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0731A - 지혈 클립 쇼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혈 클립 쇼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0731A
KR20210130731A KR1020217027744A KR20217027744A KR20210130731A KR 20210130731 A KR20210130731 A KR 20210130731A KR 1020217027744 A KR1020217027744 A KR 1020217027744A KR 20217027744 A KR20217027744 A KR 20217027744A KR 20210130731 A KR20210130731 A KR 20210130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member
clip
capsule
yok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7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몬테네그로 에스테반 솔라노
바란테스 다니엘 에두아르도 마타
코렐라 호세 파블로 누네즈
Original Assignee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30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7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 A61B17/1227Spring c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61B17/083Clips, e.g.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 A61B17/128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a releasable handle; with handle and operating part separable
    • A61B2017/00473Distal part, e.g. tip or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61B2017/00575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for closure at remote site, e.g. closing atrial septum defects
    • A61B2017/00584C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818Treatment of the gastro-intestinal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2017/120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haemostasis, for prevention of blee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7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with a frangible part, e.g. by reduced dia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장치는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과 함께 캡슐을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이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근위 단부가 채널 내에 수용된다. 전개 기구는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의 근위 단부에 연결된 인장 부재, 및 인장 부재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캡슐에 대해 종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을 이동시키는 요크를 포함한다. 인장 부재 및 요크는 인장 부재에 대한 미리 결정된 근위 방향 힘에 응답하여 서로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잠금 기구는 전개 기구에 커플링되고 요크가 인장 부재로부터 분리될 때 폐쇄 구성에서 단일체 클리핑 요소를 잠그기 위해 캡슐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지혈 클립 쇼트 시스템
본 개시는 2019년 6월 19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 특허 출원 번호 62/863,320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는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개시는 내시경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장관을 따라 조직을 치료하기 위한 내시경 클리핑 장치(clipping device)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 위장관(GI) 수술 동안, 환자는 GI 관 벽의 천공 위험에 처할 수 있거나 수술의 일부로서 GI 관 벽의 폐쇄를 요구할 수 있다. 지혈 클립은 예를 들어, 관강 천공의 폐쇄와 함께 점막/점막하 결함, 출혈성 궤양, 동맥, 폴립(polyp), 게실(diverticula)의 지혈에 사용될 수 있다. 결함의 크기에 따라서, 다중 클립이 요구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조직 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장치는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clip arm)과 함께,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까지 종 방향으로 연장하고 이를 통해 연장하는 채널을 포함하는 캡슐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이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근위 단부가 채널 내에 수용된다. 전개 기구는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의 근위 단부에 연결된 인장 부재(tension member), 및 인장 부재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고(coupled) 캡슐에 대해 종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을 이동시키는 요크(yoke)를 포함한다. 인장 부재 및 요크는 인장 부재에 대한 미리 결정된 근위 방향 힘에 응답하여, 그 근위 부분으로부터 장치를 해제하기 위해서 서로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잠금 기구는 전개 기구에 커플링되고 요크가 인장 부재로부터 분리될 때 폐쇄 구성에서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을 잠그도록 캡슐의 대응하는 잠금 특징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한 쌍의 잠금 핑거(locking finger)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은 제 1 단부로부터 제 2 단부로 연장하고 그 일부분을 따르는 굽힘부(bend)를 포함하는 단일체 클리핑 요소(one-piece clipping element)를 통해 규정될 수 있으며, 굽힘부는 단일체 클리핑 요소의 중간점(midpoint)을 따라 연장되어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상응한다.
실시예에서, 인장 부재의 원위 단부는 인장 부재의 원위 단부를 가로질러 직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핀을 통해 그리고 클립 아암의 근위 단부에 형성된 실질적으로 라운드 공간(rounded space)을 통해 단일체 클리핑 요소를 따르는 굽힘부를 통해 클립 아암의 근위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잠금 기구는 핀을 통해 인장 부재의 원위 단부에 커플링된 링(ring)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한 쌍의 잠금 핑거는 링으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한다.
