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0342A - 납축전지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납축전지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0342A
KR20210130342A KR1020200048399A KR20200048399A KR20210130342A KR 20210130342 A KR20210130342 A KR 20210130342A KR 1020200048399 A KR1020200048399 A KR 1020200048399A KR 20200048399 A KR20200048399 A KR 20200048399A KR 20210130342 A KR20210130342 A KR 20210130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acid batte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용
성용준
오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어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어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어겐
Priority to KR1020200048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0342A/ko
Priority to EP21792255.8A priority patent/EP4142013A1/en
Priority to PCT/KR2021/004980 priority patent/WO2021215810A1/ko
Priority to US17/920,037 priority patent/US20230163613A1/en
Priority to CA3175555A priority patent/CA3175555A1/en
Publication of KR20210130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3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78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specially adapted for the type of battery or accumulator
    • G01R31/379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specially adapted for the type of battery or accumulator for lead-acid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6Lead-acid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42Regeneration of electrolyte or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8Systems for data transfer from batteries, e.g. transfer of battery parameters to a controller, data transferred between battery controller and main controll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납축전지 관리 시스템에 대해 개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납축전지 관리 시스템은 펄스파전류를 생성하여 납축전지의 전극상 생성된 산화피막을 제거하는 납축전지 재생장치, 납축전지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장치, 납축전지 재생장치와 측정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와 연동되어 사용자로부터 작동값을 입력받는 조절장치를 포함하여, 납축전지 재생장치의 작동효율을 개선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 및 납축전지 재생장치의 동작상태정보에 간이하게 접근하여 납축전지 재생장치 및 측정장치의 작동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납축전지 관리 시스템{LEAD ACID BATTERY MANAGEMENT SYSTEM}
아래의 설명은 납축전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납축전지는 납과 황산을 전극과 전해질로 사용하는 전지로서, 충전 및 방전을 통해 반복해 사용할 수 있는 2차 전지이다. 납축전지는 전극에서 발생하는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황산납이 생성되고 분해되는 과정을 거쳐 내부에 전기에너지를 충전 및 방전할 수 있다. 충전 및 방전을 하는 과정에서, 방전 후 방치하거나 또는 불충붕한 충전을 하는 경우, 황산염(sulfation)이 극판에 생성되어 생성된 부분은 극판 역할을 하지 못해 납축전지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황산염 생성에 따른 납축전지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납축전지의 전극 표면에 강한 전압이나 전류를 가해줌으로써 전극상 생성된 황산염 피막을 황산 이온 및 납 이온으로 이온화시키는 방법이 있다. 다만, 납축전지의 전극 표면에 강한 전압이나 전류를 가하는 과정에서, 황산염을 제거하는 시간동안 본제품으로부터 납축전지를 분리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납축전지의 상태 및 피막제거 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측정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측정기구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납축전지와 납축전지 재생장치의 측정 및 납축전지 관리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납축전지의 수명을 연장하고, 납축전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0868491호는 축전지의 수명 연장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축전지의 수명 연장 장치 및 그 방법은 주파수 대역이 높은 펄스파를 이용하여 화학반응을 통해 극판에 결정화된 황산염이 쌓이지 않도록 축전지를 재생하는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실시예에 따른 납축전지 관리 시스템의 목적은 납축전지의 전극상 생성된 산화피막을 제거하는 납축전지 재생장치, 납축전지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장치 및 납축전지 재생장치와 측정장치로부터 작동신호를 수신하여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통해, 납축전지 관리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데이터베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납축전지 정보에 따른 재생장치의 동작정보를 반복 