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1362A -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1362A
KR20210131362A KR1020217029053A KR20217029053A KR20210131362A KR 20210131362 A KR20210131362 A KR 20210131362A KR 1020217029053 A KR1020217029053 A KR 1020217029053A KR 20217029053 A KR20217029053 A KR 20217029053A KR 20210131362 A KR20210131362 A KR 20210131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temperature
heater assembly
assembly
gener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9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드워드 조셉 홀리데이
애슐리 존 사예드
루크 제임스 워렌
Original Assignee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31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3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 Nozzl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기 조립체, 표시자 조립체 및 제어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제어기는, 가열기 조립체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게 하고, 가열기 조립체의 특징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결정된 특징이 적어도 하나의 기준을 충족시키면, 제어기는,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가 되었음을 표시자 조립체가 표시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본 발명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들 및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들을 동작시키는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시가레트들(cigarettes), 시가들(cigars) 등과 같은 흡연 물품들(smoking articles)은 담배 연기(tobacco smoke)를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 중에 담배를 태운다. 연소시키지 않고 화합물들을 방출하는 제품들을 생성하여 담배를 연소시키는 이러한 물품들에 대한 대안들을 제공하려는 시도들이 있었다. 이러한 제품들의 예들은, 재료를 가열하지만 연소시키지 않음으로써 화합물들을 방출하는 가열 디바이스들이다. 이 재료는 예컨대, 담배 또는 다른 비담배 제품들(non-tobacco products)일 수 있으며, 이는 니코틴을 보유하거나 보유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제1 양상에 따라,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기 조립체;
표시자 조립체; 및
제어기를 포함하고, 제어기는:
가열기 조립체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게 하고;
가열기 조립체의 특징을 결정하고; 그리고
결정된 특징이 적어도 하나의 기준을 충족시키면,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가 되었음을 표시자 조립체가 표시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상에 따라,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기 조립체;
표시자 조립체;
가열기 조립체의 온도를 나타내는 출력을 제공하도록 배열된 온도 센서; 및
제어기를 포함하고, 제어기는:
가열기 조립체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게 하고;
온도 센서로부터 출력을 수신하고;
온도 센서로부터의 출력에 기반하여 가열기 조립체의 온도를 결정하고; 그리고
결정된 온도가 적어도 하나의 기준을 충족시키면,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가 되었음을 표시자 조립체가 표시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제2 양상에 따라,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디바이스의 가열기 조립체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게 하는 단계;
가열기 조립체의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특징이 적어도 하나의 기준을 충족시키면,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가 되었음을 디바이스의 표시자 조립체가 표시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상에 따라,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공되며, 방법은,
디바이스의 가열기 조립체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게 하는 단계;
온도 센서로부터의 출력에 기반하여 가열기 조립체의 온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온도가 적어도 하나의 기준을 충족시키면,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가 되었음을 디바이스의 표시자 조립체가 표시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3 양상에 따라,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가변 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한 인덕터 코일;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서셉터 ― 서셉터는 가변 자기장에 의한 관통에 의해 가열 가능함 ―;
표시자 조립체; 및
제어기를 포함하고, 제어기는:
인덕터 코일이 가변 자기장을 생성하는 것을 시작하게 하고; 그리고
인덕터 코일이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가열을 시작하게 한 후에,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했거나 또는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내에 동작을 완료할 것임을 표시자 조립체가 표시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단지 예로써 주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일 예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외부 커버가 제거된 상태로 도 1의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2의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5a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내의 가열 조립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b는 도 5a의 가열 조립체의 일부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디바이스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디바이스의 하우징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하우징이 없는 디바이스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디바이스 내에 배열된 LED들의 사시도를 묘사한다.
도 10은 복수의 애퍼처들을 포함하는 외부 부재를 도시한다.
도 11은 LED들 위에 배열된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을 도시한다.
도 12는 제어기, 가열기 조립체, 입력 인터페이스 및 표시자 조립체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3a-d는 복수의 LED들에 의해 조명되는 외부 부재를 도시한다.
도 14는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전형적으로, 에어로졸의 형태로 가열시 휘발되는 성분들을 제공하는 재료들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임의의 담배-보유 재료를 포함하며, 그리고 예컨대, 담배, 담배 유도체들, 팽화 담배, 재구성 담배 또는 담배 대체물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또한, 제품에 따라 니코틴을 보유할 수도 있고 보유하지 않을 수 있는 다른 비-담배 제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예컨대, 고체, 액체, 겔, 왁스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또한, 예컨대 재료들의 조합 또는 블렌드일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또한, "흡연 가능 재료"로서 알려져 있을 수 있다.
전형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태우거나(burning) 연소시키지(combusting) 않으면서 흡입될 수 있는 에어로졸을 형성하기 위해,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휘발시키기 위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러한 장치는 때때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비연소식 가열(heat-not-burn) 디바이스", "담배 가열 제품 디바이스" 또는 "담배 가열 디바이스" 등으로 설명된다. 유사하게, 또한, 니코틴을 보유할 수 있거나 보유하지 않을 수 있는 액체의 형태로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전형적으로 기화시키는 소위 e-시가레트 디바이스들이 존재한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장치 내에 삽입될 수 있는 로드, 카트리지 또는 카세트 등의 형태일 수 있거나 또는 로드, 카트리지 또는 카세트 등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 및 휘발시키기 위한 가열기가 장치의 "영구적" 부분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가열을 위한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는 물품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물품"은, 사용중에,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휘발시키도록 가열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거나 또는 보유하는 구성요소며, 선택적으로 사용중에 다른 구성요소들이다. 사용자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물품이 가열되기 전에 물품을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에 삽입할 수 있으며, 후속하여 사용자가 에어로졸을 흡입한다. 물품은, 예컨대, 물품을 수용하도록 크기가 정해진 디바이스의 가열 챔버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미리 결정된 또는 특정 크기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제1 양상은 제어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정의하고, 제어기는 (i) 가열기 조립체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게 하고, (ii) 가열기 조립체의 특징을 결정하고, 그리고 (iii) 결정된 특징이 적어도 하나의 기준을 충족시키면,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된 것을 표시자 조립체가 표시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가열기 조립체의 특징을 측정 또는 모니터링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특징에 기반하여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가 된 때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사용하기 시작할 수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이는, 에어로졸을 낭비하고 고객 만족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에어로졸을 흡입하기 위해 사용자가 필요 이상으로 대기하게 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특징은 가열기 조립체의 온도이다. 따라서, 제어기는 가열기 조립체의 온도를 결정하고, 온도가 적어도 하나의 기준을 충족시킬 때, 이에 대한 응답으로,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가 되었음을 표시자 조립체가 표시하게 할 수 있다. 가열기 조립체에 의해 가열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온도는 가열기 조립체의 온도에 의존할 수 있다.
온도는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가열기 조립체(이를테면, 가열기 조립체의 구성요소)의 온도를 나타내는 출력(이를테면, 신호)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는 출력에 기반하여 온도를 결정/계산하기 위해 온도 센서로부터 출력을 수신한다. 온도가 기준을 만족/충족시키면, 제어기는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가 되었다는 표시를 디바이스의 표시자 조립체가 제공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가열기 조립체의 온도를 측정하거나 모니터링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온도에 기반하여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가 되었을 때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가열기 조립체의 온도는 다른 수단에 의해 측정되거나 추론될 수 있다. 예컨대, 가열기 조립체는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서셉터는 상이한 퀴리 온도(Curie temperature)들을 갖는 둘 이상의 상이한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재료가 자신의 퀴리 온도에 도달할 때(재료가 가열될 때), 재료의 특성들이 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 변화는 디바이스 내의 회로에 의해 검출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는, 더 표준적인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온도를 직접 측정하지 않고서, 재료가 자신의 퀴리 온도에 도달했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특징이 적어도 하나의 기준을 충족시키면,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가 되었음을 표시자 조립체가 표시하게 하는 것"은 "특징이 적어도 하나의 기준을 충족시킨다는 것을 결정하는 것 및 특징이 기준을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가 되었음을 표시자 조립체가 표시하게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준은, 결정된 온도가 임계 온도 이상일 때 충족될 수 있다. 따라서, 온도가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에만,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가 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통지된다. 이것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최소 온도로 가열되었음을 보장할 수 있다. 이러한 임계 온도에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충분한 볼륨/농도의 에어로졸을 방출했을 수 있다. 이 임계치 아래에서는, 에어로졸이 흡입에 덜 적합할 수 있다.
제어기는, 결정된 온도가 적어도 하나의 기준을 충족시킨다고 결정된 후에, 디바이스가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내에 사용 준비가 되었음을 표시자 조립체가 표시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가열기 조립체가 자신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구동됨에 따라, 가열기 조립체의 온도가 임계치 위아래로 변동(fluctuate)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가 항상 임계치 이상일 수는 없다.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은 열이 에어로졸 생성 재료 내로 관통하는 시간을 허용한다. 그러면 나중에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가 되었음이 사용자에게 통지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은, 가열기가 임계 온도에 도달한 후 약 10초 이상, 약 15초 이상, 또는 약 20초 이상이다.
대안적인 예에서, 결정된 온도가 적어도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임계 온도 이상이었을 때, 적어도 하나의 기준이 충족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특정 길이의 시간 동안 이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었을 수 있다. 이것은 열이 에어로졸 생성 재료 내로 관통할 시간을 가졌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으며, 이것은 더 높은 부피/농도의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온도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지점에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여전히 비교적 낮은 온도에 있을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은, 가열기가 임계 온도에 도달한 후 약 10초 이상, 약 15초 이상, 또는 약 20초 이상일 수 있다.
가열기는, 제어기가 가열기 조립체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가열을 시작하게 한 후, 약 5초 미만, 또는 약 3초 미만, 또는 약 2초 미만 내에 임계 온도에 도달할 수 있다.
임계 온도는, 가열기 "설정점", 즉, 가열기가 가열 세션 중 적어도 일부 동안 유지되는 온도일 수 있다. 가열 세션 동안, 상이한 임계 온도들이 존재할 수 있다.
임계 온도는 약 240℃ 초과, 약 250℃ 초과, 약 260℃ 초과, 약 270℃ 초과, 약 280℃ 초과, 또는 약 290℃ 초과일 수 있다. 임계 온도는 약 240℃ 초과 및 약 290℃ 미만, 약 250℃ 초과 및 약 260℃ 미만, 또는 약 280℃ 초과 및 약 290℃ 미만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디바이스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하나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제1 모드는 제2 모드와 상이한 가열 특징들을 갖고, 제1 모드의 임계 온도는 제2 모드의 임계 온도와 상이하다. 예컨대, 임계 온도는 제2 모드에서 더 높을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은 가열 모드들 둘 모두에서 동일하다. 다른 예들에서, 제1 모드의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은 제2 모드의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과 상이하다. 예컨대, 임계 온도가 더 낮을 수 있기 때문에, 제1 모드의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이 더 길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2개 이상의 상이한 가열 모드들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일 예에서, 각각의 가열 모드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상이한 온도로 가열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상이한 시간 길이 동안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가열 모드는 상이한 특징들을 가질 수 있다.
예에서, 제1 모드에서 임계 온도는 약 240℃ 내지 260℃이고, 제2 모드에서 임계 온도는 약 270℃ 내지 약 290℃ 이다.
디바이스는 또한, 다른 비-가열 모드들에서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는 설정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가열 및 비-가열 모드들은 더 일반적으로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들로서 알려져 있을 수 있다.
