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1937A - 피부 진단 장치 및 이를 위한 커플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피부 진단 장치 및 이를 위한 커플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1937A
KR20210131937A KR1020210140641A KR20210140641A KR20210131937A KR 20210131937 A KR20210131937 A KR 20210131937A KR 1020210140641 A KR1020210140641 A KR 1020210140641A KR 20210140641 A KR20210140641 A KR 20210140641A KR 20210131937 A KR20210131937 A KR 20210131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disposed
unit
coupling member
magne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0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2694B1 (ko
Inventor
최원석
Original Assignee
(주)초위스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5394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17946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초위스컴퍼니 filed Critical (주)초위스컴퍼니
Priority to KR1020210140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694B1/ko
Publication of KR20210131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3Evaluating skin constituents, e.g. elastin, melanin,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33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면에 배치되는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 부재를 이용하여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탈부착이 가능한 바디부, 상기 바디부 내에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여 대상체로부터 반사되는 측정광의 초점을 상기 전자 장치의 이미지센서로 맞추는 광학부 및 상기 광학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대상체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 및 상기 자성체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얼라인 부재를 포함하는 피부 진단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피부 진단 장치 및 이를 위한 커플링 시스템{APPARATUS FOR SKIN DIAGNOSES AND COUPLING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피부 진단 장치 및 이를 위한 커플링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현재 기대 수명 증가에 따라, 건강 상태에 대한 진단 및 관리는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항목 중 하나이다. 피부는, 인체가 외부 환경과 마주하는 요소로서, 다양한 신진 대사 산물과 구성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때때로,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가 되기도 한다. 구체적인 일 예로서, 혈색이 좋지 않은 경우, 혈액 순환 장애 또는 소화 장애를 의심해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피부에 트러블이 생기는 경우, 정신적 스트레스를 의심해볼 수도 있다.
종래의 경우, 이러한, 피부 상태의 진단은, 대체로 시각적 또는 촉각적인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피부의 탄력이 좋고 나쁨을 광학 현미경을 통해 시각적으로 판별할 수 있으며, 피부의 수화도(skin water content)를 촉각으로 판별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판별법은 정확도가 높지 않고 판별하는 주체의 경험에 의존하는 경우가 높다.
한편, 건강 상태의 진단을 위한 피부 모니터링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진단 대상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으면서도 보다 간편 하게 모니터링 및 진단을 수행할 수 있는 피부 상태 진단 장치 및 방법이 요청되고 있다. 이에 최근 피부에 광을 조사하고 이를 촬영한 후 그 광 정보를 분석하여 피부의 상태를 검진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진단 장치는 대부분 고가의 장비들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피부 전문 관리샵이나 피부과 병원 등 이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곳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휴대가 가능하면서 전자 장치의 이미지센서에 대한 광학부의 위치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피부 진단 장치 및 이를 위한 커플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면에 배치되는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 부재를 이용하여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탈부착이 가능한 바디부, 상기 바디부 내에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여 대상체로부터 반사되는 측정광의 초점을 상기 전자 장치의 이미지센서로 맞추는 광학부 및 상기 광학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대상체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 및 상기 자성체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얼라인 부재를 포함하는 피부 진단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광학부와 동일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일면이 아닌 타면에 배치되며, 상기 대상체의 수분 정도를 감지하는 수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수분 정도를 감지하는 수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센서 및 상기 광학부를 지나는 가상의 제1 선과 상기 센서부의 측정면을 지나는 가상의 제2 선은 교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일면에 대향되는 타면에 일단이 배치되며, 상기 일단 및 상기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을 관통하는 개구가 형성된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 중 적어도 일부의 경로를 변경하여 상기 지지부의 타단으로 집속시키는 광유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광학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대향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1 얼라인 부재를 포함하는 제1 커플링 부재 및 상기 제1 면에 대향되는 제3 면 및 상기 제3 면에 대향되는 제4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제1 얼라인 부재와 얼라인되도록 구비되는 제2 얼라인 부재를 포함하는 제2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는 피부 진단 장치를 위한 