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567B1 -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567B1
KR101992567B1 KR1020180083588A KR20180083588A KR101992567B1 KR 101992567 B1 KR101992567 B1 KR 101992567B1 KR 1020180083588 A KR1020180083588 A KR 1020180083588A KR 20180083588 A KR20180083588 A KR 20180083588A KR 101992567 B1 KR101992567 B1 KR 101992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main body
cables
binding porti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이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수 filed Critical 이정수
Priority to KR1020180083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5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567B1/ko
Priority to PCT/KR2019/008837 priority patent/WO2020017888A1/ko
Priority to US17/261,011 priority patent/US2021029687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6Flat cores, e.g. c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182Identif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8Arrangements for positively securing ends of material
    • B65H75/285Holding devices to prevent the wound material from unw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6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without essentially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e.g.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casing or container, or intermittently engaging a plurality of supports as in sinuous or serpentine fash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57Arrangements of the frame or housing
    • B65H75/4465Foldable or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73Constructional details without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rotating the core or form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50Storage means for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51Cores or ree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5H2701/514Elastic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정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전기, 전자제품에 달린 전원코드를 비롯한 각종 케이블들의 길이와 굵기에 따라 구부림을 조절할 수 있는 플렉시블한 본체와, 탄성회복력을 가지며 케이블 출입이 용이하고, 케이블 감고 풀기가 용이하며 잠금과 잠금 해제가 용이한 결속부가 본체의 상면에 복수개가 결합됨으로써 케이블을 구부려 접지 않고, 원형으로 감아 케이블을 보호함과 동시에 감김 상태의 미관을 좋게 하고, 케이블이 감긴 상태의 체적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적응형 케이블 정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BAR-TYPE CABLE ORZANIZING APPARATUS FOR ADAPTING CABLE VOLUME}
본 발명은 케이블 정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전기, 전자제품에 달린 전원코드를 비롯한 각종 케이블들의 길이와 굵기에 따라 구부림을 조절할 수 있는 플렉시블한 본체와, 탄성회복력을 가지며 케이블 출입이 용이하고, 케이블 감고 풀기가 용이하며 잠금과 잠금 해제가 용이한 결속부가 본체의 상면에 복수개가 결합됨으로써 케이블을 구부려 접지 않고, 원형으로 감아 케이블을 보호함과 동시에 감김 상태의 미관을 좋게 하고, 케이블이 감긴 상태의 체적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적응형 케이블 정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 주변에는 TV, 냉장고, 컴퓨터, 세탁기 등 전자제품의 전원 케이블과 인터넷, 전화, 영상, 오디오 등의 각종 케이블들, 각종 충전기류의 케이블들, 마우스 케이블, 키보드 케이블, 노트북 전원케이블, 헤어드라이기, 고대기 등 각종 미용 용품의 전원케이블, 주방용 전기전자제품 케이블, 스포츠용품 전원 케이블, 전동공구류 전원케이블, 입간판 전원케이블 등 수 많은 케이블류들이 어지럽게 펼쳐져 있거나 얽혀있어, 이를 정리할 필요가 있다.
상기 케이블들이 정리되어 있지 않으면, 미관 상 좋지 않고, 발에 밟히거나 걸려 넘어지거나, 가구나 기타 물체 등에 짓눌리거나, 사업장의 경우 전동차량이나 기타 물체 등이 케이블 위로 지나다니거나, 기타 여러 가지 주변 환경에 의해 케이블이 회손되면, 위험이 발생하는 등 기능 상 장애가 생기므로 케이블 정리와 함께 케이블의 보호가 필요하다.
또한, 잘못된 방식으로 감겨진 케이블들은 전기안전상 문제가 생기거나, 통신에 문제가 생기게 되므로 올바른 케이블 감기가 필요하다.
좀 더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전기히터나 에어컨, 전기장판 등 계절기기들은 사용계절이 지나면 보관하고, 사용 계절이 돌아오면 이를 사용하는데, 연중 많은 기간은 비사용 기간이므로, 전원케이블의 정리와 정리방식 및 보호는 미관상이나 전기안전상으로 매우 중요한 실정이다.
