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3573A - 교통약자 지원을 위한 사물주소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교통약자 지원을 위한 사물주소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3573A
KR20210133573A KR1020200052328A KR20200052328A KR20210133573A KR 20210133573 A KR20210133573 A KR 20210133573A KR 1020200052328 A KR1020200052328 A KR 1020200052328A KR 20200052328 A KR20200052328 A KR 20200052328A KR 20210133573 A KR20210133573 A KR 20210133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ddress
gait
network
obs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준성
장정윤
Original Assignee
한국국토정보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국토정보공사 filed Critical 한국국토정보공사
Priority to KR1020200052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3573A/ko
Publication of KR20210133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35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61Preferred or disfavoured areas, e.g. dangerous zones, toll or emission zones, intersections, manoeuvre types, segments such as motorways, toll roads, fer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23Multimodal routing, i.e. combining two or more modes of transportation, where the modes can be any of, e.g. driving, walking, cycling, public transpor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약자 지원을 위한 사물주소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기 구축된 주소 DB로부터 특정 지역에 관한 기준 데이터로서 주소 데이터, 공간정보 데이터 및 주제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기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 지역에 관한 사물주소로서 보행장애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를 정의하는 단계, 상기 특정 지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에 관한 실측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실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에 대한 보행장애물 DB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보행장애물 DB를 기초로 교통약자용 경로 설정을 위한 네트워크 DB를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DB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에 관한 신규 레이어를 생성하고 상기 주소 DB에 추가하여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교통약자 지원을 위한 사물주소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DATABASE BASED ON OBJECT ADDRESS FOR SUPPORTING TRAFFIC WEAKER}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 구축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통약자를 지원하기 위한 주소 기반의 경로장애 데이터 유형을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교통약자 지원을 위한 사물주소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는 정부에서 추진하는 사업으로서, 다양한 기관에서 공통으로 활용되는 공간정보의 범정부적 통합관리 및 공동활용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는 공간정보의 중복 구축 및 갱신 비용을 절감하고, 각 부처의 토지 이용 및 규제 정보 등 다양한 토지관련 정보를 다양한 사용자가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도록 하여, 대민서비스의 개선과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정책 수립을 지원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통합 정보의 제공에도 불구하고 교통약자 및 드로이드 등 특정 계층의 보행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며, 활용 가능한 정보 역시 매우 제한적인 실정이다.
따라서, 교통약자 및 드로이드의 이동경로 안내를 위한 경로정보, 회피장애물 등 신규 데이터를 구축하고 교통약자를 지원하기 위한 주소 기반의 경로장애 데이터 유형을 DB화하는 지원모델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61163호 (2016.09.23)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교통약자를 지원하기 위한 주소 기반의 경로장애 데이터 유형을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는 교통약자 지원을 위한 사물주소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교통약자 중 보행이 불편한 사용자뿐만 아니라 시각·지적장애인 등 다양한 대상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로의 확장 가능한 교통약자 지원을 위한 사물주소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주소기반의 교통약자 맞춤형 공공데이터를 구축하고 갱신, 관리하여 