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7503Y1 - 이 닦는 장치 - Google Patents

이 닦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7503Y1
KR200317503Y1 KR20-2003-0009536U KR20030009536U KR200317503Y1 KR 200317503 Y1 KR200317503 Y1 KR 200317503Y1 KR 20030009536 U KR20030009536 U KR 20030009536U KR 200317503 Y1 KR200317503 Y1 KR 2003175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main body
gears
shaft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95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기
Original Assignee
김남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기 filed Critical 김남기
Priority to KR20-2003-00095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75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75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7503Y1/ko
Priority to PCT/KR2004/000700 priority patent/WO2004087003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8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hand-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8Self-contained intraoral toothbrush, e.g. mouth-guard toothbrush without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otating continuous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윗니와 아랫니에 끼운 상태에서 이 전체를 한꺼번에 닦아서 프라그 및 치석을 제거하는데 사용하는 이 닦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윗니(20)와 아랫니(22)의 사이에 끼우는 본체(30)와, 윗니(20)와 아랫니(22)의 내측부와 외측부를 따라 각각 "U"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본체(30)에 양단이 각각 지지되는 강선(40)(42)(44)(46)과, 강선(40)(42)(44)(46)에 각각 끼워져서 회전하는 복수의 스프링축(50)(52)(54)(56)과, 스프링축(50)(52)(54)(56)의 바깥쪽에 각각 끼워지는 플렉시블튜브(60)(62)(64)(66)와, 플렉시블튜브(60)(62)(64)(66)의 외주면에 각각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브러쉬(60a)(62a)(64a)(66a)와, 본체(30)에 설치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기구(70)와, 구동기구(70)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각 스프링축(50)(52)(54)(56)으로 분배하는 동력분배기구(80)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이 닦는 장치{Tooth clearing apparatus}
본 고안은 윗니와 아랫니에 끼운 상태에서 이 전체를 한꺼번에 닦는데 사용하는 이 닦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U"자 모양으로 구부러진 복수의 스프링축에 브러쉬를 설치하여 동력분배기구에 의해 스프링축을 연동시킴으로써 윗니와 아랫니를 한꺼번에 닦을 수 있도록 한 이 닦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치질은 치아건강에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입안의 음식물 찌거기가 부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세균 증식이나 입 냄새를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칫솔을 이용한 양치질은 이뿌리부분으로부터 이끝을 향해 칫솔을 상하로 움직여서 닦아야만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는데, 입안에서 칫솔로 닦기 위한 이의 정확한 위치를 찾기가 매우 힘들어서 음식물 찌꺼기가 치아 사이에 일부 남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어금니 부분이나 앞니의 내측부분 등 칫솔이 닿기 어려운 사각부위가 입안에 여러 곳 존재하기 때문에 치아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또한, 노약자나 어린이와 같이 손의 움직임이 정교하지 못한 경우 기존의 칫솔을 이용해서 닦기란 더더욱 어렵게 되어 있었다.
그리고, 칫솔을 이용해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을 주는 것이 매우 불편하고숙련을 요하는 것이기 때문에 대부분 수평방향으로 움직임을 주어서 치아표면에 뭍은 치석이나 음식물을 닦아내는 정도에 머무르고 있으며, 이를 닦는데 많은 시간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위와 같은 칫솔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실을 이용해서 치아 사이에 끼운 다음 튕겨서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 찌거기를 제거하는 "치실"이라 불리우는 기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는 있으나 실을 치아 사이로 억지로 끼워야 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할 경우 치아 사이가 벌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 또한 입안의 정확히 위치를 찾기가 매우 곤란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양치질을 보다 정확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입안에 남은 음식물 찌꺼기에 의한 치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이 닦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윗니와 아랫니의 사이에 끼우는 본체와, 윗니와 아랫니의 내측부와 외측부를 따라 각각 "U"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본체에 양단이 각각 지지되는 강선과, 강선에 각각 끼워져서 회전하는 복수의 스프링축과, 스프링축의 바깥쪽에 각각 끼워지는 플렉시블튜브와, 플렉시블튜브의 외주면에 각각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브러쉬와, 본체에 설치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기구와, 구동기구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각 스프링축으로 분배하는 동력분배기구로 구성하여 이 닦는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 닦는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 닦는 장치의 동력분배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 닦는 장치에서 강선과 스프링축, 플렉시블튜브 및 브러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20 : 윗니 22 : 아랫니
30 : 본체 40,42,44,46 : 강선
50,52,54,56 : 스프링축 60,62,64,66 : 플렉시블튜브
60a,62a,64a,66a : 브러쉬 70 : 구동기구
71 : 구동축 72 : 핸들
73 : 제 1구동기어 74 : 제 2구동기어
75 : 전동축 76 : 제 1전동기어
77 : 제 2전동기어 80 : 동력분배기구
81,82 : 중앙평기어 83 : 크로스축
84,85 : 상부평기어 86,87 : 하부평기어
90,91,92,93 : 전동베벨기어 94,95,96,97 : 종동베벨기어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윗니(20)와 아랫니(22)의 사이에 끼우는 본체(30)와, 윗니(20)와 아랫니(22)의 내측부와 외측부를 따라 각각 "U"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본체(30)에 양단이 각각 지지되는 강선(40)(42)(44)(46)과, 강선(40)(42)(44)(46)에 각각 끼워져서 회전하는 복수의 스프링축(50)(52)(54)(56)과, 스프링축(50)(52)(54)(56)의 바깥쪽에 각각 끼워지는 플렉시블튜브(60)(62)(64)(66)와, 플렉시블튜브(60)(62)(64)(66)의 외주면에 각각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브러쉬(60a)(62a)(64a)(66a)와, 본체(30)에 설치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기구(70)와, 구동기구(70)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각 스프링축(50)(52)(54)(56)으로 분배하는 동력분배기구(80)로 구성하였다.
