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0999A - 복용 이행을 돕는 복용 관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용 이행을 돕는 복용 관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0999A
KR20210130999A KR1020200049244A KR20200049244A KR20210130999A KR 20210130999 A KR20210130999 A KR 20210130999A KR 1020200049244 A KR1020200049244 A KR 1020200049244A KR 20200049244 A KR20200049244 A KR 20200049244A KR 20210130999 A KR20210130999 A KR 20210130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duct
dose
weight informa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8188B1 (ko
Inventor
안성복
양은재
허한민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49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188B1/ko
Publication of KR20210130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18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electronic history memo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A61J7/0436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resulting from removing a drug from, or opening, a contain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00Systems for signalling characterised solely by the form of transmission of the signal
    • G08B1/04Systems for signalling characterised solely by the form of transmission of the signal using hydraulic transmission; using pneuma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거치부; 제품의 무게 정보를 생성하는 무게 측정부; 제품의 형상 정보를 생성하는 형상 측정부; 제품에 대한 복용 시간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저장부; 측정된 무게 정보에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측정된 무게 정보를 비교하며, 제품의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복용 여부에 따라 알림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복용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복용 이행을 돕는 복용 관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방법{DOSAGE MANAGEMENT DEVICES TO ASSIST WITH MEDICATION USE INTERNALLY,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용 이행을 돕는 복용 관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치된 제품으로부터 측정되는 형상 또는 무게에 따라 사용자의 복용 여부를 판단하여, 복용을 이행할 것을 알리는 복용 관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가 고령화 사회로 급속하게 전환되면서 만성질환자, 복합질환자가 증가하여, 여러 개의 약을 장기간 동시에 복용하는 장기투약대상자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질환에 대한 치료의 효율성 증대를 위해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는 단기화학치료요법(DOTS: Direct Observed Treatment Short-course)을 통한 관리 체계를 적극 권장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보건복지부에서도 2011년, 결핵관리 사업 지침을 통해 직접복용관리 정책의 도입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직접복용관리 정책은 2020년까지 범국가 차원의 관리 사업 계획이 수립되어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투약 보조 인력을 통한 관리체계의 경우 환자 1인 당 동일한 수의 관리인이 투입되어야 하는 한계가 존재하며, 이로 인해, 확대 보급이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IT기술을 통한 적극적인 투약 보조시스템의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으나, 요구되는 수준에 맞는 제품 개발은 미비한 상황이다.
또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체 국민의 89.3%가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고 있다. 그러나, 상당 비율의 소비자들이 복용 순응도가 낮아 건강기능식품의 효과를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만성질환자나 고령자, 건강기능식품 섭취자와 같이 일상 생활에서 규칙적으로 약을 복용해야 하는 사용자들은 여러 개의 약을 정확한 시간에 지속적으로 복용해야 한다. 그러나, 기억력 감퇴 등의 원인으로 인해 별도의 복용관리를 하지 않을 경우, 실제로 정확한 시간에 지속적으로 약을 복용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그러므로, 정해진 복용 스케줄에 쉽게 적응하고, 정확한 시간에 정확한 분량의 약을 복용하도록 계획적인 약복용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거치된 제품으로부터 측정되는 형상 또는 무게에 따라 사용자의 복용 여부를 판단하여, 복용을 이행할 것을 알리는 복용 관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하나 이상의 제품이 거치되도록 마련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제품의 무게를 측정하여 무게 정보를 생성하는 무게 측정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제품의 형상을 측정하여 형상 정보를 생성하는 형상 측정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제품에 대한 복용 시간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복용 시간 정보, 상기 무게 정보 및 상기 형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측정된 무게 정보에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측정된 무게 정보를 비교하며, 무게 정보의 변화에 매칭되는 형상 정보에 따른 제품의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복용 여부에 따라 알림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치부에 하나 이상의 낱개 제품이 마련되는 용기가 거치된 경우에,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용기의 제 1 무게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용기로부터 하나의 낱개 제품이 제거된 상태의 용기의 제 2 무게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 1 무게 정보와 상기 제 2 무게 정보의 차이를 계산하여, 상기 용기에 마련된 낱개 제품의 무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형상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측정된 무게 정보를 차이를 계산하여, 상기 형상 정보에 무게 정보를 매칭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형상 정보가 생성된 위치를 판단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임의의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지점에서 상기 제품이 일시적으로 제거되었다가 다시 거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상기 제품이 다시 거치되어 생성된 무게 정보를 비교하여, 복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용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각에 상기 제품에 대한 복용 여부가 미복용으로 나타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복용 시간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복용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용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각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범위를 벗어나는 시각에 상기 제품에 대한 복용 여부가 복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제품 오용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오용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제품의 1회 복용 용량을 나타내는 복용 용량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복용 여부에 따라 재 측정된 무게 정보의 차이가 상기 복용 용량 정보에 따른 용량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용량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제품 남용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남용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사용자로부터 제품에 대한 복용 시간 정보를 입력 받는 단말 장치; 하나 이상의 제품이 거치되도록 거치부를 마련하고,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제품의 무게를 측정하여 무게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제품의 형상을 측정하여 형상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제품에 대한 복용 시간 정보를 전달 받고, 상기 복용 시간 정보, 상기 무게 정보 및 상기 형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하며, 측정된 무게 정보에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측정된 무게 정보를 비교하며, 무게 정보의 변화에 매칭되는 형상 정보에 