제1 모드는 디폴트 모드(default mode)로 알려져 있을 수 있고, 제2 모드는 부스트 모드(boost mode)로 알려져 있을 수 있다. 제2 모드는, 예컨대, 제1 모드보다 더 높은 볼륨 또는 에어로졸의 농도를 생성할 수 있다.
가열기 조립체의 특징은 가열기 조립체에 의해 사용되는 에너지일 수 있다. 제어기는 가열기에 의해 사용된 에너지를 결정하거나 계산하고, 가열기 조립체에 의해 사용된 에너지가 임계 에너지 이상일 때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가 되었음을 표시자 조립체가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결정된 에너지 사용량이 임계치 이상일 때, 기준이 충족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기는, 가열기 조립체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가열을 시작한 이래로 가열기 조립체가 약 50J 초과, 또는 약 60J 초과, 또는 약 80J 초과, 또는 약 100J 초과, 또는 약 120J 초과를 사용했을 때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된 에너지를 측정함으로써, 디바이스에 온도 센서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고, 이것은 디바이스에 필요한 구성요소들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임계치는 가열 세션에서 사용된 총 에너지의 퍼센티지일 수 있다. 제어기는, 가열기 조립체가, 예컨대, 가열 세션에서 사용된 총 에너지의 약 2% 초과, 또는 약 3% 초과, 또는 약 5% 초과, 또는 약 7% 초과, 또는 약 10% 초과한 에너지를 사용했을 때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디바이스는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한다. 일 예에서, 입력 인터페이스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가열 모드들로부터 가열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열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입력 인터페이스와 상호 작용하거나 또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어기는 가열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검출할 수 있고,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제어기는 입력에 기반하여 선택된 가열 모드를 결정할 수 있고, 선택된 가열 모드에 따라 가열기 조립체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는 것을 시작하게 할 수 있다. 복수의 동작 모드들로부터 설정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동일한 입력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예들에서, 디바이스는 일단 가열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만 가열을 시작한다. 이는 디바이스가 보다 에너지 효율적일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기는 선택된 가열 모드를 결정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시에 가열기 조립체가 선택된 가열 모드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가열을 시작하게 한다. 예컨대, 이들은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사용하기 시작할 때까지 사용자가 대기해야 하는 시간을 감소시킨다. 다른 예들에서, 이들 단계들 사이에 작은 지연, 이를테면, 1초 미만, 0.5초 미만, 0.1초 미만, 0.01초 미만, 또는 0.001초 미만의 작은 지연이 있을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표시자 조립체는, 가열기 조립체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가열을 시작했다는 표시를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동작을 다시 시작하려고 시도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일 배열체에서, 표시자 조립체는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도록 구성된 시각적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예컨대, 시각적 구성요소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패턴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이동하는 LED, 복수의 LED들, 디스플레이, eInk 디스플레이, 또는 기계적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시각적 구성요소는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예에서, 표시자 조립체는 복수의 LED들을 포함하고, 조명된 LED들의 수는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가 되었을 때를 표시한다. 예컨대, 가열기 조립체가 처음으로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가열을 시작할 때, 제1 수의 LED들이 조명될 수 있고,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될 때, 제2 수의 LED들이 조명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수는 제1 수보다 더 크다. 제1 수의 LED들은 제로일 수 있다. 제2 수는 LED들 모두일 수 있다. 따라서, 표시자 조립체는,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되어 있는 상태에 얼마나 가까운지를 표시할 수 있다. LED들은 가열기 조립체가 가열될 때 순차적으로 조명될 수 있다. LED들은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기반하여 순차적으로 조명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4개의 LED들과 같은 복수의 LED들이 존재하고, LED들은 가열기 조립체의 온도에 기반하여(즉, 가열기 조립체가 가열될 때) 순차적으로 스위칭 온된다. 예컨대, 초기에 4개의 LED들 모두가 스위칭 오프될 수 있다. 온도가 제1 임계치를 넘어 증가할 때, 4개의 LED들 중 하나가 스위칭 온될 수 있다. 온도가 제2 임계치를 넘어 증가할 때, 다른 LED가 스위칭 온될 수 있다. 온도가 제3 임계치를 넘어 증가할 때, 다른 LED가 스위칭 온될 수 있고, 온도가 제4 임계치를 넘어 증가할 때, 4개의 LED들 모두가 스위칭 온될 수 있다. 제4 임계치는 위에서 설명된 임계치 온도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가 임계 온도와 동일한 지점에서, 모든 LED들이 조명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4개의 LED들과 같은 복수의 LED들이 존재하고, LED들은, 온도가 임계 온도 이상이라고 제어기가 결정한 후에 순차적으로 스위칭 온된다. 예컨대, 초기에 4개의 LED들 모두가 스위칭 오프될 수 있다. 4개의 LED들 중 하나는, 온도가 임계 온도 이상이라고 제어기가 결정한 후, 제1 임계 시간 기간이 지났을 때 스위칭 온될 수 있다. 제1 임계 시간 기간은 0초일 수 있다(즉, 온도가 임계 온도 이상이라고 제어기가 결정한 지점에서 LED가 스위칭 온될 수 있음). 제2 LED는, 온도가 임계 온도 이상이라고 제어기가 결정한 후, 제2 임계 시간 기간이 지났을 때 스위칭 온될 수 있다. 제3 LED는, 온도가 임계 온도 이상이라고 제어기가 결정한 후, 제3 임계 시간 기간이 지났을 때 스위칭 온될 수 있다. 최종 LED는, 온도가 임계 온도 이상이라고 제어기가 결정한 후, 제4 임계 시간 기간이 지났을 때 스위칭 온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표시자 조립체는,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해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햅틱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예컨대, 햅틱 구성요소는,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되었을 때 디바이스가 진동하게 하는 햅틱 모터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햅틱 구성요소는, 가열기 조립체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가열을 시작한 후에 제1 패턴에 따라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고, 그리고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될 때 제2 패턴에 따라 햅틱 피드백을 제공한다. 제1 패턴은,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될 때까지 지속될 수 있거나 또는 짧은 시간 후에 종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햅틱 구성요소는 또한, 사용자가 디바이스가 동작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도록 디바이스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가열을 시작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표시자 조립체는,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해 사운드를 방출하도록 구성된 가청 표시자를 포함한다. 가청 표시자는 트랜스듀서, 버저, 비퍼 등일 수 있다.
특정 예에서, 표시자 조립체는 햅틱 구성요소 및 시각적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햅틱 구성요소는, 가열기 조립체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가열을 시작했다는 햅틱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각적 구성요소는,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되었다는 시각적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표시자 조립체는,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할 때까지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표시자 조립체는,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할 때까지 남은 시간에 따라 상이한 표시들을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가열기 조립체가 전력 공급을 중단하는 시점(즉, 더 이상 능동적으로 가열하거나 온도를 유지하지 않음)에서, 또는 에어로졸 온도/볼륨이 수용 가능한 레벨 아래로 떨어지는 것으로 고려되는 시점에서 "동작을 완료"할 수 있는데, 이는 또한, 가열기 조립체의 전력 공급이 중단된 지점으로부터 수 초 내일 수 있다. 일 예에서, 디바이스는, 가열기 조립체의 온도가 제2 임계치 아래로 떨어지는 시점에서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표시자 조립체는 복수의 LED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조명된 LED들의 수는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할 때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한다. 예컨대, 디바이스가 동작하고 있을 때, 제1 수의 LED들이 조명될 수 있고,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할 때, 제2 수의 LED들이 조명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수는 제1 수보다 더 작다. 제2 수는 예컨대 제로일 수 있다. 제1 수는 LED들 모두일 수 있다. 따라서, LED들은, 디바이스가 완료에 더 가까워짐에 따라 "카운트 다운(count down)"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복수의 LED들, 이를테면, 4개의 LED들이 존재하고, LED들은 가열기 조립체의 온도에 기반하여(즉, 가열 세션의 끝에 접근할 때) 순차적으로 스위칭 오프된다. 예컨대, 4개의 모든 LED들은,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하기 전에 조명될 수 있다. 온도가 제1 양만큼 떨어질 때, 4개의 LED들 중 하나가 스위칭 오프될 수 있다. 온도가 제2 양만큼 떨어질 때, 다른 LED가 스위칭 오프될 수 있다. 온도가 제3 양만큼 떨어질 때, 다른 LED가 스위칭 오프될 수 있고, 온도가 제4 양만큼 아래로 떨어질 때, 모두 4개의 LED들이 스위칭 오프될 수 있다. 제1 양은 가열기 조립체의 동작 온도(즉, 임계 온도) 아래로 약 5-10℃ 사이일 수 있다. 제2 양은 가열기 조립체의 동작 온도(즉, 임계 온도) 아래로 약 10-20℃ 사이일 수 있다. 제3 양은 가열기 조립체의 동작 온도(즉, 임계 온도) 아래로 약 15-30℃ 사이일 수 있다. 제4 양은 가열기 조립체의 동작 온도(즉, 임계 온도) 아래로 약 20-40℃ 사이일 수 있다. 제4 양은 위에 설명된 제2 임계치와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햅틱 구성요소는 가열기 조립체의 온도에 기반하여 상이한 햅틱 피드백 패턴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햅틱 구성요소는 가열기 조립체의 감소하는 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남아있는 시간 기간을 나타낼 수 있음). 햅틱 피드백의 유형은 얼마나 많은 시간이 남아 있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추가의 예에서, 가청 표시자는 가열기 조립체의 온도에 기반하여 상이한 사운드들을 제공할 수 있다(이는 남은 시간을 나타낼 수 있음). 예컨대, 피치, 톤, 사운드 패턴 등은 시간 경과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어기는,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하였거나 곧 동작을 완료하려는 것을 표시자 조립체 표시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표시자 조립체는, 표시자 조립체가 동작을 완료한 순간 또는 동작을 완료하려고 하는 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할 때, 시각적 표시자는 더 이상 어떠한 시각적 표시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특정 예에서, 모든 LED들은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했거나 또는 동작을 완료하려고 할 때 스위칭 오프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디바이스로부터의 흡입을 중단해야 함을 표시한다.
제어기는, 결정된 온도가 제2 기준을 충족시킬 때,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했거나 동작을 완료하려고 하는 것을 표시자 조립체가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제2 기준은, 결정된 온도가 제2 임계 온도 이하일 때 충족될 수 있다. 제2 임계 온도는 임계 온도 미만일 수 있다. 예컨대, 제2 임계 온도는 위에 설명된 임계 온도 미만인 약 10℃ 내지 약 50℃일 수 있다.
특정 예에서, 4개의 LED들과 같은 복수의 LED들이 존재하며, LED들은 가열 세션의 종료가 가까워짐에 따라 순차적으로 스위칭 오프된다. 예컨대, 4개의 모든 LED들은,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하기 전에 20초 조명될 수 있다. 단지 15초만이 남아 있으면, 4개의 LED들 중 하나가 스위칭 오프될 수 있다. 단지 10초만이 남아 있으면, 다른 LED가 스위칭 오프될 수 있다. 단지 5초만이 남아 있으면, 다른 LED가 스위칭 오프될 수 있고, 0초가 남아 있으면, 4개의 LED들 모두가 스위칭 오프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햅틱 구성요소는 남아 있는 시간에 따라 상이한 햅틱 피드백 패턴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햅틱 구성요소는, 특정 시간 기간이 남아 있음을 표시하기 위해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햅틱 피드백의 유형은 얼마나 많은 시간이 남아 있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20초가 남아있을 때, 짧고 낮은 세기(intensity)의 햅틱 피드백이 있을 수 있고, 5초 또는 0초가 남아있을 때, 햅틱 피드백은 더 길고 더 강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에서, 가청 표시자(audible indicator)는 남아 있는 시간에 따라 상이한 사운드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피치, 톤, 사운드 패턴 등은 시간 경과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가열기 조립체는, 가열기 조립체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가열을 시작하게 한 후 약 30 초 미만 또는 약 20초 미만 또는 약 15초 미만 또는 약 10초 미만 내에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가 되었음을 표시자 조립체가 표시하도록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도 가열 조립체들과 같은 특정 가열 조립체들은 다른 유형들의 가열 조립체들과 비교할 때 감소된 시간 기간 내에 적합한 온도로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예컨대, 약 20초 미만의 기간 내에 에어로졸을 흡입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흡인할 수 있다. 특정 가열 조립체들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디바이스가 준비되었음을 디바이스가 표시할 때 충분한 양의 에어로졸을 방출할 것이다.
