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475A - 유출 증기 레벨을 기초로 조리 모드를 변경하는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유출 증기 레벨을 기초로 조리 모드를 변경하는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475A
KR20210136475A KR1020200054769A KR20200054769A KR20210136475A KR 20210136475 A KR20210136475 A KR 20210136475A KR 1020200054769 A KR1020200054769 A KR 1020200054769A KR 20200054769 A KR20200054769 A KR 20200054769A KR 20210136475 A KR20210136475 A KR 20210136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steam
mode
leve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6126B1 (ko
Inventor
이재경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200054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126B1/ko
Publication of KR20210136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고, 조리 모드를 기초로 조리 대상물에 대한 조리를 수행하는 조리부, 상기 프레임의 상기 내부 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조리부로부터 유출되는 증기를 감지하는 증기 감지 센서 및 상기 조리부로부터 유출된 유출 증기의 레벨과 임계 레벨 간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상기 조리부에 대한 상기 조리 모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출 증기 레벨을 기초로 조리 모드를 변경하는 조리 장치{A cooking apparatus for control a cooking mode based on leakage vapor level}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조리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증기 유출을 감지하고 조리 모드를 변경하는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리 대상물 등의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가열 조리장치로서, 전기 밥솥, 인덕션 등 다양한 기기들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기 밥솥은 물이 담긴 내솥을 전기적인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취사를 하는 주방 조리장치로서, 밥 등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열 조리 장치는 고온 및 고압의 상태로 조리 대상물을 조리하므로, 조리 과정에서 내부의 고온 고압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고온 고압의 증기로 인하여, 주변의 다른 가전제품 및 가구가 손상되고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출 증기로 인해 주변의 다른 가전제품 및 가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고, 조리 모드를 기초로 조리 대상물에 대한 조리를 수행하는 조리부, 상기 프레임의 상기 내부 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조리부로부터 유출되는 증기를 감지하는 증기 감지 센서 및 상기 조리부로부터 유출된 유출 증기의 레벨과 임계 레벨 간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상기 조리부에 대한 상기 조리 모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는 상기 조리부에서 상기 내부 공간으로 증기가 유출되었음을 외부로 알리는 알림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부로부터 유출된 상기 유출 증기의 레벨과 상기 임계 레벨 간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상기 알림 수단이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 모드가 보온 모드인 경우, 상기 조리부의 뚜껑이 개방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알림 수단이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는 상기 내부 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조리부에서 상기 내부 공간으로 유출된 증기를 건조시키는 건조 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부로부터 유출된 상기 유출 증기의 레벨과 상기 임계 레벨 간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상기 건조 팬이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조리 장치는 유출 증기로 인해 다른 가전제품 및 가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증기 포집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유출 증기 레벨과 시간 간의 관계를 사용하여 조리 모드를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조리 모드 변경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조리 모드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조리부의 반입 및 반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조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증기 포집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조리 장치(1)는 프레임(10), 조리부(20), 증기 포집부(30), 및 물받이(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은 조리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10)은 조리 장치(1)를 구성하는 다양한 부품이 설치될 수 있는 수납 공간(111)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프레임(10)은 조리 장치(1)를 다른 물체에 빌트-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하기에 용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함체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리부(20)는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마련되며, 조리 대상물에 대한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부(20)는 밥을 지을 수 있는 취사 모드과, 취사된 밥을 일정온도로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보온 모드로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전기 밥솥일 수 있다.
