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4277A -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4277A
KR20210134277A KR1020210146218A KR20210146218A KR20210134277A KR 20210134277 A KR20210134277 A KR 20210134277A KR 1020210146218 A KR1020210146218 A KR 1020210146218A KR 20210146218 A KR20210146218 A KR 20210146218A KR 20210134277 A KR20210134277 A KR 20210134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window assembly
adhesive
disposed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6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8903B1 (ko
Inventor
안형철
이원일
채병훈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6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8903B1/ko
Publication of KR20210134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4277A/ko
Priority to KR1020220135884A priority patent/KR1025115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01L51/009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7/324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7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omprising two substrates, e.g. display comprising OLED array and TFT driving circuitry on different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단에 부착되는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표시 패널과 비중첩하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연성 회로 기판, 상기 표시 패널의 상면에 배치되는 윈도우 어셈블리,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를 결합하는 접착부, 및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패널과 비중첩되며 상기 굴곡부와 중첩되고, 상기 접착부와 동일층 상에 배치되는 보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DISPLA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불량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시키는 구동 회로 기판,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구동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커버 부재 등을 상기 표시 패널과 결합하는 과정에서 연성 회로 기판에 외력이 작용할 수 있고, 그 결과 연성 회로 기판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연성 회로 기판 위에 배치된 배선에 크랙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불량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단에 부착되는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표시 패널과 비중첩하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연성 회로 기판, 상기 표시 패널의 상면에 배치되는 윈도우 어셈블리,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를 결합하는 접착부, 및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패널과 비중첩되며 상기 굴곡부와 중첩되고, 상기 접착부와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되는 보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상부의 일면은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와 결합되고, 상기 보상부의 일면과 마주하는 다른 일면의 일부는 공기 중에 노출되며 상기 굴곡부와 마주할 수 있다.
평면상에서 상기 부착부와 중첩되며 상기 접착부와 상기 보상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접착부와 상기 보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보상부는 일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착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보상부는 광학용 투명 접착 필름(Optically Clear Adhesive film)일 수 있다.
상기 굴곡부는 상기 표시 패널과 멀어질수록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와의 거리가 작아지는 제1 굴곡부, 및 상기 표시 패널과 멀어질수록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와의 거리가 커지는 제2 굴곡부를 포함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보상부는 상기 제1 굴곡부 및 상기 제2 굴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부착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의 제1 거리는 상기 제1 굴곡부와 상기 보상부 사이의 제2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굴곡부와 상기 제2 굴곡부가 만나는 경계부가 상기 보상부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굴곡부는 상기 제1 굴곡부와 상기 제2 굴곡부 사이에 배치된 제3 굴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굴곡부는 상기 보상부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보상부는 비 접착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상부는 상기 접착부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상부와 상기 접착부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굴곡부와 상기 보상부 사이의 최소 거리는 상기 부착부와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보상부와 상기 굴곡부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보상부의 두께는 상기 접착부의 두께와 같거나, 상기 접착부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는 윈도우 부재, 및 상기 윈도우 부재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의 일면은 상기 터치 패널에 부착되고, 상기 접착부의 다른 일면은 상기 표시 패널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패드부, 상기 베이스 기판 위에 배치된 유기발광소자층, 상기 패드부를 노출시키며 상기 유기발광소자층을 밀봉하는 봉지층, 및 상기 봉지층 위에 배치되는 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 및 상기 터치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와 마주하는 광학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광학부재와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를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단에 부착되며,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으로 벤딩되는 연성 회로 기판, 상기 표시 패널의 상면에 배치되는 윈도우 어셈블리,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를 결합하는 접착부, 및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의 상기 접착부가 부착된 면과 결합되며, 상기 연성 회로 기판과 마주하며 배치되는 보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상부와 상기 연성 회로 기판 사이의 거리는 상기 표시 패널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은 상기 보상부와 접촉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보상부 및 상기 접착부는 서로 연결되어 일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평면상에서 상기 보상부는 상기 표시 패널과 비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단에 부착되며,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으로 벤딩된 연성 회로 기판, 상기 표시 패널 위에 배치된 터치 패널, 상기 터치 패널 위에 배치된 윈도우 부재, 및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터치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 필름은 상기 터치 패널의 일면에 부착되며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되는 영역으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과 비중첩되는 영역까지 연장되어 상기 연성 회로 기판과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연성 회로 기판과 상기 접착 필름 사이의 거리는 상기 표시 패널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패널과 비중첩되는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의 일부분이 상기 접착 필름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은 상기 접착 필름과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에 의하면, 접착 필름을 연장하여 용이하게 윈도우 어셈블리와 연성 회로 기판 사이의 갭을 보상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부재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벤딩된 연성 회로 기판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연성 회로 기판의 위치 및 형태의 변화가 감소될 수 있다. 