언급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하나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리고 디바이스가 제1 모드에서 동작될 때, 가열기 조립체의 구성요소는 제1 온도로 가열되어야 하고, 그리고 디바이스가 제2 모드에서 동작될 때, 가열기 조립체의 구성요소는 제2 온도로 가열되어야 한다. 제2 온도는 제1 온도보다 더 높을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온도가 적어도 하나의 기준을 충족시키는 시간은 가열 모드에 기반한다. 일부 예들에서, 제2 모드에서, 제어기는 가열기 조립체가 가열기 조립체의 가열 구성요소를 제1 모드에서보다 더 높은 온도로 가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제2 모드에서, 온도가 그 기준을 충족시키는 시간은, 디바이스가 제1 모드에서 동작하는 시간보다 더 적을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표시자 조립체는 선택된 가열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이러한 표시는,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되었음을 표시하는 표시와 동일한 표시이다. 따라서,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시의 유형은 선택된 가열 모드에 기반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선택된 가열 모드를 표시하는 표시는 가열 모드가 선택된 후에, 그러나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가 되기 전에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별개의 표시들이 발생할 수 있다. 제1 표시는 선택된 가열 모드를 표시할 수 있고, 제2 표시는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가 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실수로 잘못된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가열을 취소할 수 있게 한다. 특정 예에서, 제1 표시는 햅틱 구성요소에 의해 제공되고, 제2 표시는 시각적 구성요소에 의해 제공된다. 이는, 사용자가 가열 모드를 선택할 때 디바이스를 홀딩하고 있을 수 있지만, 디바이스가 디바이스를 사용할 준비가 되기를 기다리는 동안 디바이스를 표면 상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다. 시각적 표시는, 사용자가 더 이상 디바이스를 홀딩하고 있지 않으면 더 쉽게 볼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는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알려질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는 버튼, 터치 스크린, 다이얼, 노브,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예컨대, 블루투스)에 대한 무선 연결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복수의 동작 모드들로부터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동작 모드들은 하나 이상의 가열 모드들 및/또는 설정 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이 수신될 때, 입력 인터페이스는 입력을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신호들을 제어기에 전송할 수 있다. 신호(들)에 기반하여, 제어기는 선택된 가열 또는 설정 모드와 같은 선택된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입력 인터페이스는 버튼을 포함하고, 입력은 버튼이 해제되었음을 표시하는 신호를 포함한다. 제어기는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기 조립체는, 버튼이 해제된 후에만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가열을 시작한다.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가열기 조립체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은 사용자가 버튼을 해제할 때 개시된다. 버튼은 소프트웨어 버튼 또는 하드웨어 버튼일 수 있다. 신호는 단일 신호일 수 있거나, 또는 2개 이상의 신호들일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입력은 버튼이 눌려진 시간 길이를 표시하는 신호를 더 포함하며, 제어기는, (i) 버튼이 해제되는 것을 표시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것 그리고 (ii) 버튼이 눌려진 시간의 길이가 임계 시간 기간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초과인 것으로 결정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가열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버튼이 눌려진 시간의 길이를 표시하는 신호는 버튼이 해제되었음을 표시하는 동일한 신호의 일부일 수 있거나, 또는 별개의 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예들에서, 임계 시간 기간보다 크거나 같은 특정 길이의 시간 동안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만 가열기 조립체가 가열을 시작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임계 시간 기간은 3초 또는 5초이다. 임계 시간 기간 미만으로 버튼이 홀딩 및 해제되면, 가열기 조립체는 가열을 시작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실수로 버튼을 누를 경우 ― 이는 에너지를 낭비할 수 있음 ―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가, 버튼이 눌려진 시간의 길이가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결정하면, 제어기는 가열기 조립체가 가열을 시작하게 하지 않도록 결정한다.
제어기는, 버튼이 눌려진 시간의 길이에 기반하여 선택된 가열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디바이스는, 버튼이 눌려진 시간의 길이가 제1 임계 시간 기간보다 크거나 같고 제2 임계 시간 기간 미만인 경우, 제1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디바이스는, 버튼이 눌려진 시간의 길이가 제2 임계 시간 기간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제2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제1 임계 시간 기간은 3초일 수 있고, 제2 임계 시간 기간은 5초일 수 있다. 따라서, 단일 버튼을 사용하여, 사용자는 상이한 모드들을 선택할 수 있다. 다수의 모드들을 선택하기 위한 단일 인터페이스를 갖는 것은, 디바이스의 동작을 단순화하고 구성요소들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감소된 수의 구성요소들은 디바이스를 더 경량으로 만들 수 있고, 파손되거나 기능을 중단할 부품들이 더 적게 존재한다.
가열기 조립체는 유도성 가열기 조립체일 수 있다. 예컨대, 가열기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인덕터 코일들 및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가열기 조립체는 저항성 가열기 조립체일 수 있다. 예컨대, 에어로졸 발생 재료를 가열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이 저항 가열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가열기 조립체는 가변 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한 인덕터 코일 및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서셉터를 포함하며, 서셉터는 가변 자기장에 의한 침투에 의해 가열 가능하다. 제어기는, 인덕터 코일이 가변 자기장을 생성하게 함으로써, 가열기 조립체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서셉터는 가열되는 가열기 조립체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모드에서, 인덕터 코일은 서셉터를 제1 온도로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모드에서, 예컨대, 인덕터 코일은 서셉터를 제2 온도로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온도 센서는 서셉터의 온도를 측정한다. 온도 센서를 서셉터와 제1 인덕터 코일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온도 센서는 서셉터의 외부 표면에 위치된다. 온도 센서는 서미스터 또는 서모커플일 수 있다.
유도성 가열 시스템들은 저항성 가열 조립체들과 같은 다른 유형들의 가열 조립체들과 비교할 때 감소된 시간 기간 내에 적절한 온도로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일부 예들에서, 인덕터 코일은 제1 인덕터 코일이고, 디바이스는 제2 가변 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한 제2 인덕터 코일을 더 포함한다. 특정 배열체에서, 제1 인덕터 코일은 디바이스의 길이 방향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제2 인덕터 코일에 인접하고, 그리고 제어기는,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가 되었음을 표시자 조립체가 표시하게 한 후에 제2 인덕터 코일이 제2 가변 자기장을 생성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시, 에어로졸은 디바이스의 유동 경로를 따라 디바이스의 근위 단부를 향해 흡인되고, 제1 인덕터 코일은 제2 인덕터 코일보다 디바이스의 근위 단부에 더 가까이 배열된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는 2개의 인덕터 코일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인덕터 코일은 디바이스의 마우스 단부에 더 가깝다. 따라서, 제1 인덕터 코일은, 사용자의 입에 더 가까이에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재료를 가열한다. 초기에, 제1 인덕터 코일이 동작된다. 제2 인덕터 코일은 나중에 동작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기는, 제1 인덕터 코일이 제1 자기장을 생성하게 한 후에, 제2 인덕터 코일이 제3 미리 결정된 시간에 제2 자기장을 생성하게 할 수 있다. 제3 미리 결정된 시간은, 예컨대, 약 40초 내지 약 60초일 수 있다. 제3 미리 결정된 시간은, 디바이스가 동작하고 있는 모드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제1 인덕터 코일은 제1 자기장을 계속 생성하는 한편, 제2 인덕터 코일은 제2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제1 인덕터 코일은 제1 길이를 갖고, 제2 인덕터 코일은 제2 길이를 가지며, 제1 길이는 제2 길이보다 더 짧다. 더 짧은 길이는 더 낮은 볼륨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며, 이는 더 낮은 볼륨의 에어로졸을 생성하며, 이에 의해 "핫 퍼프"로 알려진 현상을 감소시킨다.
다른 양상에서, 위에서 설명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디바이스의 가열기 조립체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게 하는 단계, 가열기 조립체의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결정된 특징이 적어도 하나의 기준을 충족시키면,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가 되었음을 디바이스의 표시자 조립체가 표시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징은 가열기 조립체의 온도일 수 있다. 예컨대, 유도성 가열 시스템들에서, 이것은 서셉터의 온도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준은, 결정된 온도가 임계 온도 이상일 때 충족될 수 있다. 방법은, 결정된 온도가 적어도 하나의 기준을 충족시킨다고 결정된 후에, 디바이스가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내에 사용 준비가 되었음을 표시자 조립체가 표시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가열기 조립체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가열을 시작하게 하는 단계 후에, 약 30초 미만 내에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된 것을 표시자 조립체가 표시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가열기 조립체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가열을 시작하게 한 후에,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했거나 또는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내에 동작을 완료할 것임을 표시자 조립체가 표시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이 임의의 유형의 가열기 조립체와 관련하여 설명되지만, 이 방법은 또한 유도성 가열기 조립체를 갖는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다른 양상에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가변 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한 인덕터 코일,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서셉터 ― 서셉터는 가변 자기장에 의한 침투에 의해 가열 가능함 ―, 표시자 조립체, 및 제어기를 포함한다. 제어기는 인덕터 코일이 가변 자기장을 생성하게 하고, 그리고 인덕터 코일이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가열을 시작하게 한 후,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했거나 또는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내에 동작을 완료할 것임을 표시자 조립체가 표시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했거나 또는 동작을 완료하려고 할 때 통지받을 수 있다. 이는, 생성된 에어로졸이 더 이상 충분한 볼륨, 농도 또는 온도를 갖지 않을 때, 사용자가 계속해서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을 중단시킨다.
다른 양상에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인덕터 코일이 서셉터를 가열하기 위한 가변 자기장을 생성하게 하는 단계, 및 인덕터 코일 조립체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가열을 시작하게 한 후에,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했거나 또는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내에 동작을 완료할 것임을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표시자 조립체가 표시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이 유도성 가열기와 관련하여 설명되지만, 이 방법은 또한 비-유도성 가열기 조립체를 갖는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컨대, 인덕터 코일 대신에,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기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표시자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LED)들 및 하나 이상의 LED들 위에 위치결정된 외부 부재를 포함한다. 외부 부재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외부측으로부터 보이는 복수의 애퍼처들을 포함한다. (예컨대, 가시광의 형태의) 전자기 방사는 복수의 애퍼처들을 통과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볼 수 있다. 외부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디바이스의 외부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표시자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LED와 외부 부재 사이에 위치결정된 광-형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 형성 부재는, 특정 패턴 또는 설계를 발생시키기 위해 광 형성 부재를 통해 광을 안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광 파이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광 형성 부재는, LED들로부터의 광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불투명 구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광 형성 부재는, 광이 통과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투명 또는 반투명 구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광 형성 부재는 대안적으로, 광이 통과할 수 있게 하는 개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불투명 구역들 및 투명 또는 반투명 구역들을 포함하는 광 형성 부재는, 개구들을 갖는 광 형성 부재보다 더 견고할 수 있다. 반투명 구역들은 또한, 광을 부가적으로 확산/연화시킬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광 형성 부재는 2개 이상의 오버 몰딩된 구성요소들로 형성된다. 예컨대, 불투명 및 투명/반투명 구역들은 2개의 오버 몰딩된 구성요소들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광 형성 부재는 광 형성 부재의 주변부/둘레부/원주 둘레로 연장되는 불투명 구역을 포함한다. 이는, 광이 외부 부재의 외부측 둘레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불투명 구역은 외부 링일 수 있다.
