나의 패드 속에 절연성 베이스 필름(110)과, 절연성 베이스 필름(110) 상부에 안착되는 제 1 전도성 필름(120)과, 제 1 전도성 필름(120) 상부에 안착되며 소정 패턴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 1 개구부(130h)가 형성된 제 1 절연 필름(130)과, 제 1 절연 필름(130) 상부에 안착되며 복수개의 제 1 개구부(130h)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제 2 개구부(140h)가 형성된 제 2 전도성 필름(140)과, 제 2 전도성 필름(140) 상부에 안착되며 소정 패턴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 3 개구부(150h)가 형성된 제 2 절연 필름(150)과, 제 2 절연 필름(150) 상부에 약물 또는 화장품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도포층(160)과, 도포층(160) 상부에 분리가 용이한 이형지(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100)의 각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필름(110)은 본 발명의 피부 부착용 패드(100)의 외피를 형성하는 것으로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성 재질로 구성된다. 또한, 베이스필름(110)은 피부와 접하는 방향에 대향하여 형성되고 사람의 눈에 보이는 부분이므로 다양한 모양, 형상 등으로 표현하여 제품의 품질을 돋아 보이게 할 수 있다.
제 1 전도성 필름(120)은 절연성 베이스 필름(110) 상부에 안착되는 소정 두께의 필름 형상으로 형성되고 구리 등의 금속류 또는 전도성 탄소필름, 전도성 섬유 등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된다.
제 1 전도성 필름(120)의 외곽 형상은 베이스필름(110)의 외곽을 따른다. 또한, 그 형상은 특정하게 제한되지 않고 그 기능에 적합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제 2 전도성 필름(140)과 전기적 단락 형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후술하는 제 1 절연 필름(130)에 의해서 절연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한편, 제 1 전도성 필름(120)은 전류의 (+) 또는 (-) 중 하나의 극성을 가진다. 다만, 제 1 전도성 필름(120)의 전류 극성은 제 2 전도성 필름(140)의 전류 극성과 반대로 형성된다. 즉, 제 1 전도성 필름(120)이 (+)이면 제 2 전도성 필름(140)은 (-)이고, 제 1 전도성 필름(120)이 (-)이면 제 2 전도성 필름(140)은 (+)이다.
제 1 절연 필름(130)은 도 2와 같이, 제 1 전도성 필름(120) 상부에 안착되며 소정 패턴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 1 개구부(130h)가 형성된다.
복수개의 제 1 개구부(130h)는 제 1 절연 필름(130)에 형성되는 상하관통하는 구멍(hole)이다. 특히, 제 1 개구부(130h)를 통하여 제 1 전도성 필름이 상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또한, 제 1 개구부는 후술하는 제 2 개구부(140h) 및 제 3개구부(150h)와 대응하여 연계되고 제 1 전도성 필름(120)의 일측이 상부 외부로 노출되므로 노출된 제 1 전도성 필름을 통하여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제 2 전도성 필름(140)은 제 1 절연 필름(130) 상부에 안착되며 복수개의 제 1 개구부(130h)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제 2 개구부(140h)가 형성된다.
또한, 제 2 전도성 필름(140)은 제 1 전도성 필름(120)과 마찬가지로 구리 등의 금속류 또는 전도성 탄소필름, 전도성 섬유 등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된다.
복수개의 제 2개구부(140h)는 제 2전도성 필름(140)에 형성되는 상하관통하는 구멍(hole)이다. 특히, 제 2 개구부(140h)의 사이즈는 제 1 개구부(130h)보다 크다. 이는 제 2 전도성 필름(140)이 제 1 개구부(130h)를 통해서 노출되는 제 1 전도성 필름(120)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 1 전도성 필름(120)과 제 2 전도성 필름(140)이 제 1 절연 필름(130)에 의해서 상호간 접촉이 방지되지만, 제 1 개구부(130h)를 통해 상호 접촉이 가능한 영역이 발생될 수 있다. 즉, 단락(short circuit)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제 1 개구부(130h) 대응하는 위치에 제 1 개구부(130h)보다 큰 제 2 개구부(140h)가 형성된 제 2 전도성 필름(140)은 제 1 전도성 필름(120)과 접촉되지 않아 절연 상태를 유지하여 단락(short circuit)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제 2 전도성 필름(140)은 전류의 (+) 또는 (-) 중 하나의 극성을 가진다. 다만, 제 2 전도성 필름(140)의 전류 극성은 제 1 전도성 필름(120)의 전류 극성과 반대로 형성된다. 즉, 제 2 전도성 필름(140)이 (+)이면 제 1 전도성 필름(120)은 (-)이고, 제 2 전도성 필름(140)이 (-)이면 제 1 전도성 필름(120)은 (+)이다.