커플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플링 부재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일면에 배치되는 상기 제2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커플링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탈부착이 가능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 내에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여 대상체로부터 반사되는 측정광의 초점을 상기 전자 장치의 이미지 센서로 맞추는 광학부와, 상기 광학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대상체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광원부를 포함하는 피부 진단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커플링 부재의 자성체는 상기 광학부와 동일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진단 장치는 상기 바디부의 일면이 아닌 타면에 배치되며, 상기 대상체의 수분 정도를 감지하는 수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진단 장치는 상기 대상체의 수분 정도를 감지하는 수분센서를 포하맣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센서 및 상기 광학부를 지나는 가상의 제1 선과 상기 센서부의 측정면을 지나는 가상의 제2 선은 교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진단 장치는 상기 바디부의 일면에 대향되는 타면에 일단이 배치되며, 상기 일단 및 상기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을 관통하는 개구가 형성된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 중 적어도 일부의 경로를 변경하여 상기 지지부의 타단으로 집속시키는 광유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위치결정부재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전자 장치의 이미지센서에 피부 진단 장치의 광학부가 정확히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언제든 동일한 조건에서 피부 상태를 측정할 수 있어, 정확한 피부 진단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는 피부의 수분 정도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더 많은 피부 진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특히, 피부 진단 장치는 센서부의 측정 방향을 이미지센서의 측정 방향과 다르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센서부를 이용하여 좀 더 편리하게 피부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는 광원부로부터 유입되는 광을 피부로 집속시킬 수 있는 광유도부재를 더 포함함으로써, 선명하면서 정확한 피부 측정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피부 진단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피부 진단 장치를 A-A'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를 위한 커플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피부 진단 장치와 전자 장치가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피부 진단 장치와 전자 장치가 결합된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피부 진단 장치와 전자 장치가 결합된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C-C'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피부 진단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B-B'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들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내용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유닛,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유닛,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연결하다 또는 결합하다 등의 용어는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반드시 두 부재의 직접적 및/또는 고정적 연결 또는 결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두 부재 사이에 다른 부재가 개재된 것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이하의 실시예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 및 이를 위한 커플링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1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피부 진단 장치(10)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피부 진단 장치(10)를 A-A'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를 위한 위치 결정 시스템(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피부 진단 장치(10)와 전자 장치(20)가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피부 진단 장치(10)와 전자 장치(20)가 결합된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10)는 바디부(100), 광학부(115) 및 하나 이상의 광원부(130)를 포함하고, 센서부(120) 및 지지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00)는 일면에 배치되는 제2 커플링 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00)는 제2 커플링 부재(150)를 이용하여 이미지센서(201)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20)에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바디부(100)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구비된 중공을 통해 배터리부(180)와 같은 구성요소를 수용할 수 있다. 바디부(100)는 휴대 가능하도록 컴팩트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20)는 일면에 배치되는 이미지센서(201)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조명유닛(203)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20)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한 일면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배치되는 면과 대향되는 면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한 일면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배치되는 면과 동일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전자 장치(20)는 이미지센서(201)를 둘 이상 포함하여,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배치되는 면과 대향되는 면 모두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는 휴대폰, 태블릿(tablet), 노트북, 그래핑 계산기(graphing calculator), 휴대용 게임기,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포터블 미디어 플레이어 등일 수 있다.
