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0589A - 관리 효율이 향상된 묘지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관리 효율이 향상된 묘지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0589A
KR20210130589A KR1020200048990A KR20200048990A KR20210130589A KR 20210130589 A KR20210130589 A KR 20210130589A KR 1020200048990 A KR1020200048990 A KR 1020200048990A KR 20200048990 A KR20200048990 A KR 20200048990A KR 20210130589 A KR20210130589 A KR 20210130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information
cemetery
work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훈
Original Assignee
(주)커넥트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커넥트잇 filed Critical (주)커넥트잇
Priority to KR1020200048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0589A/ko
Publication of KR20210130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5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리 효율이 향상된 묘지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관리 효율이 향상된 묘지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은 휴대단말기기 또는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회원단말기, 휴대단말기기로 이루어지는 작업자단말기, 상기 회원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작업대상묘지위치, 필요작업종류를 포함하는 작업요청정보를 수신받아, 수신된 상기 작업요청정보를 바탕으로 작업대상묘지위치, 필요작업종류를 포함하는 작업지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작업지시 생성부를 포함하는 작업지시모듈과, 상기 작업지시정보가 생성된 이후 상기 작업자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적하여, 상기 작업지시정보의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의 위치를 비교하여 분석하여 작업자의 출근여부를 확인하는 출근확인모듈과, 상기 출근확인모듈에서 작업자가 출근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작업전 상기 작업대상묘지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작업전 묘지정보와, 예상소요시간을 입력받도록 제1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1 작업정보 요청부와,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전송되어 출력되는 상기 제1 푸쉬알람에 의해 작업자로부터 상기 작업자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작업전 묘지정보와 예상소요시간을 회신받아 저장하는 제1 작업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제1 작업정보 관리모듈과, 상기 제1 작업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예상소요시간이 경과되거나, 상기 작업자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여 상기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의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소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작업완료여부를 확인받도록 제2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전송되어 출력되는 상기 제2 푸쉬알람에 의해 작업자로부터 상기 작업자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작업완료여부를 회신받아 확인하는 작업완료 확인모듈과, 상기 작업완료 확인모듈에서 작업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작업후 상기 작업대상묘지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작업후 묘지정보를 입력받도록 제3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작업완료정보 요청부와,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전송되어 출력되는 상기 제3 푸쉬알람에 의해 작업자로부터 상기 작업자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작업후 묘지정보를 회신받아 저장하는 작업완료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제2 작업정보 관리모듈과, 상기 작업후 묘지정보가 회신되면 상기 작업후 묘지정보와, 그와 대응되는 상기 작업전 묘지정보를 취합하여, 작업완료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회원단말기로 전송하는 작업완료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작업완료정보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리 효율이 향상된 묘지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emetery management services with improved management efficiency}
본 발명은 묘지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묘지관리 작업자의 작업 현황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관리 효율을 향상시킨 묘지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다수의 묘지를 관리하는 묘지관리업체에서는, 각 묘지의 소재자, 분묘형태, 면적, 규격, 매장현황, 소재지, 설치기관, 관리기관, 담당자 등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이를 통해 다수의 묘지를 전선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묘지 관리와 관련한 종래 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1133004호는, 묘지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관리서버에서 회원이 벌초작업신청을 접수하는 경우, 벌초작업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관리 대상 묘지의 이미지와, GPS정보를 제공하고, 관리서버에서는 작업이 이루어진 후 벌초작업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관리 대상 묘지의 작업 후 촬영 이미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관리서버에서는 회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작업 후 촬영 이미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벌초작업 등의 관리를 용이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묘지 관리 작업에 대한 정보 수집 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묘지관리 작업에 대한 작업 사진 촬영을 잊어버리는 경우들이 발생됨에 따라 묘지관리작업의 작업현황 관리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묘지관리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작업 현황을 용이하게 관리하고, 묘지관리작업에 대한 정보 누락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관리 효율이 향상된 묘지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 효율이 향상된 묘지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은, 