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1320A - 포장재 웹 제조 - Google Patents

포장재 웹 제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1320A
KR20210131320A KR1020217024074A KR20217024074A KR20210131320A KR 20210131320 A KR20210131320 A KR 20210131320A KR 1020217024074 A KR1020217024074 A KR 1020217024074A KR 20217024074 A KR20217024074 A KR 20217024074A KR 20210131320 A KR20210131320 A KR 20210131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type
unit
fibers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4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티안 보딘
리니아 사일러
Original Assignee
스웨디쉬 매치 노스 유럽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웨디쉬 매치 노스 유럽 에이비 filed Critical 스웨디쉬 매치 노스 유럽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210131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3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04H1/5418Mixed fibres, e.g.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fibres or fibre blen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3/00Tobacco for pipes, for cigars, e.g. cigar inserts, or for cigarettes; Chewing tobacco; Snuff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23/00Cases for tobacco, snuff, or chewing tobacco
    • A24F23/02Tobacco pou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9/00Packaging of material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9/02Packaging of substances, e.g. tea, which are intended to be infused in the package
    • B65B29/028Packaging of substances, e.g. tea, which are intended to be infused in the package packaging infusion material into filte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of means for making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3/022Making containers by moulding of a thermoplas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6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a longitudinally-folded web, or in a web folded into a tube about th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placed upon it
    • B65B9/08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a longitudinally-folded web, or in a web folded into a tube about th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placed upon it in a web folded and sealed transversely to form pockets which are subsequently filled and then closed by 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04H1/5412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sheath-cor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orientated, e.g. in parallel (anisotropic flee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9Bicomponent, conjugate, composite or collateral fibers or filaments [i.e., coextruded sheath-core or side-by-side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146Strand material is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Packages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용 포장재 웹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100) 및 방법(400)에 관한 것이다. 웹은 섬유를 포함하는 타액 투과성 부직포 웹이며, 상기 섬유의 0%-95%가 제 1 유형이고 상기 섬유의 5%-100%가 제 2 유형이며, 상기 제 1 유형의 상기 섬유는 셀룰로오스계 스테이플 섬유이고, 상기 제 2 유형의 상기 섬유는 적어도 표면에서 용융성 및/또는 연화성 열가소성 섬유이다. 상기 장치는 상기 섬유를 카딩하여 프리-웹을 형성하기 위한 카딩 유닛(110); 상기 웹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2 유형의 상기 섬유를 적어도 부분적인 용융 및/또는 연화하여 상기 프리-웹을 본딩하기 위한 에어-스루 본딩 유닛(130); 및 상기 웹의 표면 처리를 위한 캘린더링 유닛(140)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a) 프리-웹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섬유를 카딩하는 단계; b) 포장재 웹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2 유형의 섬유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 및/또는 연화시키도록 상기 프리-웹을 통해 공기를 송풍함으로써 상기 프리-웹을 본딩하는 단계; 및 c) 상기 웹을 매끈하게 캘린더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장재 웹 제조
본 개시는 구강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용 포장재 웹의 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구용 무연 담배 제품은 담배 잎의 옆신과 줄기와 같은 담배 잎으로 제조된다. 뿌리와 줄기에서 나온 재료는 일반적으로 경구용 무연 담배 조성물의 생산에 사용되지 않는다.
경구용 무연 담배에는 씹는 담배, 건식 코담배 및 습한(습식) 코담배가 있다. 일반적으로, 건식 코담배는 수분 함량이 10wt% 미만이고 습식 코담배는 수분 함량이 40wt% 이상이다. 수분 함량이 10% 내지 40wt%인 반건식 제품도 있다.
습식 코담배에는 아메리칸 타입과 스칸디나비아 타입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스칸디나비아 타입의 습식 코담배를 스누스(snus)라 한다. 아메리칸 타입의 습식 코담배는 일반적으로 촉촉한 분쇄 또는 절각 담배의 발효 과정을 통해 생산된다. 스칸디나비아식 습식 코담배(snus)는 일반적으로 발효 대신 열처리 공정(저온살균)을 통해 생산된다. 두 공정 모두 미가공 담배의 쓴맛을 감소시키고 또한 담배의 질감을 부드럽게 하며, 이것이 바로 미가공 담배를 촉촉한 코담배 생산에 사용하지 않는 주된 이유다. 열처리는 또한 담배 조제물 내의 미생물의 적어도 일부를 분해, 파괴 또는 변성시키기 위해 수행된다.
아메리칸 타입과 스칸디나비아 타입의 구강용 습식 코담배는 파우치를 형성하는 타액 투과성, 다공성 래퍼(wrapper) 재료 안에 느슨한 형태 또는 부분 포장된 형태로 제공된다. 스누스를 포함한 파우치형 습식 코담배는 일반적으로 소비자가 위 또는 아래 잇몸과 입술 사이에 파우치를 놓고 한정된 기간 동안 유지함으로써 사용한다. 파우치 재료는 타액이 담배 속으로 들어가게 하고 향미와 니코틴이 담배 재료에서 소비자의 입으로 확산되도록 하는 동안 담배를 제자리에 고정시킨다.
또한 포장재라고도 하는 구강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에 사용되는 파우치 재료는 타액 투과성 부직포이다. 부직포는 직조도 편직도 아닌 직물이다.
카딩된 웹이 건식 부직포의 한 예이다. 카딩된 경우, 제조 공정으로 인해 섬유가 실질적으로 카딩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건식 부직포는 패러렐 레이드 웹, 크로스 레이드 웹 또는 랜덤 레이드 웹을 포함할 수 있다. 패러렐 레이드 웹 및 크로스 레이드 웹은 일반적으로 두 개 이상의 중첩된 웹 레이어를 포함하며 통상적으로는 카딩되는 반면, 랜덤 레이드 웹은 일반적으로 싱글 웹 레이어를 포함하며 에어레이드(airlaid)될 수 있다.
공지된 기술에 따르면, 웹에 섬유들을 함께 본딩시키기 위해 여러 다른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웹 콘솔리데이션(web consolidation)이라고 한다. 다양한 유형의 본딩 방법은 가령, 니들 펀칭, 스티치 본딩, 하이드로-인탱글링의 기계적 본딩, 가령, 포화 본딩, 스프레이 본딩, 폼 본딩, 파우더 본딩, 프린트 본딩의 화학적 본딩, 및 가령, 핫 캘린더에서 포인트 본딩의 열적 본딩으로 분류될 수 있다. 부직포를 콘솔리데이션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본딩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화학적 본딩에서는, 바인더 또는 접착제라고도 하는 바인더가 섬유와 결합된다. 이러한 유형의 부직포를 일반적으로 화학적 본딩 또는 접착식 본딩 부직포라 한다.
구강용 파우치형 무연 담배 제품은 파우치 형성 후에 후가습되거나 파우치 형성 후에 후가습되지 않을 수 있다. 후가습되지 않은 구강용 파우치형 무연 담배 제품을 본 명세서에서 후가습되지 않은 담배라 한다. 후가습 파우치 제품은 파우치 제품을 캔에 포장하기 전에 파우치 무연 담배 제품에 물을 분무하여 제조될 수 있다. 습식 또는 반건식 코담배를 포함하는 최종 구강 파우치형 무연 담배 제품의 수분 함량은 일반적으로 파우치형 제품의 중량(즉, 습식 코담배 및 파우치 재료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5-55% w/w 범위 내에 있다.
담배 재료를 전혀 포함하지 않는 경구용 무연 비담배 제품도 있다. 대신, 경구 무연 비담배 제품은 논-토바코 식물 재료 및/또는 충전재를 포함한다.
경구용 무연 비담배 제품에 소량의 담배를 첨가하면 구강용 무연 로우-토바코 코담배 제품이 제공된다. 따라서, 소량의 담배 이외에, 구강 무연 코담배 제품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비담배 식물 재료 및/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충전재를 포함한다.
경구용 논-니코틴 습식 논-토바코 코담배 제품 및 이의 제조 예가 WO 2007/126361 및 WO 2008/133563에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경구용 논-토바코 코담배 제품은 파우치를 형성하는 타액 투과성, 다공성 래퍼 재료 안에 느슨한 형태로 제공되거나 부분 포장될 수 있다.
니코틴 함유 경구 무연 비담배 제품, 또는 상기 제품에서 담배에 의해 제공되는 니코틴 외에 니코틴을 함유하는 경구 무연 로우-토바코 코담배 제품의 경우, 니코틴은 합성 니코틴 및/또는 담배 식물의 니코틴 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니코틴은 니코틴 염기 및/또는 니코틴 염의 형태로 있을 수 있다.
