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5720A - 황반변성의 완화, 억제,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반변성의 완화, 억제,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5720A
KR20210135720A KR1020200053706A KR20200053706A KR20210135720A KR 20210135720 A KR20210135720 A KR 20210135720A KR 1020200053706 A KR1020200053706 A KR 1020200053706A KR 20200053706 A KR20200053706 A KR 20200053706A KR 20210135720 A KR20210135720 A KR 20210135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ular degeneration
minocycline
neovascular
age
m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호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53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5720A/ko
Publication of KR20210135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7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5Tetracycl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반변성의 완화, 억제,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미세 아교 세포로부터 세포외기질 금속함유 단백분해효소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분비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한 바, 황반변성, 특히, 나이관련 황반변성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을 완화 또는 억제하는 치료제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황반변성의 완화, 억제,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alleviating, inhibiting, treating or preventing macular degeneration}
본 발명은 황반변성의 완화, 억제,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노사이클린 (Minocycline) 또는 이의 염 (salts)을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완화, 억제,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나이관련 황반변성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은 노인 실명의 주요 원인이다. 고령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나이관련 신생 혈관 황반변성의 영향으로 인해 2040년까지 약 2억 8,300만 명의 노인이 실명될 것으로 예상된다. 맥락막 신생혈관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CNV)를 특징으로 하는 나이관련 신생 혈관 황반변성은 황반변성의 말기에 발생하며, 더 진행될 경우 심각한 시력 손실을 유발할 수 있다.
나이관련 신생 혈관 황반변성 치료법에는 광역학요법과 혈관내피성장인자를 차단하기 위한 약물을 안구 안으로 주사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여러 대규모 다기관 임상연구들을 통해 광역학요법보다 유리체강내 혈관내피성장인자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주사술을 시행하는 것이 더 나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에 따라 나이관련 신생 혈관 황반변성의 치료로 다양한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약물들이 개발되었는데, 그 중 대표적인 약제가 라니비주맙 (Ranibizumab, Lucentis®)으로, 세포 밖의 혈관내피성장인자와 결합하여 활성을 억제시킨다. 라니비주맙은 다양한 임상연구를 통해 나이관련 신생 혈관 황반변성 환자에서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임이 보고되어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병변이 자주 재발함에 따라 주사횟수가 많아져 환자에게 상당한 부담을 준다. 일부환자에서 주사술에도 불구하고 병변이 호전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혈관내피성장인자는 강력한 혈관확장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심장의 관상동맥의 이완과 혈액 순환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나이관련 황반변성 환자들이 고령이고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높은 군들이므로, 혈관내피성장인자 주사술은 심각한 부작용의 위험성도 있다.
한편, 혈관 신생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세포외기질 금속함유 단백분해효소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에 의해 부분적으로 조절되는 내피 세포 (endothelial cell)의 이동 및 증식이 촉진되도록 내피 세포관을 둘러싸는 기저막 (basement membrane)이 분해되어야 한다. MMPs는 세포 외 기질 단백질을 절단하여 염증과 같은 병리적 상태에서 조직 재구성을 매개하는 세포 외 펩티드내부가수분해효소 (endopeptidase)를 의미한다. 많은 MMPs 중에서 MMP-2 및 MMP-9는 기질로 Bruch's 막의 구성 요소인 IV형 콜라겐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특히 관심의 대상이다.
MMPs를 분비할 수 있는 다양한 세포 유형 중에서 미세 아교 세포는 망막에 존재하는 면역 세포로서, 나이관련 망막 병리 및 염증 반응에 관여한다. 건강한 망막에서 휴지 미세 아교 세포 (resting microglia)는 분지된 형태 (ramified morphology)를 특징으로 하는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미세 아교 세포는 손상 또는 변성이 있으면, 활성화된 다음 아메바 모양 (amoeboid)을 한 채 병변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활성화된 미세 아교 세포가 미세 염증성 환경을 유도함으로써 병변 부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미세 아교 세포의 기능을 조절하는 것은 염증성 맥락막 질환에 대한 잠재적 치료법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미노사이클린 (Minocycline)을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완화, 억제,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미세 아교 세포로부터 세포외기질 금속함유 단백분해효소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맥락막 신생혈관을 치료 또는 완화하는 효과가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미노사이클린을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완화, 억제,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노사이클린을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완화, 억제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노사이클린을 포함하는 신생혈관성 안질환의 완화, 억제,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노사이클린을 포함하는 신생혈관성 안질환의 완화, 억제 또는 개선용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황반변성의 치료 또는 완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생혈관성 안질환의 치료 또는 완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노사이클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황반변성의 완화, 억제,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황반변성의 완화, 억제,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미노사이클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미세 아교 세포로부터 세포외기질 금속함유 단백분해효소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의 분비를 억제하는 효과가 월등히 우수하다.