그 결과, 연성 회로 기판에 불량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표시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효과는 도면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통해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응용되어 변형될 수도 있다. 오히려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 기술 사상을 보다 명확히 하고,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후술될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한편, 하기 실시예와 도면 상에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일 예로써 플랫한 휴대용 단말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커브드 표시 장치, 밴딩형 표시 장치, 롤러블 표시 장치, 폴더블 표시 장치 및 스트레쳐블 표시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표시 장치(DD)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텔레비전 또는 외부 광고판과 같은 대형 전자장치를 비롯하여,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개인 디지털 단말기, 자동차 네비게이션 유닛, 게임기, 휴대용 전자 기기,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 및 카메라와 같은 중소형 전자 장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이것들은 단지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들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은 이상 다른 전자 기기에도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표시 장치(DD)는 표시면 상에서 구분되는 복수 개의 영역들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DD)는 영상(IM)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R), 표시 영역(DR)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NDR)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IM)이 표시되는 표시면은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하고, 상기 표시면의 법선 방향은 제3 방향(DR3)이 지시한다. 제3 방향(DR3)은 각 부재들의 전면과 배면을 구분하는 기준축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100), 연성 회로 기판(110), 보호부재(120), 구동 회로 기판(130), 윈도우 어셈블리(WA), 접착 필름(AF), 및 커버 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생성한다. 표시 패널(10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전기영동 표시 패널, 및 일렉트로 웨팅 표시 패널 등 다양한 형태로 채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 패널(100)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표시 패널(100)은 베이스 기판(BS), 회로층(ML), 유기발광소자층(EL), 봉지층(ECL), 패드부(PAD), 및 광학부재(PL)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BS)은 유리 기판, 사파이어 기판, 및 플라스틱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BS) 위에는 회로층(ML), 유기발광소자층(EL), 봉지층(ECL), 패드부(PAD), 및 광학부재(PL)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회로층(ML)은 표시 패널(10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신호라인들 및 전자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회로층(ML)은 게이트 라인들, 데이터 라인들, 및 화소들 각각에 대응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층(EL)은 발광 물질에 대응하는 컬러의 광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컬러는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봉지층(ECL)은 TFE(Thin Film Encapsulation layer), 즉 복수 개의 무기 박막들 및 복수 개의 유기 박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ECL)은 유기발광소자층(EL)을 커버하며, 공기 및 수분을 차단하여 유기발광소자층(EL)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봉지층(ECL)은 봉지기판으로 대체될 수 있다. 봉지기판은 유기발광소자층(EL)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 부재(BS)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봉지기판과 베이스 부재(BS)는 베이스 부재(BS)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실링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패드부(PAD)는 다수의 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신호 배선들과 일대일 대응하며 전기적으로 연결된 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패드부(PAD)는 연성 회로 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회로 기판(130)으로부터 표시 패널(100)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광학부재(PL)는 위상 지연판 및 편광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부재(PL)과 위상 지연판 및 편광판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위상 지연판 위에 편광판이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어셈블리(WA)의 외부로부터 입사된 외부 광은 편광판을 통과하며 선 편광된다. 선 편광된 입사광은 위상 지연판을 통과한 뒤 반사되어 위상 지연판을 재차 통과한 뒤 편광판에 입사된다. 선 편광된 입사광은 위상 지연판을 통과하며 45°의 위상차를 가지며 원 편광되어 위상이 변화된다. 그 결과, 외부 광은 위상 지연판을 재차 통과한 뒤 편광판을 통과하지 못하고 대부분 소멸된다. 예를 들면, 위상 지연판을 통과하며 우회전 원 편광된 광이 반사되며 좌회전 원 편광으로 변화되고, 우회전 원 편광된 광과 좌회전 원 편광된 광이 상쇄 간섭에 의해 소멸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DD)의 외부광 반사율이 감소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광학부재(PL)는 생략될 수도 있다.
연성 회로 기판(110)은 표시 패널(100)의 일 단에 부착되며, 표시 패널(100)의 배면으로 벤딩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110)은 표시 패널(100)의 일단에 부착되는 부착부(111) 및 부착부(111)로부터 연장된 굴곡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부(111)는 패드부(PA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표시 패널(100)로 신호들을 전달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110)의 일면에는 데이터 구동칩(미도시)이 실장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칩은 외부 신호에 응답하여 표시 패널(100)의 데이터 라인들(도 16의 DL)로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굴곡부(112)는 평면상에서 표시 패널(100)과 비중첩될 수 있다. 예컨대, 표시 패널(10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윈도우 어셈블리(WA)와 마주하는 연성 회로 기판(110)의 일 영역을 굴곡부(112)로 정의할 수 있다.