따라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복용 관리 장치; 및 상기 복용 관리 장치로부터 판단된 복용 여부를 전달받고, 상기 제품의 복용 여부를 전달받은 시각을 나타내는 판단 시간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판단 시간 정보에 따른 상기 복용 여부를 나타내는 복용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서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제품의 1회 복용 용량을 나타내는 복용 용량 정보를 더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용 관리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복용 용량 정보를 전달받고,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복용 여부에 따라 재 측정된 무게 정보의 차이가 상기 복용 용량 정보에 따른 용량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용량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제품 남용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남용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복용 패턴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복용 패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은, 하나 이상의 제품이 거치되도록 거치부를 마련하여 복용 이행을 돕는 복용 관리 장치를 이용한 복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제품에 대한 복용 시간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제품의 무게를 측정하여 무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제품의 형상을 측정하여 형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용 시간 정보, 상기 무게 정보 및 상기 형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측정된 무게 정보에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측정된 무게 정보를 비교하며, 무게 정보의 변화에 매칭되는 형상 정보에 따른 제품의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복용 여부에 따라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거치부에 하나 이상의 낱개 제품이 마련되는 용기가 거치된 경우에,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용기의 제 1 무게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용기로부터 하나의 낱개 제품이 제거된 상태의 용기의 제 2 무게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 1 무게 정보와 상기 제 2 무게 정보의 차이를 계산하여, 상기 용기에 마련된 낱개 제품의 무게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형상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측정된 무게 정보를 차이를 계산하여, 상기 형상 정보에 무게 정보를 매칭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형상 정보가 생성된 위치를 판단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임의의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지점에서 상기 제품이 일시적으로 제거되었다가 다시 거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상기 제품이 다시 거치되어 생성된 무게 정보를 비교하여,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용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각에 상기 제품에 대한 복용 여부가 미복용으로 나타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복용 시간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복용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용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각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범위를 벗어나는 시각에 상기 제품에 대한 복용 여부가 복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제품 오용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오용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용 시간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제품의 1회 복용 용량을 나타내는 복용 용량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복용 여부에 따라 재 측정된 무게 정보의 차이가 상기 복용 용량 정보에 따른 용량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용량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제품 남용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남용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복용 이행을 돕는 복용 관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거치된 제품으로부터 측정되는 형상 또는 무게에 따라 사용자의 복용 여부를 판단하여, 복용을 이행할 것을 알릴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용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용 관리 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3은 도2의 저장부에서 복용 시간 정보가 저장되는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4는 도2의 제어부에서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5는 도1의 서버 장치에서 복용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용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용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복용 관리 시스템(1)은 단말 장치(100), 복용 관리 장치(200) 및 서버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제품에 대한 복용 시간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또한, 단말 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복용 시간 정보를 복용 관리 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장치(100)는 복용 관리 장치(200)에 인식된 제품에 대한 복용 시간 정보를 복용 관리 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복용 관리 장치(200)는 인식된 제품을 단말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품은 약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등의 품목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제품은 일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규칙적으로 이용하는 품목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용 시간 정보는 제품을 이용하도록 설정되는 시간을 나타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용 시간 정보는 식후 30분, 식전 30분, 매일 아침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복용 관리 장치(200)는 제품의 위치 정보를 단말 장치(100)에 전달할 수도 있으며, 여기에서, 위치 정보는 복용 관리 장치(200)에 거치된 제품에 대해, 거치 영역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으며, 이때, 위치 정보는 제품이 위치하는 영역의 좌표 또는 픽셀의 위치 등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장치(100)는 복용 관리 장치(200)에 거치된 제품의 위치에 따라 각각의 제품에 대한 복용 시간 정보를 각각 입력 받을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제품의 1회 복용 용량을 나타내는 복용 용량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또한, 단말 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복용 용량 정보를 복용 관리 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장치(100)는 복용 관리 장치(200)에 거치된 제품의 위치에 따라 각각의 제품에 대한 복용 용량 정보를 각각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100)는 서버 장치(300)로부터 복용 패턴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단말 장치(100)는 그래프, 이미지, 영상 등의 형태로 복용 패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용 패턴 정보는 사용자가 복용 관리 장치(200)에 거치된 제품을 이용한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으며, 복용 패턴 정보는 복용 관리 장치(200)에서 생성되는 복용 여부에 대한 정보가 시간에 따라 나열되도록 마련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복용 관리 장치(200)에 거치된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단말 장치(100)는 전달받은 제품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품에 대한 정보는 거치된 제품의 잔여 용량, 거치된 제품의 종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 장치(100)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Tablet) 등의 개인화된 단말 기기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용 관리 장치(200)에 거치된 제품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복용 관리 장치(200)에 거치된 제품에 대한 복용 시간 및 복용 용량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수정할 수 있다.