전기장판의 경우 사용계절에도 아침에 기상하면, 화재예방을 위해 코드를 전원과 분리하고, 밤이 되면 다시 전원을 연결하여야 하는데, 설치 장소가 방바닥, 거실 바닥, 침대 등이므로 전원 케이블이 벽면 콘센트에서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멀티탭을 거쳐 바닥을 가로질러서, 전기장판으로 이어지는 관계로 걸려 넘어지거나 밟고 다닐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가 발생되거나 미관 및 전기 안전상 좋지 않다.
그리고, 헤어드라이어, 고대기, 피부 마사지기, 면도기 등과 같은 미용기기들은 잠시 사용하고, 방치됨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는데, 이때 케이블을 정리하지 않으면, 항상 복잡하고 꼬인 상태로 방치되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미관 및 전기 안전상 좋지 않다.
또한, 미사용시 전원 코드를 반드시 빼놓아야만 하는 전기 다리미, 글로건, 납땜기, 간판, 외장하드 역시 케이블 정리와 풀기, 보관 등이 미관과 전기안전 상 중요하다.
마찬가지로, 전기 후라이팬, 약탕기, 믹서기 등 주방기기 역시 사용 시에만 잠시 전원코드가 연결되며, 사용이 끝나면 전원코드가 분리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케이블 정리가 중요하고, 소형 라디오, 카세트 등도 옥 내외로 자주 이동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케이블 정리가 중요하며, 가정과 스포츠센터 등의 런닝머신 등 운동기구들도 케이블이 매우 길고, 어지럽게 방치되기 쉬우므로 케이블 정리가 필요하다.
또한, 스마트폰 충전기 등 각종 충전기류 역시 충전 시와 충전이 끝난 후를 막론하고, USB 케이블들이 어지럽게 방치되는 경우가 많으며, 스마트폰 충전기와 노트북 전원케이블, 마우스 등은 휴대를 하는 경우가 잦은데, 특히 노트북의 경우 휴대 시 상당히 긴 전원케이블과 마우스를 가방에 넣어야 하고, 이동이 끝나면 케이블들을 꺼낸 다음, 이를 풀어 설치하고, 사용하는 행위가 계속 반복되게 되는데, 사용 시에도 긴 전원 케이블과 마우스 케이블이 걸리적거려 불편하므로, 휴대와 사용 시 모두 케이블 정리와 풀기가 중요한 항목이다.
또, 다른 전자전기제품에 비해 케이블이 길고, 전원어댑터 등이 달려 있는 노트북, 모니터, 셋톱박스 등의 전원케이블들은, 교류용 굵은 전선과 직류용 가는 전선이 어댑터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연결되는 형태인 관계로, 다른 전기전자제품의 케이블들과의 통합정리에 애로가 있고, 법적으로 정해진 콘센트에만 연결되도록 규정되고, 일반적으로 독립적인 장소에 비치되는 에어컨의 전원케이블은 다른 케이블들과 통합 정리가 어렵다.
마찬가지로, 인터넷 케이블(LAN), USB 데이터 케이블, 전화선 등 데이터 케이블류는 굵기가 상대적으로 가늘고, 길이가 길거나 방향이 다르므로 전기전자제품 전원 케이블류와의 통합정리에 애로가 있다.
또한, 각종 산업현장에 있어서도, 전동공구 등이나 납땜기, 인두기, 기타 각종 전기, 전자 장비의 케이블을 정리하거나 보호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와는 달리, 냉장고, 김치 냉장고, 세탁기, 정수기, 전자레인지, 공유기, 모뎀 등은 일단 한 장소에 비치되면, 이동이 잦지 않은 경향의 제품들이며, 이들 전원케이블이나 데이터 케이블들은 한번 정리 후 더 이상 풀거나 감는 것이 필요치 않을 경우가 많으나, 각각 독립적으로 위치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여타 전기전자제품의 케이블들과 통합 정리가 어렵고, 콘센트와의 거리에 비해 길어 남아도는 구간부위가 정리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어지러운 상태로 방치되므로 정리가 필요하며, 이들 전자제품들 역시 이사나 보수공사, 자리이동 등으로 케이블들을 다시 정리할 경우는 발생된다.
이와는 달리, TV와 셋톱박스, 사운드 바 등 TV 주변기기류, 컴퓨터와 모니터, 프린터, 스캐너 등 컴퓨터 주변기기류 등은 일단 한 장소에 비치되면, 이동이 잦지 않은 경향의 제품들이며, 한번 정리로 더 이상 풀거나 감는 것이 필요치 않을 경우가 많으나, 관련된 케이블들의 수가 많고, 통합 정리가 필요하다. 이들 전자제품들 역시 이사나 보수공사, 자리이동 등으로 케이블들을 다시 정리할 경우는 발생된다.
