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000A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36000A KR20210136000A KR1020217026153A KR20217026153A KR20210136000A KR 20210136000 A KR20210136000 A KR 20210136000A KR 1020217026153 A KR1020217026153 A KR 1020217026153A KR 20217026153 A KR20217026153 A KR 20217026153A KR 20210136000 A KR20210136000 A KR 202101360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ot device
- virtual
- real
- iot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3999 initi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190 activ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1 electroluminesc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23 data manag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00 validation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30/00—IoT infrastructure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66—Checking the configur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 H04L43/065—Generation of reports related to network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원하는 데이터를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제시부는, 복수의 실제 IoT 디바이스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를 유저에게 제시하고, 요구부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디바이스 정보에 대응하는 실제 IoT 디바이스와,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를 요구한다. 본 개시에 관계되는 기술은, 예를 들어, IoT 서비스 사업자가 사용하는 유저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하는 데이터를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IoT(Internet of Things)의 기술에 의해 여러가지 디바이스가 인터넷에 접속됨으로써, 일상적으로 대량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근년, IoT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양의 증가에 의한 서버에의 부하나 통신 부하의 억제가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서버를 게이트웨이보다도 로컬 네트워크측에 배치함으로써, 게이트웨이보다도 인터넷측에 서버가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서버와 디바이스의 통신에 관계되는 부하를 억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나아가, 여러가지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디바이스 중에서 유저가 원하는 데이터를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는,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원하는 데이터를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정보 처리 장치는, 복수의 실제 IoT 디바이스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를 유저에게 제시하는 제시부와, 상기 유저에 의해 선택된 상기 디바이스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와,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를 요구하는 요구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본 개시의 정보 처리 방법은, 정보 처리 장치가, 복수의 실제 IoT 디바이스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를 제시하고, 유저에 의해 선택된 상기 디바이스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와,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를 요구하는 정보 처리 방법이다.
본 개시의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복수의 실제 IoT 디바이스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를 제시하고, 유저에 의해 선택된 상기 디바이스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와,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를 요구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복수의 실제 IoT 디바이스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가 제시되고, 유저에 의해 선택된 상기 디바이스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와,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가 요구된다.
도 1은 본 개시에 관계되는 기술의 전제 조건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IoT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1:1의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서버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유저 기기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링키지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실제 IoT 디바이스의 능력의 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N:1의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디바이스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선택된 실제 IoT 디바이스의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링키지의 요구의 기술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링키지의 요구에 사용되는 GUI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링키지의 요구에 사용되는 GUI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1:N의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링키지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디바이스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실제 IoT 디바이스의 부하의 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실제 IoT 디바이스의 부하의 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VXLAN에 있어서의 패킷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L2 접속에 의한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링키지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2는 실제 IoT 디바이스의 신설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계층 구조에서의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링키지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5는 디바이스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링키지의 요구에 사용되는 GUI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링키지의 요구에 사용되는 GUI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복수 포트에서의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의 포트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링키지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1은 가상 IoT 디바이스의 부담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2는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IoT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1:1의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서버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유저 기기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링키지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실제 IoT 디바이스의 능력의 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N:1의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디바이스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선택된 실제 IoT 디바이스의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링키지의 요구의 기술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링키지의 요구에 사용되는 GUI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링키지의 요구에 사용되는 GUI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1:N의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링키지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디바이스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실제 IoT 디바이스의 부하의 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실제 IoT 디바이스의 부하의 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VXLAN에 있어서의 패킷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L2 접속에 의한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링키지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2는 실제 IoT 디바이스의 신설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계층 구조에서의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링키지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5는 디바이스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링키지의 요구에 사용되는 GUI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링키지의 요구에 사용되는 GUI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복수 포트에서의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의 포트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링키지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1은 가상 IoT 디바이스의 부담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2는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개시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실시 형태라 한다)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IoT 시스템의 개요
1-1. IoT에 대해서
1-2. 실제 IoT 디바이스의 공용과 가상 IoT 디바이스
1-3. 본 개시에 관계되는 기술의 전제 조건
1-4. IoT 시스템의 구성예
2. 제1 실시 형태
2-1. 1:1의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
2-2. N:1의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
2-3. 링키지의 요구에 사용되는 GUI
2-4. 1:N의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
2-5. L2 접속에 의한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
2-6. 실제 IoT 디바이스의 신설에 대해서
3. 제2 실시 형태
3-1. 계층 구조에서의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
3-2. 링키지의 요구에 사용되는 GUI
3-3. 복수 포트에서의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
3-4. 하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의 부담에 대해서
4. 하드웨어 구성예
<1. IoT 시스템의 개요>
(1-1. IoT에 대해서)
IoT(Internet of Things)는 스마트폰 등의 기기를 사용하여 행하는 사람끼리의 통신과는 달리, 여러가지 물건끼리가 직접 통신을 행하는 구조이다.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나 M2M(Machine-to-Machine)은 IoT를 실현하기 위한 네트워크 토폴러지를 나타낸 말이며, 기계끼리가 통신을 행하는 접속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IoT의 특징의 하나로서, 통신을 행하는 디바이스가 많은 점을 들 수 있다. 1명의 사람에 관계되는 기기가 10개 있다고 하면, 그 10배 내지 100배의 수의 디바이스가, 온갖 장소에 설치된다. 통신에는, 유선 통신과 무선 통신이 있는데, IoT에 있어서는, 디바이스를 설치하는 장소의 제약이 적은 무선 통신이 사용된다.
IoT 시스템의 구축에는, 일반적으로, 센서, 통신 수단, 애플리케이션, 스토리지, 유저 인터페이스가 필요하게 된다. 기본적인 흐름으로서는, 센서가 데이터를 수집하고, 무선 통신 등의 통신 수단을 통하여, 네트워크측의 애플리케이션에 통지한다. 애플리케이션이, 통지된 데이터에 기초한 분석 등을 행하고, 그 결과를,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유저에게 제시한다. IoT 시스템의 유스 케이스는, 공장 관리나 전력 관리, 농업이나 헬스케어 등 다방면에 걸치고, 현 상황, 개개의 유스 케이스에 대응한 IoT 시스템이 개별로 구축되어, 운용되는 경우가 많다.
(1-2. 실제 IoT 디바이스의 공용과 가상 IoT 디바이스)
IoT 시스템에 있어서는, 센서를 여러가지 장소에 설치할 필요가 있는데, 센서의 설치 장소에는, 많은 센서를 설치할 수 없는 공공의 장소나, 개인집 내 등이 포함된다. 이들 장소에, 다수의 IoT 서비스 사업자가 개별로 센서를 설치하는 것은, 기술적으로는 가능할지라도, 경제적 관점이나 장소의 제약이라는 관점에서 어렵다.
그래서, 이미 설치되어 있는 센서를, 복수의 IoT 서비스 사업자가 공용할 필요가 있게 되어, 센서의 공용을 실현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또한, 통상, 예를 들어 온도 센서를 설치한 경우, 그 온도를 측정하는 능력을, 풍력을 측정하는 능력으로 변경할 수는 없다. 이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가상 IoT 센서를 설정함으로써, 하나의 실제 IoT 센서를 복수의 IoT 서비스 사업자가 공용하거나, 가상 IoT 센서의 능력을, 온도 센서의 능력이나 풍력 센서의 능력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본 개시에 관계되는 기술은, 가상 IoT 센서를 실제 IoT 센서와 같이 취급하기 위해서, 실제 IoT 디바이스와 가상 IoT 디바이스의 대응짓기를 행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여기서, 실제 IoT 디바이스는, 물리적으로 실제로 존재하는 센서 등의 디바이스를 말한다. 한편, 가상 IoT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상에서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가상적인 디바이스를 말하며, 다종류의 실제 IoT 디바이스에 취득되는 다종류의 데이터를 집약할 수 있다. 이하에 있어서, 실제 IoT 디바이스는, 센서를 상정하고 있지만, 센서 이외의 디바이스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1-3. 본 개시에 관계되는 기술의 전제 조건)
본 개시에 관계되는 기술의 전제 조건으로서, 실제 IoT 디바이스의 설치 장소나 능력과 같은 디바이스 정보를, 네트워크 상의 서버가 일원 관리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실제 IoT 디바이스를 사용할 때에, 그 때마다, 실제 IoT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것과 같은 시간적인 노동력을 저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온도 센서로서 구성되는 실제 IoT 디바이스(10)는 액세스 포인트(21)를 통하여 인터넷(20)에 접속되었을 때에, 실제 IoT 디바이스(10)의 설치 장소나 능력을 서버(30)에 통지한다. 서버(30)는 복수의 실제 IoT 디바이스의 설치 장소나 능력을, 디바이스 정보로서, 정리하여 보유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 정보는, 실제 IoT 디바이스의 설치 장소로 분류되고, 설치 장소마다 능력으로 분류되어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실제 IoT 디바이스의 IP 어드레스나 MAC 어드레스도, 디바이스 정보로서 보유된다. 이에 의해, 실제 IoT 디바이스의 검색이 보다 용이해진다.
(1-4. IoT 시스템의 구성예)
도 2는, 본 개시에 관계되는 기술을 적용한 IoT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실제 IoT 디바이스(10)는 예를 들어 온도 센서 등의 센서로서 구성되어, 옥외나 개인집 내에 설치된다.
서버(30)는 실제 IoT 디바이스(10)의 이용 허가를 얻는 업무를 행하는 사업자에 의해 관리된다. 서버(30)는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와 리포지터리 기능부(32)를 구비하고 있다.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는 가상 IoT 디바이스(50)를 관리하고, 리포지터리 기능부(32)는 실제 IoT 디바이스(10)의 디바이스 정보를 보유한다.
유저(40A)는 가상 IoT 디바이스(50)로부터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IoT 서비스 등의 비즈니스를 행하는 IoT 서비스 사업자 또는 개인이다. 실제 IoT 디바이스(10)의 데이터는, 유저(40A)가 사용하는 스마트폰이나 PC(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는 유저 기기(40)(후술)에 의해, 가상 IoT 디바이스(50)에 요구된다.
가상 IoT 디바이스(50)는 인터넷(20) 상의 소정의 컴퓨터에 있어서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가상적인 디바이스이다. 가상 IoT 디바이스(50)에는, 실제 IoT 디바이스(10)로부터 최신 데이터가 업로드된다.
도 2의 예에서는, IoT 서비스 사업자인 유저(40A)가 어떤 지역의 상세한 온도 분포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Web 상에서 공개함에 있어서, 서버(30)를 관리하고 있는 사업자에게, 실제 IoT 디바이스(10)의 데이터 제공을 의뢰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저(40A)의 유저 기기(40)에 의해, 가상 IoT 디바이스(50)의 액티베이트(유효화)가 서버(30)의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에 요구된다.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는 유저 기기(4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가상 IoT 디바이스(50)를 액티베이트하고, 실제 IoT 디바이스(10)와의 대응짓기를 행함과 함께, 가상 IoT 디바이스(50)의 위치 정보(예를 들어 URL)를 유저 기기(40)에 통지한다. 이에 의해, 유저(40A)는 가상 IoT 디바이스(50)를 통하여, 실제 IoT 디바이스(10)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여러가지 IoT 서비스 사업자에게, 원하는 실제 IoT 디바이스의 데이터가 제공되게 된다.
