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3861A - 소나무 송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다이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소나무 송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다이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3861A
KR20210133861A KR1020210007185A KR20210007185A KR20210133861A KR 20210133861 A KR20210133861 A KR 20210133861A KR 1020210007185 A KR1020210007185 A KR 1020210007185A KR 20210007185 A KR20210007185 A KR 20210007185A KR 20210133861 A KR20210133861 A KR 20210133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acid
pine
oic aci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원근
이바울
하티킴쿠이
윤인중
김은희
유성식
김충식
김성균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중앙백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중앙백신연구소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133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38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6Oxygen or sulfur directly attached to a cycloaliphat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6Coniferophyta [gymnosperms], e.g.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05Aliphatic or ali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돼지인플루엔자 (H1N1) 바이러스에 대하여 세포병변 회복능을 보이는 소나무 송지 추출물과 분획물 또는 구성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돼지인플루엔자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나무 추출물로부터 얻은 다이테르페노이드 (diterpenoid) 계열의 화합물 (7α-메톡시디하이드로아비에틱 에시드, 아비에타-8,11,13,15-테트라엔-18-오익 에시드, 카라맛수익 에시드, 7-옥소-13β-하이드록시아비에트-8(14)-엔-18-오익 에시드, 8(14)-포도칼펜-13-온-18-오익 에시드, 8(14)-포도칼펜-7,13-다이온-18-오익 에시드, 4-에피-트랜스-코뮤닉 에시드, (13S)-15-하이드록시랍-8(17)-엔-18-오익 에시드) 중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돼지인플루엔자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나무 송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다이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wine influenza virus disease comprising Resina Pini extract or diterpenoids isolated therefrom as active ingredients}
본 발명은 소나무 송지 추출물로부터 얻은 다이테르페노이드 (diterpenoid) 계열의 화합물 중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돼지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동물사육은 많은 사육 개체수를 밀집된 환경에서 사육하는 기업형 축산 시스템이 도입되어 대량생산에 적합한 유전적으로 우수한 개체를 선별하여 근친번식을 통하여 생산한 후 밀집하여 키워내고 있다. 그러나 유전적으로 다양하지 않은 개체의 대량 사육은 유전적 다양성이 낮아져 특정질환에 집중적으로 노출될 뿐만 아니라 밀집된 사육환경으로 인한 전염병이 창궐하여 사람에게까지 영향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인간과 동물의 빈번한 접촉 및 교통기관의 발달에 따른 사회적 교류 관계의 증가는 인수공통질병 (사람동물 공통질병; Zoonotic diseases)의 빠른 확산을 가능하게 하였다. 즉, 교통기관이 발달되기 전까지 특정지역에서 발생한 질환은 이동의 제한에 따른 전파력의 확산저해로, 인간이 대비할 수 있는 최소한의 시간을 얻을 수 있었으나, 현재는 이러한 질병의 항시적인 대비를 통하여 특별한 인수공통성 질환의 발병가능성을 차단하는 통합적인 대비가 필요한 실정이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6-8개의 단일가닥의 RNA 분절을 가지는 ‘올소믹소’과 (Orthomyxoviridae)에 속하는 RNA 바이러스로서 5개의 속 (genus; Influenza virus A, Influenzavirus B, Influenzavirus C, Thogotovirus, Isavirus)으로 분류된다. A형은 사람에게 주로 감염이 확인되며 B, C형에 비하여 돼지, 기타 포유류 및 다양한 야생조류에서 감염이 확인되고 있는 바이러스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조류 인플루엔자 (Avian influenza), 돼지 인플루엔자 (Swine influenza) 및 신종플루 (Novel flu) 등은 모두 A형 바이러스에 속한다.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는 그 표면의 헤마글루티닌 (hemagglutinin, HA)과 뉴라미니데이즈 (neuraminidase, NA)라는 두 가지 당단백질로 subtype을 나눌 수 있다. HA는 18종이 있고 NA는 11종이 있으므로 18×11=198 종류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중 131종의 subtype이 자연계에서 확인되었다. 3종류의 헤마글루티닌 (H1, H2, H3)과 2가지 형태의 뉴라미니데이즈 (N1과 N2)만이 인간에서 인플루엔자 감염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지만 최근 조류 인플루엔자의 바이러스가 유전자 재조합 과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 사람에게 전파된 예도 발생하고 있다.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Swine influenza virus)는 1918년에 처음으로 보고되었으며 보통 돼지는 사람이 가지고 있는 인플루엔자 수용체 (N-acetylneuraminic acid α2,6 galactose)와 조류들이 갖고 있는 인플루엔자 수용체 (N-acetylneuraminic acid α2,3 galactose)를 동시에 가지고 있어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돼지의 몸 안에서 재조합 (reassortment) 또는 적응 (adaptation)을 통하여 사람에게 감염될 수 있도록 바이러스 혼합용기 (mixing vessels)의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2009년 멕시코와 미국에서 처음 발병하여 전 세계로 퍼져 수많은 사망자를 낸 신종플루 (Novel flu)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인 H1N1이 돼지에게 감염되어 유전자 재배열 (reassortment)을 통하여 인간에게 전염이 가능한 종으로 변형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계보건기구 (WHO)가 집계하는 신종플루의 감염자 수는 2009년 10월 초까지 그 수가 34만 3200명에 달하였고, 사망자는 4000명을 넘어섰으며, 세계보건기구는 그 당시 신종플루의 현황을 6단계인 대유행 상태 (pandemic)로 격상하여 대응하였다. 신종플루는 일반 독감과 비슷하게 발열, 인후통, 기침, 콧물 또는 코막힘의 증상을 보이지만 더 나아가 일반독감보다 심한 치명적인 폐 손상을 유발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으므로 신종플루의 예방 및 치료는 매우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신종플루를 예방하기 위하여 백신의 확보가 필수적이며 신종플루가 급격하게 확대되기 전에 백신을 생산하여 국가적으로 접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예방적 차원의 국가적 백신 대책으로는 매번 항원변이가 일어나는 RNA 바이러스를 모두 예방하는 백신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고 대량백신공급은 수개월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급박한 상황이 일어날 경우 이에 대한 대처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또한 조류 및 돼지 인플루엔자, 신종플루 또는 최악의 발병 가능성인 조류 인플루엔자와 신종플루가 섞인 킬러플루로의 변종 병원체 발생에 대비하기 위하여 이를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의 개발은 필수적이다.
지금까지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의 증식과 병리학적인 감염 기전에 근거한 다양한 목표점에 대한 치료제 개발이 시도되어 왔으며 현재 조류 및 돼지 인플루엔자, 신종플루 치료제로는 바이러스 기원의 뉴라미니데이즈에 선택적인 저해물질로 1996년에 개발되어 국내에는 2001년에 시판된 경구용 치료제 타미플루 (oseltamivir phosphate)와 동일하게 2001년에 시판된 흡입형인 리렌자 (zanamivir)가 있으며 최근 폴리머레이즈 억제제 (polymerase inhibitor)로서 2018년에 미국과 일본에서, 2019년에 국내 판매 승인을 받아 곧 출시 예정인 경구용 치료제 조플루자 (baloxabir) 등이 있다. 지난 20년간 독감치료제 시장을 독점해왔던 타미플루의 부작용으로는 오심, 구토, 신경계나 정신계의 이상이 보고되었으며, 일본의 경우 타미플루를 승인 후 확인된 소아환자의 사망예가 15건이 될 정도로 부작용을 갖고 있다. 또한, 타미플루에 대한 내성 바이러스의 출현이 보고되고 있으며, 타미플루 내성 바이러스의 인간 대 인간 전염조차도 발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조류 및 돼지 인플루엔자와 신종플루에 대한 바이러스 치료제의 개발은 인간의 보건안전에 필수적인 사항이며, 특히 한 번의 대유행을 경험한 인류에게 언제 다시 일어날지 모르는 조류 및 돼지 인플루엔자와 신종플루와의 전쟁에 있어서 더욱 필요하다.
