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3855A - 케이블 뒤틀림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뒤틀림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3855A
KR20210133855A KR1020200177767A KR20200177767A KR20210133855A KR 20210133855 A KR20210133855 A KR 20210133855A KR 1020200177767 A KR1020200177767 A KR 1020200177767A KR 20200177767 A KR20200177767 A KR 20200177767A KR 20210133855 A KR20210133855 A KR 20210133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fixing part
connecting member
body fixing
preven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7954B1 (ko
Inventor
임경순
Original Assignee
임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경순 filed Critical 임경순
Publication of KR20210133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3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01B7/041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attached to mobile objects, e.g. portable tools, elevators, mining equipment, hoisting cables

Landscapes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뒤틀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드라이기 또는 전동공구 등의 전기제품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과 케이블의 일측을 고정 연결함으로써 사용 중 케이블이 꼬여 단선되거나 파손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케이블 뒤틀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본체 고정부와 케이블 고정부 및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케이블 뒤틀림 방지 장치{Device for Preventing Torsion of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뒤틀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드라이기 또는 전동공구 등의 전기제품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과 케이블의 일측을 고정 연결함으로써 사용 중 케이블이 꼬여 단선되거나 파손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케이블 뒤틀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적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다리미, 드라이기 등의 가전제품이나 전동공구 등의 물품(이하, '전기제품'이라 칭하기로 한다)은 전원과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케이블은 끝단의 플러그가 전원 공급용 콘센트에 고정 연결되며, 이러한 플러그는 위치 고정된 상태를 갖는다.
한편, 이러한 전기제품은 대부분 사용자가 손으로 전기제품을 잡고 사용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 오른손과 왼손을 옮겨가면서 사용하기도 하고 손에 들었다가 내려놓기도 하는 등 여러 가지 사용(작업)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사용(작업)행위에 의해 전기제품은 위치가 이동되거나 회전하여 방향이 바뀌는 위치에 놓일 수 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전기제품과 연결된 케이블에 꼬임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전기제품의 케이블 꼬임은 전기제품과 케이블 연결부위에 비틀림을 가하는 힘을 전달하게 되고, 이러한 비틀림이 풀렸다 비틀리기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케이블 연결부위의 버틸 수 있는 한계점이 점점 낮아지게 되어 결국은 케이블의 단선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기제품의 사용자는 사용과정 중 케이블에 꼬임이 발생하였는지를 수시로 확인해야만 했고, 이러한 과정은 사용자가 온전히 사용(작업) 행위에 집중하지 못하게 함으로 전기제품의 사용에 불편함을 가져올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이러한 케이블의 꼬임에 의한 단선은 자칫 누전이 발생할 염려가 있어 전동공구를 사용하는 작업장에서는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케이블 꼬임 방지 장치는 특정 제품에만 한정되어 사용가능하거나 케이블 전체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사용상의 제약이 많아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 1998-010562 (1998.05.15. 공개)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6-0024994 (2006.03.20.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케이블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드라이기 또는 전동공구 등의 전기제품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과 케이블의 일측을 고정 연결함으로써 사용 중 케이블이 꼬여 단선되거나 파손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케이블 뒤틀림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뒤틀림 방지 장치는, 전기제품에 연결된 케이블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기제품과 케이블의 연결부위와 가까운 전기제품의 일측 또는 상기 전기제품과 케이블의 연결부위의 시작부분 일측에 고정 결합한 본체 고정부와; 상기 본체 고정부와 이격된 간격으로 상기 케이블의 일측에 고정 결합한 케이블 고정부; 및, 일단이 상기 본체 고정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블 고정부와 연결되도록 설정의 길이(L1)를 가지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일 실시예로, 연결부재는, 뒤틀림에 대한 저항력 또는 반발력을 가지는 경질의 중심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중심재를 감싸는 연질의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로, 상기 연결부재는, 일측에 길이(L1)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본체 고정부와 케이블 고정부는, 상기 연결부재와 힌지회동 가능하게 고정 연결한다.
