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0598A - Method for providing predi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and method for prociding learning planner based on the predi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predi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and method for prociding learning planner based on the predi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0598A
KR20210130598A KR1020200049003A KR20200049003A KR20210130598A KR 20210130598 A KR20210130598 A KR 20210130598A KR 1020200049003 A KR1020200049003 A KR 1020200049003A KR 20200049003 A KR20200049003 A KR 20200049003A KR 20210130598 A KR20210130598 A KR 20210130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eriod
learning
grade
exp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0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76023B1 (en
Inventor
이효정
Original Assignee
이효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효정 filed Critical 이효정
Priority to KR1020200049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023B1/en
Publication of KR20210130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598A/en
Priority to KR1020220167342A priority patent/KR202201662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023B1/en
Priority to KR1020240020710A priority patent/KR2024002358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As a method for providing the prediction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the method, i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ep of obtaining the grade-level information and level test result information of a user; a step of deriving learning the effective period information and the first grade target period information based on the grade-level information and the current date information; a step of deriving the average learning period information and the diagnosed prediction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based on the level test result information; a step of deriving the curriculum information based on the diagnosed prediction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and a step of deriving the prediction completion period information, the shortened period information, and the improved prediction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based on the curriculum informa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helping in motivating the students.

Description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예상 성취 등급 정보 기반의 학습 플래너를 제공하는 방법{METHOD FOR PROVIDING PREDI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AND METHOD FOR PROCIDING LEARNING PLANNER BASED ON THE PREDI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METHOD FOR PROVIDING PREDI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AND METHOD FOR PROCIDING LEARNING PLANNER BASED ON THE PREDI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본 발명은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예상 성취 등급 정보 기반의 학습 플래너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벨 테스트를 통해 학생의 예상 성취 등급을 도출하는 방법 및 이에 기반한 학습 플래너를 학생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and a method of providing a learning planner based on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and more particularly, a method of deriving an expected achievement grade of a student through a level test, and a learning planner based thereon how to provide it to students.

일반적으로 학생들이 공부를 하는 경우, 학습 계획을 세워두고 진행하나, 이를 모두 수행하였을 때, 예상되는 자신의 레벨을 알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자신의 레벨을 높이는데 효율적인 학습 계획을 세우기 어려우며, 동기부여 또한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는 자신의 레벨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발생되는 문제라고 보인다.In general, when students study, they set up a learning plan and proceed, but when they are all done, it is difficult to know their expected level.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an effective learning plan to raise one's level,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also difficult to motivate. This seems to be a problem that occurs because there are insufficient indicators to check one's own level.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학생들은 자신의 지인들과 비교를 할 수 있으나, 1인이 확인할 수 있는 표본은 너무 적기 때문에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To solve this, students can compare with their acquaintances, but there is a problem that reliability is lowered because the sample that can be confirmed by one person is too small.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providing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예상 성취 등급 정보 기반의 학습 플래너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a learning planner based on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예상 성취 등급 정보 기반의 학습 플래너를 제공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learning planner based on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학년 정보 및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학년 정보 및 현재 날짜 정보를 기반으로 학습 유효 기간 정보 및 1 등급 목표 기간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평균 학습 기간 정보 및 진단된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진단된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기반으로 커리큘럼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커리큘럼 정보를 기반으로 예상 완료 기간 정보, 단축 기간 정보 및 개선된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평균 학습 기간 정보는 상기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에 따른 현재 레벨로부터 완성 레벨까지 소요되는 평균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예상 완료 기간 정보는 상기 커리큘럼 정보에 따라 학습 진행 시 소요되는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단축 기간 정보는 상기 평균 학습 기간 정보 및 상기 예상 완료 기간 정보를 기반으로 도출될 수 있다.A method of providing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the steps of: obtaining a user's grade information and level test result information, learning is effective based on the grade information and current date information Deriving period information and 1st grade target period information, deriving average learning period information and diagnosed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based on the level test result information, curriculum information based on the diagnosed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and deriving expected completion period information, shortened period information, and improved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based on deriving and the curriculum information, wherein the average learning period information is completed from the current level according to the level test result information Indicates information on an average period required to level, the expected completion period information indicates information on a period required to proceed with learning according to the curriculum information, and the shortened period information includes the average learning period information and the expected completion period It can be derived based on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학년 정보 및 현재 날짜 정보를 기반으로 시험 기간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날짜 정보, 상기 평균 학습 기간 정보 및 상기 시험 기간 정보를 기반으로 예상 완료 일자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deriving test period information based on the grade information and current date information, and deriving expected completion date information based on the current date information, the average learning period information, and the test period information can

여기서, 상기 학습 유효 기간 정보는 상기 현재 날짜 정보로부터 고3까지의 기간 정보에서 상기 시험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1 등급 목표 기간 정보는 상기 학습 유효 기간 정보에서 2년 선행에 따른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2년 선행에 따른 기간 정보는 2년에서 2년동안의 시험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Here, the learning validity period information represents information about a period excluding the test period information from the period information from the current date information to high school 3, and the 1st grade target period information is two years ahead of the learning validity period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period excluding the perio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bove may be indicated, and the perio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wo-year precedent may indicate information about the period excluding the test period information for two to two years.

여기서, 상기 커리큘럼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학습 플래너에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 플래너를 기반으로 일자별로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강의 정보 또는 일자별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학습량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ep of registering the curriculum information in the user's learning planner and providing lecture information that the user should proceed by date or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learning that the user should proceed by date based on the learning planner may further include .

