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7062A - 치과 보철물의 장착을 위한 공구 조립체 및 장착 방법 - Google Patents

치과 보철물의 장착을 위한 공구 조립체 및 장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7062A
KR20210137062A KR1020217030363A KR20217030363A KR20210137062A KR 20210137062 A KR20210137062 A KR 20210137062A KR 1020217030363 A KR1020217030363 A KR 1020217030363A KR 20217030363 A KR20217030363 A KR 20217030363A KR 20210137062 A KR20210137062 A KR 20210137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abutment
opening
implant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0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자크 혼벡
Original Assignee
제이드 파이낸스 에스.에이.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드 파이낸스 에스.에이.알.엘. filed Critical 제이드 파이낸스 에스.에이.알.엘.
Publication of KR20210137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0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2Catch or snap type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3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internal slee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sitio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7Means for sterile storage or manipulation of dental impl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치과용 지대주를 장착하기 위한 공구 조립체가 설명되며, 이 공구는 연신 축을 갖는 제1 공구, 사용시 지대주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구성한다. 제 1공구의 제1 단부에서 또는 그 부근에 있는 제1 공구의 적어도 내면 벽, 및 벽 반대편의 제1 부분의 전부 또는 일부를 따라 연신되는 제1 개구를 갖는다. 축 방향으로 개방된 제2 개구는 제1 단부에 배치된다. 공구 조립체는 고정 요소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2 공구를 더 포함한다. 사용시 인접한 공간이 제1 개구와 제2 개구 사이에 정의되어 사용 시 (i) 고정 요소 또는 (ii) 제2 공구에 부착된 고정 요소가 제1 개구와 제2 개구를 통과하여 두 번째 공구를 사용하여 임플란트 또는 프레임에 지대주를 단단히 고정한다. 공구 조립체를 사용하여 치과용 지대주를 장착하는 방법도 개시된다.

Description

치과 보철물의 장착을 위한 공구 조립체 및 장착 방법
본원 발명은 일반적으로 크라운(crown), 브릿지(bridge) 또는 의치(denture)와 같은 치과용 보철물의 장착을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특히 지대주(abutment)를 장착하기 위한 개선된 공구 조립체 및 지대주를 장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과 임플란트는 환자가 하나 이상의 인공 치아를 제자리에 고정하기 위해 보철 장치가 필요할 때 종종 사용된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외과용 나사 또는 기타 위생적인 고정 방법으로 턱뼈에 단단히 장착되어 일정 기간, 일반적으로 몇 달에 걸쳐 뼈와 기타 조직이 임플란트 주변에서 자라도록 허용된다.
금속 지대주는 후속적으로 임플란트 또는 그 위의 베이스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고, 그 다음 치아 크라운, 치과 브릿지 또는 치과 구조물, 예를 들어 3D 프린팅을 사용하여 제조된 치아 구조물과 같은 치과 보철물은 그 지대주에 고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금속 지대주는 통상적으로 임플란트 나사라고 불리는 나사 또는 볼트에 의해 베이스에 고정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구를 사용하여 제자리에 조여진다.
일부 구성에서, 경사진 지대주(임플란트 나사 및 그에 따른 임플란트에 대해 각이 진)를 제공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지만, 이는 일반적인 장비 (실질적으로 직선적인)인 각진 지대주 구경을 통해 임플란트 나사의 머리에 쉽게 접근하는 것을 어렵거나 불가능하게 만들기 때문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여러 시도가 있었다.
WO 2009/127880은 관통하는 단일 구멍을 갖는 치과 임플란트 조립체에 사용하기 위한 지대주/스페이서 요소를 설명하며, 단일 구멍은 임플란트 나사 접근 구멍 및 오프셋된 지대주 나사 구멍을 포함한다. 임플란트 나사 접근 구멍는 사용시 임플란트 나사와 실질적으로 동축이 되도록 설계된다. 임플란트 나사 접근 구멍은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 나사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 임플란트 나사 접근 구멍이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 나사에 대해 기울어지는 경사도는 0 내지 10도일 수 있다. 구멍은 임플란트 나사가 접근 가능하고, 이를 통해 실질적으로 선형인 공구가 임플란트에 맞물리고 임플란트 나사를 회전시켜 임플란트에 고정할 수 있도록 임플란트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삽입될 수 있는 통로를 정의한다. 구멍의 개구(opening)는 공구 및 공구 이후의 임플란트 나사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내부에 구멍 또는 절단 부분을 포함한다.