바이러스의 감염 및 증식과정을 살펴보면 바이러스가 내포작용 (endocytosis)을 통하여 세포 내부로 들어온 후, 바이러스의 유전물질인 리보뉴클레오프로틴 (ribonucleoprotein)이 방출되기 위해서는 M2 ion channel이 작동하여 바이러스 내부의 환경이 산성이 되어야 한다. 이때 M2 ion channel을 막는 약물이 1960년대 승인된 adamantane 계열의 amantadine, rimantadine 이지만 이미 대부분의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의 strain에서 내성을 나타냄을 인하여 2009년 신종플루 대유행 때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최근까지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항 인플루엔자 약물로 뉴라미니데이즈 억제제를 들 수 있다. 바이러스는 세포에 감염 후 세포 내에서 새로운 바이러스를 만들고 다른 세포로 전파되기 위하여 세포 외부에 존재하는 시알릭산 (sialic acid)을 바이러스가 만든 뉴라미니데이즈를 이용하여 절단하는 것이 필요한데 뉴라미니데이즈 억제제는 이 작용을 방해하여 바이러스가 세포 밖을 나오지 못하게 억제하는 것이다. 타미플루 내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보통 타미플루가 결합하는 타미플루의 수용체 단백질의 아미노산을 변화시키는 3개의 유전적 변이(Arg292Lys, Asn274Ser, His295Tyr)를 통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3곳의 유전적 변이 중 타미플루 내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변종으로 가장 많이 발현하는 295의 His가 Tyr으로 변화한 바이러스의 경우는 타미플루의 소수성 잔기 (hydrophobic residue)가 타미플루 수용체에 결합하지 못하게 변이된 경우이다. 이는 미국과 유럽에서 2007~2008년 시즌에 10~25% 확률로 발견된 바이러스로서 향후의 신종플루에 대한 변이가능성에 대한 위험도를 증가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들 타미플루 내성 바이러스의 등장은 인간이 새로운 바이러스 치료제를 지속적으로 개발하여야 하는 당위성을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돼지 인플루엔자와 신종플루의 방어대책에 대한 시급성을 감안하여 효과가 확인되면 바로 적응이 가능한 식품 및 약용식물을 대상으로 하여 돼지 인플루엔자에 의한 세포병변을 회복시키는 물질을 탐색하였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성분의 약제를 개발하기 위해 기존 약제를 실험적으로 변형시키는 것보다는 전통 의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천연물 약제들로부터 새로운 활성 성분을 찾는 것이 여러 가지 면에서 장점이 많다. 특히 이러한 활성 성분들은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약물들에 의한 독성 염려가 적다. 이러한 사실은 신종플루 치료제로서 사용되는 타미플루도 출발물질은 중국의 토착식물인 '스타아니스' 열매를 주원료로 개발한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특허의 대상인 소나무는 소나무과 (Pinaceae)에 속하는 상록침엽교목으로서 한국, 일본원산으로 적송으로 불리기도 한다. 소나무는 30미터 까지 자라며 우산을 닮은 왕관 모양의 솔이 달리는 특징이 있다. 소나무의 잎 (송엽)과 송지 (송진), 화분 (송화분)은 예로부터 의약학의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우리나라의 동의보감이나 중국의 본초강목에 수록되어 있을 정도이다. 이들은 뇌졸중, 기억력 개선 등의 목적으로 자양강장제로서 사용되어 왔으며 현대의학에 이르러서는 항피로, 항우울, 항불안, 항암, 여러 만성질환에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항바이러스 활성으로는 항헤르페스 바이러스 활성이 보고되었지만 항바이러스 활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태이다.
본 발명자는 소나무 추출물의 약리활성을 갖는 화합물을 연구하는 중 소나무 추출물에서 분리한 다이테르페노이드 계열의 화합물이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세포병변을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0743861호에서는 솔잎의 추출물 수준에서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를 포함한 인간에게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9종의 바이러스에 대한 증식억제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한국등록특허 제0743862호에는 솔잎의 추출물 수준에서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를 포함한 동물에게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9종의 바이러스에 대한 증식억제 효능을 확인하였으나, 본 발명의 소나무 추출물에서 분리한 다이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과는 차이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780975호는 송화분의 추출물 수준에서 인간에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포함한 5종의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형광이미지로 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소나무 추출물에서 분리한 다이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과는 사용 부위와 화합물 수준에서 효능을 검색하여 활성화합물을 명시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60250호는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과 제조방법,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충진된 스프레이 장치, 스프레이식 손 소독 세정제 및 스프레이식 구강청정제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그 효능에 관하여는 추출물 혹은 화합물 단위의 실험의 내용을 수행하는 대신 한국등록특허 제0743861호에 근거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스프레이용 조성물과 제조방법의 발명에 그 목적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소나무 추출물에서 분리한 다이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과는 차이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743861호,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러스로 인한 인간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2007. 07. 24.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0743862호,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러스로 인한 동물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2007. 07. 24.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780975호, 송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면역 증진 및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2017. 09. 18.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60250호,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 그 제조방법,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충진된 스프레이 장치, 스프레이식 손 소독 세정제 및 스프레이식 구강청정제, 2011. 08. 23. 등록.
Lin S., et al., Abietane and C20-norabietane diterpenes from the stem bark of Fraxinus sieboldiana and their biological activities, J. Nat. Prod., 73, 1914-1921, 2010. Hirata A., et al., Miltiorins A-D, diterpenes from Radix Salviae miltiorrhizae, Fitoterapia, 102, 49-55, 2015. Liu A.-L., et al.,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of flavonoids as influenza virus neuraminidase inhibitors and their in vitro anti-viral activities, Bioorg. Med. Chem., 16, 7141-7147, 2008. Lee J.Y., The resistance situation of antiviral agent in Korea: 2008~2009 oseltamivir resistance of seasonal influenza A/H1N1, Infect. Chemother., 41(Suppl 2), S20-S24, 2009. Schnitzler S.U., et al., An update on swine-origin influenza virus a/h1n1: A review, Virus Genes, 39(3), 279-292, 2009. Wright P.F., et al., Orthomyxoviruses, Fields' Virology, 5th ed. New York:Wolters Kluwer Health, Lippincott Williams&Wilkins, 1691-1740, 2007. Zimmer S.M., et al., Historical perspective-emergence of influenza A (H1N1) viruses, N. Engl. J. Med., 361, 279-285, 2009. Dawood F.S., et al., Emergence of a novel swine-origin influenza A (H1N1) virus in humans, N. Engl. J. Med., 360, 2605-2615, 2009. Hauge S.H., et al., Oseltamivir-resistant influenza viruses A (H1N1), Norway, 2007~2008, Emerg. Infect. Dis., 15, 155-162, 2009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화학식 1의 7α-메톡시디하이드로아비에틱 에시드 (화합물 5), 아비에타-8,11,13,15-테트라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8), 카라맛수익 에시드 (화합물 10), 7-옥소-13β-하이드록시아비에트-8(14)-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3), 8(14)-포도칼펜-13-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6), 8(14)-포도칼펜-7,13-다이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7), 4-에피-트랜스-코뮤닉 에시드 (화합물 20), (13S)-15-하이드록시랍-8(17)-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2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소나무 송지(Resina Pin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학식 1의 7α-메톡시디하이드로아비에틱 에시드 (화합물 5), 아비에타-8,11,13,15-테트라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8), 카라맛수익 에시드 (화합물 10), 7-옥소-13β-하이드록시아비에트-8(14)-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3), 8(14)-포도칼펜-13-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6), 8(14)-포도칼펜-7,13-다이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7), 4-에피-트랜스-코뮤닉 에시드 (화합물 20), (13S)-15-하이드록시랍-8(17)-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2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다이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7α-메톡시디하이드로아비에틱 에시드 (화합물 5), 아비에타-8,11,13,15-테트라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8), 카라맛수익 에시드 (화합물 10), 7-옥소-13β-하이드록시아비에트-8(14)-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3), 8(14)-포도칼펜-13-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6), 8(14)-포도칼펜-7,13-다이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7), 4-에피-트랜스-코뮤닉 에시드 (화합물 20), (13S)-15-하이드록시랍-8(17)-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2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소나무(Pinus densiflo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소나무 추출물은 송지 추출물로서,
(a) 소나무 송지를 알코올 또는 알코올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이를 감압농축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감압농축한 알코올 또는 알코올 수용액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현탁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용매추출 및 농축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소나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 또는 알코올 수용액은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의 수용액일 수 있으며, 상기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및 에탄올의 70~100% 수용액이다. 상기 알코올 수용액은 소나무 송지 중량의 5배 내지 50배의 중량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나무 송지 추출물은 소나무 송지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의 수용액으로 추출한 추출물을 농축하여 얻은 농축액을 희석한 희석액을 이온교환수지가 충전되어 있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가하여 유기용매로 용출시켜 분획한 분획물일 수 있다. 상기 희석액은 송지 추출물의 농축액에 물을 가하여 만들 수 있으며, 농축액 중량의 10배 내지 50배의 중량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이온교환수지는 디아이온 HP-20 (Diaion HP-20), SP825, AXT204, XAD1600T, MN200, SP70, SP710 등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아이온 HP-20, SP825, AXT204, XAD1600T 및 MN2000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디아이온 HP-20이다. 상기 유기용매는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및 아세톤 일 수 있다. 상기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및 아세톤이다.