제 2 절연 필름(150)은 제 2 전도성 필름(140) 상부에 안착되며 소정 패턴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 3 개구부(150h)가 형성된다.
제 2 절연 필름(150)은 하부에 있는 제 2 전도성 필름(140)를 보호하고 외부와 절연을 유지한다.
복수개의 제 3 개구부(150h)는 제 2 전도성 필름(140)을 상부로 노출시키고, 제 1 및 제 2 개구부(130h, 140h)를 관통하여 제 1 전도성 필름(120)를 상부로 노출시킨다.
특히, 제 2 개구부(140h)에 대응하는 제 3 개구부(150h)의 일부는 제 2 개구부(140h)보다 그 사이즈가 작게 형성되어 진다. 이는 제 2 개구부(140h)의 중심 위치에 중첩하여 대응하는 위치의 제 2 전도성 필름(140) 부분과, 나머지는 비중첩되어 형성되는 제 2 전도성 필름(140) 부분과 전기적 단락(short circuit)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도성 필름(120) 및 제 2 전도성 필름(140)이 제 2 절연 필름(150) 상부에 노출된 상태를 보여 주고 있다.
이때, 제 1 전도성 필름(120)이 P와 같이 노출되면 제 2 전도성 필름(140)은 Q가 되거나 제 1 전도성 필름(120)이 Q와 같이 노출되면 제 2 전도성 필름(140)은 P가 되며, 제 1 전도성 필름(120) 및 제 2 전도성 필름(140)이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어 전기적 단락(short circuit)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 기술인 도 1과 같이 전극이 (+)나 (-) 중 하나의 극을 가지는 (+)패드 또는 (-)패드가 적어도 2개 이상 인접하게 각각 부착하여야 하고, 치료하고자 하는 부위가 국소부인 경우 종래의 넓은 면적의 패드로 어려웠던 문제점을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패드(100) 하나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전도성 필름(120) 및 제 2 전도성 필름(140) 각각의 일측은 전기 공급장치와 전선에 연결되어 있어 전기 공급장치에 의해서 전기가 인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패드(100)가 피부에 부착되어 전기가 인가되면, P에서 Q로(또는 Q에서 P로) 피부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하를 가진 약물이나 유효성분이 전기 반발력에 의해 피부로 침투하게 되는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포층(160)은 제 2 절연 필름(150) 상부에 약물 또는 화장액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하이드로겔, 또는 약물도포 등 다양하게 적층되는 것으로 전기가 피부로 전도될 수 있는 제 3 개구부(150h) 주위 부분만 한정하여 도포될 수 있고 제 2 절연 필름(150) 상부면을 전체를 두루 도포될 수도 있다. 이는 제품의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형태로 적층 또는 도포하여 적용한다.
특히, 도포층(160)은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상처의 치료나 피부 미용 등 목적에 따라 적합한 약물 또는 화장 성분을 겔 형태로 제 2 절연 필름(150) 상부면에 도포 또는 적층되어 제공할 수 있다.
이형지(미도시)는 도포층(160) 상부 또는 제 2 절연 필름(150) 상부에 분리가 용이하게 부착되는 것으로 도포층(160) 또는 제 2 절연 필름(150)의 상부면을 보호하고 외부의 불순물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며 커버한다.
또한, 이형지는 일반적으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종래의 제품을 사용하기에 본 명세서에서는 자세히 기술하지 않고 간략하게 기재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100)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패드(100)는 절연성 베이스 필름(110)과, 절연성 베이스 필름(110) 상부에 안착되는 제 1 전도성 필름(120)과, 제 1 전도성 필름(120) 상부에 안착되며 소정 패턴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 1 개구부(130h)가 형성된 제 1 절연 필름(130)과, 제 1 절연 필름(130) 상부에 안착되며 복수개의 제 1 개구부(130h)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제 2 개구부(140h)가 형성된 제 2 전도성 필름(140)과, 제 2 전도성 필름(140) 상부에 안착되며 소정 패턴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 3 개구부(150h)가 형성된 제 2 절연 필름(150) 등이 적층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 2 절연 필름(150) 상부에는 선택적으로 도포층(160) 형성되거나 이형지가 부착된다.