조리부(20)는 조리 대상물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 공간(213)을 가지는 조리 용기(212)를 포함하는 본체(210)와, 상기 조리 공간(213)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210)에 설치된 뚜껑(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뚜껑(220)은 조리 대상물에 대한 취사가 진행되는 동안에, 상기 조리 공간(213) 내에 취사에 적합한 압력이 형성되도록, 상기 조리 공간(213)을 밀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뚜껑(220)은 본체(21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조리 공간(213)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뚜껑(220)은 본체(21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pivot)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조리 공간(213)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상기 뚜껑(220)은 취사 시 발생된 고온 고압의 증기를 뚜껑(22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 포트(221)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부(20)는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프레임(10)에 내장된(embedded) 또는 매립된(buried)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조리부(20)는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11)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조리부(20)는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11)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11)에 대해 반입 및 반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조리부(20)의 본체(210)는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11)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2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증기 포집부(30)는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11)에 마련되며, 조리부(20)에서 배출된 증기를 포집하고 포집된 증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 포집부(30)는 외부로 방출되기에 적합한 온도까지 냉각시켜 증기 상태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증기를 물로 응축시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증기 포집부(30)는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 공간을 제공하는 포집 케이스(310)를 포함할 수 있다. 포집 케이스(310)는 조리부(20)의 배기 포트(221)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유입되는 유입 포트(311)를 포함하고, 증기 포집부(30)에서 냉각된 유체(증기가 응축되어 생성된 응축수 및/또는 저온의 증기)가 유출되는 유출 포트(313)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 포트(311)로 유입된 고온 고압의 증기는 포집 케이스(310)에 마련된 유동 공간 내에서 유동하는 과정에서 냉각된 후, 유출 포트(313)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유출 포트(313)는 유입 포트(311)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될 수 있으며, 포집 케이스(310) 내에서 증기는 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유입 포트(311)는 배기 포트(221)를 통해 배출된 증기가 증기 포집부(30)의 내부로 효과적으로 유입되도록 배기 포트(221)와 상호 연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증기 포집부(30)는 조리부(20)와 증기 포집부(30) 사이에서 증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입 포트(311)에 장착된 패킹(340)을 포함할 수 있다. 패킹(340)은 조리부(20)의 뚜껑(220)의 배기 포트(221)에 밀착되어, 배기 포트(221)를 통해 배출된 증기가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11)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증기 포집부(30)는 포집 케이스(310) 내에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증기 유로(330)를 형성하는 유로 가이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 가이드(320)는 예를 들면, 포집 케이스(310)의 내벽에 장착된 격벽 구조일 수 있다. 유로 가이드(320)는 포집 케이스(310)내에서 증기를 일정 경로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증기는 상부 유로(321) 및 연결 유로(323)를 통해 유동하는 동안 응축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유입 포트(311)를 통해 유입된 증기는 대체로 상부 유로(321) 및 연결 유로(323)에서 유동하게 되며, 증기는 상부 유로(321) 및 연결 유로(323)에서 유동하는 동안 열을 잃고 응축될 수 있다. 증기가 응축되어 생성된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연결 유로(323)를 따라 하방으로 흐르고, 하부 유로(325)를 따라 흘러 유출 포트(31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증기 포집부(30)의 포집 케이스(310)는 요철 구조의 내벽을 가질 수 있다. 특히, 포집 케이스(310)의 내부의 상부벽을 요철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응축된 물방울이 포집 케이스(310)의 내부의 상부벽에 흡착되지 않고 하방으로 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물받이(40)는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11)에 마련되며, 증기 포집부(30)로부터 배수된 응축수(W)를 저수할 수 있다. 물받이(40)는 증기 포집부(30)의 유출 포트(313)와 연통하도록 구성된 응축수 유입구(410)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받이(40)는 조리부(20)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물받이(40)는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11)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11)에 대해 반입 및 반출될 수 있다.
조리부(20)로부터 배출된 증기는 물로 응축되어 배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열 조리 장치는 고온 고압의 증기를 외부로 직접 배출하게 된다. 고온 고압의 증기로 인해 주변의 가전 제품 및 가구가 손상되거나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고온 고압의 증기는 물로 응축되어 배출되므로, 고온 고압의 증기가 직접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고온 고압의 증기로 인하여, 주변의 가전제품 및 가구가 손상되거나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조리 장치(1)는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11)에 마련된 건조 팬(120)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 팬(120)은 내부 공간(111) 내에서 공기를 강제 유동시켜, 내부 공간(111)을 건조시킬 수 있다. 조리부(20)에서 배출된 증기의 일부가 내부 공간(111)으로 누설되더라도, 내부 공간(111)이 건조되도록 건조 팬(120)을 구동시킴으로써, 습기로 인한 내부 공간(111)의 오염 내지 프레임(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물받이(40)는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11)에 마련되며, 증기 포집부(30)로부터 배수된 응축수를 저수할 수 있다. 물받이(40)는 증기 포집부(30)의 유출 포트(313)와 연통하도록 구성된 유입구(410)를 가지며, 유출 포트(313)로부터 배출된 응축수 및/또는 저온의 증기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받이(40)는 조리부(2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물받이(40)는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11)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11)에 대해 반입 및 반출될 수 있다.