정보 인프라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교통약자 지원을 위한 사물주소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교통약자 지원을 위한 사물주소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은 기 구축된 주소 DB로부터 특정 지역에 관한 기준 데이터로서 주소 데이터, 공간정보 데이터 및 주제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기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 지역에 관한 사물주소로서 보행장애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를 정의하는 단계, 상기 특정 지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에 관한 실측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실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에 대한 보행장애물 DB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보행장애물 DB를 기초로 교통약자용 경로 설정을 위한 네트워크 DB를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DB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에 관한 신규 레이어를 생성하고 상기 주소 DB에 추가하여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주소 데이터, 공간정보 데이터 및 주제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도로명주소 데이터, 기본 공간정보(NGIS) 데이터, 기타 지형지물 데이터 및 행정주제도 데이터 간의 가공과 편집을 통해 상기 특정 지역에 대응되는 배경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를 정의하는 단계는 보차도 경계석, 경사로 출입구, 리프트 출입구, 경사구간, 경사도값, 과속방지턱, 보행도로 볼라드, 보행도로 높이/실폭 및 방문점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로서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측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지역에 대해 MMS(Mobile Mapping System) 측량 및 지적측량을 실시한 결과로서 상기 실측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행장애물 DB를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실측 데이터를 상기 기준 데이터에 적응시켜 보정한 후 상기 보행장애물 DB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DB를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배경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보행장애물 DB를 적용하여 상기 특정 지역의 보행우선구역에 대한 경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 네트워크는 노드와 링크로 구성된 이동경로 정보로서 상기 노드는 이동의 변화 발생지점에 해당하고 상기 링크는 노드들 간의 연결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주소 DB에 추가하여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 및 상기 경로 네트워크에 관한 신규 레이어를 독립적으로 생성하여 상기 주소 DB에 각각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교통약자 지원을 위한 사물주소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는 기 구축된 주소 DB로부터 특정 지역에 관한 기준 데이터로서 주소 데이터, 공간정보 데이터 및 주제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준 데이터 획득부, 상기 기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 지역에 관한 사물주소로서 보행장애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를 정의하는 보행장애 객체 정의부, 상기 특정 지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에 관한 실측 데이터를 획득하는 실측 데이터 획득부, 상기 실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에 대한 보행장애물 DB를 구축하는 보행장애물 DB 구축부, 상기 보행장애물 DB를 기초로 교통약자용 경로 설정을 위한 네트워크 DB를 구축하는 네트워크 DB 구축부 및 상기 네트워크 DB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에 관한 신규 레이어를 생성하고 상기 주소 DB에 추가하여 갱신하는 주소 DB 갱신부를 포함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 지원을 위한 사물주소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및 방법은 교통약자 중 보행이 불편한 사용자뿐만 아니라 시각·지적장애인 등 다양한 대상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로의 확장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 지원을 위한 사물주소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및 방법은 주소기반의 교통약자 맞춤형 공공데이터를 구축하고 갱신, 관리하여 정보 인프라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약자용 DB 구성 체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장애 객체별 구축 데이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주소정보 개념에 관한 주요 용어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기초번호는 도로구간에 특정 간격마다 부여된 번호에 해당하고, 도로명주소는 도로명, 건물번호 및 상세주소로 표기하는 주소에 해당하며, 국가기초구역은 도로명주소를 기반으로 국토를 읍·면·동의 면적보다 작게 경계를 정하여 나눈 구역에 해당하고, 