한편, 대한민국에서 사용하는 전기전자제품의 전원코드는 일반적으로 정격 250V 10A용이 대다수이며, 이는 둥근 케이블 형태와 납작 케이블 형태로 나뉘며 납작 케이블은 둥근 케이블 형태보다 굵기가 가늘다. 미국 등 125V 10A를 정격으로 하는 국가들의 전기전자제품들의 전원코드는 상기 250V 10A용 전원케이블에 비해 굵기가 가늘다.
USB 데이터케이블, 모니터나 노트북 등의 직류전원코드 구간은 이보다 굵기가 한층 가늘고, 이어폰 케이블은 굵기가 가장 가는 케이블 형태 중 하나이다. 이어폰 케이블은 가는데다 유연하므로 감고 풀기가 쉬우며, USB 데이터케이블은 이어폰 케이블보다는 더 굵고 유연함이 덜하며, 또 길이가 1.8m에 달하므로 감고 풀기가 이어폰 케이블에 비해 힘들다. 이에 스마트 폰 충전기 등의 USB 데이터케이블은 휴대 편의성을 위해 50cm정도의 짧은 길이로 제작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어폰 케이블이나 USB 데이터 케이블에 비해 전기전자제품의 전원코드에 사용되는 케이블은 굵기가 훨씬 굵은데다 유연성이 떨어지고, 길이가 보통 1.5m내외이고 2m를 넘는 경우도 있으므로 정리하기가 힘들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0-0033504호, 제10-2006-0015965호 등에 원형으로 감거나 푸는 방식의 케이블 정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케이블 정리장치는 이어폰 케이블과 짧은 길이의 USB 데이터 케이블을 위한 것이며, 이러한 방식의 정리장치는 1.8m 규격의 일반적인 길이의 USB 데이터 케이블의 감고 풀기에는 적합지 않고, 더욱이 전기전자제품의 전원코드에 사용되는 케이블에는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케이블 정리가 가장 어려운 케이블은 무엇보다도 멀티탭 자체 전원코드나 연장코드 등에 사용되는 250V 16A 규격의 전원코드의 케이블이다. 이 케이블은 전기전자제품의 전원코드(250V 10A)에 비해 굵기가 훨씬 굵으므로 유연성도 떨어지고, 길이도 1.5m 내외이며, 3m나 5m에 달하는 것도 흔하므로 원형이나 타원형으로 감거나 푸는 방식의 케이블 정리장치로 적정한 체적 이하로 이를 정리하는 것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0-0033504호 국내 공개특허 제10-2006-001596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 전자제품에 달린 전원코드를 비롯한 각종 케이블들의 길이와 굵기에 따라 구부림을 조절할 수 있는 플렉시블한 본체와, 탄성회복력을 가지며 케이블 출입이 용이하고, 케이블 감고 풀기가 용이하며 잠금과 잠금 해제가 용이한 결속부가 본체의 상면에 복수개가 결합됨으로써 케이블을 구부려 접지 않고, 원형으로 감아 케이블을 보호함과 동시에 감김 상태의 미관을 좋게 하고, 케이블이 감긴 상태의 체적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적응형 케이블 정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직사각형 밴드 형태로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되는 본체와; 탄성 재질로 상단이 절개된 원통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1개 또는 복수개가 상호 이격 설치되어 케이블이 수납되는 결속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를 가압하여 곡선, 원형, 맴돌이형으로 변형시킨 다음 외측에 위치한 상기 결속부에 상기 케이블을 감아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는 탄성 복원력을 가진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본체는 내부에 연성 재질의 금속바가 인서트되어 상기 금속바의 변형에 대응되는 형태를 유지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본체는 상기 결속부가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상면에 결합 수단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본체는 저면에 벽면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접착 수단이 구비되거나, 광고나 장식, 식별 부호가 인쇄된 스티커가 부착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결합 수단은 힌지턱 또는 압입홀이다.