기술적 문제
기존의 장착/고정 공구 및 기술의 문제는 치과 수술 시 치과 의사가 쉽게 조작할 수 없어서 지대주(지대주)와 같은 부품을 제자리에 안전하게 고정하는 것을 더 어렵게 한다는 점이다. 또한, 해당 공구 부품의 치수가 비교적 작기 때문에(예: 최대 30mm), 조작의 어려움은 치과 의사의 그립의 장비가 분실되거나, 공구 부품이 빠지거나 떨어질 위험, 심지어는 치료 중인 환자가 공구 부품을 삼키거나 흡입하는 경우와 같은 위험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치과의사가 쉽게 조작할 수 있고, 지대치와 같은 요소의 안전한 고정을 용이하게 하거나 및/또는 공구 부품이 이탈하거나 떨어지는 위험을 줄이거나 최소화할 수 있게 하거나 하는 장착/고정 공구 및 장착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청구된 공구 조립체 및 청구항 15에 청구된 치과용 지대주를 장착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발명의 일반적 설명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원 발명은 연신축(B)을 갖는 임플란트 또는 프레임에 치과용 지대주를 장착하기 위한 공구 조립체를 제공한다. 공구 조립체는 제1 공구를 포함하고, 제1 공구는 연신축(A), 사용시에 지대주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1 단부, 및 제2 단부, 적어도 제1 공구의 제1 부분에서 또는 그 근처 제1 단부는 주변 벽, 및 벽 반대편에 제1 부분의 전부 또는 일부를 따라 연신되는 제1 개구를 가지며, 여기서 축방향으로 개방된 제2 개구가 제1 단부에 배치된다. 공구 조립체는 고정 요소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 연신축(C)을 갖는 제2 공구를 더 포함한다. 인접한 공간이 제1 개구와 제2 개구 사이에 정의되어 사용 시 (i) 고정 요소 또는 (ii) 제2 공구에 부착된 고정 요소가 두 번째 공구를 사용하여 임플란트 또는 프레임에 지대주를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 제1 개구와 제2 개구를 통과할 수도 있다. 임플란트의 연신축 B와 두 번째 공구의 연신축 C 사이에는 각도 β가 있다.
임플란트의 연신축(B)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 즉 턱의 자연치 방향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공구의 연신축 A와 임플란트의 연신축 B는 일치/중첩하지 않는다. 두 축은 바람직하게는 평행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첫 번째 공구의 연신축 A와 임플란트의 연신축 B 사이에 각도 α가 있다
축 B 및 C는 오프셋(offset)이고/각진형(angulated)이고/동축이 아니고(not coaxial)/일치하지 않는(not coinciding)/평행하지 않는다(not parallel). 일 실시예에서, 임플란트의 연신축(B)과 연신축(C) 사이의 각도(β)는 10°내지 40° 사이이다.
각도 β는 바람직하게는 11°, 12°, 14°, 16°, 18°, 20°, 22°, 24°, 25°, 26°, 28°, 30°, 32°, 34°, 36° 또는 38° 보다 크다. 각도 α는 바람직하게는 37°, 36°, 34°, 32°, 30°, 28°, 26°, 24°, 20°, 18°, 16°, 14°, 12° 또는 11°보다 작다.
임플란트의 연신축(B)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 즉 턱의 자연치 방향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공구의 연신축 A와 임플란트의 연신축 B는 일치/중첩하지 않는다. 두 축은 바람직하게는 평행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첫 번째 공구의 연신축 A와 임플란트의 연신축 B 사이에 각도 α가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임플란트의 연신축(B)과 연신축(C) 사이의 각도(α)는 5°내지 30° 이다.
각도 α는 바람직하게는 6°, 8°, 10°, 11°, 12°, 14°, 16°, 18°, 20°, 22°, 24°, 25°, 26° 또는 28°보다 크다. 각도 β는 바람직하게는 29°, 28°, 26°, 24°, 20°, 18°, 16°, 14°, 12°, 10°, 8° 또는 7°보다 작다.
바람직하게는, 축 A는 임플란트 나사 접근 보어(임플란트 screw access bore)의 평면에 대해 90°각도로 수직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공구의 연신축(C)은 제1 공구의 연신축(A)과 일치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2 공구의 연신축(C)과 제1 공구의 연신축(A) 사이에 각도(θ)가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공구 임플란트의 연신축(A)과 제2 공구의 연신축(C) 사이의 각도(θ)는 5° 내지 15°이다.
각도(θ)는 바람직하게는 6°, 8°, 10°, 11°, 12° 또는 14°보다 크다. 각도 θ는 14°, 12°, 10°, 8°, 7° 또는 6°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각도 β는 각도 α보다 크다. 각도 β는 각도 θ보다 큽니다. 각도 α는 각도 θ보다 큽니다.