도 2의 IoT 시스템은, 에지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상 IoT 디바이스(50)를 에지 서버에 의해 실현시켜, 서버(30)보다도 실제 IoT 디바이스(10)의 근처에 에지 서버를 분산시킴으로써, 통신 지연의 단축, 처리의 고속화, 및 리얼타임성의 향상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2의 IoT 시스템은, 포그 컴퓨팅을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가상 IoT 디바이스(50)를 포그 컴퓨팅에 의해 실현시킨다. 이에 의해, 컴퓨팅 리소스를 실제 IoT 디바이스(10)에 가까운 위치에서 분산하여, 데이터 관리나 축적, 변환 등의 각종 처리를 행할 수 있어, 통신 지연의 단축, 처리의 고속화, 및 리얼타임성의 향상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실제 IoT 디바이스와 가상 IoT 디바이스의 대응짓기를 행할 때, 어떤 정보를 기초로 대응짓기를 행할 것인지, 구체적인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 않았다. 이후, 실제 IoT 디바이스와 가상 IoT 디바이스의 대응짓기, 또한, 후술하는 가상 IoT 디바이스끼리의 대응짓기를 링키지라고 한다. 먼저, 이하에 있어서는, 실제 IoT 디바이스와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를 실현하기 위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2. 제1 실시 형태>
(2-1. 1:1의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
도 3은, 실제 IoT 디바이스(10)와 가상 IoT 디바이스(50)의 링키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의 예에서는, M개의 실제 IoT 디바이스(10-1, 10-2, …, 10-M)와, 인터넷 상의 M개의 가상 IoT 디바이스(50-1, 50-2, …, 50-M)가 각각 1:1로 링키지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서버(30)는 유저 기기(4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가상 IoT 디바이스(50)를 액티베이트함으로써, 실제 IoT 디바이스(10)와 가상 IoT 디바이스(50)의 링키지를 행한다.
(서버의 구성)
도 4는, 서버(30)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서버(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상 IoT 디바이스(50)를 관리하는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와, 실제 IoT 디바이스(10)의 디바이스 정보를 보유하는 리포지터리 기능부(32)를 구비하고 있다.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는 통신부(61), 개시부(62), 액티베이션부(63), 및 통보부(64)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부(61)는 인터넷(20)을 통하여, 실제 IoT 디바이스(10)나 가상 IoT 디바이스(50), 유저 기기(40)와의 통신을 행한다.
개시부(62)는 유저 기기(4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리포지터리 기능부(32)가 보유하고 있는 실제 IoT 디바이스(10)의 디바이스 정보를, 유저 기기(40)에 개시한다. 디바이스 정보의 개시는, 통신부(61)를 통하여 행하여진다.
액티베이션부(63)는 유저 기기(4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인터넷(20) 상의 소정의 컴퓨터에 있어서, 가상 IoT 디바이스(50)를 액티베이트한다. 가상 IoT 디바이스(50)의 액티베이트는, 통신부(61)를 통하여 행하여진다.
통보부(64)는 예를 들어, 액티베이션부(63)에 의해 액티베이트된 가상 IoT 디바이스(50)의 위치 정보를, 실제 IoT 디바이스(10)와 유저 기기(40)에 통보한다. 위치 정보의 통보는 통신부(61)를 통하여 행하여진다.
(유저 기기의 구성)
도 5는, 유저 기기(40)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유저 기기(40)는 통신부(71), 제시부(72), 및 요구부(73)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부(71)는 인터넷(20)을 통하여, 서버(30)나 가상 IoT 디바이스(50)와의 통신을 행한다.
제시부(72)는 서버(30)에 의해 개시된 실제 IoT 디바이스(10)의 디바이스 정보를, 유저(40A)에게 제시한다. 제시부(72)는 예를 들어 모니터로서 구성됨으로써, 화면에의 표시에 의해 정보를 제시해도 되고, 스피커로서 구성됨으로써, 음성에 의해 정보를 제시해도 된다. 또한, 제시부(72)는 프린터로서 구성됨으로써, 종이 등의 인쇄 매체에의 인쇄에 의해 정보를 제시해도 된다.
요구부(73)는 각종 요구를 서버(30)나 가상 IoT 디바이스(50)에 요구한다. 예를 들어, 요구부(73)는 제시된 디바이스 정보 중에서, 유저(40A)에 의해 선택된 디바이스 정보에 대응하는 실제 IoT 디바이스(10)와, 가상 IoT 디바이스(50)의 링키지를 요구한다. 또한, 요구부(73)는 실제 IoT 디바이스(10)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를, 그 실제 IoT 디바이스(10)에 링키지된 가상 IoT 디바이스(50)에 요구한다.
(링키지의 흐름)
이어서, 도 6을 참조하여, 실제 IoT 디바이스(10)와 가상 IoT 디바이스(50)의 링키지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는, 유저 기기(40), 실제 IoT 디바이스(10), 가상 IoT 디바이스(50), 및 서버(30)의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와 리포지터리 기능부(32) 각각의 동작이 나타내져 있다.
실제 IoT 디바이스(10)가 설치되어, 인터넷(20)에 접속된 후, 먼저, 스텝 S11에 있어서, 실제 IoT 디바이스(10)는 소정의 URL로 지정되는 서버(30)에, 자체의 설치 장소, 능력, MAC 어드레스, 및 IP 어드레스를 통지한다. 실제 IoT 디바이스(10)의 능력은, 예를 들어, 수집 가능한 데이터의 종류(예를 들어, 온도, 습도, 풍력 등의 수치나, 소리나 영상 등의 콘텐츠) 등으로 표현된다.
스텝 S12에 있어서, 서버(30)의 리포지터리 기능부(32)는 실제 IoT 디바이스(10)로부터 통지된 설치 장소나 능력 등의 정보를, 디바이스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에 의해, 실제 IoT 디바이스(10)의 설치 장소와 능력이, 서버(30)에 의해 등록되어, 일원 관리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등록 기능을 갖지 않는 실제 IoT 디바이스일지라도, 그 설치자가, 인터넷(20)을 통하여 서버(30)에 액세스함으로써, 실제 IoT 디바이스의 설치 장소와 능력을 등록할 수 있다.
그런데, 실제 IoT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수집하고자 하는 IoT 서비스 사업자는 복수 존재하는데, 그 데이터의 지역이나 종류에 따라, 어디에 가상 IoT 디바이스를 생성할지는 다르다.
그래서, 스텝 S13에 있어서, 유저 기기(40)의 요구부(73)는 어떤 지역과 종류의 데이터를 수집하고자 하는 IoT 서비스 사업자인 유저(40A)의 조작에 따라, 가상 IoT 디바이스를 생성하기 위한 설치 장소와 능력을,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에 요구한다.
스텝 S14에 있어서,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의 개시부(62)는 유저 기기(4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설치 장소와 능력을 리포지터리 기능부(32)에 요구한다.
스텝 S15에 있어서, 리포지터리 기능부(32)는 개시부(62)로부터의 요구에 대하여 응답한다. 구체적으로는, 리포지터리 기능부(32)는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에 대한 응답으로서, 요구된 설치 장소와 능력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독하여,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에 공급한다.
스텝 S16에 있어서,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의 개시부(62)는 유저 기기(40)로부터의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서, 유저 기기(40)에, 리포지터리 기능부(32)로부터의 디바이스 정보(설치 장소나 능력)를 개시한다. 그리고, 유저 기기(40)의 제시부(72)는 개시부(62)에 의해 개시된 디바이스 정보를 유저(40A)에게 제시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시부(72)는 유저(40A)가 데이터의 수집을 원하는 실제 IoT 디바이스의 복수의 선택지를 제시한다.
도 7은, 실제 IoT 디바이스의 능력의 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의 예에서는, ID가 각각 1, 2, 3인 3개의 실제 IoT 디바이스가 선택지로서 도시되어 있고, 실제 IoT 디바이스 각각의 능력으로서, 리포트 빈도, 분해능, 비용이 제시되어 있다.
리포트 빈도는, 그 실제 IoT 디바이스가 취득한 데이터를, 링키지된 가상 IoT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빈도를 나타낸다. 도 7의 예에서는, ID가 1인 실제 IoT 디바이스(이하, 실제 IoT 디바이스 (1) 등이라고 한다)의 리포트 빈도는 1시간마다, 실제 IoT 디바이스 (2)의 리포트 빈도는 2시간마다, 실제 IoT 디바이스 (3)의 리포트 빈도는 24시간마다로 된다.
분해능은, 그 실제 IoT 디바이스가 취득하는 데이터의 분해능을 나타낸다. 도 7의 예에서는, 취득되는 데이터는 온도로 되어, 실제 IoT 디바이스 (1)의 분해능은 0.1도, 실제 IoT 디바이스 (2)의 분해능은 1도, 실제 IoT 디바이스 (3)의 분해능은 1도로 된다.
비용은, 그 실제 IoT 디바이스가 취득한 데이터를, 링키지된 가상 IoT 디바이스에 1회 송신하는 데 걸리는 금액을 나타낸다. 도 7의 예에서는, 실제 IoT 디바이스 (1)의 비용은 0.01엔, 실제 IoT 디바이스 (2)의 비용은 0.02엔, 실제 IoT 디바이스 (3)의 비용은 0.03엔으로 된다.
유저(40A)는 유저 기기(40)에 의해 제시된 실제 IoT 디바이스의 선택지(디바이스 정보) 중에서 원하는 실제 IoT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런데, 도 6의 설명으로 되돌아가서, 스텝 S17에 있어서, 유저 기기(40)는 유저(40A)에 의해 선택된 실제 IoT 디바이스(10)와 가상 IoT 디바이스(50)의 링키지를,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에 요구한다.
스텝 S18에 있어서,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의 액티베이션부(63)는 유저 기기(4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가상 IoT 디바이스(50)를 액티베이트한다. 구체적으로는, 액티베이션부(63)는 인터넷(20) 상에 가상 머신을 액티베이트하기 위한 커맨드를 송신한다. 가상 머신은, 인터넷(20) 상에서 실제 IoT 디바이스(10)에 가까운 위치에 액티베이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스텝 S19에 있어서, 가상 IoT 디바이스(50)가 액티베이트된다. 그 결과, 유저(40A)에 의해 선택된 실제 IoT 디바이스(10)와 가상 IoT 디바이스(50)가 링키지된다.
그 후, 스텝 S20에 있어서,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의 통보부(64)는, 실제 IoT 디바이스(10)에, 링키지된 가상 IoT 디바이스(50)의 위치 정보(통신의 수신처)로서, 그 가상 IoT 디바이스(50)의 URL을 통보한다.
마찬가지로, 스텝 S21에 있어서,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의 통보부(64)는, 유저 기기(40)에도, 링키지된 가상 IoT 디바이스(50)의 URL을 통보한다.
실제 IoT 디바이스(10)에 있어서는, 수집한 데이터의 송신처로서, 가상 IoT 디바이스(50)의 URL이 보존된다. 즉, 스텝 S22에 있어서, 실제 IoT 디바이스(10)는 정기적으로(상술한 리포트 빈도로), 수집한 데이터를 가상 IoT 디바이스(50)로 송신한다.