실시예에서, 잠금 핑거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편향되고 그 근위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잠금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요크는 요크에 대해 잠금 핑거의 근위 단부를 구속하고 요크가 인장 부재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잠금 구조물이 캡슐의 잠금 특징부에 맞물리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오버행(overhang)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캡슐은 약 7.5 mm 내지 8.5 mm 범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은 개방 구성을 향해 편향될 수 있어서,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이 캡슐 내로 근위 방향으로 당겨질 때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이 폐쇄 구성을 향해 구속되고,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이 캡슐 밖으로 원위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이 그 편향된 개방 구성으로 복귀하게 한다.
본 개시는 또한, 클리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장치는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까지 종 방향으로 연장하고 이를 통해 연장하는 채널을 포함하는 캡슐을 포함하는 클립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의 근위 단부는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캡슐의 채널 내에 활주 가능하게 수용된다. 전개 기구는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의 근위 단부에 연결된 인장 부재를 포함한다. 요크는 인장 부재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캡슐에 대해 이동 가능하여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을 이동시키는 제어 부재에 커플링될 수 있다. 인장 부재 및 요크는 인장 부재에 대한 미리 결정된 근위 방향 힘에 응답하여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잠금 기구는 전개 기구에 커플링되고 요크가 인장 부재로부터 분리될 때 폐쇄 구성에서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을 잠그도록 캡슐의 대응하는 잠금 특징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한 쌍의 잠금 핑거를 포함한다. 근위 부분은 캡슐의 근위 단부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어 인장 부재로부터 요크가 분리될 때 클립이 근위 부분으로부터 해제되고 표적 조직 위의 신체 내에서 전개된다.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은 제 1 단부로부터 제 2 단부로 연장하고 그 일부분을 따르는 굽힘부를 포함하는 단일체 클리핑 요소를 통해 규정될 수 있으며, 굽힘부는 단일체 클리핑 요소의 중간점을 따라 연장되어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실시예에서, 인장 부재의 원위 단부는 인장 부재의 원위 단부를 가로질러 직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핀을 통해 그리고 클립 아암의 근위 단부에 형성된 실질적으로 라운드 공간을 통해 단일체 클리핑 요소를 따르는 굽힘부를 통해 클립 아암의 근위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잠금 기구는 핀을 통해 인장 부재의 원위 단부에 커플링된 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한 쌍의 잠금 핑거는 링으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한다.
실시예에서, 잠금 핑거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편향되고 그 근위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잠금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요크는 요크에 대해 잠금 핑거의 근위 단부를 구속하고 요크가 인장 부재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잠금 구조물이 캡슐의 잠금 특징부에 맞물리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오버행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캡슐은 약 7.5 mm 내지 8.5 mm 범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는 또한, 표적 조직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클립 장치의 클립이 작업 채널의 원위 단부를 지나 원위 방향으로 연장할 때까지 클립 장치는 내시경의 작업 채널을 통해 신체 내의 표적 부위에 삽입된다. 클립 장치는 캡슐 및 한 쌍의 클립 아암을 포함하며, 그 근위 단부는 캡슐 내에서 활주 가능하게 수용된다. 클립 장치는 선택된 표적 조직이 단일체 클리핑 요소의 제 1 단부와 제 2 단부 사이에 파지될 때까지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이동되며,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은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에 연결된 인장 부재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요크에 커플링된 제어 와이어를 통해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이동된다. 