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7793A - 전동칫솔 - Google Patents

전동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7793A
KR20180137793A KR1020170077473A KR20170077473A KR20180137793A KR 20180137793 A KR20180137793 A KR 20180137793A KR 1020170077473 A KR1020170077473 A KR 1020170077473A KR 20170077473 A KR20170077473 A KR 20170077473A KR 20180137793 A KR20180137793 A KR 20180137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brush
helical
couple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0274B1 (ko
Inventor
박형문
최재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쿨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쿨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쿨샤
Priority to KR1020170077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274B1/ko
Publication of KR20180137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01Cylindrical or annular brush bodies
    • A46B13/006Cylindrical or annular brush bodies formed by winding a strip tuft in a helix about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04Additional brush head
    • A46B5/0012Brushes with two or more heads on the same end of a handle for simultaneous use, e.g. cooperating with each-oth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칫솔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구동축과 칫솔대 또는 구동축과 브러쉬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전동칫솔에 관한 것으로, 전동칫솔 케이스에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내지 제3구동축을 구비한 구동유닛과 제1, 2결합유닛에 의해 상기 제1, 2구동축과 각각 결합되어 제1, 2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및 제2칫솔대와 상기 제1, 2칫솔대의 단부에 설치되어 제1, 2칫솔대에 의해 회전되어 치아를 세척하는 제1, 2브러쉬와 제3결합유닛에 의해 상기 제3구동축과 결합되어 제3구동축의 구동에 의해 치아의 교합면을 양치하는 보조브러쉬가 구비된 제3칫솔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동칫솔{Electic toothbrush}
본 발명은 전동칫솔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구동축과 칫솔대 또는 칫솔대과 브러쉬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전동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치아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유해균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치아세척도구로서, 브러쉬부를 치아에 대해 일정 방향으로 움직여서 세척하는 수동식 칫솔과 전동칫솔이 사용되고 있다.
칫솔을 사용하는 방법에는 칫솔을 치아에 대고 왕복 운동을 시키는 스크래핑법(scraping method), 치모를 약 45도 기울여서 치모를 치간 사이에 대고 전후로 진동시키는 바스법(bass method), 칫솔을 치아와 잇몸 등에 상하 또는 원운동 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전술한 칫솔의 사용방법 중에서 바스법, 상하 또는 원운동 시키는 방법은 비교적 세척성이 우수하고 잇몸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손과 팔의 근육 구조상 이를 행하기 쉽지 않고 부적합한 양치 습관이 익숙한 사용자는 쉽게 적합한 양치 방법을 습득하기가 어렵다.
이를 위해 최근에는 모터의 운동 특성을 이용하여 브러쉬부를 좌우로 회동시켜 치아를 청결하고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전동칫솔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전동칫솔은 사용 방식이 일반 칫솔보다 쉽기 때문에 어린이와 노인에게는 특별한 훈련이 없이도 치아를 닦기 편리하고 휴대가 용이한 장점이 부각되어 사용이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45842호(2007.07.27.)에는 전동칫솔이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전동 칫솔은 모터가 장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탄성력을 가지며 단부에 브러쉬가 마련된 제1, 2칫솔대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와 제1, 2칫솔대 사이에 설치되어 각 제1, 2칫솔대를 회전시키는 동력 전달부와, 상기 제1, 2칫솔대를 진동시키는 진동발생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29409호(2005.11.10.)에는 양방향 전동칫솔이 게시되어 있으며, 국제특허출원 PCT/KR02/ 01334호에는 두 개의 브러쉬를 이용한 전동칫솔이 게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동칫솔을 치아의 내면과 외면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으나 치아를 세척하기 위한 브러쉬의 교환이 어렵다. 특히 전동칫솔의 경우 브러쉬의 마모가 심하므로 교환주기가 상대적으로 짧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45842호(2007.07.27.)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45842호(2007.07.27.) 국제특허출원 PCT/KR02/ 01334호