유저 기기(40)에 있어서는, 실제 IoT 디바이스(10)에 있어서 수집된 데이터의 요구처로서, 가상 IoT 디바이스(50)의 URL이 보존된다. 즉, 스텝 S23에 있어서, 유저 기기(40)의 요구부(73)는 실제 IoT 디바이스(10)에 있어서 수집된 데이터를, 가상 IoT 디바이스(50)에 요구한다. 스텝 S24에 있어서, 가상 IoT 디바이스(50)는 요구된 데이터를 유저 기기(40)로 송신한다.
또한, 실제 IoT 디바이스(10)와 유저 기기(40)에, 가상 IoT 디바이스(50)의 URL 대신에, 가상 IoT 디바이스(50)의 MAC 어드레스나 IP 어드레스가 통지되게 해도 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하면, 유저(40A)는 원하는 지역과 종류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실제 IoT 디바이스(10)에 대응하는 가상 IoT 디바이스(50)를 인터넷(20)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저(40A)는 원하는 데이터를 용이하게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2-2. N:1의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실제 IoT 디바이스(10)에 대하여 1:1로 가상 IoT 디바이스(50)를 링키지한 경우, 가상 IoT 디바이스(50)의 관리가 번잡해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실제 IoT 디바이스(10)에 대하여 하나의 가상 IoT 디바이스(50)를 링키지함으로써, 가상 IoT 디바이스(50)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8의 예에서는, N개의 실제 IoT 디바이스(10-1, 10-2, …, 10-N)와, 인터넷(20) 상의 하나의 가상 IoT 디바이스(50-1)가 N:1로 링키지되어 있다.
도 8의 구성에서는, 도 6의 스텝 S16에 있어서,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의 개시부(62)가 유저 기기(40)에,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디바이스 정보를 개시한다. 유저 기기(40)의 제시부(72)는 개시부(62)에 의해 개시된 디바이스 정보를 유저(40A)에게 제시한다.
도 9의 디바이스 정보는, 총 수, 실제 IoT 디바이스 (1)의 디바이스 정보, 실제 IoT 디바이스 (2)의 디바이스 정보, …, 실제 IoT 디바이스 (M)의 디바이스 정보로 구성된다.
총 수는, 유저 기기(40)로부터의 요구에 해당하는 지역(설치 장소)이나 종류(능력)의 실제 IoT 디바이스의 총 수를 나타낸다.
각각의 실제 IoT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에는, 그 실제 IoT 디바이스의 설치 장소나 능력 등이 포함된다. 또한, 디바이스 정보에는, 그 실제 IoT 디바이스의 설치자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유저(40A)는 유저 기기(40)에 의해 제시된 실제 IoT 디바이스의 선택지(디바이스 정보) 중에서 복수의 실제 IoT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도 8의 구성에서는, 도 6의 스텝 S17에 있어서, 유저 기기(40)가 유저(40A)에 의해 선택된 N개의 실제 IoT 디바이스(10)와, 하나의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를,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에 요구한다.
도 10은, 유저 기기(40)로부터의 요구로서,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로 송신되는, 선택된 실제 IoT 디바이스의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의 정보는, 선택된 실제 IoT 디바이스의 총 수와, 선택된 실제 IoT 디바이스 각각의 ID로 구성된다.
도 10의 예에서는, 선택된 실제 IoT 디바이스의 총 수가 N이고, 값 1, 2, …, N이, 선택된 실제 IoT 디바이스 (1)의 ID, 실제 IoT 디바이스 (2)의 ID, …, 실제 IoT 디바이스 (N)의 ID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실제 IoT 디바이스 (1), 실제 IoT 디바이스 (2), …, 실제 IoT 디바이스 (N)과, 하나의 가상 IoT 디바이스(50)의 링키지가,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에 요구된다.
그 후, 하나의 가상 IoT 디바이스(50)가 액티베이트됨으로써, N개의 실제 IoT 디바이스(10)와 하나의 가상 IoT 디바이스(50)가 링키지되어, N개의 실제 IoT 디바이스(10) 각각에, 링키지된 가상 IoT 디바이스(50)의 위치 정보가 통지된다.
이 경우, 가상 IoT 디바이스(50)는 N개의 실제 IoT 디바이스(10) 각각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송신원의 IP 어드레스나 MAC 어드레스로 구별함으로써, 실제 IoT 디바이스(10)마다 보존할 수 있다. 이때, 가상 IoT 디바이스(50)는 실제 IoT 디바이스(10)마다, 마지막으로 데이터가 갱신된 시각 정보를 보유하도록 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유저(40A)는 하나의 가상 IoT 디바이스(50)에 액세스함으로써, 복수의 실제 IoT 디바이스(10)의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특히, 가상 IoT 디바이스(50)를 네트워크 에지에 배치하도록 한 경우에는, 중앙에 배치된 서버에 집약된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경우와 달리, 실제 IoT 디바이스(10)의 데이터에 직접 액세스하고 있듯이, 적은 지연으로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2-3. 링키지의 요구에 사용되는 GUI)
상술한 예에서는, 실제 IoT 디바이스(10)와 가상 IoT 디바이스(50)의 링키지를 요구할 때, 유저(40A)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이나 JSON(JavaScript(등록 상표) Object Notation) 등의 데이터 형식으로, 링키지의 요구를 기술할 필요가 있다.
도 11은, JSON에 의한 링키지의 요구의 기술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예에서는, 실제 IoT 디바이스 (1), 실제 IoT 디바이스 (2)와, 가상 IoT 디바이스 (1)의 링키지의 요구가 기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있어서는, 실제 IoT 디바이스 (1), 실제 IoT 디바이스 (2) 각각의 정보로서, 실제 IoT 디바이스의 ID, 설치 장소, 능력을 나타내는 구분, MAC 어드레스, IP 어드레스, 및 URL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데이터 형식의 파일을, 유저(40A)가 직접 편집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그래서, 실제 IoT 디바이스(10)와 가상 IoT 디바이스(50)의 링키지의 요구를,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사용하여 행하여지도록 한다.
도 12는, 링키지의 요구에 사용되는 GUI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의 GUI는, 유저 기기(40)의 제시부(72)로서 구성되는 모니터에 표시된다.
도 12에 도시되는 화면의 좌측에는, 지도(110)가 표시되어 있다.
지도(110) 상의, 실제 IoT 디바이스(10)의 설치 장소에 대응한 위치에는, 원형의 아이콘(111, 112)이 표시되어 있다. 아이콘(111, 112)은, 각각 대응하는 실제 IoT 디바이스(10)의 능력마다 다른 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12의 예에서는, 아이콘(111)은 능력 1을 갖는 실제 IoT 디바이스(10)를 나타내고 있고, 아이콘(112)은 능력 2를 갖는 실제 IoT 디바이스(10)를 나타내고 있다.
지도(110) 상에 있어서의 아이콘(111, 112)은, 서버(30)(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로부터의, 실제 IoT 디바이스(10) 각각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한 위치 및 색으로 표시된다.
도 12에 도시되는 모니터의 우측에는, 직사각형의 아이콘(120-1, 120-2, …, 120-M)이 표시되어 있다. 아이콘(120-1, 120-2, …, 120-M)은, 각각 M개의 가상 IoT 디바이스 (1), (2), …, (M)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의 화면에 대한 유저(40A)에 의한 조작, 구체적으로는, 아이콘(111)의 아이콘(120-1)에의 드래그 앤 드롭에 따라, 아이콘(111)에 대응하는 실제 IoT 디바이스(10)와, 가상 IoT 디바이스 (1)의 링키지가 요구된다. 이때, 도 12에 도시되는 아이콘(111)과 아이콘(120-1) 사이에는, 각각을 연결하는 소정의 선(130a)이 표시된다. 도 12의 예에서는, 선(130a)은 파선으로 나타내어지고 있다.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에 의한 링키지가 성립한 경우, 선(130a)은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른 선(130b)으로 변하여 표시된다. 도 13의 예에서는, 선(130b)은 실선으로 나타내어지고 있다.
도 12 및 도 13의 예에서는, 링키지가 성립한 경우에, 아이콘(111)과 아이콘(120-1)을 연결하는 선의 선종(線種)이 바뀌는 것으로 했지만, 예를 들어 선의 색이 적색으로부터 청색으로 변하는 등, 선의 색이 바뀌도록 해도 되고, 선의 굵기가 바뀌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GUI에 의하면, 유저(40A)는 실제 IoT 디바이스의 설치 장소와 능력(데이터의 종류)을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유저(40A)는 JSON과 같은 데이터 형식의 파일을 기술하지 않고, 드래그 앤 드롭과 같은 간단한 조작에 의해, 실제 IoT 디바이스(10)와 가상 IoT 디바이스(50)의 링키지의 요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유저(40A)는 링키지의 요구를 나타내는 선의 변화에 따라, 링키지가 성립했는지의 여부도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아이콘(111)이나 아이콘(112)은 지도(110) 상의 위치에 대응하는 설치 장소에 설치되어, 그 색에 대응하는 능력을 갖는 하나의 실제 IoT 디바이스(10)에 한하지 않고, 근방에 설치되는 복수의 실제 IoT 디바이스(10)를 나타내게 해도 된다.
(2-4. 1:N의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
복수의 유저가 하나의 실제 IoT 디바이스(10)를 공용할 것을 요구하는 경우가 생각된다. 실제 IoT 디바이스(10)가 설치되는 장소는 한정되어 있는 점에서, 실제 IoT 디바이스(10)의 공용의 장점은 크다. 또한, 실제 IoT 디바이스(10)의 공용은, 실제 IoT 디바이스(10)의 설치 비용의 저감, 나아가서는, 유저의 이용 비용의 저감으로도 이어진다.
그래서,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실제 IoT 디바이스(10)에 대하여 복수의 가상 IoT 디바이스(50)를 링키지함으로써, 복수의 유저(40A)가 하나의 실제 IoT 디바이스(10)를 공용할 수 있다.
도 14의 예에서는, 하나의 실제 IoT 디바이스(10-1)와, 인터넷(20) 상의 N개의 가상 IoT 디바이스(50-1, 50-2, …, 50-N)가 1:N으로 링키지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도 14의 예에서는, N대의 유저 기기(40)에 의해, N개의 가상 IoT 디바이스(50)가 액티베이트되어 있다. N개의 가상 IoT 디바이스(50-1, 50-2, …, 50-N)는, 인터넷(20) 상에서 다른 위치에 배치된다.
(링키지의 흐름)
도 15는, 다른 가상 IoT 디바이스(50')와 이미 링키지되어 있는 실제 IoT 디바이스(10)와, 가상 IoT 디바이스(50)의 링키지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에 있어서의 스텝 S111 내지 S119, S121 내지 S125의 각 처리는, 도 6에 있어서의 스텝 S11 내지 S24의 각 처리와 기본적으로는 마찬가지로 하여 행하여진다.