비교하는 기계학습을 수행하여, 납축전지 재생장치의 작동효율 개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납축전지 관리 시스템의 목적은, 제어부와 연동되고 사용자로부터 납축전지 재생장치와 측정장치에 대한 작동값을 입력받는 조절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납축전지의 상태 및 납축전지 재생장치의 동작상태정보에 대해 간이하게 접근하고, 납축전지 재생장치 및 측정장치의 작동을 용이하게 조절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납축전지 관리 시스템은 펄스파전류를 생성하여 납축전지의 전극상 생성된 산화피막을 제거하는 납축전지 재생장치, 상기 납축전지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장치, 상기 납축전지 재생장치 및 상기 측정장치로부터 작동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납축전지 재생장치 및 상기 측정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납축전지 재생장치 및 상기 측정장치에 대한 작동값을 입력받는 조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장치는 상기 납축전지 전극상 생성된 산화피막의 형성정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장치가 측정한 산화피막의 형성정도 측정값을 기준으로 상기 납축전지 재생장치의 출력량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장치는 상기 납축전지의 내부 전압, 내부 저항, 온도, 전해액 밀도 및 충전량을 측정하여 산화피막의 형성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장치에서 측정한 정보, 상기 납축전지 재생장치의 작동정보 및 상기 납축전지에 관한 정보를 축적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측정장치 및 상기 납축전지 재생장치의 작동에 관한 사항을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한 사항을 기초로 상기 측정장치 및 상기 납축전지 재생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에 의해 작동한 상기 납축전지 재생장치의 작동정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일련의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측정장치의 측정정보 및 상기 납축전지의 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납축전지 재생장치의 작동정보를 반복 비교하여, 상기 납축전지 재생장치의 효율적인 작동값을 도출해내는 기계학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납축전지 재생장치 및 상기 측정장치의 작동모드와 작동값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입력정보, 상기 납축전지 재생장치의 동작 정보 및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장치는 인터넷 신호를 통해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웨어러블기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을 통해 상기 납축전지 재생장치 및 상기 측정장치의 작동모드와 작동값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납축전지 재생장치 및 상기 측정장치의 작동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납축전지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납축전지의 전극상 생성된 산화피막을 제거하는 납축전지 재생장치, 납축전지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장치 및 납축전지 재생장치와 측정장치로부터 작동신호를 수신하여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통해, 납축전지 관리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데이터베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납축전지 정보에 따른 재생장치의 동작정보를 반복 비교하는 기계학습을 수행하여, 납축전지 재생장치의 작동효율 개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납축전지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제어부와 연동되고 사용자로부터 납축전지 재생장치와 측정장치에 대한 작동값을 입력받는 조절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납축전지의 상태 및 납축전지 재생장치의 동작상태정보에 대해 간이하게 접근하고, 납축전지 재생장치 및 측정장치의 작동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납축전지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납축전지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납축전지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납축전지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납축전지 관리 시스템(1)은 납축전지의 수명을 연장하고 수명연장관리에 대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납축전지 관리 시스템(1)은 납축전지의 수명을 연장함으로써, 납의 사용량을 줄이고 납에 따른 환경적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납축전지 관리 시스템(1)은 납축전지 재생장치(10), 측정장치(11), 제어부(12) 및 조절장치(13)를 포함할 수 있다.
납축전지 재생장치(10)는 펄스파전류를 생성하여 납축전지의 전극상 생성된 산화피막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납축전지 재생장치(10)는 강력한 펄스파워를 이용하여 전극상 생성된 황산염을 제거할 수 있다. 납축전지 재생장치(10)는 전극상 생성된 황산납이 이온화되어 납이온이 본래 전극 상태의 납으로 안정화되고, 황산이온은 전해질 상태로 되돌아가게 작용함으로써, 납축전지의 전극상 생성된 황산염을 제거할 수 있다. 납축전지 재생장치(10)는 100Hz 내지 990Hz의 범위 내의 펄스파워를 이용할 수 있다. 납축전지 재생장치(10)는 콘덴서에 전기에너지를 축적하여, 스위칭을 통해 단시간에 납축전지 전극에 순간적으로 큰 전력을 전달함으로써, 황산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납축전지 재생장치(10)는 펄스파워의 주파수, 펄스파의 세기 및 사용하는 전력량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납축전지 재생장치(10)는 제어부(12)의 작동조절신호를 받아 상황에 따른 적합한 작동모드로 운영되어 전력효율을 높이고 효율적으로 납축전지의 산화피막을 제거할 수 있다.
