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2265A - 회전식 칫솔모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칫솔 - Google Patents

회전식 칫솔모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2265A
KR20210132265A KR1020200049913A KR20200049913A KR20210132265A KR 20210132265 A KR20210132265 A KR 20210132265A KR 1020200049913 A KR1020200049913 A KR 1020200049913A KR 20200049913 A KR20200049913 A KR 20200049913A KR 20210132265 A KR20210132265 A KR 20210132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electric toothbrush
gear
frame
bristl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3385B1 (ko
Inventor
한상규
조병찬
홍재수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49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385B1/ko
Publication of KR20210132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2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8Self-contained intraoral toothbrush, e.g. mouth-guard toothbrush without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46B9/045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a plurality of tooth surface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2Brush body details, e.g. the shape thereof or connection to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otating continuously
    • A61C17/2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otating continuously driven by electric mo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칫솔모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칫솔은, 사용자의 윗니가 안착되는 상면 및 아랫니가 안착되는 하면이 형성되며, 앞니 영역에 대응되는 중심연결부 및 상기 중심연결부의 양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방연결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측방연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피회전부재와, 상기 피회전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둘레에 구비되는 칫솔모를 포함하는 칫솔모모듈, 상기 피회전부재의 전단부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피회전부재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측방연결부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칫솔모모듈의 후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회전식 칫솔모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칫솔{Electric Toothbrush Having Rotary Type Bristle Module}
본 발명은 전동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식 칫솔모모듈을 포함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치아 세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동칫솔에 관한 것이다.
전동칫솔은 전기모터의 구동력을 통해 칫솔모를 구동시켜 사용자의 치아를 자동적으로 닦도록 함으로써, 종래 사용자가 스스로 움직여 치아를 세정하는 방식의 칫솔보다 그 효과가 높고 편리하므로 최근에는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형태의 전동칫솔은 종래의 수동형 칫솔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손잡이 부분에 전기모터가 내장되고, 칫솔모 부분을 진동시켜 치아의 세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전동칫솔이다.
이와 같은 형태의 전동칫솔은 비교적 가격이 싸고 관리가 용이하기는 하나, 수동형 칫솔에 비해 편리함이 크게 개선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마우스피스형 전동칫솔이 개발되었으며, 이는 사용자가 단순히 전동칫솔 자체를 구강에 삽입하여 물고 있는 것만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편의성이 크게 증대되었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마우스피스형 전동칫솔은 주로 칫솔모의 틸팅을 통해 치아를 세정하는 방식을 가지고 있어 세정력이 그리 우수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즉 현재까지는 높은 편의성과 높은 세정력을 동시에 만족하고 있는 제품을 시중에서 찾아보기가 어려운 상황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2192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마우스피스 형태를 채택하여 편의성을 확보하면서도, 칫솔모의 구동 형태를 종래의 틸팅 방식에서 회전식으로 개선하여 높은 세정력을 함께 구현할 수 있는 전동칫솔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회전식 칫솔모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칫솔은, 사용자의 윗니가 안착되는 상면 및 아랫니가 안착되는 하면이 형성되며, 앞니 영역에 대응되는 중심연결부 및 상기 중심연결부의 양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방연결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측방연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피회전부재와, 상기 피회전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둘레에 구비되는 칫솔모를 포함하는 칫솔모모듈, 상기 피회전부재의 전단부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피회전부재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측방연결부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칫솔모모듈의 후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피회전부재의 전단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피회전부재에 전달하는 기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중심연결부의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기어모듈이 수용되는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중심연결부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1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제1공간형성부와, 상기 중심연결부의 후방에 구비되는 제2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제2공간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모듈은 상기 제1장착공간에 수용되는 제1기어모듈과, 상기 제2장착공간에 수용되는 제2기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칫솔모모듈은 상기 제1기어모듈에 연결되는 제1칫솔모모듈과, 상기 제2기어모듈에 연결되는 제2칫솔모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1장착공간의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차폐커버 및 상기 제2장착공간의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차폐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제1칫솔모모듈의 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회전고정부, 상기 제2칫솔모모듈의 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회전고정부 및 상기 제1회전고정부 및 상기 제2회전고정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는 전후 방향의 회전축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기어모듈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웜기어, 상기 웜기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치합되어 상기 웜기어의 회전에 따라 좌우 방향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헬리컬기어 및 상기 헬리컬기어의 회전축 양단과 상기 피회전부재의 전단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헬리컬기어의 회전축의 회전 방향을 상기 피회전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방향전환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향전환조인트는 유니버설조인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측방연결부의 