본 발명의 해결 하고자 하는 기술과제는 구동축과 세척을 위한 브러쉬가 설치되는 칫솔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전동칫솔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 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치아의 전면과 후면 또는 치아의 전후면과 상면의 세척 시 칫솔대의 탄성력에 의해 브러시와 치아와의 밀착력을 높이고, 나아가서는 치아의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동칫솔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동칫솔은 전동칫솔 케이스에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제1, 2구동축을 구비한 구동유닛과, 상기 제1, 2결합유닛에 의해 제1, 2구동축과 각각 결합되어 제1, 2구동축에 의해 회전되는 제1, 2칫솔대와, 상기 제1, 2칫솔대의 단부에 설치되어 제1, 2칫솔대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치아를 세척하는 제1, 2브러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2구동축과 결합되는 제1, 2칫솔대는 제1, 2구동축으로부터 제1, 2브러쉬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제1결합유닛은 각각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제1구동축과 제1칫솔대를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제1구동축에 제1나선형경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칫솔대에는 상기 제1구동축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1나선형경사홈과 결합되는 제2나선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유닛은 각각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제2구동축과 제2칫솔대를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제2구동축에 제2나선형경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칫솔대에는 상기 제2구동축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2나선형경사홈과 결합되는 제2나선형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제1칫솔대와 상기 제1브러쉬는 제1브러쉬결합유닛에 의해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칫솔대와 상기 제2브러쉬는 제2브러쉬결합유닛에 의해 결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2브러쉬는 각각 상기 제1, 2구동축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꼬이며 칫솔모가 꼬인방향을 따라 지지되는 제1, 2브러쉬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제1브러쉬결합유닛은 상기 제1칫솔대의 단부에 제1브러쉬프레임이 결합되는 제1브러쉬프레임결합홈이 형성되고, 이의 내주면에 제3나선형경사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브러쉬의 제1브러쉬프레임에는 상기 제1브러쉬프레임결합홈에 형성된 제3나선형경사홈과 결합되는 제3나선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브러쉬결합유닛은 상기 제2칫솔대의 단부에 제2브러쉬프레임이 결합되는 제2브러쉬프레임결합홈의 내주면에 제4나선형경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브러쉬의 제2브러쉬프레임에는 상기 제1브러쉬프레임결합홈에 형성된 제4나선형경사홈과 결합되는 제4나선형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커버지지부의 단부측에 지지되어 제1, 2브러쉬의 일측을 감싸는 커버본체부와, 상기 커버본체부로부터 연장된 지지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제1, 2브러쉬의 제1, 2브러쉬프레임 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2축수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동칫솔은 전동칫솔 케이스에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제1, 2구동축을 구비한 구동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회전 또는 소정의 각도로 왕복회전되는 제3구동축이 노출되는 케이스와 제1, 2결합유닛에 의해 상기 제1, 2구동축과 각각 결합되어 제1, 2구동축의 회전을 전달하는 제1 및 제2칫솔대와, 상기 제1, 2칫솔대의 단부에 설치되어 제1, 2칫솔대에 전달되는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치아를 세척하는 제1, 2브러쉬와, 제3결합유닛에 의해 상기 제3구동축과 결합되어 제3구동축의 구동에 의해 치아의 교합면을 양치하는 보조브러쉬가 구비된 제3칫솔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칫솔은 구동축의 회전력에 의해 칫솔대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여 브러쉬의 마모에 따라 이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으며, 칫솔대가 전면측으로 테이퍼진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칫솔대의 탄성력에 의해 브러쉬와 치아와의 접촉불량을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전동칫솔의 상품적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칫솔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칫솔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결합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브러쉬결합유닛 및 커버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칫솔의 제1,2브러쉬결합유닛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 보인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칫솔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칫솔은 브러쉬를 회전시켜 치아의 내면과 외면을 동시에 세척하거나 치아의 내외면 및 교합면을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 실시 예들을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내 보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칫솔(10)은 전동칫솔의 케이스(11)에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제1, 2 구동축(21)(25)을 구비한 구동유닛과, 제1, 2결합유닛(30)(40)에 의해 상기 제1, 2구동축(21)(25)과 결합되어 제1, 2구동축(21)(25)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2칫솔대(50)(55)와, 제1, 2칫솔대에 의해 회전되어 치아를 세척하는 제1, 2브러쉬(61)(65)를 구비한다.