여기에서 또, 상기 본체는 중공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본체의 길이 가변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가변부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결속부는 상기 본체의 결합 수단과 결합되도록 하단에 힌지축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결속부는 상기 케이블을 고정시키기 위해 가압하여 각도를 변경할 시 변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결합 수단에 가압 결합되거나 다단으로 각도가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결속부는 상호 결속되어 상기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단 양측에 잠금 수단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결속부는 상기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고, 케이블 인입을 안내하도록 상단 양끝단에서 수평하게 가이드판이 연장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결속부는 상기 케이블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조 잠금 수단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본체 또는 결속부는 상기 케이블의 과부하, 단선으로 인해 과열되었을 때 변색되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시온안료가 혼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적응형 케이블 정리 장치에 따르면, 전기, 전자제품에 달린 전원코드를 비롯한 각종 케이블들의 길이와 굵기에 따라 구부림을 조절할 수 있는 플렉시블한 본체와, 탄성회복력을 가지며 케이블 출입이 용이하고, 케이블 감고 풀기가 용이하며 잠금과 잠금 해제가 용이한 결속부가 본체의 상면에 복수개가 결합됨으로써 케이블을 구부려 접지 않고, 원형으로 감아 케이블을 보호함과 동시에 감김 상태의 미관을 좋게 하고, 케이블이 감긴 상태의 체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굵기와 길이의 케이블에 적응하여 감거나 풀 수 있고, 결속부의 내경 체적을 초과하는 굵기나 길이의 케이블도 결속할 수 있고, 케이블을 결속부 내경 체적에 비해 적게 감아도 결속부를 눕히는 동작만으로도 케이블의 감김이 이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빨리 감거나 풀기가 쉬어 편리하며, 필요한 만큼만 또는 전체 케이블을 수시로 빨리 감거나 풀기가 쉬어 더욱 편리하여 전기히터, 선풍기와 같은 계절용 가전을 비롯한 비사용 전자전기제품의 케이블 장기보관에 최적화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를 펴 복수의 케이블 정리용 케이블 타이로도 사용 가능하고, 본체의 저면에 양면스티커나 자석, 벨크로 등을 부착하여 벽면이나 가구 등에 부착이 가능하며, 본체를 구부려 모서리 등 각진 장소에서의 복수의 케이블 정리용 케이블 타이로도 사용 가능하며. 본체로부터 결속부를 분리하여 결속부만으로 독립적인 케이블 타이로 사용 가능하며, 초소형으로 무게가 가볍고 크기가 작아 휴대가 편리하고,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반면 이어폰 케이블과 같은 초소형 케이블서부터 충전기 케이블, USB 데이터 케이블은 물론 멀티탭 케이블(250V, 16A, 1.5m~5m)), 전화선이나 인터넷 케이블(5~10m)과 같은 매우 굵거나 매우 긴 케이블을 정리할 수 있고, 케이블과의 일체화 형태와 초소형 구조를 통해 모든 케이블에 부착하여 휴대하거나 보관이 용이하게 하며 분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미관을 좋게 할 수 있고, 전자전기제품이나 멀티탭, 벽면콘센트, 충전기, 노트북 전원어댑터 등과의 일체화 디자인과 초소형 구조를 통해 전자전기제품이나 멀티탭, 벽면콘센트, 충전기, 노트북 전원 어댑터 등에 부착하여 보관이나 즉시 사용이 용이하게 하며 분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케이블을 정리할 수 있고, 온도에 따라 색깔이 변하는 시온안료 등을 본체나 결속부에 첨가하거나 변색 스티커 등을 부착해서 케이블의 과부하, 단선 등으로 인해 과열되었을 때 사전 설정한 색깔로 변색되게 하여 사용자들이 이를 인식하여 화재나 감전 등을 예방하거나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중 결합 수단과 결속부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중 결속부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중 가이드 판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중 보조 잠금 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를 이용하여 케이블 정리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의 보조 잠금 수단을 이용하여 케이블 정리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의 광고가 노출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를 케이블 타이로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중 결합 수단과 결속부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중 결속부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중 가이드 판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중 보조 잠금 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1)는 본체(10)와, 결속부(20)로 구성된다.
먼저, 본체(10)는 직사각형 밴드 형태로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되고, 구부림 조절이 가능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가지거나 내부에 연성 재질의 금속바(미도시)가 인서트되어 금속바의 변형에 대응되는 형태를 유지한다. 이때, 본체(10)는 기본적으로 일자 형태이나 결속부가 배치되는 양 끝단과 중앙부는 너비가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고, 중앙부와 양 끝단 사이는 일자 또는 유선형 또는 아이콘이나 캐릭터 디자인의 가미 등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케이블을 감을 시 케이블 감김의 안정성 보장과 함께 재료의 최소화로 인한 원가절감, 메시지 전달, 브랜드 이미지 확보 등을 위함이다.
