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0533A - 압축기 - Google Patents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0533A
KR20210130533A KR1020200048882A KR20200048882A KR20210130533A KR 20210130533 A KR20210130533 A KR 20210130533A KR 1020200048882 A KR1020200048882 A KR 1020200048882A KR 20200048882 A KR20200048882 A KR 20200048882A KR 20210130533 A KR20210130533 A KR 20210130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upply
rotation shaft
supply passage
oil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하
이경호
최중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8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0533A/ko
Publication of KR20210130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5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21Systems for the equilibration of forces acting on the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9Lubricant s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8Lubr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압축기의 오일 역류를 방지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압축기에 있어서, 차단부는 회전축의 내부 또는 하부밸런서의 내부에 구비되어 차압 급유 구조를 이용하는 압축기의 작동 정지 시 오일 급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압축기{A compressor}
본 개시(disclosure)는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압급유를 적용하는 하부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압축기 정지 시 급유를 방지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냉장고나 에어컨과 같은 냉동사이클(이하, 냉동사이클로 약칭함)에 적용되는 장치로서, 냉매를 압축함으로써 냉동사이클에서 열교환이 발생하는데 필요한 일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방식에 따라 왕복동식, 회전자리식, 스크롤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스크롤 압축기는 밀폐용기의 내부공간에 고정된 고정 스크롤에 선회 스크롤이 맞물려 선회운동을 함으로써 고정 스크롤의 고정랩과 선회 스크롤의 선회랩 사이에 압축실이 형성되는 압축기이다.
스크롤 압축기는 다른 종류의 압축기에 비하여 서로 맞물린 스크롤 형상을 통해 연속적으로 압축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압축비를 얻을 수 있고, 냉매의 흡입, 압축, 토출 행정이 부드럽게 이어져 안정적인 토크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다. 이러한 이유로, 스크롤 압축기는 공조장치 등에서 냉매압축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등록특허공보 제6344452호를 참조하면, 종래 스크롤 압축기는 외관을 형성하며 냉매가 배출되는 배출부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압축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부와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압축부는 케이스에 고정되고 고정랩을 구비하는 고정스크롤과, 상기 회전축에 의해 상기 고정랩에 맞물려 구동하는 선회랩을 포함하는 선회스크롤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 스크롤 압축기는 상기 회전축이 편심되어 구비되고, 상기 선회스크롤은 상기 편심된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이로써, 선회스크롤은 고정스크롤을 따라 공전(선회)하며 냉매를 압축한다.
이러한 종래 스크롤 압축기는 배출부 하부에 압축부가 구비되고, 구동부가 압축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 회전축은 일단이 상기 압축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부를 관통하여 구비되었다.
종래 스크롤 압축기는 압축부가 구동부보다 상부에 구비되어 배출부에 가깝게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압축부에 오일을 급유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압축부에 연결된 회전축을 구동부 하부에서 별도로 지지하기 위해 하부프레임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스크롤 압축기는 압축기 내부에서 냉매가 발생시키는 가스력과, 이를 지지하는 반력의 작용점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스크롤이 진동(tilting)하여 효율 및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24633호)를 참조하면, 근자에는 상기 배출부의 하부에 구동부가 존재하고, 상기 구동부 하부에 압축부가 위치하는 스크롤 압축기가 등장하였다(일명, 하부스크롤 압축기).
상기 하부 스크롤 압축기는 상기 배출부에 구동부가 압축부 보다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압축부가 상기 배출부에서 제일 멀리 이격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하부스크롤 압축기에서 상기 회전축은 일단이 구동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압축부에 지지되어 하부프레임이 생략되고, 케이스 하부에 저유된 오일이 구동부를 거치지 않고 압축부에 바로 공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또한, 하부스크롤 압축기에서 상기 회전축이 압축부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경우에는 가스력과 반력의 작용점이 회전축 상에서 일치되어 스크롤의 진동이나 전복모멘트를 상쇄하여 효율과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하부 스크롤 압축기는 상기 배출부(121)에 구동부(200)가 압축부(300) 보다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압축부(300)가 상기 배출부(121)에서 제일 멀리 이격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하부스크롤 압축기에서 상기 회전축(230)은 일단이 구동부(200)와 연결되고 타단이 압축부(300)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하부프레임이 생략될 수 있고, 케이스 일측에 저유된 오일이 구동부(200)를 거치지 않고 상기 회전축(230)을 통해 압축부(300)에 바로 공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또한, 하부스크롤 압축기에서 상기 회전축(230)이 압축부(300)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경우에는 가스력과 반력의 작용점이 회전축(230) 상에서 일치되어 압축부(300) 중 스크롤의 진동을 차단하고 전복모멘트까지 상쇄하여 효율과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었다.
한편, 상기 회전축(230)을 통해 상기 압축부(300)에 공급되는 오일은 상기 압축부(300) 내부를 윤활함과 동시에 상기 압축부(300)를 냉각시켜 상기 압축부(300)의 마모 및 과열을 방지한다.
오른쪽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압축부(300)는 회전축(230)을 관통하여 지지하는 메인프레임(310)과, 상기 메인프레임(310)에 안착되어 압축실을 형성하는 고정스크롤(320)과, 상기 압축실에 구비되어 상기 냉매를 압축하도록 구비되는 선회스크롤(33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스크롤(320)의 측면에 구비된 유입홀에서 냉매가 유입되면, 상기 고정스크롤에 구비된 고정랩(323)에, 선회스크롤에 구비된 선회랩(333)이 선회 운동을 통해 냉매를 압축하고, 상기 압축된 냉매는 상기 회전축(230) 부근에 구비된 토출홀(326)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230) 부근은 압축된 냉매로 인해 고압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고압영역에서 상기 냉매는 상기 선회스크롤(330)을 상기 구동부(200)를 향하여 밀어내는 힘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상기 스크롤 압축기는 배압씰(seal, 350)을 선회스크롤(330)의 상부에 설치하여 상기 회전축(230)을 통해 공급된 오일 및 메인프레임에 접촉된 냉매를 통해 상기 힘을 상쇄시키는 배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축(230)은 복수의 급유홀(234a,234b,234c)을 통해 저유된 오일을 상승시켜 메인베어링(232a), 편심축(232b), 고정베어링(232c)에 공급한다.
