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0605A - 무선스위치를 이용한 조명 장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스위치를 이용한 조명 장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0605A
KR20210130605A KR1020200066812A KR20200066812A KR20210130605A KR 20210130605 A KR20210130605 A KR 20210130605A KR 1020200066812 A KR1020200066812 A KR 1020200066812A KR 20200066812 A KR20200066812 A KR 20200066812A KR 20210130605 A KR20210130605 A KR 20210130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device
portable switch
control
mode
identific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9777B1 (ko
Inventor
이재형
이승민
김홍대
Original Assignee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주식회사 비쥬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주식회사 비쥬드림 filed Critical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30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 장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조명 장치를 포터블 스위치로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등록 모드에 있는 복수의 조명 장치들 중 하나가 선택되어 포터블 스위치와 커플링되고, 상기 포터블 스위치와 커플링된 조명 장치가 동작 모드를 제어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포터블 스위치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커플링된 조명 장치가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커플링된 조명 장치가 동작 결과를 중앙 제어 장치에 전달한 후 동작 모드를 상기 등록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설치된 조명 장치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포터블 스위치로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 장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 장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터블 스위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조명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조명 장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설되고 있는 아파트는 원격 온/오프 및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마트 조명 시스템을 기본으로 적용하여 입주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조명 시스템은 월패드 등의 중앙 제어 장치와 조명 스위치 사이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동작한다. 그러나 이러한 조명 스위치들은 벽 부착형이여서 디자인이 각 세대가 원하는 인테리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조명 스위치 디자인을 각 세대의 요구사항에 맞추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조명 스위치를 벽에 매립하지 않는 포터블 스위치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터블 스위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조명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조명 장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조명 장치를 포터블 스위치로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등록 모드에 있는 복수의 조명 장치들 중 하나가 선택되어 포터블 스위치와 커플링되고, 상기 포터블 스위치와 커플링된 조명 장치가 동작 모드를 제어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포터블 스위치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커플링된 조명 장치가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커플링된 조명 장치가 동작 결과를 중앙 제어 장치에 전달한 후 동작 모드를 상기 등록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동작 모드를 제어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포터블 스위치로부터 제1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등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가 상기 등록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신호의 세기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 상호간에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 상기 각 조명 장치들이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를 타 조명 장치들의 수신 신호의 세기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 중 자신이 수신한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크다고 판단한 조명 장치가 상기 제1 식별 코드를 등록하고 제어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커플링된 조명 장치가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포터블 스위치로부터 제2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식별 코드와 상기 제2 식별 코드가 일치하면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동작 모드를 등록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포터블 스위치로부터 제3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해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식별 코드와 상기 제3 식별 코드가 일치하면 상기 해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식별 코드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동작 모드를 등록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커플링된 조명 장치가 동작 결과를 중앙 제어 장치에 전달한 후 자동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설치된 조명 장치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포터블 스위치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스위치와 조명 장치간 커플링이 간단하게 수행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애프터 마켓에서 취향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의 포터블 스위치를 구매하여 기 설치된 조명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번거로운 인테리어 공사가 필요없어 사용자가 포터블 스위치의 부착 위치를 선택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포터블 스위치만으로 가정내 모든 조명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동작 모드를 제어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S210)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커플링된 조명 장치가 동작하는 단계(S220)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동작 모드를 등록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S230)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a)는 포터블 스위치로 제1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2(a)는 