납축전지 재생장치(10)는 납축전지의 전극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납축전지의 전극상 생성된 산화피막은 별도의 분리작업 없이 납축전지 재생장치(10)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측정장치(11)는 납축전지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장치(11)는 납축전지의 내부 전압 및 내부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장치(11)는 납축전지 내부에 있는 전해액의 밀도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장치(11)는 납축전지의 전극상 생성된 산화피막의 형성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장치(11)는 납축전지의 내부 전압, 내부 저항, 온도, 전해액 밀도 및 충전량을 측정하여 산화피막의 형성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납축전지 재생장치(10) 및 측정장치(11)로부터 작동신호를 수신하여, 납축전지 재생장치(10) 및 측정장치(11)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는 납축전지 재생장치(10)의 작동정보 및 측정장치(11)의 측정정보를 저장하여, 납축전지 상태에 따른 납축전지 재생장치(10)의 동작효율을 반복 분석하는 기계학습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기계학습과정을 통해 분석한 정보를 토대로 납축전지 재생장치(10) 및 측정장치(11)의 작동에 관한 사항을 판단하여, 납축전지 재생장치(10) 및 측정장치(11)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데이터베이스(120), 기계학습부(121), 판단부(122) 및 조절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20)는 측정장치(11)에서 측정한 정보, 납축전지 재생장치(10)의 작동정보 및 납축전지에 관한 정보를 축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20)는 납축전지의 일련번호, 납축전지의 모델명, 납축전지의 정전용량 및 납축전지의 성능효율과 같은 납축전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20)는 납축전지의 전압, 납축전지의 출력량, 납축전지의 산화피막 두께 및 납축전지의 재생효율과 같은 납축전지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20)는 납축전지 재생장치(10)의 펄스파워 주파수, 재생시간 및 산화피막 제거량과 같은 납축전지 재생장치(10)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20)는 조절장치(13)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기계학습부(121)는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측정장치(11)의 측정정보 및 납축전지의 상태정보에 따라 납축전지 재생장치(10)의 작동정보를 반복 비교하여, 납축전지 재생장치(10)의 효율적인 작동값을 도출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학습부(121)는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납축전지의 모델명, 납축전지에 생성된 산화피막의 두께, 납축전지의 내부 전압 및 내부저항 등에 따라 납축전지 재생장치(10)의 적합한 펄스파워 주파수와 출력량과 같은 재생방식을 반복 학습할 수 있다. 따라서, 기계학습부(121)의 반복학습을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적합한 납축전지 재생장치(10)의 재생방식이 결정될 수 있다.
판단부(122)는 데이터베이스(120)에 축적된 정보를 기초로 측정장치(11) 및 납축전지 재생장치(10)의 작동에 관한 사항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122)는 기계학습부(121)에서 분석한 정보를 기초로 측정장치(11) 및 납축전지 재생장치(10)의 작동에 관한 사항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122)는 데이터베이스(120)의 축적된 정보 및 기계학습부(121)에서 분석한 정보를 기초로 측정장치(11)의 측정 빈도, 측정장치(11)의 측정모드, 납축전지 재생장치(10)의 적정 펄스파워 주파수, 펄스파 세기 및 전력사용량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조절부(123)는 판단부(122)에서 판단한 사항을 기초로 측정장치(11) 및 납축전지 재생장치(10)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부(123)는 측정장치(11)의 측정 빈도 및 측정모드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123)는 납축전지 재생장치(10)의 펄스파워 주파수, 펄스파 세기 및 전력사용량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123)는 납축전지의 전기에너지 충전량 및 충방전상태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123)에 의해 작동한 납축전지 재생장치(10)의 작동정보는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되는 일련의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20)는 납축전지의 상태정보 및 납축전지의 성능정보에 따라 납축전지 재생장치(10)의 작동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20)는 납축전지의 정보에 따라 납축전지 재생장치(10)의 작동정보를 저장되는 공유서버를 구축함으로써, 순차적으로 일어나는 재생작업에서 참고하고 이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측정장치(11)는 납축전지 전극상 생성된 산화피막의 두께를 측정하고, 제어부(12)는 측정장치(11)가 측정한 산화피막의 두께 측정값을 기준으로 납축전지 재생장치(10)의 출력량을 결정할 수 있다.