상기 화학식 1의 7α-메톡시디하이드로아비에틱 에시드 (화합물 5), 아비에타-8,11,13,15-테트라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8), 카라맛수익 에시드 (화합물 10), 7-옥소-13β-하이드록시아비에트-8(14)-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3), 8(14)-포도칼펜-13-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6), 8(14)-포도칼펜-7,13-다이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7), 4-에피-트랜스-코뮤닉 에시드 (화합물 20), (13S)-15-하이드록시랍-8(17)-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23) 화합물은 소나무 송지 추출물을 크로마토그래피로 분획하여 얻을 수 있으며,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디아이온 HP-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diaion HP-20 column chromatography),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RP-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RP-18 column chromatography),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LH-20 column chromatography), 조제용 역상-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preparative reversed-phase high performance chromatography),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합성될 수 있으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 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소나무 송지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즈,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 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 ㎎/㎏/일 내지 대략 2000 ㎎/㎏/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0.1 ㎎/㎏/일 내지 500 ㎎/㎏/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 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 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점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나무 송지 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7α-메톡시디하이드로아비에틱 에시드 (화합물 5), 아비에타-8,11,13,15-테트라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8), 카라맛수익 에시드 (화합물 10), 7-옥소-13β-하이드록시아비에트-8(14)-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3), 8(14)-포도칼펜-13-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6), 8(14)-포도칼펜-7,13-다이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7), 4-에피-트랜스-코뮤닉 에시드 (화합물 20), (13S)-15-하이드록시랍-8(17)-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2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다이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다이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 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다이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즈,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 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 ㎎/㎏/일 내지 대략 2000 ㎎/㎏/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0.1 ㎎/㎏/일 내지 500 ㎎/㎏/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 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 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점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이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7α-메톡시디하이드로아비에틱 에시드 (화합물 5), 아비에타-8,11,13,15-테트라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8), 카라맛수익 에시드 (화합물 10), 7-옥소-13β-하이드록시아비에트-8(14)-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3), 8(14)-포도칼펜-13-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6), 8(14)-포도칼펜-7,13-다이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7), 4-에피-트랜스-코뮤닉 에시드 (화합물 20), (13S)-15-하이드록시랍-8(17)-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2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소나무 송지 추출물 또는 다이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인플루엔자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소나무 송지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식품류 등이 있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소나무 송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돼지 인플루엔자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7α-메톡시디하이드로아비에틱 에시드 (화합물 5), 아비에타-8,11,13,15-테트라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8), 카라맛수익 에시드 (화합물 10), 7-옥소-13β-하이드록시아비에트-8(14)-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3), 8(14)-포도칼펜-13-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6), 8(14)-포도칼펜-7,13-다이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7), 4-에피-트랜스-코뮤닉 에시드 (화합물 20), (13S)-15-하이드록시랍-8(17)-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2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소나무 송지 추출물 또는 다이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돼지 인플루엔자 예방 또는 치료용 동물약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7α-메톡시디하이드로아비에틱 에시드 (화합물 5), 아비에타-8,11,13,15-테트라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8), 카라맛수익 에시드 (화합물 10), 7-옥소-13β-하이드록시아비에트-8(14)-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3), 8(14)-포도칼펜-13-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6), 8(14)-포도칼펜-7,13-다이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7), 4-에피-트랜스-코뮤닉 에시드 (화합물 20), (13S)-15-하이드록시랍-8(17)-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2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소나무 송지 추출물 또는 다이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돼지 인플루엔자 개선용 동물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소나무 송지 추출물 또는 다이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은 동물용 사료에 0.001중량%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내지 1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내지 5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7α-메톡시디하이드로아비에틱 에시드 (화합물 5), 아비에타-8,11,13,15-테트라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8), 카라맛수익 에시드 (화합물 10), 7-옥소-13β-하이드록시아비에트-8(14)-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3), 8(14)-포도칼펜-13-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6), 8(14)-포도칼펜-7,13-다이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7), 4-에피-트랜스-코뮤닉 에시드 (화합물 20), (13S)-15-하이드록시랍-8(17)-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2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소나무 송지 추출물 또는 다이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돼지 인플루엔자 예방용 천연소독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천연소독제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소독용 조성물로, 액제, 정제, 과립제, 산제 등의 다양한 형태로의 제제로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소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다이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돼지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나무 송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다이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인 7α-메톡시디하이드로아비에틱 에시드 (화합물 5), 아비에타-8,11,13,15-테트라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8), 카라맛수익 에시드 (화합물 10), 7-옥소-13β-하이드록시아비에트-8(14)-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3), 8(14)-포도칼펜-13-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6), 8(14)-포도칼펜-7,13-다이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7), 4-에피-트랜스-코뮤닉 에시드 (화합물 20), (13S)-15-하이드록시랍-8(17)-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23) 화합물을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동물약품, 동물 사료 첨가제 또는 천연소독제 등의 개발 시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소나무의 수피, 송지 또는 잎의 75% 에탄올 추출물의 H1N1 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 의한 세포병변회복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는 소나무 송지의 100%, 75%, 50%, 25% 에탄올 및 물 추출물의 MDCK 세포에서의 세포독성(A)과 H1N1 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 의한 세포병변회복능(B)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가장 강한 활성을 나타낸 소나무 송지의 75% 에탄올과 이로부터 분획된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 분획물의 MDCK 세포에서의 세포독성(A)과 H1N1 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 의한 세포병변회복능(B)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소나무 송지의 95% (v/v)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와 부탄올 용매추출한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23종의 화합물의 MDCK 세포에서의 세포독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소나무 송지의 95% (v/v)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와 부탄올 용매추출한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23종의 화합물의 MDCK 세포에서의 H1N1 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 의한 세포병변을 회복시킨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소나무 송지의 95% (v/v)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와 부탄올 용매추출한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23종의 화합물의 H1N1 유래 효소 뉴라미니데이즈에 대한 억제효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화합물 5의 MDCK 세포에서의 H1N1 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 의한 세포병변을 농도의존적으로 회복시킨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화합물 5, 8, 10, 20, 23이 H1N1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유래 헤마글루티닌과 뉴라미니데이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웨스턴 블롯으로 확인한 결과로, (A)는 각 단백질 발현을 밴드로 (B)는 밴드의 발현정도를 수치화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도 9는 화합물 5가 H1N1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유래 뉴라미니데이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형광이미지이다.
도 10은 화합물 5가 H1N1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유래 헤마글루티닌과 뉴라미니데이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Real-time PCR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화합물 5의 바이러스성 프로틴과의 결합을 In silico로 계산하여 3D 이미지(좌)와 2D 다이어그램(우)으로 나타낸 것이다. (A)는 화합물 5와 뉴클레오프로틴 (nucleoprotein)과의 결합, (B)는 화합물 5와 폴리머레이즈 에시딕 프로틴-폴리머레이즈 베이직 프로틴1 복합체 (PA-PB1)와의 결합을 각기 나타낸 그림이다.
본 발명자 그룹은 소나무 송지 추출물의 돼지 인플루엔자 감염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던 중, 95% 에탄올 추출물에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20종의 다이테르페노이드를 포함한 23종의 물질을 분리하여 항바이러스 활성을 검색하였다. 이들 중, 강한 효능을 나타내는 물질들에 대하여 기전연구를 진행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소나무 부위별 추출물에 대한 세포병변억제효과 확인>
실시예 1-1. 소나무 부위별 추출물 제조
소나무 부위별 추출물에 대한 세포병변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먼저 75% 에탄올을 사용하여, 수피, 송지 또는 잎을 각기 초음파추출법을 사용하여 추출하여 동결건조를 통하여 건조한 후, DMSO에 녹여 10 mg/mL의 농도로 in vitro 실험을 위한 stock solution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소나무 부위별 추출물의 세포병변억제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1의 소나무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을 대상으로 세포병변효과 회복 어세이를 통한 항바이러스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1N1 (A/Sw/Kor/CAN1/04, KCTC11165BP)을 이용하였고,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세포의 생존율을 분석함으로써 항바이러스 활성을 확인하는 세포병변효과 회복 어세이 (cytopathic effect reduction assay, CPE reduction assay)를 수행하였다.
96웰 플레이트 (96 well plate)에 웰 당 3×103 개의 MDCK세포를 분주한 후 10% FBS,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및 0.4% L-글루타민이 포함된 DMEM배지를 넣고 하루 동안 배양한 후, 배양액을 버리고 PBS로 세척하였다. 이후 세포에 감염배지 (infection media, DMEM + 0.25% BSA + 1 ㎍/㎖ trypsin) 100 ㎕를 넣어 2시간 동안 감염시킨 후, PBS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50TCID50/100 ㎕/웰의 농도가 되도록 접종하고, 상기 실시예 1-1에서 확보한 추출물 의 최종 농도가 10, 1, 0.01μg/mL이 되도록 처리한 후 3일 동안 배양하였다. 이때, 세포에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것을 정상 대조군(C그룹)으로 이용하였고, 바이러스만을 처리한 것을 음성 대조군(V그룹)으로, 항바이러스제인 리바비린 (ribavirin) 10 μM을 처리한 것을 양성 대조군(R그룹)으로 이용하였다.
