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7738A - 와이어 융착시스템 - Google Patents

와이어 융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7738A
KR20210137738A KR1020200055969A KR20200055969A KR20210137738A KR 20210137738 A KR20210137738 A KR 20210137738A KR 1020200055969 A KR1020200055969 A KR 1020200055969A KR 20200055969 A KR20200055969 A KR 20200055969A KR 20210137738 A KR20210137738 A KR 20210137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disposed
pair
support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4316B1 (ko
Inventor
정기현
Original Assignee
메이드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이드테크(주) filed Critical 메이드테크(주)
Priority to KR1020200055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4316B1/ko
Publication of KR20210137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02Rotary devices, e.g. with helical forwarding surfaces
    • B65H51/04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 B65H51/08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arranged to operate in groups or in co-operation with other elements
    • B65H51/10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arranged to operate in groups or in co-operation with other elements with opposed coacting surfaces, e.g. providing n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7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f yarn-winding machines
    • B65H54/71Arrangements for severing filamentar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26Supports fo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6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와이어 융착시스템은 지지 브라켓(10)과; 지지 브라켓(10)의 사이에 배치된 수평 프레임(20)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수직 프레임(30)과; 벨트(32)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한 쌍의 풀리(35)와; 한 쌍의 수직 프레임(30)의 사이에 배치된 엘엠 레일(40)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엘엠 가이드(45)와; 와이어를 공급하는 한 쌍의 와이어 피더(60)와; 한 쌍의 풀리(35)중 하나의 풀리에 연결되어 풀리(35)를 구동시키는 구동원(70)과; 와이어 피더(60)로부터 공급된 와이어가 제공되며, 양측에 와이어 지지체(120)와 와이어 보조 지지체(140)가 간격을 두고 설치된 와이어 포밍롤러(80)와; 와이어 포밍롤러(80)에 엮인 와이어의 불필요한 와이어를 절단하는 와이어 커터(90)와; 와이어를 초음파 용접하기 위한 혼(95)과; 상기 와이어 포밍롤러(80)를 구동시키는 구동원(100)를 구비하게 된다.

Description

와이어 융착시스템{Wire welding system}
본 발명은 와이어 융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에 와이어를 연속적으로 자동으로 부착시키는 와이어 융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안면 마스크, 호흡기, 여과 안면 호흡기, 수술용 안면 마스크 등 다양한 이름으로 언급될 수 있고, 이러한 장치는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으로 "마스크"로 지칭하기로 한다.
최근, 자연 재해나 다른 재앙이 발생된 시기에 구호 작업자, 구조 인력(의료진 포함) 및 일반 대중에게 마스크를 제공하는 능력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유행병의 경우에, 여과된 호흡을 제공하는 마스크를 사용하는 것은 이에 대한 대응과 회복의 핵심 측면이다.