클립 장치는 제어 부재를 따라 미리 결정된 근위 방향 힘을 가하여 인장 부재로부터 요크를 분리하여, 잠금 기구의 잠금 핑거가 캡슐의 대응 잠금 기능과 맞물리게 허용함으로써, 표적 조직이 원하는 대로 파지되면 폐쇄 구성으로 잠긴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종 방향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장치에 따른 클립의 부분적으로 투명한 종 방향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개방 구성에서 도 2의 클립의 다른 부분적으로 투명한 종 방향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2의 클립의 종축을 중심으로 90도 회전된 개방 구성에서 부분적으로 투명한 다른 종 방향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2의 클립의 전개 기구, 잠금 기구 및 클립 아암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2의 클립의 전개 기구 및 잠금 기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2의 클립의 전개 기구 및 클립 아암의 종 방향 측면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는 다음의 설명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추가로 이해될 수 있으며, 여기서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지칭된다. 본 개시는 내부 조직 천공, 결함 및/또는 출혈을 치료하기 위한 내시경 클리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적 부위의 시각화를 개선하고 다중 클립을 배치할 때 더 양호한 조작성을 허용하기 위해서 더 짧은 전개 클립이 선호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원하는 대로 표적 조직을 클리핑하기 위해서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클립을 이동시키도록 캡슐 내에서 활주 가능한 단일체 요소를 통해 규정된 클립 아암을 포함하는 클립을 설명한다. 단일체 요소는 캡슐을 포함하는 다른 종래의 클립 디자인에 비해 전개된 클립의 길이를 줄이기 위해서 별도의 전개 기구 및 잠금 기구에 연결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근위 및 원위는 각각, 장치의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 및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클립 장치(100)는 클립 아암(104)의 원위 단부(108)가 서로 분리되는 개방 구성과 원위 단부(108)가 조직을 파지하기 위해서 서로를 향해 당겨지는 폐쇄 구성 사이에서 클립 아암(104)을 이동시키도록 캡슐(106) 내에 수용된 한 쌍의 클립 아암(104)을 규정하는 단일체 요소(102)를 포함하는 클립(101)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단일체 요소(102)는 제 1 단부(110)로부터 제 2 단부(112)로 연장하고, 예를 들어 클립 아암(104)을 규정하기 위해서 조인트 또는 중간점(114)에서 구부러진다. 중간점(114)은 인장 부재(118) 및 요크(120)를 포함하는 전개 기구(116)에 연결되며, 이는 캡슐(106) 내에 활주 가능하게 수용되어 클립 아암(104)을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잠금 기구(122)는 단일체 요소(102) 및 전개 기구(116)에 커플링되어, 클립(101)이 신체의 표적 조직 위에 전개될 때, 클립(101)은 폐쇄 구성으로 잠겨진다. 일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101)은 근위 단부가 사용자에게 접근 가능한 신체 외부에 남아 있는 동안 내시경의 작업 채널을 통해 신체 내의 표적 부위에 클립(101)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크기인 장치(100)의 세장형 근위 부분(160)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근위 부분(160)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클립(101)의 이동 및 전개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작동기(164)를 포함하는 핸들 부재(162) 및 핸들 부재(162)로부터 클립(101)으로 원위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요성 샤프트(166)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요성 샤프트(166)의 원위 단부(168)는 예를 들어, 부싱(172)을 통해 클립(101)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사용자는 작동기(164)를 조작하여 클립 아암(104)에 연결되도록 가요성 샤프트(166)를 통해서 핸들 부재(162)로부터 연장하는 제어 부재(170)를 이동시킴으로써,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클립 아암(104)의 이동을 제어한다.
