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7186A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7186A
KR20210137186A KR1020217033094A KR20217033094A KR20210137186A KR 20210137186 A KR20210137186 A KR 20210137186A KR 1020217033094 A KR1020217033094 A KR 1020217033094A KR 20217033094 A KR20217033094 A KR 20217033094A KR 20210137186 A KR20210137186 A KR 20210137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vehicle
information
data
direct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3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츠노리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르노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르노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37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1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6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V2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0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geographic position o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3Manipulation of direct-mod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Abstract

정보 처리 장치는, 이동체 및 다른 이동체가 장래 주행할 위치 정보와, 장래 주행할 위치 정보에 따른, 장래에 있어서의 직접 통신의 통신 환경 정보와, 이동체가 장래, 다른 이동체로 송신할 데이터양 정보, 또는 다른 이동체로부터 수신할 데이터양 정보에 기초하여, 직접 통신에 의해 데이터양을 송신하거나, 또는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직접 통신에 의해 데이터양 정보에 관한 데이터양을 송신하거나, 또는 수신할 수 없다고 판정한 경우, 직접 통신 및 간접 통신 중 적어도 어느 것에 대해, 이동체와 다른 이동체의 통신 계획 정보를 작성하고, 다른 이동체로 통신 계획 정보를 송신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서버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차량의 위치, 속도 등의 차량 데이터를 나타내는 통신 패킷을 복수의 차량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이러한 복수의 차량 사이에서의 송수신은 차차간 통신이라고 불린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은, 차차간 통신에 있어서의 통신 품질이 허용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협역 송신 주기보다 긴 광역 송신 주기를 채용하고, 통신 품질이 허용 레벨 미만인 경우에는, 협역 송신 주기와 동등한 값 또는 그보다 작은 값의 제2 광역 송신 주기를 채용한다.
국제 공개 제2017/159240호
그러나 차차간 통신(직접 통신)으로 통신이 가능했다고 해도, 그 후의 경로에 따라서는 전파의 강도가 약해지거나, 정체 상태에 따라서는 통신 품질이 저하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경우, 직접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은, 직접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 간접 통신으로 전환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직접 통신으로부터 간접 통신으로 전환하였을 때의 초기 접속에 시간을 요하는 경우, 원활한 데이터의 공유에 방해가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원활한 데이터의 공유가 실현되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는, 이동체 및 다른 이동체가 장래 주행할 위치 정보와, 장래 주행할 위치 정보에 따른, 장래에 있어서의 직접 통신의 통신 환경 정보와, 이동체가 장래, 다른 이동체로 송신할 데이터양 정보, 또는 다른 이동체로부터 수신할 데이터양 정보에 기초하여, 직접 통신에 의해 데이터양 정보에 관한 데이터양을 송신하거나, 또는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직접 통신에 의해 데이터양을 송신하거나, 또는 수신할 수 없다고 판정한 경우, 직접 통신 및 간접 통신 중 적어도 어느 것에 대해, 이동체와 다른 이동체의 통신 계획 정보를 작성하고, 다른 이동체로 통신 계획 정보를 송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활한 데이터의 공유가 실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네트워크의 전체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및 서버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데이터양의 추정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주행 장면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환경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환경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직접 통신으로 송신이 가능한 데이터양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및 서버의 동작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및 서버의 동작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및 서버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주행 장면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및 서버의 동작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및 서버의 동작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및 서버의 동작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및 서버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주행 장면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우선도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및 서버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네트워크의 전체 개략을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네트워크에는, 차량 A와, 차량 B와, 기지국(300)과, 휴대 전화망(310)과, 서버(400)가 포함된다.
차량 A(이동체)는, 통신 기능을 갖는 통신부(100)를 구비한다. 차량 B(다른 이동체)는, 통신 기능을 갖는 통신부(200)를 구비한다. 통신부(100) 및 통신부(200)는, 예를 들어 안테나, 모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통신부(100) 및 통신부(200)는, 기지국(300) 및 휴대 전화망(310)을 통해 서버(400)와 통신한다. 기지국(300)은, 이동하지 않는 고정된 통신 장치이며, 휴대 전화망(310)을 커버하는 액세스 포인트이다. 또한, 통신부(100) 및 통신부(200)는 기지국(300) 및 서버(400)를 경유하여 서로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지국(300) 및 서버(400)를 경유한, 통신부(100)와 통신부(200)의 통신을, 이하에서는 간접 통신이라고 정의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간접 통신은, 휴대 전화망(310), 인터넷 및 서버(400)를 사용하여 행해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의 무선 통신 방식(예를 들어, WiFi 핫스팟 및 WiFi 네트워크상의 서버나 휴대 전화망상 폐쇄 영역에 있어서의 서버 등)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통신부(100)와 통신부(200)는, 기지국(300) 및 서버(400)를 경유하는 일 없이 직접적으로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기지국(300) 및 서버(400)를 경유하지 않는 통신을, 이하에서는 직접 통신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직접 통신은 차차간 통신으로 표현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A 및 차량 B는 직접 통신 또는 간접 통신에 의해 차량(차량 A, 차량 B, 그 밖의 차량도 포함함), 도로 정보 등에 관한 복수의 데이터를 공유한다. 복수의 데이터에는, 위치 정보, 속도 정보, 진행 방향에 관한 데이터 등이 포함된다. 직접 통신은, 기지국(300) 및 서버(400)를 경유하지 않으므로, 저지연, 또한 간이한 구성으로 상대방에게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간접 통신은, 직접 통신으로는 보낼 수 없는 큰 데이터나 일정 시간 정보가 바뀌지 않고 반복하여 보낼 때에 사용된다. 또한, 간접 통신은 직접 통신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된다.
차량 A 및 차량 B는, 자동 운전 기능을 갖는 차량이어도 되고, 자동 운전 기능을 갖지 않는 차량이어도 된다. 또한, 차량 A 및 차량 B는, 자동 운전과 수동 운전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이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A 및 차량 B는 자동 운전 기능을 갖는 차량으로서 설명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차량 A, 차량 B, 및 서버(400)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차량 A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A는, 상술한 통신부(100)와, GPS 수신기(101)와, 센서(102)와, 컨트롤러(110)를 구비한다. 또한, 통신부(100), GPS 수신기(101), 센서(102), 및 컨트롤러(110)는, 통합하여 정보 처리 장치로 표현되어도 된다.
GPS 수신기(101)는, 인공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함으로써, 지상에 있어서의 차량 A의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GPS 수신기(101)가 검출하는 차량 A의 위치 정보에는, 위도 정보, 경도 정보, 및 시각 정보가 포함된다. GPS 수신기(101)는, 검출한 차량 A의 위치 정보를 컨트롤러(110)에 출력한다. 또한, 차량 A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방법은, GPS 수신기(101)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오도메트리라고 불리는 방법을 사용하여 위치를 추정해도 된다. 오도메트리란, 차량 A의 회전각, 회전 각속도에 따라서 차량 A의 이동량 및 이동 방향을 구함으로써, 차량 A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또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의 일부이다.
센서(102)는, 차량 A에 탑재되며, 차량 A의 정보 및 차량 A의 주위의 물체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센서(102)는, 도로 상 또는 도로 주변의 물체를 검출한다. 센서(102)는, 복수의 센서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센서(102)는, 차륜속 센서, 조타각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한다. 이들 센서에 의해, 차량 A의 속도, 조타각 등이 검출된다. 또한 센서(102)는, 카메라, 라이더, 레이더, 밀리미터파 레이더, 레이저 레인지 파인더, 소나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센서들에 의해, 차량 A의 주위의 물체로서, 타 차량(차량 B도 포함됨), 바이크, 자전거, 보행자를 포함하는 이동 물체, 및 장애물, 낙하물, 주차 차량을 포함하는 정지 물체가 검출된다. 구체적인 검출 데이터로서, 차량 A의 주위에 타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타 차량의 식별 번호, 위치, 속도, 종류(차종), 높이, 진행 방향, 과거의 주행 궤적, 과거의 주행 궤적에 기초하는 장래의 궤적 등이 검출된다. 센서(102)는, 검출한 데이터를 컨트롤러(110)에 출력한다.
컨트롤러(110)는, CPU(중앙 처리 장치), 메모리, 및 입출력부를 구비하는 범용의 마이크로컴퓨터이다. 마이크로컴퓨터에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인스톨되어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마이크로컴퓨터는 정보 처리 장치가 구비하는 복수의 정보 처리 회로로서 기능한다. 또한, 여기서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가 구비하는 복수의 정보 처리 회로를 실현하는 예를 나타내는데, 물론, 이하에 나타내는 각 정보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전용의 하드웨어를 준비하여 정보 처리 회로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정보 처리 회로를 개별의 하드웨어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컨트롤러(110)는 복수의 정보 처리 회로의 일례로서, 통신 제어부(111)와, 데이터 생성부(112)를 구비한다.