이러한 이유로 정부와 기타 지자체는 일반적으로 시급한 응급 용도를 위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마스크 비축물을 준비해두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마스크는 유효 기간이 정해져 있고 만료 및 보충을 위해 비축물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이를 수행하는 것은 극도로 많은 비용이 든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초음파 융착에 의한 마스크 제조장치 기술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83311호(특허문헌1)에 공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프레임체로 된 본체의 일측 상부에는 상날개공급부를 형성하고 본체의 일측 하부에는 하날개공급부를 형성하며 본체의 하부 중앙에는 전면지공급부를 형성하고 본체의 타측 상부에는 제품성형부를 각각 형성하되 상날개공급부에는 대향의 제1합지롤러와 제1합지초음파혼을 형성하고 그 일측에는 제1컷팅롤러와 제1컷팅초음파혼을 대향형성하며 하날개공급부에는 대향의 제2합지롤러와 제2합지초음파혼을 형성하고 그 일측에는 제2컷팅롤러와 제2컷팅초음파혼을 대향 형성하며 전면지공급부에는 대향의 제3합지롤러와 제3합지초음파혼을 형성하고 그 일측에는 제3컷팅롤러와 제3컷팅초음파혼을 대향 형성하며 제품성형부에는 대향의 제4합지롤러와 제4합지초음파혼을 형성하고 그 일측에는 제4컷팅롤러와 제4컷팅초음파혼을 각각 대향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초음파 융착에 의한 마스크 제조장치 기술은 생산 라인중 마스크에 와이어를 연결하는 융착 라인이 길게 되어 높은 생산 속도를 낼 수 없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8331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개의 와이어 피더와 와이어 포밍롤러를 이용하여 마스크에 와이어를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융착시킬 수 있는 와이어 융착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 포밍롤러에 배치된 와이어 그립퍼를 이용하여 융착지점까지 이동시킨 후 융착하고 와이어를 커팅하며 잔여 와이어를 배출시키는 와이어 융착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와이어 융착시스템은 지지 브라켓과; 상기 지지 브라켓의 사이에 배치된 수평 프레임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에 각각 배치되며, 벨트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한 쌍의 풀리와;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된 엘엠 레일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엘엠 가이드와; 상기 엘엠 가이드에 각각 연결되며, 와이어를 공급하는 한 쌍의 와이어 피더와; 상기 한 쌍의 풀리중 하나의 풀리에 연결되어 풀리를 구동시키는 구동원과; 상기 와이어 피더로부터 공급된 와이어가 제공되며, 양측에 와이어 지지체와 와이어 보조 지지체가 간격을 두고 설치된 와이어 포밍롤러와; 상기 와이어 포밍롤러에 엮인 와이어의 불필요한 와이어를 절단하는 와이어 커터와; 상기 와이어 지지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와이어를 초음파 용접하는 혼과; 상기 와이어 포밍롤러를 구동시키는 구동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와이어 융착시스템은 와이어 버퍼를 이용하여 와이어의 양을 일정하고 부드럽게 와이어 피더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의 원활한 공급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 융착시스템은 복수개의 와이어 피더와 와이어 포밍롤러를 이용하게 되므로 마스크에 와이어를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융착시킬 수 있게 되어 마스크를 고속으로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융착시스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와이어 융착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가이드 레버와 와이어 버퍼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제1 및 제2 와이어 가이드 포스트에 엮인 와이어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와이어 커터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인 와이어 피더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인 와이어 포밍롤러의 와이어 지지체와 와이어 보조 지지체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요부인 와이어 포밍롤러의 와이어 지지체와 캠블럭 지지체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요부인 그립퍼의 클로즈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요부인 그립퍼의 오픈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요부인 와이어 피더의 업/다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와이어 융착시스템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와이어 융착시스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브라켓(10)과, 한 쌍의 수직 프레임(30)과, 한 쌍의 풀리(35)와, 한 쌍의 엘엠 가이드(45)와, 한 쌍의 와이어 피더(60)와, 구동원(70)과, 와이어 포밍롤러(80)와, 와이어 커터(90)와, 혼(95) 및 구동원(10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지지 브라켓(10)은 베이스(5)의 상부측에 서로 간격을 두고 2개가 배치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10)의 사이에는 수평 프레임(20)이 배치된다. 그리고, 수평 프레임(20)의 양측에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30)이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30)이 일측에는 보강 프레임(32)이 각각 설치되게 된다. 상기 베이스(5)의 하부에는 초음파 융착기(195)가 배치되고, 상기 초음파 융착기(195)의 혼(95)이 베이스(5)의 상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혼(95)의 끝부분이 와이어(여기서, 와이어는 마스크 끈에 해당함)를 융착하는 융착지점이다.