굴곡부(112)는 제1 굴곡부(112a) 및 제2 굴곡부(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굴곡부(112a)는 표시 패널(100)과 멀어질수록 윈도우 어셈블리(WA)와의 거리(DI1)가 작아질 수 있다. 제2 굴곡부(112b)는 표시 패널(100)과 멀어질수록 윈도우 어셈블리(WA)와의 거리(DI2)가 커질 수 있다. 제1 굴곡부(112a) 및 제2 굴곡부(112b)는 연성 회로 기판(110)이 표시 패널(100)의 배면을 향해 벤딩된 형상을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굴곡부(112a)와 윈도우 어셈블리(WA) 사이의 거리(DI1)는 표시 패널(100)과 멀어져도 일정하며, 제2 굴곡부(112b)와 윈도우 어셈블리(WA) 사이의 거리(DI2)는 표시 패널(100)과 멀어질수록 커질 수 있다.
보호부재(120)는 완충 부재 및 방열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는 충격 흡수율이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완충 부재는 고분자 수지(예를 들어,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로 형성되거나, 고무액, 우레탄 계열 물질, 또는 아크릴 계열 물질을 발포 성형한 스폰지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방열 부재는 방열 특성이 좋은 흑연(graphite), 구리(Cu), 및 알루미늄(A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방열 부재는 방열 특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전자파 차폐 또는 전자파 흡수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
구동 회로 기판(130)은 표시 패널(10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 회로 기판(130)은 연성 회로 기판(110)에 의해 표시 패널(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 회로 기판(130)은 표시 패널(100)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 신호 및 표시 패널(100)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구동 회로 기판(130)은 베이스 기판을 포함하고, 베이스 기판은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 기판은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와 같은 플렉서블한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윈도우 어셈블리(WA)는 표시 패널(1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윈도우 어셈블리(WA)는 터치 패널(200), 윈도우 부재(300), 및 접착 부재(OCA)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200)은 입력 지점의 좌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터치 패널(200)은 표시 패널(1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패널(200)은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전자기 유도 방식 등으로 구분된다. 본 실시예에서 터치 패널(200)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일 수 있다. 터치 패널(200)은 교차하는 2종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고,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는다.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은 셀프캡(self capacitance) 방식 또는 뮤추얼 캡(mutual capacitance) 방식으로 터치된 지점의 좌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300)는 개별로 구분하여 도시하지 않았으나, 베이스 부재, 및 블랙 매트리스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는 실리콘 기판, 유리 기판, 사파이어 기판, 및 플라스틱 필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블랙 매트리스는 베이스 부재의 배면에 배치되어 표시 장치(DD)의 베젤 영역 즉 비표시 영역(도 1의 NDR)을 정의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리스는 유색의 유기층으로써 코팅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부재(300)는 베이스 부재의 전면에 배치된 기능성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코팅층은 지문 방지층, 반사 방지층 및 하드 코팅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200)과 윈도우 부재(300)는 접착 부재(OCA)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착 부재(OCA)는 광학용 투명 점착 필름(Optically Clear Adhesive film)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접착 부재(OCA)는 광학용 수지(Optical Clear Resin)일 수도 있다.
접착 필름(AF)은 윈도우 어셈블리(WA)와 표시 패널(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어셈블리(WA)와 표시 패널(100)은 접착 필름(AF)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착 필름(AF)은 터치 패널(200)의 일면에 부착되며 표시 패널(100)과 중첩되는 영역으로부터 표시 패널(100)과 비중첩되는 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접착 필름(AF)은 접착부(AF_1), 보상부(AF_2) 및 연결부(AF_3)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AF_1)는 평면상에서 표시 패널(100)과 중첩되며, 표시 패널(100)과 윈도우 어셈블리(WA)를 결합할 수 있다. 보상부(AF_2)는 평면상에서 굴곡부(112)와 중첩되며, 윈도우 어셈블리(WA)와 굴곡부(112) 사이의 갭을 보상할 수 있다. 평면상에서 보상부(AF_2)는 표시 패널(100)과 비중첩되는 연성 회로 기판(110)의 절반 이상과 중첩될 수 있다. 연결부(AF_3)는 평면상에서 부착부(111)와 중첩될 수 있다.
연결부(AF_3)는 접착부(AF_1)와 보상부(AF_2) 사이에 배치되며, 접착부(AF_1)와 보상부(AF_2)를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접착부(AF_1), 보상부(AF_2) 및 연결부(AF_3)는 일체로 연결되어 하나의 접착 필름(AF)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접착 필름(AF)이 표시 패널(100)과 비중첩되는 영역까지 연장되어 굴곡부(112)와 중첩될 수 있다. 따라서, 접착부(AF_1), 보상부(AF_2) 및 연결부(AF_3) 각각의 두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부착부(111)와 연결부(AF_3) 사이의 제1 거리(DT1)는 일정할 수 있고, 굴곡부(112)와 보상부(AF_2) 사이의 거리는 표시 패널(100)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상부(AF_2)는 평면상에서 제1 굴곡부(112a)와 중첩된다. 제1 굴곡부(112a)와 보상부(AF_2) 사이의 제2 거리(DT2)는 표시 패널(100)에서 멀어질수록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거리(DT2)는 제1 거리(DT1)보다 작을 수 있고, 굴곡부(112)와 보상부(AF_2) 사이의 최소 거리는 제1 거리(DT1)보다 작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자재의 추가나 공정의 추가 없이 접착 필름(AF)을 연장하여 용이하게 윈도우 어셈블리(WA)와 연성 회로 기판(110) 사이의 갭의 일부를 메울 수 있다. 따라서, 연성 회로 기판(110)이 표시 패널(100)의 상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부재(40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벤딩된 연성 회로 기판(11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연성 회로 기판(110)의 위치 및 형태의 변화가 감소될 수 있다. 그 결과, 연성 회로 기판(110)에 불량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표시 장치(DD)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착 필름(AF)은 광학용 투명 점착 필름(Optically Clear Adhesive film)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접착 필름(AF)은 광학용 수지(Optical Clear Resin)로 대체될 수 있다.