그리고, 본체(10)는 PVC, 플라스틱, 세라믹, 고무, 대나무, 금속, 비금속 등 탄성회복력을 가진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도성 금속의 경우 피복이나 코팅 등 절연작업을 거칠 수 있으며, 탄성회복력을 가진 소재가 아닐지라도 시계줄과 같이 관절과 경첩, 스프링 등을 이용해 탄성회복력이 부가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본체(10)는 결속부(2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부(20)가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상면에 결합 수단(30)이 구비되는데, 결합 수단(30)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입홀(31) 또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턱(33)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결속부(20)가 결합되어 회전되는 어떠한 구조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 본체(10)는 저면에 벽면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접착 수단(미도시)이 구비되거나, 광고나 장식, 식별 부호가 인쇄된 스티커(S, 도 13 참조)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케이블의 과부하, 단선으로 인해 과열되었을 때 변색되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시온안료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체(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가변이 가능하도록 중공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A)와, 본체(10)의 길이 가변이 가능하도록 고정부(A)에 수납된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가변부(B)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가변부(B)는 끝단에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되고, 고정부(A)에는 단턱(미도시)이 구비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이어서, 결속부(20)는 탄성 재질로 제작되어 인입된 각종 케이블들의 체적에 따라 신축 및 팽창하며, 케이블 출입이 용이하고, 케이블을 감고 풀기가 용이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원형 또는 타원형 고리형태 또는 사각형, 이중고리, 각종 동물이나 꽃 등 캐릭터나 아이콘 디자인이 가미된 고리 형태로 제작되어 본체(1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본체(10)의 결합 수단(30)과 결합되도록 하단에 힌지축(21)이 구비된다. 이때, 결속부(20)는 PVC, 플라스틱, 세라믹, 고무, 대나무, 금속, 비금속 등 탄성회복력을 가진 소재로 제작될 수 있고, 전도성 금속의 경우 피복이나 코팅 등 절연작업을 거칠 수 있으며, 탄성회복력을 가진 소재가 아닐지라도 관절과 경첩, 스프링 등을 이용해 탄성회복력이 부가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탄성 재질로 내부에 연성 금속을 삽입하여 꽈배기 모양으로 결속시킬 수도 있으며, 본체(10)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1개가 형성되거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상호 이격 설치되어 케이블이 수납되도록 한다.
그리고, 결속부(20)는 케이블을 고정시키기 위해 가압하여 구부릴 시 변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본체(10)의 결합 수단(30)에 가압 결합되거나 다단으로 각도가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즉, 결속부(20)는 하단 두께를 넓게 형성하고, 상단으로 갈수도록 좁아지는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고, 힌지축(21)을 다각형으로 형성하거나 힌지축(21)에 기어 형태, 요철 등의 회전 제동 수단을 구성하여 가압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고, 압력이 해제되면 현재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여, 케이블을 일부만 감거나(풀거나) 조금만 남기고 감거나(조금만 남기고 풀거나) 해당 케이블을 모두 감았음에도 결속부의 내경 크기에 비해 체적이 작은(가늘거나 길이가 짧은 종류의) 케이블을 감았을 시, 감겨있는 케이블의 감김이 이완될 수 있는데, 이때 결속부(20)를 좌우로 눕혀 감겨있는 케이블을 눌려 압박하는 것만으로 케이블의 이완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결속부(20)는 개방 부위가 상호 결속되어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단 양측에 잠금 수단(40)이 구비되는데, 잠금 수단(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타입으로 형성되거나, 버클 타입, 버튼 타입, 록킹 타입, 버튼 타입 등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도 5는 잠금 수단(40)의 일실시예를 도시하였는데, 돌기(41)가 일단에서 돌출 형성되고, 타단에 돌기(41)가 내부로 수납되도록 일부분이 절개된 링(43)이 형성되며, 링(43) 상단에는 잠금 해제바(45)가 형성되어 잠금 해제바(45)에 압력을 가하면 링(43)이 벌어지면서 돌기(41)가 배출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또, 결속부(20)는 상단의 일면이 조금만 개방된 상태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별도의 잠금 수단(40)을 구비하지 않고도 일정한 힘 이상을 가하여 케이블을 개방구간 위에 대고 누르면, 결속부(20) 내경 안으로 인입되어 갇히게 되고, 인입되어 갇힌 케이블을 잡고 일정한 힘 이상을 가하여 결속부(20) 내경 바깥쪽으로 당기면, 케이블이 결속부 외부로 인출될 수도 있기 때문이고, 잠금 수단(40)을 대신하여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고, 케이블 인입을 안내하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양끝단에서 수평하게 가이드판(50)을 연장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가이드판(50)이 결속부(20) 상단보다 얇게 형성되어 일정한 힘 이상을 가하여 케이블을 개방구간위에 대고 누르면, 가이드판(50)이 하방향으로 구부러지면서 결속부 내경 안으로 인입되어 갇히게 되고, 인입되어 갇힌 케이블을 잡고, 일정한 힘 이상을 가하여 결속부 내경 바깥쪽으로 당기면 가이드판(50)이 상방향으로 구부러지면서 케이블이 결속부(20)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다.