여기서, 상기 학습 플래너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예상 등급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예상 등급 정보에 따른 대학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riving the user's current expected grade information based on the learning planner and providing universit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expected grade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상기 학습 플래너에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 플래너를 기반으로 일자별로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수정된 강의 정보 또는 일자별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수정된 학습량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eps of obtaining the modified learning plan information from the user, applying the modified learning plan information to the learning planner, and the modified lecture information that the user should proceed by date based on the learning planner or the user by date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providing the corrected learning amount information to proceed.

여기서,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상기 학습 플래너에 적용하는 단계는, 관리자 단말로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에 대한 승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승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상기 학습 플래너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ep of applying the modified learning plan information to the learning planner includes providing the modified learning plan information to a manager terminal, obtaining approval information for the modified learning plan information from the manager terminal and applying the modified learning plan information to the learning planner based on the approval inform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는,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사용자의 학년 정보 및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를 획득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상기 학년 정보 및 현재 날짜 정보를 기반으로 학습 유효 기간 정보 및 1 등급 목표 기간 정보를 도출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상기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평균 학습 기간 정보 및 진단된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도출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상기 진단된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기반으로 커리큘럼 정보를 도출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상기 커리큘럼 정보를 기반으로 예상 완료 기간 정보, 단축 기간 정보 및 개선된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도출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상기 평균 학습 기간 정보는 상기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에 따른 현재 레벨로부터 완성 레벨까지 소요되는 평균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예상 완료 기간 정보는 상기 커리큘럼 정보에 따라 학습 진행 시 소요되는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단축 기간 정보는 상기 평균 학습 기간 정보 및 상기 예상 완료 기간 정보를 기반으로 도출될 수 있다.An apparatus for providing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processor and a memory in which at least one instruction executed through the processor is stored, and the The at least one instruction may be executed to obtain the user's grade information and level test result information, and may be executed to derive learning validity period information and first grade target period information based on the grade information and current date information, and the level may be executed to derive the average learning period information and the diagnosed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based on the test result information, and may be executed to derive curriculum information based on the diagnosed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and predicted based on the curriculum information It may be executed to derive completion period information, shortened period information, and improved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wherein the average learning period information represents information about the average period taken from the current level to the completion level according to the level test result information, The expected completion period information may indicate information on a period required to proceed with learning according to the curriculum information, and the shortened period information may be derived based on the average learning period information and the expected completion period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학년 정보 및 현재 날짜 정보를 기반으로 시험 기간 정보를 도출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상기 현재 날짜 정보, 상기 평균 학습 기간 정보 및 상기 시험 기간 정보를 기반으로 예상 완료 일자 정보를 도출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command may be executed to derive test period information based on the grade information and current date information, and estimated completion date information based on the current date information, the average learning period information, and the test period information can be implemented to derive

여기서, 상기 학습 유효 기간 정보는 상기 현재 날짜 정보로부터 고3까지의 기간 정보에서 상기 시험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1 등급 목표 기간 정보는 상기 학습 유효 기간 정보에서 2년 선행에 따른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2년 선행에 따른 기간 정보는 2년에서 2년동안의 시험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Here, the learning validity period information represents information about a period excluding the test period information from the period information from the current date information to high school 3, and the 1st grade target period information is two years ahead of the learning validity period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period excluding the perio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bove may be indicated, and the perio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wo-year precedent may indicate information about the period excluding the test period information for two to two years.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커리큘럼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학습 플래너에 등록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상기 학습 플래너를 기반으로 일자별로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강의 정보 또는 일자별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학습량 정보를 제공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command may be executed to register the curriculum information in the user's learning planner, and based on the learning planner, the lecture information that the user should proceed by date or the amount of learning information that the user should proceed by date is provided. can be executed to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학습 플래너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예상 등급 정보를 도출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상기 현재 예상 등급 정보에 따른 대학 정보를 제공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command may be executed to derive the current expected grade inform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learning planner, and may be executed to provide universit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predicted grade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획득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상기 학습 플래너에 적용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상기 학습 플래너를 기반으로 일자별로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수정된 강의 정보 또는 일자별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수정된 학습량 정보를 제공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command may be executed to obtain the modified learning plan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may be executed to apply the modified learning plan information to the learning planner, and based on the learning planner, the user It may be executed to provide modified lecture information to be conducted or modified learning amount information that the user should proceed by date.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관리자 단말로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제공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에 대한 승인 정보를 획득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상기 승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상기 학습 플래너에 적용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command may be executed to provide the modified learning plan information to the manager terminal, and may be executed to obtain approval information for the modified learning plan information from the manager terminal, and based on the approval information to apply the modified learning plan information to the learning planner.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와 같이 공부할 경우의 예상 성취 등급을 제공하여 학생의 동기부여에 도움을 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help motivate students by providing an expected achievement grade when studying as in the present.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은 등급을 위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절대적인 공부량을 제공하여 학생의 의욕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motivation of students by providing an absolute amount of study additionally required for a high grade.

본 발명에 따르면, 예상 성취 등급을 기반한 등급을 높이기 위한 커리큘럼을 자동으로 도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derive and provide a curriculum for increasing the grade based on the expected achievement gra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취 등급 레포트의 기본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취 등급 레포트의 종합 레벨 진단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취 등급 레포트의 솔루션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플래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취 등급 정보 제공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취 등급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basic information of an expected achievement grade re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comprehensive level diagnosis information of an expected achievement level re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solution information of an expected achievement grade re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learning plan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overall understand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즉, 학생의 현재 레벨을 기반으로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커리큘럼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학습 플래너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수업 진행을 도와줄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based on the current level of a user, that is, a student, and may provide a curriculum according to this, and apply it to a learning planner for the user's Can help you with the class.

