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4774A - 인코더, 디코더 및 대응 방법 - Google Patents

인코더, 디코더 및 대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4774A
KR20210134774A KR1020217032495A KR20217032495A KR20210134774A KR 20210134774 A KR20210134774 A KR 20210134774A KR 1020217032495 A KR1020217032495 A KR 1020217032495A KR 20217032495 A KR20217032495 A KR 20217032495A KR 20210134774 A KR20210134774 A KR 20210134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dr
picture
video
flag
bit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2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뉴 헨드리
예-쿠이 왕
장러 천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34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47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7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between spatial and temporal predictive coding, e.g. picture refres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4Coding unit complexity, e.g. amount of activity or edge presence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62User in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slice, e.g. a line of blocks or a group of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video data packet, e.g. a network abstraction layer [NAL]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8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relating to sub-band structure, e.g. hierarchical level, directional tree, e.g. low-high [LH], high-low [HL], high-high [H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2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video object coding
    • H04N19/2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video object coding with coding of regions that are present throughout a whole video segment, e.g. sprites, background or mosa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 H04N19/3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in the temporal dom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3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motion estimation or compensation
    • H04N19/433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motion estimation or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echniques for memory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4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2Systems in which the television signal is transmitted via one channel or a plurality of parallel channels, the bandwidth of each channel being less than the bandwidth of the television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5Motion estimation with spatial constraints, e.g. at image or region bor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6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directed to de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비디오 디코더에 의해 구현되는 코딩된 비디오 비트스트림 디코딩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디코딩 방법은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상기 코딩된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코딩된 비디오 비트스트림은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coded video sequence, CVS)에 대응하는 점진적 디코딩 리프레시(gradual decoding refresh, GDR) 플래그를 포함함 - ;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상기 GDR 플래그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CVS에 GDR 픽처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GDR 플래그의 값이 상기 GDR 픽처가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낼 때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상기 GDR 픽처에서 상기 CVS의 디코딩을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디코딩된 CVS에 따라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디오 코딩에서의 점진적 디코딩 리프레시
이 특허 출원은 Fnu Hendry 등에 의해 2019년 3월 11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비디오 코딩에서의 점진적 디코딩 리프레시(Gradual Decoding Refresh in Video Coding)"인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62/816,722 및 Gnu Hendry 등에 의해 2019년 7월 5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비디오 코딩에서의 점진적 디코딩 리프레시(Gradual Decoding Refresh in Video Coding)"인 미국 특허 번호 62/871,020의 이익을 주장하며, 상기 문헌 각각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이 개시내용은 비디오 코딩에서 점진적 디코딩 리프레시를 지원하는 기술들을 설명한다. 더 구체적으로, 이 개시내용은 인트라 랜덤 액세스 포인트(intra random access point, IRAP) 픽처를 사용할 필요 없이 랜덤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프로그레시브 인트라 리프레시(progressive intra refresh)를 허용한다.
비교적 짧은 비디오라도 묘사하는 데 필요한 비디오 데이터의 양은 상당할 수 있으며, 이는 데이터가 스트리밍되거나 제한된 대역폭 용량을 가진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될 때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비디오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현대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되기 전에 압축된다. 메모리 리소스가 제한될 수 있기 때문에 비디오가 저장 장치에 저장될 때 비디오의 크기도 문제가 될 수 있다. 비디오 압축 장치는 전송 또는 저장 전에 비디오 데이터를 코딩하기 위해 소스에서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디지털 비디오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 필요한 데이터의 양을 줄이는 경우가 많다. 압축된 데이터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비디오 압축 해제 장치에 의해 목적지에서 수신된다. 제한된 네트워크 리소스와 더 높은 비디오 품질에 대한 요구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이미지 품질을 거의 또는 전혀 희생하지 않으면서 압축 비율을 개선하는 개선된 압축 및 압축 해제 기술이 바람직하다.
제1 관점은 비디오 디코더에 의해 구현되는 코딩된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상기 코딩된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코딩된 비디오 비트스트림은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coded video sequence, CVS)에 대응하는 점진적 디코딩 리프레시(gradual decoding refresh, GDR) 플래그를 포함함 - ;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상기 GDR 플래그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CVS에 GDR 픽처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GDR 플래그의 값이 상기 GDR 픽처가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낼 때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상기 GDR 픽처에서 상기 CVS의 디코딩을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디코딩된 CVS에 따라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인트라 랜덤 액세스 포인트(IRAP) 픽처를 사용할 필요 없이 랜덤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레시브 인트라 리프레시를 허용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점진적 디코더 리프레시(gradual decoder refresh, GDR) 플래그의 값은 GDR 픽처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GDR 플래그가 GDR 픽처가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낼 때,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CVS)의 디코딩은 GDR 픽처에서 개시된다. IRAP 픽처 대신 GDR 픽처를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감소된 종단간 지연(end to end delay)(즉, 레이턴시)을 허용하는 IRAP 픽처의 크기에 대한 GDR 화상의 크기로 인해 더 부드럽고 일관된 비트레이트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비디오 코딩의 코더/디코더(일명 "코덱")는 현재 코덱에 비해 향상된다. 실질적으로 개선된 비디오 코딩 프로세스는 비디오가 전송, 수신 및/또는 시청될 때 사용자에게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제1 관점에 따른 방법의 제1 구현 형태에서, GDR 플래그는 비트스트림의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된다.
이와 같은 제1 관점 또는 제1 관점의 임의의 선행 구현 형태에 따른 방법의 제2 구현 형태에서, GDR 플래그는 gdr_enabled_flag로 지정된다.
이와 같은 제1 관점 또는 제1 관점의 임의의 선행하는 구현 형태에 따른 방법의 제3 구현 형태에서, GDR 플래그의 값은 GDR이 인에이블될 때 일(1)이다.
이와 같은 제1 관점 또는 제1 관점의 임의의 선행하는 구현 형태에 따른 방법의 제4 구현 형태에서, GDR 플래그는 GDR 픽처가 비디오 비트스트림의 CVS에 존재하지 않을 때 제2 값으로 설정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제1 관점 또는 제1 관점의 임의의 선행하는 구현 형태에 따른 방법의 제5 구현 형태에서, GDR 플래그의 값은 영(0)이다.
제2 관점은 비디오 인코더에 의해 구현되는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인코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비디오 인코더가 상기 비디오 비트스트림의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coded video sequence, CVS)에서 점진적 디코더 리프레시(gradual decoder refresh, GDR) 픽처를 인코딩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인코더가 상기 GDR 픽처가 상기 비디오 비트스트림의 상기 CVS에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GDR 플래그를 제1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비디오 인코더가 비디오 디코더를 향한 전송을 위해 상기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인트라 랜덤 액세스 포인트(IRAP) 픽처를 사용할 필요 없이 랜덤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레시브 인트라 리프레시를 허용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점진적 디코더 리프레시(gradual decoder refresh, GDR) 플래그의 값은 GDR 픽처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GDR 플래그가 GDR 픽처가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낼 때,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CVS)의 디코딩은 GDR 픽처에서 개시된다. IRAP 픽처 대신 GDR 픽처를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감소된 종단간 지연(end to end delay)(즉, 레이턴시)을 허용하는 IRAP 픽처의 크기에 대한 GDR 화상의 크기로 인해 더 부드럽고 일관된 비트레이트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비디오 코딩의 코더/디코더(일명 "코덱")는 현재 코덱에 비해 향상된다. 실질적으로 개선된 비디오 코딩 프로세스는 비디오가 전송, 수신 및/또는 시청될 때 사용자에게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제2 관점에 따른 방법의 제1 구현 형태에서, GDR 플래그는 비트스트림의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에서 인코딩된다.
이와 같은 제2 관점에 따른 방법의 제2 구현 형태 또는 제2 관점의 임의의 선행하는 구현 형태에서, GDR 플래그는 gdr_enabled_flag로 지정된다.
이와같은 제2 관점 또는 제2 관점의 임의의 선행하는 구현 형태에 따른 방법의 제3 구현 형태에서, GDR 플래그의 제1 값은 GDR이 인에이블될 때 일(1)이다.
이와 같은 제2 관점또는 제2 관점의 임의의 선행하는 구현 형태에 따른 방법의 제4 구현 형태에서, GDR 플래그는 GDR 픽처가 비디오 비트스트림의 CVS에 존재하지 않을 때 제2 값으로 설정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제2 관점 또는 제2 관점의 임의의 선행하는 구현 형태에 따른 방법의 제5 구현 형태에서, GDR 플래그의 제2 값은 영(0)이다.
제3 관점은 디코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디코딩 디바이스는 코딩된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기; 상기 수신기에 결합되고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디코딩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코딩된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수신하고 - 상기 코딩된 비디오 비트스트림은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coded video sequence, CVS)에 대응하는 점진적 디코딩 리프레시(gradual decoding refresh, GDR) 플래그를 포함함 - ; 상기 GDR 플래그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CVS에 GDR 픽처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GDR 플래그의 값이 상기 GDR 픽처가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낼 때 상기 GDR 픽처에서 상기 CVS의 디코딩을 개시하며; 그리고 디코딩된 CVS에 따라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디코딩 디바이스는 인트라 랜덤 액세스 포인트(IRAP) 픽처를 사용할 필요 없이 랜덤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프로그레시브 인트라 리프레시를 허용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점진적 디코더 리프레시(gradual decoder refresh, GDR) 플래그의 값은 GDR 픽처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GDR 플래그가 GDR 픽처가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낼 때,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CVS)의 디코딩은 GDR 픽처에서 개시된다. IRAP 픽처 대신 GDR 픽처를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감소된 종단간 지연(end to end delay)(즉, 레이턴시)을 허용하는 IRAP 픽처의 크기에 대한 GDR 화상의 크기로 인해 더 부드럽고 일관된 비트레이트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비디오 코딩의 코더/디코더(일명 "코덱")는 현재 코덱에 비해 향상된다. 실질적으로 개선된 비디오 코딩 프로세스는 비디오가 전송, 수신 및/또는 시청될 때 사용자에게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제3 관점에 따른 디코딩 디바이스의 제1 구현 형태에서, 디코딩 디바이스는 생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한다.
제4 관점은 인코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인코딩 디바이스는 명령을 포함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결합된 전송기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인코딩 디바이스로 하여금: 비디오 비트스트림의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coded video sequence, CVS)에서 점진적 디코더 리프레시(gradual decoder refresh, GDR) 픽처를 인코딩하고; 상기 GDR 픽처가 상기 비디오 비트스트림의 상기 CVS에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GDR 플래그를 제1 값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전송기는 상기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비디오 디코더를 향해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코딩 디바이스는 인트라 랜덤 액세스 포인트(IRAP) 픽처를 사용할 필요 없이 랜덤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프로그레시브 인트라 리프레시를 허용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점진적 디코더 리프레시(gradual decoder refresh, GDR) 플래그의 값은 GDR 픽처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GDR 플래그가 GDR 픽처가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낼 때,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CVS)의 디코딩은 GDR 픽처에서 개시된다. IRAP 픽처 대신 GDR 픽처를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감소된 종단간 지연(end to end delay)(즉, 레이턴시)을 허용하는 IRAP 픽처의 크기에 대한 GDR 화상의 크기로 인해 더 부드럽고 일관된 비트레이트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비디오 코딩의 코더/디코더(일명 "코덱")는 현재 코덱에 비해 향상된다. 실질적으로 개선된 비디오 코딩 프로세스는 비디오가 전송, 수신 및/또는 시청될 때 사용자에게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제4 관점에 따른 인코딩 디바이스의 제1 구현 형태에서, 메모리는 송신기가 비디오 디코더를 향해 비트스트림을 전송하기 전에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저장한다.
제5 관점은 코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코딩 장치는 인코딩될 픽처를 수신하거나 디코딩될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상기 수신기에 결합되고, 상기 비트스트림을 디코더로 전송하거나 디코딩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기; 상기 수신기 또는 상기 전송기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고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여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 및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코딩 장치는 인트라 랜덤 액세스 포인트(IRAP) 픽처를 사용할 필요 없이 프로그레시브 인트라 리프레시가 랜덤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점진적 디코더 리프레시(gradual decoder refresh, GDR) 플래그의 값은 GDR 픽처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GDR 플래그가 GDR 픽처가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낼 때,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CVS)의 디코딩은 GDR 픽처에서 개시된다. IRAP 픽처 대신 GDR 픽처를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감소된 종단간 지연(end to end delay)(즉, 레이턴시)을 허용하는 IRAP 픽처의 크기에 대한 GDR 화상의 크기로 인해 더 부드럽고 일관된 비트레이트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비디오 코딩의 코더/디코더(일명 "코덱")는 현재 코덱에 비해 향상된다. 실질적으로 개선된 비디오 코딩 프로세스는 비디오가 전송, 수신 및/또는 시청될 때 사용자에게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제5 관점에 따른 코딩 장치의 제1 구현 형태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한다.
제6 관점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은 인코더 및 인코더와 통신하는 디코더를 포함하고, 인코더 또는 디코더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디코딩 디바이스, 인코딩 디바이스, 또는 코딩 장치를 포함한다.
시스템은 인트라 랜덤 액세스 포인트(IRAP) 픽처를 사용할 필요 없이 랜덤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프로그레시브 인트라 리프레시를 허용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점진적 디코더 리프레시(gradual decoder refresh, GDR) 플래그의 값은 GDR 픽처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GDR 플래그가 GDR 픽처가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낼 때,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CVS)의 디코딩은 GDR 픽처에서 개시된다. IRAP 픽처 대신 GDR 픽처를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감소된 종단간 지연(end to end delay)(즉, 레이턴시)을 허용하는 IRAP 픽처의 크기에 대한 GDR 화상의 크기로 인해 더 부드럽고 일관된 비트레이트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비디오 코딩의 코더/디코더(일명 "코덱")는 현재 코덱에 비해 향상된다. 실질적으로 개선된 비디오 코딩 프로세스는 비디오가 전송, 수신 및/또는 시청될 때 사용자에게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제7 관점은 코딩 수단에 관한 것이다. 코딩 수단은 인코딩할 픽처를 수신하거나 디코딩할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수단; 수신 수단에 결합되고, 비트스트림을 디코딩 수단으로 전송하거나 디코딩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수단; 수신 수단 또는 전송 수단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고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수단; 및 저장 수단에 결합되고, 저장 수단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처리 수단을 포함한다.
코딩 수단은 인트라 랜덤 액세스 포인트(IRAP) 픽처를 사용할 필요 없이 랜덤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레시브 인트라 리프레시를 허용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점진적 디코더 리프레시(gradual decoder refresh, GDR) 플래그의 값은 GDR 픽처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GDR 플래그가 GDR 픽처가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낼 때,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CVS)의 디코딩은 GDR 픽처에서 개시된다. IRAP 픽처 대신 GDR 픽처를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감소된 종단간 지연(end to end delay)(즉, 레이턴시)을 허용하는 IRAP 픽처의 크기에 대한 GDR 화상의 크기로 인해 더 부드럽고 일관된 비트레이트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비디오 코딩의 코더/디코더(일명 "코덱")는 현재 코덱에 비해 향상된다. 실질적으로 개선된 비디오 코딩 프로세스는 비디오가 전송, 수신 및/또는 시청될 때 사용자에게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 유사한 참조 번호가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는 첨부 도면 및 상세한 설명과 관련하여 취해진 다음의 간략한 설명을 이제 참조한다.
도 1은 GDR 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 예시적인 코딩 시스템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GDR 기술들을 구현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비디오 인코더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GDR 기술들을 구현할 수도 있는 비디오 디코더의 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디코딩 순서 및 프리젠테이션 순서에서 리딩 픽처에 대한 IRAP 픽처와 트레일링 픽처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점진적 디코딩 리프레시 기술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바람직하지 않은 모션 검색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점진적 디코딩 리프레시 기술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8은 코딩된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인코딩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비디오 코딩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코딩 수단의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비디오 코딩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는 예시적인 코딩 시스템(10)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딩 시스템(10)은 목적지 디바이스(14)에 의해 나중에 디코딩될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소스 디바이스(12)를 포함한다. 특히, 소스 디바이스(12)는 비디오 데이터를 컴퓨터 판독 가능형 매체(16)를 통해 목적지 장치(14)에 제공할 수 있다. 소스 장치(12) 및 목적지 장치(14)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예를 들어, 랩탑)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셋톱 박스, 소위 "스마트" 패드와 같은 전화 핸드셋, 텔레비전, 카메라, 디스플레이 장치,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 비디오 게임 콘솔, 비디오 스트리밍 장치 등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장치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소스 디바이스(12) 및 목적지 디바이스(14)는 무선 통신을 위해 장착될 수 있다.