또한, 결속부(20)는 케이블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잠금 수단(60)을 구비하는데, 결속부(20)의 일단에 암 벨크로 테이프(61)를 부착하고, 결속부(20)의 타단에 고무 밴드(63)와 같은 신축 재질로 수 벨크로 테이프(65)를 연결 설치하여, 결속부(20)의 내경 크기를 넘어서는 체적의 케이블이 결속부(20)로 인입되어 감겨 결속부의 잠금 수단을 잠글 수 없을 때, 수 벨크로 테이프(65)를 잡아 당겨 암 벨크로 테이프(61)에 부착시키면, 결속부(20)의 최대 체적을 넘어서는 어떠한 케이블 체적도 그 체적크기에 따라 적응형으로 원활히 결속할 수 있다. 이때, 보조 잠금 수단(60)은 고무 밴드만을 이용할 수도 있고, 벨크로 테이프를 대신하여 자석 등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버클 타입, 버튼 타입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결속부(20)는 본체(10)와 동일하게 케이블의 과부하, 단선으로 인해 과열되었을 때 변색되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시온안료가 혼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를 이용하여 케이블 정리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의 보조 잠금 수단을 이용하여 케이블 정리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의 광고가 노출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를 케이블 타이로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1)는 결속부(20)가 케이블(C)의 입출입이 쉽도록 기본적으로 약간 열려 있는 상태이고, 본체(10)가 일자형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정리하고자 하는 케이블(C)을 감기시작하면서 케이블(C)의 굵기나 길이에 따라 감는 힘의 완급을 조절하여 본체(10)를 구부려 감고자 하는 원주의 크기를 적절히 조절한 후 케이블(C)을 필요한 길이만큼 감거나 케이블(C) 길이 모두를 완전히 결속부(20) 내로 돌려 감는다.
그래서, 가하는 힘의 크기에 따라 크게 원을 그리며 감을 수 있고, 적절한 크기로 원을 그리며 감을 수 있으며, 본체(10)의 양끝을 고정하여 완전한 원주를 형성하여 감을 수 있고, 본체(10)의 맴돌이 형태, 즉 한쪽 단이 다른 단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하여 더욱 작은 크기로 감을 수 있다. 이때 본체(10)를 맴돌이 형태로 하는 경우 말려 들어간 부분의 본체(10)에 위치한 결속부(20)가 바깥쪽에 위치한 본체(10)를 내부로 인입시켜 말리도록 한다.
그리고, 케이블(C)을 감을 때 본체(10)를 향한 케이블(C)의 압력이 존재하지만 쉽게 축소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본체(10)가 탄성회복력을 가지는데다 케이블(C) 자체도 일정한 탄성회복력을 가지기 때문이며, 이미 감긴 상태의 케이블 구간들은 쉽게 풀리거나 이완되지 않는데, 결속부(20)가 탄성회복력을 가지므로 케이블(C)의 인입으로 원심의 반대방향으로 밀린 상태에서 원심방향으로 돌아가려는 힘을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정한 힘 이상이 가해졌을 때만 본체(10)의 구부러짐이 작아지거나 커지며, 케이블(C)을 일단 1~2바퀴 감게 되면 케이블 자체의 탄성력, 장력으로 인해 케이블 자체의 원주골격이 형성되므로 본체(10)를 압박하는 힘이 줄어들어 한번 형성된 본체(10)의 크기는 유지된다.