경구 무연 비담배 제품 또는 경구 무연 로우-토바코 코담배 제품은 건식, 반건식 또는 습식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식 구강 무연 비담배 제품 또는 건식 구강 무연 로우-토바코 코담배 제품은 수분 함량이 10wt% 미만이고 습식 구강 무연 비담배 제품 또는 습식 구강 무연 로우-토바코 코담배 제품은 수분 함량이 40wt% 이상이다. 반건식 구강 무연 비담배 제품 또는 반건식 구강 무연 로우-토바코 코담배 제품은 수분 함량이 10 내지 40wt%이다.
경구 무연 비담배 제품 또는 경구 무연 로우-토바코 코담배 제품은 제조 과정에서 경구 무연 비담배 제품 성분 또는 경구 무연 코담배 제품 성분과 향미를 혼합하여 향미를 낼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제조된 후에 경구 무연 비담배 제품 또는 경구 무연 코담배 제품에 향미가 첨가될 수 있다.
파우치형 무연 담배 제품은 무연 담배 조성물의 1회 분량을 측정하고 그 1회 분량을 부직포 튜브에 삽입하여 생산될 수 있다.
US 4,703,765는 코담배 1회 분량이 충전 튜브를 통해 주입되는 튜브형 포장 재에 코담배 등과 같은 미분된 담배 제품의 정확한 양을 포장하기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튜브의 하류에서, 용접 수단이 포장재의 횡방향 씰링을 위해 위치되고, 또한 횡방향 씰링 영역에서 포장재를 절단하여 개별 또는 낱개 1회분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한 컷팅 수단이 위치된다.
파우치형 무연 담배 제품은 대안으로 US 6,135,120에 개시된 장치에 따라 파우치 포장기를 사용하여 부직포 웹에 습식 1회분의 코담배를 놓음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개별 1회분은 씰링되고 절단되어 직사각형 "필로우 모양"(또는 다른 원하는 형태)의 파우치 제품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최종 파우치형 제품은 반대쪽 단부에 평행한 횡방향 씰과 상기 횡방향 씰에 직교하는 길이방향 씰을 포함한다. 씰은 소비자의 경험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사용 중 파우치 제품의 무결성을 보존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
구강 파우치 무연 담배 제품은 일반적으로 위아래 잇몸과 입술 사이에 사용자의 입에 편안하고 눈에 잘 띄지 않는 크기로 구성된다.
구강 파우치 제품의 포장재를 제조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협강에 배치 할 때 강도와 편안함 사이에 절충이 있다. 포장재는 파우치 제품의 외부를 형성하므로 일반적으로 치아와 잇몸 사이의 협강과 접촉한다. 포장재의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포장재 자체의 제조 동안, 파우치 제품의 제조 동안 및 파우치 제품이 협강에 사용되는 동안 포장재를 취급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커야 한다. 따라서, 파우치 제품의 씰이 충분히 강한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포장재는 바람직하게는 구강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이 사용자의 협강에 놓일 때 편안할 만큼 충분히 유연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포장재는 특히 파우치 제품의 포장재에 의해 둘러싸인 무연 담배 조성물 또는 비담배 조성물에 포함된 자극적인 풍미에 노출될 때 파우치 제품의 씰 강도가 원하는 강도보다 적으면 문제를 겪을 수 있다.
구강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이 입안에서 부드러운 것으로 경험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구강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포장재에 비해 포장재가 입에서 덜 미끄운 것으로 경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과 관련된 몇몇 문제를 극복하거나 적어도 완화하는 것이다.
정의
"담배"는 니코디아나(Nicotiana)의 모든 부분, 가령, 잎, 줄기 및 대를 의미한다. 담배는 전체, 파쇄, 타작, 절삭, 분쇄, 경화, 숙성, 발효 또는 기타 방식, 가령, 과립 또는 캡슐화로 처리될 수 있다. .
"토바코 코담배 조성물"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분쇄 담배 재료 또는 절삭 담배와 같이 미분된 담배 재료에 대해 사용된다. 담배 재료 이외에, 토바코 코담배 조성물은 물, 염(예를 들어,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 pH 조절제, 향미제, 냉각제, 가열제, 감미제, 착색제, 보습제(예를 들어,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글리세롤), 항산화제, 보존제(예를 들어, 소르빈산칼륨), 바인더, 붕해 보조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무연 코담배 조성물은 미분된 담배 재료, 염화나트륨과 같은 염 및 pH 조절제를 포함하거나 그로 구성된다. 토바코 코담배 조성물은 건식 또는 습식일 수 있다. 토바코 코담배 조성물은 치아와 잇몸 사이에 사용될 수 있다.
"비담배 조성물"은 어떠한 담배 재료도 함유하지 않고 토바코 코담배 조성물과 유사한 방식 또는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는 조성물이다. 담배 대신에, 비담배 조성물은 비담배 식물 섬유 및/또는 충전재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섬유와 같은 가공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충전재는 입자 형태로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재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입자와 같은 미립자 충전재일 수 있다. 비담배 조성물은 니코틴을 함유할 수 있다. 즉, 니코틴-함유 비담배 조성물일 수 있다. 대안으로, 비담배 조성물은 니코틴을 함유하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니코틴을 함유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니코틴이 없는 비담배 조성물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실질적으로 니코틴이 없는"이라는 표현은 조성물의 총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이하의 니코틴 양을 의미한다.
"경구" 및 "경구 사용"은 협강 배치와 같이 구강에서의 사용에 대한 설명으로서 본 명세서의 모든 문맥에 사용된다. 그 후, 제품이 잇몸과 윗입술 또는 아랫입술 사이와 같은 구강 내에 배치되어 제품이 전체적으로 구강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이 제품은 삼키도록 되어 있지 않다.
본원에 사용된 "파우치 제품" 또는 "구강 파우치 제품"은 구강 내 협측 배치와 같이 구강 용도의 타액 투과성 파우치 재료에 포장된 무연 담배 조성물 또는 비담배 조성물의 일부를 의미한다. 구강 파우치 제품을 대안으로 구강용 1회 분량 포장(파우치) 제품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수분 함량"이라는 용어는 물 및 기타 오븐 기화 물질, 가령, 언급된 조성물 또는 제품에서 프로필렌 글리콜 및 에탄올과 같은 휘발성 성분의 총량을 의미한다. 수분 함량은 본원에서 중량%(wt%), 즉 언급된 총 조성물, 조제물 또는 제품의 중량을 기준으로 언급된 성분의 중량 퍼센트로 주어진다.
"향미료" 또는 "향미제"는 본원에서 에센셜 오일, 단일 향미 화합물, 복합 향미료 및 추출물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 무연 담배 제품의 향 및/또는 맛에 영향을 끼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에 대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 기술의 단점 중 적어도 하나를 극복 또는 개선하거나 유용한 대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 및/또는 11의 주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실시예는 첨부된 종속항, 하기의 명세서 및 도면에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구강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용 포장재 웹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웹은 섬유를 포함하는 타액 투과성 부직포 웹이며, 상기 섬유의 0%-95%가 제 1 유형이고 상기 섬유의 5%-100%가 제 2 유형이며, 상기 제 1 유형의 상기 섬유는 셀룰로오스계 스테이플 섬유이고, 상기 제 2 유형의 상기 섬유는 적어도 표면에서 용융성 및/또는 연화성 열가소성 섬유이다. 상기 장치는 상기 섬유를 카딩하여 프리-웹(pre-web)을 형성하기 위한 카딩 유닛; 상기 웹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2 유형의 상기 섬유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 및/또는 연화하여 상기 프리-웹을 본딩하기 위한 에어-스루 본딩 유닛; 및 상기 웹의 표면 처리를 위한 캘린더링 유닛을 포함한다.
제 1 유형의 섬유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유형의 제 1 섬유 공급 유닛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제 2 유형의 섬유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유형의 제 2 섬유 공급 유닛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섬유는 카딩 유닛에 도달하기 전에 서로 분리된다. 제 1 유형 및 제 2 유형 모두의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 두 유형의 섬유는 유리하게는 카딩 유닛에 공급되기 전에 서로 혼합되어 함께 카딩된다.