외측 둘레에 수직하게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의 상면 및 하면에 대해 단차를 형성하는 측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회전식 칫솔모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칫솔은, 칫솔모모듈이 프레임의 전후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구동유닛에 의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회전됨에 따라 종래 틸팅 방식의 칫솔모에 비해 모든 치아면에 대해 칫솔질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매우 우수한 세정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 방식의 칫솔모모듈을 구현함으로 인해 내부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으며, 고정 발생 빈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을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을 하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에 있어서, 프레임을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에 있어서, 프레임을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에 있어서, 제1기어모듈 및 제2기어모듈이 프레임에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에 있어서, 구동유닛의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에 있어서, 고정유닛의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100)을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100)을 하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100)은 프레임(110)과, 칫솔모모듈(150a, 150b)과, 구동유닛(도 6 참조)과, 고정유닛(13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도 1 및 도 2를 중심으로 하여, 이하 다른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100)에 있어서, 프레임(110)을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100)에 있어서, 프레임(110)을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은 사용자의 윗니가 안착되는 상면 및 아랫니가 안착되는 하면이 형성되며, 세부적으로 앞니 영역에 대응되는 중심연결부(111b) 및 상기 중심연결부(111b)의 양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방연결부(111a)를 포함하는 치아안착면(111)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중심연결부(111b)의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장착공간(S1, S2)을 형성하는 공간형성부(112, 113)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중심연결부(111b)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1장착공간(S1)을 형성하는 제1공간형성부(112)와, 상기 중심연결부(111b)의 후방에 구비되는 제2장착공간(S2)을 형성하는 제2공간형성부(113)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제1장착공간(S1) 및 상기 제2장착공간(S2)에는 각각 후술할 구동유닛의 기어모듈(140a, 140b, 도 5 참조)이 각각 수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한 쌍의 측방연결부(111a)의 외측 둘레에 수직하게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110)의 상면 및 하면에 대해 단차를 형성하는 측벽부(114)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측벽부(114)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전동칫솔(100)을 구강에 삽입하여 물었을 때 치아와 구강 안쪽 피부 사이에 위치되어 고정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측방연결부(111a)의 후단에는 후방결합구(115)가 형성되며, 이는 상기 고정유닛(130)을 결합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프레임(110)은 상하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프레임(110)에 구비되는 다른 구성요소들 역시 상하 대칭되는 형태로 배치되어 본 발명은 상면 하면의 구분 없이 사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칫솔모모듈(150a, 150b)은 상기 프레임(11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측방연결부(111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피회전부재(151)와, 상기 피회전부재(1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둘레에 구비되는 칫솔모(15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피회전부재(151)는 굽힘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케이블 와이어 또는 테프론튜브와 같이 유연하면서도 비틀림 강성을 갖는 재질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칫솔모(152)는 상기 피회전부재(1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영역마다 이격 배치되고, 상기 피회전부재(151)의 회전에 따라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며 사용자의 치아를 세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칫솔모(152)의 재질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므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피회전부재(151)의 전단부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피회전부재(151)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모터(M, 도 6 참조)와, 상기 구동모터(M) 및 상기 피회전부재(151)의 전단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M)의 회전력을 상기 피회전부재(151)에 전달하는 기어모듈(140a, 140b)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100)에 있어서, 제1기어모듈(140a) 및 제2기어모듈(140b)이 프레임(110)에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100)에 있어서, 구동유닛의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모듈(140a, 140b)은 상기 제1장착공간(S1)에 수용되는 제1기어모듈(140a)과, 상기 제2장착공간(S2)에 수용되는 제2기어모듈(140b)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칫솔모모듈(150a, 150b) 역시 상기 제1기어모듈(140a)에 연결되는 제1칫솔모모듈(150a)과, 상기 제2기어모듈(140b)에 연결되는 제2칫솔모모듈(150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치아 내면 및 외면을 동시에 세정할 수 있도록 하나의 측방연결부(111a)에 서로 길이가 다른 제1칫솔모모듈(150a) 및 제2칫솔모모듈(150b)이 구비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으로 상기 칫솔모모듈(150a, 150b)의 개수는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도 6에 나타난 구동유닛의 형태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모터(M)는 전후 방향의 회전축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기어모듈(140a, 140b)은 상기 구동모터(M)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칫솔모모듈(150a, 150b)에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M)는 상기 제1기어모듈(140a) 및 상기 제2기어모듈(140b) 각각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또는 하나의 구동모터(M)의 회전축에 상기 제1기어모듈(140a) 및 상기 제2기어모듈(140b)이 동시에 연결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M)는 상기 프레임(110) 내에 장착되는 형태일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프레임(110)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형태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구체적으로 상기 기어모듈(140a, 140b)은, 상기 구동모터(M)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M)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웜기어(141)와, 상기 웜기어(14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치합되어 상기 웜기어(141)의 회전에 따라 좌우 방향의 회전축(147)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헬리컬기어(142)과, 상기 헬리컬기어(142)의 회전축(147) 양단과 상기 피회전부재(151)의 전단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헬리컬기어(142)의 