한편, 상기 배압씰(350)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압영역보다 압력이 작은 중간압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선회스크롤을 선회운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올담링(340) 부분에는 저압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압영역과, 상기 중간압영역 또는 저압영역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축(230)에서 공급된 오일을 상기 고정랩과 선회랩 또는 상기 올담링(340)에 공급할 수 있다. (일명, 차압급유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압축기가 작동 중에는 상기 오일이 정상적으로 상기 압축기 내부를 순환하더라도 상기 압축기가 정지하는 경우 이미 형성된 압력차이에 의해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를 통해 상기 저유공간(P)에 저유된 오일이 상기 압축부(300)에 공급되고 상대적으로 저압을 형성하는 상기 고정스크롤 측면의 유입홀로 역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은 냉매 흡입구에 흡입밸브를 구비하는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고압축비 운전시에는 압축기의 운전성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해 흡입밸브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2는 고정스크롤 내부에 인젝션밸브 조립체가 구비되어 역류를 방지 할 수 있는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인젝션밸브 조립체는 상기 흡입구 쪽에 형성되기 때문에 고압축비 운전시에는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압축기는 오일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냉매가 유입되는 흡입구에 흡입밸브를 설치하였다. 그러나 상기 흡입밸브가 설치될 경우 추가적인 공간의 사용이 불가피하고, 압력비가 높은 압축기의 작동을 위해서는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흡입밸브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흡입밸브의 사용 없이 오일의 역류를 방지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6749호(2018.08.01)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8-0093693호(2018.08.22)
본 개시는 흡입밸브와 같은 구성의 추가 없이 정지 시 급유를 막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개시는 회전축 내부에 정지 시 급유를 막는 차단부를 구비하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개시는 멀티 밸런싱 구조 적용하는 경우에 하부 밸런서 부분에 정지 시 급유를 막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개시는 원심력과 탄성력을 이용하여 정지 시 급유를 막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개시는 차단볼을 이용하여 원심력에 따라 회전 시 급유를 가능하게 하고 정지 시에 급유를 막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개시는 밸런서 내부에 정지 시 급유를 막는 차단부를 구비하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개시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압 급유 구조를 사용하는 하부 압축 스크롤에서 고압력비 운전에서 신뢰성 확보를 위해 흡입밸브를 사용하지 않고 회전축 내부 또는 하부 밸런서 내부에 정지 시 급유를 방지할 수 있는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내부에 오일 공급 유로가 형성되고 오일 공급 유로에서 상기 회전축의 직경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1수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공간은 상기 오일 공급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차단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오일 공급 유로를 개폐하는 차단부재와 상기 차단부재에 탄성력을 공급하여 상기 차단부재를 상기 오일 공급 유로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공간에 연통되는 제1수용홈이 구비된 밸런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수용홈의 내부에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제1수용홈, 제1수용공간, 오일 공급 유로 중 적어도 일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오일 공급 유로에 접촉하여 상기 오일의 유동을 막을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차폐바디와 상기 차폐바디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와 접촉하는 결합바디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는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회전축이 회전할 때 압축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계수를 갖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차단부재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수용홈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오일 공급 유로와 상기 제1수용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왕복이동하며 상기 오일 공급 유로를 개폐하는 차단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편심을 보상하도록 구비되는 밸런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런서는 상기 제1수용공간에 연통되며 상기 차단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2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볼은 상기 회전축의 회전여부에 따라 상기 오일 공급 유로, 제1수용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왕복이동하며 상기 오일 공급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런서는 상기 차단볼에 의해 상기 오일 공급 유로가 차단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수용홈과 마주하는 상기 오일 공급 유로의 일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차단볼을 일부 수용하는 제3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공간의 단면적은 상기 제2수용홈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2수용홈은 상기 차단볼의 반경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수용할 수 있다.
본 개시는 흡입밸브와 같은 구성 없이 압축기 정지 시에 급유를 방지하여 오일의 역류를 차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하부 밸런서를 사용하여 샤프트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흡입밸브가 구비되는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압축기를 소형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는 회전축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 또는 탄성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차단 밸브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효율이 높은 압축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는 차압 급유 구조를 적용하므로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압축부에 오일을 공급하는 압축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는 회전 시에 차단부재가 밸런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회전축의 편심을 방지할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압축기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2는 본 개시인 압축기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인 스크롤 압축기(10)는 유체가 저장되거나 유동하는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회전축(230)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구동부(200),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회전축(230)과 결합되어 유체를 압축하도록 구비되는 압축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100)는 일측에 냉매가 토출되는 배출부(12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200)와 압축부(300)를 수용하는 수용쉘(110)과, 상기 수용쉘(110)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부(121)가 구비되는 배출쉘(120)과, 상기 수용쉘(11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쉘(110)을 밀폐하는 차단쉘(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는 회전자기장을 생성시키는 고정자(210)와, 상기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회전자(22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230)은 상기 회전자(22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자(220)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자(210)는 그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슬롯이 형성되어 코일이 권선되어 구비되며 상기 수용쉘(110)의 내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자(220)는 영구자석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자(21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30)는 상기 회전자(220)의 중심에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압축부(300)는 상기 수용쉘(110)에 결합되되 상기 구동부(200)에서 상기 배출부(121)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구비되는 고정스크롤(320)과, 상기 회전축(230)과 결합되어 고정스크롤(320)에 맞물려 압축실을 형성하는 선회스크롤(330)과, 상기 선회스크롤(330)을 수용하며 상기 고정스크롤(320)에 안착되어 상기 압축부(3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메인프레임(310)을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하부 스크롤 압축기(10)는 상기 배출부(121)와 상기 압축부(300) 사이에 상기 구동부(200)가 배치된다. 