국가지점번호는 국토 및 이와 인접한 해양을 격자형으로 일정하게 구획한 지점마다 부여된 번호에 해당하며, 사물주소는 기초번호와 도로명을 활용하여 건물 등 해당하지 않는 시설물의 위치를 특정하는 정보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사물주소는 육교 및 철도 등 옥외시설에 설치된 승강기, 옥외 대피시설, 버스 및 택시 정류장, 주차장 및 그 밖의 위치 안내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교통약자는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영유아를 동반한 사람, 어린이 등 일상생활에서 불편을 느끼는 사람에 해당할 수 있고, 드로이드는 배달을 목적으로 하는 바퀴로 구동하는 로봇에 해당할 수 있으며, 보행우선구역은 시장 또는 군수에 의해 지정된 구역으로서 교통약자를 포함한 보행자의 안전하고 편리한 보행환경을 위해 지정된 도로의 일정구간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보행안전시설물 보행우선구역에서 보행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설치된 시설물로서 속도저감시설, 횡단시설, 대중교통정보 알림시설 등의 교통안내 시설, 보행자 우선통행을 위한 교통신호기, 자동차 진입억제용 말뚝 및 보도용 방호울타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로명주소 기본도는 도면과 지적공부를 활용하여 도로명 및 건물번호 등이나 그 밖의 자료를 포함하여 작성한 도면에 해당할 수 있고, 주소 DB는 주소, 건물, 도로명코드, 전자지도 등을 제공하기 위한 주소 정보시스템(예를 들어, KAIS)의 DB에 해당할 수 있다. 배달점(도착점)은 전동휠체어 사용자(장애인)이 자주가는 장소 및 편의시설 등에 해당할 수 있고, 경사구간은 고도값 측정을 통해 경사가 시작되는 도로의 시작점과 끝지점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은 교통약자 지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들은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30)는 교통약자의 보행 과정에서 이동을 방해하여 교통약자에게 불편을 줄 수 있는 도로장애물들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하고 관리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30)는 필요에 따라 외부 시스템과 연동하여 교통약자 지원을 위한 사물주소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구축된 정보는 물리적 저장장치에 해당하는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어 보관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30)는 도 1과 달리, 데이터베이스(150)를 내부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30)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물리적 구성으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사용자 입출력부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데이터베이스(150)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30)의 동작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국가공간기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30)에 의해 구축되는 최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30)가 교통약자 지원을 위한 사물주소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3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3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의 각 단계들을 처리하는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3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rive)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3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30)는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30)는 기준 데이터 획득부(310), 보행장애 객체 정의부(320), 실측 데이터 획득부(330), 보행장애물 DB 구축부(340), 네트워크 DB 구축부(350), 주소 DB 갱신부(360) 및 제어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데이터 획득부(310)는 기 구축된 주소 DB로부터 특정 지역에 관한 기준 데이터로서 주소 데이터, 공간정보 데이터 및 주제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기준 데이터 획득부(310)는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오거나 또는 외부 시스템을 통해 관련 정보를 질의하여 그 응답으로서 해당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준 데이터 획득부(310)는 도로명주소 데이터, 기본 공간정보(NGIS) 데이터, 기타 지형지물 데이터 및 행정주제도 데이터 간의 가공과 편집을 통해 특정 지역에 대응되는 배경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기준 데이터 획득부(310)는 국가공간 기반데이터를 기초로 다양한 데이터 연계를 통해 기본도로 사용되는 배경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해당 과정에서 외부에서 가공, 편집, 복제 및 자동 생성된 데이터를 직접 활용할 수도 있다. 한편, 기본도로서 생성되는 배경 데이터는 이후 추가 동작을 통해 내비게이션(Navigation) 서비스를 통해 표출되는 배경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보행장애 객체 정의부(320)는 기준 데이터를 분석하여 특정 지역에 관한 사물주소로서 보행장애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를 정의할 수 있다. 