일 예에서, 불투명 구역은 흑색 또는 진회색으로 착색된다.
일 예에서, 불투명 구역은 십자가 형상이다.
특정 예에서, 디바이스는 4개의 LED들을 포함하며, 4개의 LED들 각각은 광 형성 부재 아래에 위치되고, LED들로부터의 광이 4개의 사분면들로 분리되도록 인접한 불투명 구역들 사이에 위치결정된다. 불투명 구역들은, 하나의 사분면으로부터 인접한 사분면으로의 광 번짐(light bleed)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디바이스는, 비연소식 가열 디바이스(heat-not-burn device)로 또한 알려진 담배 가열 디바이스이다.
도 1은 에어로졸 생성 매체/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00)의 예를 도시한다. 대략적으로, 디바이스(100)는 에어로졸 생성 매체를 포함하는 교체가능 물품(110)을 가열하여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에 의해 흡입되는 에어로졸 또는 다른 흡입가능 매체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10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둘러싸고 수납하는 하우징(102)(외부 커버의 형태)을 포함한다. 디바이스(100)는 일 단부에 개구(104)를 가지며, 물품(110)이 가열 조립체에 의한 가열을 위해서 그 개구(104)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사용 중에, 물품(110)은 가열 조립체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고, 여기서 그 물품(110)은 가열기 조립체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이 예의 디바이스(100)는 덮개(108)를 포함하는 제1 단부 부재(106)를 포함하고, 그 덮개(108)는 물품(110)이 제자리에 없을 경우 개구(104)를 폐쇄하도록 제1 단부 부재(106)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도 1에서, 덮개(108)는 개방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캡(108)은 폐쇄 구성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덮개(108)가 화살표 "A"의 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또한, 가압될 때 디바이스(100)를 동작시키는 버튼 또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1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입력 인터페이스(112)를 동작시킴으로써 디바이스(100)를 켤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또한, 디바이스(100)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구성요소, 이를테면 소켓/포트(114)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소켓(114)은 충전 포트, 이를테면 USB 충전 포트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소켓(114)은 디바이스(100)와 다른 디바이스, 예컨대, 컴퓨팅 디바이스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외부 커버(102)가 제거되고 물품(110)이 존재하지 않는, 도 1의 디바이스(100)를 묘사한다. 디바이스(100)는 길이 방향 축(134)을 규정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 부재(106)는 디바이스(100)의 일 단부에 배열되고 제2 단부 부재(116)는 디바이스(100)의 반대쪽 단부에 배열된다. 제1 및 제2 단부 부재들(106, 116)은 함께 디바이스(100)의 단부 표면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규정한다. 예컨대, 제2 단부 부재(116)의 최하부 표면은 디바이스(100)의 최하부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규정한다. 외부 커버(102)의 에지들은 또한 단부 표면들의 일부를 규정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덮개(108)는 또한 디바이스(100)의 최상부 표면의 일부를 규정한다.
개구(104)에 가장 가까운 디바이스의 단부는 사용 중에 사용자의 입에 가장 가깝기 때문에 디바이스(100)의 근위 단부(또는 마우스 단부)로 알려질 수 있다. 사용 중에, 사용자는 물품(110)을 개구(104)에 삽입하고,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가열을 시작하기 위해 사용자 제어부(112)를 조작하고, 디바이스에서 발생된 에어로졸을 흡인한다. 이것은 에어로졸이 유동 경로를 따라 디바이스(100)의 근위 단부를 향해서 디바이스(100)를 통해 흐르게 한다.
개구(104)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디바이스의 다른 단부는 사용 중에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단부이기 때문에 디바이스(100)의 원위 단부로 알려질 수 있다. 사용자가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흡인함에 따라, 에어로졸은 디바이스(100)의 원위 단부로부터 멀어지게 흐른다.
디바이스(100)는 전원(118)을 추가로 포함한다. 전원(118)은, 예컨대, 배터리, 이를테면 충전식 배터리 또는 비-충전식 배터리일 수 있다. 적절한 배터리들의 예들은, 예컨대, 리튬 배터리(이를테면, 리튬-이온 배터리), 니켈 배터리(예컨대, 니켈-카드뮴 배터리), 및 알카라인 배터리를 포함한다. 배터리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가열을 위해서 제어기(도시 생략)의 제어 하에 필요할 때 전기 전력을 공급하도록 가열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이 예에서, 배터리는 배터리(118)를 제자리에 유지하는 중앙 지지부(120)에 연결된다. 중앙 지지부(120)는 또한 배터리 지지부 또는 배터리 캐리어로 공지되어 있을 수 있다.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모듈(122)을 더 포함한다. 전자 모듈(122)은, 예컨대, PCB(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PCB(122)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 이를테면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지원할 수 있다. PCB(122)는 또한 디바이스(100)의 다양한 전자 구성요소들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전기 트랙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전력이 디바이스(100) 전체에 걸쳐 분배될 수 있도록, 배터리 단자들이 PCB(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소켓(114)이 또한 전기 트랙들을 통해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디바이스(100)에서, 가열 조립체는 유도 가열 조립체이며, 유도 가열 프로세스를 통해 물품(110)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가열을 위한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유도 가열은 전자기 유도에 의해 전기 전도성 물체(이를테면, 서셉터)를 가열하는 프로세스이다. 유도 가열 조립체는 유도성 요소, 예컨대, 하나 이상의 인덕터 코일들, 및 그 유도성 요소를 통해 교류 전류와 같은 가변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도 요소의 가변 전류는 가변 자기장을 생성한다. 가변 자기장은 유도성 요소에 대해 적절하게 위치된 서셉터를 관통하고, 서셉터 내부에서 와전류들을 발생시킨다. 서셉터는 와전류들에 대한 전기 저항을 갖고, 그로 인해서 이 저항에 대한 와전류들의 흐름이 서셉터가 주울 가열(Joule heating)에 의해 가열되게 한다. 서셉터가 강자성 재료, 이를테면 철, 니켈 또는 코발트를 포함하는 경우들에서, 열은 또한 서셉터에서의 자기 이력 손실들에 의해서, 즉, 가변 자기장을 갖는 자기 쌍극자들의 정렬의 결과로 자기 재료에서의 자기 쌍극자들의 다양한 배향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다. 유도 가열에서는, 예컨대 전도에 의한 가열에 비해, 서셉터 내부에서 열이 발생되어 급속 가열이 허용된다. 더욱이, 유도 가열기와 서셉터 간의 어떤 물리적 접촉도 필요하지 않아 구성 및 응용의 개선된 자유가 허용된다.
예시적인 디바이스(100)의 유도 가열 조립체는 서셉터 배열체(132)(본원에서 "서셉터"로 지칭됨), 제1 인덕터 코일(124) 및 제2 인덕터 코일(126)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인덕터 코일들(124, 126)은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된다. 이 예에서, 제1 및 제2 인덕터 코일들(124, 126)은 나선형 인덕터 코일들(124, 126)을 제공하기 위해 나선형 형태로 권취되는 리츠 와이어/케이블로 제조된다. 리츠 와이어는, 개별적으로 절연되고 단일 와이어를 형성하기 위해 함께 꼬여지는 복수의 개별 와이어를 포함한다. 리츠 와이어들은 전도체에서의 표피 효과 손실들을 감소시키도록 설계된다. 디바이스(100)의 예에서, 제1 및 제2 인덕터 코일들(124, 126)은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구리 리츠 와이어로 제조된다. 다른 예들에서, 리츠 와이어는 원형과 같은 다른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인덕터 코일(124)은 서셉터(132)의 제1 섹션을 가열하기 위한 제1 가변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제2 인덕터 코일(126)은 서셉터(132)의 제2 섹션을 가열하기 위한 제2 가변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 예에서, 제1 인덕터 코일(124)은 디바이스(100)의 길이 방향 축(134)을 따른 방향으로 제2 인덕터 코일(126)에 인접한다(즉, 제1 및 제2 인덕터 코일들(124, 126)은 겹치지 않음). 서셉터 배열체(132)는 단일 서셉터, 또는 2개 이상의 별개의 서셉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인덕터 코일들(124, 126)의 단부들(130)은 PCB(12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인덕터 코일들(124, 126)은, 일부 예들에서, 서로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컨대, 제1 인덕터 코일(124)은 제2 인덕터 코일(126)과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일 예에서, 제1 인덕터 코일(124)은 제2 인덕터 코일(126)과 상이한 인덕턴스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서, 제1 및 제2 인덕터 코일들(124, 126)은, 제1 인덕터 코일(124)이 제2 인덕터 코일(126)보다 서셉터(132)의 더 작은 섹션에 권취되도록, 상이한 길이들을 갖는다. 따라서, 제1 인덕터 코일(124)은 제2 인덕터 코일(126)과 상이한 수의 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개별 턴들 간의 간격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가정함). 또 다른 예에서, 제1 인덕터 코일(124)은 제2 인덕터 코일(126)과 상이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 및 제2 인덕터 코일들(124, 126)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제1 인덕터 코일(124) 및 제2 인덕터 코일(126)은 반대 방향들로 권취된다. 이것은, 인덕터 코일들이 상이한 시간들에 활성화될 때, 유용할 수 있다. 예컨대, 초기에는, 제1 인덕터 코일(124)이 물품(110)의 제1 섹션을 가열하도록 동작하고 있을 수 있고, 나중에는, 제2 인덕터 코일(126)이 물품(110)의 제2 섹션을 가열하도록 동작하고 있을 수 있다. 코일을 반대 방향들로 권취하는 것은, 특정 유형의 제어 회로와 함께 사용될 때 비활성 코일에서 유도되는 전류를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도 2에서, 제1 인덕터 코일(124)은 오른손 나선이고 제2 인덕터 코일(126)은 왼손 나선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인덕터 코일들(124, 126)은 동일한 방향으로 권취될 수 있거나, 제1 인덕터 코일(124)은 왼손 나선일 수 있고 제2 인덕터 코일(126)은 오른손 나선일 수 있다.
이 예의 서셉터(132)는 중공이고,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수용되는 리셉터클을 규정한다. 예컨대, 물품(110)은 서셉터(132)에 삽입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서셉터(120)는 원형 단면을 갖는 관형이다.
도 2의 디바이스(100)는, 일반적으로 관형이고 서셉터(13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는 절연 부재(128)를 더 포함한다. 절연 부재(128)는 임의의 절연 재료, 이를테면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특정 예에서, 절연 부재는 PEEK(polyether ether ketone)로 구성된다. 절연 부재(128)는 서셉터(132)에서 발생된 열로부터 디바이스(10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절연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절연 부재(128)는 또한 제1 및 제2 인덕터 코일들(124, 126)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인덕터 코일들(124, 126)은 절연 부재(128) 둘레에 위치결정되고, 절연 부재(128)의 방사상 외부 표면과 접촉한다. 일부 예들에서, 절연 부재(128)는 제1 및 제2 인덕터 코일들(124, 126)과 접하지 않는다. 예컨대, 절연 부재(128)의 외부 표면과 제1 및 제2 인덕터 코일들(124, 126)의 내부 표면 간에 작은 갭이 존재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서셉터(132), 절연 부재(128), 및 제1 및 제2 인덕터 코일들(124, 126)은 서셉터(132)의 중앙 길이 방향 축을 동축으로 한다.