다음, 제 1 전도성 필름(120) 및 제 2 전도성 필름(140) 각각의 일측에는 전원공급장치와 전선 연결된다.
이때, 제 1 전도성 필름(120) 및 제 2 전도성 필름(140)의 극성은 서로 반대이다. 즉, 제 1 전도성 필름(120)이 (+)이면 제 2 전도성 필름(140)은 (-)이고, 제 1 전도성 필름(120)이 (-)이면 제 2 전도성 필름(140)은 (+)이다.
다음, 전도성 패드(100)를 상처 부위 또는 미용 부위 등에 목적하는 피부에 부착한다.(이형지가 부착되어 있으면 떼어 내고 피부에 전도성 패드(100)를 부착한다.)
다음, 제 1 전도성 필름(120) 및 제 2 전도성 필름(140)에 전기를 인가한다.
인가된 제 1 전도성 필름(120) 및 제 2 전도성 필름(140)은 피부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면서 피부의 상처 부위 또는 미용 부위에 자극한다.
이때 전류는 미세하고 이러한 미세 전류는 상처치유효과, 진통효과, 성장판 자극 효과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제 2 절연 필름(150) 상부면에 약물 또는 화장액을 포함하는 도포층(160)이 형성되어 있으면 그 효과를 증가할 것이다.
한편, 하나의 전도성 패드(100) 내에서 제 1 전도성 필름(120) 및 제 2 전도성 필름(140)이 상하 적층되어 있지만 단락(short curcuit) 등 전기적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 다시 언급하고자 한다.
즉, 제 1 전도성 필름(120)은 제 1 내지 제 3 개구부(130h, 140h, 150h)를 통하여 상부에 노출된다. 이때 제 2 전도성 필름(140)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개구부(140h)가 제 1 및 제 3 개구부(130h, 150h) 주위의 상하 제 1 및 제 2 절연 필름(130, 150)에 의해 감싸져서 제 1 전도성 필름(120)과 접촉 없이 상부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제 2 개구부(140h) 사이즈는 제 1 개구부(130h)보다 크고, 제 1 개구부(130h) 사이즈는 제 3 개구부(150h)보다 크다.
또한, 복수개의 제 3 개구부(150h)의 일부는 제 2 개구부(140h)의 중심 위치에 중첩하여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나머지는 비중첩되어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100)은 피부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하를 가진 약물이나 유효성분이 전기 반발력에 의해 피부로 침투되게 하는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 효과가 기대되고 의료용 및 미용용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100)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종래의 경피신경전기자극치료기(TENS,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or) 또는 마사지 전극 장치를 대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처치유밴드, 성장판자극밴드, 진통용 파스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류는 상처치유효과, 진통효과, 성장판 자극 효과 등이 있으므로 이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용 패드를 각각 붙이지 않고,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하나의 전도성 패드(+,- 전극이 상하 적층)로 경제적 및 실용적으로 활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전류를 이용한 근육치료용 TENS 또는 마사지 용도로 (+)(-)의 두개 패드를 붙일 수 없는 좁은 부위 등에 활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제 2 절연 필름 상부면에 형성되는 도포층은 약물, 화장액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또는, 약물도포 등 성분을 다양화하여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전도성 패드 110 : 베이스 필름
120 : 제 1 전도성 필름 130 : 제 1 절연 필름
140 : 제 2 전도성 필름 150 : 제 2 절연 필름

Claims (5)

  1.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에 있어서,
    절연성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절연성 베이스 필름 상부에 안착되는 제 1 전도성 필름과,
    상기 제 1 전도성 필름 상부에 안착되며 소정 패턴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 1 개구부가 형성된 제 1 절연 필름과,
    상기 제 1 절연 필름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 1 개구부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제 2 개구부가 형성된 제 2 전도성 필름과,
    상기 제 2 전도성 필름 상부에 안착되며 소정 패턴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 3 개구부가 형성된 제 2 절연 필름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 2 개구부 사이즈는 상기 복수개의 제 1 개구부보다 크고, 상기 복수개의 제 1 개구부 사이즈는 상기 복수개의 제 3 개구부보다 크며,
    상기 복수개의 제 3 개구부의 일부는 상기 제 2 개구부의 중심 위치에 중첩하여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나머지는 비중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연 필름 상부에 분리가 용이한 이형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연 필름 및 상기 이형지 사이에는 약물 또는 화장액을 포함하는 도포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개구부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도성 필름에 전기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