휴대단말기기 또는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회원단말기, 휴대단말기기로 이루어지는 작업자단말기, 상기 회원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작업대상묘지위치, 필요작업종류를 포함하는 작업요청정보를 수신받아, 수신된 상기 작업요청정보를 바탕으로 작업대상묘지위치, 필요작업종류를 포함하는 작업지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작업지시 생성부를 포함하는 작업지시모듈과, 상기 작업지시정보가 생성된 이후 상기 작업자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적하여, 상기 작업지시정보의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의 위치를 비교하여 분석하여 작업자의 출근여부를 확인하는 출근확인모듈과, 상기 출근확인모듈에서 작업자가 출근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작업전 상기 작업대상묘지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작업전 묘지정보와, 예상소요시간을 입력받도록 제1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1 작업정보 요청부와,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전송되어 출력되는 상기 제1 푸쉬알람에 의해 작업자로부터 상기 작업자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작업전 묘지정보와 예상소요시간을 회신받아 저장하는 제1 작업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제1 작업정보 관리모듈과, 상기 제1 작업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예상소요시간이 경과되거나, 상기 작업자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여 상기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의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소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작업완료여부를 확인받도록 제2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전송되어 출력되는 상기 제2 푸쉬알람에 의해 작업자로부터 상기 작업자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작업완료여부를 회신받아 확인하는 작업완료 확인모듈과, 상기 작업완료 확인모듈에서 작업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작업후 상기 작업대상묘지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작업후 묘지정보를 입력받도록 제3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작업완료정보 요청부와,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전송되어 출력되는 상기 제3 푸쉬알람에 의해 작업자로부터 상기 작업자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작업후 묘지정보를 회신받아 저장하는 작업완료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제2 작업정보 관리모듈과, 상기 작업후 묘지정보가 회신되면 상기 작업후 묘지정보와, 그와 대응되는 상기 작업전 묘지정보를 취합하여, 작업완료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회원단말기로 전송하는 작업완료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작업완료정보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완료 확인모듈은 상기 제1 작업정보 저장부에 상기 예상소요시간이 저장되면, 상기 예상소요시간이 저장된 시각부터의 실제경과시간을 산출하여, 산출된 상기 실제경과시간과 상기 예상소요시간을 비교하여, 산출된 상기 실제경과시간이 상기 예상소요시간을 초과하는지 분석하여, 상기 예상소요시간의 경과여부를 확인하는 경과시간 확인부와, 상기 경과시간 확인부에서 상기 예상소요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상기 작업대상묘지와 상기 작업자단말기의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소정 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하는 작업자위치 확인부와, 상기 경과시간 확인부에서 상기 실제경과시간이 상기 예상소요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즉시 상기 제2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경과시간 확인부에서 상기 실제경과시간이 상기 예상소요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것을 확인되는 경우에는 상기 작업자위치 확인부에서 상기 작업자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소정 범위를 벗어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2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 푸쉬알람 생성부와,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전송된 상기 제2 푸쉬알람을 통해 상기 작업자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작업완료여부를 회신받아 확인하는 작업완료 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완료 확인모듈은, 상기 작업완료 확인부에서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회신되는 작업완료여부를 확인하여, 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추가예상소요시간을 입력받도록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제4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에 전송되어 출력되는 제4 푸쉬알람에 의해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입력되는 상기 추가예상소요시간을 회신받아 저장하는 추가예상소요시간 입력부와, 상기 추가예상소요시간 입력부에 상기 추가예상소요시간이 저장되면, 상기 추가예상소요시간이 저장된 시각으로부터의 추가경과시간을 산출하여, 산출된 상기 추가경과시간과 상기 추가예상소요시간을 비교하여, 산출된 추가경과시간이 상기 추가예상소요시간을 초과하는지 분석하여, 상기 추가예상소요시간의 경과여부를 확인하는 추가경과시간 확인부와, 상기 추가경과시간 확인부에서 상기 추가예상소요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상기 작업대상묘지와 상기 작업자단말기의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소정 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하는 작업자위치 재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푸쉬알람 생성부는 상기 추가경과시간 확인부에서 상기 추가경과시간이 상기 추가예상소요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즉시 상기 제2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추가경과시간 확인부에서 상기 추가경과시간이 상기 추가예상소요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것을 확인되는 경우에는 상기 작업자위치 재확인부에서 상기 작업자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소정 범위를 벗어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2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작업지시 생성모듈은 상기 작업요청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필요작업종류에 따라 필요작업종류별 필요장비정보가 저장된 필요장비DB부로부터 상기 작업지시정보에 포함된 상기 필요작업종류와 대응되는 필요장비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필요장비정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작업지시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작업정보 