여기서, 학생의 현재 레벨은 레벨 테스트의 결과로 도출될 수 있고, 레벨 테스트의 결과는 미리 정해진 문제 및 정답을 기반으로 레벨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일 수 있으며, 정답률 또는 정답의 개수를 기반으로 도출될 수 있으나, 특정 문제에 대한 정답 여부 등이 고려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student's current level may be derived as a result of a level test, and the result of the level test may be a result of performing a level test based on a predetermined problem and correct answer, and may be derived based on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or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However, since the correct answer to a specific problem may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학습 플래너를 기반으로 학업을 진행하는 사용자에게 현재 예상 등급을 도출하여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른 대학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동기부여를 도울 수 있다. 사용자는 확인한 현재 예상 등급 또는 대학 정보가 만족스럽지 않은 경우 학습 계획을 수정할 수 있다. 즉, 능동적으로 공부량을 늘리게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 플래너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도 5 및 도 6과 함께 후술하겠다.In addition, the current expected grade may be derived and provided to the user who is conducting studies based on the study planner, and the corresponding university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help motivate the user. Users can revise their study plan if they are not satisfied with the current expected grade or university information they have checked. That is, the effect of actively increasing the amount of study can be provided. A detailed description related to such a learning planner will be described later along with FIGS. 5 and 6 .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취 등급 정보는 예상 성취 등급 레포트라고 나타낼 수도 있으며, 예상 성취 등급 레포트는 사용자의 레벨 테스트 결과를 기반으로 기본 정보, 종합 레벨 진단 정보 및 솔루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4와 함께 상세히 설명하겠다.In addition, the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represented as an expected achievement grade report, and the expected achievement grade report may include basic information, comprehensive level diagnostic information and solu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s level test result,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취 등급 레포트의 기본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basic information of an expected achievement grade re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기본 정보에서는 사용자 즉, 학생의 기본적인 정보들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정보는 학생명, 학년 정보, 학교 정보, 학습 유효 기간 정보, 1등급 목표 기간 정보 및 1~2등급 목표 기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basic information of a user, that is, a student, may be provided in the basic information. For example, the basic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tudent name, grade information, school information, learning validity period information, first-grade target period information, and first and second-grade goal period information.

예를 들어, 학생명, 학년 정보 또는 학교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으며, 학습 유효 기간 정보, 1등급 목표 기간 정보 및 1~2등급 목표 기간 정보는 학년 정보 및 현재 날짜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도출될 수 있다.For example, student name, grade information, or school information may be input by a user, and learning validity period information, grade 1 target period information, and grade 1 and 2 target duration information are automatically generated based on grade information and current date information. can be derived as

예를 들어, 상기 학습 유효 기간 정보는 상기 현재 날짜 정보로부터 고3까지의 기간 정보에서 상기 시험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1 등급 목표 기간 정보는 상기 학습 유효 기간 정보에서 2년 선행에 따른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2년 선행에 따른 기간 정보는 2년에서 2년동안의 시험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1~2 등급 목표 기간 정보는 상기 학습 유효 기간 정보에서 1년 선행에 따른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1년 선행에 따른 기간 정보는 1년에서 1년동안의 시험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2년 선행에 따른 기간 정보는 16개월일 수 있고, 상기 1년 선행에 따른 기간 정보는 8개월일 수 있으나, 시험 기간 정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learning validity period information represents information about a period excluding the test period information from the period information from the current date information to high school 3, and the first grade target period information is 2 years from the learning validity period information Information about the period excluding perio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ceding, and the perio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wo-year precedent may indicate information about the period excluding the test period information for 2 to 2 years. In addition, the 1st and 2nd grade target period information represents information about a period excluding period information according to one year precedence from the learning validity period information, and the perio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ne year precedence is a test for one year to one year Information about a period excluding period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For example, the perio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wo-year advance may be 16 months, and the perio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ne-year advance may be 8 months, but since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test period information, it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취 등급 레포트의 종합 레벨 진단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comprehensive level diagnosis information of an expected achievement level re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종합 레벨 진단 정보에서는 사용자의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합 레벨 진단 정보는 영역(section), 레벨, 전과정 평균학습기간, 평균학습기간+시험기간, 예상 완료 일자 및 고등학교 예상 성취 등급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user level test result information may be provided in the comprehensive level diagnosis information. For example, the comprehensive level diagnosis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ection, a level, an average learning period of the entire process, an average learning period + test period, an expected completion date, and an expected high school achievement grade.

예를 들어, 영역은 문법&작문(Grammar & Writing), 듣기&말하기(Listening & Speaking) 및 읽기&단어(Reading & Vocabulary)로 분류될 수 있으나, 보다 상세히 분류될 수도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or example, the domain may be classified into Grammar & Writing, Listening & Speaking, and Reading & Vocabulary, but may be classified in more detail, so it is not limited thereto. .

또한, 레벨은 12 등급 중 하나로 도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12 등급은 파닉스(phonics) 입문, 파닉스 중급, 파닉스 고급, 초등 입문, 초등 중급, 초등 고급, 중등 입문, 중등 중급, 중등 고급, 고등 입문, 고등 중급 및 고등 고급을 포함할 수 있으나, 영역에 따라 다른 명칭으로 나타내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level may be derived as one of 12 grad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grade of 12 may include Introductory Phonics, Intermediate Phonics, Advanced Phonics, Intro Elementary, Intermediate Elementary, Advanced Elementary, Beginner Secondary, Intermediate Intermediate, Advanced Intermediate, Introductory Higher, Intermediate Advanced, and Advanced Advanced. , may be represented by different names depending on the area.