포터블 스위치로 제3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조명 장치 및 포터블 스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 제어 시스템은 하나의 포터블 스위치로 제1 내지 제3 조명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조명 장치는 가정 내 서로 다른 공간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조명 장치는 안방, 상기 제2 조명 장치는 주방, 상기 제3 조명 장치는 거실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포터블 스위치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조명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력선이나 배터리를 구비하지 않고도 압전 소자 등을 이용하여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포터블 스위치는 인테리어 공사시 미리 고정 설치되어야 하는 종래 스위치와 달리 일반 사용자가 포터블 스위치를 별도 구매하여 원하는 위치에 간이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스위치는 제1 내지 제3 조명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조명 장치는 모두 포터블 스위치의 무선 통신 커버리지 내에 존재한다. 따라서 포터블 스위치가 제어하고자 하는 조명 장치를 먼저 선택하는 커플링 작업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먼저 도 1(a)와 같이 사용자가 포터블 스위치를 안방에 설치된 제1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데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포터블 스위치와 제1 조명 장치간 커플링 작업을 수행한다. 커플링 작업은 제1 조명 장치 근처에서 포터블 스위치의 등록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간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포터블 스위치가 제1 내지 제3 조명 장치 중 제1 조명 장치와 커플링되기 위해서는 제2 조명 장치 및 제3 조명 장치보다는 제1 조명 장치와 더 가깝게 위치할 필요가 있다. 제1 조명 장치와 커플링이 완료된 포터블 스위치는 안방 벽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b)와 같이 사용자가 포터블 스위치를 거실에 설치된 제3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데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포터블 스위치와 제3 조명 장치간 커플링 작업을 수행한다. 커플링 작업은 제3 조명 장치 근처에서 포터블 스위치의 등록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간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이 경우, 포터블 스위치가 제1 내지 제3 조명 장치 중 제3 조명 장치와 커플링되기 위해서는 제1 조명 장치 및 제2 조명 장치보다는 제3 조명 장치와 더 가깝게 위치할 필요가 있다. 제2 조명 장치와 커플링이 완료된 포터블 스위치는 거실 벽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 제어 방법이 적용된 시스템은 제1 내지 제3 조명 장치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중앙 제어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조명 장치를 포터블 스위치로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포터블 스위치와 커플링된 조명 장치가 동작 모드를 제어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S210), 상기 포터블 스위치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커플링된 조명 장치가 동작하는 단계(S220), 및 상기 커플링된 조명 장치가 동작 결과를 중앙 제어 장치에 전달한 후 동작 모드를 상기 등록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S230);를 포함한다.
상기 동작 모드를 제어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S210)는 제1 내지 제3 조명 장치 중 포터블 스위치와 커플링된 조명 장치에서 수행된다. 상기 동작 모드를 제어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S210)에서는 커플링된 조명 장치가 동작 모드를 제어 모드로 변경하고, 포터블 스위치로부터 제어 명령이 수신되기를 기다린다. 제1 내지 제3 조명 장치는 각각 동작 모드로서 등록 모드 및 제어 모드를 포함한다. 등록 모드는 포터블 스위치와 커플링되는 모드이고, 제어 모드는 커플링된 포터블 스위치에 의해 제어되는 모드이다. 따라서, 특정 포터블 스위치와 커플링되어 있지 않은 조명 장치는 등록 모드 상태로 어떤 포터블 스위치로도 제어되지 않는 상태이다. 따라서사용자는 포터블 스위치의 등록 버튼을 통해 포터블 스위치와 제어하고자 하는 조명 장치를 커플링하는 등록 작업이 먼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동작 모드를 제어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S210)에서는 등록 모드에 있는 복수의 조명 장치들 중 하나가 선택되어 포터블 스위치와 커플링되는 작업이 먼저 수행될 수 있다. 포터블 스위치와의 커플링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복수의 조명 장치들 상호간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된 조명 장치가 동작하는 단계(S220)는 포터블 스위치와 커플링된 조명 장치에서 수행된다. 상기 커플링된 조명 장치가 동작하는 단계(S220)에서는 커플링된 조명 장치가 포터블 스위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점등, 소등, 밝기 조정 및 색상 조정 등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등록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S230) 커플링된 조명 장치에서 수행된다.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등록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S230)에서는 커플링된 조명 장치가 포터블 스위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른 동작을 완료하고, 동작 결과를 중앙 제어 장치에 통보하여 중앙 제어 장치에 저장된 자신의 상태 정보가 업데이트되도록 한다. 이후, 커플링된 조명 장치는 자신의 동작 모드를 등록 모드로 변경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조명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포터블 스위치를 사용한다. 사용자는 복수의 조명 장치를 포터블 스위치로 제어하기에 앞서 제어 대상을 선택하고, 제어 대상을 선택한 후에 포터블 스위치로 해당 조명 장치를 제어하게 된다. 사용자는 포터블 스위치로 제어하고자 하는 조명 장치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사용자는 복수의 조명 장치 중 제어하고자 하는 조명 장치 근처에서 포터블 스위치의 등록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해당 조명 장치와 커플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S210)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S210)는 상기 포터블 스위치로부터 제1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등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102);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가 상기 등록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신호의 세기를 확인하는 단계(S2104);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 상호간에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를 공유하는 단계(S2106); 상기 각 조명 장치들이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를 타 조명 장치들의 수신 신호의 세기와 비교하는 단계(S2108); 및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 중 자신이 수신한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크다고 판단한 조명 장치가 상기 제1 식별 코드를 등록하고 동작 모드를 제어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2110);를 포함한다.