여기서 본체(30)는 "U"자 모양으로 형성되며, 그 상면과 저면에는 윗니(20)와 아랫니(22)가 자리 잡을 수 있는 홈(32)(34)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기구(70)는 본체(30)의 안팎으로 관통하는 구동축(71)과, 이 구동축(71)의 바깥쪽 끝부분에 설치되어 손으로 돌리는 핸들(72)과, 본체(30)에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축(71)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전동축(75)과, 구동축(71)과 전동축(75)이 만나는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맞물린 상태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 1구동기어(73) 및 제 2구동기어(74)와, 전동축(75)과 동력분배기구(80)가 만나는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맞물린 상태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 1전동기어(76)와 제 2전동기어(77)로 구성된다.
상기 동력분배기구(80)는 본체(30)의 일측을 가로질러서 윗니(20)와 아랫니(22) 사이에 위치되는 크로스축(83)과, 구동기구(7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회전되고 크로스축(83)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중앙평기어(81)(82)와, 중앙평기어(81)(82)의 상하측에 각각 맞물리는 상부평기어(84)(85) 및 하부평기어(86)(87)와, 상부평기어(84)(85)와 하부평기어(86)(87)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전동베벨기어(90)(91)(92)(93)와, 전동베벨기어(90)(91)(92)(93)에 각각 맞물리고 스프링축(50)(52)(54)(56)의 끝에 각각 연결되는 종동베벨기어(94)(95)(96)(97)로 구성된다.
그리고, 플렉시블튜브(60)(62)(64)(66)는 고무튜브와 같은 것을 이용하였으며, 스프링축(50)(52)(54)(56)를 감싸도록 끼워지고, 그 외주면에는 브러쉬(60a)(62a)(64a)(66a)가 방사상으로 식모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를 입안의 윗니(20)와 아랫니(22) 사이로 넣어서 물게 되면, 윗니(20)와 아랫니(22)가 본체(30)의 상면과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32)(34) 속으로 위치되고, 본체(30)는 윗니(20)와 아랫니(22) 사이에 고정된다.
이후 본체(30) 앞에 위치되어 있는 핸들(72)을 손으로 잡고 돌리게 되면, 이 핸들(72)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이 구동축(71)과 전동축(75)을 통해 본체(30) 내에 내장되어 있는 동력분배기구(80)로 전달되는데, 이때 전동축(75)은 구동축(71)에연결되어 있는 제 1구동기어(73)에 맞물려 있는 제 2구동기어(74)에 의해 회전되고, 전동축(75)과 동력분배기구(80)의 동력전달은 전동축(75) 끝에 설치되어 있는 제 1전동기어(76)와 동력분배기구(80)에 위치된 제 2전동기어(77)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동력분배기구(80)는 제 2전동기어(77)를 통해 전달 받은 회전력을 4군데의 스프링축(50)(52)(54)(56)으로 분배하는 동시에 4개의 스프링축(50)(52)(54)(56)을 연동시켜 브러쉬(60a)(62a)(64a)(66a)가 이 끝을 향해 회전하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즉, 제 2전동기어(77)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일측의 중앙평기어(81)가 제 2전동기어(77)에 의해 회전되면, 크로스축(83)을 통해 반대편에 위치된 타측의 중앙평기어(82)가 동시에 회전되며, 이들 중앙평기어(81)(82)의 상하부에 각각 맞물려 있던 상부평기어(84)(85)와 하부평기어(86)(87)가 중앙평기어(81)(82)가 회전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부평기어(84)(85)와 하부평기어(86)(87)는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부평기어(84)(85)와 하부평기어(86)(87)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전동베벨기어(90)(91)(92)(93)도 상부평기어(84)(85)와 하부평기어(86)(87)가 회전되는 방향과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전동베벨기어(90)(91)(92)(93)에 각각 맞물려 있던 4개의 종동베벨기어(94)(95)(96)(97)중 대각선 방향에 위치되어 있는 종동베벨기어(94)(95)(96)(97) 끼리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과정에서 종동베벨기어(94)(95)(96)(97)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스프링축(50)(52)(54)(56)과 플렉시블튜브(60)(62)(64)(66)가 종동베벨기어(94)(95)(96)(97)가 회전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브러쉬(60a)(62a)(64a)(66a)를 회전시키게 되며, 브러쉬(60a)(62a)(64a)(66a)는 윗니(20)와 아랫니(22)의 이 뿌리부분으로부터 이 끝을 향해 회전되면서 이 표면의 치석과 이 사이에 낀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게 된다.