상기 수평 프레임(20)의 일측에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보조 프레임(22)이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보조 프레임(22)의 상부에는 가이드 레버(24)가 배치되며 하부에는 와이어 피더(60)에 공급되는 와이어(W)의 양을 조절하는 와이어 버퍼(28)가 각각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버(24)에는 와이어(W)를 안내하기 위한 제1 및 제2 포스트(21,23)가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 버퍼(28)에도 와이어(W)를 안내하기 위한 제3 포스트(25)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 버퍼(28)의 하부 일측에는 무게를 조절하기 위한 웨이트(WT)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버퍼(28)의 후방측에 배치된 제1 및 제2 보조 브라켓(31,33)에는 제1 및 제2 센서(222,220)가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풀리(35)는 수직 프레임(30)에 설치된 축(도시되지 않음)에 삽설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30)의 사이에는 엘엠 레일(40)이 설치되고, 상기 엘엠 레일(40)에는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엘엠 가이드(45)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엘엠 가이드(45)의 상부 일측에는 일측이 벨트(32)와 연결되며 절곡된 형태로 구성된 벨트 클램프(50)가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풀리(35)중 하나의 풀리(35)에는 풀리(35)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원(70)이 연결되게 된다. 즉, 상기 풀리(35)중의 하나의 풀리(35)는 구동원(70)의 구동축(71)에 연결되므로 구동원(70)을 동작시킴에 풀리(35)가 동작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와이어 피더(60)는 엘엠 가이드(24)에 각각 설치되며, 와이어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 피더(60)는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61)의 일측에 배치되며 유입되는 와이어를 안내하는 와이어 가이드(62)와, 베이스 플레이트(61)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 가이드(62)로부터 배출된 와이어(W)를 노즐측(68)으로 이송시키는 와이어 이송롤러(64) 및 아이들 롤러(66)와, 상기 와이어 이송롤러(64)와 아이들 롤러(66)의 하부에 배치되며 와이어(W)를 배출시키는 노즐(68)과, 상기 와이어 이송롤러(64)를 구동시키는 구동원(65)으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 피더(60)의 베이스 플레이트(61)의 후면 일측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블럭(72)이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 블럭(72)의 상부에는 스프링(74)이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1)의 후면 중간에는 캠(76)이 설치되고, 상기 캠(76)은 수평 프레임(20)에 설치된 캠 블럭(78)과 연결된다. 도 7에서, 미설명 부호 67은 와이어 피더(60)의 상승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스토퍼이고, 미설명 부호 69는 엘엠 고정 블럭이다.
상기 와이어 피더(60)는 캠 블럭(78)을 따라 캠(76)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 되게 구성되고 아울러, 스프링(74)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다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므로 상기 와이어 피더(6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노즐(68)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와이어 피더(60)는 후술하는 제1 와이어 가이드 포스트(132)의 접시 머리부(133)에 와이어를 확실히 걸어주기 위하여 접시 머리부(133)의 높이가 융착 팁(155)의 높이 보다 높아야 와이어가 평행하게 걸리게 되지만, 융착되는 지점에서 혼(95)의 넓이에 따라 제1 와이어 가이드 포스트(132)와의 간섭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회피하기 위하여 제1 와이어 가이드 포스트(132)의 높이를 융착 팁(155) 보다 낮게 구성하여 혼(95)의 넓이와 상관없이 간섭을 회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와이어 가이드 포스트(132)의 낮아진 높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와이어 피더(60)를 전술한 바와 같이, 캠(76)과 스프링(74)를 이용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하게 된다(도 7 및 도 12 참조).
상기 와이어 포밍롤러(80)는 도 1,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피더(60)로부터 공급된 와이어가 제공되며, 양측에 와이어 지지체(120)와 와이어 보조 지지체(140)가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포밍롤러(80)의 일측은 구동원(100)의 구동축(98)에 연결되게 된다.