이 중 상기 등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102),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를 확인하는 단계(S2104),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를 공유하는 단계(S2106) 및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와 비교하는 단계(S2108)는 포터블 스위치의 무선 통신 커버리지 안에 존재하는 복수의 조명 장치에서 모두 수행된다. 상기 동작 모드를 제어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2110)는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조명 장치에서 수행된다.
상기 등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102)에서는 복수의 조명 장치들이 포터블 스위치로부터 전송되는 등록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포터블 스위치의 등록 버튼을 눌러서 등록 신호를 전송하면, 포터블 스위치의 통신 커버리지 내에 있는 조명 장치들 중 동작 모드가 등록 모드인 조명 장치들이 이를 수신하게 된다. 등록 신호는 포터블 스위치가 조명 장치들에게 커플링을 요청하는 신호이다. 등록 신호는 포터블 스위치 자신의 식별 코드인 제1 식별 코드를 포함한다. 등록 신호를 수신한 조명 장치들 중 하나가 상기 제1 식별 코드를 등록하여, 자신을 제어하게 될 포터블 스위치를 식별하게 된다.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를 확인하는 단계(S2104)에서는 복수의 조명 장치들이 포터블 스위치로부터 수신한 등록 신호의 세기를 확인한다. 포터블 스위치에서 무선으로 발송된 등록 신호의 세기는 전파 거리가 증가할수록 감소된다. 따라서, 각 조명 장치들은 신호의 세기를 확인하여 포터블 스위치와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를 공유하는 단계(S2106)에서는 복수의 조명 장치들이자신이 수신한 등록 신호의 세기에 관한 정보를 서로 공유한다. 따라서, 제1 조명 장치는 제2 조명 장치 및 제3 조명 장치가 받은 등록 신호의 세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1 내지 제3 조명 장치는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조명 장치는 중앙 제어 장치를 통하여 각자가 수신한 등록 신호의 세기에 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와 비교하는 단계(S2108)에서는 복수의 조명 장치들이 자신이 수신한 등록 신호의 세기와 타 조명 장치들이 수신한 등록 신호의 세기를 비교한다. 복수의 조명 장치들이 서로 수신한 등록 신호의 세기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각 조명 장치들은 자신이 수신한 등록 신호의 세기가 몇 번째로 강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모드를 제어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2110)에서는 복수의 조명 장치들 중 자신이 수신한 등록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크다고 판단한 조명 장치에서 수행된다. 예를 들어 제1 조명 장치가 자신이 수신한 등록 신호의 세기가 제2 및 제3 조명 장치가 수신한 등록 신호의 세기보다 크다고 판단하면, 제1 조명 장치가 다음과 같은 커플링 작업을 수행한다. 제1 조명 장치는 포터블 스위치의 식별 코드 즉 등록 신호에 포함된 제1 식별 코드를 등록하고, 동작 모드를 제어 모드로 전환한다. 제어 모드인 제1 조명 장치는 커플링 스위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대기한다. 한편, 제2 및 제3 조명 장치는 자신이 수신한 등록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크다고 판단하지 않으므로 동작 모드는 여전히 등록 모드를 유지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커플링된 조명 장치가 동작하는 단계(S220)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커플링된 조명 장치가 동작하는 단계(S220)는 상기 포터블 스위치로부터 제2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202); 및 상기 제1 식별 코드와 상기 제2 식별 코드가 일치하면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단계(S2204);를 포함한다.