증기 포집부(30)는 유동 팬(35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동 팬(350)은 유입 포트(311) 근방에 마련될 수 있다. 유동 팬(350)은 증기 포집부(30) 내의 공기를 유입 포트(311)로부터 유출 포트(313)로 강제 유동시키게 된다. 유동 팬(350)이 구동됨에 따라, 증기 포집부(30) 내에 잔류하는 응축수는 유출 포트(313)를 향해 이동될 수 있고, 나아가 증기 포집부(30) 내에 잔류하는 수분을 기화시켜 증기 포집부(30)의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조리 장치(1)는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11)에 마련된 건조 팬(120)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 팬(120)은 내부 공간(111) 내에서 공기를 강제 유동시켜, 내부 공간(111)을 건조시킬 수 있다. 조리부(20)에서 배출된 증기 일부가 내부 공간(111)으로 누설되더라도, 내부 공간(111)이 건조되도록 건조 팬(120)을 구동시킴으로써, 습기로 인한 내부 공간(111)의 오염 내지 프레임(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1)는 증기 감지 센서들(50-1, 50-2)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증기 감지 센서(50-1)는 프레임(1)의 내부 공간(111)에 마련되고, 조리부(20)의 외부에 마련될 수 있다. 외부 증기 감지 센서(50-1)는 조리부(20)에서 내부 공간(111)으로 유출된 증기를 감지할 수 있다. 외부 증기 감지 센서(50-1)는 패킹(340)의 이상으로 인해 내부 공간(111)으로 유출된 증기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외부 증기 감지 센서(50-1)는 뚜껑(220)에 형성된 크랙으로 인해 내부 공간(111)으로 유출된 증기를 감지할 수 있다.
내부 증기 감지 센서(50-2)는 프레임(1)의 내부 공간(111)에 마련되고, 조리부(2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내부 증기 감지 센서(50-2)는 조리부(20) 내의 증기를 감지할 수 있다. 내부 증기 감지 센서(50-2)는 패킹(340)의 이상으로 인해 조리부(20)에서 내부 공간(111)으로 증기가 유출되면, 조리부(20) 내에 줄어든 증기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내부 증기 감지 센서(50-2)는 뚜껑(220)에 형성된 크랙으로 인해 조리부(20)에서 내부 공간(111)으로 증기가 유출되면, 조리부(20) 내에 줄어든 증기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가열 수단(215), 알림 수단(216) 및 가열 수단(215)과 알림 수단(216)을 제어하는 제어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수단(215)은 본체(210)에 마련되고, 조리 공간(213) 내의 조리 대상물이 조리되도록 조리부(20)의 밑면을 가열할 수 있다. 알림 수단(216)은 본체(210)에 마련되고, 조리부(20)에서 내부 공간(111)으로 증기가 유출되었음을 외부로 알릴 수 있다.
제어부(214)는 조리 장치(1)의 조리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가 취사 모드, 보온 모드 또는 가열 해제 모드로 동작하도록 가열 수단(215)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취사모드에서, 제어부(214)는 조리 공간(213) 내의 조리 대상물이 취사되도록 가열 수단(215)을 제어할 수 있다. 보온 모드에서, 제어부(214)는 조리 공간(213) 내의 조리 대상물이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도록 가열 수단(215)을 제어할 수 있다. 가열 해제 모드에서, 제어부(214)는 조리 공간(213)에 대한 가열이 중단되도록 가열 수단(215)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4)는 보온 모드보다 취사 모드에서 더 높은 온도로 조리부(20)의 밑면이 가열되도록 가열 수단(215)을 제어할 수 있다. 보온 모드보다 취사 모드에서 조리 대상물이 더 높은 온도로 가열되므로, 보온 모드보다 취사 모드에서 더 많은 증기가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214)는 조리부(20)에서 내부 공간(111)으로 유출된 증기의 양에 따라 가열 수단(215) 및 알림 수단(216)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4)는 외부 증기 감지 센서(50-1) 또는 내부 증기 감지 센서(50-2)로부터 수신된 증기 정보를 기초로 유출된 증기의 양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조리 장치(1)의 조리 모드가 변경되도록 가열 수단(215)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4)는 취사 모드에서 유출된 증기가 제1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조리 모드가 가열 해제 모드로 변경되도록 가열 수단(215)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임계 값은 0 이상의 값일 수 있다. 취사 모드에서는 증기가 빠르게 발생하므로, 증기가 제1 임계 값 이상으로 유출되면 프레임(1) 또는 내부 공간(111)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조리 모드를 가열 해제 모드로 변경함으로써 프레임(1) 또는 내부 공간(11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214)는 보온 모드에서 유출된 증기가 제1 임계 값 이상이더라도 조리 모드를 보온 모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보온 모드에서는 증기가 느리게 발생하므로, 증기가 제1 임계 값 이상으로 유출되더라도 프레임(1) 또는 내부 공간(111)이 손상될 가능성이 낮을 수 있다.