목적지 디바이스(14)는 컴퓨터 판독 가능형 매체(16)를 통해 디코딩될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형 매체(16)는 소스 디바이스(12)로부터 목적지 디바이스(14)로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매체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형 매체(16)는 소스 디바이스(12)가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목적지 디바이스(14)에 직접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과 같은 통신 표준에 따라 변조되어 목적지 장치(14)로 전송될 수 있다. 통신 매체는 무선 주파수(RF) 스펙트럼 또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전송 라인과 같이, 임의의 유무선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매체는 근거리 네트워크, 광역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같은 글로벌 네트워크와 같은 패킷 기반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통신 매체는 라우터, 스위치, 기지국, 또는 소스 장치(12)에서 목적지 장치(14)로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데 유용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인코딩된 데이터는 출력 인터페이스(22)로부터 저장 장치로 출력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인코딩된 데이터는 입력 인터페이스에 의해 저장 장치로부터 액세스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하드 드라이브, 블루-레이(Blu-ray) 디스크,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ies),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다양한 분산 또는 로컬 액세스 데이터 저장 매체,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디지털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예에서, 저장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12)에 의해 생성된 인코딩된 비디오를 저장할 수 있는 파일 서버 또는 다른 중간 저장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다. 목적지 디바이스(14)는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를 통해 저장 디바이스로부터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다. 파일 서버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목적지 장치(14)로 전송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서버일 수 있다. 예시적인 파일 서버는 웹 서버(예를 들어, 웹사이트용), 파일 전송 프로토콜(FTP) 서버, NAS(Network Attached Storage) 장치 또는 로컬 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한다. 목적지 디바이스(14)는 인터넷 접속을 포함하는 임의의 표준 데이터 접속을 통해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다. 여기에는 무선 채널(예를 들어, Wi-Fi 연결), 유선 연결(예를 들어,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케이블 모뎀 등) 또는 파일 서버에 저장된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데 적합한 이 둘의 조합이 포함될 수 있다. 저장 장치로부터의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은 스트리밍 전송, 다운로드 전송,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기술은 반드시 무선 애플리케이션 또는 설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 기술은 공중파 텔레비전 방송, 케이블 텔레비전 전송, 위성 텔레비전 전송, HTTP를 통한 동적 적응 스트리밍(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DASH)과 같은 인터넷 스트리밍 비디오 전송, 데이터 저장 매체에 인코딩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저장 매체에 저장된 디지털 비디오의 디코딩, 또는 기타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비디오 코딩에 적용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코딩 시스템(10)은 비디오 스트리밍, 비디오 재생, 비디오 방송, 및/또는 비디오 전화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단방향 또는 양방향 비디오 전송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소스 장치(12)는 비디오 소스(18), 비디오 인코더(20), 및 출력 인터페이스(22)를 포함한다. 목적지 장치(14)는 입력 인터페이스(28), 비디오 디코더(30), 및 디스플레이 장치(32)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소스 장치(12)의 비디오 인코더(20) 및/또는 목적지 디바이스(14)의 비디오 디코더(30)는 비디오 코딩을 위한 기법들을 적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소스 디바이스 및 목적지 디바이스는 다른 컴포넌트 또는 배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12)는 외부 카메라와 같은 외부 비디오 소스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목적지 장치(14)는 통합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기 보다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도 1의 예시된 코딩 시스템(10)은 1은 하나의 예일 뿐이다. 비디오 코딩을 위한 기술은 임의의 디지털 비디오 인코딩 및/또는 디코딩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기법들은 일반적으로 비디오 코딩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지만, 기법들은 또한 일반적으로 "코덱(CODEC)"으로 지칭되는 비디오 인코더/디코더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더욱이, 본 개시내용의 기법들은 또한 비디오 전처리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및/또는 디코더는 GPU(그래픽 처리 장치) 또는 유사한 장치일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2) 및 목적지 디바이스(14)는 소스 디바이스(12)가 목적지 디바이스(14)로의 송신을 위해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그러한 코딩 디바이스들의 단지 예이다. 일부 예에서, 소스 디바이스(12) 및 목적지 디바이스(14)는 실질적으로 대칭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 및 목적지 디바이스(12, 14) 각각이 비디오 인코딩 컴포넌트 및 디코딩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코딩 시스템(10)은 예를 들어, 비디오 스트리밍, 비디오 재생, 비디오 방송, 또는 비디오 전화 통신을 위해 비디오 장치(12, 14) 사이의 단방향 또는 양방향 비디오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소스 장치(12)의 비디오 소스(18)는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비디오 캡처 장치, 이전에 캡처된 비디오를 포함하는 비디오 아카이브, 및/또는 비디오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비디오를 수신하기 위한 비디오 피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대안으로서, 비디오 소스(18)는 소스 비디오, 또는 라이브 비디오, 아카이브 비디오 및 컴퓨터 생성 비디오의 조합으로서 컴퓨터 그래픽 기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비디오 소스(18)가 비디오 카메라일 때, 소스 디바이스(12) 및 목적지 디바이스(14)는 소위 카메라 폰 또는 비디오 폰을 형성할 수 있다. 그렇지만,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에서 설명된 기법들은 일반적으로 비디오 코딩에 적용 가능할 수도 있고, 무선 및/또는 유선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도 있다. 각각의 경우에, 캡처된, 사전 캡처된 또는 컴퓨터 생성 비디오는 비디오 인코더(20)에 의해 인코딩될 수 있다. 인코딩된 비디오 정보는 그런 다음 출력 인터페이스(22)에 의해 컴퓨터 판독 가능형 매체(16)로 출력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형 매체(16)는 무선 브로드캐스트 또는 유선 네트워크 전송과 같은 일시적인 매체, 또는 하드 디스크, 플래시 드라이브, 콤팩트 디스크, 디지털과 같은 저장 매체(즉, 비일시적 저장 매체), 비디오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또는 기타 컴퓨터 판독 가능형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네트워크 서버(도시되지 않음)는 소스 디바이스(12)로부터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예를 들어 네트워크 전송을 통해 목적지 디바이스(14)에 제공할 수 있다. 유사하게, 디스크 스탬핑 설비(disc stamping facility)와 같은 매체 생산 설비의 컴퓨팅 장치는 소스 장치(12)로부터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스크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 판독 가능형 매체(16)는 다양한 예에서 다양한 형태의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형 매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목적지 디바이스(14)의 입력 인터페이스(28)는 컴퓨터 판독 가능형 매체(16)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형 매체(16)의 정보는 특성 및/또는 블록 및 기타 코딩된 유닛, 예를 들어, 픽처의 그룹(group of picture, GOP)의 처리를 설명하는 신택스 요소를 포함하는 비디오 디코더(30)에 의해서도 사용되는 비디오 인코더(20)에 의해 정의된 신택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2)는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며, 음극선관(crystal ray tube, CRT),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인코더(20) 및 비디오 디코더(30)는 현재 개발 중인 고효율 비디오 코딩(High Efficiency Video Coding, HEVC) 표준과 같은 비디오 코딩 표준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고 HEVC 테스트 모델(HM)에 따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비디오 인코더(20) 및 비디오 디코더(30)는 대안적으로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4 파트 10, AVC(Advanced Video Coding), H.265/HEVC 또는 이러한 표준의 확장으로 지칭되는 국제 통신 연합 통신 표준화 부문(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ITU-T) H.264 표준과 같은 다른 독점 또는 산업 표준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그렇지만, 본 개시내용의 기술은 임의의 특정 코딩 표준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비디오 코딩 표준의 다른 예로는 MPEG-2 및 ITU-T H.263이 있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부 관점에서, 비디오 인코더(20) 및 비디오 디코더(30)는 각각 오디오 인코더 및 디코더와 통합될 수 있고, 공통 데이터 스트림 또는 개별 데이터 스트림의 오디오 및 비디오 양쪽의 인코딩을 처리하기 위해 적절한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MUX-DEMUX) 유닛, 또는 다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되는 경우 MUX-DEMUX 장치는 ITU H.223 멀티플렉서 프로토콜 또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 UDP)와 같은 기타 프로토콜을 준수할 수 있다.
비디오 인코더(20) 및 비디오 디코더(30) 각각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이산 로직,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다양한 적절한 인코더 회로 중 임의의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기술이 소프트웨어로 부분적으로 구현될 때, 장치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명령을 적절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형 매체에 저장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하드웨어에서 명령을 실행하여 본 개시의 기술을 수행할 수 있다. 비디오 인코더(20) 및 비디오 디코더(30) 각각은 하나 이상의 인코더 또는 디코더에 포함될 수도 있고, 이 중 어느 하나는 개별 디바이스에서 결합된 인코더/디코더(CODEC)의 일부로서 통합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20) 및/또는 비디오 디코더(30)를 포함하는 장치는 집적 회로, 마이크로프로세서, 및/또는 셀룰러 전화와 같은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비디오 코딩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는 비디오 인코더(20)의 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비디오 인코더(20)는 비디오 슬라이스 내의 비디오 블록의 인트라-코딩 및 인터-코딩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인트라 코딩은 주어진 비디오 프레임 또는 픽처 내에서 비디오의 공간 중복성을 줄이거나 제거하기 위해 공간 예측에 의존한다. 인터 코딩은 비디오 시퀀스의 인접한 프레임 또는 픽처 내에서 비디오의 시간적 중복성을 줄이거나 제거하기 위해 시간적 예측에 의존한다. 인트라 모드(I 모드)는 여러 공간 기반 코딩 모드 중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단방향(일명, 단방향 예측) 예측(P 모드) 또는 양방향 예측(일명, 양방향 예측)(B 모드)과 같은 인터 모드는 여러 시간 기반 코딩 모드 중 임의의 것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인코더(20)는 인코딩될 비디오 프레임 내의 현재 비디오 블록을 수신한다. 도 2의 예에서, 비디오 인코더(20)는 모드 선택 유닛(40), 참조 프레임 메모리(64), 합산기(50), 변환 프로세싱 유닛(52), 양자화 유닛(54), 및 엔트로피 코딩 유닛(56)을 포함한다. 모드 선택 유닛(40)은 차례로 모션 보상 유닛(44), 모션 추정을 포함한다. 비디오 블록 재구성을 위해, 비디오 인코더(20)는 또한 역양자화 유닛(58), 역변환 유닛(60), 합산기(62)를 포함한다. 디블록킹 필터(도 2에 도시되지 않음)는 또한 재구성된 비디오로부터 블록성 아티팩트를 제거하기 위해 블록 경계를 필터링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디블로킹 필터는 일반적으로 합산기(62)의 출력을 필터링한다. 디블로킹 필터에 추가하여 추가 필터(인 루프(in loop) 또는 포스트 루프(post loop))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는 간결함을 위해 표시되지 않았지만 원하는 경우 합산기(50)의 출력을 (인-루프 필터로서) 필터링할 수 있다.
인코딩 프로세스 동안, 비디오 인코더(20)는 코딩될 비디오 프레임 또는 슬라이스를 수신한다. 프레임 또는 슬라이스는 여러 비디오 블록으로 분할될 수 있다. 모션 추정 유닛(42) 및 모션 보상 유닛(44)은 시간 예측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참조 프레임에서 하나 이상의 블록에 대해 수신된 비디오 블록의 인터 예측 코딩을 수행한다. 인트라 예측 유닛(46)은 공간 예측을 제공하기 위해 코딩될 블록과 동일한 프레임 또는 슬라이스에서 하나 이상의 이웃 블록에 대해 수신된 비디오 블록의 인트라 예측 코딩을 대안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20)는 예를 들어 비디오 데이터의 각각의 블록에 대한 적절한 코딩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다중 코딩 패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더욱이, 파티션 유닛(48)은 이전 코딩 패스에서의 이전 파티셔닝 방식의 평가에 기초하여 비디오 데이터의 블록을 서브-블록으로 파티셔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파티션 유닛(48)은 초기에 프레임 또는 슬라이스를 최대 코딩 단위(largest coding unit, LCU)로 파티션하고, 왜곡률 분석(예를 들어, 왜곡률 최적화)에 기초하여 LCU 각각을 서브-코딩 유닛(서브-CU)으로 파티션할 수 있다. 모드 선택 유닛(40)은 LCU를 서브-CU로 분할하는 것을 나타내는 쿼드-트리 데이터 구조를 더 생성할 수 있다. 쿼드 트리의 리프 노드 CU는 하나 이상의 예측 유닛(prediction unit, PU) 및 하나 이상의 변환 유닛(transform unit, TU)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HEVC의 맥락에서 CU, PU, 또는 TU 중 임의의 것을 지칭하기 위해, 또는 데이터 구조(예를 들어, 매크로블록 및 그의 서브-블록 H.264/AVC)의 맥락에서 유사한 데이터 구조를 지칭하기 위해 용어 "블록"을 사용한다. CU는 코딩 노드, PU, 및 코딩 노드와 연관된 TU를 포함한다. CU의 크기는 코딩 노드의 크기에 해당하며 정사각형이다. CU의 크기는 8x8 픽셀에서 최대 64x64 픽셀 또는 그 이상의 트리블록 크기까지의 범위일 수 있다. 각 CU는 하나 이상의 PU 및 하나 이상의 TU를 포함할 수 있다. CU와 연관된 신택스 데이터는 예를 들어 CU를 하나 이상의 PU로 분할하는 것을 기술할 수 있다. 분할 모드는 CU가 스킵 또는 직접 모드 인코딩인지, 인트라 예측 모드 인코딩인지 또는 인터 예측(일명, 인터 예측) 모드 인코딩인지에 따라 다를 수 있다. PU는 정사각형이 아닌 모양으로 분할될 수 있다. CU와 연관된 신택스 데이터는 또한 예를 들어 쿼드 트리에 따라 CU를 하나 이상의 TU로 분할하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TU는 모양이 정사각형이거나 정사각형이 아닐 수 있다(예를 들어, 직사각형).
모드 선택 유닛(40)은 예를 들어, 에러 결과에 기초하여 인트라-코딩 모드 또는 인터-코딩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결과적인 인트라-코딩된 블록 또는 인터-코딩된 블록을 합산기(50)에 제공하여 잔여 블록 데이터를 생성하고 합산기(62)에 제공하여 참조 프레임으로 사용하기 위한 인코딩된 블록을 재구성한다. 모드 선택 유닛(40)은 또한 모션 벡터, 인트라 모드 표시자, 파티션 정보, 및 기타 이러한 신택스 정보와 같은 신택스 요소를 엔트로피 코딩 유닛(56)에 제공한다.
모션 추정 유닛(42) 및 모션 보상 유닛(44)은 고도로 통합될 수 있지만, 개념적 목적을 위해 별도로 예시된다. 모션 추정 유닛(42)에 의해 수행되는 모션 추정은 비디오 블록에 대한 모션을 추정하는 모션 벡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스이다. 예를 들어, 모션 벡터는 현재 프레임(또는 다른 코딩된 단위) 내에서 코딩되는 현재 블록에 대한 참조 프레임(또는 다른 코딩된 단위) 내의 예측 블록에 대한 현재 비디오 프레임 또는 픽처 내의 비디오 블록의 PU의 변위를 나타낼 수 있다. 예측 블록은 SAD(Sum of Absolute Difference), SSD(Sum of the Square Difference) 또는 기타 차이 메트릭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픽셀 차이와 관련하여 코딩될 블록과 밀접하게 일치하는 것으로 발견된 블록이다. 일부 예에서, 비디오 인코더(20)는 참조 프레임 메모리(64)에 저장된 참조 픽처의 정수 이하 픽셀 위치에 대한 값을 계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인코더(20)는 1/4 픽셀 위치, 1/8 픽셀 위치, 또는 다른 참조 픽처의 분수 픽셀 위치의 값을 보간할 수 있다. 따라서, 모션 추정 유닛(42)은 전체 픽셀 위치 및 분수 픽셀 위치에 대한 모션 검색을 수행하고 분수 픽셀 정밀도를 갖는 모션 벡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모션 추정 유닛(42)은 PU의 위치를 참조 픽처의 예측 블록의 위치와 비교함으로써 인터-코딩된 슬라이스에서 비디오 블록의 PU에 대한 모션 벡터를 계산한다. 참조 픽처는 제1 참조 픽처 목록(목록 0) 또는 제2 참조 픽처 목록(목록 1)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참조 프레임 메모리(64)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참조 픽처를 식별한다. 모션 추정 유닛(42)은 계산된 모션 벡터를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56) 및 모션 보상 유닛(44)으로 전송한다.
모션 보상 유닛(44)에 의해 수행되는 모션 보상은 모션 추정 유닛(42)에 의해 결정된 모션 벡터에 기초하여 예측 블록을 페치하거나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모션 추정 유닛(42) 및 모션 보상 유닛(44)은 일부 예에서 기능적으로 통합될 수 있다. 현재 비디오 블록의 PU에 대한 모션 벡터를 수신하면, 모션 보상 유닛(44)은 참조 픽처 목록 중 하나에서 모션 벡터가 가리키는 예측 블록의 위치를 찾을 수도 있다. 합산기(50)는 코딩되고 있는 현재 비디오 블록의 픽셀 값들로부터 예측 블록의 픽셀 값들을 빼서,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픽셀 차이 값들을 형성함으로써 잔여 비디오 블록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모션 추정 유닛(42)은 루마 성분에 대한 모션 추정을 수행하고, 모션 보상 유닛(44)은 크로마 성분 및 루마 성분 모두에 대한 루마 성분에 기초하여 계산된 모션 벡터를 사용한다. 모드 선택 유닛(40)은 또한 비디오 슬라이스의 비디오 블록을 디코딩될 때 비디오 디코더(30)에 의해 사용하기 위해 비디오 블록 및 비디오 슬라이스와 연관된 신택스 요소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인트라 예측 유닛(46)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모션 추정 유닛(42) 및 모션 보상 유닛(44)에 의해 수행되는 인터 예측에 대한 대안으로서 현재 블록을 인트라 예측할 수 있다. 특히, 인트라 예측 유닛(46)은 현재 블록을 인코딩하는데 사용할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부 예에서, 인트라 예측 유닛(46)은 예를 들어 별도의 인코딩 패스 동안 다양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사용하여 현재 블록을 인코딩될 수도 있고, 인트라 예측 유닛(46)(또는 일부 예에서 모드 선택 유닛(40))은 테스트된 모드 중에서 사용하기 위해 적절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트라 예측 유닛(46)은 다양한 테스트된 인트라 예측 모드에 대한 레이트-왜곡 분석을 사용하여 레이트-왜곡 값을 계산할 수 있고, 테스트된 모드 중에서 최고의 레이트-왜곡 특성을 갖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왜곡률 분석은 일반적으로 인코딩된 블록과 인코딩된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 인코딩된 원래의 인코딩되지 않은 블록 사이의 왜곡(또는 오류)의 양과 생성하는 데 사용된 비트 전송률(즉, 비트 수)을 결정한다. 인코딩된 블록 인트라 예측 유닛(46)은 블록에 대한 최상의 왜곡률 값을 나타내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인코딩된 블록에 대한 왜곡 및 레이트로부터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인트라 예측 유닛(46)은 깊이 모델링 모드(depth modeling mode, DMM)를 사용하여 깊이 맵의 깊이 블록을 코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드 선택 유닛(40)은 이용 가능한 DMM 모드가 예를 들어 왜곡률 최적화(RDO)를 사용하여 인트라 예측 모드 및 다른 DMM 모드보다 더 나은 코딩 결과를 생성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깊이 맵에 대응하는 텍스처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는 참조 프레임 메모리(64)에 저장될 수 있다. 모션 추정 유닛(42) 및 모션 보상 유닛(44)은 또한 깊이 맵의 깊이 블록을 상호 예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예를 들어, 종래의 인트라 예측 모드 또는 DMM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한 후, 인트라 예측 유닛(46)은 블록에 대한 선택된 인트라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엔트로피 코딩 유닛(56) 블록에 제공할 수 있다. 엔트로피 코딩 유닛(56)은 선택된 인트라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인코딩될 수 있다. 비디오 인코더(20)는 송신된 비트스트림 구성 데이터에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는 복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 테이블 및 복수의 수정된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 테이블(코드워드 맵핑 테이블로도 지칭됨), 다양한 블록에 대한 인코딩 컨텍스트의 정의, 및 각각의 컨텍스트에 사용할 가장 가능성 있는 인트라 예측 모드의 지시,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 테이블의 지시 및 수정된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 테이블의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인코더(20)는 코딩되는 원래 비디오 블록으로부터 모드 선택 유닛(40)으로부터 예측 데이터를 감산함으로써 잔여 비디오 블록을 형성한다. 합산기(50)는 이 감산 연산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변환 프로세싱 유닛(52)은 이산 코사인 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또는 개념적으로 유사한 변환과 같은 변환을 잔여 블록에 적용하여 잔여 변환 계수 값을 포함하는 비디오 블록을 생성한다. 변환 프로세싱 유닛(52)은 DCT와 개념적으로 유사한 다른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웨이블릿 변환, 정수 변환, 부분대역 변환 또는 다른 유형의 변환도 사용할 수 있다.
변환 프로세싱 유닛(52)은 변환을 잔여 블록에 적용하여 잔여 변환 계수의 블록을 생성한다. 변환은 잔여 정보를 픽셀 값 도메인으로부터 주파수 도메인과 같은 변환 도메인으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 프로세싱 유닛(52)은 결과적인 변환 계수들을 양자화 유닛(54)으로 보낼 수도 있다. 양자화 유닛(54)은 비트 레이트를 더 감소시키기 위해 변환 계수들을 양자화한다. 양자화 프로세스는 계수들의 일부 또는 전부와 연관된 비트 깊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양자화의 정도는 양자화 파라미터를 조정함으로써 수정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양자화 유닛(54)은 그런 다음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포함하는 행렬의 스캔을 수행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56)은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양자화에 이어, 엔트로피 코딩 유닛(56)은 양자화된 변환 계수를 엔트로피 코딩한다. 예를 들어, 엔트로피 코딩 유닛(56)은 컨텍스트 적응 가변 길이 코딩(context 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CAVLC), 컨텍스트 적응 이진 산술 코딩(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CABAC), 컨텍스트 기반 컨텍스트 적응 이진 산술 코딩(syntax-based context-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SBAC), 확률 간격 분할 엔트로피(probability interval partitioning entropy, PIPE) 코딩 또는 다른 엔트로피 코딩 기술을 수행할 수 있다. 컨텍스트 기반 엔트로피 코딩의 경우 컨텍스트는 주변 블록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엔트로피 코딩 유닛(56)에 의한 엔트로피 코딩에 이어, 인코딩된 비트스트림은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비디오 디코더(30))로 전송되거나 나중의 전송 또는 검색을 위해 아카이브될 수 있다.