즉, 종동베벨기어(94)(95)(96)(97)에 의해 회전되는 스프링축(50)(52)(54)(56)은 회전 중에 그 중심에 위치되어 "U"자 모양의 강선(40)(42)(44)(46)에 의해 "U"자 모양으로 형태를 유지하면서 자전과 신축을 반복하게 되고, 이 스프링축(50)(52)(54)(56)의 외측에 끼워진 플렉시블튜브(60)(62)(64)(66)도 스프링축(50)(52)(54)(56)과 같은 신축작용에 의해 스프링축(50)(52)(54)(56)과 함께 회전되면서 이에 방사상으로 식모되어 있는 브러쉬(60a)(62a)(64a)(66a)를 회전시키게 되며, 브러쉬(60a)(62a)(64a)(66a)는 플렉시블튜브(60)(62)(64)(66)에 의해 윗니(20)와 아랫니(22)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 끝을 향해 회전된다.
위와 같은 회전방향은 핸들(72)을 어느 방향으로 돌리는냐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데, 본체(30)에 핸들(72)의 회전방향을 표시해두게 되면, 사용자가 핸들(72)의 회전방향을 항상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입안에 본체를 넣어서 문 다음 핸들을 일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축과 플렉시블튜브 및 브러쉬가 윗니와 아랫니의 내외측면에서 이 끝을 향해 한꺼번에 회전되면서 이를 닦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기존의 칫솔이나 치질 등으로 닦기 어려운 사각부위를 비교적 정확하게 닦을 수 있게 되어 치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노약자나 어린이와 같이 움직임이 정교하지 못한 사람도 단순히 핸들을 손으로 잡고 돌리는 것 만으로도 입안 구석구석 양치질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되며, 윗니와 아랫니의 내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브러쉬가 핸들의 움직임에 따라 한꺼번에 연동되면서 회전하여 이를 닦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치질을 신속하게 마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안 구석구석을 닦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윗니(20)와 아랫니(22)의 사이에 끼우는 본체(30)와;
    윗니(20)와 아랫니(22)의 내측부와 외측부를 따라 각각 "U"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30)에 양단이 각각 지지되는 강선(40)(42)(44)(46)과;
    상기 강선(40)(42)(44)(46)에 각각 끼워져서 회전하는 복수의 스프링축(50)(52)(54)(56)과;
    상기 스프링축(50)(52)(54)(56)의 바깥쪽에 각각 끼워지는 플렉시블튜브(60)(62)(64)(66)와;
    상기 플렉시블튜브(60)(62)(64)(66)의 외주면에 각각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브러쉬(60a)(62a)(64a)(66a)와;
    상기 본체(30)에 설치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기구(70)와;
    상기 구동기구(70)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각 스프링축(50)(52)(54)(56)으로 분배하는 동력분배기구(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 닦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70)는 상기 본체(30)의 안팎으로 관통하는 구동축(71)과;
    상기 구동축(71)의 바깥쪽 끝부분에 설치되어 손으로 돌리는 핸들(72)과;
    상기 본체(30)에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축(71)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전동축(75)과;
    상기 구동축(71)과 전동축(75)이 만나는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맞물린 상태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 1구동기어(73) 및 제 2구동기어(74)와;
    상기 전동축(75)과 동력분배기구(80)가 만나는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맞물린 상태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 1전동기어(76)와 제 2전동기어(7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 닦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분배기구(80)는 상기 본체(30)의 일측을 가로질러서 윗니(20)와 아랫니(22) 사이에 위치되는 크로스축(83)과;
    상기 구동기구(7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회전되고 크로스축(83)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중앙평기어(81)(82)와;
    상기 중앙평기어(81)(82)의 상하측에 각각 맞물리는 상부평기어(84)(85) 및 하부평기어(86)(87)와;
    상기 상부평기어(84)(85)와 하부평기어(86)(87)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전동베벨기어(90)(91)(92)(93)와;
    상기 전동베벨기어(90)(91)(92)(93)에 각각 맞물리고 상기 스프링축(50)(52)(54)(56)의 끝에 각각 연결되는 종동베벨기어(94)(95)(96)(9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 닦는 장치.