보행장애 객체 정의부(320)는 노인 등 교통약자의 보행 지원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들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기존에 활용되지 않았던 새로운 데이터 객체를 정의함으로써 사물주소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보행장애 객체는 교통약자의 보행 시에 이동을 방해하거나 불편을 줄 수 있는 장애요소에 해당할 수 있고, 도로 시설물이나 환경요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행장애 객체 정의부(320)는 보차도 경계석, 경사로 출입구, 리프트 출입구, 경사구간, 경사도값, 과속방지턱, 보행도로 볼라드, 보행도로 높이/실폭 및 방문점을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로서 정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차도 경계석은 인도와 차도를 구분 짓는 경계석에 해당할 수 있고, 경사로는 경사진 이동통로로서 교통약자를 위해 계단 대신 설치될 수 있다. 경사도값은 경사도의 기울기를 수치화한 것에 해당할 수 있고, 과속방지턱은 차량의 주행 속도를 강제로 낮추기 위하여 설치되는 턱에 해당할 수 있다. 보행도로 볼라드(Bollard)는 차량의 인도 진입을 방지하기 위해 차도와 인도의 경계면에 설치되는 구조물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보행장애 객체 정의부(320)는 기존의 차량용 내비게이션에서 제공하지 않았지만 교통약자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반드시 확보되어야만 하는 도로 위 장애요소들 중 중요도 높은 데이터를 보행장애 객체로 정의하여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장애 객체에 관한 데이터는 주소전자지도와 연계된 POI 검색이나 경로 네트워크 구축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실측 데이터 획득부(330)는 특정 지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에 관한 실측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실측 데이터 획득부(330)는 국가공간기반 데이터에 반영되지 못해 발생할 수 있는 실제 정보와의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실측 장치에 의해 측량되는 실측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측 데이터 획득부(330)는 특정 지역에 대해 MMS(Mobile Mapping System) 측량 및 지적측량을 실시한 결과로서 실측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MMS(Mobile Mapping System)는 기존 측량 방법과 대비하여 비용 및 시간면에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첨단정보 시스템으로서 이동차량에 CCD 카메라, 레이저 스캐너, GPS 수신기, 관성항법장치 및 컴퓨터 등을 탑재하고 고품질의 공간정보 DB 구축을 위한 항법 기술, 사진측량 기술 및 영상처리 기술이 통합된 신기술 통합 솔루션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실측 데이터 획득부(330)는 현장조사차량(MMS) 등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전용 프로세스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측 데이터 획득부(330)는 위치 정확성을 위해 특정 지역 내의 실제 데이터 취득뿐만 아니라 수치표고모델(DEM, Digital Elevation Model) 자료 등 지적측량의 결과로서 획득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국가공간기반 데이터를 보완할 수도 있다.
보행장애물 DB 구축부(340)는 실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에 대한 보행장애물 DB를 구축할 수 있다. 보행장애물 DB는 국가공간기반 데이터에서 제공하지 못한 새로운 데이터 유형에 관한 체계화된 DB에 해당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30)에 의해 구축되어 관리될 수 있다. 보행장애물 DB는 보행장애 객체 별로 구축될 수 있으며, 이 때 보행장애 객체는 객체명, 형식, 필드명, 필드 설명, 값 범례, 값 설명 등을 항목 데이터로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30)는 보행장애물 DB를 기초로 기존의 주소 DB에 보행장애 객체에 대응되는 신규 레이어를 추가하여 데이터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행장애물 DB 구축부(340)는 실측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에 적응시켜 보정한 후 보행장애물 DB를 구축할 수 있다. 보행장애물 DB 구축부(340)는 실측 데이터를 그대로 활용하여 보행장애물 DB를 구축할 수도 있고, 실측 데이터를 국가공간기반 데이터에서 제공하는 기준 데이터에 맞춰 보정한 후 DB 구축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네트워크 DB 구축부(350)는 보행장애물 DB를 기초로 교통약자용 경로 설정을 위한 네트워크 DB를 구축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DB는 교통약자에게 제공되는 이동경로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DB는 경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와 링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축될 수 있다. 이 때, 노드 및 링크는 구분, 필드명, 필드 설명, 값, 설명 및 기타 등을 항목 데이터로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30)는 네트워크 DB 구축부(350)에 의해 구축된 네트워크 DB를 외부 시스템과 연동시켜 교통약자를 위한 지원모델 구축에 기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DB 구축부(350)는 배경 데이터를 기초로 보행장애물 DB를 적용하여 특정 지역의 보행우선구역에 대한 경로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경로 네트워크는 노드와 링크로 구성된 이동경로 정보로서 노드는 이동의 변화 발생지점에 해당하고 링크는 노드들 간의 연결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는 횡단보도, 교량, 계단, 지하보도 및 육교 등에 해당할 수 있고, 링크는 이들 간의 연결에 해당할 수 있다. 