다시말해, 상기 배출부(121)의 일측에 상기 구동부(200)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200)에서 상기 배출부(12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압축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배출부(121)가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압축부(300)는 상기 구동부(20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배출부(121)와 상기 압축부(3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케이스(100)의 저유공간(P)에 오일이 저유되는 경우, 상기 오일이 상기 구동부(200)를 거치지 않고 바로 상기 압축부(300)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부(300)에 상기 회전축(230)이 결합되어 지지됨으로써 별도로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프레임을 생략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인 하부 스크롤 압축기(10)는 상기 회전축(230)이 상기 선회스크롤(330)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스크롤(320)을 관통하여 상기 선회스크롤(330)과 상기 고정스크롤(320)에 모두 면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인해, 상기 압축부(300) 내부에 냉매 등의 유체가 유입될 때 발생하는 유입력 및 상기 압축부(300) 내부에서 냉매가 압축할 때 발생하는 가스력 및 이를 지지하는 반력이 상기 회전축(230)에 그대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230)에 상기 유입력, 가스력, 반력이 하나의 작용점에 작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회전축(230)에 결합된 상기 선회스크롤(330)에 전복모멘트가 작용하지 않으므로 상기 선회스크롤이 진동(tilting)하거나, 전복되는 것이 원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선회스크롤(330)에서 발생하는 진동 중 축방향 진동까지 감쇄되거나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선회스크롤(330)의 전복 모멘트도 감쇠되거나 억제될 수 있다. 이로인해, 상기 하부 스크롤 압축기(10)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230)을 상기 고정스크롤(320)이 면접촉하여 지지하므로, 상기 유입력 및 가스력이 상기 회전축(230)에 작용하여도 상기 회전축(230)의 내구성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매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발생하는 배압력도 상기 회전축(230)이 일부 흡수 또는 지지하여, 상기 선회스크롤(330)과 상기 고정스크롤(320)이 축방향으로 과도하게 밀착되는 힘(수직항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선회스크롤(330)과 상기 고정스크롤(320) 사이의 마찰력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압축기(10)는 상기 압축부(300) 내부에서 상기 선회스크롤(330)의 축방향 흔들림 및 전복 모멘트를 감쇠하고, 상기 선회스크롤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상기 압축부(300)의 효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축부(300) 중 상기 메인프레임(310)은 상기 구동부(200)의 일측 또는 상기 구동부(200)의 하부에 구비되는 메인경판(311)과, 상기 메인경판(311)의 내주면에서 상기 구동부(2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스크롤(320)에 안착되는 메인측판(312)과, 상기 메인경판(311)에서 연장되어 회전축(23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메인축수부(3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경판(311) 또는 상기 메인측판(312)에는 상기 고정스크롤(320)에서 토출된 냉매를 상기 배출부(121)로 안내하는 메인홀(317)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경판(311)은 상기 메인축수부(318)의 외부에서 음각으로 형성되는 오일포켓(3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포켓(314)은 환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축수부(318)에서 편심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오일포켓(314)은 상기 차단쉘(130)에 저유된 오일이 상기 회전축(230) 등을 통해 전달되면, 상기 고정스크롤(320)과 상기 선회스크롤(330)이 맞물리는 부분에 공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스크롤(320)은 상기 메인경판(311)에서 상기 구동부(200)와 멀어지는 방향에서 상기 수용쉘(110)과 결합되어 구비되어 상기 압축부(300)의 타면을 형성하는 고정경판(321)과, 상기 고정경판(321)에서 상기 배출부(121)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메인측판(312)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고정측판(322), 상기 고정측판(322) 내주면에 구비되어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실을 형성하는 고정랩(32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스크롤(320)은 상기 회전축(230)이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고정관통홀(328)과, 상기 고정관통홀(328)에서 연장되어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고정축수부(32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축수부(3281)는 상기 고정경판(321)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경판(321)의 두께는 상기 고정축수부(3281)의 두께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때에는 상기 고정축수부(3281)가 상기 고정경판(321)에 돌출되어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고정관통홀(328)에 내삽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측판(322)에는 상기 고정랩(323)에 냉매를 유입시키는 유입홀(325)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경판(321)에는 상기 냉매가 배출되는 토출홀(32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토출홀(326)은 상기 고정랩(323)의 중심방향에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고정축수부(3281)와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축수부(3281)에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고,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회스크롤(330)은 상기 메인프레임(310)과 상기 고정스크롤(320) 사이에 구비되는 선회경판(331)과, 상기 선회경판에서 상기 고정랩(323)과 함께 압축실을 형성하는 선회랩(3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회스크롤(330)은 상기 회전축(23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선회경판(331)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선회관통홀(33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30)은 상기 선회관통홀(338)에 결합되는 부분이 편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선회스크롤(330)은 상기 회전축(230)이 회전하면 상기 고정스크롤(320)의 고정랩(323)을 따라 맞물려 운동하며 냉매를 압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축(230)은 상기 구동부(200)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메인축(231)과, 상기 메인축(231)에 연결되어 상기 압축부(30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어링부(2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부(232)는 상기 메인축(231)과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메인축(231)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메인축(231)과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베어링부(232)는 