통신 제어부(111)는, 통신 환경에 기초하여 통신 방식을 제어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신 환경은, 수신 강도, 이동 속도, 다중 반사, 채널 이용률 및 자동 삭제율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포함한다. 이동 속도란, 차량 A 및 차량 B의 차속을 의미한다. 채널 이용률은,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의 단말기 등의 다른 기기와 통신하고 있는 이용률을 나타낸다. 자동 삭제율은, 소정의 채널 이용률을 초과하였을 때에 데이터를 씨닝하는 비율을 나타낸다. 통신 제어부(111)는, 통신 환경이 양호하지 않은 경우, 직접 통신으로부터 간접 통신으로 전환한다. 통신 제어부(111)는, 통신 환경 판정부(404)에 의해 판정된 통신 환경을 사용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 제어부(111)는, 통신 환경을 판정하는 기능을 구비해도 된다. 그리고 통신 제어부(111)는 스스로 판정한 통신 환경을 사용하여 통신 방식을 제어해도 된다.
데이터 생성부(112)는, 차량 B로 송신하는 데이터를 생성한다. 데이터 생성부(112)가 생성하는 데이터에는, 오버헤드, 차량 A의 현재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 센서 데이터 등이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데이터 생성부(112)가 생성하는 데이터는 메시지라고 표현되는 경우가 있다. 오버헤드에는 메시지 ID, 차량 A의 고유의 일시적인 ID, 차량 A의 인증 코드 등이 포함된다. 차량 정보에는, 차량 A의 현재의 위치 정보 외에, 차량 A의 속도 정보, 진행 방향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 센서 데이터란, 센서(102)에 의해 검출되는 데이터이다. 센서 데이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타 차량의 식별 번호, 위치, 속도, 종류(차종), 높이, 진행 방향, 과거의 주행 궤적, 과거의 주행 궤적에 기초하는 장래의 궤적 등이 포함된다. 메시지의 송신 주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0Hz로 설정된다. 데이터 생성부(112)는, 생성된 데이터를 통신부(100)에 출력한다.
통신부(100)는, 차량 A의 주위에 차량 A의 현재의 위치 정보, 주행 계획 정보, 센서에 의해 검지한 오브젝트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키지가 브로드캐스트 송신된다. 브로드캐스트 송신에는, 직접 통신 방식이 사용된다. 직접 통신 방식은, 예를 들어 IEEE 802. 11p에 준거한 DSRC 방식(주파수: 5.9GHz대), 혹은 3GPP Release14 이후의 사양에 준거한 셀룰러 V2X 방식이다. 현재의 위치 정보란, 차량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도, 경도와, 당해 위치를 취득하였을 때의 시간을 연관시킨 데이터이다. 주행 계획 정보란, 차량의 장래 위치에 대해 차속이 연관된 차속 계획 데이터와, 장래의 주행 경로 데이터를 포함하는 주행 계획 데이터이다. 장래의 주행 경로 데이터는, 미리 설정된 목적지까지 주행하는 주행 도로의 루트 정보여도 되고, 차속 계획 데이터에 기초하여 장래 위치(위도, 경도)와 통과 예정 시각이 연관된 데이터여도 된다. 예를 들어, 주행 계획 정보는, SAE2735(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s(DSRC) Message Set Dictionary)의 메시지에 준거한 데이터에 대해, 차속 계획 데이터를 추가한 데이터이다. 브로드캐스트 송신되는 차량 A 위치 데이터의 예를 표 1에 나타낸다. 차량 A 위치 데이터는, 헤더 및 콘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키지 데이터로서, 통신부(100)로부터 송신되어, 차량 B의 통신부(200)에 의해 수신되거나, 또는 기지국(300)을 경유하여 서버(400)의 장래 경로 취득부(401)에 의해 취득된다.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A 위치 데이터의 헤더에는, 송신원인 차량 A의 식별 번호와, 콘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 콘텐츠의 종별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예를 들어, 현재의 위치 정보, 주행 계획 정보를 나타내는 식별용 ID)가 저장된다. 콘텐츠 데이터에는, 위도, 경도와 이들 정보를 취득한 시간을 연관시킨 데이터인 현재의 위치 정보, 주행 계획 정보 및 차량의 통신 환경이 저장된다. 통신 환경에는, 수신 강도, 이동 속도(차량의 이동 속도 및 차량의 통신처 차량의 이동 속도), 다중 반사, 채널 이용률 및 자동 삭제율이 포함된다. 이들 헤더 및 콘텐츠 데이터는, 차량 A의 컨트롤러(110)에 의해, GPS 수신기(101) 및 각종 센서(102)로부터 취득한 데이터 및 컨트롤러(110)에 구비하는 메모리에 미리 기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어, 차량 A 위치 데이터가 생성된다.
Figure pct00001
다음으로, 차량 B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B는, 상술한 통신부(200)와, GPS 수신기(201)와, 컨트롤러(220)를 구비한다. 또한, 통신부(200), GPS 수신기(201), 및 컨트롤러(220)는, 통합하여 정보 처리 장치로 표현되어도 된다.
GPS 수신기(201)의 기능은, GPS 수신기(101)의 기능과 마찬가지이다. 컨트롤러(220)는, 컨트롤러(110)와 마찬가지로, CPU, 메모리, 및 입출력부를 구비하는 범용의 마이크로컴퓨터이다. 컨트롤러(220)는, 복수의 정보 처리 회로의 일례로서, 통신 제어부(221)와, 데이터 수신부(222)를 구비한다. 통신 제어부(221)의 기능은, 통신 제어부(111)의 기능과 동일하다.
통신부(200)는, 차량 A의 통신부(100)로부터 송신된, 차량 A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차량 A 위치 데이터를 데이터 수신부(222)에 출력한다. 데이터 수신부(222)는, 통신부(200)로부터 차량 A 위치 데이터를 취득한다. 통신부(200)가 차량 A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였다는 것은, 차량 A와 차량 B 사이에서 직접 통신이 확립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통신 제어부(221)는, 통신부(200)가 차량 A 위치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차량 A의 현재의 위치 정보, 차량 A의 주행 계획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A 위치 데이터, 및 차량 A와의 사이에서 직접 통신이 확립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 등을 서버(400)에 송신한다. 이때, 통신 제어부(221)는, 표 1에 나타내는 패키지 데이터대로, 차량 B의 현재의 위치 정보, 차량 B의 주행 계획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B 위치 데이터도 함께 서버(400)에 송신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부(222)는, 데이터 생성부(112)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의 포맷을 미리 기억해 두고, 데이터를 해석하여 보존하는 기능을 갖는다.
서버(400)는, 컨트롤러(110)와 마찬가지로, CPU, 메모리, 및 입출력부를 구비하는 범용의 마이크로컴퓨터이다. 서버(400)는, 복수의 정보 처리 회로의 일례로서, 장래 경로 취득부(401)와, 위치 예측부(402)와, 데이터양 추정부(403)와, 통신 환경 판정부(404)와, 가부 판정부(405)와, 통신 계획 생성부(406)를 구비한다.
장래 경로 취득부(401)는, 기지국(300) 경유로 수신한 차량 A 위치 데이터 및 차량 B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 A 및 차량 B 각각에 대해, 현재의 위치, 주행 계획 정보를 취득한다. 장래 경로 취득부(401)는, 차량 B의 통신부(200)로부터 송신된 이들 데이터를 수신하여 취득해도 되고, 차량 A의 통신부(100)로부터 송신된 차량 A의 위치 데이터(차량 A의 현재의 위치 정보, 주행 계획 정보)를 수신하고, 차량 B의 통신부(200)로부터 송신된 차량 B의 위치 데이터(차량 B의 현재의 위치 정보, 주행 계획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나아가, 서버(400)가 과거에 수신하여 메모리에 기억된 주행 계획 정보를 판독해도 되고, 차량 A 및 차량 B의 각각에 주행 계획 정보를 요구하여 수신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장래 경로 취득부(401)는, 취득한 주행 계획 정보를 위치 예측부(402)에 출력한다.
위치 예측부(402)는, 차량 B로부터 취득한 차량 A 및 차량 B의 위치 정보와, 장래 경로 취득부(401)로부터 취득한 주행 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장래에 있어서의 차량 A 및 차량 B의 장래 위치를 예측한다. 예를 들어, 위치 예측부(402)는 예측된 차량 A 및 차량 B의 장래 위치에 기초하여, 장래의 차량 A에 대한 차량 B의 상대 위치 및 상대 거리를 예측한다. 위치 예측부(402)는, 예측한 위치 관계를 통신 환경 판정부(404)에 출력한다.
데이터양 추정부(403)는, 차량 A가 차량 B에 직접 통신으로 송신한 데이터양에 대해, 1초당의 데이터양의 추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양 추정부(403)는 1초당 어느 정도의 데이터양이 송신된 것인지 추정한다. 데이터양 추정부(403)는, 추정한 데이터양을 통신 환경 판정부(404)에 출력한다.