즉, 교통약자를 위한 경로 네트워크는 보행우선구역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보행장애물 DB를 기초로 보행우선구역 내에 존재하는 보행장애물들을 회피할 수 있는 이동경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소 DB 갱신부(360)는 네트워크 DB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에 관한 신규 레이어를 생성하고 주소 DB에 추가하여 갱신할 수 있다. 주소 DB는 주소, 건물, 도로명코드 및 전자지도 등을 제공하기 위한 주소 정보시스템의 DB에 해당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국가주소정보시스템(KAIS)은 7종의 텍스트 정보 및 4종의 공간정보(GIS)를 제공하고 있으며, 7종의 텍스트 정보에는 도로명주소 전자지도, 민원행정기관 전자지도, 도로명주소 배경지도 및 기초구역도에 해당하는 4종의 전자지도가 포함될 수 있다. 주소 DB 갱신부(360)는 네트워크 DB를 주소 DB의 도로명주소 전자지도에 레이어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주소 DB를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소 DB 갱신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 및 상기 경로 네트워크에 관한 신규 레이어를 독립적으로 생성하여 상기 주소 DB에 각각 추가할 수 있다. 즉, 주소 DB 갱신부(360)는 보차도 경계석, 경사로 출입구, 리프트 출입구, 경사구간, 경사도값, 과속방지턱, 보행도로 볼라드, 보행도로 높이/실폭 및 방문점을 포함하는 보행장애 객체에 대해 각각 독립적인 레이어를 생성하여 주소 DB의 도로명주소 전자지도에 신규 레이어로서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주소 DB 갱신부(360)는 경로 네트워크에 관한 레이어를 생성하여 주소 DB의 도로명주소 전자지도에 신규 레이어로서 추가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기준 데이터 획득부(310), 보행장애 객체 정의부(320), 실측 데이터 획득부(330), 보행장애물 DB 구축부(340), 네트워크 DB 구축부(350) 및 주소 DB 갱신부(36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30)는 기준 데이터 획득부(310)를 통해 기 구축된 주소 DB로부터 특정 지역에 관한 기준 데이터로서 주소 데이터, 공간정보 데이터 및 주제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단계 S410).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30)는 보행장애 객체 정의부(320)를 통해 기준 데이터를 분석하여 특정 지역에 관한 사물주소로서 보행장애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를 정의할 수 있다(단계 S420).
또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30)는 실측 데이터 획득부(330)를 통해 특정 지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에 관한 실측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단계 S430).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30)는 보행장애물 DB 구축부(340)를 통해 실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에 대한 보행장애물 DB를 구축할 수 있다(단계 S440).
또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30)는 네트워크 DB 구축부(350)를 통해 보행장애물 DB를 기초로 교통약자용 경로 설정을 위한 네트워크 DB를 구축할 수 있다(단계 S450).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30)는 주소 DB 갱신부(360)를 통해 네트워크 DB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에 관한 신규 레이어를 생성하고 주소 DB에 추가하여 갱신할 수 있다(단계 S46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약자용 DB 구성 체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30)는 국가공간 기반 데이터인 도로명 주소데이터, 기본공간정보(NGIS) 데이터 및 행정주제도 데이터를 전체 데이터의 기준 데이터로서 결정하여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고, MMS 측량 등을 포함하는 현장조사를 통해 사물주소 데이터, 경로 데이터, 시설물 및 장애물 데이터를 취득하여 가공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30)는 교통약자에게 서비스하기 위해서 시각적으로 배경에 표출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교통약자 경로안내 및 검색을 위해서도 경로 데이터, 시설물 데이터 및 검색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 시스템(510), 예를 들어 교통약자 내비게이션에서 활용 가능한 데이터 형태를 구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장애 객체별 구축 데이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30)는 보행장애 객체별로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그림 (a)는 배달점(주출입구)에 관한 것으로, 도로명주소 데이터를 기준으로 배달지점(주출입구/부출입구)(611)을 조사하여 구축될 수 있다. 그림 (b)는 교통약자 경로데이터에 관한 것으로, 교통약자용 노드링크 데이터(경로 네트워크)로서 구축될 수 있다. 즉, 노드(612)는 이동의 변화 발생지점에 해당하고 링크(613)는 노드(612)들 간의 연결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림 (c)는 경사도 수치 데이터에 관한 것으로, 경로 데이터와 연계된 경사도 값(621)을 조사하여 구축될 수 있다. 그림 (d)는 경사구간 데이터에 관한 것으로, 경로 데이터와 연계된 경사구간(622)을 조사하여 구축될 수 있다.