메인프레임(310)의 메인축수부(318)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메인 베어링부(232c)와, 고정스크롤(320)의 고정축수부(3281)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고정 베어링부(232a)와, 메인 베어링부(232c)와 고정 베어링부(232a) 사이에 구비되어 선회스크롤(330)의 선회관통홀 (338)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편심축(23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베어링부(232c)와 고정 베어링부(232a)는 동일 축중심을 가지도록 동축 선상에 형성되고, 편심축(232b)는 무게 중심이 메인 베어링부(232c) 또는 고정 베어링부(232a)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편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심축(232b)는 그 외경이 메인 베어링부(232c)의 외경 또는 고정 베어링부(232a)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편심축(232b)은 상기 베어링부(232)가 회전할 때 상기 선회스크롤(330)을 공전 운동시키면서 냉매를 압축하는 힘을 제공하며, 상기 선회스크롤(330)은 상기 고정스크롤(320)에서 상기 편심축(232b)에 의해 규칙적으로 선회 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선회스크롤(330)이 자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개시인 압축기(10)는 상기 선회스크롤(330)의 상부에 결합되는 올담링(Oldham's ring)(3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올담링(340)은 선회스크롤(330)과 메인프레임(3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선회스크롤(330) 및 상기 메인프레임(310)에 모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올담링(340)은 전후좌우의 4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선회스크롤(330)의 자전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230)은 상기 고정스크롤(320)를 완전히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압축부(300) 외부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압축부(300)의 외부 및 상기 차단쉘(130)에 저유된 오일과 상기 회전축(230)이 직접 접촉할 수 있고, 상기 회전축(230)은 회전하면서 상기 압축부(300) 내부에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상기 회전축(230)을 통해 상기 압축부(300)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30) 또는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는 상기 오일을 메인 베어링부(232c)의 외주면, 고정 베어링부(232a)의 외주면, 편심축(232b)의 외주면에 공급하기 위한 오일 공급 유로(23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에는 복수의 급유홀(234a,b,c,d)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유 홀은 제1급유홀(234a), 제2급유홀(234b), 제3급유홀(234c), 제4급유홀(234d)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급유홀(234a)은 메인 베어링부(232c)의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급유홀(234a)은 오일 공급 유로(234)에서 메인 베어링부(232c)의 외주면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급유홀(234a)은 예를 들어, 메인 베어링부(232c)의 외주면 중 상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메인 베어링부(232c)의 외주면 중 하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참고로, 제1급유홀(234a)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복수개의 홀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1급유홀(234a)이 복수개의 홀을 포함하는 경우, 각 홀은 메인 베어링부(232c)의 외주면 중 상부 또는 하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메인 베어링부(232c)의 외주면 중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230)은 후술하는 머플러(500)를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100)의 저장된 오일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오일피더(2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피더(233)는 상기 머플러(500)를 관통하여 상기 오일에 접촉하는 연장축(233a)와 상기 연장축(233a)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에 연통하는 나선홈(23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회전축(230)이 회전하면, 상기 나선홈(233b)과 상기 오일의 점성 및 상기 압축부(300) 내부의 고압영역(S1) 및 중간압영역(V1)의 압력차로 인해 상기 오일은 상기 오일피더(233) 및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를 통해 상승하고, 상기 복수개의 급유홀에 토출된다. 복수개의 급유홀(234a, 234b, 234c, 234d)을 통해 토출된 오일은 고정 스크롤(250)과 선회 스크롤(240) 사이에 유막을 형성하여 기밀 상태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압축부(300)의 구성들 간의 마찰 부분에서 발생된 마찰열을 흡수하여 방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30)을 따라 안내된 오일은, 상기 제1급유홀(234a)를 통해 공급된 오일은 상기 메인프레임(310)과 회전축(230)을 윤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급유홀(234b)을 통해 토출되어 선회 스크롤(240)의 상면에 공급될 수 있고, 선회 스크롤(240)의 상면에 공급된 오일은 포켓 홈(314)을 통해 중간압실로 안내될 수 있다. 참고로, 제2급유홀(234b) 뿐만 아니라 제1 급유홀(234a) 또는 제3 급유홀(234d)을 통해 토출된 오일이 포켓 홈(314)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230)을 따라 안내된 오일은 선회 스크롤(240)과 메인프레임(310) 사이에 설치되는 올담링(340)과 고정스크롤(320)의 고정측판(322)에 공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스크롤(320)의 고정측판(322) 및 올담링(340)의 마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급유홀(234c)에 공급된 오일은 압축실에 공급됨으로써, 선회스크롤(330)과 고정스크롤(320) 간 마찰에 따른 마모를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유막을 형성하고, 방열하여 압축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한편, 지금까지 상기 하부 스크롤 압축기(10)가 회전축(230)의 회전을 이용하여 베어링에 오일을 급유하는 원심급유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뿐, 압축부(300) 내부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오일을 급유하는 차압 급유 구조 및 토로코이드 펌프 등을 통해 오일을 공급하는 강제급유구조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압축된 냉매는 상기 고정랩(323)과 상기 선회랩(333)이 형성하는 공간을 따라 상기 토출홀(326)로 배출된다. 상기 토출홀(326)은 상기 배출부(121)를 향하여 구비되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다. 상기 토출홀(326)에서 토출된 냉매가 유동방향의 큰 변화 없이 상기 배출부(121)로 전달되는 것이 가장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압축부(300)가 상기 구동부(200)에서 상기 배출부(121)와 멀어지는 방향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정스크롤(320)이 상기 압축부(300)의 최외각에 구비되어야 하는 구조적인 특성 때문에 상기 토출홀(326)은 상기 배출부(121)와 반대방향으로 냉매를 분사하도록 구비된다.
다시말해, 상기 토출홀(326)은 상기 고정경판(321)에서 상기 배출부(1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냉매를 분사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토출홀(326)로 냉매가 그대로 분사되면 냉매가 상기 배출부(121)로 원할하게 배출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차단쉘(130)에 오일이 저유되어 있는 경우 상기 냉매가 상기 오일과 충돌하여 냉각되거나 혼합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개시인 압축기(10)는 상기 고정스크롤(320)의 최외각에 결합되어 상기 냉매를 상기 배출부(121)로 안내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머플러(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머플러(500)는 상기 고정스크롤(320)에서 배출된 냉매를 상기 배출부(121)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스크롤(320) 중 상기 배출부(121)와 멀어지는 방향에 구비된 일면을 밀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머플러(500)는 상기 고정스크롤(320)에 결합되는 결합바디(520)와, 상기 결합바디(520)에서 연장되어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바디(5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토출홀(326)에서 분사된 냉매는 상기 머플러(500)가 형성하는 밀폐공간을 따라 유동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배출부(121)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스크롤(320)은 상기 수용쉘(110)에 결합되어 구비되므로, 상기 냉매는 상기 고정스크롤(320)에 방해되어 상기 배출부(121)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스크롤(320)은 상기 고정경판(321)을 관통하여 상기 냉매가 상기 고정스크롤(320)을 통과할 수 있는 바이패스홀(327)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홀(327)은 상기 메인홀(317)과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냉매는 상기 압축부(300)를 통과하여 상기 구동부(200)를 지나 상기 배출부(121)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매는 상기 고정랩(323)의 외주면에서 내부를 향할수록 더 고압으로 압축되므로 상기 고정랩(323)과 상기 선회랩(333)의 내부는 고압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선회스크롤의 배면에는 토출압력이 그대로 작용하게 되며 반작용으로 상기 선회스크롤에서 고정스크롤을 향하여 배압이 작용한다. 