통신 환경 판정부(404)는, 위치 예측부(402)에 의해 예측된 장래의 차량 A 및 차량 B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차량 A와 차량 B 사이에 있어서의 장래의 통신 환경을 판정한다. 또한, 통신 환경 판정부(404)는, 데이터양 추정부(403)에 의해 추정된 데이터양 중, 직접 통신으로 송신이 가능한 데이터양을 추정한다. 데이터양의 추정에는,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 등이 통신하고 있는 상황을 나타내는 채널 이용률 및 소정의 채널 이용률을 초과하였을 때에 데이터를 씨닝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데이터 자동 삭제율이 사용된다. 이들 채널 이용률 및 데이터 자동 삭제율은, 예를 들어 SAEJ2945/1 등에 적용되어 있다.
가부 판정부(405)는, 데이터양 추정부(403)에 의해 추정된 데이터양과, 통신 환경 판정부(404)에 의해 추정된 데이터양을 비교한다. 가부 판정부(405)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데이터양 추정부(403)에 의해 추정된 데이터양 전부를 직접 통신으로 송신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가부 판정부(405)는, 판정 결과를 통신 계획 생성부(406)에 출력한다.
통신 계획 생성부(406)는, 가부 판정부(405)로부터 취득한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 A가 차량 B로 송신하는 데이터양 중, 직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데이터양과, 직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이 불가능한 데이터양을 특정한다. 그리고 통신 계획 생성부(406)는, 직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데이터양을 직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통신 계획과, 직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이 불가능한 데이터양을 간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통신 계획을 작성한다. 또한, 통신 계획 생성부(406)는, 작성한 통신 계획을 차량 A 및 차량 B로 송신한다.
(데이터양 추정 방법)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데이터양 추정부(403)에 의해 추정되는, 데이터양의 추정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A가 차량 B에 직접 통신으로 송신한 데이터양에는, 오버헤드, 차량 A의 현재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 차량 A의 과거의 주행 궤적 및 주행 계획 정보, 주위의 오브젝트의 인식 정보, 센서 데이터가 포함된다.
차량 A의 현재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에는, 차량 A의 속도 정보, 진행 방향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 주위의 오브젝트의 인식 정보에는, 차량 A(센서(102))가 인식한, 차량 A의 주위의 타 차량의 대수(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11대)가 포함된다. 센서 데이터에는, 8개의 데이터가 포함된다. 8개의 데이터란, 타 차량의 식별 번호, 위치, 속도, 종류(차종), 높이, 진행 방향, 과거의 주행 궤적, 과거의 주행 궤적에 기초하는 장래의 궤적이다.
데이터양 추정부(403)는, 데이터 컨테이너의 내부 정보로부터 도 3에 나타내는 데이터의 단위량을 추정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단위량에 대해, 오버헤드가 200bytes, 차량 A의 현재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가 40bytes, 차량 A의 과거의 주행 궤적에 관한 정보 및 주행 계획 정보가 600bytes, 주위의 오브젝트의 인식 정보가 600bytes, 센서 데이터가 3Mbytes로 추정된다.
그리고 데이터양 추정부(403)는, 추정한 데이터 단위량에 기초하여, 1초당의 최대 데이터양을 추정한다. 예를 들어, 차량 A의 주위에 차량 B를 포함하여 11대의 차량이 존재하고, 센서(102)에 의해 취득되는 데이터의 종류가 8종류인 경우, 1초당의 최대 데이터양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4Mbytes+7,440bytes로 추정된다.
(통신 환경 판정 방법)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통신 환경 판정부(404)에 의해 판정되는, 통신 환경 판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통신 환경 판정부(404)는, 차량 A 및 차량 B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전파 강도를 추정한다. 전파 강도란, 전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차량 A 및 차량 B의 위치 관계의 일례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장면에 있어서, 차량 A는 1차선 도로를 직진하고 있다. 차량 B는 편도 3차선 도로의 중앙 차선을 직진하고 있다. 차량 A가 주행하고 있는 도로와, 차량 B가 주행하고 있는 도로는 교차한다. 차량 A 및 차량 B는, 교차점으로부터 500m 전방의 지점을 40㎞/h로 주행하고 있다. 차량 A의 위치 좌표를 (Xa,Ya)로 하고, 차량 B의 위치 좌표를 (Xb,Yb)라고 한 경우, 차량 A와 차량 B의 직선 상의 거리 D(이하, 단순히 거리 D라고 칭함)는 식 (1)로 표시된다. 또한, 위치 좌표 (Xa,Ya), (Xb,Yb)를 초기 위치로 한다.
Figure pct00002
차량 A 및 차량 B가 장래 주행할 경로는, 장래 경로 취득부(401)에 의해 취득된다. 도 4에 나타내는 장면에서는, 차량 A 및 차량 B가 장래 주행할 경로는, 직진 경로이다. 위치 예측부(402)는, 장래 경로 취득부(401)에 의해 취득된 경로에 기초하여 장래에 있어서의 차량 A 및 차량 B의 위치 관계를 예측한다. 차량 A 및 차량 B는 40㎞/h로 주행하고 있으므로, 차량 A 및 차량 B가 교차점에 접근함에 따라서 거리 D는 점차 짧아진다. 거리 D는, 초기 위치에서 최댓값이 되고, 교차점 부근에서 최솟값이 된다. 거리 D에 따라서, 즉, 차량 A 및 차량 B의 위치 관계에 따라서 전파 강도는 변화된다. 그래서 통신 환경 판정부(404)는, 거리 D의 최댓값으로부터 최솟값까지의 거리마다 전파 강도의 감쇠를 평가한다. 또한, 거리 D의 최솟값은 제로로 설정되어도 된다. 전파 강도의 감쇠의 평가에는 식 (2)가 사용된다.
Figure pct00003
여기서, Pt[dBm]는, 송신기의 실행 복사 전력이며, 일반적으로 법규상의 공중선 전력 상한값으로 정해진다. Gr[dB]은, 수신기의 게인이다. λ[m]는, 반송파 주파수의 파장이다. π는, 원주율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면과 차량의 안테나의 높이가 다르기 때문에 노면 반사파와 직접 통신파가 중첩된다. 이 때문에 수신 전력이, 도로면으로부터 안테나까지의 거리에 따라서 크게 변동되는 현상이 알려져 있다. 통신 환경 판정부(404)는, 이 현상을 식 (3) 및 식 (4)를 사용하여 평가한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여기서, ht는, 차량 A의 안테나의 높이이다. 차량 A의 위치 정보에 ht가 포함되는 경우는 그 값이 사용된다. 차량 A의 위치 정보에 ht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또한 차량 A가 대형 차량인 경우, 차량 A의 높이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ht는 3.5m로 설정된다. 이들 이외의 경우는 세단 타입의 일반적인 높이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ht는 1.55m로 설정된다. 또한, 대형 차량은, 예를 들어 트럭, 버스 등이다. 또한, 차량 A가 대형 차량인지 여부는, 차량 A가 차량 B로 송신하는 데이터에 포함되어도 된다.
hr은, 차량 B의 안테나의 높이이다. hr의 설정에 대해서는 ht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한 식 (2) 내지 식 (4)를 사용한 평가 방법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전파 강도를 추정한 후, 통신 환경 판정부(404)는, 통신부(200)의 송수신 데이터 레이트에 따른 최저 수신 감도 Pr_min[dBm]에 대해 평가를 행하고, 송수신 데이터 레이트로 통신 가능한 거리 범위를 평가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환경 판정부(404)는, 거리마다 통신부(200)의 수신 강도를 평가한다. 거리 D의 해석 간격은, 예를 들어 ITS 주파수(5.9GHz대)가 사용되는 경우, 무선의 중심 주파수와 수신 전계 강도의 변동 요인(대지 반사의 2파 모델)에 의해 발생하는 변곡점에 기초하여 1m로 설정된다. 즉, 거리마다라 함은, 일례로서 1m마다를 의미한다.
평가 결과를 도 5에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신 환경은 환경 레벨 1 내지 5로 분류된다. 환경 레벨 1은, 통신 환경이 가장 좋은 것을 의미하고, 환경 레벨 5는 통신 환경이 가장 나쁜 것을 의미한다. 경로의 모든 지점(이하, 전 구간을 칭하는 경우가 있음)에 있어서 수신 강도가 수신 감도의 10배보다 높은 경우, 환경 레벨 1로 분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신 강도가 최저 수신 전력의 10배보다 높은 경우, 환경 레벨 1로 분류된다. 최저 수신 전력이란, 통신에 필요한 수신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최소의 수신 전력을 가리킨다.