제어부(214)는 보온 모드에서 유출된 증기가 제2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조리 모드가 가열 해제 모드로 변경되도록 가열 수단(215)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임 계 값은 제1 임계 값보다 클 수 있다. 보온 모드이더라도 증기가 제2 임계 값 이상으로 유출되면 프레임(1) 또는 내부 공간(111)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조리 모드를 가열 해제 모드로 변경함으로써 프레임(1) 또는 내부 공간(11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214)는 프레임(1) 또는 내부 공간(111)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알림 수단(216)을 제어함으로써 증기가 유출되었음을 외부에 알릴 수 있다.
도 3은 유출 증기 레벨과 시간 간의 관계를 사용하여 조리 모드를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조리부(20)에서 내부 공간(111)으로 유출되는 증기의 레벨은 시간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취사 모드에서 유출되는 증기 레벨은 보온 모드에서 유출되는 증기 레벨보다 빠르게 증가할 수 있다.
유출된 증기의 레벨이 손상 기준 레벨(damage_level) 이상인 경우, 프레임(1) 또는 내부 공간(111)은 습기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14)는 유출된 증기의 레벨이 손상 기준 레벨(damage_level)에 도달하기 전에, 조리 모드가 가열 해제 모드로 변경되도록 가열 수단(215)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4)는 조리 장치(1)가 취사 모드인 경우, 유출된 증기의 레벨이 제1 임계 레벨(th1_level)에 도달하는 제1 시간(t1)에 조리 모드를 가열 해제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제1 임계 레벨(th1_level)은 0보다 크고 손상 기준 레벨(damage_level)보다 작을 수 있다.
제어부(214)는 조리 장치(1)가 보온 모드인 경우, 유출된 증기의 레벨이 제1 임계 레벨(th1_level)에 도달하더라도 보온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제어부(214)는 조리 장치(1)가 보온 모드인 경우, 유출된 증기의 레벨이 제2 임계 레벨(th2_level)에 도달하는 제2 시간(t2)에 조리 모드를 가열 해제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제2 임계 레벨(th2_level)은 제1 임계 레벨(th1_level)보다 크고 손상 기준 레벨(damage_level)보다 작을 수 있다.
도 4는 조리 모드 변경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조리 모드 변경 시스템(5)은 증기 감지 센서(50), 제어부(214), 가열 수단(215) 및 알림 수단(216)을 포함할 수 있다.
증기 감지 센서(50)는 내부 공간(111) 또는 조리부(20) 내부의 증기를 감지할 수 있다. 증기 감지 센서(50)는 외부 증기 감지 센서(50-1) 또는 내부 증기 감지 센서(50-2)일 수 있다. 증기 감지 센서(50)는 증기를 감지하고, 증기 레벨에 대한 정보(vapor_level)를 제어부(214)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14)는 증기 레벨에 대한 정보(vapor_level)를 기초로 조리부(20)에서 내부 공간(111)으로 유출되는 증기 레벨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14)는 유출 증기 레벨과 임계 레벨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조리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4)는 조리 모드에 대응되는 온도 제어 정보(temp_ctrl)를 가열 수단(215)에 제공함으로써 조리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유출 증기의 레벨과 임계 레벨 간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조리 모드를 변경하는 과정은 도 3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실시 예에 따른 조리 모드 변경 시스템(5)은 알림 수단(2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4)는 유출되는 증기 레벨을 기초로 알림 수단(216)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4)는 취사 모드에서 유출 증기 레벨이 제1 임계 레벨보다 높은 경우 알림 수단(216)을 제어함으로써 증기가 유출되었음을 외부에 알릴 수 있다. 제어부(214)는 보온 모드에서 유출 증기 레벨이 제1 임계 레벨보다 높고 제2 임계 레벨보다 낮은 경우, 뚜껑(220)이 열렸을 때 알림 수단(216)을 제어함으로써 증기가 유출되었음을 외부에 알릴 수 있다. 제어부(214)는 보온 모드에서 유출 증기 레벨이 제2 임계 레벨보다 높은 경우 알림 수단(216)을 제어함으로써 증기가 유출되었음을 외부에 알릴 수 있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조리 모드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에서, 증기 감지 센서(50)는 조리 장치(10) 내의 증기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증기 감지 센서(50-1)는 내부 공간(111)에 형성된 증기를 감지할 수 있다. 내부 증기 감지 센서(50-2)는 조리부(20) 내에 형성된 증기를 감지할 수 있다.