바디부(100)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2 커플링 부재(150)는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성체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자성체(151) 및 제2 자성체(1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자성체(151)와 제2 자성체(153)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자성체(151)가 N극인 경우, 제2 자성체(153)는 S극이며, 제1 자성체(151)가 S극인 경우, 제2 자성체(153)는 N극일 수 있다. 제2 위치결정부재(150)는 제1 자성체(151)와 제2 자성체(153)가 후술하는 제1 커플링 부재(30)의 제3 자성체(301)와 제4 자성체(303)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광학부(115)가 이미지센서(201)에 정확히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자성체(151)와 제2 자성체(153)는 제3 자성체(301)와 제4 자성체(303)가 배치되는 형태 및 이격 거리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자성체는 제1 자성체(151)와 제2 자성체(153) 중 어느 하나로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커플링 부재(30)도 상기 자성체에 대응되도록 하나의 자성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자성체는 제1 자성체(151)와 제2 자성체(153)를 포함하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제1 자성체(151) 및 제2 자성체(153)는 광학부(115)와 동일선 상에 정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자성체(151)의 중심 및 제2 자성체(153)의 중심은 광학부(115)의 중심과 동일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자성체(151)의 중심과 제2 자성체(153)의 중심을 지나가는 가상의 연장선은 광학부(115)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다른 연장선과 교차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커플링 부재(150)는 바디부(100)의 일면(A1)에 결합되는 구조로서, 바디부(1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2 커플링 부재(150)는 바디부(100)와 분리된 구조로서, 바디부(100)의 일면 상에 부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커플링 부재(150)는 상기 자성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얼라인 부재(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얼라인 부재(155)는 홈 또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는 데, 제2 얼라인 부재(155)에 포함된 홈 또는 돌기는 후술하는 제1 얼라인 부재(305)에 포함된 홈 또는 돌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제2 얼라인 부재(155)는 상기 제1 자성체(151)와 제2 자성체(15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얼라인 부재(305)가 제3 자성체(301)와 제4 자성체(303) 사이에 배치되며, 기다란 직선 형태의 돌기를 포함하는 경우, 제2 얼라인 부재(155)는 이를 수용하기 위해 기다란 직선 형태를 갖는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얼라인 부재(155)는 하나 이상의 홈 또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하나의 돌기 및 하나의 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얼라인 부재(155)의 형상은 반드시 직선 상의 홈 또는 돌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십자, 원형 또는 다각형 등 제1 얼라인 부재(305)와 결합되어 제1 커플링 부재와 제2 커플링 부재의 얼라인을 도울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적용 가능하다
광학부(115)는 바디부(100) 내에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렌즈(1151)를 포함하여 대상체로부터 반사되는 측정광의 초점을 전자 장치(20)의 이미지 센서(201)로 맞출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광학부(115)는 대상체의 표면 이미지를 확대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렌즈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광학부(115)는 광각렌즈(wide angle lens) 및 접사렌즈(macroscopic lens)를 포함하고, 이들 렌즈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부(115)는 광각렌즈 및 접사렌즈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표면이미지, 다시 말해, 피부 이미지를 확대시킬 수 있으며, 일정한 초점 거리를 유지하도록 바디부(100)에 고정될 수 있다.
광원부(130)는 광학부(115)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대상체를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부(130)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광학부(115)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원부(130)는 일반적인 휴대폰과 같은 전자 장치에 사용되는 광원으로서, 넓은 파장 대역을 갖는 광원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가시광선 전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하는 광원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특정 파장 대역을 갖는 광원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광원부(130)는 피부 상태 진단에 필요한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여드름(acne vulgaris)의 원인 유발 세균(Propionibacterium acne; P. acne)이 피부 내에서 생성하는 포르피린 중의 하나인 코프르포리피린 3의 경우 407nm 피크로 하는 흡수 스펙트럼을 가진다. 예를 들어, 청색광 대역(400 내지 440nm)의 빛을 피부에 가하면, 포르피린은 청색 파장대의 광의 에너지를 강하게 흡수하며, 흡수한 파장과는 다른 고유한 파장대의 광을 형광하게 된다. 이러한 흡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대상체의 피부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광원부(130)는 파장 대역이 다른 복수의 광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피부 진단 장치(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진단에 필요한 파장 대역의 광원이 광을 조사하도록 광원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10)는 지지부(110) 및 센서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10)는 바디부(100)의 일면(A1)에 대향되는 타면에 일단(E1)이 배치되며, 일단(E1) 및 일단(E1)에 대향되는 타단(E2)을 관통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10)는 경통 형태로 형성되어, 광원부(130)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하여, 광이 대상체로 집중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지지부(110)는 일단(E1)과 타단(E2) 사이의 길이가 일정하여 대상체로부터 광학부(115)까지의 거리를 항상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지지부(110)는 타단(E2)을 통해 대상체인 피부와 접촉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으며, 대상체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피부 