또한, 전 구간에 있어서 수신 강도가 수신 감도의 10배보다 높은 경우, 환경 레벨 2로 분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신 강도가 평균 수신 전력의 10배보다 높은 경우, 환경 레벨 2로 분류된다. 또한, 전 구간에 있어서 수신 강도가 수신 감도와 동등, 혹은 수신 감도의 10배 정도인 경우, 환경 레벨 3으로 분류된다.
경로의 일부의 지점(이하, 일부의 구간을 칭하는 경우가 있음)에 있어서 수신 강도가 수신 감도와 동등한 경우, 환경 레벨 4로 분류된다. 또한, 일부의 구간에 있어서 수신 강도가 수신 감도 이하인 경우, 환경 레벨 5로 분류된다. 환경 레벨 1 내지 3에서는, 전 구간에서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 한편, 환경 레벨 4 내지 5에서는, 일부의 구간에서 직접 통신은 곤란하다. 또한, 일부의 구간에 있어서 수신 강도가 수신 감도 이하가 되는 경우, 해당되는 구간이 기록된다.
이와 같이 통신 환경 판정부(404)는, 거리마다 수신 강도를 평가한 결과, 전 구간에서 수신 강도가 역치를 상회하는 경우, 전 구간에서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정한다. 이에 의해, 통신 환경 판정부(404)는, 우연히 직접 통신의 초기 접속이 실현된 경우, 또는 노면 반사 등의 영향으로 갑자기 감쇠가 발생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상대방이 통신을 하지 않게 된 것인지, 일시적으로 통신이 끊어졌을 뿐인지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통신 환경 판정부(404)는 통신 방식의 변조 방식이 수신 강도에 따라서 직접 통신으로 전환될 가능성을 추정하고, 환경 레벨 1에서는 환경 레벨 3(예를 들어, 변조 방식 QPSK)에 대해 변조 효율이 약 16배(64QAM), 환경 레벨 2에 대해 변조 효율이 약 8배(16QAM)라고 판정한다. 또한, 역치는, 수신 감도라고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통신 환경 판정부(404)는, 직접 통신으로 송신이 가능한 데이터양을 추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신 환경 판정부(404)는 통신 환경이 환경 레벨 1이고, 또한 주파수 확장이 기준 대역 폭에 대해 2배인 경우, 데이터 전송 예상량은 9,600바이트로 산출된다.
다음으로, 통신 환경 판정부(404)는, 채널 이용률(Channel Busy Rate)과, 데이터 자동 삭제율에 기초하여 데이터 삭감 예상률을 추정한다. 일반적으로 직접 통신으로는 채널 이용률을 V2X(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로 설정된 기준의 30 내지 70%가 되도록 컨트롤된다. 상세하게는, 하기의 문헌을 참조 바란다. SAE J2945/1, Correction on congestion control for V2X sidelink communication in TS36. 321
V2X로 설정된 기준을 초과한 만큼의 메시지는 씨닝된다. 메시지의 씨닝은, 2개의 지표의 계측에 의해 행해진다. 하나는 채널 이용률의 계측이고, 또 하나는 시퀀셜한 메시지 수신 감시(1초간)에 기초하는 메시지 누락 계측이다.
먼저, 채널 이용률의 계측에 대해 설명한다. 통신 환경 판정부(404)는, 차량 A의 통신부(100) 및 차량 B의 통신부(200)에 기초하여 채널 이용률의 현재 상황을 측정한다. 통신 환경 판정부(404)는, 측정한 채널 이용률에 따라서 현재의 삭감 예상률을 각각 구한다. 통신 환경 판정부(404)는, 채널 이용률이 나쁜 쪽의 결과를 채용한다. 다음으로, 통신 환경 판정부(404)는, 장래의 경로상의 혼잡 상황을 추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환경 판정부(404)는, 경로상에서 차량 A 및 차량 B 중 어느 쪽의 전방에 선행차가 있는 경우는 혼잡할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하고, 환경 레벨을 하나 낮추어 통신 환경이 나빠질 것이라고 추정한다(도 6 참조).
다음으로, 데이터 자동 삭제율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 A의 통신 환경이 양호하지 않은 경우, 메시지는 씨닝하여 송신된다. 통신 환경 판정부(404)는, V2V 메시지의 카운터 감시에 기초하여 데이터 삭제 경향을 계측한다. 1 내지 3회의 씨닝이 1초 평균으로 발생하였음을 계측한 경우, 삭감 예상률을 1/3로 설정한다. 통신 환경 판정부(404)는, 1초간 메시지가 전혀 도착하지 않음을 검출한 경우는 삭제율을 100%로 설정한다. 또한, 통신 환경 판정부(404)는, 5초 평균으로 씨닝률이 변동되는 경우에는 2/3 정도가 삭제되는 것으로 설정한다.
통신 환경 판정부(404)는,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채널 이용률의 계측값이 18%이고, 그 후 혼잡 예상이 없는 경우는 삭감 예상률을 1/2로 한다. 또한, 통신 환경 판정부(404)는, 예를 들어 메시지의 씨닝이 1회 있었음을 검출하고, 그 후 혼잡 예상이 없는 경우는 삭감 예상률을 1/3로 한다. 그 결과, 전 구간에서 데이터 예상량은 9,600×1/2×1/3로 1,600bytes가 된다. 통신 환경 판정부(404)는, 이 1,600bytes가 직접 통신으로 송신이 가능한 데이터양으로 추정한다. 통신 환경 판정부(404)는, 추정값(1,600bytes)을 가부 판정부(405)에 출력한다.
가부 판정부(405)는, 데이터양 추정부(403)에 의해 추정된 데이터양과, 통신 환경 판정부(404)에 의해 추정된 데이터양을 비교한다. 가부 판정부(405)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데이터양 추정부(403)에 의해 추정된 데이터양 전부를 직접 통신으로 송신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양 추정부(403)에 의해 추정된 데이터양은, 24Mbytes+7,440bytes이다. 한편, 통신 환경 판정부(404)에 의해 추정된 데이터양은 1,600bytes이다. 따라서, 가부 판정부(405)는 데이터양 추정부(403)에 의해 추정된 데이터양 전부를 직접 통신으로 송신할 수는 없다고 판정한다. 가부 판정부(405)는, 판정 결과를 통신 계획 생성부(406)에 출력한다.
통신 계획 생성부(406)는, 가부 판정부(405)로부터 취득한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 A가 차량 B로 송신하는 데이터양 중, 직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데이터양과, 직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이 불가능한 데이터양을 특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직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데이터양은 1,600bytes이고, 직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이 불가능한 데이터양은 24Mbytes+5,840bytes이다. 통신 계획 생성부(406)는, 직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데이터양을 직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통신 계획과, 직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이 불가능한 데이터양을 간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통신 계획을 작성한다.
또한, 통신 계획 생성부(406)는, 우선도가 높은 데이터일수록 직접 통신이 선택되도록 통신 계획을 작성한다. 차량 A는 1,600bytes의 데이터를 직접 통신으로 송신할 수 있으므로, 통신 계획 생성부(406)는 우선도가 높은 데이터를 선택하여 1,600bytes분의 데이터를 작성한다. 우선도가 높은 데이터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7에 나타내는 오버헤드의 우선도가 가장 높고, 센서 데이터의 우선도가 가장 낮다. 즉, 오버헤드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향해 우선도가 낮아진다.
오버헤드와, 차량 A의 현재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와, 차량 A의 과거의 주행 궤적에 관한 정보 및 주행 계획 정보를 더하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840bytes가 된다. 따라서, 이들 데이터는 직접 통신으로 보낼 수 있다. 따라서, 통신 계획 생성부(406)는, 이들 데이터가 직접 통신으로 송신되도록 통신 계획을 작성한다. 직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데이터양의 나머지는, 760bytes이다. 따라서, 타 차량 1대분의 인식 정보(600bytes)는 직접 통신으로 보낼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통신 계획 생성부(406)는, 오버헤드와, 차량 A의 현재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와, 차량 A의 과거의 주행 궤적에 관한 정보 및 주행 계획 정보와, 타 차량 1대분의 인식 정보가 직접 통신으로 송신되도록 통신 계획을 작성한다. 즉, 직접 통신으로 송신되는 데이터양은 1,440bytes가 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신 계획 생성부(406)는, 나머지 데이터양(24Mbytes+6,000bytes)에 대해서는 간접 통신으로 송신되도록 통신 계획을 작성한다. 그리고 통신 계획 생성부(406)는, 작성한 통신 계획을, 차량 A 및 차량 B로 송신한다. 이에 의해, 차량 A 및 차량 B는, 직접 통신을 절단하기 전에 미리 간접 통신으로 접속해 둘 수 있으므로, 원활한 데이터의 공유가 실현된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차량 A, 차량 B, 및 서버(400)의 동작예에 대해 설명한다.