요청부는 상기 출근확인부에서 작업자가 출근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작업전 묘지정보와, 상기 예상소요시간과 더불어, 상기 작업자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작업준비정보를 더 입력받도록 상기 제1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관리 효율이 향상된 묘지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은, 회원단말기를 통해 회원으로부터 작업대상묘지위치, 필요작업종류를 포함하는 작업요청정보를 입력받는 작업요청 입력단계, 운영서버에서 상기 작업요청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작업요청정보를 바탕으로 작업대상묘지위치, 필요작업종류를 포함하는 작업지시정보를 생성하여 작업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작업지시단계, 운영서버에서 상기 작업지시정보가 생성된 이후 상기 작업자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작업자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여 상기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의 위치를 비교하여 출근여부를 확인하는 출근확인단계, 운영서버에서 작업자가 출근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작업시작전 상기 작업대상묘지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작업전 묘지정보와, 예상소요시간정보를 입력받도록 제1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전송된 상기 제1 푸쉬알람을 통해 상기 작업자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작업전 묘지정보와 예상소요시간정보를 회신받아 저장하는 작업전 묘지정보 수집단계, 운영서버에서 저장된 상기 예상소요시간이 경과되거나, 상기 작업자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여 상기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의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소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작업완료여부를 확인받도록 제2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작업완료 확인단계, 운영서버에서 상기 제2 푸쉬알람을 통해 상기 작업자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작업완료여부를 회신받아, 작업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작업후 상기 작업대상묘지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작업후 묘지정보를 입력받도록 제3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전송된 상기 제3 푸쉬알람에 의해 상기 작업자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작업후 묘지정보를 회신받아 저장하는 작업후 묘지정보 수집단계 및 운영서버에서 상기 작업후 묘지정보가 회신되면 상기 작업후 묘지정보와, 그와 대응되는 상기 작업전 묘지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작업지시정보와 그에 대응되는 작업전 묘지정보와 작업후 묘지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완료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회원단말기로 전송하는 작업완료 보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완료 확인단계는, 운영서버에서 저장된 상기 예상소요시간의 경과여부를 확인하는 경과시간 확인단계와, 상기 경과시간 확인단계에서 상기 예상소요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상기 작업지시정보에 대한 작업완료여부를 확인받도록 제2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전송하고, 운영서버에서 상기 경과시간 확인단계에서 상기 예상소요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상기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의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상기 작업지시정보에 대한 작업완료여부를 확인받도록 제2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운영서버에서 지속적으로 저장된 상기 예상소요시간의 경과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되는 작업자위치 확인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 효율이 향상된 묘지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은, 회원단말기, 작업자단말기, 운영서버를 포함하며, 운영서버에서는 작업지시모듈, 출근확인모듈, 제1 작업정보 관리모듈, 작업완료 확인모듈, 제2 작업정보 관리모듈, 작업완료정보 관리모듈을 포함하여, 푸쉬알람을 통해 작업자단말기로 묘지관리작업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알림으로써, 묘지관리작업에 대한 정보 누락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효율이 향상된 묘지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효율이 향상된 묘지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에서 작업완료 확인모듈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효율이 향상된 묘지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효율이 향상된 묘지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효율이 향상된 묘지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은, 크게 회원단말기(100), 작업자단말기(200), 운영서버(300)를 포함한다.
회원단말기(100)는, 본 발명의 묘지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에서 묘지관리 작업에 대한 수요를 가진 회원이 소유하는 단말기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단말기기 또는 데스트탑 PC와 같은 컴퓨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회원은 후술할 운영서버(300)에 구비되는 회원가입모듈을 통해 회원가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업자단말기(200)는, 묘지관리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소유하는 단말기로,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단말기기로 이루어진다.
운영서버(300)는, 회원단말기(100) 및 작업자단말기(200)와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며, 회원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되는 작업요청정보를 수신받아, 이를 바탕으로 작업자단말기(200)로 작업지시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작업자의 작업현황에 대한 정보를 작업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 저장하여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운영서버(300)는 작업지시모듈(310), 출근확인모듈(320), 제1 작업정보 관리모듈(330), 작업완료 확인모듈(340), 제2 작업정보 관리모듈(350), 작업완료정보 관리모듈(360)을 포함한다.
작업지시모듈(310)은, 회원단말기(100)를 통해 입력되는 작업대상묘지위치, 필요작업종류를 포함하는 작업요청정보를 수신받아, 수신된 상기 작업요청정보를 바탕으로 작업대상묘지위치, 필요작업종류를 포함하는 작업지시정보를 생성하여 작업자단말기(200)로 전송하는 작업지시 생성부를 포함한다.