전동친솔(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의 구동유닛에 의해 회전 또는 소정각도 왕복회전하는 제3구동축(27)이 더 구비되고, 제3결합유닛(15)에 의해 제3구동축(27)과 결합되어 제3구동축(27)의 구동에 의해 치아의 교합면을 양치하는 보조브러쉬(71)가 구비된 제3칫솔대(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3칫솔대(70)에 지지된 보조브러쉬(71)는 두 개의 제1, 2브러쉬(61)(65)의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제3칫솔대(70)에 지지된 보조브러쉬(71)의 배면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돌기(73)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혀크리너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전동칫솔을 구성요소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는 모터와, 이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제1, 2구동축(21)(25)을 회전시키고 제3구동축을 회전 및 소정각도로 왕복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이 설치된다.
이 구동유닛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45842호에 게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유닛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의 전원공급은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는 케이스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1, 2구동축(21)(25)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과 제3구동축(15)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1)는 상부측에 제 3칫솔대를 감쌀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지경이 작아지는 커버지지부(12)가 설치되고, 이 커버지지부(12)의 단부측에는 제1, 2브러쉬(61)(62)의 일측을 감싸는 커버부재(80)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부재(80)는 플랙시블한 탄성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부재(80)는 커버본체부(83)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본체부(80)에는 상기 제1, 2칫솔대(50)(55)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제1, 2브러쉬(61)(65) 즉, 후술하는 브러쉬프레임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2축수부(81)(82)가 설치된다.
상기 제1, 2축수부(81)(82)는 상기 커버본체부(83)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2지지부(81a)(82a)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2칫솔대(50)(55)는 제1, 2구동축(21)(25)과 각각 제1, 2결합유닛(30)(40)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력을 이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1, 2브러쉬(61)(65)에 전달하는 하는 것으로, 탄성력을 가지는 합성수지, 금속 또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2구동축(21)(25)은 제1, 2칫솔대(50)(55)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22)(26)가 설치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제1, 2구동축(21)(25)와 결합부재(22)(26)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2구동축(21)(25)의 단부에 결합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제1, 2칫솔대(50)(55)의 외주면의 일측에는 너어링 가공에 의한 요철이 형성됨으로 사용자가 교환 시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2칫솔대(50)(55)는 단부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하지도록 테이퍼지게 배열된 구조를 가지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2칫솔대(50)(55) 중, 일측의 칫솔대가 경사지게 설치되어 제1, 2칫솔대(50)(55)의 전면측이 좁아질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2칫솔대(50)(55)의 테이퍼진 구조는 이의 단부에 설치되는 브러쉬(61)(65)들의 사이에 세척을 위한 치아들이 삽입됨에 따라 제1, 2칫솔대(50)(55)의 사이가 벌어지게 되다. 따라서 제1, 2칫솔대(50)(55)의 단부에 설치되는 브러쉬(61)(65)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브러쉬는 치아에 균일한 세척력을 제공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3칫솔대(70)는 제3결합유닛(15)에 의해 제3구동축(27)과 결합될 수 있으며, 제3결합유닛(15)은 결합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제3구동축(27)에 길이방향으로 제3칫솔대결합홈(1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칫솔대결합홈(16)에 제3칫솔대(70)의 일단(17)이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으며, 제3결합유닛(15)은 상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후술할 제1, 2결합유닛(30)(40)의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축(21)과 제1칫솔대(50)을 결합하는 제1결합유닛(3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케이스(11)에 설치되는 결합부재(22)를 가진 제1구동축(21)과 제1칫솔대(50)를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제1구동축(21)에는 제1나선형경사홈(3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칫솔대(50)의 하단부측에는 상기 제1구동축(50)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1나선형경사홈(31)과 나사결합되는 제1나선형돌기(32)가 형성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제1나선형경사홈(31)와 제1나선형돌기(32)는 나선의 피치를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이중나선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결합유닛(40)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결합유닛(30)의 구조와 동일하고, 단지 나선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제2결합유닛(40)은 상기 케이스(11)에 설치되는 상기 제2구동축(25)과 제2칫솔대(55)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구동축(25)에 제2나선형경사홈(41)이 형성되고, 상기 제2칫솔대(55)의 단부에는 제2구동축(25)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2나선형경사홈(41)과 결합되는 제2나선형돌기(42)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1, 2결합유닛(30)(40)에 의해 제1, 2구동축(21)(25)과 제1, 2브러쉬(61)(65)가 각각 설치된 제1, 2칫솔대(50)(55)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제1, 2구동축(21)(25)의 제1, 2나선형경사홈(31)(41)에 상기 제1, 2나선형돌기(32)(42)를 각각 접촉시킨 상태에서 제1, 2구동축(21)(25)을 구동시키면 구동축의 회전력에 의해 제1, 2나선형경사홈(31)(41)과 제1, 2나선형돌기(32)(42)는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제1, 2구동축(21)(25)에 대해 제1, 2칫솔대(50)(55)의 결합을 위해 별도로 제1, 2칫솔대(50)(55)를 회전시킬 필요가 없다.