스텝 S101에 대해, 차량 A는, GPS 수신기(101)를 사용하여 차량 A의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처리는 스텝 S103으로 진행하고, 차량 A는 차량 B와 공유하는 데이터를 검출한다. 차량 B와 공유하는 데이터란, 차량 A의 위치 정보, 속도 정보, 진행 방향에 관한 정보이다. 또한, 차량 A의 위치 정보는, 스텝 S101에서 검출되어 있다. 차량 B와 공유하는 데이터에는, 타 차량의 식별 번호, 위치, 속도, 종류(차종), 높이, 진행 방향, 과거의 주행 궤적, 과거의 주행 궤적에 기초하는 장래의 궤적 등도 포함된다. 처리는 스텝 S105로 진행하고, 차량 A는 스텝 S101 및 스텝 S103에서 검출된 데이터를 차량 A의 주위로 브로드캐스트 송신한다.
처리는 스텝 S107로 진행하고, 차량 B는 차량 A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처리는 스텝 S109로 진행하고, 차량 B는 GPS 수신기(201)를 사용하여 차량 B의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처리는 스텝 S111로 진행하고, 차량 B는 차량 A의 위치 정보, 차량 B의 위치 정보, 및 차량 A와의 사이에서 직접 통신이 확립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 등을, 서버(400)에 송신한다.
처리는 스텝 S113으로 진행하고, 서버(400)는 차량 B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처리는 스텝 S115로 진행하고, 서버(400)는 차량 A 및 차량 B의 주행 계획 정보를 취득한다. 스텝 S117로 진행하고, 서버(400)는 스텝 S115에서 취득된 주행 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장래에 있어서의 차량 A 및 차량 B의 위치 관계를 예측한다. 처리는 스텝 S119로 진행하고, 서버(400)는 차량 A가 차량 B에 직접 통신으로 송신한 데이터양에 대해, 1초당의 데이터양의 추정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1초당의 최대 데이터양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4Mbytes+7,440bytes라고 추정된다.
처리는 스텝 S121로 진행하고, 서버(400)는 스텝 S117에서 예측된 장래의 차량 A 및 차량 B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차량 A와 차량 B 사이에 있어서의 장래의 통신 환경을 판정한다. 이 결과, 통신 환경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경 레벨 1 내지 5로 분류된다. 또한, 서버(400)는, 스텝 S119에서 추정된 데이터양 중, 직접 통신으로 송신이 가능한 데이터양(상한값)을 추정한다. 이 추정에는, 채널 이용률 및 데이터 자동 삭제율이 사용된다.
처리는, 스텝 S125로 진행하고, 서버(400)는 스텝 S119에서 추정된 데이터양과, 스텝 S123에서 추정된 데이터양을 비교한다. 서버(400)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스텝 S119에서 추정된 데이터양의 전부를 직접 통신으로 송신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19에서 추정된 데이터양의 전부를 직접 통신으로 송신 가능한 경우(스텝 S125에서 "예"), 차량 A 및 차량 B는 계속 직접 통신을 행한다.
한편, 스텝 S119에서 추정된 데이터양의 전부를 직접 통신으로 송신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스텝 S125에서 "아니오"), 처리는 스텝 S127로 진행하고, 서버(400)는 차량 A가 차량 B로 송신하는 데이터양 중, 직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데이터양과, 직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이 불가능한 데이터양을 특정한다. 그리고 서버(400)는, 직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데이터양을 직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통신 계획과, 직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이 불가능한 데이터양을 간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통신 계획을 작성한다. 또한 서버(400)는, 우선도가 높은 데이터일수록 직접 통신이 선택되도록 통신 계획을 작성한다.
처리는 스텝 S129로 진행하고, 서버(400)는 스텝 S127에서 작성된 통신 계획을 차량 A 및 차량 B로 송신한다. 처리는 스텝 S131, S133으로 진행하고, 차량 A 및 차량 B는 통신 계획을 수신한다. 처리는 스텝 S135, S137로 진행하고, 차량 A 및 차량 B는 통신 계획에 기초하여 통신을 행한다.
(작용·효과)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장래의 통신 환경이 판정되어, 송신해야 할 데이터양을 직접 통신으로 송신 가능한지 여부가 판정된다.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직접 통신 및 간접 통신 각각에 대해 통신 계획이 작성되고, 차량 A 및 차량 B에 통신 계획이 송신된다. 이에 의해, 차량 A 및 차량 B는 직접 통신을 절단하기 전에 미리 간접 통신으로 접속해 둘 수 있다. 이에 의해, 직접 통신으로부터 간접 통신으로 전환하였을 때의 초기 접속에 요하는 시간이 적어지므로, 원활한 데이터의 공유가 실현된다. 또한, 차량 A와 차량 B 사이에서 직접 통신이 확립되었을 때, 그 후의 장래 주행할 경로에 있어서, 직접 통신을 유지할 수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장래, 직접 통신을 유지할 수 있으면, 직접 통신으로 위치 정보 등이 공유되므로, 예를 들어 자동 운전 지원에 관한 계획을 여유를 갖고 책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데이터 중에서 우선도가 높은 데이터일수록 직접 통신이 선택되도록 통신 계획이 작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직접 통신은, 저지연, 또한 간이한 구성으로 상대방에게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므로, 우선도가 높은 데이터의 공유가 고속화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차량 B로 송신하는 데이터양 중, 직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데이터양과, 직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이 불가능한 데이터양이 특정된다. 그리고 직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데이터양을 직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통신 계획과, 직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이 불가능한 데이터양을 간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통신 계획이 작성된다. 빨리 공유하고 싶은 데이터를 직접 통신으로 보낼 수 있고, 나머지 데이터를 간접 통신으로 보낼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가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것은, 서버(400)가, 도로 정보 취득부(407)와 혼잡 추정부(408)를 더 구비하는 점이다. 제1 실시 형태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인용하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로 정보 취득부(407)는, 지도 정보(도로 구조, 도로의 차선 수, 도로 상의 건조물 등을 포함함), 정체 정보, 인근의 주차장의 비어 있는 상황, 사고 정보, 공사 정보, 신호 정보 등을 취득한다. 도로 정보 취득부(407)는, 이들 정보를 차량 B로부터 취득해도 되고,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로부터 취득해도 된다. 차량 B는, 이들 정보를 V2I(VEHICLE TO INFRASTRUCTURE)에 의해 취득하여 서버(400)에 제공할 수 있다. V2I란, 차량과 도로에 설치된 통신 설비 사이에서 정보를 주고받는 기술이며, 노차간 통신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차량 B는, V2I를 사용하여 선행차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 B는 도시하지 않은 센서를 사용하여 선행차에 관한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또한, 차량 B는 도시하지 않은 센서를 사용하여, 차량 B의 주위의 차량이 차선 변경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B는 주위의 차량의 방향 지시기의 점등의 유무를 검출함으로써, 차선 변경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차량 A에 의해 검출된 정보에, 이들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도로 정보 취득부(407)는, 취득한 정보를 혼잡 추정부(408)에 출력한다.
혼잡 추정부(408)는, 도로 정보 취득부(407)로부터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A 및 차량 B가 장래 주행할 경로의 혼잡을 추정한다. 이 점에 대해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차량 B가 장래 주행할 경로의 혼잡에 대해 설명하는데, 차량 A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B의 전방에 선행차 C가 존재하고, 또한 차량 B의 속도가 규정 속도보다 느린 경우, 차량 B가 장래 주행할 경로는 혼잡할 것이라고 추정된다. 혹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B가 장래 주행할 경로상의 신호(500)가 적색인 경우, 차량 B가 장래 주행할 경로는 혼잡할 것이라고 추정된다. 혹은, 차량 B가 장래 주행할 경로상의 인근의 주차장이 만차인 경우, 차량 B가 장래 주행할 경로는 혼잡할 것이라고 추정된다. 또는, 차량 B가 장래 주행할 경로상에서 정체 정보가 검출된 경우, 차량 B가 장래 주행할 경로는 혼잡할 것이라고 추정된다. 혹은, 차량 B가 장래 주행할 경로상에서 사고 정보 혹은 공사 정보가 검출된 경우, 차량 B가 장래 주행할 경로는 혼잡할 것이라고 추정된다. 혹은, 차량 B가 장래 주행할 경로상에 있어서, 타 차량의 차선 변경이 검출된 경우, 차량 B가 장래 주행할 경로는 혼잡할 것이라고 추정된다. 혼잡 추정부(408)는, 추정 결과를 통신 환경 판정부(404)에 출력한다.