이때, 작업지시모듈(310)은, 작업요청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작업요청 정보에 포함되는 작업종류, 작업대상묘지 위치 등을 반영하여, 다수의 작업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도록 기구축되는 작업자DB부로부터 다수의 작업자 중 해당 작업요청정보에 대한 담당작업자를 지정하여, 저정된 작업자의 작업자단말기(200)로 작업지시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 DB부는 작업자 섬영, 작업자단말기(200) 정보, 작업가능지역, 작업가능요일, 작업가능한 작업종류, 작업가능일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출근확인모듈(320)은, 작업자가 작업대상묘지위치로의 이동여부를 확인하여 작업자의 출근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지시정보가 생성된 이후 작업자단말기(200)의 위치정보를 추적하여, 상기 작업지시정보의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의 위치를 비교하여 분석하여 작업자의 출근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된다.
제1 작업정보 관리모듈(330)은, 작업자가 작업대상묘지위치로 이동하여, 작업이 이루어지기 전의 작업대상묘지에 대한 정보인 제1 작업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출근확인모듈(320)에서 작업자가 출근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작업자단말기(200)로 작업전 상기 작업대상묘지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작업전 묘지정보와, 예상소요시간을 입력받도록 제1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1 작업정보 요청부와, 작업자단말기(200)로 전송되어 출력되는 상기 제1 푸쉬알람에 의해 작업자로부터 작업자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되는 작업전 묘지정보와 예상소요시간을 회신받아 저장하는 제1 작업정보 저장부를 포함한다.
작업완료 확인모듈(340)은, 작업자가 작업지시정보에 대응되는 묘지관리작업에 대한 완료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작업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소요시간이 경과되거나, 작업자단말기(200)의 위치를 추적하여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작업자단말기(200)의 위치를 비교하여,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작업자단말기(200) 사이의 거리가 소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작업자단말기(200)로 작업완료여부를 확인받도록 제2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전송하고, 작업자단말기(200)로 전송되어 출력되는 상기 제2 푸쉬알람에 의해 작업자로부터 상기 작업자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되는 작업완료여부를 회신받아 확인하도록 구성된다.
제2 작업정보 관리모듈(350)은, 작업자에 의해 묘지관리작업이 이루어진 이후의 작업대상묘지에 대한 현황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완료 확인모듈(340)에서 작업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작업자단말기(200)로 작업후 작업대상묘지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작업후 묘지정보를 입력받도록 제3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작업완료정보 요청부와, 작업자단말기(200)로 전송된 제3 푸쉬알람에 의해 작업자로부터 작업자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되는 작업후 묘지정보를 회신받아 저장하는 작업완료정보 저장부를 포함한다.
작업완료정보 관리모듈(360)은, 각 작업대상묘지의 작업전 묘지정보와 작업후 묘지정보를 취합하여 작업완료정보로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후 묘지정보가 회신되면 작업후 묘지정보와 그에 대응되는 작업전 묘지정보를 취합하여 작업완료정보를 생성하여 회원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작업완료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이때 생성된 작업완료정보가 저장된은 작업완료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효율이 향상된 묘지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에서 작업완료 확인모듈(34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효율이 향상된 묘지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작업완료 확인모듈(340)을 보다 상세히 살며보면, 작업완료 확인모듈(340)은, 경과시간 확인부(341), 작업자위치 확인부(342), 제2 푸쉬알람 생성부(343), 작업완료 확인부(344)를 포함한다.
이때, 경과시간 확인부(341)는, 상기 제1 작업정보 저장부에 상기 예상소요시간이 저장되면, 상기 예상소요시간이 저장된 시각부터의 실제경과시간을 산출하여, 산출된 상기 실제경과시간과 상기 예상소요시간을 비교하여, 산출된 상기 실제경과시간이 상기 예상소요시간을 초과하는지 분석하여, 상기 예상소요시간의 경과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된다.
작업자위치 확인부(342)는, 상기 경과시간 확인부(341)에서 상기 예상소요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상기 작업대상묘지와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의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200) 사이의 거리가 소정 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하도로구 구성된다.