본 개시인 압축기(10)는 상기 배압이 상기 선회스크롤(330)과 상기 회전축(230)이 결합된 부분에 집중하도록 하여 상기 선회랩(333)과 상기 고정랩(323) 사이 누설을 방지하는 배압씰(seal, 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압씰(350)은 링형상으로 구비되어 내주면을 고압으로 유지하며, 외주면을 고압보다 낮은 중간압으로 분리시킨다. 따라서, 상기 배압이 상기 배압씰(350) 내주면에 집중되도록 하여 상기 선회스크롤(330)을 상기 고정스크롤(320)로 밀착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토출홀(326)이 상기 회전축(230)과 이격되어 구비된 것을 고려하여, 상기 배압씰(350)도 상기 토출홀(326)을 향해 중심이 상기 토출홀을 향해 치우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압씰(350)로 인해, 상기 제1급유홈(234a)에서 공급된 오일은 상기 배압씰(350) 내주면까지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일은 상기 메인스크롤과 상기 선회스크롤의 접촉면을 윤활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배압씰(350) 내주면에 공급된 오일은 상기 냉매의 일부와 함께 상기 선회스크롤(330)을 상기 고정스크롤(320)로 밀어내는 배압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배압씰(350)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랩(323)과 상기 선회랩(333)의 압축공간은 상기 배압씰(350)의 내부 영역의 고압영역(S1)과, 상기 배압씰(350)의 외부는 중간압영역(V1)으로 구분될 수 있다. 물론, 냉매가 유입되면서 압축되는 과정에서 압력이 높아지므로 상기 고압영역(S1)과 상기 중간압영역(V1)은 자연스럽게 구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배압씰(350)의 존재로 인해 압력변화가 임계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배압씰(350)로 인해 상기 압축공간이 구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압축부(300)에 공급된 오일이나, 상기 케이스(100)의 저유공간(P)에 저유된 오일은 상기 냉매가 상기 배출부(121)로 배출됨에 따라 상기 냉매와 함께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일은 상기 냉매보다 밀도가 커 상기 회전자(220)에 의해 발생한 원심력에 의해 상기 배출부(121)로 이동하지 못하고, 상기 배출쉘(120)과 상기 수용쉘(110)의 내벽에 부착된다. 상기 하부 스크롤 압축기(10)는 상기 케이스(100) 내벽에 부착된 오일을 상기 케이스(100)의 저유공간 또는 상기 차단쉘(130)에 회수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200)와 상기 압축부(300)는 외주면에 회수유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수유로는 상기 구동부(20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구동회수유로(201)와, 상기 압축부(30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압축회수유로(301)와, 상기 머플러(50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머플러회수유로(5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회수유로(201)는 상기 고정자(210)의 외주면 중 일부가 함몰되어 구비되며, 상기 압축회수유로(301)는 상기 고정스크롤(320)의 외주면 중 일부가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플러회수유로(501)는 상기 머플러의 외주면 중 일부가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회수유로(201), 상기 압축회수유로(301) 및 상기 머플러회수유로(501)는 서로 연통하여 오일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회전축(230)은 상기 편심축(232b)로 인해 무게 중심이 일측으로 치우쳐 구비되므로, 회전시 불균형한 편심 모멘트가 발생하여 전체적인 균형이 틀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인 하부 스크롤 압축기(10)는 상기 편심축(232b)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편심 모멘트를 상쇄할 수 있는 밸런서(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부(300)는 상기 케이스(1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밸런서(400)는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상기 회전축(230) 자체 또는 상기 회전자(22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밸런서(400)는 상기 편심축(232b)의 편심 하중을 상쇄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자(220)의 하단 또는 압축부(300)를 향하는 일면에 구비되는 중심밸런서(410)와, 상기 편심축(232b) 또는 상기 중심밸런서(4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편심 하중 또는 편심모멘트를 상쇄하도록 상기 회전자(220)의 상단 또는 배출부(121)를 향하는 타면에 결합되는 외각밸런서(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심밸런서(410)는 상기 편심축(232b)와 상대적으로 근접하여 구비되므로 상기 편심축(232b)의 편심하중을 직접적으로 상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중심밸런서(410)는 상기 편심축(232b)가 편심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편심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상기 회전축(230)이 저속 또는 고속으로 회전하여도 상기 편심축(232b)와 이격된 거리가 가까우므로 거의 균일하게 상기 편심축(232b)에서 발생하는 편심력 또는 편심하중을 효과적으로 상쇄할 수 있다.
상기 외각밸런서(420)는 상기 편심축(232b)가 편심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편심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외각밸런서(420)는 상기 중심밸런서(410)가 발생시키는 편심하중을 일부 상쇄할 수 있도록 상기 편심축(232b)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편심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중심밸런서(410)와 상기 외각밸런서(420)는 상기 편심축(232b)로 인해 발생하는 편심모멘트를 상쇄하여 상기 회전축(230)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인 압축기(10)는 상기 구동부(200)와 상기 배출부(121) 사이 공간으로 공급된 냉매에서 오일을 분리하도록 구비되는 분리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부(600)는 상기 구동부(20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230)이 회전할 때 상기 회전축(230)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리부(800)는 상기 회전자(220), 외각밸런서(420) 또는 회전축(230)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분리부(600)의 회전중심이 상기 회전축(230)의 회전중심과 동일하도록 상기 회전자(220), 외각밸런서(420) 또는 회전축(2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분리부(600)는 상기 회전축(230)이 회전할 때 고속으로 회전하므로, 상기 분리부(600) 주위의 냉매와 오일에 강력한 원심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냉매는 밀도가 상대적으로 오일보다 매우 작으므로 상기 분리부(600)에서 발생한 원심력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냉매에 작용하는 원심력은 상기 배출부(121)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이보다 작으므로 상기 냉매는 상기 분리부(600)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배출부(121)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오일은 상기 냉매보다 밀도가 크고, 서로 충돌하는 경우 큰 액적으로 성장하기 용이하다. 따라서, 상기 분리부(600)에 발생하는 원심력에 영향을 상기 냉매보다 크게 받으므로 상기 분리부(600) 부근에서 서로 오일들이 충돌하여 액적으로 성장하면서 상기 케이스(100)에 충돌하여 상기 회수유로를 통해서 저유공간으로 회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리부(600)를 통과한 오일의 밀도가 더욱 커지게 되면, 상기 배출부(121)로 배출되지 못하고 상기 분리부(600)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된 오일은 상기 분리부(600)의 원심력에 의해 다시 상기 케이스(100)의 내벽으로 배출되어 회수될 수 있다.