또는, 제1, 2결합유닛(30)(40)은 각각 상기 제1, 2칫솔대(50)(55)의 하부측의 외주연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2구동축(21)(25)에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고정홈에 결합되는 볼플랜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2구동축(21)(25)에 형성된 홈은 결합된 제1, 2칫솔대(50)(55)의 회전에 따른 슬립을 줄이기 위하여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1, 2결합유닛(30)(40)은 상기 제1, 2칫솔대(50)(55)의 하부측에 자석에 부착되는 금속부재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 2구동축(21)(25)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에 상기 금속부재가 부착되는 자석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2구동축(21)(25)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은 결합된 제1, 2칫솔대(50)(55)의 슬립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면이 타워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2칫솔대(50)(55)의 하부가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2구동축의 단부에 설치되는 결합부재가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2결합유닛(30)(40)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제1, 2구동축(21)(25)과 제1, 2칫솔대(50)(55)의 결합이 제1, 2구동축(21)(25)의 회전력을 제1, 2칫솔대에 전달할 수 있는 구조이면 가능하다. 예컨대, 제1, 2구동축(21)(25)에 훅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2칫솔대의 단부에 훅결합홈에 결합되는 단위훅들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2칫솔대의 단부에 다각형의 인입홈이 형성되고, 이와 결합되는 제1, 2구동축(21)(25)이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이들이 상호 억지끼움되어 이루어질 수 도 있다.
한편, 도 5을 참조하면, 제1, 2브러쉬(61)(65)는 제1, 2칫솔대(50)(55)의 회전방향으로 꼬이며, 제1, 2칫솔모(62)(66)가 꼬인방향을 따라 제1, 2칫솔모(62)(66)를 지지하는 제1, 2브러쉬프레임(63)(67)을 구비한다.
상기 제1, 2브러쉬프레임(63)(67)은 탄성력을 가지는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브러쉬프레임이 와이어로 이루이는 경우, 칫솔모(62)(66)를 지지하기 위한 꼬임방향은 각각 제1칫솔대(50)의 회전방향과 제2 칫솔대(55)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2칫솔대의 회전으로 이에 설치되는 제1, 2브러쉬(62)(65)의 와이어는 제1, 2브러쉬(62)(65)에 가하여지는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제1, 2칫솔모(62)(66)의 지지력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제1, 2브러쉬(61)(65)의 단부측에는 즉 상기 제1, 2브러쉬프레임(63)(67)의 단부에는 커버부재(80)의 축수부(81)(82)에 지지되는 제1, 2저어널부(84)(85)가 설치된다. 이 제1, 2저어널부(84)(85)는 제1, 2브러쉬(61)(65)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며, 축수부(81)(82)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치아의 세척 시 브러쉬의 치아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1, 2브러쉬프레임(63)(67)에 형성된 제1, 2저어널부(84)(85)의 단부측 외주면에는 각각 제1, 2축수부(81)(8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제1, 2돌출턱(84a)(85a)이 형성된다.