3일 동안 배양한 세포를 이용하여 MTT 어세이를 수행하였다. 배양한 세포에 MTT 용액을 넣고 37 ℃에서 반응시킨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100 ㎕의 DMSO를 넣었다. 잘 섞어준 다음 10분 동안 방치한 후 57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이때, 정상 대조군의 세포생존율 100%를 기준으로 처리물질에 의한 세포생존율을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화합물의 항바이러스 활성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세포사멸을 억제시키므로, 화합물에 의한 세포생존율을 항바이러스 활성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하였다. 도 1을 참고하였을 때, 10 mg/mL의 농도에서는 모든 추출물이 세포독성을 나타내었고, 1.0, 0.01 mg/mL의 농도에서 송지에서 가장 강한 바이러스 저해능을 확인하였기 때문에 송지를 대상으로 추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2. 소나무 송지 추출물 및 분획물의 제조>
추출 용매에 따른 항바이러스 효능의 차이를 확인하고 최적 추출조건설정을 위하여 소나무 송지 1.5 mg을 sonicator를 사용하여 각기 다음의 추출용매 [물, 25% 에탄올, 50% 에탄올, 75% 에탄올, 100% 에탄올]로 200 ㎕ 씩 1회 추출하고 질소 및 동결건조를 사용하여 건조된 추출물을 얻었다. 이 중, 가장 강한 효능을 나타낸 75% EtOH의 추출물은 물에 현탁하여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 분획물을 획득하였다. 동결건조를 통하여 건조한 후, DMSO에 녹여 10 mg/mL의 농도로 in vitro 실험을 위한 stock solution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소나무 송지 추출물 및 분획물의 세포독성 확인>
상기 실시예 2에서 확보한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대상으로 세포병변효과 회복 어세이를 수행하기 이전, 처리물질이 세포에 대해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를 확인하기 위해 세포 독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96웰 플레이트 (96 well plate)에 웰 당 3×103 개의 MDCK (Madin-Darby, canine kidney) 세포를 분주한 후 10% FBS (fetal bovine serum),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penicillin/streptomycin) 및 0.4% L-글루타민 (L-glutamine)이 포함된 DMEM (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를 넣고 하루 동안 배양한 후, 배양액을 버리고 PBS (phosphate buffer saline)로 세척하였다. 이후 세포에 감염배지 (infection media, DMEM + 0.25% BSA (bovine serum albumin) + 1㎍/㎖ trypsin) 100 ㎕를 넣어 2시간 동안 감염시킨 후, PBS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중앙백신연구소로부터 제공받은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50TCID50/100 ㎕/웰의 농도가 되도록 접종한 후, 상기 실시예 2에서 확보한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최종 농도가 10, 1, 0.1, 0.01 μg/mL이 되도록 처리한 후 1일 동안 배양하였다. 이때, 세포에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것을 정상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3일 동안 배양한 세포를 이용하여 MTT (3-(4,5-dimethylthiazol- 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어세이를 수행하였다. 배양한 세포에 MTT 용액을 넣고 37 ℃에서 반응시킨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100 ㎕의 DMSO를 넣었다. 잘 섞어 준 다음 10분 동안 방치한 후 57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이때, 정상 대조군의 세포생존율 100%를 기준으로 각 처리물질에 의한 세포생존율을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처리물질의 독성으로 인한 세포사멸 수준을 평가하였으므로, 처리물질에 의한 세포생존율을 세포독성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하였다. 도 2A 및 도 3A에서 보여주듯이, 10 μg/mL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낸 100%, 75% 에탄올 추출물을 제외하고는 모든 농도구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분획물에서는 75% 에탄올 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10 μg/mL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고, 나머지 구간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동일한 농도구간으로 세포병변효과 회복 어세이에서의 화합물 적용농도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4. 소나무 송지 추출물 및 분획물의 세포병변억제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2의 소나무 송지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대상으로 세포병변효과 회복 어세이를 통한 항바이러스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1N1 (A/Sw/Kor/CAN1/04, KCTC11165BP)을 이용하였고,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세포의 생존율을 분석함으로써 항바이러스 활성을 확인하는 세포병변효과 회복 어세이 (cytopathic effect reduction assay, CPE reduction assay)를 수행하였다.
96웰 플레이트 (96 well plate)에 웰 당 3×103 개의 MDCK세포를 분주한 후 10% FBS,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및 0.4% L-글루타민이 포함된 DMEM배지를 넣고 하루 동안 배양한 후, 배양액을 버리고 PBS로 세척하였다. 이후 세포에 감염배지 (infection media, DMEM + 0.25% BSA + 1 ㎍/㎖ trypsin) 100 ㎕를 넣어 2시간 동안 감염시킨 후, PBS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50TCID50/100 ㎕/웰의 농도가 되도록 접종하고, 상기 실시예 2에서 확보한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최종 농도가 10, 1, 0.1, 0.01μg/mL이 되도록 처리한 후 3일 동안 배양하였다. 이때, 세포에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것을 정상 대조군(C그룹)으로 이용하였고, 바이러스만을 처리한 것을 음성 대조군(V그룹)으로, 항바이러스제인 리바비린 (ribavirin) 10 μM을 처리한 것을 양성 대조군(R그룹)으로 이용하였다.
3일 동안 배양한 세포를 이용하여 MTT 어세이를 수행하였다. 배양한 세포에 MTT 용액을 넣고 37 ℃에서 반응시킨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100 ㎕의 DMSO를 넣었다. 잘 섞어 준 다음 10분 동안 방치한 후 57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이때, 정상 대조군의 세포생존율 100%를 기준으로 처리물질에 의한 세포생존율을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화합물의 항바이러스 활성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세포사멸을 억제시키므로, 화합물에 의한 세포생존율을 항바이러스 활성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하였다.
도 2B에서 보여주듯이,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는 1 및 0.1 ㎍/mL에서 세포병변회복능 순으로 75%, 100% 에탄올 추출물에서 상승된 세포병변회복능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하여 비극성 75% 내지 100% 에탄올 추출물에 활성물질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었고, 가장 활성이 강한 75% 에탄올 추출물에 대하여 용매분획을 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물 분획물의 세포병변회복능을 확인하였을 때, 도 3B에서 보여주듯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1 ㎍/mL에서 상승된 세포병변회복능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 활성물질이 포함되어 있다고 유추할 수 있으므로 화합물 분리를 진행하였다.
<실시예 5. 소나무로부터의 화합물 분리 정제>
실시예 5-1. 소나무 수피 및 송지 추출물로부터의 화합물 분리 정제
동일하게 포함하고 있는 성분들을 대상으로 대량 분리를 위하여 소나무 송지 및 수피 1.5 kg을 sonicator를 사용하여 95% (v/v) 에탄올 5 ℓ 씩 3회 추출하고 감압농축하여 150 g의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95% (v/v) 에탄올 추출물 (150 g)을 물 1.5 kg을 넣어 현탁한 후 물 현탁액을 에틸아세테이트 1ℓ와 부탄올 1ℓ의 순서대로 추출 분리하여 에틸아세테이트(PDCE), 부탄올(PDCBu)로 분획한 다음 각각 50 g, 65 g의 분획물을 얻었다. 이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50 g)을 n-hexane/acetone (10:1, 8:1, 6:1, 4:1, 2:1, 1:1, 1:2)의 용매구배조건으로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 (63 - 200 μm particle size)를 실시하여 TLC 패턴에 따라 소분획들 (F.1-16)을 나누었다. 소분획 F.6 (2.2 g)을 n-hexane/EtOAc 5:1의 용매고정조건으로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 (63 - 200 μm particle size)를 실시하여 소분획을 얻었고, 이것의 4번째 소분획 F.6.4 (500 mg)을 85% MeOH의 조건으로 역상 컬럼크로마토그래피 (75 μm particle size)를 실시하여 화합물 12 (17.0 mg) 을 얻었다. 소분획 F.9 (1.5 g)을 85% MeOH의 조건으로 역상 컬럼크로마토그래피 (75 μm particle size)를 실시하여 소분획들을 얻었고, 그 중 F.9.2 (100 mg)를 대상으로 HPLC (ACN in H2O, 0-35 min:54%, 36-40 min:100%)를 실시하여 화합물 4 (5.5 mg), 화합물 6 (24.1 mg), 화합물 7(6.8 mg)을 얻었다. 소분획 F.11 (3.0 g)을 55% MeOH의 조건으로 역상 컬럼크로마토그래피(75 μm particle size)를 실시하여 소분획을 얻었고, 7번째 소분획 F.11.7 (300 mg)을 75% MeOH의 조건으로 역상 컬럼크로마토그래피 (75 μm particle size)를 실시하여 추가소분획을 얻었다. 이 중 2번째 소분획 F.11.7.2를 대상으로 HPLC (ACN in H2O, 0-30 min:38%, 31-40 min:100%)를 실시하여 화합물 15 (4.6 mg), 화합물 17 (3.5 mg)을 얻었다. 4번째 소분획 F.11.7.4를 대상으로 HPLC (ACN in H2O, 0-30 min:44%, 31-40 min:100%)를 실시하여 화합물 13 (6.5 mg), 화합물 16 (2.7 mg)을 얻었다. 소분획 F.12 (150 mg)을 80% MeOH의 조건으로 역상 컬럼크로마토그래피 (75 μm particle size)를 실시하여 화합물 9 (3.2 mg), 화합물 10 (4.5 mg)을 얻었다. 소분획 F.13 (1.0 g)을 80% MeOH의 조건으로 역상 컬럼크로마토그래피 (75 μm particle size)를 실시하여 화합물 5 (4.0 mg), 화합물 8 (4.6 mg)을 얻었다.