제2 푸쉬알람 생성부(343)는, 상기 경과시간 확인부(341)에서 상기 실제경과시간이 상기 예상소요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즉시 상기 제2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상기 작업자단말기(200)로 전송하고, 상기 경과시간 확인부(341)에서 상기 실제경과시간이 상기 예상소요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것을 확인되는 경우에는 상기 작업자위치 확인부(342)에서 상기 작업자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200) 사이의 거리가 소정 범위를 벗어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2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상기 작업자단말기(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작업완료 확인부(344)는, 상기 작업자단말기(200)로 전송된 상기 제2 푸쉬알람을 통해 상기 작업자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되는 작업완료여부를 회신받아 확인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리 효율이 향상된 묘지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작업완료 확인모듈(340)은, 추가예상소요시간 입력부(345), 추가경과시간 확인부(346), 작업자위치 재확인부(347)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예상소요시간 입력부(345)는, 상기 작업완료 확인부(344)에서 상기 작업자단말기(200)로 회신되는 작업완료여부를 확인하여, 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추가예상소요시간을 입력받도록 상기 작업자단말기(200)로 제4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에 전송되어 출력되는 제4 푸쉬알람에 의해 상기 작업자단말기(200)로 입력되는 상기 추가예상소요시간을 회신받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추가경과시간 확인부(346)는, 상기 추가예상소요시간 입력부(345)에 상기 추가예상소요시간이 저장되면, 상기 추가예상소요시간이 저장된 시각으로부터의 추가경과시간을 산출하여, 산출된 상기 추가경과시간과 상기 추가예상소요시간을 비교하여, 산출된 추가경과시간이 상기 추가예상소요시간을 초과하는지 분석하여, 상기 추가예상소요시간의 경과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된다.
작업자위치 재확인부(347)는, 상기 추가경과시간 확인부(346)에서 상기 추가예상소요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상기 작업대상묘지와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의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200) 사이의 거리가 소정 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2 푸쉬알람 생성부(343)는, 상기와 같이 작업완료 확인모듈(340)은, 추가예상소요시간 입력부(345), 추가경과시간 확인부(346), 작업자위치 재확인부(347)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추가경과시간 확인부(346)에서 상기 추가경과시간이 상기 추가예상소요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즉시 상기 제2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상기 작업자단말기(200)로 전송하고, 상기 추가경과시간 확인부(346)에서 상기 추가경과시간이 상기 추가예상소요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것을 확인되는 경우에는 상기 작업자위치 재확인부(347)에서 상기 작업자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200) 사이의 거리가 소정 범위를 벗어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2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상기 작업자단말기(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관리 효율이 향상된 묘지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작업자가 실제로 작업을 완료할 까지 작업완료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작업완료 시 묘지작업 완료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며, 더불어, 작업자가 작업대상묘지위치로부터 소정 범위 이상 이격되어 벗어나는 경우 작업완료여부를 확인하고, 작업완료에 따른 작업완료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되어, 묘지관리작업에 대한 작업 관리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관리 효율이 향상된 묘지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에서, 작업지시 생성모듈은, 상기 작업요청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필요작업종류에 따라 필요작업종류별 필요장비정보가 저장된 필요장비DB부로부터 상기 작업지시정보에 포함된 상기 필요작업종류와 대응되는 필요장비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필요장비정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작업지시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작업자가 작업종류에 따른 필요장비정보를 사전에 준비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시 안전사고를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필요장비정보는 필요작업종류에 따라 안전모, 안전화, 안전장갑, 각종 장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제1 작업정보 요청부는, 상기 출근확인부에서 작업자가 출근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작업전 묘지정보와, 상기 예상소요시간과 더불어, 상기 작업자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작업준비정보를 더 입력받도록 상기 제1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되도록 하여, 작업자의 묘지관리작업 시작 전에 작업준비현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바탕으로 작업자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작업자가 작업준비현황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통해 작업자가 작업준비현황을 스스로 체크 가능하도록 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효율이 향상된 묘지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관리 효율이 향상된 묘지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의 묘지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 효율이 향상된 묘지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은, 작업요청 입력단계(S10), 작업지시단계(S20), 출근확인단계(S30), 작업전 묘지정보 수집단계(S40), 작업완료 확인단계(S50), 작업후 묘지정보 수집단계(S60), 작업완료 보고단계(S70)를 포함한다.