한편, 제1, 2브러쉬(61)(65)의 제1, 2브러쉬프레임(63)(67)들은 제1, 2칫솔대(50)(55)의 단부와 제1, 2브러쉬결합유닛(91)(95)에 의해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의 결합은 억지끼워맞춤 또는 나사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칫솔대(50)와 제1브러쉬(61)를 결합하는 제1브러쉬결합유닛(91)과 제2칫솔대(55)와 제2브러쉬(65)를 결합하는 제2브러쉬결합유닛(95)의 다른 실시예를 도6에 도시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브러쉬결합유닛(91)은 상기 제1 칫솔대(50)의 단부에 제1브러쉬프레임(63)이 결합되는 제1브러쉬프레임결합홈(92)이 형성되고, 이의 내주면에 제3나선형경사홈(93)이 형성되며, 상기 제1브러쉬(61)의 제1브러쉬프레임(63)에는 상기 제1브러쉬프레임결합홈(92)에 형성된 제3나선형경사홈(93)과 결합되는 제3나선형돌기(94)가 형성된다.
상기 제2브러쉬결합유닛(95)은 상기 제2칫솔대(55)의 단부에 제2브러쉬프레임(67)이 결합되는 제2브러쉬프레임결합홈(96)이 형성되고, 이의 내주면에 제4나선형경사홈(97)이 형성되며, 상기 제2브러쉬(65)의 제2브러쉬프레임(67)에는 상기 제1브러쉬프레임결합홈(96)에 형성된 제4나선형경사홈(97)과 결합되는 제4나선형돌기(98)가 형성된다.
제1, 2칫솔대(50)(55)와 상기 각 제1,2브러쉬프레임(63)(67)과의 결합, 즉 제1, 2브러쉬결합유닛(91)(95)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2결합유닛의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구동축(21)(25)을 연장하여 제1, 2칫솔대를 사용하지 않고, 제1, 2구동축(21)(25)의 단부에 제1, 2브러쉬결합유닛을 이용하여 제1, 2브러쉬(61)(65)를 각각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브러쉬결합유닛은 상기한 제1, 2결합유닛과 같은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칫솔(10)을 이용하여 치아를 닦기 위해서는 제1, 2칫솔대(50)(55)에 설치된 제1, 2브러쉬(61)(65)에 치약을 공급하고, 상기 제1, 2칫솔대(50)(55)의 제1, 2브러쉬(61)(65)의 브러쉬모 즉, 칫솔모(62)(66)가 치아에 내측과 외측(도 1참조) 또는 내측과 외측 및 교합면(도 2참조)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되면서 치아를 닦게 된다.
이와 같이 전동칫솔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제1, 2브러쉬(61)(65)의 마모로 인하여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제1, 2구동축(21)(25)과 단부에 제1, 2브러쉬(61)(65)가 설치된 제1, 2칫솔대(50)(55)을 분리한 후 교환한다. 상기 제1, 2구동축(21)(25)과 제1, 2칫솔대(50)(55)는 제1, 2결합유닛(30)(40)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다. 특히 제1, 2결합유닛(30)(40)이 제1, 2 구동축(21)(25)에 각각 제1, 2나선형경사홈(31)(41)가 형성되고, 제1, 2칫솔대(50)(55)에 제1, 2나선형돌기(32)(4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경우, 제1, 2구동축(21)(25)의 회전에 의해 이들이 결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결합 및 분리에 따른 숙지 없이도 용이하게 제1, 2브러쉬(61)(65)가 설치된 제1, 2칫솔대(50)(55)를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전동칫솔 11 : 케이스
30 : 제1결합유닛 40 : 제2결합유닛
50 : 제1칫솔대 55 : 제2칫솔대
91 : 제1브러쉬결합유닛 70 : 제3칫솔대
95 : 제2브러쉬결합유닛

Claims (11)

  1. 전동칫솔의 케이스에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제1, 2구동축을 구비한 구동유닛과;
    제1, 2결합유닛에 의해 상기 제1, 2구동축과 각각 결합되어 제1, 2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및 제2칫솔대와;
    상기 제1, 2칫솔대의 단부에 설치되어 제1, 2칫솔대에 의해 회전되어 치아를 세척하는 제1, 2브러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구동축과 결합되는 제1, 2칫솔대는 제1, 2구동축으로부터 제1, 2브러쉬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유닛은 각각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제1구동축과 제1칫솔대를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제1구동축에 제1나선형경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칫솔대에는 상기 제1구동축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1나선형경사홈과 결합되는 제2나선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유닛은 각각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제2구동축과 제2칫솔대를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제2구동축에 제2나선형경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칫솔대에는 상기 제2구동축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2나선형경사홈과 