예를 들어, 전과정 평균 학습 기간은 현재 레벨에서 입시(또는 수능) 완성 단계까지 도달하는데 평균적으로 걸리는 기간을 나타낼 수 있으며, 평균 학습 기간 + 시험 기간은 상기 전과정 평균 학습 기간과 시험 기간을 합산한 기간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전과정 평균 학습 기간은 간략히 평균 학습 기간이라 나타낼 수 있고, 평균 학습 기간 + 시험 기간는 진단 완료 일자라고 나타낼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average learning period of the entire process may represent the average time it takes to reach the completion stage of the entrance exam (or CSAT) from the current level, and the average learning period + test period is the sum of the average learning period of the entire process and the test period. can represent Here, the average learning period for the entire process may be briefly expressed as an average learning period, and the average learning period + the test period may be expressed as a diagnosis completion date.

또한, 예상 완료 일자는 현재 날짜로부터 평균학습기간+시험기간을 기산한 날짜를 나타낼 수 있으며, 고등학교 예상 성취 등급은 사용자가 현재와 같은 학습 능력 또는 학습량으로 진행하는 경우, 고 1이 되었을 때의 예상 성취 등급을 나타낼 수 있으며, 간략히 예상 성취 등급이라고 나타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xpected completion date may represent the date calculated by the average learning period + the test period from the current date, and the expected high school achievement grade is the expected high school 1 It may indicate an achievement grade, or it may simply be referred to as an expected achievement grade.

또는 예를 들어, 종합 레벨 진단 정보는 도 3과 같이, 하단 영역에 영역 별 레벨을 차트로 나타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손쉽게 영역 별 레벨을 확인할 수 있고, 부족한 영역 또는 강한 영역을 파악할 수 있다. 다만, 차트는 생략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for example, the comprehensive level diagnosis information may represent the level for each area as a chart in the lower area as shown in FIG. 3 , and through this,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level for each area, and identify the insufficient area or the strong area. . However, the chart may be omit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취 등급 레포트의 솔루션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solution information of an expected achievement grade re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솔루션 정보에서는 사용자가 특정 커리큘럼을 수행하여 개선될 수 있는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솔루션 정보는 영역 별로 도 4와 같은 정보가 제공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영역에 따른 솔루션 정보를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예를 들어, 솔루션 정보는 영역, 커리큘럼, 솔루션 학습 기간에 따른 예상 완료 기간, 솔루션 학습 기간에 따른 단축 기간, 진단된 예상 성취 등급 및 솔루션 예상 성취 등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information that can be improved by a user performing a specific curriculum may be provided in solution information. For example, as for the solution information, the information shown in FIG. 4 may be provided for each area, bu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solu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one area will be described as the basis. For example, the solu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rea, a curriculum, an expected completion period according to the solution learning period, a shortened period according to the solution learning period, a diagnosed expected achievement grade, and a solution expected achievement grade.

예를 들어, 영역은 도 3과 함께 설명한 영역과 동일할 수 있고, 커리큘럼은 사용자의 현재 레벨에서 입시(또는 수능) 완성 단계까지 구성된 학습 커리큘럼으로 학습 유효 기간을 고려하여 도출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rea may be the same as the area described in conjunction with FIG. 3 , and the curriculum may be derived by considering the learning validity period as a learning curriculum configured from the user's current level to the entrance exam (or CSAT) completion stage.

또한, 예상 완료 기간은 상기 커리큘럼에 따라 입시 완성 단계까지 학습을 수행하는 경우,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으며, 시험 기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단축 기간은 상기 커리큘럼에 따라 학습을 수행하는 경우, 기존 학습 방법에 따라 학습 수행하는 경우보다 입시 완성 단계까지 단축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으며, 평균 학습 기간 및 예상 완료 기간을 기반으로 도출될 수 있다. 또는 평균 학습 기간 + 시험 기간 및 예상 완료 기간 간의 차이를 기반으로 도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pected completion period may indicate information about an expected period when learning is performed until the completion of the entrance exam according to the curriculum, and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test period. In addition, the shortened period may indicate information about the time shortened until the completion of the entrance exam compared to the case where learn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existing learning method when learn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above curriculum, based on the average learning period and expected completion period can be derived. Alternatively, it can be deriv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study duration plus the duration of the exam and the expected completion duration.

예를 들어, 진단된 예상 성취 등급은 예상 성취 등급(진단)으로 나타낼 수 있고, 솔루션 예상 성취 등급은 예상 성취 등급(솔루션)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개선된 예상 성취 등급이라고 나타낼 수도 있다. 여기서, 진단된 예상 성취 등급은 레벨 테스트 결과를 기반으로 기존의 학습 방법에 따라 학습을 진행하는 경우 고1이 되었을 때의 예상 성취 등급을 나타낼 수 있고, 솔루션 예상 성취 등급은 커리큘럼에 따라 학습을 진행하는 경우 고1이 되었을 때의 예상 성취 등급을 나타낼 수 있다.For example, the diagnosed expected achievement grade may be represented by an expected achievement grade (diagnosis), and the solution expected achievement grade may be represented by an expected achievement grade (solution), and may be represented as an improved expected achievement grade. Here, the diagnosed expected achievement grade may represent the expected achievement grade when high school 1 is reached when learning is conducted according to the existing learning method based on the level test result, and the solution expected achievement grade proceeds with learning according to the curriculum If you do, you can indicate the expected achievement grade when you reach 1st year of high school.