WO 2009/127880에 기재된 종래 기술의 조립체와 비교하여 본 공구 조립체의 큰 장점은 제2 공구가 임플란트 및 지대주의 연신축에 대해 비스듬히 유지된다는 사실에 있다. 이를 통해 두 번째 공구는 구강 내의 제한된 공간에서 보다 쉽게 조작할 수 있다. 실제로 두 번째 공구가 임플란트 축과 정렬될 필요가 없는 경우 특히 임플란트가 입 뒤쪽에 있는 경우 두 번째 공구를 더 쉽게 잡고 회전할 수 있으므로 임플란트에 지대주를 고정하는 것이 훨씬 쉽다.
더욱이, 본 공구 조립체에 사용된 지대주는 WO 2009/127880에서와 같이 제2 공구가 통과하기 위한 절개부를 가질 필요가 없다. 실제로 두 번째 공구가 통과하는 지대주 개구부는 그것이 고정된 임플란트의 축과 관련하여 비스듬하기 때문에 절단이 필요한다. 그렇지 않으면 나사와 공구를 삽입하는 것이 안되거나 또는 매우 어렵다. 따라서 지대주는 특별히 공구를 위해 만들어질 필요가 없다. 이것은 덜 복잡하고 덜 비싸게 만든다. 본 발명의 공구는 기본적으로 모든 지대주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대주는 사용시에 고정 요소가 임플란트와 실질적으로 동축이 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제2 결합 요소(즉, 임플란트 나사 접근 보어)는 임플란트 또는 고정 요소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다. 제2 결합 요소가 임플란트 또는 고정 요소에 대해 기울어지는 정도는 다양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5도일 수 있다. 제2 결합 요소는 지대주에 제1 요소를 고정하기 위해 제1 공구의 제1 결합 요소와 연동한다. 축(A)과 제2 결합 요소(즉, 임플란트 나사 접근 보어) 사이의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90°각도, 더 바람직하게는 80°와 100° 사이의 각도이다.
제1 공구의 제1 부분의 벽의 적어도 일부는 바람직하게는 부분적인 원통형 형태를 갖는다.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일부를 따라 벽은 부분적인 원통형 형태를 가지므로, 축방향 단면에서 볼 때, 연신축을 연결하는 반경과 벽의 2개의 원주방향 단부 각각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다음과 같다. (i) 120도 또는 그 이상, (ii) 150도 또는 그 이상, 180도 이상 또는 180도이다. 다시 말해서, 제1 공구의 제1 부분의 일측은 원통 부분에 절개 부분을 가지며, 그 결과 절개 부분은 지대주의 구멍에 대한 접근을 제자리에서 제공한다.
부분 원통형 형태는 바람직하게는 제1 단부에 또는 이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공구의 제1 부분은 제1 공구의 길이의 일부를 연신한다. 실시예에서, 제1 공구의 제1 부분은 첫 번째 공구의 길이의 (i) 30-60%, (ii) 35-55%, (iii) 40-50%, (iv) 45-50% 또는 (v) 50% 연신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공구의 제1 부분 이외에 의해 형성된 제1 공구의 제2 부분은 수동으로 잡을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하거나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위해 핸들을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벽은 횡단면에서 볼 때 바람직하게는 제1 단부에서 또는 이에 인접한 직사각형 부분 및 제2 부분에 인접한 곡선 부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공구의 제1 부분은 제1 공구의 나머지 부분보다 더 큰 가로 치수를 갖는다.
공구 조립체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부에서, 지대주 상의 적어도 하나의 제2 맞물림 요소를 연동함으로써 지대주에 해제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 요소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맞물림 요소는 외부 나사산 및 내부 나사산 중 하나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맞물림 요소는 외부 나사산 및 내부 나사산 중 다른 하나를 포함한다.
고정 요소는 임플란트 또는 프레임에 나사를 결합하도록 구성된 볼트 또는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구는 바람직하게는 제3 단부에서 고정 요소 상의 적어도 하나의 제4 맞물림 요소와 연동함으로써 고정 요소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3 맞물림 요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연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맞물림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제4 맞물림 요소는 연동하는 스냅-고정 부착 요소 (snap-fix attachment)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 치과용 임플란트 또는 프레임에 치과용 지대주를 장착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구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 제1 공구의 제1 단부를 지대주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하는 단계; 바람직하게는 임플란트 또는 프레임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지대부와 함께 제1 공구를 해제 가능하게 부착하고, 고정 요소에 제2 공구를 해제 가능하게 부착하는 단계;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통해 제2 공구 상의 고정 요소를 통과시키는 단계; 고정 요소를 사용하여 지대주를 임플란트 또는 프레임에 부착하도록 제2 공구를 조작하는 단계; 및 고정 요소로부터 제2 공구를 분리하고 제2 개구 및 제1 개구를 통해 제2 공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첫 번째 공구가 지대주에서 분리된다.