역양자화 유닛(58) 및 역변환 유닛(60)은 각각 역양자화 및 역변환을 적용하여, 예를 들어 참조 블록으로서 나중에 사용하기 위해 픽셀 도메인에서 잔여 블록을 재구성한다. 모션 보상 유닛(44)은 참조 프레임 메모리(64)의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의 예측 블록에 잔여 블록을 추가함으로써 참조 블록을 계산할 수도 있다. 모션 보상 유닛(44)은 또한 모션 추정에 사용하기 위한 서브-정수 픽셀 값을 계산하기 위해 재구성된 잔여 블록에 하나 이상의 보간 필터를 적용할 수도 있다. 합산기(62)는 참조 프레임 메모리(64)에 저장하기 위한 재구성된 비디오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 모션 보상 유닛(44)에 의해 생성된 모션 보상된 예측 블록에 재구성된 잔여 블록을 추가한다. 재구성된 비디오 블록은 모션 추정 유닛(42) 및 모션 보상 유닛(44)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후속 비디오 프레임에서 블록을 인터 코딩하기 위한 참조 블록으로 사용된다.
도 3 은 비디오 코딩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는 비디오 디코더(30)의 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의 예에서, 비디오 디코더(30)는 엔트로피 디코딩 유닛(70), 모션 보상 유닛(72), 인트라 예측 유닛(74), 역 양자화 유닛(76), 역변환 유닛(78), 참조 프레임 메모리(82), 및 합산기(80)를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디코더(30)는 일부 예에서, 비디오 인코더(20)(도 2)와 관련하여 설명된 인코딩 패스와 일반적으로 역의 디코딩 패스를 수행한다. 모션 보상 유닛(72)은 엔트로피 디코딩 유닛(70)으로부터 수신된 모션 벡터들에 기초하여 예측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는 한편, 인트라 예측 유닛(74)은 엔트로피 디코딩 유닛(70)으로부터 수신된 인트라 예측 모드 표시자들에 기초하여 예측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디코딩 프로세스 동안, 비디오 디코더(30)는 비디오 인코더(20)로부터 인코딩된 비디오 슬라이스의 비디오 블록 및 연관된 신택스 요소를 나타내는 인코딩된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수신한다. 비디오 디코더(30)의 엔트로피 디코딩 유닛(70)은 양자화된 계수, 모션 벡터 또는 인트라 예측 모드 표시자, 및 기타 신택스 요소를 생성하기 위해 비트스트림을 엔트로피 디코딩한다. 엔트로피 디코딩 유닛(70)은 모션 벡터 및 다른 신택스 요소를 모션 보상 유닛(72)으로 포워딩한다. 비디오 디코더(30)는 비디오 슬라이스 레벨 및/또는 비디오 블록 레벨에서 신택스 요소를 수신할 수도 있다.
비디오 슬라이스가 인트라 코딩된 (I) 슬라이스로서 코딩될 때, 인트라 예측 유닛(74)은 시그널링된 인트라 예측 모드 및 현재 프레임 또는 픽처의 이전에 디코딩된 블록으로부터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비디오 슬라이스의 비디오 블록에 대한 예측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비디오 프레임이 인터-코딩된(예를 들어, B, P, 또는 GPB) 슬라이스로서 코딩될 때, 모션 보상 유닛(72)은 모션 벡터 및 엔트로피 디코딩 유닛(70)으로부터 수신된 다른 신택스 요소에 기초하여 현재 비디오 슬라이스의 비디오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을 생성한다. 예측 블록은 참조 픽처 목록 중 하나 내의 참조 픽처 중 하나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비디오 디코더(30)는 참조 프레임 메모리 (82) 에 저장된 참조 픽처에 기초하여 디폴트 구성 기술들을 사용하여 참조 프레임 목록들, 목록 0 및 목록 1을 구성할 수도 있다.
모션 보상 유닛(72)은 모션 벡터 및 다른 신택스 요소를 파싱함으로써 현재 비디오 슬라이스의 비디오 블록에 대한 예측 정보를 결정하고, 디코딩되는 현재 비디오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 예측 정보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모션 보상 유닛(72)은 수신된 신택스 요소 중 일부를 사용하여 비디오 슬라이스의 비디오 블록을 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예측 모드(예를 들어, 인트라 예측 또는 인터 예측), 인터 예측 슬라이스 유형(예를 들어, B 슬라이스, P 슬라이스, 또는 GPB 슬라이스), 슬라이스에 대한 참조 픽처 목록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구성 정보, 슬라이스의 각 인터-인코딩된 비디오 블록에 대한 모션 벡터, 슬라이스의 각각의 인터-코딩된 비디오 블록에 대한 인터-예측 상태, 및 현재 비디오 슬라이스의 비디오 블록을 디코딩하기 위한 기타 정보를 결정한다.
모션 보상 유닛(72)은 또한 보간 필터에 기초하여 보간을 수행할 수 있다. 모션 보상 유닛(72)은 참조 블록의 서브-정수 픽셀에 대한 보간된 값을 계산하기 위해 비디오 블록의 인코딩 동안 비디오 인코더(20)에 의해 사용되는 보간 필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모션 보상 유닛(72)은 수신된 신택스 요소로부터 비디오 인코더(20)에 의해 사용되는 보간 필터를 결정할 수도 있고 예측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 보간 필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깊이 맵에 대응하는 텍스처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는 참조 프레임 메모리(82)에 저장될 수 있다. 모션 보상 유닛(72)은 또한 깊이 맵의 깊이 블록을 상호 예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항을 염두에 두고, 비디오 압축 기술은 비디오 시퀀스에 고유한 중복성을 감소 또는 제거하기 위해 공간(인트라 픽처) 예측 및/또는 시간(인터 픽처) 예측을 수행한다. 블록 기반 비디오 코딩의 경우, 비디오 슬라이스(즉, 비디오 픽처 또는 비디오 픽처의 일부)는 트리블록, 코딩 트리 블록(coding tree block, CTB), 코딩 트리 단위(coding tree unit, CTU), 코딩 단위(coding unit, CU) 및/또는 코딩 노드로도 지칭될 수 있는 비디오 블록으로 분할될 수 있다. 픽처의 인트라 코딩된 (I) 슬라이스의 비디오 블록은 동일한 픽처의 주변 블록에 있는 참조 샘플에 대한 공간 예측을 사용하여 인코딩된다. 픽처의 인터 코딩된 (P 또는 B) 슬라이스의 비디오 블록은 동일한 픽처의 이웃 블록에 있는 참조 샘플에 대한 공간적 예측 또는 다른 참조 픽처의 참조 샘플에 대한 시간적 예측을 사용할 수 있다. 픽처는 프레임으로 지칭될 수 있고, 참조 픽처는 참조 프레임으로 지칭될 수 있다.
공간적 또는 시간적 예측은 코딩될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을 초래한다. 잔여 데이터는 코딩될 원래 블록과 예측 블록 간의 픽셀 차이를 나타낸다. 인터-코딩된 블록은 예측 블록을 형성하는 참조 샘플들의 블록을 가리키는 모션 벡터, 및 코딩된 블록과 예측 블록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잔여 데이터에 따라 인코딩된다. 인트라 코딩된 블록은 인트라 코딩 모드 및 잔여 데이터에 따라 인코딩된다. 추가 압축을 위해, 잔여 데이터는 픽셀 도메인에서 변환 도메인으로 변환될 수 있고, 그 결과 잔여 변환 계수가 생성되고, 이는 양자화될 수 있다. 초기에 2차원 어레이로 배열된 양자화된 변환 계수는 변환 계수의 1차원 벡터를 생성하기 위해 스캔될 수 있고, 엔트로피 코딩이 적용되어 훨씬 더 압축될 수 있다.
이미지 및 비디오 압축은 다양한 코딩 표준으로 이어지는 급속한 성장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비디오 코딩 표준에는 ITU-T H.261, ISO/IEC MPEG-1 파트 2, ITU-T H.262 또는 ISO/IEC MPEG-2 파트 2, ITU-T H.263, ISO/IEC MPEG-4 파트 2, ITU-T H.264 또는 ISO/IEC MPEG-4 파트 10이라고도 하는 고급 비디오 코딩(AVC) 및 ITU-T H.265 또는 MPEG-라고도 하는 고효율 비디오 코딩(HEVC) H 파트 2가 포함된다. AVC에는 SVC(Scalable Video Coding), MVC(Multiview Video Coding) 및 MVC+D(Multiview Video Coding plus Depth) 및 3D AVC(3D-AVC)와 같은 확장이 포함된다. HEVC는 확장 가능형 HEVC(SHVC), 멀티뷰 HEVC(MV-HEVC) 및 3D HEVC(3D-HEVC)와 같은 확장을 포함한다.
ITU-T와 ISO/IEC의 JVET(Joint Video Experts Team)에 의해 개발되고 있는 VVC(Versatile Video Coding)라는 새로운 비디오 코딩 표준도 있다. VVC 표준에는 여러 작업 초안이 있지만 특히 B. Bross, J. Chen 및 S. Liu, "Versatile Video Coding (Draft 4)", JVET-M1001-v5, 2019년 1월 13차 JVET 회의(VVC Draft 4)와 같은 VVC의 작업 초안(Working Draft, WD)가 여기에서 참조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대한 설명은 ITU-T 및 ISO/IEC의 JVET(Joint Video Experts Team)에 의한 개발 중인 비디오 코딩 표준 VVC(Versatile Video Coding)에 기초한다. 그러나 이 기술은 다른 비디오 코덱 사양에도 적용된다.
도 4는 디코딩 순서(408) 및 프리젠테이션 순서(410)에서 리딩 픽처(404)에 대한 IRAP 픽처(402)와 트레일링 픽처(406) 사이의 관계의 표현(400)이다. 실시예에서, IRAP 픽처(402)는 클린 랜덤 액세스(clean random access, CRA) 픽처로서 또는 랜덤 액세스 디코더블 리딩(Random Access Decodable Leading, RADL) 피처가 있는 순간 디코더 리프레시(Instantaneous Decoder Refresh, IDR) 픽처로 사용된다. HEVC에서는 IDR 픽처, CRA 픽처, 브로큰 링크 액세스(Broken Link Access, BLA) 픽처가 모두 IRAP 픽처(402)로 간주된다. VVC의 경우 2018년 10월 제12차 JVET 회의에서 IDR 픽처과 CRA 픽처를 모두 IRAP 픽처로 보유하기로 합의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딩 픽처(404)(예를 들어, 픽처 2 및 3)는 디코딩 순서(408)에서 IRAP 픽처(402)를 따르지만, 프리젠테이션 순서(410)에서 IRAP 픽처(402)보다 선행한다. 트레일링 픽처(406)는 디코딩 순서(408) 및 프리젠테이션 순서(410) 모두에서 IRAP 픽처(402)를 따른다. 2개의 리딩 픽처(404) 및 1개의 트레일링 픽처(406)가 도 4에 도시되어 있지만, 당업자는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더 많거나 더 적은 리딩 픽처(404) 및/또는 트레일링 픽처(406)가 디코딩 순서(408) 및 프리젠테이션 순서(410)에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4의 리딩 픽처(404)는 4는 랜덤 액세스 스킵 리딩(Random Access Skipped Lading, RASL)과 RADL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디코딩이 IRAP 픽처(402)(예를 들어, 픽처 1)로 시작될 때, RADL 픽처(예를 들어, 픽처 3)는 적절하게 디코딩될 수 있고; 그렇지만, RASL 픽처(예를 들어, 픽처 2)는 적절하게 디코딩될 수 없다. 따라서 RASL 픽처는 폐기된다. RADL과 RASL 픽처의 구분에 비추어, IRAP 픽처와 관련된 리딩 픽처의 유형은 효율적이고 적절한 코딩을 위해 RADL 또는 RASL로 식별되어야 한다. HEVC에서, RASL 및 RADL 픽처가 존재할 때, 동일한 IRAP 픽처와 연관된 RASL 및 RADL 픽처에 대해, RASL 픽처가 프리젠테이션 순서(410)에서 RADL 픽처보다 선행해야 한다는 것이 제한된다.
IRAP 픽처(402)는 다음의 두 가지 중요한 기능/이점을 제공한다. 첫째, IRAP 픽처(402)의 존재는 디코딩 프로세스가 그 픽처로부터 시작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기능은 IRAP 픽처(402)가 그 위치에 존재하는 한 디코딩 프로세스가 반드시 비트스트림의 시작일 필요는 없는 비트스트림의 해당 위치에서 시작하는 랜덤 액세스 기능을 허용한다. 둘째, IRAP 픽처(402)의 존재는 RASL 픽처를 제외한 IRAP 픽처(402)에서 시작하는 코딩된 픽처가 이전 픽처에 대한 참조 없이 코딩되도록 디코딩 프로세스를 새로 리프레시한다. 결과적으로 비트스트림에 존재하는 IRAP 픽처(402)를 갖는 것은 IRAP 픽처(402) 및 디코딩 순서(408)에서 IRAP 픽처(402)를 뒤따르는 픽처로 전파하기 위해 IRAP 픽처(402) 이전에 코딩된 픽처의 디코딩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임의의 오류를 중지할 것이다.
IRAP 픽처(402)는 중요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압축 효율에 불이익이 따른다. IRAP 픽처(402)의 존재는 비트레이트의 급증을 야기한다. 압축 효율에 대한 이러한 불이익은 두 가지 이유 때문이다. 첫째, IRAP 픽처(402)가 인트라 예측된 픽처이기 때문에, 픽처 자체는 인터 예측된 픽처인 다른 픽처(예를 들어, 리딩 픽처(404), 트레일링 픽처(406))와 비교할 때 표현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비트를 필요로 할 것이다. 둘째, IRAP 픽처(402)의 존재가 시간적 예측을 깨기 때문에(이는 디코더가 디코딩 프로세스를 새로 리프레시할 것이기 때문이며, 이에 대한 디코딩 프로세스의 동작 중 하나는 디코딩된 픽처 버퍼(DPB)에서 이전 참조 픽처를 제거하는 것이다), IRAP 픽처(402)는 디코딩 순서(408)에서 IRAP 픽처(402)를 뒤따르는 픽처의 코딩이 그들의 인터 예측 코딩을 위한 참조 픽처가 더 적기 때문에 덜 효율적이게 한다(즉, 표현하기 위해 더 많은 비트를 필요로 한다).
IRAP 픽처(402)로 간주되는 픽처 유형 중에서, HEVC의 IDR 픽처는 다른 픽처 유형과 비교할 때 상이한 시그널링 및 유도를 갖는다. 일부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IDR 픽처의 POC(picture order count) 값의 시그널링 및 유도를 위해, POC의 최상위 비트(Most Significant Bit, MSB) 부분은 이전 키 픽처로부터 유도되지 않고 단순히 0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참조 픽처 관리에 필요한 시그널링 정보의 경우, IDR 픽처의 슬라이스 헤더는 참조 픽처 관리를 돕기 위해 시그널링되어야 하는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다른 픽처 유형(즉, CRA, 트레일링(Trailing), 일시적 서브-계층 액세스(temporal sub-layer access, TSA) 등)의 경우, 아래에서 설명하는 참조 픽처 세트(reference picture set, RPS)와 같은 정보 또는 다른 형태의 유사한 정보(예를 들어, 참조 픽처 목록)는 참조 픽처 마킹 프로세스(즉, 참조에 사용되거나 참조에 사용되지 않는 디코딩된 픽처 버퍼(DPB)에서 참조 픽처의 상태를 결정하는 프로세스)에 필요하다. 그러나 IDR 픽처의 경우, IDR의 존재는 디코딩 프로세스가 DPB의 모든 참조 픽처를 참조에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간단히 표시해야 함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러한 정보는 시그널링될 필요가 없다.
HEVC 및 VVC에서, IRAP 픽처(402) 및 리딩 픽처(404)는 각각 단일 네트워크 추상 계층(Network Abstraction Layer, NAL) 유닛 내에 포함될 수 있다. NAL 유닛들의 집합은 액세스 유닛으로 지칭될 수 있다. IRAP 픽처(402) 및 리딩 픽처(404)는 시스템 레벨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쉽게 식별될 수 있도록 상이한 NAL 유닛 유형이 부여된다. 예를 들어, 비디오 스플라이서는 코딩된 비트스트림의 신택스 요소의 너무 많은 세부사항을 이해할 필요 없이 코딩된 픽처 유형을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 특히 비-IRAP 픽처로부터 IRAP 픽처(402)를 식별하고 트레일링 픽처(406)로부터 RASL 픽처 및 IRAP 픽처(402)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리딩 픽처(404)를 식별하기 위해 그러하다. 트레일링 픽처(406)는 IRAP 픽처(402)와 연관되고 표시 순서(410)에서 IRAP 픽처(402)를 따르는 픽처이다. 픽처는 디코딩 순서(408)에서 특정 IRAP 픽처(402)를 따르고 디코딩 순서(408)에서 임의의 다른 IRAP 픽처(402)보다 선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IRAP 픽처(402) 및 리딩 픽처(404)에 그들 자신의 NAL 유닛 유형을 제공하는 것은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을 돕는다.
HEVC의 경우, IRAP 픽처에 대한 NAL 유닛 유형은 다음을 포함한다:
BLA(리딩 픽처 포함)(BLA_W_LP): 디코딩 순서에서 하나 이상의 리딩 픽처가 뒤따를 수 있는 BLA(Broken Link Access) 픽처의 NAL 유닛.
RADL이 있는 BLA(BLA_W_RADL): 디코딩 순서에서 하나 이상의 RADL 픽처가 뒤따를 수 있지만 RASL 픽처가 없을 수 있는 BLA 픽처의 NAL 유닛.
리딩 픽처가 없는 BLA(BLA_N_LP): 디코딩 순서에서 리딩 픽처가 뒤따르지 않는 BLA 픽처의 NAL 유닛.
RADL이 있는 IDR(IDR_W_RADL): 디코딩 순서에서 하나 이상의 RADL 픽처가 뒤따를 수 있지만 RASL 픽처가 없을 수 있는 IDR 픽처의 NAL 유닛.
리딩 픽처가 없는 IDR(IDR_N_LP): 디코딩 순서에서 리딩 픽처가 뒤따르지 않는 IDR 픽처의 NAL 유닛.
CRA: 리딩 픽처(즉, RASL 픽처 또는 RADL 픽처 또는 둘 다)가 뒤따를 수 있는 클린 랜덤 액세스(Clean Random Access, CRA) 픽처의 NAL 유닛.
RADL: RADL 픽처의 NAL 유닛.
RASL: RASL 픽처의 NAL 유닛.
VVC의 경우, IRAP 픽처(402) 및 리딩 픽처(404)에 대한 NAL 유닛 유형은 다음과 같다:
RADL이 있는 IDR(IDR_W_RADL): 디코딩 순서에서 하나 이상의 RADL 픽처가 뒤따를 수 있지만 RASL 픽처가 없을 수 있는 IDR 픽처의 NAL 유닛.
리딩 픽처가 없는 IDR(IDR_N_LP): 디코딩 순서에서 리딩 픽처가 뒤따르지 않는 IDR 픽처의 NAL 유닛.
CRA: 리딩 픽처(즉, RASL 픽처 또는 RADL 픽처 또는 둘 다)가 뒤따를 수 있는 클린 랜덤 액세스(Clean Random Access, CRA) 픽처의 NAL 유닛.
RADL: RADL 픽처의 NAL 유닛.
RASL: RASL 픽처의 NAL 유닛.