실시예 5-2. 소나무 잎으로부터의 화합물 분리 정제
동일하게 포함하고 있는 성분들을 대상으로 대량 분리를 위하여 소나무 잎 2.5 kg을 sonicator를 사용하여 95% (v/v) 에탄올로 10 ℓ 씩 3회 추출하고 감압 농축하여 500 g의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95% (v/v) 에탄올 추출물 (500 g)을 감압농축한 후 이 추출물을 물 5 ℓ로 현탁한 후 물 현탁액을 에틸아세테이트 5ℓ와 부탄올 5ℓ의 순서대로 추출 분리하여 에틸아세테이트(PDLE), 부탄올 (PDLBu)로 분획한 다음 각기 200 g, 100 g의 분획물을 얻었다. 이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PDLE)(200 g)을 n-hexane/acetone (20:1, 10:1, 8:1, 6:1, 4:1, 2:1, 1:1, 2:1)의 용매구배조건으로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 (63~200μm particle size)를 실시하여 TLC 패턴에 따라 23개의 소분획들을 나누었다. 소분획 F.3 (3.5 g)을 95% MeOH의 조건으로 역상 컬럼크로마토그래피 (75μm particle size)를 실시하여 얻은 소분획 중 F.3.2 (200 mg)을 대상으로 HPLC (MeOH in H2O, 0-30 min:95%)를 실시하여 화합물 19 (57.4 mg)을 얻었다. 소분획 F.5 (3.0 g)을 90% MeOH의 조건으로 역상 컬럼크로마토그래피 (75 μm particle size)를 실시하여 얻은 소분획 F.5.4를 대상으로 HPLC (ACN in H2O, 0-25 min:90%)를 실시하여 화합물 11 (51.2 mg)을 얻었다. 소분획 F.8 (5.0 g)을 95% MeOH의 조건으로 역상 컬럼크로마토그래피 (75 μm particle size)를 실시하여 얻은 분획 F8.4 (1.0 g)을 대상으로 HPLC (MeOH in H2O, 0-30 min:95%)를 실시하여 화합물 3 (8.2 mg)과 화합물 20 (42.9 mg)을 얻었다. 소분획 F.10 (3.0 g)을 n-hexane/EtOAc 15:1의 용매고정조건으로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 (63 - 200 μm particle size)를 실시하여 얻은 분획 중 하나 F.10.1 (200 mg)을 대상으로 HPLC (ACN in H2O, 0-30 min:89%)를 실시하여 화합물 18 (10.5 mg)과 화합물 21 (7.3 mg)을 얻었다. 소분획 F.14를 90% MeOH의 조건으로 역상 컬럼크로마토그래피 (75 μm particle size)를 실시하여 얻은 분획 F14.3에 대하여는 HPLC (ACN in H2O, 0-25 min:60%)을 통해 화합물 14 (8.8 mg)을 얻었다. 소분획 F.18 (3.0 g)을 75% MeOH의 조건으로 역상 컬럼크로마토그래피 (75 μm particle size)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소분획 F18.5.3에 대하여는 HPLC (ACN in H2O, 0-30 min:63%)을 통해 화합물 23 (7.8 mg)을 얻었고, 소분획 F18.5.4에 대하여는 HPLC (ACN in H2O, 0-30 min:64%)을 통해 화합물 22 (17.0 mg)을 얻었다.
부탄올 분획물(PDLBu)(100 g)을 EtOAc/MeOH/H2O (10:1:0.2, 8:1:0.2, 6:1:0.2, 4:1:0.2, 2:1:0.2, 1:1:0.2, 2:1:0.2)의 용매구배조건으로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 (63 - 200 μm particle size)를 실시하여 TLC 패턴에 따라 소분획들을 나누었다. 소분획 F.3 (15.0 g)을 50% MeOH의 조건으로 역상 컬럼크로마토그래피 (75 μm particle size)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소분획 F3.5에 대하여는 HPLC (MeOH in H2O, 0-25 min:43%)을 통해 화합물 1 (3.8 mg)과 화합물 2 (6.3 mg) 을 얻었다.
<실시예 6. 소나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의 물리 화학적 구조 확인>
실시예 6-1. 7α-메톡시디하이드로아비에틱 에시드 (화합물 5)
7α-methoxydehydroabietic acid;
ESIMS m/z 331.2 [M + H]+;
1H-NMR (CDCl3, 500 MHz):δ H 7.17 (1H, d, J = 8.5 Hz, H-11), 7.18 (1H, d, J = 8.5 Hz, H-12), 7.14 (1H, s, H-14), 1.56 (3H, s, H-16), 3.40 (3H, s, OMe), 2.86 (1H, m, H-15), 1.30 (3H, s, H-18), 1.22 (3H, d, J = 7.0 Hz, H-17), 1.18
실시예 6-2. 아비에타-8,11,13,15-테트라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8)
Abieta-8,11,13,15-tetraen-18-oic acid;
ESIMS m/z 299.2 [M + H]+;
1H-NMR (CDCl3, 300 MHz): δ H 7.17 (3H, m, H-11,12,14), 5.30 (1H, br s, H-16a), 5.00 (1H, br s, H-16b), 2.10 (3H, br s, H-17), 1.28 (3H, s, H-18), 1.18 (3H, s, H-20).
실시예 6-3. 카라맛수익 에시드 (화합물 10)
Karamatsuic acid;
ESIMS m/z 317.2 [M + H]+;
1H-NMR (CDCl3, 600 MHz): δ H 6.93 (1H, dd, J = 7.8, 2.4 Hz, H-12), 6.91 (1H, d, J = 2.4 Hz, H-14), 6.77 (1H, d, J = 7.8 Hz, H-11), 1.22 (6H, d, J = 6.6, H-16,17), 1.11 (3H, s, H-18), 1.00 (3H, s, H-20).
13C NMR (CDCl3, 150 MHz): δ C 41.5 (C-1), 20.4 (C-2), 37.2 (C-3), 49.0 (C-4), 53.1 (C-5), 25.8 (C-6), 34.9 (C-7), 135.5 (C-8), 153.4 (C-9), 80.2 (C-10), 123.7 (C-11), 124.7 (C-12), 144.0 (C-13), 127.6 (C-14), 33.5 (C-15), 24.3 (C-16), 24.3 (C-17), 182.9 (C-18), 16.3 (C-19), 20.4 (C-20).
실시예 6-4. 7-옥소-13β-하이드록시아비에트-8(14)-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3)
7-oxo-13β-hydroxyabiet-8(14)-en-18-oic acid;
ESIMS m/z 317.2 [M - H2O + H]+, 333.2 [M - H]-;
1H-NMR (CDCl3, 300 MHz): δ H 6.73 (1H, s, H-14), 1.23 (3H, s, H-18), 0.93 (3H, d, J = 6.9 Hz, H-16), 0.82 (3H, d, J = 6.9, H-18), 0.86 (3H, s, H-20).
13C NMR (CDCl3, 75 MHz): δ C 37.9 (C-1), 17.7 (C-2), 36.8 (C-3), 46.0 (C-4), 44.1 (C-5), 38.6 (C-6), 199.5 (C-7), 138.4 (C-8), 51.7 (C-9), 35.4 (C-10), 18.3 (C-11), 29.5 (C-12), 71.9 (C-13), 140.2 (C-14), 37.8 (C-15), 16.2 (C-16), 17.3 (C-17), 183.0 (C-18), 16.2 (C-19), 14.4 (C-20).
실시예 6-5. 8(14)-포도칼펜-13-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6)
8(14)-podocarpen-13-on-18-oic acid;
ESIMS m/z 277.2 [M + H]+, 275.2 [M - H]-;
1H-NMR (CDCl3, 300 MHz): δ H 5.89 (1H, br s, H-14), 1.24 (3H, s, H-18), 0.85 (3H, s, H-20).
13C NMR (CDCl3, 75 MHz): δ C 38.4 (C-1), 18.1 (C-2), 36.8 (C-3), 47.2 (C-4), 48.0 (C-5), 24.2 (C-6), 35.3 (C-7), 165.0 (C-8), 51.8 (C-9), 38.4 (C-10), 20.5 (C-11), 36.4 (C-12), 200.0 (C-13), 126.4 (C-14), 184.1 (C-18), 17.0 (C-19), 15.7 (C-20).
실시예 6-6. 8(14)-포도칼펜-7,13-다이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7)
8(14)-podocarpen-7,13-dion-18-oic acid;
ESIMS m/z 291.2 [M + H]+, 289.2 [M - H]-;
1H-NMR (CDCl3, 300 MHz): δ H 6.67 (1H, br s, H-14), 1.23 (3H, s, H-18), 0.80 (3H, s, H-20).
13C NMR (CDCl3, 75 MHz): δ C 37.8 (C-1), 17.6 (C-2), 36.7 (C-3), 45.9 (C-4), 43.8 (C-5), 38.6 (C-6), 198.9 (C-7), 151.6 (C-8), 51.7 (C-9), 35.7 (C-10), 22.8 (C-11), 37.9 (C-12), 199.9 (C-13), 130.4 (C-14), 180.1 (C-18), 16.3 (C-19), 14.9 (C-20).
실시예 6-7. 4-에피-트랜스-코뮤닉 에시드 (화합물 20)
4-epi-trans-communic acid;
ESIMS m/z 303.2 [M + H]+, 301.2 [M - H]-;
1H-NMR (CDCl3, 300 MHz): δ H 6.32 (1H, dd, J = 10.8, 17.4 Hz, H-14), 5.35 (1H, t, J = 6.6 Hz, H-12), 5.02 (1H, d, J = 17.4 Hz, H-15a), 4.84 (1H, br s, H-17a), 4.46 (1H, br s, H-17b), 1.73 (3H, s, H-16), 1.14 (3H, s, H-18), 0.77 (3H, s, H-20).
13C NMR (CDCl3, 75 MHz): δ C 38.1 (C-1), 18.4 (C-2), 37.6 (C-3), 47.5 (C-4), 57.0 (C-5), 26.6 (C-6), 37.1 (C-7), 147.8 (C-8), 49.4 (C-9), 38.8 (C-10), 23.0 (C-11), 133.6 (C-12), 133.5 (C-13), 141.6 (C-14), 109.9 (C-15), 16.4 (C-16), 108.1 (C-17), 14.7 (C-18), 184.8 (C-19), 11.8 (C-20).
실시예 6-8. (13S)-15-하이드록시랍-8(17)-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23)
(13S)-15-hydroxylabd-8(17)-en-18-oic acid;
ESIMS m/z 323.2 [M + H]+, 321.2 [M - H]-;
1H-NMR (CDCl3, 300 MHz): δ H 4.81 (1H, br s, H-17a), 4.51 (1H, br s, H-17b), 3.68 (2H, m, H-15), 1.15 (3H, s, H-18), 0.90 (3H, d, J = 6.3 Hz, H-16), 0.70 (3H, s, H-20).