도 3은 부분 단면으로 디바이스(10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외부 커버(102)가 이 예에서 존재한다. 제1 및 제2 인덕터 코일들(124, 126)의 직사각형 단면 형상이 더 명확하게 보인다.
디바이스(100)는 서셉터(132)를 제자리에 유지하기 위해 서셉터(132)의 일 단부와 맞물리는 지지부(136)를 더 포함한다. 지지부(136)는 제2 단부 부재(116)에 연결된다.
디바이스는 또한 입력 인터페이스(112) 내에 연관된 제2 인쇄 회로 기판(138)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100)의 원위 단부를 향해 배열된, 제2 덮개/캡(140) 및 스프링(142)을 더 포함한다. 스프링(142)은 서셉터(132)로의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서 제2 덮개(140)가 개방되는 것을 허용한다. 사용자는 서셉터(132) 및/또는 지지부(136)를 세정하기 위해 제2 덮개(140)를 개방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그 디바이스의 개구(104)를 향해 서셉터(132)의 근위 단부로부터 멀리 연장하는 확장 챔버(144)를 더 포함한다. 디바이스(100) 내에 수용될 때 물품(110)에 접하여 이를 홀딩하기 위한 유지 클립(146)이 확장 챔버(144)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다. 확장 챔버(144)는 단부 부재(106)에 연결된다.
도 4는 외부 커버(102)가 생략된, 도 1의 디바이스(100)의 분해도이다.
도 5a는 도 1의 디바이스(100)의 일부의 단면도를 묘사한다. 도 5b는 도 5a의 영역의 확대도를 묘사한다. 도 5a 및 5b는 서셉터(132) 내에 수용된 물품(110)을 도시하고, 여기서 물품(110)은 물품(110)의 외부 표면이 서셉터(132)의 내부 표면에 접하도록 치수결정된다. 이것은 가열이 가장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보장한다. 이 예의 물품(110)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110a)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110a)는 서셉터(132) 내에 위치결정된다. 물품(110)은 또한 필터, 포장 재료들 및/또는 냉각 구조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b는, 서셉터(132)의 외부 표면이 서셉터(132)의 길이 방향 축(158)에 수직인 방향으로 측정되는 거리(150)만큼 인덕터 코일들(124, 126)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것을 도시한다. 일 특정 예에서, 거리(150)는 약 3mm 내지 4mm, 약 3mm 내지 3.5mm, 또는 약 3.25mm이다.
도 5b는, 절연 부재(128)의 외부 표면이 서셉터(132)의 길이 방향 축(158)에 수직인 방향으로 측정되는 거리(152)만큼 인덕터 코일들(124, 126)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것을 추가로 도시한다. 일 특정 예에서, 거리(152)는 약 0.05mm이다. 다른 예에서, 거리(152)는 실질적으로 0mm이고, 그에 따라 인덕터 코일들(124, 126)이 절연 부재(128)와 접하고 접촉하게 된다.
일 예에서, 서셉터(132)는 약 0.025mm 내지 1mm, 또는 약 0.05mm의 벽 두께(154)를 갖는다.
일 예에서, 서셉터(132)는 약 40mm 내지 60mm, 약 40mm 내지 45mm, 또는 약 44.5mm의 길이를 갖는다.
일 예에서, 절연 부재(128)는 약 0.25mm 내지 2mm, 약 0.25mm 내지 1mm, 또는 약 0.5mm의 벽 두께(156)를 갖는다.
도 6은 디바이스(100)의 정면도를 묘사한다. 위에서 간략하게 언급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입력 인터페이스(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사용자는 디바이스(100)를 동작시키기 위해 입력 인터페이스(112)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표시자 조립체는 입력 인터페이스(112)에 근접하게 배열될 수 있으며, 표시자 조립체는, 디바이스가 사용될 준비가 될 때 그리고/또는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하였을 때와 같이, 사용자에게 하나 이상의 이벤트들의 발생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자 조립체는 또한, 디바이스(100)가 동작하고 있는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표시자 조립체 위에(즉, 전방에) 위치결정된 외부 부재(202)를 묘사한다. 다른 예들에서, 표시자 조립체는 디바이스의 다른 곳에 위치결정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예들에서, 표시자 조립체는 시각적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시각적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시각적 구성요소는 사용자에게 특정 이벤트들을 표시하기 위해 광과 같은 전자기 방사를 방출하는 복수의 LED들을 포함한다. 표시자 조립체가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햅틱 구성요소 또는 가청 표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디바이스(100)에서, 표시자 조립체는 시각적 구성요소 및 햅틱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외부 부재(202)는 입력 인터페이스(112)의 최외측 구성요소를 형성한다. 사용자는 디바이스(100)와 상호 작용하기 위해 외부 부재(202)를 누를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외부 부재(202)는 복수의 LED들로부터의 광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애퍼처들(204)을 포함한다.
도 7은 디바이스(100)의 하우징(102)(외부 커버로 또한 공지되어 있음)을 묘사한다. 하우징(102)은 개구(206)의 범위를 정한다. 외부 부재(도 7에 도시되지 않음)는 개구(206)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부재는 하우징(102)의 외부 표면과 동일 높이에 배열될 수 있거나, 또는 하우징(102)의 외부 표면 위 또는 아래로 상승될 수 있다.
도 8은 제자리에 하우징(102)이 없는 디바이스(100)를 묘사한다. 이 예에서, 외부 부재(202)는 접착제 층(208)을 통해 광-형성 부재(210)에 접착된다. 접착제 층(208) 내의 접착제는 외부 부재(202)의 내부 표면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덮을 수 있다. 밀봉 부재(212)는 광-형성 부재(210) 주위에서 연장되어 있다.
일부 예들에서, 외부 부재(202), 접착제 층(208), 광-형성 부재(210), 및 밀봉 부재(212)는 디바이스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도 9는 외부 부재(202), 광-형성 부재(210) 및 밀봉 부재(212)가 제거된 디바이스(100)를 묘사한다. 디바이스(100)는 4개의 LED들(214)을 포함하는 시각적 구성요소를 포함하지만, 다른 예들에서는 하나 이상의 LED들(214)과 같은 다른 수의 LED들이 존재할 수 있다. LED들(214)은, 광이 LED들(214)로부터 외부 부재(202)에 형성된 복수의 애퍼처들(204)을 통해 이동하도록, 외부 부재(202) 아래에 위치결정된다. 따라서, 광은 또한, 광-형성 부재(210) 및 접착제 층(208)을 통과한다. LED들(214)과 외부 부재(202) 사이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구성요소들이 또한 존재할 수 있다.
도 9의 예에서, LED들(214)은 사용자로부터의 상호 작용들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입력 인터페이스(112) 주위에 배열된다. 예컨대, 사용자는 외부 부재(202)를 누르거나 또는 달리 동작시킬 수 있으며, 외부 부재는 결국 입력 인터페이스(112)에 의해 검출된다. 입력 인터페이스(112)는 사용자에 의해 외부 부재(202)에 힘이 가해질 때 동작되는 버튼 또는 스위치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입력 인터페이스(112) 및 외부 부재(202)는, 사용자가 외부 부재(202)를 터치할 때를 검출하는 용량성 센서의 부품일 수 있다.
도 10은 외부 부재(202)의 정면도를 묘사한다. 언급된 바와 같이, 외부 부재(202)는 복수의 애퍼처들(204)을 규정한다. 이 예에서, 애퍼처들(204)은 각각, 길이 및 폭을 갖는 슬롯들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애퍼처들(204)은 외부 부재(202)의 주변부/둘레부/외부 원주부를 향해 배열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퍼처들(204)은 외부 부재(202)의 중심보다 외부 부재(202)의 주변부에 더 가깝게 배열된다. 이는, 사용자가 외부 부재(202)를 누르고 있는 경우에도, 애퍼처들(204)이 노출되는 것(그리고 이에 따라 광이 보여지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 부재(202)의 에지보다는 외부 부재(202)의 중심을 누르고/유지할 가능성이 더 높을 수 있다.
도 11은 디바이스(100)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언급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LED들(214)과 외부 부재(202) 사이에 배열된 접착제 층(208)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접착제 층은 접착제가 애퍼처들(204)을 커버하도록 외부 부재(202)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이다. 이어서, 광은 애퍼처들(204)을 통과하기 전에 접착제 층(208)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 층(208)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할 수 있다. 반투명 접착제 층(208)은 "핫 스폿들"이 회피되도록 LED들로부터 광을 확산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핫 스폿은, 광이 주변 구역들보다 더 높은 세기를 가지는 구역이다.
일부 예들에서, 외부 부재(202)는 접착제 층(208)을 통해 광-형성 부재(210)에 부착된다. 도시된 예에서, 광 형성-부재(210)는 (함께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불투명 구역들(230) 및 (또한 함께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반투명 또는 투명 구역들(232)을 포함한다. 반투명 또는 투명 구역들(232)은 광-파이프들로 공지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반투명 또는 투명 구역들은 광-형성 부재(210)를 통해 광을 안내하기 때문이다. LED들(214)로부터의 광은 반투명 또는 투명 구역들(232)을 통과할 수 있지만, 불투명 구역들(230)에 의해 차단된다. 따라서, 불투명 구역들(230)은 애퍼처들(204)의 서브세트(즉, 불투명 구역들(230) 위에 배열된 것들)를 통과하는 광의 세기를 감소시킨다. 불투명 구역들(230) 및 반투명 또는 투명 구역들(232)은 단일 모놀리식(monolithic) 구성요소의 구역들일 수 있지만, 하나 또는 둘 모두의 구역들은 구역에 그의 특정 광학 특성을 부여하도록 처리되었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불투명 구역들(230) 및 반투명 또는 투명 구역들(232)은 오버 몰딩되는 별개의 구성요소들이다.
이 예에서, 광-형성 부재는 광-형성 부재(210)의 주변부/둘레부/원주부 주위에서 연장되는 불투명 구역(238)을 포함한다. 이는 광이 외부 부재(202)의 외측 주위에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불투명 구역은, 예컨대, 외부 링일 수 있다.
본 예에서, 디바이스(100)는 4개의 LED들(214)을 포함하고, LED들(214) 각각은 LED들로부터의 광이 4개의 사분면들로 분리되도록 인접한 불투명 구역들(230) 사이에 위치결정된다. 다시 말해서, LED들(214)은 투명 또는 반투명 구역들 아래에 배열될 수 있다. 광을 상이한 구역들로 분리함으로써, 상이한 표시들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조명된 사분면들의 수는 사용자에게 특정 이벤트들을 특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이 애퍼처들 중 일부를 통과하지 않을 수 있도록, 광은 불투명 구역들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불투명 구역들(230) 사이의 구역들은 개구들이며, 그리고 이에 따라 반투명 또는 투명 재료를 포함하지 않는다.