캡슐(106)은 근위 단부(124)로부터 원위 단부(126)로 연장하고 이를 통해 연장하는 채널(128)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근위 단부(124)는 캡슐(106)의 근위 단부(124)에서 탭(130)을 통해 장치의 근위 부분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도록 구성되며, 이는 근위 부분의 대응 부분과 맞물리도록 반경 방향 내측으로 크림핑될 수 있다. 캡슐(106)은 또한, 예를 들어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잠금 기구(122)의 일부분과 맞물리기 위해 캡슐 벽을 통해 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잠금 창(132)과 같은 캡슐 벽에 형성된 잠금 특징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캡슐(106)은 7.5 mm 내지 8.55 mm 범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캡슐(106)은 12.5 mm 내지 13.5 mm 범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는 몇몇 종래 클립의 캡슐 길이보다 실질적으로 더 짧다.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될 클립 아암(104)과 별도의 잠금 기구(122)의 단일체 설계는 클립 아암(104)의 개방 폭을 희생함이 없이 캡슐(106)이 몇몇 기존 클립에 비해 더 짧은 길이를 갖게 한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클립 아암(104)은 제 1 단부(110)로부터 제 2 단부(112)까지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고 예를 들어, 클립 아암(104)이 중간점(114)의 대향 측면,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단부(110, 112)의 근위부로부터 연장하는 길이의 일부분을 따라 연장하도록 중간점(114)에서 구부러지는 단일체 요소(102)로 형성된다. 따라서, 단일체 요소(102)의 제 1 및 제 2 단부(110, 112)는 클립 아암(104)의 원위 단부(108)에 대응한다. 중간점(114)은 클립 아암(104)이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캡슐(106)의 채널(128) 내에 활주 가능하게 수용되는 전개 기구(116)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클립 아암(104)은 캡슐(106)의 원위 방향으로 전진할 때 클립 아암(104)이 그 자연스런 편향 하에서 개방 구조로 서로 이격되도록 개방 구성을 향해 편향된다. 아암(104)이 캡슐(106) 내로 근위 방향으로 당겨질 때, 클립 아암(104)은 캡슐(106)의 벽에 의해 구속되고 원위 단부(108)가 서로 인접한 폐쇄 위치로 함께 당겨진다. 당업자는 클립 아암(104)을 개폐하기 위한 임의의 수의 다른 기구가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가 클립 아암(104)을 형성하기 위해 굽힘부를 포함하는 단일체 요소(102)를 도시하고 설명하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근위 단부가 인장 부재(118)에 연결될 수 있도록 클립 아암의 근위 단부가 서로에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이 실시예의 클립 아암(104)은 또한, 그로부터 연장하고 캡슐(106)의 일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맞물림 특징부(134)를 포함하여 맞물림 특징부(134)가 캡슐(106)과 맞물릴 때, 클립 아암(104)은 캡슐(106) 내로 근위 방향으로 추가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맞물림 특징부(134)는 맞물림 특징부(134)의 원위에 있는 클립 아암(104)의 부분이 맞물림 특징부(134)의 근위에 있는 클립 아암(104)의 부분보다 더 큰 폭을 갖도록 클립 아암(104)의 부분으로부터 측 방향 외측으로 연장한다. 맞물림 특징부(134)의 근위 방향으로 연장하는 클립 아암(104)의 부분은 클립 아암(104)의 이들 부분이 캡슐(106) 내로 근위 방향으로 당겨되게 하는 크기이다.
클립 아암(104)의 근위 부분이 캡슐(106) 내로 근위 방향으로 당겨질 때, 맞물림 특징부(134)는 클립 아암(104)이 캡슐(106) 내로 근위 방향으로 추가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캡슐(106)의 원위 면(127)의 일부분과 접한다. 맞물림 특징부(134)는 클립 아암(104)의 길이를 따라 위치 설정되어 맞물림 특징부(134)가 캡슐(106)과 맞물린 지점에서 클립 아암(104)이 폐쇄 구성으로 함께 클립 아암(104)을 당기기 위해 캡슐(106) 내로 충분히 근위 방향으로 당겨진다. 일 예에서, 맞물림 특징부(134)는 클립 아암(104)의 종 방향 에지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날개로서 구성된다.
인장 부재(118)는 요크(120)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도록 구성된 근위 단부(136)로부터 예를 들어, 핀(140)을 통해 단일체 요소(102)의 중간점(114)에 부착된 원위 단부(138)로 연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원위 단부(138)는 원위 단부(138)를 가로질러 직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핀(140)이 중간점(114)에서 단일체 요소(102)의 굽힘부에 의해 규정되는 클립 아암(104)의 근위 단부(158)에서 실질적으로 라운드 공간 내에 수용되도록 중간점(114) 위로 연장한다. 환언하면, 핀(140)은 중간점(114)의 굽힘부를 따라서 단일체 요소(102)의 내부 표면을 따라 한 쌍의 아암(104) 사이에서 연장하도록 핀(140)이 중간점(114)의 바로 원위 방향으로 연장한다. 인장 부재(118) 및 핀(140)은 캡슐(106)에 대한 인장 부재(118)의 종 방향 이동이 캡슐(106)에 대한 클립 아암(104)을 대응하게 이동시키도록 단일체 요소(102)에 연결된다. 인장 부재(118)의 근위 단부(136)는 요크(120)의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 부분에 맞물리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근위 단부(136)는 실질적으로 C-형상 돌출부를 포함한다.