제1 공구는 제1 맞물림 요소를 통해 지대주에 미리 장착될 수 있고 지대주를 임플란트 상에 운반/운송/전달 및 위치시키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점은 공구 조립체 및 장착 기술이 치과 의사에 의한 쉬운 조작을 가능하게 하고, 지대주와 같은 요소의 안전한 고정을 용이 및/또는 공구 부품이 이탈하거나 자유 낙하할 위험을 줄이거나 최소화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세부사항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명확해 질 것이며, 여기서:
도 1은 지대주에 완전히 조립되어 부착된 실시예에 따른 공구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구 조립체의 하부를 위에서 본 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공구 조립체의 측면 분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의 공구 조립체의 하부와 지대주 사이의 접합부의 측면 확대도이다.
이하에서, 같은 참조 번호는 같은 부품을 나타내고, 임의의 실시예의 임의의 요소, 설계 특징 또는 방법 단계는 본원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임의의 다른 실시예의 요소, 설계 특징 또는 방법 단계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 문맥에서 달리 요구하지 않는 한 단수는 복수를 포함한다. 특히, 부정관사가 사용되는 경우, 명세서는 문맥에서 달리 요구하지 않는 한 단수뿐만 아니라 복수도 고려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특정 측면, 실시양태 또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재된 특징, 정수, 문자, 화합물 또는 그룹은 양립할 수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다른 측면, 실시양태 또는 실시예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체에 걸쳐, "개구" 및 "구멍"이라는 용어는 제한 없이 임의의 구멍, 개구, 구멍, 채널, 통로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체에 걸쳐, "경사된", "각진된" "오프셋", "일치하지 않는" 및 "평행하지 않은"이라는 용어는 사용된 첫 번째 구성 요소가 사용되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치과 임플란트)의 세로 축과 동축이 아닌 것으로 통용된다.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여기에 설명/도시된 구성요소는 티타늄 또는 수술용 강철로 제조될 수 있고/있거나 선삭 및/또는 기계가공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지대주(4)에 완전히 조립되어 부착된 실시예에 따른 공구 조립체(2)의 측면도이다. 예를 들어, 그림과 같이 임플란트 (6)은 성형된 리세스 (recess) (8)을 통해 임플란트와 맞물리는 고정 요소(미도시)를 통해 환자의 턱(미도시)에 이미 내장된 프레임(미도시)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구성한다. 대안적으로, 6으로 표시된 요소는 프레임(미도시)과 일체인 베이스 또는 기둥에 의해 형성되거나 이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임플란트(6)가 이미 턱뼈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는 경우 지대주(4)를 임플란트(6) 또는 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해야 하는 요건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대주(4)와 임플란트(6)는 10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평평한 표면 또는 형태 맞춤 표면(도 1에 도시되지 않음)을 갖는다.
본원 발명에 따르면, 공구 조립체(2)는 제1 공구(12) 및 제2 공구(14)를 포함한다.
제1 공구(12)는 연신축(A), 사용시에 접합부(4)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1 단부(16), 및 제2 단부(18)를 갖는다. 제1 공구(12)의 적어도 제1 부분(20)은 제1 단부(16)는 주변 벽(22)을 갖는다. 실시예에서, 주변 벽(22)은 수 mm까지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3 mm, 및/또는 제1 부분(20) 직경의 최대 10%일 수 있다.
제1 공구(12)의 제1 부분(20)에서, 그리고 벽(22) 반대편에, 제1 개구(24)가 제1 부분(20)의 전부 또는 일부를 따라 연신된다.
제1 공구(12)의 연신축 A는 지대치(4)의 구멍, 개구 또는 제2 맞물림 요소(42)의 축과 일치한다. 제1 공구(12)의 연신축 A 및 임플란트 (6)의 연신축 B (및 임플란트에 장착될 때 지대주 (4)는 일치/중첩되지 않는다. 이 두 축 사이에는 5° 내지35° 사이의 각도 α가 있다.
임플란트(6) (및 임플란트에 장착될 때 지대주)의 연신축(B)은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임플란트(6)가 턱뼈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인 위치에 장착될 때, 제1 공구(12)는 각도 α로 환자의 구강 내로 연신/돌출된다. 따라서 치과 의사가 두 번째 공구와 함께 쉽게 잡고 조작하고 임플란트에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인"은 턱에 설정되고 구강 내에서 실질적으로 수직 각도로 돌출하는 자연 치아와 동일한 각도로 이해된다.
그러나 임플란트에 고정되는 임플란트 또는 의치의 구성 및 턱의 골질, 임플란트 개수, 구강 내 임플란트 위치(위턱, 아래턱, 앞니 어금니) 등과 같은 다른 요인에 따라 수직에서 편향되는 각도로 임플란트가 턱에 이식될 수 있다.