단, 도 14의 구성에서는, 도 15의 스텝 S116에 있어서,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의 개시부(62)가 유저 기기(40)에,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디바이스 정보를 개시한다. 유저 기기(40)의 제시부(72)는 개시부(62)에 의해 개시된 디바이스 정보를 유저(40A)에게 제시한다.
도 16의 디바이스 정보는, 상술한 도 9의 디바이스 정보와 마찬가지로, 총 수, 실제 IoT 디바이스 (1)의 디바이스 정보, 실제 IoT 디바이스 (2)의 디바이스 정보, …, 실제 IoT 디바이스 (M)의 디바이스 정보로 구성된다.
단, 각각의 실제 IoT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에는, 그 실제 IoT 디바이스의 설치 장소나 능력에 추가로, 그 실제 IoT 디바이스에 이미 링키지되어 있는 가상 IoT 디바이스의 수와, 그 실제 IoT 디바이스에 링키지 가능한 가상 IoT 디바이스의 총 수가 포함된다.
통상적으로, 각 유저 기기(40)가 실제 IoT 디바이스와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를 요구하는 타이밍은 다르다. 이때,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디바이스 정보가 제시됨으로써, 유저(40A)는 그때의 실제 IoT 디바이스의 부하를 파악할 수 있다.
즉, 도 14의 구성에서는, 도 15의 스텝 S117에 있어서, 유저 기기(40)가 유저(40A)에 의해 선택된, 다른 가상 IoT 디바이스(50')와 이미 링키지되어 있는 실제 IoT 디바이스(10)와, 하나의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를,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에 요구한다.
이러한 실제 IoT 디바이스의 부하는, 그래피컬하게 제시되어도 된다.
도 17은, 실제 IoT 디바이스의 부하의 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실제 IoT 디바이스의 부하, 즉, 그 실제 IoT 디바이스에 이미 링키지되어 있는 가상 IoT 디바이스의 수가, 원형의 아이콘의 색의 농담으로 표현되게 해도 된다.
이 아이콘은, 하나의 실제 IoT 디바이스(10)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예를 들어,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아이콘(111, 112)과 같이, 지도(110) 상의, 설치 장소에 대응한 위치에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도 17의 예에서는, 아이콘의 색이 진할수록, 그 실제 IoT 디바이스(10)에 이미 링키지되어 있는 가상 IoT 디바이스의 수가 많아, 부하가 큰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8은, 실제 IoT 디바이스의 부하의 다른 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실제 IoT 디바이스의 부하, 즉, 그 실제 IoT 디바이스에 이미 링키지되어 있는 가상 IoT 디바이스의 수가, 원형의 아이콘 크기로 표현되게 해도 된다.
도 18의 예에서는, 아이콘의 크기가 클수록, 그 실제 IoT 디바이스(10)에 이미 링키지되어 있는 가상 IoT 디바이스의 수가 많아, 부하가 큰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7 및 도 18의 예에서는, 아이콘의 형상은 원형인 것으로 했지만, 직사각형이나 별형 등,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부하의 크기는, 아이콘의 색의 농담이나 크기에 한하지 않고, 색의 차이나 형상의 차이로 표현되어도 되고, 아이콘 상에 그 실제 IoT 디바이스에 이미 링키지되어 있는 가상 IoT 디바이스의 수가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그런데, 도 15의 설명으로 되돌아가서, 스텝 S118, S119에 있어서, 가상 IoT 디바이스(50)가 액티베이트된 후, 스텝 S120에 있어서,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의 통보부(64)가, 다른 가상 IoT 디바이스(50')에, 실제 IoT 디바이스(10)와 가상 IoT 디바이스(50) 사이의 링키지가 증가한 취지를 통보해도 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하면, 유저(40A)는 실제 IoT 디바이스(10)의 부하 상태를 고려하여, 그 실제 IoT 디바이스(10)에 링키지시키는 가상 IoT 디바이스(50)를 배치할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2-5. L2 접속에 의한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
하나의 실제 IoT 디바이스(10)와 N개의 가상 IoT 디바이스(50)가 링키지되어 있는 경우, 실제 IoT 디바이스(10)는 수집한 데이터를, N개의 가상 IoT 디바이스(50)에 대하여 개별로 통지하게 된다. 이 경우, 실제 IoT 디바이스(10)는 N회의 패킷 송신을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링키지되어 있는 가상 IoT 디바이스(50)가 많을수록, 소비 전력이 증대해버린다.
이하에 있어서는, 하나의 실제 IoT 디바이스(10)가 N개의 가상 IoT 디바이스(50)와 링키지되어 있는 경우에도, 소비 전력의 증대를 억제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1:N으로 실제 IoT 디바이스(10)와 가상 IoT 디바이스(50)가 링키지되어 있는 IoT 시스템에 있어서, N개의 가상 IoT 디바이스(50)로 송신되는 데이터가 동일한 경우에는, 브로드캐스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를 위해서는, 하나의 실제 IoT 디바이스(10)와 N개의 가상 IoT 디바이스(50)가 동일한 세그먼트에 접속되어,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송신되도록 한다.
세그먼트는, 디바이스끼리가 라우터를 통하지 않고 MAC 어드레스만으로 통신 가능한 범위이다. 디바이스끼리가 MAC 어드레스만에 의한 통신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IP 어드레스에 의해 라우터를 통하여 패킷을 라우팅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동일한 세그먼트에 접속되는 디바이스는, 레이어 2 접속(L2 접속)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VXLAN(Virtual eXtensible Local Area Network)이라고 불리는 기술이 있다. VXLAN은, 라우터를 통해 연결되는 다른 세그먼트에 속하는 디바이스끼리를, 가상적으로 L2 접속함으로써, 마치 동일한 세그먼트에 속하는 것처럼 취급할 수 있는 기술이다.
VXLAN에 있어서는, 도 1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송신측으로부터 원래의 레이어 2 프레임(이더넷(등록 상표) 프레임)(161)이, MAC 헤더(171), IP 헤더(172), UDP 헤더(173), 및 VXLAN 헤더(174)가 부가되어서 UDP/IP로 캡슐화된다. 이에 의해, 레이어 3 네트워크를 초월한 패킷 송신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VXLAN의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도 2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실제 IoT 디바이스(10)와 N개의 가상 IoT 디바이스(50)를 가상적으로 동일한 세그먼트에 접속하여,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도 20의 예에서는, 하나의 실제 IoT 디바이스(10-1)와, N개의 가상 IoT 디바이스(50-1, 50-2, …, 50-N)가, 레이어 3 네트워크(210) 상에 오버레이 된 가상 레이어 2 네트워크(220) 상에서, 1:N으로 링키지되어 있다.
가상 레이어 2 네트워크(220) 상의 실제 IoT 디바이스(10-1) 근방에는, 패킷에 VXLAN 헤더를 부가하여 캡슐화하는 헤더 부가부(230)가 배치된다. 또한, 가상 IoT 디바이스(50) 각각의 근방에는, 패킷으로부터 VXLAN 헤더를 제거하여 가상 IoT 디바이스(50)에 공급하는 헤더 제거부(240-1, 240-2, …, 240-N)가 배치된다.
가상 레이어 2 네트워크(220)에 존재하는 실제 IoT 디바이스(10)와 가상 IoT 디바이스(50)는 레이어 2의 MAC 어드레스를 바탕으로 패킷 송신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실제 IoT 디바이스(10)나 가상 IoT 디바이스(50)가 이동함으로써 IP 어드레스가 변경되더라도, 통신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링키지의 흐름)
도 21은, VXLAN의 기술을 사용한 실제 IoT 디바이스(10)와 가상 IoT 디바이스(50)의 링키지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에 있어서의 스텝 S211 내지 S219, S221, S223, S225, S226의 각 처리는, 도 15에 있어서의 스텝 S111 내지 S119, S121, S122, S124, S125의 각 처리와 기본적으로는 마찬가지로 하여 행하여진다.
즉, 가상 IoT 디바이스(50)는 스텝 S219에 있어서 액티베이트됨과 함께, 스텝 S220에 있어서, 레이어 3 네트워크(210) 상의 가상 IoT 디바이스(50)의 근방에, VXLAN 엔티티(구체적으로는, 헤더 제거부(240))를 액티베이트한다.
또한, 실제 IoT 디바이스(10)는 스텝 S221에 있어서, 가상 IoT 디바이스(50)의 URL이 통지되면, 스텝 S222에 있어서, 레이어 3 네트워크(210) 상의 실제 IoT 디바이스(10) 근방에, VXLAN 엔티티(구체적으로는, 헤더 부가부(230))를 액티베이트한다.
이와 같이 하여, 실제 IoT 디바이스(10)와 가상 IoT 디바이스(50)가 가상적으로 L2 접속된다. 이에 의해, 스텝 S224에 있어서, 실제 IoT 디바이스(10)는 가상 레이어 2 네트워크(220) 상에서, 정기적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가상 IoT 디바이스(50)에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이상의 처리에 의하면, N개의 가상 IoT 디바이스(50)와 링키지되어 있는 경우, 실제 IoT 디바이스(10)가 수집한 데이터를, N개의 가상 IoT 디바이스(50)에 대하여 개별로 통지하지 않고,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으므로, 소비 전력의 증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VXLAN의 기술을 사용한 실제 IoT 디바이스(10)와 가상 IoT 디바이스(50)의 L2 접속은, 1:1의 링키지나, N:1의 링키지에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2-6. 실제 IoT 디바이스의 신설에 대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실제 IoT 디바이스(10)와 가상 IoT 디바이스(50)가 링키지되어, 운용이 개시된 후에, 가상 IoT 디바이스(50)에 현재 링키지되어 있는 실제 IoT 디바이스(10)보다 적절한 실제 IoT 디바이스가 신설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의 개시부(62)는 도 2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실제 IoT 디바이스의 신설 정보를 유저 기기(40)에 개시한다. 그리고, 유저 기기(40)의 제시부(72)는 개시부(62)에 의해 개시된 실제 IoT 디바이스의 신설 정보를, 유저(40A)에게 제시한다.
도 22의 실제 IoT 디바이스의 신설 정보는, 가상 IoT 디바이스 ID와, 신설 실제 IoT 디바이스수로 구성된다.
가상 IoT 디바이스 ID는, 가상 IoT 디바이스(50)를 지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ID를 나타낸다.
신설 실제 IoT 디바이스수는, 가상 IoT 디바이스 ID로 지정되는 가상 IoT 디바이스(50)와 링키지되어 있는 실제 IoT 디바이스(10)와 마찬가지의 특성을 갖는, 새롭게 설치된 실제 IoT 디바이스의 수(증가수)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말하는 특성은, 가상 IoT 디바이스(50)와 링키지되어 있는 실제 IoT 디바이스(10)의 설치 장소 및 능력의 적어도 어느 것으로 된다.
이러한 실제 IoT 디바이스의 신설 정보가 유저(40A)에게 제시됨으로써, 유저(40A)는 보다 적절한 실제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를 구축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보다 원하는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3. 제2 실시 형태>
(3-1. 계층 구조에서의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제 IoT 디바이스와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를 구축하는 경우, 유저는, 모든 링키지에 대해서, 어떠한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어 번거롭다. 특히, 실제 IoT 디바이스의 수가 증가한 경우, 직접, 실제 IoT 디바이스와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를 관리하는 것은 번잡하다.