카딩 유닛은 프리-웹을 덜 이방성으로 만드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램블러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카딩된 프리-웹은 웹을 형성하기 위해 제 2 유형의 섬유의 적어도 부분적인 용융 및/또는 연화에 의해 에어-스루 본딩 유닛에서 결합된다. 이에 의해, 제 2 유형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 및/또는 연화된 섬유가 상기 섬유들을 함께 본딩하여 본딩 웹이 형성되도록 코헤시브 웹(cohesive web)을 형성한다. 따라서, 선행 기술로부터 공지된 바와 같이 포장재에 추가적인 바인더를 첨가할 필요가 없다.
포장재의 본딩 웹에서, 섬유는 여전히 모양과 구조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 2 유형의 섬유가 다소 완전히 녹았다면 예상된 결과였을 포장재에 필름이 형성되지 않는다. 원하는 용융 정도는 용융도에 따라 증가하는 인장 강도와 구강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의 외관과 협강 내 구강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의 기능 사이의 균형이다. 순전히 예로서, 너무 녹은 포장재는 필름처럼 너무 조밀하여 타액 투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구강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보다 기능이 덜 할 수 있다.
제 2 유형의 섬유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 및/또는 연화될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장치로 생산되고/되거나 후술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생산된 포장재에 추가 바인더가 전혀 필요치 않으며, 이는 경구용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용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포장재의 경우이다. 포장재는 선행 기술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하이드로인탱글링(hydroentangling)이나 포인트-본딩(point-bonding)에 의해 본딩되지 않는다. 어떠한 이론에도 구속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포장재에 인장력이 가해질 때, 섬유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 또는 연화되기 때문에 서로 연결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달라붙게 되어 힘이 한 섬유에서 인접하거나 교차하는 섬유로 전달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별도의 바인더 없이도 포장재는 충분히 강하다.
생략될 수 있는 제 1 유형의 섬유는 셀룰로스계 스테이플 섬유, 일반적으로 인조 섬유, 예를 들어 레이온, 라이오셀(lyocell) 또는 비스코스(viscose)와 같은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이다. 텐셀(Tencel)은 라이오셀의 브랜드 명이다.
제 1 유형의 섬유는 포장재 자체를 제조하는 동안 및 구강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을 제조하는 동안 포장재가 다루기 쉬우면서도 구강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을 사용자의 협강에 넣을 때 편안하고 포장재가 제품의 외부를 형성도록 포장재에 원하는 기계적 특성을 부여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유형의 섬유는 부드럽고 상대적으로 비탄성적이며/이거나 수분 흡수성이게 선택될 수 있다. 상대적인 비탄성으로 인해 포장재 자체를 제조하는 동안 및 구강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을 제조하는 동안 포장재를 다루기 쉽고 연화성 및 습기 흡수성으로 인해 사용자의 협강에 편안함을 제공한다. 또한, 제 1 유형의 섬유는 친수성이게 선택될 수 있으며, 이는 구강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에 사용시 유리하다.
제 2 유형의 섬유는 적어도 섬유의 표면에서 제 2 유형의 섬유가 용융 및/또는 연화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제 2 유형의 섬유는 미리 선택 가능한 강도 수준, 미리 선택 가능한 선형 밀도 및/또는 미리 선택 가능한 모양, 예를 들어, 트릴로발(trilobal)을 갖도록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제 2 유형의 섬유는 선택사항으로 권축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유형의 섬유는 포장재에 바람직한 수준의 인장 강도 및/또는 밀봉 강도를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특히, 제 2 유형의 섬유는 습한 조건에서도 높은 밀봉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제 2 유형의 섬유는 또한 풍미에 노출될 때 높은 밀봉 강도를 갖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하나 이상의 스크램블러 롤러의 사용은 또한 원하는 인장 강도 및/또는 밀봉 강도를 얻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제 2 유형의 섬유는 열가소성 섬유이며, 장치에 사용된 온도에서 적어도 표면에서 용융 및/또는 연화될 수 있다. 제 2 유형의 섬유는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성분은 제 1 성분보다 낮은 용융 온도를 갖는다. 그 경우에,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이점을 얻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되거나 연화되는 것이 바람직하게는 제 2 성분이다. 3개 이상의 상이한 성분을 포함하는 섬유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2 유형의 섬유의 성분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한 폴리머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제 2 유형의 섬유는 이성분 섬유일 수 있다. 이성분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쌔스-코어(sheath-core) 섬유이지만, "병렬(side-by-side)" 또는 "해도형(islands-in-the-sea)"과 같은 다른 배열도 가능한다. 대안으로 또는 보완으로서, 제 2 유형의 섬유는 전체 섬유가 용융 및/또는 연화될 수 있는 단일 성분 섬유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장치 및/또는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재료 및 씰 모두에 대해 적절한 강도를 갖지만 구강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을 사용자의 협강에 넣을 때 여전히 편안할 정도로 충분히 가요성을 갖는 구강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용 포장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포장재의 가요성은 구강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에 대한 일반적인 포장재를 사용하는 종래 기술 제품보다 밀도가 낮고 부피가 더 큰 구강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에 반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장치 및/또는 방법으로 제조된 포장재를 포함하는 구강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은 선행 기술에 따라 제조된 포장재를 갖는 구강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에 비해 입안에서 더 부드러움을 경험할 수 있다. 어떠한 이론에도 구속되지 않고, 이는 구강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을 위한 종래 기술의 포장재의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인더가 없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포장재의 강도와 씰 강도는 구강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포장재보다 더 나은 자극적인 풍미, 가령 메틸 살리실레이트를 견딜 수 있다. 이러한 풍미는 특히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존의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에 대해 씰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장치 및/또는 방법으로 제조된 포장재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강 파우치형 코담배 포장재에 비해 입안에서 덜 미끄러운 것을 경험할 수 있다. 어떠한 이론에도 구속되지 않고, 이는 또한 구강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용 종래 기술의 포장재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인더가 없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구강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을 후가습하는 경우,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성 및/또는 방법으로 제조된 포장재를 갖는 구강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강 파우치용 코담배 제품용 포장재에 비해 더 균일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는 일반적으로 소수성인 바인더가 없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이 효과는 제 2 유형의 섬유가 가령 코어에는 PLA가 있고 외피에는 coPL이 있는 PLA/coPLA 섬유인 경우 달성될 수 있다.
제 1 유형의 섬유는 일반적으로 총 중량의 5%-50%, 바람직하게는 총 중량의 10%-40% 또는 포장재의 모든 섬유의 총 중량의 15%-30%를 구성한다. 제 2 유형의 섬유는 일반적으로 총 중량의 50%-95%, 바람직하게는 총 중량의 60%-90% 또는 포장재의 모든 섬유의 총 중량의 70%-85%를 구성한다. 중량은 21℃에서 50% RH로 정의된다. 제 1 유형의 섬유를 0% 사용하는 것, 즉 제 1 유형의 섬유를 완전히 사용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제 2 유형의 섬유를 100%까지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령, 제 2 유형의 섬유만 사용하고 제 1 유형의 섬유는 사용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장치 및/또는 방법으로 제조된 포장재는 임의의 바인더 또는 다른 종류의 접착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재는 제 1 유형의 섬유, 제 2 유형의 섬유, 및 선택적으로 열가소성 이성분 섬유와 같은 임의의 다른 열가소성 섬유 유형의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포장재는 제 1 유형의 섬유와 제 2 유형의 섬유로만 구성될 수 있다. 포장재 제조시 다른 성분이 첨가되지 않을 수 있다. 포장재는 제 2 유형의 섬유, 및 선택적으로 열가소성 이성분 섬유와 같은 임의의 다른 열가소성 섬유 유형의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장치는 에어-스루 본딩 유닛 이전에 그러나 카딩 유닛 뒤에 위치되는 프리-본딩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본딩 유닛은 80℃-155℃, 바람직하게는 90℃-140℃, 더 바람직하게는 100℃-135℃, 가장 바람직하게는 110℃-130℃ 범위 내의 온도에서 카딩된 프리-웹을 통해 공기를 송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온도는 제 1 및 제 2 유형의 섬유의 용융 온도에 따라 선택되므로, 프리-본딩 유닛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유형 모두의 섬유의 용융 온도보다 낮아 진다. 프리-본딩 유닛은 생략할 수 있는 옵션 장치이다.
에어-스루 드라이어의 공기 온도는 통과 시간 및/또는 기류와 관련하여 선택된다. 순전히 예로서, 통과 시간이 더 길고/길거나 기류가 더 낮으면 더 낮은 온도를 가질 수 있다. 기류는 공기 속도와 에어-스루 드라이어를 통해 보낼 수 있는 공기량이 얼마나 큰지에 따라 달라진다.