요크(120)는 예를 들어, 당김 와이어와 같은 제어 부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근위 단부(142)로부터 인장 부재(118)의 근위 단부(136)에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된 원위 단부(144)로 연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원위 단부(144)는 근위 단부(136)의 C-형상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크기와 형상을 갖는 실질적으로 C-형상 오목부(146)를 포함한다. 인장 부재(118)의 근위 단부(136)와 요크(120)의 원위 단부(144)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미리 결정된 힘을 받을 때 서로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요크(120)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르는 폭은 캡슐(106)의 채널(128)의 폭(예를 들어, 직경)에 실질적으로 대응하여, 요크(120)가 갭슐(106)의 근위 단부(124) 내에 위치될 때 요크(120)는 탭(130)과 맞물려 탭(130)을 장치의 근위 부분과 맞물리지 않게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요크(120)는 또한, 그 일부분으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오버행(148)를 포함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오버행(148)은 잠금 기구(122)의 잠금 아암(152)의 근위 단부(154)를 구속하도록 구성되어 클립(101)이 표적 조직 위에 전개될 때까지 잠금 아암(154)이 캡슐(106)의 잠금 특징부(134)에 맞물리는 것이 방지된다.
잠금 기구(122)는 인장 부재(118)에 부착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클립(101)이 전개될 때까지 요크(120)에 의해 구속되는 잠금 아암(152)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잠금 기구(122)는 링(150) 및 링(150)으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잠금 아암(152)을 포함한다. 링(150)은 인장 부재(118)를 클립 아암(104)에 연결하는 동일한 핀(140)을 통해 인장 부재(118)에 부착된다. 특히, 핀(140)은 링(150)이 인장 부재(118)의 원위 단부(138)와 클립 아암(104)의 근위 단부(158) 모두에 대해 연장하도록 링(150)을 가로질러 직경 방향으로 연장한다.
잠금 아암(152)은 링(150)의 대향 측부로부터 근위 단부(154)까지 근위 방향으로 연장하고, 일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편향된다. 링(150)은 로킹 아암(152)이 요크(120)의 오버행(148)을 통해 구속되게 인장 부재(118)의 대향 측면을 따라 연장하도록 인장 부재(118)에 연결된다. 잠금 아암(152)의 근위 단부(154)는 근위 단부(154)가 그 편향 구성으로 복귀하도록 허용될 때, 잠금 구조(156)가 캡슐(106)의 잠금 특징부(132)와 맞물리도록 그로부터 연장하는 잠금 구조물(156)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잠금 구조물(156)은 근위 단부(154)가 오버행(148)으로부터 해제될 때, 캡슐(106)의 잠금 창(132)과 맞물리도록 근위 단부(154)로부터 연장하는 잠금 탭으로서 구성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근위 단부(154)는 미리 결정된 힘이 인장 부재(118)로부터 요크(120)를 분리하기 위해 요크(120)에 가해질 때 그 반경 방향 외측으로 편향된 구성으로 복귀하도록 해제되고 허용된다.