상기 와이어 지지체(120)는 중공의 원기둥 형태(원통 형태)로 구성되고, 그 외주연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와이어를 그립하는 복수개의 그립퍼(122)와, 상기 그립퍼(122)가 끼워지는 힌지축(124)에 함께 삽설되는 토션 스프링(126)과, 상기 그립퍼(122)의 하부에 배치되며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제2 와이어 가이드 포스트(142)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그립퍼(122)는 2개씩 쌍을 이루어 복수개가 설치되며, 와이어를 그립하거나 해제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 지지체(120)의 외측에는 간격을 두고 와이어 보조 지지체(140)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 보조 지지체(140)는 외주연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제2 와이어 가이드 포스트(142)가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 피더(60)의 노즐(68)로부터 배출된 와이어(W)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지지체(120)의 제1 와이어 가이드 포스트(132)를 거쳐서 와이어 보조 지지체(140)의 제2 와이어 가이드 포스트(142)로 다시 와이어 지지체(120)의 제1 와이어 가이드 포스트(132)로 지그 재그 형태로 엮어서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와이어(W) 중 필요없는 와이어 부분은 후술하게 되는 와이어 커터(90)에 의해 잘려지게 되고, 잘려진 부분은 진공 흡착부(105)에서 흡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W)중 필요없는 와이어 부분이 절단된 후에도 후술하게 되는 복수개의 그립퍼(122)는 와이어(W)를 그립하게 된다(즉, 클로즈 상태의 그립퍼(122)를 의미한다). 그리고, 와이어가 커팅(절단)된 이후에 융착을 진행하고 이후 복수개의 그립퍼(122)는 와이어(W)를 언그립하게 된다(즉, 오픈 상태의 그립퍼(122)를 의미한다).
상기 와이어 지지체(120)와 와이어 보조 지지체(140)의 사이에는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그립퍼 캠블럭(150)이 삽설되고, 상기 와이어 그립퍼 캠블럭(150)은 캠블럭 지지체(152)의 일측에 배치되며 아치 형태의 외측 캠 클램프 블럭(154)과, 상기 외측 캠 클램프 블럭(154)의 일측에 배치된 내측 캠 클램프 블럭(156)과, 상기 외측 캠 클램프 블럭(154)의 타측에 배치되며 그립퍼(122)를 개방하는 오픈 캠블럭(158)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 커터(90)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포밍롤러(80)에 엮인 와이어의 불필요한 와이어를 절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일측에 공압 포트(91)가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 커터(90)는 지지 브라켓(10)의 양측에 설치된 지지블럭(12)에 삽설된 가이드 샤프트(14)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연결부재(16)와 연결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커터(90)의 일측에는 와이어 커팅후 잔여 와이어를 흡착하기 위한 진공 흡착부(105)가 설치된다.
상기 혼(95)은 도 3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지지체(1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와이어(W)를 초음파로 용접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혼(95)은 공지된 초음파 용접장치의 혼을 적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와이어 융착시스템의 동작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와이어 융착시스템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에 배치된 와이어 릴(160)로부터 와이어(W)를 가이드 레버(24)와 와이어 버퍼(28)를 거쳐서 와이어 피더(60)에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릴(160)로부터 인출된 와이어(W)는 가이드 레버(24)의 제1 포스트(21)를 거쳐서 와이어 버퍼(28)의 제3 포스트(25)를 거친 후, 다시 가이드 레버(24)의 제2 포스트(23)를 거쳐서 와이어 피더(60)측으로 안내되게 된다.