상기 분리부(600)는 상기 회전자(220) 또는 회전축(230)과 직접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230)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냉매에 원심력을 제공하는 회전바디(610)와 상기 회전바디(610)에서 상기 배출부(121)를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바디(6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610)는 원판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바디(620)는 상기 회전바디(610)의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바디(610)와 상기 연장바디(620)에 의해 오일컵(Oil cup)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610)는 상기 회전축(230)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회전축의 직경방향으로 원심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연장바디(620)는 상기 발생된 원심력을 상기 회전축과 나란한방향으로 확장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610)의 직경은 상기 회전축(230)의 직경보다 훨씬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원심력은 상기 회전바디(610)의 반지름에 비례하여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기 연장바디(620)는 상기 회전바디(610)에서 수직으로 연장될 수도 있으나, 상기 회전바디(610)에서 자유단으로 향할수록 직경이 더 넓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배출부(121)로 향할수록 더 많은 양의 오일을 냉매에서 분리시키고, 상기 연장바디(620)에 수집된 오일을 외부로 더 원활하게 배출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회전바디(610)는 상기 회전자(220) 또는 상기 외각밸런서(42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230)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바디(610)는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회전축(230)과 상기 회전자(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전바디(610)는 상기 회전자(220)의 내주면이나 상기 회전자(220) 중 상기 배출부(121)를 향하는 노출면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바디(610)는 상기 회전자(220)의 내주면 중 일부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회전바디(610)와 상기 회전자(220)가 결합된 부분이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합된 부분들은 상기 회전축을 기준을 일측으로 편심되지 않고 고르게 분포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분리부(600)에 결합이 해제된 영역이 과도하게 존재하여 과도하게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들어, 상기 회전바디(610)는 상기 회전자(220)의 내주면 중 상기 회전축(230)을 기준으로 대칭인 부분마다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610)가 상기 회전축(230) 또는 상기 회전자(220)의 어느 부분에 결합되든지, 상기 회전바디(610)는 회전 중심이 회전축(230)에 위치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바디(610)는 적어도 일단이 전부 상기 회전축(230)에 결합되거나 상기 회전자(220)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회전바디(610)의 일부가 상기 구동부(200)에서 이격되어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바디(610)는 회전중심이 상기 회전축(230)의 회전중심과 서로 일치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회전바디(610)는 외력이나 충격이 작용하여도 캔틸레버(cantilever) 처럼 진동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회전바디(610)가 고속으로 회전하더라도 상기 회전축(230)이 기울어지거나 진동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610)는 회전중심이 상기 회전축(230)과 동일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바디(610)의 무게중심이 상기 회전축(230)에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회전바디(610)는 자전하도록 구비되고 공전하는 것이 배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리부(600)의 단면이 원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항상 차지하는 공간이나 부피가 고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분리부(600)가 고속으로 회전하더라도 상기 냉매나 오일에 부과되는 유로저항은 마찰을 배제하면 거의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610)는 냉매와 오일에 원심력을 제공하여 상대적으로 밀도, 무게, 직경이 더 큰 오일을 냉매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610)는 상기 회전축(230) 또는 상기 회전자(220) 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회전바디(610)는 상기 회전축(230) 보다 더 강한 원심력을 상기 냉매나 오일에 작용시킬 수 있다.
상기 오일은 냉매와 달리, 밀도 및 직경, 점성이 더 크게 때문에 원심력과 항력 및 중력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특히, 상기 회전바디(610)의 속도가 빠를수록 상기 원심력과 항력이 다른 힘들보다 더 크게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바디(610)가 고속으로 회전할수록 상기 오일에 가해지는 원심력이 가장 크게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 오일은 냉매에서 케이스(100) 내벽과 충돌하여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 내벽에 충돌된 오일들은 점성으로 인해 액적이 성장하며 그에 따라 중력도 강하게 받아 케이스(100)의 저유공간(P)으로 회수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인 압축기(10)는 상기 압축부(300)와 상기 머플러(5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10)의 정지 시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를 차폐하여 급유를 방지하는 차단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700)는 상기 편심축(232b), 상기 중심밸런서(410) 또는 상기 외각밸런서(420)의 편심량 또는 편심모멘트를 상쇄시키도록 상기 압축부(300)와 상기 머플러(500) 사이에 구비되는 하부밸런서(43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차단부(700)는 상기 회전축(23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700)는 상기 압축기(10)가 작동할 경우에는 상기 차단부(700)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를 개방하고, 상기 압축기(10)가 정지하는 경우에는 탄성력, 중력 또는 상기 오일의 유력에 의해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를 폐쇄하여 상기 오일이 급유되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인 압축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특히 차단부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차단부(700)는 상기 회전축(23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는 상기 회전축(23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30)은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의 일면에서 상기 회전축의 반경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차단부(700)를 적어도 일부 수용할 수 있는 제1수용공간(2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700)는 상기 회전축(230)의 회전여부에 따라 상기 제1수용공간(235)과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중 적어도 일부를 왕복이동하며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700)는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와 상기 제1수용공간(235) 중 적어도 일부를 왕복이동 하며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를 개폐하는 차단부재(710)와 상기 차단부재(710)와 접촉하게 구비되어 상기 차단부재(710)를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공급하는 탄성부재(7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720)의 일단은 상기 제1수용공간(235)의 상기 회전축(230) 반경방향 말단에 고정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수용공간(235)의 일측에 고정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720)의 타단은 상기 차단부재(710)에 결합되거나 접촉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720)는 상기 차단부재(710)가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를 차단하게 하는 위치에서 압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720)가 상기 차단부재(710)에 대하여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 방향으로 지속적인 탄성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더욱 안정적으로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을 통해 상기 오일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30)은 상기 차단부(70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야 하므로 상기 차단부재(710)의 길이의 두 배 이상이 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720)는 상기 차단부재(710)가 상기 회전축(230)의 회전 시에는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230)이 회전할 시에 상기 차단부재(710)에 발생하는 원심력이 상기 탄성부재(720)가 압축되며 발생하는 탄성력 보다 크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720)는 이와 같은 탄성력을 갖도록 탄성계수, 강성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710)는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와 접촉되었을 때 사이의 틈으로 상기 오일이 유출되지 못하도록 외주면에 밀착이 용이한 소재로 표면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무 패킹이 상기 차단부재(710)를 둘러싸게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인 압축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편심축(232b), 상기 중심밸런서(410) 또는 상기 외각밸런서(420)의 편심량 또는 편심모멘트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압축부(300)와 상기 머플러(500) 사이에 하부밸런서(4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밸런서(430)는 상기 회전축(23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230)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230)의 하단에 상기 하부밸런서(430)를 부착할 경우 상기 회전축(230)의 편심운동에 따른 축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메인베어링(232a) 또는 상기 고정베어링(232c)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 하여 상기 압축기(10)의 안정성과 압축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차단부(700)는 상기 하부밸런서(430)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밸런서(430)는 내주면에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수용공간(235)에 연통되는 