에어-스루 본딩 유닛은 플랫 에어-스루 드라이어를 포함하거나 이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플랫 에어-스루 드라이어는 단일 구역으로서 또는 3 내지 8 구역과 같은 2 내지 10 구역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랫 에어-스루 드라이어를 사용하는 경우, 본 명세서에서 옵션으로 언급된 프리-본딩 유닛은 생략될 수 있다. 대신에, 플랫 에어-스루 드라이어의 제 1 구역 중 하나 이상이 프린-본딩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개별 구역의 온도를 선택하여 플랫 에어-스루 드라이어에서 프리-본딩으로부터 에어-스루 본딩으로의 슬라이딩 스케일이 있을 수 있다.
플랫 에어-스루 드라이어는 100℃-160℃, 바람직하게는 110℃-150℃, 더 바람직하게는 120℃-150℃, 가장 바람직하게는 120℃-140℃ 범위 내의 온도에서 프리-웹을 통해 공기를 송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보완으로서, 에어-스루 본딩 유닛은 실린더 에어-스루 드라이어를 포함하거나 이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실린더 에어-스루 드라이어는 앞서 언급한 프리-본딩 유닛과 유리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실린더 에어-스루 드라이어의 상류에 위치해야 한다.
실린더 에어-스루 드라이어는 100℃-160℃, 바람직하게는 115℃-155℃, 더 바람직하게는 120℃-150℃, 가장 바람직하게는 130℃-150℃ 범위 내의 온도에서 프리-웹을 통해 공기를 송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
단일 구역 또는 (예를 들어, 2-3 구역과 같은) 몇 개의 구역이 있는 플랫 에어-스루 드라이어를 사용하고 이어서 실린더 에어-스루 드라이어를 사용함으로써 플랫 에어-스루 드라이어와 실린더 에어-스루 드라이어를 결합하는 것도 또한 가능한다. 그 경우에, 플랫 에어-스루 드라이어의 구역 중 하나 이상이 프리-본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플랫 에어-스루 드라이어에서 프리-본딩으로부터 에어-스루 본딩으로의 슬라이딩 스케일이 있을 수 있다.
실린더 에어-스루 드라이어가 적절한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하려면, 실린더 에어-스루 드라이어에 도달할 때 바람직하게는 중간 웹이 자체적으로 지지되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플랫 에어-스루 드라이어에서, 중간 웹은 일반적으로 직물 또는 벨트와 같은 기계 요소에 의해 지지되므로 비자립식 웹도 처리될 수 있다.
다음에, 즉, 에어-스루 본딩 유닛의 하류에, 웹의 표면 처리를 위한 캘린더링 유닛이 있다. 캘린더링은 웹의 미리 선택 가능한 두께 및/또는 표면 마감 및/또는 공기 투과도(air permeability)를 얻기 위해 수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캘린더링 유닛은 웹의 본딩을 얻기 위해 이용되지 않는다. 대신, 웹은 캘린더링 유닛에 도달할 때 이미 충분히 본딩되어 있다. 캘린더링 유닛은 45℃-120℃, 바람직하게는 50℃-110℃, 보다 바람직하게는 55℃-100℃, 가장 바람직하게는 55℃-70℃ 범위 내의 표면 처리 온도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캘린더링 유닛은 5-70kg/㎠, 바람직하게는 15-60kg/㎠, 보다 바람직하게는 20-50kg/㎠, 가장 바람직하게는 25-40kg/㎠ 범위 내의 압력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EDANA, 즉 European Disposables and Nonwovens Association에서 지정한 테스트 방법 WSP070.1.R3(12)에 따른 측정시, 공기 투과도는 7500 l/㎡/s 이하, 바람직하게는 4300 l/㎡/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900 l/㎡/s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 2000 l/㎡/s 이하로 선택될 수 있다.
캘린더 유닛을 실행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 방법은 높은 온도와 낮은 닙 압력(nip pressure)을 사용하는 것이다. 두 번째 방법은 낮은 온도와 높은 닙 압력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두 가지 방법은 중간 닙 압력으로 중간 온도를 사용하여 조합될 수 있다. 그러나, 고온을 사용하더라도, 제 2 유형의 섬유가 녹거나 연화되지 않도록 온도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원칙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캘린더링 유닛에서 웹의 본딩이 전혀 또는 실질적으로 없어야 한다. 대신에, 웹의 모든 본딩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모든 본딩은 에어-스루 본딩 유닛에서, 그리고 가능하다면, 프리-본딩 유닛에서 일어나야 한다.
캘린더링 유닛은 매끄러운 표면, 예를 들어, 매끄러운 강철 표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캘린더링 유닛은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한 쌍의 롤러, 바람직하게는 매끄러운 강철 표면을 갖는 롤러를 포함하거나 이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는 포장재의 원하는 표면 처리를 제공한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캘린더 유닛은 웹의 표면 처리에 사용된다. 따라서, 롤러는 부직포 제조의 다른 분야에서 알려진 기술인 포인트-본딩을 얻는 데 사용되지 않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있다.
장치는 부직포 분야의 숙련자에게 알려진 유형의 추가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인 오프너(fine opener), 즉 카딩 유닛 전에 섬유 덩어리를 분해하는 유닛일 수 있다. 캘린더링 유닛은 와인딩 유닛(winding unit) 및/또는 슬리팅 유닛(slitting unit)이 뒤따를 수 있다.
장치는, 예를 들어, 1회분들로서, 웹에 무연 담배 조성물 또는 비담배 조성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유닛 및 웹을 튜브형 구조로 형성하기 위한 튜브 형성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튜브 형성 유닛은 공급 유닛의 전후에 위치된다.
튜브 형성 유닛에서, 웹은 무연 담배 조성물 또는 비담배 조성물을 둘러싸도록 구성된 튜브형 구조로 형성된다. 튜브형 구조는 구강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에 적합한 폭을 갖는다. 튜브 및 튜브형 구조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일반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횡단면이 둥글어야 함을 의미하지 않는다. 대신 웹이 무연 담배 조성물 또는 비담배 조성물을 둘러쌀 수 있고 튜브형 구조 내에 무연 담배 조성물 또는 비담배 조성물을 위한 공간이 있는 한 임의의 횡단면도 가능하다. 튜브 형성 유닛은 예를 들어 웹을 튜브형 구조로 접는 폴딩 유닛을 포함한다.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씰을 만들어 포장재의 웹을 튜브 형상으로 고정하기 위한 길이방향 씰링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길이방향 씰링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씰을 만들어 포장재 웹의 튜브형 구조를 튜브 형상으로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길이방향 씰링 유닛은 튜브 형성 유닛에 형성된 전술한 튜브형 구조에서 길이방향 씰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길이방향 씰링 유닛은 예를 들어, 히트-씰링 유닛 또는 초음파 씰링 유닛일 수 있다.
길이방향 씰링 유닛에서, 제 2 유형의 섬유의 적어도 부분적 용융에 의해 부직포 웹에 씰을 생성하기 위해 에너지가 가해진다. 제 2 유형의 섬유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적어도 제 2 성분은 씰링 동안 용융되고,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성분 모두가 용융된다. 씰은 바람직하게는 무연 담배 조성물 또는 비담배 조성물 외부에 위치되어, 씰이 접촉 면 대 면으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2개의 부직면 사이에 형성된다.
튜브 형성 유닛 및 길이방향 씰링 유닛이 공급 유닛 앞에 위치한 경우, 무연 담배 조성물 또는 비담배 조성물이 공급 유닛에 의해 이미 형성되고 씰링된 튜브형 구조에, 예를 들어 1회분들로서, 공급될 수 있다.
대안적인 장치에서, 공급 유닛은 무연 담배 조성물 또는 비담배 조성물이 먼저 웹, 예를 들어 1회분들로서, 웹 상에 배치되도록, 튜브 형성 유닛 및 길이방향 씰링 유닛 전에 위치될 수 있고 그 후에 튜브형 구조가 무연 담배 조성물 또는 비담배 조성물 주위에 형성된다. 웹은 예를 들어 무연 담배 조성물 또는 비담배 조성물 주위에 길이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튜브 형성 유닛이 전술한 폴딩 유닛인 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튜브형 구조는 대신에 하나 이상의 튜브형 구조가 2개의 웹 사이에 형성되도록 제 1 타액-투과성 부직포 웹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 2 타액-투과성 부직포 웹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그 경우에, 공급 유닛은 튜브 형성 유닛 및 길이방향 씰링 유닛의 하류 또는 상류에 위치될 수 있다.