그래서, 도 2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상 IoT 디바이스끼리를 계층 구조로 링키지함으로써, 유저의 수고를 줄일 수 있다.
도 23의 예에서는, M개의 실제 IoT 디바이스(10-1, 10-2, …, 10-M)와, 인터넷(20) 상의 가상 IoT 레이어(301)에 속하는 가상 IoT 디바이스가 링키지되어 있다. 가상 IoT 레이어(301)에는, N개의 가상 IoT 디바이스(350-11, 350-12, …, 350-1N)가 설치되어 있고, 실제 IoT 디바이스(10-1, 10-2, …, 10-M)와 각각 링키지되어 있다.
또한, 도 23의 예에서는, 가상 IoT 레이어(301)에 속하는 가상 IoT 디바이스와, 그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레이어(302)에 속하는 가상 IoT 디바이스(상위 계층 디바이스)가 링키지되어 있다. 가상 IoT 레이어(302)에는, N개의 가상 IoT 디바이스(350-21, 350-22, …, 350-2N)가 설치되어 있고, 하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350-11, 350-12, …, 350-1N)와 링키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가상 IoT 디바이스가 계층 구조로 링키지된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는, 실제 IoT 디바이스(10-1, 10-2, …, 10-M)도, 이 계층 구조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즉, 최하위 계층(제0 계층)에, 실제 IoT 디바이스(10-1, 10-2, …, 10-M)가 설치되고, 그 상위 계층(제1 계층)의 가상 IoT 레이어(301)에, 가상 IoT 디바이스(350-11, 350-12, …, 350-1N)가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는, 가상 IoT 디바이스(350-1N)나 가상 IoT 디바이스(350-2N)를, 간단히 가상 IoT 디바이스(350)라고 한다. 또한, 하위 계층의 실제 IoT 디바이스(10) 또는 가상 IoT 디바이스(350)를 통합하여 IoT 디바이스(350L)라고 하고,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를 350H라고 하는 것으로 한다.
(링키지의 흐름)
도 24는, 도 23의 하위 계층의 IoT 디바이스(350L)와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를 350H의 링키지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4의 각 처리는, 도 6의 각 처리와 기본적으로는 마찬가지로 하여 행하여진다.
단, 도 23의 구성에서는, 도 24의 스텝 S316에 있어서,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의 개시부(62)가 유저 기기(40)에, 도 2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디바이스 정보를 개시한다. 유저 기기(40)의 제시부(72)는 개시부(62)에 의해 개시된 디바이스 정보를 유저(40A)에게 제시한다.
도 25의 디바이스 정보는, 총 수,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350H)와 링키지시키는 IoT 디바이스 (1)의 디바이스 정보, IoT 디바이스 (2)의 디바이스 정보, …, IoT 디바이스 (M)의 디바이스 정보로 구성된다.
각각의 IoT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에는, 그 IoT 디바이스의 설치 장소나 능력에 추가로, 그 IoT 디바이스가 실제 IoT 디바이스 및 가상 IoT 디바이스의 어느 것인지, 그 IoT 디바이스가 속하는 계층, 그 IoT 디바이스의 관리 하의 계층에 속하는 실제 IoT 디바이스수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가 실제 IoT 디바이스(10)일 경우, 그 IoT 디바이스가 속하는 계층은 0이 되고, 그 IoT 디바이스의 관리 하의 계층에 속하는 실제 IoT 디바이스수도 0이 된다.
또한, IoT 디바이스가, 2개의 실제 IoT 디바이스(10)와 직접 링키지되어 있는 가상 IoT 디바이스일 경우, 그 IoT 디바이스가 속하는 계층은 1이 되고, 그 IoT 디바이스의 관리 하의 계층에 속하는 실제 IoT 디바이스수는 2가 된다.
유저(40A)는 유저 기기(40)에 의해 제시된 IoT 디바이스의 선택지(디바이스 정보) 중에서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350H)에 링키지시키는 IoT 디바이스(350L)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도 23의 구성에서는, 도 24의 스텝 S317에 있어서, 유저 기기(40)가 유저(40A)에 의해 선택된 IoT 디바이스(350L)와, 가상 IoT 디바이스(350H)의 링키지를,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에 요구한다.
스텝 S318에 있어서,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의 액티베이션부(63)는 유저 기기(4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350H)를 액티베이트한다.
이에 의해, 스텝 S319에 있어서,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350H)가 액티베이트된다. 그 결과, 유저(40A)에 의해 선택된 IoT 디바이스(350L)와,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350H)가 링키지된다.
그 후, 스텝 S320에 있어서,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의 통보부(64)는 IoT 디바이스(350L)에, 링키지된 가상 IoT 디바이스(350H)의 위치 정보로서, 그 가상 IoT 디바이스(50)의 URL을 통보한다.
마찬가지로, 스텝 S321에 있어서,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의 통보부(64)는 유저 기기(40)에도, 링키지된 가상 IoT 디바이스(350H)의 URL을 통보한다.
IoT 디바이스(350L)에 있어서는, 자신이 수집했거나, 또는, 하위 계층의 실제 IoT 디바이스(10)가 수집한 데이터의 송신처로서, 가상 IoT 디바이스(350H)의 URL이 보존된다. 즉, 스텝 S322에 있어서, IoT 디바이스(350L)는 정기적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가상 IoT 디바이스(350H)로 송신한다.
유저 기기(40)에 있어서는, IoT 디바이스(350L)에 있어서 수집된 데이터의 요구처로서,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350H)의 URL이 보존된다. 즉, 스텝 S323에 있어서, 유저 기기(40)의 요구부(73)는 IoT 디바이스(350L)에 있어서 수집된 데이터를,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350H)에 요구한다. 스텝 S324에 있어서,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350H)는 요구된 데이터를 유저 기기(40)로 송신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하면, 유저(40A)는 현재 배치되어 있는 실제 IoT 디바이스(10)나 가상 IoT 디바이스(350)의 상위 계층에, 새롭게 가상 IoT 디바이스(350)를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나의 가상 IoT 디바이스(350)에의 액세스 횟수를 저감하면서, 가상 IoT 디바이스(350)가 속하는 계층이 상위일수록, 1회의 액세스로 많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가상 IoT 디바이스(350)가 속하는 계층이 하위일수록, RAW 데이터에 가까운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가상 IoT 디바이스(350)가 속하는 계층이 상위일수록, 가공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거나, 가상 IoT 디바이스(350)가 속하는 계층이 하위일수록, 갱신 빈도가 높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거나 한다.
이와 같이, 가상 IoT 디바이스(350)를 계층 구조로 링키지함으로써, 실제 IoT 디바이스(10)와 가상 IoT 디바이스(350)의 링키지에 대하여 개개의 조작을 행하지 않고, 실제 IoT 디바이스(10)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대규모의 수의 루트를 구축할 수 있고, 그 결과, 원하는 데이터를 용이하게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가상 IoT 디바이스(350)를 계층 구조로 링키지함으로써, 인터넷(20) 상의 안쪽에 배치된 서버가 링키지를 일원 관리하기보다, 가상 IoT 디바이스(350)를 필요한 장소의 적절한 서버에 배치할 수 있어, 네트워크 내의 트래픽을 경감할 수 있다.
가상 IoT 디바이스(350)의 계층 구조에 의해, IoT 서비스 사업자가, 각 지역의 데이터를 취득할 때에 시읍면 단위의 데이터를 수집 가능한 가상 IoT 디바이스(350)에 액세스할지, 도도부현 단위의 데이터를 수집 가능한 가상 IoT 디바이스(350)에 액세스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IoT 서비스 사업자가,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350)에 액세스함으로써, 1회의 액세스로 도도부현 단위의 온도를 모두 취득할 수 있다. 한편, 그 IoT 서비스 사업자는, 하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350)에 액세스함으로써, 특정 지역의 온도를, 높은 갱신 빈도로 취득할 수 있다.
(3-2. 링키지의 요구에 사용되는 GUI)
상술한 예에서는, 디바이스 정보로서, 가상 IoT 디바이스(350)의 설치 장소나 능력이 개시된다. 그 가상 IoT 디바이스(350)의 하위 계층에 복수의 IoT 디바이스(350L)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디바이스 정보로서, 하위 계층에 속하는 모든 IoT 디바이스(350L)의 디바이스 정보도 개시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하위 계층에 속하는 모든 IoT 디바이스(350L)의 디바이스 정보를 개시하는 것은 번잡하다.
그래서, 하위 계층의 IoT 디바이스(350L)와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350H)의 링키지의 요구를, GUI를 사용하여 행하여지도록 한다.
(GUI의 예 1)
도 26은, 링키지의 요구에 사용되는 GUI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의 GUI는, 유저 기기(40)의 제시부(72)로서 구성되는 모니터에 표시된다.
도 26에 도시되는 화면의 좌측에는, 지도(410)가 표시되어 있다.
지도(410) 상의, 가상 IoT 디바이스(350)의 설치 장소에 대응한 위치에는, 원형의 아이콘(411, 412)이 표시되어 있다. 아이콘(411, 412)은, 각각 대응하는 가상 IoT 디바이스(350)의 능력마다 다른 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26의 예에서는, 아이콘(411)은 능력 1을 갖는 가상 IoT 디바이스(350)를 나타내고 있고, 아이콘(412)은 능력 2를 갖는 가상 IoT 디바이스(350)를 나타내고 있다.
지도(410) 상에 있어서의 아이콘(411, 412)은, 서버(30)(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로부터의, 가상 IoT 디바이스(350) 각각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한 위치 및 색으로 표시된다.
또한, 아이콘(411, 412) 상에는, 대응하는 가상 IoT 디바이스(350)의 관리 하의 계층에 속하는 실제 IoT 디바이스(10)의 수가 표시되어 있다. 아이콘(411)이나 아이콘(412) 상에 표시되는 수는, 지도(410) 상의 위치에 대응하는 설치 장소에 설치되어, 그 색에 대응하는 능력의 복수의 실제 IoT 디바이스(10)의 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이 실제 IoT 디바이스(10)의 수도 또한, 서버(30)로부터의, 가상 IoT 디바이스(350) 각각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가상 IoT 디바이스(350H)의 관리 하의 계층에 속할 수 있는 IoT 디바이스(350L)는 각각 동일한 설치 장소에 설치되어, 동일한 능력의 실제 IoT 디바이스(10)와 가상 IoT 디바이스(350)로 된다.
또한, 아이콘(411)이나 아이콘(412) 상에 표시되는 수에, 대응하는 가상 IoT 디바이스(350H)의 관리 하의 계층에 속하는 가상 IoT 디바이스(350)의 수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서버(30)로부터의 디바이스 정보는, XML이나 JSON 등의 데이터 형식의 파일로 제공되어도 된다.
도 26에 도시되는 화면의 우측에는, 직사각형의 아이콘(420-1, 420-2, …, 420-M)이 표시되어 있다. 아이콘(420-1, 420-2, …, 420-M)은, 각각 M개의 상위 계층에 설치되는 가상 IoT 디바이스 (1), (2), …, (M)을 나타내고 있다.