WO 2009/127880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의 한 가지 단점은 두가지 공구 -핸들(handle)과 스크루드라이버 (screwdriver)를 사용할 때 각각 다른 방식으로 삽입되어야만 한다는 점이다. 환자의 구강 내에 지대주를 설치하는 치과의사의 관점에서 볼 때 스크루드라이버를 핸들 "뒤에"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 시 핸들과 스크루드라이버라는 두 공구가 서로 방해가 된다는 것이다. 핸들이 방해가 되기 때문에 나사를 조이기 어렵다. 그러나 현재 구성에서는 두 공구가 서로 방해가 되지 않는다. 두 번째 공구(스크루드라이버)는 첫 번째 공구의 "전면"을 통해 삽입된다. 즉, 구강을 향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첫 번째 공구가 위치해 있는 동안 쉽게 삽입할 수 있다. 드라이버는 WO 2009/127880.O 2009/127880의 도 8과 같이 핸들을 방해하지 않고 돌릴 수 있다.
도 2를 간략히 참조하면, 이것은 도 1의 공구 조립체(2)의 하부의 위에서 투시도이다. 축방향으로 개방된 제2 개구(26)는 제1 단부(16)에 배치된다. 실시예에서, 제2 개구(26)는 형상이 원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공구(14)는 이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고정 요소(28)와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인접한 공간(30)이 제1 개구(24)와 제2 개구(26) 사이에 정의되어, 사용시 (i) 고정 요소(28), 또는 (ii) 제 2공구 (14)가 부착한 고정 요소(28)가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제2 공구(14)를 사용하여 임플란트(6) 또는 프레임에 지대주(4)의 안전한 고정을 허용하면서 제1 개구(24) 및 제2 개구(26)를 통과할 수도 있다.
도 1로 돌아가서, 일 실시예에서, 벽(22)의 적어도 일부(32)는 부분적인 원통형 형태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서, 벽(22)의 적어도 일부(32)를 따라 축방향 단면에서 보았을 때, 연신율(A)의 축을 연결하는 반경과 2개의 원주 단부 각각 사이에 형성된 각도가 부분적인 원통형 형태를 갖는다. 벽(22)의 θ는 (i) 120도 또는 그 이상, (ii) 150도 또는 그 이상, 180도 이상 또는 180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부분 원통형 형태를 갖는 부품(32)은 제1 단부(16)에 또는 이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실시예에서, 제1 공구(12)의 제1 부분(20)은 제1 공구(12)의 길이의 일부를 연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서, 제1 공구(12)의 제1 부분(20)은 첫 번째 공구(12) 길이의 (i) 30-60% , (ii) 35-55%, (iii) 40-50%, (iv) 45-50% 또는 (v) 50% 연신된다.
실시예에서, 벽(22)의 적어도 일부(32)는 횡단면에서 볼 때 제1 단부(16) 또는 이에 인접한 직사각형 부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부분(20) 이외의 제1 공구(12)의 일부에 의해 형성된 제2 부분(34)은 사용자의 조작을 위해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부분 또는 핸들(미도시)과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제1 부분(20)은 횡단면에서 볼 때 제2 부분(34)에 인접한 완곡된 부분(36)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제1 공구(12)의 제1 부분(20)은 제1 공구(12)의 나머지 부분보다 더 큰 가로 치수(예를 들어, 직경)를 갖는다. (예 2 부분 (34)). 예를 들어, 제1 부분(20)은 제1 공구(12)의 나머지 부분보다 100-300% 더 큰 가로 치수(예: 직경)를 가질 수 있어서 제 2공구가 이를 통해 삽입될 수 있고 흔들/뒤흔들릴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공구 조립체(2)의 측방향 분해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공구(12)는 제1 단부(16)에서 지대주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맞물림 요소(36)를 포함한다. 제1 맞물림 요소(36)는 외부 나사산(40)이 제공되는 체결 링(38)을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제2 맞물림 요소(42)는 예를 들어 그 위에 내부 나사산(미도시)이 제공된 속이 빈 내부 링 섹션(4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나사산(미도시)이 제공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내부 나사산이 체결 링(38)에 제공되고/거나 외부 나사산(미도시)이 내부 링 섹션(44)에 제공된다.