장치는 웹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연속적인 개별 제품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씰을 만들어 포장재의 웹을 개별 제품으로 형성하기 위한 횡방향 씰링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횡방향 씰링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히트-씰링 유닛 또는 초음파 씰링 유닛이다.
개별 제품은, 예를 들어 WO 2017/093486 A1에 개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 씰링 유닛과 결합될 수 있는 분리 유닛의 컷팅 또는 천공에 의해 분리선을 따라 서로 분리되거나 갈라질 수 있다.
웹을 따라 2개의 연속적인 개별 제품 사이에 단일 횡방향 씰이 형성되는 경우, 연속적인 제품의 인접한 양쪽 단부가 동시에 씰링되도록 컷팅 또는 천공이 바람직하게는 횡방향 씰 내에 만들어진다.
본 발명은 또한 구강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용 포장재 웹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웹은 섬유를 포함하는 타액 투과성 부직포 웹이며, 섬유의 0% 내지 95%가 제 1 유형이고, 섬유의 5%-100%가 제 2 유형이며, % 숫자는 21℃ 및 50% RH에서 총 섬유 중량%로 결정되며, 제 1 유형의 섬유는 셀룰로스 기반 스테이플 섬유이고, 제 2 유형의 섬유는 적어도 표면에서 용융 및/또는 연화될 수 있는 열가소성 섬유이며, 상기 방법은:
a) 프리-웹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섬유를 카딩하는 단계;
b) 포장재 웹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2 유형의 섬유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 및/또는 연화시키도록 상기 프리-웹을 통해 공기를 송풍함으로써 상기 프리-웹을 본딩하는 단계; 및
c) 상기 웹을 매끈하게 캘린더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이점은 상기 장치에 대해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장치로 수행된다.
카딩 전에 섬유가 공급된다. 제 1 유형의 섬유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유형의 제 1 섬유 공급 유닛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제 2 유형의 섬유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유형의 제 2 섬유 공급 유닛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섬유는 카딩 유닛에 도달하기 전에 서로 분리된다. 제 1 유형 및 제 2 유형 모두의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 두 유형의 섬유는 유리하게는 카딩 전에 서로 혼합되어 함께 카딩된다.
이 방법은 단계 a)에서 카딩에 의해 형성된 프리-웹을 프리-본딩하는 선택적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스루 본딩의 b) 단계 이전에 프리-본딩이 수행된다. 상기 프리 본딩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프리 본딩 유닛에서 수행될 수 있다. 프리-본딩은 80℃-155℃, 바람직하게는 90℃-14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135℃, 가장 바람직하게는 110℃-130℃ 범위 내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온도 간격은 제 1 및 제 2 유형의 섬유의 용융 온도에 따라 선택되어 프리-본딩의 온도가 각각의 용융 온도보다 낮도록 한다. 프리-본딩은 생략할 수 있는 선택적 단계이다.
제 2 유형의 섬유가 전술한 바와 같은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섬유이고, 제 2 성분이 제 1 성분보다 낮은 용융 온도를 갖는 경우, 단계 b)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2 유형의 섬유의 제 2 성분의 용융 및/또는 연화에 의해 웹을 본딩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 b)의 에어-스루 본딩에서, 제 2 유형의 섬유는 용융 또는 연화되고 섬유를 함께 결합하여 코헤시브 웹을 형성하여 웹이 형성된다. 제 2 유형의 섬유가 제 1 및 제 2 성분을 포함하는 상술한 열가소성 섬유인 경우, 제 2 성분은 부분적으로 용융되거나 연화되어 섬유를 함께 결합하여 코헤시브 웹을 형성한다.
단계 b)의 에어-스루 본딩은 위에서 언급한 온도 범위 내에서 장치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플랫 에어-스루 드라이어에서 수행될 수 있다. 플랫 에어-스루 드라이어를 사용하는 경우, 프리-본딩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상기 참조).
대안으로 또는 보완으로서, 단계 b)의 에어-스루 본딩은 위에서 언급한 온도 범위 내에서 장치와 결부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실린더 에어-스루 드라이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프리-본딩과 에어-스루 본딩의 조합이 있을 수 있거나, 또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프리-본딩에서 에어-스루 본딩으로의 슬라이딩 스케일이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c)는 단계 b)보다 낮은 온도에서 수행된다. 이에 의해, 단계 b) 및 c)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웹의 전체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본딩이 단계 b) 동안 이미 발생하도록 선택된다. 그 다음, 단계 c)의 캘린더링을 수행하여 웹의 미리 선택 가능한 두께 및/또는 표면 마감 및/또는 공기 투과도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씰에서 제 2 유형의 섬유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시킴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씰로 웹을 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씰은 길이방향 또는 횡방향일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또는 횡방향 씰링 유닛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웹은 길이방향 및 횡방향 모두에서 씰링되며, 일반적으로 별도의 단계로 수행된다.
상기 방법은 2개의 연속적인 개별 제품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씰을 만들어 포장재의 웹을 개별 제품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횡방향 씰링은 바람직하게는 히트-씰링 또는 초음파 씰링에 의해 수행된다.
개별 제품은,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는 것과 관련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컷팅 또는 천공에 의해, 분리 단계에 의해 분리선을 따라 서로 더 분리되거나 갈라질 수 있다. 씰링 및 분리는 예를 들어 WO 2017/093486 A1에 기술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부직포 제조 분야의 숙련자에게 알려진 유형의 추가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예를 들면 파인-오프닝, 블렌딩, 크로스 래핑 및/또는 스크램블링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c)의 캘린더링 후에 웹의 와인딩 및/또는 슬리팅이 뒤따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본 발명은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의해 더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을 위한 포장재 웹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플랫 에어-스루 드라이어를 도시한다.
도 3은 실린더형 에어-스루 드라이어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도시한다.
첨부 도면은 반드시 일정한 비율로 그려진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일부 특징의 치수는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었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실시예에 의해 예시될 것이다. 그러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포함되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2 이상의 실시예로부터 세부사항들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용 포장재 웹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장치(100)는 통과하는 진행 방향에 따라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의 대시선은 선택 유닛을 나타낸다.
웹은 섬유를 포함하는 타액 투과성 부직포 웹이며, 이 중 0%-95%는 제 1 유형이고 5% -100%는 제 2 유형이다.
생략될 수 있는 제 1 유형의 섬유는 셀룰로스계 스테이플 섬유, 일반적으로 인조 섬유, 예를 들어, 레이온, 라이오셀 또는 비스코스와 같은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이다.
제 2 유형의 섬유는 열가소성 섬유이며, 이는 장치(100)에 사용되는 온도에서 적어도 표면에서 용융 및/또는 연화될 수 있다. 제 2 유형의 섬유는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성분은 제 1 성분보다 낮은 용융 온도를 갖는다. 제 2 유형의 섬유는 또한 전체 섬유가 용융 및/또는 연화될 수 있는 단일 성분 섬유일 수 있다.
장치(100)는 프리-웹을 형성하기 위해 제 1 유형 및 제 2 유형의 섬유를 카딩하기 위한 카딩 유닛(110)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섬유는 카딩 장치에 도달하기 전에 서로 분리된다. 제 1 유형 및 제 2 유형 모두의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 섬유들은 유리하게는 카딩 유닛에 공급되기 전에 서로 혼합되어 함께 카딩된다.
카딩 유닛(110)의 하류에서, 장치는 프리-본딩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리-본딩 유닛(120)은 80℃-155℃,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4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35℃, 가장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30℃ 범위 내의 온도에서 프리-웹을 통해 공기를 송풍하도록 구성된다. 온도는 제 1 및 제 2 유형의 섬유의 용융 온도에 따라 선택되며, 프리-본딩 유닛(120)의 온도는 제 1 및 제 2 유형 모두의 섬유의 용융 온도보다 낮도록 한다. 프리-본딩 유닛(120)은 생략될 수 있는 선택적 유닛이다.
장치(100)는 웹을 형성하기 위해 제 2 유형의 섬유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 및/또는 연화함으로써 프리-웹을 본딩하기 위한 에어-스루 본딩 유닛(130)을 더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제 2 유형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되거나 연화된 섬유는 섬유를 함께 결합하여 코헤시브 웹을 형성하여 결합된 웹이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추가 바인더를 추가할 필요가 없다. 제 2 유형의 섬유가 제 1 및 제 2 성분을 포함하는 상기 언급된 열가소성 섬유인 경우, 제 2 성분은 에어-스루 본딩 유닛(130)에서 부분적으로 용융 또는 연화되어 섬유를 함께 결합하여 코헤시브 웹을 형성한다.