복용 관리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제품이 거치되도록 마련되는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용 관리 장치(200)는 거치부에 거치된 제품의 무게를 측정하여 무게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복용 관리 장치(200)는 거치부에 거치된 제품의 형상을 측정하여 형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게 정보는 거치부에 거치된 제품의 무게를 나타낼 수 있으며, 형상 정보는 거치부에 거치된 제품이 거치부와 맞닿는 바닥면의 형상, 면적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용 관리 장치(200)는 제품에 의해 거치부에 작용하는 압력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압력 변환기, 압력계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복용 관리 장치(200)는 압력에 의해 변환된 전기 신호의 크기에 따라 거치부에 거치된 제품의 무게를 측정하여 무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복용 관리 장치(200)는 레이저, 초음파 등의 신호를 송신하여, 제품에 의해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초음파 센서, 레이저 센서, 레이더 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복용 관리 장치(200)는 반사되는 신호에 따라 거치부에 거치된 제품의 형상을 측정하여 형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복용 관리 장치(200)는 제품에 의해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의 위치에 따라 거치부에 거치된 제품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복용 관리 장치(200)는 센서가 제품에 의해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에 따라 거치부에 거치된 제품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복용 관리 장치(200)는 거치부에 거치되는 제품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복용 관리 장치(200)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으로부터 거치부에 거치된 제품의 형상을 판단하여 형상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또한, 복용 관리 장치(200)는 영상 내에서 제품을 나타내는 픽셀의 위치에 따라 거치부에 거치된 제품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복용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거치부에 거치되는 제품에 대한 복용 시간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복용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거치부에 거치되는 제품의 1회 복용 용량을 나타내는 복용 용량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용 관리 장치(200)는 사전에 마련되는 요일, 시간, 특정 날짜 및 날짜 간격 등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선택하여 복용 시간 정보를 설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복용 관리 장치(200)는 사전에 마련되는 제품의 유형, 용량 및 개수 등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선택하여 복용 용량 정보를 설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품의 유형은 액체형, 고체형, 낱개형 등의 제품의 복용 형태와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복용 관리 장치(20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거치부에 거치되는 제품에 대한 복용 시간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복용 관리 장치(20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거치부에 거치되는 제품의 1회 복용 용량을 나타내는 복용 용량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복용 관리 장치(200)는 1회 복용 용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복용 용량 측정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복용 관리 장치(200)는 복용 용량 측정 입력을 받기 전의 무게 정보와 복용 용량 측정 입력을 받은 후에, 변화된 무게 정보의 차이를 계산하여, 복용 용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복용 관리 장치(200)는 거치부에 거치되는 제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도 있으며, 여기에서, 제품에 대한 정보는 제품의 명칭, 제조사, 식별 표시 등의 약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용 관리 장치(200)는 복용 시간 정보, 복용 용량 정보, 무게 정보 및 형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복용 관리 장치(200)는 측정된 무게 정보에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에,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측정된 무게 정보를 비교할 수 있으며, 복용 관리 장치(200)는 무게 정보의 변화에 매칭되는 형상 정보에 따라 복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용 관리 장치(200)는 형상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에,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형상 정보가 생성되어 측정된 무게 정보의 차이를 계산하여, 형상 정보에 무게 정보를 매칭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복용 관리 장치(200)는 새로운 형상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에, 해당 형상 정보가 생성되기 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새로운 형상 정보가 생성된 후에 측정된 무게 정보를 비교할 수 있으며, 복용 관리 장치(200)는 저장된 무게 정보와 측정된 무게 정보의 차이를 형상 정보에 매칭시킬 수 있다.
이때, 복용 관리 장치(200)는 형상 정보가 생성된 위치를 판단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용 관리 장치(200)는 센서가 제품에 의해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에 따라 거치부에 거치된 제품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또는, 복용 관리 장치(200)는 거치부에 거치된 제품의 영역이 촬영된 영상 내에서 제품을 나타내는 픽셀의 위치에 따라 거치부에 거치된 제품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복용 관리 장치(200)는 복용 용량 측정 입력을 입력 받는 경우에, 복용 용량 측정 입력을 받기 전의 무게 정보와 복용 용량 측정 입력을 받은 후에, 변화된 무게 정보의 차이를 계산하여, 복용 용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용 관리 장치(200)는 거치부에 하나 이상의 낱개 제품이 마련되는 용기가 거치되어 형상 정보가 생성된 경우에, 거치부에 거치된 용기의 제 1 무게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복용 관리 장치(200)는 용기로부터 하나의 낱개 제품이 제거된 상태의 용기의 제 2 무게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복용 관리 장치(200)는 제 1 무게 정보와 제 2 무게 정보의 차이를 계산하여, 용기에 마련된 낱개 제품의 무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 2 무게 정보는 복용 용량 측정 입력을 받은 후에 측정된 무게 정보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또한, 복용 관리 장치(200)는 생성된 형상 정보에 따른 제품의 복용 용량 정보를 용기에 마련된 낱개 제품의 무게 정보와 동일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복용 관리 장치(200)는 거치부가 제 1 무게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복용 관리 장치(200)는 하나의 낱개 제품이 거치부에 거치된 상태의 제 2 무게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복용 관리 장치(200)는 제 1 무게 정보와 제 2 무게 정보의 차이를 계산하여, 낱개 제품의 무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 2 무게 정보는 복용 용량 측정 입력을 받은 후에 측정된 무게 정보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또한, 복용 관리 장치(200)는 낱개 제품의 무게 정보가 생성된 직후에 거치부에 거치되는 제품의 복용 용량 정보를 직전에 측정된 낱개 제품의 무게 정보와 동일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복용 관리 장치(200)는 임의의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지점에서 제품이 일시적으로 제거되었다가 다시 거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제품이 다시 거치되어 생성된 무게 정보를 비교하여, 복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용 관리 장치(200)는 거치부로부터 측정되는 무게 정보에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에, 변화된 무게 정보를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복용 관리 장치(200)는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는 