통신 환경 판정부(404)는, 혼잡 추정부(408)로부터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 이용률 계측 결과를 보정한다. 보정 방법의 일례로서, 통신 환경 판정부(404)는, 차선 수와, 혼잡도와, 차량 탑재기의 보급률에 기초하여 채널 이용률 계측 결과를 보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차량 탑재기란, 통신부(100) 및 통신부(200)와 같은 직접 통신 혹은 간접 통신을 행하기 위한 기기이다. 보정식은, 교차점까지의 거리/(차두 시간×차속)×차선 수×보급률로 표현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장면에 있어서, 다음의 것을 가정한다. 즉, 차량 B로부터 교차점까지의 거리는 400m, 현재의 채널 이용률은 10%, 차두 시간은 3초, 차량 B의 차속은 40㎞/h, 차선 수는 3차선, 차량 B의 주위의 차량의 대수는 46대, 차량 탑재기의 보급률은 50%로 가정한다. 이 가정을 상기 보정식에 적용하면, 보정 후의 채널 이용률은 23%가 된다. 따라서, 통신 환경 판정부(404)는, 통신 환경을 환경 레벨 2로 변경한다(도 5 참조). 또한, 채널 이용률은, 차량 1대당 1밀리초의 채널을 점유 한 경우를 상정한다. 또한, 보정 후의 채널 이용률이, 현재의 채널 이용률보다 작은 경우는 현재의 채널 이용률이 사용된다. 보급률의 데이터 생성은, 기지의 통계값 혹은 클라우드 서버상으로부터의 동향, 과거의 데이터 통신 상황에 기초하는 추정 등에 의해 행해져도 된다.
다음으로, 도 12 내지 도 14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차량 A, 차량 B, 및 서버(400)의 동작예에 대해 설명한다. 단, 스텝 S201 내지 221, 223 내지 237의 처리는, 도 8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스텝 S101 내지 121, 123 내지 137에 나타내는 처리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221a에 있어서, 서버(400)는, 차량 B의 속도가 규정 속도보다 느린지 여부를 판정한다. 차량 B의 속도가 규정 속도보다 느린 경우(스텝 S221a에서 "예"), 처리는 스텝 S221b로 진행한다. 한편, 차량 B의 속도가 규정 속도인 경우(스텝 S221a에서 "아니오"), 처리는 스텝 S221c로 진행한다. 스텝 S221b에 있어서, 서버(400)는 차량 B의 전방에 선행차 C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차량 B의 전방에 선행차 C가 존재하는 경우(스텝 S221b에서 "예"), 처리는 스텝 S221h로 진행한다. 한편, 차량 B의 전방에 선행차 C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스텝 S221b에서 "아니오"), 처리는 스텝 S221c로 진행한다.
스텝 S221c에 있어서, 서버(400)는 차량 B가 장래 주행할 경로상의 신호(500)가 청색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차량 B가 장래 주행할 경로상의 신호(500)가 청색인 경우(스텝 S221c에서 "예"), 처리는 스텝 S221d로 진행한다. 한편, 차량 B가 장래 주행할 경로상의 신호(500)가 적색인 경우(스텝 S221c에서 "아니오"), 처리는 스텝 S221h로 진행한다. 스텝 S221d에 있어서, 서버(400)는 차량 B가 장래 주행할 경로상의 인근의 주차장에 빈자리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주차장에 빈자리가 있는 경우(스텝 S221d에서 "예"), 처리는 스텝 S221e로 진행한다. 한편, 주차장이 만차인 경우(스텝 S221d에서 "아니오"), 처리는 스텝 S221h로 진행한다.
스텝 S221e에 있어서, 서버(400)는, 차량 B가 장래 주행할 경로상에 정체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정체 정보가 있는 경우(스텝 S221e에서 "예"), 처리는 스텝 S221f로 진행한다. 한편, 정체 정보가 없는 경우(스텝 S221e에서 "아니오"), 처리는 스텝 S221h로 진행한다. 스텝 S221f에 있어서, 서버(400)는, 차량 B가 장래 주행할 경로상에 사고 정보 또는 공사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사고 정보 또는 공사 정보가 있는 경우(스텝 S221f에서 "예"), 처리는 스텝 S221g로 진행한다. 한편, 정체 정보가 없는 경우(스텝 S221f에서 "아니오"), 처리는 스텝 S221h로 진행한다.
스텝 S221g에 있어서, 서버(400)는, 차량 B가 장래 주행할 경로상에 있어서, 타 차량이 차선 변경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타 차량이 차선 변경하는 경우(스텝 S221g에서 "예"), 처리는 스텝 S223으로 진행한다. 한편, 타 차량이 차선 변경하지 않는 경우(스텝 S221g에서 "아니오"), 처리는 스텝 S221h로 진행한다. 처리가 스텝 S221h로 진행하였다는 것은, 차량 B가 장래 주행할 경로는 혼잡할 것이라고 추정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스텝 S221h에 있어서, 서버(400)는 차선 수와, 혼잡도와, 차량 탑재기의 보급률에 기초하여 채널 이용률 계측 결과를 보정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223으로 진행한다.
(작용·효과)
이와 같이, 통신 환경 판정부(404)는, 혼잡의 추정 결과에 기초하여 채널 이용률을 보정함으로써 고정밀도로 통신 환경을 판정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가 제2 실시 형태와 다른 것은, 차량 A가, 송신 순서 결정부(113)를 더 구비하는 점이다. 제2 실시 형태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인용하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송신 순서 결정부(113)는, 차량 B로 송신하는 데이터의 송신 순서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신 순서 결정부(113)는 차량 B로부터 교차점까지의 거리, 차량 B의 속도 등에 기초하여 차량 A가 검출한 주위 오브젝트의 정보 중에서, 차량 B에 있어서 주의를 요하는 정보의 우선도를 결정한다. 그리고 송신 순서 결정부(113)는, 우선도가 높은 데이터로부터 차례로 송신하는 것을 결정한다. 통신부(100)는 송신 순서 결정부(113)에 의해 결정된 순번으로 차량 B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우선도가 높은 데이터일수록 직접 통신이 선택되어도 된다. 주위 오브젝트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A의 전방을 주행하는 선행차 C, 선선행차 D이다. 주위 오브젝트의 정보란, 선행차 C 및 선선행차 D의 위치 정보, 속도 정보 등이다.
송신 순서의 결정 방법의 일례로서, 교차점에 도착하는 시간(이하, 도달 예상 시간이라고 칭함)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행차 C는 교차점으로부터 350m 전방의 지점을 40㎞/h로 주행하고, 선선행차 D는 교차점으로부터 150m 전방의 지점을 50㎞/h로 주행하고, 차량 B는 교차점으로부터 400m 전방의 지점을 45㎞/h로 주행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차량 B, 선행차 C, 및 선선행차 D의 위치 정보, 속도 정보 등은, 미리 차량 A에 의해 검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도달 예상 시간은 식 (5)로 표시된다.
도달 예상 시간=물체로부터 교차점까지의 거리/물체의 속도 ··· (5)
송신 순서 결정부(113)는, 도달 예상 시간이 빠른 물체의 데이터부터 먼저 송신하는 것을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식 (5)에 의해, 선행차 C의 도달 예상 시간은 약 32초, 선선행차 D의 도달 예상 시간은 약 11초가 된다. 따라서, 선선행차 D는, 선행차 C보다 먼저 교차점에 도착한다. 따라서, 송신 순서 결정부(113)는, 선선행차 D, 선행차 C의 순으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즉, 송신 순서 결정부(113)는 선선행차 D 쪽이 선행차 C보다 우선도가 높다고 판단한다.
또한, 송신 순서 결정부(113)는, 물체와 차량 B의 상대 거리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우선도를 결정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송신 순서 결정부(113)는 물체와 차량 B의 상대 거리가 짧을수록 우선도를 높게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선행차 D와 차량 B의 상대 거리는 550m이고, 선행차 C와 차량 B의 상대 거리는 750m이다. 이 경우, 송신 순서 결정부(113)는, 선선행차 D 쪽이 선행차 C보다 우선도가 높다고 판단한다.
또한, 송신 순서 결정부(113)는, 물체와 차량 B의 상대 속도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우선도를 결정해도 된다. 상대 속도의 기준은, 물체여도 되고 차량 B여도 된다. 송신 순서 결정부(113)는 물체와 차량 B의 상대 속도가 빠를수록 우선도를 높게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선선행차 D와 차량 B가 대향하고 있으므로, 선선행차 D와 차량 B의 상대 속도는 95㎞/h가 된다. 마찬가지로, 선행차 C와 차량 B도 대향하고 있으므로, 선행차 C와 차량 B의 상대 속도는 85㎞/h가 된다. 이 경우, 송신 순서 결정부(113)는 선선행차 D 쪽이 선행차 C보다 우선도가 높다고 판단한다.
또한, 송신 순서 결정부(113)는, 물체의 종류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우선도를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6에 나타내는 선선행차 D가 버스, 트럭 등의 대형 차량이고, 도 16에 나타내는 선행차 C가 보통 자동차인 경우, 송신 순서 결정부(113)는 선선행차 D 쪽이 선행차 C보다 우선도가 높다고 판단한다.