커버 부재(400)는 표시 패널(100)을 수납하며, 윈도우 어셈블리(WA)와 결합될 수 있다. 커버 부재(400)는 복수 개의 부분들이 조립되거나, 사출 성형된 하나의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부재(40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요소에 대해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굴곡부(112a)와 제2 굴곡부(112b) 사이의 경계부(112BL)가 보상부(AF_2)에 부착될 수 있다. 경계부(112BL)는 윈도우 어셈블리(WA)와 표시 패널(100)을 결합하는 과정에 보상부(AF_2)에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성 회로 기판(110)의 일부가 보상부(AF_2)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 부재(도 1의 40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벤딩된 연성 회로 기판(11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연성 회로 기판(110)의 위치 및 형태의 변화가 방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외력에 의해 부착부(111)가 패드부(PAD)에서 분리되는 현상 및 연성 회로 기판(110)에 배치된 배선에 크랙이 발생되는 현상 등이 방지될 있어, 표시 장치(DDa)의 신뢰성이 향상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요소에 대해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접착 필름(AFa)은 접착부(AF_1), 보상부(AF_2a) 및 연결부(AF_3)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AF_1)는 평면상에서 표시 패널(100)과 중첩되며, 표시 패널(100)과 윈도우 어셈블리(WA)를 결합할 수 있다. 보상부(AF_2a)는 평면상에서 제1 굴곡부(112a) 및 제2 굴곡부(112b)와 중첩되고, 연결부(AF_3)는 평면상에서 부착부(111)와 중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착 필름(AFa)은 벤딩된 연성 회로 기판(110)의 끝 단과 대응하는 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연성 회로 기판(110)과 윈도우 어셈블리(WA) 사이의 갭의 일부가 접착 필름(AFa)에 의해 메워질 수 있다. 상기 갭이 메워짐에 따라 연성 회로 기판(110)이 표시 패널(100)의 상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 축소될 수 있다. 그 결과, 벤딩된 연성 회로 기판(110)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연성 회로 기판(110)의 위치 및 형태의 변화가 감소되어 표시 장치(DDb)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요소에 대해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연성 회로 기판(110_1)은 표시 패널(100)의 배면으로 벤딩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110_1)은 표시 패널(100)에 부착되는 부착부(111), 및 부착부(111)로부터 연장되며 표시 패널(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굴곡부(112_1)를 포함할 수 있다.
굴곡부(112_1)는 표시 패널(100)과 멀어질수록 윈도우 어셈블리(WA)와의 거리가 점점 감소하는 제1 굴곡부(112a_1), 표시 패널(100)과 멀어질수록 윈도우 어셈블리(WA)와의 거리가 점점 증가하는 제2 굴곡부(112b_1) 및 제1 굴곡부(112a_1)와 제2 굴곡부(112b_1) 사이에 배치되는 제3 굴곡부(112c_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굴곡부(112c_1)는 보상부(AF_2)에 부착될 수 있다. 제3 굴곡부(112c_1)는 단면상에서 플랫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 굴곡부(112c_1)가 보상부(AF_2)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벤딩된 연성 회로 기판(110_1)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표시 패널(100)에 부착된 연성 회로 기판(110_1)이 표시 패널(100)의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저지될 수 있다. 그 결과, 부착부(111)가 패드부(PAD)에서 분리되는 현상 및 연성 회로 기판(110_1)에 배치된 배선에 크랙이 발생되는 현상 등이 방지되어 표시 장치(DDc)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요소에 대해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접착 필름(AFb)은 접착부(AF_1) 및 접착부(AF_1)와 이격된 보상부(AF_2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과 비교하였을 때,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도 3의 AF_3)가 생략될 수 있다.
보상부(AF_2b)는 평면상에서 제1 굴곡부(112a)와 중첩되고, 제2 굴곡부(112b)와 비중첩될 수 있다. 보상부(AF_2b)는 연성 회로 기판(110)과 윈도우 어셈블리(WA) 사이의 갭을 보상할 수 있다.
보상부(AF_2b)의 일면은 윈도우 어셈블리(WA)에 부착되고, 상기 일면과 마주하는 다른 일면은 공기 중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다른 일면은 연성 회로 기판(110)과 마주하며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상부(AF_2b)는 접착부(AF_1)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연성 회로 기판(110)이 보상부(AF_2b)와 이격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도 5나 도 8과 같이 연성 회로 기판(110)은 보상부(AF_2b)에 부착될 수도 있다.