단계 520에서, 제어부(214)는 조리부(20)에서 내부 공간(111)으로 유출되는 증기의 레벨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4)는 외부 증기 감지 센서(50-1)로부터 수신된 증기 레벨을 조리부(20)에서 내부 공간(111)으로 유출된 증기의 레벨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14)는 내부 증기 감지 센서(50-2)로부터 수신된 증기 레벨의 감소량을 모니터링하고, 감소된 레벨 중 배기 포트(221)로 향하는 증기의 레벨을 제외한 나머지 레벨을 조리부(20)에서 내부 공간(111)으로 유출된 증기의 레벨로 사용할 수 있다. 배기 포트(221)로 향하는 증기 레벨은 시간에 따라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또는, 배기 포트(221)로 향하는 증기 레벨은 증기 포집부(30) 내에 마련된 증기 센서(미도시)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단계 530에서, 제어부(214)는 유출 증기 레벨을 제1 임계 레벨과 비교할 수 있다. 유출 증기 레벨이 제1 임계 레벨보다 큰 경우 단계 540으로 이동하고, 유출 증기 레벨이 제1 임계 레벨과 같거나 작은 경우 단계 55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단계 540에서, 조리 장치(1)의 조리 모드가 취사 모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조리 모드가 취사 모드인 경우 단계 580로 이동할 수 있다. 조리 모드가 취사 모드가 아닌 경우 단계 55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모드가 보온 모드인 경우 단계 55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단계 580에서, 제어부(214)는 조리 모드를 취사 모드에서 가열 해제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214)는 내부 공간(111)에 마련된 건조 팬(120)을 구동시킬 수 있다.
단계 550에서, 제어부(214)는 조리 모드를 현재 상태로 유지하고, 단계 560에서, 조리부(20)의 뚜껑(220)이 개방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조리부(20)의 뚜껑이 개방된 경우, 단계 59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조리부(20)의 뚜껑이 개방되지 않은 경우, 단계 57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단계 570에서, 제어부(214)는 유출 증기 레벨을 제2 임계 레벨과 비교할 수 있다. 제2 임계 레벨은 제1 임계 레벨보다 클 수 있다. 유출 증기 레벨이 제2 임계 레벨보다 큰 경우 단계 58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유출 증기 레벨이 제2 임계 레벨과 같거나 작은 경우 단계 56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유출 증기 레벨이 제2 임계 레벨보다 큰 경우, 단계 580에서, 제어부(214)는 조리 모드를 예를 들어, 보온 모드에서 가열 해제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214)는 내부 공간(111)에 마련된 건조 팬(120)을 구동시킬 수 있다.
단계 590에서, 제어부(214)는 알림 수단(216)을 제어함으로써 증기가 유출되었음을 외부에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장치(1)는 내부 공간(111)으로 유출되는 증기의 레벨에 따라 조리 모드를 가열 해제 모드로 변경함으로써 프레임(1) 또는 내부 공간(11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장치(1)는 내부 공간(111)으로 유출되는 증기의 레벨에 따라 건조 팬을 자동적으로 구동시키고, 유출된 증기를 건조시킴으로써 프레임(1) 또는 내부 공간(11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장치(1)는 프레임(1) 또는 내부 공간(111)에 증기가 유출되는 것을 외부에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빠른 시간 내에 수리 및 보수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도 6은 조리부의 반입 및 반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조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부(20)는 프레임(10)에 서랍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0)의 내측벽에는 고정 레일(151)이 마련되며, 본체(210)에는 고정 레일(151)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이동 레일(251)이 마련될 수 있다. 도어(211)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219)가 마련되며, 조리부(20)는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어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11)에 대해 반입되거나 반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부(20)는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11)에 수용된 제1 위치와,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11)으로부터 돌출된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조리부(20)의 제1 위치는 조리 장치(1)의 조리 과정 시의 조리부(20)의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리부(20)의 상기 제1 위치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부(20)의 배기 포트(221)와 증기 포집부(30)의 유입 포트(311)가 상호 연통할 수 있고, 증기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패킹(340)은 배기 포트(221)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부(20)의 상기 제2 위치는 본체(210)의 조리 공간(213)에 조리될 조리 대상물을 넣거나 본체(210)의 조리 공간(213)으로부터 조리가 완료된 조리 대상물을 꺼내기 적합한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부(20)의 제2 위치에서, 뚜껑(220)은 프레임(10)과의 간섭 없이 회전되어 조리 공간(213)을 개방시킬 수 있다.