상태를 측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센서부(120)는 대상체의 수분 정도를 감지하는 수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20)는 대상체의 유분 정도를 감지하는 유분센서 및 PH 정도를 측정하는 PH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20)는 대상체의 피부 상태, 수분 정도, 유분 정도 또는 PH 정도를 감지하고 측정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피부 진단 장치(10)는 외부의 전자 장치(20)와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상기한 측정신호를 외부의 전자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부(120)는 바디부(100)의 일면(A1)이 아닌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A1)과 수직하게 연결된 상부면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이미지센서(201)를 통해 피부를 촬영하고, 측정 방향을 변경하여 센서부(120)를 통해 피부 상태인 수분 정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센서부(120)는 이미지센서(201)와 측정 방향이 평행하도록 바디부(100)의 일면(A1)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이미지센서(201)와 광학부(115)를 지나는 가상의 제1 선(T1)과 센서부(120)의 측정면을 지나는 가상의 제2 선(T2)은 교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미지센서(210)의 측정방향과 센서부(120)의 측정방향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10)는 이미지센서(201)와 측정방향을 달리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10)는 센서부(120) 및 광원부(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80) 및 피부 진단 장치(10)의 온/오프(on/off) 상태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를 위한 커플링 시스템은 피부 진단 장치(10), 전자 장치(20) 및 제1 커플링 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피부 진단 장치(10)와 전자 장치(20)는 전술한 구성을 갖는 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커플링 부재(30)는, 베이스부(300),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 및 제1 얼라인 부재(305)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300)는 제1 면(B1) 및 제1 면(B1)에 대향되는 제2 면(B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300)는 자성체가 배치될 수 있는 일정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데, 플레이트 형상이 될 수 있다. 베이스부(300)는 제1 면(B1)에 자성체가 배치되며, 제2 면(B2)을 통해 전자 장치(20)에 결합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2 면(B2)은 점착물질을 포함하여, 전자 장치(20)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성체는 제3 자성체(301) 및 제4 자성체(3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자성체(301)는 베이스부(300)의 제1 면(B1)에 배치되고 제1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제4 자성체(303)는 제1 극성과 다른 제2 극성을 갖고 제1 면(B1)에 제3 자성체(301)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3 자성체(301)는 제2 커플링 부재(150)의 제1 자성체(151)와 결합되고, 제4 자성체(303)는 제2 자성체(153)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자성체(301)는 제1 자성체(151)와 반대 극성을 갖고, 제4 자성체(303)는 제2 자성체(153)와 반대 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자성체(151)와 제2 자성체(153)의 이격 거리는 제3 자성체(301)와 제4 자성체(303)의 이격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이때, 이격 거리는 각 구성요소의 중심에서 중심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성체는 제3 자성체(301)와 제4 자성체(303) 중 어느 하나로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 커플링 부재(30)에서 전자 장치(20)의 이미지센서(201)까지의 이격 거리는 제2 커플링 부재(150)에서 광학부(115)까지의 이격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커플링 부재(30)와 제2 커플링 부재(150)가 결합되는 것에 의해 피부 진단 장치(10)의 광학부(115)는 전자 장치(20)의 이미지센서(201)에 정확히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커플링 부재(30)는 상기 자성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얼라인 부재(305)를 통해, 제2 커플링 부재(150)의 제2 얼라인 부재(155)와 얼라인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얼라인 부재(305)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를 구비하는 경우, 제2 얼라인 부재(155)는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홈을 구비하여 서로 맞춰질 수 있다. 이러한 돌기 및 홈 구조는 제1 얼라인 부재(305)와 제2 얼라인 부재(155)의 결합을 견고히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커플링 부재(30)와 제2 커플링 부재(150)는 각각 구비한 자성체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각 자성체에 인접하게 제1 얼라인 부재(305)와 제2 얼라인 부재(155)가 서로 얼라인됨으로써 제1 커플링 부재(30)와 제2 커플링 부재(150)가 서로 결합할 때에 위치 정밀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미지 센서(201)와 광학부(115)의 위치 정밀도를 더욱 간단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커플링 부재(30)의 베이스부(300)는 전자 장치(20)에 끼워지는 케이스(cas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플링 부재(30)는 베이스부(300)가 케이스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이미지센서(201)로부터 제1 커플링 부재(30)까지의 거리가 항상 일정하여, 결합되는 피부 진단 장치(10)의 위치의 정확성도 향상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부(300)에는 전자 장치(20)의 이미지 센서(201)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309)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커플링 부재(30)와 마찬가지로, 제2 커플링 부재(150) 또한, 피부 진단 장치(10)에 끼워지는 케이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플링 부재(150)는 제1 커플링 부재(30)의 제1 면(B1)에 대향되는 제3 면과 제3면에 대향되는 제4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커플링 부재(150)의 제3 면 및 제4 면은 케이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플링 부재(150)가 케이스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광학부(115)와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가 형성되어 광학부(115)를 노출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피부 진단 장치(10)와 전자 장치(20)가 결합된 또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C-C'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베이스부(300)는 제1 면(B1) 및 제1 면(B1)에 대향되는 제2 면(B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300)는 자성체가 배치될 수 있는 일정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형태일 수 있다. 