우선, 작업요청 입력단계(S10)(제1단계)는 회원단말기(100)를 통해 회원으로부터 작업대상묘지위치, 필요작업종류를 포함하는 작업요청정보를 입력받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작업지시단계(S20)(제2 단계)는 운영서버(300)의 작업지시모듈(310)에서 상기 작업요청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작업요청정보를 바탕으로 작업대상묘지위치, 필요작업종류를 포함하는 작업지시정보를 생성하여 작업자단말기(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출근확인단계(S30)(제3 단계)는 운영서버(300)의 출근확인모듈(320)에서 상기 작업지시정보가 생성된 이후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의 위치를 추적하여 상기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의 위치를 비교하여 출근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작업전 묘지정보 수집단계(S40)(제4 단계)는 운영서버(300)의 출근확인모듈(320)에서 작업자가 출근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운영서버(300)의 제1 작업저보 관리모듈에서 상기 작업자단말기(200)로 작업시작전 상기 작업대상묘지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작업전 묘지정보와, 예상소요시간정보를 입력받도록 제1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작업자단말기(200)로 전송된 상기 제1 푸쉬알람을 통해 상기 작업자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되는 작업전 묘지정보와 예상소요시간정보를 회신받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작업완료 확인단계(S50)(제5 단계)는 운영서버(300)의 작업완료 확인모듈(340)에서 제1 작업정보 관리모듈(330)로 저장된 상기 예상소요시간이 경과되거나,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의 위치를 추적하여 상기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의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200) 사이의 거리가 소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작업자단말기(200)로 작업완료여부를 확인받도록 제2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작업후 묘지정보 수집단계(S60)(제6 단계)는 운영서버(300)의 작업완료 확인모듈(340)에서 상기 제2 푸쉬알람을 통해 상기 작업자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되는 작업완료여부를 회신받아, 작업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운영서버(300)의 제2 작업정보 관리모듈(350)은 상기 작업자단말기(200)로 작업후 상기 작업대상묘지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작업후 묘지정보를 입력받도록 제3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작업자단말기(200)로 전송된 상기 제3 푸쉬알람에 의해 상기 작업자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되는 작업후 묘지정보를 회신받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작업완료 보고단계(S70)(제7 단계)는 운영서버(300)의 제2 작업정보 관리모듈(350)에서 상기 작업후 묘지정보가 회신되면, 운영서버(300)의 작업완료정보 관리모듈(360)의 작업완료정보 제공부는 상기 작업후 묘지정보와, 그와 대응되는 상기 작업전 묘지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작업지시정보와 그에 대응되는 작업전 묘지정보와 작업후 묘지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완료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회원단말기(1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이때 생성된 작업완료정보는 별도로 구비되는 작업완료정보 저장부에 동시에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작업완료 확인단계(S50)는, 보다 상세하게는, 경과시간 확인단계와 작업자위치 확인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경과시간 확인단계는, 운영서버(300)의 작업완료 확인모듈(340)에서 제1 작업정보 관리모듈(330)로 저장된 상기 예상소요시간이 경과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되고,
다음으로, 작업자위치 확인단계는, 운영서버(300)의 작업완료 확인모듈(340)에서 상기 경과시간 확인단계에서 상기 예상소요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상기 작업자단말기(200)로 상기 작업지시정보에 대한 작업완료여부를 확인받도록 제2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전송하고, 운영서버(300)의 작업완료 확인모듈(340)에서 상기 경과시간 확인단계에서 상기 예상소요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상기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의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200) 사이의 거리가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작업자단말기(200)로 상기 작업지시정보에 대한 작업완료여부를 확인받도록 제2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200) 사이의 거리가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운영서버(300)에서 지속적으로 저장된 상기 예상소요시간의 경과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회원단말기
200 : 작업자단말기
300 : 운영서버
310 : 작업지시모듈
320 : 출근확인모듈
330 : 제1 작업정보 관리모듈
340 : 작업완료 확인모듈
341 : 경과시간 확인부
342 : 작업자위치 확인부
343 : 제2 푸쉬알람 생성부
344 : 작업완료 확인부
345 : 추가예상소요시간 입력부
346 : 추가경과시간 확인부
347 : 작업자위치 재확인부
350 : 제2 작업정보 관리모듈
360 : 작업완료정보 관리모듈
S10 : 작업요청 입력단계
S20 : 작업지시단계
S30 : 출근확인단계
S40 : 작업전 묘지정보 수집단계
S50 : 작업완료 확인단계
S60 : 작업후 묘지정보 수집단계
S70 : 작업완료 보고단계

Claims (7)

  1. 휴대단말기기 또는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회원단말기;
    휴대단말기기로 이루어지는 작업자단말기;
    상기 회원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작업대상묘지위치, 필요작업종류를 포함하는 작업요청정보를 수신받아, 수신된 상기 작업요청정보를 바탕으로 작업대상묘지위치, 필요작업종류를 포함하는 작업지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작업지시 생성부를 포함하는 작업지시모듈과,
    상기 작업지시정보가 생성된 이후 상기 작업자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적하여, 상기 작업지시정보의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의 위치를 비교하여 분석하여 작업자의 출근여부를 확인하는 출근확인모듈과,
    상기 출근확인모듈에서 작업자가 출근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작업전 상기 작업대상묘지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작업전 묘지정보와, 예상소요시간을 입력받도록 제1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1 작업정보 요청부와,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전송되어 출력되는 상기 제1 푸쉬알람에 의해 작업자로부터 상기 작업자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작업전 묘지정보와 예상소요시간을 회신받아 저장하는 제1 작업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제1 작업정보 관리모듈과,