본 발명자들은 이에 미노사이클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맥락막 신생혈관을 치료 또는 완화하는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미노사이클린 (Minocycline) 또는 이의 염 (salts)을 포함하는, 황반변성 (macular degeneration)의 완화, 억제,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 상의 용어 "미노사이클린"은 테트라사이클린 (tetracycline)의 반합성 유도체 (semisynthetic derivative)로서, 일반적으로 여드름, 황색 포도상 구균, 라임 병, 폐렴, 말초 피부염 및 임질 등에 사용되는 항생제로 알려진 화합물이다.
본 명세서 상의 용어 "황반변성"은 연령증가, 가족력, 인종, 흡연 등의 발병원인으로 황반부에 변성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주로 연령증가에 의해 발생한다. 황반변성은 발생 시, 망막 색소 상피와 맥락막 사이의 황반 (망막의 일부)에 드루젠 (drusen, 세포 외 단백질과 지질의 축적)이라는 황색 침전물이 점진적으로 축적되는 안구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망막 또는 맥락막의 미세 아교 세포의 기능을 조절하는 능력이 우수하여, 휴지 미세 아교 세포 (resting microglia)에서 염증성 환경을 조성하는 활성 미세 아교 세포 (activated microglia)로의 미세 아교 세포 활성화를 조절하여 황반변성을 치료, 완화 및 예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활성 미세 아교 세포로부터, Bruch's 막의 구성 요소인 IV형 콜라겐을 파괴하는 활성 MMP-2 및 활성 MMP-9의 분비를 억제시켜 신생혈관성 안질환을 치료, 완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참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황반 변성은 나이관련 황반변성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일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의 용어 "나이관련 황반변성"은 연령증가를 원인으로 발생하는 황반변성 질환으로, 드루젠의 정도 (크기 및 수)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초기 (early), 중기 (intermediate), 및 후기 (late)의 3 단계로 진행되며, 시력 상실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황반변성은 초기 나이관련 황반변성 (early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early AMD), 중기 나이관련 황반변성 (intermediate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Intermediate AMD) 또는 후기 나이관련 황반변성 (late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late AMD)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황반변성은 후기 나이관련 황반변성일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의 용어 "후기 나이관련 황반변성"은 황반 손상으로 인한 시력 손실을 특징으로 하는 황반변성 질환을 의미한다. 후기 나이관련 황반변성은 손상 유형에 따라 건식 AMD 와 습식 AMD 로 구분된다. 건식 AMD는 지도상 위축증 (Geographic atrophy)을 특징으로 하는 비-혈관신생성 나이관련 황반변성이며, 습식 나이관련 황반변성은 맥락막 신생혈관이 나타나는 혈관신생성 나이관련 황반변성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황반변성은 나이관련 신생 혈관 황반변성 (Neovascula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Neovascular AMD) 또는 나이관련 비-신생 혈관 황반변성 (Non-neovascula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Non-neovascular AMD)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황반변성은 나이관련 신생 혈관 황반변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미노사이클린을 유효량으로 0.0001 내지 10,000 mg/kg, 0.001 내지 1,000 mg/kg, 0.05 내지 500 mg/kg, 0.01 내지 300 mg/kg, 0.05 내지 200 mg/kg, 0.1 내지 100 mg/kg, 1 내지 100 mg/kg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1 내지 100 mg/kg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미노사이클린은 그 자체 또는 염의 형태, 예를 들어,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염은 유리산 (free acid)에 의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리산은 유기산 및/또는 무기산인 것일 수 있다.
유기산은 구연산, 초산, 젖산, 주석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트리플로오로아세트산, 벤조산, 글루콘산, 메타술폰산, 글리콜산, 숙신산, 4-톨루엔술폰산, 글루탄산 및 아스파르트산 등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기산은 염산, 브롬산, 황산 및 인산 등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연고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또는 경피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의 비경구 제형 등으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혼합 추출물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 등의 보조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sucrose) 또는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고,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구를 위한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연고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경피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좌제의 제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안구 투여 또는 안구 국소 투여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안구 국소 투여는 안구내, 안구주위, 안구뒤, 망막하 (subretinal), 망막중심 (central retinal), 중심와 (fovea) 외부, 결막하 (subconjunctival), 유리체내 (intravitreous), 전방내 (intracameral) 또는 맥락막위 (suprachoroidal)에 투여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사용 형태 및 목적, 환자 상태, 증상의 종류 및 경중 등에 의하여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유효성분 함량 기준으로 1 내지 1000 μg/ml일 수 있고, 예를 들면 0.001 내지 10000 mg/kg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미노사이클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완화, 억제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황반변성의 완화, 억제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상술한 본 발명의 황반변성 완화, 억제,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유효성분인 미노사이클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므로, 이 둘 사이에 공통된 내용은 반복 기재에 따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탄수화물로는 포도당 과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향미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의 천연 향미제 및 사카린, 아스파탐 등의 합성 향미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미노사이클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신생혈관성 안질환 (neovascular ocular disease)의 완화, 억제,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미노사이클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신생혈관성 