별도로 변화된 무게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복용 관리 장치(200)는 거치부로부터 측정되는 형상 정보에 따라 제품의 거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용 관리 장치(200)는 제품이 거치부에서 제거되기 직전의 무게 정보와 제품이 다시 거치되어 생성된 무게 정보의 차이가 복용 용량 정보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임계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제품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가 제품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하기 위해, 복용 용량 정보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임계 범위는 거치부에 거치되는 제품의 무게 정보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 낱개 제품 또는 1회 복용 용량에 대해 발생 가능한 오차 등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복용 관리 장치(200)는 거치부로부터 측정되는 무게 정보에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에,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재 측정된 무게 정보의 차이를 계산할 수 있으며, 복용 관리 장치(200)는 계산된 무게 정보의 차이가 임의의 제품에 대해 설정된 복용 용량 정보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임계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해당 제품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복용 관리 장치(200)는 제품이 거치부에서 제거되기 직전의 무게 정보와 제품이 다시 거치되어 생성된 무게 정보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제품을 미복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용 관리 장치(200)는 복용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각에 제품에 대한 복용 여부가 미복용으로 나타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복용 시간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복용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복용 관리 장치(200)는 복용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각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범위 내에서 거치부에 거치된 임의의 제품에 대한 복용 여부가 복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해당 제품의 해당 시각에 대한 복용 알림이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용 시간 정보에 대해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범위는 사용자의 활동 주기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시간적 오차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복용 관리 장치(200)는 복용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각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범위를 벗어나는 시각에 제품에 대한 복용 여부가 복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제품 오용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오용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복용 관리 장치(200)는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복용 여부에 따라 재 측정된 무게 정보의 차이가 복용 용량 정보에 따른 용량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용량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제품 남용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남용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는 재 측정된 무게 정보보다 크게 나타날 수 있으며, 제품 남용을 알리기 위해 사전에 설정되는 용량 범위는 거치부에 거치되는 제품의 무게 정보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 낱개 제품 또는 1회 복용 용량에 대해 발생 가능한 오차 등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복용 관리 장치(200)는 복용 여부에 따라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복용 관리 장치(200)는 임의의 제품에 대한 복용 여부가 미복용으로 나타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복용 시간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복용 알림을 출력할 수 있고, 복용 관리 장치(200)는 임의의 제품에 대한 복용 여부가 복용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각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범위를 벗어나는 시간 범위에 복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제품 오용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오용 알림을 출력할 수 있으며, 복용 관리 장치(200)는 임의의 제품에 대해 설정된 복용 용량 정보에 따른 용량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용량 범위를 벗어나는 용량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제품 남용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남용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용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가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의 감각을 이용하여 알림을 인식하도록 알림을 출력할 수 있으며, 또한, 복용 관리 장치(200)는 단말 장치(100)에 알림을 전달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단말 장치(100)는 복용 관리 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알림을 사용자가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의 감각을 이용하여 알림을 인식하도록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복용 관리 장치(20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버 장치(300)에 임의의 제품에 대해 판단된 복용 여부를 전달할 수 있으며, 이때, 복용 관리 장치(200)는 제품에 대한 정보를 서버 장치(30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서버 장치(300)는 복용 관리 장치(200)로부터 판단된 복용 여부를 전달받을 수 있고, 서버 장치(300)는 제품의 복용 여부를 전달받은 시각을 나타내는 판단 시간 정보를 산출하여, 판단 시간 정보에 따른 복용 여부를 나타내는 복용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용 패턴 정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제품의 복용 여부가 나열되는 정보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서버 장치(300)는 복용 관리 장치(200)로부터 판단 시간 정보를 전달받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복용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가 제품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판단이 발생한 시각을 기록하여 판단 시간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서버 장치(300)는 복용 패턴 정보를 단말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100)는 서버 장치(300)로부터 전달받는 복용 패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용 관리 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복용 관리 장치(200)는 거치부(210), 무게 측정부(220), 형상 측정부(230), 입력부(240), 저장부(250), 제어부(260) 및 출력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210)는 하나 이상의 제품이 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무게 측정부(220)는 거치부(210)에 거치된 제품의 무게를 측정하여 무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무게 측정부(220)는 제품에 의해 거치부(210)에 작용하는 압력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압력 변환기, 압력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형상 측정부(230)는 거치부(210)에 거치된 제품의 형상을 측정하여 형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형상 측정부(230)는 레이저, 초음파 등의 신호를 송신하여, 제품에 의해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초음파 센서, 레이저 센서, 레이더 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형상 측정부(230)는 거치부(210)에 거치되는 제품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이용할 수도 있다.