그림 (e)는 과속방지턱에 관한 것으로, 높이값이 없는 과속방지턱(631)과 높이값이 있는 과속방지턱(632)을 각각 조사하여 구축될 수 있다. 그림 (f)는 횡단보도에 관한 것으로, 횡단보도(633)를 조사하여 구축될 수 있다.
그림 (g)는 인도에 관한 것으로, 높이가 있는 인도(641)와 높이가 없는 인도(642)를 각각 조사하여 구축될 수 있다. 그림 (h)는 보차도 경계석에 관한 것으로, 보차도 경계석(643)을 조사하고 높이값으로 분류하여 구축될 수 있다.
그림 (i)는 경사출입구에 관한 것으로, 경사가 있는 출입구(651)를 조사하여 구축될 수 있다. 그림 (j)는 기타 장애시설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통신시설(652) 등을 조사하여 구축될 수 있다.
그림 (k)는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 아파트 단지내 진입금지, 도로변 진입금지 및 도로변 주차금지를 위해 설치된 볼라드(661)를 조사하여 구축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30: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기준 데이터 획득부 320: 보행장애 객체 정의부
330: 실측 데이터 획득부 340: 보행장애물 DB 구축부
350: 네트워크 DB 구축부 360: 주소 DB 갱신부
370: 제어부 510: 외부 시스템
611: 배달지점 612: 노드
613: 링크 621: 경사도 값
622: 경사구간 631: 높이값이 없는 과속방지턱
632: 높이값이 있는 과속방지턱 633: 횡단보도
641: 높이가 있는 인도 642: 높이가 없는 인도
643: 보차도 경계석 651: 경사가 있는 출입구
652: 통신시설 661: 볼라드

Claims (8)

  1. 기 구축된 주소 DB로부터 특정 지역에 관한 기준 데이터로서 주소 데이터, 공간정보 데이터 및 주제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기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 지역에 관한 사물주소로서 보행장애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를 정의하는 단계;
    상기 특정 지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에 관한 실측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실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에 대한 보행장애물 DB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보행장애물 DB를 기초로 교통약자용 경로 설정을 위한 네트워크 DB를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DB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에 관한 신규 레이어를 생성하고 상기 주소 DB에 추가하여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통약자 지원을 위한 사물주소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 데이터, 공간정보 데이터 및 주제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도로명주소 데이터, 기본 공간정보(NGIS) 데이터, 기타 지형지물 데이터 및 행정주제도 데이터 간의 가공과 편집을 통해 상기 특정 지역에 대응되는 배경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 지원을 위한 사물주소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를 정의하는 단계는
    보차도 경계석, 경사로 출입구, 리프트 출입구, 경사구간, 경사도값, 과속방지턱, 보행도로 볼라드, 보행도로 높이/실폭 및 방문점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로서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 지원을 위한 사물주소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측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지역에 대해 MMS(Mobile Mapping System) 측량 및 지적측량을 실시한 결과로서 상기 실측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 지원을 위한 사물주소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장애물 DB를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실측 데이터를 상기 기준 데이터에 적응시켜 보정한 후 상기 보행장애물 DB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 지원을 위한 사물주소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DB를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배경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보행장애물 DB를 적용하여 상기 특정 지역의 보행우선구역에 대한 경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 네트워크는 노드와 링크로 구성된 이동경로 정보로서 상기 노드는 이동의 변화 발생지점에 해당하고 상기 링크는 노드들 간의 연결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 지원을 위한 사물주소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 DB에 추가하여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 및 상기 경로 네트워크에 관한 신규 레이어를 독립적으로 생성하여 상기 주소 DB에 각각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 지원을 위한 사물주소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8. 기 구축된 주소 DB로부터 특정 지역에 관한 기준 데이터로서 주소 데이터, 공간정보 데이터 및 주제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준 데이터 획득부;
    상기 기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 지역에 관한 사물주소로서 보행장애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를 정의하는 보행장애 객체 정의부;