예시적인 방법에 따르면, 클립 장치(100)의 클립(101)은 예를 들어, 내시경의 작동 채널을 통해 신체 내의 표적 부위에 삽입된다. 클립(101)은 폐쇄 구성에서 작업 채널을 통해 삽입되어 클립 아암(104)이 작업 채널의 내부에서 손상되지 않게 한다. 클립(101)이 표적 부위에 도달하면, 클립 아암(104)은 캡슐(106)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되어 클립 아암(104)의 원위 부분이 캡슐(106) 밖으로 연장하고 클립 아암(104)이 그 자연스런 편향 하에서 개방 구성을 향해 자유로이 이동함으로써 표적 조직이 클립 아암(104)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클립(101)은 조직의 표적 부분이 원하는 대로 클립 아암(104) 사이에 위치될 때까지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클립 아암(104)을 캡슐(106) 내로 근위 방향으로 당겨서 클립 아암(104)이 캡슐(106) 내로 당겨짐에 따라서 클립 아암(104)이 클립 아암(104)의 원위 단부(108) 사이의 표적 조직을 파지하기 위해 서로를 향해 당겨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클립(101)은 예를 들어, 요크(120)에 커플링된 제어 부재(170)의 이동을 통해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클립(101)이 표적 조직을 파지하는 원하는 위치에 있다고 사용자가 만족할 때, 사용자는 미리 결정된 힘이 요크(120)를 인장 부재(118)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당겨서 이들이 서로 분리될 때까지, 맞물림 특징부(134)가 전술된 바와 같이 캡슐(106)과 맞물린 후에 제어 부재(170)에 증가하는 근위 방향 힘을 가한다. 요크(120)가 인장 부재(118)로부터 분리됨에 따라서, 클립 아암(104)의 잠금 기구(122)의 근위 단부(154)는 요크(120)의 오버행(148)로부터 해제되어, 잠금 탭(156)이 캡슐(106)의 잠금 창(132)과 맞물릴 때까지 근위 단부(154)가 그 반경 방향 외측으로 편향된 구성을 향해 스프링 해제됨으로써 클립(101)을 폐쇄 구성으로 잠근다.
그 다음, 요크(120)는 캡슐(106)의 채널(128)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요크(120)의 일부분이 캡슐(106)의 근위 단부(124) 내에 위치될 때까지 캡슐(106)에 대해 (예를 들어, 그에 연결된 제어 부재를 통해)근위 방향으로 추가로 당겨질 수 있어서, 예를 들어 장치(100)의 근위 부분(160)의 부싱(172)과 맞물리지 않게 반경 방향 내측으로 크림핑된 탭(130)을 반경 방향 외측으로 압박하고 근위 부분(160)으로부터 클립(101)을 분리한다. 따라서, 근위 부분(160)이 신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동안 클립(101)은 표적 조직 위에 클립된 채로 유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클립(101)이 근위 부분(160)으로부터 분리될 때, 탭(130)은 그 반경 방향 내측으로 크림핑된 구성으로 복귀하여 인장 부재(118)로부터 분리되었지만 요크(120)는 캡슐(106)의 근위 단부(124)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어 부재(170)에 가해진 추가의 근위 방향 힘은 요크(120)로부터 제어 부재를 분리하고, 신체에 클립(101)을 남기고 제어 부재(170)를 포함하는 장치(100)의 근위 부분(160)이 그로부터 제거되게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근위 부분(160)으로부터 캡슐(106)의 분리시, 요크(120)는 근위 부분(160) 및 요크(120)가 신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동안 클립(101)이 신체 내에 유지되도록 캡슐(106) 밖으로 근위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본 개시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Claims (15)

  1. 조직 치료 장치로서,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까지 종 방향으로 연장하고 이를 통해 연장하는 채널을 포함하는 캡슐;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clip arm)으로서,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이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그 근위 단부가 채널 내에 수용되는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의 근위 단부에 연결된 인장 부재(tension member), 및 인장 부재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고(coupled) 캡슐에 대해 종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을 이동시키는 요크(yoke)를 포함하는 전개 기구로서, 인장 부재 및 요크는 인장 부재에 대한 미리 결정된 근위 방향 힘에 응답하여, 그 근위 부분으로부터 장치를 해제하기 위해서 서로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전개 기구; 및
    전개 기구에 커플링되고 요크가 인장 부재로부터 분리될 때, 폐쇄 구성에서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을 잠그도록 캡슐의 대응하는 잠금 특징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잠금 핑거(locking finger)를 포함하는 잠금 기구를 포함하는,
    조직 치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은 제 1 단부로부터 제 2 단부로 연장하고 그 일부분을 따르는 굽힘부(bend)를 포함하는 단일체 클리핑 요소(one-piece clipping element)를 통해 규정되며, 굽힘부는 단일체 클리핑 요소의 중간점(midpoint)을 따라 연장되어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조직 치료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인장 부재의 원위 단부는 인장 부재의 원위 단부를 가로질러 직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핀을 통해 그리고 클립 아암의 근위 단부에 형성된 실질적으로 라운드 공간(rounded space)을 통해 단일체 클리핑 요소를 따르는 굽힘부를 통해 클립 아암의 근위 단부에 연결되는,
    조직 치료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잠금 기구는 핀을 통해 인장 부재의 원위 단부에 커플링된 링(ring)을 포함하며, 한 쌍의 잠금 핑거는 링으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하는,
    조직 치료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핑거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편향되고 그 근위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잠금 구조물을 포함하는,
    조직 치료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요크는, 요크에 대해 잠금 핑거의 근위 단부를 구속하고 요크가 인장 부재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잠금 구조물이 캡슐의 잠금 특징부에 맞물리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오버행(overhang)을 포함하는,
    조직 치료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캡슐은 약 7.5 mm 내지 8.5 mm 범위의 길이를 가지는,
    조직 치료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은 개방 구성을 향해 편향되어,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이 캡슐 내로 근위 방향으로 당겨질 때,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이 폐쇄 구성을 향해 구속되고,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이 캡슐 밖으로 원위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이 그 편향된 개방 구성으로 복귀하게 하는,
    조직 치료 장치.