프로그레시브 인트라 리프레시/점진적 디코딩 리프레시가 아래에서 논의된다.
낮은 지연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비-IRAP(즉, P-/B-) 픽처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비트레이트 요구사항으로 인해 픽처를 IRAP 픽처(예를 들어, IRAP 픽처(402))로서 코딩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더 많은 대기 시간/지연이 발생한다. 그러나 모든 저지연 애플리케이션에서 IRAP 사용을 완전히 피하는 것은 불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자간 원격 회의와 같은 대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새 사용자가 원격 회의에 참여할 수 있는 정기적인 지점을 제공해야 한다.
새로운 사용자가 다자간 원격 회의 애플리케이션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비트스트림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한 가지 가능한 전략은 비트레이트의 피크를 갖는 것을 피하기 위해 IRAP 픽처를 사용하는 대신 프로그레시브 인트라 리프레시 기술(PIR)을 사용하는 것이다. PIR은 또한 점진적 디코딩 리프레시(GDR)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PIR 및 GDR이라는 용어는 혼용될 수 있다.
도 5는 점진적 디코딩 리프레시(GDR) 기술(500)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GDR 기술(500)은 비트스팀의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CVS)(508) 내의 GDR 픽처(502), 하나 이상의 트레일링 픽처(504), 및 복구 포인트 픽처(506)를 사용하여 도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GDR 픽처(502), 트레일링 픽처(504), 및 복구 포인트 픽처(506)는 CVS(508)에서 GDR 기간을 정의할 수 있다. CVS(508)는 GDR 픽처(502)로 시작하는 일련의 픽처이며, 다음 GDR 픽처까지 또는 비트스트림의 끝까지 모든 픽처(또는 그 일부)를 포함하지만 포함하지 않는다. GDR 기간은 GDR 픽처(502)로 시작하는 일련의 픽처이며, 복구 포인트 픽처(506)까지의 모든 픽처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GDR 기술(500) 또는 원리는 GDR 픽처(502)로 시작하여 복구 포인트 픽처(506)로 끝나는 일련의 픽처에 걸쳐 작동한다. GDR 픽처(502)는 인트라 예측을 사용하여 모두 코딩되는 블록(즉, 인트라-예측된 블록)을 포함하는 리프레시/클린 영역(510) 및 인터 예측을 사용하여 모두 코딩되는 블록(즉, 인터-예측된 블록)을 포함하는 리프레시되지 않은/더티 영역(512)을 포함한다.
GDR 픽처(502)에 바로 인접한 트레일링 픽처(504)는 인트라 예측을 사용하여 코딩된 제1 부분(510A) 및 인터 예측을 사용하여 코딩된 제2 부분(510B)을 갖는 리프레시된/클린 영역(510)을 포함한다. 제2 부분(510B)은 예를 들어 CVS(508)의 GDR 기간 내의 리딩 픽처의 리프레시/클린 영역(510)을 참조함으로써 코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링 픽처(504)의 리프레시/클린 영역(510)은 코딩 프로세스가 일관된 방향(예를 들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으로 이동하거나 진행할 때 확장하며, 이에 상응해서 리프레시되지 않은/더티 영역(512)을 축소한다. 특히, 그리고 아래에서 더 논의되는 바와 같이, 인터-예측 블록으로서 코딩된 리프레시된/클린 영역(510)의 제2 부분(510B)은 참조 픽처에서 리프레시된 영역/클린 영역(510)만을 참조할 수 있다.
HEVC에서, 도 5의 GDR 기술(500)은 복구 포인트 SEI(Supplemental Enhancement Information) 메시지 및 영역 리프레시 정보 SEI 메시지를 사용하여 비정규적으로 지원되었다. 이 두 SEI 메시지는 GDR이 수행되는 방식을 정의하지 않는다. 오히려, 두 개의 SEI 메시지는 단순히 GDR 기간(즉, 복구 포인트 SEI 메시지에 의해 제공됨) 및 리프레시되는 영역(즉, 영역 리프레시 정보 SEI 메시지에 의해 제공됨)의 첫 번째 및 마지막 픽처를 나타내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실제로, GDR 기술(500)은 2개의 기술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러한 두 가지 기술은 모션 벡터에 대한 제약 인트라 예측(CIP) 및 인코더 제약이다. CIP는 GDR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데, 특히 CIP는 참조를 위해 사용되는 리프레시되지 않은 영역(예를 들어, 리프레시되지 않은/더티 영역(512))으로부터 샘플을 사용하지 않는 영역을 허용하기 때문에 인트라 예측된 블록(예를 들어, 리프레시된/정리된 영역(510)의 제1 부분(510A))으로만 코딩되는 영역을 코딩될 수 있다. 그러나 CIP를 사용하는 경우 인트라 블록에 대한 제약이 리프레시된 영역의 인트라 블록뿐만 아니라 픽처의 모든 인트라 블록에 적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심각한 코딩 성능 저하를 야기한다. 모션 벡터에 대한 인코더 제약 조건은 인코더가 리프레시된 영역 외부에 있는 참조 픽처의 샘플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제한한다. 이러한 제약은 최적이 아닌 모션 검색을 유발한다.
도 6은 GDR을 지원하기 위해 인코더 제한을 사용할 때 바람직하지 않은 모션 검색(600)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션 검색(600)은 현재 픽처(602) 및 참조 픽처(604)를 묘사한다. 현재 픽처(602) 및 참조 픽처(604)는 각각 인트라 예측으로 코딩된 리프레시된 영역(606), 인터 예측으로 코딩된 리프레시된 영역(608) 및 리프레시되지 않은 영역을 포함한다. 리프레시된 영역(604), 리프레시된 영역(606), 및 리프레시되지 않은 영역(608)은 도 5에서의 리프레시된/클린 영역(510)의 제1 부분(510A), 리프레시된/클린 영역(510)의 제2 부분(510B), 및 리프레시되지 않은/더티 영역(512)과 유사하다.
모션 검색 프로세스 동안, 인코더는 참조 블록(612)의 샘플 중 일부가 리프레시된 영역(606) 외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임의의 모션 벡터(610)를 선택하는 것이 제한되거나 방지된다. 이것은 참조 블록(612)이 현재 픽처(602)에서 현재 블록(614)을 예측할 때 최상의 왜곡률 비용 기준을 제공할 때에도 발생한다. 도 6은 GDR을 지원하기 위해 인코더 제한을 사용할 때 모션 검색(600)에서 최적이 아닌 이유를 예시한다.
JVET 기여 JVET-K0212 및 JVET-L0160은 CIP 및 인코더 제약 접근 방식의 사용에 기초한 GDR의 구현을 설명한다. 구현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인트라 예측 모드는 코딩 단위에 대해 열 기반으로 강제되고, 제한된 인트라 예측은 인트라 CU의 재구성을 보장하기 위해 인에이블링되고, 모션 벡터는 필터(예를 들어, 6픽셀)에 대한 오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여백을 확보하고 인트라 열을 다시 반복할 때 이전 참조 픽처를 제거한다.
JVET 기여 JVET-M0529는 픽처가 GDR 기간에서 규범적으로 처음이자 마지막임을 나타내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아이디어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NAL 유닛 유형 복구 포인트 표시를 갖는 새로운 NAL 유닛을 비-비디오 코딩 계층(VCL) NAL 유닛으로 정의한다. NAL 유닛의 페이로드는 GDR 기간에서 마지막 픽처의 POC 값을 유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정보를 지정하는 신택스 요소를 포함한다. 유형 복구 포인트 지시가 있는 비-VCL NAL 유닛을 포함하는 액세스 단위를 복구 포인트 시작(RBP) 액세스 단위(AU)라고 하고 RBP 액세스 단위의 픽처를 RBP 픽처라고 한다. 디코딩 프로세스는 RBP AU에서 시작할 수 있다. RBP AU부터 디코딩이 시작되면 마지막 픽처를 제외한 GDR 구간의 모든 픽처가 출력되지 않는다.
기존 GDR 설계의 일부 문제가 논의된다.
GDR을 지원하기 위한 기존 설계/접근법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JVET-M0529에서 GDR을 규범적으로 정의하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제안하는 방법은 GDR이 어떻게 수행되는지 설명하지 않는다. 대신 제안하는 방법은 GDR 기간의 첫 번째 픽처 및 마지막 픽처를 표시하기 위한 일부 시그널링만 제공한다. GDR 기간의 첫 번째 및 마지막 픽처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새로운 비-VCL NAL(non-VCL NAL) 단위가 필요하다. 이는 RPI(복구 포인트 지시) NAL 유닛에 포함된 정보가 GDR 기간의 첫 번째 픽처의 타일 그룹 헤더에 간단히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중복된다. 또한 제안하는 방법은 GDR 기간의 픽처에서 리프레시된 영역과 리프레시되지 않은 영역을 기술할 수 없다.
JVET-K0212 및 JVET-L0160에 설명된 GDR 접근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CIP의 사용. 리프레시되지 않은 영역의 샘플이 공간 참조에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몇 가지 제약이 있는 인트라 예측으로 리프세시된 영역을 코딩해야 한다. CIP가 사용되는 경우 코딩은 픽처 기반이며, 이는 픽처의 모든 인트라 블록도 CIP 인트라 블록으로 코딩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성능이 저하된다. 또한, 모션 검색을 제한하기 위한 인코더 제약의 사용은 모션 벡터와 연관된 참조 블록의 샘플이 참조 픽처의 리프레시된 영역 내에 완전히 있지 않을 때 인코더가 최상의 모션 벡터를 선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인트라 예측으로만 코딩된 리프레시 영역은 CTU 크기가 아니다. 대신 리프레시된 영역은 CTU 크기보다 작아서 최소 CU 크기까지 줄어들 수 있다. 이는 블록 수준에서 표시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구현을 불필요하게 복잡하게 만든다.
비디오 코딩에서 점진적 디코딩 리프레시(GDR)를 지원하기 위한 기술이 여기에 개시된다. 개시된 기술은 인트라 랜덤 액세스 포인트(IRAP) 픽처를 사용할 필요 없이 랜덤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레시브 인트라 리프레시를 허용한다. 점진적 디코딩 리프레시(gradual decoding refresh, GDR) 플래그의 값은 GDR 픽처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GDR 플래그가 GDR 픽처가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내면,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coded video sequence, CVS)의 디코딩이 GDR 픽처에서 개시된다. IRAP 픽처 대신 GDR 픽처를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감소된 종단간 지연(end to end delay)(즉, 레이턴시)을 허용하는 IRAP 픽처의 크기에 대한 GDR 픽처의 크기로 인해 더 부드럽고 일관된 비트레이트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비디오 코딩의 코더/디코더(일명 "코덱")는 현재 코덱에 비해 향상된다. 실질적으로, 개선된 비디오 코딩 프로세스는 비디오가 전송, 수신 및/또는 시청될 때 사용자에게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위에서 논의된 문제 중 하나 이상을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은 다음 관점을 개시한다. 각 측면은 개별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일부는 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1) 유형 GDR_NUT를 갖는 VCL NAL 유닛이 정의된다.
. NAL 유닛 타입이 GDR_NUT인 픽처를 GDR 픽처, 즉 GDR 주기의 첫 번째 픽처라고 한다.
b. GDR 픽처는 0과 같은 temporalID를 갖는다.
c. GDR 픽처를 포함하는 액세스 단위를 GDR 액세스 단위라고 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액세스 단위는 NAL 유닛의 집합이다. 각 NAL 유닛은 단일 픽처를 포함할 수 있다.
2)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CVS)는 GDR 액세스 단위로 시작할 수 있다.
3) GDR 액세스 유닛은 다음 중 하나가 참일 때 CVS의 제1 액세스 유닛이다:
a. GDR 액세스 단위는 비트스트림의 제1 액세스 단위이다.
b. GDR 액세스 단위는 EOS(End-of-sequence) 액세스 단위 바로 다음에 온다.
c. GDR 액세스 단위는 EOB(end-of-bitstream) 액세스 단위 바로 다음에 온다.
d. NoIncorrectPicOutputFlag라고 하는 디코더 플래그는 GDR 픽처와 연관되며 플래그 값은 디코더 외부의 엔티티에 의해 1(즉, true)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4) GDR 픽처가 CVS의 제1 액세스 단위인 경우 다음이 적용된다:
a. DPB의 모든 참조 픽처는 "참조에 사용되지 않음"으로 표시된다.
b. 픽처의 POC MSB는 0으로 설정된다.
c. GDR 픽처와 GDR 기간의 마지막 픽처를 제외하고 GDR 기간의 마지막 픽처까지 출력 순서대로 GDR 픽처 뒤에 오는 모든 픽처는 출력되지 않는다(즉, "출력에 필요하지 않음"으로 표시된다).
5) GDR이 인에이블되는지를 지정하기 위한 플래그는 시퀀스 레벨 파라미터 세트(예를 들어, SPS에서)에서 시그널링된다.
a. 플래그는 gdr_enabled_flag로 지정될 수 있다.
b. 플래그가 1일 때, GDR 픽처는 CVS에 존재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플래그가 0과 같을 때 GDR이 활성화되지 않아 GDR 픽처가 CVS에 존재하지 않는다.
6) GDR 기간에서 마지막 픽처의 POC 값을 도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정보는 GDR 픽처의 타일 그룹 헤더에서 시그널링된다.
a. 이 정보는 GDR 기간의 마지막 픽처와 GDR 픽처 사이의 델타 POC로 시그널링된다. 이 정보는 recovery_point_cnt로 지정된 신택스 요소를 사용하여 시그널링될 수 있다.
b. 타일 그룹 헤더에서 신택스 요소 recovery_point_cnt의 존재는 gdr_enabled 플래그의 값 및 픽처의 NAL 유닛 유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플래그는 gdr_enabled_flag가 1이고 nal_unit_type이 1일 때만 존재한다. 타일 그룹을 포함하는 NAL 유닛은 GDR_NUT이다.
7) 타일 그룹이 리프레시된 영역의 일부인지를 지정하는 플래그는 타일 그룹 헤더에서 시그널링된다.
a. 플래그는 refreshed_region_flag로 지정될 수 있다.
b. 플래그의 존재는 gdr_enabled_flag의 값과 타일 그룹을 포함하는 픽처가 GDR 기간 내에 있는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래그는 다음이 모두 참인 경우에만 표시된다.
i. gdr_enabled_flag의 값은 1과 같다.
ii. 현재 픽처의 POC는 마지막 GDR 픽처의 POC 값보다 크거나 같고(현재 픽처가 GDR 픽처인 경우, 마지막 GDR 픽처가 현재 픽처이다), 마지막 GDR 픽처는 현재 픽처이고 GDR 기간의 마지막 픽처의 POC보다 작다.
c. 타일 그룹 헤더에 플래그가 없는 경우 플래그 값은 1로 유추된다.
8) 1과 동일한 refreshed_region_flag를 갖는 모든 타일 그룹은 연결된 영역을 커버한다. 마찬가지로, refreshed_region_flag가 0인 모든 타일 그룹은 연결된 영역도 포함한다.
9) refreshed_region_flag를 갖는 타일 그룹은 유형 I(즉, 인트라 타일 그룹) 또는 B- 또는 P-(즉, 타일 간 그룹)일 수 있다.
10) GDR 픽처로부터 시작하여 GDR 기간의 마지막 픽처까지의 각각의 픽처는 1과 동일한 refreshed_region_flag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타일 그룹을 포함한다.
11) GDR 픽처는 1과 동일한 refreshed_region_flag 및 I와 동일한 tile_group_type(즉, 인트라 타일 그룹)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타일 그룹을 포함한다.
12) gdr_enabled_flag가 1과 같을 때, 직사각형 타일 그룹의 정보, 즉 타일 그룹의 수 및 그 주소는 픽처 파라미터 집합(picture parameter set, PPS) 또는 타일 그룹 헤더에서 시그널링되는 것이 허용된다. 이를 위해 사각형 타일 그룹 정보가 PPS에 존재하는지를 지정하는 플래그가 PPS에 시그널링된다. 이 플래그는 rect_tile_group_info_in_pps_flag라고 부를 수 있다. 이 플래그는 gdr_enabled_flag가 1과 같을 때 1로 제한될 수 있다.
a. 하나의 대안에서, 직사각형 타일 그룹 정보가 PPS에 존재하는지를 시그널링하는 대신에, 타일 그룹 정보(즉, 타일 그룹의 모든 유형 - 예를 들어 직사각형 타일 그룹, 래스터 스캔 타일 그룹)가 PPS에 있는지를 지정하기 위해 더 많은 일반 플래그가 PPP에서 시그널링될 수 있다.
13) 타일 그룹 정보가 PPS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명시적 타일 그룹 식별자(ID) 정보의 시그널링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더 제한될 수 있다. 명시적 타일 그룹 ID 정보는 signaled_tile_group_id_flag, signaled_tile_group_id_length_minus1 및 tile_group_id[ i ]를 포함한다.
14) 픽처에서 리프레시된 영역과 리프레시되지 않은 영역 사이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루프 필터링 동작이 허용되는지를 지정하기 위해 플래그가 시그널링된다.
a. 이 플래그는 PPS에서 시그널링되고 loop_filter_across_refreshed_region_enabled_flag라고 불릴 수 있다.
b. loop_filter_across_refreshed_region_enabled_flag의 존재는 loop_filter_across_tile_enabled_flag의 값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loop_filter_across_tile_enabled_flag가 0과 같을 때, loop_filter_across_refreshed_region_enabled_flag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고 그 값은 0과 같은 것으로 추론된다.
c. 하나의 대안에서, 플래그는 타일 그룹 헤더에서 시그널링될 수 있고 그의 존재는 refreshed_region_flag의 값에 따라 조건이 될 수 있으며, 즉 플래그는 refreshed_region_flag의 값이 1과 동일한 경우에만 존재한다.
15) 타일 그룹이 리프레시된 영역임을 나타내고 리프레시된 영역에 걸친 루프 필터가 허용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다음이 적용된다:
a. 타일 그룹의 경계에서 에지의 디블록킹은 에지를 공유하는 이웃 타일 그룹이 리프레시되지 않은 타일 그룹인 경우 수행되지 않는다.
b. 타일 그룹 경계의 블록에 대한 샘플 적응 오프셋(SAO) 프로세스는 리프레시된 영역 경계 외부의 샘플을 사용하지 않는다.
c. 타일 그룹 경계에 있는 블록에 대한 적응 루프 필터링(adaptive loop filtering, ALF) 프로세스는 리프레시된 영역 경계 외부의 샘플을 사용하지 않는다.
16) gdr_enabled_flag가 1과 같을 때, 각 픽처는 픽처에서 리프레시된 영역의 경계를 결정하기 위해 변수와 연관된다. 이러한 변수는 다음과 같이 호출될 수 있다.
a. 픽처에서 리프레시된 영역의 왼쪽 경계 위치에 대한 PicRefreshedLeftBoundaryPos이다.
b. 픽처에서 리프세시된 영역의 오른쪽 경계 위치에 대한 PicRefreshedRightBoundaryPos이다.
c. 픽처에서 리프세시된 영역의 위쪽 경계 위치에 대한 PicRefreshedTopBoundaryPos이다.
d. 픽처에서 리프세시된 영역의 아래쪽 경계 위치에 대한 PicRefreshedBotBoundaryPos이다.
17) 픽처에서 리프레시된 영역의 경계가 도출될 수 있다. 타일 그룹 헤더가 신택스 분석되고 타일 그룹의 refreshed_region_flag 값이 1과 동일한 후 픽처의 리프레시된 영역의 경계가 디코더에 의해 업데이트된다.