13C NMR (CDCl3, 75 MHz): δ C 38.0 (C-1), 18.6 (C-2), 37.3 (C-3), 47.7 (C-4), 49.7 (C-5), 27.0 (C-6), 38.2 (C-7), 148.3 (C-8), 57.5 (C-9), 39.2 (C-10), 20.9 (C-11), 36.4 (C-12), 30.5 (C-13), 39.8 (C-14), 61.4 (C-15), 20.9 (C-16), 107.0 (C-17), 16.5 (C-18), 184.7 (C-19), 14.9 (C-20).
<실시예 7. 소나무 송지에 포함되어 있는 활성 화합물의 MDCK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확인>
상기 실시예 4에서 활성을 나타낸 분획에 포함되어 있으며 실시예 5에서 확보한 화합물을 대상으로 세포병변효과 회복 어세이를 수행하기 이전, 처리물질이 세포에 대해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5에서 확보한 화합물의 최종 농도가 10μM이 되도록 처리하여 세포 독성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화합물의 독성으로 인한 세포사멸 수준을 평가하였으므로, 화합물에 의한 세포생존율을 세포독성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하였다. 도 4에서 보여주듯이, 몇 화합물을 제외하고는 10μM에서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더 낮은 농도에서는 활성화합물의 선별이 어려우므로 10μM을 세포병변효과 회복 어세이에서의 화합물 적용농도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8. 소나무 송지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의 세포병변억제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4에서 활성을 나타낸 분획에 포함되어 있으며 실시예 5에서 확보한 화합물을 대상으로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포병변효과 회복 어세이를 수행하였다.
도 5에서 보여주듯이, 10 μM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화합물 5, 8, 10, 13, 16, 17, 20, 23이 강한 항바이러스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화합물 5가 가장 좋았다. 위 결과를 통하여 구조-활성 상관관계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SARs)를 알 수 있는데 강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8종의 물질이 다이테르페노이드계 (6종: 아비에탄타입, 2종: 랍단타입)의 화합물이었다. 대체적으로 아비에탄타입의 다이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이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분리한 다이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을 구조적으로 분류를 하였을 때, 그룹1 삼환계방향성아비에탄 다이테르페노이드 (화합물 3-10), 그룹2 삼환계아비에탄 다이테르페노이드 (화합물 11-17), 그룹3 이환계 랍단 다이테르페노이드 (화합물 18-23)로 나눌 수 있다. 그룹1의 경우, R2의 자리에 메톡실레이션이 일어날 경우, 항바이러스활성이 증가하며 세포독성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R1에 아이소프로필기를 다른 작용기로 치환하였을 경우, 항바이러스활성이 유지되는 것을 통해 아이소프로필기가 항인플루엔자 활성에 큰 기여를 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R2에 하이드록실기로 치환되게 되면 세포독성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룹2의 화합물의 경우, R1과 혹은 R2의 케톤기의 존재는 항바이러스 활성을 크게 증가시킨다. 그룹3의 경우, R1에 카르복실기의 존재는 항바이러스활성을 크게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실시예 2에서 확보한 소나무 송지의 알코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경우, MDCK 세포에서의 H1N1 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 의한 세포병변 회복효과를 확인하였을 때 75% 에탄올 추출물과 이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강한 억제효능을 나타내었으므로 활성물질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함유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실시예 2에서와 같이 75% 에탄올 추출물과 이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대상으로 분리를 진행한 것의 타당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9. 소나무 송지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의 뉴라미니데이즈 효소 억제활성 확인>
실시예 9-1. 소나무 송지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의 H1N1 기원 뉴라미니데이즈 효소 억제활성 확인
HEK293 cells (human embryonic kidney cells) 과 MDCK (Madian-Darby canine kidney cells)은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에서 구입하였으며 10% fetal bovine serum(FBS)를 함유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서 37℃, 5% CO2의 조건으로 배양유지 되었다. HEK293 cell은 106cell/well의 농도로 6 well plate에 분주되었고, 24시간 후, PEI transfection 시약을 사용하여 H1N1 (야생형) 혹은 H274Y plasmid를 transfection 하였다. H1N1 (야생형)과 oseltamivir 내성 H1N1 (H274Y mutant) plasmid는 기존논문에 보고된 논문 (Food Chem., 2011, 124, 437-443)과 유사한 방식으로 복제되었다. 배양세포는 5% FBS 포함 DMEM에서 배양유지 되었다. 48시간 post-transfection 후, medium을 제거하였다. 그 후 세포에 0.02% EDTA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를 함유하는 phosphate-buffered saline (PBS)을 처리하여 harvest하였다.
상기 실시예 5의 소나무 수피 또는 잎의 알코올 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과 이로부터 분리한 23종의 화합물을 대상으로 H1N1에서 유래한 neuraminidase에 대한 억제활성을 확인 후, 효능이 좋은 물질을 대상으로 4종의 서로 다른 influenza에서 유래한 neuraminidase (H1N1, H9N2, H1N1 (야생형), oseltamivir-내성 H1N1 (H274Y 변이))에 대한 억제활성 실험에 들어갔다. 4종의 influenza strain은 중앙백신연구소 (대전, 한국)로부터 제공받아 사용하였다
Neuraminidase inhibition assay는 기존의 보고된 논문의 방법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J Nat Prod., 2010, 73, 1636-1642) 많은 양의 H1N1와 H9N2 influenza virus는 0.15 μg/mL trypsin과 5 μg/mL bovine serum albumin (BSA)를 함유하는 DMEM을 사용하여 MDCK cell에 직접 주입함으로 얻었다. 다음으로 virus의 전염성을 비활성화시키기 위해 formaldehyde를 0.1%의 농도에 도달하기까지 virus 현탁액에 첨가하였고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Neuraminidase 활성은 형광물질인 2'-(4-methylumbelliferyl)-α-D-N-acetylneuraminic acid (4-MU-NANA)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모든 화합물은 DMSO에 희석하여 enzyme buffer MES (32.5 mM 2-(N-morpholino)ethanesulfonic acid, 4 mM CaCl2, pH 6.5)에 대한 농도로 맞추어져 사용되었다. 일반적으로 본 실험은 각 well에 10 μL의 virus 현탁액 (활성 influenza neuraminidase 함유)과 50 μM의 농도가 되도록 10 μL의 test 화합물을 포함하는 96 well plate에서 수행되었다. 37℃에서 30분간 반응을 시킨 후, 30 μL 의 형광물질 4-MU-NANA를 enzyme buffer에 녹여서 각 well에 처리하여 37 ℃에서 효소반응을 수행하였다. 2시간 후, 150 μL의 stop solution (25% EtOH, 0.1 M glycine, pH 10.7)을 첨가함으로 반응을 종결시켰다. 형광의 세기는 360nm (여기파장), 440nm (방출파장)에서 측정하였고, 100 nM의 oseltamivir를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최종 효소의 활성은 DMSO만 처치한 그룹을 control로 하여 control 대비 %로 나타내었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모든 화합물에서 유의미한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실시예 10. 화합물 5의 농도의존적 세포병변억제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8에서 수행한 세포병변효과 회복 어세이에서 가장 강한 효능을 나타낸 화합물 5에 대하여 농도의존적으로 세포병변을 회복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화합물 5가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5, 10, 20 μM 의 농도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세포병변효과를 회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1. 화합물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표면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 확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표면에는 헤마글루티닌 (hemagglutinin, HA)과 뉴라미니데이즈 (neuraminidase, NA)라는 두 가지 단백질이 존재하며, 이러한 바이러스 표면 단백질에 의해 감염이 일어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8에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낸 화합물 5, 8, 10, 20, 23을 대상으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표면 단백질 발현의 억제기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형광 현미경과 웨스턴 블롯(Western blot)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실시예 11-1. 웨스턴 블롯을 이용한 바이러스 표면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 확인