보상부(AF_2b)는 접착부(AF_1)와 분리되어 별도로 제공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형상 등의 변형이 용이할 수 있다. 예컨대, 윈도우 어셈블리(WA)와 연성 회로 기판(110) 사이의 간격 또는 표시 장치(DDd)의 크기 등에 따라 보상부(AF_2b)의 크기 및 두께 등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DDd) 두께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으며, 윈도우 어셈블리(WA)와 연성 회로 기판(110) 사이의 갭을 메울 수 있는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요소에 대해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접착 필름(AFc)은 접착부(AF_1) 및 접착부(AF_1)와 이격된 보상부(AF_2c)를 포함할 수 있다.
보상부(AF_2c)는 평면상에서 제1 굴곡부(112a)와 비중첩되고, 제2 굴곡부(112b)와 중첩될 수 있다. 보상부(AF_2c)는 연성 회로 기판(110)과 윈도우 어셈블리(WA) 사이의 갭을 보상할 수 있다. 따라서, 벤딩된 연성 회로 기판(110)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연성 회로 기판(110)의 위치 및 형태의 변화가 감소될 수 있고, 그 결과 표시 장치(DDe)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요소에 대해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접착 필름(AFd)은 접착부(AF_1) 및 접착부(AF_1)와 이격된 보상부(AF_2d)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AF_1)의 제1 두께(TN1)는 보상부(AF_2d)의 제2 두께(TN2)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보상부(AF_2d)는 평면상에서 제1 굴곡부(112a) 및 제2 굴곡부(112b)와 중첩될 수 있다. 보상부(AF_2d)는 연성 회로 기판(110)과 윈도우 어셈블리(WA) 사이의 갭을 보상할 수 있다. 따라서, 벤딩된 연성 회로 기판(110)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연성 회로 기판(110)의 위치 및 형태의 변화가 감소될 수 있고, 그 결과 표시 장치(DDf)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3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요소에 대해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접착 필름(AFe)은 접착부(AF_1) 및 접착부(AF_1)와 이격된 보상부(AF_2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상부(AF_2e)의 제2 두께(TN3)는 접착부(AF_1)의 제1 두께(TN1)보다 두꺼울 수 있다. 따라서, 윈도우 어셈블리(WA)와 연성 회로 기판(110) 사이의 갭이 제2 두께(TN3)만큼 감소할 수 있다. 제2 두께(TN3)가 제1 두께(TN1)보다 두껍기 때문에, 연성 회로 기판(110)이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이 제2 두께(TN3)가 제1 두께(TN1)와 동일한 경우보다 축소될 수 있다. 그 결과, 연성 회로 기판(110)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연성 회로 기판(110)의 위치 및 형태의 변화가 최소화될 수 있어 표시 장치(DDg)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4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요소에 대해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h)는 윈도우 어셈블리(WA)와 표시 패널(100) 사이에 배치되며 윈도우 어셈블리(WA)와 표시 패널(100)을 결합하는 접착부(AFf) 및 평면상에서 표시 패널(100)과 비중첩되며 연성 회로 기판(110)과 중첩되는 보상부(CM)를 포함할 수 있다.
보상부(CM)는 일면은 윈도우 어셈블리(WM)와 결합되고, 상기 일면과 마주하는 다른 일면의 일부는 공기 중에 노출되며 굴곡부(112)와 마주할 수 있다. 이 경우, 굴곡부(112)를 제3 방향(DR3)으로 이동하는 경우, 보상부(CM)와 접촉될 수 있다.
보상부(CM)는 비접착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보상부(CM)는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와 같은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보상부(CM)의 두께(TN4)는 접착부(AFf)의 두께(TN1)와 같거나, 접착부(AFf)의 두께(TN1)보다 두꺼울 수 있다. 보상부(CM)의 두께(TN4)는 윈도우 어셈블리(WM)와 연성 회로 기판(110) 사이의 갭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상부(CM)가 평면상에서 제1 굴곡부(112a)와 중첩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보상부(CM)는 제1 굴곡부(112a)와 비중첩되며 제2 굴곡부(112b)와 중첩될 수도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보상부(CM)는 제1 굴곡부(112a) 및 제2 굴곡부(112b) 모두와 중첩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i)는 윈도우 어셈블리(WA1), 표시 패널(100_1), 연성 회로 기판(110), 및 접착 필름(AFg)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00_1)은 베이스 기판(BS), 회로층(ML), 유기발광소자층(EL), 봉지층(ECL), 패드부(PAD), 및 터치부(TS)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부(TS)는 봉지층(ECL)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어셈블리(WA1)는 베이스 부재, 및 블랙 매트리스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는 실리콘 기판, 유리 기판, 사파이어 기판, 또는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리스는 베이스 부재의 배면에 배치되어 표시 장치(DDi)의 베젤 영역 즉 비표시 영역(도 1의 NDR)을 정의할 수 있다.