    상기 제1 작업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예상소요시간이 경과되거나, 상기 작업자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여 상기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의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소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작업완료여부를 확인받도록 제2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전송되어 출력되는 상기 제2 푸쉬알람에 의해 작업자로부터 상기 작업자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작업완료여부를 회신받아 확인하는 작업완료 확인모듈과,
    상기 작업완료 확인모듈에서 작업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작업후 상기 작업대상묘지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작업후 묘지정보를 입력받도록 제3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작업완료정보 요청부와,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전송되어 출력되는 상기 제3 푸쉬알람에 의해 작업자로부터 상기 작업자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작업후 묘지정보를 회신받아 저장하는 작업완료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제2 작업정보 관리모듈과,
    상기 작업후 묘지정보가 회신되면 상기 작업후 묘지정보와, 그와 대응되는 상기 작업전 묘지정보를 취합하여, 작업완료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회원단말기로 전송하는 작업완료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작업완료정보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효율이 향상된 묘지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완료 확인모듈은
    상기 제1 작업정보 저장부에 상기 예상소요시간이 저장되면, 상기 예상소요시간이 저장된 시각부터의 실제경과시간을 산출하여, 산출된 상기 실제경과시간과 상기 예상소요시간을 비교하여, 산출된 상기 실제경과시간이 상기 예상소요시간을 초과하는지 분석하여, 상기 예상소요시간의 경과여부를 확인하는 경과시간 확인부와,
    상기 경과시간 확인부에서 상기 예상소요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상기 작업대상묘지와 상기 작업자단말기의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소정 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하는 작업자위치 확인부와,
    상기 경과시간 확인부에서 상기 실제경과시간이 상기 예상소요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즉시 상기 제2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경과시간 확인부에서 상기 실제경과시간이 상기 예상소요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것을 확인되는 경우에는 상기 작업자위치 확인부에서 상기 작업자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소정 범위를 벗어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2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 푸쉬알람 생성부와,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전송된 상기 제2 푸쉬알람을 통해 상기 작업자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작업완료여부를 회신받아 확인하는 작업완료 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효율이 향상된 묘지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완료 확인모듈은,
    상기 작업완료 확인부에서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회신되는 작업완료여부를 확인하여, 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추가예상소요시간을 입력받도록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제4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에 전송되어 출력되는 제4 푸쉬알람에 의해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입력되는 상기 추가예상소요시간을 회신받아 저장하는 추가예상소요시간 입력부와,
    상기 추가예상소요시간 입력부에 상기 추가예상소요시간이 저장되면, 상기 추가예상소요시간이 저장된 시각으로부터의 추가경과시간을 산출하여, 산출된 상기 추가경과시간과 상기 추가예상소요시간을 비교하여, 산출된 추가경과시간이 상기 추가예상소요시간을 초과하는지 분석하여, 상기 추가예상소요시간의 경과여부를 확인하는 추가경과시간 확인부와,
    상기 추가경과시간 확인부에서 상기 추가예상소요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상기 작업대상묘지와 상기 작업자단말기의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소정 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하는 작업자위치 재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푸쉬알람 생성부는
    상기 추가경과시간 확인부에서 상기 추가경과시간이 상기 추가예상소요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즉시 상기 제2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추가경과시간 확인부에서 상기 추가경과시간이 상기 추가예상소요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것을 확인되는 경우에는 상기 작업자위치 재확인부에서 상기 작업자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소정 범위를 벗어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2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효율이 향상된 묘지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지시 생성모듈은
    상기 작업요청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필요작업종류에 따라
    필요작업종류별 필요장비정보가 저장된 필요장비DB부로부터 상기 작업지시정보에 포함된 상기 필요작업종류와 대응되는 필요장비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필요장비정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작업지시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효율이 향상된 묘지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업정보 요청부는
    상기 출근확인부에서 작업자가 출근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작업전 묘지정보와, 상기 예상소요시간과 더불어, 상기 작업자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작업준비정보를 더 입력받도록 상기 제1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효율이 향상된 묘지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6. 회원단말기를 통해 회원으로부터 작업대상묘지위치, 필요작업종류를 포함하는 작업요청정보를 입력받는 작업요청 입력단계;
    운영서버에서 상기 작업요청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작업요청정보를 바탕으로 작업대상묘지위치, 필요작업종류를 포함하는 작업지시정보를 생성하여 작업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작업지시단계;