또는 예를 들어, 솔루션 정보는 도 4와 같이, 하단 영역에 솔루션에 따라 학습시 소요되는 기간 및 기존의 학습 방법에 따라 학습시 소요되는 기간을 차트로 나타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손쉽게 솔루션에 따라 단축되는 기간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차트는 생략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for example, the solution information can be shown in a chart showing the period required for learning according to the solution and the period required for learning according to the existing learning method in the lower area as shown in FIG. 4 , and the user can easily access the solution through this You can check the shortened period accordingly. However, the chart may be omitted.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플래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and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learning plan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는 상기 예상 성취 등급 정보에서 제공된 커리큘럼을 학습 플래너에 등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커리큘럼에 따라 학습을 진행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리큘럼이 등록된 경우, 학습 플래너는 도 6과 같이 커리큘럼에 따라 사용자가 일자별로 진행하여야 하는 강의 정보 및/또는 학습량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에 따라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강의 정보 및/또는 학습량 정보는 영역 별로 구분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urriculum provided in the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may be registered in the learning planner, and through this, the user may assist the user in learning according to the curriculum. For example, when the curriculum is registered, the learning planner may provide the user with lecture information and/or learning amount information that the user must proceed by date according to the curriculum as shown in FIG. 6 , and the user may perform learning accordingly can Here, lecture information and/or learning amount information may be provided separately for each area.

예를 들어, 학습 플래너는 사용자에게 도 5와 같이 현재 진행 중인 학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진행 중인 학습에 대한 정보는 영역 별로 구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영역별로 커리큘럼 명, 현재 학습 수준 및 고등학교 예상 성취 등급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랭킹(전국) 퍼센트 정보, 평균 예상 등급 정보 및 관련 대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earning planner may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ly ongoing learning as shown in FIG. 5 . Here, information on ongoing learning may be divided by area, and at least one of a curriculum name, current learning level, and high school expected achievement grade may be provided for each area, and overall ranking (national) percent information, average prediction At least one of grade information and related university information may be provided.

여기서, 커리큘럼 명은 상술한 예상 성취 등급 정보에서 제공되는 커리큘럼일 수 있고, 평균 예상 등급은 영역별 고등학교 예상 성취 등급의 평균으로 도출될 수 있다. 관련 대학 정보는 평균 예상 등급을 기반으로 도출된 대학들의 정보를 나타낼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관련 대학 보기가 클릭된 경우, 제공될 수도 있다. Here, the curriculum name may be a curriculum provided from the above-described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and the average expected grade may be derived as an average of high school expected achievement grades for each area. The related university information may indicate information of universities derived based on the average expected grade, and may be provided when the related university view is clicked by the user.

예를 들어, 사용자는 고등학교 예상 성취 등급, 평균 예상 등급 또는 관련 대학 정보가 만족스럽지 않은 경우, 학습 설정 변경 요청을 클릭하여 학습 계획을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해 영역 별로 학습량을 수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수정된 고등학교 예상 성취 등급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정한 학습 계획 또는 학습량을 관리자에게 요청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이를 확인하고 승인하는 경우, 학습 플래너에 반영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user is not satisfied with the high school expected achievement grade, average expected grade, or related college information, click Request to change learning settings to change the learning plan. In this case, the amount of learning may be modified for each area by the user, and the corrected high school expected achievement grade accordingly may be displayed. The user may request the modified learning plan or learning amount from the administrator, and if the administrator confirms and approves it, it may be reflected in the learning planner.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학습 플래너는 커리큘럼에 따라 사용자가 일자별로 진행하여야 하는 강의 정보 및/또는 학습량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 플래너는 날짜, 영역, 강의명, 목표 시간, 완료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총 예상 학습 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목표 시간 및 최종 학습 완료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고, 완료 여부는 자동적으로 도출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6 , the learning planner may provide the user with lecture information and/or learning amount information that the user must proceed by date according to the curriculum. Here, the learning planner may provide information on the date, area, lecture name, target time, and completion status, and may provide information on the total expected learning time accordingly. Here, the target time and the final learning completion time may be input by the user, and the completion may be automatically deriv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취 등급 정보 제공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취 등급 정보 제공 장치(7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710), 메모리(720) 및 저장 장치(73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an apparatus 700 for providing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710 , a memory 720 , and a storage device 730 .

프로세서(710)는 메모리(720) 및/또는 저장 장치(730)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720)와 저장 장치(730)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7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로 구성될 수 있다.The processor 710 may execute a program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720 and/or the storage device 730 . The processor 710 may mean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or a dedicated processor on which 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The memory 720 and the storage device 730 may be configured as a volatile storage medium and/or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For example, the memory 720 may be configured as a read only memory (ROM) and/or a random access memory (RAM).

메모리(720)는 프로세서(710)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사용자의 학년 정보 및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를 획득하는 명령, 상기 학년 정보 및 현재 날짜 정보를 기반으로 학습 유효 기간 정보 및 1 등급 목표 기간 정보를 도출하는 명령, 상기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평균 학습 기간 정보 및 진단된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도출하는 명령, 상기 진단된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기반으로 커리큘럼 정보를 도출하는 명령 및 상기 커리큘럼 정보를 기반으로 예상 완료 기간 정보, 단축 기간 정보 및 개선된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도출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평균 학습 기간 정보는 상기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에 따른 현재 레벨로부터 완성 레벨까지 소요되는 평균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예상 완료 기간 정보는 상기 커리큘럼 정보에 따라 학습 진행 시 소요되는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단축 기간 정보는 상기 평균 학습 기간 정보 및 상기 예상 완료 기간 정보를 기반으로 도출될 수 있다.The memory 720 may store at least one instruction executed through the processor 710 . The at least one command includes a command to obtain the user's grade information and level test result information, a command to derive learning validity period information and 1st grade target period information based on the grade information and current date information, and the level test result information Based on the instruction for deriving the average learning period information and the diagnosed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the instruction for deriving curriculum information based on the diagnosed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and the expected completion period information, shortened period information and may include a command for deriving improved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wherein the average learning period information represents information about an average period from the current level to the completion level according to the level test result information, and the expected completion period information represents information on a period required to proceed with learning according to the curriculum information, and the shortened period information may be derived based on the average learning period information and the expected completion period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학년 정보 및 현재 날짜 정보를 기반으로 시험 기간 정보를 도출하는 명령 및 상기 현재 날짜 정보, 상기 평균 학습 기간 정보 및 상기 시험 기간 정보를 기반으로 예상 완료 일자 정보를 도출하는 명령을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command is a command for deriving test period information based on the grade information and the current date information, and the expected completion date information based on the current date information, the average learning period information, and the test period informa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command to