조리부(20)는 조리 대상물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 공간(213)을 가지는 조리 용기(212)를 포함하는 본체(210)와, 상기 조리 공간(213)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210)에 설치된 뚜껑(2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210)는 사용자에게 조리 장치(1)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조리 장치(1)에 대한 제어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218)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18)는 증기 누출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 수단(216)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7)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고, 조리 모드를 기초로 조리 대상물에 대한 조리를 수행하는 조리부;
    상기 프레임의 상기 내부 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조리부로부터 유출되는 증기를 감지하는 증기 감지 센서; 및
    상기 조리부로부터 유출된 유출 증기의 레벨과 임계 레벨 간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상기 조리부에 대한 상기 조리 모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 모드가 취사 모드인 경우, 상기 유출 증기의 레벨이 제1 임계 레벨보다 크면 상기 조리 모드를 가열 해제 모드로 변경하는, 조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 모드가 보온 모드인 경우, 상기 유출 증기의 레벨이 상기 제1 임계 값보다 크고 제2 임계 값보다 작으면, 상기 조리 모드를 상기 보온 모드로 유지하는, 조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 모드가 상기 보온 모드인 경우, 상기 유출 증기의 레벨이 상기 제2 임계 값보다 크면, 상기 조리 모드를 상기 가열 해제 모드로 변경하는, 조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에서 상기 내부 공간으로 증기가 유출되었음을 외부로 알리는 알림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부로부터 유출된 상기 유출 증기의 레벨과 상기 임계 레벨 간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상기 알림 수단이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조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 모드가 보온 모드인 경우, 상기 조리부의 뚜껑이 개방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알림 수단이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조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조리부에서 상기 내부 공간으로 유출된 증기를 건조시키는 건조 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부로부터 유출된 상기 유출 증기의 레벨과 상기 임계 레벨 간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상기 건조 팬이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조리 장치.
KR1020200054769A 2020-05-07 2020-05-07 유출 증기 레벨을 기초로 조리 모드를 변경하는 조리 장치 KR102336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769A KR102336126B1 (ko) 2020-05-07 2020-05-07 유출 증기 레벨을 기초로 조리 모드를 변경하는 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769A KR102336126B1 (ko) 2020-05-07 2020-05-07 유출 증기 레벨을 기초로 조리 모드를 변경하는 조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475A true KR20210136475A (ko) 2021-11-17
KR102336126B1 KR102336126B1 (ko) 2021-12-08

Family

ID=78702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769A KR102336126B1 (ko) 2020-05-07 2020-05-07 유출 증기 레벨을 기초로 조리 모드를 변경하는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1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718B1 (ko) * 2005-03-14 2007-01-24 쿠쿠전자주식회사 압력밥솥의 증기누출 검지방법 및 그 장치
JP2010063779A (ja) * 2008-09-12 2010-03-25 Mitsubishi Electric Corp 炊飯器
JP2018175759A (ja) * 2017-04-21 2018-11-15 三菱電機株式会社 炊飯器
KR102100392B1 (ko) * 2018-12-10 2020-04-13 (주)쿠첸 조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718B1 (ko) * 2005-03-14 2007-01-24 쿠쿠전자주식회사 압력밥솥의 증기누출 검지방법 및 그 장치
JP2010063779A (ja) * 2008-09-12 2010-03-25 Mitsubishi Electric Corp 炊飯器
JP2018175759A (ja) * 2017-04-21 2018-11-15 三菱電機株式会社 炊飯器
KR102100392B1 (ko) * 2018-12-10 2020-04-13 (주)쿠첸 조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6126B1 (ko) 202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82558B2 (ja) 調理装置およびその構成要素
KR102336126B1 (ko) 유출 증기 레벨을 기초로 조리 모드를 변경하는 조리 장치
KR102100392B1 (ko) 조리 장치
KR100643694B1 (ko) 증기발생장치를 갖춘 조리기의 청소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2201070B1 (ko) 조리 장치
US6965094B1 (en) Controlled heat steamer
KR100725737B1 (ko) 조리장치 및 그 배수제어방법
KR102201071B1 (ko) 조리 장치
JP2532327B2 (ja) スチ―ムコンベクションオ―ブン
KR102120181B1 (ko) 조리 장치
WO2023237969A1 (en) Appliance for cooking dishes
CN116807251A (zh) 蒸汽烤箱
CN116807252A (zh) 蒸汽烤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