입력부(240)는 사용자로부터 거치부(210)에 거치되는 제품에 대한 복용 시간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입력부(240)는 사용자로부터 거치부(210)에 거치되는 제품의 1회 복용 용량을 나타내는 복용 용량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때, 입력부(24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거치부(210)에 거치되는 제품에 대한 복용 시간 정보를 전달받을 수도 있으며, 입력부(24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거치부(210)에 거치되는 제품의 1회 복용 용량을 나타내는 복용 용량 정보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한편, 입력부(240)는 거치부(210)에 거치되는 제품의 1회 복용 용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복용 용량 측정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저장부(250)는 복용 시간 정보, 복용 용량 정보, 무게 정보 및 형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측정된 무게 정보에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에,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측정된 무게 정보를 비교할 수 있으며, 제어부(260)는 무게 정보의 변화에 매칭되는 형상 정보에 따른 제품의 복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60)는 형상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에,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형상 정보가 생성되어 측정된 무게 정보의 차이를 계산하여, 형상 정보에 무게 정보를 매칭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260)는 형상 정보가 생성된 위치를 판단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60)는 복용 용량 측정 입력을 입력 받는 경우에, 복용 용량 측정 입력을 받기 전의 무게 정보와 복용 용량 측정 입력을 받은 후에, 변화된 무게 정보의 차이를 계산하여, 복용 용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임의의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지점에서 제품이 일시적으로 제거되었다가 다시 거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제품이 다시 거치되어 생성된 무게 정보를 비교하여, 복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60)는 거치부(210)로부터 측정되는 무게 정보에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에, 변화된 무게 정보를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260)는 거치부(210)로부터 측정되는 형상 정보에 따라 제품의 거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60)는 제품이 거치부(210)에서 제거되기 직전의 무게 정보와 제품이 다시 거치되어 생성된 무게 정보의 차이가 복용 용량 정보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임계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제품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거치부(210)로부터 측정되는 무게 정보에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에,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재 측정된 무게 정보의 차이를 계산할 수 있으며, 제어부(260)는 계산된 무게 정보의 차이가 임의의 제품에 대해 설정된 복용 용량 정보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임계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해당 제품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60)는 제품이 거치부(210)에서 제거되기 직전의 무게 정보와 제품이 다시 거치되어 생성된 무게 정보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제품을 미복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60)는 복용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각에 제품에 대한 복용 여부가 미복용으로 나타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복용 시간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복용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부(260)는 복용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각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범위 내에서 거치부에 거치된 임의의 제품에 대한 복용 여부가 복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해당 제품의 해당 시각에 대한 복용 알림이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60)는 복용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각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범위를 벗어나는 시각에 제품에 대한 복용 여부가 복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제품 오용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오용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복용 여부에 따라 재 측정된 무게 정보의 차이가 복용 용량 정보에 따른 용량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용량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제품 남용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남용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60)는 사용자가 제품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판단이 발생한 시각을 기록하여 판단 시간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출력부(270)는 복용 여부에 따라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출력부(270)는 제어부(260)에서 임의의 제품에 대한 복용 여부가 미복용으로 나타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복용 시간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복용 알림을 출력할 수 있고, 출력부(270)는 제어부(260)에서 임의의 제품에 대한 복용 여부가 복용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각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범위를 벗어나는 시간 범위에 복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제품 오용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오용 알림을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부(270)는 제어부(260)에서 임의의 제품에 대해 설정된 복용 용량 정보에 따른 용량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용량 범위를 벗어나는 용량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제품 남용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남용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력부(270)는 사용자가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의 감각을 이용하여 알림을 인식하도록 알림을 출력할 수 있으며, 또한, 출력부(270)는 단말 장치(100)에 알림을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출력부(27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버 장치(300)에 임의의 제품에 대해 제어부(260)에서 판단된 복용 여부를 전달할 수 있다.
도3은 도2의 저장부에서 복용 시간 정보가 저장되는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입력부(24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거치부(210)에 거치되는 제품에 대한 복용 시간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입력부(24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거치부(210)에 거치되는 제품의 1회 복용 용량을 나타내는 복용 용량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제품에 대한 복용 시간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또한, 단말 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복용 시간 정보를 복용 관리 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제품의 1회 복용 용량을 나타내는 복용 용량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또한, 단말 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복용 용량 정보를 복용 관리 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240)는 사용자로부터 거치부(210)에 거치되는 제품에 대한 복용 시간 정보를 입력 받을 수도 있으며, 입력부(240)는 사용자로부터 거치부(210)에 거치되는 제품의 1회 복용 용량을 나타내는 복용 용량 정보를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저장부(250)는 복용 시간 정보, 복용 용량 정보, 무게 정보 및 형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4는 도2의 제어부에서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무게 측정부(220)는 거치부(210)에 거치된 제품의 무게를 측정하여 무게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형상 측정부(230)는 거치부(210)에 거치된 제품의 형상을 측정하여 형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240)는 사용자로부터 거치부(210)에 거치되는 제품에 대한 복용 시간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입력부(240)는 사용자로부터 거치부(210)에 거치되는 제품의 1회 복용 용량을 나타내는 복용 용량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60)는 저장부(250)가 복용 시간 정보, 복용 용량 정보, 무게 정보 및 형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240)는 거치부(210)에 거치되는 제품의 1회 복용 용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복용 용량 측정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부(260)는 복용 용량 측정 입력을 받기 전의 무게 정보와 복용 용량 측정 입력을 받은 후에, 변화된 무게 정보의 차이를 계산하여, 복용 용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측정된 무게 정보에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에,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측정된 무게 정보를 비교할 수 있으며, 제어부(260)는 무게 정보의 변화에 매칭되는 형상 정보에 따른 제품의 복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60)는 형상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에,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형상 정보가 생성되어 측정된 무게 정보의 차이를 계산하여, 형상 정보에 무게 정보를 매칭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260)는 형상 정보가 생성된 위치를 판단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임의의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지점에서 제품이 일시적으로 제거되었다가 다시 거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제품이 다시 거치되어 생성된 무게 정보를 비교하여, 복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60)는 거치부(210)로부터 측정되는 무게 정보에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에, 변화된 무게 정보를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260)는 거치부(210)로부터 측정되는 형상 정보에 따라 제품의 거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60)는 제품이 거치부(210)에서 제거되기 직전의 무게 정보와 제품이 다시 거치되어 생성된 무게 정보의 차이가 복용 용량 정보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임계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제품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거치부(210)로부터 측정되는 무게 