안질환 완화, 억제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신생혈관성 안질환의 완화, 억제,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신생혈관성 안질환의 완화, 억제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상술한 본 발명의 황반변성 완화, 억제,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유효성분인 미노사이클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므로, 이 둘 사이에 공통된 내용은 반복 기재에 따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신생혈관성 안질환"은 안구에서 발생하는 병리학적 혈관신생관련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신생혈관성 안질환은 각막혈관신생 (corneal neovascularization), 망막 혈관신생 (retinal neovascularization), 맥락막 신생혈관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안구내 혈관신생 (intraocular neovascularization), 신생혈관성 녹내장 (neovascular glaucoma), 증식성 당뇨병성 망막증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신생혈관성 황반변성 (neovascular macular degeneration), 및 미숙아 망막병증 (retinopathy of prematurity)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미노사이클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대상 (subject)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황반변성 치료 또는 완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미노사이클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생혈관성 안질환 치료또는 완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일반적인 모든 경로를 통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표적 세포로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이용해 투여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대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인간, 원숭이, 소, 말, 양, 돼지, 닭, 칠면조, 메추라기, 고양이, 개, 마우스, 쥐, 토끼 또는 기니아 피그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인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투여방식과 표준 약제학적 관행 (standard phamaceutical practice)을 고려하여 선택된 약제학적 담체와 혼합되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 용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 시간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효성분 함량을 기준으로 1일 투여량이 1 내지 1000 μg/ml 일 수 있으나, 이는 평균적인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서 개인적인 차이에 따라 그 투여량이 높거나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미노사이클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황반변성의 완화, 억제,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용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미노사이클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신생혈관성 안질환의 완화, 억제,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용도이다.
본 발명은 황반변성의 완화, 억제,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미세 아교 세포로부터 세포외기질 금속함유 단백분해효소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분비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한 바, 황반변성, 특히, 나이관련 황반변성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을 완화 또는 치료하는 치료제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나이관련 황반변성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 및 맥락막 신생혈관 맥락막 신생혈관(choroidal neovascularization; CNV) 치료에 있어서, 미노사이클린 (Minocycline)의 약리기전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2은 젤라틴 자이모그래피 (gelatin zymography)를 통해 MMP의 활성을 검출한 사진이다. pro-MMP-9는 105 kDa, 활성 MMP-9는 95 kDa, pro-MMP-2는 62 kDa, 활성 MMP-2는 56 kDa이다. 레인 1, 3, 5, 7, 및 9는 대조군이며 레인 2, 4, 6, 8 및 10은 나이관련 신생 혈관 황반변성 환자군이고, 레인 11은 양성 대조군이다.
도 3a는 대조군과 나이관련 신생 혈관 황반변성 환자군에서 활성 MMP-9의 발현 수준을 밀도 측정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 P<0.001).
도 3b은 대조군과 나이관련 신생 혈관 황반변성 환자군에서 활성 MMP-2의 발현 수준을 밀도 측정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 P<0.001).
도 3c는 대조군과 나이관련 신생 혈관 황반변성 환자군에서 pro-MMP-9의 발현 수준을 밀도 측정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 P<0.001).
도 3d는 대조군과 나이관련 신생 혈관 황반변성 환자군에서 pro-MMP-2의 발현 수준을 밀도 측정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 P<0.001).
도 4a는 미세 아교 세포를 GFAP, DAPI 및 Iba-1로 염색한 면역조직화학염색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b는 LPS (lipopolysaccharide) 자극을 받지 않은 미세 아교 세포와 24시간 동안 LPS 자극을 받은 미세 아교 세포의 형태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5a는 미노사이클린이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과 미노사이클린이 처리된 실험군에서 IL-1β의 발현수준을 효소 결합 면역 침강 분석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을 통해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b는 미노사이클린이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과 미노사이클린이 처리된 실험군에서 IL-6의 발현수준을 효소 결합 면역 침강 분석을 통해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c는 미노사이클린이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과 미노사이클린이 처리된 실험군에서 TNF-α의 발현수준을 효소 결합 면역 침강 분석을 통해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a는 젤라틴 자이모그래피를 통해 LPS 자극을 받은 미세 아교 세포에서의 마이노사이클린 처리에 따른 활성 MMP-9의 활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 P<0.01, ### P <0.001, 실험군당 n=3).
도 6b는 젤라틴 자이모그래피를 통해 LPS 자극을 받은 미세 아교 세포에서의 마이노사이클린 처리에 따른 활성 MMP-2의 활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 P<0.01, ### P <0.001, 실험군당 n=3).
도 7a는 플루오르신 대조군과 미노사이클린 군의 맥락막 신생혈관 병변을 혈관조영술을 통해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7b는 플루오르신 혈관조영술을 통해 확인한 대조군과 미노사이클린 군의 맥락막 신생혈관 병변의 등급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a는 형광 이소렉틴 B4로 염색된 맥락막 플랫 마운트 (choroidal flat mounts)를 통해 대조군과 미노사이클린 군의 맥락막 신생혈관 병변을 관찰한 사진이다.