도 26의 모니터에 대한 유저(40A)에 의한 조작, 구체적으로는, 아이콘(411)의 아이콘(420-1)에의 드래그 앤 드롭에 따라, 아이콘(411)에 대응하는 가상 IoT 디바이스(350)와,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 (1)의 링키지가 요구된다. 이때, 도 26에 도시되는 아이콘(411)과 아이콘(420-1) 사이에는, 각각을 연결하는 소정의 선(430a)이 표시된다. 도 26의 예에서는, 선(430a)은 파선으로 나타내어지고 있다.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에 의한 링키지가 성립한 경우, 선(430a)은 도시는 하지 않지만, 다른 선종의 선으로 변하여 표시된다.
도 26의 예에서는, 링키지가 성립한 경우에, 아이콘(411)과 아이콘(420-1)을 연결하는 선의 선종이 바뀌는 것으로 했지만, 예를 들어 선의 색이 적색으로부터 청색으로 변하는 등, 선의 색이 바뀌도록 해도 되고, 선의 굵기가 바뀌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26의 예에 있어서, 아이콘(411, 412)은, 각각 대응하는 가상 IoT 디바이스(350)가 갖는 능력마다 다른 색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했지만, 다른 크기나 다른 형상으로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GUI에 의하면, 유저(40A)는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350)에 링키지시키려고 하는 가상 IoT 디바이스(350)의 설치 장소와 능력, 또한 관리 하의 계층에 속하는 실제 IoT 디바이스(10)의 수를,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GUI의 예 2)
도 27은, 링키지의 요구에 사용되는 GUI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의 GUI도 또한, 유저 기기(40)의 제시부(72)로서 구성되는 모니터에 표시된다.
도 27에 도시되는 화면의 좌측에는, 지도(450)가 표시되어 있다.
지도(450) 상의, 가상 IoT 디바이스(350)의 설치 장소에 대응한 위치에는, 원형의 아이콘(451, 452)이 표시되어 있다. 아이콘(451, 452)은, 각각 대응하는 가상 IoT 디바이스(350)가 속하는 계층마다 다른 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27의 예에서는, 아이콘(451)은 제2 계층에 속하는 가상 IoT 디바이스(350)를 나타내고 있고, 아이콘(452)은 제3 계층에 속하는 가상 IoT 디바이스(350)를 나타내고 있다.
지도(450) 상에 있어서의 아이콘(451, 452)은, 서버(30)(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로부터의, 가상 IoT 디바이스(350) 각각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한 위치 및 색으로 표시된다.
또한, 아이콘(451, 452) 상에는, 대응하는 가상 IoT 디바이스(350)의 관리 하의 계층에 속하는 실제 IoT 디바이스(10)의 수가 표시되어 있다. 아이콘(451)이나 아이콘(452) 상에 표시되는 수는, 지도(450) 상의 위치에 대응하는 설치 장소에 설치되어, 각각 동일한 능력을 갖는 복수의 실제 IoT 디바이스(10)의 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이 실제 IoT 디바이스(10)의 수도 또한, 서버(30)로부터의, 가상 IoT 디바이스(350) 각각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된다.
도 27의 예에서는, 아이콘(451)에 대응하는 가상 IoT 디바이스(350)보다, 아이콘(452)에 대응하는 가상 IoT 디바이스(350)쪽이 상위 계층에 속한다는 점에서, 아이콘(451) 상에 표시되는 수보다, 아이콘(452) 상에 표시되는 수쪽이 크다.
또한, 아이콘(451)이나 아이콘(452) 상에 표시되는 수에, 대응하는 가상 IoT 디바이스(350)의 관리 하의 계층에 속하는 가상 IoT 디바이스(350)의 수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도 27에 도시되는 화면의 우측에는, 직사각형의 아이콘(460-1, 460-2, …, 460-M)이 표시되어 있다. 아이콘(460-1, 460-2, …, 460-M)은, 각각 M개의 상위 계층에 설치되는 가상 IoT 디바이스 (1), (2), …, (M)을 나타내고 있다.
도 27의 예에 있어서도, 도 26의 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아이콘(451)이나 아이콘(452)에 대응하는 가상 IoT 디바이스(350)와, 아이콘(460-1)에 대응하는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 (1)의 링키지가 요구된다.
또한, 도 27의 예에 있어서, 아이콘(451, 452)은, 각각 대응하는 가상 IoT 디바이스(350)가 속하는 계층마다 다른 색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했지만, 다른 크기나 다른 형상으로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GUI에 의하면, 유저(40A)는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350)에 링키지시키려고 하는 가상 IoT 디바이스(350)의 설치 장소와 속하는 계층, 또한 관리 하의 계층에 속하는 실제 IoT 디바이스(10)의 수를,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3-3. 복수 포트에서의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
이상에 있어서는, 하나의 가상 IoT 디바이스(350H)의 하위 계층에서 링키지되는 IoT 디바이스(350L)는 동일한 설치 장소에서 동일한 능력의 실제 IoT 디바이스(10)와 가상 IoT 디바이스(350)인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하나의 가상 IoT 디바이스(350H)로부터 여러가지 지역의 데이터나 여러 종류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위 계층에서, 다른 설치 장소나 다른 능력의 IoT 디바이스(350L)와의 링키지가 요구되는 것이 생각된다.
그래서, 도 2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상 IoT 디바이스에 복수의 출력 포트를 마련함으로써, 하위 계층에서, 다른 설치 장소나 다른 능력의 IoT 디바이스와 링키지시킬 수 있다.
도 28의 예에서는, 제1 계층에 속하는 가상 IoT 디바이스(550-1a), 제2 계층에 속하는 가상 IoT 디바이스(550-2b), 및 제3 계층에 속하는 가상 IoT 디바이스(550-3c)(이하, 간단히 가상 IoT 디바이스(550)라고도 함)가 계층 구조로 링키지되어 있다.
가상 IoT 디바이스(550)는 각각, N개의 출력 포트(OP-1, OP-2, …, OP-N)(이하, 간단히 출력 포트(OP)라고도 함)를 구비하고 있다. 출력 포트(OP)는, 취급하는 데이터의 특성마다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가상 IoT 디바이스(550)는 각각, N개의 입력 포트(IP-1, IP-2, …, IP-N)(이하, 간단히 입력 포트(IP)라고도 함)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 포트(IP)도 또한, 취급하는 데이터의 특성마다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특성은, 데이터를 취득한 실제 IoT 디바이스(10)의 설치 장소와 능력으로 한다.
도 29는, 가상 IoT 디바이스(550)가 구비하는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의 포트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의 포트 정보에 의하면, 입력 포트 (1)(입력 포트(IP-1))은 설치 장소 A에서 능력 1의 실제 IoT 디바이스(10)가 취득한 데이터를 입력하고, 입력 포트 (2)(입력 포트(IP-2))는 설치 장소 B에서 능력 2의 실제 IoT 디바이스(10)가 취득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또한, 출력 포트 (1)(출력 포트(OP-1))은 설치 장소 A에서 능력 1의 실제 IoT 디바이스(10)가 취득한 데이터를 출력하고, 출력 포트 (2)(출력 포트(OP-2))는 설치 장소 B에서 능력 2의 실제 IoT 디바이스(10)가 취득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가상 IoT 디바이스(550)는 취급하는 데이터의 특성 출력 포트(OP)마다, 입력 포트(IP)마다 링키지되게 된다.
이들 출력 포트(OP)나 입력 포트(IP)는, IP 어드레스와 함께, 애플리케이션을 특정하기 위한 포트로서 실현되어도 되고,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구별되는 포트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이하, 하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550)를 가상 IoT 디바이스(550L)라고 하고,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550)를 가상 IoT 디바이스(550H)라고 하는 것으로 한다.
(링키지의 흐름)
도 30은, 하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550L)와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550H)의 링키지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0의 각 처리는, 도 24의 각 처리와 기본적으로는 마찬가지로 하여 행하여진다.
단, 도 28의 구성에서는, 도 30의 스텝 S516에 있어서,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의 개시부(62)가 유저 기기(40)에,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 포트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정보를 개시한다. 유저 기기(40)의 제시부(72)는 개시부(62)에 의해 개시된 디바이스 정보를 유저(40A)에게 제시한다.
유저(40A)에게 제시되는 가상 IoT 디바이스(550L)의 디바이스 정보에는,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550H)와 링키지시키는 가상 IoT 디바이스(550L)의 출력 포트(OP)의 포트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된다.
스텝 S517에 있어서는, 유저 기기(40)가 유저(40A)에 의해 선택된 가상 IoT 디바이스(550L)의 출력 포트(OP)와, 대응하는 가상 IoT 디바이스(550H)의 입력 포트(IP)의 링키지를,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에 요구한다.
또한, 스텝 S520에 있어서는,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31)의 통보부(64)는 가상 IoT 디바이스(550L)에, 링키지된 가상 IoT 디바이스(550H)의 위치 정보로서, 그 가상 IoT 디바이스(550H)의 입력 포트(IP)의 정보를 포함하는 URL을 통보한다.
또한, 스텝 S522에 있어서, 가상 IoT 디바이스(550L)는 정기적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가상 IoT 디바이스(550H)로 송신하는데, 이러한 데이터의 갱신은, 그 데이터의 특성에 대응한 출력 포트(OP)마다, 입력 포트(IP)마다 행해진다.
따라서, 하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550L)에 있어서 데이터가 갱신된 경우, 그 가상 IoT 디바이스(550L)는 링키지되어 있는 상위 계층의 모든 가상 IoT 디바이스(550H)에 데이터를 송신할 필요는 없다. 즉, 가상 IoT 디바이스(550L)는 갱신된 데이터의 특성에 대응한 출력 포트(OP)와 링키지되어 있는 가상 IoT 디바이스(550H)에만 데이터를 송신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하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550L)는 자신의 입력 포트(IP)에 갱신된 데이터가 입력되면, 그 데이터의 특성에 대응하는 자신의 출력 포트(OP)를 특정한다. 그리고, 가상 IoT 디바이스(550L)는 특정된 출력 포트(OP)와 링키지되어 있는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550H)로, 갱신된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가상 IoT 디바이스(550L)는 갱신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이외에도, 갱신된 데이터의 요구 의뢰를 통지해도 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하면, 하나의 가상 IoT 디바이스(550)가, 다른 특성의 데이터를 동시에 다룰 수 있으므로, 그 가상 IoT 디바이스(550)로부터 여러가지 지역의 데이터나 여러 종류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3-4. 하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의 부담에 대해서)
가상 IoT 디바이스의 계층 구조에 있어서는,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일수록, 많은 데이터를 집약하여 취득할 수 있다. 한편, 하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일수록, 네트워크 에지에 배치되기 때문에, 레이턴시가 적은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그러나, 하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에의 직접적인 액세스가 증가하면, 그 가상 IoT 디바이스의 부하가 높아질 우려가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부하는, 소비 전력 등의 관점에서의 부하를 말한다.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를 행할 때, 유저가, 어느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를 선택할지에 따라, 하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의 부하가 바뀐다.