벽(22)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개구(24), 체결 링(38)에 의해 형성되는 제2 개구(26) 및 내부 링 섹션(44)을 통해 고정 요소(28)(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공구(14)에 부착된)는 지대주(4)로 정의되는 챔버(46) 안에 사용자에 의해 제1 공구(12)의 외부로부터 발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내부 링 섹션(44)에 반대되는 지대주(4)의 단부(48)에서 또는 그 부근에서 지대주(4)는 예를 들어, 육각 너트의 형태로 지대주(4)가 고정된 방식(즉, 회전이 불가능한)으로 임플란트(6)에 상응하는 모양의 리세스를 결합하기 위해 외부 형성물(50)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공구(14)는 제3(원위) 단부(52)에 적어도 하나의 연동하는 제4 맞물림을 통해 고정 요소(28)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3 맞물림 요소(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맞물림 요소(56)에 반대되는 고정 요소(28)의 단부에서, 고정 요소는 대응하는 부착 요소(예를 들어, 내부 나사산)와 고정적으로 임플란트 6 또는 프레임 내 결합하기 위한 외부 나사산(58) 또는 다른 부착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고정 요소(28)는 임플란트(6) 또는 프레임 내에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된 볼트 또는 나사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연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맞물림 요소(54) 및 적어도 하나의 제4 맞물림 요소(56)는 연동하는 스냅-고정(click-fix) 부착 요소를 구성된다. 즉, 제3 맞물림 요소(54)(예를 들어, 다수의 외향으로 편향된 돌출부를 갖는 볼)는 제2 공구(14)의 원위 단부(52)가 제4 맞물림 요소(56)(예를 들어, 볼 및/또는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리세스 또는 리세스 (미도시)를 가진 볼트 머리 (bolt head)로 구성될 수도 있다.
EP 3 541 318는 - 본원에 참조로 통합됨 - 외과용 나사, 및 정형외과 임플란트를 뼈 또는 정형외과 임플란트, 특히 현재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의 조합을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공구 조립체(2)의 하부 부분과 지대주 사이의 측방향 확대도이다. 제1 공구(12)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맞물림 요소(36)가 지대주(4) 상에서 협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맞물림 요소(42)와 (예를 들어 나사산 식으로) 맞물리도록 지대주(4)를 해제 가능하게 맞물렸다. 제3 맞물림 요소(54)는 제4 맞물림 요소(56)에 고정 요소(28)가 (화살표 B 방향으로) 지대주(4)와 임플란트(6) 안으로 밀려 들어갈 수 있게 맞물렸다. 그 후, 사용자가 제 2공구 (14)의 근위 단부(59) (원위 단부 (52) 반대편)를 비틀어서, 사용자는 고정 요소(28)를 임플란트 (6) 또는 프레임에 나사로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이동(및 화살표 B 방향으로의 나사 결합)은 지대주(4) 상의 어깨(62)와 접촉하는 원추형 섹션(60)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서 상술되고 설명된 공구 조립체를 사용하여 치과용 지대주를 장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단계의 순서는 어느 정도 변경될 수 있음). 먼저, 제1 공구(12)의 제1 단부(16)가 지대주(4)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다. 그런 다음, 제2 공구(14)는 고정 요소(28)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다. 다음으로, 고정 요소(28)는 제2 공구(14)를 통해 개구부(24) 및 제2 개구부(26) 통과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구강에 두 공구를 삽입하고 임플란트에 지대주를 배치한다. 사용자는 엄지와 검지 사이에 두 공구를 모두 잡고 나사나 지대주를 떨어뜨릴 위험 없이 쉽게 제자리에 가져올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고정 요소(28)를 사용하여 지대주(4)를 임플란트(6) 또는 프레임에 부착하도록 제2 공구(14)를 조작한다. 마지막으로, 제2 공구(14)는 고정 요소(28)로부터 분리되고 제2 공구(14)는 제2 개구(26) 및 제1 개구(24)를 통해 제거된다. 최종적으로 첫 번째 공구(12)가 지대주(4)에서 분리된다. 사용자가 지대주를 다시 꺼내고 싶다면 위의 단계를 역순으로 적용한다.