정보에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에,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재 측정된 무게 정보의 차이를 계산할 수 있으며, 제어부(260)는 계산된 무게 정보의 차이가 임의의 제품에 대해 설정된 복용 용량 정보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임계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해당 제품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60)는 제품이 거치부(210)에서 제거되기 직전의 무게 정보와 제품이 다시 거치되어 생성된 무게 정보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제품을 미복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60)는 복용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각에 제품에 대한 복용 여부가 미복용으로 나타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복용 시간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복용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부(260)는 복용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각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범위 내에서 거치부에 거치된 임의의 제품에 대한 복용 여부가 복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해당 제품의 해당 시각에 대한 복용 알림이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60)는 복용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각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범위를 벗어나는 시각에 제품에 대한 복용 여부가 복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제품 오용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오용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복용 여부에 따라 재 측정된 무게 정보의 차이가 복용 용량 정보에 따른 용량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용량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제품 남용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남용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60)는 사용자가 제품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판단이 발생한 시각을 기록하여 판단 시간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출력부(270)는 제어부(260)에서 판단되는 복용 여부에 따라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도5는 도1의 서버 장치에서 복용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출력부(27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버 장치(300)에 임의의 제품에 대해 제어부(260)에서 판단된 복용 여부를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출력부(270)는 제어부(260)에서 임의의 제품에 대한 복용 여부가 미복용으로 나타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복용 시간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복용 알림을 출력할 수 있고, 출력부(270)는 제어부(260)에서 임의의 제품에 대한 복용 여부가 복용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각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범위를 벗어나는 시간 범위에 복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제품 오용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오용 알림을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부(270)는 제어부(260)에서 임의의 제품에 대해 설정된 복용 용량 정보에 따른 용량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용량 범위를 벗어나는 용량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제품 남용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남용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 장치(300)는 복용 관리 장치(200)로부터 판단된 복용 여부를 전달받을 수 있고, 서버 장치(300)는 제품의 복용 여부를 전달받은 시각을 나타내는 판단 시간 정보를 산출하여, 판단 시간 정보에 따른 복용 여부를 나타내는 복용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서버 장치(300)는 복용 관리 장치(200)로부터 판단 시간 정보를 전달받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복용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가 제품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판단이 발생한 시각을 기록하여 판단 시간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용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용 관리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복용 관리 장치(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상에서 진행되므로, 도 1의 복용 관리 장치(20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복용 관리 방법은 복용 시간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600), 무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610), 형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620),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630),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640) 및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65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용 시간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600)는 입력부(240)에서 사용자로부터 거치부(210)에 거치되는 제품에 대한 복용 시간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복용 시간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600)는 입력부(240)가 사용자로부터 거치부(210)에 거치되는 제품의 1회 복용 용량을 나타내는 복용 용량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복용 시간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600)는 입력부(240)가 단말 장치(100)로부터 거치부(210)에 거치되는 제품에 대한 복용 시간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일 수도 있으며, 복용 시간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600)는 입력부(240)가 단말 장치(100)로부터 거치부(210)에 거치되는 제품의 1회 복용 용량을 나타내는 복용 용량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일 수도 있다.
한편, 복용 시간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600)는 입력부(240)가 거치부(210)에 거치되는 제품의 1회 복용 용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복용 용량 측정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일 수도 있다.
무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610)는 무게 측정부(220)가 거치부(210)에 거치된 제품의 무게를 측정하여 무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형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620)는 형상 측정부(230)가 거치부(210)에 거치된 제품의 형상을 측정하여 형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630)는 저장부(250)가 복용 시간 정보, 복용 용량 정보, 무게 정보 및 형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640)는 측정된 무게 정보에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에, 제어부(260)가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측정된 무게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640)는 제어부(260)가 무게 정보의 변화에 매칭되는 형상 정보에 따른 제품의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640)는 형상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에, 제어부(260)가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형상 정보가 생성되어 측정된 무게 정보의 차이를 계산하여, 형상 정보에 무게 정보를 매칭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640)는 제어부(260)가 형상 정보가 생성된 위치를 판단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한편,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640)는 복용 용량 측정 입력을 입력 받는 경우에, 제어부(260)가 복용 용량 측정 입력을 받기 전의 무게 정보와 복용 용량 측정 입력을 받은 후에, 변화된 무게 정보의 차이를 계산하여, 복용 용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640)는 임의의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지점에서 제품이 일시적으로 제거되었다가 다시 거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제어부(260)가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제품이 다시 거치되어 생성된 무게 정보를 비교하여,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640)는 거치부(210)로부터 측정되는 무게 정보에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에, 제어부(260)가 변화된 무게 정보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또한,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640)는 제어부(260)가 거치부(210)로부터 측정되는 형상 정보에 따라 제품의 거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640)는 제품이 거치부(210)에서 제거되기 직전의 무게 정보와 제품이 다시 거치되어 생성된 무게 정보의 차이가 복용 용량 정보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임계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 제어부(260)가 사용자가 제품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640)는 거치부(210)로부터 측정되는 무게 정보에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에, 제어부(260)가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재 측정된 무게 정보의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640)는 계산된 무게 정보의 차이가 임의의 제품에 대해 설정된 복용 용량 정보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임계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 제어부(260)가 사용자가 해당 제품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한편,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640)는 제품이 거치부(210)에서 제거되기 직전의 무게 정보와 제품이 다시 거치되어 생성된 무게 정보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제어부(260)가 사용자가 제품을 미복용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640)는 복용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각에 제품에 대한 복용 여부가 미복용으로 나타나는 경우에, 제어부(260)가 사용자에게 복용 시간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복용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640)는 복용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각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범위 내에서 거치부에 거치된 임의의 제품에 대한 복용 여부가 복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제어부(260)가 해당 제품의 해당 시각에 대한 복용 알림이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일 수 있다.