여기서, 상기 학습 유효 기간 정보는 상기 현재 날짜 정보로부터 고3까지의 기간 정보에서 상기 시험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1 등급 목표 기간 정보는 상기 학습 유효 기간 정보에서 2년 선행에 따른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2년 선행에 따른 기간 정보는 2년에서 2년동안의 시험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Here, the learning validity period information represents information about a period excluding the test period information from the period information from the current date information to high school 3, and the 1st grade target period information is two years ahead of the learning validity period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period excluding the perio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bove may be indicated, and the perio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wo-year precedent may indicate information about the period excluding the test period information for two to two years.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커리큘럼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학습 플래너에 등록하는 명령 및 상기 학습 플래너를 기반으로 일자별로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강의 정보 또는 일자별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학습량 정보를 제공하는 명령을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command is a command to register the curriculum information in the user's learning planner, and based on the learning planner, lecture information that the user should proceed by date or a comman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learning that the user should proceed by date may further include.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학습 플래너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예상 등급 정보를 도출하는 명령 및 상기 현재 예상 등급 정보에 따른 대학 정보를 제공하는 명령을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command may further include a command for deriving the current expected grade inform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learning planner and a command for providing universit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predicted grade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획득하는 명령,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상기 학습 플래너에 적용하는 명령 및 상기 학습 플래너를 기반으로 일자별로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수정된 강의 정보 또는 일자별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수정된 학습량 정보를 제공하는 명령을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command is a command for obtaining the modified learning plan information from the user, a command for applying the modified learning plan information to the learning planner, and a modification that the user must proceed by date based on the learning planner. It may further include a command to provide the information of the lecture or the modified amount of learning that the user should proceed by date.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상기 학습 플래너에 적용하는 명령은, 관리자 단말로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제공하는 명령,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에 대한 승인 정보를 획득하는 명령 및 상기 승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상기 학습 플래너에 적용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command is a command to apply the modified learning plan information to the learning planner, a command to provide the modified learning plan information to the manager terminal, the modified learning plan information from the manager terminal and a command for obtaining approval information and a command for applying the modified learning plan information to the learning planner based on the approval informa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취 등급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학년 정보 및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810). 예를 들어, 사용자의 학년 정보는 초1 내지 초6, 중1 내지 중3 중 하나로 획득될 수 있으나, 고1 내지 고3 중 하나로 획득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는 미리 정해진 문제 및 정답을 기반으로 레벨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일 수 있으며, 정답률 또는 정답의 개수를 기반으로 도출될 수 있으나, 특정 문제에 대한 정답 여부 등이 고려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Referring to FIG. 8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ser's grade information and level test result information may be acquired ( S810 ). For example, the user's grade information may be obtained as one of elementary school 1 to elementary 6, middle school 1 to 3, but it is not excluded that it is obtained as one of high school 1 to high school 3. In addition, the level test result information may be a result of performing a level test based on a predetermined problem and correct answer, and may be derived based on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or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예는 학년 정보 및 현재 날짜 정보를 기반으로 학습 유효 기간 정보 및 1 등급 목표 기간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S820). 여기서, 상기 학습 유효 기간 정보는 상기 현재 날짜 정보로부터 고3까지의 기간 정보에서 상기 시험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1 등급 목표 기간 정보는 상기 학습 유효 기간 정보에서 2년 선행에 따른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2년 선행에 따른 기간 정보는 2년에서 2년동안의 시험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nformation on the effective period of learning and information on the first grade target period may be derived based on the grade information and the current date information (S820). Here, the learning validity period information represents information about a period excluding the test period information from the period information from the current date information to high school 3, and the 1st grade target period information is two years ahead of the learning validity period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period excluding the perio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bove may be indicated, and the perio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wo-year precedent may indicate information about the period excluding the test period information for two to two years.

일 실시예는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평균 학습 기간 정보 및 진단된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S830). 여기서, 상기 평균 학습 기간 정보는 상기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에 따른 현재 레벨로부터 완성 레벨까지 소요되는 평균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는 학년 정보 및 현재 날짜 정보를 기반으로 시험 기간 정보를 도출할 수 있고, 현재 날짜 정보, 평균 학습 기간 정보 및 시험 기간 정보를 기반으로 예상 완료 일자 정보를 도출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verage learning period information and diagnosed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may be derived based on the level test result information (S830). Here, the average learning period information may indicate information on an average period from the current level to the completion level according to the level test result information. Also,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test period information may be derived based on grade information and current date information, and expected completion date information may be derived based on current date information, average learning period information, and test period information. have.

일 실시예는 진단된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기반으로 커리큘럼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S840). 여기서, 커리큘럼 정보는 현재 날짜로부터 고3까지의 기간의 커리큘럼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다만, 커리큘럼 정보는 시험 기간에 대해서는 제외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커리큘럼 정보는 강의 정보 및/또는 교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curriculum information may be derived based on the diagnosed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S840). Here, the curriculum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n the curriculum of the period from the current date to the third high school. However, curriculum information may be excluded for the test period. Also, for example, the curriculum information may include lecture information and/or textbook information.