실시예가 각각의 구현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갖는 조사 장치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다른 실시예는 이들 및 다른 구성요소의 다른 조합 및 순열을 사용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Figure pct00001

Claims (15)

  1. 연신축(B)을 갖는 임플란트 (6) 또는 프레임에 치과용 지대주(4)를 장착하기 위한 공구 조립체(2)로,
    연신축(A), 사용시 지대주(4)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1 단부(16), 및 제2 단부(18), 적어도 제1 단부(16)에서 또는 그 근처에 있는 상기 제1 공구의 제1 부분(20)을 가지며, 상기 제1 부분(20)은 내면 벽(22)과 상기 벽 반대편을 갖고, 상기 제1 부분(20)의 전부 또는 일부를 따라 연신되는 제1 개구(24)를 갖고, 여기서 축 방향으로 개방된 제2 개구(26)가 상기 제1 단부(16)에 배치되는, 제1 공구(12); 및
    고정 요소(28)와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된 연신축(C)을 갖는 제2 공구(14);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개구(24)와 상기 제 2 개구(26) 사이에 인접한 공간(30)이 형성되어, 사용 시 (i) 상기 고정 요소(28) 또는 (ii) 상기 제2 공구(14)에 부착된 고정 요소(28)는 사용 시 제 2공구(14)를 사용하여 상기 제1 개구(24) 및 제2 개구(26)를 통과하여 임플란트(6) 또는 프레임에 지대주(4)를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고,
    상기 임플란트(6)의 연신축(B)과 제2 공구(14)의 연신축(C) 사이에는 각도(β)를 갖는, 공구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22)의 적어도 일부(32)는 부분적인 원통형 형태를 갖는, 공구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벽(22)의 상기 적어도 일부(32)는 부분적인 원통형 형태를 가지므로, 축방향 단면에서 보았을 때 연신축을 연결하는 반경과 상기 벽의 2개의 원주 단부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각이 (i) 120도 이상, (ii) 150도 이상, 180도이상, 또는 180도인, 공구 조립체.
  4. 제2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형태를 갖는 상기 부분(32)은 상기 제1 단부(16)에 또는 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공구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구(12)의 제1 부분(20)은 상기 제1 공구의 길이의 일부를 연신하는, 공구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구의 제1 부분(20)은 상기 제1 공구(12) 길이의 (i) 30-60%, (ii) 35-55%, (iii) 40-50%, (iv) 45-50% 또는 (v) 50%를 연신하는, 공구 조립체
  7.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20) 이외의 상기 제1 공구의 일부에 의해 형성된 제1 공구(12)의 제2 부분(34)은 수동적으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위해 핸들을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된, 공구 조립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22)은 횡단면에서 보았을 때 제1 단부에 또는 인접한 직사각형 부분(32) 및 제2 부분(34)의 인접한 곡선 부분(36)을 포함하는, 공구 조립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구(12)의 제1 부분(20)은 제1 공구(12)의 나머지 부분의 가로 치수보다 더 큰 가로 치수를 갖는, 공구 조립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에서, 지대주 (4)상의 적어도 하나의 제2 맞물림 요소(42)의 결합을 통해 해제 가능하게 지대주(4)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맞물림 요소(36)를 더 포함하는, 공구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맞물림 요소(36)는 외부 나사산(40) 및 내부 나사산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맞물림 요소(42)는 외부 나사산 및 내부 나사산 중 하나를 포함하는, 공구 조립체.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28)는 임플란트(6) 또는 프레임 내에 나사 고정하도록 구성된 볼트 또는 나사를 포함하는, 공구 조립체.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구(14)는 제3 단부(52)에서 상기 고정 요소(28) 상의 연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4 맞물림 요소(56)을 통해 고정 요소(28)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3 맞물림 요소(54)를 포함하는, 공구 조립체.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맞물림 요소(54)와 적어도 하나의 제4 맞물림 요소(56)는 스냅-고정 부착 요소(snap-fix attachment)를 포함하는, 공구 조립체.
  15.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구 조립체(2)를 제공하는 단계;
    제1 공구(12)의 제1 단부(16)를 지대부(4)에서 해제 가능하게 부착하는 단계;
    고정 요소(28)에 제2 공구(4)를 해제 가능하게 부착하는 단계;
    제1 개구(24) 및 제2 개구(26)를 통해 제2 공구(14) 상의 고정 요소(28)를 통과시키는 단계;
    고정 요소(28)를 사용하여 임플란트(6) 또는 프레임에 지대주(4)를 부착하도록 제2 공구(14)를 조작하는 단계; 및
    고정 요소(28)로부터 제2 공구(14)를 분리하고 제2 개구(26) 및 제1 개구(24)를 통해 제2 공구(14)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과용 지대주를 장착하는 방법.