또한, 송신 순서 결정부(113)는, 교차점의 교통 규칙 및 교착 가능성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우선도를 결정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송신 순서 결정부(113)는 교차점의 교통 규칙 및 교착 가능성에 기초하여 우선도를 5단계(레벨 1 내지 레벨 5)로 평가한다. 우선도는, 레벨 1이 가장 높고, 레벨 5가 가장 낮다. 상세에 대해,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내는 장면을 사용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B가 대향 도로 상을 주행하고 있고, 교차점을 우회전하는 경우, 또한 차량 A, 선행차 C, 및 선선행차 D가 교차점을 직진하는 경우, 차량 B는 교차점에 있어서 비우선측이 된다. 차량 B는, 선선행차 D 또는 선행차 C와 교착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송신 순서 결정부(113)는 선행차 C 및 선선행차 D의 데이터의 우선도는 레벨 1이라고 판단한다.
한편, 차량 B가 대향 도로 상을 주행하고 있고, 교차점을 우회전하는 경우, 또한 차량 A, 선행차 C, 및 선선행차 D도 교차점을 우회전하는 경우, 차량 B가, 선선행차 D 또는 선행차 C와 교착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따라서, 송신 순서 결정부(113)는, 선행차 C, 및 선선행차 D의 데이터의 우선도는, 레벨 5라고 판단한다. 마찬가지로 송신 순서 결정부(113)는, 교차점에 있어서의 교착 가능성, 및 교차점에서의 우선, 비우선에 기초하여 우선도를 결정한다. 송신 순서 결정부(113)는, 우선도가 높은 데이터일수록 직접 통신이 선택되도록 결정한다. 도 1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송신 순서 결정부(113)는 예를 들어 우선도가 레벨 1 또는 레벨 2라고 판단한 경우, 선선행차 D 및 선행차 C의 데이터가 직접 통신이 선택되도록 결정한다.
이와 같이, 송신 순서 결정부(113)는, 물체(선행차 C 및 선선행차 D)가 교차점에 도달하는 시간, 물체와 차량 B의 상대 거리, 물체와 차량 B의 상대 속도, 물체 종류, 교차점의 교통 규칙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우선도를 결정한다. 그리고 송신 순서 결정부(113)는, 우선도가 높은 데이터일수록 직접 통신이 선택되도록 결정한다. 이에 의해, 우선도가 높은 데이터의 공유가 고속화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기재되는 각 기능은, 하나 또는 복수의 처리 회로에 의해 실장될 수 있다. 처리 회로는, 전기 회로를 포함하는 처리 장치 등의 프로그램된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처리 회로는 또한, 기재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어레인지된 특정 용도용 집적 회로(ASIC)나 회로 부품 등의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기재하였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 실시 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확해질 것이다.
서버(400)의 통신 환경 판정부(404)는, 장래에 있어서의 직접 통신의 통신 환경 중,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기간을 특정해도 된다. 소정의 기준이란, 직접 통신이 곤란한 것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신 강도가 통신부(100)의 수신 감도 이하가 되는 경우이다. 그리고 통신 환경 판정부(404)는,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기간만, 직접 통신으로부터 간접 통신으로 전환하기 위한 통신 계획을 작성해도 된다. 이에 의해, 통신 환경이 악화된 경우만 직접 통신으로부터 간접 통신으로 전환할 수 있어, 통신 환경에 따른 원활한 데이터의 공유가 실현된다.
또한, 통신 환경 판정부(404)는, 채널의 다중화가 검지된 경우, 직접 통신으로부터 간접 통신으로 전환하기 위한 통신 계획을 작성해도 된다. 이에 의해, 채널의 다중화가 검지된 경우만 직접 통신으로부터 간접 통신으로 전환할 수 있어, 통신 환경에 따른 원활한 데이터 공유가 실현한다.
또한, 서버(400)는, 적어도 차량 A 및 차량 B 중 한쪽으로부터 통신 계획의 가부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해도 된다. 통신 계획의 가부에 관한 데이터란, 통신 계획에 따라서 직접 통신으로부터 간접 통신으로 전환할 수 있었는지 여부에 관한 데이터이다. 통신 계획의 가부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한쪽의 차량 탑재기의 처리를 공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통신 환경의 판정, 통신 계획의 작성 등은 서버(400)에 의해 실시되는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신 환경의 판정, 통신 계획의 작성 등은, 차량 A에 의해 실시되어도 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A의 컨트롤러(110)가 구비하는 장래 경로 취득부(114), 위치 예측부(115), 데이터양 추정부(116), 통신 환경 판정부(117), 가부 판정부(118), 및 통신 계획 생성부(119)의 각 기능은, 도 2에 나타내는 장래 경로 취득부(401), 위치 예측부(402), 데이터양 추정부(403), 통신 환경 판정부(404), 가부 판정부(405), 통신 계획 생성부(406)의 각 기능과 마찬가지이다.
즉, 컨트롤러(110)는, 이동체 및 다른 이동체가 장래 주행할 위치 정보와, 장래 주행할 위치 정보에 따른, 장래에 있어서의 직접 통신의 통신 환경 정보와, 이동체가 장래, 다른 이동체로 송신할 데이터양 정보, 또는 다른 이동체로부터 수신할 데이터양 정보에 기초하여, 직접 통신에 의해 데이터양 정보에 관한 데이터양을 송신하거나, 또는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직접 통신에 의해 데이터양을 송신하거나, 또는 수신할 수 없다고 판정한 경우, 직접 통신 및 간접 통신 중 적어도 어느 것에 대해, 이동체와 다른 이동체의 통신 계획 정보를 작성하고, 다른 이동체에 통신 계획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 계획 정보란, 통신 계획에 관한 정보이다. 상술한 통신 계획은, 통신 계획 정보로 바꾸어 읽어도 된다. 데이터양 정보란, 데이터양에 관한 정보이다. 또한, 통신 환경 정보는, 수신 강도, 이동 속도, 다중 반사, 채널 이용률 또는 자동 삭제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컨트롤러(110)는, 복수의 데이터 중에서 우선도에 기초하여, 직접 통신을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통신 계획 정보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10)는, 다른 이동체로 송신하는 데이터양 중, 직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데이터양 또는 직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이 불가능한 데이터양을 특정하고, 직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데이터를 직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통신 계획 정보 또는 직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이 불가능한 데이터를 간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통신 계획 정보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10)는 채널의 다중화의 검지 또는 예측에 기초하여, 직접 통신으로부터 간접 통신으로 전환하기 위한 통신 계획 정보를 작성할 수 있다.
도 18에 나타내는 차량 A의 컨트롤러(110)는, 장래에 있어서의 직접 통신의 통신 환경 중,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기간을 특정해도 된다. 그리고 차량 A의 컨트롤러(110)는,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기간만, 직접 통신으로부터 간접 통신으로 전환하기 위한 통신 계획을 작성해도 된다. 또한, 차량 A의 컨트롤러(110)는, 채널의 다중화가 검지된 경우, 직접 통신으로부터 간접 통신으로 전환하기 위한 통신 계획을 작성해도 된다. 또한, 차량 A의 컨트롤러(110)는, 차량 B로부터 통신 계획의 가부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해도 된다.
또한, 통신 환경의 판정, 통신 계획의 작성 등은, 차량 B에 의해 실시되어도 된다. 혹은, 통신 환경의 판정, 통신 계획의 작성 등은, 휴대 전화망 상의 모바일 에지 컴퓨터에 의해 실시되어도 되고, 인터넷 상의 서버에 의해 실시되어도 된다.