결합되는 제2나선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칫솔대와 상기 제1브러쉬는 제1브러쉬결합유닛에 의해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칫솔대와 상기 제2브러쉬는 제2브러쉬결합유닛에 의해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브러쉬는 각각 상기 제1, 2구동축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꼬이며 칫솔모가 꼬인방향을 따라 지지되는 제1, 2브러쉬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제1브러쉬결합유닛은 상기 제1칫솔대의 단부에 제1브러쉬프레임이 결합되는 제1브러쉬프레임결합홈이 형성되고, 이의 내주면에 제3나선형경사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브러쉬의 제1브러쉬프레임에는 상기 제1브러쉬프레임결합홈에 형성된 제3나선형경사홈과 결합되는 제3나선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브러쉬결합유닛은 상기 제2칫솔대의 단부에 제2브러쉬프레임이 결합되는 제2브러쉬프레임결합홈의 내주면에 제4나선형경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브러쉬의 제2브러쉬프레임에는 상기 제1브러쉬프레임결합홈에 형성된 제4나선형경사홈과 결합되는 제4나선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커버지지부의 단부측에 지지되어 제1, 2브러쉬의 일측을 감싸는 커버본체부와, 상기 커버본체부로부터 연장된 지지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제1, 2브러쉬의 제1, 2브러쉬프레임 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2축수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7. 전동칫솔 케이스에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내지 제3구동축을 구비한 구동유닛과;
    제1, 2결합유닛에 의해 상기 제1, 2구동축과 각각 결합되어 제1, 2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및 제2칫솔대와;
    상기 제1, 2칫솔대의 단부에 설치되어 제1, 2칫솔대에 의해 회전되어 치아를 세척하는 제1, 2브러쉬와;
    제3결합유닛에 의해 상기 제3구동축과 결합되어 제3구동축의 구동에 의해 치아의 교합면을 양치하는 보조브러쉬가 구비된 제3칫솔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유닛은 각각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제1구동축과 제1칫솔대를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제1구동축에 제1나선형경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칫솔대에는 상기 제1구동축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1나선형경사홈와 결합되는 제2나선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유닛은 각각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제2구동축과 제2칫솔대를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제2구동축에 제2나선형경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칫솔대에는 상기 제2구동축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2나선형경사홈와 결합되는 제2나선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칫솔대와 상기 제1브러쉬는 제1브러쉬결합유닛에 의해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칫솔대와 상기 제2브러쉬는 제2브러쉬결합유닛에 의해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브러쉬는 각각 상기 제1, 2구동축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꼬이며 칫솔모가 꼬인방향을 따라 지지되는 제1, 2브러쉬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제1브러쉬결합유닛은 상기 제1칫솔대의 단부에 제1브러쉬프레임이 결합되는 제1브러쉬프레임결합홈이 형성되고, 이의 내주면에 제3나선형경사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브러쉬의 제1브러쉬프레임에는 상기 제1브러쉬프레임결합홈에 형성된 제3나선형경사홈과 결합되는 제3나선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브러쉬결합유닛은 상기 제2칫솔대의 단부에 제2브러쉬프레임이 결합되는 제2브러쉬프레임결합홈의 내주면에 제4나선형경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브러쉬의 제2브러쉬프레임에는 상기 제1브러쉬프레임결합홈에 형성된 제4나선형경사홈과 결합되는 제4나선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커버지지부의 단부측에 지지되어 제1, 2브러쉬의 일측을 감싸는 커버본체부와, 상기 커버본체부로부터 연장된 지지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제1, 2브러쉬의 제1, 2브러쉬프레임 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2축수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KR1020170077473A 2017-06-19 2017-06-19 전동칫솔 KR102170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473A KR102170274B1 (ko) 2017-06-19 2017-06-19 전동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473A KR102170274B1 (ko) 2017-06-19 2017-06-19 전동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793A true KR20180137793A (ko) 2018-12-28