에어-스루 본딩 유닛(130)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플랫 에어-스루 드라이어(200)를 포함하거나 이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플랫 에어-스루 드라이어(200)는 5개의 구역(202a-e)을 포함하나, 단일 구역 또는 2 내지 10개의 구역, 예를 들어 3개에서 8개 영역과 같은 다른 수의 구역으로도 가능하다. 플랫 에어-스루 드라이어(200)는 100℃-160℃, 바람직하게는 115℃-155℃, 더 바람직하게는 120℃-150℃, 가장 바람직하게는 130℃-150℃ 범위 내의 온도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플랫 에어-스루 드라이어(200)를 사용하는 경우, 프리-본딩 유닛(120)은 생략될 수 있다. 대신에, 플랫 에어-스루 드라이어(200)의 제 1 구역 중 하나 이상이 프리-본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프리-본딩에서 에어-스루 본딩으로의 슬라이딩 스케일이 있을 수도 있다.
대안으로 또는 보완으로서, 에어-스루 본딩 유닛(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에어-스루 드라이어(300)를 포함하거나 이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실린더 에어-스루 드라이어(300)는 100℃-160℃, 바람직하게는 115℃-155℃,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150℃, 가장 바람직하게는 130℃-150℃ 범위 내의 온도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실린더 에어-스루 드라이어(300)는 바람직하게는 실린더 에어-스루 드라이어(300) 앞에, 즉 상류에 위치한 프리-본딩 유닛(120)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영역 또는 2-3개의 영역과 같은 몇 개의 영역이 있는 플랫 에어-스루 드라이어와 뒤이어 실린더 에어-스루 드라이어(300)를 사용함으로써 플랫 에어-스루 드라이어(200)를 실린더 에어-스루 드라이어(300)와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플랫 에어-스루 드라이어(200)의 하나 이상의 영역이 프리-본딩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프리-본딩에서 에어-스루 본딩으로의 슬라이딩 스케일이 있을 수도 있다.
실린더 에어-스루 드라이어(300)가 적절한 방식으로 작동하려면, 중간 웹(302)이 바람직하게는 실린더 에어-스루 드라이어(300)에 도달할 때 자체적으로 지지되어야 한다(도 3 참조). 한편, 플랫 에어-스루 드라이어(200)에서, 중간 웹은 직물 또는 벨트(204)와 같은 기계 요소에 의해 지지되어 비자립식 지지 웹도 처리될 수 있다(도 2 참조).
다음에, 에어-스루 본딩 유닛(130)의 하류에, 웹의 표면 처리를 위한 캘린더 링 유닛(140)이 있다. 캘린더링은 웹의 미리 선택 가능한 두께 및/또는 표면 마감 및/또는 공기 투과도를 얻기 위해 수행된다. 따라서, 이 장치에서, 캘린더링 유닛(140)은 웹의 본딩을 얻기 위해 이용되지 않는다. 대신에, 웹은 캘린더링 유닛(140)에 도달할 때 이미 충분히 본딩되어 있다. 캘린더링 유닛(140)은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한 쌍의 롤러, 바람직하게는 매끄러운 강철 표면을 갖는 롤러를 포함하거나 이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부직포 분야의 숙련자에게 알려진 유형의 추가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딩 유닛(110) 전에, 파인 오프너, 즉 섬유 덩어리를 분해하기 위한 유닛이 있을 수 있다. 캘린더링 유닛(140) 다음에 와인딩 유닛 및/또는 슬리팅 유닛이 뒤따를 수 있다.
장치(100)는 무연 담배 조성물 또는 비담배 조성물을 둘러싸기에 적합한 튜브형 구조로 웹을 형성하기 위한 튜브 형성 유닛(150)을 더 포함한다. 튜브형 구조는 구강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에 적합한 폭을 갖는다. 튜브 형성 유닛(150)은, 예를 들어, 웹을 튜브형 구조로 접는 폴딩 유닛을 포함한다.
도 1의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씰을 만들어 포장재 웹의 튜브형 구조를 튜브형 형상으로 고정하여, 이로써 튜브형 구조를 고정시키기 위한 길이방향 씰링 유닛(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길이방향 씰링 유닛(160)은 튜브 형성 유닛(150)에 형성된 전술한 튜브형 구조에서 씰을 만들기 위해 사용된다. 길이방향 씰링 유닛(160)은 가령 히트-씰링 장치 또는 초음파 씰링 유닛일 수 있다. 이에 의해, 무연 담배 조성물 또는 비담배 조성물이 공급 유닛(170)에 의해 이미 형성되고 씰링된 튜브형 구조에 공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연 담배 조성물 또는 비담배 조성물은 무연 담배 조성물 또는 비담배 조성물의 1회분들로서 공급된다.
길이방향 씰링 유닛(160)에서, 제 2 유형의 섬유의 적어도 부분적 용융에 의해 부직포 웹에 씰을 생성하기 위해 에너지가 가해진다. 제 2 유형의 섬유가 제 1 및 제 2 성분을 포함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섬유인 경우, 적어도 제 2 성분이 용융되고,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성분 모두가 용융된다. 씰은 바람직하게는 무연 담배 조성물 또는 비담배 조성물 외부에 위치되어, 씰이 서로에 대해 면 대 면으로 배치되는 2개의 부직면 사이에 형성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튜브 형성 유닛(150) 및 길이방향 씰링 유닛(160)은 공급 유닛(170)의 앞에, 즉 공급 유닛(170)의 상류에 위치되어, 무연 담배 조성물 또는 비담배 조성물이 공급 유닛(170)에 의해 이미 형성된 튜브형 구조에 공급된다.
대안적인 장치에서, 공급 유닛(170)은 튜브 형성 유닛(150) 및 길이방향 씰링 유닛(160) 이전에 위치될 수 있어, 예를 들어 1회분들로서 무연 담배 조성물 또는 비담배 조성물이 먼저 웹 상에 배치되고 그 후에 튜브형 구조가 무연 담배 조성물 또는 비담배 조성물 주위에 형성된다. 웹은 예를 들어 무연 담배 조성물 또는 비담배 조성물 주위에 길이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장치(100)는 웹에 의해 형성된 2개의 연속적인 개별 제품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씰을 만들어 개별 제품으로 포장재 웹을 형성하기 위한 횡방향 씰링 유닛(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별 제품은 또한 가령 분리 유닛(190)에서 컷팅 또는 천공에 의해 분리선을 따라 분리되거나 갈라질 수 있다. 횡방향 씰링 유닛(180)은 길이방향 씰링 유닛(160)에 대해 전술한 씰링 유닛의 종류와 같이 히트 씰링 유닛 또는 초음파 씰링 유닛일 수 있다. 분리 유닛(190)는 예를 들어 WO 2017/093486 A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씰링 및 분리를 위해 동일한 초음파 유닛을 사용하는 경우 횡방향 씰링 유닛(180)과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용 포장재 웹의 제조 방법(4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방법(400)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장치(100)에서 수행되기에 적합하다. 그 경우, 방법의 단계는 장치(100)의 다양한 유닛에 대응한다. 도 4의 대시선은 선택적 유닛을 나타낸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웹은 섬유를 포함하는 타액 투과성 부직포 웹으로서, 이 중 0%-95%가 제 1 유형이고 5%-100%가 제 2 유형이다. 생략될 수 있는 제 1 유형의 섬유는 셀룰로오스계 스테이플 섬유이다. 제 2 유형의 섬유는 적어도 표면에서 용융 및/또는 연화될 수 있는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을 포함한 열가소성 섬유이며, 상기 제 2 성분은 상기 제 1 성분보다 낮은 용융 온도를 갖는다.
이 방법은:
섬유를 카딩하여 프리-웹을 형성하는 단계(410);
포장재 웹을 형성하기 위해 제 2 유형의 섬유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 및/또는 연화시키도록 상기 프리-웹을 통해 공기를 송풍함으로써 상기 프리-웹을 본딩하는 단계(430); 및
상기 웹을 매끈하게 캘린더링하는 단계(440)를 포함한다.