100: 통신부
101: GPS 수신기
102: 센서
110: 컨트롤러
111: 통신 제어부
112: 데이터 생성부
113: 송신 순서 결정부
114: 장래 경로 취득부
115: 위치 예측부
116: 데이터양 추정부
117: 통신 환경 판정부
118: 가부 판정부
119: 통신 계획 생성부
200: 통신부
201: GPS 수신기
220: 컨트롤러
221: 통신 제어부
222: 데이터 수신부
300: 기지국
310: 휴대 전화망
400: 서버
401: 장래 경로 취득부
402: 위치 예측부
403: 데이터양 추정부
404: 통신 환경 판정부
405: 가부 판정부
406: 통신 계획 생성부
407: 도로 정보 취득부
408: 혼잡 추정부

Claims (10)

  1. 이동체에 탑재되고, 상기 이동체와 다른 이동체의 직접 통신, 또는 이동하지 않는 고정된 통신 장치를 경유한, 상기 이동체와 다른 이동체의 간접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 의해 행해지는 상기 직접 통신 및 상기 간접 통신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이동체 및 상기 다른 이동체가 장래 주행할 위치 정보와, 상기 장래 주행할 위치 정보에 따른, 장래에 있어서의 상기 직접 통신의 통신 환경 정보와, 상기 이동체가 장래, 상기 다른 이동체로 송신할 데이터양 정보, 또는 상기 다른 이동체로부터 수신할 데이터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직접 통신에 의해 상기 데이터양 정보에 관한 데이터양을 송신하거나, 또는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직접 통신에 의해 상기 데이터양을 송신하거나, 또는 수신할 수 없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직접 통신 및 상기 간접 통신 중 적어도 어느 것에 대해, 상기 이동체와 상기 다른 이동체의 통신 계획 정보를 작성하고,
    상기 다른 이동체로 상기 통신 계획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환경 정보는, 수신 강도, 이동 속도, 다중 반사, 채널 이용률 또는 자동 삭제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주위의 복수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다른 이동체로 송신할 데이터양에는, 상기 센서에 의해 취득된 상기 복수의 데이터가 포함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중에서 우선도에 기초하여, 상기 직접 통신을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통신 계획 정보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는, 도로 상 또는 도로 주변의 물체에 관한 데이터이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물체가 교차점에 도달하는 도달 시간, 상기 물체와 상기 다른 이동체의 상대 거리, 상기 물체와 상기 다른 이동체의 상대 속도, 상기 물체의 종류, 교차점의 교통 규칙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상기 우선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다른 이동체로 송신할 데이터양 중, 상기 직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데이터양 또는 상기 직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이 불가능한 데이터양을 특정하고,
    상기 직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데이터를 상기 직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통신 계획 정보 또는 상기 직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이 불가능한 데이터를 상기 간접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통신 계획 정보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장래에 있어서의 상기 직접 통신의 통신 환경 중,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기간을 특정하고,
    상기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기간만, 상기 직접 통신으로부터 상기 간접 통신으로 전환하는 상기 통신 계획 정보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채널의 다중화의 검지 또는 예측에 기초하여,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직접 통신으로부터 상기 간접 통신으로 전환하기 위한 상기 통신 계획 정보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다른 이동체로부터, 상기 통신 계획 정보에 관한 통신 계획의 가부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이동체에 탑재되고, 상기 이동체와 다른 이동체의 직접 통신, 또는 이동하지 않는 고정된 통신 장치를 경유한, 상기 이동체와 다른 이동체의 간접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 의해 행해지는 상기 직접 통신 및 상기 간접 통신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방법이며,
    상기 이동체 및 상기 다른 이동체가 장래 주행할 위치 정보와, 상기 장래 주행할 위치 정보에 따른, 장래에 있어서의 상기 직접 통신의 통신 환경 정보와, 상기 이동체가 장래, 상기 다른 이동체로 송신할 데이터양 정보, 또는 상기 다른 이동체로부터 수신할 데이터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직접 통신에 의해 상기 데이터양 정보에 관한 데이터양을 송신하거나, 또는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직접 통신에 의해 상기 데이터양을 송신하거나, 또는 수신할 수 없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직접 통신 및 상기 간접 통신 중 적어도 어느 것에 대해, 상기 이동체와 상기 다른 이동체의 통신 계획 정보를 작성하고,
    상기 다른 이동체로 상기 통신 계획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0. 이동하지 않는 고정된 통신 장치를 경유한 이동체 및 다른 이동체의 간접 통신을 행하는 서버이며,
    상기 이동체 및 상기 다른 이동체가 장래 주행할 위치 정보와, 상기 장래 주행할 위치 정보에 따른, 직접 통신의 통신 환경 정보와, 상기 이동체가 장래, 상기 다른 이동체로 송신할 데이터양 정보, 또는 상기 다른 이동체가 장래, 상기 이동체로 송신할 데이터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직접 통신에 의해 상기 데이터양 정보에 관한 데이터양을 송신하거나, 또는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직접 통신에 의해 상기 데이터양을 송신하거나, 또는 수신할 수 없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직접 통신 및 상기 간접 통신 중 적어도 어느 것에 대해, 상기 이동체와 상기 다른 이동체의 통신 계획 정보를 작성하고,
    상기 이동체 및 다른 이동체로 상기 통신 계획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직접 통신은, 상기 고정된 통신 장치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이동체와 상기 다른 이동체 사이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KR1020217033094A 2019-04-09 2019-04-09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서버 KR202101371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19/000402 WO2020208388A1 (ja) 2019-04-09 2019-04-09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サー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186A true KR20210137186A (ko) 2021-11-17

Family

ID=72751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3094A KR20210137186A (ko) 2019-04-09 2019-04-09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01779A1 (ko)
EP (1) EP3955644A4 (ko)
JP (1) JP7122465B2 (ko)
KR (1) KR20210137186A (ko)
CN (1) CN113661738A (ko)
WO (1) WO20202083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73726A4 (en) * 2019-05-20 2023-05-31 Saankhya Labs Pvt. Ltd. RADIO IMAGE ARCHITECTURE FOR APPLY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TO WIRELESS RADIO ACCESS NETWORKS
WO2021004622A1 (en) * 2019-07-08 2021-01-14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Radio resource management to enhance reliability in mobility scenarios
US11852496B2 (en) * 2021-01-08 2023-12-2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Predictable and delay tolerant traffic management system
KR20230030850A (ko) * 2021-08-26 2023-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머신러닝 기반 방송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9240A1 (ja) 2016-03-18 2017-09-21 株式会社デンソー 通信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5392B2 (ja) * 2005-03-08 2010-08-18 ソニー株式会社 通信方法,移動通信装置,サーバ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611929B2 (ja) * 2006-05-09 2011-01-12 株式会社トヨタIt開発センター 車車間通信システムおよび車車間通信方法
JP4894818B2 (ja) * 2008-05-30 2012-03-14 株式会社デンソー 無線通信装置及び車車間通信システム
CN103327559B (zh) * 2012-03-23 2018-06-12 北京新岸线移动多媒体技术有限公司 一种车载通信方法和通信节点
CN103327558B (zh) * 2012-03-23 2018-03-16 北京新岸线移动多媒体技术有限公司 一种车载通信方法和通信节点
CN104754684B (zh) * 2013-12-30 2019-06-14 北京大唐高鸿数据网络技术有限公司 基于车载短距离通信网的中继节点选择和功率分配方法
JP5799238B1 (ja) * 2014-03-28 2015-10-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無線装置、処理装置、及び処理システム
CN107111936B (zh) * 2015-01-16 2020-04-17 三菱电机株式会社 行驶计划生成装置及行驶计划生成方法
WO2017136627A1 (en) * 2016-02-03 2017-08-1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Efficient multicast broadcast transmission and reception
CN105792310B (zh) * 2016-03-04 2019-12-06 哈尔滨工业大学深圳研究生院 一种基于lte车联网的中继选择方法
WO2018116827A1 (ja) * 2016-12-20 2018-06-2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車間通信システム、路側通信装置、車載通信装置及び車車間通信方法
JP6801619B2 (ja) * 2017-09-25 2020-12-16 株式会社デンソー データ転送経路算出装置およびデータ転送端末
JP2021010045A (ja) * 2017-09-29 2021-01-28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通信方法
KR102394908B1 (ko) * 2017-12-21 2022-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9240A1 (ja) 2016-03-18 2017-09-21 株式会社デンソー 通信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22465B2 (ja) 2022-08-19
JPWO2020208388A1 (ko) 2020-10-15
CN113661738A (zh) 2021-11-16
EP3955644A4 (en) 2022-03-30
WO2020208388A1 (ja) 2020-10-15
WO2020208388A8 (ja) 2021-10-21
US20220201779A1 (en) 2022-06-23
EP3955644A1 (en) 202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7327B2 (ja) 見通し外シナリオでの車両間ミリ波通信
US10531254B2 (en) Millimeter wave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for data sharing
JP7223153B2 (ja) チャネル負荷を予測するための方法
US8494709B2 (en) On-vehicle communication device
US9214086B1 (en) Vehicle to vehicl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potential crash warning
KR20210137186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서버
JP2019134424A (ja) 車両間ミリ波通信における運転意図の共有に基づくビームアライメント
WO2019225268A1 (ja) 走行計画生成装置、走行計画生成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2419309B1 (ko) 차량 대 차량 통신을 위한 방법
US11198443B2 (en) Message content selection based on uncertainty for cooperative vehicular systems
JP746591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サーバ
US8660047B2 (en) Method of broadcasting data packets in a network of mobile nodes and associated terminal
WO2021142781A1 (en) Local navigation assisted by vehicle-to-everything (v2x)
EP3678353A1 (en) Matching a first connected device with a second connected device based on vehicle-to-everything v2x message variables
JP2009193314A (ja) 車車間通信システム、車車間通信装置
CN116195279A (zh) 数据发送装置、数据发送方法、以及数据发送程序
JP7432010B2 (ja) 無線路側機、交通通信システム、及び交通通信方法
US20210024060A1 (en) Driving assistance device
JP732491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サーバ
US20230400316A1 (en) Server selection device and server selection system
WO2022189823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