제1수용홈(4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홈(431)은 상기 차단부(700)를 일부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홈(431)은 상기 제1수용공간(235)을 확장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700)를 구성하는 상기 탄성부재(720)의 일단이 상기 제1수용홈(431)의 말단에 결합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수용홈(431)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720)의 타단은 상기 차단부재(710)에 결합되거나 접촉되어 상기 차단부재(710)를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710)는 상기 회전축(230)의 회전여부에 따라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 상기 제1수용공간(235) 또는 상기 제1수용홈(431)의 적어도 일부를 왕복이동하며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를 개페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30)이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탄성부재(720)와 연결된 상기 차단부재(710)의 일부가 상기 제1수용홈(431)에 수용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회전축(230)이 정지하는 경우 상기 차단부재(710)는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와 상기 제1수용공간(235)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1수용홈(431)에는 수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하부밸런서(430)는 상기 회전축(230)과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회전축(230)에 형성되는 상기 제1수용공간(235)과 상기 하부밸런서(430)에 구비되는 제1수용홈(431)이 서로 연통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차단부재(710)가 상기 제1수용공간(235)과 상기 제1수용홈(431) 상에서 부드럽게 왕복이동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수용공간(235)과 상기 제1수용홈(431)의 단면이 동일할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수용홈(431)의 단면이 더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개시인 압축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특히,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차단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압축기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차단부재(710)는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를 개폐하는 차폐바디(711)와 상기 차폐바디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720)와 결합하거나 접촉하는 결합바디(7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바디(711)의 외주면은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와 접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측은 실린더의 일부 형상으로 구비되고 타측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폐바디(711)의 이동방향 길이(L1)는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의 직경과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폐바디(711)는 상기 오일의 유동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와 충분히 밀착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폐바디(711)가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에 밀착되도록 상기 차폐바디(711)의 외주면은 압축 가능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바디(712)는 상기 차폐바디(711)에서 상기 차단부재(710)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결합바디(712)는 상기 차폐바디(711)와 함께 상기 회전축(230)의 회전여부에 따라 왕복이동 할 수 있다. 상기 결합바디(712)는 상기 제1수용공간(235)과 상기 제1수용홈(431)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게 왕복이동 운동할 수 있다. 상기 결합바디(712)는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에 수용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폐바디(711)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바디(712)의 일단에 상기 탄성부재(720)가 결합되거나 접촉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바디(712)는 상기 탄성부재(720)로부터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 방향의 탄성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결합바디(712)의 이동방향 길이(L2)는 상기 제1수용공간(235)의 깊이보다 길고 상기 제1수용공간(235)의 깊이와 상기 제1수용홈(431)의 깊이를 합한 것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바디(712)의 이동방향 길이(L2)는 상기 회전축(230)이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개시인 압축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차단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압축기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잇다.
상기 차단부(700)는 구 형태로 구비되는 차단볼(7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볼(730)은 상기 회전축(230)의 회전 여부에 따라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는 상기 회전축(23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전축(23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30)은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의 일면에서 상기 회전축(230)의 반경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차단부(700)를 적어도 일부 수용할 수 있는 제1수용공간(2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볼(73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수용공간(235)에 수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볼(730)은 상기 회전축(230)의 회전여부에 따라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와 상기 제1수용공간(235) 중 적어도 일부를 왕복 이동하며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차단볼(730)은 상기 회전축(230)이 회전할 경우 원심력을 받아 상기 제1수용공간(235)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는 개방되어 상기 저유공간(P)에 저유된 오일이 상기 압축부(300)에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회전축(230)이 정지하는 경우 상기 차단볼(730)에 가해지는 원심력이 감소하고 상기 차단볼(730)은 상기 오일이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를 따라 흐르는 유력을 받아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는 상기 차단볼(730)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오일은 유동할 수 없다.
상기 제1수용공간(235)의 높이는 상기 차단볼(730)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볼(730)은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야 하므로,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의 직경보다 상기 차단볼(730)의 직경이 크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볼(730)이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를 차폐하기 위하여 상기 차단볼(730)이 충분히 밀착될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 차단볼의 표면은 압축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차단볼(730)은 내부가 금속으로 제작되고 외주면은 고무와 같이 탄성력이 있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공간(235)은 상기 차단볼(730)을 일부 수용할 수 있도록 내주면이 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차단볼(730)이 일부 수용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면, 원기둥의 일부와 같이 형성된 내주면을 가지게 구비될 수 도 있고 일면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내주면 형태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인 압축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특히 차단볼을 포함하는 차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압축기의 차단부에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편심축(232b), 상기 중심밸런서(410) 또는 상기 외각밸런서(420)의 편심량 또는 편심모멘트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압축부(300)와 상기 머플러(500) 사이에 하부밸런서(4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밸런서(430)는 상기 회전축(23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230)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230)의 하단에 상기 하부밸런서(430)를 부착할 경우 상기 회전축(230)의 편심운동에 따른 축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메인베어링(232a) 또는 상기 고정베어링(232c)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 하여 상기 압축기(10)의 안정성과 압축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차단부(700)는 상기 하부밸런서(430)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밸런서(430)는 내주면에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수용공간(235)에 연통되는 제2수용홈(4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홈(432)은 상기 차단부(700)를 일부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홈(432)은 상기 제1수용공간(235)을 확장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23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제1수용공간(235)의 폭보다 직경이 큰 차단볼(730)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차단볼(730)은 상기 회전축(230)이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와 반대 방향으로 원심력을 받아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차단볼(730)은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 상기 제1수용공간(235) 및 상기 제2수용홈(432)중 적어도 일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홈(432)은 상기 제1수용공간(235)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수용홈(432)는 상기 차단볼(730)을 일부 수용하면서도 상기 차단볼(730)이 과도하게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회전축(230)의 내부에는 상기 제1수용공간(235)과 마주하는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에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차단볼(730)을 일부 수용하는 