일 실시예로, 본체 고정부와 케이블 고정부는, 설정의 크기로 고정되는 위치를 감싸거나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의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 또는 연결부재를 조여 가압하는 조임구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뒤틀림 방지 장치는, 본체 고정부와 케이블 고정부 사이의 연결부재가 케이블의 뒤틀림을 유도하는 힘에 저항하여 버팀으로 케이블이 꼬여 단선되거나 파손됨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연결부재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함으로 사용상의 편이성을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뒤틀림 방지 장치와 이를 적용한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뒤틀림 방지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뒤틀림 방지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뒤틀림 방지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뒤틀림 방지 장치(1)는, 크게 본체 고정부(10)와 케이블 고정부(20) 및 연결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 고정부(10)는, 도 1에서와 같이 전기제품(M)과 케이블(C)의 연결부위와 가까운 전기제품(M)의 일측에 끼움 또는 체결되어 고정결합하거나, 도 2에서와 같이 전기제품(M)과 케이블(C)의 연결부위의 시작부분 일측에 끼움 또는 체결되어 고정결합한다.
그리고, 케이블 고정부(20)는, 본체 고정부(10)와 이격된 간격을 가지며 케이블(10)의 일측에 고정 결합한다.
한편, 연결부재(30)는 본체 고정부(10)와 케이블 고정부(20)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것으로 설정에 따른 길이(L1) - 본체 고정부와 케이블 고정부의 간격 - 를 가지며 케이블(C)의 뒤틀림을 유도하는 힘에 저항하여 버티도록 저항력 또는 반발력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작업자)가 전기제품(M)을 사용하면서 행위에 의해 케이블(C)의 뒤틀림을 유도하는 힘이 발생하더라도 케이블 뒤틀림 방지장치(1)의 연결부재(30)가 그 힘을 견디거나 저항함으로 본체 고정부(10)와 케이블 고정부(20) 사이의 케이블(C)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해 단선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뒤틀림 방지장치(1)를 살펴보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 고정부(10)는 케이블 연결부위와 가까운 전기제품(M)의 일측 또는 상기 전기제품(M)과 케이블(C)의 연결부위의 시작부분 일측에 고정 결합한 것으로, 사용(작업) 중 고정 결합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
일 실시예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체 고정부(10)는 설정의 크기로 고정되는 위치를 감싸거나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의 고정구(11)와, 필요에 따라 고정구(11) 또는 후술의 연결부재(30)를 조여 가압함으로 이탈을 방지하는 조임구(1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본체 고정부(10)는 도 2에서와 같이, 전기제품(M)과 케이블(C)의 연결부위에 고정될 때는 해당 부위를 감쌀수 있는 판상의 후크고리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도 1에서와 같이 전기제품(M)의 일측에 고정될 때는 제품의 고정홀(미도시)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본체 고정부(10)의 고정구(11)는 어느 하나의 형상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해당하는 전기제품(M)에 따라 전기제품(M)의 일측 또는 전기제품(M)과 케이블(C)의 연결부위 일측에 고정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 본체 고정부(10)의 고정구(11)는 고정되는 위치에 삽입되거나 나사결합되는 핀 또는 볼트 형상일 수도 있다.
한편 조임구(12)는 상술의 본체 고정부(10)를 구성하는 고정구(11)가 고정 결합한 위치에서 이탈되거나 연결된 연결부재(30)와의 연결됨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구(11) 또는 연결부재(30)를 필요에 따라 조여 가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필요에 따라 이러한 조임구(12)는 다수개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되어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말해 일 실시예로, 도 3을 참조하면 조임구(12) 중 제1조임구는 볼트 및 나사 형태로 판상의 후크고리 형태의 고정구(11) 양단부를 조여 가압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30)와 연결된 조임구(12) 중 제2조임구는 고정구(11)의 단부와 연결부재(30)의 연결된 단부를 조여 가압함으로 분리됨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제1조임구와 제2조임구는 선택적으로 같이 또는 따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필요에 따라 고정위치를 감싸 고정하는 고정구(11)의 경우 내측에 케이블(C)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와 같은 연질의 패드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어서, 일 실시예로 케이블 고정부(2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설정의 크기로 고정되는 위치를 감싸거나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의 고정구(21)와, 필요에 따라 고정구(21) 또는 후술의 연결부재(30)를 조여 가압함으로 이탈을 방지하는 조임구(2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케이블 고정부(10)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전기제품(M)과 케이블(C)의 연결부위에서 설정의 간격을 가지는 케이블(C)의 일측을 감싸는 판상의 후크고리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조임구(22)는 상술의 케이블 고정부(20)를 구성하는 고정구(21)가 고정 결합한 위치에서 이탈되거나 연결된 연결부재(30)와의 연결됨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구(21) 또는 연결부재(30)를 필요에 따라 조여 가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필요에 따라 이러한 조임구(22)는 다양한 형태가 다수개 적용되어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말해 일 실시예로, 도 3을 참조하면 조임구(22) 중 제1조임구는 볼트 및 나사 형태로 판상의 후크고리 형태의 고정구(21) 양단부를 조여 가압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30)와 연결된 조임구(22) 중 제2조임구는 고정구(21)의 단부와 연결부재(30)의 연결된 단부를 조여 가압함으로 분리됨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제1조임구와 제2조임구는 선택적으로 같이 또는 따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필요에 따라 이러한 조임구(22)는 선택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필요에 따라 케이블(C)을 감싸 고정하는 고정구(21)는 내측에 케이블(C)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와 같은 연질의 패드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에서 설명한 본체 고정부(10)와 케이블 고정부(20)는 설정의 위치에 위치 고정되어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가능함을 기술한 바 있다.