KR102170274B1 KR102170274B1 (ko) 2020-10-26

Family

ID=65008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473A KR102170274B1 (ko) 2017-06-19 2017-06-19 전동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27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172B1 (ko) * 2019-10-24 2020-05-07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양치질의 효율을 개선시킨 전동 칫솔
KR20210049575A (ko) 2019-10-25 2021-05-06 박시형 칫솔용 회전 브러시의 연마장치
KR20210077380A (ko) 2019-12-17 2021-06-25 박시형 칫솔용 회전 브러시의 연마장치
KR102431338B1 (ko) * 2021-08-10 2022-08-10 주식회사 아이로나 전동 칫솔
WO2023285722A1 (es) * 2021-07-15 2023-01-19 Vazquez Valverde Juan Carlos Cabezal para cepillo de dientes eléctric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608Y1 (ko) * 2001-07-16 2001-11-17 최주리 전동칫솔
KR100400350B1 (ko) * 2001-08-06 2003-10-10 최주아 전동칫솔
CN2582560Y (zh) * 2002-12-20 2003-10-29 罗志刚 双头电动牙刷
KR100745842B1 (ko) 2004-07-09 2007-08-02 최주아 전동칫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608Y1 (ko) * 2001-07-16 2001-11-17 최주리 전동칫솔
KR100400350B1 (ko) * 2001-08-06 2003-10-10 최주아 전동칫솔
CN2582560Y (zh) * 2002-12-20 2003-10-29 罗志刚 双头电动牙刷
KR100745842B1 (ko) 2004-07-09 2007-08-02 최주아 전동칫솔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172B1 (ko) * 2019-10-24 2020-05-07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양치질의 효율을 개선시킨 전동 칫솔
KR20210049575A (ko) 2019-10-25 2021-05-06 박시형 칫솔용 회전 브러시의 연마장치
KR20210077380A (ko) 2019-12-17 2021-06-25 박시형 칫솔용 회전 브러시의 연마장치
WO2023285722A1 (es) * 2021-07-15 2023-01-19 Vazquez Valverde Juan Carlos Cabezal para cepillo de dientes eléctrico
ES2932668A1 (es) * 2021-07-15 2023-01-23 Ugarteche Rafael Moro Cabezal para cepillo de dientes electrico
KR102431338B1 (ko) * 2021-08-10 2022-08-10 주식회사 아이로나 전동 칫솔
KR20230023572A (ko) * 2021-08-10 2023-02-17 주식회사 아이로나 전동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274B1 (ko) 202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601B1 (ko) 전동칫솔
KR20180137793A (ko) 전동칫솔
EP2700331B1 (en) Brush implement for a skin treatment device
US20130091645A1 (en) Electric Toothbrush
KR102366579B1 (ko) 다중-헤드 칫솔
KR101236956B1 (ko) 교체형 실리콘 미세모 3d 진동칫솔
US20150289635A1 (en) Dental hygiene item
GB2371217A (en) Electric toothbrush head
RU2328195C2 (ru) Гибкая зубная щетк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412007B1 (ko) 회전형 전동 칫솔
CN103830018A (zh) 适于电动牙刷的刷头
KR20110065779A (ko) 롤러형 전동칫솔
JP2006520218A (ja) 歯ブラシアタッチメ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8302239B2 (en) Orbital electric toothbrush
US20150190217A1 (en) Dental hygiene item
KR20200085199A (ko) 실리콘 미세모 교체 형 진동칫솔
US10849421B2 (en) Brush
CN112261917B (zh) 电动牙刷
US7316044B1 (en) Toothbrush having counter-rotating heads
KR100629839B1 (ko) 회전형 전동칫솔
CN211023235U (zh) 一种口腔清洁器
KR102032614B1 (ko) 칫솔머리부가 회전 가능한 기능성 칫솔
CN214049176U (zh) 一种电动牙刷头
KR101833934B1 (ko) 전동칫솔
JP7203030B2 (ja) 動的ブラシヘッドを有する電動式ユーティリティ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