18) 솔루션 17)에 대한 하나의 대안에서, 픽처의 리프레시된 영역의 경계는 픽처의 각 타일 그룹에서 명시적으로 시그널링된다.
a. 타일 그룹이 속한 픽처가 리프레시되지 않은 영역을 포함하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픽처가 리프레시되지 않은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다고 명시될 때, 리프레시된 경계 정보는 시그널링되지 않으며 단순히 픽처 경계와 동일한 것으로 추론될 수 있다.
19) 현재 픽처에 대해, 리프레시된 영역의 경계는 다음과 같이 인루프 필터 프로세스에서 사용된다:
a. 디블록킹 프로세스의 경우, 에지를 디블록킹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리프레시된 영역의 에지를 결정한다.
b. SAO 프로세스의 경우 리프레시 영역에 대한 루프 필터가 허용되지 않을 때 리프레시되지 않은 영역의 샘플을 사용하지 않도록 클리핑 프로세스를 적용할 수 있도록 리프레시 영역의 경계를 결정한다.
c. ALF 프로세스의 경우 리프레시 영역에 대한 루프 필터가 허용되지 않을 때 리프레시되지 않은 영역의 샘플을 사용하지 않도록 클리핑 프로세스를 적용할 수 있도록 리프레시 영역의 경계를 결정한다.
20) 모션 보상 프로세스를 위해, 리프레시된 영역의 경계, 특히 참조 픽처에서 리프레시된 영역의 경계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현재 픽처의 현재 블록이 타일 그룹에 있는 경우 refreshed_region_flag가 1이고 참조 블록이 리프레시되지 않은 영역을 포함하는 참조 픽처에 있는 경우 다음이 적용된다:
a. 현재 블록에서 해당 참조 픽처까지의 모션 벡터는 해당 참조 픽처에서 리프레시된 영역의 경계에 의해 잘린다.
b. 해당 참조 픽처의 샘플에 대한 분수 보간 필터의 경우 해당 참조 픽처에서 리프레시된 영역의 경계에 의해 잘린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설명은 JVET 기고 JVET-M1001-v5인 기본 텍스트와 관련이 있다. 즉, 델타만 기술하고, 아래에 언급되지 않은 기본 텍스트의 텍스트는 그대로 적용된다. 기본 텍스트를 기준으로 수정된 텍스트는 이탤릭체이다.
정의가 제공된다.
3.1 클린 랜덤 액세스(CRA) 픽처: 각 VCL NAL 유닛이 CRA_NUT와 동일한 nal_unit_type을 갖는 IRAP 픽처.
참고 - CRA 픽처는 디코딩 프로세스에서 인터 예측을 위해 자신 이외의 픽처를 참조하지 않으며 디코딩 순서에서 비트스트림의 첫 번째 픽처일 수 있거나 비트스트림에서 나중에 나타날 수 있다. CRA 픽처는 연관된 RADL 또는 RASL 픽처를 가질 수 있다. CRA 픽처가 1과 동일한 NoIncorrectPicOutputFlag를 가질 때, 관련 RASL 픽처는 디코더에 의해 출력되지 않는다. RASL 픽처는 비트스트림에 존재하지 않는 픽처에 대한 참조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디코딩 가능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3.2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CVS): 디코딩 순서에서 NoIncorrectPicOutputFlag가 1인 IRAP 액세스 단위 또는 NoIncorrectPicOutputFlag가 1인 GDR 액세스 단위를 포함하고 0 이상의 액세스가 뒤따르는 액세스 단위 시퀀스 NoIncorrectPicOutputFlag가 1인 GDR 액세스 단위가 아닌 단위 NoIncorrectPicOutputFlag가 1인 단위.
참고 1 - IRAP 액세스 단위는 IDR 액세스 단위 또는 CRA 액세스 단위일 수 있다. NoIncorrectPicOutputFlag의 값은 디코딩 순서에서 비트스트림의 제1 액세스 단위인 각 IDR 액세스 단위 및 각 CRA 액세스 단위에 대해 1과 같거나, 디코딩 순서에서 시퀀스 NAL 유닛의 끝을 뒤따르는 제1 액세스 단위이거나, HandleCraAsCvsStartFlag는 1이다.
참고 2 - NoIncorrectPicOutputFlag의 값은 디코딩 순서에서 비트스트림의 제1 액세스 단위인 각 GDR 액세스 단위에 대해 1과 같거나, 디코딩 순서에서 시퀀스 NAL 유닛의 끝을 뒤따르는 제1 액세스 단위이다. 또는 HandleGdrAsCvsStartFlag가 1과 같다.
3.3 점진적 디코딩 리프레시(GDR) 액세스 유닛: 코딩된 픽처가 GDR 픽처인 액세스 유닛.
3.4 점진적 디코딩 리프레시(GDR) 픽처: 각 VCL NAL 유닛이 GDR_NUT와 동일한 nal_unit_type을 갖는 픽처.
3.5 RASL(Random Access Skipped Leading) 픽처: 각 VCL NAL 유닛이 RASL_NUT와 동일한 nal_unit_type을 갖는 코딩된 픽처.
참고 - 모든 RASL 픽처는 연관된 CRA 픽처의 리딩 픽처이다. 연관된 CRA 픽처가 1과 동일한 NoIncorrectPicOutputFlag를 가질 때, RASL 픽처가 비트스트림에 존재하지 않는 픽처에 대한 참조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RASL 픽처가 출력되지 않고 올바르게 디코딩되지 않을 수 있다. RASL 픽처는 non-RASL 픽처의 디코딩 과정을 위한 참조 픽처로 사용되지 않는다. 존재하는 경우, 모든 RASL 픽처는 디코딩 순서에서 동일한 관련 CRA 픽처의 모든 트레일링 픽처보다 우선한다.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원시 바이트 시퀀스 페이로드(raw byte sequence payload , RBSP) 신택스 및 의미.
Figure pct00001
1과 동일한 gdr_enabled_flag는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에 GDR 픽처가 존재할 수 있음을 지정한다. 0과 동일한 gdr_enabled_flag는 GDR 픽처가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에 존재하지 않음을 지정한다.
픽처 파라미터 세트 RBSP 신택스 및 시맨틱.
Figure pct00002
1과 동일한 rect_tile_group_info_in_pps_flag는 직사각형 타일 그룹 정보가 PPS에서 시그널링됨을 지정한다. 0과 동일한 rect_tile_group_info_in_pps_flag는 직사각형 타일 그룹 정보가 PPS에서 시그널링되지 않음을 지정한다.
활성 SPS에서 gdr_enabled_flag의 값이 0과 같을 때 rect_tile_group_info_in_pps_flag의 값이 0과 같아야 하는 것은 비트스트림 적합성의 요구사항이다.
1과 동일한 loop_filter_across_refreshed_region_enabled_flag는 인루프 필터링 동작이 PPS를 참조하는 픽처에서 1과 동일한 refreshed_region_flag를 갖는 타일 그룹의 경계에 걸쳐 수행될 수 있음을 지정한다. 0과 동일한 loop_filter_across_refreshed_region_enabled_flag는 PPS를 참조하는 픽처에서 1과 동일한 refreshed_region_flag를 갖는 타일 그룹의 경계를 가로질러 인루프 필터링 동작이 수행되지 않음을 지정한다. 인루프 필터링 작업에는 디블로킹 필터, 샘플 적응형 오프셋 필터 및 적응형 루프 필터 작업이 포함된다. 존재하지 않을 때, loop_filter_across_refreshed_region_enabled_flag의 값은 0과 같은 것으로 추론된다.
1과 동일한 signalled_tile_group_id_flag는 각 타일 그룹에 대한 타일 그룹 ID가 시그널링되는 것을 지정한다. 0과 동일한 signalled_tile_group_index_flag는 타일 그룹 ID가 시그널링되지 않음을 지정한다. 존재하지 않는 경우 signalled_tile_group_index_flag의 값은 0과 동일한 것으로 유추된다.
signalled_tile_group_id_length_minus1 더하기 1은 존재하는 경우 신택스 요소 tile_group_id[ i ] 및 타일 그룹 헤더의 신택스 요소 tile_group_address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비트 수를 지정한다. signalled_tile_group_index_length_minus1의 값은 0에서 15까지의 범위에 있어야 한다. 존재하지 않는 경우 signalled_tile_group_index_length_minus1의 값은 다음과 같이 추론된다:
rect_tile_group_info_in_pps_flag가 1과 같으면 Ceil( Log2( num_tile_groups_in_pic_minus1 + 1 ) ) - 1이다.
그렇지 않으면, Ceil( Log2( NumTilesInPic ) ) - 1
일반 타일 그룹 헤더 신택스 및 의미.
Figure pct00003
tile_group_address는 타일 그룹에서 첫 번째 타일의 타일 주소를 지정한다. 존재하지 않는 경우 tile_group_address의 값은 0과 동일한 것으로 유추된다.
rect_tile_group_flag가 0과 같으면 다음이 적용된다:
tile_group_address는 식 6-7과 같이 타일 ID이다.
tile_group_address의 길이는 Ceil( Log2 ( NumTilesInPic ) ) 비트이다.
tile_group_address의 값은 0에서 NumTilesInPic - 1(포함)까지의 범위에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고 rect_tile_group_flag가 1이고 rect_tile_group_info_in_pps가 0이면 다음이 적용된다.
tile_group_address는 i번째 타일 그룹의 좌측 상단에 위치한 타일의 타일 인덱스이다.
tile_group_address의 길이는 signalled_tile_group_index_length_minus1 + 1비트이다.
signalled_tile_group_id_flag가 0과 같으면 tile_group_address의 값은 0에서 NumTilesInPic - 1(포함)의 범위에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tile_group_address의 값은 0에서 2( signalled_tile_group_index_length_minus1 + 1 ) - 1(포함)의 범위에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rect_tile_group_flag는 1과 동일하고 rect_tile_group_info_in_pps는 1과 동일), 다음이 적용된다:
tile_group_address는 타일 그룹의 타일 그룹 ID이다.
tile_group_address의 길이는 signalled_tile_group_index_length_minus1 + 1비트이다.
signalled_tile_group_id_flag가 0과 같으면 tile_group_address의 값은 0에서 num_tile_groups_in_pic_minus1까지의 범위에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tile_group_address의 값은 0에서 2( signalled_tile_group_index_length_minus1 + 1 ) - 1(포함)의 범위에 있어야 한다.
bottom_right_tile_id는 타일 그룹의 오른쪽 하단 모서리에 위치한 타일의 타일 인덱스를 지정한다. single_tile_per_tile_group_flag가 1일 때 bottom_right_tile_id는 tile_group_address와 동일한 것으로 추론된다. bottom_right_tile_id 신택스 요소의 길이는 Ceil( Log2( NumTilesInPic) ) 비트이다.
현재 타일 그룹의 타일 수를 지정하는 변수 NumTilesInCurrTileGroup, 타일 그룹의 상단 왼쪽 타일의 타일 인덱스를 지정하는 TopLeftTileIdx, 타일 그룹의 하단 오른쪽 타일의 타일 인덱스를 지정하는 BottomRightTileIdx, 및 현재 타일 그룹에서 i 번째 타일의 타일 인덱스를 지정하는 TgTileIdx[ i ]는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if( rect_tile_group_flag ) {
if ( tile_group_info_in_pps ) {
tileGroupIdx = 0
while( tile_group_address != rect_tile_group_id[ tileGroupIdx ] )
tileGroupIdx++
tileIdx = top_left_tile_idx[ tileGroupIdx ]
BottomRightTileIdx = bottom_right_tile_idx[ tileGroupIdx ]
} else {
tileIdx = tile_group_address
BottomRightTileIdx = bottom_right_tile_id
}
TopLeftTileIdx = tileIdx
deltaTileIdx = BottomRightTileIdx - TopLeftTileIdx
NumTileRowsInTileGroupMinus1 = deltaTileIdx / ( num_tile_columns_minus1 + 1 ) (7-35)
NumTileColumnsInTileGroupMinus1 = deltaTileIdx % ( num_tile_columns_minus1 + 1 )
NumTilesInCurrTileGroup = ( NumTileRowsInTileGroupMinus1 + 1 ) *
( NumTileColumnsInTileGroupMinus1 + 1 )
for( j = 0, tIdx = 0; j < NumTileRowsInTileGroupMinus1 + 1;
j++, tileIdx += num_tile_columns_minus1 + 1 )
for( i = 0, currTileIdx = tileIdx; i < NumTileColumnsInTileGroupMinus1 + 1;
i++, currTileIdx++, tIdx++ )
TgTileIdx[ tIdx ] = currTileIdx
} else {
NumTilesInCurrTileGroup = num_tiles_in_tile_group_minus1 + 1
TgTileIdx[ 0 ] = tile_group_address
for( i = 1; i < NumTilesInCurrTileGroup; i++ )
TgTileIdx[ i ] = TgTileIdx[ i - 1 ] + 1
}
Recovery_poc_cnt 는 디코딩된 픽처의 복구 포인트을 출력 순서로 지정한다. CVS에서 디코딩 순서에서 현재 픽처(즉, GDR 픽처)를 따르는 픽처 picA가 있고 PicOrderCntVal이 현재 픽처의 PicOrderCntVal에 recovery_poc_cnt의 값을 더한 값과 동일한 PicOrderCntVal을 갖는 경우, 픽처 picA는 복구 포인트 픽처로 칭해진다. 그렇지 않으면, 현재 픽처의 PicOrderCntVal에 recovery_poc_cnt의 값을 더한 것보다 더 큰 PicOrderCntVal을 갖는 출력 순서의 첫 번째 픽처를 복구 포인트 픽처라고 한다. 복구 포인트 픽처는 디코딩 순서에서 현재 픽처보다 앞서지 않아야 한다. 출력 순서의 모든 디코딩된 픽처는 복구 포인트 픽처의 출력 순서 위치에서 시작하는 내용에서 정확하거나 대략적으로 올바른 것으로 표시된다. Recovery_poc_cnt의 값은 -MaxPicOrderCntLsb/2에서 MaxPicOrderCntLsb/2-1(포함)의 범위에 있어야 한다.
RecoveryPointPocVal 값은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RecoveryPointPocVal = PicOrderCntVal + recovery_poc_cnt
1과 동일한 refreshed_region_flag 는 타일 그룹의 디코딩이 연관된 GDR의 NoIncorrectPicOutputFlag 값에 관계없이 올바른 재구성된 샘플 값을 생성함을 지정한다. 0과 동일한 refreshed_region_flag는 타일 그룹의 디코딩이 1과 동일한 NoIncorrectPicOutputFlag를 갖는 연관된 GDR에서 시작할 때 부정확한 재구성된 샘플 값을 생성할 수 있음을 지정한다. 존재하지 않는 경우, refreshed_region_flag의 값은 1과 동일한 것으로 추론된다.
참고 x - 현재 픽처 자체는 1과 동일한 NoIncorrectPicOutputFlag를 갖는 GDR 픽처일 수 있다.
타일 그룹 리프레시된 경계는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tileColIdx = TopLeftTileIdx % ( num_tile_columns_minus1 + 1 )
tileRowIdx = TopLeftTileIdx / ( num_tile_columns_minus1 + 1 )
TGRefreshedLeftBoundary = ColBd[ tileColIdx ] << CtbLog2SizeY
TGRefreshedTopBoundary = RowBd[ tileRowIdx ] << CtbLog2SizeY
tileColIdx = BottomRightTileIdx % ( num_tile_columns_minus1 + 1 )
tileRowIdx = BottomRightTileIdx / ( num_tile_columns_minus1 + 1 )
TGRefreshedRightBoundary = ( ( ColBd[ tileColIdx ] + ColWidth[ tileColIdx ] ) << CtbLog2SizeY ) - 1
TGRefreshedRightBoundary = TGRefreshedRightBoundary > pic_width_in_luma_samples ?
pic_width_in_luma_samples : TGRefreshedRightBoundary
TGRefreshedBotBoundary = ( ( RowBd[ tileRowIdx ] + RowHeight[ tileRowIdx ] ) << CtbLog2SizeY )  - 1
TGRefreshedBotBoundary = TGRefreshedBotBoundary > pic_height_in_luma_samples ?
pic_height_in_luma_samples : TGRefreshedBotBoundary
NAL 유닛 헤더 의미론.
표 7-1 - NAL 유닛 유형 코드 및 NAL 유닛 유형 분류
Figure pct00004
...
nal_unit_type이 GDR_NUT와 같을 때, 코딩된 타일 그룹은 GDR 픽처에 속하고, TemporalId는 0과 같을 것이다.
액세스 유닛의 순서 및 CVS에 대한 연관이 논의된다.
이 사양(즉, JVET 기여 JVET-M1001-v5)을 준수하는 비트스트림은 하나 이상의 CVS를 포함한다.
CVS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유닛을 포함한다. NAL 유닛 및 코딩된 픽처의 순서와 액세스 단위에 대한 연관은 7.4.2.4.4절에 설명되어 있다.
CVS의 제1 액세스 단위는 다음 중 하나이다.
- NoBrokenPictureOutputFlag가 1인 IRAP 액세스 유닛.
- NoIncorrectPicOutputFlag가 1인 GDR 액세스 유닛.
비트스트림 순응의 요구사항은 존재하는 경우 시퀀스 NAL 유닛의 끝 또는 비트스트림 NAL 유닛의 끝을 포함하는 액세스 단위 다음의 다음 액세스 단위가 다음 중 하나여야 한다는 것이다:
- IDR 액세스 유닛 또는 CRA 액세스 유닛일 수 있는 IRAP 액세스 유닛.
- GDR 액세스 유닛.
8.1.1 코딩된 픽처에 대한 디코딩 프로세스가 논의된다.
...
현재 픽처가 IRAP 픽처일 때, 다음이 적용된다:
- 현재 픽처가 IDR 픽처이거나, 디코딩 순서에서 비트스트림의 첫 번째 픽처이거나, 또는 디코딩 순서에서 시퀀스 NAL 유닛의 끝을 뒤따르는 첫 번째 픽처인 경우, 변수 NoIncorrectPicOutputFlag는 1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 그렇지 않으면, 이 사양에 지정되지 않은 일부 외부 수단(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이 변수 HandleCraAsCvsStartFlag를 현재 픽처에 대한 값으로 설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경우, 변수 HandleCraAsCvsStartFlag는 외부에서 제공한 값과 동일하게 설정되고 변수 NoIncorrectPicOutputFlag는 HandleCraAsCvsStartFlag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 그렇지 않으면, 변수 HandleCraAsCvsStartFlag는 0과 동일하게 설정되고 변수 NoIncorrectPicOutputFlag는 0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현재 픽처가 GDR 픽처일 때, 다음이 적용된다:
- 현재 픽처가 GDR 픽처, 디코딩 순서에서 비트스트림의 첫 번째 픽처, 또는 디코딩 순서에서 시퀀스 NAL 유닛의 끝을 뒤따르는 첫 번째 픽처인 경우, 변수 NoIncorrectPicOutputFlag는 1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 그렇지 않으면, 이 사양에 지정되지 않은 일부 외부 수단이 변수 HandleGdrAsCvsStartFlag를 현재 픽처에 대한 값으로 설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경우, 변수 HandleGdrAsCvsStartFlag는 외부 수단에 의해 제공된 값과 동일하게 설정되고 변수 NoIncorrectPicOutputFlag는 설정된다. HandleGdrAsCvsStartFlag와 동일하다.
- 그렇지 않으면, 변수 HandleGdrAsCvsStartFlag는 0과 동일하게 설정되고 변수 NoIncorrectPicOutputFlag는 0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
디코딩 프로세스는 현재 픽처 CurrPic에 대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1. NAL 유닛의 디코딩은 8.2절에 명시되어 있다.