일 실시예는 커리큘럼 정보를 기반으로 예상 완료 기간 정보, 단축 기간 정보 및 개선된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S850). 여기서, 상기 예상 완료 기간 정보는 상기 커리큘럼 정보에 따라 학습 진행 시 소요되는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단축 기간 정보는 상기 평균 학습 기간 정보 및 상기 예상 완료 기간 정보를 기반으로 도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xpected completion period information, the shortened period information, and the improved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may be derived based on the curriculum information (S850). Here, the expected completion period information may indicate information on a period required to proceed with learning according to the curriculum information, and the shortened period information may be derived based on the average learning period information and the expected completion period information .

또한, 도 8에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예를 들어 일 실시예는 커리큘럼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학습 플래너에 등록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일자별로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강의 정보 및/또는 일자별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학습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는 학습 플래너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현재 예상 등급 정보를 도출할 수 있고, 현재 예상 등급 정보에 따른 대학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8,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curriculum information may be registered in the user's learning planner, and based on this, lecture information that the user should proceed by date and/or the user must proceed by date based on this. It can provid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learning. Also, fo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ser's current expected grade information may be derived based on the learning planner, and universit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expected grad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는 사용자로부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를 학습 플래너에 적용하여 학습 플래너를 수정할 수 있다. 이후, 일 실시예는 수정된 학습 플래너를 기반으로 일자별로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수정된 강의 정보 및/또는 일자별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수정된 학습량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학습 플래너에 적용하기 위해 일 실시예는 관리자 단말로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에 대한 승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승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상기 학습 플래너에 적용할 수도 있다.Also,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modified learning plan information may be obtained from the user, and the learning planner may be modified by applying it to the learning planner. Thereafter, an embodiment may provide the user with modified lecture information that the user should proceed by date and/or modified amount of learning information that the user should proceed by date based on the modified learning planner. Here, in order to apply the modified learning plan information to the learning planner, an embodiment may provide the modified learning plan information to a manager terminal, and obtain approval information for the modified learning plan information from the manager terminal Also, the modified learning plan information may be applied to the learning planner based on the approval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program or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in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o a network so that computer-readable programs or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hardware device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and flash memory. The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본 발명의 일부 측면들은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은 상응하는 방법에 따른 설명 또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한다. 유사하게, 방법의 문맥에서 설명된 측면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의 몇몇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하나 이상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Although some aspec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the context of an apparatus, it may also represent a description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method, wherein a block or apparatus corresponds to a method step or feature of a method step. Similarly, aspects described in the context of a method may also represent a corresponding block or item or a corresponding device feature. Some or all of the method steps may be performed by (or using) a hardware device such as, for example, a microprocessor, a programmable computer, or an electronic circuit. In some embodiments, one or more of the most important method steps may be performed by such an apparatus.

실시예들에서,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장치(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가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어떤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embodiments, a programmable logic device (eg,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may be used to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methods described herein. In embodiments, the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 microprocessor to perform one of the methods described herein. In general, the methods are preferably performed by some hardware devic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Claims (5)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학년 정보 및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학년 정보 및 현재 날짜 정보를 기반으로 학습 유효 기간 정보 및 1 등급 목표 기간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평균 학습 기간 정보 및 진단된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진단된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기반으로 커리큘럼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커리큘럼 정보를 기반으로 예상 완료 기간 정보, 단축 기간 정보 및 개선된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평균 학습 기간 정보는 상기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에 따른 현재 레벨로부터 완성 레벨까지 소요되는 평균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예상 완료 기간 정보는 상기 커리큘럼 정보에 따라 학습 진행 시 소요되는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며,
상기 단축 기간 정보는 상기 평균 학습 기간 정보 및 상기 예상 완료 기간 정보를 기반으로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상 성취 등급 정보 제공 방법.
A method of providing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the method comprising:
obtaining the user's grade information and level test result information;
deriving learning effective period information and 1st grade target period information based on the grade information and current date information;
deriving average learning period information and diagnosed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based on the level test result information;
deriving curriculum information based on the diagnosed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and
Including the step of deriving expected completion period information, shortened period information, and improved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based on the curriculum information,
The average learning period information represents information about an average period from the current level to the completion level according to the level test result information,
The expected completion period information represents information on a period required for learning according to the curriculum information,
The shortened period information is a method for providing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rived based on the average learning period information and the expected completion period inform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학년 정보 및 현재 날짜 정보를 기반으로 시험 기간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날짜 정보, 상기 평균 학습 기간 정보 및 상기 시험 기간 정보를 기반으로 예상 완료 일자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예상 성취 등급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eriving test period information based on the grade information and current date information;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riving expected completion date information based on the current date information, the average learning period information, and the test period information,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학습 유효 기간 정보는 상기 현재 날짜 정보로부터 고3까지의 기간 정보에서 상기 시험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1 등급 목표 기간 정보는 상기 학습 유효 기간 정보에서 2년 선행에 따른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2년 선행에 따른 기간 정보는 2년에서 2년동안의 시험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상 성취 등급 정보 제공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learning validity period information represents information about a period from the current date information to the high school 3rd period information, excluding the test period information,
The 1st grade target period information represents information about a period excluding period information according to a two-year advance from the learning validity period information,
The perio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wo-year advan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epresents information about the period excluding the test period information for two to two years, the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리큘럼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학습 플래너에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 플래너를 기반으로 일자별로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강의 정보 또는 일자별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학습량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예상 성취 등급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gistering the curriculum information in the user's learning planner; and
Based on the learning planner,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lecture information that the user should proceed by date or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learning that the user should proceed by date, the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학습 플래너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예상 등급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예상 등급 정보에 따른 대학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예상 성취 등급 정보 제공 방법.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deriving current expected grade inform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learning planner;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colle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expected grade information, expe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KR1020200049003A 2020-04-22 2020-04-22 Method for providing predi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and method for prociding learning planner based on the predi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KR1024760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003A KR102476023B1 (en) 2020-04-22 2020-04-22 Method for providing predi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and method for prociding learning planner based on the predi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KR1020220167342A KR20220166254A (en) 2020-04-22 2022-12-05 Method for deriving information of predicted achievement grade and study plan wh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enter high school
KR1020240020710A KR20240023583A (en) 2020-04-22 2024-02-13 Method for deriving information of predicted achievement grade and study plan wh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enter high sch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003A KR102476023B1 (en) 2020-04-22 2020-04-22 Method for providing predi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and method for prociding learning planner based on the predi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7342A Division KR20220166254A (en) 2020-04-22 2022-12-05 Method for deriving information of predicted achievement grade and study plan wh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enter high scho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598A true KR20210130598A (en) 2021-11-01
KR102476023B1 KR102476023B1 (en) 2022-12-08