조절장치(13)는 제어부(12)와 연동되고, 사용자로부터 납축전지 재생장치(10) 및 측정장치(11)에 대한 작동값을 입력받을 수 있다. 조절장치(13)는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납축전지 재생장치(10) 및 측정장치(11)의 동작모드와 동작값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는 납축전지 충전모드, 측정장치(11)의 측정모드, 납축전지 재생장치(10)의 재생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는 납축전지의 일련번호, 납축전지 재생장치(10)의 일련번호 및 측정장치(11)의 일련번호 등과 같은 기본적인 사항에 관한 정보도 입력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입력부의 입력정보, 납축전지 재생장치(10)의 동작 정보 및 제어부(12)에 저장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는
조절장치(13)는 인터넷 신호를 통해 제어부(12)와 연동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웨어러블기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을 통해 상기 납축전지 재생장치(10) 및 상기 측정장치(11)의 작동모드와 작동값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납축전지 재생장치(10) 및 상기 측정장치(11)의 작동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 납축전지 관리 시스템
10: 납축전지 재생장치
11: 측정장치
12: 제어부
13: 조절장치
120: 데이터베이스
121: 기계학습부
122: 판단부
123: 조절부
B: 납축전지

Claims (8)

  1. 펄스파전류를 생성하여 납축전지의 전극상 생성된 산화피막을 제거하는 납축전지 재생장치;
    상기 납축전지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장치;
    상기 납축전지 재생장치 및 상기 측정장치로부터 작동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납축전지 재생장치 및 상기 측정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납축전지 재생장치 및 상기 측정장치에 대한 작동값을 입력받는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납축전지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장치는 상기 납축전지 전극상 생성된 산화피막의 형성정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장치가 측정한 산화피막의 형성정도 측정값을 기준으로 상기 납축전지 재생장치의 출력량을 결정하는, 납축전지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장치는 상기 납축전지의 내부 전압, 내부 저항, 온도, 전해액 밀도 및 충전량을 측정하여 산화피막의 형성정도를 측정하는, 납축전지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장치에서 측정한 정보, 상기 납축전지 재생장치의 작동정보 및 상기 납축전지에 관한 정보를 축적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측정장치 및 상기 납축전지 재생장치의 작동에 관한 사항을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한 사항을 기초로 상기 측정장치 및 상기 납축전지 재생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납축전지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에 의해 작동한 상기 납축전지 재생장치의 작동정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일련의 과정이 반복되는, 납축전지 관리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측정장치의 측정정보 및 상기 납축전지의 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납축전지 재생장치의 작동정보를 반복 비교하여, 상기 납축전지 재생장치의 효율적인 작동값을 도출해내는 기계학습부를 더 포함하는, 납축전지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납축전지 재생장치 및 상기 측정장치의 작동모드와 작동값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입력정보, 상기 납축전지 재생장치의 동작 정보 및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납축전지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는,
    인터넷 신호를 통해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웨어러블기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을 통해 상기 납축전지 재생장치 및 상기 측정장치의 작동모드와 작동값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납축전지 재생장치 및 상기 측정장치의 작동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납축전지 관리 시스템.