상기 와이어 버퍼(28)는 와이어 피더(60)에 공급되는 와이어(W)의 양을 일정하고 부드럽게 공급하게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와이어 피더(60)에서 와이어(W)를 와이어 포밍롤러(80)에 공급하게 되면 와이어 버퍼(28)의 웨이트(WT)가 위로 상승하게 되면서 제2 센서(220)가 감지하게 된다. 상기 제2 센서(220)가 감지하게 되면 와이어 릴(160)에서 와이어(W)를 제1 센서(222)가 감지될 때까지 릴을 풀어주어 와이어(W)의 원활한 공급을 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 피더(60)에 제공되는 와이어(W)는 와이어 가이드(62)를 거쳐서 와이어 이송롤러(64)와 아이들 롤러(66)의 사이를 거쳐서 노즐(68)측으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와이어 피더(60)는 구동원(70)을 동작시키게 되면, 한 쌍의 풀리(35)가 동작하게 되고 아울러, 상기 한 쌍의 풀리(35)와 연결된 벨트에 의해 와이어 피더(60)는 엘엠 가이드(45)와 연결되므로 엘엠 레일(40)을 따라 소정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 피더(60)가 소정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벨트 클램프(50)에 의해 와이어 피더(60)가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 피더(60)가 고정된 상태에서 와이어 피더(60)는 와이어 포밍롤러(80)측으로 와이어(W)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 피더(60)는 와이어 포밍롤러(80)에 와이어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와이어 이송롤러(64)와 아이들 롤러(66)에 와이어(W)가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구동원(65)을 동작시켜 와이어(W)를 노즐(68)을 거쳐서 와이어 포밍롤러(80)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 피더(6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노즐(68)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제2 와이어 가이드 포스트(142)에 와이어(W)를 걸기위한 대기위치에서 와이어 피더(60)의 높이는 하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와이어 가이드 포스트(142)에서 융착팁(155)으로 이동시 와이어 피더(60)는 상승하면서 와이어(W)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융착팁(155)을 지나 제1 와이어 가이드 포스트(132)에 와이어(W)를 걸 수 있게 되는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 와이어 가이드 포스트(132)에 와이어(W)가 걸리게 되면, 그립퍼(122)는 와이어 그립퍼 캠블럭(150)의 동작에 의해 와이어(W)를 잡게 된다. 또한, 제1 와이어 가이드 포스트(132)에서 제2 와이어 가이드 포스트(142)로 와이어(W)를 걸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면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와이어 가이드 포스트(142)의 위치에 올 때 와이어 피더(60)의 높이는 상승하게 된다(도 5 참조).
이와 같이, 상기 와이어 피더(60)는 전술한 동작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와이어 피더(60)는 와이어 그립퍼 캠블럭(150)이 있는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은 스프링(74)에 의해 노즐(68)의 위치가 상승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포밍롤러(80)는 구동원(100)의 작동에 의해 연속적인 회전을 통해 와이어 피더(60)에서 공급되는 와이어(W)를 와이어 지지체(120)의 제2 와이어 가이드 포스트(142)와 와이어 보조 지지체(140)의 제1 와이어 가이드 포스트(132)에 걸어주며, 복수개의 그립퍼(122)로 와이어(W)를 클램프(또는 그립)하여 와이어의 이탈 방지 및 융착 위치까지 이동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와이어 그립퍼 캠블럭(150)의 내측 및 외측 캠 클램프 블럭(156,154)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퍼 오픈(Open) 상태 영역에서 그립퍼(122)를 힌지축(124)을 중심으로 오픈 상태를 만들어주게 된다. 상기 와이어 포밍롤러(80)가 그립퍼 오픈 영역 상태를 이탈하게 되면, 그립퍼(122)는 토션 스프링(126)의 힘에 의해 클로즈(Close) 상태로 만들어 와이어(W)를 그립시키게 된다(즉, 와이어 그립퍼 캠블럭(150)을 이탈하게 되면 와이어 지지체(120)에 배치된 복수개의 그립퍼(122)는 토션 스프링(126)의 힘에 의해 클로즈 상태로 되어 와이어(W)를 그립하게 된다).