  9. 클리핑 장치(clipping device)로서,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로 종 방향으로 연장하고 이를 통해 연장하는 채널을 포함하는 캡슐을 포함하는 클립으로서,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의 근위 단부는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캡슐의 채널 내에 활주 가능하게 수용되는, 클립;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의 근위 단부에 연결되는 인장 부재, 인장 부재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캡슐에 대해 이동 가능하여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을 이동시키는 제어 부재에 커플링 가능한 요크를 포함하는 전개 기구로서, 인장 부재 및 요크는 인장 부재에 대한 미리 결정된 근위 방향 힘에 응답하여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전개 기구;
    전개 기구에 커플링되고 요크가 인장 부재로부터 분리될 때, 폐쇄 구성에서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을 잠그도록 캡슐의 대응하는 잠금 특징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잠금 핑거(locking finger)를 포함하는, 잠금 기구; 및
    캡슐의 근위 단부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어, 인장 부재로부터 요크가 분리될 때, 클립이 근위 부분으로부터 해제되고 표적 조직 위의 신체 내에서 전개되는, 근위 부분을 포함하는,
    클리핑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은 제 1 단부로부터 제 2 단부로 연장하고 그 일부분을 따르는 굽힘부를 포함하는 단일체 클리핑 요소를 통해 규정되며, 굽힘부는 단일체 클리핑 요소의 중간점을 따라 연장되어 제 1 및 제 2 클립 아암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클리핑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인장 부재의 원위 단부는 인장 부재의 원위 단부를 가로질러 직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핀을 통해 그리고 클립 아암의 근위 단부에 형성된 실질적으로 라운드 공간을 통해 단일체 클리핑 요소를 따르는 굽힘부를 통해 클립 아암의 근위 단부에 연결되는,
    클리핑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잠금 기구는 핀을 통해 인장 부재의 원위 단부에 커플링된 링을 포함하며, 한 쌍의 잠금 핑거는 링으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하는,
    클리핑 장치.
  13.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핑거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편향되고 그 근위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잠금 구조물을 포함하는,
    클리핑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요크는, 요크에 대해 잠금 핑거의 근위 단부를 구속하고 요크가 인장 부재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잠금 구조물이 캡슐의 잠금 특징부에 맞물리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오버행을 포함하는,
    클리핑 장치.
  15. 제 9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캡슐은 약 7.5 mm 내지 8.5 mm 범위의 길이를 가지는,
    클리핑 장치.