한편,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640)는 복용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각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범위를 벗어나는 시각에 제품에 대한 복용 여부가 복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제어부(260)가 사용자에게 제품 오용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오용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640)는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복용 여부에 따라 재 측정된 무게 정보의 차이가 복용 용량 정보에 따른 용량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용량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제어부(260)가 사용자에게 제품 남용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남용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일 수 있다.
한편,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640)는 사용자가 제품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제어부(260)가 판단이 발생한 시각을 기록하여 판단 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도 있다.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650)는 출력부(270)가 복용 여부에 따라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일 수 있다.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650)는 제어부(260)에서 임의의 제품에 대한 복용 여부가 미복용으로 나타나는 경우에, 출력부(270)가 사용자에게 복용 시간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복용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일 수 있고,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650)는 제어부(260)에서 임의의 제품에 대한 복용 여부가 복용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각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범위를 벗어나는 시간 범위에 복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제어부(260)가 사용자에게 제품 오용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오용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650)는 제어부(260)에서 임의의 제품에 대해 설정된 복용 용량 정보에 따른 용량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용량 범위를 벗어나는 용량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출력부(270)가 사용자에게 제품 남용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남용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일 수 있다.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650)는 출력부(270)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버 장치(300)에 임의의 제품에 대해 제어부(260)에서 판단된 복용 여부를 전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복용 관리 시스템
100: 단말 장치
200: 복용 관리 장치
300: 서버 장치

Claims (22)

  1. 하나 이상의 제품이 거치되도록 마련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제품의 무게를 측정하여 무게 정보를 생성하는 무게 측정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제품의 형상을 측정하여 형상 정보를 생성하는 형상 측정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제품에 대한 복용 시간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복용 시간 정보, 상기 무게 정보 및 상기 형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측정된 무게 정보에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측정된 무게 정보를 비교하며, 무게 정보의 변화에 매칭되는 형상 정보에 따른 제품의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복용 여부에 따라 알림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복용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치부에 하나 이상의 낱개 제품이 마련되는 용기가 거치된 경우에,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용기의 제 1 무게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용기로부터 하나의 낱개 제품이 제거된 상태의 용기의 제 2 무게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 1 무게 정보와 상기 제 2 무게 정보의 차이를 계산하여, 상기 용기에 마련된 낱개 제품의 무게 정보를 생성하는, 복용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형상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측정된 무게 정보를 차이를 계산하여, 상기 형상 정보에 무게 정보를 매칭시키는, 복용 관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형상 정보가 생성된 위치를 판단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복용 관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임의의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지점에서 상기 제품이 일시적으로 제거되었다가 다시 거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상기 제품이 다시 거치되어 생성된 무게 정보를 비교하여,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복용 관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용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각에 상기 제품에 대한 복용 여부가 미복용으로 나타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복용 시간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복용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복용 관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용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각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범위를 벗어나는 시각에 상기 제품에 대한 복용 여부가 복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제품 오용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오용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복용 관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제품의 1회 복용 용량을 나타내는 복용 용량 정보를 입력 받는, 복용 관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복용 여부에 따라 재 측정된 무게 정보의 차이가 상기 복용 용량 정보에 따른 용량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용량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제품 남용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남용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복용 관리 장치.
  10. 사용자로부터 제품에 대한 복용 시간 정보를 입력 받는 단말 장치;
    하나 이상의 제품이 거치되도록 거치부를 마련하고,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제품의 무게를 측정하여 무게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제품의 형상을 측정하여 형상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제품에 대한 복용 시간 정보를 전달 받고, 상기 복용 시간 정보, 상기 무게 정보 및 상기 형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하며, 측정된 무게 정보에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측정된 무게 정보를 비교하며, 무게 정보의 변화에 매칭되는 형상 정보에 따라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복용 관리 장치; 및
    상기 복용 관리 장치로부터 판단된 복용 여부를 전달받고, 상기 제품의 복용 여부를 전달받은 시각을 나타내는 판단 시간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판단 시간 정보에 따른 상기 복용 여부를 나타내는 복용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서버 장치를 포함하는, 복용 관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제품의 1회 복용 용량을 나타내는 복용 용량 정보를 더 입력 받는, 복용 관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용 관리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복용 용량 정보를 전달받고,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복용 여부에 따라 재 측정된 무게 정보의 차이가 상기 복용 용량 정보에 따른 용량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용량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제품 남용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남용 알림을 출력하는, 복용 관리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복용 패턴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복용 패턴 정보를 출력하는, 복용 관리 시스템.