접착 필름(AFg)은 윈도우 어셈블리(WA1)와 표시 패널(100_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 필름(AFg)은 접착부(AF_1g), 보상부(AF_2g), 및 연결부(AF_3g)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AF_1g), 보상부(AF_2g), 및 연결부(AF_3g) 각각의 일 면은 윈도우 어셈블리(WA1)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부(AF_1g)의 윈도우 어셈블리(WA1)와 부착된 일면과 마주하는 다른 일면은 터치부(TS)에 부착될 수 있다. 보상부(AF_2g)의 윈도우 어셈블리(WA1)와 부착된 일면과 마주하는 다른 일면은 공기 중에 노출되며 굴곡부(112)와 마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자재의 추가나 공정의 추가 없이 접착 필름(AFg)을 연장하여 용이하게 윈도우 어셈블리(WA1)와 연성 회로 기판(110) 사이의 갭을 보상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부재(도 1의 40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벤딩된 연성 회로 기판(110)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연성 회로 기판(110)의 위치 및 형태의 변화가 감소될 수 있다. 그 결과, 연성 회로 기판(110)에 불량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표시 장치(DDi)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회로층(ML)은 복수 개의 신호라인들(SGL),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TR1, TR2),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Cap), 및 비표시영역(NDA)의 일측에 배치된 게이트 구동회로(DCV)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신호라인들(SGL)은 게이트 라인들(GL)과 데이터 라인들(DL)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라인들(GL)과 데이터 라인들(DL)은 복수 개의 화소들(PX) 중 대응하는 화소(PX)에 각각 연결된다. 게이트 라인들(GL) 각각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며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되고, 데이터 라인들(DL)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며,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될 수 있다.
패드부(PAD)는 게이트 패드부(GL-P)와 데이터 패드부들(DL-P)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패드부(GL-P)는 게이트 라인들(G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데이터 패드부들(DL-P)은 데이터 라인들(D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비표시영역(NDR)에 배치된 게이트 패드부(GL-P)와 데이터 패드부들(DL-P)은 연성 회로 기판(110)의 부착부(111)와 결합될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층(EL)은 표시소자들을 포함한다. 유기발광소자층(EL)은 화소(PX)의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을 포함한다. 유기발광소자층(EL)은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보조하는 유기층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외부로부터 제1 전원전압(ELVDD) 및 제2 전원전압(ELVSS)을 공급받는다. 화소들(PX) 각각은 대응하는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된다. 화소들(PX) 각각은 제1 전원전압(ELVDD) 및 제2 전원전압(ELVSS)을 수신하고,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에 응답하여 광을 생성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D: 표시 장치 WA: 윈도우 어셈블리
AF: 접착 필름 100: 표시 패널
110: 연성 회로 기판 120: 보호부재
130: 구동 회로 기판 200: 터치 패널
300: 윈도우 부재 400: 커버 부재

Claims (23)

  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단에 부착되는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표시 패널과 비중첩하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연성 회로 기판;
    상기 표시 패널의 상면에 배치되는 윈도우 어셈블리;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를 결합하는 접착부;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패널과 비중첩되며 상기 굴곡부와 중첩되고, 상기 접착부와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되는 보상부; 및
    평면상에서 상기 부착부와 중첩되며 상기 접착부와 상기 보상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접착부와 상기 보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보상부는 일체의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부의 일면은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와 결합되고, 상기 보상부의 일면과 마주하는 다른 일면의 일부는 공기 중에 노출되며 상기 굴곡부와 마주하는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보상부는 광학용 투명 접착 필름(Optically Clear Adhesive film)인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상기 표시 패널과 멀어질수록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와의 거리가 작아지는 제1 굴곡부; 및
    상기 표시 패널과 멀어질수록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와의 거리가 커지는 제2 굴곡부를 포함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보상부는 상기 제1 굴곡부 및 상기 제2 굴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중첩되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의 제1 거리는 상기 제1 굴곡부와 상기 보상부 사이의 제2 거리보다 큰 표시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굴곡부와 상기 제2 굴곡부가 만나는 경계부가 상기 보상부에 부착된 표시 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상기 제1 굴곡부와 상기 제2 굴곡부 사이에 배치된 제3 굴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굴곡부는 상기 보상부에 부착된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부는 비 접착성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부는 상기 접착부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와 상기 보상부 사이의 최소 거리는 상기 부착부와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표시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부와 상기 굴곡부는 서로 이격된 표시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부의 두께는 상기 접착부의 두께와 같거나, 상기 접착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표시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는,
    윈도우 부재; 및
    상기 윈도우 부재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의 일면은 상기 터치 패널에 부착되고, 상기 접착부의 다른 일면은 상기 표시 패널에 부착되는 표시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패드부;
    상기 베이스 기판 위에 배치된 유기발광소자층;
    상기 패드부를 노출시키며 상기 유기발광소자층을 밀봉하는 봉지층; 및
    상기 봉지층 위에 배치되는 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 및 상기 터치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를 결합하는 표시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와 마주하는 광학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광학부재와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를 결합하는 표시 장치.