도 8a는 형광 이소렉틴 B4로 염색된 맥락막 플랫 마운트를 통해 대조군과 미노사이클린 군의 맥락막 신생혈관 병변의 크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a는 레이저 처리로 유도된 맥락막 신생혈관 발생 마우스의 맥락막에서 MMP 활성에 대한 미노사이클린의 영향을 젤라틴 자이모그래피를 통해 확인한 사진이다. MMP-9/NGAL 복합체는 130 kDa, pro-MMP-9는 105 kDa, pro-MMP-2는 62 kDa, 활성 MMP-2는 56 kDa이며, 레인 P는 양성 대조군, 레인 C는 대조군, 레인 1, 2, 3, 4, 5, 6 및 7은 각각 레이저 처리 후로부터 1시간, 6시간, 12시간, 1일, 3일, 5일 및 7일을 경과한 것을 나타낸다.
도 9b는 레이저 처리로 유도된 맥락막 신생혈관 발생 마우스의 망막에서 MMP 활성에 대한 미노사이클린의 영향을 젤라틴 자이모그래피를 통해 확인한 사진이다. MMP-9/NGAL 복합체는 130 kDa, pro-MMP-9는 105 kDa, pro-MMP-2는 62 kDa, 활성 MMP-2는 56 kDa이며, 레인 P는 양성 대조군, 레인 C는 대조군, 레인 1, 2, 3, 4, 5, 6 및 7은 각각 레이저 처리 후로부터 1시간, 6시간, 12시간, 1일, 3일, 5일 및 7일을 경과한 것을 나타낸다.
도 10a는 대조군 마우스와 미노사이클린군 마우스의 맥락막에서 시간에 따른 (6시간 후, 1일 후, 3일 후, 7일 후) pro-MMP-9의 발현 수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b는 대조군 마우스와 미노사이클린군 마우스의 맥락막에서 시간에 따른 (6시간 후, 1일 후, 3일 후, 7일 후) pro-MMP-2의 발현 수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c는 대조군 마우스와 미노사이클린군 마우스의 맥락막에서 시간에 따른 (6시간 후, 1일 후, 3일 후, 7일 후) 활성 MMP-2의 발현 수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a는 대조군 마우스와 미노사이클린군 마우스의 망막에서 시간에 따른 (6시간 후, 1일 후, 3일 후, 7일 후) pro-MMp-9의 발현 수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b는 대조군과 미노사이클린 군의 망막에서 망막에서 시간에 따른 (6시간 후, 1일 후, 3일 후, 7일 후) 활성 MMp-9의 발현 수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c는 대조군과 미노사이클린 군의 망막에서 시간에 따른 (6시간 후, 1일 후, 3일 후, 7일 후) pro-MMp-2의 발현 수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d는 대조군과 미노사이클린 군의 망막에서 시간에 따른 (6시간 후, 1일 후, 3일 후, 7일 후) 활성 MMp-2의 발현 수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은 맥락막에서 대조군과 미노사이클린 군의 시간에 따른 (6시간 후, 1일 후, 3일 후, 7일 후) IL-1β발현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동물실험
본 발명에 관련된 모든 동물 관련 실험은, 미국 시력 및 안과 연구 협회의 동물 사용을 위한 지침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경북 대학교 동물 관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 모든 in vivo 실험에는 잭슨 연구실 (Jackson Laboratory)에서 구입한 C57BL/6J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마우스들은 12시간 주기로 낮과 밤을 제어하였으며, 표준 실험용 먹이와 물에 자유롭게 접근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2,2,2-트리브로모에탄올 (Sigma-Aldrich, USA)을 복강 내 주사하여 마우스를 마취하였다. 그리고, 생존 실험 과정 (survival procedure)에서는 250 mg/kg 용량으로 2,2,2-트리브로모에탄올을 주사하였고, 비생존 실험 과정 (non-survival procedure)에서는 400 mg/kg 용량으로 2,2,2-트리브로모에탄올 주사하였다.
실시예 2: 세포 배양
출생 후 0일 마우스 8두의 대뇌 피질로부터 혼합 아교 세포 배양물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마우스의 대뇌 피질 세포 (cortical cells) 2.5 x105내지 3x105를 기계적 및 화학적 분리 후, 10% 소 태아 혈청, 농도 100 units/mL의 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 및 DMEM-F12를 포함하는 T-75 플라스크에서 100,000 cells/cm2 농도로 접종하고, 37℃ 온도에서 5% CO2/95%O2가습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배지는 2 내지 3일 마다 교체하였으며, in vitro에서 20일 이상 배양하여 컨플루언시 (confluency)를 달성하였다. 혼합 아교 세포배양물이 컨플루언시에 도달한 후, 순수 미세 아교 세포를 분리하기 위해 0.25% 트립신을 사용하여 마일드 트립신화 (mild trypsinization)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대부분의 성상 세포를 함유하는 세포층을 분리하였으며, 분리되지 않은 세포 집단의 97% 이상은 미세 아교 세포 (microglial)인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미노사이클린 (Minocycline) 처리
분리 후 24시간이 경과한 혼합 아교 세포 배양물을 1 ug/mL 지질다당류 (lipopolysaccharide; LPS)를 첨가한 배양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지질다당류 처리 후, 세포를 100ng, 10ug 및 50ug 농도의 미노사이클린으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미노사이클린군 마우스에는 미노사이클린을 45 mg/kg 용량으로 복강 내 주사하였으며, 대조군에는 일반 식염수를 주사하였다.