개스킷과 같은 밀봉 부재(212)는 광-형성 부재(210)와 LED들(214) 사이에 배열된다. 밀봉 부재(212)는 외부 부재(202) 및 광 형성 부재(210)의 외경들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다. 일부 예들에서, 밀봉 부재(210)는 액체 및 먼지가 디바이스(100)에 진입하는 것을 중지시키기 위해 하우징(102)의 내부 표면에 접한다.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된 것을 표시하는 것
도 12는 제어기(302)(이를테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가열기 조립체(304), 온도 센서(308), 표시자 조립체(306) 및 입력 인터페이스(112)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묘사한다. 일부 예들에서, 입력 인터페이스(112)가 생략될 수 있다. 제어기(302)는 하나 이상의 유선 또는 무선 연결들(파선들로 도시됨)을 통해 가열기 조립체(304), 온도 센서(308), 표시자 조립체(306) 및 입력 인터페이스(112)에 통신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제어기(302)는, 예컨대, PCB(122)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어기(302)는, 예컨대, 가열기 조립체(304)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게 하는, 디바이스(100)의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어기(302)는 입력 인터페이스(112)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고, 그리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가열기 조립체(304) 및 표시자 조립체(306)를 제어한다. 사용자는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해 입력 인터페이스(112)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예들에서, 가열 모드는 입력 인터페이스(112)를 통해 선택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표시자 조립체(306)는 하나 이상의 이벤트들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표시자 조립체(306)가 표시를 제공하게 하기 위해, 제어기(302)는 표시자 조립체(306)에 신호 또는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1의 예들에서, 표시자 조립체(306)는 복수의 LED들(214)을 포함하는 시각적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다음의 논의가 다른 유형들의 표시자 조립체(306)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온도 센서(308)는 가열기 조립체(304)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배열된다. 예컨대, 온도 센서(308)는 서셉터(132)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 센서(308)는, 가열기 조립체(304)의 온도를 나타내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신호들 형태의)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출력은 제어기(302)에 의해 수신될 수 있고, 제어기는 출력에 기반하여 온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출력은 온도를 나타낸다. 다른 예들에서, 출력은 온도를 계산하거나 결정하기 위해 제어기에 의해 사용된다. 따라서, 제어기(302)는 가열기 조립체(304)의 구성요소의 온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어기(302)는 온도에 기반하여 가열기 조립체(304)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기(302)는 가열기 조립체(304)가 임계 온도에서 또는 임계 온도에 가깝게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온도가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기(302)는 온도를 감소시키도록 가열기 조립체(304)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기(302)는 가열기 조립체(304)가 가열되는 것을 일시적으로 중지할 수 있거나, 가열기 조립체(304)의 전력 출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온도가 임계 온도 미만이면, 제어기(302)는 온도를 증가시키도록 가열기 조립체(304)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기(302)는 가열기 조립체가 가열을 시작하거나 계속하게 할 수 있거나, 가열기 조립체(304)의 전력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의 예들에서, 가열기 조립체(304)는 서셉터를 가열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자기장들을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인덕터 코일들을 포함한다. 제어기(302)는, 디바이스(100)의 인덕터 코일(들)이 가변 자기장을 생성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기(302)는 하나 이상의 신호들을 인덕터 코일(들)에 전송할 수 있다. 일단 인덕터 코일(들)이 변화하는 자기장을 생성하기 시작하면, 서셉터(132)가 가열되고, 이는 결국, 서셉터(132) 근처에 위치된 임의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한다. 따라서 온도 센서(308)는 서셉터(132)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이 또한 다른 유형들의 가열기 조립체(304)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어기(302)는 하나 이상의 인덕터 코일들이 서셉터를 약 240℃ 내지 약 290℃의 임계 온도로 가열하게 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디바이스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하나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며, 제1 및 제2 모드는 가열 모드들이다. 일 예에서, 디바이스가 제1 (디폴트)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을 때, 제어기(302)는 제1 인덕터 코일(124)이 서셉터(132)의 제1 영역을 약 240℃ 내지 약 260℃, 예컨대 약 250℃의 임계 온도로 가열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디바이스는 제2 (부스트)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을 수 있으며, 그리고, 제어기(302)는 제1 인덕터 코일(124)이 서셉터(132)의 제1 구역을 약 270℃ 내지 약 290℃로, 예컨대 약 280℃의 임계 온도로 가열하게 할 수 있다.
제2 인덕터 코일(126)은 가열 세션 동안 나중에 제2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인덕터 코일(126)은, 제1 인덕터 코일(124)이 제1 자기장을 생성한 후 약 60초 내지 약 130초 사이에 제2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인덕터 코일은 서셉터(132)의 제2 구역을 가열하도록 배열된다. 일부 예들에서, 인덕터 코일들(124, 126) 둘 모두는 동시에 동작한다.
제1 인덕터 코일(124)이 서셉터(132)를 가열하기 시작한 후, 제어기(302)는, 온도 센서(308)로부터의 출력에 기반하여 가열기 조립체(304)의 온도를 주기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302)는 서셉터(132)의 온도를 결정하고, 온도가 적어도 하나의 기준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기(302)가 온도가 기준을 충족시킨다고 결정하면, 제어기(302)는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가 되었음을 표시자 조립체(306)가 표시하게 한다. 예컨대, 제어기(302)는 특정 표시를 제공하기 위해 표시자 조립체(306)에 신호 또는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예에서, 결정된 온도가 임계 온도 이상일 때, 기준이 충족된다.
다른 예에서, 결정된 온도가 임계 온도 이상일 때 기준이 충족되지만, 제어기(302)는, 결정된 온도가 임계 온도 이상인 것으로 결정된 것 이래로,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이 지났을 때까지,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가 되었음을 표시자 조립체(306)가 표시하게 하지 않는다. 이것은, 일부 예들에서, 서셉터(132)의 온도가 임계 온도 위와 아래에서 변동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할 수 있다.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가 되었음을 표시자 조립체(306)가 표시하게 하는 데 있어서 지연은, 열이 에어로졸 생성 재료 내로 관통할 시간을 허용한다. 예컨대, 서셉터(132)가 임계 온도에 가까울 수 있지만, 적절한 볼륨의 에어로졸이 방출되는 데 적어도 10초가 걸릴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완전히 가열되는 데 최대 약 60초가 걸릴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결정된 온도가 적어도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임계 온도 이상이었을 때, 기준이 충족된다. 다시, 이것은 열이 에어로졸 생성 재료 내로 관통할 시간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열기 조립체(304)는, 디바이스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가열을 시작한 후 약 30초 이내에 사용 준비가 되도록 구성된다.
일 예에서, LED들(214)은, 디바이스(100)가 사용할 준비가 된 때를 나타내기 위해 광을 방출한다. 예컨대, LED들(214) 중 하나 또는 전부는, 디바이스(100)가 사용될 준비가 될 때(즉, 기준이 충족된 후에) 조명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조명되는 LED들(214)의 수는 디바이스가 사용될 준비가 된 때를 표시한다. 예컨대, 모든 LED들(214)이 조명될 때, 디바이스는 사용될 준비가 될 수 있다.
도 13a-e는 4개의 LED들(214) 위에 위치결정된 외부 부재(202)를 묘사한다. 이러한 예에서, LED들(214)은 가열기 조립체(304)가 가열될 때 순차적으로 조명될 수 있다. 예컨대, 조명된 LED들의 수는,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되어 있는 상태에 얼마나 가까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모두 4개의 LED들이 조명될 때, 디바이스는 사용 준비가 되었다.
도 13a는, LED들(214) 중 어떤 것도 조명되지 않는 시간의 순간을 묘사한다. 이러한 시간의 순간에서, 기준이 충족되지 않았고, 제어기(302)는 인덕터 코일(124)이 가변 자기장의 생성을 시작하게 할 수 있거나 시작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도 13b는 도 13a에 도시된 것보다 나중의 시간 기간에 외부 부재(202)를 묘사한다. 이때, LED들 중 하나가 조명되었고, 그리고 광은 외부 부재(202)의 하나의 사분면을 조명하기 위해 애퍼처들(204)의 서브세트를 통과한다. LED는, 서셉터(132)의 온도가 제1 임계치를 초과했을 때 조명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는, 가열기 조립체가 약 250℃의 임계 온도로 유지되어야 하는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을 수 있다. 제1 임계치는 임계 온도 미만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임계치는 220℃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가열기 조립체는 이미 임계 온도에 도달하였을 수 있고, 임계 온도에 도달한 이래로 제1 임계 시간 기간이 지났다. 가열기 조립체는 여전히 임계 온도 이상일 수 있거나, 적어도 한번 임계 온도 아래로 떨어졌을 수 있다. 제1 임계 시간 기간은, 예컨대, 온도가 임계 온도에 도달하였다고 제어기가 결정한 후 5초일 수 있다.
도 13c는 도 13b에 도시된 것보다 나중의 시간 기간에 외부 부재(202)를 묘사한다. 이때, LED들 중 2개가 조명되었고, 그리고 광은 외부 부재(202)의 2개의 사분면들을 조명하기 위해 애퍼처들(204)의 서브세트를 통과한다. 제2 LED는, 서셉터(132)의 온도가 제2 임계치를 초과했을 때 조명될 수 있다. 제2 임계치는 제1 임계치보다 더 크거나 임계 온도 미만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임계치는 230℃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가열기 조립체는 이미 임계 온도에 도달하였을 수 있고, 임계 온도에 도달한 이래로 제2 임계 시간 기간이 지났다. 가열기 조립체는 여전히 임계 온도 이상일 수 있거나, 적어도 한번 임계 온도 아래로 떨어졌을 수 있다. 제2 임계 시간 기간은, 예컨대, 온도가 임계 온도에 도달하였다고 제어기가 결정한 후 10초일 수 있다.
도 13d는 도 13c에 도시된 것보다 나중의 시간 기간에 외부 부재(202)를 묘사한다. 이때, 3개의 LED들이 조명되었고, 광은 외부 부재(202)의 3개의 사분면들을 조명하기 위해 애퍼처들(204)의 서브세트를 통과한다. 제3 LED는, 서셉터(132)의 온도가 제3 임계치를 초과했을 때 조명될 수 있다. 제3 임계치는 제2 임계치보다 더 크거나 임계 온도 미만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임계치는 240℃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가열기 조립체는 이미 임계 온도에 도달하였을 수 있고, 임계 온도에 도달한 이래로 제3 임계 시간 기간이 지났다. 가열기 조립체는 여전히 임계 온도 이상일 수 있거나, 적어도 한번 임계 온도 아래로 떨어졌을 수 있다. 제3 임계 시간 기간은, 예컨대, 온도가 임계 온도에 도달하였다고 제어기가 결정한 후 15초일 수 있다.
도 13e는 도 13d에 도시된 것보다 나중의 시간 기간에 외부 부재(202)를 묘사한다. 이때, 4개의 LED들 모두가 조명되었고, 광은 외부 부재(202)의 4개의 사분면들을 조명하기 위해 애퍼처들(204)을 통과한다. 제4 LED는, 서셉터(132)의 온도가 제4 임계치를 초과했을 때 조명될 수 있다. 제4 임계치는 임계 온도와 동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가열기 조립체는 이미 임계 온도에 도달하였을 수 있고, 임계 온도에 도달한 이래로 제4 임계 시간 기간이 지났다. 가열기 조립체는 여전히 임계 온도 이상일 수 있거나, 적어도 한번 임계 온도 아래로 떨어졌을 수 있다. 제4 임계 시간 기간은, 예컨대, 온도가 임계 온도에 도달하였다고 제어기가 결정한 후 20초일 수 있다. 이때, 기준이 충족되고, 디바이스는 사용 준비가 되었다. 모두 4개의 LED들을 조명함으로써, 표시자 조립체(306)는,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가 되었음을 표시하였다.