6웰 플레이트에 MDCK 세포를 분주하고 플레이트 상에 90% 정도로 세포가 차도록 배양하였다. 배양한 세포에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0.01 MOI로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H1N1 바이러스)를 2시간 동안 처리하여 세포에 감염시켰다. 이후, 세포를 PBS로 세척한 후, 세포에 상기 실시예 8에서 강한 활성을 나타낸 화합물 5, 8, 10, 20, 23을 대표적으로 선별하여 20 μM 농도가 되도록 (화합물 5의 경우, 5, 10, 20 μM로 처리)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DMEM를 넣고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때,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세포를 정상 대조군으로,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처리한 세포를 음성 대조군으로, 리바비린을 처리한 세포를 양성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배양한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100 ㎕의 세포 용해 버퍼 (cell lysis buffer) (50 mM NaF, 0.5%[v/v] NP-40, 1 mM EDTA, 120 mM NaCl, 50 mM Tris-HCl, pH 7.6)를 이용하여 세포를 파쇄하고 원심분리하여 세포 용출액을 확보하였다. 확보한 세포 용출액을 이용하여 SDS-PAGE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10-12% [w/v] acrylamide gel)를 실시한 뒤, 세미 드라이 트랜스퍼 (semi-dry transfer)기기를 이용하여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멤브레인에 단백질을 이동 (transfer)시켰다. 멤브레인은 5%[w/v] 탈지유로 1시간 동안 상온에서 처리하여 블로킹 (blocking)시키고,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뉴라미니데이즈와 헤마글루티닌을 인식하는 1차 항체(AbFrontier Co., Ltd., Seoul, Korea)를 처리하여 반응 시킨 후, 각각의 1차 항체를 인식하는 2차 항체를 처리한 후, ECL 용액을 이용하여 단백질 밴드를 확인하였다. 또한, 확인된 단백질 밴드의 밀도를 측정하여 단백질 발현 정도를 수치화 하였고,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A)의 단백질 발현 밴드 결과 및 8(B)의 발현량을 수치화한 결과에서 보여주듯이,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처리한 음성 대조군에서 바이러스 표면 단백질인 뉴라미데이즈 및 헤마글루티닌 단백질 모두 발현이 증가하였다. 반면에, 상기 실시예 5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처리한 군에 있어서 20 μM의 농도에서 모든 화합물의 경우, 뉴라미데이즈 및 헤마글루티닌 단백질의 발현을 현저히 억제하였으며 화합물 5는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1-2. 형광 현미경을 이용한 바이러스 표면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 확인
8웰 챔버 슬라이드 (LAB-TEK, NUNC, Thermo Fisher Scientific, USA)에 MDCK 세포를 분주하여 배양하고, 0.01 MOI (multiplicity of infection)로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1N1 바이러스)를 2시간 동안 처리하여 세포에 감염시켰다. 이후, 세포를 PBS로 세척한 후, 세포에 상기 실시예 5에서 강한 활성을 나타낸 화합물 5를 대상으로 5, 10, 20 μM 농도가 되도록 물질을 포함한 DMEM를 넣고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때,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세포를 정상 대조군으로,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만을 처리한 세포를 음성 대조군으로, 10 μM의 리바비린을 처리한 세포를 양성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배양한 세포를 4 ℃에 냉장 보관된 PBS를 이용하여 3회 세척한 뒤, 4% 파라포름알데히드(paraformaldehyde) 용액을 30분 동안 처리하여 세포를 고정시켰다. 고정시킨 세포에 1% BSA (bovine serum albumin) 용액을 처리하여 1시간 동안 블로킹 (blocking)시킨 후, 돼지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뉴라미니데이즈 단백질을 인식하는 단일클론 항체 (Gene Tex Co., San Antonio, TX, USA)를 처리하였다. 이후, 형광물질이 결합되어 있는 2차 항체 (FITC-conjugated goat anti-Rb lgG 항체, Abcam, Cambridge, UK)를 처리하고, 500 nM DAPI 용액을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세포 내 DNA를 염색하였다. 염색한 세포를 마운팅 용액 (mounting solution) (Vectashield, Vector Laboratories Inc., USA)으로 고착 시킨 후, 형광현미경 (Olympus ix70 Fluorescence Microscope, Olympus Corporation, Tokyo, Japan)을 이용하여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뉴라미니데이즈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서 보여주듯이,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처리한 음성 대조군에서는 뉴라미니데이즈 단백질의 발현이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화합물 5를 처리한 경우에는 뉴라미다아제 단백질의 발현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상기 실시예 11-1에서 실시한 웨스턴 블롯을 통해 확인한 바이러스 표면단백질 발현억제 결과와 일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1-3. Real-time PCR을 이용한 바이러스 표면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 확인
Real-time PCR 어세이에서의 세포배양은 상기 실시예 11-1에서 수행한 웨스턴 블롯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6웰 플레이트에 MDCK 세포를 분주하고 배양 후, 배양된 세포에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1N1 바이러스)를 0.01 MOI로 2시간 동안 처리하여 세포에 감염시켰다. 이후, 세포를 PBS로 세척한 후, 세포에 화합물 5를 10 μM의 농도가 되도록 함유하고 있는 DMEM를 넣고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TRIzol 방법을 사용하여 total RNA를 분리하였고 random 프라이머 (Invitrogen, USA)를 사용하여 역전사를 시켰다. 이 후, H1N1에 선택적인 프라이머 (Enoteck, Korea)와 Maxima SYBR Green qPCR master mix 2X kit (Thermo sci., Rockford, IL, USA), 그리고 StepOne software v2.3 (Applied Biosystems)를 사용하여 다음의 조건 (95 °C 10 min, 40 cycles 95 °C 15 sec, 60 °C 1 min)으로 real-time PCR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에서 알 수 있듯이 양성대조군과 화합물 5 모두 뉴라미니데이즈와 헤마글루티닌의 발현에 대하여 거의 동일한 양상의 발현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해당농도에 대하여 뉴라미니데이즈가 헤마글루티닌에 비해 더욱 강하게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2. 화합물 5와 바이러스성 단백질과의 결합력 예측을 위한 In silico 계산>
화합물 5의 경우, 상기 실시예 11을 통하여 바이러스성 단백질 유전자의 전사 및 합성을 저해함이 확인되었으므로 화합물 5를 대상으로 바이러스성 단백질과의 결합력을 예측하기 위하여 In silico 계산을 수행하였다. 화합물 5는 바이러스의 전염과 증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뉴클레오프로틴 (nucleoprotein)과 폴리머레이즈 에시딕 프로틴-폴리머레이즈 베이직 프로틴1 복합체 (PA-PB1)와의 결합을 계산하였으며 각기 단백질정보은행 (protein data bank, PDB)으로부터 제공받은 구조 3RO5와 2ZNL을 사용하였다. 계산은 Discovery Studio 4.0 (Accelrys, San Diego, CA)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프로그램 내의 CDOCKER algorithm을 통하여 수행하였다. 화합물과 단백질간의 결합에너지는 표 1에 나타내었으며, 결합의 3D 이미지 (좌)와 2D 다이어그램 (우)은 도 1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4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화합물 5의 경우, 본래 뉴클레오프로틴과 결합되어 있는 리간드 LHG (대조군)와 비교했을 때 크게 떨어지지 않는 안정한 결합력 (-40.9050 kcal/mol)을 나타내었을 뿐만 아니라 LHG과 결합이 이루어지는 뉴클레오프로틴의 핵심 아미노산 잔기 (Arg305, Ser376, Tyr52, Tyr289, Arg99)와 동일한 잔기에서 결합이 도 11(A)에서 관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폴리머레이즈 에시딕 프로틴-폴리머레이즈 베이직 프로틴1 복합체와의 결합에 있어서도 안정한 결합력 (-32.6849 kcal/mol)과 함께 핵심 아미노산 잔기 (Pro5, Phe9)를 포함한 기타 아미노산 잔기 (Lys643, Gln591, Phe658, Phe707)와의 결합을 나타내었다 (도 11(B)). 따라서 화합물 5의 결합력 계산 결과는 실시예 7에서 수행한 실험결과를 뒷받침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어떠한 아미노산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억제효능이 나타나는지를 알 수 있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
제제예 1-1.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소나무 송지 추출물 20 g 또는 7α-메톡시디하이드로아비에틱 에시드 (화합물 5) 200 ㎎ (또는 아비에타-8,11,13,15-테트라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8), 카라맛수익 에시드 (화합물 10), 7-옥소-13β-하이드록시아비에트-8(14)-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3), 8(14)-포도칼펜-13-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6), 8(14)-포도칼펜-7,13-다이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7), 4-에피-트랜스-코뮤닉 에시드 (화합물 20), (13S)-15-하이드록시랍-8(17)-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2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200 ㎎)을 각각 락토오스 175.9 g, 감자전분 180 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 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 g, 활석 50 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 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예 1-2. 주사액제의 제조
본 발명의 7α-메톡시디하이드로아비에틱 에시드 (화합물 5) 100 ㎎ (또는 아비에타-8,11,13,15-테트라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8), 카라맛수익 에시드 (화합물 10), 7-옥소-13β-하이드록시아비에트-8(14)-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3), 8(14)-포도칼펜-13-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6), 8(14)-포도칼펜-7,13-다이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7), 4-에피-트랜스-코뮤닉 에시드 (화합물 20), (13S)-15-하이드록시랍-8(17)-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2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100 ㎎), 염화나트륨 0.6 g 및 아스코르브산 0.1 g을 증류수에 용해시켜서 100 ㎖를 만들었다. 이 용액을 병에 넣고 20 ℃에서 30분간 가열하여 멸균시켰다.