제 2 유형의 섬유가 전술한 바와 같은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섬유인 경우, 제 2 성분은 제 1 성분보다 용융 온도가 더 낮고, 단계(430)는 바람직하게는 제 2 유형의 섬유의 제 2 성분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 및/또는 연화에 의해 웹을 본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400)은 선택적인 단계: 즉
단계(410)에서 카딩에 의해 형성된 프리-웹을 프리-본딩하는 단계(420)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420)의 프리-본딩은 에어-스루 본딩의 단계(430) 이전에 수행된다. 프리-본딩 단계(420)는 프리-웹을 통해 공기를 송풍하도록 구성된 프리-본딩 유닛(1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의 설명을 참조하라. 단계(420)의 프리-본딩은 80℃ 내지 155℃,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4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35℃, 가장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30℃ 범위 내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온도 간격은 제 1 및 제 2 유형의 섬유의 용융 온도에 따라 선택되어 프리-본딩 단계(420)에서의 온도가 각각의 용융 온도보다 낮도록 한다. 또한, 프리-본딩 단계(420)는 생략될 수 있는 선택적 단계이다.
단계(440)의 캘린더링은 바람직하게는 단계(430)의 에어-스루 본딩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수행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단계(430 및 440)의 온도는 웹의 모든 본딩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본딩이 단계(430) 동안 이미 발생하도록 선택된다. 단계(440)에서의 캘린더링은 웹의 미리 선택가능한 두께 및/또는 표면 마감 및/또는 공기 투과도를 얻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430)의 에어-스루 본딩에서, 제 2 유형의 섬유는 섬유를 용융 또는 연화시키고 함께 결합하여 코헤시브 웹을 형성하여 웹이 형성되도록 한다. 제 2 유형의 섬유가 제 1 및 제 2 성분을 포함하는 상기 언급된 열가소성 섬유인 경우, 제 2 성분은 부분적으로 용융되거나 연화되어 섬유를 함께 결합하여 코헤시브 웹을 형성한다.
단계(430)의 에어-스루 본딩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 에어-스루 드라이어(2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 경우에, 단계(430)의 에어-스루 본딩은 위에서 언급된 범위 내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플랫 에어-스루 드라이어(200)를 사용하는 경우, 프리-본딩 단계(420)는 생략할 수 있다(상기 참조).
대안으로 또는 보완으로서, 단계(430)의 에어-스루 본딩은 실린더 에어-스루 드라이어(300),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린더 에어-스루 드라이어(3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 경우에, 단계(430)의 에어-스루 본딩은 위에서 언급된 범위 내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프리-본딩 및 에어-스루 본딩의 조합이 있을 수 있거나 가령 도 1과 결부하여 또한 상술된 프리-본딩에서 에어-스루 본딩으로의 슬라이딩 스케일이 있을 수 있다.
방법(400)은 다음의 선택적인 단계들:
웹을 튜브형 구조로 형성하는 단계(450);
길이방향 씰링 단계(460);
무연 담배 조성물 또는 비담배 조성물 공급 단계(470);
횡방향 씰링 단계(480); 및
분리 단계(490)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450)는, 예를 들어, 폴딩에 의해 웹의 적어도 하나의 튜브형 구조를 형성하는 튜브 형성 유닛(1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튜브형 구조는 구강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에 적합한 폭을 갖는다.
튜브 형성 유닛(150)은 도 4의 좌측에 도시된 방법에서와 같이 공급 유닛(170) 앞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예를 들어, 1회분들로서 나중에 무연 담배 조성물 또는 비담배 조성물이 공급 유닛(170)에 의해 이미 형성된 튜브형 구조로 공급될 수 있다(아래의 단계(470) 참조).
도 1의 방법(400)은 씰이 형성되는 위치에서 웹 내의 제 2 유형의 섬유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시킴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씰로 웹을 씰링하는 선택적 단계를 더 포함한다. 씰링은 단계(460)에서와 같이 길이방향 씰링 또는 단계(480)에서와 같이 횡방향 씰링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씰링은 먼저 길이방향으로 수행되고 그 후에 횡방향으로, 즉 단계(460 및 480)을 수행함으로써, 수행된다.
길이방향 씰링 단계(460)로 인해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씰을 만들어 포장재 웹이 튜브 형상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길이방향 씰링(460)이 수행되어 씰을 만들고 이에 따라 전술한 튜브형 구조를 고정한다. 길이방향 씰링(46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히트 씰링 또는 초음파 씰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씰링하는 동안, 부직포에 씰을 생성하기 위해 에너지가 가해진다. 씰은 바람직하게는 무연 담배 조성물 또는 비담배 조성물 외부에 위치되어, 서로에 대해 면 대 면으로 배치되는 2개의 부직면 사이에 씰이 형성된다. 도 4의 좌측에 도시된 방법에서, 길이방향 씰링 단계(460)는 단계(470) 전에 수행되어, 무연 담배 조성물 또는 비담배 조성물이 이미 형성되고 씰링된 튜브형 구조로 공급된다.
대안으로서, 튜브 형성 유닛(150)은 웹을 튜브형 구조로 형성하는 단계(460') 전에 무연 담배 조성물 또는 비담배 조성물을 공급하는 단계(450')가 수행되도록 공급 유닛 뒤에 위치할 수 있다(도 4의 우측에 도시된 방법 참조). 무연 담배 조성물 또는 비담배 조성물은 그 다음 일반적으로 1회분들로서 웹 상에 먼저 배치되고, 그 후 튜브형 구조가 무연 담배 조성물 또는 비담배 조성물 주위에 형성된다. 웹은 예를 들어 무연 담배 조성물 또는 비담배 조성물 주위에 길이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그 후, 단계(460') 뒤에 길이방향 씰링 단계(470')이 잇따른다.
웹을 튜브형 구조로 접는 대안적인 또는 보완적인 방법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두 웹 사이에 하나 이상의 튜브형 구조가 형성되도록 제 2 타액 투과성 부직포 웹이 제 1 타액 투과성 부직포 웹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 경우, 무연 담배 조성물 또는 비담배 조성물을 공급하는 단계는 튜브형 구조를 형성하기 전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좌측에 도시된 단계(450에서 470) 또는 우측에 도시된 단계(450'에서 470')를 따르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 후, 무연 담배 조성물 또는 비담배 조성물의 길이방향 측면에 길이방향 씰이 있게 된다.
방법(400)은 2개의 개별 제품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씰을 만들어 포장재의 웹을 개별 제품으로 형성하기 위한 횡방향 씰링 단계(4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횡방향 씰링은 가령 전술한 횡방향 씰링 유닛(180)에서 히트 씰링 또는 초음파 씰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개별 제품은 또한 분리 단계(490)에 의해, 가령, 장치(100)를 설명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컷팅 또는 천공에 의해, 분리선을 따라 서로 분리되거나 갈라질 수 있다. 횡방향 씰링(480) 및 분리(490)는 공통 단계로서 수행될 수 있다.
첨부된 청구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추가 수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오히려, 본 발명의 전체 범위는 명세서 및 도면을 참조하여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16)

  1. 구강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용 포장재 웹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100)로서,
    상기 웹은 섬유를 포함하는 타액 투과성 부직포 웹이며, 상기 섬유의 0%-95%가 제 1 유형이고 상기 섬유의 5%-100%가 제 2 유형이며,
    상기 제 1 유형의 상기 섬유는 셀룰로오스계 스테이플 섬유이고,
    상기 제 2 유형의 상기 섬유는 적어도 표면에서 용융성 및/또는 연화성 열가소성 섬유이며,
    상기 장치(100)는:
    - 상기 섬유를 카딩하여 프리-웹(pre-web)을 형성하기 위한 카딩 유닛(110);
    - 상기 웹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2 유형의 상기 섬유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 및/또는 연화하여 상기 프리-웹을 본딩하기 위한 에어-스루 본딩 유닛(130); 및
    - 상기 웹의 표면 처리를 위한 캘린더링 유닛(140)을 포함하는 장치(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스루 본딩 유닛(130)은 플랫 에어-스루 드라이어(200)를 포함하거나 이에 의해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랫 에어-스루 드라이어(200)는 100℃-160℃, 바람직하게는 110℃-1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150℃, 가장 바람직하게는 120℃-140℃ 범위 내의 온도에서 상기 프리-웹을 통해 공기를 송풍하도록 구성되는 장치(10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스루 본딩 유닛(130)은 실린더 에어-스루 드라이어(300)를 포함하거나 이에 의해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린더 에어-스루 드라이어(300)는 100℃-160℃, 바람직하게는 115℃-155℃,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150℃, 가장 바람직하게는 130℃-150℃ 범위 내의 온도에서 상기 프리-웹을 통해 공기를 송풍하도록 구성되는 장치(100).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스루 본딩 유닛(130) 앞에 위치되는 프리-본딩(pre-bonding) 유닛(120)을 더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리-본딩 유닛(120)은 80℃-155℃, 바람직하게는 90℃-140℃, 더 바람직하게는 100℃-135℃, 가장 바람직하게는 110℃-130℃ 범위 내의 온도에서 상기 프리-웹을 통해 공기를 송풍하도록 구성되는 장치(100).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캘린더링 유닛(140)은 45℃-120℃, 바람직하게는 50℃-110℃, 보다 바람직하게는 55℃-100℃, 가장 바람직하게는 55℃-70℃ 범위 내의 표면 처리 온도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장치(100).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캘린더링 유닛(140)은 5-70 kg/㎠, 바람직하게는 15-60 kg/㎠, 보다 바람직하게는 20-50 kg/㎠, 가장 바람직하게는 25-40 kg/㎠ 범위 내의 압력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장치(100).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캘린더링 유닛(140)은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한 쌍의 롤러, 바람직하게는 매끄러운 강철 표면을 갖는 롤러를 포함하거나 이에 의해 구성되는 장치(100).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예를 들어, 1회분들로서, 상기 웹에 무연 담배 조성물 또는 비담배 조성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유닛(170); 및
    - 상기 웹을 튜브형 구조로 형성하기 위한 튜브 형성 유닛(150)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 형성 유닛은 상기 공급 유닛(170) 전후에 위치되는 장치(100).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씰을 제조함으로써 상기 포장재의 웹을 튜브형 형상으로 고정하기 위한 길이방향 씰링 유닛(160)을 더 포함하고, 바람직하기로 상기 길이방향 씰링 유닛(160)은 히트-씰링 유닛 또는 초음파 씰링 유닛인 장치(100).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별 제품 중 2개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씰을 만들어 상기 포장재 웹을 상기 개별 제품들로 형성하기 위한 횡방향 씰링 유닛(18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횡방향 씰링 유닛(180)은 바람직하게는 히트-씰링 유닛 또는 초음파 씰링 유닛인 장치(100).