다른 예에서, 제1 임계 시간 기간은 약 3초 내지 5초일 수 있으며, 제2 임계 시간 기간은 약 6초 내지 10초일 수 있으며, 제3 임계 시간 기간은 약 9초 내지 15초일 수 있으며, 그리고 제4 임계 시간 기간은 약 12초 내지 20초일 수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 임계 시간 기간은, 디바이스가 동작하고 있는 모드에 의존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가 제1 디폴트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경우, 제1, 제2, 제3, 및 제4 임계 기간들은, 디바이스가 제2 부스트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을 때에 대한 개개의 제1, 제2, 제3, 및 제4 임계 기간들보다 더 길 수 있다. 이는, 제2 부스트 모드에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더 빨리 가열되기 때문일 수 있다.
특정 예에서, 표시자 조립체(306)는 햅틱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햅틱 구성요소는, 디바이스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가열을 시작했음을 표시하기 위해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인덕터 코일이 자기장을 생성하기 시작할 시점에서 LED들 중 어떤 것도 조명되지 않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햅틱 피드백은 디바이스가 동작하고 있는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표시자 조립체(306)는 햅틱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햅틱 구성요소는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된 것을 표시하기 위해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임의의 다른 유형들의 표시들 대신에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들의 표시들에 더하여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자 조립체(306)는,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시각적 표시 및 햅틱 피드백 둘 모두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표시자 조립체(306)는 가청 표시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청 표시자는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운드를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임의의 다른 유형들의 표시들 대신에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들의 표시들에 더하여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자 조립체(306)는,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시각적 표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운드를 방출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어기(302)는 입력 인터페이스(112)로부터의 입력을 검출하고, 그리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된 가열 모드를 결정하고, 그리고 인덕터 코일(124)이 가변 자기장을 생성하게 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입력 인터페이스(112)는 단일 버튼을 포함하며, 그리고 입력 인터페이스(112)는, 사용자가 입력 인터페이스(112)를 동작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제어기(302)에 신호를 전송한다. 특정 예에서, 신호는 사용자가 버튼을 해제한 것을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버튼을 누르고 그리고 유지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제어기(302)는 선택된 가열 모드를 결정하고, 그리고 버튼이 해제된 후에 인덕터 코일(124)이 가변 자기장을 생성하게 한다.
특정 예에서, 사용자는 상이한 시간 길이들 동안 버튼을 누르고 그리고 유지할 수 있으며, 그리고 디바이스는 시간 길이에 따라 특정 모드에서 동작된다. 따라서, 입력 인터페이스(112)로부터 수신된 입력은 또한, 버튼이 눌려진 시간 길이를 표시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제어기(302)는, 버튼이 해제되었던 것을 표시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그리고 버튼이 눌려진 시간 길이가 임계 시간 기간 이상인 것을 결정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인덕터 코일(124)이 가변 자기장을 생성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간의 길이를 나타내는 신호는, 그 시간 자체의 표시일 수 있거나, 버튼 누름 신호와 버튼 해제 신호 사이의 기간을 타이밍함으로써 시간의 길이를 제어기가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버튼 누름 신호일 수 있다. 시간 길이가 임계 시간 기간보다 더 작은 경우, 디바이스(100)는 가열을 시작하지 않는다. 시간 길이에 기반하여, 제어기(302)는 어느 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시간 길이가 임계 시간 기간보다 더 작은 경우,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의 전력 소스(118)의 전력 레벨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예에서, 버튼이 눌려진 시간 길이가 제1 임계 시간 기간 이상이고 그리고 제2 임계 시간 기간보다 더 작은 경우, 제어기(302)는 제1 모드로 디바이스를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버튼이 눌려진 시간 길이가 제2 임계 시간 기간 이상인 경우, 디바이스는 제2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제1 임계 시간 기간은 3초일 수 있고, 제2 임계 시간 기간은 5초일 수 있다. 따라서, 단일 버튼을 사용하여, 사용자는 상이한 모드들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3초보다 길지만 5초보다 작게 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디바이스는 제1 모드에서 동작한다.
특정 예에서, 버튼이 눌려진 시간 길이가 제3 임계 시간 기간 이상인 경우, 디바이스는 설정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설정 모드는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설정들을 구성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제3 임계 시간 기간은 제2 임계 시간 기간보다 더 클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제3 임계 시간 기간은 8초이다. 사용자가 5초보다 더 길게 하지만 8초보다 적게 버튼을 누르고 있는 경우, 디바이스는 제2 모드에서 동작한다.
다른 예에서, 버튼이 눌려진 시간 길이가 제4 임계 시간 기간 이상이지만 제1 시간 기간 미만인 경우, 디바이스는 전력 소스(118)의 전력 레벨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제4 임계 시간 기간은, 예컨대 1초일 수 있다. 사용자가 1초보다 더 길게 그리고 3초보다 더 짧게 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디바이스는 전력 레벨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력 레벨은 표시자 조립체(306)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전력 레벨이 0% 내지 25%인 경우, 4개의 LED들(214) 중 하나가 조명될 수 있다. 전력 레벨이 25% 내지 50%인 경우, LED들(214) 중 2개가 조명될 수 있다. 전력 레벨이 50% 내지 75%인 경우, LED들(214) 중 3개가 조명될 수 있다. 전력 레벨이 75% 내지 100%인 경우, LED들(214) 중 4개가 조명될 수 있다.
위 내용은 단지 하나의 특정 유형의 입력 인터페이스(112)를 설명한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여 동작 모드를 선택한다. 다른 예에서, 하나 이상의 입력 인터페이스들이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모드로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제1 입력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킬 수 있으며, 그리고 제2 모드로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제2 입력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302)는 제1 및 제2 입력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로부터 수신된 입력에 대한 응답하여 인덕터 코일이 가변 자기장을 생성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했음을 표시하는 것
전술된 바와 같이, 표시자 조립체(306)는,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된 것을 표시할 수 있거나, 또는 디바이스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가열을 시작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표시자 조립체(306)는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하였거나 동작을 완료할 것임을 표시할 수 있다. 특정 예들에서, 표시자 조립체는,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할 때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디바이스는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302)는, 인덕터 코일이 가변 자기장을 생성한 후,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내에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했거나 또는 동작을 완료할 것임을 표시자 조립체(306)가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은, 예컨대 3분, 3분 및 30초, 또는 4분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은 디바이스가 동작하고 있는 모드에 의존한다.
일 예에서, 표시자 조립체(306)는, 디바이스가 임의의 표시들을 제공하기 위해 중단함으로써 동작을 완료하였거나 동작을 완료할 것임을 표시한다. 예컨대,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동안, 시각적 구성요소, 예컨대 하나 이상의 LED들은 디바이스가 동작하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시각적 표시가 중단되는 경우, 사용자는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했다는 통지를 받을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가 동작하고 있는 동안, 하나 이상의 LED들이 조명되는 경우,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하였을 때, LED들이 스위칭 오프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에게 표시를 제공한다.
다른 예에서, 표시자 조립체(306)는, 특정 표시를 제공함으로써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했음을 표시한다. 예컨대, 시각적 구성요소는,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하였거나 동작을 완료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한 특정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시각적 표시는 이전의 시각적 표시와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가 동작하고 있는 동안 하나 이상의 LED들이 조명되는 경우, 디바이스들이 동작을 완료하였거나 동작을 완료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LED들이 특정 패턴으로 반짝일(flash) 수 있다.
특정 예에서, 표시자 조립체(306)는 햅틱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햅틱 구성요소는,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하였거나 동작을 완료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서, 표시자 조립체(306)는 가청 표시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청 표시자는,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하였거나 동작을 완료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운드를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2개 이상의 상이한 유형들의 표시가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어기(302)는, 결정된 온도가 제2 기준을 충족시킬 때,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했거나 동작을 완료하려고 하는 것을 표시자 조립체(306)가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제2 기준은, 결정된 온도가 제2 임계 온도 이하일 때 충족될 수 있다. 제2 임계 온도는 위에 설명된 임계 온도 미만인 약 10℃ 내지 약 50℃일 수 있다. 따라서, 가열기 조립체(304)가 특정 포인트 아래로 냉각할 때, 표시자 조립체(306)는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하였거나 동작을 완료할 것임을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표시자 조립체(306)는,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할 때까지 남은 시간의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디바이스가 그의 종료 시간에 도달함에 따라, 표시가 다양한 시점들에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햅틱 구성요소는 가열 세션의 종료로부터 20초에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고, 그리고 또한, 가열 세션의 종료로부터 15초, 가열 세션의 종료로부터 10초, 가열 세션의 종료로부터 5초에 그리고 가열 세션의 종료시에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시간 순간에 제공되는 햅틱 피드백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피드백은 더 강해질 수 있거나 또는 가열 세션의 종료를 향해 더 오래 지속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표시자 조립체(306)는 복수의 LED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조명된 LED들의 수는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할 때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한다. 예컨대, 디바이스가 동작하고 있을 때, 제1 수의 LED들이 조명될 수 있고,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할 때, 제2 수의 LED들이 조명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수는 제1 수보다 더 작다. 제2 수는, 예컨대, 제로일 수 있다. 제1 수는 LED들 모두일 수 있다. 따라서, LED들은, 디바이스가 완료에 더 가까워짐에 따라 "카운트 다운(count down)"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4개의 LED들과 같은 복수의 LED들이 존재하며, LED들은 가열 세션의 종료가 가까워짐에 따라 순차적으로 스위칭 오프된다. 도 13e는, 디바이스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의 외부 부재(202)를 묘사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인덕터 코일들은 이때 활성화될 수 있거나 또는 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4개의 모든 LED들은 사용자가 여전히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조명된다.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할 때까지 남아있는 임계 시간 기간이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할 때까지 20초가 남아있을 수 있다.
일 예에서, 디바이스는 제1 및/또는 제2 인덕터 코일이 가변 자기장의 발생을 중단했을 때 "동작을 완료한 것"으로 언급된다. 다른 예에서,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온도/체적이 허용가능한 레벨 아래로 떨어지는 것으로 간주될 때 "동작을 완료한 것"으로 언급되며, 이는 제1 및/또는 제2 인덕터 코일이 가변 자기장을 생성하는 것을 중단한 지점 이후일 수 있다.
도 13d는 도 13e에 도시된 것보다 나중의 시간에 외부 부재(202)를 묘사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할 때까지 15초만이 남아있을 수 있다. 이때, 4개의 LED들 중 하나의 LED가 스위칭 오프되었으며, 그리고 광은 외부 부재(202)의 3개의 사분면들을 조명하기 위해 애퍼처들(204)의 서브세트를 통과한다.
도 13c는 도 13d에 도시된 것보다 나중의 시간에 외부 부재(202)를 묘사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할 때까지 10초만이 남아있을 수 있다. 이때, 4개의 LED들 중 2개가 스위칭 오프되었으며, 그리고 광은 외부 부재(202)의 2개의 사분면들을 조명하기 위해 애퍼처들(204)의 서브세트를 통과한다.
도 13b는 도 13c에 도시된 것보다 나중의 시간에 외부 부재(202)를 묘사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할 때까지 5초만이 남아있을 수 있다. 이때, 4개의 LED들 중 3개가 스위칭 오프되었으며, 그리고 광은 외부 부재(202)의 하나의 사분면을 조명하기 위해 애퍼처들(204)의 서브세트를 통과한다.
도 13a는 도 13b에 도시된 것보다 나중의 시간에 외부 부재(202)를 묘사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는 동작을 완료했을 수 있다. 이때, 4개의 LED들 모두가 스위칭 오프되었으며, 그리고 광은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표시자 조립체(306)는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한 것을 표시하면서, 또한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할 때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한다.