그리고, 미노사이클린은 레이저 처리 1일 전부터 매일 2번, 레이저 처리한 날의 1일 후부터 7일 동안 매일 1번의 빈도로 마우스에 주사되었다.
실시예 4: 면역조직화학 (Immunohistochemistry)
세포를 4% 파라포름알데히드 (paraformaldehyde)로 고정시키고, 0.5% Triton X-100에 흡수시킨 후, 3% 소 혈청 알부민으로 차단하였다. 세포가 들어 있는 커버슬립 (coverslip)을 4℃에서 항-Iba1 (1:1,000, Wako, USA) 1차 항체와 항-GFAP (1:1,000, Sigma-Aldrich, USA)와 함께 밤새 배양하였다.
이후, 커버슬립을 2차 항체인 Alexa Fluor 488-conjugated 염소 항-마우스 및 Alexa Fluor 594-conjugated 염소 항-토끼 (1:500, Thermo Fisher Scientific, USA)와 함께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세포핵을 DAPI (1 ug/mL)로 염색하였다.
실시예 5: 레이저 유도 맥락막 신생혈관 모델 형성
8주령 C57BL/6J 마우스에 532nm 레이저 (Oculight GLx Laser System, IRIDEX, USA)를 사용하여 100 mW, 100 um 스팟 크기 및 0.1초의 지속 펄스로 병변을 생성하였다. 그리고, 광응고 (photocoagulation) 부위에 기포가 나타나는 것을 통해 Bruch’막의 붕괴를 확인하였다.
이후, 마우스를 희생시켜 안구를 적출하고 30분 동안 고정하였으며, 전 조직 마운트 (whole-mount)를 위해 기저 맥락막에서 망막을 분리하였다. 그리고, 고정되지 않은 망막 및 맥락막 조직은 젤라틴 자이모그래피 (gelatin zymography) 및 ELISA 분석에 사용되었다.
실시예 6: 맥락막 플랫 마운트 (Choroidal Flat-Mount) 준비
레이저 처리 7일 후, 안구를 적출하고 고정하였다. 그 후 망막을 하부 맥락막 및 공막에서 제거하여 맥락막 플랫 마운트 (Choroidal Flat-Mount)를 준비하였다. 이후, Alexa Fluor 488-conjugated to isolectin B4 (1:100, Invitrogen, USA)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아이컵 (eyecup)을 염색하였다.
그리고, 플랫 마운트 (Flat-mount) 사진 촬영을 위해서 Airyscan detector (Zeiss, Germany)가 장착된 LSM 800을 사용하였으며, 맥락막 신생혈관 병변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ImageJ 소프트웨어 (NIH, USA)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7: 플루오르신 혈관조영술 (Fluorescein Angiography)
마우스가 마취되고 동공 확장이 이루어진 다음, 0.1 mL 2 % 플루오르신 소듐을 복강 내 주사하고 3 내지 5분, 그리고 7 내지 10분이 지난 뒤에 Micron IV 망막 이미징 현미경 (Phoenix, USA)을 사용하여 사진을 촬영하였다.
그리고, 다음의 기준으로 과형광 병변 (hyperfluorescent lesion)을 등급화하였다:
1) 누출 없이 희미하거나 얼룩덜룩한 형광은 0으로 평가하였다.
2) 크기 또는 강도의 증가가 없는 과형광은 1로 평가하였다.
3) 일정한 크기이지만 증가하는 세기를 갖는 과형광은 2A로 평가하였다.
4) 크기와 강도가 모두 증가하는 과형광은 2B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8: IL-1β, IL-6, 및 TNF-a의 효소 결합 면역 침강 분석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효소 결합 면역 침강 분석키트 (R&D systems, USA)를 사용하여, 미세 아교 세포로부터 추출한 세포 배양물 및 방사성 면역 침전 분석 완충액 (Radioimmunoprecipitation assay buffer; RIPA)에 용해된 마우스 조직의 IL-1β, IL-6 및 TNF-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9: 젤라틴 자이모그래피 (Gelatin Zymography)
망막 및 맥락막 조직을 100 mM NaCl, 1% NP-40 및 Complete Mini EDTA-free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제 칵테일 태블릿 (Protease Inhibitor Cocktail tablets, Roche, Germany)을 포함하는 용해 완충액 (25 mM Tris-HCl 버퍼)에서 균질화하고 10분 동안 14,000 g로 원심 분리하였다.