상기 커플링된 조명 장치가 동작하는 단계(S220)는 포터블 스위치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이다. 커플링된 포터블 스위치는 자신의 식별 코드 즉, 제2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제어 신호는 조명 장치의 점등, 소등, 밝기 변경 및 색상 변경 등의 제어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단계(S2204)는 커플링이 완료된 조명 장치가 수신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단계이다. 동작 모드가 제어 모드인 조명 장치는 수신한 제어 신호에 포함된 제2 식별 코드가 기등록된 제1 식별 코드와 일치하는 경우, 커플링된 포터블 스위치로부터의 제어 명령임을 확인하고, 해당 제어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2 식별 코드가 기등록된 제1 식별 코드와 일치하지 않으면, 수신한 제어 신호를 무시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제어 모드에 있는 조명 장치는 커플링된 포터블 스위치에만 반응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동작 모드를 등록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S230)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 제어 방법은 포터블 스위치를 이용하여 조명 장치와 커플링하는 것 뿐 아니라 커플링을 해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동작 모드를 등록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S230)는 상기 포터블 스위치로부터 제3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해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302); 및 상기 제1 식별 코드와 상기 제3 식별 코드가 일치하면 상기 해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식별 코드를 삭제하는 단계(S2304);를 포함한다.
상기 해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302)에서는 제어 모드 상태인 조명 장치들에 의해 수행된다. 포터블 스위치가 자신의 식별 코드 즉, 제3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해제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 모드에 있는 복수의 조명 장치들이 포터블 스위치로부터 전송된 해제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1 식별 코드를 삭제하는 단계(S2304)는 상기 해제 신호를 수신한 조명 장치들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해제 신호에 포함된 제3 식별 코드가 등록된 제1 식별 코드와 일치하면 등록된 제1 식별 코드를 삭제하고, 동작 모드를 등록 모드로 변경하게 된다. 상기 제3 식별 코드가 상기 제1 식별 코드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해제 신호를 무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 제어 방법은 포터블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조명 장치의 커플링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제1 내지 제3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 장치에서 특정 조명 장치의 커플링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 포터블 스위치 고장으로 새로운 포터블 스위치를 사용하여 제1 조명 장치를 제어하려는 경우, 중앙 제어 장치에서 제1 조명 장치의 커플링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제1 조명 장치는 커플링 상태가 해제되면 등록된 제1 식별 코드를 삭제하고, 동작 모드를 제어 모드에서 등록 모드로 변경한다. 이후 새로운 포터블 스위치를 이용하여 제1 조명 장치와 커플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제1 조명 장치는 포터블 스위치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 후 자동적으로 커플링을 해제할 수 있다. 즉, 상기 등록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커플링된 조명 장치가 동작 결과를 중앙 제어 장치에 전달한 후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동작 수행 후 커플링이 자동 해제되는 조명 장치를 포터블 스위치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제어 명령 전송시 커플링 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로서는 하나의 포터블 스위치를 이용하여 가구 내 복수의 조명 장치들을 제어하기 상당히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트,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5)

  1. 복수의 조명 장치를 포터블 스위치로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등록 모드에 있는 복수의 조명 장치들 중 하나가 선택되어 포터블 스위치와 커플링되고, 상기 포터블 스위치와 커플링된 조명 장치가 동작 모드를 제어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포터블 스위치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커플링된 조명 장치가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커플링된 조명 장치가 동작 결과를 중앙 제어 장치에 전달한 후 동작 모드를 상기 등록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제어 방법.