KR1020217030363A 2019-03-11 2020-03-10 치과 보철물의 장착을 위한 공구 조립체 및 장착 방법 KR202101370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LULU101149 2019-03-11
LU101149A LU101149B1 (en) 2019-03-11 2019-03-11 Tool assembly for mounting of a dental prosthesis an method of mounting
PCT/EP2020/056391 WO2020182833A1 (en) 2019-03-11 2020-03-10 Tool assembly for mounting of a dental prosthesis and method of moun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062A true KR20210137062A (ko) 2021-11-17

Family

ID=65767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0363A KR20210137062A (ko) 2019-03-11 2020-03-10 치과 보철물의 장착을 위한 공구 조립체 및 장착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079715A1 (ko)
EP (1) EP3937831B1 (ko)
KR (1) KR20210137062A (ko)
CN (1) CN113573661B (ko)
CA (1) CA3130870A1 (ko)
LU (1) LU101149B1 (ko)
WO (1) WO2020182833A1 (ko)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6040C2 (sv) * 2000-03-23 2001-11-12 Nobel Biocare Ab Arrangemang innefattande distans för implantat samt sådan distans och skruvmejsel för distansens fastsättning
US7249949B2 (en) * 2004-06-29 2007-07-31 Lifecore Biomedical, Inc. Internal connection dental implant
IL181989A (en) * 2007-03-18 2011-11-30 Ophir Fromovich Angular spherical connector
GB0807118D0 (en) * 2008-04-18 2008-05-21 Neoss Ltd Spacer element
US8142193B2 (en) * 2009-06-25 2012-03-27 Bar Shalom Eliezer Compound angular joint for connecting an abutment to a dental implant in a predefined angle
RU2555384C2 (ru) * 2010-02-18 2015-07-10 Альфа Био Тек Лтд. Модульное о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наклонных зубных имплантатов
US8684733B2 (en) * 2011-04-15 2014-04-01 Jbsg Management Llc Polyaxial dental implant system
SE538150C2 (sv) * 2012-07-11 2016-03-22 Heraeus Kulzer Nordic Ab En skruvkanalsriktande anordning för en dental superstrukturoch metoder för att tillverka en dental superstruktur
WO2016059632A2 (en) * 2014-10-12 2016-04-21 T.A.G. Medical Devices - Agriculture Cooperative Ltd. Angular dental abutment assembly
BR112017025452B1 (pt) * 2015-07-24 2021-05-04 Nobel Biocare Services Ag adaptador para ligar um primeiro componente dentário a um segundo componente dentário, e conjunto dentário que compreende o adaptador
EP3970658A1 (en) * 2015-09-30 2022-03-23 Implant Direct Sybron International LLC Screw-retained abutment with off-axis feature and method of making same
CA3012891C (en) * 2016-01-29 2020-05-12 Nobel Biocare Services Ag Dental implant, insertion tool for dental implant and combination of dental implant and insertion tool
LU93307B1 (en) 2016-11-15 2018-05-25 Laboratoire Dentaire Hornbeck Jacques S A R L Screwdriver and Screw for a surgical application
US20200289243A1 (en) * 2016-12-16 2020-09-17 Neoss Limited Dental abutment blank,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abutment blan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prosthesis from such a blank
CN110312488B (zh) * 2016-12-28 2021-07-06 斯特劳曼控股公司 具有引导件和铣刀的系统
US11826224B2 (en) * 2017-04-03 2023-11-28 Implant Direct Sybron International Llc Multi-unit dental assembly with off-axis feature
PL3629997T3 (pl) * 2017-05-29 2021-01-25 Mis-Implants Technologies Ltd. System połączenia stomatologicznego
WO2019162446A1 (en) * 2018-02-22 2019-08-29 Nobel Biocare Services Ag Position locator attachable to a dental component and dental assembly comprising the position loc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30870A1 (en) 2020-09-17
EP3937831A1 (en) 2022-01-19
CN113573661A (zh) 2021-10-29
LU101149B1 (en) 2020-09-18
WO2020182833A1 (en) 2020-09-17
US20220079715A1 (en) 2022-03-17
EP3937831C0 (en) 2023-12-27
EP3937831B1 (en) 2023-12-27
CN113573661B (zh) 2023-11-21
TW202038871A (zh) 2020-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23666C (en) Anatomical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with interlockable various shaped healing cap assembly and matching abutment member
US5362235A (en) Anatomical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with interlockable angled abutment assembly
US5297963A (en) Anatomical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with interlockable elliptical healing cap assembly and matching abutment member
US8469710B2 (en)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US20170165033A1 (en) Dental implant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GB2495429A (en) A jig for preparing jaw bone for an implant
US20160331489A1 (en) A precision surgical guidance tool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dental implants
US9072567B2 (en) Superstructur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3638952B2 (ja) スペーサ部材
US20180280121A1 (en) Dental implant systems and methods of implantation
KR20210137062A (ko) 치과 보철물의 장착을 위한 공구 조립체 및 장착 방법
TWI834836B (zh) 用於安裝基牙之工具總成
KR200428099Y1 (ko) 인공치아 시술용 픽스츄어드라이버
RU2720486C2 (ru) Набор для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ции, включающий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и протезные компоненты,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е для фиксации одиночного зубного протеза в верхней и нижней челюстях пациента
CA3204016C (en) Inter dental implant
KR101292417B1 (ko) 임플란트 시술용 토오크 렌치
JP4108217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埋入用治具
KR200428092Y1 (ko) 마운트를 사용하지 않는 치과용 임프란트 픽스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