<제제예 2. 식품 제조>
제제예 2-1. 조리용 양념의 제조
본 발명의 소나무 송지 추출물 또는 7α-메톡시디하이드로아비에틱 에시드 (화합물 5) (또는 아비에타-8,11,13,15-테트라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8), 카라맛수익 에시드 (화합물 10), 7-옥소-13β-하이드록시아비에트-8(14)-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3), 8(14)-포도칼펜-13-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6), 8(14)-포도칼펜-7,13-다이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7), 4-에피-트랜스-코뮤닉 에시드 (화합물 20), (13S)-15-하이드록시랍-8(17)-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2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각각 조리용 양념에 1중량%로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2.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소나무 송지 추출물 또는 7α-메톡시디하이드로아비에틱 에시드 (화합물 5) (또는 아비에타-8,11,13,15-테트라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8), 카라맛수익 에시드 (화합물 10), 7-옥소-13β-하이드록시아비에트-8(14)-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3), 8(14)-포도칼펜-13-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6), 8(14)-포도칼펜-7,13-다이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7), 4-에피-트랜스-코뮤닉 에시드 (화합물 20), (13S)-15-하이드록시랍-8(17)-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2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각각 밀가루에 0.1중량% 로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3. 스프 및 육즙 (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소나무 송지 추출물 또는 7α-메톡시디하이드로아비에틱 에시드 (화합물 5) (또는 아비에타-8,11,13,15-테트라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8), 카라맛수익 에시드 (화합물 10), 7-옥소-13β-하이드록시아비에트-8(14)-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3), 8(14)-포도칼펜-13-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6), 8(14)-포도칼펜-7,13-다이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7), 4-에피-트랜스-코뮤닉 에시드 (화합물 20), (13S)-15-하이드록시랍-8(17)-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2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각각 육즙에 0.1중량%로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4. 유제품 (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소나무 송지 추출물 또는 7α-메톡시디하이드로아비에틱 에시드 (화합물 5) (또는 아비에타-8,11,13,15-테트라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8), 카라맛수익 에시드 (화합물 10), 7-옥소-13β-하이드록시아비에트-8(14)-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3), 8(14)-포도칼펜-13-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6), 8(14)-포도칼펜-7,13-다이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7), 4-에피-트랜스-코뮤닉 에시드 (화합물 20), (13S)-15-하이드록시랍-8(17)-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2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각각 우유에 0.1중량%로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5. 야채주스 제조
본 발명의 소나무 송지 추출물 또는 7α-메톡시디하이드로아비에틱 에시드 (화합물 5) (또는 아비에타-8,11,13,15-테트라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8), 카라맛수익 에시드 (화합물 10), 7-옥소-13β-하이드록시아비에트-8(14)-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3), 8(14)-포도칼펜-13-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6), 8(14)-포도칼펜-7,13-다이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7), 4-에피-트랜스-코뮤닉 에시드 (화합물 20), (13S)-15-하이드록시랍-8(17)-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2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각각 토마토주스 또는 당 근주스 1,000 ㎖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주스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6. 과일주스 제조
본 발명의 소나무 송지 추출물 또는 7α-메톡시디하이드로아비에틱 에시드 (화합물 5) (또는 아비에타-8,11,13,15-테트라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8), 카라맛수익 에시드 (화합물 10), 7-옥소-13β-하이드록시아비에트-8(14)-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3), 8(14)-포도칼펜-13-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6), 8(14)-포도칼펜-7,13-다이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7), 4-에피-트랜스-코뮤닉 에시드 (화합물 20), (13S)-15-하이드록시랍-8(17)-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2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각각 0.1 g을 사과주스 또는 포도주스 1,000 ㎖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주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의 7α-메톡시디하이드로아비에틱 에시드 (화합물 5), 아비에타-8,11,13,15-테트라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8), 카라맛수익 에시드 (화합물 10), 7-옥소-13β-하이드록시아비에트-8(14)-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3), 8(14)-포도칼펜-13-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6), 8(14)-포도칼펜-7,13-다이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7), 4-에피-트랜스-코뮤닉 에시드 (화합물 20), (13S)-15-하이드록시랍-8(17)-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2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소나무(Pinus densiflo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5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 수용액은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의 수용액으로부터 선택된 알코올의 70~100% 수용액으로 추출 및 감압농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상기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 수용액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의 70~100% 수용액으로 추출 및 감압농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나무 추출물은 송지 추출물로서,
    (a) 소나무 송지를 메탄올 또는 에탄올의 70~100%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이를 감압농축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감압농축한 메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현탁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용매추출 및 농축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소나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4항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인플루엔자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6. 하기 화학식 1의 7α-메톡시디하이드로아비에틱 에시드 (화합물 5), 아비에타-8,11,13,15-테트라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8), 카라맛수익 에시드 (화합물 10), 7-옥소-13β-하이드록시아비에트-8(14)-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3), 8(14)-포도칼펜-13-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6), 8(14)-포도칼펜-7,13-다이온-18-오익 에시드 (화합물 17), 4-에피-트랜스-코뮤닉 에시드 (화합물 20), (13S)-15-하이드록시랍-8(17)-엔-18-오익 에시드 (화합물 2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다이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6
  7. 제1항, 제4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동물약품.
  8. 제1항, 제4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인플루엔자 증상 개선용 동물 사료첨가제.
  9. 제1항, 제4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인플루엔자 감염 예방용 천연소독제.
KR1020210007185A 2020-04-28 2021-01-19 소나무 송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다이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1338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747 2020-04-28
KR20200051747 2020-04-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861A true KR20210133861A (ko) 2021-11-08

Family

ID=78497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185A KR20210133861A (ko) 2020-04-28 2021-01-19 소나무 송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다이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38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794B1 (ko) 2021-11-15 2022-05-26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소나무 목부로부터 추출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861B1 (ko) 2005-10-19 2007-07-30 문치웅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러스로 인한 인간 질환의 치료및 예방용 조성물
KR100743862B1 (ko) 2005-10-19 2007-07-30 문치웅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러스로 인한 동물 질환의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060250B1 (ko) 2009-09-22 2011-08-29 주식회사 앰트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 그 제조방법,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충진된 스프레이 장치, 스프레이식 손 소독 세정제 및 스프레이식 구강청정제
KR101780975B1 (ko) 2015-03-20 2017-09-25 한국 한의학 연구원 송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면역 증진 및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861B1 (ko) 2005-10-19 2007-07-30 문치웅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러스로 인한 인간 질환의 치료및 예방용 조성물
KR100743862B1 (ko) 2005-10-19 2007-07-30 문치웅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러스로 인한 동물 질환의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060250B1 (ko) 2009-09-22 2011-08-29 주식회사 앰트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 그 제조방법,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충진된 스프레이 장치, 스프레이식 손 소독 세정제 및 스프레이식 구강청정제
KR101780975B1 (ko) 2015-03-20 2017-09-25 한국 한의학 연구원 송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면역 증진 및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awood F.S., et al., Emergence of a novel swine-origin influenza A (H1N1) virus in humans, N. Engl. J. Med., 360, 2605-2615, 2009.
Hauge S.H., et al., Oseltamivir-resistant influenza viruses A (H1N1), Norway, 2007~2008, Emerg. Infect. Dis., 15, 155-162, 2009
Hirata A., et al., Miltiorins A-D, diterpenes from Radix Salviae miltiorrhizae, Fitoterapia, 102, 49-55, 2015.
Lee J.Y., The resistance situation of antiviral agent in Korea: 2008~2009 oseltamivir resistance of seasonal influenza A/H1N1, Infect. Chemother., 41(Suppl 2), S20-S24, 2009.
Lin S., et al., Abietane and C20-norabietane diterpenes from the stem bark of Fraxinus sieboldiana and their biological activities, J. Nat. Prod., 73, 1914-1921, 2010.
Liu A.-L., et al.,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of flavonoids as influenza virus neuraminidase inhibitors and their in vitro anti-viral activities, Bioorg. Med. Chem., 16, 7141-7147, 2008.
Schnitzler S.U., et al., An update on swine-origin influenza virus a/h1n1: A review, Virus Genes, 39(3), 279-292, 2009.
Wright P.F., et al., Orthomyxoviruses, Fields' Virology, 5th ed. New York:Wolters Kluwer Health, Lippincott Williams&Wilkins, 1691-1740, 2007.
Zimmer S.M., et al., Historical perspective-emergence of influenza A (H1N1) viruses, N. Engl. J. Med., 361, 279-285, 2009.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794B1 (ko) 2021-11-15 2022-05-26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소나무 목부로부터 추출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won et al. In vitro antiviral activity of phlorotannins isolated from Ecklonia cava against porcine epidemic diarrhea coronavirus infection and hemagglutination
Yang et al. Oleanane triterpenes from the flowers of Camellia japonica inhibit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PEDV) replication
KR101021830B1 (ko) 크레이스토카릭스 오페르쿠라투스로부터 얻은 조류, 돼지 인플루엔자 및 신종플루에 대한 항바이러스제
KR101782532B1 (ko) 백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퓨라노쿠마린을 함유하는 조류 인플루엔자, 돼지 인플루엔자 또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rhira et al. In vitro anti-influenza virus activities of a new lignan glycoside from the latex of Calotropis gigantea
KR100962334B1 (ko) 울금으로부터 얻은 조류, 돼지 인플루엔자 및 신종플루에 대한 항바이러스제
KR100950445B1 (ko) 감초로부터 얻은 조류, 돼지 인플루엔자 및 신종플루에 대한 항바이러스제
KR101334143B1 (ko) 폴리갈라 카렌시움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잔톤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돼지 인플루엔자 또는 신종플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He et al. Isolation, structural characterization and neuramin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polyphenolic constituents from Flos caryophylli
KR20120118707A (ko) 신종인플루엔자, 조류인플루엔자, 일반 및 독감감기, sars 바이러스 억제 효능을 갖는 오배자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20160024092A (ko) 동백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올레아난 트리터펜 유도체를 함유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Yang et al. Discovery of inhibitory materials against PEDV corona virus from medicinal plants
Chen et al. Isocorilagin, isolated from Canarium album (Lour.) Raeusch, as a potent neuraminidase inhibitor against influenza A virus
KR101612051B1 (ko) 단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71601B1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080152735A1 (en) Herbal Extract Having Anti- Influenza Virus Activity and Preparation of Same
KR20210133861A (ko) 소나무 송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다이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110381A (ko) 흑인삼꽃봉오리 가공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76528B1 (ko) 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55683A (ko)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56749B1 (ko) 울금 (Curcuma longa)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세스퀴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88777A1 (ko) 감태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로로탄닌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57010A (ko) 폴리페놀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KR20220076565A (ko) 백지(Angelica dahurica), 울금(Curcuma longa) 및 송지(Resina Pin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Zhang et al. Study on the inhibitory effect of rocaglamide against Micropterus salmoides rhabdovirus (MSR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