이후, 0.1% 젤라틴을 포함하는 8%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에 동일한 양의 단백질 (망막 30 ug 및 맥락막 5 ug)을 함유하는 상층액의 분액 (Aliquots)을 가열하지 않고 로딩하였다. 전기 영동 후, 겔을 실온에서 재생 버퍼 (renaturing buffer)로 30분 동안 2회 세척하였다. 이어서 겔을 37 ℃에서 진행 버퍼 (developing buffer)로 지정 시간 (망막 120시간 및 맥락막 40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0.5 % 쿠마시 블루 (Coomassie Brilliant)로 30분 동안 염색하고, 1시간 동안 세척하였다.
또한, 상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지를 분석하였으며, 이때, 1 레인당 10 uL 배지를 로딩하고, 겔을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실시예 10: 환자 샘플
실험에 사용된 모든 환자 샘플은 경북대학교 병원의 심사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 그리고, 모든 실험은 헬싱키 선언에 따라 수행되었고, 모든 연구 참가자로부터 사전 동의를 얻었다.
방수 표본 (aqueous sample)은 백내장 수술을 받고 있는 환자로 구성된 대조군 및 나이관련 신생 혈관 황반변성으로 인하여 인한 항-VEGF주사를 투여받는 실험군 환자로부터 채취하였다.
실시예 11: 통계분석
모든 통계 분석은 윈도우용 SPSS V.18.0 (SPSS Inc, USA)를 사용하였다. 두 개의 그룹을 비교하기 위해 2 표본 t-test를 사용하였다. 다중 그룹 비교는 일원 분산 분석 (one-way ANOVA)으로 수행하였으며, 그 다음, Tukey’or Dunnett’다중 비교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P 값이 0.05 이하인 경우를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실험예 1: 나이관련 신생 혈관 황반변성 환자에서 증가된 MMPs 확인
도 2와 같이, 젤라틴 자이모그래피를 통해 나이관련 신생 혈관 황반변성 환자 8명 및 동일 연령 대조군 8명으로부터의 방수 샘플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도 3a 내지 도 3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나이관련 신생 혈관 황반변성군은 대조군에 비해 활성 MMP-9 및 활성 MMP-2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또한, 도 3c 내지 도 3d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나이관련 신생 혈관 황반변성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pro-MMP-9 및 pro-MMP-2 발현이 증가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결과를 통해 인간 맥락막 신생혈관 조직에서 MMP-2 및 MMP-9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세 아교 세포는 MMPs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분비함으로써 염증 반응에 기여하며, MMP-9는 병리적 혈관 형성 및 염증을 유발하므로, 미세 아교 세포는 맥락막 신생혈관 발병에 관여할 수 있고, 나아가 나이관련 황반변성에 관여할 수 있다.
실험예 2: 미세 아교 세포에서의 LPS-유도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MMP에 대한 미노사이클린의 발현 억제효과 확인.
출생 후 1일령 마우스 뇌의 미세 아교 세포 추출물로부터 얻어진 세포의 97% 이상이 특정 미세 아교 세포나 대식세포 마커인 Iba-1에 대하여 양성 신호를 나타낸다는 것이 관찰하였으며, 컨플루언시에 도달한 후의 미세 아교 세포에서 신호가 더욱 강화된 것을 확인하였다 (도 4a 참조).
또한, LPS 자극을 받지 않은 미세 아교 세포는 주로 휴지 미세 아교 세포의 전형적인 형태인 반면에, 24시간 동안 LPS 자극을 받은 미세 아교 세포는 거대해지고, 활성 상태로 추정되는 아메바 형태가 된 것을 확인하였다 (도 4b 참조).
다음으로, 미노사이클린이 활성화된 미세 아교 세포에서 사이토카인 발현을 억제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표 1 내지 표 3 및 도 5a 내지 도 5c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LPS는 상당한 염증 반응을 유도하고 미세 아교 세포에서 IL-1β, IL-6 및 TNF- α의 생성을 증가시켰으나, 미노사이클린에 의해 모두 유의적으로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다.
IL-1β level (pg/ml)
비처리군 20.1
LPS 처리군 411.5
LPS-Minocycline (100ng) 처리군 173.4
IL-6 level (pg/ml)
비처리군 33.3
LPS 처리군 2866.7
LPS-Minocycline (50ng) 처리군 1466.6
TNF- α level (pg/ml)
비처리군 26.7
LPS 처리군 303.3
LPS-Minocycline (100ng) 처리군 101.4
이어서, 염증 부위에서 활성화된 미세 아교 세포가 MMPs를 생산하는 것을 고려하여, MMP-9 및 MMP-2의 효소 활성을 LPS 처리 후 젤라틴 자이모그래피로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LPS 처리 미세 아교 세포는 활성화된 MMP-9 및 MMP-2를 보다 많이 분비하였으나, 미노사이클린에 의해 유의적으로 MMP-9의 분비양이 감소하였다 (표 4 내지 표 5 및 도 6a 내지 6b 참조).