KR1020217027744A 2019-06-18 2020-06-10 지혈 클립 쇼트 시스템 KR202101307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63016P 2019-06-18 2019-06-18
US62/863,016 2019-06-18
PCT/US2020/037037 WO2020257024A1 (en) 2019-06-18 2020-06-10 Hemostasis clip shor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731A true KR20210130731A (ko) 2021-11-01

Family

ID=71948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7744A KR20210130731A (ko) 2019-06-18 2020-06-10 지혈 클립 쇼트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1484314B2 (ko)
EP (2) EP4032485A1 (ko)
JP (2) JP7368487B2 (ko)
KR (1) KR20210130731A (ko)
CN (1) CN113924051A (ko)
AU (1) AU2020295355B2 (ko)
CA (1) CA3129467A1 (ko)
WO (1) WO20202570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48370A1 (en) * 2022-02-09 2023-08-10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Locking feature for hemostasis clip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19829C1 (de) * 1993-06-16 1994-08-25 Lerch Karl Dieter Set zur Behandlung von Gefäßmißbildungen
JP4472217B2 (ja) * 2000-10-16 2010-06-0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生体組織のクリップ装置
US6991634B2 (en) * 2001-05-23 2006-01-31 Pentax Corporation Clip device of endoscope
US7094245B2 (en) * 2001-10-05 2006-08-22 Scimed Life Systems, Inc. Device and method for through the scope endoscopic hemostatic clipping
US7357805B2 (en) * 2001-12-13 2008-04-15 Sumitomo Bakelite Company Clip device for endoscope and clip for endoscope for use therein
JP4242614B2 (ja) 2002-08-21 2009-03-2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生体組織の結紮装置
EP1547529B1 (en) * 2002-08-21 2013-02-13 Olympus Corporation Ligating device for biological tissue
US7727247B2 (en) * 2002-08-21 2010-06-01 Olympus Corporation Living tissue ligation device
US7494461B2 (en) 2003-09-30 2009-02-2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hrough the scope tension member release clip
EP3443915B2 (en) * 2003-09-30 2024-01-3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Apparatus for deployment of a hemostatic clip
JP4758173B2 (ja) * 2004-12-24 2011-08-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結紮装置
CA2671433C (en) * 2006-12-05 2012-02-07 Wilson-Cook Medical Inc. Combination therapy hemostatic clip
JP5006753B2 (ja) * 2007-10-17 2012-08-22 Hoya株式会社 内視鏡用クリップ装置
AU2009260236B2 (en) * 2008-06-19 2014-06-1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Hemostatic clipping devices and methods
JP5588711B2 (ja) * 2010-03-30 2014-09-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結紮装置
JP5343113B2 (ja) * 2011-09-15 2013-11-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クリップ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る結紮装置
EP2591736A1 (en) * 2011-11-14 2013-05-15 Anrei Medical (HZ) Co., Ltd. Clip apparatus for ligature of living tissue
US20140088616A1 (en) * 2012-09-24 2014-03-2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Release mechanism for hemostatic clip
CN109640841B (zh) * 2016-08-22 2022-05-31 波士顿科学有限公司 带套管接合的止血可再装载夹持装置
US10624642B2 (en) * 2016-11-22 2020-04-21 Boston Scientific Limited Hemostasis reloadable clip release mechanism
CA3033084C (en) * 2016-12-06 2021-02-2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Compressive coupler for reloadable hemostasis clipp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22496A (ja) 2022-04-19
AU2020295355B2 (en) 2022-12-15
AU2020295355A1 (en) 2021-08-12
US20200397436A1 (en) 2020-12-24
CA3129467A1 (en) 2020-12-24
US20230014853A1 (en) 2023-01-19
EP3905970B1 (en) 2022-12-14
JP7368487B2 (ja) 2023-10-24
CN113924051A (zh) 2022-01-11
EP3905970A1 (en) 2021-11-10
WO2020257024A1 (en) 2020-12-24
JP2023162219A (ja) 2023-11-08
US11484314B2 (en) 2022-11-01
EP4032485A1 (en) 202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55172B (zh) 止血夹
JP7322185B2 (ja) 脱落部分を除去するための2段式止血クリップ展開メカニズム
JP2023053329A (ja) 止血クリップの配備
JP2023162219A (ja) 止血クリップの短縮化システム
US11129623B2 (en) Dual support jaw design
JP2023126382A (ja) 止血クリップの長さが短縮された配備メカニズム
JP7153806B2 (ja) 圧縮可能なカプセルを備えた止血クリップ
US20240108356A1 (en) Locking feature for hemostasis cl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