    운영서버에서 상기 작업지시정보가 생성된 이후 상기 작업자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작업자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여 상기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의 위치를 비교하여 출근여부를 확인하는 출근확인단계;
    운영서버에서 작업자가 출근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작업시작전 상기 작업대상묘지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작업전 묘지정보와, 예상소요시간정보를 입력받도록 제1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전송된 상기 제1 푸쉬알람을 통해 상기 작업자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작업전 묘지정보와 예상소요시간정보를 회신받아 저장하는 작업전 묘지정보 수집단계;
    운영서버에서 저장된 상기 예상소요시간이 경과되거나, 상기 작업자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여 상기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의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소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작업완료여부를 확인받도록 제2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작업완료 확인단계;
    운영서버에서 상기 제2 푸쉬알람을 통해 상기 작업자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작업완료여부를 회신받아, 작업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작업후 상기 작업대상묘지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작업후 묘지정보를 입력받도록 제3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전송된 상기 제3 푸쉬알람에 의해 상기 작업자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작업후 묘지정보를 회신받아 저장하는 작업후 묘지정보 수집단계; 및
    운영서버에서 상기 작업후 묘지정보가 회신되면 상기 작업후 묘지정보와, 그와 대응되는 상기 작업전 묘지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작업지시정보와 그에 대응되는 작업전 묘지정보와 작업후 묘지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완료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회원단말기로 전송하는 작업완료 보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효율이 향상된 묘지관리서비스 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완료 확인단계는,
    운영서버에서 저장된 상기 예상소요시간의 경과여부를 확인하는 경과시간 확인단계와,
    상기 경과시간 확인단계에서 상기 예상소요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상기 작업지시정보에 대한 작업완료여부를 확인받도록 제2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전송하고,
    운영서버에서 상기 경과시간 확인단계에서 상기 예상소요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상기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의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작업자단말기로 상기 작업지시정보에 대한 작업완료여부를 확인받도록 제2 푸쉬알람을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작업대상묘지위치와 상기 작업자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운영서버에서 지속적으로 저장된 상기 예상소요시간의 경과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되는 작업자위치 확인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효율이 향상된 묘지관리서비스 제공방법.
KR1020200048990A 2020-04-22 2020-04-22 관리 효율이 향상된 묘지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KR202101305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990A KR20210130589A (ko) 2020-04-22 2020-04-22 관리 효율이 향상된 묘지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990A KR20210130589A (ko) 2020-04-22 2020-04-22 관리 효율이 향상된 묘지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589A true KR20210130589A (ko) 2021-11-01

Family

ID=78519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990A KR20210130589A (ko) 2020-04-22 2020-04-22 관리 효율이 향상된 묘지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05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2352B1 (ko)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255028B1 (ko) 구조물 점검 관리 시스템 및 구조물 점검 관리 방법
US94976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ccountability by interlinking electronic identities for access control and tracking of personnel during an incident or at an emergency scene
WO2020202163A1 (en) Determining position of an image capture device
US20230421997A1 (en) Evacuation tracking
KR101620605B1 (ko) 스마트 안전 진단 보고 장치 및 그 방법
CA2984513C (en) Device, system and process for inmate release, holds, capacity management, bed space bid auction and data sharing
CN110069826B (zh) 一种基于bim的项目管理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11639879B (zh) 智能化安保人员信息管理方法、装置及系统、存储介质、服务器
KR20210130589A (ko) 관리 효율이 향상된 묘지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KR101155555B1 (ko) 모바일 현장 행정시스템
WO2016044898A1 (en) A management platform for a distribution network
JP2014215747A (ja) 追跡装置、追跡システム、及び、追跡方法
JP2016118960A (ja) 施設管理システム
KR100815432B1 (ko) 사업 재난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CN115660619A (zh) 一种基于bim信息化管理生产管理系统及服务器
CN103313187A (zh) 一种基于手机gps的建筑工程人员定位方法
JP2005063339A (ja) セキュリティ監査支援システム、セキュリティ監査支援方法、および、セキュリティ監査支援プログラム
CN107481152A (zh) 企业的安全指数分析系统及分析方法
JP2017146866A (ja) 機器監視システム
US20200134539A1 (en) Time, activity and personnel tracker
US20220300889A1 (en) Work management apparatus, work manag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140141869A (ko) 도로안전시설의 정보 관리시스템 및 방법
AU2021107297A4 (en) Shared contextual safety data transfer between on site location devices and a server
JP2015141507A (ja) 保守作業支援システムおよび保守作業支援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