베이스부(300)는 제2 면(B2)을 통해 전자 장치(20)와 결합 가능하며, 제2 면(B2)에 자성체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플링 부재(30)는 전자 장치(30)에 결합되는 제2 면(B2)에 자성체가 배치되는 것에 의해, 자성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제1 커플링 부재(30)는 제2 면(B2)으로부터 베이스부(300) 내부를 향해 오목한 오목부를 형성하고, 오목부 내에 자성체를 배치시킬 수 있다. 자성체의 일면은 베이스부(300)의 제2 면(B2)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자성체의 일면에 대향되는 타면으로부터 제1 면(B1)까지의 두께는 자성체의 자기력이 외부로 전달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커플링 부재(30)는 제3 자성체(301) 및 제4 자성체(303)를 포함하며, 제3 자성체(301)와 제4 자성체(303)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얼라인 부재(30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얼라인 부재(305)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다란 직선 형태의 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는 제2 얼라인 부재(155)는 상기 홈에 대응되는 돌기를 구비하여 서로 맞춰질 수 있다. 제1 커플링 부재(30)는 자성체를 내부에 배치시키고 홈 형태의 제1 얼라인 부재(305)를 구비함으로써, 외관 상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사용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10-1)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피부 진단 장치(10-1)의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10-1)는 바디부(100), 광학부(115), 광원부(130), 센서부(120), 지지부(110) 및 연장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10-1)는 연장부(105)를 제외하고 일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연장부(105)는 바디부(100)의 일면(A1)으로부터 연장되되, 일면(A1)에 대하여 기울어진 연장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연장면은 경사면일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연장부(105)는 일면(A1)과 연결되되 광학부(115)에 인접한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120)는 상기한 연장부(105)의 연장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120)는 대상체의 수분 정도를 감지하는 수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20)는 유분센서 및 PH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센서(201)의 측정방향과 다른 측정방향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10)는 바디부(100)로부터 기울어져 연장된 연장부(105) 상에 센서부(120)가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좀 더 편리하게 센서부(120)를 이용하여 측정할 있다. 이미지센서(201)와 광학부(115)를 지나는 가상의 제1 선(T1)과 센서부(120)의 측정면을 지나는 가상의 제2 선(T2)은 교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선(T1)과 제2 선(T2)의 사이각(θ2)은 각각의 측정 방향에 대하여 둔각을 이룰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10-2)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B-B'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10-2)는 제2 지지부(160)를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요소가 일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지지부(160)는 바디부(100)의 일면(A1)에 대향되는 타면에 일단(E1)이 배치되며, 일단(E1) 및 일단(E1)에 대향되는 타단(E2)을 관통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160)는 일단(E1)을 통해 바디부(100)에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제2 지지부(160)는 광원부(130)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되는 광유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2 지지부(160)는 개구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광유도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유도부재는 일단(E1)을 통해 광원부(130)로부터 광이 유입될 수 있다. 광유도부재는 예를 들면, 프리즘(pris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광유도부재는 광원부(130)로부터 유입되는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제2 지지부(160)의 타단을 향해 집속시킬 수 있다. 광원부(130)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일정 정도 확산될 수 밖에 없다. 광유도부재는 프리즘을 포함하여 이러한 확산광을 반사시키거나 굴절시킴으로써, 광 경로를 변경시켜 제2 지지부(160)의 타단에서 집속시키게 된다. 이를 통해, 피부 진단 장치(10-2)는 대상체의 표면, 즉 피부에 빛을 집중시켜 좀 더 정확한 이미지를 측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위치결정부재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전자 장치의 이미지센서에 피부 진단 장치의 광학부가 정확히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언제든 동일한 조건에서 피부 상태를 측정할 수 있어, 정확한 피부 진단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는 피부의 수분 정도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더 많은 피부 진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특히, 피부 진단 장치는 센서부의 측정 방향을 이미지센서의 측정 방향과 다르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센서부를 이용하여 좀 더 편리하게 피부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는 광원부로부터 유입되는 광을 피부로 집속시킬 수 있는 광유도부재를 더 포함함으로써, 선명하면서 정확한 피부 측정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

  1. 일면에 배치되는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 부재를 이용하여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탈부착이 가능한 바디부;
    상기 바디부 내에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여 대상체로부터 반사되는 측정광의 초점을 상기 전자 장치의 이미지센서로 맞추는 광학부; 및
    상기 광학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대상체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 부재는 제1 자성체 및 제2 자성체,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 사이로 길이가 연장되는 하나의 얼라인 부재를 포함하는, 피부 진단 장치.