  16.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면에 부착된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표시 패널의 제2면을 향해 벤딩된 굴곡부를 포함하는 연성 회로 기판;
    상기 표시 패널 위에 배치되는 윈도우 어셈블리;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를 결합하는 접착부; 및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의 상기 접착부가 부착된 면과 결합되며, 상기 연성 회로 기판과 마주하며 배치되는 보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의 상기 굴곡부의 일부분은 상기 부착부보다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에 더 가까운 휴대용 단말기.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은 상기 보상부와 접촉되거나 이격된 휴대용 단말기.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부 및 상기 접착부는 서로 연결되어 일체의 형상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19. 제16 항에 있어서,
    평면상에서 상기 보상부는 상기 표시 패널과 비중첩하는 휴대용 단말기.
  20.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단에 부착되며,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으로 벤딩된 연성 회로 기판;
    상기 표시 패널 위에 배치된 터치 패널;
    상기 터치 패널 위에 배치된 윈도우 부재; 및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터치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 필름은 상기 터치 패널의 일면에 부착되며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되는 영역으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과 비중첩되는 영역까지 연장되어 상기 연성 회로 기판과 중첩되는 표시 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회로 기판과 상기 접착 필름 사이의 거리는 상기 표시 패널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따라 상이한 표시 장치.
  22. 제20 항에 있어서,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패널과 비중첩되는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의 일부분이 상기 접착 필름에 부착된 표시 장치.
  23.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은 상기 접착 필름과 이격된 표시 장치.
KR1020210146218A 2015-03-10 2021-10-29 표시 장치 KR102458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218A KR102458903B1 (ko) 2015-03-10 2021-10-29 표시 장치
KR1020220135884A KR102511547B1 (ko) 2015-03-10 2022-10-20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352A KR102321611B1 (ko) 2015-03-10 2015-03-10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KR1020210146218A KR102458903B1 (ko) 2015-03-10 2021-10-29 표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352A Division KR102321611B1 (ko) 2015-03-10 2015-03-10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5884A Division KR102511547B1 (ko) 2015-03-10 2022-10-20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4277A true KR20210134277A (ko) 2021-11-09
KR102458903B1 KR102458903B1 (ko) 2022-10-26

Family

ID=5541122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352A KR102321611B1 (ko) 2015-03-10 2015-03-10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KR1020210146218A KR102458903B1 (ko) 2015-03-10 2021-10-29 표시 장치
KR1020220135884A KR102511547B1 (ko) 2015-03-10 2022-10-20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352A KR102321611B1 (ko) 2015-03-10 2015-03-10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5884A KR102511547B1 (ko) 2015-03-10 2022-10-20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10048786B2 (ko)
EP (2) EP4050454A1 (ko)
KR (3) KR102321611B1 (ko)
CN (3) CN105976701B (ko)
TW (1) TWI7155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34399B (zh) * 2015-04-15 2018-06-22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触控显示模组
US10209819B2 (en) * 2015-12-31 2019-02-19 L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KR102403234B1 (ko) 2016-06-20 2022-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6653819B (zh) * 2017-02-17 2020-02-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和显示装置
KR102296074B1 (ko) * 2017-05-19 2021-08-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12154B1 (ko) * 2017-07-07 2022-06-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66313B1 (ko) * 2017-09-08 2022-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 필름, 표시 모듈, 표시 장치, 표시 모듈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462246B1 (ko) * 2017-09-11 2022-11-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이 표시장치를 포함한 모바일 정보 단말기
KR102377498B1 (ko) * 2017-09-28 2022-03-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33103B1 (ko) 2017-10-02 2022-08-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13058B1 (ko) * 2017-10-16 2022-06-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25725B1 (ko) * 2017-12-12 2024-0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565415B1 (ko) 2018-02-21 2023-08-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093497B1 (ko) * 2018-07-11 2020-03-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1096293B2 (en) * 2018-10-26 2021-08-17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device applied to the same
KR102633441B1 (ko) 2018-12-03 2024-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유닛,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조 방법
CN109559640A (zh) * 2018-12-05 2019-04-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KR102563626B1 (ko) * 2019-01-09 2023-08-04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20200099223A (ko) 2019-02-13 2020-08-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136548A (ko) * 2019-05-27 2020-1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2306273A (zh) * 2019-07-26 2021-02-0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触控显示屏和移动终端
EP4053624A4 (en) * 2019-11-01 2022-11-09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DEVICE DISPLAY MODULE
KR102168236B1 (ko) * 2020-03-19 2020-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WO2022059822A1 (ko) * 2020-09-21 2022-03-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220043970A (ko) * 2020-09-28 2022-04-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213150201U (zh) * 2020-10-30 2021-05-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KR20220062193A (ko) * 2020-11-06 2022-05-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CN114613256A (zh) * 2020-12-09 2022-06-10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模组及电子设备