그리고, 감기를 완료하고 케이블(C)의 마지막 부분을 결속부(20)에 끼워 넣으면, 결속부(20)의 종심방향으로의 압력으로 인해 전체 케이블의 풀림이나 이완은 방지된다.
이어서, 결속부(20)의 잠금 수단(40)을 잠그면 감긴 케이블(C)은 결속부(20)에 갇힌 상태에서 고정된다.
만약, 인입되어 감긴 케이블의 체적이 결속부(20)의 내경에 미달(과소체적)하는 경우 결속부(20)에 일정한 힘 이상을 가하여 눕히면, 케이블(C)의 이완이나 풀림은 방지된다. 이러한 경우 잠금 수단(40)이 미구비되거나 잠금 수단(40)을 체결하지 않았을 때도 케이블(C)의 고정이 가능하다.
반대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되어 감긴 케이블의 체적이 결속부(20)의 내경(과대체적)을 초과하여 잠금 수단(40)의 체결이 어려운 경우, 감기를 완료한 후 케이블(C)의 마지막 부분을 결속부(20)의 개방 부위에 끼워 넣으면, 결속부(20)의 종심방향으로의 압력으로 인해 전체 케이블의 풀림이나 이완은 방지되나, 케이블(C)이 측면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조 잠금 수단(60)을 이용하여 케이블(C)을 결속시킨다.
그리고, 케이블(C)의 감기가 완료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1)를 휴대하거나 보관하거나 전기전자제품을 사용하고, 케이블(C)의 풀기가 필요하면 결속부(20)를 직립시킨 다음 결속부(20)에서 필요한 만큼의 길이의 케이블을 결속부(20) 외부로 인출한다. 이때, 잠금 수단(40)을 풀어 케이블(C)을 풀고, 케이블(C)의 인출이 완료되면 다시 잠금 수단(40)을 잠그고, 결속부(20)를 가압시켜서 눕혀 케이블(C)을 고정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1)에 감겨있던 케이블(C)을 모두 풀어 미사용하고, 휴대 시에는 분실 및 차후 사용 편의성을 위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전기전자 제품의 케이블(C)에 부착하여 보관한다. 즉, 결속부(20)를 케이블(C)에 끼우고 잠금 수단(40)을 잠근 후 결속부(20)를 눕혀 고정한다.
그리고, 본체(10)를 회전시켜 저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하여 광고 효과를 누릴 수 있는데, 본체(10)의 저면에는 인쇄나 스티커를 부착할 수 있고, 이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가능하다. 저면에 인테리어성 이미지나 아트성 이미지를 인쇄하거나, 또는 해당 케이블의 전자제품명을 식별하기 위한 전자제품명을 표기하거나, 또는 에너지절약 등 캠페인성 문구나 이미지를 인쇄하거나 또는 스티커를 부착하면, 인테리어성 랩핑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판촉물로 사용될 경우 광고문구나 이미지를 인쇄 또는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1)를 이용하여 단일 케이블을 묶거나 복수의 케이블들을 통합하여 묶는 케이블 타이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도, 본체(10)의 배면을 정면으로 노출시켜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본체 20 : 결속부
30 : 결합 수단 40 : 잠금 수단
50 : 가이드 판 60 : 보조 잠금 수단
C : 케이블

Claims (13)

  1. 직사각형 밴드 형태로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되고, 상면에 결합 수단이 구비되는 본체와;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 재질로 상단이 절개된 원통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1개 또는 복수개가 상호 이격 설치되어 케이블이 수납되며, 상기 케이블을 고정시키기 위해 가압되어 각도를 변경할 시 변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결합 수단에 가압 결합되거나 다단으로 각도가 고정되도록 상기 결합 수단에 결합 설치되는 결속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를 가압하여 곡선, 원형, 맴돌이형으로 변형시킨 다음 외측에 위치한 상기 결속부에 상기 케이블을 감은 상태에서 상기 결속부의 각도를 변경하여 상기 케이블을 가압 고정시켜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부에 연성 재질의 금속바가 인서트되어 상기 금속바의 변형에 대응되는 형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저면에 벽면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접착 수단이 구비되거나, 광고나 장식, 식별 부호가 인쇄된 스티커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힌지턱 또는 압입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중공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본체의 길이 가변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가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본체의 결합 수단과 결합되도록 하단에 힌지축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호 결속되어 상기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단 양측에 잠금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고, 케이블 인입을 안내하도록 상단 양끝단에서 수평하게 가이드판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케이블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조 잠금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결속부는,
    상기 케이블의 과부하, 단선으로 인해 과열되었을 때 변색되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시온안료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
KR1020180083588A 2018-07-18 2018-07-18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 KR101992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588A KR101992567B1 (ko) 2018-07-18 2018-07-18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