KR1020150059624A 2015-04-28 2015-04-28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 KR101649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624A KR101649821B1 (ko) 2015-04-28 2015-04-28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624A KR101649821B1 (ko) 2015-04-28 2015-04-28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9821B1 true KR101649821B1 (ko) 2016-08-19

Family

ID=56875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624A KR101649821B1 (ko) 2015-04-28 2015-04-28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8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821A (ko) * 2019-12-16 2021-06-24 박찬후 경피약물 전달용 미세전류 발생 인체 적용 부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1103A (ko) * 1997-02-17 2000-11-25 요시히로 미와 이온토포레시스용 디바이스
KR101048506B1 (ko) * 2011-01-31 2011-07-11 주식회사 유니온 메디칼 피부미용기용 필름형 프락셔널 전극패드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139347A (ko) 2011-06-17 2012-12-2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신호 측정용 다채널 전극 어셈블리
US20130023816A1 (en) * 2011-07-18 2013-01-24 Empi, Inc. Electrodes, electrode systems, and methods of manufacture
WO2014188070A1 (en) * 2013-05-23 2014-11-27 Åbo Akademi University An arrangement for facilitating wound healing, a method for measuring wound healing and a wound dress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1103A (ko) * 1997-02-17 2000-11-25 요시히로 미와 이온토포레시스용 디바이스
KR101048506B1 (ko) * 2011-01-31 2011-07-11 주식회사 유니온 메디칼 피부미용기용 필름형 프락셔널 전극패드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139347A (ko) 2011-06-17 2012-12-2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신호 측정용 다채널 전극 어셈블리
US20130023816A1 (en) * 2011-07-18 2013-01-24 Empi, Inc. Electrodes, electrode systems, and methods of manufacture
WO2014188070A1 (en) * 2013-05-23 2014-11-27 Åbo Akademi University An arrangement for facilitating wound healing, a method for measuring wound healing and a wound dressing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특허 제4,475,570호, 발명의 명칭 "Iontophoresis device"(등록일자 1984년10월02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821A (ko) * 2019-12-16 2021-06-24 박찬후 경피약물 전달용 미세전류 발생 인체 적용 부품
KR102413189B1 (ko) * 2019-12-16 2022-06-24 박찬후 경피약물 전달용 미세전류 발생 인체 적용 부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3874B2 (en) Dermal patch
US6078842A (en) Electrode and iontophoretic device and method
JP5755225B2 (ja) 経皮電気的神経刺激装置を保持する包帯用のアセンブリ配置
CN111888641B (zh) 离子电渗透的给药装置
KR100849392B1 (ko) 이온 도입용 패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한증 치료 장치
US20130338729A1 (en) Self-contained adhesive patch for electrical stimulation for pain relief and muscle fatigue
KR101771361B1 (ko) 이온토포레시스를 이용한 마스크팩
CA2464301A1 (en) Dermal patch
KR101720416B1 (ko) 마스크팩을 이용한 피부 상태 측정 관리 방법
CA2815193C (en) Electrode assembly
US20140364794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ransdermal delivery
KR101649821B1 (ko) 피부 부착용 전도성 패드
KR20130100443A (ko) 생체 자극용 전극
KR20170104821A (ko) 마스크 팩용 이온도입장치
KR101512555B1 (ko)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잭 접속단자에 연결시켜 피부 표면에 부착된 전극 패드로 전기 자극을 인가하는 커넥터 기기
CA2570793C (en) Packaging for medical pads and electrodes
JP2014045823A (ja) 生体用電極、その製造方法及びイオントフォレシス装置
RU278212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ионтофореза
KR101227534B1 (ko) 기능성 화장품의 효능을 향상시키는 피부 마사지기
US20080312580A1 (en) Current concent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kinetic delivery of medicaments
CN216536539U (zh) 用于交变电场肿瘤治疗的电极贴片
RU64912U1 (ru) Медицинский электрод
KR101375312B1 (ko) 미세전류 및 온열을 이용한 마스크
CA2414398C (en) Pain relief device
CN108159562A (zh) 低频美容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