  11. 구강 파우치형 코담배 제품용 포장재 웹의 제조 방법(400)으로서,
    상기 웹은 섬유를 포함하는 타액 투과성 부직포 웹이며, 이중 상기 섬유의 0-95%는 제 1 유형이고 상기 섬유의 5%-100%는 제 2 유형이며, 상기 제 1 유형의 섬유는 셀룰로오스계 스테이플 섬유이고, 상기 제 2 유형의 섬유는 적어도 표면에서 용융성 및/또는 연화성 열가소성 섬유이며,
    상기 방법(400)은:
    a) 프리-웹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섬유를 카딩(410)하는 단계;
    b) 포장재 웹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2 유형의 섬유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 및/또는 연화시키도록 상기 프리-웹을 통해 공기를 송풍함으로써 상기 프리-웹을 본딩(430)하는 단계; 및
    c) 상기 웹을 매끈하게 캘린더링하는 단계(440)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형의 상기 섬유는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섬유이고, 상기 제 2 성분은 상기 제 1 성분보다 용융 온도가 더 낮으며,
    상기 방법의 단계 b)는 상기 제 2 유형의 상기 섬유의 상기 제 2 성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 및/또는 연화함으로써 상기 웹을 본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단계 c)는 단계 b)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수행되고, 바람직하게는 단계 b) 및 c)의 온도는 웹의 전체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본딩이 단계 b) 동안 이미 발생하도록 선택되는 방법.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c)에서 상기 캘린더링은 상기 웹의 미리 선택 가능한 두께 및/또는 표면 마감 및/또는 공기 투과도를 얻도록 수행되는 방법.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씰에서 상기 제 2 유형의 섬유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시킴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씰로 상기 웹을 씰링하는 단계(460, 480)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제품들 중 2개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씰을 만들어 상기 포장재 웹을 상기 개별 제품들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횡방향 씰(480)은 바람직하게는 히트-씰링 또는 초음파 씰링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KR1020217024074A 2019-02-19 2020-02-17 포장재 웹 제조 KR202101313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950206-1 2019-02-19
SE1950206A SE543542C2 (en) 2019-02-19 2019-02-19 Arrang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a web of packaging material for an oral pouched snuff product
PCT/EP2020/054050 WO2020169513A1 (en) 2019-02-19 2020-02-17 Manufacturing of a web of packaging materi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320A true KR20210131320A (ko) 2021-11-02

Family

ID=69631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4074A KR20210131320A (ko) 2019-02-19 2020-02-17 포장재 웹 제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145502A1 (ko)
EP (1) EP3927874B1 (ko)
JP (1) JP7463387B2 (ko)
KR (1) KR20210131320A (ko)
CA (1) CA3126971A1 (ko)
PH (1) PH12021551539A1 (ko)
SE (1) SE543542C2 (ko)
WO (1) WO20201695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15061A1 (en) 2022-01-25 2023-07-26 Swedish Match North Europe AB Cutting unit and method for cutting a web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3765A (en) 1983-09-09 1987-11-03 United States Tobacco Company Precise portion packaging machine
US5814390A (en) * 1995-06-30 1998-09-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reased nonwoven web with stretch and recovery
SE506146C2 (sv) 1996-08-26 1997-11-17 Swedish Match Sverige Ab Anordning för förpackning av finfördelat, befuktat tobaksmaterial
SE529886C2 (sv) 2006-04-28 2007-12-18 Swedish Match North Europe Ab En ny metod för framställning av en fuktsnuskomposition som inte innehåller tobak
US9139940B2 (en) 2006-07-31 2015-09-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onded nonwoven fibrous webs comprising softenable oriented semicrystalline polymeric fibers and apparatus and methods for preparing such webs
US7985275B2 (en) * 2006-10-02 2011-07-26 General Electric Company Filter media and devices for high temperature filtration and methods
US20100187143A1 (en) 2007-04-26 2010-07-29 Swedish Match North Europe Ab Moist non-tobacco snuff product
US20100018539A1 (en) 2008-07-28 2010-01-28 Paul Andrew Brinkley Smokeless tobacco products and processes
BR112013002861A2 (pt) 2010-08-05 2016-06-07 Altria Client Services Inc tecido tendo tabaco emaranhado com fibras estruturais
US8828895B2 (en) * 2010-08-25 2014-09-09 Nonwoven Network LLC Webs of bi-component and mono-component Co-PLA fibers
US8931493B2 (en) * 2010-11-01 2015-01-13 R.J. Reynolds Tobacco Co. Smokeless tobacco products
US9591875B2 (en) * 2012-09-21 2017-03-14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Fibrous composite tobacco-containing materials
US10959456B2 (en) * 2014-09-12 2021-03-30 R.J. Reynolds Tobacco Company Nonwoven pouch comprising heat sealable binder fiber
US20160157515A1 (en) * 2014-12-05 2016-06-09 R.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eless tobacco pouch
ES2759944T3 (es) 2015-12-02 2020-05-12 Swedish Match North Europe Ab Dispositivo de obturación
CN105365025B (zh) * 2015-12-10 2017-11-21 湖南维以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椰炭纤维板及其制备方法
US20170281425A1 (en) * 2016-03-30 2017-10-05 Basf Se Fluid-absorbent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63387B2 (ja) 2024-04-08
EP3927874A1 (en) 2021-12-29
EP3927874C0 (en) 2023-06-07
WO2020169513A1 (en) 2020-08-27
CA3126971A1 (en) 2020-08-27
EP3927874B1 (en) 2023-06-07
US20220145502A1 (en) 2022-05-12
PH12021551539A1 (en) 2022-02-28
SE543542C2 (en) 2021-03-23
JP2022521583A (ja) 2022-04-11
SE1950206A1 (en) 202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86689A1 (en) Nonwoven pouch comprising heat sealable binder fiber
EP3927190B1 (en) A packaging material and an oral pouched snuff product
KR102569303B1 (ko) 구강 파우치 스너프 제품을 생산하는 방법
US11019840B2 (en) Oral pouch products
JP6257631B2 (ja) 繊維状複合タバコ含有材料
DK2428126T3 (en) Smokeless oral product
KR20210131320A (ko) 포장재 웹 제조
RU2808142C2 (ru) Изготовление полотна упаково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RU2809356C2 (ru) Упаковочный материал и пакетированный продукт в виде снаффа,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й для ораль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CA3232150A1 (en) Method for moisturizing a pouched product for oral use
EP3992093B1 (en) Pouched product for oral use, sealing method, sealing de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ouched product for oral use
EP4350063A1 (en) An oral pouched product comprising a liquid permeable pouch of fibrous nonwoven material
JP2023528847A (ja) 包装材料及び経口用袋状製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