제3수용홈(23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수용홈(236)은 상기 차단볼(730)이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에 더욱 밀착하여 상기 오일의 유동을 충분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차단볼(730)은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 상기 제1수용공간(235), 상기 제2수용홈(432) 및 상기 제3수용홈(236)의 적어도 일부에 수용되게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와 상기 제1수용공간(235) 중 적어도 일부를 왕복이동하며 상기 회전축(230)의 회전여부에 따라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홈(432)은 상기 차단볼(73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주면이 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차단볼(73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모든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수용홈(432)의 내주면은 실린더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일면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수용홈(236) 또한, 상기 제2수용홈(432)과 같이 상기 차단볼(730)을 일부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의 내주면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볼(730)은 상기 회전축(230)이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제2수용홈(432) 방향으로 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단볼(730)의 일부는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에 수용되어야 한다. 상기 회전축(230)이 정지 시에 상기 차단볼(730)에는 상기 오일이 차압에 의해 상기 배출부(121) 방향으로 이동하며 유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유력을 받아 상기 차단볼(730)이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를 차폐하기 위해서 차단볼(730)의 일부가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차단볼(730)이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에 수용되는 최소깊이(d1)는 적어도 상기 차단볼(730)의 직경의 0.2배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상기 최소깊이(d1)가 상기 차단볼(730)의 직경의 0.2배보다 작을 경우 상기 오일이 이동하며 가하는 유력에 의해 상기 차단볼(730)을 충분히 이동시킬 수 없다. 이 경우 상기 차단볼(730)은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상기 제1수용공간(235) 및 상기 제2수용홈(432) 중 적어도 일부에 수용되어 회전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최소깊이(d1)가 상기 차단볼(730)의 직경의 0.2배보다 큰 경우에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를 통해 상기 저유공간(P)에서 상기 배출부(121) 방향으로 이동하는 오일이 상기 차단볼(730)을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 방향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단볼(730)이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를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차단볼(730)은 상기 회전축(230)의 회전 여부에 따라 상기 오일 공급 유로(234)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개시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냉매사이클
10 압축기
100 케이스 110 수용쉘 120 배출쉘 121 배출부 130 차단쉘
200 구동부 210 고정자 201 구동회수유로
220 회전자 230 회전축 231 메인축
232 베이링부
232 a 메인베이링부
232b 편심축
232c 고정베이링부
233 오일피더 233a 연장축
233b 나선홈
234 오일 공급 유로
234 a 제1오일홀
234 b 제2오일홀
234 c 제3오일홀
234 d 제4오일홀
235 제1수용공간
236 제3수용홈
300 압축부 301 압축회수유로 310a 메인회수유로 320a 고정회수유로
310 메인프레임 311 메인경판 318 메인관통홀 3181 메인축수부
312 측판 314 오일포켓
320 고정스크롤 321 고정경판 322 고정측판 323 고정랩
325 유입홀 326 토출홀
327 바이패스홀 328 고정관통홀 3281 고정축수부
330 선회스크롤 331 선회경판 333 선회랩 338 선회관통홀
340 올담링 350 배압씰(seal)
400 구동밸런서 410 중심밸런서 420 외각밸런서
430 하부밸런서 431 제1수용홈 432 제2수용홈
500 머플러 510 수용바디 520 결합부
530 연장부 540 오목부 541 머플러 축수부
600 분리부 610 회전바디 620 연장바디
700 차단부
710 차단부재 711 차폐바디 712 결합바디
720 탄성부재
730 차단볼

Claims (12)

  1. 일측에 냉매가 토출되는 배출부를 구비하고 오일을 저유하는 저유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회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자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회전자에서 상기 배출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결합되거나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저유공간에 수용된 상기 오일을 상기 배출부 방면으로 안내하는 오일 공급 유로가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 및
    상기 압축부에 결합되어 상기 냉매를 상기 배출부로 안내하는 머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오일 공급 유로는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서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오일 공급 유로에서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을 향하여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1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수용공간에 적어도 일부는 수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여부에 따라 상기 오일 공급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압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여부에 따라 상기 오일 공급 유로와 상기 제1수용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왕복이동하며 상기 오일 공급 유로를 개폐하는 차단부재; 및
    상기 차단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차단부재를 상기 오일 공급 유로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공급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압축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서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편심을 보상하도록 구비되는 밸런서;를 포함하는 압축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서는
    상기 밸런서의 내주면에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수용공간에 연통되는 제1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이 상기 제1수용홈의 말단에 결합되는 압축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오일 공급 유로의 내주면과 접촉하게 형성되어 상기 오일 공급 유로를 개폐하는 차폐바디; 및
    상기 차폐바디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와 접촉하는 결합바디를 포함하는 압축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차단부재에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제1수용홈의 말단에 결합되는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압축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 시 압축될 수 있는 탄성계수를 갖도록 구비되는 압축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여부에 따라 상기 오일 공급 유로와 상기 제1수용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왕복이동하며 상기 오일 공급 유로를 개폐하는 차단볼을 포함하는 압축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서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편심을 보상하도록 구비되는 밸런서;를 포함하는 압축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서는
    상기 밸런서의 내주면에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수용공간에 연통되며 상기 차단볼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2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볼은
    상기 회전축의 회전여부에 따라 상기 오일 공급 유로와 제1수용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왕복이동하며 상기 오일 공급 유로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공간의 단면적은 제2수용홈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수용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오일 공급 유로의 일면에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차단볼을 일부 수용하는 제3수용홈을 포함하는 압축기.
KR1020200048882A 2020-04-22 2020-04-22 압축기 KR202101305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882A KR20210130533A (ko) 2020-04-22 2020-04-22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882A KR20210130533A (ko) 2020-04-22 2020-04-22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533A true KR20210130533A (ko) 2021-11-01

Family

ID=78519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882A KR20210130533A (ko) 2020-04-22 2020-04-22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053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749A (ko) 2017-01-23 2018-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
KR20180093693A (ko) 2017-02-14 2018-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749A (ko) 2017-01-23 2018-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
KR20180093693A (ko) 2017-02-14 2018-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4680B1 (ko) 압축기
KR20200007548A (ko) 압축기
KR102083966B1 (ko) 압축기
KR20210130533A (ko) 압축기
KR102304191B1 (ko) 압축기
KR20200099704A (ko) 압축기
KR102186245B1 (ko) 압축기
KR102329423B1 (ko) 압축기
KR102381161B1 (ko) 압축기
US11353026B2 (en) Compressor having decompressing structure
KR102373831B1 (ko) 압축기
EP3719320B1 (en) Compressor
KR102318551B1 (ko) 압축기
KR102344070B1 (ko) 압축기
KR20210129535A (ko) 압축기
CN214304371U (zh) 压缩机
KR20210101491A (ko) 압축기
KR102340237B1 (ko) 압축기
KR102281348B1 (ko) 압축기
KR102355631B1 (ko) 압축기
KR102124489B1 (ko) 압축기
KR102448868B1 (ko) 압축기
KR102124491B1 (ko) 압축기
CN215333409U (zh) 压缩机
KR102204619B1 (ko)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