active MMP-9 상대적 효소활성도
비처리군 1.0
LPS 처리군 1.58
LPS-Minocycline (50ng) 처리군 1.4
LPS-Minocycline (100ng) 처리군 1.08
active MMP-2 상대적 효소활성도
비처리군 1.0
LPS 처리군 1.02
LPS-Minocycline (50ng) 처리군 0.95
LPS-Minocycline (100ng) 처리군 0.91
상기 실험결과는 LPS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미세 아교 세포에서 미노사이클린이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MMPs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MMP-9는 혈관 주위 기저막의 파괴에 관여하여 혈액-뇌 장벽 (blood-brain barrier)을 손상시키고 염증 세포의 침윤을 유도하여 부종과 출혈을 유발하는 점을 고려하면, 미노사이클린에 의한 미세 아교세포에서 MMPs의 조절은 맥락막 신생혈관의 중증도를 완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나아가, 미노사이클린 의한 미세 아교 세포의 조절은 나이관련 신생 혈관 황반변성 질환에 대한 신규한 치료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실험예 3: 미노사이클린에 의한 맥락막 신생혈관 중증도 감소 확인.
미노사이클린의 MMP 억제가 맥락막 신생혈관을 완화시킬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레이저를 마우스 망막 및 맥락막에 처리하여 미노사이클린의 치료 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표 6 및 도 7a 내지 7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미노사이클린 처리 CNV 마우스에서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혈관 누출을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된 2B 등급 병변의 비율이 대조군 CNV 마우스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병변 등급 비율 (%)
0 1 2A 2B
Control 0 2 43 55
Minocyline Group 2 25 55 18
또한, 맥락막 플랫 마운트(choroidal flat mounts) 결과, 미노사이클린 처리 CNV 마우스는 대조군 마우스와 비교하여 신생 병변 크기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표7, 도 8a 및 8b 참조).
CNV 병변 크기 (10-3mm2)
Control 13.33
Minocyline Group 8.35
이러한 결과는 미노사이클린을 통한 미세 아교 세포 억제로 맥락막 신생혈관 병변 누출 및 혈관 성장을 완화하고, 나이관련 황반변성을 억제 또는 치료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험예 4: 미노사이클에 의한 MMP-9, MMP-2의 활성 변화 확인
레이저 처리 CNV의 맥락막 및 망막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MMP 활성에 대한 미노사이클린의 영향을 젤라틴 자이모그래피를 통해 확인하였다. (도 9a 및 9b 참조).
우선, 표 8 내지 10 및 도 10a 내지 10c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맥락막에서 미노사이클린은 1일 후에 pro-MMP-9를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도 10a 참조), 7일이 된 때에 pro-MMP-2 (도 10b 참조) 및 활성 MMP-2 (도 10c 참조)의 활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맥락막에서의 Pro-MMP-9 상대적 효소 활성도
control 6시간 후 1일 후 3일 후 7일 후
CNV 1 4.64 4.49 1.89 1.49
CNV+Minocycline 1 4.46 3.49 1.84 1.12
맥락막에서의 Pro-MMP-2 상대적 효소 활성도
control 6시간 후 1일 후 3일 후 7일 후
CNV 1 1.17 1.20 1.7 2.63
CNV+Minocycline 1 1.20 1.30 1.67 1.93
맥락막에서의 active MMP-2 상대적 효소 활성도
control 6시간 후 1일 후 3일 후 7일 후
CNV 1 1.02 1.18 1.27 1.68
CNV+Minocycline 1 0.89 1.02 1.30 1.47
그리고, 표 11 내지 14 및 도 11a 내지 11d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망막에서 미노사이클린은 레이저 처리 후 3일부터 7일이 될 때까지 pro-MMP-9 활성을 감소시켰으며 (표 11 및 도 11a 참조), 6시간부터 3일이 될 때까지 활성 MMP-9를 지속적으로 억제하였다 (표 12 및 도 11b 참조). 그리고, 미노사이클린은 3일이 된 때에 미노사이클린에 의해 pro-MMP-2 및 활성 MMP-2를 모두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표 13 내지 14 및 도 11c, 11d 참조).
망막에서의 pro-MMP-9 효소 활성도
control 6시간 후 1일 후 3일 후 7일 후
CNV 1 1.91 2.25 2.63 2.09
CNV+Minocycline 1 1.71 2.35 1.57 1.7
망막에서의 active MMP-9 효소 활성도
control 6시간 후 1일 후 3일 후 7일 후
CNV 1 3.02 4.24 5.06 2.52
CNV+Minocycline 1 1.99 3.04 1.65 2.31
망막에서의 pro-MMP-2 효소 활성도
control 6시간 후 1일 후 3일 후 7일 후
CNV 1 1.56 1.72 2.13 1.34
CNV+Minocycline 1 1.19 1.31 0.94 1.19
망막에서의 active-MMP-2 효소 활성도
control 6시간 후 1일 후 3일 후 7일 후
CNV 1 1.34 1.52 1.42 1.20
CNV+Minocycline 1 1.14 1.21 1.03 1.01
상기의 결과는 미노사이클린이 맥락막 신생혈관의 초기단계에서 MMP-2 및 MMP-9 활성을 억제하고, 특히, 망막에서 MMP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한 것을 시사한다.