상기 그립퍼(122)가 와이어(W)를 그립한 상태에서 와이어 커터(90)가 와이어 포밍 롤러(80)에 엮인 와이어(W)중 불필요한 와이어를 절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즉, 그립퍼(122)가 와이어(W)를 계속 그립한 상태)에서, 와이어 포밍롤러(80)가 더 회전하여 혼(95)이 배치된 위치(융착지점)로 오게 되면 와이어(W)를 혼(95)에 의해 융착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와이어(W)의 융착이 완료되면, 와이어 그립퍼 캠블럭(150)의 오픈 캠블럭(158)의 동작에 의해 그립퍼(122)를 오픈 상태로 변환하게 되고, 그 상태로 와이어 공급부(즉, 초기 노즐(68)이 위치한 부분)까지 오픈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와이어 융착시스템은 복수개의 와이어 피더와 와이어 포밍롤러를 이용하게 되므로 마스크에 와이어를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융착시킬 수 있게 되어 마스크를 고속으로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와이어 융착시스템는 마스크를 생산 또는 제조하는 마스크 제조 분야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10: 지지 브라켓 20: 수평 프레임
30: 수직 프레임 50: 벨트 클램프
60: 와이어 피더 70,100: 구동원
80: 와이어 포밍롤러 90: 와이어 커터
120: 와이어 지지체 140: 와이어 보조지지체
150: 와이어 그립퍼 캠블럭

Claims (10)

  1. 지지 브라켓(10)과;
    상기 지지 브라켓(10)의 사이에 배치된 수평 프레임(20)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수직 프레임(30)과;
    상기 수직 프레임(30)에 각각 배치되며, 벨트(32)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한 쌍의 풀리(35)와;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30)의 사이에 배치된 엘엠 레일(40)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엘엠 가이드(45)와;
    상기 엘엠 가이드(24)에 각각 연결되며, 와이어를 공급하는 한 쌍의 와이어 피더(60)와;
    상기 한 쌍의 풀리(35)중 하나의 풀리에 연결되어 풀리(35)를 구동시키는 구동원(70)과;
    상기 와이어 피더(60)로부터 공급된 와이어가 제공되며, 양측에 와이어 지지체(120)와 와이어 보조 지지체(140)가 간격을 두고 설치된 와이어 포밍롤러(80)와;
    상기 와이어 포밍롤러(80)에 엮인 와이어의 불필요한 와이어를 절단하는 와이어 커터(90)와;
    상기 와이어 지지체(1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와이어를 초음파 용접하는 혼(95)과;
    상기 와이어 포밍롤러(80)를 구동시키는 구동원(1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융착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20)의 일측에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보조 프레임(22)이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보조 프레임(22)의 상부에는 가이드 레버(24)가 배치되며, 하부에는 와이어 피더(60)에 공급되는 와이어(W)의 양을 조절하는 와이어 버퍼(28)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와이어 융착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엠 가이드(45)의 상부 일측에는 일측이 벨트(32)와 연결되며 절곡된 형태로 구성된 벨트 클램프(5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융착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피더(60)는 베이스 플레이트(61)의 일측에 배치되며 유입되는 와이어(W)를 안내하는 와이어 가이드(62)와, 베이스 플레이트(61)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 가이드(62)로부터 배출된 와이어를 노즐측(68)으로 이송시키는 와이어 이송롤러(64) 및 아이들 롤러(66)와, 상기 와이어 이송롤러(64)와 아이들 롤러(66)의 하부에 배치되며 와이어(W)를 배출시키는 노즐(68)과, 상기 와이어 이송롤러(64)를 구동시키는 구동원(6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융착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피더(60)는 베이스 플레이트(61)의 후면 일측에 스프링 블럭(72)이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 블럭(72)의 상부에는 스프링(74)이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1)의 후면 중간에는 캠 블럭(78)과 연결된 캠(76)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융착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지지체(120)는 외주연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와이어를 그립하는 복수개의 그립퍼(122)와, 상기 그립퍼(122)가 끼워지는 힌지축(124)에 함께 삽설되는 토션 스프링(126)과, 상기 그립퍼(122)의 하부에 배치되며 와이어를 끼워서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제1 와이어 가이드 포스트(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융착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지지체(120)와 와이어 보조 지지체(140)의 사이에는 와이어 그립퍼 캠블럭(150)이 삽설되고,
    상기 와이어 그립퍼 캠블럭(150)은 캠블럭 지지체(152)의 일측에 배치되며 아치 형태의 외측 캠 클램프 블럭(154)과, 상기 외측 캠 클램프 블럭(154)의 일측에 배치된 내측 캠 클램프 블럭(156)과, 상기 외측 캠 클램프 블럭(154)의 타측에 배치되며 그립퍼(122)를 개방하는 오픈 캠블럭(15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융착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지지체(120)는 외측에 간격을 두고 와이어 보조 지지체(140)가 각각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 보조 지지체(140)는 외주연에 간격을 두고 와이어(W)를 끼워서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제2 와이어 가이드 포스트(142)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융착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커터(90)는 지지 브라켓(10)의 양측에 설치된 지지블럭(12)에 삽설된 가이드 샤프트(14)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연결부재(16)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융착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커터(90)의 일측에는 와이어 커팅후 잔여 와이어를 흡착하기 위한 진공 흡착부(10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융착시스템.