Family

ID=7851936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003A KR102476023B1 (en) 2020-04-22 2020-04-22 Method for providing predi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and method for prociding learning planner based on the predi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KR1020220167342A KR20220166254A (en) 2020-04-22 2022-12-05 Method for deriving information of predicted achievement grade and study plan wh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enter high school
KR1020240020710A KR20240023583A (en) 2020-04-22 2024-02-13 Method for deriving information of predicted achievement grade and study plan wh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enter high school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7342A KR20220166254A (en) 2020-04-22 2022-12-05 Method for deriving information of predicted achievement grade and study plan wh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enter high school
KR1020240020710A KR20240023583A (en) 2020-04-22 2024-02-13 Method for deriving information of predicted achievement grade and study plan wh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enter high scho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7602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616A (en) * 2007-05-03 2009-01-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yudy designing service
JP2009047804A (en) * 2007-08-16 2009-03-05 Foresight:Kk Learning support system
JP2010009073A (en) * 2003-05-07 2010-01-14 Takafumi Terasawa Learning effect prediction method and learning effect prediction device
KR20140046196A (en) * 2012-10-10 2014-04-18 주식회사 유비온 Method of providing adaptive learning guide
KR20180102785A (en) * 2017-03-08 2018-09-18 김동희 Customized admission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based on big data associated with school entran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9073A (en) * 2003-05-07 2010-01-14 Takafumi Terasawa Learning effect prediction method and learning effect prediction device
KR20090001616A (en) * 2007-05-03 2009-01-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yudy designing service
JP2009047804A (en) * 2007-08-16 2009-03-05 Foresight:Kk Learning support system
KR20140046196A (en) * 2012-10-10 2014-04-18 주식회사 유비온 Method of providing adaptive learning guide
KR20180102785A (en) * 2017-03-08 2018-09-18 김동희 Customized admission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based on big data associated with school entr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254A (en) 2022-12-16
KR20240023583A (en) 2024-02-22
KR102476023B1 (en)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olikoff How well aligned are textbooks to the common core standards in mathematics?
Shaffer et al. Use of the test of scientific literacy skills reveals that fundamental literacy is an important contributor to scientific literacy
Hong et al. Using calibration to enhance students' self-confidence in English vocabulary learning relevant to their judgment of over-confidence and predicted by smartphone self-efficacy and English learning anxiety
Moss et al.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developmental mathematics by embedding a randomized experiment within a regression discontinuity design
Erlich et al. Assessing student learning in academic advising using social cognitive theory
Kirikçilar et al.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Craft: Utilization of the TPACK When Designing the GeoGebra Activities.
Gardiner et al. Program assessment: Getting to a practical how-to model
Phakiti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oduta Roberts et al. Testing expert-based versus student-based cognitive models for a grade 3 diagnostic mathematics assessment
Rosmiati et al. Measuring level of reflective thinking of physics pre-service teachers using effective essay argumentation
Adalar Social studies teacher candidates’ self-efficacy beliefs for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Baranyi et al. Comparing the effectiveness of two remedial mathematics courses using modern regression discontinuity techniques
Runnels Self-Assessment Accuracy: Correlations between Japanese English Learners' Self-Assessment on the CEFR--Japan's Can Do Statements and Scores on the TOEIC®.
Tobler Smart grading: A generative AI-based tool for knowledge-grounded answer evaluation in educational assessments
Abulela et al. Strengthening inferences in quantitative education studies conducted by novice researchers: Capitalizing on standards for sampling, research design, and instrumentation
Gove et al. Classroom-up policy change: Early reading and math assessments at work
Sowumni et al. Framework for academic advice through mobile applications
Horsman et al. Who is the digital forensic expert and what is their expertise?
KR20210130598A (en) Method for providing predi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and method for prociding learning planner based on the predi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Bath et al. Improving the test process: implementing improvement and change-a study guide for the ISTQB expert level module
Rosslyn-Smith et al. Small, medium and micro-enterprises’ distress and factual evaluation of rescue feasibility
Andiola et al. Wealthy Watches Inc.: The substantive testing of accounts receivable in the evolving audit environment
Ali et al. Contextualising the CEFR: the Universiti Malaysia Pahang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writing test
Frank et al. Developing systems thinking through engaging in multidisciplinary high-tech projects
Keenan et al. Examining Teachers’ Technology Use Through Digital Portfoli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