KR20-2003-0009536U 2003-03-29 2003-03-29 이 닦는 장치 KR2003175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536U KR200317503Y1 (ko) 2003-03-29 2003-03-29 이 닦는 장치
PCT/KR2004/000700 WO2004087003A1 (en) 2003-03-29 2004-03-26 Tooth clear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536U KR200317503Y1 (ko) 2003-03-29 2003-03-29 이 닦는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677A Division KR100642308B1 (ko) 2004-06-10 2004-06-10 이 닦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7503Y1 true KR200317503Y1 (ko) 2003-06-25

Family

ID=33128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9536U KR200317503Y1 (ko) 2003-03-29 2003-03-29 이 닦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17503Y1 (ko)
WO (1) WO200408700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922A (ko) * 2017-07-18 2019-04-03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치과용 조성물을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110093A1 (it) * 2011-01-26 2012-07-27 Aldo Daniele Dominici Robotic teeth brusher
ES2387081B1 (es) * 2011-02-17 2013-05-03 Eva Cristina López Torrico Cepillo de dientes integral.
CN102885656B (zh) * 2012-10-22 2014-12-10 冯桂芬 全自动牙刷
CN103750913B (zh) * 2014-02-27 2015-11-04 马涛 一种电动牙刷
CN105266915B (zh) * 2015-10-30 2017-05-31 姚青 一种全方位科学牙刷
CN105853006B (zh) * 2016-05-20 2017-07-04 蓝经强 一种全方位牙齿清洁工具
FR3108493B1 (fr) 2020-03-31 2022-03-04 Faroche Charles Appareil et brosse de nettoyage buccodentair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8315A (en) * 1983-08-17 1985-09-03 Frederic Barth Dental hygiene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rotating brushes
US5177827A (en) * 1991-01-14 1993-01-12 Ellison Benedict M Electric-powered dental brush
US5337435A (en) * 1992-09-18 1994-08-16 Krasner Janet H Automatic toothbrush
JP3750288B2 (ja) * 1997-07-03 2006-03-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集積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922A (ko) * 2017-07-18 2019-04-03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치과용 조성물을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
KR102064006B1 (ko) 2017-07-18 2020-01-08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치과용 조성물을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87003A1 (en) 200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8852A (en) Plaque jack toothbrush
US20130091645A1 (en) Electric Toothbrush
KR101222366B1 (ko) 롤러형 전동칫솔
US7757329B2 (en) Oral brushing devices and/or methods
US2655675A (en) Power-driven toothbrush with lip guard
KR200317503Y1 (ko) 이 닦는 장치
US20030066146A1 (en) Manual toothbrush for gingival tissue stimulation
US8302239B2 (en) Orbital electric toothbrush
KR100642308B1 (ko) 이 닦는 장치
KR20100056578A (ko) 세개의 회전칫솔부재를 갖는 전동칫솔
EP0054043B1 (en) Electrically driven toothbrush
EP0103959A1 (en) Toothbrush having rotatable brushes
WO2022105487A1 (zh) 一种三刷联转式牙刷头
KR20110002851U (ko) 전동 칫솔
KR200434930Y1 (ko) 3개의 칫솔모가 있는 전동칫솔
KR100697940B1 (ko) 전동칫솔
CA2522998C (en) Powered toothbrush with curved neck and flexible shaft
KR100629839B1 (ko) 회전형 전동칫솔
CN2393503Y (zh) 毛刷转动式电动自动牙刷
KR200301174Y1 (ko) 전동 칫솔
RU17829U1 (ru)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ая зубная щетка
KR100467004B1 (ko) 전동칫솔
WO2016163862A1 (ru)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ая зубная щетка дюсенова
KR20040033089A (ko) 전동 칫솔
KR20210109347A (ko) 회전 칫솔모를 구비한 마우스피스형 전동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