KR1020200055969A 2020-05-11 2020-05-11 와이어 융착시스템 KR102344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969A KR102344316B1 (ko) 2020-05-11 2020-05-11 와이어 융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969A KR102344316B1 (ko) 2020-05-11 2020-05-11 와이어 융착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738A true KR20210137738A (ko) 2021-11-18
KR102344316B1 KR102344316B1 (ko) 2021-12-29

Family

ID=78717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969A KR102344316B1 (ko) 2020-05-11 2020-05-11 와이어 융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43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311B1 (ko) 2006-11-03 2007-12-10 이상호 초음파 융착에 의한 마스크 제조장치
JP5175789B2 (ja) * 2009-04-06 2013-04-03 倉敷繊維加工株式会社 衛生マスク用複合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62666B1 (ko) * 2014-10-01 2016-10-05 메이드테크(주) 라벨 부착장치
KR101853359B1 (ko) * 2016-06-28 2018-05-02 메이드테크(주) 시트 마스크 패킹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311B1 (ko) 2006-11-03 2007-12-10 이상호 초음파 융착에 의한 마스크 제조장치
JP5175789B2 (ja) * 2009-04-06 2013-04-03 倉敷繊維加工株式会社 衛生マスク用複合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62666B1 (ko) * 2014-10-01 2016-10-05 메이드테크(주) 라벨 부착장치
KR101853359B1 (ko) * 2016-06-28 2018-05-02 메이드테크(주) 시트 마스크 패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4316B1 (ko) 202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81007B2 (ja) マスクの耳掛け紐取付け装置
CN109673150B (zh) 在面罩生产过程中缠绕系带的方法和系统
CN112277322B (zh) 一种口罩全自动生产线
JP6623292B2 (ja) フェイスマスクの製造工程において、ノーズワイヤをスプライシング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CN111971230B (zh) 填充带有各一个未封闭的上端部的袋子的填充设备和方法
CN109673152B (zh) 在面罩生产过程中缠绕系带的方法和系统
JP4523638B2 (ja) 少なくとも1つの材料ウェブもしくは少なくとも1つのウェブ条片を折り装置に引き込むための装置
RU226434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фольги,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й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мешк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мешков из фольги
CN108557584B (zh) 一种用于自动络筒机的自动找头设备
KR102262915B1 (ko) 마스크 제조 설비 및 방법
KR102344316B1 (ko) 와이어 융착시스템
US20220125133A1 (en) Three-dimensional mask with an expression window, and a manufacturing method and production equipment thereof
CN109673154B (zh) 在面罩生产过程中缠绕系带的方法和系统
JP6598994B2 (ja) フェイスマスクの製造工程においてノーズワイヤをスプライシング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S63281834A (ja) 容器製造機
CN109673153B (zh) 在面罩生产过程中缠绕系带的方法和系统
KR102344916B1 (ko) 용착 장치 및 방법
EP3490919B1 (en) Feeding unit for a tissue converting machine for converting a web of two-layer tissue
JP3510684B2 (ja) 連続ウエブ間欠送り装置
CN212668703U (zh) 一种封边条卷筒供料输送装置
CN211769213U (zh) 一种用于自动包装机的卷膜成型装置
KR20210156068A (ko) 와이어 융착시스템
US11185939B2 (en)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apparatus
JPS62191132A (ja) 下部封合袋製作機
EP07546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ension control of a web of bags in a packag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