KR1020200048399A 2020-04-22 2020-04-22 납축전지 관리 시스템 KR2021013034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399A KR20210130342A (ko) 2020-04-22 2020-04-22 납축전지 관리 시스템
EP21792255.8A EP4142013A1 (en) 2020-04-22 2021-04-21 Lead storage battery management system
PCT/KR2021/004980 WO2021215810A1 (ko) 2020-04-22 2021-04-21 납축전지 관리 시스템
US17/920,037 US20230163613A1 (en) 2020-04-22 2021-04-21 Lead storage battery management system
CA3175555A CA3175555A1 (en) 2020-04-22 2021-04-21 Lead storage battery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399A KR20210130342A (ko) 2020-04-22 2020-04-22 납축전지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342A true KR20210130342A (ko) 2021-11-01

Family

ID=78269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399A KR20210130342A (ko) 2020-04-22 2020-04-22 납축전지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63613A1 (ko)
EP (1) EP4142013A1 (ko)
KR (1) KR20210130342A (ko)
CA (1) CA3175555A1 (ko)
WO (1) WO2021215810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491B1 (ko) 2005-12-30 2008-11-12 주식회사 맥스모어 축전지의 수명 연장 장치 및 그 방법
JP5304500B2 (ja) * 2009-07-13 2013-10-0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充電システム
KR20130013870A (ko) * 2011-07-29 2013-02-06 (주) 엠엔엠이십일 폐배터리 복원기
KR101178109B1 (ko) * 2011-08-26 2012-08-30 (주) 퓨리켐 납축전지 통합관리장치
KR101719674B1 (ko) * 2012-05-01 2017-03-24 도요타 지도샤(주) 연료전지 시스템
JP6751879B2 (ja) * 2015-11-06 2020-09-09 南 繁行 鉛蓄電池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15810A1 (ko) 2021-10-28
US20230163613A1 (en) 2023-05-25
EP4142013A1 (en) 2023-03-01
CA3175555A1 (en)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A novel model of the initial state of charge estimation for LiFePO4 batteries
Chen et al. A new state-of-health estimation method for lithium-ion batteries through the intrinsic relationship between ohmic internal resistance and capacity
Mathew et al. Simulation of lithium ion battery replacement in a battery pack for application in electric vehicles
Barcellona et al. Aging effect on the variation of Li-ion battery resistance as function of temperature and state of charge
Wang et al. Multi-parameter battery state estimator based on the adaptive and direct solution of the governing differential equations
EP4019321A1 (en) Battery managing method and device, and vehicle
JP3964635B2 (ja) メモリー効果の検出方法およびその解消方法
Leng et al. A practical framework of electrical based online state-of-charge estimation of lithium ion batteries
JP5850492B2 (ja) 電池システムおよび電池の評価方法
WO2022143669A1 (zh) 一种电池管理方法、装置及车辆
CN103314303B (zh) 用于测定蓄电池的开路电压的方法、具有用于测定开路电压的模块的蓄电池以及具有相应的蓄电池的机动车
CN110488201B (zh) 一种锂离子电池荷电状态放电筛选方法、系统、存储介质
CN112083345B (zh) 电池状态检测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9116242A (zh) 一种动力电池的数据处理方法和装置
Bhangu et al. Observer techniques for estimating the state-of-charge and state-of-health of VRLABs for hybrid electric vehicles
Sun et al. State-of-health estimation of retired lithium-ion battery module aged at 1C-rate
KR20230069182A (ko) 리튬 플레이팅 검출에 기초하는 배터리 충전 방법 및 시스템, 자동차, 및 매체
CN114609523A (zh) 一种电池容量的在线检测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21139788A (ja) 電池特性決定装置及び二次電池システム
CN109494771B (zh) 基于超级电容器荷电状态预测的新能源功率平滑控制方法
JP2008292272A (ja) 蓄電デバイスの電圧予測方法
JP2016081579A (ja) 二次電池システム
CN111044909B (zh) 电池的状态预测方法及装置
KR20210130342A (ko) 납축전지 관리 시스템
Zhou et al. Cycle life prediction and match detection in retired electric vehicle batte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