2. 8.3절의 프로세스는 타일 그룹 헤더 계층 이상에서 신택스 요소를 사용하여 다음 디코딩 프로세스를 지정한다.
- 픽처 순서 카운트와 관련된 변수 및 기능은 8.3.1절에 지정된 대로 유도된다. 이것은 픽처의 첫 번째 타일 그룹에 대해서만 호출해야 한다.
- 비-IDR 픽처의 각 타일 그룹에 대한 디코딩 프로세스의 시작에서, 참조 픽처 목록 0(RefPicList[ 0 ]) 및 참조 픽처 목록 1(RefPicList[ 1 ])의 유도를 위해 8.3.2절에 지정된 참조 픽처 목록 구성을 위한 디코딩 프로세스가 호출된다.
- 8.3.3절의 참조 픽처 마킹을 위한 디코딩 프로세스가 호출되며, 여기서 참조 픽처는 "참조에 사용되지 않음" 또는 "장기간의 참조에 사용됨"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것은 픽처의 첫 번째 타일 그룹에 대해서만 호출된다.
- PicOutputFlag는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 다음 조건 중 하나가 참일 때 PictureOutputFlag는 0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 현재 픽처는 RASL 픽처가고 연관된 IRAP 픽처의 NoIncorrectPicOutputFlag는 1과 동일하다.
- gdr_enabled_flag는 1과 동일하고 현재 픽처는 NoIncorrectPicOutputFlag가 1과 동일한 GDR 픽처이다.
- gdr_enabled_flag는 1과 동일하고 현재 픽처는 0과 동일한 refreshed_region_flag 및 연관된 GDR 픽처의 NoBrokenPictureOutputFlag가 1과 동일한 하나 이상의 타일 그룹을 포함한다.
- 그렇지 않으면 PicOutputFlag는 1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3. 디코딩 프로세스는 코딩 트리 단위, 스케일링, 변환, 인루프 필터링 등을 위해 호출된다.
4. 현재 픽처의 모든 타일 그룹이 디코딩된 후, 현재 디코딩된 픽처는 "단기간의 참조에 사용됨"으로 표시된다.
픽처 오더 카운트에 대한 디코딩 프로세스가 논의된다.
이 프로세스의 출력은 현재 픽처의 픽처 순서 카운트인 PicOrderCntVal이다.
각각의 코딩된 픽처는 PicOrderCntVal로 표시되는 픽처 순서 카운트 변수와 연관된다.
현재 픽처가 1과 동일한 NoIncorrectPicOutputFlag를 갖는 IRAP 픽처 또는 1과 동일한 NoIncorrectPicOutputFlag를 갖는 GDR 픽처가 아닐 때, 변수 prevPicOrderCntLsb 및 prevPicOrderCntMsb는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 prevTid0Pic이 0과 동일한 TemporalId를 갖고 RASL 또는 RADL 픽처가 아닌 디코딩 순서의 이전 픽처라고 하자.
- 변수 prevPicOrderCntLsb는 prevTid0Pic의 tile_group_pic_order_cnt_lsb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 변수 prevPicOrderCntMsb는 prevTid0Pic의 PicOrderCntMsb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현재 픽처의 변수 PicOrderCntMsb는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 현재 픽처가 1과 동일한 NoIncorrectPicOutputFlag를 갖는 IRAP 픽처 또는 1과 동일한 NoIncorrectPicOutputFlag를 갖는 GDR 픽처일 때, PicOrderCntMsb는 0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 그렇지 않으면 PicOrderCntMsb는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if( ( tile_group_pic_order_cnt_lsb < prevPicOrderCntLsb ) &&
( ( prevPicOrderCntLsb - tile_group_pic_order_cnt_lsb ) >= ( MaxPicOrderCntLsb / 2 ) ) )
PicOrderCntMsb = prevPicOrderCntMsb + MaxPicOrderCntLsb (8-1)
else if( (tile_group_pic_order_cnt_lsb > prevPicOrderCntLsb ) &&
( ( tile_group_pic_order_cnt_lsb - prevPicOrderCntLsb ) > ( MaxPicOrderCntLsb / 2 ) ) )
PicOrderCntMsb = prevPicOrderCntMsb - MaxPicOrderCntLsb
else
PicOrderCntMsb = prevPicOrderCntMsb
PicOrderCntVal는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PicOrderCntVal = PicOrderCntMsb + tile_group_pic_order_cnt_lsb (8-2)
참고 1 - 1과 동일한 NoIncorrectPicOutputFlag를 갖는 모든 IRAP 픽처는 1과 동일한 NoIncorrectPicOutputFlag를 갖는 IRAP 픽처에 대해 PicOrderCntMsb가 0과 동일하게 설정되기 때문에 tile_group_pic_order_cnt_lsb와 동일한 PicOrderCntVal을 가질 것이다.
참고 1 - 1과 동일한 NoIncorrectPicOutputFlag를 갖는 모든 GDR 픽처는 1과 동일한 NoIncorrectPicOutputFlag를 갖는 GDR 픽처에 대해 PicOrderCntMsb가 0과 동일하게 설정되기 때문에 tile_group_pic_order_cnt_lsb와 동일한 PicOrderCntVal을 가질 것이다.
PicOrderCntVal의 값은 -231에서 231 - 1(포함)까지의 범위에 있어야 한다.
현재 픽처가 GDR 픽처일 때, LastGDRPocVal의 값은 PicOrderCntVal과 동일하도록 설정된다.
픽처 리프레시된 경계 위치에 대한 디코딩 프로세스가 논의된다.
이 프로세스는 gdr_enabled_flag가 1일 때만 호출된다.
이 프로세스는 타일 그룹 헤더 신택스 분석이 완료된 후에 호출된다.
이 프로세스의 출력은 PicRefreshedLeftBoundaryPos, PicRefreshedRightBoundaryPos, PicRefreshedTopBoundaryPos, 및 PicRefreshedBotBoundaryPos이며, 현재 픽처의 새로고침된 영역의 경계 위치이다.
각각의 코딩된 픽처는 PicOrderCntVal로 표시되는 리프레시된 영역 경계 위치 변수의 세트와 연관된다.
PicRefreshedLeftBoundaryPos, PicRefreshedRightBoundaryPos, PicRefreshedTopBoundaryPos, 및 PicRefreshedBotBoundaryPos는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타일 그룹이 1과 동일한 refreshed_region_flag를 갖는 현재 픽처의 첫 번째 수신된 타일 그룹이면, 다음이 적용된다:
PicRefreshedLeftBoundaryPos = TGRefreshedLeftBoundary
PicRefreshedRightBoundaryPos = TGRefreshedRightBoundary
PicRefreshedTopBoundaryPos = TGRefreshedTopBoundary
PicRefreshedBotBoundaryPos = TileGroupBotBoundary
그렇지 않으면 refreshed_region_flag가 1과 같으면 다음이 적용된다:
PicRefreshedLeftBoundaryPos = TGRefreshedLeftBoundary < PicRefreshedLeftBoundaryPos ?
TGRefreshedLeftBoundary: PicRefreshedLeftBoundaryPos
PicRefreshedRightBoundaryPos = TGRefreshedRightBoundary > PicRefreshedRightBoundaryPos ?
TGRefreshedRightBoundary: PicRefreshedRightBoundaryPos
PicRefreshedTopBoundaryPos = TGRefreshedTopBoundary < PicRefreshedTopBoundaryPos ?
TGRefreshedTopBoundary: RefreshedRegionTopBoundaryPos
PicRefreshedBotBoundaryPos = TileGroupBotBoundary > PicRefreshedBotBoundaryPos ?
TileGroupBotBoundary: PicRefreshedBotBoundaryPos
참조 픽처 목록 구성을 위한 디코딩 프로세스가 논의된다.
...
1과 동일한 NoIncorrectPicOutputFlag를 갖는 IRAP 픽처 또는 1과 동일한 NoIncorrectPicOutputFlag를 갖는 GDR 픽처가 아닌 각각의 현재 픽처에 대해, maxPicOrderCnt - minPicOrderCnt의 값이 MaxPicOrder2.Lsb보다 작아야 하는 것이 비트스트림 일치의 요구사항이다.
...
참조 픽처 마킹을 위한 디코딩 프로세스
...
현재 픽처가 1과 동일한 NoIncorrectPicOutputFlag를 갖는 IRAP 픽처 또는 1과 동일한 NoIncorrectPicOutputFlag를 갖는 GDR 픽처인 경우, 현재 DPB(존재하는 경우)에 있는 모든 참조 픽처는 "참조에 사용되지 않음"으로 표시된다.
...
시간 루마 모션 벡터 예측을 위한 유도 프로세스가 논의된다.
...
변수 currCb는 루마 위치(xCb, yCb)에서 현재 루마 코딩 블록을 지정한다.
변수 mvLXCol 및 availableFlagLXCol은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 tile_group_temporal_mvp_enabled_flag가 0과 같으면, mvLXCol의 두 구성요소는 모두 0으로 설정되고 availableFlagLXCol은 0으로 설정된다.
- 그렇지 않으면(tile_group_temporal_mvp_enabled_flag가 1과 동일), 다음과 같은 순서화된 단계가 적용된다:
1. 오른쪽 하단에 배치된 모션 벡터는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xColBr = xCb + cbWidth (8-414)
yColBr = yCb + cbHeight (8-415)
leftBoundaryPos = gdr_enabled_flag ?
RefPicList[ X ][ refIdxLX ]가 참조하는 픽처의 PicRefreshedLeftBoundaryPos:
0 (8-415)
topBoundaryPos = gdr_enabled_flag ?
RefPicList[ X ][ refIdxLX ]에 의해 참조되는 픽처의 PicRefreshedTopBoundaryPos:
0 (8-415)
rightBoundaryPos = gdr_enabled_flag ?
RefPicList[ X ][ refIdxLX ]에 의해 참조되는 픽처의 PicRefreshedRightBoundaryPos:
pic_width_in_luma_samples(8-415)
botBoundaryPos = gdr_enabled_flag ?
RefPicList[ X ][ refIdxLX ]에 의해 참조되는 픽처의 PicRefreshedBotBoundaryPos:
pic_height_in_luma_samples(8-415)
- yCb >> CtbLog2SizeY가 yColBr >> CtbLog2SizeY와 같으면, yColBr은 topBoundaryPos에서 botBoundaryPos까지의 범위에 있고 xColBr은 leftBoundaryPos에서 rightBoundaryPos까지의 범위에 있으며 다음이 적용된다:
- 변수 colCb는 ColPic에 의해 지정된 병치된 픽처 내에서 ( ( xColBr >> 3 ) << 3, ( yColBr >> 3 ) << 3 )에 의해 제공된 수정된 위치를 커버하는 루마 코딩 블록을 지정한다.
- 루마 위치( xColCb, yColCb )는 ColPic에 의해 지정된 병치된 픽처의 좌측 상단 루마 샘플에 대해 colCb에 의해 지정된 병치된 루마 코딩 블록의 좌측 상단 샘플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 8.5.2.12절에 명시된 바와 같이 함께 배치된 모션 벡터에 대한 유도 프로세스는 currCb, colCb, ( xColCb, yColCb ), refIdxLX 및 sbFlag가 입력으로서 0으로 설정되어 호출되고, 출력은 mvLXLXCol 및 mvLlagXCol에 할당된다.
- 그렇지 않으면, mvLXCol의 두 구성요소는 모두 0으로 설정되고 availableFlagLXCol은 0으로 설정된다.
2. ...
루마 샘플 쌍선형 보간 프로세스가 논의된다.
이 프로세스에 대한 입력은 다음과 같다:
- a luma location in full-sample units ( xIntL, yIntL ),
- a luma location in fractional-sample units ( xFracL, yFracL ),
- the luma reference sample array refPicLXL.
- 참조 픽처 PicRefreshedLeftBoundaryPos, PicRefreshedTopBoundaryPos, PicRefreshedRightBoundaryPos 및 PicRefreshedBotBoundaryPos의 리프레시된 영역 경계.
...
전체 샘플 단위(xInti, yInti)의 루마 위치는 i = 0..1에 대해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 gdr_enabled_flag가 1과 같으면 다음이 적용된다:
xInt i = Clip3( PicRefreshedLeftBoundaryPos, PicRefreshedRightBoundaryPos, xInt L + i ) (8-458)
yInt i = Clip3( PicRefreshedTopBoundaryPos, PicRefreshedBotBoundaryPos, yInt L + i ) (8-458)
- 그렇지 않으면( gdr_enabled_flag는 0과 동일), 다음이 적용된다:
xInti = sps_ref_wraparound_enabled_flag ?
ClipH( ( sps_ref_wraparound_offset_minus1 + 1 ) * MinCbSizeY, picW, ( xIntL + i ) ) : (8-459)
Clip3( 0, picW - 1, xIntL + i )
yInti = Clip3( 0, picH - 1, yIntL + i ) (8-460)
...
루마 샘플 8-탭 보간 필터링 프로세스가 논의된다.
이 프로세스에 대한 입력은 다음과 같다:
- 전체 샘플 단위의 루마 위치( xIntL, yIntL ),
- 분수 샘플 단위의 루마 위치( xFracL, yFracL ),
- 루마 기준 샘플 어레이 refPicLXL,
- 참조 샘플 패딩 방향 및 양을 지정하는 dir = 0,1인 목록 padVal[ dir ].
- 참조 픽처 PicRefreshedLeftBoundaryPos, PicRefreshedTopBoundaryPos, PicRefreshedRightBoundaryPos, 및 PicRefreshedBotBoundaryPos의 리프레시된 영역 경계.
...
전체 샘플 단위(xInti, yInti)의 루마 위치는 i = 0..7에 대해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 gdr_enabled_flag가 1과 같으면 다음이 적용된다:
xInt i = Clip3( PicRefreshedLeftBoundaryPos, PicRefreshedRightBoundaryPos, xInt L + i - 3 ) (8-830)
yInt i = Clip3( PicRefreshedTopBoundaryPos, PicRefreshedBotBoundaryPos, yInt L + i - 3 ) (8-830)
- 그렇지 않으면(gdr_enabled_flag가 0과 동일), 다음이 적용된다:
xInti = sps_ref_wraparound_enabled_flag ?
ClipH( ( sps_ref_wraparound_offset_minus1 + 1 ) * MinCbSizeY, picW, xIntL + i - 3 ) : (8-831)
Clip3( 0, picW *?*- 1, xIntL + i - 3 )
yInti = Clip3( 0, picH - 1, yIntL + i - 3 ) (8-832)
크로마 샘플 보간 프로세스가 논의된다.
이 프로세스에 대한 입력은 다음과 같다:
- 전체 샘플 단위(xIntC, yIntC)의 크로마 위치,
- 1/32 분수 샘플 단위(xFracC, yFracC)의 크로마 위치,
- 크로마 기준 샘플 어레이 refPicLXC.
- 참조 픽처 PicRefreshedLeftBoundaryPos, PicRefreshedTopBoundaryPos, PicRefreshedRightBoundaryPos, 및 PicRefreshedBotBoundaryPos의 리프레시된 영역 경계.
...
변수 xOffset은 ( sps_ref_wraparound_offset_minus1 + 1 ) * MinCbSizeY ) / SubWidthC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전체 샘플 단위(xInti, yInti)의 크로마 위치는 i = 0..3에 대해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 gdr_enabled_flag가 1과 같으면 다음이 적용된다:
xInt i = Clip3( PicRefreshedLeftBoundaryPos / SubWidthC,
PicRefreshedRightBoundaryPos / SubWidthC, xInt L + i ) (8-844)
yInti = Clip3( PicRefreshedTopBoundaryPos / SubHeightC,
PicRefreshedBotBoundaryPos / SubHeightC, yInt L + i ) (8-844)
- 그렇지 않으면(gdr_enabled_flag가 0과 같다), 다음이 적용된다:
xInti = sps_ref_wraparound_enabled_flag ? ClipH( xOffset, picWC, xIntC + i - 1 ) : (8-845)
Clip3( 0, picWC - 1, xIntC + i - 1 )
yInti = Clip3( 0, picHC - 1, yIntC + i - 1 ) (8-846)
디블로킹 필터 프로세스가 논의된다.
일반 프로세스.
...
디블록킹 필터 프로세스는 다음 유형의 에지를 제외하고 픽처의 모든 코딩 서브블록 에지 및 변환 블록 에지에 적용된다:
- 픽처의 경계에 있는 가장자리,
- 다음이 모두 충족될 때 타일 그룹 tgA의 상한과 일치하는 에지:
- gdr_enabled_flag는 1과 같다.
- 0과 동일한 loop_filter_across_refreshed_region_enabled_flag
- 에지는 타일 그룹 tgB의 하단 경계와 일치하고 tgB의 refreshed_region_flag 값은 tgA의 refreshed_region_flag 값과 다르다.
- 다음이 모두 충족될 때 타일 그룹 tgA의 왼쪽 경계와 일치하는 에지:
- gdr_enabled_flag는 1과 같다.
- 0과 동일한 loop_filter_across_refreshed_region_enabled_flag
- 에지는 타일 그룹 tgB의 오른쪽 경계와 일치하고 tgB의 refreshed_region_flag 값은 tgA의 refreshed_region_flag 값과 다르다.
- loop_filter_across_tiles_enabled_flag가 0과 같을 때 타일 경계와 일치하는 에지,
- tile_group_loop_filter_across_tile_groups_enabled_flag가 0 또는 tile_group_deblocking_filter_disabled_flag가 1인 타일 그룹의 상부 또는 좌측 경계와 일치하는 에지,
- tile_group_deblocking_filter_disabled_flag가 1인 타일 그룹 내의 에지,
- 고려된 구성요소의 8x8 샘플 그리드 경계에 해당하지 않는 에지,
- 에지의 양측이 인터 예측을 사용하는 크로마 성분 내의 에지,
- 연관된 변환 유닛의 에지가 아닌 크로마 변환 블록의 에지,
- ISP_NO_SPLIT와 같지 않은 IntraSubPartitionsSplit 값을 갖는 코딩 단위의 루마 변환 블록에 걸친 에지,
한 방향에 대한 디블로킹 필터 프로세스가 논의된다.
...
코딩 블록 폭 log2CbW, 코딩 블록 높이 log2CbH 및 코딩 블록의 좌측 상단 샘플 위치( xCb, yCb )를 갖는 각각의 코딩 단위에 대해, edgeType이 EDGE_VER와 동일하고 xCb % 8이 0일 때 또는 edgeType EDGE_HOR와 같고 yCb % 8이 0과 같으면 에지는 다음과 같은 순서화된 단계에 따라 필터링된다:
1. 코딩 블록 폭 nCbW는 1 << log2CbW와 동일하게 설정되고 코딩 블록 높이 nCbH는 1 << log2CbH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2. 변수 filterEdgeFlag는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 edgeType이 EDGE_VER와 동일하고 다음 조건 중 하나 이상이 참인 경우 filterEdgeFlag는 0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 현재 코딩 블록의 왼쪽 경계는 픽처의 왼쪽 경계이다.
- 현재 코딩 블록의 왼쪽 경계는 타일의 왼쪽 경계이고 loop_filter_across_tiles_enabled_flag는 0과 같다.
- 현재 코딩 블록의 왼쪽 경계는 타일 그룹의 왼쪽 경계이고 tile_group_loop_filter_across_tile_groups_enabled_flag는 0과 동일하다.
- 현재 코딩 블록의 왼쪽 경계는 현재 타일 그룹의 왼쪽 경계이고 다음 조건이 모두 충족된다.
- gdr_enabled_flag는 1과 같다.