예를 들어, 본체 고정부(10)와 케이블 고정부(20)는 통상의 케이블 타이 형태로 조임에 의해 설정의 위치에 고정 결합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 타이 형태의 구조는 공지의 구조와 기능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서, 재차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뒤틀림 방지장치(1)를 구성하는 연결부재(30)를 살펴본다.
연결부재(30)는 일단이 본체 고정부(10)와 연결되고 타단이 케이블 고정부(20)와 연결되는데, 설정에 따른 길이(L1)를 갖는다.
이때, 연결부재(30)는 뒤틀림에 대한 저항력 또는 반발력을 가질 수 있도록 경질의 중심재(31)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연결부재(30)는 본체 고정부(10)와 케이블 고정부(20)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것으로 설정에 따른 길이(L1)를 가지며 뒤틀림을 유도하는 힘에 저항하여 버티도록 저항력 또는 반발력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한다.
이러한 중심재(31)는 경질의 와이어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부재(30)에 의해 사용 중 뒤틀림을 유도하는 힘이 발생하면, 본 발명의 케이블 뒤틀림 방지 장치(1)는, 본체 고정부(10)와 케이블 고정부(20)가 각각 설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연결부재(30)는 뒤틀림에 저항하는 재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전기제품(M)과 케이블(C)의 연결부위의 뒤틀림을 방지하여 단선을 예방하게 된다.
또한, 연결부재(30)의 길이(L1)가 길 경우, 사용 중 연결부재(30)가 케이블(C)의 꼬임에 따라 함께 감기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연결부재(30)는 케이블(C)을 감아줌으로 감싸 보호하는 보호부재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케이블의 연결부위가 단선될 정도로 뒤틀리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불어 이의 경우, 사용자는 케이블(C)에 연결부재(30)가 감긴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함으로 케이블에 뒤틀림이 발생하였음을 시각적으로 확인해 꼬인 부분을 풀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뒤틀림 방지장치(1)는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부재(30)를 구성함에 있어서, 중심재(31)를 감싸는 연질의 보호층(32)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재(31)가 경질의 와이어일 경우, 사용(작업) 중 와이어의 외표면에 케이블(C)이 쓸려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경질의 중심재(31)를 감싸 보호하도록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연질의 보호층(32)을 더 포함한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블 뒤틀림 방지장치(1)에 적용한 연결부재(30)는 일측에 길이(L1)를 조절하는 조절부(40)를 더 포함한다.
다시 말해, 연결부재(3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 다양한 전기제품(M)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조절부(40)는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로 링 형태의 조임구 형태로 도시하였으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연결부재(30)를 접고 조절부(40)를 끼워 가압함으로 전체 연결부재(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절부(40)는 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연결부재(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불어, 재차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시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뒤틀림 방지장치(1)를 구성하는 본체 고정부(10)와 케이블 고정부(20)는 연결부재(30)와 힌지회동 가능하게 고정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 고정부(10)와 케이블 고정부(20)는 연결부재(30)와 연결되는 부위가 힌지회동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하는 전기제품(M)의 종류와 본체 고정부(10) 및 케이블 고정부(20)가 고정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케이블 뒤클림 방지장치(1)를 적용할 수 있어 제품의 사용 편이성을 극대화한다.