회전축(147)의 회전 방향을 상기 피회전부재(151)의 회전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방향전환조인트(144, 14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방향전환조인트(144, 145)는 제1조인트부재(144) 및 제2조인트부재(145)가 서로 다자유도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유니버설조인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헬리컬기어(142)의 회전축(147)의 중심선(R1)과 상기 제2조인트부재(145)의 중심선(R2)이 이루는 각도(θ)에 관계없이 상기 헬리컬기어(142)의 회전축(147)의 회전 방향이 상기 피회전부재(151)의 회전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헬리컬기어(142)의 회전축(147) 둘레에는 상기 프레임(11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헬리컬기어(142)의 회전축(147)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베어링부재(14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어모듈(140a, 140b)의 구조는 상기 피회전부재(151)의 회전을 구현하기 위해 하나의 실시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상기 기어모듈(140a, 140b)의 회전력 전달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100)에 있어서, 고정유닛(130)의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유닛(130)은, 상기 제1칫솔모모듈(150a)의 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회전고정부(132a)와, 상기 제2칫솔모모듈(150b)의 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회전고정부(132b)와, 상기 제1회전고정부(132a) 및 상기 제2회전고정부(132b)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13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회전고정부(132a)에는 상기 제1칫솔모모듈(150a)의 피회전부재(151)가 끼워지도록 돌출된 제1고정돌기(133a)가 형성되고, 상기 제2회전고정부(132b)에는 상기 제2칫솔모모듈(150b)의 피회전부재(151)가 끼워지는 제2고정돌기(133b)가 형성된다.
한편 이에 대응되도록 전술한 기어모듈(140a, 140b)의 제2조인트부재(145)에는, 상기 피회전부재(151)의 전단부가 끼워지도록 돌출된 제3고정돌기(146, 도 6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칫솔모모듈(150a, 150b)이 프레임(110)의 전후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구동유닛에 의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회전됨에 따라 종래 틸팅 방식의 칫솔모에 비해 모든 치아면에 대해 칫솔질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매우 우수한 세정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상기 제1장착공간(S1)의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제1공간형성부(112)에 결합되는 제1차폐커버(120a)와, 상기 제2장착공간(S2)의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제2공간형성부(113)에 결합되는 제2차폐커버(12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전동칫솔
110: 프레임
111: 치아안착면
111a: 중심연결부
111b: 측방연결부
112: 제1공간형성부
113: 제2공간형성부
114: 측벽부
115: 후방결합구
120a: 제1차폐커버
120b: 제2차폐커버
130: 고정유닛
131: 연결부
132a: 제1회전고정부
132b: 제2회전고정부
133a: 제1고정돌기
133b: 제2고정돌기
140a: 제1기어모듈
140b: 제2기어모듈
141: 웜기어
142: 헬리컬기어
143: 베어링부재
144: 제1조인트부재
145: 제2조인트부재
146: 제3고정돌기
147: 회전축
150a: 제1칫솔모모듈
150b: 제2칫솔모모듈
151: 피회전붑재
152: 칫솔모
S1: 제1장착공간
S2: 제2장착공간
M: 구동모터

Claims (9)

  1. 사용자의 윗니가 안착되는 상면 및 아랫니가 안착되는 하면이 형성되며, 앞니 영역에 대응되는 중심연결부 및 상기 중심연결부의 양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방연결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측방연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피회전부재와, 상기 피회전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둘레에 구비되는 칫솔모를 포함하는 칫솔모모듈;
    상기 피회전부재의 전단부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피회전부재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측방연결부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칫솔모모듈의 후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유닛;
    을 포함하는,
    회전식 칫솔모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피회전부재의 전단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피회전부재에 전달하는 기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회전식 칫솔모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칫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중심연결부의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기어모듈이 수용되는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회전식 칫솔모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칫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중심연결부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1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제1공간형성부와, 상기 중심연결부의 후방에 구비되는 제2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제2공간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모듈은 상기 제1장착공간에 수용되는 제1기어모듈과, 상기 제2장착공간에 수용되는 제2기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칫솔모모듈은 상기 제1기어모듈에 연결되는 제1칫솔모모듈과, 상기 제2기어모듈에 연결되는 제2칫솔모모듈을 포함하는,
    회전식 칫솔모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칫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공간의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차폐커버; 및
    상기 제2장착공간의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차폐커버;
    를 더 포함하는,
    회전식 칫솔모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칫솔.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제1칫솔모모듈의 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회전고정부;
    상기 제2칫솔모모듈의 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회전고정부; 및
    상기 제1회전고정부 및 상기 제2회전고정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회전식 칫솔모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칫솔.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전후 방향의 회전축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기어모듈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웜기어;
    상기 웜기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치합되어 상기 웜기어의 회전에 따라 좌우 방향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헬리컬기어; 및
    상기 헬리컬기어의 회전축 양단과 상기 피회전부재의 전단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헬리컬기어의 회전축의 회전 방향을 상기 피회전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방향전환조인트;
    를 포함하는,
    회전식 칫솔모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칫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조인트는 유니버설조인트 형태로 형성되는,
    회전식 칫솔모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칫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측방연결부의 외측 둘레에 수직하게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의 상면 및 하면에 대해 단차를 형성하는 측벽부를 더 포함하는,
    회전식 칫솔모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칫솔.