- loop_filter_across_refreshed_region_enabled_flag는 0과 같다.
- 현재 타일 그룹의 왼쪽 경계와 경계를 공유하는 타일 그룹이 존재하고 그의 refreshed_region_flag 값이 현재 타일 그룹의 refreshed_region_flag 값과 다르다.
- 그렇지 않으면 edgeType이 EDGE_HOR와 동일하고 다음 조건 중 하나 이상이 참인 경우, 변수 filterEdgeFlag는 0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 현재 루마 코딩 블록의 상단 경계는 픽처의 상단 경계이다.
- 현재 코딩 블록의 상단 경계는 타일의 상단 경계이고 loop_filter_across_tiles_enabled_flag는 0과 동일하다.
- 현재 코딩 블록의 상단 경계는 타일 그룹의 상단 경계이고 tile_group_loop_filter_across_tile_groups_enabled_flag는 0과 동일하다.
- 현재 코딩 블록의 상단 경계는 현재 타일 그룹의 상단 경계이며 다음 조건이 모두 충족된다.
- gdr_enabled_flag는 1과 같다.
- loop_filter_across_refreshed_region_enabled_flag는 0과 동일하다.
- 현재 타일 그룹의 상단 경계와 경계를 공유하는 타일 그룹이 존재하고 그의 refreshed_region_flag 값이 현재 타일 그룹의 refreshed_region_flag 값과 다르다.
- 그렇지 않으면 filterEdgeFlag가 1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타일이 통합되면 신택스를 조정한다.
3. 2차원 (nCbW)x(nCbH) 어레이 edgeFlags의 모든 요소는 0과 같도록 초기화된다.
SAO에 대한 CTB 수정 프로세스가 논의된다.
...
pcm_loop_filter_disabled_flag, pcm_flag[ xYi의 값에 따라 i = 0..nCtbSw - 1 및 j = 0..nCtbSh - 1인 모든 샘플 위치( xSi, ySj ) 및 ( xYi, yYj )에 대해 ] 및 recPicture[ xSi ][ ySj ]를 포함하는 코딩 블록을 포함하는 코딩 단위의 cu_transquant_bypass_flag, 다음이 적용된다:
- ....
미래의 결정 변환/양자화 우회에 따라 강조 표시된 섹션을 수정한다.
- 그렇지 않고, SaoTypeIdx[ cIdx ][ rx ][ ry ]가 2와 같으면, 다음의 순서화된 단계가 적용된다:
1. k = 0..1에 대한 hPos[ k ] 및 vPos[ k ] 값은 SaoEoClass[ cIdx ][ rx ][ ry ]에 기초하여 표 8-18에 지정된다.
2. 변수 edgeIdx는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 xSik', ySjk' ) = ( xSi + hPos[ k ], ySj + vPos[ k ] ) (8-1128)
( xYik', yYjk' ) = ( cIdx = = 0 ) ? ( xSik', ySjk' ) : ( xSik' * SubWidthC, ySjk' * SubHeightC ) (8-1129)
- k = 0..1인 모든 샘플 위치 ( xSik', ySjk' ) 및 ( xYik', yYjk' )에 대한 다음 조건 중 하나 이상이 참인 경우 edgeIdx는 0으로 설정된다:
- 위치( xSik', ySjk' )의 샘플은 픽처 경계 밖에 있다.
- gdr_enabled_flag는 o 1이고, loop_filter_across_refreshed_region_enabled_flag는 0이고, 현재 타일 그룹의 refreshed_region_flag는 1이며, 위치( xS ik' , yS jk' )에서 샘플을 포함하는 타일 그룹의 refreshed_region_flag는 0과 동일하다.
- 위치( xSik', ySjk' )의 샘플은 다른 타일 그룹에 속하며 다음 두 조건 중 하나가 참이다:
- MinTbAddrZs[ xYik' >> MinTbLog2SizeY ][ yYjk' >> MinTbLog2SizeY ]는 MinTbAddrZs[ xYi >> MinTbLog2SizeY ][ yYj >> MinTbLog2SizeY ]보다 작고 샘플 recPicture[ xSi ][ ySj ]가 속하는 타일 그룹의 tile_group_loop_filter_across_tile_groups_enabled_flag는 0과 같다.
- MinTbAddrZs[ xYi >> MinTbLog2SizeY ][ yYj >> MinTbLog2SizeY ]는 MinTbAddrZs[ xYik' >> MinTbLog2SizeY ][ yYjk' >> MinTbLog2SizeY ]보다 작고 샘플 recPicture[ xSik▽ ][ ySjk▽ ]이 속하는 타일 그룹의 tile_group_loop_filter_across_tile_groups_enabled_flag는 0과 같다.
- loop_filter_across_tiles_enabled_flag는 0이고 위치( xSik', ySjk')의 샘플은 다른 타일에 속한다.
타일 그룹이 없는 타일이 통합될 때 강조 표시된 섹션을 수정한다.
- 그렇지 않으면, edgeIdx는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 다음이 적용된다:
edgeIdx = 2 + Sign( recPicture[ xSi ][ ySj ] - recPicture[ xSi + hPos[ 0 ] ][ ySj + vPos[ 0 ] ] ) +
Sign( recPicture[ xSi ][ ySj ] - recPicture[ xSi + hPos[ 1 ] ][ ySj + vPos[ 1 ] ] ) (8-1130)
- edgeIdx가 0, 1 또는 2와 같을 때 edgeIdx는 다음과 같이 수정된다:
edgeIdx = ( edgeIdx = = 2 ) ? 0 : ( edgeIdx + 1 ) (8-1131)
3. 수정된 픽처 샘플 어레이 saoPicture[ xSi ][ ySj ]는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saoPicture[ xSi ][ ySj ] = Clip3( 0, ( 1 << bitDepth ) - 1, recPicture[ xSi ][ ySj ] +
SaoOffsetVal[ cIdx ][ rx ][ ry ][ edgeIdx ] ) (8-1132)
ALF에 대한 루마 샘플에 대한 코딩 트리 블록 필터링 프로세스가 논의된다.
...
필터링된 재구성된 루마 샘플 alfPictureL[ x ][ y ]의 유도를 위해, 현재 루마 코딩 트리 블록 recPictureL[ x ][ y ] 내부의 각각의 재구성된 루마 샘플은 x, y = 0.. CtbSizeY - 1으로 다음과 같이 필터링된다:
- ...
- 루마 샘플의 주어진 어레이 recPicture 내의 대응하는 루마 샘플( x, y ) 각각에 대한 위치( hx, vy )는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 gdr_enabled_flag가 1과 같으면, loop_filter_across_refreshed_region_enabled_flag가 0이고, 위치( x, y)에서 루마 샘플을 포함하는 타일 그룹 tgA의 refreshed_region_flag가 1과 같으면 다음이 적용된다:
- 위치(h x , v y )가 다른 타일 그룹 tgB에 있고 tgB의 refreshed_region_flag가 0과 같으면, 변수 leftBoundary, rightBoundary, topBoundary, 및 botBoundary는 TGRefreshedLeftBoundary, TGRefreshedRightreshedBoundary 및 TGRefreshedTopBoundary 및 TGRefreshedBotBoundary와 동일하게 각각 설정된다.
- 그렇지 않으면, 변수 leftBoundary, rightBoundary, topBoundary 및 botBoundary는 각각 PicRefreshedLeftBoundaryPos, PicRefreshedRightBoundaryPos, PicRefreshedTopBoundaryPos 및 PicRefreshedBotBoundaryPos와 동일하게 각각 설정된다.
h x = Clip3( leftBoundary, rightBoundary, xCtb + x ) (8-1140)
v y = Clip3( topBoundary, botBoundary, yCtb + y ) (8-1141)
- 그렇지 않으면, 다음이 적용된다:
hx = Clip3( 0, pic_width_in_luma_samples - 1, xCtb + x ) (8-1140)
vy = Clip3( 0, pic_height_in_luma_samples - 1, yCtb + y ) (8-1141)
- ...
루마 샘플에 대한 ALF 전치 및 필터 인덱스에 대한 유도 프로세스가 논의된다.
...
루마 샘플의 주어진 어레이 recPicture 내의 대응하는 루마 샘플(x, y) 각각에 대한 위치(hx, vy)는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 gdr_enabled_flag가 1과 같으면, loop_filter_across_refreshed_region_enabled_flag가 0이고, 위치( x, y)에서 루마 샘플을 포함하는 타일 그룹 tgA의 refreshed_region_flag가 1과 같으면 다음이 적용된다:
- 위치(h x , v y )가 다른 타일 그룹 tgB에 있고 tgB의 refreshed_region_flag가 0과 같으면 변수 leftBoundary, rightBoundary, topBoundary 및 botBoundary는 TGRefreshedLeftBoundary, TGRefreshedRightreshedBoundary, TGRefreshedTopBoundary 및 TGRefreshedBotBoundary와 동일하게 각각 설정된다.
- 그렇지 않으면, 변수 leftBoundary, rightBoundary, topBoundary 및 botBoundary는 각각 PicRefreshedLeftBoundaryPos, PicRefreshedRightBoundaryPos, PicRefreshedTopBoundaryPos 및 PicRefreshedBotBoundaryPos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h x = Clip3( leftBoundary, rightBoundary, x ) (8-1140)
v y = Clip3( topBoundary, botBoundary, y ) (8-1141)
- 그렇지 않으면 다음이 적용된다:
hx = Clip3( 0, pic_width_in_luma_samples - 1, x ) (8-1145)
vy = Clip3( 0, pic_height_in_luma_samples - 1, y ) (8-1146)
크로마 샘플에 대한 코딩 트리 블록 필터링 프로세스가 논의된다.
...
필터링된 재구성된 크로마 샘플 alfPicture[ x ][ y ]의 유도를 위해, 현재 크로마 코딩 트리 블록 recPicture[ x ][ y ] 내부의 각각의 재구성된 크로마 샘플은 x, y = 0..ctbSizeC - 1으로 필터링된다.
- 크로마 샘플의 주어진 어레이 recPicture 내의 대응하는 크로마 샘플( x, y ) 각각에 대한 위치( hx, vy )는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 gdr_enabled_flag가 1과 같으면, loop_filter_across_refreshed_region_enabled_flag가 0이고, 위치( x, y)에서 루마 샘플을 포함하는 타일 그룹 tgA의 refreshed_region_flag가 1과 같으면 다음이 적용된다:
- 위치(h x , v y )가 다른 타일 그룹 tgB에 있고 tgB의 refreshed_region_flag가 0과 같으면 변수 leftBoundary, rightBoundary, topBoundary 및 botBoundary는 TGRefreshedLeftBoundary, TGRefreshedRightreshedBoundary 및 TGRefreshedTopBoundary 및 TGRefreshedBotBoundary와 동일하게 각각 설정된다.
- 그렇지 않으면, 변수 leftBoundary, rightBoundary, topBoundary 및 botBoundary는 각각 PicRefreshedLeftBoundaryPos, PicRefreshedRightBoundaryPos, PicRefreshedTopBoundaryPos 및 PicRefreshedBotBoundaryPos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h x = Clip3( leftBoundary / SubWidthC , rightBoundary / SubWidthC , xCtbC + x ) (8-1140)
v y = Clip3( topBoundary / SubWidthC , botBoundary / SubWidthC , yCtbC + y ) (8-1141)
- 그렇지 않으면 다음이 적용된다:
hx = Clip3( 0, pic_width_in_luma_samples / SubWidthC - 1, xCtbC + x ) (8-1177)
vy = Clip3( 0, pic_height_in_luma_samples / SubHeightC - 1, yCtbC + y ) (8-1178)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점진적 디코딩 리프레시(GDR) 기술(700)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비디오 비트스트림(750)을 예시한다. GDR 기술(700)은 도 5의 GDR 기술(500)과 유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비디오 비트스트림(750)은 또한 코딩된 비디오 비트스트림, 비트스트림, 또는 이들의 변형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스트림(750)은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SPS)(752), 픽처 파라미터 세트(PPS)(754), 슬라이스 헤더(756), 및 이미지 데이터(758)를 포함한다.
SPS(752)는 일련의 픽처(SOP)의 모든 픽처에 공통인 데이터를 포함한다. 대조적으로, PPS(754)는 전체 픽처에 공통된 데이터를 포함한다. 슬라이스 헤더(756)는 예를 들어 슬라이스 유형, 참조 픽처 중 어느 것이 사용될 것인지 등과 같은 현재 슬라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SPS(752) 및 PPS(754)는 일반적으로 파라미터 세트로 지칭될 수 있다. SPS(752), PPS(754) 및 슬라이스 헤더(756)는 NAL(Network Abstraction Layer) 유닛의 유형이다. NAL 유닛은 뒤따르는 데이터의 유형(예를 들어,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지시를 포함하는 신택스 구조이다. NAL 유닛은 VCL(Video Coding Layer)과 비-VCL NAL 유닛으로 분류된다. VCL NAL 유닛은 비디오 픽처의 샘플 값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비-VCL NAL 유닛은 파라미터 집합(많은 수의 VCL NAL 유닛에 적용할 수 있는 중요한 헤더 데이터)와 같은 관련 추가 정보 및 추가 향상 정보(디코딩된 비디오 신호의 유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비디오 픽처의 샘플 값을 디코딩하는 데 필요하지 않은 타이밍 정보 및 기타 추가 데이터)를 포함한다. 당업자는 비트스트림(750)이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다른 파라미터 및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비디오 비트스트림(750)은 CVS(708)에 대응하는 GDR 플래그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GDR 플래그는 SPS(752)에 실려 전송된다. 그러나 GDR 플래그는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비디오 비트스트림(750)의 다른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GDR 플래그는 gdr_enabled_flag로 지정된다. GDR 플래그의 값은 CVS(708)에 대해 GDR이 인에이블되는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GDR 플래그의 값이 일(1)일 때 GDR이 인에이블되고 GDR 플래그의 값이 영(0)일 때 GDR은 인에이블되지 않는다.
도 7의 이미지 데이터(758)는 인코딩 또는 디코딩되는 이미지 또는 비디오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미지 데이터(758)는 비트스트림(750)에서 운반되는 페이로드 또는 데이터로 간단히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미지 데이터(758)는 GDR 픽처(702), 하나 이상의 트레일링 픽처(704), 및 복구 포인트를 포함하는 CVS(708)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GDR 픽처(702), 트레일링 픽처(704), 및 복구 포인트 픽처(706)는 CVS(708)에서 GDR 기간을 정의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GDR 기술(700) 또는 원리는 GDR 픽처(702)에서 시작하여 복구 포인트 픽처(706)로 끝나는 일련의 픽처에 걸쳐 작동한다. GDR 기술(700), GDR 픽처(702), 트레일링 픽처(704), 복구 포인트 픽처(706)는 도 5의 GDR 기술(500), GDR 픽처(502), 트레일링 픽처(504), 복구 포인트 픽처(506)와 유사하다. 따라서, 간결함을 위해, GDR 기술(700)이 구현되는 방식은 도 7과 관련하여 반복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CVS(708)의 GDR 픽처(702), 트레일링 픽처(704), 및 복구 포인트 픽처(706)는 각각 그들 자신의 VCL NAL 유닛(730) 내에 포함된다. CVS(708)의 VCL NAL 유닛(730)의 세트는 액세스 유닛으로 칭해질 수 있다.
CVS(708)에서 GDR 픽처(702)를 포함하는 NAL 유닛(730)은 GDR NAL 유닛 유형(GDR_NUT)을 갖는다. 즉, 일 실시예에서 CVS(708)의 GDR 픽처(702)를 포함하는 NAL 유닛(730)은 트레일링 픽처(704) 및 복구 포인트 픽처(706)에 대해 고유한 NAL 유닛 유형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GDR_NUT는 비트스트림이 IRAP 픽처으로 시작하는 대신에 비트스트림이 GDR 픽처(702)로 시작하도록 허용한다. GDR 픽처(702)의 VCL NAL 유닛(730)을 GDR_NUT로서 지정하는 것은, 예를 들어, 디코더에 CVS(708)의 초기 VCL NAL 유닛(730)이 GDR 픽처(702)를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GDR 픽처(702)는 CVS(708)의 초기 픽처이다. 일 실시예에서, GDR 픽처(702)는 GDR 기간의 초기 픽처이다. 실시예에서, GDR 픽처(702)는 0과 동일한 시간 식별자(ID)를 갖는다. 임시 ID는 다른 픽처에 대한 픽처의 위치 또는 순서를 식별하는 값 또는 숫자이다. 일 실시예에서, GDR_NUT를 갖는 VCL NAL 유닛(730)을 포함하는 액세스 유닛은 GDR 액세스 유닛으로 지정된다. 실시예에서, GDR 픽처(702)는 다른(예를 들어, 더 큰) GDR 픽처의 코딩된 슬라이스이다. 즉, GDR 픽처(702)는 더 큰 GDR 픽처의 일부일 수 있다.
도 8은 비디오 디코더(예를 들어, 비디오 디코더(30))에 의해 구현된 코딩된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방법(800)의 실시예이다. 방법(800)은 디코딩된 비트스트림이 비디오 인코더(예를 들어, 비디오 인코더(20))로부터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수신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방법(800)은 방법이 IRAP 픽처를 사용할 필요 없이 랜덤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레시브 인트라 리프레시를 허용하기 때문에 디코딩 프로세스를 개선한다. IRAP 픽처 대신 GDR 픽처를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IRAP 픽처의 크기에 대한 GDR 픽처의 크기로 인해 더 부드럽고 일관된 비트레이트가 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종단 간 지연(즉, 레이턴시)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제적으로 코덱의 성능이 향상되어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블록(802)에서, 비디오 디코더는 CVS(예를 들어, CVS(708))에 대응하는 GDR 플래그를 포함하는 코딩된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수신한다. 실시예에서, GDR 플래그는 비트스트림(예를 들어, 비트스트림(750))의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예를 들어, SPS(752))에 포함된다. 일 실시예에서, GDR 플래그는 gdr_enabled_flag로 지정된다.
블록(804)에서, 비디오 디코더는 GDR 플래그의 값에 기초하여 GDR 픽처(예를 들어, GDR 픽처(702))가 CVS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즉, DGR 플래그는 GDR이 인에이블되었는지를 나타낸다. 실시예에서, GDR 플래그의 값은 GDR이 인에이블될 때 일(1)이다.
블록(806)에서, 비디오 디코더는 GDR 플래그의 값이 GDR 픽처가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낼 때 GDR 픽처에서 CVS의 디코딩을 개시한다. 블록(808)에서, 비디오 디코더는 디코딩된 CVS에 따라 이미지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이미지는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랩톱, 개인용 컴퓨터 등)의 사용자를 위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800)은 GDR 플래그의 값에 기초하여 GDR이 인에이블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GDR 플래그의 값은 GDR이 인에이블되지 않을 때 영(0)이다.
도 9는 비디오 인코더(예를 들어, 비디오 인코더(20))에 의해 구현된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인코딩하는 방법(900)의 실시예이다. 방법(900)은 (예를 들어, 비디오로부터의) 픽처가 비디오 비트스트림으로 인코딩된 다음 비디오 디코더(예를 들어, 비디오 디코더(30))를 향해 전송될 때 수행될 수도 있다. 방법(900)은 방법이 IRAP 픽처를 사용할 필요 없이 랜덤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레시브 인트라 리프레시를 허용하기 때문에 인코딩 프로세스를 개선한다. IRAP 픽처 대신 GDR 픽처를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IRAP 픽처의 크기에 대한 GDR 픽처의 크기로 인해 더 부드럽고 일관된 비트레이트가 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종단 간 지연(즉, 레이턴시)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제적으로 코덱의 성능이 향상되어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블록(902)에서, 비디오 인코더는 비디오 비트스트림의 CVS에서 GDR 픽처(예를 들어, GDR 픽처(702))를 인코딩한다. 블록(904)에서, 비디오 인코더는 GDR 픽처가 비디오 비트스트림의 CVS에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GDR 플래그를 제1 값으로 설정한다. 실시예에서, GDR 플래그의 값은 GDR 픽처가 존재할 때 일(1)이다. 일 실시예에서, GDR 플래그는 비트스트림(예를 들어, 비트스트림(750))의 시퀀스 파라미터 집합(예를 들어, SPS(752))에서 인코딩된다. 일 실시예에서, GDR 플래그는 gdr_enabled_flag로 지정된다.