도시에서는 본체 고정부(10)와 케이블 고정부(20)의 연결부재(30)와의 힌지회동 구조를 볼트 형태의 조임구(12, 22)를 통해 예시하였으나, 핀 또는 별도의 힌지축을 형성을 통해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뒤틀림 방지장치(1)는, 본체 고정부(10)와 케이블 고정부(20) 사이의 연결부재(30)가 케이블(C)의 뒤틀림을 유도하는 힘에 저항하여 버팀으로 케이블 연결부위가 꼬여 단선되거나 파손됨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 케이블 뒤틀림 방지 방치
10 : 본체 고정부
11, 21 : 고정구
12, 22 : 조임구
20 : 케이블 고정부
30 : 연결부재
31 : 중심재
32 : 보호층
40 : 조절부

Claims (6)

  1. 전기제품(M)에 연결된 케이블(C)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케이블 뒤틀림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M)과 케이블(C)의 연결부위와 가까운 전기제품(M)의 일측 또는 상기 전기제품(M)과 케이블(C)의 연결부위의 시작부분 일측에 고정 결합한 본체 고정부(10)와;
    상기 본체 고정부(10)와 이격된 간격으로 상기 케이블(10)의 일측에 고정 결합한 케이블 고정부(20); 및,
    일단이 상기 본체 고정부(10)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블 고정부(20)와 연결되도록 설정의 길이(L1)를 가지는 연결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뒤틀림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는,
    뒤틀림에 대한 저항력 또는 반발력을 가지는 경질의 중심재(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뒤틀림 방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중심재(31)를 감싸는 연질의 보호층(3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뒤틀림 방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는,
    일측에 길이(L1)를 조절하는 조절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뒤틀림 방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고정부(10)와 케이블 고정부(20)는,
    상기 연결부재(30)와 힌지회동 가능하게 고정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뒤틀림 방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고정부(10)와 케이블 고정부(20)는,
    설정의 크기로 고정되는 위치를 감싸거나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의 고정구(11, 21)와, 상기 고정구(11, 21) 또는 연결부재(30)를 조여 가압하는 조임구(12, 22)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뒤틀림 방지 장치.
KR1020200177767A 2020-04-29 2020-12-17 케이블 뒤틀림 방지 장치 KR1023279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562 2020-04-29
KR20200052562 2020-04-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855A true KR20210133855A (ko) 2021-11-08
KR102327954B1 KR102327954B1 (ko) 2021-11-22

Family

ID=78497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767A KR102327954B1 (ko) 2020-04-29 2020-12-17 케이블 뒤틀림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9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94213A (zh) * 2023-10-13 2024-01-12 国网山东省电力公司武城县供电公司 线缆敷设用防扭曲装置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0562A (ko) 1996-07-23 1998-04-30 김광호 박막 트랜지스터-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24994A (ko) 2004-09-15 2006-03-20 태화사초사료주식회사 마이크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
KR101865063B1 (ko) * 2017-02-03 2018-06-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일점 계류형 조류발전 장치의 전력케이블 꼬임 방지 계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0562A (ko) 1996-07-23 1998-04-30 김광호 박막 트랜지스터-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24994A (ko) 2004-09-15 2006-03-20 태화사초사료주식회사 마이크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
KR101865063B1 (ko) * 2017-02-03 2018-06-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일점 계류형 조류발전 장치의 전력케이블 꼬임 방지 계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94213A (zh) * 2023-10-13 2024-01-12 国网山东省电力公司武城县供电公司 线缆敷设用防扭曲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7954B1 (ko) 202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7390A (en) Electrical plug securing device
KR102327954B1 (ko) 케이블 뒤틀림 방지 장치
ZA200105977B (en) Hair styling device.
ZA200000372B (en) A hair lotion with improved properties in its hair protecting action and prevention of hair loss, and the reduction of external effects of androgenic alopecia and resulting hair loss.
CN110265923B (zh) 一种防弧线夹绝缘护罩安装工具
KR101963733B1 (ko) 힌지 덮개형 인장클램프
JP5595817B2 (ja) 電線用巻付バインド及びバインド方法
US2258343A (en) Strain reliever for electrical conductors
CN201732950U (zh) 带卷线筒的插排
CN101457598B (zh) 电杆防倒杆装置
CN203422397U (zh) 高压试验用引线接头固定接地工具
CN110582132A (zh) 一种电加热用组装插件
JP5547306B1 (ja) 碍子バインド
KR102194941B1 (ko)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
KR200487310Y1 (ko) 전기 플러그
CN215478955U (zh) 一种新型绝缘纸
KR101992567B1 (ko)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
KR200451062Y1 (ko) 전선결속장치
KR102011630B1 (ko) 전선 정리 기구
CN204384638U (zh) 防扭收线器
KR100603493B1 (ko) 마이크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
KR19990011921U (ko) 전깃줄 정리기
CN210898423U (zh) 一种用于电力控制机房网线的布线装置
CN210896807U (zh) 一种二次电缆绝缘套头
CN207651799U (zh) 一种开关柜操作手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