  2.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를 제어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포터블 스위치로부터 제1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등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가 상기 등록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신호의 세기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 상호간에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
    상기 각 조명 장치들이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를 타 조명 장치들의 수신 신호의 세기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 중 자신이 수신한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크다고 판단한 조명 장치가 상기 제1 식별 코드를 등록하고 제어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제어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된 조명 장치가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포터블 스위치로부터 제2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식별 코드와 상기 제2 식별 코드가 일치하면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제어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를 등록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포터블 스위치로부터 제3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해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식별 코드와 상기 제3 식별 코드가 일치하면 상기 해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식별 코드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제어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를 등록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커플링된 조명 장치가 동작 결과를 중앙 제어 장치에 전달한 후 자동으로 수행되는 조명 장치 제어 방법.
KR1020200066812A 2020-04-22 2020-06-03 무선스위치를 이용한 조명 장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3997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554 2020-04-22
KR20200048554 2020-04-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605A true KR20210130605A (ko) 2021-11-01
KR102399777B1 KR102399777B1 (ko) 2022-05-19

Family

ID=78519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812A KR102399777B1 (ko) 2020-04-22 2020-06-03 무선스위치를 이용한 조명 장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77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9739A (ko) * 2012-07-12 2014-01-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제어 시스템에서의 조명 등록 장치 및 방법
KR20150026619A (ko) * 2013-09-03 2015-03-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의 등록 방법
JP2015097211A (ja) * 2012-07-12 2015-05-21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照明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60102708A (ko) * 2015-02-23 201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시스템
KR20170049108A (ko) * 2015-10-28 2017-05-10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조명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19212593A (ja) * 2018-06-08 2019-12-12 洋一 尾▲崎▼ 照明制御システム、照明制御方法および照明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9739A (ko) * 2012-07-12 2014-01-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제어 시스템에서의 조명 등록 장치 및 방법
JP2015097211A (ja) * 2012-07-12 2015-05-21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照明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50026619A (ko) * 2013-09-03 2015-03-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의 등록 방법
KR20160102708A (ko) * 2015-02-23 201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시스템
KR20170049108A (ko) * 2015-10-28 2017-05-10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조명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19212593A (ja) * 2018-06-08 2019-12-12 洋一 尾▲崎▼ 照明制御システム、照明制御方法および照明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9777B1 (ko)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0157B2 (en) Commissioning and controlling load control devices
US9949349B2 (en) Lighting control apparatus, lighting control method, and lighting control system
JP5145352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特に無線照明装置のネットワークの各装置を選択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CN102239747B (zh) 用于选择和控制设备的方法
EP2374332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copying settings of a device to another device, particularly for copying settings between lamps
KR20120034196A (ko)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의 진보된 커미셔닝
CN110709787A (zh) 配置负载控制系统
KR20110124753A (ko) 무선 조명 제어를 위한 연결 시퀀스
KR102399777B1 (ko) 무선스위치를 이용한 조명 장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11064597B1 (en) Power interruption bluetooth low energy mesh pairing
US11950341B2 (en) Proximity-detecting device
KR101976563B1 (ko) 조명 제어 시스템에서의 조명 등록 장치 및 방법
JP7108923B2 (ja) 無線システム、無線制御システム、設定器、プログラム及び設定方法
US12010780B2 (en) Commissioning and controlling load control devices
JP4498003B2 (ja) 照明制御装置
KR20100039877A (ko) 무선 제어 장치
KR20230102096A (ko) 보일러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 및 디바이스, 보일러 제어 방법
JP2021108423A (ja) 遠隔操作装置
CN116935841A (zh) 语音控制的方法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