블록(904)에서, 비디오 인코더는 GDR이 인에이블될 때 GDR 픽처(예를 들어, GDR 픽처(702))를 비디오 비트스트림의 CVS로 인코딩한다.
블록(906)에서, 비디오 인코더는 비트스트림을 비디오 디코더를 향한 전송을 위해 저장한다. 비디오 비트스트림은 또한 코딩된 비디오 비트스트림 또는 인코딩된 비디오 비트스트림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는 비디오 디코더를 향해 비트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 비디오 디코더에 의해 수신되면, 인코딩된 비디오 비트스트림은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디코딩되어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 등)의 디스플레이 또는 스크린 상에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이미지를 생성 또는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900)은 GDR 플래그의 값에 기초하여 인에이블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GDR 플래그의 값은 GDR이 인에이블되지 않을 때 영(0)이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코딩 디바이스(1000)(예를 들어, 비디오 인코더(20) 또는 비디오 디코더(30))의 개략도이다. 비디오 코딩 디바이스(1000)는 여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개시된 실시예를 구현하기에 적합하다. 비디오 코딩 디바이스(1000)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포트(1010) 및 수신기 유닛(Rx)(1020);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 논리 유닛, 또는 중앙 처리 장치(CPU)(1030);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기 유닛(Tx)(1040) 및 출구 포트(1050);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060)를 포함한다. 비디오 코딩 디바이스(1000)는 또한 입구 포트(1010)에 결합된 광-전기(optical-to-electrical, OE) 컴포넌트, 수신기 유닛(1020), 전송기 유닛(1040), 및 광학 신호 또는 전기 신호의 유출 또는 유입을 위한 출구 포트(105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30)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된다. 프로세서(1030)는 하나 이상의 CPU 칩, 코어(예를 들어, 다중 코어 프로세서로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FPGA),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및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030)는 입구 포트(1010), 수신기 유닛(1020), 전송기 유닛(1040), 출구 포트(1050), 및 메모리(1060)와 통신한다. 프로세서(1030)는 코딩 모듈(1070)을 포함한다. 코딩 모듈(1070)은 위에서 설명된 개시된 실시예를 구현한다. 예를 들면, 코딩 모듈(1070)은 다양한 코덱 기능을 구현, 처리, 준비 또는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코딩 모듈(1070)의 포함은 비디오 코딩 디바이스(1000)의 기능에 대한 실질적인 개선을 제공하고 비디오 코딩 디바이스(1000)를 상이한 상태로 변환하는 효과가 있다. 대안적으로, 코딩 모듈(1070)은 메모리(106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03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으로서 구현된다.
비디오 코딩 장치(1000)는 또한 사용자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입력 및/또는 출력(I/O) 장치(1080)를 포함할 수 있다. I/O 장치(1080)는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등과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I/O 장치(1080)는 또한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등과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그러한 출력 장치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60)는 하나 이상의 디스크, 테이프 드라이브 및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를 포함하며 오버플로 데이터 저장 장치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이 실행을 위해 선택될 때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명령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읽혀진다. 메모리(106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일 수 있고 리드-온리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터너리 콘텐츠-어드레서블 메모리(ternary content-addressable memory, TCAM), 및/또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ndom-access memory, SRAM)일 수 있다.
도 11은 코딩 수단(1100)의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코딩 수단(1100)은 비디오 코딩 디바이스(1102)(예를 들어, 비디오 인코더(20) 또는 비디오 디코더(30))에서 구현된다. 비디오 코딩 디바이스(1102)는 수신 수단(1101)을 포함한다. 수신 수단(1101)은 인코딩될 픽처를 수신하거나 디코딩될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비디오 코딩 장치(1102)는 수신 수단(1101)에 연결된 전송 수단(1107)을 포함한다. 전송 수단(1107)은 비트스트림을 디코더로 전송하거나 디코딩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수단(예를 들어, I/O 장치(1080) 중 하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비디오 코딩 장치(1102)는 저장 수단(1103)을 포함한다. 저장 수단(1103)은 수신 수단(1101) 또는 전송 수단(1107)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다. 저장 수단(1103)은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비디오 코딩 장치(1102)는 또한 처리 수단(1105)을 포함한다. 처리 수단(1105)은 저장 수단(1103)에 연결된다. 처리 수단(1105)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저장 수단(1103)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여기에 설명된 예시적인 방법의 단계가 반드시 설명된 순서대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방법의 단계의 순서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방법에는 추가적인 단계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 특정 단계는 생략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가 본 개시에서 제공되었지만, 개시된 시스템 및 방법은 본 개시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많은 다른 특정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제한적이지 않으며, 그 의도는 여기에 주어진 세부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양한 구성 요소 또는 구성 요소가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통합되거나 특정 기능이 생략되거나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개별적 또는 개별적으로 설명되고 예시된 기술, 시스템, 서브시스템 및 방법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시스템, 모듈, 기술 또는 방법과 결합되거나 통합될 수 있다. 서로 연결되거나 직접 연결되거나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거나 논의된 다른 항목은 전기적으로든 기계적으로든 간에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중간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통신할 수 있다. 변경, 대체 및 변경의 다른 예는 당업자에 의해 확인 가능하고 여기에 개시된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0)

  1. 비디오 디코더에 의해 구현되는 코딩된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상기 코딩된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코딩된 비디오 비트스트림은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coded video sequence, CVS)에 대응하는 점진적 디코딩 리프레시(gradual decoding refresh, GDR) 플래그를 포함함 - ;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상기 GDR 플래그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CVS에 GDR 픽처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GDR 플래그의 값이 상기 GDR 픽처가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낼 때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상기 GDR 픽처에서 상기 CVS의 디코딩을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비디오 디코더가 디코딩된 CVS에 따라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코딩된 비디오 비트스트림 디코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DR 플래그는 상기 비트스트림의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되는, 코딩된 비디오 비트스트림 디코딩 방법.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GDR 플래그는 gdr_enabled_flag로 지정되는, 코딩된 비디오 비트스트림 디코딩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GDR 플래그의 값은 상기 GDR이 인에이블될 때 일(1)인, 코딩된 비디오 비트스트림 디코딩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GDR 플래그는 상기 GDR 픽처가 상기 비디오 비트스트림의 상기 CVS에 존재하지 않을 때 제2 값으로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코딩된 비디오 비트스트림 디코딩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GDR 플래그의 제2 값은 영(0)인, 코딩된 비디오 비트스트림 디코딩 방법.
  7. 비디오 인코더에 의해 구현되는 비디오 비트스트림 인코딩 방법으로서,
    비디오 인코더가 상기 비디오 비트스트림의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coded video sequence, CVS)에서 점진적 디코더 리프레시(gradual decoder refresh, GDR) 픽처를 인코딩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인코더가 상기 GDR 픽처가 상기 비디오 비트스트림의 상기 CVS에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GDR 플래그를 제1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비디오 인코더가 비디오 디코더를 향한 전송을 위해 상기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디오 비트스트림 인코딩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GDR 플래그는 상기 비트스트림의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에서 인코딩되는, 비디오 비트스트림 인코딩 방법.
  9. 제7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GDR 플래그는 gdr_enabled_flag로 지정되는, 비디오 비트스트림 인코딩 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GDR 플래그의 값은 상기 GDR이 인에이블될 때 일(1)인, 비디오 비트스트림 인코딩 방법.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GDR 플래그는 상기 GDR 픽처가 상기 비디오 비트스트림의 상기 CVS에 존재하지 않을 때 제2 값으로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비디오 비트스트림 인코딩 방법.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GDR 플래그의 제2 값은 영(0)인, 비디오 비트스트림 인코딩 방법.
  13. 디코딩 디바이스로서,
    코딩된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기;
    상기 수신기에 결합되고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결합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디코딩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코딩된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수신하고 - 상기 코딩된 비디오 비트스트림은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coded video sequence, CVS)에 대응하는 점진적 디코딩 리프레시(gradual decoding refresh, GDR) 플래그를 포함함 - ;
    상기 GDR 플래그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CVS에 GDR 픽처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GDR 플래그의 값이 상기 GDR 픽처가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낼 때 상기 GDR 픽처에서 상기 CVS의 디코딩을 개시하며; 그리고
    디코딩된 CVS에 따라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디코딩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생성된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디코딩 디바이스.
  15. 인코딩 디바이스로서,
    명령을 포함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결합된 전송기
    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인코딩 디바이스로 하여금:
    비디오 비트스트림의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coded video sequence, CVS)에서 점진적 디코더 리프레시(gradual decoder refresh, GDR) 픽처를 인코딩하고;
    상기 GDR 픽처가 상기 비디오 비트스트림의 상기 CVS에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GDR 플래그를 제1 값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전송기는 상기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비디오 디코더를 향해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인코딩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전송기가 상기 비디오 디코더를 향해 상기 CVS를 전송하기 전에 상기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저장하는, 인코딩 디바이스.
  17. 코딩 장치로서,
    인코딩될 픽처를 수신하거나 디코딩될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상기 수신기에 결합되고, 상기 비트스트림을 디코더로 전송하거나 디코딩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기;
    상기 수신기 또는 상기 전송기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고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여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 및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코딩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코딩 장치.
  19. 시스템으로서,
    인코더; 및
    상기 인코더와 통신하는 디코더
    를 포함하며,
    상기 인코더 또는 상기 디코더는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디코딩 디바이스, 인코딩 디바이스 또는 코딩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20. 코딩 수단으로서,
    인코딩될 픽처를 수신하거나 디코딩될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수단;
    상기 수신 수단에 결합되고, 상기 비트스트림을 디코딩 수단으로 전송하거나 디코딩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수단;
    상기 수신 수단 또는 상기 전송 수단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고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수단; 및
    상기 저장 수단에 결합되고,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여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 및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처리 수단
    을 포함하는 코딩 수단.
KR1020217032495A 2019-03-11 2020-03-11 인코더, 디코더 및 대응 방법 KR202101347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16722P 2019-03-11 2019-03-11
US62/816,722 2019-03-11
US201962871020P 2019-07-05 2019-07-05
US62/871,020 2019-07-05
PCT/US2020/022180 WO2020185957A1 (en) 2019-03-11 2020-03-11 Gradual decoding refresh in video cod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4774A true KR20210134774A (ko) 2021-11-10

Family

ID=72426295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2495A KR20210134774A (ko) 2019-03-11 2020-03-11 인코더, 디코더 및 대응 방법
KR1020217032492A KR20210134390A (ko) 2019-03-11 2020-03-11 인코더, 디코더 및 대응 방법
KR1020217032625A KR20210132197A (ko) 2019-03-11 2020-03-11 인코더, 디코더 및 대응 방법
KR1020217032535A KR20210134036A (ko) 2019-03-11 2020-03-11 인코더, 디코더 및 대응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2492A KR20210134390A (ko) 2019-03-11 2020-03-11 인코더, 디코더 및 대응 방법
KR1020217032625A KR20210132197A (ko) 2019-03-11 2020-03-11 인코더, 디코더 및 대응 방법
KR1020217032535A KR20210134036A (ko) 2019-03-11 2020-03-11 인코더, 디코더 및 대응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6) US11856189B2 (ko)
EP (4) EP3928520A4 (ko)
JP (8) JP7337948B2 (ko)
KR (4) KR20210134774A (ko)
CN (4) CN113924781A (ko)
BR (1) BR112021017985A2 (ko)
MX (4) MX2021011012A (ko)
WO (4) WO20201859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31064B1 (en) 2018-08-17 2024-02-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Reference picture management in video coding
MX2021011012A (es) * 2019-03-11 2021-11-12 Huawei Tech Co Ltd Un codificador, un decodificador y métodos correspondientes.
KR20200110213A (ko) * 2019-03-12 2020-09-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장치
GB2617304B (en) * 2019-03-20 2024-04-03 V Nova Int Ltd Residual filtering in signal enhancement coding
PL3910952T3 (pl) 2019-04-23 2023-10-3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posób dekodowania obrazu, dekoder i nośnik danych
WO2021133721A1 (en) 2019-12-26 2021-07-01 Bytedance Inc. Techniques for implementing a decoding order within a coded picture
US11758171B2 (en) 2019-12-27 2023-09-12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gradual decoding refresh processing on pictures
BR112022018206A2 (pt) * 2020-03-19 2022-10-25 Bytedance Inc Método e aparelho de processamento de vídeo, método de armazenamento de um fluxo contínuo de bits de um vídeo, e, mídia legível por computador
US11533499B2 (en) * 2020-03-31 2022-12-20 Tencent America LLC Method for signaling mixed NAL unit type and subpicture partitioning in coded video stream
US11496730B2 (en) * 2020-04-03 2022-11-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image encoding/decoding using subpicture
WO2022174431A1 (zh) * 2021-02-20 2022-08-25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图像传输方法、可移动平台、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709479B (zh) * 2021-03-19 2022-12-06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基于自适应帧内刷新机制的解码、编码方法及相关设备
WO2023059081A1 (ko) 2021-10-06 2023-04-13 솔브레인 주식회사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92751C (en) * 2002-07-16 2012-06-12 Nokia Corporation A method for random access and gradual picture refresh in video coding
US20040260827A1 (en) * 2003-06-19 2004-12-23 Nokia Corporation Stream switching based on gradual decoder refresh
CN101611612A (zh) * 2007-02-23 2009-12-23 诺基亚公司 聚合媒体数据单元的向后兼容特性
KR20110106465A (ko) * 2009-01-28 2011-09-28 노키아 코포레이션 비디오 코딩 및 디코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TW201210325A (en) * 2010-07-21 2012-03-01 Nokia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switching points in a streaming session
US9131245B2 (en) * 2011-09-23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picture list construction for video coding
US9264717B2 (en) * 2011-10-31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Random access with advanced decoded picture buffer (DPB) management in video coding
US9124895B2 (en) * 2011-11-04 2015-09-01 Qualcomm Incorporated Video coding with network abstraction layer units that include multiple encoded picture partitions
US9736476B2 (en) 2012-04-27 2017-08-15 Qualcomm Incorporated Full random access from clean random access pictures in video coding
KR20190053290A (ko) 2012-06-25 2019-05-17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비디오 인코딩/디코딩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US9225978B2 (en) 2012-06-28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Streaming adaption based on clean random access (CRA) pictures
US9967583B2 (en) * 2012-07-10 2018-05-08 Qualcomm Incorporated Coding timing information for video coding
US9491457B2 (en) 2012-09-28 2016-11-08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of regions of interest and gradual decoding refresh in video coding
US9398293B2 (en) * 2013-01-07 2016-07-19 Qualcomm Incorporated Gradual decoding refresh with temporal scalability support in video coding
US10003815B2 (en) * 2013-06-03 2018-06-19 Qualcomm Incorporated Hypothetical reference decoder model and conformance for cross-layer random access skipped pictures
WO2015031659A1 (en) * 2013-08-28 2015-03-05 Cisco Technology, Inc. Support for trick modes in hevc streams
WO2015047162A1 (en) * 2013-09-26 2015-04-0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Hybrid codec scalable video
CN106416250B (zh) * 2013-12-02 2020-12-04 诺基亚技术有限公司 视频编码和解码
US10560710B2 (en) * 2014-01-03 2020-02-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coding recovery point supplemental enhancement information (SEI) messages and region refresh information SEI messages in multi-layer coding
US10880565B2 (en) * 2014-03-24 2020-12-29 Qualcomm Incorporated Use of specific HEVC SEI messages for multi-layer video codecs
JP6398569B2 (ja) * 2014-10-07 2018-10-03 株式会社ソシオネクスト 画像符号化装置、画像符号化方法および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
WO2017052626A1 (en) * 2015-09-25 2017-03-30 Intel Corporation Power gate with metal on both sides
US20170111642A1 (en) * 2015-10-14 2017-04-20 Qualcomm Incorporated Support of random access and switching of layers and sub-layers in multi-layer video files
US10972755B2 (en) * 2018-12-03 2021-04-06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system of NAL unit header structure for signaling new elements
CN113366843A (zh) * 2018-12-20 2021-09-07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恢复点的规范指示
MX2021011012A (es) * 2019-03-11 2021-11-12 Huawei Tech Co Ltd Un codificador, un decodificador y métodos correspondientes.
US20220150546A1 (en) * 2019-03-11 2022-05-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for recovery point process for video coding and relate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37948B2 (ja) 2023-09-04
JP2022524617A (ja) 2022-05-09
US20210409689A1 (en) 2021-12-30
CN113557733A (zh) 2021-10-26
EP3928520A1 (en) 2021-12-29
US11917134B2 (en) 2024-02-27
CN113615175A (zh) 2021-11-05
MX2021011014A (es) 2021-11-12
US20240163425A1 (en) 2024-05-16
EP3928511A1 (en) 2021-12-29
JP2022526088A (ja) 2022-05-23
KR20210134036A (ko) 2021-11-08
EP3928511A4 (en) 2022-06-22
WO2020185957A1 (en) 2020-09-17
MX2021011038A (es) 2021-10-13
EP3928512A4 (en) 2022-06-22
JP2022524618A (ja) 2022-05-09
EP3928520A4 (en) 2022-08-17
US11973939B2 (en) 2024-04-30
KR20210132197A (ko) 2021-11-03
JP7399977B2 (ja) 2023-12-18
EP3928508A1 (en) 2021-12-29
US20210409691A1 (en) 2021-12-30
US20230156184A1 (en) 2023-05-18
JP2022524810A (ja) 2022-05-10
JP2023160851A (ja) 2023-11-02
KR20210134390A (ko) 2021-11-09
MX2021011013A (es) 2021-11-12
CN113557722A (zh) 2021-10-26
MX2021011012A (es) 2021-11-12
WO2020185956A1 (en) 2020-09-17
BR112021017985A2 (pt) 2021-11-16
JP2023130378A (ja) 2023-09-20
EP3928508A4 (en) 2022-08-17
JP7364685B2 (ja) 2023-10-18
JP7302000B2 (ja) 2023-07-03
CN113924781A (zh) 2022-01-11
JP2023181208A (ja) 2023-12-21
US20210409690A1 (en) 2021-12-30
EP3928512A1 (en) 2021-12-29
JP2024008969A (ja) 2024-01-19
US20220014755A1 (en) 2022-01-13
US11856189B2 (en) 2023-12-26
WO2020185962A1 (en) 2020-09-17
WO2020185959A1 (en) 2020-09-17
US11632545B2 (en) 202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2545B2 (en) Gradual decoding refresh in video coding
US20220014735A1 (en) Handling of Bi-Directional Optical Flow (BIO) Coding Tool for Reference Picture Resampling in Video Coding
EP4221224A1 (en) An encoder, a decoder and corresponding methods
WO2020227060A1 (en) Output of prior pictures for pictures starting a new coded video sequence in video coding
US20220046271A1 (en) Handling of Decoder-Side Motion Vector Refinement (DMVR) Coding Tool for Reference Picture Resampling in Video Co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