    상기 특정 지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에 관한 실측 데이터를 획득하는 실측 데이터 획득부;
    상기 실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에 대한 보행장애물 DB를 구축하는 보행장애물 DB 구축부;
    상기 보행장애물 DB를 기초로 교통약자용 경로 설정을 위한 네트워크 DB를 구축하는 네트워크 DB 구축부 및
    상기 네트워크 DB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행장애 객체에 관한 신규 레이어를 생성하고 상기 주소 DB에 추가하여 갱신하는 주소 DB 갱신부를 포함하는 교통약자 지원을 위한 사물주소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KR1020200052328A 2020-04-29 2020-04-29 교통약자 지원을 위한 사물주소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및 방법 KR202101335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328A KR20210133573A (ko) 2020-04-29 2020-04-29 교통약자 지원을 위한 사물주소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328A KR20210133573A (ko) 2020-04-29 2020-04-29 교통약자 지원을 위한 사물주소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573A true KR20210133573A (ko) 2021-11-08

Family

ID=78497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328A KR20210133573A (ko) 2020-04-29 2020-04-29 교통약자 지원을 위한 사물주소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357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163B1 (ko) 2015-05-27 2016-09-29 일마일 주식회사 영상 분석을 통한 운전자 안전 운전 보조와 지도 db의 실시간 갱신을 처리하기 위한 안전 운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163B1 (ko) 2015-05-27 2016-09-29 일마일 주식회사 영상 분석을 통한 운전자 안전 운전 보조와 지도 db의 실시간 갱신을 처리하기 위한 안전 운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haman et al. CAPRA: A contour-based accessible path routing algorithm
US9142051B2 (en) Method for generating digital interior map
Weyrer et al. Intermodal door-to-door routing for people with physical impairments in a web-based, open-source platform
Qin et al. Geocrowdsourcing and accessibility for dynamic environments
JP6922132B2 (ja) 生成装置、生成方法及び生成プログラム
JP2021173539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構造
KR102504941B1 (ko) 자율주행 로봇을 이용한 사물주소 기반의 배달 방법 및 장치
Aly et al. Towards ubiquitous accessibility digital maps for smart cities
JP6838597B2 (ja) イメージ分析に基づく障害者用ナビゲーション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KR20210133573A (ko) 교통약자 지원을 위한 사물주소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및 방법
KR102351516B1 (ko) 교통약자 지원을 위한 사물주소 기반의 공간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Sushma et al. Finding an optimal path with hospital information system using GIS-based Network analysis
Shah IGiS for Managing Cities Smartly–Urban Geoinformatics
KR102394316B1 (ko)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Nakajima Path planning using indoor map data generated by the plan view of each floor
Hamed et al. A GIS-based approach for the screening assessment of noise and vibration impacts from transit projects
Kulakov et al. Navigation infrastructu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Nowak Da Costa et al. Towards “Tourism for All”–Improving Maps for Persons with Reduced Mobility
Zimmermann-Janschitz et al. Independent mobility for persons with VIB using GIS
KR20230053896A (ko) 도심형 자율주행 이동체를 위한 보행로 중심의 이동경로 데이터 구축 방법 및 시스템
Al-Saad Sustainable tourism management at potential world heritage sites: Land use analysis by using gis: Case study: Jerash archaeological site, Jordan
Park et al. Designing of indoor linkable pedestrian network data model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JP2019045361A (ja) 経路案内システム、経路案内方法、および経路案内プログラム
WO2022249296A1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Basoz et al. A GIS-based emergency response system for transportation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