유저는, 도 2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디바이스 정보에 의해, 그 가상 IoT 디바이스가 속하는 계층을 파악할 수는 있다. 그러나, 디바이스 정보로서, 그 가상 IoT 디바이스에 링키지되어 있는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의 수 등은 제시되지 않으므로, 유저는, 그 가상 IoT 디바이스의 부하가 어느 정도인지를 인식할 수는 없다.
그래서, 디바이스 정보로서, 가상 IoT 디바이스의 현재의 부담의 상황을 나타내는 부담 정보가 제시되도록 한다.
도 31은, 디바이스 정보로서 제시되는 가상 IoT 디바이스의 부담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상 IoT 디바이스의 부담 정보는, 출력 포트(OP)마다 제시되고, 이하의 정보가 포함된다.
(1) 링키지 가능한 가상 IoT 디바이스의 총 수와, 현재 링키지되어 있는 가상 IoT 디바이스의 수
(2) 스루풋
(3) 가상 L2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
(4) 대체 출력 포트 정보
(5) 프라이오리티 클래스
(1)은 그 출력 포트(OP)에 접속할 수 있는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의 최대 접속수와, 그 출력 포트(OP)에 현재 접속되어 있는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의 현재 접속수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최대 접속수가 10이고, 현재 접속수가 9일 경우, 그 출력 포트(OP)에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를 접속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현재 접속수가 10에 도달한 경우, 그 출력 포트(OP)에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를 접속할 수는 없게 된다.
(2)는 그 출력 포트(OP)로부터 단위 시간당 출력할 수 있는 데이터양을 나타내고 있다. 그 출력 포트(OP)의 접속수가 증가함으로써, 출력되는 데이터양이 이 스루풋에 도달한 경우, 그 출력 포트(OP)에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를 접속할 수는 없게 된다.
(3)은 그 출력 포트(OP)가, VXLAN에 의해,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와 L2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L2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에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으므로, (2)를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4)는 그 출력 포트(OP)의 대체가 되는 출력 포트(OP)를 갖는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URL이나 IP 어드레스 등)를 나타내고 있다. (1)이나 (2)에 의해, 그 출력 포트(OP)에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를 접속할 수 없는 경우, 유저는, 이 대체 출력 포트 정보에서 나타내어지는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5)는 그 출력 포트(OP)와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에 관한 우선도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제시되어 있는 프라이오리티 클래스의 상위 계층의 가상 IoT 디바이스만이 그 출력 포트(OP)에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부담 정보가 디바이스 정보로서 제시됨으로써, 유저는, 그 가상 IoT 디바이스의 부하가 어느 정도인지를 인식할 수 있어, 특정 가상 IoT 디바이스의 부하가 증대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4. 하드웨어 구성예>
이어서, 도 3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2는,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정보 처리 장치(9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901), ROM(Read Only Memory)(903), 및 RAM(Random Access Memory)(905)을 포함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900)는 호스트 버스(907), 브리지(909), 외부 버스(911), 인터페이스(913), 입력 장치(915), 출력 장치(917), 스토리지 장치(919), 드라이브(921), 접속 포트(923), 통신 장치(925)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900)는 필요에 따라, 촬상 장치(933), 및 센서(935)를 포함해도 된다. 정보 처리 장치(900)는 CPU(901)를 대신하여, 또는 이와 함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회로를 가져도 된다.
CPU(901)는, 연산 처리 장치 및 제어 장치로서 기능하고, ROM(903), RAM(905), 스토리지 장치(919), 또는 리무버블 기록 매체(927)에 기록된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900) 내의 동작 전반 또는 그 일부를 제어한다. ROM(903)은, CPU(901)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 파라미터 등을 기억한다. RAM(905)은, CPU(901)의 실행에 있어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그 실행에 있어서 적절히 변화하는 파라미터 등을 1차 기억한다. CPU(901), ROM(903), 및 RAM(905)은, CPU 버스 등의 내부 버스에 의해 구성되는 호스트 버스(907)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호스트 버스(907)는 브리지(909)를 통하여,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Interface) 버스 등의 외부 버스(911)에 접속되어 있다.
입력 장치(915)는 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터치 패널, 버튼, 스위치 및 레버 등,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장치이다. 입력 장치(915)는 예를 들어, 적외선이나 기타의 전파를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 장치여도 되고, 정보 처리 장치(900)의 조작에 대응한 휴대 전화 등의 외부 접속 기기(929)여도 된다. 입력 장치(915)는 유저가 입력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CPU(901)로 출력하는 입력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유저는, 이 입력 장치(915)를 조작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900)에 대하여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처리 동작을 지시하거나 한다.
출력 장치(917)는 취득한 정보를 유저에 대하여 시각이나 청각, 촉각 등의 감각을 사용하여 통지하는 것이 가능한 장치로 구성된다. 출력 장치(917)는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 스피커 또는 헤드폰 등의 음성 출력 장치, 혹은 바이브레이터 등일 수 있다. 출력 장치(917)는 정보 처리 장치(900)의 처리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텍스트 혹은 화상 등의 영상, 음성 혹은 음향 등의 음성, 또는 바이브레이션 등으로서 출력한다.
스토리지 장치(919)는 정보 처리 장치(900)의 기억부의 일례로서 구성된 데이터 저장용의 장치이다. 스토리지 장치(919)는 예를 들어, HDD(Hard Disk Drive) 등의 자기 기억부 디바이스, 반도체 기억 디바이스, 광 기억 디바이스, 또는 광자기 기억 디바이스 등에 의해 구성된다. 스토리지 장치(919)는 예를 들어 CPU(9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 및 외부로부터 취득한 각종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드라이브(921)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927)를 위한 리더라이터이며, 정보 처리 장치(900)에 내장, 혹은 외장된다. 드라이브(921)는 장착되어 있는 리무버블 기록 매체(927)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고, RAM(905)으로 출력한다. 또한, 드라이브(921)는 장착되어 있는 리무버블 기록 매체(927)에 기록을 기입한다.
접속 포트(923)는 기기를 정보 처리 장치(900)에 접속하기 위한 포트이다. 접속 포트(923)는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IEEE1394 포트,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포트 등일 수 있다. 또한, 접속 포트(923)는 RS-232C 포트, 광 오디오 단자, HDMI(등록 상표)(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포트 등이어도 된다. 접속 포트(923)에 외부 접속 기기(929)를 접속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900)와 외부 접속 기기(929) 간에 각종 데이터가 교환될 수 있다.
통신 장치(925)는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931)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 등으로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통신 장치(925)는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Bluetooth(등록 상표), Wi-Fi, 또는 WUSB(Wireless USB)용의 통신 카드 등일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925)는 광통신용의 라우터, ADSL(Asy㎜etric Digital Subscriber Line)용의 라우터, 또는, 각종 통신용의 모뎀 등이어도 된다. 통신 장치(925)는 예를 들어, 인터넷이나 다른 통신기기와의 사이에서, TCP/IP 등의 소정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신호 등을 송수신한다. 또한, 통신 장치(925)에 접속되는 통신 네트워크(931)는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접속된 네트워크이며, 예를 들어, 인터넷, 가정 내 LAN, 적외선 통신, 라디오파 통신 또는 위성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촬상 장치(933)는 예를 들어,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의 촬상 소자, 및 촬상 소자에의 피사체 상의 결상을 제어하기 위한 렌즈 등의 각종 부재를 사용하여 실공간을 촬상하고, 촬상 화상을 생성하는 장치이다. 촬상 장치(933)는 정지 화상을 촬상하는 것이어도 되고, 또한 동화상을 촬상하는 것이어도 된다.
센서(935)는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조도 센서, 온도 센서, 기압 센서, 또는 소리 센서(마이크로폰) 등의 각종 센서이다. 센서(935)는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900)의 하우징 자세 등, 정보 처리 장치(900) 자체의 상태에 관한 정보나, 정보 처리 장치(900)의 주변의 밝기나 소음 등, 정보 처리 장치(900)의 주변 환경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센서(935)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수신하여 장치의 위도, 경도 및 고도를 측정하는 GPS 수신기를 포함해도 된다.
이상, 정보 처리 장치(90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냈다. 상기 각 구성 요소는, 범용적인 부재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각 구성 요소의 기능에 특화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은, 실시하는 그때그때의 기술 레벨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본 개시에 관계되는 기술의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에 관계되는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효과가 있어도 된다.
또한, 본 개시에 관계되는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1)
복수의 실제 IoT 디바이스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를 유저에게 제시하는 제시부와,
상기 유저에 의해 선택된 상기 디바이스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와,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를 요구하는 요구부
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상기 제시부는, 상기 디바이스 정보로서,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의 설치 장소 및 능력의 적어도 어느 것을 제시하는
(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3)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의 상기 능력은,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가 취득한 데이터를 링키지된 상기 가상 IoT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빈도를 나타내는
(2)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4)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의 상기 능력은,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가 취득하는 데이터의 분해능을 나타내는
(2)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5)
상기 요구부는,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를,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와 링키지된 상기 가상 IoT 디바이스에 요구하는
(1) 내지 (4)의 어느 것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6)
상기 요구부는, 상기 유저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상기 디바이스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와, 하나의 상기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를 요구하는
(1) 내지 (5)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7)
상기 제시부는,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의 설치 장소에 대응한 위치에 제1 아이콘이 배치된 지도와, 상기 가상 IoT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제2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요구부는,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제1 아이콘을 상기 제2 아이콘과 대응짓는 조작에 따라,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와 상기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를 요구하는
(1) 내지 (6)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8)
상기 제시부는,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의 능력마다 다른 색의 상기 제1 아이콘을 표시하는
(7)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9)
상기 제시부는,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아이콘과 상기 제2 아이콘을 연결하는 소정의 선을 표시하는
(7)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0)
상기 제시부는,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와 상기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가 성립한 경우, 상기 선을 다른 색으로 바꾸어서 표시하는
(9)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1)
상기 조작은, 드래그 앤 드롭인
(7)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2)
상기 요구부는, 상기 유저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상기 디바이스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이며, 다른 가상 IoT 디바이스와 이미 링키지되어 있는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와, 하나의 상기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를 요구하는
(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3)
상기 제시부는, 상기 디바이스 정보로서,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에 이미 링키지되어 있는 상기 다른 가상 IoT 디바이스의 수를 제시하는
(12)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4)
상기 제시부는,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에 이미 링키지되어 있는 상기 다른 가상 IoT 디바이스의 수에 따른 색의 농담의 도형을 표시하는
(13)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5)
상기 제시부는,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에 이미 링키지되어 있는 상기 다른 가상 IoT 디바이스의 수에 따른 크기의 도형을 표시하는
(13)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6)
상기 제시부는, 상기 디바이스 정보로서,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에 링키지 가능한 상기 가상 IoT 디바이스의 총 수를 추가로 제시하는
(13)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7)
상기 제시부는, 상기 가상 IoT 디바이스와 링키지되어 있는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와 마찬가지의 특성을 갖는, 새롭게 설치된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의 수를 제시하는
(1) 내지 (16)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8)
상기 특성은,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의 설치 장소 및 능력의 적어도 어느 것인
(17)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9)
정보 처리 장치가,
복수의 실제 IoT 디바이스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를 제시하고,
유저에 의해 선택된 상기 디바이스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와,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를 요구하는
정보 처리 방법.