KR1020200049913A 2020-04-24 2020-04-24 회전식 칫솔모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칫솔 KR102453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913A KR102453385B1 (ko) 2020-04-24 2020-04-24 회전식 칫솔모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913A KR102453385B1 (ko) 2020-04-24 2020-04-24 회전식 칫솔모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265A true KR20210132265A (ko) 2021-11-04
KR102453385B1 KR102453385B1 (ko) 2022-10-13

Family

ID=78521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913A KR102453385B1 (ko) 2020-04-24 2020-04-24 회전식 칫솔모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3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272B1 (ko) * 2021-12-17 2022-11-16 전성규 공기 구동식 자동칫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839B1 (ko) * 2005-04-15 2006-09-29 왕중권 회전형 전동칫솔
KR20100121923A (ko) 2009-05-11 2010-11-19 고경용 전동칫솔
KR101175068B1 (ko) * 2009-08-07 2013-02-26 이승호 치아용 양면 브러쉬 장치
JP2019500177A (ja) * 2015-10-30 2019-01-10 チン ヤオ 全方位科学歯ブラ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839B1 (ko) * 2005-04-15 2006-09-29 왕중권 회전형 전동칫솔
KR20100121923A (ko) 2009-05-11 2010-11-19 고경용 전동칫솔
KR101175068B1 (ko) * 2009-08-07 2013-02-26 이승호 치아용 양면 브러쉬 장치
JP2019500177A (ja) * 2015-10-30 2019-01-10 チン ヤオ 全方位科学歯ブラ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272B1 (ko) * 2021-12-17 2022-11-16 전성규 공기 구동식 자동칫솔
WO2023113569A1 (ko) * 2021-12-17 2023-06-22 전성규 공기 구동식 자동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3385B1 (ko) 2022-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601B1 (ko) 전동칫솔
RU2141278C1 (ru) Щеточная головка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й зубной щетки
US7877832B2 (en) Toothbrush
EP2731542A1 (en) Toothbrush and refill head for the same
GB2290224A (en) Power driven toothbrush
KR102453385B1 (ko) 회전식 칫솔모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칫솔
KR20180137793A (ko) 전동칫솔
US7757331B2 (en) Electric toothbrush attachment for backside cleaning
KR200317503Y1 (ko) 이 닦는 장치
CN211433437U (zh) 水平内外圈正反双向同时旋转电动牙刷
CN108969141A (zh) 全方位电动牙刷
CN212326649U (zh) 电动牙刷的传动结合结构
KR102041499B1 (ko) 곡선형 전동칫솔
JPH08103331A (ja) 電動式歯ブラシ
KR102107172B1 (ko) 양치질의 효율을 개선시킨 전동 칫솔
KR101380067B1 (ko) 티형 전동 치솔
KR100642308B1 (ko) 이 닦는 장치
KR200308098Y1 (ko) 자동 칫솔
KR102157416B1 (ko) 전동칫솔
US20180303588A1 (en) Oral care appliance and its care head
KR200419528Y1 (ko) 전동 칫솔
KR200348374Y1 (ko) 전동칫솔
WO2016113582A1 (en) Ergonomic semi-automatic rotatable toothbrush apparatus
KR20040103255A (ko) 전동칫솔
CN211962255U (zh) 一种牙刷头以及牙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