CN114863810B (zh) * 2022-04-19 2023-11-2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16049A1 (en) * 2011-07-13 2013-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screen panel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20140013615A (ko) * 2012-07-25 2014-0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발광키 유닛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1583A (ja) * 2004-09-24 2006-04-06 Toshiba Corp 表示装置
JP4616105B2 (ja) * 2005-07-20 2011-01-19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KR100722098B1 (ko) 2005-11-23 2007-05-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휴대용 표시장치
KR100920118B1 (ko) 2006-06-30 2009-10-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5033078B2 (ja) * 2008-08-06 2012-09-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表示装置
JP5308749B2 (ja) * 2008-09-05 2013-10-0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KR20100090975A (ko) * 2009-02-09 2010-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상기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보호 기판의 제조 방법
JP5235769B2 (ja) * 2009-04-27 2013-07-1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
US9274553B2 (en) * 2009-10-30 2016-03-01 Synaptics Incorporated Fingerprint sensor and integratable electronic display
US8243424B1 (en) 2010-03-25 2012-08-14 Amazon Technologies, Inc. Surface display assemblies
JP5370240B2 (ja) 2010-03-30 2013-12-1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モジュール
JP2011247959A (ja) 2010-05-24 2011-12-08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KR101812065B1 (ko) * 2010-10-22 2017-1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101944915B1 (ko) * 2010-12-28 2019-0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CN103718229B (zh) * 2011-09-15 2015-12-23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US9098242B2 (en) * 2011-09-30 2015-08-04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cover layers mounted to displays
US9477263B2 (en) 2011-10-27 2016-10-25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chip-on-glass ambient light sensors
KR101472806B1 (ko) 2012-01-30 2014-1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903348B1 (ko) * 2012-05-09 2018-10-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9419065B2 (en) * 2012-08-07 2016-08-16 Apple Inc. Flexible displays
US20140055958A1 (en) * 2012-08-23 2014-02-27 Li-Te Hsu 3d touch module and its methode of manufacturing
US9454025B2 (en) * 2012-08-31 2016-09-27 Apple Inc. Displays with reduced driver circuit ledges
CN104040471A (zh) * 2012-10-09 2014-09-1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子设备
CN202979460U (zh) * 2012-12-17 2013-06-05 江西鑫力华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大尺寸电容屏fpc排线
KR102078831B1 (ko) * 2013-03-12 2020-04-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042678B1 (ko) 2013-03-25 2019-11-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9223424B2 (en) * 2013-04-08 2015-12-29 Apple Inc. Electronic device signal routing structures with conductive adhesive
KR102079095B1 (ko) 2013-04-11 2020-02-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080011B1 (ko) 2013-06-13 2020-0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09368A (ko) 2013-07-16 2015-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039496B1 (ko) * 2013-08-19 2019-1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CN203870357U (zh) * 2014-05-13 2014-10-08 深圳市德仓科技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液晶模组及液晶显示设备
US10186681B2 (en) * 2014-08-09 2019-01-22 Lg Display Co., Ltd. Rolla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2263982B1 (ko) * 2014-10-20 2021-06-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9535522B2 (en) * 2014-12-22 2017-01-03 Lg Display Co., Ltd.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16049A1 (en) * 2011-07-13 2013-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screen panel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20140013615A (ko) * 2012-07-25 2014-0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발광키 유닛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1547B1 (ko) 2023-03-20
US20180341358A1 (en) 2018-11-29
US11455049B2 (en) 2022-09-27
CN105976701A (zh) 2016-09-28
KR20220150844A (ko) 2022-11-11
TW201633273A (zh) 2016-09-16
US10048786B2 (en) 2018-08-14
US20160266690A1 (en) 2016-09-15
KR102458903B1 (ko) 2022-10-26
CN111276049B (zh) 2022-02-08
KR20160110675A (ko) 2016-09-22
TWI715552B (zh) 2021-01-11
US20200125205A1 (en) 2020-04-23
CN111276049A (zh) 2020-06-12
EP3070572A1 (en) 2016-09-21
EP4050454A1 (en) 2022-08-31
CN114373796A (zh) 2022-04-19
US10540032B2 (en) 2020-01-21
KR102321611B1 (ko) 2021-11-08
CN105976701B (zh) 202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8903B1 (ko) 표시 장치
KR102577239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0003044B2 (en) Cover window for a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181576B2 (en) Display device
US11307685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sensor and a protective layer
US10535837B2 (en) Display modul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091884B2 (en) Display device with a reinforcing member for improved durability
US20130222314A1 (en) Touch-sensitive device and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US20140159569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JP2007171782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10957867B2 (en) Display device
US11758663B2 (en) Display device
JP7274326B2 (ja) 表示装置
US20120105956A1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External Light Visibility
US20150208536A1 (en) Window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351665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JP5538579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