(20)
컴퓨터에,
복수의 실제 IoT 디바이스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를 제시하고,
유저에 의해 선택된 상기 디바이스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와,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를 요구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또한, 본 개시에 관계되는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1)
유저 기기에, 복수의 실제 IoT 디바이스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를 개시하는 개시부와,
상기 유저 기기에 있어서 선택된 상기 디바이스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와,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의 요구에 따라, 상기 가상 IoT 디바이스를 액티베이트하는 액티베이션부와,
상기 가상 IoT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와 상기 유저 기기에 통보하는 통보부
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상기 개시부는, 상기 디바이스 정보로서,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의 설치 장소 및 능력의 적어도 어느 것을, 상기 유저 기기에 개시하는
(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3)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의 상기 능력은,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가 취득한 데이터를 링키지된 상기 가상 IoT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빈도를 나타내는
(2)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4)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의 상기 능력은,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가 취득하는 데이터의 분해능을 나타내는
(2)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5)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는,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와 링키지된 상기 가상 IoT 디바이스를 통하여, 상기 유저 기기로 송신되는
(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6)
상기 액티베이션부는, 상기 유저 기기에 있어서 선택된 복수의 상기 디바이스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와, 하나의 상기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의 요구에 따라, 하나의 상기 가상 IoT 디바이스를 액티베이트하는
(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7)
상기 액티베이션부는, 상기 유저 기기에 있어서 선택된 하나의 상기 디바이스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이며, 다른 가상 IoT 디바이스와 이미 링키지되어 있는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와, 하나의 상기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의 요구에 따라, 하나의 상기 가상 IoT 디바이스를 액티베이트하는
(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8)
상기 개시부는, 상기 디바이스 정보로서,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에 이미 링키지되어 있는 상기 다른 가상 IoT 디바이스의 수를, 상기 유저 기기에 개시하는
(7)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9)
상기 개시부는, 상기 디바이스 정보로서,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에 링키지 가능한 상기 가상 IoT 디바이스의 총 수를 추가로, 상기 유저 기기에 개시하는
(8)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0)
상기 통보부는, 상기 가상 IoT 디바이스의 액티베이션에 따라,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에 링키지되어 있는 상기 가상 IoT 디바이스가 증가한 취지를, 상기 다른 가상 IoT 디바이스에 통보하는
(7)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1)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와,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에 링키지되어 있는 복수의 상기 가상 IoT 디바이스는, VXLAN(Virtual Extensible Local Area Network)에 의해 L2 접속되는
(7)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2)
상기 개시부는, 상기 가상 IoT 디바이스와 링키지되어 있는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와 마찬가지의 특성을 갖는, 새롭게 설치된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의 수를 상기 유저 기기에 개시하는
(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3)
상기 특성은,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의 설치 장소 및 능력의 적어도 어느 것인
(12)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4)
정보 처리 장치가,
유저 기기에, 복수의 실제 IoT 디바이스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를 개시하고,
상기 유저 기기에 있어서 선택된 상기 디바이스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와,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의 요구에 따라, 상기 가상 IoT 디바이스를 액티베이트하고,
상기 가상 IoT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와 상기 유저 기기에 통보하는
정보 처리 방법.
(15)
컴퓨터에,
유저 기기에, 복수의 실제 IoT 디바이스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를 개시하고,
상기 유저 기기에 있어서 선택된 상기 디바이스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와,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의 요구에 따라, 상기 가상 IoT 디바이스를 액티베이트하고,
상기 가상 IoT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와 상기 유저 기기에 통보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10: 실제 IoT 디바이스
20: 인터넷
30: 서버
31: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
32: 리포지터리 기능부
40: 유저 기기
50: 가상 IoT 디바이스
61: 통신부
62: 개시부
63: 액티베이션부
64: 통보부
71: 통신부
72: 제시부
73: 요구부
20: 인터넷
30: 서버
31: 가상 IoT 디바이스 관리부
32: 리포지터리 기능부
40: 유저 기기
50: 가상 IoT 디바이스
61: 통신부
62: 개시부
63: 액티베이션부
64: 통보부
71: 통신부
72: 제시부
73: 요구부
Claims (20)
- 복수의 실제 IoT 디바이스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를 유저에게 제시하는 제시부와,
상기 유저에 의해 선택된 상기 디바이스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와,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를 요구하는 요구부
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시부는, 상기 디바이스 정보로서,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의 설치 장소 및 능력의 적어도 어느 것을 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의 상기 능력은,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가 취득한 데이터를 링키지된 상기 가상 IoT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빈도를 나타내는
정보 처리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의 상기 능력은,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가 취득하는 데이터의 분해능을 나타내는
정보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부는,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를,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와 링키지된 상기 가상 IoT 디바이스에 요구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부는, 상기 유저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상기 디바이스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와, 하나의 상기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를 요구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시부는,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의 설치 장소에 대응한 위치에 제1 아이콘이 배치된 지도와, 상기 가상 IoT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제2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요구부는,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제1 아이콘을 상기 제2 아이콘과 대응짓는 조작에 따라,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와 상기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를 요구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시부는,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의 능력마다 다른 색의 상기 제1 아이콘을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시부는,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아이콘과 상기 제2 아이콘을 연결하는 소정의 선을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시부는,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와 상기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가 성립한 경우, 상기 선을 다른 색으로 바꾸어서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은, 드래그 앤 드롭인
정보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부는, 상기 유저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상기 디바이스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이며, 다른 가상 IoT 디바이스와 이미 링키지되어 있는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와, 하나의 상기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를 요구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시부는, 상기 디바이스 정보로서,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에 이미 링키지되어 있는 상기 다른 가상 IoT 디바이스의 수를 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시부는,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에 이미 링키지되어 있는 상기 다른 가상 IoT 디바이스의 수에 따른 색의 농담의 도형을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시부는,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에 이미 링키지되어 있는 상기 다른 가상 IoT 디바이스의 수에 따른 크기의 도형을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시부는, 상기 디바이스 정보로서,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에 링키지 가능한 상기 가상 IoT 디바이스의 총 수를 추가로 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시부는, 상기 가상 IoT 디바이스와 링키지되어 있는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와 마찬가지의 특성을 갖는, 새롭게 설치된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의 수를 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은,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의 설치 장소 및 능력의 적어도 어느 것인
정보 처리 장치. - 정보 처리 장치가,
복수의 실제 IoT 디바이스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를 제시하고,
유저에 의해 선택된 상기 디바이스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와,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를 요구하는
정보 처리 방법. - 컴퓨터에,
복수의 실제 IoT 디바이스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를 제시하고,
유저에 의해 선택된 상기 디바이스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실제 IoT 디바이스와, 가상 IoT 디바이스의 링키지를 요구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9037260A JP2022063883A (ja) | 2019-03-01 | 2019-03-01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JPJP-P-2019-037260 | 2019-03-01 | ||
PCT/JP2020/005727 WO2020179406A1 (ja) | 2019-03-01 | 2020-02-14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6000A true KR20210136000A (ko) | 2021-11-16 |
Family
ID=72338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26153A KR20210136000A (ko) | 2019-03-01 | 2020-02-14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066622A1 (ko) |
EP (1) | EP3934182A4 (ko) |
JP (1) | JP2022063883A (ko) |
KR (1) | KR20210136000A (ko) |
WO (1) | WO202017940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955542A1 (en) * | 2020-08-12 | 2022-02-16 | Nokia Technologies Oy | Enhancements for secure updating in communication network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137575A (ja) | 2017-02-21 | 2018-08-30 | ソニー株式会社 | 制御装置及び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379532B2 (en) * | 2008-10-06 | 2013-02-19 | Root Wireless, Inc. | Web server and method for hosting a web page for presenting location based user quality data rela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
JP2014045242A (ja) * | 2012-08-24 | 2014-03-13 | Oki Electric Ind Co Ltd | 仮想センサ生成装置、仮想センサ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KR101558236B1 (ko) * | 2012-10-16 | 2015-10-12 | 전자부품연구원 | IoT 브라우징 방법 및 장치 |
US9846577B1 (en) * | 2016-06-03 | 2017-12-19 | Afero, Inc. | Integrated development tool with preview functionality for an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 |
EP3355225B1 (en) * | 2017-01-31 | 2022-07-27 | Sony Group Corporatio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ethereum virtual device |
US20180316555A1 (en) * | 2017-04-29 | 2018-11-01 | Cisco Technology, Inc. | Cognitive profiling and sharing of sensor data across iot networks |
US10887189B2 (en) * | 2017-08-03 | 2021-01-05 | Dish Network L.L.C. | Systems and methods of mapping connected devices |
-
2019
- 2019-03-01 JP JP2019037260A patent/JP2022063883A/ja active Pending
-
2020
- 2020-02-14 EP EP20765697.6A patent/EP3934182A4/en not_active Withdrawn
- 2020-02-14 WO PCT/JP2020/005727 patent/WO2020179406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0-02-14 US US17/424,786 patent/US2022006662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20-02-14 KR KR1020217026153A patent/KR2021013600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137575A (ja) | 2017-02-21 | 2018-08-30 | ソニー株式会社 | 制御装置及び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20066622A1 (en) | 2022-03-03 |
JP2022063883A (ja) | 2022-04-25 |
EP3934182A4 (en) | 2022-05-04 |
EP3934182A1 (en) | 2022-01-05 |
WO2020179406A1 (ja) | 2020-09-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35220B2 (en) | Shared devices with private and public instances | |
US11825319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performance in distributed edge computing networks | |
EP3385852B1 (en) | Data flow control apparatus and data flow control method | |
CN113243004A (zh) | 使用数据中心网络结构作为代理的应用层服务流量通信 | |
EP2757738B1 (en) |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carrier means storing comunication control program | |
WO2017159005A1 (ja) | データフロー制御装置およびデータフロー制御方法 | |
EP3535990A1 (en) | Haptic augmented reality assisted self-service for wireless networks | |
US11089486B2 (en) | Service coverage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 |
WO2023000888A1 (zh) | 云应用的实现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 |
JP2016503256A (ja) | 移動端末を用いたビデオ監視システム | |
CN102316606A (zh) | 一种无线WiFi服务代理实现方法及其装置 | |
JP2018092565A (ja) | クラウド中継装置、クラウド接続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20210136000A (ko)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 |
WO2017159006A1 (ja) | データフロー制御装置およびデータフロー制御方法 | |
JP6385254B2 (ja) | 監視システム、監視サーバ及び監視システムの制御方法 | |
US8456671B2 (en) |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storage device, management device, and terminal device | |
CN101794543B (zh) | 一种自适应互动视讯终端 | |
JP7361685B2 (ja) | サービス機能の要件および選好に基づくサービス登録 | |
JP2019012463A (ja) | 可視化管理装置、データ管理装置、データ可視化システム、可視化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CN103337164A (zh) | 交互式交通监控系及交互方法 | |
JP6323446B2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 |
JP2020140601A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Amento et al. | Focusstack: Orchestrating edge clouds using focus of attention | |
KR20160076777A (ko) | 개방형 교통정보 플랫폼 및 그 서비스 방법 | |
KR20160046449A (ko) | 데이터 다운로드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B |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