PCT/KR2019/008837 WO2020017888A1 (ko) 2018-07-18 2019-07-17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
US17/261,011 US20210296875A1 (en) 2018-07-18 2019-07-17 Bar-type cable organizing apparatus adaptable to cable volu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588A KR101992567B1 (ko) 2018-07-18 2018-07-18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2567B1 true KR101992567B1 (ko) 2019-06-24

Family

ID=67055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588A KR101992567B1 (ko) 2018-07-18 2018-07-18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296875A1 (ko)
KR (1) KR101992567B1 (ko)
WO (1) WO2020017888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4573A (en) * 1995-08-28 1998-01-06 Illinois Tool Works Inc. Aperture held clip type fastener
JP2004116773A (ja) * 2002-09-27 2004-04-15 Pk Tech System Co Ltd ヒンジ装置
US20040159454A1 (en) * 2001-06-22 2004-08-19 Tomio Shibuya Capped clip for pipe, electric cable or the like
KR200384483Y1 (ko) * 2005-03-02 2005-05-16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케이블타이
KR20060015965A (ko) 2004-08-16 2006-02-21 (주) 엘지텔레콤 티브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WO2008072004A1 (en) * 2006-12-11 2008-06-19 Tyco Electronics Raychem Bvba Cable retention clip
KR20100033504A (ko) 2010-03-10 2010-03-30 김충성 케이블 정리기
KR20150004061U (ko) * 2014-04-29 2015-11-06 주식회사 홍인 가변형 케이블 서포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4573A (en) * 1995-08-28 1998-01-06 Illinois Tool Works Inc. Aperture held clip type fastener
US20040159454A1 (en) * 2001-06-22 2004-08-19 Tomio Shibuya Capped clip for pipe, electric cable or the like
JP2004116773A (ja) * 2002-09-27 2004-04-15 Pk Tech System Co Ltd ヒンジ装置
KR20060015965A (ko) 2004-08-16 2006-02-21 (주) 엘지텔레콤 티브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0384483Y1 (ko) * 2005-03-02 2005-05-16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케이블타이
WO2008072004A1 (en) * 2006-12-11 2008-06-19 Tyco Electronics Raychem Bvba Cable retention clip
KR20100033504A (ko) 2010-03-10 2010-03-30 김충성 케이블 정리기
KR20150004061U (ko) * 2014-04-29 2015-11-06 주식회사 홍인 가변형 케이블 서포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17888A1 (ko) 2020-01-23
US20210296875A1 (en) 202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223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portions of a cord
US6769554B1 (en) Hair care appliance holder
US6962306B2 (en) Units for storing flexible elongated objects
TW201443930A (zh) 線材
US8517761B2 (en) Power supply cord storage mechanism
US10581209B2 (en) Portable power or data receptacle with cord
US20090042425A1 (en) Apparatus to Assist in Removing an Electrical Plug from a Socket
US20140110150A1 (en) Power cord collector for power supply
US7807928B1 (en) Decorative retractable cord cover
KR101992567B1 (ko)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
WO2018111678A1 (en) Unitary wall outlet charging station
KR101992568B1 (ko) 케이블 체적 적응형 자바라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
US7897869B2 (en) Retractable electrical cord box
US20100122834A1 (en) Wire organization structure
US7972165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a secure connection between different devices
US7044278B2 (en) Cord reel adapting device and method
US20110065313A1 (en) Power cord collector for power supply
KR200258405Y1 (ko) 케이블 고정용 수납구
CN106602345B (zh) 电源线收纳盒
CN206388937U (zh) 电源线收纳盒
CN208336743U (zh) 数据线
KR102585482B1 (ko) 전선 정리장치
CN217444783U (zh) 一种方便充电线收纳的扣环和方便收纳的充电线
CN204680858U (zh) 线材收纳装置
CN204378163U (zh) 一种易于自捆绑的收纳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