실험예 5: CNV 마우스에서 미노사이클린에 의한 IL-1β 발현 감소 확인
미노사이클린이 CNV 마우스에서 전-염증성 (pro-inflammatory) 사이토카인을 억제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표 15 및 도 1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맥락막에서 IL-1β 발현은 레이저 처리 후 6시간 및 1일이 되는 때에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나, 미노사이클린에 의해 발현량이 유의적으로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다.
IL-1β level (pg/ml)
6시간 후 1일 후 3일 후 7일 후
CNV 4 11.2 11.6 4.6
4.4CNV+Minocycline 7.2 5.4 5.6 6.6
이러한 결과는, 염증 매개자인 IL-1β의 발현을 억제하는 미노사이클린을 통해 맥락막 신생혈관 및 나이변성 황반변성을 억제, 치료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Claims (10)

  1. 미노사이클린 (Minocycline) 또는 이의 염 (salts)을 포함하는, 황반변성 (macular degeneration)의 완화, 억제,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반변성은 나이관련 황반변성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황반변성은 후기 나이관련 황반변성 (late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late AMD)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황반변성은 나이관련 신생 혈관 황반변성 (Neovascula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Neovascular AMD)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안구내, 안구주위, 안구뒤, 망막하 (subretinal), 망막중심 (central retinal), 중심와 (fovea) 외부, 결막하 (subconjunctival), 유리체내 (intravitreous), 전방내 (intracameral) 또는 맥락막위 (suprachoroidal)에 투여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6. 미노사이클린 (Minocycline) 또는 이의 염(salts)을 포함하는, 황반변성 (macular degeneration)의 완화, 억제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황반변성은 나이관련 황반변성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8. 미노사이클린 (Minocycline) 또는 이의 염(salts)을 포함하는, 신생혈관성 안질환 (neovascular ocular disease)의 완화, 억제,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생혈관성 안질환은 각막혈관신생 (corneal neovascularization), 망막 혈관신생 (retinal neovascularization), 맥락막 신생혈관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안구내 혈관신생 (intraocular neovascularization), 신생혈관성 녹내장 (neovascular glaucoma), 증식성 당뇨병성 망막증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신생혈관성 황반변성 (neovascular macular degeneration) 또는 미숙아 망막병증 (retinopathy of prematurity)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10. 미노사이클린 (Minocycline) 또는 이의 염 (salts)을 포함하는, 신생혈관성 안질환 (neovascular ocular disease) 완화, 억제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200053706A 2020-05-06 2020-05-06 황반변성의 완화, 억제,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2101357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706A KR20210135720A (ko) 2020-05-06 2020-05-06 황반변성의 완화, 억제,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706A KR20210135720A (ko) 2020-05-06 2020-05-06 황반변성의 완화, 억제,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720A true KR20210135720A (ko) 2021-11-16

Family

ID=78717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706A KR20210135720A (ko) 2020-05-06 2020-05-06 황반변성의 완화, 억제,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57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85355A1 (en) Compounds for treating ophthalmic diseases and disorders
RU2470635C2 (ru) Профилактическое или терапев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применяемое при заболеваниях заднего отдела глаза
JP7018939B2 (ja) 眼疾患の治療のための組成物ならびに使用および調製方法
EP2987491B1 (en) Orally administr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dry eye syndrome, comprising rebamipide or prodrug thereof
KR20090018222A (ko) 안구 건조의 치료에 있어서 리멕솔론의 용도
WO2014174747A1 (ja) 眼底疾患治療剤
JP2011088938A (ja) 眼血管新生疾患の処置のためのスタウロスポリン誘導体の使用
KR20190134588A (ko) 다중 키나아제 억제제 및 안구 섬유증에의 사용
TW200305398A (en) Use of ROM production and release inhibitors to treat and prevent intraocular damage
EP0410749B1 (en) Anthocyanidins for the treatment of ophthalmic diseases
KR20210135720A (ko) 황반변성의 완화, 억제,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HU214719B (hu) Eljárás retinális betegségek megelőzésére és kezelésére alkalmas gyógyszerkészítmények előállítására
KR102266014B1 (ko)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점안 조성물
KR102294439B1 (ko)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54058B1 (ko) 스테로이드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망맥락막 질환 치료제
KR102384118B1 (ko)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68697B1 (ko) 염증성 안구표면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avarro-Partida et al. Safety and Tolerability of Topical Ophthalmic Triamcinolone Acetonide-Loaded Liposomes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Its Biologic Activity in Patients with Diabetic Macular Edema. Pharmaceutics 2021, 13, 322
JP5179477B2 (ja) 神経突起形成促進剤
WO2000076454A2 (fr) Compositions therapeutiques a usage ophtalmique et compositions therapeutiques destinees au traitement des lesions cerebrales centrales
JP2023135557A (ja) 網膜血管拡張剤及び医薬組成物
WO2001064242A1 (fr) Medicaments ameliorant la fonction retinien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