다른 예에서, LED들은 가열기 조립체의 온도에 기반하여(즉, 가열 세션의 끝에 접근할 때) 순차적으로 스위칭 오프된다. 예컨대, 4개의 모든 LED들은,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하기 전에 조명될 수 있다. 온도가 제1 양만큼 떨어질 때, 4개의 LED들 중 하나가 스위칭 오프될 수 있다. 온도가 제2 양만큼 떨어질 때, 다른 LED가 스위칭 오프될 수 있다. 온도가 제3 양만큼 떨어질 때, 다른 LED가 스위칭 오프될 수 있고, 온도가 제4 양만큼 아래로 떨어질 때, 모두 4개의 LED들이 스위칭 오프될 수 있다. 제1 양은 가열기 조립체의 동작 온도(즉, 임계 온도) 아래로 약 5-10℃ 사이일 수 있다. 제2 양은 가열기 조립체의 동작 온도(즉, 임계 온도) 아래로 약 10-20℃ 사이일 수 있다. 제3 양은 가열기 조립체의 동작 온도(즉, 임계 온도) 아래로 약 15-30℃ 사이일 수 있다. 제4 양은 가열기 조립체의 동작 온도(즉, 임계 온도) 아래로 약 20-40℃ 사이일 수 있다. 제4 양은 위에 설명된 제2 임계치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4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방법은, 블록(402)에서, 디바이스의 가열기 조립체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블록(404)에서, 온도 센서로부터의 출력에 기반하여 가열기 조립체의 온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블록(406)에서, 결정된 온도가 적어도 하나의 기준을 충족시키는 경우 디바이스가 사용할 준비가 된 것을 디바이스의 표시자 조립체가 표시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5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방법은, 블록(502)에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인덕터 코일이 서셉터를 가열하기 위한 가변 자기장을 생성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블록(504)에서, 인덕터 코일 조립체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가열을 시작하게 하는 단계 후에,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내에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했거나 또는 동작을 완료할 것임을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표시자 조립체가 표시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예들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들이 예상된다. 임의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임의의 특징은 단독으로 또는 설명된 다른 특징들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실시예들 중 임의의 다른 것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 또는 실시예들 중 임의의 다른 것들의 임의의 조합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게다가,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규정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위에서 설명되지 않은 등가물 및 수정들이 또한 이용될 수도 있다.

Claims (25)

  1.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로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기 조립체;
    표시자 조립체; 및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가열기 조립체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게 하고;
    상기 가열기 조립체의 특징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결정된 특징이 적어도 하나의 기준을 충족시키면, 상기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된 것을 상기 표시자 조립체가 표시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은 상기 가열기 조립체의 온도인,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 조립체의 온도를 나타내는 출력을 제공하도록 배열된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상기 출력을 수신하고;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의 상기 출력에 기반하여 상기 가열기 조립체의 온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은, 상기 결정된 온도가 임계 온도 이상일 때 충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결정된 온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을 충족시킨다고 결정된 후에, 상기 디바이스가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내에 사용 준비가 되었음을 상기 표시자 조립체가 표시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은, 상기 결정된 온도가 적어도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임계 온도 이상일 때 충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7. 제4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온도는 약 240℃를 초과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8. 제4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하나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제2 모드에 대해 상이한 가열 특징을 갖고, 상기 제1 모드의 임계 온도는 상기 제2 모드의 임계 온도와 상이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자 조립체는, 상기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가 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한 시각적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자 조립체는, 상기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가 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해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햅틱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11.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자 조립체는, 상기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가 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해 사운드를 방출하도록 구성된 가청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12. 제1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 조립체는, 상기 가열기 조립체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가열을 시작하게 한 후 약 30 초 미만 내에 상기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가 되었음을 상기 표시자 조립체가 표시하도록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13. 제1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가열기 조립체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가열을 시작하게 한 후 약 30 초 미만 내에 상기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가 되었음을 상기 표시자 조립체가 표시하도록 상기 가열기 조립체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14. 제1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가열기 조립체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게 한 후에, 상기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했거나 또는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내에 동작을 완료할 것임을 표시자 조립체가 표시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15. 제1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 조립체는:
    가변 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한 인덕터 코일;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서셉터 ― 상기 서셉터는 가변 자기장에 의한 관통에 의해 가열 가능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인덕터 코일이 상기 가변 자기장을 생성하게 함으로써, 상기 가열기 조립체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 코일은 제1 인덕터 코일이고, 그리고 상기 가열기 조립체는 제2 가변 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한 제2 인덕터 코일을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인덕터 코일은 상기 디바이스의 길이 방향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인덕터 코일에 인접하고;
    상기 제어기는, 표시자 조립체가 상기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되었음을 표시하게 한 후에, 상기 제2 인덕터 코일이 제2 가변 자기장을 생성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사용중에, 상기 에어로졸은 상기 디바이스의 유동 경로를 따라 상기 디바이스의 근위 단부를 향해 흡인되고, 그리고 상기 제1 인덕터 코일은 상기 제2 인덕터 코일보다 상기 디바이스의 근위 단부에 더 가까이 배열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17.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디바이스의 가열기 조립체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게 하는 단계;
    상기 가열기 조립체의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특징이 적어도 하나의 기준을 충족시키면,
    상기 디바이스가 사용 준비가 되었음을 상기 디바이스의 표시자 조립체가 표시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은 상기 가열기 조립체의 온도인,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은, 상기 결정된 온도가 임계 온도 이상일 때 충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온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을 충족시킨다고 결정된 후에, 상기 디바이스가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내에 사용 준비가 되었음을 상기 표시자 조립체가 표시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21.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은, 상기 결정된 온도가 적어도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임계 온도 이상일 때 충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22. 제19 항 내지 제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온도는 약 240℃를 초과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23. 제19 항 내지 제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하나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제2 모드에 대해 상이한 가열 특징을 갖고, 상기 제1 모드의 임계 온도는 상기 제2 모드의 임계 온도와 상이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24. 제17 항 내지 제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 조립체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가열을 시작하게 한 후에, 상기 디바이스가 약 30초 미만 내에 사용 준비가 되었음을 상기 표시자 조립체가 표시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25. 제17 항 내지 제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 조립체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가열을 시작한 후에, 디바이스가 동작을 완료했거나 또는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내에 동작을 완료할 것임을 상기 표시자 조립체가 표시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KR1020217029053A 2019-03-11 2020-03-09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KR202101313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903247.3 2019-03-11
GBGB1903247.3A GB201903247D0 (en) 2019-03-11 2019-03-11 Aerosol provision device
PCT/EP2020/056250 WO2020182758A1 (en) 2019-03-11 2020-03-09 Aerosol provis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362A true KR20210131362A (ko) 2021-11-02

Family

ID=66380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9053A KR20210131362A (ko) 2019-03-11 2020-03-09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220183393A1 (ko)
EP (2) EP3984384A1 (ko)
JP (1) JP7448298B2 (ko)
KR (1) KR20210131362A (ko)
CN (1) CN113747804A (ko)
AU (2) AU2020237377A1 (ko)
BR (1) BR112021018065A8 (ko)
CA (1) CA3132443A1 (ko)
GB (1) GB201903247D0 (ko)
IL (1) IL286071A (ko)
MX (1) MX2021010920A (ko)
TW (1) TW202037295A (ko)
WO (1) WO20201827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93255T3 (es) 2019-07-04 2022-02-08 Philip Morris Products Sa Disposición de calentamiento inductivo que comprende un sensor de temperatura
WO2021043694A1 (en) * 2019-09-05 2021-03-11 Jt International Sa Heating status indicator and heating method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EP4331408A1 (en) * 2021-04-28 2024-03-06 Japan Tobacco, Inc. Power unit for inhaler
US20230101573A1 (en) * 2021-09-24 2023-03-30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erosol provis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4962A (en) * 1989-12-01 1992-09-08 Philip Morris Incorporated Flavor-delivery article
US6040560A (en) * 1996-10-22 2000-03-21 Philip Morris Incorporated Power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ical smoking system
WO2014066730A1 (en) * 2012-10-25 2014-05-01 Lbs Imports, Llc. Electronic cigarette
TWI608805B (zh) 2012-12-28 2017-12-21 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加熱型氣溶膠產生裝置及用於產生具有一致性質的氣溶膠之方法
GB2527597B (en) * 2014-06-27 2016-11-23 Relco Induction Dev Ltd Electronic Vapour Inhalers
GB2546921A (en) * 2014-11-11 2017-08-02 Jt Int Sa Electronic vapour inhalers
CN104585884B (zh) * 2015-01-20 2018-04-17 四川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炭加热不燃烧烟草的抽吸装置
EP3061358A1 (en) * 2015-02-26 2016-08-31 Fontem Holdings 2 B.V. Electronic smoking device with an air pre-heating element
US10849360B2 (en) 2016-04-29 2020-12-01 Altria Client Services Llc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visual feedback device
US11533953B2 (en) * 2016-06-29 2022-12-27 Philip Morris Products S.A. Battery powered aerosol-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temperature dependent battery pre-heating
WO2018019578A1 (en) * 2016-07-29 2018-02-01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system comprising a cartridge containing a gel
US20180132529A1 (en) * 2016-11-14 2018-05-17 Rai Strategic Holdings, Inc.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integrated wireless connectivity for temperature monitoring
CA2994264A1 (en) * 2017-02-06 2018-08-06 Michael Alexander Trzecieski Method and device for vaporizing phyto material
GB201705259D0 (en) * 2017-03-31 2017-05-17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Induction coil arrangement
EP3613258B1 (en) * 2017-04-17 2024-03-20 Philip Morris Products S.A.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sensing temperature in induction heating systems
WO2018209676A1 (zh) * 2017-05-19 2018-11-22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深圳分公司 一种电子烟的控制方法及电子烟
CN107095343B (zh) * 2017-05-24 2020-05-12 惠州市新泓威科技有限公司 电子烟具的加热方法
KR102231228B1 (ko) * 2017-05-26 2021-03-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궐련 삽입 감지 기능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240032151A (ko) * 2017-08-09 2024-03-08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다중 인덕터 코일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CN108572202B (zh) * 2018-03-30 2020-10-27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烟状态检测装置、方法及电子烟
CN108851242B (zh) * 2018-07-18 2021-02-19 东莞市麦斯莫科电子科技有限公司 加热件温度控制方法、装置及电子吸烟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84384A1 (en) 2022-04-20
TW202037295A (zh) 2020-10-16
IL286071A (en) 2021-10-31
CN113747804A (zh) 2021-12-03
BR112021018065A8 (pt) 2021-12-21
JP7448298B2 (ja) 2024-03-12
WO2020182758A1 (en) 2020-09-17
BR112021018065A2 (pt) 2021-11-23
GB201903247D0 (en) 2019-04-24
EP3937672A1 (en) 2022-01-19
JP2022525084A (ja) 2022-05-11
AU2023202902A1 (en) 2023-05-25
AU2020237377A1 (en) 2021-09-30
CA3132443A1 (en) 2020-09-17
US20220183393A1 (en) 2022-06-16
MX2021010920A (es) 2021-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30752A (ko)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KR20210131362A (ko)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AU2020235041B2 (en) Aerosol provision device
JP2022523228A6 (ja) エアロゾル供給デバイス
KR20210131366A (ko)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KR102673737B1 (ko)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RU2815707C2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аэрозоля
RU2815338C2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аэрозоля
RU2812298C2 (ru) Аэрозольгенер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аэрозольгенерирующим устройств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