  14. 하나 이상의 제품이 거치되도록 거치부를 마련하여 복용 이행을 돕는 복용 관리 장치를 이용한 복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제품에 대한 복용 시간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제품의 무게를 측정하여 무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제품의 형상을 측정하여 형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용 시간 정보, 상기 무게 정보 및 상기 형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측정된 무게 정보에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측정된 무게 정보를 비교하며, 무게 정보의 변화에 매칭되는 형상 정보에 따른 제품의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복용 여부에 따라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용 관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거치부에 하나 이상의 낱개 제품이 마련되는 용기가 거치된 경우에,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용기의 제 1 무게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용기로부터 하나의 낱개 제품이 제거된 상태의 용기의 제 2 무게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 1 무게 정보와 상기 제 2 무게 정보의 차이를 계산하여, 상기 용기에 마련된 낱개 제품의 무게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용 관리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형상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측정된 무게 정보를 차이를 계산하여, 상기 형상 정보에 무게 정보를 매칭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용 관리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형상 정보가 생성된 위치를 판단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용 관리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임의의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지점에서 상기 제품이 일시적으로 제거되었다가 다시 거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상기 제품이 다시 거치되어 생성된 무게 정보를 비교하여,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용 관리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용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각에 상기 제품에 대한 복용 여부가 미복용으로 나타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복용 시간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복용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용 관리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용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각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범위를 벗어나는 시각에 상기 제품에 대한 복용 여부가 복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제품 오용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오용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용 관리 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용 시간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제품의 1회 복용 용량을 나타내는 복용 용량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용 관리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이전에 저장된 무게 정보와 복용 여부에 따라 재 측정된 무게 정보의 차이가 상기 복용 용량 정보에 따른 용량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되는 용량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제품 남용을 알리도록 마련되는 남용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용 관리 방법.

KR1020200049244A 2020-04-23 2020-04-23 복용 이행을 돕는 복용 관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418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244A KR102418188B1 (ko) 2020-04-23 2020-04-23 복용 이행을 돕는 복용 관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244A KR102418188B1 (ko) 2020-04-23 2020-04-23 복용 이행을 돕는 복용 관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999A true KR20210130999A (ko) 2021-11-02
KR102418188B1 KR102418188B1 (ko) 2022-07-06

Family

ID=78476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244A KR102418188B1 (ko) 2020-04-23 2020-04-23 복용 이행을 돕는 복용 관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18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4151A (ko) * 2009-06-15 2010-12-23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독거 노인의 약물 복용 보조 장치, 이를 이용한 독거 노인의 약물 복용 관리 시스템, 및 독거 노인의 약물 복용 관리 방법
KR101118513B1 (ko) * 2010-08-13 2012-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약상자 및 약품관리방법
KR20160134395A (ko) * 2015-05-15 2016-11-23 김주희 스마트 약통스테이션과 이를 포함하는 복용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용관리방법
KR20180009995A (ko) * 2016-07-20 2018-01-30 박서준 복약 관리 장치
KR102026415B1 (ko) * 2018-02-01 2019-09-27 주식회사 라이너스 알약 인식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4151A (ko) * 2009-06-15 2010-12-23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독거 노인의 약물 복용 보조 장치, 이를 이용한 독거 노인의 약물 복용 관리 시스템, 및 독거 노인의 약물 복용 관리 방법
KR101118513B1 (ko) * 2010-08-13 2012-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약상자 및 약품관리방법
KR20160134395A (ko) * 2015-05-15 2016-11-23 김주희 스마트 약통스테이션과 이를 포함하는 복용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용관리방법
KR20180009995A (ko) * 2016-07-20 2018-01-30 박서준 복약 관리 장치
KR102026415B1 (ko) * 2018-02-01 2019-09-27 주식회사 라이너스 알약 인식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8188B1 (ko) 202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12782A1 (en) Tracking Use of Medical Device
US98084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dication storage and delivery
US792883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rug compliance monitoring
TW574662B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with medication regimens
EP2731640B1 (en) Monitoring system for a medical liquid dispensing device
US20110187549A1 (en) Smart medicine cabinet
CA2905855A1 (en) Methods and systems of real-time medication adherence monitoring
US20170283151A1 (en) Medication system
JP2014528780A (ja) 携帯型薬剤ディスペンサー
US20140239062A1 (en) Alerting patient at dosing times and tracking medicine use
US20170076060A1 (en) Medication dispensing device and methods
JP2002366652A (ja) 医療情報通信システム
KR20130099740A (ko) 스마트 복약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680701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418188B1 (ko) 복용 이행을 돕는 복용 관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180078200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dherence to a treatment protocol and need for product refill
TWM491911U (zh) 雲端人性化健康提示管理系統
JP7346868B2 (ja) 服薬状況管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GB2575349A (en) Hydration monitors and systems
CN117795609A (zh) 诊疗辅助系统、诊疗辅助装置以及程序
JP2019209147A (ja) 点滴監視装置、点滴監視システム及び方法
US104781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rug dosage medicament regime adherence monitoring
IL268796A (en) A machine and a system for dispensing medicines
JP2018140138A (ja) 服薬管理システム付き服薬支援装置
US20230285247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dispensing pharmaceuticals and other med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