KR1020210140641A 2018-12-03 2021-10-21 피부 진단 장치 및 이를 위한 커플링 시스템 KR102472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641A KR102472694B1 (ko) 2018-12-03 2021-10-21 피부 진단 장치 및 이를 위한 커플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940A KR102317946B1 (ko) 2017-09-28 2018-12-03 피부 진단 장치 및 이를 위한 커플링 시스템
KR1020210140641A KR102472694B1 (ko) 2018-12-03 2021-10-21 피부 진단 장치 및 이를 위한 커플링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940A Division KR102317946B1 (ko) 2017-09-28 2018-12-03 피부 진단 장치 및 이를 위한 커플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937A true KR20210131937A (ko) 2021-11-03
KR102472694B1 KR102472694B1 (ko) 2022-12-01

Family

ID=78505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0641A KR102472694B1 (ko) 2018-12-03 2021-10-21 피부 진단 장치 및 이를 위한 커플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6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234Y1 (ko) * 2002-08-28 2002-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와 배터리팩 결합장치
KR20070010336A (ko) * 2005-07-18 2007-01-2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자석을 이용한 배터리 락킹노브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170093645A (ko) * 2016-02-05 2017-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234Y1 (ko) * 2002-08-28 2002-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와 배터리팩 결합장치
KR20070010336A (ko) * 2005-07-18 2007-01-2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자석을 이용한 배터리 락킹노브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170093645A (ko) * 2016-02-05 2017-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2694B1 (ko)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73007B1 (en) System and method for imaging the reflectance of a substrate
ES2693526T3 (es) Detección automática de alineación ocular
US11213208B2 (en) Multispectral imaging device
US10702148B2 (en) Component, computer program, system, and kit for corrective lens determination
US11890054B2 (en) Corneal topography system and methods
WO2018135337A1 (ja) 検査装置、検査装置の制御方法、システム、ライトガイドおよびスケール
JP2022517646A (ja) 疾患の視覚化のためのモジュール式内視鏡システム
US11457858B2 (en) Skin diagnostic device and coupling system therefor
KR102317946B1 (ko) 피부 진단 장치 및 이를 위한 커플링 시스템
KR101926059B1 (ko) 스마트 기기용 자유 회전식 현미경
KR102472694B1 (ko) 피부 진단 장치 및 이를 위한 커플링 시스템
KR102537267B1 (ko) 피부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피부 촬영 모듈
CN114047162B (zh) 电子设备
CN103315707A (zh) 睑板腺红外成像装置
WO2013137497A1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휴대형 진단 시스템
Wang et al. Systematic design of a cross-polarized dermoscope for visual inspection and digital imaging
TW201427644A (zh) 攝像裝置
KR20170037737A (ko) 피부 진단용 촬영 모듈 및 장치
CN203408031U (zh) 睑板腺红外成像装置
KR20180114446A (ko) 휴대용 피부 진단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피부 진단 시스템
TWI607741B (zh) 可攜式檢驗裝置
KR20230054117A (ko) 피부 진단 시스템
WO2020226228A1 (ko) 피부 확대경
JP2021065366A (ja) 検査装置および検査モジュール
CN117796749A (zh) 内窥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